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42932A - 다용도 수납박스 - Google Patents

다용도 수납박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42932A
KR20190042932A KR1020170134614A KR20170134614A KR20190042932A KR 20190042932 A KR20190042932 A KR 20190042932A KR 1020170134614 A KR1020170134614 A KR 1020170134614A KR 20170134614 A KR20170134614 A KR 20170134614A KR 20190042932 A KR20190042932 A KR 201900429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rage box
cover plate
pair
plate
bottom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346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96504B1 (ko
Inventor
전윤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맘스오피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맘스오피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맘스오피스
Priority to KR10201701346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6504B1/ko
Publication of KR201900429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29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65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65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22Boxes or like containers with side walls of substantial depth for enclosing contents
    • B65D1/225Collapsible box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67/00Chests; Dressing-tables; Medicine cabinets or the like; Cabinet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f draw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22Boxes or like containers with side walls of substantial depth for enclosing contents
    • B65D1/24Boxes or like containers with side walls of substantial depth for enclosing contents with moulded compartments or part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40Details of w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1/00Nestable, stackable or joinable containers; 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2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 B65D21/0201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stackable or joined together side-by-side
    • B65D21/0204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stackable or joined together side-by-side and joined together by interconnecting formations forming part of the container, e.g. dove-tail, snap connections, hook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1/00Nestable, stackable or joinable containers; 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2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 B65D21/0209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stackable or joined together one-upon-the-other in the upright or upside-down position
    • B65D21/0217Containers with a closure presenting stacking elements
    • B65D21/022Containers with a closure presenting stacking elements the bottom presenting projecting peripheral elements receiving or surrounding the closure or peripheral elements projecting therefro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65D51/242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provided with means for facilitating lifting or suspending of the container

Abstract

본 발명은 그 전체구조를 특수하게 구성하여 아주 간편한 방법으로 박스형태로 조립할 수 있어서 사용이 편리하며,
