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06581U - 흡수성 물품 - Google Patents

흡수성 물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6581U
KR20110006581U KR2020100012961U KR20100012961U KR20110006581U KR 20110006581 U KR20110006581 U KR 20110006581U KR 2020100012961 U KR2020100012961 U KR 2020100012961U KR 20100012961 U KR20100012961 U KR 20100012961U KR 20110006581 U KR20110006581 U KR 2011000658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adhesive
pattern
ink
underw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1296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유미 키무라
마사오 쿠라하시
Original Assignee
가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가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00658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6581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6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 A61F13/58Adhesive tab fastener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13/514Backsheet, i.e. the impermeable cover or layer furthest from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13/514Backsheet, i.e. the impermeable cover or layer furthest from the skin
    • A61F13/51401Backsheet, i.e. the impermeable cover or layer furthest from the skin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13/514Backsheet, i.e. the impermeable cover or layer furthest from the skin
    • A61F13/51496Backsheet, i.e. the impermeable cover or layer furthest from the skin having visual effec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5/00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 A61L15/16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 A61L15/42Use of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 A61L15/56Wetness-indicators or colour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6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 A61F13/58Adhesive tab fastener elements
    • A61F2013/583Adhesive tab fastener elements with strips on several pla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6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 A61F13/58Adhesive tab fastener elements
    • A61F2013/583Adhesive tab fastener elements with strips on several places
    • A61F2013/585Adhesive tab fastener elements with strips on several places being spot lik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Dermatology (AREA)
  • Hemat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흡수성 물품을 제공하는 것이며, 그것에 있어서 속옷 고정 영역(P)이 흡수성 본체(5)에 형성되어 있는 모든 점착부(15)를 포함하면서, 평면에서 봤을 때 사각형 형상의 모든 영역 중 면적이 최소인 것이고, 모든 점착부(15)의 총면적이 속옷 고정 영역(P) 면적의 35∼80%이다. 또한 속옷 고정 영역(P) 내에 있어서 무늬와 점착부(15)의 사이즈 비율은 점착부(15)로 피복되어 있는 잉크 부착부(10)(무늬) 중에서 임의의 것을 선택하여, 그 선택된 잉크 부착부(10)를 지나, 속옷 고정 영역(P)을 본체 폭방향(Y)으로 횡단하는 직선(Q)을 하나 그었을 경우, 직선(Q)에 있어서의 잉크 부착부(10)와의 겹침 부분의 길이의 합계가, 직선(Q)에 있어서의 상기 잉크 부착부(10)를 피복하고 있는 점착부(15)와의 겹침 부분의 길이의 50%이하이다.

Description

흡수성 물품{ABSORBENT ARTICLE}
본 고안은 생리용 냅킨, 팬티라이너(분비물 시트), 실금 패드 등의, 팬티 등의 속옷에 고정해서 사용하는 흡수성 물품에 관한 것이다.
생리용 냅킨 등의 흡수성 물품으로서, 표면시트, 이면시트 및 양시트간에 개재 배치된 액체 보유성의 흡수체를 구비하고, 실질적으로 세로로 긴 것이 알려져 있다. 또한 이러한 구성의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 상기 흡수성 물품을 팬티 등의 속옷에 고정하며, 그 사용 중에 있어서의 어긋남을 방지하는 것 등을 목적으로 하여, 그 비(非)피부 접촉면(이면시트의 비피부 접촉면)에 점착제를 도포해서 이루어지는 점착부를 형성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또한 흡수성 물품의 소정 부위에 인쇄 등에 의해 외부에서 육안으로 확인 가능한 무늬를 입히는 것이 알려져 있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는, 흡수체의 둘레가장자리보다도 바깥쪽에 위치하는 외측영역에 있어서의, 이면시트의 피부 접촉면측(흡수체와의 대향면측) 또는 표면시트의 비피부 접촉면측(착용자의 의류에 대향하는 면측)에, 인쇄된 그래픽(기호 또는 문자, 또는 적어도 2가지 색의 차이 또는 변화 등에 의해 구성되는 이미지 또는 디자인)을 가지며, 상기 그래픽이 표면시트측에서 육안으로 확인 가능하게 되어 있는 흡수성 물품이 기재되어 있다. 특허문헌 1에 기재된 흡수성 물품에 의하면, 그래픽을 본 사용자에게 감정적인 효과를 주어, 사용자의 우울한 기분을 경감할 수 있다고 되어 있다. 또한 특허문헌 1의 단락[0033]에는, 상기 그래픽은 신체에 접촉하는 층과 의류에 접촉하는 층 사이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그래픽의 잉크가 피부 또는 속옷에 의해 직접 닿지 않아, 상기 잉크의 제거나 다른 부위에의 전위를 방지할 수 있다고 되어 있다.
또한, 특허문헌 2에는 어린이용 배변 훈련용 트레이닝 팬츠에 있어서, 그 외면(비피부 접촉면)을 형성하는 바깥커버의 외면에, 어린이의 흥미를 끌기 쉬운 문자나 도형 등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비쥬얼 캐릭터를 인쇄하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2005-523139호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평5-247701호
흡수성 물품의 외면(비피부 접촉면)을 형성하는 이면시트로서는 수지제 필름이 이용되는 일이 많고, 상기 수지제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이면시트의 외면에, 점착부를 구성하는 점착제나 무늬를 구성하는 잉크를 정착시키기 위해서는, 통상 코로나 방전 등의 표면개질처리에 의해 상기 외면의 젖음성을 향상시킬 필요가 있다. 그러나, 표면개질처리가 실시된 흡수성 물품의 외면에 잉크를 부착시켜서 무늬를 인쇄한 후, 점착제를 도포해서 점착부를 형성할 경우, 무늬를 구성하는 잉크 부착부에 점착제를 겹쳐서 도포하면, 형성된 점착부의 잉크 부착부에 대한 점착력이 약하기 때문에, 사용 후에 상기 점착부를 통해 팬티 등의 속옷에 고정된 흡수성 물품을 뗐을 때에, 상기 점착부를 구성하고 있던 점착제가 속옷측에 남는 문제가 생길 우려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으로서 잉크 부착부에만 표면개질처리를 실시하는 방법을 생각할 수 있지만, 그러한 부분적인 표면개질처리를 제조라인에서 실시하는 것은 어려우며, 또한 제조비용의 급등을 초래할 우려가 있다.
또한 이러한, 무늬가 인쇄된 흡수성 물품의 외면(이면시트의 비피부 접촉면)에 점착부를 형성했을 경우의 문제를 피하기 위해,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의 외부에 노출되지 않는 면,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 기재되어 있듯이 이면시트의 피부 접촉면(흡수체와의 대향면)에 무늬를 인쇄하면, 흡수성 물품의 외면(비피부 접촉면)을 육안으로 봤을 때에 무늬가 선명하지 않게 되어, 흡수성 물품에 무늬를 인쇄하는 것에 따른 효과(시각적인 인상의 향상 등)가 충분히 발휘되지 않을 우려가 있다.
