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09257A - 피스톤 작동을 구비하는 출력 조절 조립체를 가진 압축기 - Google Patents

피스톤 작동을 구비하는 출력 조절 조립체를 가진 압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9257A
KR20110009257A KR1020107028609A KR20107028609A KR20110009257A KR 20110009257 A KR20110009257 A KR 20110009257A KR 1020107028609 A KR1020107028609 A KR 1020107028609A KR 20107028609 A KR20107028609 A KR 20107028609A KR 20110009257 A KR20110009257 A KR 201100092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ressor
communication
piston
passage
cha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286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92649B1 (ko
Inventor
로버트 씨 스토버
마사오 아케이
미쉘 엠 페레보즈키코프
Original Assignee
에머슨 클리메이트 테크놀로지즈 인코퍼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머슨 클리메이트 테크놀로지즈 인코퍼레이티드 filed Critical 에머슨 클리메이트 테크놀로지즈 인코퍼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100092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92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26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26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18/00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04C18/02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of arcuate-engagement type, i.e. with circular translatory movement of co-operating members, each member having the same number of teeth or tooth-equivalents
    • F04C18/0207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of arcuate-engagement type, i.e. with circular translatory movement of co-operating members, each member having the same number of teeth or tooth-equivalents both members having co-operating elements in spiral form
    • F04C18/0215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of arcuate-engagement type, i.e. with circular translatory movement of co-operating members, each member having the same number of teeth or tooth-equivalents both members having co-operating elements in spiral form where only one member is mov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3/00Combinations of two or more pumps, each being of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type,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Pumping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Multi-stage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04C23/008Hermetic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8/00Control of, monitoring of,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04C28/10Control of, monitoring of,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characterised by changing the positions of the inlet or outlet openings with respect to the working chamber
    • F04C28/16Control of, monitoring of,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characterised by changing the positions of the inlet or outlet openings with respect to the working chamber using lift val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otary Pumps (AREA)
  • Applications Or Details Of Rotary Compressors (AREA)

Abstract

압축기는 하우징, 제1 및 제2 스크롤 부재들 및, 압축기 출력 조절 조립체를 구비할 수 있다. 제1 스크롤 부재는, 제1 챔버와 연통되는 제1 및 제2 통로들을 가진 제1 챔버, 제2 챔버와 연통되는 제3 및 제4 통로들을 가지는 제2 챔버 및, 제1 및 제2 통공들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및 제3 통로들은 제1 압력원과 연통될 수 있고, 제2 및 제4 통로들은 제2 압력원과 선택적으로 연통될 수 있다. 압축기 출력 조절 조립체는 제1 챔버에 위치되고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변위될 수 있는 제1 피스톤 및, 제2 챔버에 위치되고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변위될 수 있는 제2 피스톤을 구비할 수 있다. 개별의 제2 위치에 있을 때, 제1 피스톤은 제1 통공을 제1 통로로부터 격리시킬 수 있고, 제1 피스톤은 제2 통공을 제3 통로로부터 격리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피스톤 작동을 구비하는 출력 조절 조립체를 가진 압축기{Compressor having output adjustment assembly including piston actuation}
본 출원은 2008.5.30. 자에 출원된 미국 가출원 61/057,372 의 우선권을 주장한다. 상기 출원의 개시된 내용은 본원에 참고로서 포함된다.
본 발명은 압축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출력 조절 조립체를 가진 압축기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sectioin)은 반드시 종래 기술일 필요가 없는 본 발명에 관한 배경 정보에 관한 것이다.
스크롤 압축기들은 압축기의 작동 용량을 변화시키도록 다양한 출력 조절 조립체를 구비한다. 출력 조절 조립체는 압축기의 다른 압력 영역과 압축 포켓들 사이의 유체 연통(fluid communication)을 선택적으로 제공하도록 스크롤 부재를 통해 연장되는 유체 통로들을 구비할 수 있다.
이 부분은 본 발명의 전체적인 요약을 제공하는 것이며, 모든 특징들 또는 전체 범위에 대한 개시로서 이해되어서는 아니된다.
압축기는 하우징, 제1 스크롤 부재, 제2 스크롤 부재 및, 압축기 출력 조절 조립체를 구비할 수 있다. 제1 스크롤 부재는 하우징 안에 지지될 수 있고 제1 단부 플레이트, 제1 단부 플레이트의 제1 측으로부터 연장된 제1 나선형 랩(spiral wrap), 제1 챔버와 연통(communication)되는 제1 및 제2 통로들을 가지는 제1 단부 플레이트의 제2 측에 위치된 제1 챔버, 제2 챔버와 연통되는 제3 통로 및 제4 통로를 가진 제1 단부 플레이트의 제2 측에 위치된 제2 챔버, 제1 챔버와 연통되고 제1 단부 플레이트를 통해 연장되는 제1 통공 및, 제2 챔버와 연통되고 제1 단부 플레이트를 통해 연장되는 제2 통공을 구비할 수 있다. 제1 및 제3 통로들은 제1 압력원과 연통될 수 있고, 제2 및 제4 통로들은 제2 압력원과 선택적으로 연통될 수 있다.
제2 스크롤 부재는 하우징 안에 지지될 수 있고 제2 단부 플레이트를 구비할 수 있으며, 제2 단부 플레이트는 그로부터 연장되고 제1 나선형 랩과 맞물려서 일련의 포켓들을 형성하는 제2 나선형 랩을 가진다. 제1 통공은 제1 압력에서 작동하는 포켓들중 제1 포켓과 연통되어 제1 포켓과 제1 챔버 사이의 연통을 제공하고, 제2 통공은, 제2 압력에서 작동하고 제1 포켓과 상이한 포켓들중 제2 포켓과 연통될 수 있어서 제2 포켓과 제2 챔버 사이의 연통을 제공한다.
압축기 출력 조절 조립체는 제1 및 제2 피스톤을 구비할 수 있다. 제1 피스톤은 제1 챔버에 위치될 수 있고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변위될 수 있고, 제2 피스톤은 제2 챔버에 위치될 수 있고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변위될 수 있다. 제1 피스톤은 그것의 제2 위치에 있을 때 제1 통로와의 연통으로부터 제1 통공을 격리시킬 수 있고, 제2 피스톤은 그것의 제2 위치에 있을 때 제3 통공과의 연통으로부터 제2 통공을 격리시킬 수 있다.
제1 피스톤은 제2 피스톤이 제2 위치에 있을 때 제2 위치에 있을 수 있다.
압축기는 제1 모드 및 제2 모드에서 작동될 수 있는 밸브 조립체를 추가적으로 구비할 수 있고, 밸브 조립체는 제1 모드 및 제2 모드에서 작동될 수 있고 제2 압력원과 제2 통로 및 제4 통로와 연통된다. 밸브 조립체는 제1 작동 모드 동안에 제2 통로와 제4 통로와 제2 압력원 사이의 연통을 제공할 수 있다. 밸브 조립체는 압축기의 흡입 압력 영역과 연통될 수 있고 제2 통로와 제4 통로와 흡입 압력 영역 사이의 연통을 제공하고 제2 작동 모드 동안에 제2 압력원과의 연통으로부터 제2 및 제4 통로들을 격리시킨다. 제2 압력원은 압축기의 배출 압력 영역을 구비할 수 있다. 제1 스크롤 부재는 배출 압력 영역과 연통되는 배출 통로 및, 배출 통로와 밸브 조립체와 연통되는 제5 통로를 구비할 수 있다. 제2 통로가 제2 압력원과 연통되었을 때 제1 피스톤은 제2 위치에 있을 수 있다. 제4 통로가 제2 압력원과 연통되었을 때 제2 피스톤은 제2 위치에 있을 수 있다. 제2 통로가 제2 압력원으로부터 격리되었을 때 제1 피스톤은 제1 위치에 있을 수 있다. 제2 통로가 압축기의 흡입 압력 영역과 연통되었을 때 제2 피스톤은 제1 위치에 있을 수 있다.
압축기는 제1 스크롤 부재와 맞물려서 제3 챔버를 형성하는 부유 시일(floating seal)을 추가적으로 구비할 수 있다. 제1 및 제2 챔버들은 제3 챔버와 포켓들 사이에서 축방향으로 위치될 수 있다. 제3 챔버는 제1 챔버 및 제2 챔버와의 연통으로부터 격리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압력들 각각은 압축기의 흡입 압력 영역의 작동 압력과 제2 압력원의 작동 압력 사이의 중간 압력에 있을 수 있다. 제1 및 제2 챔버들은 서로로부터 회전되게 이격될 수 있다. 압축기 출력 조절 조립체는 제1 피스톤을 제1 위치로 편향시키도록 제1 피스톤과 맞물린 제1 편향 부재 및, 제2 피스톤을 제1 위치로 편향시키도록 제2 피스톤과 맞물린 제2 편향 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제1 피스톤이 제1 위치에 있고 제2 피스톤이 제1 위치에 있을 때 제1 통공 및 제2 통공은 압축기의 흡입 압력 영역과 연통될 수 있다.
압축기 출력 조절 조립체는 제1 및 제3 통로들과 연통되는 증기 분사 시스템을 구비할 수 있다. 증기 분사 시스템은, 제1 피스톤이 제1 위치에 있고 제2 피스톤이 제1 위치에 있을 때, 제1 통공 및 제2 통공과 연통될 수 있다. 제1 피스톤은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축방향으로 변위될 수 있고, 제2 피스톤은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축방향으로 변위될 수 있다.
