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04918A - 비만 유전자 증폭용 프라이머 세트, 그것을 포함하는 비만 유전자 증폭용 시약 및 그 용도 - Google Patents

비만 유전자 증폭용 프라이머 세트, 그것을 포함하는 비만 유전자 증폭용 시약 및 그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4918A
KR20110004918A KR1020107029246A KR20107029246A KR20110004918A KR 20110004918 A KR20110004918 A KR 20110004918A KR 1020107029246 A KR1020107029246 A KR 1020107029246A KR 20107029246 A KR20107029246 A KR 20107029246A KR 20110004918 A KR20110004918 A KR 201100049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be
gene
seq
oligonucleotide
obes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292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19417B1 (ko
Inventor
미츠하루 히라이
사토시 마지마
Original Assignee
아크레이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크레이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아크레이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0049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49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94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94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1/00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 C12Q1/68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involving nucleic acids
    • C12Q1/6876Nucleic acid products used in the analysis of nucleic acids, e.g. primers or probes
    • C12Q1/6883Nucleic acid products used in the analysis of nucleic acids, e.g. primers or probes for diseases caused by alterations of genetic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1/00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 C12Q1/68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involving nucleic acids
    • C12Q1/6844Nucleic acid amplification reac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75Systems in which material is subjected to a chemical reaction, the progress or the result of the reaction being investigated
    • G01N21/77Systems in which material is subjected to a chemical reaction, the progress or the result of the reaction being investigated by observing the effect on a chemical indicator
    • G01N21/78Systems in which material is subjected to a chemical reaction, the progress or the result of the reaction being investigated by observing the effect on a chemical indicator producing a change of colour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2600/00Oligonucleotides characterized by their use
    • C12Q2600/156Polymorphic or mutational marker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2600/00Oligonucleotides characterized by their use
    • C12Q2600/16Primer sets for multiplex assays

Abstract

유전자 증폭법에 의해, 비만 유전자(β2AR 유전자, β3AR 유전자 및 UCP1 유전자)에 있어서의 검출 목적 부위를 포함하는 목적 영역을 증폭하기 위한 프라이머 세트로서, 상기 영역을 특이적으로 증폭할 수 있는 프라이머 세트를 제공한다. 서열번호 9 또는 서열번호 109, 서열번호 25 및 서열번호 43의 염기서열로 이루어지는 포워드 프라이머(forward primer)와, 서열번호 18, 서열번호 30 및 서열번호 63의 염기서열로 이루어지는 리버스 프라이머(reverse primer)를 각각 포함하는 3쌍의 프라이머 세트를 사용한다. 이 프라이머 세트를 사용함으로써, 동일 반응액에 있어서, 동시에, β2AR 유전자, β3AR 유전자 및 UCP1 유전자에 있어서 검출 목적의 다형이 발생하는 부위를 포함하는 목적 영역을, 특이적으로 증폭할 수 있다.

Description

비만 유전자 증폭용 프라이머 세트, 그것을 포함하는 비만 유전자 증폭용 시약 및 그 용도{PRIMER SET FOR AMPLIFICATION OF OBESITY GENE, REAGENT FOR AMPLIFICATION OF OBESITY GENE COMPRISING THE PRIMER SET, AND USE OF THE PRIMER SET}
본 발명은 비만 유전자인 β2AR 유전자, β3AR 유전자 및 UCP1 유전자를 증폭하기 위한 프라이머 세트, 그것을 포함하는 비만 유전자 증폭용 시약 및 그 용도에 관한 것이다.
비만에 관여하는 유전자 다형으로서, β-2 아드레날린 수용체(β2AR)를 코드하는 유전자(β2AR 유전자), β-3 아드레날린 수용체(β3AR)를 코드하는 유전자(β3AR 유전자) 및 탈공역 단백질(UCP)을 코드하는 유전자(UCP1 유전자)의 다형이 알려져 있다. β2AR은, 주로 심장, 기관지 평활근 등에 분포하고 있으나, 그 외에 지방 조직에 있어서도 존재하며, 지방 분해에 관여하고 있다. 그리고, 이것을 코드하는 β2AR 유전자에는, 아미노산 16위의 아르기닌(Arg)이 글리신(Gly)이 되는 다형(Arg16Gly)이 있다. 이 다형을 갖는 피검자(일본인에게는 16% 존재)는, 상기 다형을 갖지 않는 피검자와 비교해서, 안정 시에 있어서의 대사량이 항진(亢進)하고 있다는 것이 보고되어 있다. 또한, β3AR은, 갈색 지방 세포 조직과 백색 지방 세포 조직에 존재하며, 노르아드레날린의 결합에 의해, 갈색 지방 세포 조직에서는 열 생산이, 백색 지방 세포 조직에서는 지방 분해가 개시된다. 이것을 코드하는 β3AR 유전자에는, 아미노산 64위의 트립토판(Trp)이 아르기닌(Arg)이 되는 다형(Trp64Arg)이 있다. 이 다형을 갖는 피검자(일본인에게는 34% 존재)는, 상기 다형을 갖지 않는 피검자와 비교해서, 안정 시의 대사량이 감소하고 있다는 것이 보고되어 있다. 또한, UCP1은, 교환 신경이 흥분 상태에 있을 때, 갈색 지방 조직에 있어서의 열 생산의 중심적인 역할을 수행하는 단백질이다. 그리고, 이것을 코드하는 UCP1 유전자에는, mRNA의 -3826위(게놈서열에 있어서의 UCP1 유전자의 번역 개시점의 상류 3826위)의 아데닌(A)이 구아닌(G)이 되는 다형이 있다. 이 다형을 갖는 피검자(일본인 비만 여성에게는 24% 존재)는, 상기 다형을 갖지 않는 피검자에 비해서, 전신의 대사량이 감소하고 있다는 것이 보고되어 있다. 이상과 같은 각 유전자의 다형과 대사량과의 관계로부터, 이들 유전자의 다형을 해석하여, 해석 결과를 피검자의 비만 치료나 예방에 이용하는 것이, 실제로 행해지고 있다.
한편, 모든 질환의 원인이나, 개체 간의 질환 이환(罹患) 용이성(질환의 걸리기 쉬움), 개체 간에 있어서의 약효의 차이 등을 유전자 레벨로 해석하는 방법으로서, 점돌연변이, 소위 일염기다형(SNP)의 검출이 널리 행해지고 있다. 점돌연변이의 일반적인 검출 방법으로서는, (1) 시료의 표적 DNA에 대해서, 검출 대상 서열에 상당하는 영역을 PCR(Polymerase chain reaction)에 의해 증폭시키고, 그 전체 유전자 서열을 해석하는 Direct Sequencing법, (2) 시료의 표적 DNA에 대해서, 검출 대상 서열에 상당하는 영역을 PCR에 의해 증폭시키고, 상기 검출 대상 서열에 있어서의 목적의 변이의 유무에 의해 절단 작용이 다른 제한 효소에 의해서 그 증폭 산물을 절단하며, 전기영동함으로써 타이핑을 행하는 RFLP 해석, (3) 3'말단 영역에 목적의 변이가 위치하는 프라이머를 이용하여 PCR을 행하고, 증폭의 유무에 의해 변이를 판단하는 ASP-PCR법 등을 들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들은, 예컨대, 시료로부터 추출한 DNA의 정제, 전기영동, 제한 효소 처리 등이 필수이기 때문에, 시간이나 비용이 든다. 또한, PCR을 행한 후, 반응 용기를 일단 개봉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상기 증폭 산물이 다음 반응계에 혼입되어, 해석 정밀도가 저하될 우려가 있다. 또한, 자동화가 곤란하기 때문에, 대량의 샘플을 해석할 수 없다. 또한, 상기 (3)의 ASP-PCR법에 대해서는, 특이성이 낮다고 하는 문제도 있다.
이러한 문제로부터, 최근, 점돌연변이의 검출 방법으로서, 표적 핵산과 프로브로 형성되는 이중쇄 핵산의 융해 온도(Tm: melting temperature)를 해석하는 방법이 실용화되어 있다. 이러한 방법은, 예컨대, Tm 해석, 또는, 상기 이중쇄의 융해 곡선의 해석에 의해 행해지기 때문에, 융해 곡선 해석이라고 불리고 있다. 이것은 이하와 같은 방법이다. 즉, 우선, 검출 목적의 점돌연변이를 포함하는 검출 대상 서열에 상보적인 프로브를 이용하여, 검출 시료의 표적 단일쇄 DNA와 상기 프로브와의 하이브리드(이중쇄 DNA)를 형성시킨다. 계속해서, 이 하이브리드 형성체에 가열 처리를 실시하고, 온도 상승에 따르는 하이브리드의 해리(융해)를, 흡광도 등의 시그널의 변동에 의해 검출한다. 그리고, 이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Tm값을 결정함으로써, 점돌연변이의 유무를 판단하는 방법이다. Tm값은 하이브리드 형성체의 상동성이 높을수록 높고, 상동성이 낮을수록 낮아진다. 이 때문에, 점돌연변이를 포함하는 검출 대상 서열과 그것에 상보적인 프로브와의 하이브리드 형성체에 대해서 미리 Tm값(평가 기준값)을 구해 두고, 검출 시료의 표적 단일쇄 DNA와 상기 프로브와의 Tm값(측정값)을 측정한다. 상기 측정값이 평가 기준값과 동일한 정도이면, 매치, 즉 표적 DNA에 점돌연변이가 존재한다고 판단할 수 있고, 측정값이 평가 기준값보다 낮으면, 미스 매치, 즉 표적 DNA에 점돌연변이가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이 방법에 따르면, 자동화도 가능하다.
그러나, 이러한 Tm 해석을 이용한 검출 방법에 대해서도, PCR에 있어서, 검출 목적 부위를 포함하는 영역을 특이적이고 또한 효율적으로 증폭할 수 없으면 안 된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특히, 비만 유전자 중에서도 중요시되고 있는 β2AR 유전자, β3AR 유전자 및 UCP1 유전자에는, 각각 많은 아이소자임(isozyme)이 존재하며, 이들을 코드하는 서열도 매우 유사하다. 이 때문에, PCR에 있어서, 목적으로 하는 이들 유전자 이외에, 아이소자임의 코드 유전자까지도 증폭될 우려가 있다. 또한, 이와 같이 다른 아이소자임의 코드 유전자까지도 증폭된 경우, 예컨대, β2AR 유전자, β3AR 유전자 및 UCP1 유전자의 각 다형의 해석(비특허 문헌 1∼3)에 있어서, 해석 결과의 신뢰성을 저하시키는 원인이 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하나의 샘플을 해석하는 데에도 많은 노력이 들기 때문에, 대량의 샘플을 해석하는 것은 실용적이지 않다고 하는 문제도 있다.
비특허 문헌 1: PMID: 9399966 J Clin Invest. 1997 Dec 15; 100(12): 3184-8.
비특허 문헌 2: PMID: 9049481 Diabetologia. 1997 Feb; 40(2): 200-4.
비특허 문헌 3: PMID: 9541178 Diabetologia. 1998 Mar; 41(3): 357-61.
그래서, 본 발명은 유전자 증폭법에 의해, β2AR 유전자, β3AR 유전자 및 UCP1 유전자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비만 유전자의 목적 영역을 특이적으로 증폭하기 위한 프라이머 세트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프라이머 세트는, 유전자 증폭법에 의해 비만 유전자를 증폭하기 위한 프라이머 세트로서, 상기 비만 유전자가, β2AR 유전자, β3AR 유전자 및 UCP1 유전자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유전자이며, 하기 프라이머 세트 (1)∼(3)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프라이머 세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프라이머 세트 (1)
하기 (F1)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로 이루어지는 포워드 프라이머(forward primer) 및 하기 (R1)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로 이루어지는 리버스 프라이머(reverse primer)를 포함하는 한 쌍의 프라이머 세트
(F1) 서열번호 1의 염기서열에 있어서의 4248번째의 티민 염기(T)를 1염기째로 하여 5'방향을 향해서 18∼25염기째까지의 영역과 동일한 서열인 적어도 하나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로서, 상기 티민 염기(T)를 3'말단으로 하는 올리고뉴클레오티드, 및
서열번호 1의 염기서열에 있어서의 4250번째의 티민 염기(T)를 1염기째로 하여 5'방향을 향해서 18∼26염기째까지의 영역과 동일한 서열인 적어도 하나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로서, 상기 티민 염기(T)를 3'말단으로 하는 올리고뉴클레오티드
중 적어도 한쪽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
(R1) 서열번호 1의 염기서열에 있어서의 4292번째의 아데닌 염기(A)를 1염기째로 하여 3'방향을 향해서 21∼31염기째까지의 영역에 상보적인 적어도 하나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로서, 상기 4292번째의 아데닌 염기(A)에 상보적인 티민 염기(T)를 3'말단으로 하는 올리고뉴클레오티드, 및
서열번호 1의 염기서열에 있어서의 4301번째의 아데닌 염기(A)를 1염기째로 하여 3'방향을 향해서 18∼27염기째까지의 영역에 상보적인 적어도 하나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로서, 상기 4301번째의 아데닌 염기(A)에 상보적인 티민 염기(T)를 3'말단으로 하는 올리고뉴클레오티드
중 적어도 한쪽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
프라이머 세트 (2)
하기 (F2)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로 이루어지는 포워드 프라이머 및 하기 (R2)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로 이루어지는 리버스 프라이머를 포함하는 한 쌍의 프라이머 세트
(F2) 서열번호 2의 염기서열에 있어서의 4110번째의 시토신 염기(C)를 1염기째로 하여 5'방향을 향해서 16∼20염기째까지의 영역과 동일한 서열인 적어도 하나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로서, 상기 시토신 염기(C)를 3'말단으로 하는 올리고뉴클레오티드
(R2) 서열번호 2의 염기서열에 있어서의 4172번째의 구아닌 염기(G)를 1염기째로 하여 3'방향을 향해서 15∼19염기째까지의 영역에 상보적인 적어도 하나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로서, 상기 4172번째의 구아닌 염기(G)에 상보적인 시토신 염기(C)를 3'말단으로 하는 올리고뉴클레오티드
프라이머 세트 (3)
하기 (F3)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로 이루어지는 포워드 프라이머 및 하기 (R3)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로 이루어지는 리버스 프라이머를 포함하는 한 쌍의 프라이머 세트
(F3) 서열번호 3의 염기서열에 있어서의 280번째의 시토신 염기(C)를 1염기째로 하여 5'방향을 향해서 25∼44염기째까지의 영역과 동일한 서열인 적어도 하나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로서, 상기 시토신 염기(C)를 3'말단으로 하는 올리고뉴클레오티드
(R3) 서열번호 3의 염기서열에 있어서의 350번째의 시토신 염기(C)를 1염기째로 하여 3'방향을 향해서 23∼38염기째까지의 영역에 상보적인 적어도 하나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로서, 상기 350번째의 시토신 염기(C)에 상보적인 구아닌 염기(G)를 3'말단으로 하는 올리고뉴클레오티드
또한, 본 발명의 유전자 증폭용 시약은, 유전자 증폭법에 의해 비만 유전자를 증폭하기 위한 시약으로서, 상기 비만 유전자가, β2AR 유전자, β3AR 유전자 및 UCP1 유전자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유전자이며, 상기 본 발명의 비만 유전자 증폭용 프라이머 세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증폭 산물의 제조 방법은, 유전자 증폭법에 의해 비만 유전자의 증폭 산물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비만 유전자가, β2AR 유전자, β3AR 유전자 및 UCP1 유전자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유전자이며, 하기 (Ⅰ)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Ⅰ) 시료 중의 핵산을 주형(鑄型)으로 하고, 본 발명의 비만 유전자 증폭용 프라이머 세트를 이용하여, 반응액 중에서, 상기 β2AR 유전자, β3AR 유전자 및 UCP1 유전자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유전자의 증폭을 행하는 공정
본 발명의 다형 해석 방법은, 비만 유전자에 있어서의 검출 대상 부위의 다형을 해석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비만 유전자가, β2AR 유전자, β3AR 유전자 및 UCP1 유전자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유전자이며, 하기 (ⅰ)∼(ⅳ)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ⅰ) 본 발명의 증폭 산물의 제조 방법에 의해, 상기 β2AR 유전자, β3AR 유전자 및 UCP1 유전자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유전자에 있어서의 검출 대상 부위를 포함하는 영역을 반응액 중에서 증폭시키는 공정
(ⅱ) 상기 (ⅰ)공정에 있어서의 증폭 산물과, 상기 β2AR 유전자, β3AR 유전자 및 UCP1 유전자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유전자에 있어서의 검출 대상 부위에 하이브리다이즈(hybridize) 가능한 프로브를 포함하는 반응액을 준비하는 공정
(ⅲ) 상기 반응액의 온도를 변화시켜, 상기 증폭 산물과 상기 프로브와의 하이브리드 형성체의 융해 상태를 나타내는 시그널 값을 측정하는 공정
(ⅳ) 온도 변화에 따르는 상기 시그널 값의 변동으로부터, 상기 β2AR 유전자, β3AR 유전자 및 UCP1 유전자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유전자에 있어서의 검출 대상 부위의 다형을 결정하는 공정
본 발명의 프라이머 세트에 따르면, β2AR 유전자, β3AR 유전자 및 UCP1 유전자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비만 유전자에 있어서의 검출 목적의 다형이 발생하는 부위를 포함하는 목적 영역을, 반응액 중에서, 특이적이고 또한 고효율로 증폭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법과는 달리, 시간이나 비용을 저감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이와 같이, 상기 비만 유전자의 특정의 다형이 발생하는 검출 대상 부위를 포함하는 영역을 특이적으로 증폭할 수 있기 때문에, 예컨대, 또한, 검출 대상 부위를 포함하는 검출 대상 서열에 상보적인 프로브를 사용함으로써, 상기 반응액을 이용하여 그대로 Tm 해석을 행해서, 상기 다형을 타이핑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하나의 반응액으로 증폭이나 타이핑이 가능하기 때문에, 조작의 자동화도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의 프라이머 세트를 이용하면, 예컨대, 협잡물이 포함되는 시료(예컨대, 전혈(全血)이나 구강 점막 등)여도, 전처리를 생략할 수 있기 때문에, 보다 신속하고 또한 간편하게 증폭 반응을 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프라이머 세트를 이용하면, 종래보다도 우수한 증폭 효율로 증폭 반응을 행할 수 있기 때문에, 증폭 반응도 단축화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프라이머 세트나 이것을 포함하는 시약, 및 이들을 이용한 증폭 산물의 제조 방법 및 다형 해석 방법에 따르면, β2AR 유전자, β3AR 유전자 및 UCP1 유전자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비만 유전자의 다형을 신속하고 또한 간편하게 해석할 수 있기 때문에, 의료 분야에 있어서 매우 유효하다고 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있어서의 Tm 해석의 결과를 도시하는 그래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상기 실시예 1에 있어서의 Tm 해석의 결과를 도시하는 그래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상기 실시예 1에 있어서의 Tm 해석의 결과를 도시하는 그래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있어서의 Tm 해석의 결과를 도시하는 그래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있어서의 Tm 해석의 결과를 도시하는 그래프이다.
