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05344U - 움직임 검출 장치 - Google Patents

움직임 검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5344U
KR20110005344U KR2020100004830U KR20100004830U KR20110005344U KR 20110005344 U KR20110005344 U KR 20110005344U KR 2020100004830 U KR2020100004830 U KR 2020100004830U KR 20100004830 U KR20100004830 U KR 20100004830U KR 20110005344 U KR20110005344 U KR 2011000534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tal plate
vout
voltage
power supply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483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59133Y1 (ko
Inventor
박성진
Original Assignee
박성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성진 filed Critical 박성진
Priority to KR202010000483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9133Y1/ko
Publication of KR2011000534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534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913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913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145Indicating the presence of current or voltage
    • G01R19/155Indicating the presence of voltag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7/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techniqu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5/00Details of measuring arrangements of the types provided for in groups G01R17/00 - G01R29/00, G01R33/00 - G01R33/26 or G01R35/00
    • G01R15/14Adaptations providing voltage or current isolation, e.g. for high-voltage or high-current networks
    • G01R15/144Measuring arrangements for voltage not covered by other subgroups of G01R15/14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5/00Details of measuring arrangements of the types provided for in groups G01R17/00 - G01R29/00, G01R33/00 - G01R33/26 or G01R35/00
    • G01R15/14Adaptations providing voltage or current isolation, e.g. for high-voltage or high-current networks
    • G01R15/22Adaptations providing voltage or current isolation, e.g. for high-voltage or high-current networks using light-emitting devices, e.g. LED, optocoupl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미니 로봇, 전자 완구 등의 여러 분야에서 응용이 가능한 물체의 움직임을 검출하기 위해, 통 모양의 장치의 내벽에 금속판 조각을 붙여 전원(Vcc)을 공급하고, 쇠구슬에 전압 출력용(Vout) 전선을 연결하여 통 모양의 장치 속에 넣어 두어, 장치가 움직이면 쇠구슬이 구르면서 금속판과 접촉하면서 전기 신호를 발생시키는 구성으로, 쇠구슬이 장치 속에서 구르면서 금속판과 붙었다가 떨어졌다 하면서 출력 전압(Vout) 신호가 바뀌는 것을 검출하여 물체의 움직임을 검출할 수 있도록 된 움직임 검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움직임 검출 장치는, 내벽에 금속판이 구비되고 상기 금속판에 전원(Vcc)이 공급되는 통 모양의 장치; 상기 장치의 통 내부에 위치하고 전압 출력용(Vout) 전선이 연결된 쇠구슬; 및 상기 장치가 움직이면 상기 쇠구슬이 상기 금속판과 접촉하면서 상기 금속판의 전원(Vcc)이 상기 쇠구슬을 통해 상기 전압 출력용(Vout) 전선으로 흐르면서 전기 신호가 발생됨에 따른 출력 전압(Vout) 신호가 바뀌는 것을 검출하는 전압 검출부를 포함한다.
본 고안에 의하면, 시간 지연없이 물체의 움직임을 인식할 수 있는 센서모듈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센서모듈을 이용하여 검출된 물체의 움직임에 따른 특정한 소리(sound)나 빛을 다양하게 제공할 수 있는 완구 및 게임기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물체의 움직임을 감지함에 따라 특정 장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장치나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움직임 검출 장치{Motion detecting apparatus}
본 고안은 움직임 검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자세하게는 미니 로봇, 전자 완구 등의 여러 분야에서 응용이 가능한 물체의 움직임을 검출하기 위해, 원통 모양의 장치의 내벽에 금속판 조각을 붙여 전원(Vcc)을 공급하고, 쇠구슬에 전압 출력용(Vout) 전선을 연결하여 원통 모양의 장치 속에 넣어 두어, 장치가 움직이면 쇠구슬이 구르면서 금속판과 접촉하면서 전기 신호를 발생시키는 구성으로, 쇠구슬이 장치 속에서 구르면서 금속판과 붙었다가 떨어졌다 하면서 출력 전압(Vout) 신호가 바뀌는 것을 검출하여 물체의 움직임을 검출할 수 있도록 된 움직임 검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다양한 기술적 어플리케이션에서는 움직이는 물체의 위치 또는 위치 변경의 정확한 측정이 요구된다. 일 예로서, 반도체 산업에서 적용되는 리소그래픽 프로젝션 장비(tool) 및 웨이퍼 검사 장비는 반도체 웨이퍼의 위치 변경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요구한다. 또 하나의 사용 분야는 인쇄 회로 기판(PCB) 산업을 포함하는데, 여기서 PCB의 위치에 대한 정보가, PCB 상에 부품을 장착하고, PCB 상에 패턴을 인쇄하거나 또는 PCB를 검사하는 동안 요구된다.