적용 가능한 추가의 영역들은 본원에 제공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요약된 설명 및 특정의 예들은 예시의 목적을 위해서만 의도된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도록 의도된 것은 아니다.
여기에 설명된 도면들은 오직 예시의 목적을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개시된 범위를 제한하도록 의도된 것은 아니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압축기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2 는 도 1 의 압축기의 비궤도 스크롤(non-oribiting scroll)의 평면도이다.
도 3 은 도 1 의 압축기의 비궤도 스크롤 및 압축기 출력 조절 조립체에 대한 제1 단면도이다.
도 4 는 도 3 의 비궤도 스크롤 및 압축기 출력 조절 조립체의 제2 단면도이다.
도 5 는 도 3 의 비궤도 스크롤 및 압축기 출력 조절 조립체의 사시도이다.
도 6 은 도 3 의 비궤도 스크롤 및 압축기 출력 조립체의 제3 단면도이다.
도 7 은 도 3 의 비궤도 스크롤 및 압축기 출력 조립체의 제4 단면도이다.
도 8 은 본 발명에 따른 대안의 비궤도 스크롤 및 압축기 출력 조절 조립체의 사시도이다.
도 9 는 도 8 의 비궤도 스크롤 및 압축기 출력 조절 조립체의 제1 단면도이다.
도 10 은 도 8 의 비궤도 스크롤 및 압축기 출력 조절 조립체의 제2 단면도이다.
도 11 은 도 8 의 비궤도 스크롤 및 압축기 출력 조절 조립체의 제3 단면도이다.
도 12 는 도 8 의 비궤도 스크롤 및 압축기 출력 조절 조립체의 제4 단면도이다.
도 13 은 도 8 의 비궤도 스크롤 및 압축기 출력 조절 조립체의 제5 단면도이다.
도 14 는 도 8 의 비궤도 스크롤 및 압축기 출력 조절 조립체의 제6 단면도이다.
도 15 는 도 8 의 비궤도 스크롤의 평면도이다.
도 16 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스크롤 배향의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17 은 본 발명에 따른 제2 스크롤 배향의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18 은 본 발명에 따른 제3 스크롤 배향의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19 는 본 발명에 따른 제4 스크롤 배향의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20 은 본 발명에 따른 대안의 비궤도 스크롤 및 압축기 출력 조절 조립체의 제1 단면도이다.
도 21 은 도 20 의 비궤도 스크롤 및 압축기 출력 조절 조립체의 제2 단면도이다.
다음의 설명은 단지 예시적인 것이며, 본 발명의 개시, 적용 또는 용도를 제한하도록 의도된 것은 아니다. 도면을 통하여, 대응하는 참조 번호들은 동일하거나 또는 대응하는 부분들 및 특징들을 나타낸다는 점이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개시된 내용은, 밀폐형 기계, 개방형 구동 기계 및 비 밀폐형 기계를 포함하는, 많은 상이한 유형의 스크롤 압축기 및 로터리 압축기에 포함되기에 적절하다. 예시적인 목적을 위해서, 압축기(10)는 로우-사이드 유형(low-side type)의 밀폐 스크롤 냉매 압축기로서 도시되어 있으며, 즉, 도 1 에 도시된 수직 단면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모터 및 압축기는 밀폐 외피내의 흡입 개스에 의해 냉각된다.
도 1 을 참조하면, 압축기(10)는 밀폐 외피 조립체(12), 메인 베어링 하우징 조립체(14), 모터 조립체(16), 압축 메카니즘(18), 밀봉 조립체(20), 냉매 배출 피팅(fitting)(22), 배출 밸브 조립체(24), 흡입 개스 유입 피팅(26) 및 조절 조립체(modulation assembly, 27)를 구비할 수 있다. 외피 조립체(12)는 메인 베어링 하우징 조립체(14), 모터 조립체(16) 및 압축 메카니즘(18)을 하우징할 수 있다.
외피 조립체(12)는 전체적으로 압축기 하우징을 형성할 수 있으며, 실린더형 외피(28), 상단부에 있는 단부 캡(30), 횡방향 연장 격벽(32) 및 하단부에 있는 베이스(34)를 구비할 수 있다. 단부 캡(30) 및 격벽(32)은 전체적으로 배출 챔버(36)를 형성할 수 있다. 배출 챔버(36)는 전체적으로 압축기(10)를 위한 배출 머플러(discharge muffler)를 형성할 수 있다. 냉매 배출 피팅(22)은 단부 캡(30) 에 있는 개구(38)에서 외피 조립체(12)에 부착될 수 있다. 배출 밸브 조립체(24)는 배출 피팅(22) 안에 위치될 수 있고, 전체적으로 역류 유동의 상태를 방지할 수 있다. 흡입 개스 유입 피팅(26)은 개구(40)에서 외피 조립체(12)에 부착될 수 있다. 격벽(32)은 배출 통로(46)를 구비할 수 있고, 배출 통로를 통하여 압축 메카니즘(18)과 배출 챔버(36) 사이의 연통을 제공한다.
메인 베어링 하우징 조립체(14)는 임의의 소망되는 방식으로, 예를 들면 스테이킹(staking)과 같은 방식으로 복수개의 지점들에서 외피(28)에 고정될 수 있다. 메인 베어링 하우징 조립체(14)는 메인 베어링 하우징(52), 그 내부에 배치된 제1 베어링(54), 부싱(55) 및 고정구(57)를 구비할 수 있다. 메인 베어링 하우징(52)은 그로부터 반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된 일련의 아암(58)들을 가지는 중앙의 동체 부분(56)을 구비할 수 있다. 중앙 동체 부분(56)은 그것을 통해 연장되는 개구(64)를 가진 제1 및 제2 부분(60,62)들을 구비할 수 있다. 제2 부분(62)은 그 안에 제1 베어링(54)을 하우징할 수 있다. 제1 부분(60)은 축방향 단부 표면상에 고리형의 평탄한 쓰러스트 베어링 표면(66)을 형성할 수 있다. 아암(58)은 그것을 통해서 연장되고 고정구(57)들을 수용하는 통공(70)을 구비할 수 있다.
모터 조립체(16)는 전체적으로 모터 고정자(76), 회전자(78) 및 구동 샤프트(80)를 구비할 수 있다. 권선(82)들은 고정자(76)를 통과할 수 있다. 모터 고정자(76)는 외피(28) 안으로 가압 끼움(press fit) 될 수 있다. 구동 샤프트(80)는 회전자(78)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구동될 수 있다. 회전자(78)는 구동 샤프트(80)상에 가압 끼움될 수 있다. 구동 샤프트(80)는 그 위에 평탄부(86)를 가지는 편심 크랭크 핀(84)을 구비할 수 있다.
압축 메카니즘(18)은 전체적으로 궤도 스크롤(orbiting scroll, 104) 및 비궤도(non-orbiting) 스크롤(106)을 구비할 수 있다. 궤도 스크롤(104)은, 그 상부 표면상의 나선형 베인(spiral vane) 또는 랩(wrap, 110) 및, 하부 표면상의 고리형 평탄 쓰러스트 표면(112)을 가진 단부 플레이트(108)를 구비할 수 있다. 쓰러스트 표면(112)은 메인 베어링 하우징(52)상의 고리형 평탄 쓰러스트 베어링 표면(66)과 계면(interface)을 이룰 수 있다. 실린더형 허브(114)는 쓰러스트 표면(112)으로부터 아래로 돌출할 수 있고,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 구동 부싱(116)을 가질 수 있다. 구동 부싱(116)은 내부 구멍을 구비할 수 있으며, 내부 구멍 안에 크랭크 핀(84)이 구동 가능하게 배치된다. 크랭크 핀 평탄부(86)는 구동 부싱(116)의 내부 구멍의 일부에서 평탄 표면과 구동 가능하게 맞물려서 반경 방향 순응의(radially compliant) 구동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올드햄 결합(Oldham coupling, 117)이 궤도 스크롤 및 비궤도 스크롤(104,106)과 맞물려서 그 사이에 상대적인 회전을 제공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5 를 참조하면, 비궤도 스크롤(106)은, 단부 플레이트의 하부 표면상의 나선 랩(120), 단부 플레이트(1118)를 통해 연장되는 배출 통로(119) 및 일련의 반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플랜지 부분(121)들을 가진 단부 플레이트(119)를 구비할 수 있다. 나선 랩(120)은 궤도 스크롤(104)의 랩(wrap, 110)과 맞물림을 형성할 수 있고, 그에 의해서 일련의 포켓(pocket)을 만든다. 나선 랩(110,120)들에 의해 만들어지는 포켓들은 이후에 설명되는 바와 같이 압축 메카니즘(18)의 압축 사이클을 통해 변화될 수 있다.
단부 플레이트(118)는 평행한 동일 축의 내측 및 외측 벽(136,138)들에 의해서 형성된 상부 표면에 고리형 요부(134)를 구비할 수 있다. 단부 플레이트(118)는 제1 및 제2 의 개별 요부(140,142)들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제1 및 제2 요부(140,142)들은 고리형 요부(134) 안에 위치될 수 있다. 플러그(144,146)들은 제1 및 제2 요부(140,142)들의 상부에서 단부 플레이트(118)에 고정되어 고리형 요부(134)로부터 격리된 제1 및 제2 챔버(145,147)들을 형성할 수 있다. 통공(148)(도 2)은 단부 플레이트(118)를 통해 연장되어 포켓들중 하나와 고리형 요부(134) 사이의 연통을 제공할 수 있다.
