KR20110009631A - 전기 광학 장치의 구동 장치, 전기 광학 장치 및 전자 기기 - Google Patents

전기 광학 장치의 구동 장치, 전기 광학 장치 및 전자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9631A
KR20110009631A KR1020100070439A KR20100070439A KR20110009631A KR 20110009631 A KR20110009631 A KR 20110009631A KR 1020100070439 A KR1020100070439 A KR 1020100070439A KR 20100070439 A KR20100070439 A KR 20100070439A KR 20110009631 A KR20110009631 A KR 201100096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scan
electro
period
scan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704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아끼히꼬 이또
Original Assignee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0096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963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0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by tracing or scanning a light beam on a scree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 G09G3/3611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 G09G3/3648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using an active matrix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001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using specific devic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9G3/02 - G09G3/36, e.g. using an intermediate record carrier such as a film slide; Projection systems; Display of non-alphanumerical information, solely or in combination with alphanumerical information, e.g. digital display on projected diapositive as background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001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using specific devic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9G3/02 - G09G3/36, e.g. using an intermediate record carrier such as a film slide; Projection systems; Display of non-alphanumerical information, solely or in combination with alphanumerical information, e.g. digital display on projected diapositive as background
    • G09G3/003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using specific devic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9G3/02 - G09G3/36, e.g. using an intermediate record carrier such as a film slide; Projection systems; Display of non-alphanumerical information, solely or in combination with alphanumerical information, e.g. digital display on projected diapositive as background to produce spatial visual effec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 G09G3/3611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 G09G3/3674Details of drivers for scan electrodes
    • G09G3/3677Details of drivers for scan electrodes suitable for active matrices on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32Displays for viewing with the aid of special glasses or head-mounted displays [HMD]
    • H04N13/337Displays for viewing with the aid of special glasses or head-mounted displays [HMD] using polarisation multiplex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32Displays for viewing with the aid of special glasses or head-mounted displays [HMD]
    • H04N13/341Displays for viewing with the aid of special glasses or head-mounted displays [HMD] using temporal multiplex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63Image reproducers using image projection scree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2Addressing, scanning or driving the display screen or processing steps related thereto
    • G09G2310/0202Addressing of scan or signal lines
    • G09G2310/0205Simultaneous scanning of several lines in flat pane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2Addressing, scanning or driving the display screen or processing steps related thereto
    • G09G2310/0264Details of driving circuits
    • G09G2310/0281Arrangement of scan or data electrode driver circuits at the periphery of a panel not inherent to a split matrix structur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6Details of flat display driving waveforms
    • G09G2310/061Details of flat display driving waveforms for resetting or blanking
    • G09G2310/062Waveforms for resetting a plurality of scan lines at a tim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Liquid Crystal (AREA)
  •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ontrol (AREA)
  • Testing, Inspecting, Measuring Of Stereoscopic Televisions And Televisions (AREA)

Abstract

전기 광학 장치에서, 고품위의 컬러 입체 화상을 표시 가능한 전기 광학 장치 및 전자 기기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구동 장치는, 주사선(3a), 데이터선(6a) 및 화소부(14)를 구비하는 제1 전기 광학 패널(1)과, 제1 전기 광학 패널로부터의 출사광의 편광축을 절환하는 편광축 절환 수단(1114b)을 구비하는 전기 광학 장치를 구동한다. 그 구동 장치는, 주사선을 통하여 주사 신호를 공급하는 주사 신호 공급 수단(104)과, 데이터선을 통하여, 필드 기간마다 제1 화상 및 제2 화상 중 한쪽에 대응하는 화상 신호를 화소부에 공급하는 화상 신호 공급 수단(101)을 구비한다. 제1 화상에 대응하는 화상 신호가 공급되는 필드 기간과, 제2 화상에 대응하는 화상 신호가 공급되는 필드 기간과는, 각각, 시간축 상에서 복수의 서브 필드 기간으로 분할되어 있다.

Description

전기 광학 장치의 구동 장치, 전기 광학 장치 및 전자 기기{DRIVING DEVICE FOR ELECTRO-OPTICAL DEVICE, ELECTRO-OPTICAL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본 발명은, 투영 화상을 관측자에게 입체적으로 인식시키는 것이 가능한 전기 광학 장치 및 전자 기기의 기술 분야에 관한 것이다.
스크린 상에 화상 투영하는 전기 광학 장치의 예로서, 관찰자의 좌우의 눈에 대응하는 다른 화상을 교대로 표시함으로써, 관측자에게 투영 화상을 입체적으로 인식시키는 것이 있다. 이러한 종류의 전기 광학 장치의 하나의 원리 방식으로서, 서로 직교하는 편광축을 갖는 2 종류의 화상을 교대로 투영하면서, 각각의 화상에 대응하는 편광 방향을 갖는 편광판을 좌우에 배치함으로써 구성된 편광 안경을 장착한 관측자가, 투영 화상을 관찰하는 것이 있다. 이 방식에 따르면, 관측자가 좌우의 눈으로 각각 받아들인 화상을 뇌 내에서 합성함으로써, 투영 화상을 입체적으로 인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특허 문헌 1에서는, R(적색), G(녹색) 및 B(청색)에 대응하는 3매의 액정 패널의 각각에 편광 절환 소자를 설치함으로써, 입체 화상을 컬러 표시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평7-270780호 공보
투영 화상의 화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수단으로서, 전기 광학 장치의 화상 표시 영역에 배선된 복수의 주사선에 대해 주사 신호를 공급하는 속도를 향상시킴으로써(즉, 필드 주파수를 고속화함으로써), 단위 시간당에 표시 가능한 화상의 코마수를 증가시키는 것이 생각된다. 그러나, 주사 신호의 공급 속도는 주사선 구동 회로 등에 포함되는 부품이나 소자의 성능에 의존하므로, 현실적으로 한계가 있다. 또한, 주사 속도가 향상되면, 그 만큼, 각 화소부에 공급되는 화상 신호의 용량도 증가하기 때문에, 화상 신호의 입출력을 행하기 위한 화상 신호 공급 회로 등에도 마찬가지로 부담을 강요하게 된다. 특히, 입체 화상을 투영 가능한 전기 광학 장치의 경우, 관측자의 좌우의 눈에 대응하는 2 종류의 화상을 표시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간단히 평면적인 화상을 투영하는 경우에 비해, 화상 신호의 양이 급증하므로, 이들의 문제점은 보다 한층 심각한 것으로 된다.
본 발명은 예를 들면 상기 문제점 등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고품위의 컬러 입체 화상을 표시 가능한 전기 광학 장치 및 전자 기기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 광학 장치의 구동 장치는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화상 표시 영역에 서로 교차하여 배선된 복수의 주사선 및 복수의 데이터선 및 그 복수의 주사선 및 복수의 데이터선의 교차에 대응하여 배열된 복수의 화소부를 구비하는 제1 전기 광학 패널과, 그 제1 전기 광학 패널로부터의 출사광의 편광축을 절환함으로써, 서로 교차하는 편광축을 갖는 제1 화상 및 제2 화상에 대응하는 투과광을 사출하는 편광축 절환 수단을 구비하는 전기 광학 장치의 구동 장치로서, 상기 복수의 주사선을 통하여, 주사 신호를 공급하는 주사 신호 공급 수단과, 상기 복수의 데이터선을 통하여, 필드 기간마다 제1 화상 및 제2 화상 중 한쪽에 대응하는 화상 신호를 상기 복수의 화소부에 공급하는 화상 신호 공급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1 화상에 대응하는 화상 신호가 공급되는 제1 필드 기간 및 상기 제2 화상에 대응하는 화상 신호가 공급되는 제2 필드 기간은, 각각, 시간축 상에서 복수의 서브 필드 기간으로 분할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구동 장치에 의해 구동되는 전기 광학 장치는, 제1 전기 광학 패널과 편광축 절환 수단을 구비하고, 서로 교차하는 편광축을 갖는 2 종류의 화상을 교대로 투영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투영된 2 종류의 화상을, 예를 들면 좌우의 눈의 위치에 대응하는 카메라로 촬영한 화상 등, 관찰자의 좌우의 눈으로 시인되는 2 종류의 화상으로 해 두면, 각각의 화상에 대응하는 편광판을 좌우에 배치하여 구성된 편광 안경을 장착한 관측자에 의해 관찰됨으로써, 입체적으로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전기 광학 장치에 의해 표시되는 화상은, 정지 화상 및 동화상을 불문한다. 서로 교차하는 2개의 편광축은, 전형적으로는 혹은 이상적으로는 직교하지만, 입체 표시에 악영향이 미치지 않는 정도이면, 직교로부터 어긋나도 상관없다.
제1 전기 광학 패널은, 예를 들면 기판간에 액정층이 협지된 액정 패널이다. 제1 전기 광학 패널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 광학 장치의 구동 장치에 의해, 그 동작 시에서, 예를 들면 전원 신호, 데이터 신호, 제어 신호 등의 각종 신호가 입출력되면, 기판 상에 만들어 넣어진 주사선 구동 회로 등을 포함하는 주사 신호 공급 수단에 의해, 주사 신호가 복수의 주사선을 통하여 화소부에 공급된다. 이와 병행하여, 예를 들면, 동일한 기판 상에 만들어 넣어진 데이터선 구동 회로나 샘플링 회로 등을 포함하는 화상 신호 공급 수단에 의해, 화상 신호가 복수의 데이터선을 통하여, 화소부에 동시에 또는 축차적으로 공급된다. 이와 같이 제1 전기 광학 패널은, 각종의 제어 신호가 입출력됨으로써, 화상 표시 영역으로부터 표시 화상에 대응하는 표시광을 사출한다.
이와 같은 제1 전기 광학 패널의 화상 표시는, 예를 들면, 화상 표시 영역에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열된 화소부의 각각에 화소 스위칭용 TFT가 구비됨으로써 행해지는 액티브 매트릭스 구동에 의해 실현된다. 이 경우, 화소 스위칭용 TFT의 게이트 단자에 주사 신호가 인가되면, 데이터선으로부터 공급되는 화상 신호가, 화소 스위칭용 TFT의 소스 드레인을 통하여, 화소부를 구성하는 화소 전극에 기입된다. 그 결과, 화소부를 구성하는 화소 전극과 대향 전극과의 사이에 화상 신호에 대응하는 구동 전압이 인가되고, 액정의 배향 상태 등의 전기 광학 물질의 동작 상태를 바꿀 수 있다.
