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05544U - 접이식 정리함 - Google Patents

접이식 정리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5544U
KR20110005544U KR2020110003454U KR20110003454U KR20110005544U KR 20110005544 U KR20110005544 U KR 20110005544U KR 2020110003454 U KR2020110003454 U KR 2020110003454U KR 20110003454 U KR20110003454 U KR 20110003454U KR 20110005544 U KR20110005544 U KR 2011000554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pper ring
pair
state
side supports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345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57228Y1 (ko
Inventor
권순범
Original Assignee
권순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순범 filed Critical 권순범
Publication of KR2011000554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554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722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722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3/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enabling folding of the cabinet or the like
    • A47B43/04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enabling folding of the cabinet or the like made of a rigid frame with walls or door-leaves of textile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metal
    • B65D7/12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metal characterised by wall construction or by connections between walls
    • B65D7/24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metal characterised by wall construction or by connections between walls collapsible, e.g. with all parts detach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metal
    • B65D7/12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metal characterised by wall construction or by connections between walls
    • B65D7/24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metal characterised by wall construction or by connections between walls collapsible, e.g. with all parts detachable
    • B65D7/28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metal characterised by wall construction or by connections between walls collapsible, e.g. with all parts detachable with some parts detachable and other parts hinged togeth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igid Containers With Two Or More Constituent Elements (AREA)
  • Cart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사각형 형태로 형성되는, 상부 고리; 상기 상부 고리의 서로 마주보는 두 변에 각각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상부 고리와 평행한 제1 상태 또는 상기 상부 고리에 수직한 제2 상태에 놓이는, 한 쌍의 측부지지대; 및 상기 한 쌍의 측부지지대에 접근 가능하도록 적어도 하나의 도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상부 고리 및 상기 한 쌍의 측부지지대를 감싸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1 상태에서 접혀지고 상기 제2 상태에서 육면체 형태를 이루는, 외피부재를 포함하는, 접이식 수납함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접이식 정리함{FOLDABLE UTILITY BOX}
본 고안은 의류나 생활용품 등을 수납하여 정리하기 위해 사용되는 정리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다양한 물품을 정리하여 보관하기 위한 상자형 정리함은, 플라스틱, 종이, 목재 등의 재질로 이루어지며, 사각형의 패널들이 나사나 못, 접착제 등의 결합수단에 의해 결합되어 형성된다.
이러한 정리함은 각 패널들의 단단한(rigid) 특성으로 인하여, 그 높이, 크기 및 부피가 정해져 있다. 그에 따라, 정리함의 비사용 시에도 정리함을 보관하기 위해서는 그 부피에 대응되는 많은 공간이 필요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부피가 고정되어 있으므로 그 큰 부피로 인해 운반 또는 취급이 어려운 점이 있으며, 큰 크기의 물품을 보관하기 위한 큰 정리함일수록 이러한 운반 또는 취급 시에 더욱 불편하다.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고안의 일 목적은, 정리함을 박스 형태와 접혀진 형태 간에 전환할 수 있게 하며, 박스 형태에서 제 형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접이식 정리함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일 목적은, 정리함이 박스 형태와 접혀진 형태 간에 전환할 수 있게 하며, 박스 형태에서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하중에 보다 강인하게 제 형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접이식 정리함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일 목적은, 정리함이 박스 형태와 접혀진 형태 간에 전환할 수 있게 하며, 상기 전환을 위한 조작의 편리성을 높일 수 있는, 접이식 정리함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고안의 일 실시에에 따르는 접이식 수납함은, 사각형 형태로 형성되는, 상부 고리; 상기 상부 고리의 서로 마주보는 두 변에 각각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상부 고리와 평행한 제1 상태 또는 상기 상부 고리에 수직한 제2 상태에 놓이는, 한 쌍의 측부지지대; 및 상기 한 쌍의 측부지지대에 접근 가능하도록 적어도 하나의 도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상부 고리 및 상기 한 쌍의 측부지지대를 감싸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1 상태에서 접혀지고 상기 제2 상태에서 육면체 형태를 이루는, 외피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상태에서, 