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08298U - 소방차량용 셔터 - Google Patents

소방차량용 셔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8298U
KR20110008298U KR2020100001753U KR20100001753U KR20110008298U KR 20110008298 U KR20110008298 U KR 20110008298U KR 2020100001753 U KR2020100001753 U KR 2020100001753U KR 20100001753 U KR20100001753 U KR 20100001753U KR 20110008298 U KR20110008298 U KR 2011000829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utter
guide
locking
fixed
sliding ope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175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옥자
Original Assignee
홍옥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옥자 filed Critical 홍옥자
Priority to KR202010000175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08298U/ko
Publication of KR2011000829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8298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27/00Fire-fighting land vehicl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02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 E06B9/08Roll-type closures
    • E06B9/11Roller shutters
    • E06B9/17Parts or details of roller shutters, e.g. suspension devices, shutter boxes, wicket doors, ventilation openings
    • E06B9/171Rollers therefor; Fastening roller shutters to roll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Operating, Guiding And Securing Of Roll- Type Closing Memb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소방용 차량에 설치되는 셔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인 소방차량용 셔터는, 소방차량용 셔터에 있어서, 셔터와; 상기 셔터의 양측에 설치되어 셔터를 안내하며, 하측에 안내면을 가지며 걸림턱을 가지도록 삼각형 모양으로 형성된 고정구가 설치된 가이드 프레임과; 상기 셔터에 양측에 각각 일체로 고정설치되며, 고정구에 걸려 고정되는 잠금 손잡이를 포함하며, 상기 잠금 손잡이는 셔터에 체결부재로 일체로 고정설치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일측에 일단이 고정설치되는 손잡이와; 상기 몸체의 설치되는 누름버튼과; 상기 누름버튼에 일단이 접촉하며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동하며 타단은 셔터를 관통하도록 설치되는 'L'자 형태의 작동레버와; 상기 작동레버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롤러가 설치되어 고정구의 안내면에 접촉하거나 걸림턱에 걸리는 슬라이딩 작동축과; 상기 슬라이딩 작동축을 가이드하는 셔터의 후면에 일체로 고정설치되는 가이드 고정블럭과; 상기 슬라이딩 작동축의 외측에 설치되어 일단은 가이드 고정블럭에 접촉하고, 타단은 롤러가 설치된 쪽에 설치되는 고정핀에 고정되어 슬라이딩 작동축을 복귀시키는 복귀용 코일스프링로 구성된 것이다.