본 고안은 속옷에 고정해서 사용하는 흡수성 물품으로, 액체 보유성의 흡수체 및 상기 흡수체의 비피부 접촉면측에 배치된 이면시트를 구비하는 실질적으로 세로로 긴 흡수성 본체를 구비하고, 상기 이면시트의 비피부 접촉면에 잉크 부착부를 포함하는 무늬가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상기 흡수성 본체를 속옷에 고정하는 점착부가 상기 무늬의 적어도 일부를 피복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흡수성 물품이며, 상기 점착부가 상기 이면시트의 비피부 접촉면에 형성되어 있는 속옷 고정 영역 내에 위치하고 있고, 상기 속옷 고정 영역이 모든 상기 점착부를 포함하면서, 평면에서 봤을 때 사각형 형상의 모든 영역 중 면적이 최소인 것이고, 모든 상기 점착부의 총면적이 상기 속옷 고정 영역 면적의 35∼80%이며, 상기 속옷 고정 영역 내에 있어서 상기 무늬와 상기 점착부의 사이즈 비율은 상기 점착부로 피복되어 있는 상기 잉크 부착부 중에서 임의의 것을 선택하여, 그 선택된 잉크 부착부를 지나면서 상기 속옷 고정 영역을 본체 폭방향으로 횡단하는 직선을 하나 그었을 경우, 상기 직선에 있어서의, 잉크 부착부와의 겹침 부분의 길이의 합계가, 상기 직선에 있어서의 상기 잉크 부착부를 피복하고 있는 점착부와의 겹침 부분의 길이의 50%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흡수성 물품에 대해서는, 상기 이면시트의 비피부 접촉면에 다수의 상기 무늬가 본체 폭방향으로 서로 이간해서 형성되어 있고, 각 상기 무늬의 본체 폭방향의 길이가 20mm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흡수성 물품에 대해서는, 상기 이면시트의 비피부 접촉면에 다수의 상기 무늬가 본체 길이방향으로 서로 이간해서 형성되어 있고, 각 상기 무늬의 본체 길이방향의 길이가 25mm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흡수성 물품에 대해서는, 상기 무늬는 본체 폭방향의 길이보다도 본체 길이방향의 길이가 더 긴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흡수성 물풀에 대해서는, 상기 무늬는 잉크가 부착되어 있지 않은 비잉크 부착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비잉크 부착부가 상기 잉크 부착부로 포위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흡수성 물품에 대해서는, 상기 무늬는 상기 점착부를 그 본체 폭방향의 길이를 유지하면서 본체 길이방향을 따라서 전후 각각으로 연장시켜서 생기는 연장 영역 내에 위치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의 흡수성 물품은 인쇄된 무늬가 선명해서 상기 무늬에 의한 시각적 효과가 뛰어나기 때문에 시각적인 인상이 양호하며, 또한 무늬에 흡수성 물품의 특징 등의 정보가 담겨 있을 경우에는 그 정보가 사용자에게 전달되기 쉽다. 또한, 본 고안의 흡수성 물품은 무늬가 인쇄되어 있는 면(비피부 접촉면)에 상기 흡수성 물품을 속옷에 고정하는 점착부가 형성되어 있지만, 상기 점착부를 통해 속옷에 고정된 상태에서 뗐을 때에, 상기 점착부를 구성하고 있던 점착제가 상기 속옷측에 잘 남지 않는다.
도 1은 본 고안의 흡수성 물품의 제1실시형태인 생리용 냅킨의 비피부 접촉면측(이면시트측)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I-I선 단면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a)∼도 3(c)는 각각 도 1에 나타내는 냅킨에 형성된 무늬를 확대해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각각 본 고안에 따른 속옷 고정 영역을 본체 폭방향으로 횡단하는 가상 직선의 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5(a)∼도 5(d)는 각각 실시예 또는 비교예의 생리용 냅킨의 비피부 접촉면측의 무늬 및 점착부의 배치형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6(a) 및 도 6(b)는 각각 점착제 잔류의 평가방법의 설명도이다.
도 7(a) 및 도 7(b)는 각각 흡수성 물품의 비틀림률(twisting rate)의 평가방법의 설명도이다.
본 고안은 인쇄된 무늬가 선명하고 상기 무늬에 의한 시각적인 효과가 뛰어나며, 점착부를 통해 속옷에 고정된 상태에서 뗐을 때에, 상기 점착부를 구성하고 있던 점착제가 속옷측에 잘 남지 않는 흡수성 물품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흡수성 물품을 그 바람직한 한 실시형태인 생리용 냅킨을 바탕으로 도면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본 고안의 흡수성 물품은 팬티 등의 속옷에 고정해서 사용하는 것으로, 생리용 냅킨 이외에 팬티라이너(분비물 시트), 실금 패드 등을 예시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냅킨(1)은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액체 보유성의 흡수체(4) 및 상기 흡수체(4)의 비피부 접촉면측에 배치된 이면시트(3)를 구비하는 실질적으로 세로로 긴 흡수성 본체(5)를 구비하고, 이면시트(3)의 비피부 접촉면(3b)에 잉크 부착부(10)를 포함하는 무늬(20, 30, 40)가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흡수성 본체(5)를 속옷에 고정하는 본체 점착부(15)가 무늬(20, 30, 40)의 적어도 일부를 피복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냅킨(1)은 사용시에 사용자의 배설부와 대향하는 배설부 대향부(A)와 상기 배설부 대향부(A)보다도 길이방향 뒤쪽에 위치하는 후방부(B)를 길이방향으로 갖고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피부 접촉면은 흡수성 물품 또는 그 구성 부재에 있어서의 흡수성 물품의 장착시에 장착자의 피부측을 향하는 면이며, 비피부 접촉면은 흡수성 물품 또는 그 부재에 있어서의 흡수성 물품의 장착시에 피부측과는 반대측(속옷측)을 향하는 면이다. 또한 길이방향은 흡수성 물품 또는 그 구성 부재의 긴 변을 따르는 방향이며, 폭방향은 상기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이다. 도면 중, 부호 Ⅹ로 나타내는 방향은 본체 길이방향이며, 부호 Y로 나타내는 방향은 본체 폭방향이다.
흡수성 본체(5)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피부 접촉면을 구성하는 표면시트(2), 비피부 접촉면을 구성하는 이면시트(3) 및 양시트(2, 3)간에 개재 배치된 액체 보유성의 직사각형 형상의 흡수체(4)를 구비하고, 한 방향으로 긴 대략 직사각형 형상을 하고 있다. 표면시트(2) 및 이면시트(3) 각각과 흡수체(4)와의 사이는 접착제에 의해 접합되어 있어도 좋다. 흡수성 본체(5)에 있어서, 표면시트(2) 및 이면시트(3)는 각각 흡수체(4)의 길이방향 전후단 각각으로부터 연장하여, 그들 연장부의 단부에 있어서 서로 히트 실(heat seal) 등의 공지의 접합 수단에 의해 접합되어 엔드 실(end seal)부를 형성하고 있다. 흡수성 본체(5)의 폭방향(Y)의 길이는 흡수체(4)의 폭방향(Y)의 길이와 동일하다.