도 6은 비교예에 있어서의 Tm 해석의 결과를 도시하는 그래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 4에 있어서의 Tm 해석의 결과를 도시하는 그래프이다.
<비만 유전자 증폭용 프라이머 세트>
본 발명의 비만 유전자 증폭용 프라이머 세트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프라이머 세트 (1)∼(3)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프라이머 세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적어도 어느 하나의 프라이머 세트를 포함함으로써, 예컨대, β2AR 유전자, β3AR 유전자 및 UCP1 유전자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비만 유전자에 있어서의 특정의 목적 영역을 특이적으로 증폭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비만 유전자 증폭용 프라이머 세트는, 예컨대, 상기 프라이머 세트 (1)∼(3) 중 어느 1종류만을 포함해도 좋고, 어느 2종류, 또는 프라이머 세트 (1)∼(3)을 모두 포함해도 좋다. 후술하지만, 프라이머 세트 (1)에 의해 특이적으로 증폭할 수 있는 목적 영역은, β2AR 유전자의 특정의 다형이 발생하는 부위(서열번호 1에 있어서의 4265번째)를 포함하는 영역이고, 프라이머 세트 (2)에 의해 특이적으로 증폭할 수 있는 목적 영역은, β3AR 유전자의 특정의 다형이 발생하는 부위(서열번호 2에 있어서의 4134번째)를 포함하는 영역이며, 프라이머 세트 (3)에 의해 특이적으로 증폭할 수 있는 목적 영역은, UCP1 유전자의 특정의 다형이 발생하는 부위(서열번호 3에 있어서의 292번째)를 포함하는 영역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비만 유전자인 β2AR 유전자, β3AR 유전자 및 UCP1 유전자의 각각의 특정의 다형은, 모두 대사에 영향을 주는 다형으로서 알려져 있다. 이 때문에, 어느 1종류의 유전자의 다형뿐만 아니라, 어느 2종류의 유전자 또는 3종류 모든 유전자의 다형을 조사하는 것이 중요시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법에서는, 하나의 반응계에 있어서 복수의 서열을 해석할 수 없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이것은,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각 비만 유전자에는 많은 아이소자임이 존재하기 때문에, PCR에 있어서, 상기 각 유전자 이외의 아이소자임의 코드 유전자까지도 증폭되는 것이 원인이라고 생각된다. 이 때문에, β2AR 유전자, β3AR 유전자 및 UCP1 유전자 중, 2종류의 유전자의 다형 또는 3종류 모든 유전자의 다형을 조사하기 위해서는, 각각의 다형이 발생하는 부위를 포함하는 영역을, 별개의 반응계에 있어서 각각 증폭시키고, 얻어진 증폭 산물을 별개로 해석할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이, 종래의 방법에서는, 비만 유전자 중에서도, 전술한 특정의 유전자만을 주형으로 하고, 또한, 각 유전자에 있어서의 상기 다형이 발생하는 부위를 각각 포함하는 2종류 또는 3종류의 목적 영역만을 특이적으로 증폭시키는 것은 매우 곤란하다. 그리고, 이와 같이, 하나의 샘플을 해석하는 데에도 많은 노력이 들기 때문에, 대량의 샘플을 해석하는 것은 실용적이지 않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이에 비해서, 본 발명의 비만 유전자 증폭용 프라이머 세트에 따르면, 상기 프라이머 세트 (1)∼(3) 중 어느 2종류 또는 3종류 모두를 포함하는 경우라도, 각각의 목적 영역을, 동일 반응액에 있어서 동시에 또한 특이적으로 증폭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전술한 종래법과는 달리, 시간이나 비용을 저감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이와 같이 동일 반응액에 있어서 2개 또는 3개의 목적 영역이 특이적으로 증폭되기 때문에, 예컨대, 각각의 목적 영역에 있어서의 검출 대상 서열에 상보적인 프로브를 사용함으로써, 상기 반응액을 이용하여 그대로 Tm 해석을 행해서, 상기 2종류 또는 3종류의 다형을 각각 타이핑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와 같이, β2AR 유전자, β3AR 유전자 및 UCP1 유전자 중, 2종류 또는 3종류의 유전자에 있어서의 특정의 다형을 동일 반응액으로 해석하는 것이 가능해지기 때문에, 본 발명의 비만 유전자 증폭용 프라이머 세트는, 예컨대, 프라이머 세트 (1)∼(3) 중 어느 1종류를 포함하는 경우는 물론, 어느 2종류 또는 3종류를 포함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이러한 비만 유전자 증폭용 프라이머 세트를 이용하여, 1개의 목적 영역은 물론, 2개 또는 3개의 목적 영역을 동시에 증폭하면, 종래보다도 효율적으로, 상기 비만 유전자의 다형 해석을 행할 수 있다.
또한, 이하, 포워드 프라이머를 F 프라이머, 리버스 프라이머를 R 프라이머라고 말하는 경우가 있다.
우선, β2AR 유전자를 증폭하기 위한 프라이머 세트 (1)에 대해서 설명한다. 프라이머 세트 (1)은, 전술한 바와 같이, 하기 (F1)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로 이루어지는 포워드 프라이머 및 하기 (R1)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로 이루어지는 리버스 프라이머를 포함하는 한 쌍의 프라이머 세트이다.
(F1) 서열번호 1의 염기서열에 있어서의 4250번째의 티민 염기(T)를 1염기째로 하여 5'방향을 향해서 18∼25염기째까지의 영역과 동일한 서열인 적어도 하나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로서, 상기 티민 염기(T)를 3'말단으로 하는 올리고뉴클레오티드, 및
서열번호 1의 염기서열에 있어서의 4247번째의 티민 염기(T)를 1염기째로 하여 5'방향을 향해서 18∼26염기째까지의 영역과 동일한 서열인 적어도 하나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로서, 상기 티민 염기(T)를 3'말단으로 하는 올리고뉴클레오티드 중 적어도 한쪽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
(R1) 서열번호 1의 염기서열에 있어서의 4292번째의 아데닌 염기(A)를 1염기째로 하여 3'방향을 향해서 21∼31염기째까지의 영역에 상보적인 적어도 하나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로서, 상기 4292번째의 아데닌 염기(A)에 상보적인 티민 염기(T)를 3'말단으로 하는 올리고뉴클레오티드, 및
서열번호 1의 염기서열에 있어서의 4301번째의 아데닌 염기(A)를 1염기째로 하여 3'방향을 향해서 18∼27염기째까지의 영역에 상보적인 적어도 하나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로서, 상기 4301번째의 아데닌 염기(A)에 상보적인 티민 염기(T)를 3'말단으로 하는 올리고뉴클레오티드
중 적어도 한쪽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
서열번호 1에 나타내는 염기서열은, 인간(Homo sapiens) 유래 β2 아드레날린 수용체 단백질(Homo sapiens adrenergic, beta-2-, receptor, surface; ADRβ2(β2AR))을 코드하는 ADRβ2 유전자의 완전 길이 서열이며, 예컨대 NCBI 액세션(accession): N0.DQ094845에 등록되어 있다.
이하, 이 프라이머 세트 (1)을 「β2AR 유전자용 프라이머 세트」라고도 말한다. 상기 β2AR 유전자용 프라이머 세트는, 서열번호 1에 있어서의 4249번째∼4291번째의 영역, 4249번째∼4300번째의 영역, 4251번째∼4291번째의 영역, 또는 4251∼4300번째의 영역을 포함하는 DNA쇄 및 그 상보쇄(相補鎖)를 증폭시키기 위한 프라이머 세트이다. 이 영역 내의 4265번째의 염기(서열번호 1에 있어서의 4265번째의 염기)는, 점돌연변이의 존재가 알려져 있다(4265A, 4265G). 4265번째의 염기가 A이면, β2AR 유전자가 단백질로 번역되었을 때, 아미노산 16위는 아르기닌(Arg)이 되고, 4265번째의 염기가 G로 변이한 경우, 아미노산 16위는 글리신(Gly)이 되는 다형을 나타낸다. 또한, 이들 다형은, 호모 접합체의 경우는, 4265A/4265A, 4265G/4265G, 헤테로 접합체의 경우는, 4265A/4265G로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아미노산으로 치환한 경우, 4265A/4265A는 Arg-16/Arg-16, 4265G/4265G는, Gly-16/Gly-16, 4265A/4265G는 Arg-16/Gly-16으로 나타낼 수 있으며, 이 아미노산에 의한 표기가, 목적으로 하는 β2AR 유전자의 다형의 일반적인 표기이다. 또한, β2AR 유전자의 상기 다형만을 해석하는 경우에는, β2AR 유전자용 프라이머 세트만을 사용하면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β2AR 유전자용 프라이머 세트의 F1 프라이머 및 R1 프라이머는, DNA 폴리메라아제에 의한 증폭의 개시점을 결정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3'말단의 염기가, 전술한 조건을 만족시키고 있으면 된다. 이와 같이 각 프라이머의 3'말단의 염기를 고정함으로써, β2AR 유전자용 프라이머 세트가, 예컨대, 유사한 다른 아이소자임의 유전자(예컨대, β1AR 유전자 등)에 결합하는 것을 충분히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F1 프라이머 및 R1 프라이머는, 그 3'말단의 염기가 고정되어 있으면 되기 때문에, 각 프라이머의 길이 자체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일반적인 길이로 적절하게 조정할 수 있다. 프라이머의 길이의 일례로서는, 예컨대, 13∼50 mer의 범위이고, 바람직하게는 14∼45 mer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5∼40 mer이다. 구체예로서, 상기 F1 프라이머는, 서열번호 1의 염기서열에 있어서의 4248번째의 티민 염기(T)를 1염기째로 하여 5'방향을 향해서 18∼25염기째(바람직하게는, 19∼24염기째, 보다 바람직하게는 19∼23염기째)까지의 영역과 동일한 서열인 적어도 하나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 또는 서열번호 1의 염기서열에 있어서의 4250번째의 티민 염기(T)를 1염기째로 하여 5'방향을 향해서 18∼26염기째(바람직하게는, 19∼24염기째, 보다 바람직하게는 19∼22염기째)까지의 영역과 동일한 서열인 적어도 하나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R1 프라이머는, 서열번호 1의 염기서열에 있어서의 4292번째의 아데닌 염기(A)를 1염기째로 하여 3'방향을 향해서 21∼31염기째(바람직하게는, 22∼30염기째, 보다 바람직하게는 23∼28염기째)까지의 영역에 상보적인 적어도 하나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F1 프라이머와 R1 프라이머의 3'말단이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프라이머로부터 신장하는 영역은, 예컨대, 전술한 바와 같이 서열번호 1에 있어서의 4249번째∼4291번째의 영역, 4249번째∼4300번째의 영역, 4251번째∼4291번째의 영역, 또는 4251∼4300번째의 영역이 되지만, 얻어지는 증폭 산물의 전체의 길이는, 사용하는 프라이머의 길이에 따라서 변화한다.
또한, R1 프라이머는, 서열번호 1에 나타내는 염기서열에 대하여, F1 프라이머는, 상기 염기서열에 대하여, 각각 완전히 상보인 올리고뉴클레오티드가 아니어도 좋다. 즉, 각 프라이머에 있어서의 3'말단의 염기를 제외하는 부분에 있어서, 완전히 상보인 올리고뉴클레오티드와 1개∼5개의 염기가 달라도 좋다.