제1 화상 및 제2 화상은, 전기 광학 장치가 구비하는 편광축 절환 수단에 의해, 제1 전기 광학 패널로부터의 출사광의 편광축을, 서로 교차하는 방향으로 소정의 타이밍에서 절환함으로써 표시할 수 있다. 편광축 절환 수단은, 예를 들면 TN(Twisted Nematic) 액정을 기판간에 협지된 액정 패널 등의 전기 광학 패널의 일종으로서 형성하여도 된다.
화상 신호 공급 수단은, 복수의 데이터선을 통하여, 필드 기간마다 제1 화상 및 제2 화상 중 한쪽에 대응하는 화상 신호를 복수의 화소부에 공급한다. 즉, 각 필드 기간에서는, 제1 화상 또는 제2 화상 중 한쪽이 전기 광학 장치의 화상 표시 영역에 표시된다.
본 발명에서는 특히, 제1 화상에 대응하는 화상 신호가 공급되는 제1 필드 기간 및 제2 화상에 대응하는 화상 신호가 공급되는 제2 필드 기간은, 각각, 시간축 상에서 연속하는 복수의 서브 필드 기간으로 분할되어 있다. 즉, 제1 및 제2 화상에 대응하는 화상 신호는, 각각, 적어도 2개 이상 연속하는 복수의 서브 필드 기간에 걸쳐서 공급된다. 화상 신호를 이와 같이 공급함으로써, 제1 및 제2 화상을 서로 절환할 때에 요하는, 전기 광학 장치의 편광축 절환 수단의 절환 동작 등의 횟수를 경감할 수 있다. 그 결과, 제1 및 제2 화상을 서로 절환할 때에 관계되는 다양한 구동 회로의 부담을 경감할 수 있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필드 주파수의 고속화를 도모할 수 있다. 즉, 표시하는 화상의 종류는 동일하여도, 구동 회로에 가해지는 부담이 가벼울수록, 실질적으로 필드 주파수를 보다 높게 설정할 수 있다. 그 때문에, 단위 시간당에 표시 가능한 화상의 코마수를 증가시킴으로써, 표시 화상의 품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단위 시간당에 표시 가능한 코마수를 증가함으로써, 각 표시 코마간의 화상 변화를 적게 할 수 있으므로, 표시 화상의 플리커의 경감에도 공헌할 수 있다. 바꿔 말하면, 표시 코마수를 많게 함으로써, 각 표시 코마간의 변화를 원활하게 할 수 있으므로, 플리커를 경감할 수 있다. 특히 코마마다 표시 화상이 축차적으로 변화하는 동화상을 표시하는 경우에는, 표시 영상의 움직임을 보다 원활하게 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구동 장치에 따르면, 제1 전기 광학 패널의 주사 속도를 향상시킴으로써, 투영 화상의 고품위화를 효과적으로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전기 광학 장치의 구동 장치의 일 양태에서는, 상기 복수의 서브 필드 기간에서, 상기 주사 신호 공급 수단에 의해 상기 주사 신호가 공급되는 상기 주사선의 개수가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양태에 따르면, 서브 필드 기간마다 주사 신호가 공급되는 주사선의 개수를 일치시킬 필요가 없으므로, 예를 들면, 특정한 서브 필드 기간에서는 주사 신호를 공급하는 주사선의 개수를 줄임으로써, 필드 주파수를 실질적으로 고속화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 결과, 표시 화상에서의 플리커의 발생을 보다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어, 보다 고품위의 화상을 표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의 전기 광학 장치의 구동 장치의 다른 양태에서는, 상기 제1 필드 기간 및 상기 제2 필드 기간 중 한쪽에 대응하는 상기 복수의 서브 필드 기간은, 제1 서브 필드 기간 및 상기 제1 서브 필드 기간보다 시간적으로 지연되어 설정되는 제2 서브 필드 기간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주사 신호 공급 수단은, 상기 제2 서브 필드 기간에서 상기 주사 신호가 공급되는 주사선의 개수가, 상기 제1 서브 필드 기간의 1/2로 되도록, 상기 주사선에 대해 상기 주사 신호를 공급함과 함께, 상기 제1 서브 필드 기간에서 복수개의 상기 주사선에 대해 동시에 주사 신호를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양태에서는, 제1 필드 기간 및 상기 제2 필드 기간 중 한쪽이 시간축 상에서 분할되어 이루어지는 복수의 서브 필드 기간은, 제1 서브 필드 기간과, 제1 서브 필드 기간보다 시간적으로 지연되어 설정되는 제2 서브 필드 기간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제1 서브 필드 기간 및 제2 서브 필드 기간에서는, 모두 제1 화상 및 제2 화상 중 어느 한쪽에 대응하는 화상 신호가 공급되고, 또한, 제2 서브 필드 기간은 시간적으로 제1 서브 필드 기간보다도 지연된 시간 범위에 설정된다.
주사 신호 공급 수단은, 제2 서브 필드 기간에서 주사 신호가 공급되는 주사선의 개수가, 제1 서브 필드 기간의 1/2로 되도록, 주사선에 대해 주사 신호를 공급한다. 예를 들면 본 발명에 따른 전기 광학 장치가 합계 m(m은 2 이상의 자연수)개의 주사선을 구비하고 있는 경우, 주사 신호 공급 수단은, 제1 서브 필드 기간에서는 m개 모든 주사선에 대해 주사 신호를 공급하는 한편으로, 제2 서브 필드 기간에서는 m/2개의 주사선에 대해서만 주사 신호를 공급한다.
여기서, 본 발명에서의 「1/2로 되도록」이란, 본 발명에 따른 전기 광학 장치가 구비하는 주사선의 합계 개수가 홀수인 등의 사정에 의해서, 제2 서브 필드 기간에서 주사해야 할 주사선의 개수가 자연수 이외의 값으로서 산출된 경우에는, 그 산출값에 가까운 자연수에 대응하는 개수의 주사선을 주사하는 취지이다. 예를 들면, 제1 서브 필드 기간에서 주사되는 주사선의 개수가 홀수인 경우에는, 그 홀수값에 「1」을 가산 또는 감산한 후에 1/2을 승산함으로써, 제2 서브 필드 기간에서 주사 신호가 공급되는 주사선의 개수를 산출하여도 된다.
제2 서브 필드 기간에서는, 제1 서브 필드 기간에 비해, 1/2의 개수의 주사선에 대해서만 주사 신호가 공급됨으로써, 화상이 표시된다. 그 때문에, 제1 서브 필드 기간에 비해 주사 신호를 공급하기 위해 요하는 시간이 짧아진다(단순히 생각하면, 절반으로 됨). 이와 같이 제2 서브 필드 기간에서, 제1 서브 필드 기간에 비해, 주사 신호를 공급하는 주사선의 수를 제한함으로써, 시간축 상에서의 서브 필드 기간의 길이를 효과적으로 단축할 수 있다. 그 결과, 실질적으로 필드 주파수의 고속화가 가능하게 되어, 표시 화상의 고품위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제2 서브 필드 기간에서는 제1 서브 필드 기간에 비해 일부(즉, 절반)의 주사선에 대해서만 주사 신호를 공급하고 있기 때문에, 제1 서브 필드 기간에서 표시되는 화상에 비해, 제2 서브 필드 기간에서 표시되는 화상은 해상도가 낮아진다고도 생각된다. 그러나, 제1 전기 광학 패널의 화소부는 유지 특성을 갖기 때문에, 제1 서브 필드 기간에서 공급된 화상 신호는, 제2 서브 필드 기간까지의 사이에 주사 신호가 새롭게 공급되지 않는 한, 그대로 유지되게 된다. 이와 같이, 화소부의 유지 특성에 의해, 후의 제2 서브 필드 기간에서 해상도가 보다 낮은 화상을 기입하였다고 하여도, 그 전의 서브 필드 기간(예를 들면 제1 서브 필드 기간)에서 표시된 화상에 대해 덮어 쓰여진 화상으로서 표시되게 되므로, 최종적인 표시 화상의 해상도가 현저하게 저하되지 않게 된다. 즉 주사 신호가 공급되는 주사선의 개수가 적은 제2 서브 필드 기간에서 새롭게 표시된 화상은, 제1 서브 필드 기간을 포함하는, 그 이전에 표시된 화상에 대해 덮어 쓰여져서 표시되므로, 결과적으로 보다 해상도가 높은 화상을 표시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바꿔 말하면, 제2 서브 필드 기간에서 새롭게 기입되는 화상 그 자체의 해상도는 낮지만, 그 이전의 제1 서브 필드 기간을 포함하는 서브 필드 기간에서 미리 표시된 화상에 대해 덮어쓰기 함으로써, 결과적으로 해상도가 높은 화상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주사 신호 공급 수단은, 제1 서브 필드 기간에서 복수개의 주사선에 대해 동시에 주사 신호를 공급한다. 즉, 제1 서브 필드 기간에서는, 복수개의 주사선에 대해 동시에 주사 신호를 공급함으로써, 주사 신호를 공급하기 위해 요하는 시간(즉 제1 서브 필드 기간의 길이)을 단축할 수 있어, 실질적으로 필드 주파수의 고속화를 더욱 도모할 수 있다.
단, 동시에 복수개의 주사선에 대해 주사 신호가 공급되므로, 복수의 화소부에 동일한 화상 신호가 공급되게 되어, 표시 화상의 해상도가 저하된다. 그러나, 화상의 해상도가 내려 갔다고 하여도, 그 이상으로 필드 주파수가 향상됨으로써 얻어지는 메리트가 크므로, 문제로 되지 않는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전기 광학 패널의 화소부는 유지 특성을 갖고 있기 때문에, 해상도가 낮은 화상이 순차적으로 덮어쓰기 됨으로써, 결과적으로 해상도가 높은 화상을 표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양태에 따른 전기 광학 장치의 구동 장치에 따르면, 필드 주파수의 고속화와 표시 화상의 해상도의 확보를 양립할 수 있어, 고품위의 입체 화상을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전기 광학 장치의 구동 장치의 다른 양태에서는, 상기 연속해서 반복되는 제1 필드 기간과, 상기 연속해서 반복되는 제2 필드 기간과의 사이에, 상기 화상 신호 공급 수단이 흑 표시에 대응하는 화상 신호를 공급하는 제3 필드 기간을 갖는다.