조립과 마찬가지로 매우 간단한 방법으로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어서 포장과 보관 및 유통까지도 모두 편리하며,
수납박스를 구성하는 한쌍의 측면판 내측면에 소정높이로 서로 대향되는 다수개의 거치대를 돌출형성하고 이에 구획판을 수평으로 안착시켜 내부를 여러 층으로 구획할 수 있어서 다양한 종류의 수납물품을 편리하게 분리 수납하여 보관할 수 있으며,
덮개판 상면에 형성된 절첩식 손잡이를 이용하여 수납박스를 들 수 있도록 하여 수납물품이 들어 있는 상태에서도 이동이 매우 용이한 것은 물론,
수납박스를 상측으로 여러 개 적층할 시 하측 수납박스 상측에 또 다른 수납박스를 움직임이 단속된 채로 견실하게 적층할 수 있어 안정성이 확보되며,
수납박스에 인출가능하도록 구비된 인출식연결구를 이용하여 수납박스들을 측면으로 일체형으로 견실하게 연결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사용중에 항상 가지런한 연결상태를가 지속적으로 유지되며,
바닥판 상면에 다양한 점이나 선형태의 돌출돌기 또는 바닥판 상면에 통공이 구비되는 요홈부를 더 형성하여 수납박스 내부에 수납되는 수납물품의 이동이 단속되어 짐과 동시에 수납물품이 바닥판 상면과 이격되어 통풍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므로 보관이 용이하고 수납박스의 이동시 취급주의를 요하는 수납물품들이 부딪혀 깨지거나 서로 뒤죽박죽 섞이는 등의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등 전체적으로 조립 및 보관이 용이하고, 여러 가지 용도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시 여러 가지 이점이 복합적으로 발휘될 수 있는 고품질의 다용도 수납박스에 관한 것으로, 기본적으로 바닥면에 안착되고 전,후 양측과 좌,우 양측에 각각 힌지결합부(101)(102)를 구비한 사각형상의 바닥판(100);
상기 바닥판(100)의 좌,우 양측에 형성된 힌지결합부(102)에 힌지(201)결합되어 바닥판(100) 상면으로 절첩되어지되, 바닥판(100)과 직각으로 기립시 좌,우측 벽면을 형성하는 좌,우 한쌍의 측면판(200);
상기 한쌍의 측면판(200) 상단에 착탈식 결합수단(10)에 의해 결합되어 상부를 커버하는 덮개판(300);
상기 바닥판(100)의 전,후 양측에 형성된 힌지결합부(101)에 힌지(401)결합되어 바닥판(100) 저면으로 절첩되어지되, 바닥판(100)과 직각으로 기립시 록킹수단(20)에 의해 덮개판(300) 또는 한쌍의 측면판(200)에 록킹되어 전,후방 벽면을 형성하는 전,후 한쌍의 개폐판(4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에 그 특징이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다용도 수납박스{Multipurpose storage box}
본 발명은 다용도 수납박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그 전체구조를 특수하게 구성하여 아주 간편한 방법으로 박스형태로 조립할 수 있어서 사용이 편리하며,
조립과 마찬가지로 매우 간단한 방법으로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어서 포장과 보관 및 유통까지도 모두 편리하며,
수납박스를 구성하는 한쌍의 측면판 내측면에 소정높이로 서로 대향되는 다수개의 거치대를 돌출형성하고 이에 구획판을 수평으로 안착시켜 내부를 여러 층으로 구획할 수 있어서 다양한 종류의 수납물품을 편리하게 분리 수납하여 보관할 수 있으며,
덮개판 상면에 형성된 절첩식 손잡이를 이용하여 수납박스를 들 수 있도록 하여 수납물품이 들어 있는 상태에서도 이동이 매우 용이한 것은 물론,
수납박스를 상측으로 여러 개 적층할 시 하측 수납박스 상측에 또 다른 수납박스를 움직임이 단속된 채로 견실하게 적층할 수 있어 안정성이 확보되며,
수납박스에 인출가능하도록 구비된 인출식연결구를 이용하여 수납박스들을 측면으로 일체형으로 견실하게 연결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사용중에 항상 가지런한 연결상태를가 지속적으로 유지되며,
바닥판 상면에 다양한 점이나 선형태의 돌출돌기 또는 바닥판 상면에 통공이 구비되는 요홈부를 더 형성하여 수납박스 내부에 수납되는 수납물품의 이동이 단속되어 짐과 동시에 수납물품이 바닥판 상면과 이격되어 통풍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므로 보관이 용이하고 수납박스의 이동시 취급주의를 요하는 수납물품들이 부딪혀 깨지거나 서로 뒤죽박죽 섞이는 등의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등 전체적으로 조립 및 보관이 용이하고, 여러 가지 용도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시 여러 가지 이점이 복합적으로 발휘되는 다용도 수납박스에 관한 것이다.
수납박스에 관련하여 개시된 문헌으로는 대한민국 실용신안 등록 제20-0311429호(2003.04.11) 및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20-0344002호(2004.02.25)가 있다.
그런데 이에 개시된 수납박스, 수납함 들은 모두 그 구조가 너무 간단하고 분해가 용이하지 못하고 분해시 부피를 최소화할 수 없어서 포장과 보관 및 유통이 매우 불편하며,
조립구조에도 거의 특이점이 없고 조립 후 내부를 여러 층으로 구획하여 다양한 종류의 수납물품을 편리하게 분리 수납하여하는 등의 구조도 전혀 없으며,
수납박스를 상측으로 여러 개 적층할 시 안정성의 확보가 어렵고,
수납박스들을 측면으로 연속적으로 연결하고자 할 경우에는 이들을 특수한 방법으로 일체형으로 견실하게 연결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단순히 수납박스들을 밀착시켜주는 것일 뿐이어서 연결된 상태가 불안정할 뿐만 아니라, 외부의 작은 충격에도 연결상태가 삐뚤 빼뚤 해지고, 수납물품이 깨지거나 마구 흐트러지며, 무엇보다도 자칫 잘못하면 소정높이로 적층된 수납박스가 낙하하면서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도 있는 문제점이 항상 존재하였다.