한편, 물체의 변위를 측정하기 위해 격자(grating)를 채택하는 다양한 광학 측정 시스템이 존재한다. 이러한 시스템은 광원, 광 검출기 및 격자를 포함하는 광학 검출 수단을 포함한다. 광학 검출 수단은 격자 위에 거리를 두고 위치한다. 이 거리는, 움직임의 타입(면 내에서의 이동, 면 내에서의 회전, 면을 벗어나는 이동, 면을 벗어나는 회전)이 시스템에 의해 측정될 수 있는 격자 및 광학 측정 수단에 의존한다.
단일 면 내에서의 이동(translation)을 측정하기 위해, 격자는 그러한 이동의 방향에서 주기적인 격자 패턴을 가진다. 면 내에서의 이동과 면을 벗어나는 이동 둘 다를 측정하기 위해, 이들 두가지 이동의 방향에서 주기적인 격자 패턴이 요구된다. 광원의 스폿 크기에 비해 이동이 큰 어플리케이션을 위해 격자에 의해 커버되는 영역은, 가능한 이동의 전체 범위에 대한 이동을 검출하기 위해 커야 한다. 이는 특히 면 내에서의 이동 둘 다가 검출되거나 측정되어야 하는 상황에서다.
물체의 이동을 측정하기 위한 큰 격자는 특정 어플리케이션에 대해 많은 측면에서 불리할 수 있다. 예컨대 큰 격자는 제조하기 어려울 수 있는데, 왜냐하면 격자 패턴의 높은 정확성의 주기성은 더 큰 영역에 대해 실현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이에, 그러한 격자에 대한 비용이 비교적 높다. 또한, 큰 격자는 어플리케이션 시스템에 있어서 상당한 공간을 요구한다. 또한, 일부 어플리케이션에 있어서, 격자는 높은 가속도에 노출되어 있고 또한 온도 변화로부터 야기되는 무시할만한 크기 변동 특성(낮은 열 팽창 계수)을 가지도록 요구된다. 따라서 크고 무거운 격자는 바람직하지 않으며, 시간 지연없이 물체의 움직임을 인식할 수 있는 센서모듈이 요구되고 있다.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목적은, 미니 로봇, 전자 완구 등의 여러 분야에서 응용이 가능한 물체의 움직임을 검출하기 위해, 통 모양의 장치의 내벽에 금속판 조각을 붙여 전원(Vcc)을 공급하고, 쇠구슬에 전압 출력용(Vout) 전선을 연결하여 통 모양의 장치 속에 넣어 두어, 장치가 움직이면 쇠구슬이 구르면서 금속판과 접촉하면서 전기 신호를 발생시키는 구성으로, 쇠구슬이 장치 속에서 구르면서 금속판과 붙었다가 떨어졌다 하면서 출력 전압(Vout) 신호가 바뀌는 것을 검출하여 물체의 움직임을 검출할 수 있도록 된 움직임 검출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움직임 검출 장치는, 측부 내벽에 일 방향을 따라 일정한 모양을 가진 하나 이상의 금속판이 일정한 간격을 가지도록 부착되고 상기 금속판 각각에 전원(Vcc)이 공급되는 통 모양의 장치; 상기 통 모양의 장치의 통 내부에 위치하고 전압 출력용(Vout) 전선이 연결된 하나의 쇠구슬; 및 상기 통 모양의 장치가 움직이면, 상기 쇠구슬이 상기 일 방향을 따라 구르면서 상기 금속판 중 적어도 하나의 금속판에 접촉하는 경우 상기 금속판의 전원(Vcc)이 상기 쇠구슬을 통해 상기 전압 출력용(Vout) 전선으로 흐르면서 전기 신호가 발생되고, 상기 쇠구슬이 상기 금속판 어느 것에도 접촉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전원(Vcc)이 전압 출력용 전선으로 흐르지 않게 되고, 이에 따라 출력 전압(Vout) 신호가 바뀌는 것을 검출하는 전압 검출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통 모양의 장치의 측부 내벽을 수직으로 자른 단면은 원형, 사각형, 육각형, 팔각형 중 하나의 모양을 갖는다.