흡수성 본체(5)의 비피부 접촉면(이면시트(3)의 비피부 접촉면(3b))에 형성되어 있는 본체 점착부(15)는 도 1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평면에서 봤을 때 직사각형 형상이며, 그 길이방향을 본체 폭방향(Y)에 일치시키고, 본체 길이방향(Ⅹ)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복수 형성되어 있다. 복수의 본체 점착부(15)는 서로 동일 형상이며 동일 치수이다.
흡수성 본체(5)를 사이에 두고 좌우 양측에는 한쌍의 사이드플랩부(6, 6)가 배치되어 있다. 사이드플랩부(6)는 표면시트(2) 및 이면시트(3)의, 흡수체(4)의 길이방향을 따르는 좌우 양측가장자리(4s, 4s)로부터의 연장부로 구성되어 있으며, 그들 연장부의 단부에 있어서 서로 히트 실 등의 공지의 접합 수단에 의해 접합되어 사이드실부가 형성되어 있다. 사이드플랩부(6)는 흡수성 본체(5)의 길이방향 좌우 양측에 연장되어 마련된 한쌍의 날개부(7, 7) 및 한쌍의 후부(後部) 플랩부(8, 8)를 가지며, 후부 플랩부(8)는 날개부(7)보다도 본체 길이방향(Ⅹ)의 후방에 위치하고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사이드플랩부(6)는 배설부 대향부(A)에 있어서 본체 폭방향(Y)의 바깥쪽을 향해서 크게 튀어나와 있고, 이로 인해 흡수성 본체(5)의 좌우 양측에 한쌍의 날개부(7, 7)가 연장되어 마련되어 있다. 또한 사이드플랩부(6)는 후방부(B)에서도 본체 폭방향(Y)의 바깥쪽을 향해서 크게 튀어나와 있으며, 이로 인해 흡수성 본체(5)의 좌우 양측에 한쌍의 후부 플랩부(8, 8)가 연장되어 마련되어 있다.
날개부(7)의 비피부 접촉면(이면시트(3)의 비피부 접촉면(3b))에는 날개부(7)를 팬티 등의 속옷에 고정하는 전방 점착부(16)가 형성되고, 후부 플랩부(8)의 비피부 접촉면(이면시트(3)의 비피부 접촉면(3b))에는 후부 플랩부(8)를 속옷에 고정하는 후방 점착부(17)가 배치되어 있다. 전방 점착부(16) 및 후방 점착부(17)는 모두 세로로 긴 직사각형 형상을 가지고 있으며, 그 길이방향을 본체 길이방향에 일치시켜서 배치되어 있다. 날개부(7)는 냅킨(1)을 속옷에 고정할 때에, 이면시트(3)측으로 젖혀져서, 전방 점착부(16)를 통해 속옷의 비피부 접촉면에 점착 고정된다. 후부 플랩부(8)는 냅킨(1)을 속옷에 고정할 때에 젖혀지지 않고, 그 비피부 접촉면이 넓혀진 상태(흡수성 본체(5)의 옆쪽으로 연장된 상태)로 후방 점착부(17)를 통해 속옷의 피부 접촉면에 점착 고정된다. 이들 점착부(16, 17)는 본체 점착부(15)와 마찬가지로, 핫멜트 점착제를 소정 부위에 도포함으로써 마련되어 있고, 냅킨(1)의 사용 전에는 필름, 부직포, 종이 등으로 이루어지는 도시하지 않는 박리시트에 의해 피복되어 있다.
도 3에는 본 실시형태의 냅킨(1)에 있어서, 흡수성 본체(5)의 비피부 접촉면(이면시트(3)의 비피부 접촉면(3b))에 형성되어 있는 3종류의 무늬(20, 30, 40)가 확대되어 나타나 있다. 무늬(20, 30, 40)는 비피부 접촉면(3b)의 소정 부분에 인쇄에 의해 비피부 접촉면(3b)의 바탕색(통상은 흰색) 이외의 색채의 잉크가 부여되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잉크가 부착되어 이루어지는 잉크 부착부(10)를 포함해서 구성되어 있다. 무늬(20, 30, 40(잉크 부착부(10))는 점착부(15, 16, 17)에 피복되어 있는 부분을 포함해서 비피부 접촉면(3b)측에서 육안으로 확인 가능하게 되어 있다. 점착부(15, 16, 17)는 보통 무색 투명이며, 상기 점착부로 피복되어 있는 무늬의 시인성에는 실질적으로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무늬(20)는 별모양의 중심부(21)와 상기 중심부(21)를 포위하도록 배치된 복수(본 실시형태에서는 5개)의 꽃잎부(22)를 포함해서 구성되어 있는 꽃무늬이다. 무늬(20)는 잉크가 부착되어 있지 않은 비잉크 부착부(11)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비잉크 부착부(11)는 잉크 부착부(10)로 포위되어 있다. 즉, 무늬(20)에 있어서는 상기 무늬(20)를 구성하는 각 부의 윤곽이 잉크 부착부(10)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윤곽으로 포위된 영역이 비잉크 부착부(11)가 되어 있다. 무늬를 구성하는 잉크 부착부는 기본적으로 상기 잉크 부착부를 피복하는 점착부의 흡수성 본체측에의 점착력을 약화시켜 점착제 잔류를 유발하는 원인이 되는 바, 무늬(20)와 같이 비잉크 부착부를 많이 포함하는 무늬는 그러한 문제를 일으키기 어렵다.
무늬(30)는 무늬(20)와 마찬가지로 꽃무늬이며, 별모양의 중심부(31)와, 상기 중심부(31)를 포위하도록 배치된 복수(본 실시형태에서는 5개)의 꽃잎부(32)를 포함해서 구성되어 있다. 중심부(31) 및 꽃잎부(32)는 모두 잉크 부착부(10)만으로 이루어지고, 잉크로 전체를 칠한 부분이다. 또한, 무늬(40)는 별모양의 형상을 한 잉크 부착부(10)만으로 이루어진다.