그러는 한편, 이들은 대부분 바닥면이 평평하고 통기가 잘되지 않아서, 수납박스의 이동시 수납물품의 이리저리 굴러다니고, 통풍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아 수납물품의 보관 상태가 양호하지 못한 등의 여러 가지 문제점으로 인해 다용도로 안심하고 편리하게 사용하기에는 사용상의 제약이 많았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그 전체구조를 특수하게 구성하여 아주 간편한 방법으로 박스형태로 조립할 수 있어서 사용이 편리하며,
조립과 마찬가지로 매우 간단한 방법으로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어서 포장과 보관 및 유통까지도 모두 편리하며,
수납박스를 구성하는 한쌍의 측면판 내측면에 소정높이로 서로 대향되는 다수개의 거치대를 돌출형성하고 이에 구획판을 수평으로 안착시켜 내부를 여러 층으로 구획할 수 있어서 다양한 종류의 수납물품을 편리하게 분리 수납하여 보관할 수 있으며,
덮개판 상면에 형성된 절첩식 손잡이를 이용하여 수납박스를 들 수 있도록 하여 수납물품이 들어 있는 상태에서도 이동이 매우 용이한 것은 물론,
수납박스를 상측으로 여러 개 적층할 시 하측 수납박스 상측에 또 다른 수납박스를 움직임이 단속된 채로 견실하게 적층할 수 있어 안정성이 확보되며,
수납박스에 인출가능하도록 구비된 인출식연결구를 이용하여 수납박스들을 측면으로 일체형으로 견실하게 연결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사용중에 항상 가지런한 연결상태를가 지속적으로 유지되며,
바닥판 상면에 다양한 점이나 선형태의 돌출돌기 또는 바닥판 상면에 통공이 구비되는 요홈부를 더 형성하여 수납박스 내부에 수납되는 수납물품의 이동이 단속되어 짐과 동시에 수납물품이 바닥판 상면과 이격되어 통풍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므로 보관이 용이하고 수납박스의 이동시 취급주의를 요하는 수납물품들이 부딪혀 깨지거나 서로 뒤죽박죽 섞이는 등의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등 전체적으로 조립 및 보관이 용이하고, 여러 가지 용도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시 여러 가지 이점이 복합적으로 발휘될 수 있는 고품질의 다용도 수납박스를 제공하고자 함에 그 목적을 둔 것이다.
상기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에 기재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용도 수납박스는, 기본적으로 바닥면에 안착되고 전,후 양측과 좌,우 양측에 각각 힌지결합부를 구비한 사각형상의 바닥판;
상기 바닥판의 좌,우 양측에 형성된 힌지결합부에 힌지결합되어 바닥판 상면으로 절첩 되어지되, 바닥판과 직각으로 기립시 좌,우측 벽면을 형성하는 좌,우 한쌍의 측면판;
상기 한쌍의 측면판 상단에 착탈식 결합수단에 의해 결합되어 상부를 커버하는 덮개판;
상기 바닥판의 전,후 양측에 형성된 힌지결합부에 힌지결합되어 바닥판 저면으로 절첩 되어지되, 바닥판과 직각으로 기립시 록킹수단에 의해 덮개판 또는 한쌍의 측면판에 록킹되어 전,후방 벽면을 형성하는 전,후 한쌍의 개폐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다용도 수납박스는 바닥판에 힌지결합된 좌,우 한쌍의 측면판을 수직으로 세운 다음 결합수단을 이용하여 덮개판을 결합한 상태에서 록킹장치를 이용하여 전,후 한쌍의 개폐판을 닫아 록킹되도록 하는 아주 간편한 방법으로 다용도 수납박스를 조립완성할 수 있어 사용이 매우 편리하고,
포장과 보관 및 유통시에는 조립과 반대로 전후 한쌍의 개폐판을 열어 펼친다음 덮개판을 분리시킨 후 좌, 한쌍의 측면판을 바닥판 상면 내측으로 접고 바닥판 저면 내측으로는 전,후 한쌍의 개폐판을 접는 간단한 방법으로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으므로 포장과 보관 및 유통이 매우 용이한 이점이 있다.
또한, 수납박스를 구성하는 한쌍의 측면판 내측면에 소정높이로 서로 대향되는 다수개의 거치대를 돌출형성하고 이에 구획판을 수평으로 안착시켜서 내부를 여러 층으로 구획할 수 있어서 다양한 종류의 수납물품을 편리하게 분리 수납하여 보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덮개판 상면에 형성된 절첩식 손잡이를 이용하여 수납박스를 들어 매우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수납박스를 상측으로 여러 개 적층하여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하측 수납박스의 덮개판 상면 모서리의 소정위치에 형성된 안착홈부에 상측 수납박스의 바닥판 저면 모서리의 소정위치에 형성된 안착돌기를 결합하는 방법으로 하측 수납박스 상측에 또 다른 수납박스를 움직임이 단속된 채로 견실하게 적층할 수 있으므로 안정성이 확보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수납박스를 측면으로 연속해서 연결하고자 할 경우에는 일측 수납박스에 구비된 인출식연결구의 연결돌기를 인출시킨 상태에서 타측 수납박스의 덮개판을 인출식연결구의 연결돌기 및 측면판에 동시에 결합하여 주면 되는데 이와 같이 하면 인출식연결구에 의해 수납박스들을 측면으로 일체형으로 견실하게 연결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사용중에 항상 가지런한 연결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러는 한편, 바닥판 상면에 다양한 점이나 선형태의 돌출돌기를 더 형성한 경우에는 내부에 수납되는 수납물품의 이동이 단속되어 짐과 동시에 수납물품이 바닥판 상면과 이격되어 통풍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므로 보관이 용이하고 수납박스의 이동시 취급주의를 요하는 수납물품들이 부딪혀 깨지거나 서로 뒤죽박죽 섞이는 등의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이점도 있는데,
이와 같은 이점은 바닥판 상면에 통공이 구비되는 요홈부를 더 형성한 경우도 마찬가지로 발휘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조립 및 보관이 용이하고, 여러 가지 용도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시 여러 가지 이점이 복합적으로 발휘되는 것이어서 사용자가 오랫동안 안심하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매우 획기적인 발명임이 분명하다.