한편,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시스템은, 측부 내벽에 일 방향을 따라 일정한 모양을 가진 하나 이상의 금속판이 일정한 간격을 가지도록 부착되고 상기 금속판 각각에 전원(Vcc)이 공급되며, 전압 출력용(Vout) 전선이 연결된 하나의 쇠구슬이 상기 통 내부에 위치한 구조를 갖는 움직임 검출 장치; 상기 움직임 검출 장치가 움직이면, 상기 쇠구슬이 상기 일 방향을 따라 구르면서 상기 금속판 중 적어도 하나의 금속판과 접촉하는 경우 상기 금속판의 전원(Vcc)이 상기 쇠구슬을 통해 상기 전압 출력용(Vout) 전선으로 흐르면서 전기 신호가 발생되고, 상기 쇠구슬이 상기 금속판 어느 것에도 접촉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전원(Vcc)이 전압 출력용 전선으로 흐르지 않게 되고, 이에 따라 출력 전압(Vout) 신호가 바뀌는 것을 검출하는 전압 검출부; 상기 전압 검출부를 통해 상기 출력 전압(Vout) 신호가 바뀌는 것이 검출되면, 점등 명령을 출력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 상기 움직임 검출 장치의 움직임을 알리도록 점등하는 점등기; 및 상기 점등 명령에 따라 상기 점등기로 점등 신호를 인가하는 점등 처리부를 포함한다.
또한,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시스템은, 측부 내벽에 일 방향을 따라 일정한 모양을 가진 하나 이상의 금속판이 일정한 간격을 가지도록 부착되고 상기 금속판 각각에 전원(Vcc)이 공급되며, 전압 출력용(Vout) 전선이 연결된 하나의 쇠구슬이 상기 통 내부에 위치한 구조를 갖는 움직임 검출 장치; 상기 움직임 검출 장치가 움직이면, 상기 쇠구슬이 상기 일 방향을 따라 구르면서 상기 금속판 중 적어도 하나와 접촉하는 경우 상기 금속판의 전원(Vcc)이 상기 쇠구슬을 통해 상기 전압 출력용(Vout) 전선으로 흐르면서 전기 신호가 발생되고, 상기 쇠구슬이 상기 금속판 어느 것에도 접촉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전원(Vcc)이 전압 출력용 전선으로 흐르지 않게 되고, 이에 따라 출력 전압(Vout) 신호가 바뀌는 것을 검출하는 전압 검출부; 상기 전압 검출부를 통해 상기 출력 전압(Vout) 신호가 바뀌는 것이 검출되면, 음향 출력 명령을 출력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 상기 움직임 검출 장치의 움직임을 알리는 특정 음향을 출력하는 스피커; 및 상기 음향 출력 명령에 따라 상기 스피커로 음향 출력 신호를 인가하는 음향 처리부를 포함한다.
본 고안에 의하면, 시간 지연없이 물체의 움직임을 인식할 수 있는 센서모듈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센서모듈을 이용하여 검출된 물체의 움직임에 따른 특정한 소리(sound)나 빛을 다양하게 제공할 수 있는 완구 및 게임기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물체의 움직임을 감지함에 따라 특정 장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장치나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움직임 검출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움직임 검출 장치의 분해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장치의 움직임 검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움직임 검출 장치가 적용된 시스템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고안의 목적과 기술적 구성 및 그에 따른 작용 효과에 관한 자세한 사항은 본 고안의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에 의거한 이하 상세한 설명에 의해 보다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일반적으로, 센서(sensor)는 온도·압력, 소리·빛 등 여러 종류의 물리량을 검지·검출하거나 판별·측정하여 신호로 전달하는 기능을 갖춘 소자(素子)를 의미하며, 외부의 신호를 인식하여 프로세서(cpu)에 입력하기 위한 중개체라고 할 수있다.