R1 프라이머를 구성하는 올리고뉴클레오티드는, 서열번호 1의 염기서열에 있어서의 4298번째에 상보적인 염기가, 시토신(C) 및 구아닌(G)의 어떠한 것이어도 좋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R1 프라이머로서, 4298번째에 상보적인 염기가 시토신 인 올리고뉴클레오티드와 4298번째에 상보적인 염기가 구아닌인 올리고뉴클레오티드의 양방을 동시에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서열번호 1의 염기서열에 있어서의 4298번째의 염기에 대해서는, 다형(4298C, 4298G)이 알려져 있으나, 본 발명은, 이 부분에 있어서의 다형을 검출 목적으로 하는 것이 아니다. 이 때문에, 상기 양방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를 R1 프라이머로서 사용함으로써, 4298C 및 4298G의 어떠한 것이어도 상기 프라이머에 의한 유전자 증폭을 행할 수 있으며, 검출 목적 이외의 다형에 의해, 목적 영역의 증폭이 영향을 받는 것을 충분히 회피할 수 있다. 4298번째에 상보적인 염기가 시토신인 올리고뉴클레오티드와 4298번째에 상보적인 염기가 구아닌인 올리고뉴클레오티드의 비율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예컨대, 몰비 1:10∼10:1이 바람직하다.
이하에, F1 프라이머와 R1 프라이머의 구체예를 나타내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는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서열번호 12∼22의 염기서열에 있어서의 「s」는, 시토신(C) 또는 구아닌(G)을 나타내고, 서열번호 1의 4298번째에 상보적인 염기에 해당한다. 또한, 이들 F1 프라이머와 R1 프라이머와의 조합은 조금도 제한되지 않으나, 이들 중에서도, 서열번호 9 또는 서열번호 109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로 이루어지는 F1' 프라이머와, 서열번호 12, 서열번호 18 또는 서열번호 134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로 이루어지는 R1' 프라이머를 포함하는 프라이머 세트 (1')가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서열번호 12 및 서열번호 18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로 이루어지는 R1' 프라이머는, 전술한 바와 같이, 「s」가 시토신인 올리고뉴클레오티드와, 「s」가 구아닌인 올리고뉴클레오티드의 양방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기 표에 있어서의 「Tm(℃)」은, 하기 표의 서열과 완전히 상보적인 서열이 하이브리드한 경우의 Tm(℃)이며, MELTCALC 소프트웨어(http://www.meltcalc.com/)에 의해, 파라미터를 올리고뉴클레오티드 농도 0.2 μM, 나트륨당량(Na eq.) 50 mM로 해서 산출한 값이다(이하, 동일). 상기 Tm값은, 예컨대, 종래 공지의 MELTCALC 소프트웨어(http://www.meltcalc.com/) 등에 의해 산출할 수 있으며, 또한, 인접법(Nearest Neighbor Method)에 의해 결정할 수도 있다(이하, 동일). 하기 표에는, R1 프라이머의 일례로서, 서열번호 1의 4298번째의 염기에 상보적인 염기 「s」를 구아닌으로 한 경우의 Tm값을 기재한다.
Figure pat00001
다음으로, β3AR 유전자를 증폭하기 위한 프라이머 세트 (2)에 대해서 설명한다. 상기 프라이머 세트 (2)는, 전술한 바와 같이, 하기 (F2)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로 이루어지는 포워드 프라이머 및 하기 (R2)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로 이루어지는 리버스 프라이머를 포함하는 한 쌍의 프라이머 세트이다.
(F2) 서열번호 2의 염기서열에 있어서의 4110번째의 시토신 염기(C)를 1염기째로 하여 5'방향을 향해서 16∼20염기째까지의 영역과 동일한 서열인 적어도 하나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로서, 상기 시토신 염기(C)를 3'말단으로 하는 올리고뉴클레오티드
(R2) 서열번호 2의 염기서열에 있어서의 4172번째의 구아닌 염기(G)를 1염기째로 하여 3'방향을 향해서 15∼19염기째까지의 영역에 상보적인 적어도 하나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로서, 상기 4172번째의 구아닌 염기(G)에 상보적인 시토신 염기(C)를 3'말단으로 하는 올리고뉴클레오티드
서열번호 2에 나타내는 염기서열은, 인간 유래 β3 아드레날린 수용체 단백질(Homo sapiens adrenergic, beta-3-, receptor: ADRβ3(β3AR))을 코드하는 ADRβ2 유전자의 완전 길이 서열이며, 예컨대, NCBI 액세션: N0.DQ104441에 등록되어 있다.
이하, 이 프라이머 세트 (2)를 「β3AR 유전자용 프라이머 세트」라고도 말한다. 상기 β3AR 유전자용 프라이머 세트는, 서열번호 2에 있어서의 4111∼4171번째의 영역을 포함하는 DNA쇄 및 그 상보쇄를 증폭시키기 위한 프라이머 세트이다. 이 영역 내의 4134번째의 염기(서열번호 2에 있어서의 4134번째의 염기)는, 점돌연변이의 존재가 알려져 있다(4134T, 4134C). 그리고, 4134번째의 염기가 T이면, β2AR 유전자가 단백질로 번역되었을 때, 아미노산 64위는 트립토판(Trp)이 되고, 4134번째의 염기가 C로 변이한 경우, 아미노산 64위는 아르기닌(Arg)이 되는 다형을 나타낸다. 또한, 이들 다형은, 호모 접합체의 경우, 4134T/4134T 또는 4134C/4134C, 헤테로 접합체의 경우, 4134T/4134C로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아미노산으로 치환한 경우, 4134T/4134T는, Trp-64/Trp-64, 4134C/4134C는 Arg-64/Arg-64, 4134T/4134C는, Trp-64/Arg-64로 나타낼 수 있고, 이 아미노산에 의한 표기가, 목적으로 하는 β3AR 유전자의 다형의 일반적인 표기이다. 또한, β3AR 유전자의 다형만을 해석하는 경우에는, β3AR 유전자용 프라이머 세트만을 사용하면 된다.
β3AR 유전자용 프라이머 세트의 F2 프라이머 및 R2 프라이머는, DNA 폴리메라아제에 의한 증폭의 개시점을 결정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3'말단의 염기가, 전술한 조건을 만족시키고 있으면 된다. 이와 같이 각 프라이머의 3'말단의 염기를 고정함으로써, β3AR 유전자용 프라이머 세트가, 예컨대, 유사한 다른 아이소자임의 유전자(예컨대, β1AR 유전자 등)에 결합하는 것을 충분히 방지할 수 있다.
F2 프라이머 및 R2 프라이머는, 상기 β2AR 유전자용 프라이머 세트와 동일한 이유에서, DNA 폴리메라아제에 의한 증폭의 개시점을 결정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3'말단의 염기가, 전술한 조건을 만족시키고 있으면 된다. 이 때문에, F2 프라이머 및 R2 프라이머의 길이 자체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전술과 동일한 길이를 예시할 수 있다. 구체예로서, 상기 F2 프라이머는, 서열번호 2의 염기서열에 있어서의 4110번째의 시토신 염기(C)를 1염기째로 하여 5'방향을 향해서 16∼20염기째(바람직하게는, 17∼20염기째, 보다 바람직하게는 17∼19염기째)까지의 영역과 동일한 서열인 적어도 하나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R2 프라이머는, 서열번호 2의 염기서열에 있어서의 4172번째의 구아닌 염기(G)를 1염기째로 하여 3'방향을 향해서 15∼19염기째(바람직하게는, 16∼19염기째, 보다 바람직하게는 16∼18염기째)까지의 영역에 상보적인 적어도 하나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F2 프라이머와 R2 프라이머의 3'말단이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프라이머로부터 신장하는 영역은, 예컨대, 전술한 바와 같이 서열번호 2에 있어서의 4111∼4171번째의 영역이지만, 얻어지는 증폭 산물의 전체의 길이는, 사용하는 프라이머의 길이에 따라서 변화한다.
또한, R2 프라이머는, 서열번호 2에 나타내는 염기서열에 대하여, F2 프라이머는, 상기 염기서열에 대하여, 각각 완전히 상보인 올리고뉴클레오티드가 아니어도 좋다. 즉, 각 프라이머에 있어서의 3'말단의 염기를 제외하는 부분에 있어서, 완전히 상보인 올리고뉴클레오티드와 1개∼5개의 염기가 달라도 좋다.
이하에, F2 프라이머와 R2 프라이머의 구체예를 나타내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는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이들 F2 프라이머와 R2 프라이머와의 조합은 조금도 제한되지 않으나, 이들 중에서도, 서열번호 24 또는 서열번호 25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로 이루어지는 F2' 프라이머와 서열번호 28 또는 서열번호 30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로 이루어지는 R2' 프라이머를 포함하는 프라이머 세트 (2')가 특히 바람직하다.
Figure pat00002
다음으로, UCP1 유전자를 증폭하기 위한 프라이머 세트 (3)에 대해서 설명한다. 상기 프라이머 세트 (3)은, 전술한 바와 같이, 하기 (F3)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로 이루어지는 포워드 프라이머 및 하기 (R3)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로 이루어지는 리버스 프라이머를 포함하는 한 쌍의 프라이머 세트이다.
(F3) 서열번호 3의 염기서열에 있어서의 280번째의 시토신 염기(C)를 1염기째로 하여 5'방향을 향해서 25∼44염기째까지의 영역과 동일한 서열인 적어도 하나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로서, 상기 시토신 염기(C)를 3'말단으로 하는 올리고뉴클레오티드
(R3) 서열번호 3의 염기서열에 있어서의 350번째의 시토신 염기(C)를 1염기째로 하여 3'방향을 향해서 23∼38염기째까지의 영역에 상보적인 적어도 하나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로서, 상기 350번째의 시토신 염기(C)에 상보적인 구아닌 염기(G)를 3'말단으로 하는 올리고뉴클레오티드
서열번호 3에 나타내는 염기서열은, 인간 유래 탈공역 단백질의 5' 다형 영역(Human polymorphic region 5' of uncoupling protein; UCP)을 코드하는 유전자서열이며, 예컨대, NCBI 액세션: N0.U28479에 등록되어 있다.
이하, 상기 프라이머 세트 (3)을, 「UCP1 유전자용 프라이머 세트」라고도 말한다. 상기 UCP1 유전자용 프라이머 세트는, 서열번호 3에 있어서의 281번째∼349번째의 영역을 포함하는 DNA쇄 및 그 상보쇄를 증폭시키기 위한 프라이머 세트이다. 이 영역 내의 292번째의 염기(서열번호 3에 있어서의 292번째의 염기)는, 점돌연변이의 존재가 알려져 있다(292A, 292G). 이들 다형은, 호모 접합체의 경우, 292A/292A, 292G/292G로 나타나고, 헤테로 접합체의 경우, 292A/292G로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서열번호 3에 있어서의 292번째의 염기는, UCP1의 mRNA에 있어서의 -3826번째(UCP1 유전자 번역 개시점의 상류 -3826번째)의 염기에 상당하며, 전술한 다형은, 통상, -3826A/-3826A, -3826G/-3826G, -3826A/-3826G로서 알려져 있다. 또한, UCP1 유전자의 상기 다형만을 해석하는 경우에는, UCP1 유전자용 프라이머 세트만을 사용하면 된다.
F3 프라이머 및 R3 프라이머는, DNA 폴리메라아제에 의한 증폭의 개시점을 결정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3'말단의 염기가, 전술한 조건을 만족시키고 있으면 된다. 이와 같이 각 프라이머의 3'말단의 염기를 고정함으로써, UCP1 유전자용 프라이머 세트가, 예컨대, 유사한 다른 아이소자임의 유전자(예컨대, UCP2, UCP3, UCP4 유전자 등)에 결합하는 것을 충분히 방지할 수 있다.
UCP1 유전자용 프라이머 세트의 F3 프라이머 및 R3 프라이머는, β2AR 유전자용 프라이머 세트와 동일한 이유에서, DNA 폴리메라아제에 의한 증폭의 개시점을 결정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3'말단의 염기가, 전술한 조건을 만족시키고 있으면 된다. 이 때문에, F3 프라이머 및 R3 프라이머의 길이 자체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전술과 동일한 길이를 예시할 수 있다. 구체예로서, 상기 F3 프라이머는, 서열번호 3의 염기서열에 있어서의 280번째의 시토신 염기(C)를 1염기째로 하여 5'방향을 향해서 25∼44염기째(바람직하게는, 30∼40염기째, 보다 바람직하게는 32∼37염기째)까지의 영역과 동일한 서열인 적어도 하나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R3 프라이머는, 서열번호 3의 염기서열에 있어서의 350번째의 시토신 염기(C)를 1염기째로 하여 3'방향을 향해서 23∼38염기째(바람직하게는, 25∼36염기째, 보다 바람직하게는 26∼32염기째)까지의 영역에 상보적인 적어도 하나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F3 프라이머와 R3 프라이머의 3'말단이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프라이머로부터 신장하는 영역은, 예컨대, 전술한 바와 같이, 서열번호 3에 있어서의 281번째∼349번째의 영역이지만, 얻어지는 증폭 산물의 전체의 길이는, 사용하는 프라이머의 길이에 따라서 변화한다.
또한, R3 프라이머는, 서열번호 3에 나타내는 염기서열에 대하여, F3 프라이머는, 상기 염기서열에 대하여, 각각 완전히 상보인 올리고뉴클레오티드가 아니어도 좋다. 즉, 각 프라이머에 있어서의 3'말단의 염기를 제외하는 부분에 있어서, 완전히 상보인 올리고뉴클레오티드와 1개∼5개의 염기가 달라도 좋다.
R3 프라이머를 구성하는 올리고뉴클레오티드는, 서열번호 3의 염기서열에 있어서의 376번째에 상보적인 염기가, 구아닌(G) 및 티민(T)의 어떠한 것이어도 좋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R1 프라이머로서, 376번째에 상보적인 염기가 구아닌인 올리고뉴클레오티드와 376번째에 상보적인 염기가 티민인 올리고뉴클레오티드의 양방을 동시에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서열번호 3의 염기서열에 있어서의 376번째의 염기에 대해서는, 다형(376C, 376A)이 알려져 있으나, 본 발명은, 이 부분에 있어서의 다형을 검출 목적으로 하는 것이 아니다. 이 때문에, 상기 양방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를 R3 프라이머로서 사용함으로써, 376C 및 376A의 어떠한 것이어도 상기 프라이머에 의한 유전자 증폭을 행할 수 있으며, 검출 목적 이외의 다형에 의해, 목적 영역의 증폭이 영향을 받는 것을 충분히 회피할 수 있다. 376번째에 상보적인 염기가 구아닌인 올리고뉴클레오티드와 376번째에 상보적인 염기가 티민인 올리고뉴클레오티드의 비율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예컨대, 몰비 1:10∼10:1이 바람직하다.
