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08998A - 정육면체 조립 게임용 퍼즐 블록 세트 - Google Patents

정육면체 조립 게임용 퍼즐 블록 세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8998A
KR20110008998A KR1020090076249A KR20090076249A KR20110008998A KR 20110008998 A KR20110008998 A KR 20110008998A KR 1020090076249 A KR1020090076249 A KR 1020090076249A KR 20090076249 A KR20090076249 A KR 20090076249A KR 20110008998 A KR20110008998 A KR 201100089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s
block
cube
cubes
g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762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인규
Original Assignee
강인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인규 filed Critical 강인규
Publication of KR201100089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899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00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06Patience; Other games for self-amusement
    • A63F9/08Puzzles provided with elements movable in relation, i.e. movably connected, to each other
    • A63F9/0826Three-dimensional puzzles with slidable or rotatable elements or groups of elements, the main configuration remaining unchanged, e.g. Rubik's cub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00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06Patience; Other games for self-amusement
    • A63F9/12Three-dimensional jig-saw puzzl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04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 A63H33/06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without the use of additional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큐브 조립을 위한 게임용 블록 세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특히 사용자들로 하여금 지속적인 흥미와 문제 해결을 위한 도전 욕구를 지속적으로 유발할 수 있는 게임이 가능한 블록 세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블록세트는, 기초 단위큐브 3개가 연결된 3-블록 6개와; 기초 단위큐브 4개가 연결된 4-블록 4개; 및 기초 단위큐브 5개가 연결된 5블-록 4개를 구비하도록 하고, 이들 블록들을 양분하여 상기 3-블럭, 상기 4-블럭, 상기 5-블럭 상호 간을 조립식으로 결합함으로써 3x3x3 큐브 2개를 각각 완성하는 게임을 진행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퍼즐, 블록, 큐브, 게임

Description

정육면체 조립 게임용 퍼즐 블록 세트{PUZZLE BLOCK SET FOR PLAYING GAME BY ASSEMBLING CUBES}
본 발명은 정육면체(이하, '큐브'라 함) 조립 게임용 퍼즐 블록 세트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의 일시적인 호기심 유발에 그치지 않고 지속적인 흥미와 문제 해결을 위한 도전욕구를 유발시키기 위한 대전 게임을 운용할 수 있도록 구성한 퍼즐 블록 세트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 본 발명의 조립대상 큐브는 가로x세로x높이가 기초 단위 정육면체 3개x3개x3개로 구성한 크기와 형상을 가지는 정육면체(이하, '3x3x3 큐브'라 칭함.)이다.
기존에 3x3x3 큐브 조립용 블록세트로서, 소위 '소마큐브'가 대표적으로 알려져 있다. '소마 큐브(SOMA Cube)'는 기초 단위 큐브 3개 또는 4개를 2차원 또는 3차원으로 연결하여 구성한 일곱가지 형상의 블록을 이용하여 3x3x3 큐브 또는 여러가지 응용된 형상의 구조체를 조립하기 위한 퍼즐 블록세트이다. 그러나 블록의 종류가 7가지 형상에 불과하여 사용자가 3x3x3 큐브나 응용된 형상의 구조체를 조립하는 데 있어 쉽게 단조로움을 느끼게 된다. 