센서에서 인식된 값에 따라 소정의 결과를 도출 및 이로 인하여 어떤 동작(action)을 수행하게 되는데, 센서의 값이 정확하지 못하면, 그 이후의 프로세스는 아무런 효용가치를 가지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그 센서의 인식 정확도가 가장 중요한 관건이 된다.
이와 같은 센서는 다양하게 적용되고 있으며, 산업기기로봇, 정밀기기 등은 물론 완구에 이르기까지 그 활용은 다양하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움직임 검출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움직임 검출 장치(100)는, 내벽에 금속판(120)이 구비되고 금속판(120)에 전원(Vcc)이 공급되는 통 모양의 장치(110); 장치의 통 내부에 위치하고 전압 출력용(Vout) 전선이 연결된 쇠구슬(130); 및 장치가 움직이면 쇠구슬(130)이 금속판(120)과 접촉하면서 금속판(120)의 전원(Vcc)이 쇠구슬(130)을 통해 전압 출력용(Vout) 전선으로 흐르면서 전기 신호가 발생됨에 따른 출력 전압(Vout) 신호가 바뀌는 것을 검출하는 전압 검출부(140)를 포함한다.
여기서, 장치의 통 모양은 원통, 사각통, 육각통, 팔각통 중 하나의 모양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통 모양의 장치(110) 내벽에 부착된 금속판(120)은, 일정 크기를 가지며 통 모양의 장치(110)의 내벽에 일정 간격으로 부착되어 있다.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움직임 검출 장치의 분해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움직임 검출 장치(100)는, 원통 모양의 장치(110)를 펼쳐 놓으면 가로 길이와 세로 길이로 이루어진 직사각형 모양의 형상을 이루고 있고, 이렇게 펼쳐진 직사각형 모양의 장치(110) 상에는 일정 간격으로 일정 크기를 갖는 금속판(120)들이 부착되어 있다.
이때, 금속판(120)도 가로 길이와 세로 길이를 갖는 직사각형 모양 또는 정사각형 모양으로 하나 이상으로 원통 모양의 장치(110) 내벽에 부착된다. 물론, 금속판(120)의 모양을 직사각형이나 정사각형이 아닌 삼각형 모양이나 오각형 모양, 육각형 모양, 원 모양 등으로도 구현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금속판(120)들에는 전원(Vcc)이 각각 연결되어, 예컨대, +5V 이상의 전원(Vcc)이 각각 공급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쇠구슬(130)의 경우 저항(R)을 통해 접지되어 있고, 쇠구슬(130)과 저항(R) 사이에 전압 출력용(Vout) 전선이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쇠구슬(130)이 원통 모양의 장치(110) 내부에서 구르게 될 때 금속판(120)과 접촉하게 되고, 쇠구슬(130)이 금속판(120)과 접촉할 때마다 금속판(120)에 공급된 전원(Vcc)이 쇠구슬(130)을 통해 저항(R)으로 흐르면서 접지로 흐르게 되며, 전압 출력용(Vout) 전선과 접지 사이에 출력 전압(Vout)이 발생하게 된다.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장치의 움직임 검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통 모양의 장치(110)는 사람의 움직임을 감지하고자 할 경우 사람의 몸에 휴대하도록 할 수 있으며, 완구 로봇의 움직임을 감지하고자 할 경우 완구 로봇의 내부에 구비하도록 할 수 있다. 이 외에도 통 모양의 장치(110)는 물체의 움직임을 감지하고자 할 경우 해당 물체의 내부에 구비하도록 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물체의 내부에 구비된 통 모양의 장치(110)는 물체가 움직이게 됨에 따라 함께 통 모양의 장치(110)가 움직이게 된다(S310).