무늬(20, 30, 40(잉크 부착부(10))의 형성에 이용하는 잉크로서는, 이러한 종류의 흡수성 물품의 인쇄에 적용 가능한 것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잉크에는 착색 성분으로서, 통상의 인쇄 잉크에 이용되는 염료나 안료 등이 함유되고, 또한 통상 각종 용제나 각종 첨가제 등이 함유된다. 또한 잉크의 부여방법으로서는 통상의 인쇄법을 적절히 이용할 수 있고, 예를 들면 잉크젯 인쇄법, 그라비어 인쇄법 등을 들 수 있다. 잉크의 부여는 흡수성 물품의 제조장치에 잉크젯 인쇄기 등의 인쇄장치를 편입한 것을 이용해서 인라인 가공으로 실시해도 좋고, 또는 이면시트(3)의 형성 재료에 인쇄에 의해 미리 잉크를 부여해 두고, 이 인쇄된 형성 재료를 사용해서 냅킨(1)을 제작해도 좋다.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주된 과제 중 하나는 점착부를 통해 속옷에 고정된 흡수성 물품을 상기 속옷에서 뗐을 때에, 상기 점착부를 구성하고 있던 점착제가 상기 속옷측에 남는 현상(이하, 점착제 잔류라고도 한다)의 발생을 방지하는 것이고,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고안에서는 A)흡수성 본체의 비피부 접촉면에 형성되는 점착부(본체 점착부)의 배치형태, 및 B)흡수성 본체의 비피부 접촉면에 형성되는 무늬(잉크 부착부)와 상기 무늬를 피복하는 점착부의 관계에 착안해서, 이들 A) 및 B)에 관련된 개량 기술을 채용하고 있다.
상기 A)에 관하여, 본 실시형태의 냅킨(1)에서는, 흡수성 본체(5)에 형성되어 있는 모든 점착부(본체 점착부(15))를 포함하면서, 평면에서 봤을 때 사각형 형상의 모든 영역 중 면적이 최소인 것을 속옷 고정 영역(P)으로 했을 경우, 속옷 고정 영역(P) 내의 모든 점착부(15)의 총면적(S1)이 속옷 고정 영역(P)의 면적(S)의 35∼80%로 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총면적(S1)은 복수의 본체 점착부(15)의 면적의 합계에 상당한다. S1/S가 35%미만이면 본체 점착부(15)가 너무 적기 때문에 흡수성 본체(5)가 속옷에 대하여 안정적으로 고정되지 않을 우려가 있고, S1/S가 80%초과이면 본체 점착부(15)가 너무 많기 때문에 점착제 잔류의 발생을 방지할 수 없을 우려가 있다. S1/S는 바람직하게는 45∼75%, 더욱 바람직하게는 50∼65%이다. 본 실시형태의 냅킨(1)에 있어서는 도 1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속옷 고정 영역(P)에 있어서 본체 점착부(15)와, 점착제가 도포되어 있지 않은 비점착제 도포부(18)가 본체 길이방향(Ⅹ)으로 교대로 형성되어 있다.
속옷 고정 영역(P)은 1)흡수성 본체(5)의 길이방향 전단에 가장 근접해 있는 본체 점착부(15)에 있어서의, 본체 폭방향(Y)을 따르는 전단 가장자리(15a)와, 2)흡수성 본체(5)의 길이방향 후단에 가장 근접해 있는 본체 점착부(15)에 있어서의 본체 폭방향(Y)을 따르는 후단 가장자리(15b)와, 3)각 본체 점착부(15)의 본체 길이방향(Ⅹ)을 따르는 양측가장자리(15s, 15s) 각각을 지나 본체 길이방향(X)으로 연장하는 2개의 가상 직선(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둘러싸인 영역이며, 평면에서 봤을 때 직사각형 형상이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본체 점착부(15)의 전단 가장자리(15a), 후단 가장자리(15b) 및 측가장자리(15s)는 본체 폭방향(Y) 또는 본체 길이방향(Ⅹ)으로 연장되는 직선 형상이며, 이들 직선 형상의 전단 가장자리(15a), 후단 가장자리(15b) 및 측가장자리(15s)를 각각 속옷 고정 영역(P)을 획성(畵成)하는 경계선으로 하고 있지만, 전단 가장자리(15a), 후단 가장자리(15b)가 곡선이나 절곡선 등의 비직선 형상일 경우는 비직선 형상의 전단 가장자리(15a) 또는 후단 가장자리(15b)에 있어서 본체 길이방향(Ⅹ)의 바깥쪽에 가장 돌출해 있는 부분을 지나 본체 폭방향(Y)으로 연장하는 가상 직선을, 속옷 고정 영역(P)을 획성하는 경계선으로 하고, 또한 측가장자리(15s)가 곡선이나 절곡선 등의 비직선 형상일 경우는 비직선 형상의 측가장자리(15s)에 있어서 본체 폭방향(Y)의 바깥쪽으로 가장 돌출해 있는 부분을 지나 본체 길이방향(Ⅹ)으로 연장하는 가상 직선을 속옷 고정 영역(P)을 획성하는 경계선으로 한다.
또한 상기 B)에 관해서 본 실시형태의 냅킨(1)에서는, 속옷 고정 영역(P) 내에 있어서 상기 무늬와 상기 본체 점착부의 사이즈 비율은 본체 점착부(15)로 피복되어 있는 잉크 부착부(10) 중에서 임의의 것을 선택하여, 그 선택된 잉크 부착부(10)를 지나면서 속옷 고정 영역(P)을 본체 폭방향(Y)으로 횡단하는 가상 직선(Q)을 하나 그었을 경우, 가상 직선(Q)에 있어서의, 잉크 부착부(10)와의 겹침 부분의 길이의 합계(T1)가 가상 직선(Q)에 있어서의, 상기 잉크 부착부(10)를 피복하고 있는 본체 점착부(15)와의 겹침 부분의 길이(T)의 50%이하로 되어 있다. 본체 점착부(15)를 통해 팬티 등의 속옷에 고정된 냅킨(1)을 상기 속옷에서 뗄 경우, 통상은 냅킨(1)의 본체 길이방향(Ⅹ)의 전단부 또는 후단부를 쥐고 본체 길이방향(Ⅹ)을 따라서 떼는, 이른바 T자 박리가 실시되는 바, 가상 직선(Q)은 T자 박리 중에 본체 폭방향(Y)으로 연장하면서, 본체 길이방향(Ⅹ)을 따라서 이동하는, 냅킨(1)과 속옷의 경계선에 상당하고, 이 경계선상의 본체 점착부(15)는 T자 박리에 의해 대략 동시에 떨어진다. T1/T가 50%초과이면, 본체 점착부(15)에 있어서 잉크 부착부(10)를 피복하고 있는 부분이 과다하기 때문에, 상기 본체 점착부(15)의 흡수성 본체(5)에 대한 점착력이 약해, T자 박리시에 상기 본체 점착부(15)가 흡수성 본체(5)로부터 박리되어 속옷측에 이행하여 점착제 잔류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 T1/T는 바람직하게는 8∼40%, 더욱 바람직하게는 10∼30%이다.