이하에, F3 프라이머와 R3 프라이머의 구체예를 나타내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는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서열번호 53∼64의 염기서열에 있어서의 「k」는, 구아닌(G) 또는 티민(T)을 나타내며, 하기 표의 서열번호 53∼64에는, 서열번호 3의 376번째의 염기에 상보적인 염기를 구아닌 또는 티민으로 한 경우의 각각의 Tm값을 기재한다. 이들 F3 프라이머와 R3 프라이머와의 조합은 조금도 제한되지 않으나, 이들 중에서도, 서열번호 43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로 이루어지는 F2' 프라이머와 서열번호 63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로 이루어지는 R3' 프라이머를 포함하는 프라이머 세트 (3')가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서열번호 63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로 이루어지는 R3' 프라이머는, 전술한 바와 같이, 「k」가 구아닌인 올리고뉴클레오티드와, 「k」가 티민인 올리고뉴클레오티드의 양방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Figure pat00003
또한, 전술한 프라이머 세트 (1)∼(3)의 각 프라이머는, 예컨대, 증폭 반응의 반응 온도를 올리기 위해서, 종래 공지의 임의의 서열을 5'말단에 부가한 것이어도 좋다
이러한 프라이머 세트 (1)∼(3)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비만 유전자 증폭용 프라이머 세트는, 예컨대, 전혈 시료 등의 생체 시료에 있어서의 비만 유전자를 증폭시킬 때에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본 발명의 비만 유전자 증폭용 프라이머 세트를, 후술하는 바와 같은 다형의 검출용 프로브와 함께 사용할 때에는, 유전자 증폭용 반응액에 있어서의 전혈 시료의 첨가 비율을 0.1∼0.5 체적%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점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비만 유전자 증폭용 시약>
본 발명의 비만 유전자 증폭용 시약은, 전술한 바와 같이, 유전자 증폭법에 의해 비만 유전자를 증폭하기 위한 시약으로서, 상기 비만 유전자가 β2AR 유전자, β3AR 유전자 및 UCP1 유전자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유전자이며, 본 발명의 비만 유전자 증폭용 프라이머 세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비만 유전자 증폭용 시약은, 본 발명의 프라이머 세트를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며, 이 이외의 조성 등에 대해서는 조금도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비만 유전자 증폭용 시약은, 예컨대, 본 발명의 프라이머 세트를 이용한 유전자 증폭법에 의해 얻어지는 증폭 산물을 검출하기 위해서, 또한, 상기 비만 유전자의 검출 대상 부위에 하이브리다이즈 가능한 프로브를 포함해도 좋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프라이머 세트에 따르면, 예컨대, 그것에 포함되는 프라이머 세트 (1)∼(3)의 종류에 따라서, 유전자 증폭법에 의해 3종류의 비만 유전자의 각 목적 영역을, 각각 특이적으로 증폭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상기 비만 유전자의 목적 영역에 있어서의 검출 대상 서열에 상보적(하이브리다이즈 가능한)인 프로브를 공존시킴으로써, 예컨대, 증폭의 유무나, 검출 대상 부위의 유전자형(다형) 등을, 후술하는 방법에 의해 검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프로브나 그 이용 방법에 관해서는, 이후의 다형의 해석 방법에 있어서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의 비만 유전자 증폭용 시약은, 전혈 등의 생체 시료에 있어서의 비만 유전자를 증폭시킬 때에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본 발명의 비만 유전자 증폭용 시약을, 전술한 바와 같은 프로브와 함께 사용할 때에는, 유전자 증폭용 반응액에 있어서의 전혈 시료의 첨가 비율을 0.1∼0.5 체적%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검출 대상 서열」이란, 다형이 발생하는 부위(검출 대상 부위)를 포함하는 서열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비만 유전자 증폭용 시약의 형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컨대, 본 발명의 비만 유전자 증폭용 프라이머 세트를 함유하는 액체 시약이어도 좋고, 사용 전에 용매로 현탁하는 건조 시약이어도 좋다. 또한, 비만 유전자 증폭용 프라이머 세트의 함유량도,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증폭 산물의 제조 방법>
본 발명의 증폭 산물의 제조 방법은, 전술한 바와 같이, 유전자 증폭법에 의해 비만 유전자의 증폭 산물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비만 유전자가, β2AR 유전자, β3AR 유전자 및 UCP1 유전자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유전자이며, 하기 (Ⅰ)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Ⅰ) 시료 중의 핵산을 주형(鑄型)으로 하고, 본 발명의 비만 유전자 증폭용 프라이머 세트를 이용하여, 반응액 중에서, 상기 β2AR 유전자, β3AR 유전자 및 UCP1 유전자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유전자의 증폭을 행하는 공정
이와 같이 본 발명의 프라이머 세트를 이용하여 증폭 반응을 행함으로써, 전술한 바와 같이, 비만 유전자의 목적 영역을 증폭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비만 유전자 증폭용 프라이머 세트가, 상기 프라이머 세트 (1)∼(3) 중 어느 2종류를 포함하는 경우는, 어느 2종류의 비만 유전자에 대해서, 각각의 검출 대상 부위를 포함하는 목적 영역을, 동일 반응액 중에서 동시에 증폭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비만 유전자 증폭용 프라이머 세트가, 상기 프라이머 세트 (1)∼(3)을 모두 포함하는 경우에는, 상기 3종류의 비만 유전자 모두에 대해서, 각각의 검출 대상 부위를 포함하는 목적 영역을, 동일 반응액 중에서 동시에 증폭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해 증폭시키는 목적 영역은, 전술한 바와 같이, 각 비만 유전자에 있어서의 각 목적의 다형이 발생하는 검출 대상 부위를 각각 포함하는 영역이다. 또한, 본 발명의 증폭 산물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는, 본 발명의 프라이머 세트를 사용하는 것이 특징이며, 유전자 증폭법의 종류나 조건 등은 조금도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유전자 증폭법으로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컨대, PCR(Polymerase Chain Reaction)법, NASBA(Nucleic acid sequence based amplification)법, TMA(Transcription-mediated amplification)법, SDA(Strand Displacement Amplification)법 등을 들 수 있으나, PCR법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하, PCR법을 예로 들어 본 발명을 설명하지만, 이것에는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적용하는 시료로서는, 예컨대, 주형이 되는 핵산을 포함하고 있으면 되고,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예컨대, 협잡물이 포함되는 시료에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협잡물이 포함되는 시료로서는, 예컨대, 전혈, 구강 내 세포(예컨대, 구강 점막), 손톱이나 모발 등의 체세포, 생식세포, 객담(喀痰), 양수, 파라핀 포매 조직, 오줌, 위액(예컨대, 위 세정액) 등이나, 이들의 현탁액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프라이머 세트를 이용한 증폭 산물의 제조 방법에 따르면, 예컨대, 여러 가지 협잡물이 포함되는 시료(특히, 전혈이나 구강 내 세포 등의 생체 시료)여도, 그 영향을 받기 어려워, 3종류의 비만 유전자의 각각의 목적 영역을 특이적으로 증폭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법에서는 곤란하였던 협잡물이 많은 시료여도, 예컨대, 정제 등의 전처리를 행하지 않고서, 그대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시료의 전처리의 관점에서도, 종래법보다 더욱 신속하게 증폭 산물을 조제하는 것이 가능하다고 말할 수 있다.
상기 반응액에 있어서의 시료의 첨가 비율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구체예로서, 상기 시료가 생체 시료(예컨대, 전혈 시료)인 경우, 상기 반응액에 있어서의 첨가 비율의 하한이, 예컨대, 0.01 체적%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05 체적%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0.1 체적% 이상이다. 또한, 상기 첨가 비율의 상한도,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예컨대, 2 체적% 이하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 체적%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0.5 체적% 이하이다.
또한, 후술하는 바와 같은 광학적 검출을 목적으로 하는 경우, 특히, 표지화 프로브를 이용한 광학적 검출을 행하는 경우, 전혈 시료와 같은 생체 시료의 첨가 비율은, 예컨대, 0.1∼0.5 체적%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PCR 반응에 있어서는, 통상, DNA 변성(단일쇄 DNA로의 해리)을 위해서 열처리가 실시되지만, 이 열처리에 의해 시료에 포함되는 당이나 단백질 등이 변성하여, 불용화의 침전물이나 혼탁 등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이 때문에, 증폭 산물의 유무나 검출 대상 부위의 유전자형(다형)을 광학적 수법에 의해 확인하는 경우, 이러한 침전물이나 혼탁의 발생이 측정 정밀도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다. 그러나, 반응액에 있어서의 전혈 시료의 첨가 비율을 전술한 범위로 설정하면, 메커니즘은 불분명하지만, 예컨대, 변성에 의한 침전물 등의 발생에 의한 영향을 충분히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광학적 수법에 의한 측정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전혈 시료 중의 협잡물에 의한 PCR의 저해도 충분히 억제되기 때문에, 증폭 효율을 보다 한층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프라이머 세트의 사용에 더하여, 또한, 전혈 시료 등의 시료의 첨가 비율을 전술한 범위로 설정함으로써, 시료의 전처리의 필요성을 보다 한층 배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반응액 중의 전혈 시료의 비율은, 전술한 바와 같은 체적 비율(예컨대, 0.1∼0.5 체적%)이 아니라, 헤모글로빈(이하, 「Hb」라고 말한다)의 중량 비율로 나타낼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반응액에 있어서의 전혈 시료의 비율은, Hb량으로 환산하여, 예컨대, 0.565∼113 g/L의 범위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825∼56.5 g/L의 범위, 더욱 바람직하게는 5.65∼28.25 ㎍/L의 범위이다. 또한, 상기 반응 중에 있어서의 전혈 시료의 첨가 비율은, 예컨대, 상기 체적 비율과 Hb 중량 비율의 양쪽을 만족시켜도 좋고, 어느 한쪽을 만족시켜도 좋다.
전혈로서는, 예컨대, 용혈된 전혈, 미용혈의 전혈, 항응고 전혈, 응고 분획(fraction)을 포함하는 전혈 등의 어떠한 것이어도 좋다.
본 발명에 있어서, 시료에 포함되는 표적 핵산은, 예컨대, DNA이다. 상기 DNA는, 예컨대, 생체 시료 등의 시료에 원래 포함되는 DNA여도 좋고, 유전자 증폭법에 의해 증폭시킨 증폭 산물 DNA여도 좋다. 후자의 경우, 상기 시료에 원래 포함되어 있는 RNA(토탈 RNA, mRNA 등)로부터 역전사 반응(예컨대, RT-PCR(Reverse Transcription PCR))에 의해 생성시킨 cDNA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증폭 산물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유전자 증폭 반응의 개시에 앞서, 상기 반응액에 알부민을 더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알부민을 첨가하면, 예컨대, 전술한 바와 같은 침전물이나 혼탁의 발생에 의한 영향을 보다 한층 저감시킬 수 있으며, 또한, 증폭 효율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Ⅰ)공정의 증폭 반응이나, 단일쇄 DNA로의 해리 공정 전에, 알부민을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반응액에 있어서의 알부민의 첨가 비율은, 예컨대, 0.01∼2 중량%의 범위이고, 바람직하게는 0.1∼1 중량%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0.2∼0.8 중량%이다. 상기 알부민으로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컨대, 소 혈청 알부민(BSA), 인간 혈청 알부민, 래트 혈청 알부민, 말 혈청 알부민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은 어느 1종류여도 좋고 2종류 이상을 병용해도 좋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증폭 산물의 제조 방법에 관해서, 전혈 시료에 대하여, DNA를 표적 핵산으로 하고, 상기 프라이머 세트 (1)∼(3)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비만 유전자 증폭용 프라이머 세트를 이용한 PCR에 의해, β2AR 유전자, β3AR 유전자 및 UCP1 유전자의 각 증폭 산물을, 동일 반응액에 있어서 동시에 제조하는 예를 들어서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프라이머 세트를 사용하는 것이 특징이며, 다른 구성 및 조건은 조금도 제한되지 않는다.
우선, PCR 반응액을 조제한다. 본 발명의 프라이머 세트의 첨가 비율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프라이머 세트 (1)∼(3)의 F 프라이머를, 각각 0.1∼2 μmol/L가 되도록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25∼1.5 μmol/L이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0.5∼1 μmol/L이다. 또한, 프라이머 세트 (1)∼(3)의 R 프라이머를, 각각 0.1∼2 μmol/L가 되도록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25∼1.5 μmol/L이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0.5∼1 μmol/L이다. 각 프라이머 세트에 있어서의 F 프라이머와 R 프라이머와의 첨가 비율(F:R, 몰비)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예컨대, 1:0.25∼1:4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0.5∼1:2이다.
반응액에 있어서의 전혈 시료의 비율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전술한 범위가 바람직하다. 전혈 시료는, 그대로 반응액에 첨가해도 좋고, 미리, 물이나 완충액 등의 용매로 희석하고 나서 반응액에 첨가해도 좋다. 전혈 시료를 미리 희석하는 경우, 그 희석률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컨대, 반응액에서의 최종적인 전혈 첨가 비율이 상기 범위가 되도록 설정할 수 있으나, 예컨대, 100∼2000배이고, 바람직하게는 200∼1000배이다.
상기 반응액에 있어서의 다른 조성 성분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종래 공지의 성분을 들 수 있고, 그 비율도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조성 성분으로서는, 예컨대, DNA 폴리메라아제, 뉴클레오티드(뉴클레오시드 삼인산(dNTP)) 및 용매를 들 수 있다. 또,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반응액은 또한 알부민을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반응액에 있어서, 각 조성 성분의 첨가 순서는 조금도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DNA 폴리메라아제로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컨대, 종래 공지의 내열성 세균 유래의 폴리메라아제를 사용할 수 있다. 구체예로서는, 써무스 아쿠아티쿠스(Thermus aquaticus) 유래 DNA 폴리메라아제(미국 특허 제4,889,818호 및 미국 특허 제5,079,352호)(상품명 Taq 폴리메라아제), 써무스 써모필루스(Thermus thermophilus) 유래 DNA 폴리메라아제(WO 91/09950)(rTth DNA polymerase), 피로코커스 퓨리오서스(Pyrococcus furiosus) 유래 DNA 폴리메라아제(WO 92/9688)(Pfu DNA polymerase: Stratagenes사 제조), 써모코커스 리토랠리스 (Thermococcus litoralis) 유래 DNA 폴리메라아제(EP-A 455 430)(상표 Vent: Biolab New England사 제조) 등이 상업적으로 입수 가능하고, 그 중에서도, 써무스 아쿠아티쿠스(Thermus aquaticus) 유래의 내열성 DNA 폴리메라아제가 바람직하다.
상기 반응액 중의 DNA 폴리메라아제의 첨가 비율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예컨대, 1∼100 U/mL이고, 바람직하게는 5∼50 U/mL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20∼30 U/mL이다. 또한, DNA 폴리메라아제의 활성 단위(U)는, 일반적으로, 활성화연어 정자 DNA를 주형 프라이머로 하고, 활성 측정용 반응액 중, 74℃에서, 30분 동안에 10 ㎚ol의 전체 뉴클레오티드를 산 불용성 침전물에 받아들이는 활성이 1U이다. 상기 활성 측정용 반응액의 조성은, 예컨대, 25 mM TAPS buffer(pH9.3, 25℃), 50 mM KCl, 2 mM MgCl2, 1 mM 메르캅토에탄올, 200 μM dATP, 200 μM dGTP, 200 μM dTTP, 100 μM 「α-32P」dCTP, 0.25 ㎎/mL 활성화 연어 정자 DNA이다.
상기 뉴클레오시드 삼인산으로서는, 통상, dNTP(dATP, dCTP, dTTP)를 들 수 있다. 상기 반응액 중의 dNTP의 첨가 비율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예컨대, 0.01∼1 mmol/L이고, 바람직하게는 0.05∼0.5 mmol/L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0.1∼0.3 mmol/L이다.
