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05267A - 화상 기록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화상 기록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5267A
KR20110005267A KR1020107025566A KR20107025566A KR20110005267A KR 20110005267 A KR20110005267 A KR 20110005267A KR 1020107025566 A KR1020107025566 A KR 1020107025566A KR 20107025566 A KR20107025566 A KR 20107025566A KR 20110005267 A KR20110005267 A KR 201100052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file
unit
group
acquir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255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사토시 나카무라
타케시 미사와
미키오 와타나베
후미오 나카마루
히사시 엔도
Original Assignee
후지필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필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필름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0052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526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1/32101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 H04N1/32128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attached to the image data, e.g. file header, transmitted message header, information on the same page or in the same computer file as the ima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5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ill image data
    • G06F16/58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5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ill image data
    • G06F16/58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 G06F16/583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using metadata automatically derived from the cont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1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ased on recognised objects
    • H04N23/611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ased on recognised objects where the recognised objects include parts of the human bod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 H04N5/77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camer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91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1/00Still video camer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2201/3201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 H04N2201/3225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of data relating to an image, a page or a document
    • H04N2201/3247Data linking a set of images to one another, e.g. sequence, burst or continuous capture mod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2201/3201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 H04N2201/3274Storage or retrieval of prestored additional information
    • H04N2201/3277The additional information being stored in the same storage device as the image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 H04N5/77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camera
    • H04N5/772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camera the recording apparatus and the television camera being placed in the same enclos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907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static stores, e.g. storage tubes or semiconductor memor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9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 H04N9/80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 H04N9/804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involving pulse code modulation of the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 H04N9/8042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involving pulse code modulation of the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involving data reduction
    • H04N9/8047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involving pulse code modulation of the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involving data reduction using transform co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9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 H04N9/80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 H04N9/82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the individual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being recorded simultaneously only
    • H04N9/8205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the individual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being recorded simultaneously only involving the multiplexing of an additional signal and the colour video signal
    • H04N9/8227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the individual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being recorded simultaneously only involving the multiplexing of an additional signal and the colour video signal the additional signal being at least another television sign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촬영 등에 의해 취득된 화상에 대하여 화상중의 얼굴의 유무, 및 촬영시의 촬영 모드의 종류(풍경 촬영 모드, 접사 촬영 모드 등)를 검지하고, 이들의 검지된 정보(분류 정보)에 의거해서 각 화상을 그룹별로 자동적으로 분류한다. 그리고, 그룹별로 분류된 복수의 화상을 연결해서 1개의 멀티 화상 파일(MP 파일)을 작성하고, 이 MP 파일을 기록 매체에 기록한다. 이에 따라, 분류된 복수의 화상을 정리해서(산일하지 않고) 관리 가능하게 하고, 또한 분류 기능이 없는 재생기이어도 상기 멀티 화상 파일을 제공함으로써 분류 완료의 복수의 화상의 재생을 가능하게 한다.

Description

화상 기록 장치 및 방법{IMAGE RECORDING DEVICE AND METHOD}
본 발명은 화상 기록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화상을 정리해서 기록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종래, 필름 헤더와 복수의 사진 정보로 이루어지는 필름 리스트와, 이 필름 리스트와는 별개로 사진 정보의 분류 결과(화상에 관한 부대 정보를 사용한 분류 결과)를 나타내는 앨범 리스트를 작성ㆍ기록하고, 앨범 재생시에는 상기 앨범 리스트를 판독하고, 이에 의거해서 필름 리스트로부터 대응하는 화상정보를 판독해서 앨범 표시를 행하는 화상 기록 재생 장치가 제안되어 있다(특허문헌1).
또한, GPS 정보 등의 위치 정보를 갖는 화상 데이터를 위치 정보에 의거해서 그룹핑하고, 그 그룹핑 정보(지명 등)를 화상 데이터의 헤더에 부가하고, 이에 따라 유저에 의한 화상 데이터의 관리의 수고를 경감할 수 있게 한 영상 촬영 기록 장치가 제안되어 있다(특허문헌2).
더욱이, 촬영된 화상중의 얼굴을 인식하고, 미리 등록되어 있는 등록 인물인지 여부를 판별하고, 등록되어 있는 얼굴의 경우에는 촬영된 화상을 등록 인물별의 기록 폴더에 기록할 수 있는 화상 처리 장치가 제안되어 있다(특허문헌3).
특허문헌1: 일본 특허 공개평 7-123307호 공보 특허문헌2: 일본 특허 공개 2003-111013호 공보 특허문헌3: 일본 특허 공개 2007-148691호 공보
특허문헌1에 기재된 장치는 필름 리스트와 앨범 리스트를 별개로 작성ㆍ기록하기 때문에 이들의 리스트가 별개로 삭제나 이동 등의 조작이 행해지면 앨범 재생을 할 수 없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앨범 리스트에 의거해서 재생 처리를 행하는 전용의 재생 기능이 없는 재생기에서는 앨범 표시를 행할 수 없다.
특허문헌2에 기재된 장치는 촬영 화상을 위치 정보에 의거해서 분류하기 때문에 대략 동일한 촬영 장소에서 촬영된 촬영 화상을 다른 분류로 그룹핑할 수 없다. 또한, 특허문헌2에 기재된 발명은 화상 데이터(콘텐츠)를 관리하기 때문에 화상 데이터의 헤더에 그룹핑 정보를 부가하는 것이며, 그룹별로 화상을 재생(앨범 재생)하는 것이 아니다.
인용 문헌3에 기재된 발명은 촬영 화상을 등록 인물별로 분류할 수 있지만, 등록 인물 이외의 조건으로 분류할 수 없고, 촬영 화상을 소망의 그룹으로 분류할 수 없다.
또한, 특허문헌2 및 3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각 화상은 별개의 파일로서 기록되기 때문에 분류후의 파일이 산일(散逸)되기 쉽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룹별로 분류된 복수의 화상의 관리가 용이하고, 또한 그룹별 화상의 열람성을 높일 수 있고, 또한 소망의 그룹으로 자동적으로 분류할 수 있는 화상 기록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의한 화상 기록 장치는 복수의 화상을 취득하는 화상 취득부와, 상기 화상 취득부에 의해 취득된 각 화상의 그룹을 결정하는 그룹 결정부와, 상기 그룹 결정부에 의해 결정된 그룹별로 분류된 그룹별 화상을 연결해서 1개의 멀티 화상 파일을 작성하는 파일 작성부와, 상기 파일 작성부에 의해 작성된 그룹별 멀티 화상 파일을 기록하는 기록부를 구비한다.
상기 그룹 결정부에 의해 상기 취득된 화상을 그룹별로 자동적으로 분류할 수 있고, 또한 상기 파일 작성부에 의해 그룹별로 분류된 복수의 화상을 연결해서 1개의 멀티 화상 파일을 작성하도록 했기 때문에 분류된 복수의 화상을 정리해서 (산일하지 않고) 관리할 수 있다. 또한, 분류 기능이 없는 재생기이어도 상기 멀티 화상 파일을 제공함으로써 분류 완료의 복수의 화상의 재생을 용이하게 행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의하면, 제 1 실시형태에 의한 화상 기록 장치에 있어서, 상기 그룹 결정부는 상기 화상 취득부에 의해 취득한 화상마다 상기 화상중의 얼굴의 유무, 촬영 모드의 종류, 촬영 위치, 촬영 일시, 및 촬영 시간대 중 1개 이상을 분류 정보로서 취득하는 분류 정보 취득부를 포함하고, 상기 그룹 결정부는 상기 취득된 분류 정보에 의거해서 상기 취득된 화상의 그룹을 결정한다.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의하면, 제 2 실시형태에 의한 화상 기록 장치에 있어서, 상기 분류 정보 취득부는 화상의 촬영시에 설정된 정보 또는 검출된 정보로부터 상기 분류 정보를 취득하거나, 또는 각 화상의 헤더부에 부가된 부속 정보로부터 상기 분류 정보를 취득한다.
본 발명의 제 4 실시형태에 의하면, 제 2 또는 제 3 실시형태에 의한 화상 기록 장치에 있어서, 상기 분류 정보 취득부가 취득해야 할 분류 정보의 종류를 임의로 설정하는 분류 정보 설정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분류 정보 취득부는 상기 화상 취득부에 의해 취득된 화상마다 상기 분류 정보 설정부에 의해 설정된 분류 정보를 취득한다. 이에 따라, 유저가 설정한 소망의 그룹별로 화상을 그룹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5 실시형태에 의하면, 제 1 내지 제 4 중 어느 하나의 실시형태에 의한 화상 기록 장치에 있어서, 상기 그룹 결정부, 파일 작성부, 및 기록부는 각각 상기 화상 취득부에 의한 화상의 취득이 완료된 것을 트리거로 해서 동작한다. 이에 따라, 그룹화를 의식할 수 없고 멀티 화상 파일을 작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6 실시형태에 의하면, 제 1 내지 제 5 중 어느 하나의 실시형태에 의한 화상 기록 장치에 있어서, 상기 화상 취득부는 피사체를 촬상하는 촬상부를 갖고, 촬영 지시 입력에 의해 상기 촬상부에 의해 촬상된 피사체를 나타내는 화상을 취득한다. 즉, 디지털 카메라 등의 촬상 장치에 상기 화상 기록 장치를 조립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 7 실시형태에 의하면, 제 1 내지 제 4 중 어느 하나의 실시형태에 의한 화상 기록 장치는 멀티 화상 파일의 작성 및 기록을 지시하는 지시 입력부와, 화상이 기록된 내부 메모리 또는 기록 매체를 더 구비하고, 상기 화상 취득부는 상기 내부 메모리 또는 기록 매체로부터 복수의 화상을 취득하고, 상기 파일 작성부 및 상기 기록부는 각각 상기 지시 입력부에 의한 지시 입력을 트리거로 해서 동작한다. 이에 따라, 임의의 타이밍에서 멀티 화상 파일을 작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8 실시형태에 의하면, 제 1 내지 제 7 중 어느 하나의 실시형태에 의한 화상 기록 장치에 있어서, 상기 파일 작성부는 상기 화상 취득부에 의해 새로운 화상의 취득이 행해지고, 또한 상기 그룹 결정부에 의해 상기 취득된 새로운 화상에 대응하는 그룹의 결정이 행해지고, 또한 상기 결정된 그룹에 대응하는 기존의 멀티 화상 파일이 존재하지 않을 경우에는 상기 취득된 새로운 화상을 기록하기 위한 신규 멀티 화상 파일을 작성한다.