도 4(a) 및 도 4(b)에는 속옷 고정 영역(P)을 본체 폭방향(Y)으로 횡단하는 가상 직선(Q)의 예로서, 가상 직선(Q1 및 Q2)이 도시되어 있다. 도 4(a)에 나타내는 가상 직선(Q1)은 꽃무늬의 무늬(30)를 구성하는 2개의 꽃잎부(32a, 32b)를 각각 횡단하고 있는 바, 꽃잎부(32a, 32b)는 그 전역이 잉크 부착부(10)이기 때문에, 가상 직선(Q1)에 관한 상기 T1은 꽃잎부(32a)의 가상 직선(Q1)을 따른 길이(t1)와 꽃잎부(32b)의 가상 직선(Q1)을 따른 길이(t2)의 합계가 된다. 또한 상기 T는 꽃잎부(32a, 32b)를 피복하고 있는 본체 점착부(15)의 본체 폭방향(Y)의 전체 길이이며, 본 실시형태에서는 속옷 고정 영역(P)의 전체 폭과 동일하다. 가상 직선(Q1)이 그어진 부분에서는 (t1+t2)/T≤50%로 되어 있다.
도 4(b)에 나타내는 가상 직선(Q2)은 가상 직선(Q1)과 마찬가지로 무늬(30)를 구성하는 2개의 꽃잎부(32a, 32b)를 각각 횡단하고 있는 동시에, 꽃무늬의 무늬(20)를 구성하는 3개의 꽃잎부(22a, 22b, 22c)를 각각 횡단하고 있다. 꽃잎부(22a, 22b, 22c)는 그들의 윤곽만이 잉크 부착부(10)이고, 상기 윤곽으로 포위된 꽃잎부의 내부는 비잉크 부착부(11)이므로, 꽃잎부(22a, 22b, 22c) 각각과 가상 직선(Q2)과의 겹침 부분은 이들 꽃잎부의 윤곽만이며, 도 4(b)에서는 부호(t3, t4, t5, t6)로 나타낸 4군데이다. 따라서, 상기 T1은 꽃잎부(32a, 32b) 각각의 가상 직선(Q2)을 따른 길이(t1, t2)와, 꽃잎부(22a, 22b, 22c) 각각의 윤곽의 가상 직선(Q2)을 따른 길이(t3, t4, t5, t6)의 합계가 된다. 가상 직선(Q2)이 그어진 부분에서는 (t1+t2+t3+t4+t5+t6)/T≤50%로 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무늬에 의한 시각적인 효과를 더 높이기 위해서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냅킨(1)의 비피부 접촉면을 형성하는 이면시트(3)의 비피부 접촉면(3b)에 다수의 무늬(20, 30, 40)를 형성하고 있는 바, 점착제 잔류의 발생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하는 관점에서, 이들 무늬의 배치형태에 대해서도 개량 기술을 채용하고 있다. 무늬를 구성하는 잉크 부착부는 기본적으로 상기 잉크 부착부를 피복하는 점착부의 흡수성 본체측에의 점착력을 약화시켜 점착제 잔류를 유발하는 원인이 되기 때문이다. 즉, 본 실시형태에서는 무늬(20, 30, 40)가 본체 폭방향(Y)으로 서로 이간해서 형성되어 있고, 각 무늬(20, 30, 40)의 본체 폭방향(Y)의 길이(Ly)(도 1 참조)가 20mm이하, 바람직하게는 2∼15mm이다. 본체 폭방향(Y)에 인접하는 무늬의 이간 거리는 바람직하게는 3∼10mm, 더욱 바람직하게는 5∼15mm이다.
같은 관점에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무늬(20, 30, 40)가 본체 길이방향(X)으로 서로 이간해서 형성되어 있고, 각 무늬(20, 30, 40)의 본체 길이방향(Ⅹ)의 길이(Lx)(도 1 참조)가 25mm이하, 바람직하게는 4∼20mm이다. 본체 길이방향(Ⅹ)에 인접하는 무늬의 이간 거리는 바람직하게는 3∼10mm, 더욱 바람직하게는 5∼15mm이다.
또한, 특히 냅킨(1)을 속옷으로부터 T자 박리했을 경우의 점착제 잔류를 방지하는 관점에서, 무늬(20, 30, 40)는 본체 폭방향(Y)의 길이(Ly)보다도 본체 길이방향(X)의 길이(Lx)가 더 긴 것이 바람직하다. Lx와 Ly의 비율(Lx/Ly)은 바람직하게는 5.0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3.0이하이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냅킨(1)의 비피부 접촉면(이면시트(3)의 비피부 접촉면(3b))에 형성되어 있는 모든 점착부(15, 16, 17) 각각에 대해서, 무늬(20, 30, 40)의 각각은 상기 점착부(15, 16, 17)를 그 본체 폭방향(Y)의 길이를 유지하면서 본체 길이방향(Ⅹ)을 따라서 전후 각각으로 연장시켜서 생기는 연장 영역 내에 위치하고 있으나, 상기 연장 영역은 가상의 연장 영역이다. 이 가상 연장 영역은 본체 점착부(15)에 대해서는 속옷 고정 영역(P)을 포함해서, 그 본체 길이방향(Ⅹ)의 전후에 위치하는 영역이며, 전방 점착부(16)에 대해서는 도 1 중 부호 R로 니타내는 영역이다. 또한, 후방 점착부(17)에 대한 가상 연장 영역은 전방 점착부(16)에 대한 가상 연장 영역(R) 내에 들어가기 때문에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이렇게 무늬가 각 점착부에 대한 가상 연장 영역 중 어느 하나의 내부에 위치하고 있으면, 점착부에 의해 피복되어 있지 않은 무늬(잉크 부착부)를 적게 할 수 있고, 이로 인해 무늬가 속옷이나 피부에 닿아서, 무늬를 구성하는 잉크가 속옷이나 피부에 전이하는 문제를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게 된다.
냅킨(1)에 있어서의 각 부의 형성 재료에 대해서 설명하면, 표면시트(2)로서는 해당 기술분야에서 종래 사용되고 있는 각종의 것을 특별히 제한 없이 이용할 수 있고, 예를 들면 친수처리가 실시된 각종 부직포나 개공 필름 등의 액투과성의 시트를 이용할 수 있다.