상기 용매로서는, 예컨대, Tris-HCl, Tricine, MES, MOPS, HEPES, CAPS 등의 완충액을 들 수 있으며, 시판의 PCR용 완충액이나 시판의 PCR 키트의 완충액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PCR 반응액은, 또한, 헤파린, 베타인, KCl, MgCl2, MgSO4, 글리세롤 등을 포함해도 좋으며, 이들의 첨가 비율은, 예컨대, PCR 반응을 저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설정하면 된다.
반응액의 전체 체적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컨대, 사용하는 기기(써멀 사이클러(thermal cycler)) 등에 따라서 적절하게 결정할 수 있으나, 통상, 1∼500 μL이고, 바람직하게는 10∼100 μL이다.
다음으로, PCR을 행한다. PCR의 사이클 조건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예컨대, (1) 전혈 유래 이중쇄 DNA의 단일쇄 DNA로의 해리, (2) 프라이머의 어닐링, (3) 프라이머의 신장(폴리메라아제 반응)은, 각각 이하와 같다. 또한, 사이클수도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하기 (1)∼(3)의 3단계를 1사이클로 해서, 예컨대, 30사이클 이상이 바람직하다. 상한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예컨대, 합계 100사이클 이하, 바람직하게는 70사이클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50사이클 이하이다. 각 단계의 온도 변화는, 예컨대, 써멀 사이클러 등을 이용하여 자동적으로 제어하면 된다. 본 발명의 프라이머 세트를 사용한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이 증폭 효율이 우수하기 때문에, 종래의 방법에 따르면 50사이클에 3시간 정도를 필요로 하고 있었던 데 비해서, 본 발명에 따르면, 약 1시간 정도(바람직하게는 1시간 이내)로 50사이클을 완료하는 것도 가능하다.
Figure pat00004
이상과 같이 하여, β2AR 유전자, β3AR 유전자 및 UCP1 유전자의 각 목적 영역의 증폭 산물을, 동일 반응액에 있어서 동시에 제조할 수 있다. 또한, 3종류의 비만 유전자 중 어느 1종류 또는 어느 2종류의 비만 유전자의 각 목적 영역에 상보적인 증폭 산물을 제조하는 경우에는, 예컨대, 프라이머 세트 (1)∼(3) 중 목적 영역에 대응하는 어느 1종류 또는 어느 2종류의 프라이머 세트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비만 유전자 증폭용 프라이머 세트를 사용하면 된다.
본 발명의 증폭 산물의 제조 방법은, 또한, 전술한 증폭 반응에 의해 얻어진 증폭 산물을 검출하는 공정을 포함해도 좋다. 이것에 의해, 증폭 산물의 유무나, 상기 비만 유전자의 목적 영역에 있어서의 유전자형을 검출할 수도 있다. 증폭 산물의 유무는, 종래 공지의 방법에 의해 확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예컨대, 상기 (Ⅰ)공정에 있어서, 상기 반응액에, 또한, β2AR 유전자, β3AR 유전자 또는 UCP1 유전자의 검출 대상 부위에 하이브리다이즈 가능한 프로브(예컨대, 형광 표지화 프로브)를 첨가해 두고, 또한, (Ⅱ)공정으로서, 상기 반응액에 대해서, 상기 프로브에 있어서의 형광 표지의 형광 강도를 측정함으로써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증폭시키는 목적 영역이 2개 또는 3개인 경우에는, 예컨대, 상기 (Ⅰ)공정에 있어서, 상기 반응액에, 또한, β2AR 유전자, β3AR 유전자 및 UCP1 유전자 중 어느 하나의 각 검출 대상 부위에 하이브리다이즈 가능한 프로브(예컨대, 형광 표지화 프로브)를 2종류 또는 3종류 첨가해 두고, 또한, (Ⅱ)공정으로서, 상기 반응액에 대해서, 각 프로브에 있어서의 각 형광 표지의 형광 강도를 측정함으로써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비만 유전자에 있어서의 다형의 검출에 대해서는, 본 발명의 일 형태로서, 이하에 설명한다.
<비만 유전자의 다형 해석 방법>
본 발명의 다형 해석 방법은, 비만 유전자에 있어서의 검출 대상 부위의 다형을 해석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비만 유전자가, β2AR 유전자, β3AR 유전자 및 UCP1 유전자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유전자이며, 하기 (ⅰ)∼(ⅳ)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ⅰ) 본 발명의 증폭 산물의 제조 방법에 의해, 상기 β2AR 유전자, β3AR 유전자 및 UCP1 유전자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유전자에 있어서의 검출 대상 부위를 포함하는 영역을 반응액 중에서 증폭시키는 공정
(ⅱ) 상기 (ⅰ)공정에 있어서의 증폭 산물과, 상기 β2AR 유전자, β3AR 유전자 및 UCP1 유전자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유전자에 있어서의 검출 대상 부위에 하이브리다이즈 가능한 프로브를 포함하는 반응액을 준비하는 공정
(ⅲ) 상기 반응액의 온도를 변화시켜, 상기 증폭 산물과 상기 프로브와의 하이브리드 형성체의 융해 상태를 나타내는 시그널 값을 측정하는 공정
(ⅳ) 온도 변화에 따르는 상기 시그널 값의 변동으로부터, 상기 β2AR 유전자, β3AR 유전자 및 UCP1 유전자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유전자에 있어서의 검출 대상 부위의 다형을 결정하는 공정
이와 같이 본 발명의 프라이머 세트를 이용하여 증폭 산물을 제조함으로써, 전술한 바와 같이, β2AR 유전자, β3AR 유전자 및 UCP1 유전자 중 적어도 하나의 비만 유전자에 있어서의 다형의 검출 대상 부위를 포함하는 목적 영역을 증폭하여, 상기 목적 영역에 있어서의 검출 대상 부위의 다형을 해석할 수 있다.
상기 (ⅰ)공정에 있어서의 프로브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β2AR 유전자의 검출 대상 부위에 하이브리다이즈하는 프로브(이하, 「β2AR 유전자용 프로브」라고도 말한다), β3AR 유전자의 검출 대상 부위에 하이브리다이즈하는 프로브(이하, 「β3AR 유전자용 프로브」라고도 말한다) 및 UCP1 유전자의 검출 대상 부위에 하이브리다이즈하는 프로브(이하, 「UCP1 유전자용 프로브」라고도 말한다)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 프로브는, 상기 검출 대상 서열을 포함하는 검출 대상 서열에 상보적인 프로브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 프로브는, 어느 1종류여도 좋고, 어느 2종류 또는 3종류 모두여도 좋으며, 예컨대, 본 발명의 비만 유전자 증폭용 프라이머 세트에 의해 증폭시킨 목적 영역의 종류에 따라서 결정할 수 있다. 2종류 또는 3종류의 프로브를 이용한 경우, 예컨대, 동일 반응액을 이용하여, 어느 2개의 검출 대상 부위 또는 상기 3개 모든 검출 대상 부위의 다형을 해석할 수 있다.
상기 비만 유전자에 대한 프로브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종래 공지의 방법에 의해 설정할 수 있고, 예컨대, 다형의 검출 목적 부위를 포함하는 검출 대상 서열로서, 각 비만 유전자의 센스쇄의 서열에 기초하여 설계해도 좋고, 안티센스쇄의 서열에 기초하여 설계해도 좋다. 또한, 다형의 검출 목적 부위의 염기는, 각 다형의 종류에 따라서 적절하게 결정할 수 있다. 즉, β2AR 유전자의 경우, 서열번호 1에 있어서의 4265번째의 염기에 「A」 및 「G」의 다형이 알려져 있기 때문에, 예컨대, 4265번째가 A인 검출 대상 서열, 및 4265번째가 G인 검출 대상 서열 중 어느 하나에 상보적인 프로브(센스쇄의 검출용 프로브)나, 그 안티센스쇄의 서열에 상보적인 프로브(안티센스쇄의 검출용 프로브)를 들 수 있다. 또한, β3AR 유전자의 경우, 서열번호 2에 있어서의 4134번째의 염기에 「T」 및 「C」의 다형이 알려져 있기 때문에, 예컨대, 4134번째가 T인 검출 대상 서열, 및 4265번째가 C인 검출 대상 서열 중 어느 하나에 상보적인 프로브(센스쇄의 검출용 프로브)나, 그 안티센스쇄의 서열에 상보적인 프로브(안티센스쇄의 검출용 프로브)를 들 수 있다. 또한, UCP1 유전자의 경우, 서열번호 3에 있어서의 292번째의 염기에 「A」 및 「G」의 다형이 알려져 있기 때문에, 예컨대, 4134번째가 A인 검출 대상 서열, 및 4265번째가 G인 검출 대상 서열 중 어느 하나에 상보적인 프로브(센스쇄의 검출용 프로브)나, 그 안티센스쇄의 서열에 상보적인 프로브(안티센스쇄의 검출용 프로브)를 들 수 있다. 이와 같이, 다형이 발생하는 검출 목적 부위의 염기를 전술한 바와 같은 어느 하나의 염기로 설정하여 프로브를 설계해도, 후술하는 바와 같은 방법에 의해, 각 비만 유전자의 검출 목적 부위에 있어서 어떠한 다형을 나타내는지를 판단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각 프로브는, 상기 (ⅰ)공정 후, 즉, 상기 비만 유전자의 목적 영역에 대해서 증폭 반응을 행한 후, 증폭 반응액에 첨가할 수도 있으나, 용이하고 또한 신속하게 해석을 행할 수 있다는 점에서, 상기 (ⅰ)공정의 증폭 반응에 앞서, 미리 반응액에 첨가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반응액에 있어서의 프로브의 첨가 비율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예컨대, 각 프로브를 10∼400 ㎚ol의 범위가 되도록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0∼200 ㎚ol이다. 또한, 프로브의 표지로서 형광 색소를 이용하고 있는 경우, 예컨대, 검출하는 형광 강도를 조정하기 위해서, 표지화 프로브와 동일한 서열인 미표지 프로브를 병용해도 좋으며, 이 미표지 프로브는, 그 3'말단에 인산이 부가되어도 좋다. 이 경우, 표지화 프로브와 비표지 프로브의 몰비는, 예컨대, 1:10∼10:1이 바람직하다. 상기 프로브의 길이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컨대, 5∼50 mer이고, 바람직하게는 10∼30 mer이다.
Tm값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중쇄 DNA를 포함하는 용액을 가열해 가면, 260 ㎚에 있어서의 흡광도가 상승한다. 이것은, 이중쇄 DNA에 있어서의 양쇄 간의 수소 결합이 가열에 의해 풀려서, 단일쇄 DNA로 해리(DNA의 융해)하는 것이 원인이다. 그리고, 모든 이중쇄 DNA가 해리하여 단일쇄 DNA가 되면, 그 흡광도는 가열 개시 시의 흡광도(이중쇄 DNA만의 흡광도)의 약 1.5배 정도를 나타내고, 이에 따라 융해가 완료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이 현상에 기초하여, 융해 온도 Tm이란, 일반적으로, 흡광도가, 흡광도 전체 상승분의 50%에 도달했을 때의 온도라고 정의된다.
상기 (ⅲ)공정에 있어서, 상기 증폭 산물과 상기 프로브와의 하이브리드 형성체의 융해 상태를 나타내는 시그널의 측정은, 전술한, 260 ㎚의 흡광도 측정이어도 좋으나, 표지 물질의 시그널 측정이어도 좋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프로브로서, 표지 물질로 표지화된 표지화 프로브를 사용하여, 상기 표지 물질의 시그널 측정을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표지화 프로브로서는, 예컨대, 단독으로 시그널을 나타내고 또한 하이브리드 형성에 의해 시그널을 나타내지 않는 표지화 프로브, 또는 단독으로 시그널을 나타내지 않고 또한 하이브리드 형성에 의해 시그널을 나타내는 표지화 프로브를 들 수 있다. 전자와 같은 프로브이면, 검출 대상 서열과 하이브리드(이중쇄 DNA)를 형성하고 있을 때에는 시그널을 나타내지 않고, 가열에 의해 프로브가 유리하면 시그널을 나타낸다. 또한, 후자의 프로브이면, 검출 대상 서열과 하이브리드(이중쇄 DNA)를 형성함으로써 시그널을 나타내고, 가열에 의해 프로브가 유리하면 시그널이 감소(소실)한다. 따라서, 이 표지에 의한 시그널을 시그널 특유의 조건(흡수 파장 등)으로 검출함으로써, 상기 260 ㎚의 흡광도 측정과 마찬가지로, 융해의 진행 및 Tm값의 결정 등을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동일 반응액으로 증폭시킨 2종류 또는 3종류의 비만 유전자의 증폭 산물에 대해서 각 다형을 확인할 수도 있다. 이 때문에, 2종류 또는 3종류의 프로브를 사용할 때에는, 각각 다른 조건으로 검출되는 다른 표지(예컨대, 형광 표지)에 의해 표지화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다른 표지을 사용함으로써, 동일 반응액이어도, 검출 조건을 변경시킴으로써, 각 증폭 산물을 별개로 해석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표지화 프로브에 있어서의 표지 물질의 구체예로서는, 예컨대, 형광 색소(형광단)를 들 수 있다. 상기 표지화 프로브의 구체예로서는, 예컨대, 형광 색소로 표지되며, 단독으로 형광을 나타내고 또한 하이브리드 형성에 의해 형광이 감소(예컨대, 소광)하는 프로브가 바람직하다. 이러한 형광 소광 현상(Quenching phenomenon)을 이용한 프로브는, 일반적으로, 형광 소광 프로브라고 불린다. 그 중에서도, 상기 프로브로서는, 올리고뉴클레오티드의 3'말단 또는 5'말단이 형광 색소로 표지화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표지화되는 상기 말단의 염기는 C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표지화 프로브가 하이브리다이즈하는 검출 대상 서열에 있어서, 상기 표지화 프로브의 말단 염기 C와 쌍을 이루는 염기 또는 상기 쌍을 이루는 염기로부터 1∼3염기 떨어진 염기가 G가 되도록, 상기 표지화 프로브의 염기서열을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프로브는, 일반적으로 구아닌 소광 프로브라고 불리며, 소위 QProbe(등록 상표)로서 알려져 있다. 이러한 구아닌 소광 프로브가 검출 대상 서열에 하이브리다이즈하면, 형광 색소로 표지화된 말단의 C가, 상기 검출 대상 DNA에 있어서의 G에 접근함으로써, 상기 형광 색소의 발광이 약해진다(형광 강도가 감소한다)고 하는 현상을 나타낸다. 이러한 프로브를 사용하면, 시그널의 변동에 의해, 하이브리다이즈와 해리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상기 형광 색소로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예컨대, 플루오레세인, 인광체, 로다민, 폴리메틴 색소 유도체 등을 들 수 있으며, 시판의 형광 색소로서는, 예컨대, BODIPY FL(상표, 몰레큘러 프로브사 제조), FluorePrime(상품명, 아머샴 파마시아(Amersham Pharmacia)사 제조), Fluoredite(상품명, 밀리포어사 제조), FAM(ABI사 제조), Cy3 및 Cy5(아머샴 파마시아사 제조), TAMRA(몰레큘러 프로브사 제조) 등을 들 수 있다. 3종류의 프로브에 사용하는 형광 색소의 조합은, 예컨대, 다른 조건으로 검출할 수 있으면 되고,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예컨대, Pacific Blue(검출 파장 450∼480 ㎚), TAMRA(검출 파장 585∼700 ㎚) 및 BODIPY FL(검출 파장 515∼555 ㎚)의 조합 등을 들 수 있다.