제1 통로(150)는 반경 방향으로 단부 플레이트(118)를 통하여 제1 챔버(145)의 제1 부분(152)(도 4 참조)으로부터 비궤도 스크롤(106)의 외측 표면으로 연장될 수 있고, 제2 통로(154)(도 6 참조)는 반경 방향으로 단부 플레이트(118)를 통하여 제1 챔버(145)의 제2 부분(156)으로부터 비궤도 스크롤(106)의 외측 표면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3 통로(158)는 반경 방향으로 단부 플레이트(118)를 통하여 제2 챔버(147)의 제1 부분(160)으로부터 비궤도 스크롤(106)의 외측 표면으로 연장될 수 있고, 제4 통로(162)는 반경 방향으로 단부 플레이트(118)를 통해 제2 챔버(147)의 제2 부분(164)으로부터 비궤도 스크롤(106)의 외측 표면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1 및 제3 통로(150,158)는 압축기(10)의 흡입 압력 영역과 연통될 수 있다. 제5 통로(166)(도 7)는 반경 방향으로 단부 플레이트(118)를 통하여 압축기(10)의 배출 압력 영역으로부터 비궤도 스크롤(106)의 외측 표면으로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5 통로(166)는 배출 통로(139)로부터 비궤도 스크롤(106)의 외측 표면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2, 제4 및 제5 통로(154,162,166)들은 이후에 설명되는 바와 같이 조절 조립체(27)와 연통될 수 있다.
제1 세트의 포트(port, 168,170)들은 단부 플레이트(118)를 통해 연장될 수 있고 포켓과 연통될 수 있어서 중간 압력에서 작동한다. 포트(168)는 제1 챔버(145)의 제1 부분(152) 안으로 연장될 수 있고, 포트(170)는 제2 챔버(147)의 제1 부분(160) 안으로 연장될 수 있다. 추가적인 세트의 포트(172,174)들이 단부 플레이트(118)를 통해 연장될 수 있고, 추가적인 포켓들과 연통될 수 있어서 중간 압력에서 작동한다. 포트(172)는 제1 챔버(145) 안으로 연장될 수 있고, 포트(174)는 제2 챔버(147) 안으로 연장될 수 있다. 압축기의 작동중에 포트(168)는 랩(120)의 시작 지점(A)으로부터 반경 방향 내측으로 적어도 180 도로 위치된 포켓들중 하나에 위치될 수 있고, 포트(170)는 랩(120)의 시작 지점(A)으로부터 반경 방향 내측으로 적어도 360 도로 위치된 포켓들중 하나에 위치될 수 있다. 포트(168)는 포트(172)에 대하여 반경 방향 내측으로 위치될 수 있고, 포트(170)는 포트(174)에 대하여 반경 방향 내측으로 위치될 수 있다. 포트(168,170)들은 전체적으로 압축 메카니즘(18)에 대하여 조절된 용량을 형성할 수 있다. 포트(168,170,172,174)들이 압축기(10)의 흡입 압력 영역에 노출되었을 때, 포트(172,174)들은 포트(168,170)들로부터 반경 방향 외측의 포켓들에서의 압축을 억제하도록 보조 포트들을 형성할 수 있다.
밀봉 조립체(20)는 고리형 요부(134) 안에 위치된 부유 시일(floating seal)을 구비할 수 있다. 밀봉 조립체(20)는, 압축기(10)의 배출 및 흡입 압력 영역들을 서로로부터 격리시키도록 격벽(32)과의 밀봉 맞물림을 유지하면서, 비궤도 스크롤(106)의 축방향 변위를 제공하도록 비궤도 스크롤(106) 및 외피 조립체(12)에 대하여 축방향으로 변위 가능할 수 있다. 통공(148)에 의해 제공된 고리형 요부(134) 안의 압력은 정상적인 압축기 작동중에 시일 조립체(20)를 격벽(32)과 맞물리게 강제할 수 있다.
조절 조립체(27)는 밸브 조립체(176)와 제1 및 제2 피스톤 조립체(178,180)들을 구비할 수 있다. 밸브 조립체(176)는 솔레노이드 밸브를 구비할 수 있으며, 이것은 내부에 배치된 밸브 부재(184)를 가진 하우징(182)을 구비한다. 하우징(182)은 제1, 제2 및 제3 통로(186,188,190)들을 구비할 수 있다. 제1 통로(186)는 압축기(10)의 흡입 압력 영역과 연통될 수 있고, 제2 통로(188)는 단부 플레이트(118)에 있는 제2 및 제4 통로(154,162)와 연통될 수 있고, 제3 통로(190)는 단부 플레이트(118)에 있는 제5 통로(166)와 연통될 수 있다.
밸브 부재(184)는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변위될 수 있다. 제1 위치(도 6)에서, 제1 및 제2 통로(186,188)들은 서로 연통될 수 있고 제3 통로(190)로부터 격리될 수 있어서, 단부 플레이트(118)에 있는 제2 및 제4 통로(154,162)들을 압축기(10)의 흡입 압력 영역과 연통되게 한다. 제2 위치(도 7)에서, 제2 및 제3 통로(188,190)들은 서로 연통될 수 있고 제1 통로(186)로부터 격리되어서, 단부 플레이트(118)에 있는 제2 및 제4 통로(154,162)들을 압축기(10)의 배출 압력 영역과 연통되게 한다.
제1 피스톤 조립체(178)는 제1 챔버(145) 안에 위치될 수 있고 피스톤(192), 시일(194) 및 편향 부재(196)를 구비할 수 있다. 제2 피스톤 조립체(180)는 제2 챔버(147) 안에 위치될 수 있고, 피스톤(198), 시일(200) 및 편향 부재(202)를 구비할 수 있다. 제1 및 제2 피스톤(192, 198)들은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변위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밸브 부재(184)가 제1 위치에 있을 때(도 6) 편향 부재(196,202)들이 제1 및 제2 피스톤(192,198)들을 제1 위치(도 4)로 강제할 수 있다. 밸브 부재(184)가 제2 위치(도 7)에 있을 때, 피스톤(192,198)들은 제2 및 제4 통로(154,162)에 의해 제공되는 배출 압력에 의해 제2 위치(도 3)로 변위될 수 있다. 피스톤(192)이 제1 위치 및 제2 위치 양쪽에 있을 때 시일(194)은 제1 통로와 제2 통로(150,154) 사이의 연통을 방지할 수 있다. 피스톤(198)이 제1 위치와 제2 위치 양쪽에 있을 때 시일(200)은 제3 통로와 제4 통로(158,162) 사이의 연통을 방지할 수 있다.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스톤(192,198)들이 제2 위치에 있을 때, 피스톤(192)은 제1 통로(150)와의 연통으로부터 포트(168,172)들을 밀봉할 수 있고, 피스톤(198)은 제3 통로(158)와의 연통으로부터 포트(170,174)들을 밀봉할 수 있다. 피스톤(192,198)들이 도 4 에서 보아서 제1 위치에 있을 때, 피스톤(192)은 포트(168,172)들로부터 이탈되게 변위될 수 있어서 포트(168,172)들과 제1 통로(150) 사이의 연통을 제공하고, 피스톤(198)은 포트(170,174)들로부터 이탈되게 변위될 수 있어서 포트(170,174)들과 제3 통로(158) 사이의 연통을 제공한다. 따라서, 피스톤(192,198)들이 제1 위치에 있을 때, 포트(168,170,172,174)들은 각각 압축기(10)의 흡입 압력 영역과 연통될 수 있어서, 압축기(10)의 작동 용량을 감소시킨다. 피스톤(192,198)들이 제1 위치에 있을 때 개스는 포트(168,170,172,174)들로부터 압축기(10)의 흡입 압력 영역으로 유동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피스톤(192)이 제1 위치에 있을 때 개스는 포트(168)로부터 포트(172)로 유동할 수 있고, 피스톤(198)이 제1 위치에 있을 때 개스는 포트(170)로부터 포트(174)로 유동할 수 있다.
대안의 배치에서, 도 20 및 도 2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증기 분사 시스템(700)이 압축기 출력 조절 조립체에 포함된다. 비궤도 스크롤 부재(806)는 전체적으로 비궤도 스크롤(106)과 유사할 수 있다. 따라서, 비궤도 스크롤(806) 및 압축기 조절 조립체는 상기의 설명이 동등하게 적용된다는 점을 이해함으로써 상세하게 설명되지 아니하고 차이점만 아래에 설명된다.
증기 분사 시스템(700)은 제1 및 제3 통로(850,858)와 연통될 수 있고, 예를 들어 압축기와 연통되는 플래쉬 탱크(flash tank) 또는 열 교환기로부터의 증기 소스(source)와 연통될 수 있다. 피스톤(892,898)들이 제1 위치에 있을 때, 도 2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스톤(892)은 포트(868,872)들로부터 이탈되게 변위될 수 있어서 포트(868,872)들과 제1 통로(850) 사이의 연통을 제공하고, 피스톤(898)은 포트(870,874)들로부터 변위될 수 있어서 포트(870,874)들과 제3 통로(858) 사이의 연통을 제공한다. 따라서, 피스톤(892,898)이 제1 위치에 있을 때, 포트(868,870,872,874)들은 각각 증기 분사 시스템(700)으로부터의 증기 소스와 연통될 수 있어서, 압축기의 작동 용량을 증가시킨다.