이면시트(3)로서는, 해당 기술분야에서 종래 이용되고 있는 각종의 것을 특별히 제한 없이 이용할 수 있다. 이면시트(3)는 액불투과성이라도 좋고 액투과성이라도 좋으며, 예를 들면 투습성을 갖지 않는 수지 필름이나, 미세 구멍을 가지며 투습성을 가지는 수지 필름, 발수 부직포 등의 부직포, 이들과 다른 시트와의 라미네이트체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이면시트(3)에는 점착부를 구성하는 점착제나 무늬를 구성하는 잉크가 부여되기 때문에, 이들의 정착성을 높이는 관점에서, 이면시트(3)로서는 코로나 방전 등의 표면개질처리가 실시되거나, 또는 젖음성을 높이기 위한 필러가 들어감으로써 표면의 젖음성이 높아진 것이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또한, 이면시트(3)에는 인쇄에 의해 잉크가 부여되어 무늬가 형성되기 때문에, 잉크의 발색성을 높이는 관점에서 이면시트(3)로서는 요철이 적어 보다 평활한 필름 시트, 구성 섬유가 조밀하게 충전된(섬유간의 틈이 비교적 작은) 발수성의 부직포 등이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그러한 부직포로서는, 예를 들면 스펀본드-멜트블로운(SM), 스펀본드-멜트블로운-스펀본드(SMS), 스펀본드-멜트블로운-멜트블로운-스펀본드(SMMS) 등의 복합화된 부직포나, 스펀본드, 에어스루법으로 제조되어 히트엠보싱 가공된 부직포 등을 들 수 있다.
흡수체(4)를 구성하는 재료로서는, 해당 기술분야에서 종래 이용되고 있는 각종의 것을 특별히 제한 없이 이용할 수 있고, 예를 들면 목재 펄프, 합성섬유 등의 친수성 섬유로 이루어지는 섬유 집합체, 또는 상기 섬유 집합체에 입자 형상의 고(高)흡수성 수지를 보유시킨 것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흡수체(4)는 상기 섬유 집합체 등으로 이루어지는 액체 보유성의 흡수성 코어(도시하지 않음)와, 상기 흡수성 코어를 피복하는 액투과성의 코어랩시트(도시하지 않음)를 포함해서 구성되어 있어도 좋고, 그 경우, 흡수성 코어와 코어랩시트 사이는 소정의 부위에 있어서 핫멜트 점착제 등의 접합 수단에 의해 접합되어 있어도 좋다. 흡수성 코어를 피복하는 코어랩시트로서는, 예를 들면 티슈 페이퍼 등의 종이나 각종 부직포, 개공 필름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점착부(15, 16, 17)의 형성 재료(점착제)로서는, 이러한 종류의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 점착부 형성용으로 이용되고 있는 것을 특별히 제한 없이 이용할 수 있고, 예를 들면 스티렌-이소프렌 블록 공중합체(SIS계)나 스티렌-부타디엔 블록 공중합체(SBS계)의 고무계 수지, 아크릴 수지, 실리콘계 수지 등의 점착성 수지를 들 수 있다. 또한 이들 점착제는 연속적으로(면 형상으로) 도포(빈틈없이 칠함)되어 있어도 좋지만, 도포된 영역의 속옷에의 점착제 잔류를 고려하면, 간헐적으로 도포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간헐적인 도포 형태로서는, 예를 들면 스파이럴 형상, 폭방향으로 연장하는 스트라이프 형상, Ω 형상, 점 형상을 들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냅킨(1)은 공지의 날개부를 가지는 생리용 냅킨과 마찬가지로 팬티 등의 속옷에 고정해서 사용한다. 본 실시형태의 냅킨(1)에 있어서는 인쇄에 의한 무늬를 선명하게 해서 그 시각적 효과를 향상시키는 관점에서, 그 비피부 접촉면(3b)에 잉크 부착부(10)에 의한 무늬(20, 30, 40)를 인쇄하고, 또한 그 위에 점착부(15, 16, 17)를 형성하는 구성을 채용하고 있으며, 이런 구성으로 인해, 사용 후에 속옷에서 뗐을 때에 이른바 점착제 잔류가 발생하는 것이 염려되지만, 전술한 점착부 및 무늬의 개량기술의 채용에 의해, 본 실시형태의 냅킨(1)은 점착제 잔류가 발생하기 어렵게 되어 있다.
이상, 본 고안을 그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바탕으로 해서 설명했으나, 본 고안은 상기 실시형태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무늬나 점착부(15, 16, 17)의 배치형태, 평면에서 봤을 때의 형상 등은 상기 실시형태에 제한되지 않고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본 고안의 흡수성 물품의 적용예 중 하나로서 생리용 냅킨을 들었지만, 예를 들면 팬티라이너(분비물 시트), 실금 패드, 일회용 기저귀 등에도 적용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본 고안을 실시예에 의해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고안은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것과 동일한 구성의 생리용 냅킨을 제작하고, 이것을 실시예 1의 샘플로 했다. 단, 실시예 1의 생리용 냅킨의 비피부 접촉면측에 있어서의 점착부 및 무늬의 배치형태는 도 5(a)에 나타내는 형태로 했다. 도 5(a)에 나타내는 형태는 무늬의 배치형태가 도 1에 나타내는 형태와 다르다. 표면시트(2)로서 평량 25g/㎡의 에어스루 부직포를 이용하고, 이면시트(3)로서 평량 37g/㎡의 투습성 시트를 이용했다. 흡수체(4)로서, 고흡수성 수지(SAP)를 50g/㎡ 포함하는 평량 160g/㎡의 시트형상의 흡수체를 이용했다. 무늬의 인쇄는 그라비어 인쇄법으로 실시했다. 실시예 1에서는 상기 S1/S〔속옷 고정 영역의 면적(S)에 대한, 속옷 고정 영역 내의 점착부의 총면적(S1)의 비율〕=55%, 상기 T1/T〔가상 직선에 있어서의 잉크 부착부를 피복하고 있는 점착부와의 겹침 부분의 길이(T)에 대한, 가상 직선에 있어서의 잉크 부착부와의 겹침 부분의 길이의 합계(T1)의 비율〕<50%이었다.
〔실시예 2〕
생리용 냅킨의 비피부 접촉면측에 있어서의 점착부 및 무늬의 배치형태를 도 5(b)에 나타내는 형태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해서 생리용 냅킨을 제작하고, 이것을 실시예 2의 샘플로 했다. 실시예 2에서는 도 5(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속옷 고정 영역(P)에 있어서, 본체 길이방향(Ⅹ)으로 연장하는 직사각형 형상의 5개의 본체 점착부(15a)가 본체 폭방향(Y)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고, 본체 폭방향(Y)으로 서로 인접하는 본체 점착부(15a, 15a)간은 비점착제 도포부(18)로 되어 있다. 5개의 본체 점착부(15a)는 모두 배설부 대향부(A)의 본체 길이방향(Ⅹ)의 전체 길이에 걸쳐서 연장하고 있는 점에서 공통되지만, 이들 5개 중 본체 폭방향(Y)의 중앙에 위치하는 점착부(15a)는 다른 4개의 점착부(15a)에 비해서 본체 길이방향(Ⅹ)의 길이가 짧다. 또한, 실시예 2에 있어서의 무늬(50)는 사각형 형상의 잉크 부착부(10)만으로 이루어진다. 실시예 2에서는 상기 S1/S=37%, 상기 T1/T<50%이었다.