상기 외피부재는, 전면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도어부 중 하나가 형성되고, 양 측면은 상기 한 쌍의 측부지지대 각각과 마주하는, 직육면체 형태를 이루고, 상기 상부 고리의 상기 두 변 외의 다른 일 변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제2 상태에서 상기 전면과 평행한 후면을 마주하도록 배치되는, 후방지지대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한 쌍의 측부지지대 및 후방지지대 각각은, 상기 제2 상태에서 상기 외피부재의 저면에 지지되는 직선 형태의 하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한 쌍의 측부지지대 및 후방지지대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직선 형태의 하부를 구비하는 'U'자형의 제1 지지부재; 및 일 부분은 상기 상부 고리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 부분은 상기 제1 지지부재에 연결되는 제2 지지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지지부재는, 상기 타 부분이 상기 제1 지지부재의 하부에 내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지지부재는, 'U'자 형으로 형성되고, 서로 이격된 양단부가 상기 상부 고리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한 쌍의 측부지지대와 상기 후방지지대 중 적어도 하나의 하부를 감싸고서 상기 하부로부터 돌출하도록 형성되는 스트랩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한 쌍의 측부지지대와 상기 후방지지대 중 적어도 하나에는 아치부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아치부는 상기 상부 고리를 향한 방향으로 볼록하도록 상기 한 쌍의 측부지지대와 상기 후방지지대 중 적어도 하나의 하부에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일 단부는 상기 아치부의 볼록한 부분에 연결되고 타 단부는 상기 상부 고리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보강바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한 쌍의 측부지지대와 상기 후방지지대의 단면은 원형을 이룰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외피부재는 천과 수지 필름 중 적어도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금속 재질로 형성되는 직사각형 형태의 상부 고리; 상기 상부 고리의 서로 마주보는 짧은 두 변에 각각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상부 고리와 평행한 제1 상태 또는 상기 상부 고리에 수직한 제2 상태 간에 전환되고, 'U'자 형태의 제1 지지부재와 상기 제1 지지부재 안에 상기 제1 지지부재에 연결되도록 배치되는 제2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한 쌍의 측부지지대; 및 상기 한 쌍의 측부지지대에 접근 가능하도록 적어도 하나의 도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상부 고리 및 상기 한 쌍의 측부지지대를 감싸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1 상태에서 접혀지고 상기 제2 상태에서 직육면체를 형성하는, 외피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지지부재는, 일 부분은 상기 상부 고리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 부분은 상기 제1 지지부재에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지지부재는, 상기 타 부분이 상기 제1 지지부재의 하부에 내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수납함은, 금속 재질로 형성되는 직사각형 형태의 상부 고리; 상기 상부 고리의 서로 마주보는 짧은 두 변에 각각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상부 고리와 평행한 제1 상태 또는 상기 상부 고리에 수직한 제2 상태 간에 전환되고, 적어도 일 부분에는 아치부가 형성되는, 한 쌍의 측부지지대; 및 상기 한 쌍의 측부지지대에 접근 가능하도록 적어도 하나의 도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상부 고리 및 상기 한 쌍의 측부지지대를 감싸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1 상태에서 접혀지고 상기 제2 상태에서 직육면체 형태를 형성하는, 외피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아치부는 상기 상부 고리를 향한 방향으로 볼록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일 단부는 상기 아치부의 볼록한 부분에 연결되고 타 단부는 상기 상부 고리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보강바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외피부재의 전면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도어부 중 하나가 형성되고, 상기 외피부재의 양 측면은 상기 제2 상태에서 상기 한 쌍의 측부지지대 각각과 마주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상부 고리의 긴 변들 중 일 변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제2 상태에서 상기 전면과 평행한 후면을 마주하도록 배치되는, 후방지지대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외피부재는 천과 수지 필름 중 적어도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본 고안에 따른 접이식 정리함에 의하면, 정리함을 박스 형태와 접혀진 형태 간에 전환할 수 있게 하며, 박스 형태에서 제 형태를 유지할 수 있게 한다. 그에 따라, 정리함을 사용할 때 정리함이 제 형태를 유지하므로 정리함 내의 물건이 정리함의 형태 변화에 의해 영향을 받을 가능성이 낮으며, 사용하지 않을 때는 접어서 최소한의 부피를 차지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정리함이 박스 형태를 유지하는 경우에, 정리함 위에 다른 물건이나 또 다른 정리함을 얹어 하중을 가해도, 정리함은 그러한 하중에 견딜 수 있게 된다.
또한, 위와 같은 정리함의 사용을 위한 상태와 사용하지 않는 상태 간의 전환을 위한 조작이 보다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정리함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접이식 정리함을 제1도어부(410a)가 개방된 상태로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1의 접이식 정리함의 외피부재(400)를 제거한 상태로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일 변형예에 따른 상부 고리(100)와 측부지지대(200)와 후방지지대(300)의 조립체를 보인 사시도,
도 5는 도 1의 접이식 정리함을 제2도어부(410b)가 개방된 상태로 도시한 사시도,
도 6 및 도 7은 도 1의 접이식 정리함이 접히거나 펴지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들,
도 8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측부지지대(500)를 보인 사시도,
도 9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측부지지대(600)를 보인 사시도이다.