본 발명의 제 9 실시형태에 의하면, 제 1 내지 제 8 중 어느 하나의 실시형태에 의한 기재의 화상 기록 장치에 있어서, 상기 파일 작성부는 상기 화상 취득부에 의해 새로운 화상의 취득이 행해지고, 또한 상기 그룹 결정부에 의해 상기 취득된 새로운 화상에 대응하는 그룹의 결정이 행해질 경우 상기 취득된 새로운 화상을 상기 결정된 그룹에 대응하는 기존의 멀티 화상 파일 화상에 연결하기 위해 상기 기존의 멀티 화상 파일을 갱신하고, 상기 기록부는 상기 파일 작성부에 의해 갱신된 기존의 멀티 화상 파일을 기록한다. 또한, 기존의 멀티 화상 파일의 갱신은 기존의 멀티 화상 파일에 새로운 화상을 추기할 경우와, 기존의 멀티 화상 파일에 새로운 화상을 추가함으로써 상기 기존의 멀티 화상 파일을 고쳐 쓸 경우 중 어느 경우에 행해도 좋다.
본 발명의 제 10 실시형태에 의한 화상 기록 방법은 1 또는 복수의 화상을 취득하는 화상 취득 스텝과, 상기 취득된 화상의 그룹을 결정하는 그룹 결정 스텝과, 상기 결정된 그룹별 화상을 연결해서 이루어지는 1개의 멀티 화상 파일을 작성하는 파일 작성 스텝과, 상기 작성된 그룹별 멀티 화상 파일을 기록하는 기록 스텝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 11 실시형태에 의하면, 제 10 실시형태에 의한 화상 기록 방법에 있어서, 상기 그룹 결정 스텝은 상기 취득된 화상마다 상기 화상중의 얼굴의 유무, 촬영 모드의 종류, 촬영 위치, 촬영 일시, 및 촬영 시간대 중 1개 이상을 분류 정보로서 취득하는 분류 정보 취득 스텝을 포함하고, 상기 그룹 결정 스텝에 있어서 상기 취득된 분류 정보에 의거해서 상기 취득된 화상의 그룹은 결정된다.
본 발명의 제 12 실시형태에 의하면, 제 11 실시형태에 의한 화상 기록 방법에 있어서, 상기 분류 정보 취득 스텝에 있어서 화상의 촬영시에 설정된 정보 또는 검출된 정보로부터 상기 분류 정보를 취득하거나, 또는 각 화상의 헤더부에 부가된 부속 정보로부터 상기 분류 정보를 취득한다.
본 발명의 제 13 실시형태에 의하면, 제 11 또는 제 12 실시형태에 의한 화상 기록 방법에 있어서, 상기 분류 정보 취득 스텝은 취득해야 할 분류 정보의 종류를 임의로 설정하는 분류 정보 설정 스텝을 더 구비하고, 상기 분류 정보 취득 스텝에 있어서 상기 화상 취득 스텝에 의해 취득된 화상마다 상기 분류 정보 설정 스텝에 의해 설정된 분류 정보를 취득한다.
본 발명의 제 14 실시형태에 의하면, 제 10 내지 제 13 중 어느 하나의 실시형태에 의한 화상 기록 방법은 상기 화상 취득 스텝에 의한 화상의 취득 완료를 검지하는 스텝을 더 구비하고, 상기 그룹 결정 스텝, 파일 작성 스텝, 및 기록 스텝은 상기 화상의 취득 완료가 검지되면 순차 실행된다.
본 발명의 제 15 실시형태에 의하면, 제 10 내지 제 14 중 어느 하나의 실시형태에 의한 화상 기록 방법에 있어서, 상기 화상 취득 스텝은 촬영 지시 입력에 의해 피사체를 촬상하는 촬상 스텝을 포함하고, 상기 화상 취득 스텝에 있어서 상기 촬상 스텝에 의해 촬상된 피사체를 나타내는 화상을 취득한다.
본 발명의 제 16 실시형태에 의하면, 제 10 내지 제 13 중 어느 하나의 실시형태에 의한 화상 기록 방법은 멀티 화상 파일의 작성 및 기록을 지시하는 지시 입력 스텝과, 화상이 기록된 내부 메모리 또는 기록 매체로부터 복수의 화상을 취득하는 상기 화상 취득 스텝을 더 구비하고, 상기 파일 작성 스텝 및 기록 스텝은 상기 지시 입력 스텝에 의한 지시 입력이 있으면 순차 실행된다.
본 발명의 제 17 실시형태에 의하면, 제 10 내지 제 16 중 어느 하나의 실시형태에 의한 화상 기록 방법에 있어서, 상기 화상 취득 스텝에 의해 새로운 화상의 취득이 행해지고, 또한 상기 그룹 결정 스텝에 의해 상기 취득된 새로운 화상에 대응하는 그룹의 결정이 행해지고, 또한 상기 결정된 그룹에 대응하는 기존의 멀티 화상 파일이 존재하지 않을 경우에는 상기 파일 작성 스텝에 있어서 상기 취득된 새로운 화상을 기록하기 위한 신규 멀티 화상 파일을 작성한다.
본 발명의 제 18 실시형태에 의하면, 제 10 내지 제 17 중 어느 하나의 실시형태에 의한 화상 기록 방법에 있어서, 상기 화상 취득 스텝에 의해 새로운 화상의 취득이 행해지고, 또한 상기 그룹 결정 스텝에 의해 상기 취득된 새로운 화상에 대응하는 그룹의 결정이 행해질 경우 상기 파일 작성 스텝에 있어서 상기 취득된 새로운 화상을 상기 결정된 그룹에 대응하는 기존의 멀티 화상 파일 화상에 연결하기 위해 상기 기존의 멀티 화상 파일을 갱신하고, 상기 기록 스텝에 있어서 상기 파일 작성 스텝에 의해 갱신된 기존의 멀티 화상 파일을 기록한다.
그룹별로 분류된 복수의 화상을 연결해서 1개의 멀티 화상 파일을 작성하도록 했기 때문에 분류된 복수의 화상을 정리해서(산일하지 않고) 관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이 멀티 화상 파일을 재생기에 제공함으로써 재생기측에서는 분류 기능을 가지지 않더라도 그룹별로 분류된 복수의 화상의 열람(앨범 재생)이 가능해진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된 디지털 카메라의 외관 구성을 나타내는 정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된 디지털 카메라의 외관 구성을 나타내는 배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실시형태의 디지털 카메라의 전기적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화상 기록 방법의 제 1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 5는 MP 파일 파일 구성의 일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화상 기록 방법의 제 2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화상 기록 방법의 제 3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화상 기록 방법의 제 4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이하, 첨부 도면에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화상 기록 장치 및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디지털 카메라의 구성>
도 1 및 도 2는 각각 본 발명에 의한 화상 기록 장치가 적용된 디지털 카메라의 외관 구성을 나타내는 정면 사시도와 배면 사시도이다.
동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디지털 카메라(10)는 소위 콤팩트 카메라이며, 그 카메라 바디(카메라 본체)(12)는 한손으로 파지가능한 얇은 상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카메라 바디(12)의 정면에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촬영 렌즈(14), 플래시(16), 스피커(18), AF 보조광 램프(20) 등이 설치되어 있고, 상면에는 셔터 버튼(22), 모드 레버(24), 전원 버튼(26) 등이 제공되어 있다.
한편, 카메라 바디(12)의 배면에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모니터(28), 줌 버튼(30), 재생 버튼(32), 그룹화 실행 버튼(34), 십자 버튼(36), MENU/OK 버튼(38), DISP/BACK 버튼(40) 등이 제공되어 있고, 측면에는 외부 접속 단자(42)가 제공되어 있다.
또한,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카메라 바디(12)의 저면에는 삼각 나사 구멍 및 개폐가능한 배터리 커버가 제공되어 있고, 배터리 커버의 내측에는 배터리를 수납하기 위한 배터리 수납실 및 메모리 카드를 장착하기 위한 메모리 카드 슬롯이 제공되어 있다.