그렇게 되면, 사용자의 지속적인 흥 미를 유발하기 어렵고 수준 높은 창의력 및 공간 지각 능력 증진을 위한 도구로 이용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상기 '소마 큐브'의 단조로움을 보완하기 위해, 복잡한 형상의 블록들을 다양하게 구비한 큐브 조립용 퍼즐 블록세트들이, 미합중국 특허 제4,662,638호, 제4784392호, 제5,393,063호, 제6,648,330호 및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0399364호 등에 개시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 블록 세트들은 3x3x3 큐브 보다 규모가 큰 4x4x4 큐브나 5x5x5 큐브를 조립 대상으로 하거나, 큐브와 병행하여 평면구조체 조립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블록들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위의 종래 특허들에 개시된 발명들과 같이, 퍼즐 블록 세트를 구성하는 블록 수와 형상이 지나치게 복잡하여 그 조립과정이 너무 까다롭게 되면, 이 또한 사용자들과 친숙해지지 못하는 문제점을 가진다. 또한, 어려운 조립 과정을 습득해야 하는 관계로 블록 세트를 사용하는 계층의 폭이 한정되고, 일반대중들에게 널리 애용될 수 있는 완구 및 교구로서 활용되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사용자들의 지속적인 흥미와 문제 해결을 위한 도전 욕구를 유발할 수 있는 대전 게임에 적합하도록 구성한 큐브 조립용 퍼즐 블록세트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들이 큐브 조립과정에서 낮은 난이도에서부터 높은 난이도까지 골고루 체험할 수 있도록 구성된 규브 조립용 퍼즐 블록세트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위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블록 세트는, 기초 단위 큐브 3개가 2차원적으로 연결된 크기와 형상을 갖도록 구성된 블록(이하, '3-블록'이라 함) 6개와; 기초 단위 큐브 4개가 2차원 및 3차원적으로 연결된 크기와 형상을 갖도록 구성된 블록(이하, '4-블록'이라 함) 4개; 및 기초 단위 큐브 5개가 2차원 및 3차원적으로 연결된 크기와 형상을 갖도록 구성된 블록(이하, '5-블록'이라 함) 4개를 구비하여 전체적으로 14개의 블록들로 구성하되, 상기 14개의 블록들을 소정의 규칙에 의거하여 2개의 그룹으로 양분하고 각 그룹에 속한 블록들 상호 간을 조립식으로 결합하여 그룹별로 3x3x3 큐브를 완성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전체 블록 14개를 2개의 그룹으로 양분함에 있어서, 7개-7개로 양분하거나 8개-6개로 양분하도록 하되, 각 그룹에 속한 블록들에 내재된 기초 단위 큐브들의 총 개수가 27개가 되는 조건으로 양분한다.
그러므로 전체 블록 14개를 7개-7개로 양분하는 경우는, 3-블록 3개, 4-블록 2개, 5-블록 2개씩을 동일하게 나누어 각 그룹에 배분하거나 한 그룹에는 3-블록 4개와 5-블록 3개를 배분하고 다른 그룹에는 3-블록 2개, 4-블록 4개, 5-블록 1개를 배분하는 방법 중 어느 하나를 택하여야 한다.
또한, 8개-6개로 양분하는 경우는, 한 그룹에는 3-블록 6개, 4-블록 1개, 5- 블록 1개를 배분하고 다른 그룹에는 4-블록 3개, 5-블록 3개를 배분하거나, 한 그룹에 3-블록 5개, 4-블록 3개를 배분하고 다른 그룹에 3-블록 1개, 4-블록 1개, 5-블록 4개를 배분하는 방법 중 어느 하나를 택하여야 한다.
따라서 위와 같이 전체 블록 14개를 2개 그룹으로 양분하고 각 그룹에 속한 블록들을 이용하여 2개의 3x3x3 큐브 조립을 진행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 2인 또는 2팀이 그룹에 속한 블록들을 각각 취하여 3x3x3 큐브 조립을 위한 대전 게임을 진행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은, 적지도 과도하지 않은 가지 수의 형상과 개수를 갖도록 구성된 블록들로 구성되고, 3x3x3 큐브 조립 과정을 대전 게임으로 진행할 수 있어 사용자의 지속적인 흥미와 도전 욕구를 유발시켜 창의성 및 공간 지각 능력을 개발 및 증진시키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전체 블록을 2개 그룹으로 나누어 배분하는 과정에서 사용자가 다양한 난이도를 경험하게 할 수 있도록 블록 배분을 조절할 수 있어, 연령, 성별 등을 불문하고 폭넓은 사용자 계층이 애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술한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더욱 분명해 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3x3x3 큐브 조립용 블록들의 구성 예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3x3x3 큐브 조립용 퍼즐 블록 세트는, 3 내지 5개의 기초 단위 큐브들을 2차원 또는 3차원적으로 연결한 크기와 형상을 갖도록 구성된 블록들을 소정개수 구비한다. 3 내지 5개의 기초 단위 큐브들을 2차원 또는 3차원적으로 연결한 크기와 구성을 갖도록 블록들의 경우,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총 34종류의 형상을 갖는 블록들이 만들어질 수 있다. 즉, 3개의 기초 단위 블록을 2차원으로 연결하여 구성한 '3-블록'(100)은 서로 다른 2종류의 형상으로 만들 수 있고, 4개의 기초 단위 블록을 2차원 또는 3차원으로 연결한 '4-블록'(110)은 서로 다른 7종류의 형상으로 만들 수 있고, 5개의 기초 단위 블록을 2차원 또는 3차원으로 연결한 '5-블록'(120)은 서로 다른 25종류의 형상으로 만들 수 있다.