도 8 내지 도 15 를 참조하면, 대안의 비궤도 스크롤(306)이 압축기(10) 안으로 포함될 수 있다. 비궤도 스크롤(306)은 제1 및 제2 부재(307,309)들을 구비할 수 있다. 제1 부재(307)는 제2 부재(309)에 고정구(311)를 이용하여 고정될 수 있다. 제1 부재(307)는 제1 단부 플레이트 부분(317)을 구비할 수 있고, 평행하고 동일 축의 측부 벽(336,338)들에 의해 정해진 상부 표면에 고리형 요부(334)를 구비할 수 있다. 측부 벽(336)은 배출 통로(339)를 위한 것일 수 있다. 제1 단부 플레이트 부분(317)은 제1 및 제2 개별 요부(340,342)를 구비할 수 있고 (도 9 및 도 10), 제3 및 제4 개별 요부(344,346)을 구비할 수 있다 (도 11 및 도 12). 통공(348)(도 11 및 도 12 참조)은 제1 단부 플레이트 부분(317)을 통하여 고리형 요부(334) 안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2 부재(309)는 제2 단부 플레이트 부분(318)를 구비할 수 있으며, 제 2 단부 플레이트는 그것의 하부 표면상의 나선형 랩(320), 제2 단부 플레이트 부분(318)을 통해 연장되는 배출 통로(319) 및, 반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된 일련의 플랜지 부분(321)들을 가진다. 나선형 랩(320)은 궤도 스크롤(104)에 유사한 궤도 스크롤의 랩(wrap)과 맞물림을 형성하여 일련의 포켓들을 만들 수 있다.
제2 단부 플레이트 부분(318)은 제1 및 제2 분리 요부(341,343)(도 9 및 도 10)와 중앙 요부(349)(도 11 및 도 12)를 더 구비할 수 있으며 중앙 요부는 그것을 통과하는 배출 통로(319)를 가진다. 제1 및 제2 부재(307,309)들이 조립되어 비궤도 스크롤(306)을 형성할 때, 제1 부재(307)에 있는 제1 및 제2 요부(340,342)들은 제2 부재(309)에 있는 제1 및 제2 요부(341,343)들과 정렬되어 제1 및 제2 챔버(345,347)들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및 제2 챔버(345,347)들은 고리형 요부(334)로부터 격리될 수 있다. 통공(351)(도 11 및 도 12 참조)들은 제2 단부 플레이트 부분(318)을 통해 연장될 수 있고, 제1 부재(307)에서 통공(348)과 연통되어 부유(floating) 시일 조립체에 대하여 압력 편향을 제공할 수 있으며, 상기 부유 시일 조립체는 시일 조립체(20)에 대하여 위에서 설명된 것과 전체적으로 유사하다.
제1 통로(350)(도 13 참조)는 반경 방향으로 제1 단부 플레이트 부분(317)을 통하여 비궤도 스크롤(306)의 외측 표면으로부터 제1 및 제2 요부(340,342)들로 연장될 수 있다. 한쌍의 제2 통로(358)들은 반경 방향으로 제2 단부 플레이트 부분(318)을 통하여 제1 요부(341)로부터 비궤도 스크롤(306)의 외측 표면으로 연장될 수 있고, 한쌍의 제3 통로(362)들은 반경 방향으로 제2 단부 플레이트 부분(318)을 통하여 제2 요부(343)로부터 비궤도 스크롤(306)의 외측 표면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2 및 제3 통로(358,362)들은 흡입 압력 영역과 연통될 수 있다. 제4 통로(366)(도 11 및 도 12)는 반경 방향으로 제1 단부 플레이트 부분(317)을 통하여 배출 압력 영역으로부터 비궤도 스크롤(306)의 외측 표면으로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4 통로(366)는 배출 통로(339)로부터 비궤도 스크롤(306)의 외측 표면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1 및 제4 통로(350,366)들은 아래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조절 조립체(modulation assmbly, 227)와 연통될 수 있다.
제2 단부 플레이트 부분(318)은 제1 및 제2 가변 체적 비율(variable volume ratio;VVR) 부분(406,408) 뿐만 아니라, 제1, 제2, 제3, 제4, 제5 및 제6 조절 포트(368,371,372,373,374)들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제1, 제3, 제5 조절 포트(368,371,373)들은 제1 챔버(341)와 연통될 수 있고, 제2, 제4, 제6 조절 포트(370,372,374)들은 제2 챔버(343)와 연통될 수 있다. 제1 및 제2 포트(368,370)들은 전체적으로 조절된 압축기 용량을 정할 수 있다.
포트(368,370)들은 랩(320)의 시작 지점(A')으로부터 반경 방향 내측으로 적어도 720 도에 위치하는 포켓들중 하나에 각각 위치될 수 있다. 포트(368)는 포트(371,373)들에 대하여 반경 방향 내측으로 위치될 수 있고, 포트(370)는 포트(372,374)들에 대하여 반경 방향 내측으로 위치될 수 있다. 랩(320)을 따라서 포트(368,370)들이 내측으로 더 위치되기 때문에, 포트(368,370,371,372,373,374)들이 흡입 압력 영역에 노출되었을 때 포트(368,370)들로부터 반경 방향 외측의 포켓들에서의 압축을 방지하기 위하여 포트(371,372,373,374)들은 각각 보조 포트를 형성할 수 있다.
제1 및 제2 의 VVR 포트 구멍(porting)들은 통공(351)에 대하여 그리고 포트(368,370,371,373,374)들에 대하여 반경 방향 내측에 위치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의 VVR 포트 구멍(406,408)들은 랩(310,320)(도 16 내지 도 19)들에 의해 형성된 포켓들중 하나와 연통될 수 있고 중앙 요부(349)와 연통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및 제2 VVR 포트 구멍(406,408)들은 배출 통로(339)와 연통될 수 있다.
조절 조립체(227)는 밸브 조립체(376)와 제1 및 제2 피스톤 조립체(378,380)를 구비할 수 있다. 밸브 조립체(376)는 솔레노이드 밸브를 구비할 수 있고, 솔레노이드 밸브는 밸브 부재(미도시)가 내부에 배치된 하우징(382)을 가진다.
제1 피스톤 조립체(378)는 제1 챔버(345) 안에 위치될 수 있고, 피스톤(392), 시일(394) 및 편향 부재(396)를 구비할 수 있다. 제2 피스톤 조립체(380)는 제2 챔버(347) 안에 위치될 수 있고, 피스톤(398), 시일(400) 및 편향 부재(402)를 구비할 수 있다. 제1 및 제2 피스톤(392,398)들은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변위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밸브 조립체(376)가 요부(340,342)로 배기될 때, 편향 부재(396,402)들은 제1 및 제2 피스톤(392,398)들을 제1 위치(도 10)로 강제할 수 있다. 밸브 조립체(376)는 선택적으로 배기 요부(340,342)들을 통해 흡입 압력 영역으로 배기시킬 수 있다. 밸브 조립체(376)는 추가적으로 제1 통로(350) 및 제4 통로(366)와 연통될 수 있다. 밸브 조립체(376)는 선택적으로 제1 통로(350)와 배출 압력 영역 사이에서 제4 통로(366)를 통해 연통을 선택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밸브 조립체(376)가 제1 통로(350)와 배출 압력 영역 사이에서 연통을 제공할 때, 피스톤(392,398)들은 제1 통로(350)에 의해 제공되는 배출 압력에 의해 제2 위치로 변위될 수 있다 (도 9). 피스톤(392)이 제1 위치와 제2 위치 양쪽에 있을 때 시일(394)은 제1 통로(350)와 제2 통로(358) 사이의 연통을 방지할 수 있다. 피스톤(398)이 제1 위치 및 제2 위치 양쪽에 있을 때 시일(400)은 제1 통로(350)와 제3 통로(362) 사이의 연통을 방지한다.
도 9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스톤(392,398)들이 제2 위치에 있을 때, 피스톤(392)은 제2 통로(358)와의 연통으로부터 포트(368,371,373)들을 시일할 수 있고, 피스톤(398)은 제3 통로(362)와의 연통으로부터 포트(370,372,374)들을 시일할 수 있다. 피스톤(392,398)들이 도 10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위치에 있을 때, 피스톤(392)은 포트(368,371,373)들로부터 변위될 수 있어서 포트(368,371,373)들과 제2 통로(358) 사이의 연통을 제공하고, 제2 통로(358) 및 피스톤(398)은 포트(370,372,374)들로부터 변위될 수 있어서, 포트(370,372,374)들과 제3 통로(362) 사이의 연통을 제공한다. 따라서, 피스톤(392,398)들이 제1 위치에 있을 때, 포트(368,370,371,372,373,374)들은 흡입 압력 영역과 각각 연통될 수 있어서, 압축기의 작동 용량을 감소시킨다. 추가적으로, 피스톤(392,398)들이 제1 위치에 있을 때, 포트(368,370,371,372,373,374)들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은 낮은 압력에서 작동하는 포트(368,370,371,372,373,374)들중 다른 하나로의 개스 유동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1 및 도 1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VVR 조립체(500)는 VVR 포트 구멍(406,408)과 배출 통로(339) 사이의 연통을 선택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VVR 조립체(500)는 제1 및 제2 피스톤 조립체(502,504)를 구비할 수 있다. 제1 피스톤 조립체(502)는 피스톤(506) 및, 스프링과 같은 편향 부재(512)를 구비할 수 있다. 편향 부재(508,512)들은 피스톤(506,510)들을 제1 위치로 강제할 수 있는데, 피스톤(506,510)들은 제2 단부 플레이트 부분(318)과 맞물려서 VVR 포트 구멍(406,408)들을 시일한다. VVR 포트 구멍(406,408)으로부터의 압력이 미리 결정된 레벨을 초과할 때, VVR 포트 구멍(406,408)에서 개스에 의해 피스톤(506,510)들에 가해지는 힘은 편향 부재(508,512)들에 의해 가해지는 힘을 초과할 수 있으며, 피스톤(506,510)들은 제2 위치로 변위될 수 있는데, 제2 위치에서 VVR 포트 구멍(406,408)은 배출 통로(339)와 연통된다.