이하에, 전술한 β2AR 유전자, β3AR 유전자 및 UCP1 유전자의 각 다형을 검출하기 위한 프로브의 서열의 구체예를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은, 이것에는 제한되지 않는다. 하기 프로브 (P1)은, β2AR 유전자용 프로브의 일례이며, (1-1)은 센스쇄를 검출하기 위한 프로브이고, (1-2)는 안티센스쇄를 검출하기 위한 프로브이다. 하기 프로브 (2)는, β3AR 유전자용 프로브의 일례이며, (2-1)은 안티센스쇄를 검출하기 위한 프로브이고, (2-2)는 센스쇄를 검출하기 위한 프로브이다. 하기 프로브 (3)은, UCP1 유전자용 프로브의 일례이며, 안티센스쇄를 검출하기 위한 프로브이다. 또한, 각 프로브 (P1)∼(P3)은, 각각 1종류여도 좋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각각 2종류 이상을 병용해도 좋다.
프로브 ( P1 )
(1-1) 서열번호 1에 있어서의 4254번째의 티민 염기(T)를 1염기째로 하여 3'방향을 향해서 21∼26염기째까지의 영역에 상보적인 적어도 하나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로서, 상기 티민 염기에 상보적인 아데닌 염기(A)를 3'말단으로 하는 올리고뉴클레오티드
(1-2) 서열번호 1에 있어서의 4259번째의 시토신 염기(C)를 1염기째로 하여 3'방향을 향해서 15∼19염기째까지의 영역과 동일한 서열인 적어도 하나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로서, 상기 시토신 염기를 5'말단으로 하는 올리고뉴클레오티드
프로브 ( P2 )
(2-1) 서열번호 2에 있어서의 4140번째의 시토신 염기(C)를 1염기째로 하여 5'방향을 향해서 17∼28염기째까지의 영역과 동일한 서열인 적어도 하나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로서, 상기 시토신 염기를 3'말단으로 하는 올리고뉴클레오티드
(2-2) 서열번호 2에 있어서의 4144번째의 구아닌 염기(G)를 1염기째로 하여 5'방향을 향해서 12∼17염기째까지의 영역에 상보적인 적어도 하나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로서, 상기 구아닌 염기에 상보적인 시토신 염기(C)를 5'말단으로 하는 올리고뉴클레오티드
프로브 ( P3 )
서열번호 3에 있어서의 280번째의 시토신 염기(C)를 1염기째로 하여 3'방향을 향해서 17∼31염기째까지의 영역과 동일한 서열인 적어도 하나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로서, 상기 시토신 염기를 5'말단으로 하는 올리고뉴클레오티드
상기 프로브 (1-1)에 있어서, 서열번호 1의 4265번째에 상보적인 염기는 y로 표시되고, 상기 y는 T 또는 C이다. 상기 프로브 (1-2)에 있어서, 서열번호 1의 4265번째에 해당하는 염기는 r로 표시되고, 상기 r은 A 또는 G이다. 상기 프로브 (2-1)에 있어서, 서열번호 2의 4134번째에 해당하는 염기는 y로 표시되고, 상기 y는 T 또는 C이다. 상기 프로브 (2-2)에 있어서, 서열번호 2의 4134번째에 상보적인 염기는 r로 표시되고, 상기 r은 A 또는 G이다. 상기 프로브 (3)에 있어서, 서열번호 3의 292번째에 해당하는 염기는 r로 표시되고, 상기 r은 A 또는 G이다.
또한, 상기 프로브 (1), 프로브 (2) 및 프로브 (3)의 구체예를 하기 표에 나타낸다. 하기 표에 있어서의 「Tm(℃)」은, 하기 표의 서열과 완전히 상보적인 서열이 하이브리드한 경우의 Tm(℃)이며, MELTCALC 소프트웨어(http://www.meltcalc.com/)에 의해, 파라미터를 올리고뉴클레오티드 농도 0.2 μM, 나트륨당량(Na eq.) 50 mM로 해서 산출한 값이다.
Figure pat00005
상기 표에 있어서, 서열번호 69∼74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가, 프로브 (1-1)의 구체예이며, 각 염기서열에 있어서의 「y」는, 이하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T 및 C의 어떠한 것이어도 좋다. 상기 표에 있어서, 「y」가 C인 서열번호 69∼서열번호 74로 나타나는 프로브 (1-1)은, 서열번호 1의 4265번째의 염기가 G인 β2AR 유전자(센스쇄)에 대하여 상보적(퍼펙트 매치)인 프로브이며, 대문자의 염기 C가, 서열번호 1의 4265번째의 염기 G에 상보적인 염기를 나타낸다. 상기 표에 있어서는, 구체예로서, 「y」가 「C」인 프로브의 서열, 및 상기 프로브와 그것에 완전히 상보적인 서열이 하이브리다이즈한 경우의 Tm값(℃)을 나타낸다.
5'-cgcatggcttcyattgggtgcca-3' (서열번호 72: y)
5'-cgcatggcttccattgggtgcca-3' (서열번호 72, 101: y가 C)
5'-cgcatggcttctattgggtgcca-3' (서열번호 72, 102: y가 T)
상기 표에 있어서, 서열번호 112∼116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가, 상기 프로브 (1-2)의 구체예이며, 각 염기서열에 있어서의 「r」은, 전술한 바와 같이 A 및 G의 어떠한 것이어도 좋다. 또한, 상기 표에 있어서, 「r」이 G인 서열번호 112∼서열번호 116으로 나타나는 프로브 (1-2)는, 서열번호 1의 4265번째의 염기가 G인 β2AR 유전자의 상보쇄(안티센스쇄)에 대하여 상보적(퍼펙트 매치)인 프로브이며, 대문자의 염기가, 서열번호 1의 4265번째의 염기를 나타낸다. 상기 표에 있어서는, 구체예로서, 「r」이 「G」인 프로브의 서열, 및 상기 프로브와 그것에 완전히 상보적인 서열이 하이브리다이즈한 경우의 Tm값(℃)을 나타낸다.
Figure pat00006
상기 표에 있어서, 서열번호 75∼86으로 나타나는 프로브 (2-1)은, 서열번호 2에 있어서의 4134번째가 C인 영역과 동일한 서열로 이루어지며, 대문자의 염기가, 서열번호 2에 있어서의 4134번째의 염기를 나타낸다. 또한, 상기 프로브 (2-1)에 있어서, 상기 대문자의 염기는 y로 치환할 수 있으며, 상기 y는 C 및 T의 어떠한 것이어도 좋다. 상기 표에 있어서, 서열번호 117∼128로 나타나는 프로브 (2-2)는, 서열번호 2에 있어서의 4134번째가 C인 영역에 상보적인 서열로 이루어지며, 대문자의 염기가, 서열번호 2에 있어서의 4134번째의 염기에 상보적인 염기를 나타낸다. 또한, 상기 프로브 (2-2)에 있어서, 상기 대문자의 염기는 r로 치환할 수 있으며, 상기 r은 G 및 A의 어떠한 것이어도 좋다. 상기 표에 있어서, 서열번호 87∼100 및 139로 나타나는 프로브 (3)은, 서열번호 3에 있어서의 292번째가 G인 영역과 동일한 서열로 이루어지며, 대문자의 염기가, 서열번호 3의 292번째의 염기를 나타낸다. 또한, 상기 프로브 (3)에 있어서, 대문자의 염기는 r로 치환할 수 있으며, 상기 r은 G 및 A의 어떠한 것이어도 좋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의 프로브의 구체예로서는, 예컨대,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표에 나타내는 올리고뉴클레오티드의 상보쇄여도 좋다.
상기 프로브는 일례이며, 본 발명은 이것에는 조금도 한정되지 않는다. β2AR 유전자용 프로브로서는, 프로브 (1-1) 중에서도, 서열번호 72의 염기서열로 이루어지는 올리고뉴클레오티드가 바람직하며, 「y」는 전술한 바와 같이 T 및 C의 어떠한 것이어도 좋다. 또한, 프로브 (1-2) 중에서도, 서열번호 114의 염기서열로 이루어지는 올리고뉴클레오티드가 바람직하며, 「r」은 A 및 G의 어떠한 것이어도 좋다. 또한, β2AR 유전자용 프로브로서는, 소위 야생형 검출용 프로브와 변이형 검출용 프로브를 병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야생형 검출용 프로브란, 예컨대, 서열번호 1의 4265번째의 염기가 A(또는 G)인 검출 대상 서열(센스쇄) 또는 그 상보쇄(안티센스쇄)를 검출하기 위한 프로브이고, 변이형 검출용 프로브란, 서열번호 1의 4265번째의 염기가 G(또는 A)인 검출 대상 서열(센스쇄) 또는 그 상보쇄(안티센스쇄)를 검출하기 위한 프로브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프로브 (1-1) 중에서도, 예컨대, 「y」가 「C」인 서열번호 69∼74의 염기서열로 이루어지는 적어도 하나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변이형 검출용 프로브)와, 「y」가 「T」인 서열번호 69∼74의 염기서열로 이루어지는 적어도 하나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야생형 검출용 프로브)를 병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y」가 「C」인 서열번호 72로 이루어지는 올리고뉴클레오티드(변이형 검출용 프로브)와, 「y」가 「T」인 서열번호 72의 염기서열로 이루어지는 올리고뉴클레오티드(야생형 검출용 프로브)와의 병용이다.
본 발명자들은, 별도로, 다형의 해석에 대해서 연구를 행한 결과, β2AR 유전자 다형(β2AR의 아미노산 16위를 코드하는 부위의 다형: 서열번호 1의 4265번째의 염기의 다형)을 해석하는 경우, 프로브를 이용한 Tm 해석에 의하면, 시그널의 검출이 곤란하다는 지견을 얻었다. 그래서, 본 발명자들은, 더욱 예의 연구를 행한 결과, 전술한 프로브 (1), 특히, 서열번호 72의 염기서열로 이루어지는 올리고뉴클레오티드(즉, 서열번호 101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와 서열번호 102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이면, 후술하는 바와 같이, β2AR 유전자의 증폭 산물과 매치하는 경우의 시그널과 미스 매치하는 경우의 시그널을, 충분히 구별하여 검출 가능한 것을 발견하였다. 서열번호 101로 나타나는 프로브는, 서열번호 1의 4265번째의 염기가 G인 β2AR 유전자(센스쇄)의 검출 대상 서열과 퍼펙트 매치하는 프로브이며, 서열번호 102로 나타나는 프로브는, 서열번호 1의 4265번째의 염기가 A인 β2AR 유전자(센스쇄)의 검출 대상 서열과 퍼펙트 매치하는 프로브이다. 또한,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이, 비만 유전자 증폭용 프라이머 세트를 사용함으로써, 3종류의 유전자의 각각의 목적 영역을, 동일 반응액에 있어서, 동시에 또한 특이적으로 증폭하는 것이 특징이기 때문에, 얻어진 증폭 산물의 해석에 사용하는 프로브의 서열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β3AR 유전자용 프로브로서는, 프로브 (2-1) 중에서도, 서열번호 83의 염기서열로 이루어지는 올리고뉴클레오티드가 바람직하다. 또한, 프로브 (2-2)로서는, 소위 야생형 검출용 프로브와 변이형 검출용 프로브를 병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야생형 검출용 프로브란, 예컨대, 서열번호 2의 4134번째의 염기가 T인 검출 대상 서열(센스쇄) 또는 그 상보쇄(안티센스쇄)를 검출하기 위한 프로브이고, 변이형 검출용 프로브란, 서열번호 2의 4134번째의 염기가 C인 검출 대상 서열(센스쇄) 또는 그 상보쇄(안티센스쇄)를 검출하기 위한 프로브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예컨대, 서열번호 117∼122의 염기서열로 이루어지는 적어도 하나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변이형 검출용 프로브)와, 서열번호 123∼128의 염기서열로 이루어지는 적어도 하나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야생형 검출용 프로브)를 병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서열번호 120의 염기서열로 이루어지는 올리고뉴클레오티드(변이형 검출용 프로브)와 서열번호 127의 염기서열로 이루어지는 올리고뉴클레오티드(야생형 검출용 프로브)를 병용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야생형 검출용 프로브와 변이형 검출용 프로브를 병용하는 경우, 예컨대, 각 프로브의 퍼펙트 매치의 Tm값을 어긋나게 해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UCP1 유전자용 프로브로서는, 프로브 (3) 중에서도, 서열번호 95 또는 서열번호 139의 염기서열로 이루어지는 올리고뉴클레오티드가 바람직하다.
그리고, 이들 프로브는, 2종류 이상을 사용할 때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각각 다른 형광 색소(다른 파장으로 검출되는 형광 색소)로 표지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상기 표에 나타내는 프로브를 소광 프로브로 하는 경우, 프로브 (1-1) 및 프로브 (2-1)은, 3'말단을 전술한 바와 같은 형광 색소(예컨대, Pacific Blue, BODIPY FL 등)로 표지화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프로브 (1-2), 프로브 (2-2) 및 프로브 (3)은, 5'말단의 시토신을 전술한 바와 같은 형광 색소(예컨대, TAMRA 등)로 표지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표에 나타내는 프로브 (1-1)의 3'말단은 아데닌(A)이지만, 인접하는 시토신(C)이 구아닌(G)과 하이브리다이즈함으로써 소광을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구아닌 소광 프로브로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5'말단에 형광 색소를 표지화한 프로브는, 예컨대, 프로브 자체가 신장하는 것을 예방하기 위해서, 그 3'말단에, 또한 인산기가 부가되어도 좋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야생형 검출용 프로브와 변이형 검출용 프로브를 사용하는 경우, 각각의 형광 색소는, 동일해도 좋고 달라도 좋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검출 방법에 대해서, 일례로서, 하기 프로브를 이용하여, β2AR 유전자의 다형(서열번호 1에 있어서의 4265번째의 염기의 다형), β3AR 유전자의 다형(서열번호 2에 있어서의 4134번째의 염기의 다형) 및 UCP1 유전자의 다형(서열번호 3에 있어서의 292번째의 염기의 다형)을 검출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것에는 제한되지 않는다.
(프로브)
β2AR 유전자용 프로브
5'-cgcatggcttcCattgggtgcca-(Pacific Blue)-3'(서열번호 72), 또는
5'-(Pacific Blue)-cccaatGgaagccatgc-P-3'(서열번호 114)
β3AR 유전자용 프로브
5'-cgtggccatcgccCggactc-(BODIPY FL)-3'(서열번호 83), 또는;
5'-(BODIPY FL)-ctcggagtccGggc-P-3'(서열번호 120), 및
5'-(BODIPY FL)-ctcggagtccAggc-P-3'(서열번호 127)
UCP1 유전자용 프로브
5'-(TAMRA)-cacagtttgatcGagtgcatttg-3'(서열번호 95), 또는
5'-(TAMRA)-cacagtttgatcGagtg-3'(서열번호 139)
우선, 상기 3종류의 표지화 프로브를 첨가한 반응액을 이용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PCR을 행해서, 동일 반응액 중에서, β2AR 유전자, β3AR 유전자 및 UCP1 유전자의 각 목적 영역을 동시에 증폭시킨다.
다음으로, 얻어진 증폭 산물의 해리, 및 해리에 의해 얻어진 단일쇄 DNA와 상기 표지화 프로브와의 하이브리다이즈를 행한다. 이것은, 예컨대, 상기 반응액의 온도 변화에 의해 행할 수 있다.