먼저, 첨부된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정리함의 구체적 구성을 설명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정리함은, 정리함의 뼈대를 이루는 부분과 외관을 형성하는 부분 등 크게 2 부분으로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뼈대를 이루는 부분은, 도 2 및 도 3과 같이, 상부 고리(100) 및 한 쌍의 측부지지대(200)를 포함하고, 상기 외관을 형성하는 부분은, 도 1과 같이 외피부재(400)를 포함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서는, 상기 뼈대를 이루는 부분은, 상부 고리(100)와 한 쌍의 측부지지대(200)에 더하여, 도 2 및 도 3과 같이 후방지지대(300)를 추가로 포함할 수도 있다.
상부 고리(100), 측부지지대(200), 및 후방지지대(300)는 단면이 원형인 금속 부재이다. 상부 고리(100) 등이 원형의 단면을 가지면, 사용자가 그들을 조작하기 위해 잡기에 편한 이점이 있다.
상부 고리(100)는 직사각 형상을 이루며 수평으로 구비되어 정리함의 직육면체 형상의 상면 네 모서리에 대한 뼈대를 이룬다. 상부 고리(100)는 외피부재(400)의 상단에 고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면(403)의 상단(403')이 상부 고리(100)를 감싼 채로 측면(403)의 나머지 부분에 바느질 등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부 고리(100)가 직사각 형상이고 정리함이 직육면체 형상인 것을 예시하나, 상부 고리(100)가 정사각형이고 정리함이 정육면체인 것도 가능하다. 따라서, 위의 복수의 경우들을 포괄하여, 상부 고리(100)는 사각형이고 정리함은 육면체의 형상을 가지는 것으로 정의할 수도 있다.
상부 고리(100)에는, 도 3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측부지지대(200)를 회동될 수 있게 연결하는 복수의 제1 힌지부(110)와, 후방지지대(300)를 회동될 수 있게 연결하는 복수의 제2 힌지부(120)가 형성된다. 제1·제2힌지부(110, 120)에는 측부지지대(200)와 후방지지대(300)가 회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리세스(recess)가 형성된다. 그러나, 제1·제2힌지부(110, 120)는 그 구성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측부지지대(200)와 후방지지대(300)를 상부 고리(100)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구성이면 어떠한 형태로라도 구현될 수 있다.
한 쌍의 측부지지대(200)는 직사각 형상의 상부 고리(100)의 양측 두 변(길이가 짧은 두 변)에 각각 회동될 수 있게 연결된다. 측부지지대(200)는 상부 고리(100)에 대체로 평행한 상태(제1 상태)에서 상부 고리(100)에 대해 대체로 수직한 상태(제2 상태)로 회동되어 상부 고리(100)를 지지한다. 한 쌍의 측부지지대(200)는 상기 제2 상태에서 정리함[또는 외피부재(400)]의 양 측면 각각과 마주하도록 배치된다.
이를 위해, 도 4를 참조하면, 한 쌍의 측부지지대(200)는 각각 한 변의 중앙부가 개방된 직사각 형상을 이루며, 그 한 변이 상부 고리(100)의 마주보는 양측 두 변에 대응되는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측부지지대(200)는, 달리 설명하자면, 대체로 'U'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그 양 끝단(211)이 상부 고리(100)의 제1힌지부(110)에 각각 회동 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다. 측부지지대(200)의 하부(212)는 직선 형태로 형성되고, 이 하부(212)는 상기 제2 상태에서 외피부재(400)의 저면(404)에 지지된다.
한 쌍의 측부지지대(200)는 구조적 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도 3(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지지부재(210)와 제2지지부재(220)가 결합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제1지지부재(21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U'자 형태로서, 하부(212)가 직선 형태를 이룬다. 제2지지부재(220)는 제1지지부재(210) 안에 위치하도록 제1지지부재(210)에 연결된다. 구체적으로, 제2지지부재(220)도 'U'자 형태로 형성되어, 그 양단(221)은 상부 고리(100)의 제1힌지부(110)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하부(222)의 직선 부분은 제1지지부재(210)의 하부(212)의 직선 부분에 내접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제2지지부재(220)는 제1지지부재(210)에 비해 폭은 좁지만 높이는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상과 달리, 제2지지부재(220)는 제1지지부재(210)의 양측 기둥부(214) 중 어느 하나에서 다른 하나로 연장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한 쌍의 측부지지대(200)의 하부(212)에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트랩(230)이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스트랩(230)은 하부(212)를 감싸고서 하부(212)에서 돌출된 형태로 형성된다. 스트랩(230)의 하부(212)를 감싸는 부분(231)에 의해, 상기 제2 상태에서 측부지지대(200)는 외피부재(400)의 저면(404)에 대해 미끄러지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스트랩(230)의 돌출된 부분(232)은, 사용자가 측부지지대(200)를 상기 제1 상태로 전환시키고자 할 때, 사용자가 손에 쥐고 당길 수 있는 부분이 된다. 결과적으로, 스트랩(230)은 상기 제2 상태에서 정리함의 형태 유지에 도움을 주고, 측부지지대(600)를 상기 제1 상태로 변환시기 위한 조작을 간편하게 한다.
