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79311A - 수납박스 - Google Patents

수납박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79311A
KR20120079311A KR1020110000539A KR20110000539A KR20120079311A KR 20120079311 A KR20120079311 A KR 20120079311A KR 1020110000539 A KR1020110000539 A KR 1020110000539A KR 20110000539 A KR20110000539 A KR 20110000539A KR 20120079311 A KR20120079311 A KR 201200793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storage box
bottom portion
body portion
fold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005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병성
이상한
박효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지에스홈쇼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지에스홈쇼핑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지에스홈쇼핑
Priority to KR10201100005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79311A/ko
Publication of KR201200793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7931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3/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enabling folding of the cabinet or the like
    • A47B43/04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enabling folding of the cabinet or the like made of a rigid frame with walls or door-leaves of textile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7/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ed to dismountability or building-up from elements
    • A47B47/04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ed to dismountability or building-up from elements made mainly of wood or plastics
    • A47B47/05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ed to dismountability or building-up from elements made mainly of wood or plastics with panels on a separate frame, e.g. a metal frame

Landscapes

  • Rigid Containers With Two Or More Constituent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납박스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수납박스는, 내부에 수납공간이 형성되는 바디부; 및 상기 바디부를 지지하는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바디부의 저면은 접힐 수 있고, 상기 바디부 또는 상기 프레임은 상기 저면에 선택적으로 힘을 작용하는 저면 고정부를 구비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수납박스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수납박스의 부피를 최소화하여, 집 내부 공간의 공간활용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Description