도 1은 본 발명으로서 전체구성을 나타낸 일부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으로서 착탈식 결합수단의 일 구성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으로서 덮개판을 결합한 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으로서 펼쳐진 상태의 개폐판을 회전시켜 닫고자 하는 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으로서 수납박스를 박스형태로 조립완료한 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으로서 바박판상면에 점 또는 선형태의 돌출돌기를 형성한 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으로서 조립된 수납박스를 상측으로 적층하는 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으로서 수납박스를 측면으로 연결하는 상태도.
도 9는 본 발명으로서 덮개판을 분해한 후 한쌍의 측면판을 바닥판 상명 내측으로 접는 과정을 보인 상태도.
도 10은 본 발명으로서 한쌍의 측면판을 바닥판 상명 내측으로 접은 상태도.
도 11은 본 발명으로서 개폐판을 접기 위해 수납박스를 뒤집은 상태도.
도 12는 본 발명으로서 개폐판을 접는 과정을 보인 상태도.
도 13은 본 발명으로서 수납박스를 접는 과정을 완료한 상태도.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이며,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와 다르게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요소 또는 공지 방법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 및 구체적인 도시를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제 축척대로 도시된 것이 아니라 일부 구성요소의 치수가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용도 수납박스는 첨부도면 도 1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본적으로 바닥판(100), 좌,우 한쌍의 측면판(200), 덮개판(300), 전,후 한쌍의 개폐판(4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바닥판(100)은 바닥면에 안착되는 것으로서 사각형상으로 형성되고 좌,우 양측과 전,후 양측에 각각 힌지결합부(101)(102)가 구비된다.
여기서 전,후 양측에 구비되는 힌지결합부(101)는 바닥판 상면보다 하측에 위치된다. 그리고 상기 좌,우 양측에 구비되는 힌지결합부(102)는 바닥판 상면보다 상측에 위치된다.
또한, 상기 좌,우 한쌍의 측면판(200)은 상기 바닥판(100)의 좌,우 양측에 형성된 힌지결합부(102)에 힌지(201) 결합되어 바닥판(100) 상면으로 절첩된다. 그리고 바닥판(100)과 직각으로 기립시 좌,우측 벽면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덮개판(300)은 상기 한쌍의 측면판(200) 상단에 착탈식 결합수단(10)에 의해 결합되어 상부를 커버한다.
그리고 상기 전,후 한쌍의 개폐판(400)은 상기 바닥판(100)의 전,후 양측에 형성된 힌지결합부(101)에 힌지(401) 결합되어 바닥판(100) 저면으로 절첩되어 진다. 그리고 바닥판(100)과 직각으로 기립시 록킹수단(20)에 의해 덮개판(300) 또는 한쌍의 측면판(200)에 록킹되어 전,후방 벽면을 형성한다.