여기서, 상기 4-블록(110)과 5-블록(120)의 경우, 3x3x3 큐브 조립용으로 사용되기 위해서는 기초 단위 큐브를 단일 방향으로 연속하여 3개 초과하여 연결한 형태나 크기를 가지지 않아야 한다.
도 1에 도시된 블록들을 종류별로 적절한 개수를 이용하여 3x3x3 큐브를 조립할 수 있다. 그리고 3x3x3 큐브는 기초 단위 큐브 27개로 이루어진 구조체이기 때문에 도 1에 도시된 블록들을 소정 개수 선정하여 3x3x3 큐브 조립을 위한 블록 조합을 구성하는 경우, 조합에 속한 블록들에 내포된 단위 큐브 숫자의 총합이 27개인 조건을 1차적으로 만족해야 한다. 예를들면, 3-블록(100) 3개, 4-블록(110) 2개, 5-블록(120) 2개를 선택하여 블록 조합을 구성하는 경우에는, 이 조합에 속한 블록들에 내재한 기초 단위 큐브의 총합이 27개이기 때문에 3x3x3 큐브를 조립할 수 있는 1차 요건을 만족하게 된다. 하지만, 3-블록(100) 2개, 4-블록(110) 3개, 5-블록(120) 2개를 선택하여 블록 조합을 구성하게 되면 이들 블록들에 내재한 기초 단위 큐브의 총합이 28개가 되므로 상기 1차 요건을 충족하지 못한다.
따라서 3x3x3 큐브를 조립 완성하기 위해 도1에 도시한 여러 가지 블록들 중에서 다수 개를 선택하여 블록 조합을 만드는 경우, 1차적인 요건은 그 조합에 속한 블록들에 내재된 기초 단위 큐브의 총합이 27개가 되어야 한다.
이를 감안하면, 3-블록(100)들, 4블록(110)들, 그리고 5블록(120)들을 소정 개수 취하여 3x3x3 큐브 조립을 위한 블록 세트를 구성하는 경우, 상기 1차 요건을 만족하는 블록들을 선정하여 세트를 구성해야 한다. 결국, 3x3x3 큐브 조립이 가능한 블록 조합 유형은 다음의 <표1>과 같이 9가지로 한정된다.
조합 유형 번호 3-블록의 수 4-블록의 수 5-블록의 수
1 9
2 6 1 1
3 5 3
4 4 3
5 3 2 2
6 2 4 1
7 1 6
8 1 1 4
9 3 3
본 특허 출원의 발명자들은, 도 1에 도시된 블록들 중에서 위의 <표1>에 나타난 블록 조합 유형에 대해 3x3x3 큐브 조립 실험을 다양하게 진행해 본 결과, <표1>의 2번 유형이나 3번 유형과 같이 블록의 개수가 많이 포함된 조합 유형을 이용하는 경우가 8번이나 9번 유형과 같이 블록 개수가 적게 포함된 조합 유형을 이용하는 경우에 비해 용이하게 3x3x3 큐브 조립을 완성할 수 있음을 알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블록 세트는, 블록들의 구성이 너무 단순한 1번 조합 유형을 제외하고, 사용자들이 상기 <표1>의 2번 유형에서부터 9번 유형까지 가능한 한 모두 체험할 수 있도록 구성되도록 하는 동시에, 대전 게임이 가능하도록 2개의 3x3x3 큐브를 동시에 조립할 수 있도록 블록 개수가 선정되어야만 상술한 본 발명의 과제를 달성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요건을 만족하는 본 발명에 따른 블록 세트의 일실시예를 도 2에 도시하였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블록 세트는 총 14개의 블록들을 구비하는데, 이 14개의 블록들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14개의 블록들은 기초 단위 큐브 3개를 2차원적으로 연결한 크기와 형상을 가지는 3-블록 6개(201 내지 206)와, 기초 단위 큐브 4개가 2차원 및 3차원적으로 연결된 크기와 형상을 가지는 4-블록 4개(211 내지 214)와, 기초 단위 큐브 5개가 3차원적으로 연결된 크기와 형상을 가지는 5-블록 4개(221 내지 224)로 이루어진 것이다. 