도 16 내지 도 19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 사이클의 일부가 포트(368,370,371,372,373,374)들 및 VVR 포트 구멍(406,408)의 작동을 나타내도록 도시되어 있다. 도 16 에 있어서, 궤도 스크롤(304)은 제1 위치에서 도시되어 있으며, 제1 위치에서 제1 조절 용량 포켓(600,602)들이 형성된다. 제1 조절 용량 포켓(600,602)들은 전체적으로 반경 방향 최외측 압축 포켓들로서 형성될 수 있으며, 그러한 압축 포켓들은 포트(368)에 대하여 반경 방향 내측으로 배치되며, 제1 조절 용량 포켓(600,602)들이 형성되는 시간으로부터 제1 조절 용량 포켓(600,602)들 안의 체적이 배출 통로(319)를 통해 배출될 때까지 포트(368)로부터 격리된다. 따라서, 제1 조절 용량 포켓(600,602)들 안의 체적은 그와 관련된 압축 사이클의 나머지 동안 포트(368)로부터 격리될 수 있다. 제1 조절 용량 포켓(600,602)들의 체적은 궤도 스크롤(304)이 제1 위치에 있을 때 최대 체적일 수 있고, 배출 통로(319)를 통해 배출될 때까지 연속적으로 압축될 수 있다.
궤도 스크롤(304)의 나선형 랩(310)은 제1 지점에서 나선형 랩(spiral wrap, 320)의 외측 반경 방향 표면과 맞닿을 수 있고, 궤도 스크롤(304)이 제1 위치에 있을 때 제1 지점에 전체적으로 반대편에 있는 제2 지점에서 나선형 랩(304)의 내측 반경 방향 표면과 맞닿을 수 있다. 궤도 스크롤(304)이 제1 위치에 있을 때 제1 지점에 대응하는 제1 각도 위치에서 시작하는 구동 샤프트의 회전 방향(R)에서 포트(368)는 나선형 랩(310)을 따라서 적어도 20 도 연장될 수 있다. 궤도 스크롤(304)이 제1 위치에 있을 때 포트(368)는 나선형 랩(310)에 의해서 시일될 수 있다. 포트(370)의 일부는 궤도 스크롤(304)이 제1 위치에 있을 때 제1 조절 용량 포켓(602)과 연통될 수 있다.
도 17 에서, 궤도 스크롤(304)은 제2 위치에서 도시되어 있는데, 여기에서 제2 조절 용량 포켓(604,606)들이 형성되어 있다. 제2 위치에서, 제2 조절 용량 포켓(604,606)들은 전체적으로 반경 방향 최외측 압축 포켓들로서 형성될 수 있으며, 압축 포켓들은 포트(368,370)들에 대하여 반경 방향 내측으로 배치되고, 궤도 스크롤(304)이 제2 위치에 있는 시간으로부터 제2 조절 용량 포켓들 안의 체적이 배출 통로(319)를 통해 배출될 때까지 포트(368,370)들로부터 격리된다.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이동하는 궤도 스크롤(304)로부터 초래된 압축 이후에, 제2 조절 용량 포켓(604,606)들은 제1 조절 용량 포켓(600,602)들에 대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의 압축은 구동 샤프트 회전의 대략 20 도에 대응할 수 있다.
궤도 스크롤(304)의 나선형 랩(310)은 제3 지점에서 나선형 랩(320)의 외측 반경 방향 표면과 맞닿을 수 있고, 궤도 스크롤(304)이 제2 위치에 있을 때 제3 지점에 대략 반대편에 있는 제4 지점에서 나선형 랩(320)의 내측 반경 방향 표면에 맞닿을 수 있다. 궤도 스크롤(304)이 제2 위치에 있을 때 제4 지점에 대응하는 제2 각도 위치에서 시작되는 구동 샤프트의 회전 방향(R)에 전체적으로 반대편으로 포트(370)는 나선형 랩(310)을 따라서 적어도 20 도로 연장될 수 있다. 포트(370)는 궤도 스크롤(304)이 제2 위치에 있을 때 나선형 랩(310)에 의해 시일될 수 있다.
도 16 및 도 1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조절 용량 포켓(600,602,604,606)들로부터 반경 방향 외측으로 위치된 각각의 포켓들은 포트(368,370,371,372,373,374)들중 적어도 하나와 항상 연통될 수 있다.
도 18 및 도 19 를 참조하면, VVR 포트 구멍(406,408)에 대한 VVR 작동이 도시되어 있다. 도 18 에서, 궤도 스크롤(304)은 제1 VVR 포켓(608,610)들이 형성되어 있는 제3 위치에 도시되어 있다. 제1 VVR 포켓(608,610)들은 전체적으로 반경 방향 최내측 압축 포켓들로서 형성될 수 있으며, 그 압축 포켓들은 VVR 포트 구멍(406)에 대하여 반경 방향으로 외측으로 배치되고, 압축 사이클이 시작되는 시간으로부터 제1 VVR 포켓(608,610)들이 형성될 때까지 VVR 포트 구멍(406)으로부터 격리된다. 따라서, 제1 VVR 포켓(608,610)들은 압축 사이클의 나머지 동안 VVR 포트 구멍(406)과 연통될 수 있다. 제1 VVR 포켓(608,610)들의 체적은 궤도 스크롤(304)이 제3 위치에 있을 때 최대 체적에 있을 수 있으며, 배출 통로(319)를 통해 배출될 때까지 연속적으로 압축될 수 있다.
궤도 스크롤(304)의 나선형 랩(310)은 제5 지점에서 나선형 랩(320)의 외측 반경 방향 표면에 맞닿을 수 있고, 궤도 스크롤(304)이 제3 위치에 있을 때 제5 지점에 전체적으로 반대편인 제6 지점에서 나선형 랩(304)의 내측 반경 방향 표면에 맞닿을 수 있다. VVR 포트 구멍(406)은, 궤도 스크롤(304)이 제3 위치에 있을 때 제5 지점에 대응하는 각도 위치에서 시작되는 구동 샤프트의 회전 방향(R)으로 나선형 랩(310)을 따라서 적어도 20 도로 연장될 수 있다.
도 19 에서, 궤도 스크롤(304)은 제2 VVR 포켓(612,614)들이 형성되는 제4 위치에 도시되어 있다. 제4 위치에서, 제2 VVR 포켓(612,614)들은 전체적으로 반경 방향 최내측 압축 포켓들로서 형성될 수 있으며, 그 압축 포켓들은 압축 사이클이 시작되는 시간으로부터 제2 VVR 포켓(612,614)들이 형성되는 때까지 VVR 포트 구멍(408)로부터 격리된다. 제3 위치로부터 제4 위치로 이동하는 궤도 스크롤(304)로부터 초래되는 압축 이후에 제2 VVR 포켓(612,614)들은 제1 VVR 포켓(608,610)들에 대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위치로부터 제4 위치로의 압축은 구동 샤프트 회전의 대략 40 도에 대응될 수 있다. VVR 포트 구멍(406)의 일부는 궤도 스크롤(304)이 제4 위치에 있을 때 제2 VVR 포켓(612,614)들과 연통될 수 있다.
궤도 스크롤(304)의 나선형 랩(310)은 제7 지점에서 나선형 랩(320)의 외측 반경 방향 표면과 맞닿을 수 있고, 궤도 스크롤(304)이 제4 위치에 있을 때 제7 지점에 전체적으로 반대편인 제8 지점에서 나선형 랩(320)의 내측 반경 방향 표면과 맞닿을 수 있다. VVR 포트 구멍(408)은, 궤도 스크롤(304)이 제4 위치에 있을 때 제8 지점에 대응하는 제4 각도 위치에서 시작되는 구동 샤프트의 회전 방향(R)에 전체적으로 반대편인 나선형 랩(310)을 따라서 적어도 20 도로 연장될 수 있다.
"제1" "제2" 등과 같은 용어는 상세한 설명을 통해서 명확성을 위해서만 이용된 것으로서, 청구항에 있는 유사한 용어를 한정하기 위해 의도된 것이 아니다.