이에, 통 모양의 장치(110) 내부에 위치한 쇠구슬(130)이 통 모양 장치(110)의 내벽에 부착된 금속판(120)에 접촉한다(S320).
이렇게 쇠구슬(130)이 금속판(120)에 접촉하는 순간, 금속판(120)의 전원(Vcc)이 쇠구슬(130)을 통해 전압 출력용(Vout) 전선으로 흐른다(S330).
이어, 쇠구슬(130)이 통 모양의 장치(110) 내부에서 계속 굴러 금속판(120)에서 떨어지는 경우 금속판(120)의 전원(Vcc)이 쇠구슬(130)을 통해 전압 출력용(Vout) 전선으로 흐르지 않게 된다. 다시 쇠구슬(130)이 굴러 다음 금속판(120)에 접촉하는 경우 금속판(120)의 전원(Vcc)이 쇠구슬(130)을 통해 전압 출력용(Vout) 전선으로 흐르게 된다.
이어, 전압 검출부(140)는 쇠구슬(130)이 금속판(120)에 접촉 또는 비접촉 됨에 따른 출력 전압(Vout) 신호가 바뀌는 것을 검출한다(S340).
따라서, 출력 전압(Vout) 신호가 바뀌는 것을 검출함에 따라 통 모양 장치가 설치된 물체가 움직인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S350).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움직임 검출 장치가 적용된 시스템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움직임 검출 장치(100)가 적용된 시스템(400)은, 움직임 검출 장치(100), 마이크로 프로세서(410), 음향 처리부(420), 스피커(422), 점등 처리부(430) 및 점등기(432)를 포함한다.
마이크로 프로세서(410)는 움직임 검출 장치(100)의 전압 검출부(140)로부터 쇠구슬(130)이 금속판(120)에 접촉 또는 비접촉 됨에 따른 출력 전압(Vout) 신호가 바뀌는 것을 검출한 검출 신호를 인가받으면, 음향을 출력하도록 하는 음향출력 명령 또는 점등하도록 하는 점등 명령을 음향 처리부(420) 또는 점등 처리부(430)로 전달한다.
음향 처리부(420)는 마이크로 프로세서(410)로부터 음향출력 명령을 인가받으면 스피커(422)로 해당 음향 신호를 출력한다. 이때, 스피커(422)는 움직임 검출 장치(100)의 움직임을 알리는 해당 음향 신호를 가청음으로 출력한다.
점등 처리부(430)는 마이크로 프로세서(410)로부터 점등 명령을 전달받으면 전구나 조명기기 등의 점등기(432)로 점등 온(ON) 신호를 인가한다. 따라서, 점등기(432)는 점등 온(ON) 신호에 따라 점등되어 움직임 검출 장치(100)의 움직임을 알리는 해당 불빛을 발광하게 된다.
즉, 전술한 구성의 시스템(400)에서는 움직임 검출 장치(100)로부터 출력 전압(Vout) 신호가 바뀌는 것을 검출한 마이크로 프로세서(410)가 음향 처리부(420)로 음향 출력 명령을 인가하고, 그에 따라 음향 처리부(420)가 스피커(422)를 통해 물체의 움직임에 대응된 특정 음향을 출력하게 된다.