여기서, 본 발명에서의 착탈식 결합수단(10)은, 한쌍의 측면판(200) 상단의 소정위치에 결합요홈부(210)를 형성하고,
상기 덮개판(300) 저면에는 결합요홈부(210)에 결합되는 결합돌기부(310)를 형성하여서,
덮개판(300) 결합시 상기 측면판(200)의 결합요홈부(210)에 덮개판(300)의 결합돌기부(310)를 결합하여서 덮개판(300)이 고정되도록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본 발명에서의 록킹수단(20)은,
상기 한쌍의 개폐판(400) 상부 소정위치에 각각 걸림공(420)을 형성하고 상기 덮개판(300)의 전,후방에는 걸림공(420)에 결합되는 걸림돌기(320)를 형성하여 이들의 결합으로 개폐판(400)이 록킹되도록 이루어질 수도 있는 것은 물론,
상기 한쌍의 개폐판(400) 상부 소정위치에 각각 걸림돌기(미도시)를 형성하고 상기 좌,우 한쌍의 측면판(200)의 전 후방에는 걸림돌기가 결합되는 걸림공(미도시)을 형성하여서 이들의 결합으로 개폐판(400)이 록킹되도록 이루어질 수도 있는 등 다양한 형태로 구성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한쌍의 개폐판(400)을 모두 투명체로 구성하거나, 모두 반투명으로 구성할 수도 있는 것은 물론, 어느 하나만을 투명체로 구성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좌,우 한쌍으로된 측면판(200)의 내측면 소정높이에 서로 대향되는 거치대(230)를 다수개 돌출형성하고,
이에 구획판(231)을 수평으로 안착시켜서,
내부를 여러 층으로 구획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덮개판(300)의 상면에 절첩식 손잡이(330)를 더 구성하여서,
손잡이(330)를 상측으로 세운 후 손으로 잡고 들어 수납박스(1)를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덮개판(300) 상면 모서리의 소정위치에는 안착홈부(340)를 형성하고,
상기 바닥판(100) 저면 모서리의 소정위치에는 안착홈부(340)에 안착되는 안착돌기(140)를 형성하여서,
이들의 결합으로 하측 수납박스(1) 상측에 또 다른 수납박스(1)를 적층하되, 움직임이 단속된 채로 견실하게 적층 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덮개판(300)의 좌측 또는 우측의 소정위치에 선단에 연결돌기(351)가 구비된 인출식연결구(350)를 출몰가능하게 구성하여서,
일측 수납박스(1)에 타측 수납박스(1)를 측면으로 연속해서 연결할 시,
일측 수납박스(1)에 구비된 인출식연결구(350)의 연결돌기(351)를 인출시킨 상태에서 타측 수납박스(1)의 덮개판(300)을 인출식연결구(350)의 연결돌기(351) 및 측면판(200)에 동시에 결합하여서 수납박스(1)들을 측면으로 일체형으로 견실하게 연결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바닥판(100) 상면에 다양한 점이나 선형태의 돌출돌기(110)를 더 형성하여서,
내부에 수납되는 수납물품의 이동을 단속함과 동시에 수납물품을 바닥판(100) 상면과 이격시켜 통풍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할 수도 있는 것은 물론,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바닥판(100) 상면에 통공이 구비되는 요홈부를 더 형성하여서,
내부에 수납되는 원이나 원통형 형태의 수납물품의 이동을 단속함과 동시에 통풍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다용도 수납박스의 사용상태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사용 목적에 따라 다양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 즉, 의류, 신발, 문구, 완구는 물론 그 밖에 각종 생활용품들을 수납할 수 있다.
그러기 위해서는 박스형태로 조립하여야 하는데,
먼저, 첨부도면 도 1과 같이 바닥판(100)의 좌,우 양측에 형성된 힌지결합부(102)에 힌지(201) 결합된 채로 펼쳐진 상태의 한쌍의 측면판(200)을 수직으로 세운다.
그런 다음, 도 2 및 도 3과 같이 상기 한쌍의 측면판(200) 상부에 덮개판(300)을 착탈식 결합수단(10)을 이용하여 덮어씌운다.
즉, 상기 측면판(200)의 결합요홈부(210)에 덮개판(300)의 결합돌기부(310)를 결합하여서 덮개판(300)을 조립 고정한다.
그런 다음에는 상기 바닥판(100)의 전,후 양측에 형성된 힌지결합부(101)에 힌지(401)결합 되어진 채로 펼쳐진 상태의 한쌍의 개폐판(400)을 도 4 및 도 5와 같이 수직으로 기립시키되, 록킹수단(20)을 이용하여 덮개판(300) 또는 한쌍의 측면판(200)에 록킹시킨다.
즉, 상기 개폐판(400)의 걸림공(420)이 덮개판(300)의 걸림돌기(320)에 걸어지도록 하여서 록킹되도록 하거나,
또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한쌍의 개폐판(400) 상부 소정위치에 각각 걸림돌기를 형성하고 상기 좌,우 한쌍의 측면판(200)의 전,후방에는 걸림돌기가 결합되는 걸림공을 형성한 경우에는 상기 개폐판(400)의 걸림돌기를 측면판(200)의 걸림공에 걸어지도록 하여서 록킹되도록 하면 된다.
이와 같이 하여 박스형태로 본 발명의 다용도 수납박스를 조립완성한 후에는 일측 개폐판(400)을 손가락파지부(410)를 잡고 잡아당기면 록킹이 해제되면서 개폐판(400)이 힌지(401)를 중심으로 개방되므로 내부에 다양한 형태의 수납물품을 넣을 수 있으며, 수납 후에는 열었던 개폐판(400)을 다시 닫으면 상기한 록킹수단(20)에 의해 다시 록킹되어 닫은 상태가 유지된다.