촬영 렌즈(14)는 침동식(沈胴式) 줌 렌즈로 구성되어 있고, 디지털 카메라(10)의 전원을 ON하면 카메라 바디(12)로부터 드로잉된다. 또한, 촬영 렌즈(14)의 줌 기구나 침동 기구에 대해서는 공지의 기술이므로 여기에서는 그 구체적인 구성에 관한 설명은 생략한다.
플래시(16)는 크세논관으로 구성되어 있고, 어두운 피사체를 촬영할 경우나 역광시 등에 필요에 따라 발광된다.
AF 보조광 램프(20)는, 예를 들면 고휘도 LED로 구성되어 있고, AF 시에 필요에 따라 발광된다.
셔터 버튼(22)은, 소위 「반누룸」과 「완전 누룸」이 가능한 2단 스트로크식의 누룸 스위치로 구성되어 있다. 디지털 카메라(10)는 이 셔터 버튼(22)을 반 누르면 촬영 준비 처리, 즉 AE(Automatic Exposure:자동 노출), AF(Auto Focus:자동 초점 맞춤), AWB(Automatic White Balance:자동 화이트 밸런스)의 각 처리를 행하고, 완전히 누르면 화상의 촬영ㆍ기록 처리를 행한다.
모드 레버(24)는 촬영 모드의 설정에 이용된다. 이 모드 레버(24)는 셔터 버튼(22)의 주변을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SP 위치」, 「AUTO 위치」, 「M 위치」, 「동화 위치」에 세팅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디지털 카메라(10)는 이 모드 레버(24)를 「SP 위치」에 세팅함으로써 「씬 포지션 촬영 모드」에 설정되고, 촬영 씬에 따른 노출 제어, 촬영 제어를 행하는 모드에 설정된다. 또한, 「AUTO 위치」에 세팅함으로써 「오토 촬영 모드」에 설정되고, 노출 제어를 전자동으로 행하는 모드에 설정된다. 또한, 「M 위치」에 설정됨으로써 「매뉴얼 촬영 모드」에 설정되고, 노출 설정을 수동에서 행하는 모드에 설정된다. 또한, 「동화 위치」에 설정함으로써 「동화 촬영 모드」에 설정되고, 동화를 촬영하는 모드에 설정된다.
또한, 「씬 포지션 촬영 모드」로서는, 예를 들면 인물 촬영을 행하는 「인물 촬영 모드」, 풍경 촬영을 행하는 「풍경 촬영 모드」, 스포츠 촬영을 행하는 「스포츠 촬영 모드」, 야경 촬영을 행하는 「야경 촬영 모드」, 접사 촬영을 행하는 「접사 촬영 모드」, 수중 촬영을 행하는 「수중 촬영 모드」등이 준비되어 있고, 메뉴 화면에서 설정 가능하게 되어 있다.
전원 버튼(26)은 디지털 카메라(10)의 전원을 ON/OFF 하는데에 이용되고, 소정 시간(예를 들면, 2초) 눌러짐으로써 디지털 카메라(10)의 전원이 ON/OFF된다.
모니터(28)는 컬러 LCD로 구성되어 있다. 이 모니터(28)는 촬영 완료 화상의 재생 표시에 이용됨과 아울러 각종 설정시에 GUI로서 이용된다. 또한, 촬영시에는 촬상 소자에서 포착된 화상이 라이브 뷰(live view) 표시되어 전자 파인더로서도 이용된다.
줌 버튼(30)은 촬영 렌즈(14) 및 재생 화상 줌 지시에 이용되고, 망원측 및 확대측으로의 줌을 지시하는 줌 텔레 버튼과, 광각측 및 축소측으로의 줌을 지시하는 줌 와이드 버튼으로 구성되어 있다.
재생 버튼(32)은 재생 모드로의 스위칭 지시에 이용된다. 즉, 디지털 카메라(10)는 촬영중 이 재생 버튼(32)이 눌려지면 재생 모드로 스위칭된다. 또한, 전원 OFF의 상태로 이 재생 버튼(32)이 눌려지면 재생 모드의 상태로 디지털 카메라(10)가 기동한다.
그룹화 실행 버튼(34)은 내부 메모리[플래시 ROM(118)]에 촬영된 화상의 분류 처리, 분류된 그룹별 화상을 연결해서 이루어지는 1개의 파일(멀티 화상 파일:이하 「MP 파일」이라 함)의 작성, 및 MP 파일의 기록 매체[메모리 카드(152)]로의 기록의 지시에 이용된다. 또한, 그룹화 실행 버튼(34) 대신에, 메뉴 화면으로부터 그룹화를 선택하고, OK 버튼을 조작함으로써 그룹화의 지시를 행하는 유저 인터페이스로서도 좋다.
십자 버튼(36)은 상하 좌우 4방향으로 가압 조작가능하게 제공되어 있고, 각 방향에는 카메라의 설정 상태에 따른 기능이 할당된다.
예를 들면, 촬영시에는 좌 버튼에 매크로 기능의 ON/OFF를 스위칭하는 기능이 할당되고, 우 버튼에 플래시 모드를 스위칭하는 기능이 할당된다. 또한, 상 버튼에 모니터(28)의 밝기를 바꾸는 기능이 할당되고, 하 버튼에 셀프 타이머의 ON/OFF를 스위칭하는 기능이 할당된다.
또한, 재생시에는 좌 버튼에 프레임 어드밴스 기능이 할당되고, 우 버튼에 프레임 백 기능이 할당된다.
또한, 각종 설정시에는 모니터(28)에 표시된 커서를 각 버튼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기능이 할당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디지털 카메라(10)에 있어서, 플래시 모드에는 오토 발광 모드(촬영 씬에 따라 자동적으로 플래시가 발광됨)와, 강제 발광 모드(강제적으로 플래시가 발광됨)와, 발광 금지 모드(발광이 금지됨)와, 슬로우 싱크로 모드(슬로우 셔터 촬영이 행하여짐), 적목 경감 발광 모드(적목 경감 처리가 행하여짐), 2매 촬영 모드[1회의 기록 지시(셔터 버튼의 완전 누룸)로 플래시 ON 화상과 플래시 OFF 화상의 2매의 화상을 촬영함]가 준비되어 있고, 십자 버튼(36)의 우 버튼을 누룰 때마다 순차 모드가 스위칭되도록 되어 있다.
MENU/OK 버튼(38)은 메뉴 화면의 호출(MENU 기능)에 이용됨과 아울러 선택 내용의 확정, 처리의 실행 지시 등(OK 기능)에 이용되고, 디지털 카메라(10)의 설정 상태에 따라 할당되는 기능이 스위칭된다.
또한, 메뉴 화면에서는, 예를 들면 화상 사이즈(기록 화소수)의 설정, 감도의 설정, 기록 방식(압축/RAW 화상 데이터 기록)의 설정, 화이트 밸런스의 설정, 측광 방식의 설정, AF 방식의 설정, 셀프 타이머의 설정, 디지털 줌 기능의 설정, 연사 기능의 설정, DPOF의 설정 등 디지털 카메라(10)가 갖는 각종 기능의 설정이 행하여진다.
더욱이, 메뉴 화면에서는 화상의 그룹을 결정하기 위한 분류 정보의 종류를 임의로 설정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예를 들면, 이 실시형태에서는 「얼굴 검출」, 「촬영 모드」, 및 「촬영 위치」를 분류 정보로 하고, 이들의 분류 정보 중 1개 이상을 메뉴 화면에서 선택하고, OK 버튼을 누룸으로써 분류 정보의 결정이 행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예를 들면, 「얼굴 검출」이 선택되면 얼굴이 검출된 화상인지 여부에 따라 화상의 그룹화 처리가 행해지고, 「촬영 모드」가 선택되면 인물 촬영 모드, 풍경 촬영 모드, 스포츠 촬영 모드, 야경 촬영 모드, 접사 촬영 모드, 수중 촬영 모드 등의 촬영 모드에 따른 화상의 그룹화 처리가 행해지고, 「촬영 위치」가 선택되면 촬영 위치에 따른 화상의 그룹화가 행해진다.
또한, 「얼굴 검출」, 「촬영 모드」, 및 「촬영 위치」 중 2개 이상이 선택되면 선택된 분류 정보에 따라 화상의 그룹화 처리가 행해진다. 예를 들면, 「얼굴 검출」과 「촬영 모드」가 선택되면 얼굴이 검출되고, 또한 촬영 모드가 설정되어 촬영된 화상과, 얼굴이 검출되지만, 촬영 모드의 설정이 되어 있지 않고 촬영된 화상과, 얼굴이 검출되지 않지만, 촬영 모드가 설정되어 촬영된 화상은 각각 별개의 그룹으로 분류되도록 그룹화 처리된다.
또한, 분류 정보로서 복수의 정보가 선택된 경우에는 미리 설정된 우선 순차에 따라 화상의 그룹화 처리를 행하도록 해도 좋다. 예를 들면, 「얼굴 검출」이 「촬영 모드」보다도 우선 순위가 높게 설정되어 있을 경우에는 얼굴이 검출되고, 또한 촬영 모드가 설정되어 촬영된 화상은 그 화상의 촬영시의 촬영 모드에 관계 없이 얼굴이 검출된 화상용의 동일 그룹으로 분류되도록 그룹화 처리되어도 좋다. 또한, 화상의 그룹화 처리 등의 구체 예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DISP/BACK 버튼(40)은 모니터(28)의 표시 내용의 스위칭 지시(DISP 기능)에 이용됨과 아울러 입력 조작의 캔슬 등의 지시(BACK 기능)에 이용되고, 디지털 카메라(10)의 설정 상태에 따라 할당되는 기능이 스위칭된다.