또한, 움직임 검출 장치(100)로부터 출력 전압(Vout) 신호가 바뀌는 것을 검출한 마이크로 프로세서(410)가 점등 처리부(430)로 점등 명령을 인가하고, 그에 따라 점등 처리부(430)가 점등기(432)를 통해 물체의 움직임에 대응된 특정 불빛을 발광하게 되는 것이다.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물체의 이동이나 움직임을 검출하면, 해당 음향을 출력하거나 해당 빛을 발광하는 예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물체의 이동이나 움직임을 검출하면, 그에 대응된 화면(장면)을 디스플레이하는 장치나 시스템 등에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미니 로봇, 전자 완구 등의 여러 분야에서 응용이 가능한 물체의 움직임을 검출하기 위해, 원통 모양의 장치의 내벽에 금속판 조각을 붙여 전원(Vcc)을 공급하고, 쇠구슬에 전압 출력용(Vout) 전선을 연결하여 원통 모양의 장치 속에 넣어 두어, 장치가 움직이면 쇠구슬이 구르면서 금속판과 접촉하면서 전기 신호를 발생시키는 구성으로, 쇠구슬이 장치 속에서 구르면서 금속판과 붙었다가 떨어졌다 하면서 출력 전압(Vout) 신호가 바뀌는 것을 검출하여 물체의 움직임을 검출할 수 있도록 된 움직임 검출 장치를 실현할 수 있다.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고안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고안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고안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고안은 물체의 이동이나 움직임 등을 검출하기 위한 장치나 시스템 등에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물체의 이동이나 움직임을 검출하여 그에 대응된 음향을 출력하거나 빛을 발광하거나 해당 장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장치나 시스템에 적용할 수 있다.
100 : 움직임 검출 장치 110 : 통 모양의 장치
120 : 금속판 130 : 쇠구슬
140 : 전압 검출부 400 : 시스템
410 : 마이크로 프로세서 420 : 음향 처리부
422 : 스피커 430 : 점등 처리부
432 : 점등기

Claims (4)

  1. 측부 내벽에 일 방향을 따라 일정한 모양을 가진 하나 이상의 금속판이 일정한 간격을 가지도록 부착되고 상기 금속판 각각에 전원(Vcc)이 공급되는 통 모양의 장치;
    상기 통 모양의 장치의 통 내부에 위치하고 전압 출력용(Vout) 전선이 연결된 하나의 쇠구슬; 및
    상기 통 모양의 장치가 움직이면, 상기 쇠구슬이 상기 일 방향을 따라 구르면서 상기 금속판 중 적어도 하나의 금속판에 접촉하는 경우 상기 금속판의 전원(Vcc)이 상기 쇠구슬을 통해 상기 전압 출력용(Vout) 전선으로 흐르면서 전기 신호가 발생되고, 상기 쇠구슬이 상기 금속판 어느 것에도 접촉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전원(Vcc)이 전압 출력용 전선으로 흐르지 않게 되고, 이에 따라 출력 전압(Vout) 신호가 바뀌는 것을 검출하는 전압 검출부;
    를 포함하는 움직임 검출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 모양의 장치의 측부 내벽을 수직으로 자른 단면은 원형, 사각형, 육각형, 팔각형 중 하나의 모양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움직임 검출 장치.
  3. 측부 내벽에 일 방향을 따라 일정한 모양을 가진 하나 이상의 금속판이 일정한 간격을 가지도록 부착되고 상기 금속판 각각에 전원(Vcc)이 공급되며, 전압 출력용(Vout) 전선이 연결된 하나의 쇠구슬이 상기 통 내부에 위치한 구조를 갖는 움직임 검출 장치;
    상기 움직임 검출 장치가 움직이면, 상기 쇠구슬이 상기 일 방향을 따라 구르면서 상기 금속판 중 적어도 하나의 금속판과 접촉하는 경우 상기 금속판의 전원(Vcc)이 상기 쇠구슬을 통해 상기 전압 출력용(Vout) 전선으로 흐르면서 전기 신호가 발생되고, 상기 쇠구슬이 상기 금속판 어느 것에도 접촉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전원(Vcc)이 전압 출력용 전선으로 흐르지 않게 되고, 이에 따라 출력 전압(Vout) 신호가 바뀌는 것을 검출하는 전압 검출부;
    상기 전압 검출부를 통해 상기 출력 전압(Vout) 신호가 바뀌는 것이 검출되면, 점등 명령을 출력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
    상기 움직임 검출 장치의 움직임을 알리도록 점등하는 점등기; 및
    상기 점등 명령에 따라 상기 점등기로 점등 신호를 인가하는 점등 처리부;
    를 포함하는 시스템.