한 쌍의 측부지지대(200)가 상부 고리(100) 및 외피부재(400)를 지지하는 정리함의 양측에 위치한 두 다리의 역할을 수행한다면, 후방지지대(300)는 정리함의 후방측에서 측부지지대(200)를 보조하여 상부 고리(100)와 외피부재(40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그에 의해, 후방지지대(300)는 상부 고리(100)의 긴 변들 중 후면(402)에 가까운 변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후방지지대(100)의 구성은 전술된 측부지지대(200)의 구성과 유사하다. 다시 말해, 후방지지대(100)의 제1·제2지지부재(310, 320)는 측부지지대(200)의 제1·제2지지부재(210)와 각각 유사하다. 또한, 측부지지대(200)가 제1힌지부(110)를 통해 상부 고리(100)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듯이, 후방지지대(300)는 제2힌지부(120)를 통해 상부 고리(100)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나아가, 측부지지대(200)에 스트랩(230)이 구비되는 것과 유사하게, 후방지지대(300)에도 스트랩(330)이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후방지지대(100)의 구체적인 구성 및 작용에 대해서는 측부 지지대(200)의 그것을 참조하고, 생략하기로 한다.
외피부재(400)는, 한 쌍의 측부지지대(200)가 상부 고리(100)에 대해 각각 직각을 이루게 회동된 상기 제2 상태에서, 한 쌍의 측부지지대(200)와 상부 고리(100)에 의해 지지되며, 상부 고리(100)와 한 쌍의 측부지지대(200)를 감싸서 직육면체 형상의 외관을 이룬다. 외피부재(400)는 접힐 수 있는 천 소재 또는 수지 필름 소재의 유연한 재질로 이루어지며, 선택적으로 개방되어 사용자가 내부에 보관 물품을 인입·인출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도어부(410)를 구비한다. 사용자는 도어부(410)를 통해 정리함 내부에하 손을 넣어서 측부지지대(200)와 후방지지대(300)를 상기 제1 상태와 상기 제2 상태 간에 변환하기 위해 조작할 수 있게 된다.
도어부(410)는 외피부재(400)의 직육면체 형상의 상면(405)을 개방할 수 있게 구비되는 제1도어부(410a) 및 그 전면(401)을 개방할 수 있게 구비되는 제2도어부(410b)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접이식 정리함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도어부(410a)가 개방됨에 따라 사용자가 외피부재(400)의 상면을 통해 내부에 보관물품을 인입·출할 수 있고, 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도어부(410b)가 개방됨에 따라 사용자가 외피부재(400)의 전방면을 통해 내부에 보관 물품을 인입·인출할 수도 있다.
제1·제2도어부(410a, 410b)는 각각 지퍼로 개방될 수 있게 구비될 수 있고, 그 지퍼 선(411-1)은 상부 고리(100)와 한 쌍의 측부지지대(200)가 제1·제2도어부(410a, 410b)가 개방됨에 따라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외피부재(400)의 직육면체 형상의 모서리에 대해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되게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제2도어부(410a, 410b)를 선택적으로 개방시킬 수 있는 구성요소로서 지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다양한 방식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도어부(410a)의 전방측 끝단이 벨크로(velcro)와 같은 접착부(413)를 통해 고정 또는 분리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전방측 끝단이 제2도어부(410b)의 지퍼 손잡이(411-2)를 덮지않게 형성된 것을 예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1도어부(410a)의 전방측 끝단이 더 길게 형성되어 제2도어부(410b)의 지퍼 손잡이(411-2)를 덮을 수도 있다.