외부 접속 단자(42)는 퍼스널 컴퓨터나 프린터 등의 외부 기기에 카메라를 접속하기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이다(예를 들면, USB, IEEE1394 등). 디지털 카메라(10)는 이 외부 접속 단자(42)에 전용의 케이블을 접속해서 퍼스널 컴퓨터 등의 외부 기기에 접속할 수 있다.
도 3은 본 실시형태의 디지털 카메라(10)의 전기적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동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디지털 카메라(10)는 CPU(110), 조작부[셔터 버튼(22), 모드 레버(24), 전원 버튼(26), 줌 버튼(30), 재생 버튼(32), 그룹화 실행 버튼(34), 십자 버튼(36), MENU/OK 버튼(38), DISP/BACK 버튼(40) 등](112), ROM(116), 플래시 ROM(118), 메모리(SDRAM)(120), VRAM(122), 촬영 렌즈(14), 줌 제어부(124), 조리개ㆍ셔터 제어부(126), 포커스 제어부(128), 촬상 소자(134), 촬상 소자 제어부(136), 아날로그 신호 처리부(138), A/D 변환기(140), 디지털 신호 처리부(142), AF 검출부(144), AE/AWB 검출부(146), 압축 신장 처리부(148), 미디어 컨트롤러(150), 메모리 카드(기록 매체)(152), 표시 제어부(154), OSD(On-Screen Display)부(156), 모니터(28), 플래시 제어부(158), 플래시(16), 통신 제어부(160), 통신 인터페이스(162), 얼굴 검출부(164), GPS(Global Positioning System:전지구 측위 시스템) 유닛(166) 등을 구비해서 구성되어 있다.
CPU(110)는 디지털 카메라(10)의 전체의 동작을 통괄 제어하는 제어부로서 기능하고, 조작부(112)로부터의 입력에 의거해서 소정의 제어 프로그램에 따라 각 부를 제어한다.
버스(114)를 통해서 접속된 ROM(116)에는 이 CPU(110)가 실행하는 제어 프로그램 및 제어에 필요한 각종 데이터 등이 격납된다. 또한, 플래시 ROM(118)에는 유저 설정 정보 등의 디지털 카메라(10)의 동작에 관한 각종 설정 정보나 화상 파일 등이 격납된다. 즉, 이 플래시 ROM(118)은 내부 메모리로서도 기능하고, 화상 파일의 보존처로서 지정된 경우 이 플래시 ROM(118)에 촬영에 의해 얻어진 화상 파일이 격납된다.
메모리(SDRAM)(120)는 CPU(110)의 연산 작업용 영역으로서 이용됨과 아울러 화상 데이터의 일시 기억 영역으로서 이용되고, VRAM(122)은 표시용의 화상 데이터 전용의 일시 기억 영역으로서 이용된다.
촬영 렌즈(14)는 줌 렌즈(14Z), 조리개ㆍ셔터 유닛(14I), 포커스 렌즈(14F) 등을 포함해서 구성되어 있다.
줌 렌즈(14Z)는 도시되지 않은 줌 렌즈 액추에이터에 구동되어 광축을 따라 전후 이동한다. 이에 따라, 촬영 렌즈(14)의 초점 거리가 가변된다. CPU(110)는 줌 제어부(124)를 통해서 줌 렌즈 액추에이터의 구동을 제어함으로써 줌 렌즈(14Z)의 이동을 제어하고, 주밍을 행한다.
포커스 렌즈(14F)는 도시되지 않은 포커스 렌즈 액추에이터에 구동되어 광축을 따라 전후 이동한다. 이에 따라, 촬영 렌즈(14)의 결상 위치가 변화된다. CPU(110)는 포커스 제어부(128)를 통해서 포커스 렌즈 액추에이터의 구동을 제어함으로써 포커스 렌즈(14F)의 이동을 제어하고, 포커싱을 행한다.
조리개ㆍ셔터 유닛(14I)은 도시되지 않은 조리개와 메카 셔터를 구비하고 있다. 조리개는 조리개ㆍ셔터 유닛(14I)에 내장된 도시되지 않은 조리개 액추에이터에 구동되어 동작하고, 이에 따라 촬상 소자(134)로의 입사 광량이 조정된다. CPU(110)는 조리개ㆍ셔터 제어부(126)를 통해서 조리개 액추에이터의 구동을 제어함으로써 조리개의 동작을 제어하고, 촬상 소자(134)로의 입사 광량(조리개 값)을 제어한다. 메카 셔터는 조리개ㆍ셔터 유닛(14I)에 내장된 도시되지 않은 셔터 액추에이터에 구동되어 동작하고, 이에 따라 촬상 소자(134)의 노광/차광이 행하여진다. CPU(110)는 조리개ㆍ셔터 제어부(126)를 통해서 셔터 액추에이터의 구동을 제어함으로써 메카 셔터의 동작을 제어하고, 촬상 소자(134)의 노광/차광을 제어한다.
촬상 소자(134)는 소정의 컬러 필터 배열의 컬러 CCD나 컬러 CMOS 센서 등으로 구성된다[본 예에서는 컬러 CCD(예를 들면, 베이어 배열, 허니콤 배열)]. CPU(110)는 촬상 소자 구동부(134)를 통해서 촬상 소자(134)를 구동하고, 촬영 렌즈(14)를 통과시켜서 촬상한 피사체 화상을 화상 신호로서 출력시킨다.
아날로그 신호 처리부(138)는 촬상 소자(134)로부터 출력되는 화상 신호를 상관 이중 샘플링 처리함과 아울러 증폭한다.
A/D 변환기(140)는 아날로그 신호 처리부(138)로부터 출력된 아날로그 화상 신호를 디지털의 화상 신호로 변환한다.
디지털 신호 처리부(142)는 CPU(110)로부터의 지령에 따라 A/D 변환기(140)로부터 출력되는 화상 신호를 인입하고, 소정의 신호 처리를 실시해서 휘도 신호(Y)와 색차 신호(Cr, Cb)로 이루어지는 Y/C의 화상 신호를 생성한다. 또한, CPU(110)로부터의 지령에 따라 Y/C의 화상 신호에 색조 보정 처리, 계조 보정 처리 등의 각종 화상 처리를 실시한다.
AF 검출부(144)는 A/D 변환기(140)로부터 출력되는 R, G, B의 각 색의 화상 신호를 인입하고, AF 제어에 필요한 초점 평가값을 산출한다. 이 AF 검출부(144)는 G신호의 고주파 성분만을 통과시키는 하이 패스 필터, 절대값화 처리부, 화면에 설정된 소정의 포커스 에리어 내의 신호를 컷아웃하는 포커스 에리어 추출부, 및 포커스 에리어 내의 절대값 데이터를 적산하는 적산부를 포함하고, 이 적산부에서 적산된 포커스 에리어 내의 절대값 데이터를 초점 평가값으로서 CPU(110)에 출력한다.
CPU(110)는 AF 제어시, 이 AF 검출부(144)로부터 출력되는 초점 평가값이 극대가 되는 위치를 서치하고, 그 위치에 포커스 렌즈(14F)를 이동시킴으로써 주요 피사체로의 초점맞춤을 행한다. 즉, CPU(110)는 AF 제어시, 우선 포커스 렌즈(14F)를 지근으로부터 무한원까지 이동시키고, 그 이동 과정으로 일정 간격으로 차차 AF 검출부(144)로부터 초점 평가값을 취득한다. 그리고, 그 초점 평가값이 극대가 되는 위치를 검출하고, 검출된 초점 평가값이 극대 위치를 합초 위치로 판정해서 그 위치에 포커스 렌즈(14F)를 이동시킨다. 이에 따라, 포커스 에리어에 위치하는 피사체(주요 피사체)에 촬영 렌즈(14)의 초점이 맞추어진다.
또한, 초점 평가값이 극대 위치가 검출되지 않을 경우(예를 들면, 저콘트라스트 시) CPU(110)는 AF 에러로 판정하고, 소정의 경고를 행한다(예를 들면, 모니터(28)로의 에러 메시지의 표시).
AE/AWB 검출부(146)는 A/D 변환기(140)로부터 출력되는 R, G, B의 각 색의 화상 신호를 인입하고, AE 제어 및 AWB 제어에 필요한 적산값을 산출한다. 즉, 이 AE/AWB 검출부(146)는 1화면을 복수의 에리어(예를 들면, 8×8=64 에리어)로 분할하고, 분할된 에리어마다 R, G, B 신호의 적산값을 산출한다.
CPU(110)는 AE 제어시, 이 AE/AWB 검출부(146)에서 산출된 에리어 마다의 R, G, B 신호의 적산값을 취득하고, 피사체의 밝기(측광값)을 구해서 적정한 노광량을 얻기 위한 노출 설정을 행한다. 즉, 감도, 조리개 값, 셔터 스피드, 플래시 발광의 여부를 설정한다.
또한, CPU(110)는 AWB 제어시, AE/AWB 검출부(146)에서 산출된 에리어 마다의 R, G, B 신호의 적산값을 디지털 신호 처리부(142)에 가산한다. 디지털 신호 처리부(142)는 얻어진 적산값에 의거해서 화이트 밸런스 조정용의 게인값을 산출함과 아울러 광원종을 검출한다.