그리고 상기 3-블록 6개(201 내지 206)는 전체적으로 2종류의 형상을 가지며, 4-블록 4개(211 내지 214)는 각각 다른 4종류의 형상을 가지며, 5-블록 4개(221 내지 224) 또한 각각 다른 4종류의 형상을 갖는다. 또한, 상기 4-블록 4개(211 내지 214)를 선정함에 있어서 면대칭 형상을 갖는 3차원 블록 한 쌍(213,214)과 2차원 블록 2개(211,212)가 포함되도록 하였고, 상기 5-블록 4개(221 내지 224)를 선정함에 있어서는 면대칭 형상을 갖는 3차원 블록이 최소한 한 쌍(221, 222 또는 223,224)이 포함되도록 하였다. 이들 면대칭 블록들을 의도적으로 포함시키는 이유는 3x3x3 큐브 조립과정에서 사용자의 혼동을 유도하여 조립 과정의 난이도를 높이기 위함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블록 세트의 구성이 3x3x3 큐브를 조립할 수 있는 블록 조합을 몇 가지나 제공할 수 있는지 상세히 살펴본다.
아래의 <표2>는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의 구성에 있어서, 블록 개수 및 형상의 가지 수를 반영하여 계산한 블록 조합의 경우의 수를 나타낸 것이다.
조합 유형 번호 3- 블럭의 4- 블럭의 5- 블럭의 경우의 수
1 6 1 1 16
2 5 3 8
3 4 3 12
4 3 2 2 144
5 2 4 1 12
6 1 1 4 8
7 3 3 16
합계 216
위 <표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블록 세트를 구성하는 블록 개수의 배분을 통해 구성할 있는 블록 조합 유형의 수는 7가지이다. 그리고 이들 7가지 유형 각각에 속한 블록들의 형상의 가지 수를 고려하여 최종적인 경우의 수를 계산하면 총 216가지가 된다.
위의 <표2> 결과에 대한 검산을 위해, 4번 유형에 대해 일례로서 계산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2가지 형상의 3-블록 3개가 만들어 낼 수 있는 조합의 경우의 수는 4가지, 4가지 형상의 4-블록 2개가 만들어 낼 수 있는 조합의 경우의 수는 6가지, 4가지 형상의 5-블록 2개가 만들어 낼 수 있는 조합의 경우의 수는 6가지이므로, 전체적으로 4x6x6 = 144 가지가 된다.
따라서, 사용자들은 본 발명에 따른 블록 세트를 이용하여 3x3x3 큐브를 조립하는 경우, 위의 <표2>에 도시된 7가지의 유형의 블록 조합을 이용할 수 있는데, 이들 7가지의 유형의 블록 조합은 상기 <표1>의 2번, 3번, 4번, 5번, 6번, 8번, 9번 유형에 해당하므로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저난이도에서부터 고난이도까지의 블록 조합을 골고루 체험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제, 본 발명에 따른 블록 세트를 이용한 대전 게임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의한 블록세트를 이용하여 진행하는 게임은 게임 참여자의 공간지각력 수준에 따라 동급자(Same Level Player) 대전 방식과 이급자(Different Level Player) 대전 방식으로 진행할 수 있다.
동급자 대전 게임방식은 대전자 양측의 공간지각력 수준이 비슷한 경우에 유용한데, 우선, 전체 14개의 블록을 양측이 7개씩 나누어 갖도록 하고, 나누어 가진 7개의 블록 조합을 이용하여 3x3x3 큐브 조립 시합을 벌여 먼저 조립 완성하는 측을 승자로 가르는 방식으로 진행한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14개(10가지 형상)의 블록을 양측이 7개씩 나누어 갖는 방법은 다음의 <표3>와 같이 2가지 방법이 존재한다.