10. 압축기 12. 밀폐 외피 조립체
16. 모터 조립체 18. 압축 메카니즘
20. 시일 조립체 24. 배출 밸브 조립체
26. 흡입 가스 유입 피팅 28. 실린더형 외피

Claims (20)

  1. 하우징;
    상기 하우징 안에 지지되는 제1 스크롤 부재로서, 제1 단부 플레이트, 상기 제1 단부 플레이트의 제1 측으로부터 연장된 제1 나선형 랩, 제1 챔버와 연통되는 제1 통로 및 제2 통로를 가지는 상기 제1 단부 플레이트의 제2 측상에 위치된 제1 챔버, 제2 챔버와 연통되는 제3 통로 및 제4 통로를 가지는 상기 제1 단부 플레이트의 상기 제2 측상에 위치된 제2 챔버, 상기 제1 단부 플레이트를 통해 연장되고 상기 제1 챔버와 연통되는 제1 통공 및, 상기 제1 단부 플레이틀 통해 연장되고 상기 제2 챔버와 연통되는 제2 통공을 구비하고, 상기 제1 통로 및 제3 통로는 제1 압력원과 연통되고, 상기 제2 통로 및 제4 통로는 제2 압력원과 선택적으로 연통되는, 제1 스크롤 부재;
    상기 하우징 안에 지지되고 제2 단부 플레이트를 구비하는 제2 스크롤 부재로서, 제2 단부 플레이트는 제2 단부 플레이트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1 나선형 랩과 맞물려서 일련의 포켓들을 형성하는 제2 나선형 랩을 가지고, 상기 제1 통공은 제1 압력에서 작동하는 상기 포켓들중 제1 포켓과 연통되어 상기 제1 포켓과 상기 제1 챔버 사이의 연통을 제공하고, 상기 제2 통공은 상기 제1 포켓과는 상이한 상기 포켓들중 제2 포켓과 연통되고 제2 압력으로 작동되어 상기 제2 포켓과 상기 제2 챔버 사이의 연통을 제공하는, 제2 스크롤 부재; 및,
    제1 피스톤 및 제2 피스톤을 구비하는 압축기 출력 조절 조립체로서, 상기 제1 피스톤은 상기 제1 챔버에 위치되고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변위될 수 있고, 상기 제2 피스톤은 상기 제2 챔버에 위치되어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변위될 수 있고, 상기 제1 피스톤은 그것이 제2 위치 있을 때 상기 제1 통로와의 연통으로부터 상기 제1 통공을 격리시키고, 상기 제2 피스톤은 그것이 제2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제3 통로와의 연통으로부터 상기 제2 통공을 격리시키는, 압축기 출력 조절 조립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피스톤이 그것의 제2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제1 피스톤은 제2 위치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
  3. 제1항에 있어서, 제1 모드 및 제2 모드에서 작동될 수 있고, 상기 제2 압력원과 상기 제2 통로 및 제4 통로들과 연통되는 밸브 조립체를 더 구비하고, 상기 밸브 조립체는 제1 작동 모드 동안에 상기 제2 통로와 제4 통로와 상기 제2 압력원 사이에서 연통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조립체는, 압축기의 흡입 압력 영역과 연통되고, 상기 제2 통로와 제4 통로와 상기 흡입 압력 영역 사이에 연통을 제공하고, 제2 작동 모드 동안에 상기 제2 통로 및 제4 통로를 상기 제2 압력원과의 연통으로부터 격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압력원은 압축기의 배출 압력 영역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크롤 부재는, 상기 배출 압력 영역과 연통되는 배출 통로와, 상기 배출 통로 및 상기 밸브 조립체와 연통되는 제5 통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통로가 상기 제2 압력원과 연통될 때 상기 제1 피스톤은 그것의 제2 위치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4 통로가 상기 제2 압력원과 연통될 때 상기 제2 피스톤은 그것의 제2 위치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통로가 상기 제2 압력원으로부터 격리될 때, 상기 제1 피스톤은 그것의 제1 위치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통로가 압축기의 흡입 압력 영역과 연통될 때, 상기 제1 피스톤은 그것의 제1 위치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
  11. 제1항에 있어서, 부유 시일(floating seal)을 더 구비하고, 상기 부유 시일은 상기 제1 스크롤 부재와 맞물려서 제3 챔버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챔버 및 제2 챔버는 상기 제3 챔버와 상기 포켓들 사이에서 축방향으로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챔버는 상기 제1 챔버 및 제2 챔버와의 연통으로부터 격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압력 및 제2 압력 각각은, 압축기의 흡입 압력 영역의 작동 압력과 상기 제2 압력원의 작동 압력 사이의 중간 압력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챔버 및 제2 챔버는 서로로부터 회전 가능하게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기 출력 조절 조립체는, 상기 제1 피스톤을 그것의 제1 위치로 편향시키도록 상기 제1 피스톤과 맞물린 제1 편향 부재 및, 상기 제2 피스톤을 그것의 제1 위치로 편향시키도록 상기 제2 피스톤과 맞물린 제2 편향 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피스톤이 그것의 제1 위치에 있고 상기 제2 피스톤이 그것의 제1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제1 통공 및 제2 통공은 압축기의 흡입 압력 영역과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기 출력 조절 조립체는 상기 제1 통로 및 제3 통로와 연통되는 증기 분사 시스템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피스톤이 그것의 제1 위치에 있고 상기 제2 피스톤이 그것의 제1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증기 분사 시스템은 상기 제1 통공 및 제2 통공과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
  2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피스톤은 그것의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축방향으로 변위될 수 있고, 상기 제2 피스톤은 그것의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축방향으로 변위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
KR1020107028609A 2008-05-30 2009-05-29 피스톤 작동을 구비하는 출력 조절 조립체를 가진 압축기 KR10119264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5737208P 2008-05-30 2008-05-30
US61/057,372 2008-05-30
PCT/US2009/045647 WO2009155099A2 (en) 2008-05-30 2009-05-29 Compressor having output adjustment assembly including piston actua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9257A true KR20110009257A (ko) 2011-01-27
KR101192649B1 KR101192649B1 (ko) 2012-10-19

Family

ID=413800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28609A KR101192649B1 (ko) 2008-05-30 2009-05-29 피스톤 작동을 구비하는 출력 조절 조립체를 가진 압축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3) US7972125B2 (ko)
EP (1) EP2307728B1 (ko)
KR (1) KR101192649B1 (ko)
CN (2) CN102418698B (ko)
WO (1) WO2009155099A2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578106B2 (en) 2014-12-12 2020-03-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Compressor
KR20230149904A (ko) 2022-04-20 2023-10-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크롤 압축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8394B1 (ko) * 2007-10-30 2014-03-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크롤 압축기
WO2009091996A2 (en) 2008-01-16 2009-07-23 Emerson Climate Technologies, Inc. Scroll machine
KR101280915B1 (ko) * 2008-05-30 2013-07-02 에머슨 클리메이트 테크놀로지즈 인코퍼레이티드 용량조절 시스템을 가진 압축기
US7967582B2 (en) * 2008-05-30 2011-06-28 Emerson Climate Technologies, Inc. Compressor having capacity modulation system
CN102149921B (zh) * 2008-05-30 2014-05-14 艾默生环境优化技术有限公司 一种具有容量调节系统的压缩机
CN102418698B (zh) 2008-05-30 2014-12-10 艾默生环境优化技术有限公司 具有包括活塞致动的输出调节组件的压缩机
CN102076962B (zh) * 2008-05-30 2013-09-18 艾默生环境优化技术有限公司 一种具有容量调节系统的压缩机
CN102089523B (zh) 2008-05-30 2014-01-08 艾默生环境优化技术有限公司 具有容量调节系统的压缩机
US7976296B2 (en) * 2008-12-03 2011-07-12 Emerson Climate Technologies, Inc. Scroll compressor having capacity modulation system
US7988433B2 (en) 2009-04-07 2011-08-02 Emerson Climate Technologies, Inc. Compressor having capacity modulation assembly
US8616014B2 (en) 2009-05-29 2013-12-31 Emerson Climate Technologies, Inc. Compressor having capacity modulation or fluid injection systems
US8568118B2 (en) * 2009-05-29 2013-10-29 Emerson Climate Technologies, Inc. Compressor having piston assembly
US8517703B2 (en) * 2010-02-23 2013-08-27 Emerson Climate Technologies, Inc. Compressor including valve assembly
JP5832187B2 (ja) * 2011-07-22 2015-12-16 三菱重工業株式会社 スクロール圧縮機
KR101278337B1 (ko) * 2011-10-04 2013-06-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크롤 압축기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 조화기
US9651043B2 (en) 2012-11-15 2017-05-16 Emerson Climate Technologies, Inc. Compressor valve system and assembly
US9249802B2 (en) 2012-11-15 2016-02-02 Emerson Climate Technologies, Inc. Compressor
US9127677B2 (en) * 2012-11-30 2015-09-08 Emerson Climate Technologies, Inc. Compressor with capacity modulation and variable volume ratio
US9435340B2 (en) 2012-11-30 2016-09-06 Emerson Climate Technologies, Inc. Scroll compressor with variable volume ratio port in orbiting scroll
US20140219844A1 (en) * 2013-02-06 2014-08-07 Daimler Ag Expansion device for use in a working medium circuit and method for operating an expansion device
US20150004039A1 (en) * 2013-06-28 2015-01-01 Emerson Climate Technologies, Inc. Capacity-modulated scroll compressor
KR102103362B1 (ko) * 2013-11-11 2020-04-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크롤 압축기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KR102162738B1 (ko) * 2014-01-06 2020-10-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크롤 압축기
KR102166427B1 (ko) * 2014-05-02 2020-10-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크롤 압축기
US9739277B2 (en) 2014-05-15 2017-08-22 Emerson Climate Technologies, Inc. Capacity-modulated scroll compressor
US9989057B2 (en) 2014-06-03 2018-06-05 Emerson Climate Technologies, Inc. Variable volume ratio scroll compressor