압축 신장 처리부(148)는 CPU(110)로부터의 지령에 따라 입력된 화상 데이터에 소정 형식(예를 들면, JPEG 형식)의 압축 처리를 실시하고, 압축 화상 데이터를 생성한다. 또한, CPU(110)로부터의 지령에 따라 입력된 압축 화상 데이터에 소정 형식의 신장 처리를 실시하고, 비압축의 Y/C의 화상 데이터를 생성한다.
또한, 촬영된 화상을 RAW 화상 데이터로서 기록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압축 처리는 행해지지 않고, A/D 변환후의 화상 데이터가 소정의 파일 형식 그대로 메모리 카드(152)에 기록된다.
미디어 컨트롤러(150)는 CPU(110)로부터의 지령에 따라 메모리 카드(152)에 대하여 데이터의 읽기/쓰기를 제어한다. 메모리 카드(152)는 상기한 바와 같이 카메라 본체에 제공된 미디어 슬롯에 착탈가능하게 장전된다.
표시 제어부(154)는 CPU(110)로부터의 지령에 따라 모니터(28)로의 표시를 제어한다. 즉, CPU(110)로부터의 지령에 따라 입력된 화상 신호를 모니터(28)에 표시하기 위한 신호 형식으로 변환해서 모니터(28)에 출력한다. 또한, CPU(110)로부터의 지령에 따라 OSD부(156)로부터 더해지는 문자, 도형, 기호 등의 OSD 신호를 화상 신호에 혼합해서 모니터(28)에 출력한다.
OSD부(156)는 캐릭터 제너레이터를 포함하고, CPU(110)로부터의 지령에 따라 모니터(28)에 표시하는 문자[경고 메시지나 촬영 정보(조리개, 감도, 셔터 속도 등, 촬영 일시, 촬영가능 매수, 파일명 등), 도형(얼굴 검출 테두리, 촬영 보조 선), 기호(포커스 프레임, 전지 잔량 마크 등] 등의 신호(OSD 신호)를 생성한다. OSD부(156)에서 생성된 OSD 신호는 표시 제어부(154)에 출력되고, 화상 신호에 혼합되어 액정 모니터(28)에 출력된다. 이에 따라, 촬영 화상이나 재생 화상에 문자정보 등이 겹쳐서 표시된다.
플래시 제어부(158)는 CPU(110)로부터의 지령에 따라 플래시(16)의 발광을 제어한다.
통신 제어부(160)는 CPU(110)로부터의 지령에 따라 통신 인터페이스(162)를 통해서 접속된 외부 기기 사이의 통신을 제어한다. 또한, 본 디지털 카메라(10)는 통신 인터페이스(162)를 통해서 퍼스널 컴퓨터에 접속되면 스토리지 디바이스로서 인식되고, 메모리 카드(152)에 격납된 데이터의 송수신이 가능하게 된다.
얼굴 검출부(164)는 얼굴 검출 모드의 설정시에 동작하고, 라이브 뷰 이미지내에 얼굴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검출하고, 얼굴이 검출된 경우에는 그 얼굴의 위치나 크기 등을 검출한다. 또한, 얼굴 검출은 얼굴, 눈, 눈동자, 코, 입 등을 검출하고, 그들의 특징점, 패턴을 식별함으로써 피사체의 얼굴을 검출한다. 얼굴 검출의 구체적인 방법은 에지 검출 또는 형상 패턴 검출에 의한 얼굴 검출 방법, 각 특정 대상의 특징점을 벡터화하고, 특징점 벡터를 근사 검출하는 것에 의한 특징점 벡터 근사법, 색상 검출 또는 피부색 검출에 의한 얼굴 검출 방법 등의 공지의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이렇게 하여 검출된 얼굴의 위치나 크기는 얼굴에 노출이나 초점(AE, AF)을 맞추기 위해서 이용되고, 또한 얼굴 검출의 유무 등의 정보는 촬영된 화상 파일의 헤더에 기록된다.
GPS 유닛(166)은 GPS용의 복수대의 인공 위성(도시되지 않음)으로부터 발신된 전파를 포착하고, 현재의 위도, 경도, 고도 등을 측위한다. 이렇게 하여 측위된 현재의 위도, 경도 등의 GPS 정보는 촬영의 위치 정보로서 촬영된 화상 파일의 헤더에 기록된다.
다음에,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실시형태의 디지털 카메라(10)에 의한 처리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 1 실시형태>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화상 기록 방법의 제 1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또한, 제 1 실시형태는 셔터 버튼(22)의 1회의 릴리즈 조작에 의해 복수매의 화상을 촬영하는 연사나 인터벌 촬영을 행할 경우에 관해서 나타내고 있다. 또한, 사전에 메뉴 화면 등에 의해 「얼굴 검출」과 「촬영 모드」가 화상의 분류 정보로서 설정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우선, 연사 모드에서의 촬영에 의해 일련의 화상의 취득을 행한다(스텝S10, S12).
이어서, 상기 취득된 복수의 화상으로부터 미처리 화상(후술의 그룹화 처리가 되어 있지 않은 대상 화상)을 선택하고(스텝S14), 대상 화상에 대하여 얼굴 검출 처리를 실행한다(스텝S16). 또한, 얼굴 검출 모드가 설정되고, 라이브 뷰 이미지의 촬영시에 얼굴 검출 처리가 행해져 있을 경우에는 스텝S16에서의 처리는 생략되고, 얼굴 검출 모드에서의 처리 결과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얼굴 검출 처리 결과에 의거해서 대상 화상으로부터 얼굴이 검출되었는지 판별한다(스텝S18). 그리고, 얼굴이 검출되었다고 판별된 경우에는 그 대상 화상은 얼굴 그룹에 그룹 설정된다(스텝S20).
한편, 얼굴이 검출되지 않는다고 판별되면 대상 화상의 촬영시의 「씬 포지션 촬영 모드」로서 어느 쪽의 촬영 모드가 설정되어 있는 지를 판별한다(스텝S22). 여기서, 촬영 모드로서 풍경 촬영 모드가 설정된 판별되면 스텝S24에 있어서 대상 화상은 풍경 그룹에 그룹 설정되고, 접사 촬영 모드가 설정되어 있다고 판별되면 스텝S26에 있어서 대상 화상은 접사 그룹에 그룹 설정되고, 그 밖의 경우에는 스텝S28에 있어서 대상 화상은 그룹화 대상 외의 화상 그룹에 설정된다.
또한, 이 실시형태에서는 씬 포지션으로 분류되는 그룹을 「풍경」과, 「접사」의 그룹으로 했지만, 이것에 한하지 않고, 「야경 촬영 모드」, 「스포츠 촬영 모드」, 「수중 촬영 모드」, 「저녁놀 촬영 모드」, 「스노우 촬영 모드」등의 각종의 촬영 모드별로 그룹 설정을 행하도록 해도 좋다.
다음에, 상기 취득된 화상의 그룹화 처리가 완료되었는지 여부를 판별하고(스텝S30), 완료되어 있지 않을 경우에는 스텝S14로 되돌아가고, 상기 그룹화 처리를 되풀이하고, 완료되어 있을 경우에는 스텝S32로 천이한다.
스텝S32에서는 그룹화 처리된 각 화상에 대해서 그룹별 기록 파일의 결정을 행한다. 여기서, 그룹별 기록 파일의 결정은 기록이 필요한 화상 그룹마다 파일 이름, 파일을 기록하는 폴더를 결정하는 것을 말한다.
이어서, 그룹별로 MP 파일의 작성 및 기록을 행한다(스텝S34).
도 5는 MP 파일의 파일 구성의 일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동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MP 파일은 그룹별의 복수의 화상을 연결해서 1개의 파일로 정리함으로써 선두 화상 영역(D1)과 연결되는 개별 화상 영역(D2)을 갖고 있다. 개별 화상 영역(D2)은 2매째 이후의 화상 및 헤더 등이 개별로 격납되는 영역이다. 연결되는 화상 등은 그 데이터 구조(Exif 규격)을 유지한 채 연결순으로 개별 화상 영역(D2)에 격납된다. 이 때, 연결되는 각 화상에는 그 데이터의 선단에 SOI 마커가 기록됨과 아울러 종단에 EOI 마커가 기록된다. 이에 따라, 각 화상의 시작과 끝을 인식할 수 있다.
선두 화상 영역(D1)은 선두 화상 및 헤더 등이 격납되는 영역이다. 이 선두 화상 영역(D1)은 Exif 규격에 준해서 구성된다. 따라서, MP 파일의 인식을 할 수 없는 재생기이어도 Exif 파일의 파일 구조를 인식가능하고, MP 파일을 Exif 파일로 간주해서 재생가능한 재생기이면 적어도 이 선두 화상 영역(D1)에 격납된 선두 화상을 표시할 수 있다.