상기 해리 공정에 있어서의 가열 온도는, 상기 증폭 산물이 해리할 수 있는 온도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예컨대, 85∼95℃이다. 가열 시간도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통상, 1초∼10분이고, 바람직하게는 1초∼5분이다.
해리한 단일쇄 DNA와 상기 표지화 프로브와의 하이브리다이즈는, 예컨대, 상기 해리 공정 후, 상기 해리 공정에 있어서의 가열 온도를 강하시킴으로써 행할 수 있다. 온도 조건으로서는, 예컨대, 40∼50℃이다.
그리고, 상기 반응액의 온도를 변화시켜, 상기 증폭 산물과 상기 표지화 프로브와의 하이브리드 형성체의 융해 상태를 나타내는 시그널 값을 측정한다. 구체적으로는, 예컨대, 상기 반응액(상기 단일쇄 DNA와 상기 표지화 프로브와의 하이브리드 형성체)을 가열하고, 온도 상승에 따르는 시그널 값의 변동을 측정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예컨대, 구아닌 소광 프로브를 사용한 경우, 단일쇄 DNA와의 하이브리다이즈한 상태에서는, 형광이 감소(또는 소광)하고, 해리한 상태에서는, 형광을 발한다. 따라서, 예컨대, 형광이 감소(또는 소광)하고 있는 하이브리드 형성체를 서서히 가열하고, 온도 상승에 따르는 형광 강도의 증가를 측정하면 된다.
형광 강도의 변동을 측정할 때의 온도 범위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예컨대, 개시 온도가 실온∼85℃이고, 바람직하게는 25∼70℃이며, 종료 온도는, 예컨대, 40∼105℃이다. 또한, 온도의 상승 속도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예컨대, 0.1∼20℃/초이고, 바람직하게는 0.3∼5℃/초이다.
다음으로, 상기 시그널의 변동을 해석하여 Tm값을 결정한다. 구체적으로는, 얻어진 형광 강도로부터 각 온도에 있어서의 단위 시간당의 형광 강도 변화량(-d 형광 강도 증가량/dt)을 산출하고, 가장 낮은 값을 나타내는 온도를 Tm값으로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단위 시간당의 형광 강도 증가량(형광 강도 증가량/t)이 가장 높은 점을 Tm값으로서 결정할 수도 있다. 또한, 표지화 프로브로서, 소광 프로브가 아니라, 단독으로 시그널을 나타내지 않고 또한 하이브리드 형성에 의해 시그널을 나타내는 프로브를 사용한 경우에는, 반대로, 형광 강도의 감소량을 측정하면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3개의 유전자의 각 다형을 검출하기 위해서, 3종류의 프로브의 각 표지에 따른 조건으로, 각각의 Tm값을 결정한다. β2AR 유전자용 프로브의 Pacific Blue는, 예컨대, 검출 파장 450∼480 ㎚, β3AR 유전자용 프로브의 BODIPY FL은, 예컨대, 검출 파장 515∼555 ㎚, UCP1 유전자용 프로브의 TAMRA는, 예컨대, 검출 파장 585∼700 ㎚에서 검출할 수 있다.
그리고, 이들 Tm값으로부터, 각 유전자의 검출 대상 부위에 있어서의 유전자형을 결정한다. Tm 해석에 있어서, 완전히 상보인 하이브리드(매치)는, 일염기가 다른 하이브리드(미스 매치)보다도, 해리를 나타내는 Tm값이 높아진다는 결과가 얻어진다. 따라서, 미리, 상기 프로브에 대해서, 완전히 상보인 하이브리드의 Tm값과, 일염기가 다른 하이브리드의 Tm값을 결정해 둠으로써, 증폭 산물이 프로브와 매치인지 미스 매치인지를 결정할 수 있다. 예컨대, 검출 대상 서열에 있어서의 목적 부위의 염기를 변이형(예컨대, 서열번호 1에 있어서의 4265번째의 염기가 G)이라고 가정하고, 그것을 포함하는 검출 대상 서열에 상보적인 프로브를 사용한 경우, 형성한 하이브리드의 Tm값이, 완전히 상보인 하이브리드의 Tm값과 동일하면, 상기 증폭 산물의 다형은 변이형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 또한, 형성한 하이브리드의 Tm값이, 일염기 다른 하이브리드의 Tm값과 동일(완전히 상보인 하이브리드의 Tm값보다 낮은 값)하면, 상기 증폭 산물의 다형은 야생형(서열번호 1에 있어서의 4265번째의 염기가 A)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양방의 Tm값이 검출된 경우에는, 헤테로 접합체라고 결정할 수 있다. 이렇게 해서, 각 표지화 프로브에 대한 Tm값으로부터, β2AR 유전자, β3AR 유전자 및 UCP1 유전자의 각 다형을 판단할 수 있다. 또한, 형광 강도의 검출에 의해 Tm값을 확인할 때, 매치의 시그널과 미스 매치의 시그널을 충분히 구별할 수 있도록, 전술한 바와 같이, 프로브로서, 동일한 올리고뉴클레오티드 서열인 비표지 프로브를 아울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β2AR 유전자용 프로브, β3AR 유전자용 프로브 및 UCP1 유전자용 프로브 중, 비표지 프로브를 아울러 첨가하는 것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예컨대, β3AR 유전자용 프로브에 대해서 표지화 프로브와 비표지 프로브를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프로브를 포함하는 반응액의 온도를 상승시키고(하이브리드 형성체를 가열하고), 온도 상승에 따르는 시그널 변동을 측정하는 방법을 대신하여, 예컨대, 하이브리드 형성 시에 있어서의 시그널 변동의 측정을 행해도 좋다. 즉, 상기 프로브를 포함하는 반응액의 온도를 강하시켜 하이브리드 형성체를 형성할 때에, 상기 온도 강하에 따르는 시그널 변동을 측정해도 좋다.
구체예로서, 단독으로 시그널을 나타내고 또한 하이브리드 형성에 의해 시그널을 나타내지 않는 표지화 프로브(예컨대, 구아닌 소광 프로브)를 사용한 경우, 단일쇄 DNA와 프로브가 해리하고 있는 상태에서는 형광을 발하고 있으나, 온도의 강하에 의해 하이브리드를 형성하면, 상기 형광이 감소(또는 소광)한다. 따라서, 예컨대, 상기 반응액의 온도를 서서히 강하하고, 온도 하강에 따르는 형광 강도의 감소를 측정하면 된다. 한편, 단독으로 시그널을 나타내지 않고 또한 하이브리드 형성에 의해 시그널을 나타내는 표지화 프로브를 사용한 경우, 단일쇄 DNA와 프로브가 해리하고 있는 상태에서는 형광을 발하고 있지 않으나, 온도의 강하에 의해 하이브리드를 형성하면, 형광을 발하게 된다. 따라서, 예컨대, 상기 반응액의 온도를 서서히 강하하고, 온도 하강에 따르는 형광 강도의 증가를 측정하면 된다.
또한, 3종류의 비만 유전자(β2AR 유전자, β3AR 유전자 및 UCP1 유전자) 중, 어느 1종류의 유전자의 다형 또는 어느 2종류의 유전자의 다형을 해석하는 경우에는, 예컨대, 프라이머 세트 (1)∼(3) 중 목적 영역에 대응하는 어느 1종류 또는 어느 2종류의 프라이머 세트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비만 유전자 증폭용 프라이머 세트를 사용하고, 또한, 목적의 검출 대상 부위에 하이브리다이즈하는 어느 1종류의 프로브 또는 어느 2종류의 프로브를 사용하면 된다.
<β2AR 유전자 해석용 프로브>
본 발명의 비만 해석용 프로브는, 비만 유전자의 다형 해석에 사용하기 위한 프로브로서, 상기 비만 유전자가, β2AR 유전자이며, 하기 (P1)에 나타내는 올리고뉴클레오티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P1)
하기 (1-1) 및 하기 (1-2) 중 적어도 한쪽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
(1-1) 서열번호 1에 있어서의 4254번째의 티민 염기(T)를 1염기째로 하여 3'방향을 향해서 21∼26염기째까지의 영역에 상보적인 적어도 하나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로서, 상기 티민 염기에 상보적인 아데닌 염기(A)를 3'말단으로 하는 올리고뉴클레오티드
(1-2) 서열번호 1에 있어서의 4259번째의 시토신 염기(C)를 1염기째로 하여 3'방향을 향해서 15∼19염기째까지의 영역과 동일한 서열인 적어도 하나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로서, 상기 시토신 염기를 5'말단으로 하는 올리고뉴클레오티드
상기 (P1)에 나타내는 올리고뉴클레오티드로 이루어지는 프로브는, 상기 β2AR 유전자용 프로브이며, 전술한 바와 같다.
본 발명의 β2AR 유전자용 프로브에 따르면, β2AR 유전자에 있어서의 β2AR 아미노산 16위를 코드하는 부위를 포함하는 검출 대상 서열을 검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의 프로브를 이용함으로써, 예컨대, 본 발명의 프로브와 상기 검출 대상 서열과의 하이브리드 형성체의 융해 온도 해석을 우수한 신뢰성으로 행하는 것이 가능하고, 또한, 상기 융해 온도 해석에 의해, 시료 중에 있어서의 상기 검출 대상 서열의 유무나 양의 해석, 상기 검출 대상 서열에 있어서의 상기 검출 대상 부위의 다형(서열번호 1의 4265번째의 염기의 다형)의 결정 등도 우수한 신뢰성으로 행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β2AR 유전자 해석용 프로브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β2AR 유전자의 해석, 구체적으로는, 예컨대, 융해 온도의 해석, 융해 온도의 해석에 의한 β2AR 유전자의 다형 해석에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3종류의 비만 유전자의 다형 해석 방법에도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β2AR 유전자 해석용 프로브나 해석 방법은, 특히, 비만의 치료나 예방을 행하는 의료 분야에 있어서, 매우 유용한 툴(tool)·해석 방법이라고 말할 수 있다.
상기 β2AR 유전자용 프로브는, 예컨대, 표지 물질이 부가되어 있지 않은 미표지 프로브여도 좋으나,, 표지 물질이 부가된 표지화 프로브인 것이 바람직하다. 표지 부위나 표지 물질은, 전술한 바와 같다.
<β2AR 유전자 해석용 시약>
본 발명의 비만 유전자 해석용 시약은, β2AR 유전자의 해석에 사용하기 위한 시약으로서, 본 발명의 β2AR 유전자 해석용 프로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이하, 「β2AR 유전자 해석용 시약」이라고도 말한다). 본 발명의 해석용 시약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β2AR 유전자의 해석, 구체적으로는, 예컨대, 융해 온도의 해석, 융해 온도의 해석에 의한 β2AR 유전자의 다형 해석에 사용할 수 있다. 또한, β2AR 유전자를 포함하는 전술한 2종류 또는 3종류의 비만 유전자의 다형 해석 방법에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β2AR 유전자 해석용 시약은, 본 발명의 β2AR 유전자 해석용 프로브를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며, 이 이외의 조성 등에 대해서는 조금도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β2AR 유전자 해석용 시약은, 또한, β2AR 유전자에 있어서의 상기 검출 대상 부위를 갖는 검출 대상 서열을 증폭하기 위한 프라이머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프라이머로서는, 예컨대, 전술한 β2AR 유전자용 프라이머 세트를 들 수 있다. 이와 같이 β2AR 유전자용 프라이머 세트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해석용 시약을 이용하면, 예컨대, β2AR 유전자의 증폭 반응을 행하고, 상기 반응에 의해 얻어진 증폭 산물을 이용해서, 또한, β2AR 유전자의 해석을 행할 수 있다. 상기 β2AR 유전자용 프라이머에 의해 증폭시키는 영역은, β2AR 유전자에 있어서의 상기 검출 대상 부위를 포함하는 영역이면 된다. 구체예로서는, 예컨대, β2AR 유전자에 있어서, 상기 검출 대상 부위를 갖는 검출 대상 서열, 즉, 본 발명의 프로브를 하이브리다이즈시키는 서열이어도 좋고, 상기 검출 대상 서열을 포함하는 영역이어도 좋다. 이하, 증폭 반응에 의해 증폭시키는 영역을 「목적 영역」이라고도 말한다.
또한, 본 발명의 β2AR 유전자 해석용 시약은, 예컨대, 전혈 등의 생체 시료에 있어서의 β2AR 유전자를 해석할 때에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본 발명의 β2AR 유전자 해석용 시약이, 본 발명의 β2AR 유전자 해석용 프로브 외에, 상기 β2AR 유전자용 프라이머 세트를 포함하며, 검출 대상 서열의 증폭에 사용할 때에는, 예컨대, 증폭 반응의 반응액에 있어서의 전혈 시료의 첨가 비율을 0.1∼0.5 체적%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점에 대해서는 전술한 바와 같다.
본 발명의 β2AR 유전자 해석용 시약의 형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컨대, 본 발명의 β2AR 유전자 해석용 프로브를 함유하는 액체 시약이어도 좋고, 사용 전에 용매로 현탁하는 건조 시약이어도 좋다. β2AR 유전자 해석용 프로브의 함유량도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β2AR 유전자 해석용 시약은, 예컨대, 동일 반응액에 있어서, 다른 유전자나 다른 다형을 검출하기 위한 프로브나 프라이머를 더 포함해도 좋다. 전술한 바와 같이, β2AR 유전자와 마찬가지로, β3AR 유전자나 CYP2C9 유전자의 다형은, 비만의 치료나 예방의 지표가 되는 것이 알려져 있기 때문에, 예컨대, 어느 한쪽 또는 양쪽을 검출하기 위한 프로브나 프라이머 세트를 더 포함해도 좋다. 이와 같이, 예컨대, 복수의 유전자의 목적 영역을 증폭시키고, 프로브에 의한 검출을 행하는 경우, β2AR 유전자의 목적 영역을 특이적으로 증폭할 수 있기 때문에, 전술한 바와 같은 β2AR 유전자용의 프라이머 세트를 함유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β2AR 유전자 해석 방법>
본 발명의 비만 유전자 해석 방법은, β2AR 유전자를 해석하는 해석 방법으로서, 하기 (a)∼(c)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 β2AR 유전자에 있어서의 다형의 검출 대상 부위를 갖는 검출 대상 서열과, 본 발명의 β2AR 유전자 해석용 프로브를 포함하는 반응액을 준비하는 공정
(b) 상기 반응액의 온도를 변화시켜, 상기 검출 대상 서열과 상기 β2AR 유전자 해석용 프로브와의 하이브리드 형성체의 융해 상태를 나타내는 시그널 값을 측정하는 공정
(c) 온도 변화에 따르는 상기 시그널 값의 변동으로부터, 상기 하이브리드 형성체의 융해 온도를 결정하는 공정
이와 같이, 본 발명의 β2AR 유전자 해석용 프로브를 이용함으로써, 예컨대, 상기 검출 대상 서열과 상기 β2AR 유전자 해석용 프로브와의 하이브리드 형성체의 융해 상태를 나타내는 시그널 값의 변동을, 충분히 검출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본 발명의 β2AR 유전자 해석 방법에 따르면, β2AR 유전자의 검출 대상 서열에 관한 융해 온도의 결정을 높은 신뢰성으로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것에 의해, 예컨대, β2AR 유전자의 검출 대상 부위를 포함하는 영역에 대해서 핵산 증폭을 행했을 때, 상기 목적 영역의 증폭의 유무를, 융해 온도(Tm)의 해석에 의해 높은 신뢰성으로 판단하는 것도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의 프로브와 상기 검출 대상 서열이 퍼펙트 매치하는 경우의 Tm값과, 미스 매치하는 경우의 Tm값이, 충분히 판별 가능한 차이를 나타내기 때문에, 피검 대상의 β2AR 유전자가, 본 발명의 프로브에 대하여 퍼펙트 매치와 미스 매치 중 어떠한 것인지를 충분히 구별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퍼펙트 매치와 미스 매치를 충분히 구별할 수 있으면, 피검 대상의 β2AR 유전자의 다형을 보다 한층 우수한 신뢰성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β2AR 유전자 해석 방법은, 본 발명의 β2AR 유전자 해석용 프로브를 사용하는 것이 특징이며, 예컨대, 측정하는 시그널의 종류, 측정 방법이나 측정 조건 등은, 조금도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β2AR 유전자 해석 방법은, 전술한 바와 같이 Tm값의 결정이 가능하기 때문에, 하기 (d)공정을 더 포함해도 좋다.