수납박스{Storage box}
본 발명은 수납박스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가정용품, 세탁물 등을 보관할 수 있는 접이식 수납박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에서 각종 가정용품 또는 세탁물 등을 보관하기 위하여 수납박스가 사용된다.
최근에는, 사용자가 운반하기 편리하도록 상기 수납박스를 가벼운 재질로 생산하고, 상기 수납박스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 수납박스의 부피를 최소화하여 공간 활용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수납박스가 요구된다.
본 발명은 수납박스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쉽게 접힐 수 있어서,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는 수납박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운반하는 것이 용이하도록 가벼운 재질로 형성되는 수납박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수납박스는, 내부에 수납공간이 형성되는 바디부; 및 상기 바디부를 지지하는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바디부의 저면은 접힐 수 있고, 상기 바디부 또는 상기 프레임은 상기 저면에 선택적으로 힘을 작용하는 저면 고정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수납박스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수납박스의 부피를 최소화하여, 집 내부 공간의 공간활용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가 큰 힘을 들이지 않고, 상기 수납박스를 운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수납박스가 유연한 재질로 형성되고, 사용자가 상기 수납박스에 부딪히더라도 큰 충격을 받지 않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수납박스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수납박스의 내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프레임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수납박스가 접히기 시작할 때의 개략도.
도 5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수납박스가 어느 정도 접힌 상태의 개략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수납박스의 완전히 접힌 상태의 개략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이 그와 같은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사상을 실시예를 이루는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및 삭제 등에 의해서 다르게 제안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에 포함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수납박스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수납박스의 내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3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프레임의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의한 수납박스(1)에는, 바디부(10)와, 프레임(20)이 포함된다.
상기 바디부(10)는 상기 수납박스(1)의 외형을 형성한다. 상기 바디부(10)는 변형이 가능한 유연한 재질로 형성된다. 일례로, 상기 바디부(10)는 섬유, 천, 나일론 등의 강성이 작은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바디부(10)는 외력이 작용하면 쉽게 휘어지고, 구겨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레임(20)와 같이 상기 바디부(10)를 지지하는 구조물이 제거된다면 형태를 유지하지 못하고, 지면에 주저앉게 될 수 있다.
상기 바디부(10)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상기 바디부의 형상에는 제한이 없다. 상기 바디부(10)는 강성이 없는 유연한 재질로 형성되어 일정한 형상을 유지하지 못하므로, 상기 바디부(10)의 형상은 대부분 상기 프레임(20)에 의해 유지된다.
상기 바디부(10)는 상기 수납박스(1)의 상면을 형성하는 상면부(11)와, 상기 수납박스(1)의 측면을 형성하는 측면부(12)와, 상기 수납박스(1)의 저면을 형성하는 저면부(13)를 포함한다.
상기 바디부(10)에는, 상기 바디부(10)를 개폐할 수 있는 개폐부가 구비된다. 상기 개폐부에는, 상기 상면부(11)에 구비되는 상면 개폐부(111)와, 상기 측면부(121)에 구비되는 측면 개폐부(121)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상면 개폐부(111)는 상기 상면부(11)의 일부분이 절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절개된 부분에는 지퍼가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절개된 부분은 상기 상면부(11)와 선택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지퍼가 닫히면 상기 절개된 부분이 상기 상면부(11)에 고정되고, 상기 상면 개폐부(111)는 상기 바디부(10)를 차폐한다. 이와 반대로, 상기 지퍼가 열리면 상기 절개된 부분이 상기 상면부(11)에서 분리되고, 상기 상면 개폐부(111)가 상기 상면부(11)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바디부(10) 내부에 물품을 넣기 위해, 상기 상면 개폐부(111)를 개방할 수 있다.
상기 상면 개폐부(111)는 상기 수납박스(1) 내부에 수납된 물품의 종류, 양, 상태 등을 외부에서 알 수 있도록 적어도 일부분이 투명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상면 개폐부(111)의 일부분은 투명한 비닐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면 개폐부(111)에는 상기 수납박스(1)의 미감을 향상하기 위한 다양한 무늬가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상면 개폐부(111)에는 소정 무늬가 반복적으로 배치되는 방식에 의하여 미감을 형성할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상기 측면 개폐부(121)는 상기 측면부(12)의 일부분이 절개되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절개된 부분에는 지퍼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측면 개폐부(121)는 상기 상면 개폐부(111)와 형성 위치에 있어서만 차이가 있고, 구조 및 기능의 측면에서는 동일하므로, 상기 상면 개폐부(111)에 대한 설명을 원용하기로 한다.