Description

소방차량용 셔터{A shutter for fire truck}
본 고안은 소방용 차량에 설치되는 셔터에 관한 것이다.
종래 소방용 차량에서 내부에 각종 장비를 보관하고 외측에서는 셔터를 설치하여 간편하게 개방시킬 수 있도록 하였으며, 상기 셔터는 고정장치가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고정장치가 외부로 노출되므로 쉽게 손상되는 결점이 있으며, 이로 인한 안전사고 및 외관의 이미지를 해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소방차의 사용 중에 발생되는 물이나 우천으로 인하여 발생되는 빗물이 셔터의 외부에 묻어있는 상태에서 셔터를 개방시키면 셔터에 묻어있는 물기가 그대로 안쪽으로 들어가서 셔터의 내부를 오염시키는 원인이 되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출원인은 국내 실용신안등록 제334910호의 소방차용 셔터를 제공하였다.
상기 국내 실용신안등록 제334910호의 소방차용 셔터에 의하여 제공된 기술에서는 셔터의 폭(길이)이 긴 경우 구조상 봉의 길이의 길이도 함께 길어지게 되고 이로 인하여 길이가 길어진 봉은 휘어지기 쉬운 단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봉의 직경(크기)를 크게 하여야 하며, 이런 경우에는 다른 구성요소 또한 크기가 변화하고, 탄성부재 또한 탄성력이 커져 작동시 많은 힘이 작용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국내실용신안등록제334910호의소방차용셔터.
본 고안은 종래기술이 가지고 있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은 사용이 용이하고, 가이드 프레임에 고정설치된 고정구에 걸리는 슬라이딩 작동축의 길이를 셔터의 폭(크기)의 변화에 따라 변화하지 않으며, 그 길이 또한 최소화할 수 있는 구조의 잠금 손잡이가 설치된 소방차량용 셔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고자 본 고안인 소방차량용 셔터는, 소방차량용 셔터에 있어서, 셔터와; 상기 셔터의 양측에 설치되어 셔터를 안내하며, 하측에 안내면을 가지며 걸림턱을 가지도록 삼각형 모양으로 형성된 고정구가 설치된 가이드 프레임과; 상기 셔터에 양측에 각각 일체로 고정설치되며, 고정구에 걸려 고정되는 잠금 손잡이를 포함하며,
상기 잠금 손잡이는 셔터에 체결부재로 일체로 고정설치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일측에 일단이 고정설치되는 손잡이와; 상기 몸체의 설치되는 누름버튼과; 상기 누름버튼에 일단이 접촉하며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동하며 타단은 셔터를 관통하도록 설치되는 'L'자 형태의 작동레버와; 상기 작동레버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롤러가 설치되어 고정구의 안내면에 접촉하거나 걸림턱에 걸리는 슬라이딩 작동축과; 상기 슬라이딩 작동축을 가이드하는 셔터의 후면에 일체로 고정설치되는 가이드 고정블럭과; 상기 슬라이딩 작동축의 외측에 설치되어 일단은 가이드 고정블럭에 접촉하고, 타단은 롤러가 설치된 쪽에 설치되는 고정핀에 고정되어 슬라이딩 작동축을 복귀시키는 복귀용 코일스프링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작동레버와 슬라이딩 작동축 사이에는 연결로드가 더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인 소방차량용 셔터는, 셔터의 폭(크기)의 변화에 따라 슬라이딩 작동축의 길이가 변화하지 않을 수 있어 신뢰성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사용자의 조작시 슬라이딩 작동축이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딩하는 것이며, 끝단 부분에 롤러가 설치되어 가이드 프레임에 설치되어 있는 고정구와의 접촉시 작동이 부드러우며 마모에 의한 파손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잠금 손잡이의 위치 변화에 의하여 고정구와의 거리가 변화할 경우 작동레버와 슬라이딩 작동축 사이에 설치되는 연결로드에 의하여 용이하게 대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인 소방차량용 셔터가 설치된 소방차량의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나타낸 소방차량용 셔터의 정면 부분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나타낸 소방차량용 셔터의 배면 부분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나타낸 소방차량용 셔터의 부분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인 소방차량용 셔터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부분 상세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소방차량용 셔터의 배면 부분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소방차량용 셔터의 배면 부분사시도.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고안자는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과 같이 본 고안은 화재진압시 사용되는 소방용 차량의 일측에 설치되어 사용되는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인 소방차량용 셔터는 도 2와 도 3과 같이 크게 셔터(1)와, 상기 셔터(1)를 가이드(안내)하며 차량의 고정설치된 가이드 프레임(2)과, 상기 셔터(1)의 하측부분의 양측에 설치되는 잠금 손잡이(3, 3')로 구성된다.
상기 셔터(1)는 소방용 차량에 설치되어 사용되는 통상적인 것이며, 본 출원인에 의하여 공지된 국내 실용신안등록 제334910호의 소방차용 셔터에 상세하게 나타나 있다.