외피부재(400)의 측면에는 접이식 정리함의 운반을 용이하게 하는 손잡이(420)가 구비되는데, 그 손잡이(420)의 위치, 형상 및 개수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외피부재(400)에는 제1·제2도어부(410a, 410b)가 모두 폐쇄된 상태에서도 내부의 보관 물품을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그 측면에 투명한 수지 등의 재질로 이루어진 투명창(430)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제2도어부(410b)에도 유사하게 투명창(412)이 형성될 수 있다. 물론 또 다른 실시예로서 제1 도어부(410a)에도 이러한 투명창이 형성될 수도 있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설명하지는 않았으나, 접이식 정리함의 내부를 구획할 수 있는 별도의 칸막이가 구비되어, 벨크로 등을 이용해 외피부재(400)의 내면에 설치되어 정리함 내부의 이용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할 수도 있다.
이하, 도 2,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정리함의 사용 및 비사용 상태 간의 전환 과정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물품을 보관하는 사용 상태에서 물품을 보관하지 않는 상태로 정리함을 전환시키는 과정을 설명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도어부(410a)가 개방된 상태에서 한 쌍의 측부지지대(200)와 후방지지대(300)에 구비된 복수의 스트랩(230,330)을 쥐고서 당긴다.
그러면, 상부 고리(100)와 외피부재(400)를 지지하는 다리 역할을 하던 한 쌍의 측부지지대(200)와 후방지지대(300)가 상부 고리(100)에 대해 회동되면서 상부 고리(100)에 대한 지지가 해제된다. 그에 의해 상부 고리(100)가 도 6와 같이 하강하게 된다. 이때, 자연스럽게 외피부재(400)의 네 측면(403)은 접히게 된다.
이후, 한 쌍의 측부지지대(200)와 후방지지대(300)가 상부 고리(100)와 수평으로 겹쳐질 때까지 회동되면(상기 제1 상태가 되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피부재(400)의 측면(403)은 완전히 접혀 접이식 정리함은 얇은 두께를 갖는 판 형상으로 변형된다. 그 후, 제1도어부(410a)를 닫으면 그 보관 및 운반이 용이해진다.
이와 반대로, 작은 부피로 얇게 접힌 비사용 중인 상태에서, 보관물품을 내부에 정리할 수 있는 사용 중인 상태로 변형시키는 방법을 상술한 바의 역순인데,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도어부(410a)를 개방한다. 그리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도어부(410a)를 통해 한 쌍의 측부지지대(200)와 후방지지대(300)를 측면(403)을 향해 밀어 상부 고리(100)에 대해 회동시키면, 한 쌍의 측부지지대(200)와 후방지지대(300)에 의해 상부 고리(100)가 상승한다.
이때, 외피부재(400)의 네 측면(403)은 상부 고리(100)가 상승함에 따라 자연스럽게 접힌 상태에서 펼쳐진 상태가 된다.
이후,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측부지지대(200)가 정리함의 직육면체 형상의 수직의 네 모서리에 대한 뼈대를 이루도록 세워지고, 후방지지대(300)도 상부 고리(100)에 대해 직각을 이루도록 완전히 세워지면, 외피부재(400)의 네 측면(403)도 완전히 펼쳐지면서 직육면체 형상의 정리함이 간편하게 완성된다.
이렇게 한 쌍의 측부지지대(200)와 후방지지대(300)가 완전히 세워진 상태에서는 한 쌍의 측부지지대(200)와 후방지지대(300)에 구비된 복수의 스트랩(230, 330)이 외피부재(400)의 저면(404)에 강하게 압착되면서 미끄럼이 방지됨으로써, 정리함의 사용 상태에서의 구조적 안정성은 더욱 향상되게 된다.
이제, 도 8 내지 도 9을 참조하여, 위의 측부지지대(200)와 후방지지대(300)의 다른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측부지지대(200)의 다른 실시예들(500,600)만을 설명하나, 그 기술적 원리는 후방지지대(300)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8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측부지지대(500)를 보인 사시도이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측부지지대(500)는 대체로 'U'자 형태의 금속 부재이다. 상부의 양 단부(511)는 제1 힌지부(110)를 통해 상부 고리(100, 이상 도 3 참조)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부분이다.
측부지지대(500)의 하부(512)는 대체로 직선형을 이루나, 하부(512)의 중앙에는 아치부(513)가 형성될 수 있다. 아치부(513)는 상부 고리(100)를 향한 방향(도 3 참조)으로 볼록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아치부(513)를 구성함에 의해, 측부지지대(500)를 상부 고리(100)에 수직한 제2 상태로 세울 때, 아치부(513)를 주먹의 측면으로 가볍게 때릴 수 있다. 그에 의해, 외피부재(400)의 저면(404)[및 측면(403)]과의 간섭에 의해 측부지지대(500)를 측면(403)에 밀착시키데 어려울 수 있는 가능성을 낮출 수 있게 된다.