여기서 상기 한쌍의 개폐판(400)은 모두 투명체로 구성하거나 모두 반투명으로 구성하거나 어느 하나만을 투명체로 구성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는데,
내용물이 속옷과 같이 외부에서 보이는 것이 부담스럽거나 또는 완구와 같이 아이들이 쉽게 확인할 수 있는 것인가와 같이 수납물품의 종류에 따라서 선택하여 사용하면 되는 것이다.
그러는 한편, 본 발명의 다용도 수납박스(1)내에 얇은 책자나 의류 또는 높이가 높지 않은 신발들을 서로 분리 보관하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 좌,우 한쌍으로된 측면판(200)의 내측면 소정높이에 서로 대향되는 다수개 돌출형성된 거치대(230)에 구획판(231)을 수평으로 안착시켜서 내부를 여러 층으로 구획한 다음 분리 수납하여 보관하면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덮개판(300) 상면에 절첩식 손잡이(330)를 더 구성하면 손잡이(330)를 이용하여 수납박스(1)를 들어 이동할 수 있으므로 이동시 매우 편리하다.
그러는 한편, 도 6과 같이 본 발명에서 상기 바닥판(100) 상면에 다양한 점이나 선형태의 돌출돌기(110)를 더 형성한 경우에는 내부에 수납되는 수납물품의 이동이 단속되어 짐과 동시에 수납물품이 바닥판(100) 상면과 이격되어 통풍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므로 보관이 용이하고 수납박스(1)의 이동시 취급주의를 요하는 수납물품들이 부딪혀 깨지거나 서로 뒤죽박죽 섞이는 등의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도 7과 같이 본 발명의 수납박스(1)를 상측으로 여러 개 적층하여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하측 수납박스(1)의 덮개판(300) 상면 모서리의 소정위치에 형성된 안착홈부(340)에 상측 수납박스(1)의 바닥판(100) 저면 모서리의 소정위치에 형성된 안착돌기(140)를 결합하는 방법으로 하측 수납박스(1) 상측에 또 다른 수납박스(1)를 적층할 수 있는데, 이와 같이 움직임이 단속된 채로 견실하게 적층 되므로 안정성이 증대 된다.
그리고 도 8과 같이 본 발명의 수납박스(1)를 측면으로 연속해서 연결하고자 할 경우에는 일측 수납박스(1)에 구비된 인출식연결구(350)의 연결돌기(351)를 인출시킨 상태에서 타측 수납박스(1)의 덮개판(300)을 인출식연결구(350)의 연결돌기(351) 및 측면판(200)에 동시에 결합하여 주면 되는데 이와 같이 하면 인출식연결구(350)에 의해 수납박스(1)들을 측면으로 일체형으로 견실하게 연결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사용중에 항상 가지런한 연결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이번에는 상기 본 발명의 다용도 수납박스를 해체하여 포장하거나 보관하고자 할 경우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다용도 수납박스를 해체하고자 할 경우에는 먼저, 도 1과 같이 수납박스(1)를 구성하는 전,후 양측의 개폐판(400)을 손으로 잡아당겨 펼친 다음, 덮개판(300)을 분리시킨다.
그런 다음에는 도 10과 같이 일측 측면판(200)을 바닥판(100) 상면 내측으로 접은 후 타측 측면판(200)을 바닥판(100) 상면 내측으로 접는다.
이와 같이 하여 한쌍의 측면판(200)을 모두 바닥판(100) 상면 내측으로 접은 상태에서 이번에는 도 11과 같이 수납박스(1)를 거꾸로 뒤집은 상태에서 전, 후 양측의 개폐판(400)들을 도 12와 같이 바닥판(100)의 저면 내측으로 접는다.
이와 같이 하면 도 13과 같이 상기 수납박스(1)를 부피가 최소화되므로 포장 및 보관 그리고 유통이 매우 용이하다.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일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러한 일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함은 물론이다.