상기 셔터(1)에는 잠금 손잡이(3, 3')가 설치되어 작동될 수 있도록 잠금 손잡이(3, 3')가 설치되는 부분에 관통홀(11)이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 프레임(2)은 차량에 볼트와 같은 체결부재 등을 이용하여 일체로 고정설치되며, 셔터(1)의 양측의 단부를 안내(가이드)할 수 있도록 가이드 홈(22)이 형성되어 있고, 하측의 양측부분에는 안내면(21a)과 걸림턱(21b)을 가지도록 삼각형 모양으로 형성된 고정구(21)가 일체로 고정설치된다. 상기 고정구(21)는 보통 볼트, 피스와 같은 체결부재 등을 사용하여 가이드 프레임(2)에 일체로 고정설치된다.
상기 고정구(21)는 잠금 손잡이(3, 3')와 함께 셔터(1)가 상하로 이동시켜 개폐시키는 것으로, 잠금 손잡이(3, 3')가 설치되는 위치 부분에 설치된다.
상기 잠금 손잡이(3, 3')는 셔터(1)의 양측 부분에 각각 설치되며, 보통 사용자가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첨부된 도면과 같이 셔터(1)의 하측 부분에 설치된다.
이러한 잠금 손잡이(3, 3')는 도 2 내지 도 4와 같이 셔터(1)에 볼트, 피스와 같은 체결부재로 일체로 고정설치되는 내측에 작동공간부(31a)가 형성된 몸체(31)와, 상기 몸체(31)의 일측에 일단이 고정설치되고, 수평방향으로 설치된 손잡이(32)와, 상기 몸체(31)의 일측에 설치되는 누름버튼(33)과, 상기 누름버튼(33)에 일단이 접촉하며, 몸체(31)의 작동공간부(31a)에 설치되어 힌지축(34-1)을 중심으로 회동하며 타단은 셔터(1)에 형성된 관통홀(11)을 관통하도록 설치된 'L'자 형태의 작동레버(34)와, 상기 작동레버(34)에 일단이 연결고리에 의하여 연결되고, 타측의 단부에는 롤러(36)가 설치된 슬라이딩 작동축(35)과, 상기 슬라이딩 작동축(35)을 가이드하며, 지지하는 셔터(1)의 후면에 볼트, 피스와 같은 체결부재로 일체로 고정설치되는 가이드 관통홀(37-1)이 형성된 가이드 고정블럭(37)과, 상기 슬라이딩 작동축(35)의 외측에 설치되어 일단은 가이드 고정블럭(37)에 접촉하고, 타단은 롤러(36)가 설치된 쪽에 설치되는 고정핀(39)에 고정되는 복귀용 코일스프링(38)으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잠금 손잡이(3, 3')는 도 4와 같이 작동하는 것으로, 도 4의 (a) 상태에서 사용자가 누름버튼(33)을 누르면 도 4의 (b)와 같이 몸체(31)의 작동공간부(31a)에 설치된 'L'자 형태의 작동레버(34)는 힌지축(34-1)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슬라이딩 작동축(35)을 당기게 되고, 상기 슬라이딩 작동축(35)은 'L'자 형태의 작동레버(34)의 당김에 의하여 수평방향으로 이동하여 고정구(21)로부터 고정상태가 해제된다.
사용자가 누름버튼(33)의 누름을 해지하게 되면, 복귀용 코일스프링(38)에 의하여 슬라이딩 작동축(35)은 원상태로 복귀되며, 상기 슬라이딩 작동축(35)의 복귀에 의하여 누름버튼(33)과 작동레버(34) 또한 원상태의 위치로 복귀되게 된다.
도 5는 잠금 손잡이(3, 3')가 가이드 프레임(2)에 고정설치된 고정구(21)에 의하여 작동되는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도 5의 (a)와 같이 셔터(1)를 상측에서 하측으로 이동시키게 되면 잠금 손잡이(3, 3')의 슬라이딩 작동축(35) 단부에 설치되어 있는 롤러(36)가 고정구(21)의 안내면(21a)과 접촉하여 (b)와 같이 슬라이딩 작동축(35)이 도면상 왼쪽방향으로 이동한다.
상기 셔터(1)가 계속적으로 하측으로 이동하여 (c)와 같이 셔터(1)의 하부와 프레임 바닥과 접촉한 상태에서는 롤러(36)가 설치되어 있는 슬라이딩 작동축(35) 단부가 고정구(21)의 걸림턱(21b)에 걸리도록 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전술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누름버튼(33)을 누르게 되면 슬라이딩 작동축(35)이 고정구(21)로부터 걸림(고정)상태가 해제되고, 셔터(1)를 상측으로 올릴 수 있게 된다.
상기 잠금 손잡이(3, 3')의 손잡이(32)의 끝단부에는 도 2 내지 도 4와 같이 안전을 위하여 소켓(4)이 각각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소켓(4)의 일측은 손잡이(32)의 끝단부가 삽입되도록 홀이 형성되고, 타측은 셔터(1)에 접촉되며, 접촉되는 부분은 피스 등의 체결부재를 사용하여 일체로 고정시킬 수도 있다.
상기 잠금 손잡이(3, 3')이 중 어느 한쪽 또는 양쪽에 작동레버(34)의 작동(회동)을 제어하는 잠금장치(5)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잠금장치(5)는 도 3과 같이 키(열쇠)를 사용하여 회전시킬 수 있는 잠금레버(51)를 사용하여 작동레버(34)의 일측과 접촉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누름버튼(33)의 누름시 작동레버(34)가 힌지축(34-1)을 중심으로 회동하지 않도록 한다.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작동레버(34)와 슬라이딩 작동축(35) 사이에 연결로드(35-1)가 설치될 수 있다.
즉, 잠금 손잡이(3, 3')의 몸체(31)가 설치되는 위치가 변화하여 고정구(21)의 거리가 길어지는 경우 연결로드(35-1)를 사용하여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연결로드(35-1)는 작동레버(34)와 슬라이딩 작동축(35)의 연결상태와 같이 각각에 구멍을 형성하고, 상기 구멍에 연결고리를 사용하여 연결한다.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셔터(1) 내부에 저장되는 물건 등과 접촉하여 잠금 손잡이(3, 3')의 작동이 방해되거나 파손될 수 있음으로 보호용 덮개(7)가 설치될 수 있다.
1 : 셔터 2 : 가이드 프레임
3 : 잠금 손잡이 4 : 소켓
5 : 잠금장치
21 : 고정구
31 : 몸체 32 : 손잡이
33 : 누름버튼 34 : 작동레버
35 : 슬라이딩 작동축 36 : 롤러
37 : 가이드 고정블럭 38 : 복귀용 코일스프링