〔비교예 1〕
생리용 냅킨의 비피부 접촉면측에 있어서의 점착부 및 무늬의 배치형태를 도 5(c)에 나타내는 형태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해서 생리용 냅킨을 제작하고, 이것을 비교예 1의 샘플로 했다. 비교예 1에서는 도 5(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속옷 고정 영역(P)에 있어서, 본체 길이방향(Ⅹ)으로 연장하는 직사각형 형상의 2개의 본체 점착부(15b)가 본체 폭방향(Y)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고, 양 본체 점착부(15b, 15b)간은 비점착제 도포부(18)로 되어 있다. 또한, 비교예 1에 있어서의 무늬(51)는 사각형 형상의 잉크 부착부(10)만으로 이루어진다. 비교예 1의 무늬의 배치형태는 실시예 2(도 5(b) 참조)에 비해서, 각 무늬가 크고 인접하는 무늬의 간격이 좁다. 또한, 도 5(c)에는 속옷 고정 영역(P)을 본체 폭방향(Y)으로 횡단하는 가상 직선(Q3), 및 무늬(51)의 가상 직선(Q3)을 따른 길이(t1, t2, t3, t4)가 나타나 있다. 비교예 1에서는 상기 S1/S=83%, 상기 T1/T>50%이었다.
〔비교예 2〕
생리용 냅킨의 비피부 접촉면측에 있어서의 점착부 및 무늬의 배치형태를 도 5(d)에 나타내는 형태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해서 생리용 냅킨을 제작하고, 이것을 비교예 2의 샘플로 했다. 비교예 2에서는 도 5(d)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속옷 고정 영역(P)에 있어서, 본체 길이방향(Ⅹ)으로 연장하는 직사각형 형상의 3개의 본체 점착부(15c)가 본체 폭방향(Y)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고, 본체 폭방향(Y)에 서로 인접하는 본체 점착부(15c, 15c)간은 비점착제 도포부(18)로 되어 있다. 3개의 본체 점착부(15c)는 모두 배설부 대향부(A)의 본체 길이방향(Ⅹ)의 전체 길이에 걸쳐서 연장되어 있는 점에서 공통되지만, 이들 3개 중 본체 폭방향(Y)의 중앙에 위치하는 점착부(15c)는 다른 2개의 점착부(15c)에 비해서 본체 길이방향(Ⅹ)의 길이가 짧다. 또한, 비교예 2에서의 무늬의 배치형태는 비교예 1과 동일하다. 또한, 도 5(d)에는 속옷 고정 영역(P)을 본체 폭방향(Y)으로 횡단하는 가상 직선(Q4), 및 무늬(51)의 가상 직선(Q4)을 따른 길이(t1, t2)가 나타나 있다. 비교예 2에서는 상기 S1/S=34%, 상기 T1/T>50%이었다.
〔평가〕
실시예 및 비교예의 샘플(생리용 냅킨)에 대해서, 점착제 잔류 및 장착시의 비틀림률을 각각 하기 방법에 의해 평가했다. 그들의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낸다.
<점착제 잔류의 평가방법>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무명 모슬린(cotton muslim)으로 이루어지는 시험천(80, 81)을 사용해서, 샘플(S)(생리용 냅킨(1))의 점착제 잔류를 평가한다. 시험천(80)과 시험천(81)은 서로 치수가 다르다. 도 6(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샘플(S)의 흡수성 본체(5)에 있어서의 속옷 고정 영역(P)의 전역을 피복 가능한 크기를 가지는 시험천(80)을 본체 점착부(15)를 통해 속옷 고정 영역(P)에 접합하고, 또한 한쌍의 후방 점착부(17, 17) 각각에 시험천(81)을 접합한다. 또한 한쌍의 날개부(7, 7)를 각각 속옷 고정 영역(P)에 접합된 시험천(80)측으로 젖히고, 전방 점착부(16)를 통해 시험천(80)에 접합한다. 그리고, 시험천(80, 81)이 접합된 측(비피부 접촉면(Sb)측)을 아래로 해서 샘플(S)을 평평한 아크릴판 상에 두고, 도 6(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샘플(S)의 피부 접촉면(Sa) 상의 각 부에 평평한 금속판(사이즈 30×100mm, 두께 6mm, 무게 약 150g)(82)을 놓고, 또한 금속판(82)의 위에서 1kg의 하중을 가하여 40℃, 80%의 항온항습실 안에서 24시간 방치한다. 도 6(b) 중, 흑색으로 빈틈없이 칠한 부분은 하중을 나타낸다. 그 후 하중을 제거하고, 동온습도 중에서 샘플(S)로부터 시험천(80, 81)을 벗기고, 벗겨진 시험천(80)(속옷 고정 영역(P)을 피복하고 있던 시험천)에 있어서의 샘플(S)과의 접합면을 손으로 만져, 손이 끈적거릴 경우는 점착제 잔류 있음으로 하고, 손이 끈적거리지 않을 경우는 점착제 잔류 없음으로 한다. 5개의 샘플에 대해서 상기 순서로 평가하여, 점착제 잔류 있음으로 된 샘플이 1개이하일 경우를 ○, 점착제 잔류 있음으로 된 샘플이 1개 초과 3개이하일 경우를 △, 점착제 잔류 있음으로 된 샘플이 3개 초과일 경우를 ×로 한다.
<장착시의 비틀림률의 평가방법>
도 7(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샘플(S)(생리용 냅킨(1))을 통상의 방법에 따라서 생리용 팬티(90)에 고정하고, 샘플(S)에 3g 인공 혈액을 흡수시켜 구동식 인체 모델(91)에 샘플(S)이 고정된 팬티(90)를 장착시켜서 1시간 보행시킨다. 그 후, 인체 모델(91)에서 팬티(90)를 벗겨, 하기 식에 의해 비틀림률을 산출한다.
비틀림률(%)={(W0-W1)/WO}×100
상기 식 중, W0(도 7(a) 참조)는 "팬티(90)에 고정되어 인체 모델(91)에 장착되기 전의 샘플(S)의 배설부 대향부(A)(날개부(7, 7)간)의 피부 접촉면(Sa)측의 폭방향의 길이"이고, W1은 "인체 모델(91)의 보행 후의, 샘플(S)의 배설부 대향부(A)(날개부(7, 7)간)의 피부 접촉면(Sa)측의 폭방향의 길이"이다. 비틀림률의 값이 작을수록 냅킨이 팬티에 안정적으로 고정되어 있던 것을 나타내어, 고평가가 된다.