전술한 바와 같이 편광축 절환 수단은, 좌측 눈용의 화상과 우측 눈용의 화상을, 편광 안경을 장착한 관측자의 좌우의 눈에 따로따로 인식시키기 위해, 서로 교차하도록 편광축을 절환한다. 여기서, 편광축 절환 수단이, 예를 들면, 액정 등의 전기 광학 물질을 기판간에 협지한 전기 광학 패널로서 형성되어 있는 경우, 편광축의 절환은, 예를 들면 표시광이 투과하는 투과 영역에서의 주사선을 순차적으로 주사함으로써 행해지기 때문에, 투과 영역을 다 주사할 때까지 유한한 시간을 요한다. 여기서, 편광축 절환 수단의 절환 동작의 도중(즉, 예를 들면 투과 영역에서의 주사선을 순차적으로 주사하고 있는 중에)에서는, 투과 영역의 일부는 우측 눈용의 편광 상태로 되어 있지만, 다른 일부는 좌측 눈용의 편광 상태로 되어 있는 상황이 생길 수 있다. 그 때문에, 이와 같은 상태에서 편광축 보정 수단으로부터의 출사광이 편광축 절환 수단에 입사되면, 본래, 우측 눈용의 화상으로 되어야 할 화상에 좌측 눈용의 화상이 혼입되는 등, 좌측 눈용의 화상과 우측 눈용의 화상이 혼재하게 되어, 투영 화상의 화질이 저하되거나, 혼재의 정도가 심한 경우에는, 관측자가 화상을 입체적으로 인식하는 것이 곤란하게 된다.
본 양태에 따른 구동 장치에서는, 제1 화상이 표시되는 제1 필드 기간과, 제2 화상이 표시되는 제2 필드 기간을 절환할 때에, 제1 필드 기간 및 제2 필드 기간 동안에 흑 표시를 하기 위한 제3 필드 기간을 설정하고 있다. 이와 같이 제3 필드 기간을 설정함으로써, 상술한 좌우의 화상의 혼재에 의한 화질의 저하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즉, 상술한 바와 같은 좌우의 화상의 혼재가 생길 우려가 있는 편광축 절환 수단의 절환 동작의 도중을 포함하는 기간인 제3 필드 기간에서, 복수의 제1 전기 광학 패널에 흑 표시를 행하게 함으로써, 가령 좌우의 화상의 혼재가 생겼다고 하여도 화질의 저하로서 관측자가 인식하는 일은 없다. 즉, 좌우의 화상을 절환하는 타이밍에서 흑을 표시함으로써, 좌측 눈용의 화상과 우측 눈용의 화상을 명확하게 구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 결과, 보다 고품위의 입체 화상을 표시 가능한 전기 광학 장치의 구동 장치를 실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전기 광학 장치의 구동 장치의 다른 양태에서는, 상기 주사 신호 공급 수단은, 상기 제1 전기 광학 패널에서의 표시 화상의 갱신 타이밍과, 상기 편광축 절환 수단이 표시광의 편광축을 절환하는 타이밍이 동기하도록, 상기 주사 신호를 공급한다.
이 양태에 따르면, 구동 장치에 의해 구동되는 전기 광학 장치가 구비하는 편광축 절환 수단은, 예를 들면 TN 액정을 기판간에 협지한 액정 패널 등의 전기 광학 패널이다. 이 경우, 제1 액정 패널과 마찬가지로, 예를 들면, 화소 스위칭용의 트랜지스터, 데이터선, 주사선 및 화소 전극 등이 형성된 소자 기판과, 대향 전극이 형성된 대향 기판과의 사이에, 액정 등의 전기 광학 물질을 협지함으로써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및 제2 화상이 혼동되지 않도록, 적절한 타이밍에서 편광축 절환 수단으로서의 제2 전기 광학 패널을 제1 전기 광학 패널과 동기 제어함으로써, 고품위의 입체 화상을 표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동기 제어는, 예를 들면 제1 및 제2 전기 광학 패널에서, 공통의 클럭 신호 및 공통의 트리거 신호를 이용하면, 용이하게 실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전기 광학 장치는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상술한 본 발명의 전기 광학 장치의 구동 장치(단, 그 각종 양태를 포함함)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전기 광학 장치에 따르면,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구동 장치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필드 주파수의 고속화가 가능해져, 고품위의 입체 화상을 표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전자 기기는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상술한 전기 광학 장치(단, 그 각종 양태도 포함함)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전자 기기에 따르면, 상술한 전기 광학 장치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므로, 고품질의 입체 화상의 표시를 행하는 것이 가능한 투사형의 액정 프로젝터 등의 각종 전자 기기를 실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 광학 장치의 구동 방법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화상 표시 영역에 서로 교차하여 배선된 복수의 주사선 및 복수의 데이터선 및 그 복수의 주사선 및 복수의 데이터선의 교차에 대응하여 배열된 복수의 화소부를 구비하는 제1 전기 광학 패널과, 그 제1 전기 광학 패널로부터의 출사광의 편광축을 절환함으로써, 서로 교차하는 편광축을 갖는 제1 화상 및 제2 화상에 대응하는 투과광을 사출하는 편광축 절환 수단을 구비하는 전기 광학 장치의 구동 방법으로서, 상기 복수의 주사선을 통하여, 주사 신호를 공급하는 주사 신호 공급 공정과, 상기 복수의 데이터선을 통하여, 필드 기간마다 제1 화상 및 제2 화상 중 한쪽에 대응하는 화상 신호를 상기 복수의 화소부에 공급하는 화상 신호 공급 공정을 구비하고, 상기 제1 화상에 대응하는 화상 신호가 공급되는 제1 필드 기간 및 상기 제2 화상에 대응하는 화상 신호가 공급되는 제2 필드 기간은, 각각, 시간축 상에서 복수의 서브 필드 기간으로 분할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구동 방법에 따르면,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구동 장치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실질적으로 필드 주파수의 고속화가 가능해져, 고품위의 입체 화상을 표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구동 방법에서도,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구동 장치와 마찬가지의 각종 양태를 채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이와 같은 작용 및 다른 이득은 다음에 설명하는 실시 형태로부터 명백하게 된다.
도 1은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액정 프로젝터의 전체 구성을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
도 2는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액정 프로젝터의 편광 절환 유닛을 투과하는 각 단계에서의, 크로스 프리즘으로부터의 출사광이 갖는 편광축을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개념도.
도 3은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액정 프로젝터에 의한 투영 화상을, 관측자가 관측할 때에 사용하는 편광 안경의 사용 형태를 나타내는 모식도.
도 4는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액정 프로젝터의 액정 라이트 벌브에 격납된 액정 패널의 구성을 도시하는 평면도.
도 5는 도 4의 H-H' 단면도.
도 6은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액정 프로젝터의 액정 라이트 벌브에 격납된 액정 패널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7은 본 실시 형태에서의 액정 프로젝터의 편광축 절환 패널의 투과 영역에서의 입체적인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8은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액정 프로젝터의 편광축 절환 패널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9는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액정 프로젝터의 동작에 관하여, 액정 패널 및 편광축 절환 패널에 입출력되는 각 제어 신호의 타이밍차트.
도 10은 변형예에 따른 액정 프로젝터의 동작에 관하여, 액정 패널 및 편광축 절환 패널에 입출력되는 각 제어 신호의 타이밍차트.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 형태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 광학 장치를 적용한 전자 기기의 일례인 투영형의 액정 프로젝터를 예로 설명한다.
<액정 프로젝터의 구성>
우선,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액정 프로젝터의 전체 구성에 대해,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액정 프로젝터의 전체 구성을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에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액정 프로젝터(1100)는, RGB용의 3매의 액정 라이트 벌브(100R, 100G, 100B)를 이용한 복판식 컬러 프로젝터로서 구축되어 있다. 액정 라이트 벌브(100R, 100G, 100B)의 각각은, 액정 패널(1)이 액정 프로젝터(1100)의 외벽에 고정하기 위한 소정의 유지 케이스에 격납되어 구축되어 있다. 또한, 액정 패널(1)은, 본 발명에서의 「제1 전기 광학 패널」의 일례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액정 프로젝터(1100)에서는, 메탈 할로겐 램프 등의 백색 광원의 램프 유닛(1102)으로부터 광원광이 발하게 되면, 2매의 미러(1106), 2매의 다이크로익 미러(1108) 및 3개의 편광 빔 스플리터(PBS)(1113)에 의해, 광원광은 RGB의 3원색에 대응하는 광 성분 R, G, B로 나뉘어진다. 각각의 광 성분은, 대응하는 액정 라이트 벌브(100R, 100G, 100B)로 각각 유도된다. 또한, 이 때, 광로에서의 광 손실을 방지하기 위해, 광로의 도중에 렌즈를 적절하게 설치하여도 된다. 그리고, 액정 라이트 벌브(100R, 100G, 100B)에 의해 각각 변조된 3원색에 대응하는 광 성분은, 크로스 프리즘(1112)에 의해 단일의 광속으로 합성된 후, 편광축 절환 유닛(1114)에 입사한다.
편광축 절환 유닛(1114)은, 본 발명에서의 「편광축 보정 수단」의 일례인 컬러 셀렉트 패널(1114a)과, 본 발명에서의 「편광축 절환 수단」의 일례인 편광축 절환 패널(1114b)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편광축 절환 유닛(1114)을 투과한 출사광은, 투영 렌즈(1115)를 투과한 후, 스크린(1120)에 컬러 영상으로서 확대 투영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액정 라이트 벌브(100R, 100B, 100G)에는, 다이크로익 미러(1108) 및 편광 빔 스플리터(1113)에 의해, RGB의 각 원색에 대응하는 광 성분이 입사하므로, RGB용의 3매의 액정 라이트 벌브(100R, 100G, 100B)의 각각에 컬러 필터를 설치할 필요는 없다. 또한, 편광 빔 스플리터(1113)를 이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반대로, RGB용의 3매의 액정 라이트 벌브(100R, 100G, 100B)의 각각에 컬러 필터를 설치하여도 된다.