상기 측면 개폐부(121)에는 상기 상면 개폐부(111)와 같이 적어도 일부분이 투명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측면부(12)에는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손잡이(15)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손잡이(15)는 상기 바디부(10)의 양 측단에 대칭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손잡이(15)는 상기 측면부(12)에서 서로 마주보는 면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손잡이(15)는 손에 무리가 가지 않도록 유연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손잡이(15)는 천, 섬유,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저면부(13)에는 상기 저면부(13)를 다수개의 부분으로 나누는 접힘부(130)가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된다. 일례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저면부(13)에 두 개의 접힘부(130)가 형성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상세히, 상기 저면부(13)는 상기 접힘부(130)에 의하여 중간 저면부(131), 좌측 저면부(132) 및 우측 저면부(133)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좌측 저면부(132) 및 우측 저면부(133)는 일단이 상기 측면부(12)의 하단부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중간 저면부(131)에 연결된다. 상기 중간 저면부(131)는 상기 좌측 저면부(132) 및 상기 우측 저면부(133) 사이에 위치된다.
상기 중간 저면부(131), 상기 좌측 저면부(132) 및 우측 저면부(133)는 상기 수납박스(1)에 물품이 수납되는 경우에는 상기 저면부(13)가 평편하게 되고, 상기 수납박스(1)의 설치면에 밀착되도록 나란히 배치된다.
이와 반대로, 상기 수납박스(1)를 사용하지 않아서, 상기 수납박스(1)의 부피를 줄일 필요가 있을 때에는, 상기 저면부(13)가 접혀서 상기 중간 저면부(131)가 상방으로 이동하고, 상기 좌측 저면부(132) 및 우측 저면부(133)는 상기 수납박스(1)의 설치면과 경사를 형성하도록 기울어진다.
상기 중간 저면부(131), 좌측 저면부(132) 및 우측 저면부(133)의 내부에는 강성이 큰 하드보드지 또는 MDF 등의 강성체(미도시)가 구비된다. 상기 강성체에 의하여 상기 중간 저면부(131), 좌측 저면부(132) 및 우측 저면부(133)는 그 형태를 유지할 수 있고, 외력에 의하여 쉽게 변형되지 않으며, 상기 수납박스(1) 내부에 수납된 수납물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접힘부(130)는 상기 중간 저면부(131), 상기 좌측 저면부(132) 및 우측 저면부(133)의 내부에 구비되는 상기 강성체가 소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중간 저면부(131), 상기 좌측 저면부(132) 및 우측 저면부(133)는 천, 나일론 등의 외피 내부에 하드보드지 등의 강성체가 구비되지만, 상기 접힘부(130)는 외피 내부에 강성체가 구비되지 않는다.
상기 접힘부(130)에는 바느질이 되어 박음질 처리가 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중간 저면부(131), 상기 좌측 저면부(132) 및 우측 저면부(133)의 내부에 구비된 강성체가 어느 정도 고정될 수 있고, 상기 저면부(13)는 상기 접힘부(130)에서 쉽게 접힐 수 있다.
상기 저면부(13)는 상기 중간 저면부(131), 상기 좌측 저면부(132) 및 우측 저면부(133)와 같이 다수개의 조각으로 나누어지지 않고, 하나의 강성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저면부(13)가 하나의 강성체로 형성되고, 상기 접힘부(130)에서 상기 강성체의 두께가 얇아져서 잘 접힐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프레임(20)은 상기 바디부(10)에 결합되어, 상기 바디부(10)를 지지한다. 상기 프레임(20)은 상기 바디부(10)의 내측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20)은, 상기 바디부(10)의 상면부(11)를 지지하는 상면 프레임(21)과, 상기 상면 프레임(21)을 지지하는 측면 프레임(22)과, 상기 저면부(13)를 고정하는 저면고정 프레임(23)이 포함된다.
상기 상면 프레임(21)은 상기 상면부(11)를 지지하여, 상기 상면부(11)가 소정 형상을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상면 프레임(21)은 상기 바디부(10)의 상면부(11)의 테두리부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면 프레임(21)은 직사각형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상면 프레임(21)은 소정 직경의 원통 형상의 바(bar)가 연장되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이러한 바가 절곡되어 직사각형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상면 프레임(21)의 모서리는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상면 프레임(21)의 모서리에 의해 상기 바디부(10)가 찢어지거나, 사용자가 상처를 입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측면 프레임(22)은 상기 상면 프레임(2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세히, 상기 측면 프레임(22)은 상기 상면 프레임(21)과 같이 소정 직경의 원통 형상의 바(bar)가 연장되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이러한 바가 절곡되어 "∪"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측면 프레임(22)이 상기 상면 프레임(21)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방법은 공지의 어떠한 방법이라도 사용될 수 있다. 일례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상면 프레임(21)에 속이 비어있는 원통 형상의 연결부가 구비되고, 상기 연결부에 상기 측면 프레임(22)의 상단부가 삽입되는 방식에 의하여 상기 측면 프레임(22)이 상기 상면 프레임(21)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측면 프레임(22)의 하단부는 상기 상면 프레임(21)을 안정적으로 지지한다. 상기 측면 프레임(22)의 하단부는 충분히 길게 연장될 수 있고, 대략 상기 상면 프레임(22)의 폭에 해당하는 길이만큼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측면 프레임(22)의 하단부는 상기 저면부(13)의 양 측단부에 구비된 측면프레임 고정부(135)에 의하여 고정된다. 상기 측면프레임 고정부(135)는 상기 바디부(10)와 같이 천, 섬유 등과 같이 강성이 약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고, 속이 빈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측면 프레임(22)의 하단부의 일부를 둘러싸서 고정할 수 있다.