이 선두 화상 영역(D1)의 헤더 부분에 제공된 MPF 부속 정보 영역에는 본 파일(MP 파일)이 개별 화상 영역(D2)을 포함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개별 화상 영역 유무 정보, 개별 화상 영역(D2)을 포함할 경우에 개별 화상의 Index 정보의 격납 장소를 나타내는 정보(포인터), 개별 화상의 격납 장소[각 개별 화상의 SOI 마커의 어드레스를 나타내는 개별 화상 식별IFD(1), …, IFD(n)]이 격납된다. 따라서, MP 파일을 인식가능한 재생기는 이 MPF 부속 정보 영역을 판독함으로써 각 화상의 격납 위치를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선두 화상 영역(D1)은 Exif 규격에 준해서 구성되어 있으므로 MP 파일의 인식을 할 수 없는 재생기이어도 선두 화상 영역(D1)의 정보를 판독함으로써 모니터에 화상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MP 파일이어도 화상이 1개일 경우에는 개별 화상 영역(D2)의 연결은 행해지지 않는다.
도 4로 돌아가서, 스텝S34에서는 상기구성의 MP 파일을 작성하고, 이것을 메모리 카드(152)에 기록한다. 또한, 그룹화 대상 외의 화상은 비MP 파일(통상의 Exif 규격의 화상 파일)로서 메모리 카드(152)에 기록된다. 또한, 그룹화 대상 외의 화상을 그룹 대상 외의 그룹에 설정하고, MP 파일로 기록하도록 해도 좋다.
<제 2 실시형태>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화상 기록 방법의 제 2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또한, 제 2 실시형태는 셔터 버튼(22)의 1회의 릴리즈 조작에 의해 1매의 화상을 촬영하고, 그 화상을 기록할 경우에 관해서 나타내고 있다. 또한, 사전에 메뉴 화면 등에 의해 「얼굴 검출」과 「촬영 위치」가 화상의 분류 정보로서 설정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우선, 셔터 버튼(22)의 릴리즈 조작에 의해 촬영이 행해지면 촬영된 화상을 취득함과 아울러(스텝S40), GPS 유닛(166)으로부터 GPS 정보(위도, 경도의 위치 정보)의 취득을 행한다(스텝S42). 상기 취득한 위치 정보는 플래시 ROM(118)[또는 메모리 카드(152)]에 제공된 위치 정보 이력 관리부에 위치 정보 취득 이력으로서 보존한다(스텝S44). 또한, 상기 취득된 처리 대상의 화상에 대하여 얼굴 검출 처리를 실행하고, 얼굴 검출 처리의 결과 플래그(예를 들면, 얼굴이 검출된경우에는 얼굴 플래그 "1", 얼굴이 검출되지 않을 경우에는 얼굴 플래그 "0")를 워크 메모리 등에 일시 기억한다(스텝S46).
다음에, 금회 취득한 대상 화상의 위치 정보와, 위치 정보 취득 이력에 보존되어 있는 과거에 촬영된 화상의 위치 정보를 비교하고, 금회의 촬영 위치에 가까운 촬영 위치의 이력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별한다(스텝S48). 여기서, 촬영 위치가 가까운지 여부는 금회 취득한 대상 화상의 위치 정보(위도, 경도)를 기준으로 해서 소정의 위도, 경도의 범위 내에 위치 정보의 이력이 존재하는지 여부에 의해 판별할 수 있다.
그리고, 금회의 촬영 위치에 가까운 촬영 위치의 이력이 존재한다고 판별된 경우에는 그 대상 화상은 가까운 화상과 동일한 위치 그룹(기존의 위치 그룹)에 그룹 설정된다(스텝S50). 또한, 동일한 위치 그룹이 무한히 확대되지 않도록 동일한 위치 그룹의 중심의 위치를 기준으로 하고, 금회의 촬영 위치와 각 위치 그룹의 중심의 위치를 각각 비교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어서, 금회 취득한 대상 화상과 동일한 위치 그룹에서, 또한 얼굴 검출 결과가 같은 기존의 MP 파일을 검색한다(스텝S52). 또한, 과거에 작성된 MP 파일 파일명과, 위치 정보 취득 이력 및 얼굴 검출 결과를 관련시켜서 전술한 위치 정보 이력 관리부 등에서 관리해 둠으로써 메모리 카드(152)[또는 플래시 ROM(118)] 내의 기존의 MP 파일을 검색할 수 있다.
그리고, 기존의 MP 파일을 검색할 수 있었던 경우에는 그 MP 파일에 금회의 대상 화상을 추기하고(스텝S54), 기존의 MP 파일을 검색할 수 없었던 경우에는 금회의 대상 화상을 선두 화상으로 하는 신규 MP 파일을 작성하고, 이 신규 MP 파일을 메모리 카드(152)[또는 플래시 ROM(118)]에 기록한다(스텝S56).
한편, 스텝S48에 있어서, 금회의 촬영 위치에 가까운 촬영 위치의 이력이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별된 경우에는 그 대상 화상에 대응한 신규 위치 그룹을 작성하고, 또한 얼굴 검출 결과(얼굴 플래그) 별의 위치 그룹 설정을 행하고(스텝S58), 스텝S56과 마찬가지로 금회의 대상 화상을 선두 화상으로 하는 신규 MP 파일을 작성하고, 이 신규 MP 파일을 메모리 카드(152)[또는 플래시 ROM(118)]에 기록한다(스텝S60).
<제 3 실시형태>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화상 기록 방법의 제 3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또한, 제 3 실시형태는 셔터 버튼(22)의 1회의 릴리즈 조작에 의해 1매의 화상을 촬영하고, 그 화상을 기록할 경우에 관해서 나타내고 있다. 또한, 사전에 메뉴 화면 등에 의해 「촬영 모드」와 「얼굴 검출」과 「촬영 위치」가 화상의 분류 정보로서 설정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우선, 셔터 버튼(22)의 릴리즈 조작에 의해 촬영이 행해지면 촬영된 화상을 취득하고(스텝S70), 이어서 상기 취득된 화상의 촬영시의 촬영 모드를 판별한다(스텝S72). 그리고, 대상 화상의 촬영 모드가 인물 촬영 모드로 판별되면 스텝S74로 천이하고, 풍경 촬영 모드로 판별되면 스텝S76로 천이하고, 그 밖의 촬영 모드(기타의 씬 포지션의 촬영 모드, 오토 촬영 모드, 매뉴얼 촬영 모드, 연사 촬영 모드)로 판별되면 스텝S78로 천이된다.
스텝S74에서는 대상 화상에 대하여 얼굴 검출 처리를 실행한다. 이 얼굴 검출 처리 결과에 의거해서 대상 화상으로부터 얼굴이 검출되었는지 여부를 판별하고(스텝S80), 얼굴이 검출되었다고 판별된 경우에는 그 대상 화상은 얼굴 그룹에 그룹 설정되고(스텝S82), 얼굴이 검출되지 않았다고 판별되면 스텝S78로 천이된다.
스텝S78에서는 그룹화 대상 외의 화상으로서 대상 화상을 비MP 파일(통상의 Exif 규격의 화상 파일)로서 메모리 카드(152)에 기록한다.
한편, 스텝S76에서는 GPS 유닛(166)으로부터 위치 정보의 취득을 행한다. 이 위치 정보는 플래시 ROM(118)[또는 메모리 카드(152)]에 제공된 위치 정보 이력 관리부에 위치 정보 취득 이력으로서 보존하고, 스텝S86로 천이된다(스텝S84).
스텝S86에서는 금회 취득된 대상 화상의 위치 정보와, 위치 정보 취득 이력에 보존되어 있는 과거에 촬영된 화상의 위치 정보를 비교하고, 금회의 촬영 위치에 가까운 촬영 위치의 이력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별한다. 금회의 촬영 위치에 가까운 촬영 위치의 이력이 존재한다고 판별된 경우에는 그 대상 화상은 가까운 화상과 동일한 위치 그룹(기존의 위치 그룹)에 그룹 설정된다(스텝S88).
한편, 금회의 촬영 위치에 가까운 촬영 위치의 이력이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별된 경우에는 그 대상 화상에 대응한 신규 위치 그룹을 작성하고, 다른 위치 그룹 설정을 행하고, 스텝S96로 천이된다(스텝S90).
다음에, 스텝S82, 및 스텝S88에 의해 설정된 얼굴 그룹, 또는 위치 그룹을 검색 조건으로 해서 기존의 MP 파일의 검색을 행한다(스텝S92).
그리고, 기존의 MP 파일이 검색된 경우에는 그 MP 파일에 금회의 대상 화상을 추기하고(스텝S94), 기존의 MP 파일을 검색할 수 없을 경우에는 스텝S96로 천이하고, 여기서 금회의 대상 화상을 선두 화상으로 하는 신규 MP 파일을 작성하고, 이 신규 MP 파일을 메모리 카드(152)[또는 플래시 ROM(118)]에 기록한다.
<제 4 실시형태>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화상 기록 방법의 제 4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또한, 상술한 제 1 실시형태로부터 제 3 실시형태는 모두 셔터 버튼(22)의 릴리즈 조작이 행해지고, 새로운 화상의 촬영이 행해진 것(화상의 취득이 완료된 것)을 트리거로 해서 MP 파일 등의 작성 기록 처리를 행하도록 하고 있지만, 제 4 실시형태에서는 그룹화 실행 버튼(34)(도 1 참조)의 조작을 트리거로 해서 MP 파일 등의 작성 기록 처리를 행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제 4 실시형태에서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촬영된 화상은 통상의 화상 파일로서 카메라 내장의 플래시 ROM(118)에 일시 보존되고, 그룹화 실행 버튼(34)이 조작되면 플래시 ROM(118)에 일시 보존된 화상을 대상 화상으로서 MP 파일을 작성하고, 작성한 MP 파일을 메모리 카드(152)에 기록한다.