액정 프로젝터(1100)는, 좌측 눈용의 화상과, 우측 눈용의 화상을 소정의 타이밍에서 교대로 스크린(1120)에 투영함으로써, 편광 안경을 장착한 관찰자가, 투영 화상을 입체적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좌측 눈용의 화상 및 우측 눈용의 화상을 절환하는 타이밍이나, 관측자가 장착하는 편광 안경의 구체적인 양태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여기서, 도 2를 참조하여, 편광축 절환 유닛(1114)을 투과하는 각 단계에서의, 크로스 프리즘(1112)으로부터의 출사광의 편광축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는, 편광 절환 유닛(1114)을 투과하는 각 단계에서의, 크로스 프리즘(1112)으로부터의 출사광이 갖는 편광축을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개념도이다.
크로스 프리즘(1112)으로부터의 출사광은 복수의 액정 라이트 벌브(100R, 100G, 100B)로부터의 광 성분이 합성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액정 라이트 벌브(100R, 100G, 100B) 중, 액정 라이트 벌브(100R, 100B)로부터의 광 성분은 동일 방향(X 방향)의 편광축을 갖고 있지만, 액정 라이트 벌브(100G)로부터의 광 성분은, 액정 라이트 벌브(100R, 100B)로부터의 광 성분에 대해 90도 다른 방향(Y 방향)의 편광축을 갖고 있다. 그 때문에, RGB의 광 성분이 합성된 크로스 프리즘(1112)으로부터의 출사광은, X 방향 및 Y 방향으로 편광축을 갖고 있다.
이와 같이 복수의 방향으로 편광축을 갖는 크로스 프리즘(1112)으로부터의 출사광은, 편광축 절환 유닛(1114)의 일부로서 조립되어 있는 컬러 셀렉트 패널(1114a)을 투과함으로써, 그 편광축을 하나의 방향으로 일치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편광축의 통일은, 특정한 색에 대응하는 광 성분에 대해서, 편광축의 방향을 소정의 각도만큼 변화시키는 특성을 갖는 디바이스를, 컬러 셀렉트 패널(1114a)로서 이용함으로써 실현할 수 있다. 컬러 셀렉트 패널(1114a)에 적합한 디바이스로서는, 예를 들면, 컬러 링크사제의 파장 선택성 편광 로테이터ㆍ컬러 셀렉트(등록 상표)를 들 수 있다. 이 제품은, 특정한 파장을 갖는 광 성분의 편광축을, 미리 설정된 소정의 각도만큼 변화시킨다고 하는 특성을 갖고 있고, 컬러 셀렉트 패널(1114a)로서 바람직하게 기능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액정 라이트 벌브(100G)로부터의 광 성분은, X 방향의 편광축을 갖는 액정 라이트 벌브(100R, 100B)의 광 성분에 대해, 90도 어긋난 Y 방향의 편광축을 갖고 있다. 그 때문에, 액정 라이트 벌브(100G)로부터의 광 성분에 대응하는 파장을 갖는 광에 대해, 편광축을 90도 회전시키는 특성을 갖는 디바이스를, 컬러 셀렉트 패널(1114a)로서 이용하고 있다. 그 결과, 복수의 편광축을 갖는 크로스 프리즘(1112)으로부터의 출사광은, 컬러 셀렉트 패널(1114a)을 투과함으로써, 그 편광축을 일치시킬 수 있다. 상술한 특허 문헌 1에서는, RGB에 대응하는 복수의 액정 패널(100)의 각각에, 편광축을 일치시키기 위한 편광 절환 소자를 배치할 필요가 있었지만, 본 실시 형태에서는 하나의 컬러 셀렉트 패널(1114a)을 배치하는 것만으로, 편광축을 일치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그 결과, 액정 프로젝터(1100)를 구축하기 위한 부품의 수를 적게 억제할 수 있어, 제조 비용의 삭감에 공헌할 수 있다.
컬러 셀렉트 패널(1114a)로부터의 출사광은, 컬러 셀렉트 패널(1114a)과 함께 편광축 절환 유닛(1114)의 일부를 구성하는 편광축 절환 패널(1114b)에 입사한다. 편광축 절환 패널(1114b)은, 컬러 셀렉트 패널(1114a)로부터의 출사광의 편광축을 서로 교차하는 방향(즉 X 방향과 Y 방향)으로 소정의 타이밍에서 교대로 절환한다. 여기서, 도 2의 (a) 및 (b)는, 각각 좌측 눈용의 화상 및 우측 눈용의 화상에 대응하는 표시광의 편광축을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개념도이다. Y 방향의 편광축을 갖는 컬러 셀렉트 패널(1114a)의 출사광은, 어느 타이밍에서는 편광 절환 패널(1114a)을 투과함으로써 편광축이 X 방향으로 절환된다(도 2의 (a) 참조). 또한, 다른 타이밍에서는, 편광축은 Y 방향인 상태로 유지된다(도 2의 (b) 참조). 이와 같이 편광축 절환 패널(1114b)을 제어함으로써, 서로 교차하는 방향의 편광축을 갖는, 좌측 눈용의 화상과 우측 눈용의 화상에 각각 대응한 표시광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계속해서, 전술한 액정 프로젝터(1100)에 의해 스크린(1120)에 투영된 영상을 관측할 때에, 관측자가 장착하는 편광 안경에 대해서 설명한다. 여기서, 도 3은,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액정 프로젝터(1100)에 의한 투영 화상을, 관측자가 관측할 때에 사용하는 편광 안경의 사용 형태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관측자는, 도 3에 도시한 편광 안경(2000)을 통하여 스크린(1120)에 투영된 화상을 관측함으로써, 투영 화상을 입체적으로 인식할 수 있다.
편광 안경(2000)은, 좌측 눈용 렌즈(2100)와 우측 눈용 렌즈(2200)가, 프레임(2300)에 고정됨으로써 구성되어 있다. 좌측 눈용 렌즈(2100)는, 좌측 눈용의 화상의 편광축과 동일 방향의 편광 방향(즉 X 방향)을 갖는 편광판으로 형성되어 있다. 한편, 우측 눈용 렌즈(2200)는, 우측 눈용의 화상의 편광축과 동일 방향의 편광 방향(즉 Y 방향)을 갖는 편광판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 결과, 좌측 눈용의 화상에 대응하는 표시광은 편광축과 동일 편광 방향을 갖는 좌측 눈용 렌즈(2100)를 투과할 수 있지만, 편광축과 다른 편광 방향을 갖는 우측 눈용 렌즈(2200)는 투과할 수 없다. 반대로 우측 눈용의 화상에 대응하는 표시광은, 편광축과 동일 편광 방향을 갖는 우측 눈용 렌즈(2200)를 투과할 수 있지만, 편광축과 다른 편광 방향을 갖는 좌측 눈용 렌즈(2100)는 투과할 수 없다.
이와 같이, 좌측 눈용 렌즈(2100) 및 우측 눈용 렌즈(2200)의 투과광은, 편광 안경(2000)을 투과함으로써, 각각, 관측자의 좌측 눈 및 우측 눈에만 입사하게 된다. 그 결과, 편광 안경(2000)을 장착한 관측자는, 좌측 눈용의 화상과 우측 눈용의 화상을 각각 좌우의 눈에서 따로따로 인식할 수 있어, 스크린(1120)에 투영된 화상을 입체적으로 인식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액정 패널의 구성>
계속해서, 액정 라이트 벌브(100R, 100G, 100B)에 격납되어 있는 액정 패널(1)의 구조에 대해서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실시 형태에서의 액정 라이트 벌브(100)에 격납된 액정 패널(1)의 구성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며, 도 5는, 도 4의 H-H' 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액정 패널(1)에서, TFT 어레이 기판(10)은 대향 기판(20)과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TFT 어레이 기판(10)과 대향 기판(20)과의 사이에 액정층(50)이 봉입되어 있고, TFT 어레이 기판(10)과 대향 기판(20)과는, 화상 표시 영역(10a)의 주위에 설치된 시일재(52)에 의해 서로 접착되어 있다.
도 4에서, 시일재(52)의 내측에 병행하여, 차광성의 액연 차광막(53)이, 대향 기판(20) 측에 설치되어 있다. 화상 표시 영역(10a)의 주변 중, 시일재(52)의 외측에 위치하는 영역에는, 데이터선 구동 회로(101), 및 외부 회로 접속 단자(102)가 TFT 어레이 기판(10)의 1변을 따라서 설치되어 있다. 샘플링 회로(7)는 이 1변을 따른 시일재(52)보다도 내측에, 액연 차광막(53)으로 덮여지도록 설치되어 있다. 또한, 주사선 구동 회로(104)는, 이 1변에 인접하는 2변을 따른 시일재(52)의 내측에, 액연 차광막(53)으로 덮여지도록 설치되어 있다. 또한, 이와 같이 화상 표시 영역(10a)의 양측에 설치된 2개의 주사선 구동 회로(104)간을 연결하기 위해, TFT 어레이 기판(10)의 남은 1변을 따라서, 또한, 액연 차광막(53)으로 덮여지도록 하여 복수의 배선(105)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TFT 어레이 기판(10) 상에는, 대향 기판(20)의 4개의 코너부에 대향하는 위치에, 양 기판간을 상하 도통재(107)로 접속하기 위한 상하 도통 단자(106)가 배치되어 있다. 이들에 의해, TFT 어레이 기판(10)과 대향 기판(20)과의 사이에서 전기적인 도통을 취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TFT 어레이 기판(10) 상에는, 외부 회로 접속 단자(102)와, 데이터선 구동 회로(101), 주사선 구동 회로(104), 상하 도통 단자(106) 등을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루트 배선(Routed wiring)(90)이 형성되어 있다.
도 5에서, TFT 어레이 기판(10) 상의 화상 표시 영역(10a)에는, 화소 스위칭용의 TFT나 주사선, 데이터선 등의 배선이 만들어 넣어진 적층 구조가 형성된다. 또한, 화상 표시 영역(10a)의 주변에는, 데이터선 구동 회로(101), 주사선 구동 회로(104) 및 샘플링 회로(7)를 각각 구성하는 구동 회로용의 TFT나 루트 배선(90) 등이 만들어 넣어진 적층 구조가 형성된다.
TFT 어레이 기판(10)에 형성된 화소 전극(9a) 상에는, 도시하지 않은 배향막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대향 기판(20)에서의 TFT 어레이 기판(10)과의 대향면 상에는, 차광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블랙 매트릭스(23)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블랙 매트릭스(23) 상에, ITO 등의 투명 재료로 이루어지는 대향 전극(21)이 복수의 화소 전극(9a)에 대향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대향 전극(21) 상에는 도시하지 않은 배향막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의 액정층(50)은, 예를 들면 일종 또는 수종류의 네마틱 액정을 혼합한 액정으로 이루어지고, 이들 한 쌍의 배향막간에서, 소정의 배향 상태를 취한다.