또한, 아치부(513)를 구성함에 의해서, 외피부재(400)의 측면(404)에 밀착된 측부지지대(500)를 간편하게 측면(404)에서 분리시킬 수 있다. 이는 사용자가 아치부(513)에 손가락을 걸어서 측부지지대(500)를 당기면 되기 때문이다. 이러한 아치부(513)의 기능에 의해, 앞선 실시예에서의 스트랩(230, 도 3 참조)이 별도로 구비될 필요가 없게 된다.
이상에서와 달리, 아치부(513)는 한 쌍의 기둥부(514) 중 어느 하나에서 다른 하나를 향한 방향으로 볼록하도록 기둥부(514)에 형성될 수도 있다.
도 9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측부지지대(600)를 보인 사시도이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측부지지대(600)는 역시 대체로 'U'자 형태로 형성되면서 아치부(613)을 구비한다. 측부지지대(600)에서, 아치부(613)는 하부(612)에 2개가 형성된다. 또한, 측부지지대(600)의 상부의 양단부(611)는 역시 상부 고리(100)의 제1 힌지부(110, 이상 도 3 참조)에 회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형태이다.
여기서, 아치부(613)에는 보강바(615)가 연결될 수 있다. 보강바(615)의 일 단부(616)는 아치부(613)의 볼록한 부분에 연결되고, 타 단부(617)는 상부 고리(100)의 제1 힌지부(110)에 회동 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보강바(615)에서 아치부(613)에 가해지는 압축 하중에 대하여, 아치부(613)는 직선형의 하부(612)보다 강인하게 견딜 수 있다. 이는 아치 구조의 압축 하중에 강한 구조적 특성에 기인한다. 따라서, 보강바(615) 자체에 의한 강도적 보강 효과에 더하여, 보강바(615)가 아치부(613)에 연결됨에 의해 측부지지대(600)의 구조적 강성이 보다 향상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2개의 아치부(613) 및 2개의 보강바(615)를 예시하였으나, 필요에 따라서는 아치부(613) 및 보강바(615)가 하나씩만 구비되거나 3개 이상 구비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본 고안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고안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되어 있는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00 : 상부 고리 110 : 제1힌지부
120 : 제2힌지부 200, 500, 600 : 측부지지대
210 : 제1지지부재 220 : 제2지지부재
230, 330 : 스트랩 300 : 후방지지대
310 : 제1지지부재 320 : 제2지지부재
400 : 외피부재 410 : 도어부
410a : 제1도어부 410b : 제2도어부
411 : 지퍼 411-1 : 지퍼 선
411-2 : 지퍼 손잡이 412, 430 : 투명창
413 : 접착부 420 : 손잡이
511,611: 양단부 512,612: 하부
513,613: 아치부 615: 보강바

Claims (20)

  1. 사각형 형태로 형성되는, 상부 고리;
    상기 상부 고리의 서로 마주보는 두 변에 각각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상부 고리와 평행한 제1 상태 또는 상기 상부 고리에 수직한 제2 상태에 놓이는, 한 쌍의 측부지지대; 및
    상기 한 쌍의 측부지지대에 접근 가능하도록 적어도 하나의 도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상부 고리 및 상기 한 쌍의 측부지지대를 감싸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1 상태에서 접혀지고 상기 제2 상태에서 육면체 형태를 이루는, 외피부재를 포함하는, 접이식 수납함.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상태에서, 상기 외피부재는, 전면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도어부 중 하나가 형성되고, 양 측면은 상기 한 쌍의 측부지지대 각각과 마주하는, 직육면체 형태를 이루고,
    상기 상부 고리의 상기 두 변 외의 다른 일 변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제2 상태에서 상기 전면과 평행한 후면을 마주하도록 배치되는, 후방지지대를 더 포함하는, 접이식 수납함.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측부지지대 및 후방지지대 각각은, 상기 제2 상태에서 상기 외피부재의 저면에 지지되는 직선 형태의 하부를 포함하는, 접이식 수납함.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측부지지대 및 후방지지대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직선 형태의 하부를 구비하는 'U'자형의 제1 지지부재; 및
    일 부분은 상기 상부 고리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 부분은 상기 제1 지지부재에 연결되는 제2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접이식 수납함.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지지부재는,
    상기 타 부분이 상기 제1 지지부재의 하부에 내접되도록 형성되는, 접이식 수납함.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지지부재는,
    'U'자 형으로 형성되고, 서로 이격된 양단부가 상기 상부 고리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접이식 수납함.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측부지지대와 상기 후방지지대 중 적어도 하나의 하부를 감싸고서 상기 하부로부터 돌출하도록 형성되는 스트랩을 더 포함하는, 접이식 수납함.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측부지지대와 상기 후방지지대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되는 아치부를 더 포함하는, 접이식 수납함.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아치부는 상기 상부 고리를 향한 방향으로 볼록하도록 상기 한 쌍의 측부지지대와 상기 후방지지대 중 적어도 하나의 하부에 형성되는, 접이식 수납함.