상기 저면고정 프레임(23)은 상기 저면부(13)와 선택적으로 접촉하여, 상기 저면부(13)에 선택적으로 힘을 가한다. 상기 저면고정 프레임(23)은 상기 측면 프레임(22)과 같이 상기 상면 프레임(21)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저면고정 프레임(23)의 상단부는 상기 상면 프레임(21)의 측단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하단부는 상기 저면부(13)를 눌러서 상기 저면부(13)가 접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상기 저면고정 프레임(23)은 상기 저면부(13)가 평편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저면부(13)의 일부분을 눌러주고, 상기 저면부(13)가 상기 수납박스(1)의 설치면에 밀착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저면고정 프레임(23)은 상기 중간 저면부(131)와, 상기 좌측 저면부(132) 및 우측 저면부(133)의 일부를 동시에 눌러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저면고정 프레임(23)은 상기 저면부(13)를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상기 저면고정 프레임(23)은 상기 중간 저면부(131)와, 상기 좌측 저면부(132) 및 우측 저면부(133)가 상방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저면고정 프레임(23)이 회동하여 상기 중간 저면부(131)를 누르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중간 저면부(131)는 상방으로 이동할 수 있고, 상기 저면부(13)는 상기 접힘부(130)를 중심으로 접힐 수 있다.
상기 저면고정 프레임(23)는 직사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지만, 상기 저면고정 프레임(23)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저면고정 프레임(23)은 상기 측면 프레임(22)의 길이와 같거나, 상기 측면 프레임(22)보다 약간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저면고정 프레임(23)은 상기 저면부(13)를 눌러줄 때, 상기 저면부(13)에서 이격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눌러줄 수 있게 된다.
상기 저면고정 프레임(23)의 하단부는 상기 저면부(13)와 접촉되는 부분이므로 길고, 평평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저면고정 프레임(23)의 하단부는 상기 중간 저면부(131)의 폭보다는 크고, 상기 저면부(13)의 폭보다는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저면고정 프레임(23)은 상기 측면 프레임(22)의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저면고정 프레임(23)은 상기 상면 프레임(21)의 중앙부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저면고정 프레임(23)은 외부에 드러나지 않도록 천 또는 기타 물질에 의하여 감싸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저면부(13)를 고정하기 위한 강성체는 상기 저면고정 프레임(23) 외에 다른 종류의 강성체가 사용될 수도 있다. 일례로, 상기 저면부(13)를 고정하기 위하여 상기 상면부(11)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플라스틱판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저면고정 프레임(23) 및 상기 플라스틱판과 같이 상기 저면부(13)를 고정하기 위한 강성체를 저면 고정부라고 칭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20)은 금속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납박스(1)의 무게를 가볍게 하기 위해 상기 프레임(20)은 가벼운 재질의 금속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레임(20)은 원통 또는 속에 빈 공간이 형성되는 실린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수납박스가 접히기 시작할 때의 개략도이고, 도 5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수납박스가 어느 정도 접힌 상태의 개략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수납박스의 완전히 접힌 상태의 개략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수납박스(1)의 내부에 빨래 등의 물품을 수납하는 경우에는, 상기 저면고정 프레임(23)이 상기 저면부(13)를 누르고 있고, 상기 측면 프레임(22)이 상기 바디부(10)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수납박스(1)가 내부에 수납공간이 형성되는 직육면체 형상을 유지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상기 수납박스를 사용하지 않고, 부피를 작게 하여 보관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상기 저면고정 프레임(23)을 회전시켜 상기 저면고정 프레임(23)의 하단부를 상기 저면부(13)에서 떼어낸다. 상기 저면고정 프레임(23)이 상기 저면부(13)와 접촉되지 않으면, 상기 저면부(13)는 상기 접힘부(130)를 기준으로 접힐 수 있다.
상기 저면부(13)가 접히면, 상기 중간 저면부(131)는 상방으로 이동하여 상기 수납박스(1)의 설치면에서 소정 간격 이격될 수 있다. 상기 중간 저면부(131)가 상방으로 이동하면, 상기 좌측 저면부(132) 및 우측 저면부(133)는 상기 중간 저면부(131)와 연결되는 부분이 상방으로 이동하여 상기 수납박스(1)의 설치면과 경사지게 배치된다.
또한, 상기 측면 프레임(22)는 상기 수납박스(1)의 내측으로 회전하고, 상기 상면 프레임(21) 및 상기 측면 프레임(22) 사이의 각도가 작아진다. 이에 따라, 상기 좌측 저면부(132) 및 우측 저면부(133)는 점점 상기 수납박스(1)의 중심부로 이동된다.
상기 좌측 저면부(132) 및 우측 저면부(133)는 상기 수납박스(1)의 중심부로 이동하면서, 점점 회전되어 상기 중간 저면부(131)와의 각도가 점점 감소하고, 상기 중간 저면부(131)와 포개진다.
또한, 상기 좌측 저면부(132) 및 우측 저면부(133)는 회전하면서, 상기 좌측 저면부(132) 및 우측 저면부(133)는 원래의 상태에서 뒤집혀져서, 상기 좌측 저면부(132) 및 우측 저면부(133)의 상면은 상기 측면부(12)에 접촉되고, 상기 좌측 저면부(132) 및 우측 저면부(133)의 하면은 상기 중간 저면부(131)의 하면에 접촉될 수 있다.
상기 측면 프레임(22)이 상기 수납박스(1)의 안쪽으로 접히면, 상기 측면 프레임(22)과 상기 상면 프레임(21)이 거의 평행한 상태가 되고, 상기 프레임(20) 전체 높이가 낮아진다. 상기 저면부(13)는 접혀서 상기 상면부(11) 및 측면부(12) 사이에 위치된다. 또한, 상기 프레임(20)에 결합된 상기 바디부(10)는 구겨지고, 상기 프레임(20)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지면에 주저앉는다.
1 : 수납박스 10 : 바디부
11 : 상면부 12: 측면부
13 : 저면부 20 : 프레임
21 : 상면 프레임 22 : 측면 프레임
23: 저면고정 프레임