US9638191B2 (en) * 2014-08-04 2017-05-02 Emerson Climate Technologies, Inc. Capacity modulated scroll compressor
KR102241201B1 (ko) * 2014-08-13 2021-04-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크롤 압축기
US9790940B2 (en) 2015-03-19 2017-10-17 Emerson Climate Technologies, Inc. Variable volume ratio compressor
US10598180B2 (en) 2015-07-01 2020-03-24 Emerson Climate Technologies, Inc. Compressor with thermally-responsive injector
CN205895597U (zh) * 2015-07-01 2017-01-18 艾默生环境优化技术有限公司 具有热响应式调节系统的压缩机
US10378540B2 (en) 2015-07-01 2019-08-13 Emerson Climate Technologies, Inc. Compressor with thermally-responsive modulation system
US10378542B2 (en) 2015-07-01 2019-08-13 Emerson Climate Technologies, Inc. Compressor with thermal protection system
WO2017048830A1 (en) 2015-09-14 2017-03-23 Trane International Inc. Intermediate discharge port for a compressor
CN207377799U (zh) 2015-10-29 2018-05-18 艾默生环境优化技术有限公司 压缩机
EP3430311A1 (en) * 2016-03-18 2019-01-23 Philips Lighting Holding B.V. Cooling arrangement for cooling an apparatus
KR101800261B1 (ko) * 2016-05-25 2017-11-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크롤 압축기
US10890186B2 (en) 2016-09-08 2021-01-12 Emerson Climate Technologies, Inc. Compressor
US10801495B2 (en) 2016-09-08 2020-10-13 Emerson Climate Technologies, Inc. Oil flow through the bearings of a scroll compressor
CN108240337B (zh) * 2016-12-23 2020-10-09 艾默生环境优化技术(苏州)有限公司 阀组件和涡旋压缩机
KR102403948B1 (ko) 2017-01-03 2022-05-31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크롤 압축기
US10563891B2 (en) 2017-01-26 2020-02-18 Trane International Inc. Variable displacement scroll compressor
KR102469601B1 (ko) * 2017-01-26 2022-11-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크롤 압축기
US10753352B2 (en) 2017-02-07 2020-08-25 Emerson Climate Technologies, Inc. Compressor discharge valve assembly
KR102379671B1 (ko) * 2017-06-14 2022-03-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크롤 압축기
US11022119B2 (en) 2017-10-03 2021-06-01 Emerson Climate Technologies, Inc. Variable volume ratio compressor
US10962008B2 (en) 2017-12-15 2021-03-30 Emerson Climate Technologies, Inc. Variable volume ratio compressor
US10995753B2 (en) 2018-05-17 2021-05-04 Emerson Climate Technologies, Inc. Compressor having capacity modulation assembly
US11656003B2 (en) 2019-03-11 2023-05-23 Emerson Climate Technologies, Inc. Climate-control system having valve assembly
US11655813B2 (en) 2021-07-29 2023-05-23 Emerson Climate Technologies, Inc. Compressor modulation system with multi-way valve
WO2024002348A1 (zh) * 2022-06-30 2024-01-04 谷轮环境科技(苏州)有限公司 定涡旋组件和涡旋压缩机
US11846287B1 (en) 2022-08-11 2023-12-19 Copeland Lp Scroll compressor with center hub

Family Cites Families (1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76287A (en) * 1980-10-31 1982-05-13 Hitachi Ltd Scroll compressor
US4383805A (en) * 1980-11-03 1983-05-17 The Trane Company Gas compressor of the scroll type having delayed suction closing capacity modulation
JPS58148290A (ja) 1982-02-26 1983-09-03 Hitachi Ltd スクロ−ル圧縮機を用いた冷凍装置
US4431388A (en) 1982-03-05 1984-02-14 The Trane Company Controlled suction unloading in a scroll compressor
JPS601395A (ja) 1983-06-17 1985-01-07 Hitachi Ltd スクロール圧縮機
US4497615A (en) * 1983-07-25 1985-02-05 Copeland Corporation Scroll-type machine
JPS6153486A (ja) 1984-08-22 1986-03-17 Hitachi Ltd スクロ−ル圧縮機
JPH0617676B2 (ja) 1985-02-15 1994-03-09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ヘリウム用スクロ−ル圧縮機
JPH0641756B2 (ja) * 1985-06-18 1994-06-01 サンデン株式会社 容量可変型のスクロール型圧縮機
JPS62197684A (ja) * 1986-02-26 1987-09-01 Hitachi Ltd スクロ−ル圧縮機
US4767293A (en) 1986-08-22 1988-08-30 Copeland Corporation Scroll-type machine with axially compliant mounting
JPH0830471B2 (ja) * 1986-12-04 1996-03-27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インバータ駆動のスクロール圧縮機を備えた空調機
JPH0615872B2 (ja) * 1987-06-30 1994-03-02 サンデン株式会社 可変容量型スクロ−ル圧縮機
JP2550612B2 (ja) * 1987-10-19 1996-11-06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スクロール形圧縮機の容量制御機構
JPH0746787Y2 (ja) * 1987-12-08 1995-10-25 サンデン株式会社 可変容量型スクロール圧縮機
US4904165A (en) 1988-08-02 1990-02-27 Carrier Corporation Muffler/check valve assembly for scroll compressor
JPH0794832B2 (ja) * 1988-08-12 1995-10-11 三菱重工業株式会社 回転式圧縮機
JPH02196188A (ja) 1989-01-23 1990-08-02 Hitachi Ltd ロータリ圧縮機
JPH0381588A (ja) 1989-08-23 1991-04-05 Hitachi Ltd スクロール圧縮機の容量制御装置
CA2046548C (en) 1990-10-01 2002-01-15 Gary J. Anderson Scroll machine with floating seal
US5156539A (en) 1990-10-01 1992-10-20 Copeland Corporation Scroll machine with floating seal
JP2796427B2 (ja) * 1990-11-14 1998-09-10 三菱重工業株式会社 スクロール型圧縮機
US5192195A (en) * 1990-11-14 1993-03-09 Mitsubishi Jukogyo Kabushiki Kaisha Scroll type compressor with separate control block
JP2846106B2 (ja) * 1990-11-16 1999-01-13 三菱重工業株式会社 スクロール型圧縮機
US5240389A (en) * 1991-07-26 1993-08-31 Kabushiki Kaisha Toshiba Scroll type compressor
US5169294A (en) * 1991-12-06 1992-12-08 Carrier Corporation Pressure ratio responsive unloader
JP2831193B2 (ja) * 1992-02-06 1998-12-02 三菱重工業株式会社 スクロール型圧縮機の容量制御機構
JP3100452B2 (ja) 1992-02-18 2000-10-16 サンデン株式会社 容量可変型スクロール圧縮機
DE4205140C1 (ko) * 1992-02-20 1993-05-27 Braas Gmbh, 6370 Oberursel, De
US5451146A (en) * 1992-04-01 1995-09-19 Nippondenso Co., Ltd. Scroll-type variable-capacity compressor with bypass valve
US5803716A (en) 1993-11-29 1998-09-08 Copeland Corporation Scroll machine with reverse rotation protection
US5607288A (en) 1993-11-29 1997-03-04 Copeland Corporation Scroll machine with reverse rotation protection
US5469716A (en) 1994-05-03 1995-11-28 Copeland Corporation Scroll compressor with liquid injection
JP3376692B2 (ja) * 1994-05-30 2003-02-10 株式会社日本自動車部品総合研究所 スクロール型圧縮機
JPH07332262A (ja) * 1994-06-03 1995-12-22 Toyota Autom Loom Works Ltd スクロール型圧縮機
JP3376729B2 (ja) * 1994-06-08 2003-02-10 株式会社日本自動車部品総合研究所 スクロール型圧縮機
US5611674A (en) 1995-06-07 1997-03-18 Copeland Corporation Capacity modulated scroll machine
US5741120A (en) 1995-06-07 1998-04-21 Copeland Corporation Capacity modulated scroll machine
US5640854A (en) 1995-06-07 1997-06-24 Copeland Corporation Scroll machine having liquid injection controlled by internal valve
KR0162228B1 (ko) 1995-11-03 1999-01-15 원하열 스크롤 압축기
JPH09151866A (ja) 1995-11-30 1997-06-10 Sanyo Electric Co Ltd スクロール圧縮機
US5551846A (en) * 1995-12-01 1996-09-03 Ford Motor Company Scroll compressor capacity control valve
MY119499A (en) * 1995-12-05 2005-06-3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Scroll compressor having bypass valves
US5678985A (en) * 1995-12-19 1997-10-21 Copeland Corporation Scroll machine with capacity modulation
JP3550872B2 (ja) * 1996-05-07 2004-08-04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容量制御スクロール圧縮機
JPH09310688A (ja) * 1996-05-21 1997-12-02 Sanden Corp 可変容量型スクロール圧縮機
JP3723283B2 (ja) * 1996-06-25 2005-12-07 サンデン株式会社 スクロール型可変容量圧縮機
JP3635794B2 (ja) * 1996-07-22 2005-04-06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スクロール気体圧縮機
JP3874469B2 (ja) * 1996-10-04 2007-01-31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スクロール圧縮機
US6077057A (en) 1997-08-29 2000-06-20 Scroll Technologies Scroll compressor with back pressure seal protection during reverse rotation
JP3399797B2 (ja) * 1997-09-04 2003-04-21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スクロール圧縮機
JPH1182334A (ja) * 1997-09-09 1999-03-26 Sanden Corp スクロール型圧縮機
US6185949B1 (en) 1997-09-15 2001-02-13 Mad Tech, L.L.C. Digital control valve for refrigeration system
US6123517A (en) * 1997-11-24 2000-09-26 Copeland Corporation Scroll machine with capacity modulation
US6095765A (en) * 1998-03-05 2000-08-01 Carrier Corporation Combined pressure ratio and pressure differential relief valve
JPH11264383A (ja) 1998-03-19 1999-09-28 Hitachi Ltd 容積形流体機械
JP3726501B2 (ja) * 1998-07-01 2005-12-14 株式会社デンソー 可変容量式スクロール型圧縮機