또한, 여기서는 도시를 생략하고 있지만, TFT 어레이 기판(10) 상에는, 데이터선 구동 회로(101), 주사선 구동 회로(104) 외에, 제조 도중이나 출하 시의 그 액정 장치의 품질, 결함 등을 검사하기 위한 검사 회로, 검사용 패턴 등이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다음으로, 도 6을 참조하여, 액정 라이트 벌브(100R, 100G, 100B)에 격납된 액정 패널(1)의 전기적인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6은, 액정 라이트 벌브(100R, 100G, 100B)에 격납된 액정 패널(1)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액정 패널(1)은, 화상 표시 영역(10a), 데이터선 구동 회로(101) 및 주사선 구동 회로(104)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표시광이 사출되는 화상 표시 영역(10a)에서는, 액정층(50)에 대해 구동 전압을 온 오프 제어함으로써 화상 표시가 행해진다. 화상 표시 영역(10a)에는, n개(n은 2 이상의 자연수)의 주사선(3a)이 X(행) 방향으로 연장하여 형성되고, m개(m은 2 이상의 자연수)의 데이터선(6a)이 Y(열) 방향을 따라서 연장하여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주사선(3a)과 데이터선(6a)과의 각 교차에 대응하여 화소부(14)가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열되어 있다.
컨트롤러(400)는, 클럭 신호 CLK, 수직 주사 신호 VSYNC, 수평 주사 신호 HSYNC 및 화상 신호 DATA를 외부로부터 취득한다. 그리고, 컨트롤러(400)는, 이들이 취득한 신호에 기초하여, 주사측 스타트 펄스 DY, 주사측 전송 클럭 CLY, 데이터 전송 클럭 CLX 및 화상 데이터 신호 Ds를 생성한다. 주사측 스타트 펄스 DY는, 주사측(Y측)에 대한 주사의 개시 타이밍에서 출력되는 펄스 신호이다. 주사측 전송 클럭 CLY는, 주사측(Y측)의 주사 타이밍을 규정하는 클럭 신호이다. 데이터 전송 클럭 CLX는, 데이터선 구동 회로(101)에 데이터를 전송하는 타이밍을 규정하는 신호이다. 화상 데이터 신호 Ds는, 화상 신호 DATA에 대응하는 전압 신호이다.
주사선 구동 회로(104)는, 컨트롤러(400)로부터, 주사측 스타트 펄스 DY 및 주사측 전송 클럭 CLY를 취득함으로써, 화상 표시 영역(10a)에서의 주사선(3a)에 대해 주사 신호 G1, G2, G3, …, Gn을 순차적으로 출력한다. 주사선 구동 회로(104)는, 예를 들면 시프트 레지스터로 구성되어 있고, 컨트롤러(400)로부터 공급되는 주사측 스타트 펄스 DY를 주사측 전송 클럭 CLY에 따라서, 주사선(3a)을 순차적으로 구동, 즉 선 순차 방식에 의해 구동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선 순차 방식으로 주사선(3a)을 구동하는 예를 편의상 나타내고 있지만, 다른 구동 방식을 이용하여 주사선을 구동하여도 된다.
데이터선 구동 회로(101)는, 컨트롤러(400)로부터, 데이터 전송 클럭 CLX 및 화상 데이터 신호 Ds를 취득하고, 화상 표시 영역(10a)의 데이터선(6a)에 대해 데이터 신호 d1, d2, d3, …, dm을 출력한다. 구체적으로는, 데이터선 구동 회로(101)는, 어떤 수평 주사 기간에서 화상 데이터 신호 Ds를 데이터선(6a)의 개수에 상당하는 m개 순차적으로 래치한 후, 래치한 m개의 화상 데이터 신호 Ds를, 다음의 수평 주사 기간에서, 각각 대응하는 데이터선(6a)에 데이터 신호 d1, d2, d3, …, dm으로서 일제히 공급하는 것이다.
<편광축 절환 패널의 구성>
다음으로, 도 7을 참조하여, 본 실시 형태에서의 편광축 절환 패널(1114b)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7은, 본 실시 형태에서의 편광축 절환 패널(1114b)의 투과 영역(110a)에서의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여기서, 투과 영역(110a)이란, 컬러 셀렉트 패널(1114a)로부터의 출사광이 투과 가능한 영역이다.
편광축 절환 패널(1114b)은, 2매의 기판간에 액정층이 협지된 구성을 갖고 있는 점에서, 액정 패널(1)과 공통된 구조를 갖고 있다. 즉, 편광축 절환 패널(1114b)도, 또한, 액정 패널의 일종이다. 여기서는, 편광 절환 패널(1114b)의 구조에 대해서, 주로 액정 패널(1)과 서로 다른 점에 대해서 주로 설명한다.
편광축 절환 패널(1114b)의 투과 영역(110a)에서, 소자 기판(110) 및 대향 기판(120) 상에는, 각각, 주사 전극(109a) 및 대향 전극(121)이 형성되어 있다. 주사 전극(109a)에는, 주사 전극 구동 드라이버(204)가 전기적으로 접속됨으로써, 그 전위가 제어된다. 도 7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주사 전극(109a)의 상세한 형상에 대해 도시를 생략하고 있지만, 실제로는, 후술하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사 전극(109a)은 X 방향으로 연장된 형상을 갖는 n개의 복수의 전극으로 분할되어 있고, 주사 전극 구동 드라이버(204)는, 분할된 각각의 주사 전극(109a)에 대해서 전압을 인가할 수 있다. 대향 전극(121)은 대향 기판(120) 상에 베타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대향 전극(121)에는 접지선(170)이 전기적으로 접속됨으로써, 그 전위가 0V로 유지되어 있다. 또한, 주사 전극(109a) 및 대향 전극(121)은, 예를 들면 ITO 등의 투명 재료로 이루어진다.
편광축 절환 패널(1114b)의 투과광의 편광축은, 소자 기판(110) 및 대향 기판(120)간에 협지하여 봉입된 액정층(150)의 배향 상태에 의존한다. 액정층(150)의 배향 상태는, 소자 기판(110) 상에 형성된 주사 전극(109a) 및 대향 기판(120) 상에 형성된 대향 전극(121)간의 전위차에 의하여 생기는 전계에 의해 제어된다.
액정층(150)은, TN 액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 때문에, 주사 전극(109a) 및 대향 전극(121)간의 전계가 오프 상태인 경우는, TN 액정 분자의 배향 방향이, 소자 기판(110) 측과 대향 기판(120) 측에서 90도 뒤틀려 있기 때문에, 편향축 절환 패널(1114b)을 투과하는 표시광의 편향축은, 90도 변경되게 된다(도 7의 (a)를 참조). 한편, 주사 전극(109a) 및 대향 전극(121)간의 전계가 온 상태에 있는 경우에는, TN 액정 분자의 배향 상태가 기판간에 생기는 전계에 의해 변경되므로, 편향축 절환 패널(1114b)을 투과한 표시광의 편향축은 변경되지 않는다(도 7의 (b)를 참조).
또한, 액정층(150)을 구성하는 TN 액정 분자는 구동 전압에 대한 응답성이 빠른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응답성이 늦으면 투과광의 편향축의 절환 타이밍을 정밀도 좋게 제어하는 것이 곤란하게 되므로, 좌측 눈용의 화상과 우측 눈용의 화상과의 분류 제도가 저하되고, 화질이 저하되게 되기 때문이다.
계속해서, 도 8을 참조하여, 편광축 절환 패널(1114b)의 전기적인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8은, 편광축 절환 패널(1114b)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편광축 절환 패널(1114b)은, 투과 영역(110a) 및 주사 전극 구동 드라이버(204)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편광축 절환 패널(1114b)의 절환 동작은, 컨트롤러(400)에 의해 제어된다. 여기서, 컨트롤러(400)는, 도 6에서 도시한 액정 패널(1)에서의 컨트롤러(400)와 공용하는 것이다.
편광축 절환 패널(1114b)의 투과 영역(110a)에는, n개(n은 2 이상의 자연수)의 주사 전극(13a)이 X(행) 방향으로 연장하여 형성되어 있다. 주사 전극(109a)의 전위는, 전기적으로 접속된 주사 전극 구동 드라이버(204)에 의해 인가 전압값을 제어 가능하다. 이 인가 전압값의 구체적인 제어에 대해서는, 후에 상세하게 설명한다.
컨트롤러(400)는, 클럭 신호 CLK 및 수직 주사 신호 VSYNC를 취득하고, 주사측 스타트 펄스 DY 및 주사측 전송 클럭 CLY를 생성한다. 주사 전극 구동 드라이버(204)는, 컨트롤러(400)로부터, 주사측 스타트 펄스 DY 및 주사측 전송 클럭 CLY를 취득함으로써, n개의 주사 전극(109a)에 대응하는 구동 전압 L1, L2, L3, …, Ln을 순차적으로 출력한다. 주사 전극 구동 드라이버(204)는, 예를 들면 시프트 레지스터로 구성되어 있고, 컨트롤러(400)로부터 공급되는 주사측 스타트 펄스 DY를 주사측 전송 클럭 CLY에 따라서, 구동 전압을 순차적으로 출력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선 순차 방식에 의해 구동 전압 Ln을 출력하는 예를 편의상 나타내고 있지만, 다른 구동 방식을 이용하여도 된다.
<액정 패널 및 편광축 절환 패널의 제어>
계속해서 도 9를 참조하여,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액정 프로젝터(1100)의 동작에 관하여, 액정 패널(1) 및 편광축 절환 패널(1114b)에 입출력되는 각 제어 신호의 관점에서 설명한다. 도 9는,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액정 프로젝터(1100)의 동작에 관하여, 액정 패널(1) 및 편광축 절환 패널(1114b)에 입출력되는 각 제어 신호의 타이밍차트이다.