1:수납박스 10:착탈식 결합수단
20:록킹수단 100:바닥판
101,102:힌지결합부 110:돌출돌기
140:안착돌기 201,401:힌지
200:측면판 210:결합요홈부
230:거치대 231:구획판
300:덮개판 310:결합돌기부
320:걸림돌기 330:절첩식 손잡이
340:안착홈부 350:인출식연결구
351:연결돌기 400:개폐판
420:걸림공

Claims (9)

  1. 바닥면에 안착되고 전,후 양측과 좌,우 양측에 각각 힌지결합부(101)(102)를 구비한 사각형상의 바닥판(100);
    상기 바닥판(100)의 좌,우 양측에 형성된 힌지결합부(102)에 힌지(201)결합되어 바닥판(100) 상면으로 절첩되어지되, 바닥판(100)과 직각으로 기립시 좌,우측 벽면을 형성하는 좌,우 한쌍의 측면판(200);
    상기 한쌍의 측면판(200) 상단에 착탈식 결합수단(10)에 의해 결합되어 상부를 커버하는 덮개판(300);
    상기 바닥판(100)의 전,후 양측에 형성된 힌지결합부(101)에 힌지(401)결합되어 바닥판(100) 저면으로 절첩되어지되, 바닥판(100)과 직각으로 기립시 록킹수단(20)에 의해 덮개판(300) 또는 한쌍의 측면판(200)에 록킹되어 전,후방 벽면을 형성하는 전,후 한쌍의 개폐판(4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수납박스.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착탈식 결합수단(10)은,
    한쌍의 측면판(200) 상단의 소정위치에 결합요홈부(210)를 형성하고,
    상기 덮개판(300) 저면에는 결합요홈부(210)에 결합되는 결합돌기부(310)를 형성하여서,
    덮개판(300) 결합시 상기 측면판(200)의 결합요홈부(210)에 덮개판(300)의 결합돌기부(310)를 결합하여서 덮개판(300)이 고정되도록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수납박스.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수단(20)은,
    상기 한쌍의 개폐판(400) 상부 소정위치에 각각 걸림공(420)을 형성하고 상기 덮개판(400)의 전,후방에는 걸림공(420)에 결합되는 걸림돌기(320)를 형성하여 이들의 결합으로 개폐판(400)이 록킹되도록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수납박스.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 한쌍으로된 측면판(200)의 내측면 소정높이에 서로 대향되는 거치대(230)를 다수개 돌출형성하고,
    이에 구획판(231)을 수평으로 안착시켜서,
    내부를 여러 층으로 구획할 수 있도록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수납박스.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판(300)은,
    상면에 절첩식 손잡이(330)를 더 형성하여서,
    손잡이(330)를 이용하여 수납박스(1)를 들어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수납박스.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판(300) 상면 모서리의 소정위치에는 안착홈부(340)를 형성하고,
    상기 바닥판(100) 저면 모서리의 소정위치에는 안착홈부(340)에 안착되는 안착돌기(140)를 형성하여서,
    이들의 결합으로 하측 수납박스(1) 상측에 또 다른 수납박스(1)를 적층 하되, 움직임이 단속된 채로 견실하게 적층 될 수 있도록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수납박스.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판(300)의 좌측 또는 우측의 소정위치에 선단에 연결돌기(351)가 구비된 인출식연결구(350)를 출몰가능하게 구성하여서,
    일측 수납박스(1)에 타측 수납박스(1)를 측면으로 연속해서 연결할 시,
    일측 수납박스(1)의 덮개판(300)에 구비된 인출식연결구(350)의 연결돌기(351)를 인출시킨 상태에서 타측 수납박스(1)의 덮개판(300)을 인출식연결구(350)의 연결돌기(351) 및 측면판(200)에 동시에 결합하여서 수납박스(1)들을 측면으로 일체형으로 견실하게 연결될 수 있도록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수납박스.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개폐판(400)은
    모두 투명체로 구성하거나 모두 반투명으로 구성하거나 어느 하나만을 투명체로 구성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수납박스.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판(100) 상면에 다양한 점이나 선형태의 돌출돌기(110)를 더 형성하여서,
    내부에 수납되는 수납물품의 이동을 단속함과 동시에 수납물품을 바닥판(100) 상면과 이격시켜 통풍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수납박스.