US5996364A (en) 1998-07-13 1999-12-07 Carrier Corporation Scroll compressor with unloader valve between economizer and suction
JP2000087882A (ja) * 1998-09-11 2000-03-28 Sanden Corp スクロール型圧縮機
JP2000161263A (ja) 1998-11-27 2000-06-13 Mitsubishi Electric Corp 容量制御スクロール圧縮機
US6176686B1 (en) * 1999-02-19 2001-01-23 Copeland Corporation Scroll machine with capacity modulation
US6210120B1 (en) * 1999-03-19 2001-04-03 Scroll Technologies Low charge protection vent
US6213731B1 (en) * 1999-09-21 2001-04-10 Copeland Corporation Compressor pulse width modulation
JP4639413B2 (ja) 1999-12-06 2011-02-23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スクロール圧縮機および空気調和機
US6293767B1 (en) * 2000-02-28 2001-09-25 Copeland Corporation Scroll machine with asymmetrical bleed hole
JP2001329967A (ja) 2000-05-24 2001-11-30 Toyota Industries Corp スクロール型圧縮機におけるシール構造
US6350111B1 (en) 2000-08-15 2002-02-26 Copeland Corporation Scroll machine with ported orbiting scroll member
JP2002089462A (ja) 2000-09-13 2002-03-27 Toyota Industries Corp スクロール型圧縮機及びスクロール型圧縮機のシール方法
JP2002089468A (ja) 2000-09-14 2002-03-27 Toyota Industries Corp スクロール型圧縮機
JP2002089463A (ja) 2000-09-18 2002-03-27 Toyota Industries Corp スクロール型圧縮機
JP2002106483A (ja) 2000-09-29 2002-04-10 Toyota Industries Corp スクロール型圧縮機及びスクロール型圧縮機のシール方法
JP2002106482A (ja) 2000-09-29 2002-04-10 Toyota Industries Corp スクロール型圧縮機およびガス圧縮方法
US6412293B1 (en) 2000-10-11 2002-07-02 Copeland Corporation Scroll machine with continuous capacity modulation
US6419457B1 (en) * 2000-10-16 2002-07-16 Copeland Corporation Dual volume-ratio scroll machine
US6679683B2 (en) 2000-10-16 2004-01-20 Copeland Corporation Dual volume-ratio scroll machine
US6413058B1 (en) * 2000-11-21 2002-07-02 Scroll Technologies Variable capacity modulation for scroll compressor
US6457948B1 (en) 2001-04-25 2002-10-01 Copeland Corporation Diagnostic system for a compressor
US6695599B2 (en) 2001-06-29 2004-02-24 Nippon Soken, Inc. Scroll compressor
US6655172B2 (en) 2002-01-24 2003-12-02 Copeland Corporation Scroll compressor with vapor injection
US6430959B1 (en) 2002-02-11 2002-08-13 Scroll Technologies Economizer injection ports extending through scroll wrap
JP4310960B2 (ja) 2002-03-13 2009-08-12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スクロール型流体機械
JP2004156532A (ja) * 2002-11-06 2004-06-03 Toyota Industries Corp スクロールコンプレッサにおける容量可変機構
JP2004190559A (ja) 2002-12-11 2004-07-08 Daikin Ind Ltd 容積型膨張機及び流体機械
JP2004211567A (ja) * 2002-12-27 2004-07-29 Toyota Industries Corp スクロールコンプレッサの容量可変機構
US6884042B2 (en) * 2003-06-26 2005-04-26 Scroll Technologies Two-step self-modulating scroll compressor
US6821092B1 (en) 2003-07-15 2004-11-23 Copeland Corporation Capacity modulated scroll compressor
KR100547322B1 (ko) * 2003-07-26 2006-01-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용량 조절식 스크롤 압축기
KR100547321B1 (ko) * 2003-07-26 2006-01-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용량 조절식 스크롤 압축기
CN100371598C (zh) * 2003-08-11 2008-02-27 三菱重工业株式会社 涡旋式压缩机
JP3674625B2 (ja) 2003-09-08 2005-07-20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ロータリ式膨張機及び流体機械
WO2005038254A2 (ja) * 2003-10-17 2005-04-2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スクロール圧縮機
US7278832B2 (en) 2004-01-07 2007-10-09 Carrier Corporation Scroll compressor with enlarged vapor injection port area
US7156056B2 (en) 2004-06-10 2007-01-02 Achates Power, Llc Two-cycle, opposed-piston internal combustion engine
EP1803939A1 (en) 2004-09-28 2007-07-04 Daikin Industries, Ltd. Slide member and fluid machine
KR100575704B1 (ko) 2004-11-11 2006-05-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크롤 압축기의 용량 가변장치
US7228710B2 (en) 2005-05-31 2007-06-12 Scroll Technologies Indentation to optimize vapor injection through ports extending through scroll wrap
CN1896518A (zh) * 2005-07-12 2007-01-17 乐金电子(天津)电器有限公司 涡旋式压缩机及其真空防止装置
US7815423B2 (en) 2005-07-29 2010-10-19 Emerson Climate Technologies, Inc. Compressor with fluid injection system
US20070092390A1 (en) 2005-10-26 2007-04-26 Copeland Corporation Scroll compressor
JP4920244B2 (ja) 2005-11-08 2012-04-18 アネスト岩田株式会社 スクロール流体機械
JP2007154761A (ja) 2005-12-05 2007-06-21 Daikin Ind Ltd スクロール圧縮機
JP2007270697A (ja) 2006-03-31 2007-10-18 Hitachi Ltd スクロール流体機械
WO2007114582A1 (en) 2006-04-06 2007-10-11 Lg Electronics Inc. Backflow preventing apparatus for compressor
US7674098B2 (en) 2006-11-07 2010-03-09 Scroll Technologies Scroll compressor with vapor injection and unloader port
US7547202B2 (en) * 2006-12-08 2009-06-16 Emerson Climate Technologies, Inc. Scroll compressor with capacity modulation
US7771178B2 (en) 2006-12-22 2010-08-10 Emerson Climate Technologies, Inc. Vapor injection system for a scroll compressor
TWI320456B (en) * 2006-12-29 2010-02-11 Ind Tech Res Inst Scroll type compressor
US20090071183A1 (en) * 2007-07-02 2009-03-19 Christopher Stover Capacity modulated compressor
US8043078B2 (en) 2007-09-11 2011-10-25 Emerson Climate Technologies, Inc. Compressor sealing arrangement
KR100916229B1 (ko) 2008-01-31 2009-09-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크롤 압축기의 모드 전환장치
CN102076962B (zh) 2008-05-30 2013-09-18 艾默生环境优化技术有限公司 一种具有容量调节系统的压缩机
CN102149921B (zh) * 2008-05-30 2014-05-14 艾默生环境优化技术有限公司 一种具有容量调节系统的压缩机
US7967582B2 (en) * 2008-05-30 2011-06-28 Emerson Climate Technologies, Inc. Compressor having capacity modulation system
KR101280915B1 (ko) * 2008-05-30 2013-07-02 에머슨 클리메이트 테크놀로지즈 인코퍼레이티드 용량조절 시스템을 가진 압축기
CN102089523B (zh) 2008-05-30 2014-01-08 艾默生环境优化技术有限公司 具有容量调节系统的压缩机
CN102418698B (zh) * 2008-05-30 2014-12-10 艾默生环境优化技术有限公司 具有包括活塞致动的输出调节组件的压缩机
JP2010106780A (ja) 2008-10-31 2010-05-13 Hitachi Appliances Inc スクロール圧縮機
US7976296B2 (en) * 2008-12-03 2011-07-12 Emerson Climate Technologies, Inc. Scroll compressor having capacity modulation system
US7988433B2 (en) * 2009-04-07 2011-08-02 Emerson Climate Technologies, Inc. Compressor having capacity modulation assembly
US8616014B2 (en) * 2009-05-29 2013-12-31 Emerson Climate Technologies, Inc. Compressor having capacity modulation or fluid injection systems
US8568118B2 (en) * 2009-05-29 2013-10-29 Emerson Climate Technologies, Inc. Compressor having piston assembly
US9127677B2 (en) * 2012-11-30 2015-09-08 Emerson Climate Technologies, Inc. Compressor with capacity modulation and variable volume rati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578106B2 (en) 2014-12-12 2020-03-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Compressor
KR20230149904A (ko) 2022-04-20 2023-10-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크롤 압축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40356211A1 (en) 2014-12-04
WO2009155099A2 (en) 2009-12-23
US20110250085A1 (en) 2011-10-13
KR101192649B1 (ko) 2012-10-19
CN102418698A (zh) 2012-04-18
WO2009155099A3 (en) 2010-03-25
US8790098B2 (en) 2014-07-29
US20090297379A1 (en) 2009-12-03
EP2307728A2 (en) 2011-04-13
CN102089525A (zh) 2011-06-08
EP2307728A4 (en) 2015-07-22
EP2307728B1 (en) 2016-08-10
CN102089525B (zh) 2013-08-07
US7972125B2 (en) 2011-07-05
CN102418698B (zh) 2014-1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92649B1 (ko) 피스톤 작동을 구비하는 출력 조절 조립체를 가진 압축기
US8517704B2 (en) Compressor having capacity modulation system
KR101231059B1 (ko) 용량조절 시스템을 가진 압축기
KR101253137B1 (ko) 용량 조절 어셈블리를 가진 압축기
US9494157B2 (en) Compressor with capacity modulation and variable volume ratio
KR101253135B1 (ko) 피스톤 조립체를 가지고 있는 압축기
US8628316B2 (en) Compressor having capacity modulation system
KR101229812B1 (ko) 스크롤 머신
US9651044B2 (en) Electric compressor
US7967582B2 (en) Compressor having capacity modulation system
US7967583B2 (en) Compressor having capacity modulation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7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