<일측> <상대측>
3-블록 4-블록 5-블록 3-블록 4-블록 5-블록
배분방법 1 3개 2개 2개 3개 2개 2개
배분방법 2 4개 0개 3개 2개 4개 1개
즉, 배분방법1과 같이, 3-블록 3개, 4-블록 2개, 5-블록 2개로 이루어지는 블록 조합 유형(<표2>의 4번 유형)을 양측이 동시에 취하여 각각 7개의 블록을 갖도록 할 수 있고, 배분방법2와 같이 일측이 3-블록 4개, 4-블록 0개, 5-블록 3개로 이루어지는 블록 조합 유형(<표2>의 3번 유형)을 취하고 상대측이 3-블록 2개, 4-블록 4개, 5-블록 1개로 이루어지는 블록 조합 유형(<표2>의 5번 유형)을 취하여 양측이 각각 7개의 블록을 갖도록 할 수 있다.
다음으로, 이급자 대전 방식의 게임을 설명하면, 이 게임은 공간지각력 수준이 서로 다른 대전자(예를 들면, 어린 자녀와 부모) 사이에 유용한 게임방식으로서, 수준이 낮은 일측이 총 14개의 블록 중 8개의 블록을 갖도록 하고 수준이 높은 상대측이 나머지 6개를 갖도록 하여 3x3x3 큐브를 조립하는 시합을 진행하여 승자를 가르는 방식이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14개의 블록들을 이급자 대전 게임 방식에 의해 일측이 8개, 상대측이 6개로 나누는 방법은 다음의 <표4>과 같이 2가지 방법이 존재한다.

<일측-8개 블록> <상대측-6개 블록>
3-블록 4-블록 5-블록 3-블록 4-블록 5-블록
배분방법 3 6 1 1 0 3 3
배분방법 4 5 3 0 1 1 4
위 <표4>에서 보듯이 본 발명에 따른 총 14개의 블록들 중에서 8개 블록 취하여 배분하는 경우, 형상이 단순한 3-블록의 개수가 많이 배분되게 되는데 이렇게 되면 3x3x3 큐브의 조립 난이도가 낮아진다. 그러므로 대전자 양측 중에서 수준 낮은 측이 8개 블록을 배분받도록 한다. 반대로 6개의 블록을 배분하는 경우 형상이 복잡한 5-블록의 개수가 상대적으로 많이 포함되어 3x3x3 큐브의 조립난이도가 높아지므로 수준 높은 측이 6개 블록을 배분받도록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블록 세트를 <표3> 및 <표4>에 의한 블록 배분 방법을 이용하면, 공간 지각 능력이 비슷한 동급자 간에, 또는 공간 지각 능력이 차이 나는 이급자 간의 대전 게임을 진행하는데 유용하게 이용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게임방법을 도 3에 도시된 수순을 이용하여 체계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게임에 참여하는 대전자 양측이 결정되면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블록세트를 게임 도구로 제공한다(301). 그리고 게임에 참여하는 양측의 의사를 타진하여 동급자 대전 방식으로 진행할지 이급자 대전 방식으로 진행할지에 관한 게임 방식을 결정하도록 한다(302).
동급자 대전 방식으로 결정되면, 양측에 각각 3-블록 3개, 4-블록 2개, 5-블록 2개를 배분하거나(<표3>의 배분방법 1), 또는 일측에는 3-블록 4개와 5-블록 3개를, 상대측은 3-블록 2개, 4-블록 4개, 5-블록 1개를 각각 배분한다(<표3>의 배분방법 2)(303). 그런 후, 약정된 시각에 상기와 같이 배분된 블록들을 이용하여 양측이 3x3x3 큐브의 조립을 시작하게 하고, 먼저 3x3x3 큐브 조립을 완성한 측에 승자의 지위를 부여한다(304).
한편, 게임 방식이 이급자 대전 방식으로 결정되면 사전 약정에 의거, 일측에 3-블록 6개, 4-블록 1개, 5-블록 1개(총8개)를, 상대측에 4-블록 3개, 5-블록 3개(총6개)를 배분하거나(<표4>의 배분방법 3), 일측에 3-블록 5개, 4-블록 3개(총8개)를, 상대측에 3-블록 1개, 4-블록 1개, 5-블록 4개(총6개)를 배분한다(<표4>의 배분방법 4)(305). 그런 후, 약정된 시각에 상기와 같이 배분된 블록들을 이용하여 양측이 3x3x3 큐브의 조립을 시작하게 하고, 먼저 조립 완성한 측에 승자의 지위를 부여한다(306).