도 9의 (1)은, 액정 패널(1)의 주사선 구동 회로(104) 및 편광축 절환 패널(1114b)의 주사 전극 구동 드라이버(204)에 대해 공급되는 주사측 스타트 펄스 DY의 공급 타이밍을 나타내고 있다. 주사측 스타트 펄스 DY가 주사선 구동 회로(104)에 공급되면, 액정 패널(1)에서는, 주사선 구동 회로(104)가 n개의 주사선(3a)에 대해 주사 신호 Gn의 공급을 개시한다(도 9의 (3) 참조). 한편, 편광축 절환 패널(1114b)에서는, 주사측 스타트 펄스 DY가 주사 전극 구동 드라이버(204)에 공급되면, 주사 전극 구동 드라이버(204)는, n개의 주사 전극(109a)에 대해 구동 전압 Ln의 공급을 개시한다(도 9의 (4) 참조).
도 9의 (2)는, 액정 패널(1)의 주사선 구동 회로(104) 및 편광축 절환 패널(1114b)의 주사 전극 구동 드라이버(204)에 대해 공급되는 주사측 전송 클럭 CLY의 공급 타이밍을 나타내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의 주사측 전송 클럭 CLY는, 온과 오프의 2치의 전압값을 일정 주기로 교대로 공급된다. 주사측 스타트 펄스 DY가 공급되면, 주사측 전송 클럭 CLY에 동기하여, 주사선 구동 회로(104)는 n개의 주사선(3a)에 대해 주사 신호 Gn을 순차적으로 공급함과 함께, 주사 전극 구동 드라이버(204)는, n개의 주사 전극(209a)에 대해 구동 전압 Ln을 순차적으로 공급한다.
도 9의 (3)은, 액정 패널(1)의 주사선 구동 회로(104)가 주사 신호 Gn을 주사선(3a)에 대해 공급하는 타이밍을 나타내고 있다.
제1 필드 기간(1f) 중 제1 서브 필드 기간(1-1sf)에서는, 컨트롤러(400)로부터 주사측 스타트 펄스 DY가 공급된 후, 주사측 전송 클럭 CLY의 반주기마다, 주사 신호 G1, G2, G3, G4, G5, G6, …, Gn-1, Gn과 같이, 순차적으로 인접하는 2개의 주사선(3a)에 대해 동시에 공급된다. n개의 주사선(3a)의 각각에 대해, 한 가지 주사 신호 Gn이 다 공급되면, 다음의 주사측 스타트 펄스 DY의 공급 타이밍을 대기하여 제2 서브 필드 기간(1-2f)으로 이행하고, 다시 주사선(3a)에 대한 주사 신호 Gn의 공급이 개시된다. 이와 같이 2개의 주사선(3a)에 대해 동시에 주사 신호 Gn을 공급하기 위해, 주사선(3a)에 대해 1개씩 주사 신호 Gn을 순차적으로 공급한 경우에 비해, 모든 주사선(3a)에 주사 신호 Gn을 다 공급할 때까지 요하는 시간이 1/2로 된다. 즉, 제1 필드 기간에서, 제1 서브 필드 기간(1-1sf)에서는 복수개의 주사선(3a)에 대해 주사 신호 Gn을 동시에 공급함과 함께, 제2 서브 필드 기간(1-2sf)에서는 n/2개의 주사선(3a)에 대해서만 주사 신호를 공급함으로써, 시간축 상에서의 제1 필드 기간의 길이를 단축하여, 필드 주파수의 고속화를 도모하고 있다.
이와 같이 제1 필드 기간 중 제1 서브 필드 기간(1-1sf)에서 2개의 주사선(3a)이 동시에 구동되므로, 이 구동된 2개의 주사선(3a) 상에 있는 화소부 중, 동일 데이터선(6a)에 있는 화소부(14)에는, 동일한 화상 데이터 신호 Ds가 공급된다. 즉, 제1 서브 필드 기간(1-1sf)에서 화상 표시 영역(10a)에 표시되는 화상은, 1개씩 주사 신호 Gn이 공급된 경우에 표시되는 화상에 비해, 해상도가 1/2로 저하된다. 바꿔 말하면, 제1 서브 필드 기간(1-1sf)에서는, 필드 주파수를 고속화하는 대가로서, 표시 화상의 해상도를 어느 정도 희생하고 있다.
제2 서브 필드 기간(1-2sf)에서는, 컨트롤러(400)로부터 주사측 스타트 펄스 DY가 공급된 후, 주사측 전송 클럭 CLY의 반주기마다, 짝수번째의 주사선(3a)에 대해서만 주사 신호 Gn이 공급된다. 즉, 제2 서브 필드 기간(1-2sf)에서는, 짝수번째의 n/2개의 주사선(3a)에 대해, 주사 신호 G2, G4, G6, …, Gn이 순차적으로 공급된다. n/2개의 주사선(3a)의 각각에 대해, 한 가지 주사 신호 Gn이 공급되면, 다음의 주사측 스타트 펄스 DY의 공급 타이밍을 대기하여, 제2 필드 기간(2f)으로 이행하여, 다시 주사선(3a)에 대한 주사 신호 Gn의 공급이 개시된다. 이와 같이 제2 서브 필드 기간(1-2sf)에서는, n/2개의 주사선(3a)에 대해서만 주사 신호 Gn이 공급되므로, n개의 주사선(3a)에 주사 신호 Gn을 순차적으로 공급하는 경우에 비해, 시간축 상에서의 서브 필드 기간의 길이가 1/2로 된다. 즉, 제2 서브 필드 기간(1-2sf)에서는 일부의 주사선(3a)에 대해서만 주사 신호 Gn을 공급함으로써, 실질적으로 필드 주파수의 고속화를 도모하고 있다.
여기서, 제2 서브 필드 기간(1-2sf)에서 홀수번째의 n/2개의 주사선(3a) 상의 화소부(14)에는, 주사 신호 Gn이 공급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제2 서브 필드 기간(1-2sf)에서는 새롭게 화상 데이터 신호 Ds는 인가되어 있지 않다. 여기서, 액정 패널(1)의 화소부(14)는, 새롭게 주사 신호 Gn이 공급되지 않는 한, 그 이전에 인가된 화상 데이터 전압 Ds를 유지하는 유지 특성을 갖기 때문에, 제2 서브 필드 기간(1-2sf)에서도, 제1 서브 필드 기간(1-1sf)에서 인가된 화상 데이터 전압 Ds가 유지되어 있다. 그 때문에, 제2 서브 필드 기간(1-2sf)에서 주사 신호 Gn이 공급되지 않는 홀수번째의 n/2개의 주사선(3a) 상의 화소부(14)는, 제1 서브 필드 기간(1-1sf)에서의 표시 화상을 그대로 유지함으로써, 제2 서브 필드 기간(1-2sf)에서도 표시 화상의 일부를 구성한다.
이와 같이, 제2 서브 필드 기간(1-2sf)에서의 표시 화상은, 실제로 제2 서브 필드 기간(1-2sf)에서 새롭게 표시된 화상이, 제1 서브 필드 기간(1-1sf)에서 표시된 화상과 조합됨으로써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양자의 화상에 대응하는 표시광은, 동일 방향의 편광축을 갖는다. 또한, 표시광의 편광축의 선정에 대해서는, 편광축 절환 패널(1114b)에 의해 제어 가능하며, 그 제어 방법에 대해서는 후에 상술한다.
한편, 짝수번째의 n/2개의 주사선(3a) 상의 화소부(14)에는, 제2 서브 필드 기간(1-2sf)에서 새롭게 주사 신호 Gn이 공급되므로, 제1 서브 필드 기간(1-1sf)과는 다른 화상이 표시된다. 즉, 제1 서브 필드 기간(1-1sf)에서는 2개의 서로 인접하는 주사선(3a)에 대해 동시에 주사 신호 Gn이 공급되므로, 해상도가 낮은 화상이 표시되어 있었지만, 제2 서브 필드 기간(1-2sf)에서 짝수번째의 n/2개의 주사선(3a) 상의 화소부(14)에 대응하는 화상을 재기입함으로써, 제2 서브 필드 기간(1-2sf)에서는, 제1 서브 필드 기간(1-1sf)에 비해 해상도가 높은 화상을 표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서브 필드 기간에서, 필드 주파수를 고속화함으로써 희생으로 하고 있었던 해상도를, 제2 서브 필드 기간에서 해상도가 보다 높은 화상을 표시함으로써, 표시 화상의 화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 결과, 제1 필드 기간 전체(즉, 제1 및 제2 서브 필드 기간)를 통합해 보면, 필드 주파수의 고속화와 표시 화상의 해상도의 향상을 양립하는 것이 가능해져, 고품위의 화상 표시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제2 필드 기간(2f) 이후는, 제1 기간과 마찬가지의 패턴으로, 주사 신호 Gn이 주사선(3a)에 대해 공급된다.
도 9의 (4)는, 편광축 절환 패널(1114b)의 주사 전극 구동 드라이버(204)에 대한 구동 전압 Ln의 공급 타이밍을 나타내고 있다.
제1 필드 기간(1f) 중 제1 서브 필드 기간(1-1sf)에서는, 액정 패널(1)에서의 주사 신호 Gn의 공급순에 대응하도록(도 9의 (3) 참조), 컨트롤러(400)로부터 주사측 스타트 펄스 DY가 공급된 후, 주사측 전송 클럭 CLY의 반주기마다, 온 상태(즉 +V)의 구동 전압 L1 및 L2, L3 및 L4, L5 및 L6, …, Ln-1 및 Ln이 순차적으로, 서로 인접하는 2개의 주사 전극(109a)에 대해 동시에 공급된다.
제1 필드 기간(1f)의 제2 서브 필드 기간(1-2sf)에서의 액정 패널(1)의 표시 화상은, 실제로 제2 서브 필드 기간(1-2sf)에서 새롭게 표시된 화상이, 제1 서브 필드 기간(1-1sf)에서 표시된 화상과 조합됨으로써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양자의 화상에 대응하는 표시광은, 동일 방향의 편광축을 갖는다. 그 때문에, 도 9의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편광축 절환 패널(1114b)의 주사 전극(109a)에 공급되는 구동 전압 Ln은, 제2 서브 필드 기간(1-2sf)에서도, 제1 서브 필드 기간(1-1sf)에서 인가된 값인 상태로 유지된다. 이와 같이, 구동 전압 Ln을 제어함으로써, 제1 및 제2 서브 필드 기간에서의 표시광은, 모두 동일 방향의 편광 방향을 갖는 것으로 된다.