Figure utm00001
표 1에 나타내는 결과로부터 명확하듯이, 실시예 1 및 2는 모두 S1/S가 35∼80%이고, T1/T가 50%이하이며, 점착제 잔류가 적고 비틀림률이 낮다. 특히 S1/S가 55%인 실시예 1은 S1/S가 37%인 실시예 2와 비교해서 비틀림률이 낮아, 결과가 좋았다. 이에 반해, 비교예 1은 S1/S가 80%를 넘고, T1/T가 50%를 넘고 있으며, 또한 비교예 2는 T1/T가 50%를 넘고 있어, 모두 점착제 잔류가 많은 결과가 나왔다. 이상으로부터, T1/T가 50%를 넘으면 속옷에의 점착제 잔류가 발생하기 쉽고, T1/T가 50%이하이면 점착제 잔류가 발생하기 어려워지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S1/S가 80%를 넘으면 냅킨의 속옷에 대한 고정성이 향상하여 냅킨의 비틀림의 발생이 억제되는 반면, 무늬의 대부분을 점착부가 덮어버릴 가능성이 높아지기 때문에 속옷에의 점착제 잔류가 발생하기 쉬운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S1/S가 35%미만이면, 점착부의 속옷에 대한 고정성능이 저하하여 냅킨의 비틀림이 발생하기 쉬워져, 비틀림에 기인하는 장착 위치의 어긋남도 발생하기 쉬워지는 것을 알 수 있다.

Claims (6)

  1. 속옷에 고정해서 사용하는 흡수성 물품으로, 액체 보유성의 흡수체 및 상기 흡수체의 비피부 접촉면측에 배치된 이면시트를 구비하는 실질적으로 세로로 긴 흡수성 본체를 구비하고, 상기 이면시트의 비피부 접촉면에, 잉크 부착부를 포함하는 무늬가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상기 흡수성 본체를 속옷에 고정하는 점착부가 상기 무늬의 적어도 일부를 피복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흡수성 물품으로서,
    상기 점착부가 상기 이면시트의 비피부 접촉면에 형성되어 있는 속옷 고정 영역 내에 위치하고 있고, 상기 속옷 고정 영역이 모든 상기 점착부를 포함하면서, 평면에서 봤을 때 사각형 형상의 모든 영역 중 면적이 최소인 것이고, 모든 상기 점착부의 총면적이 상기 속옷 고정 영역 면적의 35∼80%이며,
    상기 속옷 고정 영역 내에 있어서, 상기 무늬와 상기 점착부의 사이즈 비율은 상기 점착부로 피복되어 있는 상기 잉크 부착부 중에서 임의의 것을 선택하여, 그 선택된 잉크 부착부를 지나, 상기 속옷 고정 영역을 본체 폭방향으로 횡단하는 직선을 하나 그었을 경우, 상기 직선에 있어서의 잉크 부착부와의 겹침 부분의 길이의 합계가, 상기 직선에 있어서의 상기 잉크 부착부를 피복하고 있는 점착부와의 겹침 부분의 길이의 50%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면시트의 비피부 접촉면에 다수의 상기 무늬가 본체 폭방향으로 서로 이간해서 형성되어 있고, 각 상기 무늬의 본체 폭방향의 길이가 20mm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
  3. 제1항에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면시트의 비피부 접촉면에 다수의 상기 무늬가 본체 길이방향으로 서로 이간해서 형성되어 있고, 각 상기 무늬의 본체 길이방향의 길이가 25mm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무늬는 본체 폭방향의 길이보다도 본체 길이방향의 길이가 더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무늬는 잉크가 부착되어 있지 않은 비잉크 부착부를 더 포함하면서, 상기 비잉크 부착부가 상기 잉크 부착부로 포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무늬는 상기 점착부를 그 본체 폭방향의 길이를 유지하면서, 본체 길이방향을 따라 전후 각각으로 연장시켜서 이루어지는 연장 영역 내에 위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
KR2020100012961U 2009-12-22 2010-12-15 흡수성 물품 KR20110006581U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9290159A JP5486290B2 (ja) 2009-12-22 2009-12-22 吸収性物品
JPJP-P-2009-290159 2009-12-2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6581U true KR20110006581U (ko) 2011-06-29

Family

ID=441711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12961U KR20110006581U (ko) 2009-12-22 2010-12-15 흡수성 물품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5486290B2 (ko)
KR (1) KR20110006581U (ko)
CN (2) CN201939600U (ko)
TW (1) TWM408353U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486290B2 (ja) * 2009-12-22 2014-05-07 花王株式会社 吸収性物品
US20190001017A1 (en) * 2015-07-03 2019-01-03 Sca Hygiene Products Ab Method of applying a skin beneficial agent to an absorbent article
JP6945404B2 (ja) * 2017-09-28 2021-10-06 大王製紙株式会社 アウター固定タイプ使い捨ておむつ
JP6947859B2 (ja) * 2019-06-11 2021-10-13 花王株式会社 吸収性物品用積層不織布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62567B2 (ja) * 2002-01-09 2006-12-27 大王製紙株式会社 包装生理用ナプキン
JP2004254740A (ja) * 2003-02-24 2004-09-16 Daio Paper Corp 挿入型吸収性物品
JP4185445B2 (ja) * 2003-12-02 2008-11-26 大王製紙株式会社 吸収性物品
US20050145523A1 (en) * 2003-12-30 2005-07-07 Zander Teresa M. Visually coordinated absorbent product
JP4312140B2 (ja) * 2004-10-01 2009-08-12 花王株式会社 通気性シートの製造方法及び吸収性物品の製造方法
EP1942959B1 (en) * 2005-09-13 2014-12-03 Sca Hygiene Products Ab Absorbent articles and laminates containing a bonding pattern
JP5486290B2 (ja) * 2009-12-22 2014-05-07 花王株式会社 吸収性物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M408353U (en) 2011-08-01
CN102106771A (zh) 2011-06-29
JP5486290B2 (ja) 2014-05-07
CN201939600U (zh) 2011-08-24
JP2011130790A (ja) 2011-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177770B2 (ja) 使い捨て吸収性物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5715806B2 (ja) 使い捨ておむつ
JP4773435B2 (ja) 使い捨ておむつ
JP4393108B2 (ja) 吸収性物品
TWI263490B (en) Absorbent article having decoration element
JP5102504B2 (ja) 吸収性物品
KR100798720B1 (ko) 일회용 팬츠형 착용 물품
JP4558356B2 (ja) 吸収性物品
TW201804975A (zh) 吸收性物品
JP5688271B2 (ja) 使い捨ておむつ
JP2616999B2 (ja) 着用物品
TW201801691A (zh) 短褲型拋棄式尿布
KR20110006581U (ko) 흡수성 물품
RU2686511C1 (ru) Впитывающее изделие
JP6305691B2 (ja) 吸収性物品
JP6137911B2 (ja) 使い捨て着用物品
JP4874050B2 (ja) 吸収性物品
JP5133853B2 (ja) 使い捨ておむつ
JP2006181192A (ja) 吸収性物品
WO2018180958A1 (ja) 使い捨てパンツ型おむつ
JP6418637B2 (ja) 吸収性物品
WO2020246383A1 (ja) 吸収性物品
TW201103515A (en) Absorbent article
JP2020195586A5 (ko)
JP2022180120A (ja) 吸収性物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