여기서, 양측에게 블록을 배분함에 있어, 어느 일측에 불록 선택 우선권을 부여하는 게임이나 제비뽑기를 이용하여 블록을 배분하거나, 심판과 같은 제3자에 의해 무작위(Random)로 배분하는 방식을 채용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도 4는 본 발명의 블록 세트를 이용하여 3x3x3 큐브 2개를 조립 완성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에 예시된, 조립 완성된 2개의 3x3x3 큐브는 위 <표4>의 '배분방법4'에 의거하여 전체 블록 14개를 8개-6개로 양분하여 이용한 경우이다. 즉, 도 4의 <A>는 3-블록 5개(도 2의 202 내지 206)와 4-블록 3개(도 2의 212 내지 214)를 이용하여 조립한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서, 복잡한 형상을 가지는 5-블록이 포함되지 않았기 때문에 비교적 난이도가 낮은 경우이다. 그리고, 도 4의 <B>는 3-블록 1개(도 2의 201), 4-블록 1개(도 2의 211), 5-블록 4개(도 2의 221 내지 224)를 이용하여 조립한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복잡한 형상을 가지는 5-블록 4개가 모두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비교적 난이도가 높은 경우이다.
도 5는 블록 배분 방식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블록 배분 시에 사용 가능하도록 구성된 블록 선택 카드를 도시한 것이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블록 선택 카드는 전체 14개 블록 각각에 일대응 대응되게 제작된 것이다. 즉 카드 뒷면에 각각의 블록이 도시되어 있고, 앞면에는 뒷면의 블록을 나타내는 숫자가 기재되어 있는데, 뒷면에 도시된 블록이 5-블록 계열이면 '5', 4-블록 계열이면 '4', 3-블록 계열이면 '3'을 기재하도록 하였다.
상기 카드의 사용방법을 설명하면, 숫자가 기재된 카드의 앞면만 보이도록 탁자나 바닥 위에 14장의 카드를 펼쳐놓고, 대전 게임 종류에 따른 배분방법에 따라 양측이 각각 해당 카드를 취하도록 한다. 즉, <표4>의 배분방법 4에 의해 블록 배분을 하기로 한 경우, 우선 선택권을 가진 일측이 카드의 앞면에 기재된 숫자만 보고 '3'이 기재된 카드 5장과 '4'가 기재된 카드 3장을 선택적으로 취하고, 상대측은 나머지 카드인 '3'이 기재된 카드 1장, '4'가 기재된 카드 1장, '5'가 기재된 카드 4장을 취한다. 그런 후 각자가 카드 뒷면에 도시된 블록의 도면을 확인하여 해당 블록을 배분받도록 한다. 이러한 카드를 사용하게 되면 블록 배분 과정에서부터 흥미를 돋을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블록 세트의 구성에 있어서, 특히 5-블록들을 구성함에 있어서, 도 2에 도시된 형상을 갖는 블록들의 구성만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즉, 도 2에 예시된 5-블록의 구성은 3차원으로 구조를 가지면서 면대칭 구조를 가지는 2쌍의 블록을 이용한 구성이지만, 이중 한 쌍의 블록을 2차원 구조를 가지는 다른 형상의 5-블록 1개와 3차원 구조를 가지는 또 다른 5-블록 1개로 바꾸어도 무관하다.
그러나 4-블록의 구성에 있어서는 한정이 있을 수 있는데,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앞의 <표1>과 같이, 3x3x3 큐브를 조립 완성할 수 있는 1차적인 요건(기초 단위 큐브의 총 개수가 27개)을 만족하는 유형의 블록 조합이라도 조합에 속한 블록들의 기하학적 특성에 의해 3x3x3 큐브를 조립 완성할 수 없는 경우가 간혹 발생한다. 가장 쉽게 생각할 수 있는 예가 도 6에서 <A>로 표기된 블록 조합의 경우이다. 3-블럭(110) 중 기초 단위 큐브를 일렬로 연결한 블록(도1의 101) 9개를 이용하면(<표1>의 1번 조합) 가장 간단하게 3x3x3 큐브를 조립할 수 있지만, 도 6의 <A> 조합과 같이 9개의 3-블록 중 1개를 다른 형상을 가진 3-블록(도1의 102)으로 대체하는 경우 상기한 1차 요건을 만족하지만 3x3x3 큐브의 조립은 불가능해진다.