제2 필드 기간(2f)에서의 제1 서브 필드 기간(2-1sf) 및 제2 서브 필드 기간(2-2sf)에서는, 표시광의 편광축이, 제1 필드 기간(1f)에서의 표시광의 편광축과 교차하도록, 편광축 절환 패널(1114b)이 제어된다.
제2 필드 기간(2f)의 제1 서브 필드 기간(2-1sf)에서는, 액정 패널(1)에서의 주사 신호 Gn의 공급순에 대응하도록, 컨트롤러(400)로부터 주사측 스타트 펄스 DY가 공급된 후, 주사측 전송 클럭 CLY의 반주기마다, 오프 상태(즉 제로)의 구동 전압 L1 및 L2, L3 및 L4, L5 및 L6, …, Ln-1 및 Ln이 순차적으로, 서로 인접하는 2개의 주사 전극(109a)에 대해 동시에 공급된다.
액정 패널(1)의 제2 서브 필드 기간(2-2sf)에서의 표시 화상은, 제1 서브 필드 기간(2-1sf)에서의 화상과 함께 표시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양자를 투영하기 위한 표시광은 동일 방향의 편광축을 가질 필요가 있다. 따라서, 도 9의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편광축 절환 패널(1114b)의 주사 전극(109a)에 공급하는 구동 전압 Ln은, 제2 서브 필드 기간(2-2sf)에서도, 제1 서브 필드 기간(2-1sf)에서 인가한 값인 상태로 유지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동 전압 Ln을 제어함으로써, 제1 및 제2 서브 필드 기간에서의 표시광은, 모두 동일 방향의 편광 방향을 갖는 것으로 된다.
제3 필드 기간(3f)에서의 제1 및 제2 서브 필드 기간(3-1sf, 3-2sf)은, 기본적으로는 제1 필드 기간(1f)에서의 제1 및 제2 서브 필드 기간(1-1sf, 1-2sf)과 마찬가지의 패턴으로, 구동 전압 Ln이 주사 전극(109a)에 대해 공급된다. 단, 제1 및 제2 서브 필드 기간(3-1sf, 3-2sf)에서는, 주사 전극(109a)에 공급되는 온 상태의 구동 전압 Ln의 값은 「+V」가 아니라, 「-V」로 된다. 이것은, 온 상태의 구동 전압 Ln으로서, 플러스 극성의 전압인 +V를 계속 인가하면, 편광축 절환 패널(1114b)에 봉입된 TN 액정으로 이루어지는 액정층(150)에 소부가 생기기 때문에, 편광축 절환 패널(1114b)의 수명이 단축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이다.
제4 필드 기간(도 9에서 도시 생략)에서는, 기본적으로는 제2 필드 기간(2f)과 마찬가지의 패턴으로, 구동 전압 Ln이 주사 전극(109a)에 대해 공급된다.
제5 필드 기간 이후에서는, 이상 설명한 제1 내지 제4 필드 기간과 마찬가지인 패턴에 따라서, 구동 전압 Ln이 주사 전극(109a)에 대해 공급된다.
또한, 각각의 필드 기간의 홀수번째의 서브 필드 기간에서 구동 전압 L1, L2, L3, …, Ln이 공급되는 타이밍은, 액정 패널(1)에서의 주사 신호 G1, G2, G3, …, Gn의 공급 타이밍에 대해, 주사측 전송 클럭 CLY의 반주기분만큼 지연되어 있다. 이 지연은, 액정 패널(1) 및 편광축 절환 패널(1114b)에 봉입되어 있는 액정의 반응 속도가 다른 것 등의 요인에 의해, 좌측 눈용의 화상과 우측 눈용의 화상이 혼재하게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설치하고 있는 것이다. 그 때문에, 지연 기간의 길이는, 액정 패널(1) 및 편광축 절환 패널(1114b)의 특성을 고려하여, 좌측 눈용의 화상과 우측 눈용의 화상을 투영하기 위한, 서로 90도 다른 편광축을 갖는 표시광이 형성되도록, 실험적 또는 이론적으로 구하거나, 시뮬레이션에 의해 산출함으로써 결정하면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제어를 반복함으로써, 액정 패널(1)과 편광축 절환 패널(1114b)을 구동시킴으로써, 서로 90도 다른 편광축을 갖는, 좌측 눈용의 화상과 우측 눈용의 화상을 바람직하게 가공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원에서는 액정 패널(1)에서의 주사선(3a)과 편광축 절환 패널(1114b)에서의 주사 전극(109a)의 개수가 같은 예에 대해서 설명하고 있지만, 액정 패널(1)에서의 주사선(3a)과 편광축 절환 패널(1114b)에서의 주사 전극(109a)의 개수는 서로 달라도 된다. 단, 이 경우는, 액정 패널(1)과 편광축 절환 패널(1114b)의 필드 주파수가 동기하도록, 주사선 구동 회로(104) 및 주사 전극 구동 드라이버(204)를 제어하면 된다. 예를 들면, 액정 패널(1)과 편광축 절환 패널(1114b)의 프레임 주기가 동일하게 되도록 주사선 구동 회로(104) 및 주사 전극 구동 드라이버(204)를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변형예>
계속해서, 도 10을 참조하면서, 상술한 실시 형태의 변형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0은, 변형예에 따른 액정 프로젝터(1100)의 동작에 관하여, 액정 패널(1) 및 편광축 절환 패널(1114b)에 입출력되는 각 제어 신호의 타이밍차트이다. 특히, 도 10의 (1)은, 액정 패널(1)의 주사선 구동 회로(104) 및 편광축 절환 패널(1114b)의 주사 전극 구동 드라이버(204)에 대해 공급되는 주사측 스타트 펄스 DY의 공급 타이밍을 나타내고 있다. 도 10의 (2)는, 액정 패널(1)의 주사선 구동 회로(104) 및 편광축 절환 패널(1114b)의 주사 전극 구동 드라이버(204)에 대해 공급되는 주사측 전송 클럭 CLY의 공급 타이밍을 나타내고 있다. 도 10의 (3)은, 액정 패널(1)의 데이터선 구동 회로(101)가 화소부(14)에 대해 화상 데이터 신호 Ds를 공급하는 타이밍을 나타내고 있다. 도 10의 (4)는, 액정 패널(1)의 주사선 구동 회로(104)가 주사 신호 Gn을 주사선(3a)에 대해 공급하는 타이밍을 나타내고 있다. 도 10의 (5)는, 편광축 절환 패널(1114b)의 주사 전극 구동 드라이버(204)에 대한 구동 전압 Ln의 공급 타이밍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본 변형예에 따른 액정 프로젝터(1100)는, 편광축 절환 패널(1114b)의 절환 동작이 행해지는 필드 기간에서, 액정 패널(1)의 화상 표시 영역(10a)에 흑 표시가 이루어지는 점에서 상술한 실시 형태와 다르다.
도 10의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편광축 절환 패널(1114b)이 구동 전압 Ln을 변경함으로써, 표시광의 편광축의 절환 동작을 행하는 제1 필드 기간(1f)의 제1 서브 필드 기간(1-1sf) 및 제2 필드 기간(2f)의 제1 필드 기간(2-1sf)에서는, 액정 패널(1)의 데이터선 구동 회로(101)에 각 데이터선(6a)에 공급되는 화상 데이터 전압 Ds를 하이 레벨로 설정함으로써, 액정 패널(1)의 화상 표시 영역(10a)에 흑 표시를 한다. 한편, 표시광의 편광축의 절환 동작이 행해지지 않는 다른 서브 필드 기간(1-2sf, 1-3sf, 2-2sf, 2-3sf)에서는, 투영 화상에 대응하는 화상 데이터 전압 Ds가 액정 패널(1)의 데이터선 구동 회로(101)에 공급된다. 여기서, 흑 표시가 행해지는 제1 필드 기간(1f)의 제1 서브 필드 기간(1-1sf) 및 제2 필드 기간(2f)의 제1 필드 기간(2-1sf)은 「제3 필드 기간」의 일례이다.
이와 같이, 편광축 절환 패널(1114b)에 의해 표시광의 편광축의 절환이 행해지는 서브 필드 기간에서, 액정 패널(1)의 화상 표시 영역(10a)에 흑 표시를 하는 것에 의해, 좌측 눈용의 화상과 우측 눈용의 화상이 섞이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즉, 표시광의 편광축의 절환이 행해질 때에는, 편광축 절환 패널(1114b)의 투과 영역(110a)은, 구동 전압 Ln이 이미 공급된 영역과, 아직 공급되어 있지 않은 영역이 혼재한다. 이들의 영역간에서는, 액정층(150)의 배향 상태가 다르기 때문에, 표시광의 배향축을 하나로 규정할 수 없다. 따라서, 본 변형예에서는, 편광축 절환 패널(1114b)에 의한 표시광의 편광축의 절환 동작이 확실하게 완료된 후에, 표시 화상을 투영함으로써, 좌측 눈용의 화상과 우측 눈용의 화상이 섞이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청구의 범위 및 명세서 전체로부터 이해되는 발명의 요지 혹은 사상에 반하지 않는 범위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하며, 그와 같은 변경을 수반하는 전기 광학 장치의 구동 장치, 그것을 구비한 전기 광학 장치 및 전자 기기도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포함되는 것이다.