KR1020170134614A 2017-10-17 2017-10-17 다용도 수납박스 KR1019965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4614A KR101996504B1 (ko) 2017-10-17 2017-10-17 다용도 수납박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4614A KR101996504B1 (ko) 2017-10-17 2017-10-17 다용도 수납박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2932A true KR20190042932A (ko) 2019-04-25
KR101996504B1 KR101996504B1 (ko) 2019-07-04

Family

ID=662836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34614A KR101996504B1 (ko) 2017-10-17 2017-10-17 다용도 수납박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96504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654150A (zh) * 2020-08-04 2020-09-11 江西科技学院 一种带有夹紧机构的易拆装式电机
KR200493901Y1 (ko) * 2020-06-19 2021-06-23 김현수 폴딩박스용 쉘프 브릿지 구조
KR102305937B1 (ko) * 2020-03-19 2021-09-27 정정용 조립식 서랍장의 절첩시스템
KR20220051528A (ko) * 2020-10-19 2022-04-26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휴대가 간편하고 서랍이 구비된 조립식 옷걸이
CN114718668A (zh) * 2022-04-01 2022-07-08 华能(大连)热电有限责任公司 一种打闸手柄防护罩及其制作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8781B1 (ko) * 2021-02-19 2023-04-06 (주)모스트비주얼 접철식 포장 박스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13563U (ko) * 1995-09-19 1997-04-25 내쇼날푸라스틱 주식회사 절첩식 상자의 단측판에 부설된 투명도어
JPH101139A (ja) * 1996-06-14 1998-01-06 Kawashima Kagaku Kk 連結容器
KR200224221Y1 (ko) * 2000-12-22 2001-05-15 조광희 농산물 포장용 상자
KR200250096Y1 (ko) * 2001-05-28 2001-11-16 김진희 음식물 저장용기
KR20110007431U (ko) * 2010-01-20 2011-07-27 이재현 박스형 수납함
KR101307235B1 (ko) * 2013-04-23 2013-09-11 한국컨테이너풀 주식회사 로킹장치를 갖는 절첩식 상자
KR101392898B1 (ko) * 2013-04-23 2014-05-14 옥윤선 다단의 수납박스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13563U (ko) * 1995-09-19 1997-04-25 내쇼날푸라스틱 주식회사 절첩식 상자의 단측판에 부설된 투명도어
JPH101139A (ja) * 1996-06-14 1998-01-06 Kawashima Kagaku Kk 連結容器
KR200224221Y1 (ko) * 2000-12-22 2001-05-15 조광희 농산물 포장용 상자
KR200250096Y1 (ko) * 2001-05-28 2001-11-16 김진희 음식물 저장용기
KR20110007431U (ko) * 2010-01-20 2011-07-27 이재현 박스형 수납함
KR101307235B1 (ko) * 2013-04-23 2013-09-11 한국컨테이너풀 주식회사 로킹장치를 갖는 절첩식 상자
KR101392898B1 (ko) * 2013-04-23 2014-05-14 옥윤선 다단의 수납박스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5937B1 (ko) * 2020-03-19 2021-09-27 정정용 조립식 서랍장의 절첩시스템
KR200493901Y1 (ko) * 2020-06-19 2021-06-23 김현수 폴딩박스용 쉘프 브릿지 구조
CN111654150A (zh) * 2020-08-04 2020-09-11 江西科技学院 一种带有夹紧机构的易拆装式电机
KR20220051528A (ko) * 2020-10-19 2022-04-26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휴대가 간편하고 서랍이 구비된 조립식 옷걸이
CN114718668A (zh) * 2022-04-01 2022-07-08 华能(大连)热电有限责任公司 一种打闸手柄防护罩及其制作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96504B1 (ko) 2019-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96504B1 (ko) 다용도 수납박스
US10722012B2 (en) Suitcase
US11259634B1 (en) Foldable drawer storage device
US10343702B2 (en) Technologies for caddy assemblies
WO2017024287A1 (en) Multipurpose crate with legs
GB2507859A (en) Collapsible shelving unit
US3923356A (en) Portable work or display table
US2203240A (en) Nested box
US3242960A (en) Chestes, shelf boxes and similar household storage and display devices
KR101358789B1 (ko) 절첩식 운반 상자
US10765202B2 (en) Foldable locker assembly
US1950168A (en) Storage chest
KR101508732B1 (ko) 포장용 상자
JP2016137945A (ja) 折り畳み式収納箱
KR200444509Y1 (ko) 접이식 수납케이스
KR200491731Y1 (ko) 포장 및 전시용 박스
KR102161496B1 (ko) 접이식 다용도 수납상자
KR200480217Y1 (ko) 테이블 겸용 수납박스
KR102300407B1 (ko) 수납공간이 구비되는 다목적 테이블
KR20140040573A (ko) 수납실이 형성된 책상
US8292106B2 (en) Mountable and demountable stackable container having vertical plastic walls and stiff flat bottom
KR20110008231U (ko) 유아용 테이블
KR20180007409A (ko) 휴대용 접이식 포장박스
JP2006137449A (ja) 仕切り付き収納箱
JP6380518B2 (ja) 収納付きヘッドボー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