그 외에도 본 발명의 발명자들이 많은 실험을 통해, 상기 1차적인 요건은 만족하지만 3x3x3 큐브를 조립할 수 없는 블록 조합들이 간혹 존재함을 확인할 수 있었는데 이를 도 6에서 <B>,<C>,<D>로 표기한 조합들이 이에 해당한다. 이것은 블록 조합들이 조합에 속한 블록들 전체에 내재한 기초 단위 큐브의 개수가 27개이어야 한다는 대수학적인 요건(1차 요건)을 충족하더라도, 블록들의 형상에 기인하는 기하학적인 요건(2차 요건)을 충족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3x3x3 큐브를 조립할 수 없는 구성을 가질 수 있음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발명자는, 본 발명에 따른 블록세트가 만들어 내는 총 216가지의 블록 조합 중 어떠한 블록 조합을 취하더라도 3x3x3 큐브 조립이 가능한 블록세트의 구성을 연구하게 되었고, 그 결과로서 도 2에 도시된 블록 조합 세트를 제공한 것이다. 즉, 4개의 4-블록을 구성함에 있어, 기초 단위 큐브가 2차원적으로 연결된 형상의 4-블록들 중 'L' 형상을 갖는 4-블록(도2의 211)과 'Z' 형상을 갖는 4-블록(도2의 212)을 함께 포함시켜야 3x3x3 큐브 조립을 불가능하게 하는 블록 조합이 하나도 발생하지 않음을 다양한 실험을 통해 확인하였다.
그런데, 'L' 형상을 갖는 4-블록(도2의 211)과 'Z' 형상을 갖는 4-블록(도2의 212)을 함께 포함시키지 않고 블록 세트를 구성한다고 해도, 3x3x3 큐브의 조립을 불가능하게 하는 블록 조합은 1 내지 3 가지 정도만 존재하고, 이는 전체 216개의 조합에 있어서 극히 일부이다. 또한 1 내지 3 가지 정도의 조립 불가능한 블록 조합의 존재는, 대전 게임의 진행을 더욱 흥미있게 할 수 있는 요소로 작용할 수 있다. 즉, 사전에 게임 참여자들에게 큐브 조립이 불가능한 블록 조합을 배분받을 수 있음을 공지하면, 블록 배분 과정에서 스릴과 흥미를 느끼게 할 수 있어 게임의 흥미를 높이는 요소가 될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와 같이 'L' 형상을 갖는 4-블록(도2의 211)과 'Z' 형상을 갖는 4-블록(도2의 212)을 함께 포함시켜 블록 세트를 구성하는 것은 본 발명의 목적 달성을 위하 필수적인 요건은 아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도 1은 3x3x3 큐브 조립용 블록들의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블록 세트의 일실시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블록 세트를 사용한 게임방법의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블록세트를 8개-6개로 양분하여 3x3x3 큐브 2개를 조립 완성한 상태의 예시도.
도 5는 블록 선택카드의 구성예시도.