1 : 액정 패널
3a : 주사선
6a : 데이터선
10a : 화상 표시 영역
14 : 화소부
100 : 액정 라이트 벌브
101 : 데이터선 구동 회로
104 : 주사선 구동 회로
400 : 컨트롤러
1110 : 액정 프로젝터
1112 : 크로스 프리즘
1114 : 편광축 절환 유닛
1114a : 컬러 셀렉트 패널
1114b : 편광축 절환 패널
1115 : 투영 렌즈
1120 : 스크린
2000 : 편광 안경

Claims (8)

  1. 화상 표시 영역에 서로 교차하여 배선된 복수의 주사선 및 복수의 데이터선 및 그 복수의 주사선 및 복수의 데이터선의 교차에 대응하여 배열된 복수의 화소부를 구비하는 제1 전기 광학 패널과, 그 제1 전기 광학 패널로부터의 출사광의 편광축을 절환함으로써, 서로 교차하는 편광축을 갖는 제1 화상 및 제2 화상에 대응하는 투과광을 사출하는 편광축 절환 수단을 구비하는 전기 광학 장치의 구동 장치로서,
    상기 복수의 주사선을 통하여, 주사 신호를 공급하는 주사 신호 공급 수단과,
    상기 복수의 데이터선을 통하여, 필드 기간마다 제1 화상 및 제2 화상 중 한쪽에 대응하는 화상 신호를 상기 복수의 화소부에 공급하는 화상 신호 공급 수단
    을 구비하고,
    상기 제1 화상에 대응하는 화상 신호가 공급되는 제1 필드 기간 및 상기 제2 화상에 대응하는 화상 신호가 공급되는 제2 필드 기간은, 각각, 시간축 상에서 복수의 서브 필드 기간으로 분할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광학 장치의 구동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서브 필드 기간에서, 상기 주사 신호 공급 수단에 의해 상기 주사 신호가 공급되는 상기 주사선의 개수가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광학 장치의 구동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필드 기간 및 상기 제2 필드 기간 중 한쪽에 대응하는 상기 복수의 서브 필드 기간은, 제1 서브 필드 기간 및 상기 제1 서브 필드 기간보다 시간적으로 지연되어 설정되는 제2 서브 필드 기간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주사 신호 공급 수단은, 상기 제2 서브 필드 기간에서 상기 주사 신호가 공급되는 주사선의 개수가, 상기 제1 서브 필드 기간의 1/2로 되도록, 상기 주사선에 대해 상기 주사 신호를 공급함과 함께, 상기 제1 서브 필드 기간에서 복수개의 상기 주사선에 대해 동시에 주사 신호를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광학 장치의 구동 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속해서 반복되는 제1 필드 기간과, 상기 연속해서 반복되는 제2 필드 기간과의 사이에, 상기 화상 신호 공급 수단이 흑 표시에 대응하는 화상 신호를 공급하는 제3 필드 기간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광학 장치의 구동 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주사 신호 공급 수단은, 상기 제1 전기 광학 패널에서의 표시 화상의 갱신 타이밍과, 상기 편광축 절환 수단이 표시광의 편광축을 절환하는 타이밍이 동기하도록, 상기 주사 신호를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광학 장치의 구동 장치.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구동 장치를 구비하는 전기 광학 장치.
  7. 제6항에 기재된 전기 광학 장치를 구비하는 전자 기기.
  8. 화상 표시 영역에 서로 교차하여 배선된 복수의 주사선 및 복수의 데이터선 및 그 복수의 주사선 및 복수의 데이터선의 교차에 대응하여 배열된 복수의 화소부를 구비하는 제1 전기 광학 패널과, 그 제1 전기 광학 패널로부터의 출사광의 편광축을 절환함으로써, 서로 교차하는 편광축을 갖는 제1 화상 및 제2 화상에 대응하는 투과광을 사출하는 편광축 절환 수단을 구비하는 전기 광학 장치의 구동 방법으로서,
    상기 복수의 주사선을 통하여, 주사 신호를 공급하는 주사 신호 공급 공정과,
    상기 복수의 데이터선을 통하여, 필드 기간마다 제1 화상 및 제2 화상 중 한쪽에 대응하는 화상 신호를 상기 복수의 화소부에 공급하는 화상 신호 공급 공정
    을 구비하고,
    상기 제1 화상에 대응하는 화상 신호가 공급되는 제1 필드 기간 및 상기 제2 화상에 대응하는 화상 신호가 공급되는 제2 필드 기간은, 각각, 시간축 상에서 복수의 서브 필드 기간으로 분할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광학 장치의 구동 방법.
KR1020100070439A 2009-07-22 2010-07-21 전기 광학 장치의 구동 장치, 전기 광학 장치 및 전자 기기 KR2011000963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9-170880 2009-07-22
JP2009170880A JP5876635B2 (ja) 2009-07-22 2009-07-22 電気光学装置の駆動装置、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9631A true KR20110009631A (ko) 2011-01-28

Family

ID=434968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70439A KR20110009631A (ko) 2009-07-22 2010-07-21 전기 광학 장치의 구동 장치, 전기 광학 장치 및 전자 기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3) US20110018859A1 (ko)
JP (1) JP5876635B2 (ko)
KR (1) KR20110009631A (ko)
CN (1) CN10196417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771994B2 (ja) 2011-01-11 2015-09-02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電気光学装置および電子機器
JP5891621B2 (ja) * 2011-07-04 2016-03-23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電気光学装置および電子機器
JP5782874B2 (ja) 2011-07-08 2015-09-24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電気光学装置および電子機器
JP5780054B2 (ja) * 2011-08-24 2015-09-16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電気光学装置および電子機器
JP5821415B2 (ja) * 2011-08-29 2015-11-24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電気光学装置および電子機器
JP2013064824A (ja) * 2011-09-16 2013-04-11 Seiko Epson Corp 電気光学装置および電子機器
JP5799709B2 (ja) * 2011-09-27 2015-10-28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電気光学装置および電子機器
JP2013073036A (ja) * 2011-09-28 2013-04-22 Seiko Epson Corp 電気光学装置および電子機器
JP2013114143A (ja) * 2011-11-30 2013-06-10 Seiko Epson Corp 電気光学装置および電子機器
TWI490840B (zh) * 2012-07-27 2015-07-01 群康科技(深圳)有限公司 液晶螢幕與立體影像成像裝置以及其操作方法
JP2014063013A (ja) * 2012-09-21 2014-04-10 Seiko Epson Corp 電気光学装置、その駆動方法及び電子機器
JP6115069B2 (ja) * 2012-10-17 2017-04-19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電子機器、電子機器の制御装置、電子機器の駆動方法、電気光学装置の駆動方法
JP2014130224A (ja) * 2012-12-28 2014-07-10 Seiko Epson Corp 表示装置および電子機器
KR20160017279A (ko) 2014-08-01 2016-02-1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US10396952B2 (en) * 2014-12-03 2019-08-27 Intel IP Corporation Wireless device, method, and computer readable media for multiply-user request-to-send and clear-to-send and uplink ACK protection in a high efficiency wireless local-area network
WO2017059537A1 (en) 2015-10-06 2017-04-13 Mtt Innovation Incorporated Projection systems and methods
CN107315291B (zh) * 2017-07-19 2020-06-16 深圳市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一种goa显示面板及goa显示装置
CN113395500B (zh) * 2021-06-11 2022-09-23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投影光机及其驱动方法和投影设备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95718A (en) * 1989-11-15 1991-02-26 Honeywell Inc. Full color three-dimensional projection display
US5982538A (en) * 1994-01-28 1999-11-09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Stereoscopic image projection apparatus and telecentric zoom lens
JPH0829727A (ja) * 1994-07-12 1996-02-02 Canon Inc 表示装置
JP3509398B2 (ja) * 1996-06-28 2004-03-22 富士通株式会社 画像表示方法及び装置
TW548470B (en) * 1998-08-03 2003-08-21 Seiko Epson Corp Substrate for electro-optical device, electro-optical device, electronic machine, and projection type display device
US6873319B2 (en) * 2000-02-02 2005-03-29 Seiko Epson Corporation Method for driving electrooptical device, driving circuit, and electrooptical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US6661475B1 (en) * 2000-03-23 2003-12-09 Infocus Corporation Color video projection system employing reflectiv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JP2002101427A (ja) * 2000-09-22 2002-04-05 Denso Corp 立体画像表示装置及び立体画像表示装置の制御方法
US7030848B2 (en) * 2001-03-30 2006-04-18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Liquid crystal display
US6961045B2 (en) * 2001-06-16 2005-11-01 Che-Chih Tsao Pattern projection techniques for volumetric 3D displays and 2D displays
JP2003259395A (ja) * 2002-03-06 2003-09-1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立体表示方法及び立体表示装置
JP4232520B2 (ja) * 2002-06-28 2009-03-04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電気光学装置の駆動方法
JP2004093717A (ja) * 2002-08-30 2004-03-25 Hitachi Ltd 液晶表示装置
JP3953434B2 (ja) * 2003-03-20 2007-08-08 株式会社ソフィア 画像表示装置
JP2005065055A (ja) * 2003-08-18 2005-03-10 Seiko Epson Corp 投射型表示装置及び投射型表示方法
JP4297100B2 (ja) * 2004-11-10 2009-07-15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電気光学装置、その駆動方法および電子機器
JP3927590B1 (ja) * 2006-01-23 2007-06-13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移動通信端末
JP2007256496A (ja) * 2006-03-22 2007-10-04 Fujifilm Corp 液晶表示装置
JP2009103885A (ja) * 2007-10-23 2009-05-14 Seiko Epson Corp 表示装置の駆動方法及び回路、並びに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10018859A1 (en) 2011-01-27
US20140333607A1 (en) 2014-11-13
CN101964179A (zh) 2011-02-02
CN101964179B (zh) 2017-03-01
JP2011027810A (ja) 2011-02-10
US20120287098A1 (en) 2012-11-15
JP5876635B2 (ja) 2016-03-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876635B2 (ja) 電気光学装置の駆動装置、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KR101502364B1 (ko) 표시 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
RU2487379C1 (ru) Устройство стереоскопического отображения
JP5266573B2 (ja) 液晶表示装置
US20080231773A1 (en) Surface light source which selectively irradiates two linearly polarized light beams in polarized states different from each other and liquid crystal display apparatus using the same
CN112946964B (zh) 显示装置
JP5522336B2 (ja) 液晶表示装置
US9607563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method for driving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JP2012234176A (ja) 立体映像表示装置とその駆動方法
KR100362957B1 (ko) 디스플레이장치및디스플레이시스템
US8325120B2 (en) Electrooptical apparatus and electronic device
CN102707450A (zh) 显示装置及其控制方法
US9564095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driving 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whereby shadowing can be prevented
JP4122911B2 (ja) 液晶表示装置及び液晶パネル
KR101246717B1 (ko) 액정표시장치 및 구동방법
JP2011128265A (ja) 表示装置
WO2012141078A1 (ja) 立体表示装置
JP4082198B2 (ja) 液晶表示装置
JP2004021025A (ja) 画像表示装置および画像表示装置の駆動方法
JP2015084526A (ja) 電気光学装置の駆動装置、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CN114170983B (zh) 显示装置、显示驱动方法及电子设备
JP2004198693A (ja) 光学シフト素子および当該光学シフト素子を備えた表示装置
JP2021140056A (ja) 電気光学装置、および電子機器
JP2001159743A (ja) 立体表示用液晶表示パネル及び立体表示用液晶表示装置
JP2014137581A (ja) 光変調パネル、表示装置および電子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