Claims (4)

  1. 소방차량용 셔터에 있어서,
    셔터(1)와;
    상기 셔터(1)의 양측에 설치되어 셔터(1)를 안내하며, 하측에 안내면(21a)을 가지며 걸림턱(21b)을 가지도록 삼각형 모양으로 형성된 고정구(21)가 설치된 가이드 프레임(2)과;
    상기 셔터(1)에 양측에 각각 일체로 고정설치되며, 고정구(21)에 걸려 고정되는 잠금 손잡이(3, 3')를 포함하며,
    상기 잠금 손잡이(3, 3')는 셔터(1)에 체결부재로 일체로 고정설치되는 몸체(31)와; 상기 몸체(31)의 일측에 일단이 고정설치되는 손잡이(32)와; 상기 몸체(31)의 설치되는 누름버튼(33)과; 상기 누름버튼(33)에 일단이 접촉하며 힌지축(34-1)을 중심으로 회동하며 타단은 셔터(1)를 관통하도록 설치되는 'L'자 형태의 작동레버(34)와; 상기 작동레버(34)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롤러(36)가 설치되어 고정구(21)의 안내면(21a)에 접촉하거나 걸림턱(21b)에 걸리는 슬라이딩 작동축(35)과; 상기 슬라이딩 작동축(35)을 가이드하는 셔터(1)의 후면에 일체로 고정설치되는 가이드 고정블럭(37)과; 상기 슬라이딩 작동축(35)의 외측에 설치되어 일단은 가이드 고정블럭(37)에 접촉하고, 타단은 롤러(36)가 설치된 쪽에 설치되는 고정핀(39)에 고정되어 슬라이딩 작동축(35)을 복귀시키는 복귀용 코일스프링(38)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차량용 셔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 손잡이(3, 3')의 손잡이(32) 단부에는 일단이 셔터(1)와 접촉되는 소켓(4)이 더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차량용 셔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 손잡이(3, 3')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잠금레버(51)를 회전시켜 작동레버(34)가 힌지축(34-1)을 중심으로 회동하지 않도록 하는 잠금장치(5)가 더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차량용 셔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레버(34)와 슬라이딩 작동축(35) 사이에는 연결로드(35-1)가 더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차량용 셔터.
KR2020100001753U 2010-02-19 2010-02-19 소방차량용 셔터 KR20110008298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1753U KR20110008298U (ko) 2010-02-19 2010-02-19 소방차량용 셔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1753U KR20110008298U (ko) 2010-02-19 2010-02-19 소방차량용 셔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8298U true KR20110008298U (ko) 2011-08-25

Family

ID=455972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1753U KR20110008298U (ko) 2010-02-19 2010-02-19 소방차량용 셔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08298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1467B1 (ko) * 2018-08-31 2019-02-22 최재도 선상 헬리콥터의 격납고 도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1467B1 (ko) * 2018-08-31 2019-02-22 최재도 선상 헬리콥터의 격납고 도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33639B1 (ko) 후드 래치어셈블리의 세이프티 레버 작동구조
KR100931160B1 (ko) 히든타입 아웃사이드핸들
KR20140040753A (ko) 작동 장치
JP4116569B2 (ja) 折りたたみ屋根付のコンバーチブル自動車フードを開閉するための装置
JP4597703B2 (ja) オープンカーのルーフロック装置
KR101186937B1 (ko) 철도차량용 비상해제 장치
JP2005514263A5 (ko)
KR20110008298U (ko) 소방차량용 셔터
KR20150115984A (ko) 도어 스토퍼
KR101371985B1 (ko) 누름타입 도어내측핸들
KR101327034B1 (ko) 히든 타입 아웃사이드 핸들
JP4300434B2 (ja) 戸車
JP3987996B2 (ja) 引き戸のローラーラッチ機構
JP6783066B2 (ja) 操作具支持装置およびロールスクリーン
KR101496969B1 (ko) 건물용 비상탈출장치
JP3338419B2 (ja) 開口部の蓋用アームストッパー装置
KR101923684B1 (ko) 푸쉬풀 도어락의 내부 강제잠금 해제를 위한 조립체
JP4765129B2 (ja) 窓開閉装置
JP2010174582A (ja) 安全機構付引き手
KR101440435B1 (ko) 도어 스토퍼
JP4585885B2 (ja) オープンカーのルーフロック装置
JP6497946B2 (ja) 折戸装置
KR100402115B1 (ko) 자동차의 엔진후드 스테이 장치
KR101382842B1 (ko) 후드 세이프티 후크
JP4596853B2 (ja) 手動操作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