더욱이, 제 4 실시형태에서는 사전에 메뉴 화면 등에 의해 「촬영 모드」와 「촬영 위치」가 화상의 분류 정보로서 설정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도 8에 있어서, 우선 셔터 버튼(22) 릴리즈 조작에 의한 화상 취득 지시가 행해졌는지, 또는 그룹화 실행 버튼(34)의 조작에 의한 그룹화 실행 지시가 행해졌는지를 판별한다(스텝S100). 화상 취득 지시가 행해졌다고 판별되면 스텝S102로 천이하고, 그룹화 실행 지시가 행해졌다고 판별되면 스텝S120으로 천이한다.
스텝S102에서는 화상 취득 지시에 의해 촬영된 화상을 취득한다. 이어서, 상기 취득된 화상의 촬영시의 촬영 모드, 및 위치 정보를 취득한다(스텝S104, 스텝S106). 또한, 상기 취득한 위치 정보는 플래시 ROM(118)에 제공된 위치 정보 이력 관리부에 위치 정보 취득 이력으로서 보존한다(스텝S108).
이어서, 금회 취득한 대상 화상의 위치 정보와, 위치 정보 취득 이력에 보존되어 있는 과거에 촬영된 화상의 위치 정보를 비교하고, 금회의 촬영 위치에 가까운 촬영 위치의 이력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별한다(스텝S110).
그리고, 금회의 촬영 위치에 가까운 촬영 위치의 이력이 존재한다고 판별된 경우에는 그 대상 화상은 가까운 화상과 동일한 위치 그룹(기존의 위치 그룹)에 그룹 설정되고(스텝S112), 금회의 촬영 위치에 가까운 촬영 위치의 이력이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별된 경우에는 그 대상 화상에 대응한 신규 위치 그룹을 작성하고, 다른 위치 그룹 설정을 행한다(스텝S114).
금회 취득한 화상은 스텝S106으로 취득된 촬영 모드와, 스텝S112 또는 스텝S114에서 설정된 위치 그룹이 합해져서 플래시 ROM(118)에 일시 보존된다(스텝S116).
한편, 그룹화 실행 버튼(34)이 조작되고, 스텝S120으로 천이하면 여기서, 플래시 ROM(118)에 일시 보존된 화상이 판독된다. 또한, 이 판독된 화상과 합해져서 일시 보존되어 있는 위치 그룹 및 촬영 모드가 판독된다(스텝S122, 스텝S124).
다음에, 상기 판독된 위치 그룹 및 촬영 모드에 의거해서 대상 화상의 화상 그룹의 설정을 행한다(스텝S126). 또한, 촬영 모드가 없는 화상에 대해서는 위치 그룹에만 의한 화상 그룹의 설정이 행해진다.
이어서, 모든 일시 보존된 화상의 화상 그룹의 설정 등의 처리가 행해지는지 여부를 판별하고(스텝S128), 처리가 완료되지 않을 경우에는 스텝S120으로 되돌아가서 상기 처리를 되풀이한다.
모든 화상의 화상 그룹의 설정 등의 처리가 완료하면 그룹화 처리된 각 화상에 대해서 그룹별 기록 파일의 결정을 행하고(스텝S130), 그룹별로 MP 파일을 작성하고, 이 작성된 MP 파일을 메모리 카드(152)에 기록한다(스텝S132). 또한, MP 파일의 메모리 카드(152)로의 기록이 완료하면 플래시 ROM(118)에 일시 보존된 화상등은 삭제한다.
또한, 이 제 4 실시형태에서는 일시 보존되는 화상과 MP 파일을 각각 플래시 ROM(118)과 메모리 카드(152)에 기록하도록 했지만, 이것에 한하지 않고 동일한 메모리 내에서 처리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제 4 실시형태에서는 화상의 일시 보존시에 화상과 함께, 위치 그룹이나 촬영 모드의 정보를 합해서 기록하도록 했지만, 이것에 한하지 않고 그룹화 실행 지시가 행해졌을 때에 모든 그룹화 처리를 행하도록 해도 좋다. 이 경우, 각 화상의 헤더부에 부가된 부속 정보로부터 각종의 분류 정보를 취득함으로써 그룹화 처리를 행할 수 있다.
<기타의 실시형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화상의 촬영시에 설정된 촬영 모드, 또는 검출된 위치 정보, 얼굴 검출의 유무의 분류 정보를 취득하도록 했지만, 상기한 바와 같이 각 화상의 헤더부에 부가된 부속 정보로부터 각종의 분류 정보를 취득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화상을 분류하기 위한 분류 정보로서는 화상중의 얼굴의 유무, 촬영 모드의 종류, 및 촬영 위치에 한하지 않고 촬영 일시, 촬영 시간대 등도 분류 정보로서 사용할 수 있고, 또한, 이들의 분류 정보의 조합도 적당히 설정할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본 발명은 디지털 카메라에 조립된 화상 기록 장치에 한하지 않고 화상을 기록(보존) 재생하는 전용기나, 퍼스널 컴퓨터 등의 다른 기기에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MP 파일은 원 화상의 모든 정보를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MP 파일로부터 각 화상별의 파일로 되돌리는 기능을 본 화상 기록 장치에 추가하도록 해도 좋다. 이것에 의하면, 일단 MP 파일에 연결된 화상이어도 다른 분류 정보에 의거해서 다시 그룹화 처리를 행할 수 있고, 새로운 MP 파일의 작성 기록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각 실시형태를 적당히 조합시켜도 좋고, 더욱이 본 발명의 정신을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가지 변형이 가능한 것은 말할 필요도 없고, 예를 들면 그룹화 처리의 실시형태는 다양한 변형이 생각된다.
10: 디지털 카메라 12: 카메라 바디
14: 촬영 렌즈 22: 셔터 버튼
24: 모드 레버 34: 그룹화 실행 버튼
36: 십자 버튼 38: MENU/OK 버튼
42: 얼굴 검출 버튼 110: CPU
112: 조작부 116: ROM
118: 플래시 ROM(내부 메모리) 120: 메모리(SDRAM)
134: 촬상 소자 152: 메모리 카드(기록 매체)

Claims (16)

  1. 복수의 화상을 취득하는 화상 취득부,
    상기 화상 취득부에 의해 취득된 각 화상의 그룹을 결정하는 그룹 결정부,
    상기 그룹 결정부에 의해 결정되어 그룹별로 분류된 그룹별 화상을 연결해서 1개의 멀티 화상 파일을 작성하는 파일 작성부, 및
    상기 파일 작성부에 의해 작성된 그룹별 멀티 화상 파일을 기록하는 기록부를 구비하고;
    상기 그룹 결정부는 상기 화상 취득부에 의해 취득된 화상마다 상기 화상중의 얼굴의 유무, 촬영 모드의 종류, 촬영 위치, 촬영 일시, 및 촬영 시간대 중 1개 이상을 분류 정보로서 취득하는 분류 정보 취득부를 포함하고;
    상기 그룹 결정부는 상기 취득된 분류 정보에 의거해서 상기 취득된 화상의 그룹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기록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류 정보 취득부는 화상의 촬영시에 설정된 정보 또는 검출된 정보로부터 상기 분류 정보를 취득하거나, 또는 각 화상의 헤더부에 부가된 부속 정보로부터 상기 분류 정보를 취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기록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분류 정보 취득부가 취득해야 할 분류 정보의 종류를 임의로 설정하는 분류 정보 설정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분류 정보 취득부는 상기 화상 취득부에 의해 취득된 화상마다 상기 분류 정보 설정부에 의해 설정된 분류 정보를 취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기록 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그룹 결정부, 파일 작성부, 및 기록부는 각각 상기 화상 취득부에 의한 화상의 취득이 완료된 것을 트리거로 해서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기록 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취득부는 피사체를 촬상하는 촬상부를 갖고, 촬영 지시 입력에 의해 상기 촬상부에 의해 촬상된 피사체를 나타내는 화상을 취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기록 장치.
  6.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멀티 화상 파일의 작성 및 기록을 지시하는 지시 입력부, 및
    화상이 기록된 내부 메모리 또는 기록 매체를 더 구비하고;
    상기 화상 취득부는 상기 내부 메모리 또는 기록 매체로부터 복수의 화상을 취득하고;
    상기 파일 작성부 및 상기 기록부는 각각 상기 지시 입력부에 의한 지시 입력을 트리거로 해서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기록 장치.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파일 작성부는 상기 화상 취득부에 의해 새로운 화상의 취득이 행해지고, 또한 상기 그룹 결정부에 의해 상기 취득된 새로운 화상에 대응하는 그룹의 결정이 행해지고, 또한 상기 결정된 그룹에 대응하는 기존의 멀티 화상 파일이 존재하지 않을 경우에는 상기 취득된 새로운 화상을 기록하기 위한 신규 멀티 화상 파일을 작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기록 장치.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파일 작성부는 상기 화상 취득부에 의해 새로운 화상의 취득이 행해지고, 또한 상기 그룹 결정부에 의해 상기 취득된 새로운 화상에 대응하는 그룹의 결정이 행해질 경우 상기 취득된 새로운 화상을 상기 결정된 그룹에 대응하는 기존의 멀티 화상 파일 화상에 연결하기 위해 상기 기존의 멀티 화상 파일을 갱신하고;
    상기 기록부는 상기 파일 작성부에 의해 갱신된 기존의 멀티 화상 파일을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기록 장치.