도 6은 3x3x3 큐브 조립이 불가능한 블록 조합 구성도

Claims (5)

  1. 퍼즐 블록세트에 있어서,
    기초 단위 큐브 3개가 2차원적으로 연결된 크기와 형상을 갖는 3-블록 6개와; 기초 단위 큐브 4개가 2차원 및 3차원적으로 연결된 크기와 형상을 갖는 4-블록 4개; 및 상기 3-블록 및 4-블록들과 조립식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기초 단위 큐브 5개가 2차원 및/또는 3차원적으로 연결된 크기와 형상을 갖는 5-블록 4개를 구비하여 전체적으로 14개의 블록들로 구성하되, 상기 14개의 블록들은 소정의 규칙에 의거하여 제1 및 제2 그룹으로 양분되어 그룹 별로 3x3x3 큐브를 완성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3x3x3 큐브 조립 게임용 퍼즐 블록 세트.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4개의 4-블럭들 및 4개의 5-블럭들 중에는, 각각 최소한 1쌍의 면대칭 블록이 포함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3x3x3 큐브 조립 게임용 퍼즐 블록 세트.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6개의 3-블록들은 2가지 형상을 갖도록 구성되고, 상기 4개의 4-블록 들및 4개의 5-블록들은 각기 다른 4가지 형상을 갖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3x3x3 큐브 조립 게임용 퍼즐 블록 세트.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4개의 4-블록들 중에는, 기초 단위 큐브 4개가 2차원적으로 연결되어 'L' 형상을 갖는 블록 및 'Z'형상을 갖는 블록이 포함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3x3x3 큐브 조립 게임용 퍼즐 블록 세트.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14개의 블록들은,
    상기 제1 및 제2 그룹 각각에 3-블록 3개, 4-블록 2개, 5-블록 2개씩 동일하게 배분되거나,
    상기 제1 그룹에 3-블록 4개, 5-블록 3개가 배분되고, 상기 제2 그룹에 3-블록 2개, 4-블록 4개, 5-블록 1개가 배분되거나,
    상기 제1 그룹에 3-블록 6개, 4-블록 1개, 5-블록 1개가 배분되고, 상기 제2 그룹에 4-블록 3개, 5-블록 3개가 배분되거나,
    상기 제1 그룹에 3-블록 5개, 4-블록 3개가 배분되고, 상기 제2 그룹에 3-블록 1개, 4-블록 1개, 5-블록 4개가 배분되는 것
    중 어느 하나의 방식에 의해 배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x3x3 큐브 조립 게임용 퍼즐 블록 세트.
KR1020090076249A 2009-07-21 2009-08-18 정육면체 조립 게임용 퍼즐 블록 세트 KR2011000899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90066338 2009-07-21
KR1020090066338 2009-07-2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8998A true KR20110008998A (ko) 2011-01-27

Family

ID=434992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76249A KR20110008998A (ko) 2009-07-21 2009-08-18 정육면체 조립 게임용 퍼즐 블록 세트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10008998A (ko)
WO (1) WO2011010766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3813Y1 (ko) * 2014-07-01 2014-07-31 한정윤 소마큐브용 카드 세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071302A (zh) * 2012-12-10 2013-05-01 宁波市米乐玩具礼品有限公司 一种积木玩具及其一种玩法的拼接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84392A (en) * 1987-09-08 1988-11-15 Clarence Johnson Block puzzle
AUPM596394A0 (en) * 1994-05-31 1994-06-23 Dyksterhuis, Francis Henry Games and puzzles
CA2371339A1 (en) * 2002-02-11 2003-08-11 Michael Porter Three dimensional puzzle
KR200389153Y1 (ko) * 2005-04-27 2005-07-07 이수연 목재 블럭 완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3813Y1 (ko) * 2014-07-01 2014-07-31 한정윤 소마큐브용 카드 세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1010766A1 (ko) 2011-0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00264589A1 (en) Stacking block tower building game
KR100401292B1 (ko) 수학퍼즐형게임
JP2003305283A (ja) 知的積木及びこれを用いるゲーム装置
US20130295548A1 (en) Geometrical shape apparatus
US6637745B1 (en) Pyramid puzzle system
KR20110008998A (ko) 정육면체 조립 게임용 퍼즐 블록 세트
US20190275417A1 (en) Multifaced 3-D Puzzle Building Blocks
US9744473B2 (en) Densely stackable building block system
US20110042892A1 (en) Three-dimensional cube puzzle
US11731034B2 (en) Three-dimensional expandable board game
US20160236071A1 (en) Game Pieces and Method of Use
US20080108274A1 (en) Assembled spherical building blocks
AU2009204639A1 (en) Three-dimensional word game
US10029171B1 (en) 2X2X2 cube puzzle and a cube stand
JP4806105B1 (ja) 遊具
RU120013U1 (ru) Настольная игра
KR20150007181A (ko) 학습 기능을 갖는 젠가
US20180099214A1 (en) Numerical sequence board game
CN214512707U (zh) 一种搭建策略型积木益智玩具
KR200253802Y1 (ko) 놀이 및 학습용 라인 맞춤기구
WO2001014031A1 (fr) Puzzle a assembler
JP4499821B2 (ja) ボードゲーム用具
JP2021065264A (ja) ボードゲーム用具
JP6208632B2 (ja) 色彩組色パズル
KR20180082906A (ko) 변형 주사위를 이용한 블록 게임 세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