  10. 제9항에 있어서,
    일 단부는 상기 아치부의 볼록한 부분에 연결되고 타 단부는 상기 상부 고리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보강바를 더 포함하는, 접이식 수납함.
  11.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측부지지대와 상기 후방지지대의 단면은 원형을 이루는, 접이식 수납함.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피부재는 천과 수지 필름 중 적어도 하나로 형성되는, 접이식 수납함.
  13. 금속 재질로 형성되는 직사각형 형태의 상부 고리;
    상기 상부 고리의 서로 마주보는 짧은 두 변에 각각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상부 고리와 평행한 제1 상태 또는 상기 상부 고리에 수직한 제2 상태 간에 전환되고, 'U'자 형태의 제1 지지부재와 상기 제1 지지부재 안에 상기 제1 지지부재에 연결되도록 배치되는 제2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한 쌍의 측부지지대; 및
    상기 한 쌍의 측부지지대에 접근 가능하도록 적어도 하나의 도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상부 고리 및 상기 한 쌍의 측부지지대를 감싸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1 상태에서 접혀지고 상기 제2 상태에서 직육면체를 형성하는, 천 소재의 외피부재를 포함하는, 접이식 수납함.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지지부재는, 일 부분은 상기 상부 고리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 부분은 상기 제1 지지부재에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접이식 수납함.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지지부재는,
    상기 타 부분이 상기 제1 지지부재의 하부에 내접되도록 형성되는, 접이식 수납함.
  16. 금속 재질로 형성되는 직사각형 형태의 상부 고리;
    상기 상부 고리의 서로 마주보는 짧은 두 변에 각각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상부 고리와 평행한 제1 상태 또는 상기 상부 고리에 수직한 제2 상태 간에 전환되고, 적어도 일 부분에는 아치부가 형성되는, 한 쌍의 측부지지대; 및
    상기 한 쌍의 측부지지대에 접근 가능하도록 적어도 하나의 도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상부 고리 및 상기 한 쌍의 측부지지대를 감싸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1 상태에서 접혀지고 상기 제2 상태에서 직육면체 형태를 형성하는, 외피부재를 포함하는, 접이식 수납함.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아치부는 상기 상부 고리를 향한 방향으로 볼록하도록 형성되는, 접이식 수납함.
  18. 제17항에 있어서,
    일 단부는 상기 아치부의 볼록한 부분에 연결되고 타 단부는 상기 상부 고리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보강바를 더 포함하는, 접이식 수납함.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외피부재의 전면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도어부 중 하나가 형성되고, 상기 외피부재의 양 측면은 상기 제2 상태에서 상기 한 쌍의 측부지지대 각각과 마주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상부 고리의 긴 변들 중 일 변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제2 상태에서 상기 전면과 평행한 후면을 마주하도록 배치되는, 후방지지대를 더 포함하는, 접이식 수납함.
  20.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외피부재는 천과 수지 필름 중 적어도 하나로 형성되는, 접이식 수납함.