  9. 1 또는 복수의 화상을 취득하는 화상 취득 스텝,
    상기 취득된 화상의 그룹을 결정하는 그룹 결정 스텝,
    상기 결정된 그룹별 화상을 연결해서 이루어지는 1개의 멀티 화상 파일을 작성하는 파일 작성 스텝, 및
    상기 작성된 그룹별 멀티 화상 파일을 기록하는 기록 스텝을 구비하고;
    상기 그룹 결정 스텝은 상기 취득된 화상마다 상기 화상중의 얼굴의 유무, 촬영 모드의 종류, 촬영 위치, 촬영 일시, 및 촬영 시간대 중 1개 이상을 분류 정보로서 취득하는 분류 정보 취득 스텝을 포함하고, 상기 그룹 결정 스텝에 있어서 상기 취득된 분류 정보에 의거해서 상기 취득된 화상의 그룹이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기록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분류 정보 취득 스텝에 있어서 화상의 촬영시에 설정된 정보 또는 검출된 정보로부터 상기 분류 정보를 취득하거나, 또는 각 화상의 헤더부에 부가된 부속 정보로부터 상기 분류 정보를 취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기록 방법.
  11. 제 9 항 또는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분류 정보 취득 스텝은 취득해야 할 분류 정보의 종류를 임의로 설정하는 분류 정보 설정 스텝을 더 구비하고; 상기 분류 정보 취득 스텝에 있어서 상기 화상 취득 스텝에 의해 취득된 화상마다 상기 분류 정보 설정 스텝에 의해 설정된 분류 정보를 취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기록 방법.
  12. 제 9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취득 스텝에 의한 화상의 취득 완료를 검지하는 스텝을 더 구비하고;
    상기 그룹 결정 스텝, 파일 작성 스텝, 및 기록 스텝은 상기 화상의 취득 완료가 검지되면 순차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기록 방법.
  13. 제 9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취득 스텝은 촬영 지시 입력에 의해 피사체를 촬상하는 촬상 스텝을 포함하고;
    상기 화상 취득 스텝에 있어서 상기 촬상 스텝에 의해 촬상된 피사체를 나타내는 화상을 취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기록 방법.
  14. 제 9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멀티 화상 파일의 작성 및 기록을 지시하는 지시 입력 스텝, 및
    화상이 기록된 내부 메모리 또는 기록 매체로부터 복수의 화상을 취득하는 상기 화상 취득 스텝을 더 구비하고;
    상기 파일 작성 스텝 및 기록 스텝은 상기 지시 입력 스텝에 의한 지시 입력이 있으면 순차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기록 방법.
  15. 제 9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취득 스텝에 의해 새로운 화상의 취득이 행해지고, 또한 상기 그룹 결정 스텝에 의해 상기 취득된 새로운 화상에 대응하는 그룹의 결정이 행해지고, 또한 상기 결정된 그룹에 대응하는 기존의 멀티 화상 파일이 존재하지 않을 경우에는 상기 파일 작성 스텝에 있어서 상기 취득된 새로운 화상을 기록하기 위한 신규 멀티 화상 파일을 작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기록 방법.
  16. 제 9 항 내지 제 1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취득 스텝에 의해 새로운 화상의 취득이 행해지고, 또한 상기 그룹 결정 스텝에 의해 상기 취득된 새로운 화상에 대응하는 그룹의 결정이 행해질 경우 상기 파일 작성 스텝에 있어서 상기 취득된 새로운 화상을 상기 결정된 그룹에 대응하는 기존의 멀티 화상 파일 화상에 연결하기 위해 상기 기존의 멀티 화상 파일을 갱신하고;
    상기 기록 스텝에 있어서 상기 파일 작성 스텝에 의해 갱신된 기존의 멀티 화상 파일을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기록 방법.
KR1020107025566A 2008-04-25 2009-04-14 화상 기록 장치 및 방법 KR2011000526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8-116056 2008-04-25
JP2008116056A JP5068690B2 (ja) 2008-04-25 2008-04-25 画像記録装置及び方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5267A true KR20110005267A (ko) 2011-01-17

Family

ID=412167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25566A KR20110005267A (ko) 2008-04-25 2009-04-14 화상 기록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780226B2 (ko)
EP (1) EP2273784B1 (ko)
JP (1) JP5068690B2 (ko)
KR (1) KR20110005267A (ko)
BR (1) BRPI0911445A2 (ko)
WO (1) WO200913103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08235A1 (ko) * 2020-11-17 2022-05-27 삼성전자 주식회사 슬로우 셔터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장치 및 저장 매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4293B1 (ko) * 2009-04-06 2016-02-16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촬영장치, 그 제어방법 및 제어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
JP2011188348A (ja) * 2010-03-10 2011-09-22 Nikon Corp カメラ、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JP5377768B2 (ja) * 2010-06-30 2013-12-25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画像処理方法及び装置
JP6003444B2 (ja) * 2012-09-19 2016-10-05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表示プログラム、及び、情報処理装置
KR102345579B1 (ko) * 2015-12-15 2021-12-31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미지 관련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저장 매체 및 전자 장치
EP3777221A1 (en) * 2018-04-05 2021-02-17 Canon Kabushiki Kaisha Method and apparatus for encapsulating images in a file
CN112445925B (zh) * 2020-11-24 2022-08-26 浙江大华技术股份有限公司 聚类归档方法、装置、设备及计算机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28214B2 (ja) 1993-10-21 2004-05-17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画像表示方法及び装置
JPH10243330A (ja) * 1997-02-24 1998-09-11 Konica Corp 画像処理装置
JP3561601B2 (ja) * 1997-02-24 2004-09-02 三洋電機株式会社 画像再生装置
JPH11355624A (ja) * 1998-06-05 1999-12-24 Fuji Photo Film Co Ltd 撮影装置
JP4073588B2 (ja) * 1999-10-07 2008-04-09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デジタルカメラ、画像処理方法、および記録媒体
JP3937787B2 (ja) 2001-10-02 2007-06-27 キヤノン株式会社 映像データ処理装置
US7286723B2 (en) * 2003-06-27 2007-10-23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System and method for organizing images
EP1805684A4 (en) * 2004-10-12 2008-10-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MEDIUM AND DEVICE FOR PERSON-BASED PHOTOCLUSTERING IN A DIGITAL PHOTO ALBUM AND METHOD, MEDIUM AND DEVICE FOR CREATING A PERSON-BASED DIGITAL PHOTOALBUM
JP4561475B2 (ja) * 2005-05-24 2010-10-13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デジタルカメラ装置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
JP4232774B2 (ja) * 2005-11-02 2009-03-04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CN102231801B (zh) 2005-11-25 2013-07-10 株式会社尼康 电子摄像机及图像处理装置
JP2007148691A (ja) 2005-11-25 2007-06-14 Nikon Corp 画像処理装置
JP2007235741A (ja) * 2006-03-02 2007-09-13 Olympus Imaging Corp 画像ファイルの記録方法、画像記録再生表示方法、画像記録再生表示システム、画像記録装置及び画像再生表示装置
JP5028858B2 (ja) * 2006-05-09 2012-09-19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画像管理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08235A1 (ko) * 2020-11-17 2022-05-27 삼성전자 주식회사 슬로우 셔터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장치 및 저장 매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9131034A1 (ja) 2009-10-29
BRPI0911445A2 (pt) 2018-03-20
EP2273784B1 (en) 2017-04-05
JP5068690B2 (ja) 2012-11-07
US8780226B2 (en) 2014-07-15
EP2273784A4 (en) 2011-07-20
JP2009267831A (ja) 2009-11-12
EP2273784A1 (en) 2011-01-12
US20110122291A1 (en) 2011-05-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68451B2 (en) System for and method of taking image
US20100066847A1 (en) Imaging apparatus and program
JP5068690B2 (ja) 画像記録装置及び方法
JP2007232793A (ja) 撮像装置
JP2006203811A (ja) 撮像装置及びそのプログラム
JP2007310813A (ja) 画像検索装置およびカメラ
JP2006311340A (ja) 画像表示装置及びデジタルカメラ
JP3859131B2 (ja) デジタルカメラ
KR101429040B1 (ko) 화상 기록 장치 및 화상 기록 방법
US7796163B2 (en) System for and method of taking image based on objective body in a taken image
JP4697549B2 (ja) 撮影装置及びその顔検出方法
JP4352554B2 (ja) 電子カメラ
US7940435B2 (en) Apparatus, method and program for image display
JP4725854B2 (ja) 画像表示装置及び画像表示方法
JP2009070374A (ja) 電子機器
JP3943470B2 (ja) デジタルカメラ
JP2004032524A (ja) デジタルカメラ
JP4964992B2 (ja) 撮影装置及びその画像記録方法
JP4049291B2 (ja) デジタルスチルカメラ
JP2008187590A (ja) 撮影装置及び撮影方法
JP5157528B2 (ja) 撮影装置
JP3913046B2 (ja) 撮像装置
JP5400942B2 (ja) 画像記録装置及び方法
JP4760497B2 (ja) 画像データ生成装置、画像データ生成方法
JP4042451B2 (ja) 画像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