Claims (5)

  1. 내부에 수납공간이 형성되는 바디부; 및
    상기 바디부를 지지하는 프레임;
    을 포함하고,
    상기 바디부의 저면은 접힐 수 있고, 상기 바디부 또는 상기 프레임은 상기 저면에 선택적으로 힘을 작용하는 저면 고정부를 구비하는 수납박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저면부에는 강성체가 두 개 이상 구비되고, 상기 강성체는 기설정된 간격 이격되는 수납박스.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강성체의 사이에는 접힐 수 있는 접힘부가 형성되고, 상기 접힘부에는 박음질 처리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박스.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접힘부는 상기 저면부를 중간 저면부, 좌측 저면부, 우측 저면부의 세 부분으로 나누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박스.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바디부의 상부의 형상을 유지하는 상면 프레임; 및
    상기 상면 프레임과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측면 프레임
    을 포함하고,
    상기 저면 고정부는 상기 상면 프레임과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저면고정 프레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박스.


KR1020110000539A 2011-01-04 2011-01-04 수납박스 KR2012007931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0539A KR20120079311A (ko) 2011-01-04 2011-01-04 수납박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0539A KR20120079311A (ko) 2011-01-04 2011-01-04 수납박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9311A true KR20120079311A (ko) 2012-07-12

Family

ID=467123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00539A KR20120079311A (ko) 2011-01-04 2011-01-04 수납박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79311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046339A1 (fr) * 2015-12-31 2017-07-07 Ludovic Gardarin Sac pour materiel sportif
KR20200002646U (ko) 2019-05-27 2020-12-08 주식회사 카노 수납 박스
KR20210000803U (ko) 2021-03-22 2021-04-12 주식회사 카노 수납 박스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046339A1 (fr) * 2015-12-31 2017-07-07 Ludovic Gardarin Sac pour materiel sportif
KR20200002646U (ko) 2019-05-27 2020-12-08 주식회사 카노 수납 박스
KR20210000803U (ko) 2021-03-22 2021-04-12 주식회사 카노 수납 박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80053995A1 (en) Collapsible basket
US8955704B2 (en) Foldable utility box
US7229001B2 (en) Folding collapsible rectangular storage box
US20050067474A1 (en) Folding collapsible storage box
KR20150082507A (ko) 수납함
US20130284734A1 (en) Folding storage device
KR20120079311A (ko) 수납박스
KR101308983B1 (ko) 접이식 포장박스
US20030178381A1 (en) Collapsible article holder
US20120111819A1 (en) Foldable Placement Rack
US20090184117A1 (en) Combination storage device
JP3166305U (ja) 多機能物置枠
KR20120041561A (ko) 수납박스
KR200471488Y1 (ko) 다기능 체결수단을 구비한 접이식 수납함 및 이를 구비한 거치대
EP1873075A1 (en) Collapsible basket
KR20170141903A (ko) 건조 및 수납기능이 구비된 소파
US20070210142A1 (en) Folding collapsible storage box
JP3121096U (ja) 座椅子となる折り畳み収納箱
JP3236640U (ja) 宅配ボックス
CN201592804U (zh) 一种可折叠的篮子
KR20090007636U (ko) 운반 및 보관이 용이한 접철식 바구니
JP3101022U (ja) 折り畳み式の置物装置
CN219166040U (zh) 折叠床
US20110085750A1 (en) Folding collapsible bag
WO2011017858A1 (zh) 一种立式搁物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