  4. 측부 내벽에 일 방향을 따라 일정한 모양을 가진 하나 이상의 금속판이 일정한 간격을 가지도록 부착되고 상기 금속판 각각에 전원(Vcc)이 공급되며, 전압 출력용(Vout) 전선이 연결된 하나의 쇠구슬이 상기 통 내부에 위치한 구조를 갖는 움직임 검출 장치;
    상기 움직임 검출 장치가 움직이면, 상기 쇠구슬이 상기 일 방향을 따라 구르면서 상기 금속판 중 적어도 하나와 접촉하는 경우 상기 금속판의 전원(Vcc)이 상기 쇠구슬을 통해 상기 전압 출력용(Vout) 전선으로 흐르면서 전기 신호가 발생되고, 상기 쇠구슬이 상기 금속판 어느 것에도 접촉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전원(Vcc)이 전압 출력용 전선으로 흐르지 않게 되고, 이에 따라 출력 전압(Vout) 신호가 바뀌는 것을 검출하는 전압 검출부;
    상기 전압 검출부를 통해 상기 출력 전압(Vout) 신호가 바뀌는 것이 검출되면, 음향 출력 명령을 출력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
    상기 움직임 검출 장치의 움직임을 알리는 특정 음향을 출력하는 스피커; 및
    상기 음향 출력 명령에 따라 상기 스피커로 음향 출력 신호를 인가하는 음향 처리부;
    를 포함하는 시스템.
KR2020100004830U 2010-05-07 2010-05-07 움직임 검출 장치 및 시스템 KR20045913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4830U KR200459133Y1 (ko) 2010-05-07 2010-05-07 움직임 검출 장치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4830U KR200459133Y1 (ko) 2010-05-07 2010-05-07 움직임 검출 장치 및 시스템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13281 Division 2009-11-2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5344U true KR20110005344U (ko) 2011-05-31
KR200459133Y1 KR200459133Y1 (ko) 2012-03-19

Family

ID=476258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4830U KR200459133Y1 (ko) 2010-05-07 2010-05-07 움직임 검출 장치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9133Y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30063B2 (ja) 2000-03-01 2005-03-16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多面体の回転角度検出センサ及びそれを利用した地球儀並びに天球儀
KR200288483Y1 (ko) 2002-05-31 2002-09-11 송태섭 유희구
KR100581400B1 (ko) 2004-11-22 2006-05-23 최진한 움직임 검출 센서모듈과 센서모듈을 이용한 음향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59133Y1 (ko) 2012-03-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502007000536D1 (de) Entfernungsmessgerät
WO2009078455A1 (ja) 玉型形状測定装置
ATE556294T1 (de) Messsonde
JP2013092522A (ja) 非接触型磁気線形位置センサー
CN104697466B (zh) 多轴型三维测量设备
KR200459133Y1 (ko) 움직임 검출 장치 및 시스템
US9182315B2 (en) Lens module testing device
US10288402B2 (en) Industrial machine
CN103968787A (zh) 用于对结构的元件的位置进行测量的测量方法和系统
JP5465795B1 (ja) 外径測定装置
CN101799281B (zh) 辊平行检测系统
JP2018017569A (ja) 放電発生箇所検出装置
TWI470229B (zh) 具有重力感測功能的加速度感測裝置
JP2006234427A (ja) 平面度測定方法と装置
KR101046184B1 (ko) 타이어의 런아웃방식 측정시스템
KR101200036B1 (ko) 공간 상을 이동하는 물체의 위치 측정 시스템 및 방법
US20110141588A1 (en) Optical device and lens collision preventing method thereof
KR100361898B1 (ko) 3차원 배관변위측정장치
JP4829588B2 (ja) 塗装装置における塗料漏れ検知装置
KR101512756B1 (ko) 파이프 내에서 이동하는 피그를 감지하는 피그 감지기
CN104535543B (zh) 一种便携式测量仪手柄前端的配合装置
JP2009053062A (ja) 墨出し器の精度確認装置及び墨出し器の精度確認方法
US20170307358A1 (en) Thickness measurement device and thickness measurement method
JP6741828B1 (ja) リニア伝動装置とリニア伝動装置の識別方法
JP2009103625A (ja) プローブ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