KR2020110003454U 2010-07-19 2011-04-22 접이식 정리함 KR200457228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7552 2010-07-19
KR20100007552 2010-07-1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5544U true KR20110005544U (ko) 2011-06-02
KR200457228Y1 KR200457228Y1 (ko) 2011-12-12

Family

ID=454972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3454U KR200457228Y1 (ko) 2010-07-19 2011-04-22 접이식 정리함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8955704B2 (ko)
KR (1) KR200457228Y1 (ko)
WO (1) WO2012011655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11655A2 (ko) * 2010-07-19 2012-01-26 Kwon Soon Buem 접이식 정리함
KR200464372Y1 (ko) * 2012-02-28 2012-12-31 이종철 정리함
US8985432B2 (en) 2012-10-30 2015-03-24 Rodair Holdings Limited Reusable foldable shipping container
US20150122810A1 (en) * 2013-11-05 2015-05-07 Wen-Da Yang Foldable Storage Device
KR101531351B1 (ko) * 2014-02-21 2015-06-24 천영달 일체 개폐식 리빙박스
US10155643B2 (en) * 2015-09-18 2018-12-18 MCF Distributing, LLC Material handler for construction site
JP7131820B2 (ja) * 2016-03-04 2022-09-06 エコビズ株式会社 折りたたみ式通い箱
US10405621B2 (en) * 2016-04-05 2019-09-10 Amazon Technologies, Inc. Collapsible, lightweight container for sorting and delivery of packaged items
US10273070B2 (en) 2017-05-19 2019-04-30 Paper Systems, Inc. Collapsible container
CN112469647A (zh) * 2018-05-22 2021-03-09 匹克八西普科技股份有限公司 构造成操纵货物的转移站和货物容器分拣方法
US11866225B2 (en) * 2021-03-01 2024-01-09 Fives Intralogistics Corp. Reusable knock-down shipping container
US20220356892A1 (en) * 2021-05-04 2022-11-10 Caravan Canopy Int'l., Inc. Storage container
DE202021104363U1 (de) * 2021-08-16 2021-08-20 Advitex Gmbh Faltbarer Korb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38243A (en) * 1989-04-03 1990-07-03 Foster Michael R Ice fishing shelter
JPH07289362A (ja) 1994-04-25 1995-11-07 Nix:Kk 折りたたみ式ハンガーラックとそれに用いる枠組
JPH11165790A (ja) * 1997-12-05 1999-06-22 Suntory Ltd 反復利用可能なコンテナ内袋
US7353963B1 (en) * 2000-11-22 2008-04-08 Pro-Mart Industries, Inc. Collapsible hamper and handle
US6508376B1 (en) * 2001-09-10 2003-01-21 Chuang-Chih Chiang Hanging file basket
US6409076B1 (en) * 2001-12-10 2002-06-25 Wen-Tsan Wang Combination storage box
US7775388B2 (en) * 2003-07-28 2010-08-17 Quest Diagnostics Investments Incorporated Transport container for hazardous material
US20060163249A1 (en) * 2005-01-26 2006-07-27 Kuang-Huan Fu Collapsible basket
CN2891655Y (zh) * 2006-02-24 2007-04-25 卢孔知 折叠宠物屋
US20080053995A1 (en) * 2006-06-23 2008-03-06 Wen-Tsan Wang Collapsible basket
US7635064B2 (en) * 2006-12-06 2009-12-22 Wen-Tsan Wang Collapsible basket
KR200438375Y1 (ko) 2007-02-05 2008-02-13 주식회사 락앤락 접이식 수납함
KR200445540Y1 (ko) 2007-09-14 2009-08-11 주식회사 락앤락 접이식 수납함
US8342348B2 (en) * 2010-03-03 2013-01-01 Chen-Hsiung Lin Storage box
WO2012011655A2 (ko) * 2010-07-19 2012-01-26 Kwon Soon Buem 접이식 정리함
US8579111B2 (en) * 2011-05-18 2013-11-12 Olaf Dietrich Elze Basketball storage system
US20130284734A1 (en) * 2012-04-27 2013-10-31 Cheng-Hsuan Huang Folding storage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30112686A1 (en) 2013-05-09
WO2012011655A2 (ko) 2012-01-26
KR200457228Y1 (ko) 2011-12-12
WO2012011655A3 (ko) 2012-03-15
US8955704B2 (en) 2015-0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57228Y1 (ko) 접이식 정리함
US10065304B2 (en) Case
WO2011029287A1 (zh) 一种真空包装袋
JP2008230677A (ja) 折り畳み型保冷ボックス
KR20190042932A (ko) 다용도 수납박스
KR20110007938U (ko) 부분개폐가 가능한 접이식 수납함
KR200444509Y1 (ko) 접이식 수납케이스
CN207843624U (zh) 一种可调节容量的折叠收纳盒
KR20120079311A (ko) 수납박스
CN216970332U (zh) 折叠式收纳箱
CN201557776U (zh) 一种立式搁物体
KR200417982Y1 (ko) 상품 포장 상자
CN207721732U (zh) 适用于电磁炉的收纳架
KR200480217Y1 (ko) 테이블 겸용 수납박스
CN217049748U (zh) 一种包装盒
KR200468370Y1 (ko) 접철식 선반
KR20120007339U (ko) 접이식 수납박스
KR101021196B1 (ko) 수납 케이스
JP3246113U (ja) スーツケース
KR20130006643U (ko) 다기능 체결수단을 구비한 접이식 수납함 및 이를 구비한 거치대
CN219166040U (zh) 折叠床
JP3166957U (ja)
WO2013056392A1 (zh) 行李箱结构
JP3223988U (ja) 携帯用バッグ
CN201015496Y (zh) 一种具有收纳功能的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public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6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