(d) 결정한 융해 온도로부터, β2AR 유전자의 검출 대상 부위의 다형을 결정하는 공정
본 발명의 β2AR 유전자 해석 방법은, 하기 (x)공정을 더 포함해도 좋다. 이러한 방법에 따르면, 예컨대, β2AR 유전자의 증폭, Tm값의 결정, 또한, 다형의 해석을, 동일한 반응액을 이용하여 연속적으로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하기 프라이머로서는, 전술한 β2AR 유전자용 프라이머를 사용할 수 있다.
(x) 시료 중의 핵산을 주형으로 하고, β2AR 유전자에 있어서의 상기 검출 대상 서열을 증폭하기 위한 프라이머를 이용하여, 반응액 중, 상기 검출 대상 서열의 증폭을 행하는 공정
상기 (x)공정에 있어서의 유전자 증폭 방법으로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컨대, 전술한 바와 같은 수법을 채용할 수 있고, PCR법이 바람직하다.
상기 β2AR 유전자 해석용 프로브는, 상기 (x)공정 후, 즉, β2AR 유전자의 증폭 반응을 행한 후, 증폭 반응의 반응액에 첨가할 수도 있으나, 용이하고 또한 신속하게 해석을 행할 수 있다는 점에서, 상기 (x)공정의 증폭 반응에 앞서, 미리 반응액에 첨가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x)공정의 증폭 반응 후의 상기 반응액을, 상기 (a)공정에 있어서의 반응액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에 따르면, 증폭 반응을 행한 반응액을 그대로 이용하여, 융해 온도 해석을 행할 수 있다.
상기 반응액에 있어서의 프로브의 첨가 비율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예컨대, 각 프로브를 10∼400 nmol의 범위가 되도록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0∼200 nmol이다. 또한, 프로브의 표지로서 형광 색소를 이용하고 있는 경우, 예컨대, 검출하는 형광 강도를 조정하기 위해서, 표지화 프로브와 동일한 서열인 미표지 프로브를 병용해도 좋고, 이 미표지 프로브는, 그 3'말단에 인산이 부가되어도 좋다. 이 경우, 표지화 프로브와 비표지 프로브의 몰비는, 예컨대, 1:10∼10:1이 바람직하다. 상기 프로브의 길이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컨대, 5∼50 mer이고, 바람직하게는 10∼30 mer이다.
상기 (b)공정에 있어서, 상기 검출 대상 서열과 상기 β2AR 유전자 해석용 프로브와의 하이브리드 형성체의 융해 상태를 나타내는 시그널 값의 측정은, 예컨대, 비표지의 프로브를 이용하여, 전술한 260 nm의 흡광도 측정을 행해도 좋으나, 표지화 프로브를 이용하여, 표지 물질의 시그널 측정을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β2AR 유전자 해석용 프로브로서, 표지 물질로 표지화된 표지화 프로브를 사용하여, 상기 표지 물질의 시그널 측정을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표지화 프로브로서는, 예컨대, 전술한 바와 같은 것을 들 수 있으며, 전술과 동일하게 측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을 적용하는 시료로서는, 예컨대, 주형이 되는 핵산을 포함하고 있으면 되고,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전술한 바와 같은 것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반응액에 있어서의 시료의 첨가 비율은, 예컨대, 전술한 바와 같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β2AR 유전자 해석 방법에 대해서, 일례로서, 전혈 시료로부터 PCR에 의해 β2AR 유전자의 증폭을 행하고, 본 발명의 β2AR 유전자 해석용 프로브를 이용하여, β2AR 유전자의 다형(서열번호 1에 있어서의 4265번째의 염기의 다형)을 결정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또한, 특별히 나타내지 않는 한, 전술한 본 발명의 비만 유전자의 다형 해석 방법과 동일하게 행할 수 있으며, 또한, 이것에는 제한되지 않는다.
우선, PCR 반응액을 조제하여 PCR을 행하고, 얻어진 증폭 산물의 해리, 및 해리에 의해 얻어진 단일쇄 DNA와 상기 β2AR 유전자 해석용 프로브와의 하이브리다이즈를 행한다. 그리고, 상기 반응액을 가열하고(상기 단일쇄 DNA와 상기 β2AR 유전자 해석용 프로브와의 하이브리드 형성체를 가열하고), 상기 반응액의 시그널 값을 측정한다. 시그널 값의 측정은, 전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사용하는 β2AR 유전자 해석용 프로브의 표지의 유무, 및 표지 물질의 종류 등에 따라서 적절하게 결정할 수 있다.
다음으로, 측정한 상기 시그널 값의 변동을 해석하여 Tm값을 결정한다. β2AR 유전자 해석용 프로브가 형광 표지화 프로브인 경우에는, 예컨대, 얻어진 형광 강도로부터 각 온도에 있어서의 단위 시간당의 형광 강도 변화량(-d 형광 강도 변화량/dt 또는 d 형광 강도 변화량/dt)을 산출하고, 가장 큰 절대값을 나타내는 온도를 Tm값으로서 결정할 수 있다. 예컨대, 구아닌 소광 프로브의 경우, -d 형광 강도증가량/dt가 가장 낮은 값을 나타내는 온도를 Tm값으로서 결정하거나, 또는, 형광 강도 증가량/dt가 가장 높은 점을 Tm값으로서 결정할 수도 있다. 소광 프로브가 아니라, 단독으로 시그널을 나타내지 않고 또한 하이브리드 형성에 의해 시그널을 나타내는 프로브를 사용한 경우에는, 반대로, 형광 강도의 감소량을 측정하면 된다.
그리고, Tm값으로부터, β2AR 유전자의 검출 대상 부위에 있어서의 유전자형을 결정한다. Tm 해석에 있어서, 완전히 상보인 하이브리드(퍼펙트 매치)는, 일염기가 다른 하이브리드(미스 매치)보다도, 해리를 나타내는 Tm값이 높아진다는 결과가 얻어진다. 따라서, 미리, 상기 프로브에 대해서, 완전히 상보인 하이브리드의 Tm값과, 일염기가 다른 하이브리드의 Tm값을 결정해 둠으로써, 증폭 산물이 프로브와 매치인지 미스 매치인지를 결정할 수 있다. 예컨대, 검출 대상 서열에 있어서의 검출 대상 부위의 염기를 변이형(예컨대, 서열번호 1에 있어서의 4265번째의 염기가 구아닌)이라고 가정하고, 그것을 갖는 검출 대상 서열에 상보적인 프로브(서열번호 2에 있어서의 y가 시토신)를 사용한 경우, 형성한 하이브리드의 Tm값이, 완전히 상보인 하이브리드의 Tm값과 동일한 정도이면, 상기 증폭 산물의 다형은, 변이형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 또한, 형성한 하이브리드의 Tm값이, 일염기 다른 하이브리드의 Tm값과 동일한 정도(완전히 상보인 하이브리드의 Tm값보다 낮은 값)이면, 상기 증폭 산물의 다형은, 야생형(서열번호 1에 있어서의 4265번째의 염기가 아데닌)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 또한, 한쪽의 Tm값만이 검출된 경우에는, 호모 접합성, 양방의 Tm값이 검출된 경우에는, 헤테로 접합성이라고 결정할 수 있다. 이렇게 해서, β2AR 유전자 해석용 프로브에 대한 Tm값으로부터, β2AR 유전자의 다형을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β2AR 유전자 해석 방법에 따르면, 본 발명의 프로브를 사용함으로써,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프로브와 검출 대상 서열이 퍼펙트 매치인 경우의 Tm값과, 미스 매치인 경우의 Tm값이, 충분히 판별 가능한 차이를 나타낸다. 이 차이는, 예컨대, 4℃ 이상이며, 바람직하게는 6℃ 이상이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프로브를 포함하는 반응액의 온도를 상승시키고(하이브리드 형성체를 가열하고), 온도 상승에 따르는 시그널 변동을 측정하는 방법을 대신하여, 예컨대, 하이브리드 형성 시에 있어서의 시그널 변동의 측정을 행해도 좋다.
<다형 해석 방법>
본 발명의 다형 해석 방법은, 융해 온도의 해석에 의해 β2AR 유전자에 있어서의 검출 대상 부위의 다형의 해석을 행하는 다형 해석 방법으로서, 본 발명의 β2AR 유전자 해석 방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형 해석 방법은, 전술한 본 발명의 β2AR 유전자 해석 방법과 동일하게 해서 행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단, 본 발명은 하기 실시예 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실시예 1
피검자 8명으로부터 헤파린 리튬 채혈관을 이용하여 채혈을 행하였다(샘플 1∼8). 얻어진 혈액 10 μL와 증류수 90 μL를 혼합하고, 또한, 이 혼합액 10 μL와 증류수 90 μL를 혼합하였다. 이들 혼합액 10 μL를, 하기 조성의 PCR 반응액 40 μL에 첨가하고, 써멀 사이클러를 이용하여 PCR을 행하였다. PCR의 조건은, 95℃에서 60초 처리한 후, 95℃에서 1초 및 56℃에서 10초를 1사이클로 해서 50사이클 반복하고, 또한 95℃에서 1초, 40℃에서 60초 처리하였다. 그리고, 계속해서, 온도의 상승 속도를 1℃/3초로 하여, 상기 PCR 반응액을 40℃에서 95℃로 가열해 가고, 경시적인 형광 강도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측정 파장은, 450∼480 ㎚(형광 색소 Pacific Blue의 검출), 515∼555 ㎚(형광 색소 BODIPY FL의 검출), 및 585∼700 ㎚(형광 색소 TAMRA의 검출)로 하였다. 또한, 50사이클의 PCR에 필요로 한 시간은 약 1시간이었다.
Figure pat00007
(프로브)
β2AR 유전자용 프로브
5'-cgcatggcttcCattgggtgcca-(Pacific Blue)-3' (서열번호 72)
β3AR 유전자용 프로브 1
5'-cgtggccatcgccCggactc-(BODIPY FL)-3' (서열번호 83)
β3AR 유전자용 프로브 2
5'-cgtggccatcgccCggactc-P-3' (서열번호 83)
UCP1 유전자용 프로브
5'-(TAMRA)-cacagtttgatcGagtgcatttg-3' (서열번호 95)
(프라이머 세트)
β2AR 유전자 F1 프라이머
5'-cccgggaacggcagcgcctt-3' (서열번호 9)
β2AR 유전자 R1 프라이머 mix
5'-cccacacctcgtccctttSctgcgt-3' (서열번호 18)
S는 c 또는 g이며, 양방의 프라이머를 1:1(몰비)로 혼합
β3AR 유전자 F2 프라이머
5'-ccaccgtgggaggcaacc-3' (서열번호 26)
β3AR 유전자 R2 프라이머
5'-ctgcggccagcgaagtc-3' (서열번호 31)
UCP1 유전자 F3 프라이머
5'-ggaagacattttgtgcagcgatttctgattgacc-3' (서열번호 44)
UCP1 유전자 R3 프라이머 mix
5'-cKtagcaaaggagtggcagcaagttctg-3' (서열번호 63)
K는 g 또는 t이며, 양방의 프라이머를 1:1(몰비)로 혼합
β2AR 유전자용 프로브와 매치하는 하이브리드의 Tm값은 70.0℃, 미스 매치하는 하이브리드의 Tm값은 62.0℃, β3AR 유전자용 프로브와 매치하는 하이브리드의 Tm값은 73.0℃, 미스 매치하는 하이브리드의 Tm값은 66.0℃, UCP1 유전자용 프로브와 매치하는 하이브리드의 Tm값은 65.0℃, 미스 매치하는 하이브리드의 Tm값은 60.0℃이다.
샘플 1∼8의 결과를 도 1∼도 3에 도시한다. 이들 도면은, 온도 상승에 따르는 형광 강도의 변화를 나타내는 Tm 해석의 그래프이며, 세로축의 미분값은 「-d 형광 강도 증가량/dt」를 나타내고, 가로축은 온도를 나타낸다(이하, 동일). 도 1∼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시그널의 피크로부터, 각 샘플에 있어서의 β2AR 유전자, β3AR 유전자 및 UCP1 유전자의 각 다형을 결정하였다. 이들 실시예의 결과를 뒷받침하기 위해서, 피검자 8명에 대해서, RFLP법에 의해, β2AR 유전자, β3AR 유전자 및 UCP1 유전자의 각 다형을 확인한 결과, 실시예와 동일한 결과가 얻어졌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프라이머 세트를 사용함으로써, 전처리를 실시하고 있지 않은 전혈 시료를 사용하여, β2AR 유전자, β3AR 유전자 및 UCP1 유전자를 동일 반응액 중에서 동시에 증폭하고, 또한, 상기 동일 반응액을 이용하여 상기 유전자의 각각의 다형을 해석할 수 있었다.
실시예 2
피검자 3명으로부터 EDTA 채혈관을 이용하여 채혈을 행하였다(샘플 1∼3). 얻어진 혈액 10 μL와 하기 희석액 A 70 μL를 혼합하고, 또한, 이 혼합액 10 μL와 하기 희석액 B 70 μL를 혼합하였다. 얻어진 혼합액 10 μL를 95℃에서 5분간 가열 처리한 후, 하기 조성의 PCR 반응액 46 μL에 첨가하고, 써멀 사이클러를 이용하여 PCR을 행하였다. PCR의 조건은, 95℃에서 60초 처리한 후, 95℃에서 1초 및 64℃에서 15초를 1사이클로 해서 50사이클 반복하고, 또한 95℃에서 1초, 40℃에서 60초 처리하였다. 그리고, 계속해서, 온도의 상승 속도를 1℃/3초로 하여, 상기 PCR 반응액을 40℃에서 75℃로 가열해 가고, 경시적인 형광 강도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측정 파장은, 450∼480 ㎚(형광 색소 Pacific Blue의 검출), 515∼555 ㎚(형광 색소 BODIPY FL의 검출), 및 585∼700 ㎚(형광 색소 TAMRA의 검출)로 하였다.
(희석액 A)
10 mM Tris-HCl(pH8), 0.1 mM EDTA, 0.05% NaN3, 0.3% SDS
(희석액 B)
10 mM Tris-HCl(pH8), 0.1 mM EDTA, 0.05% NaN3
Figure pat00008
(프로브)
β2AR 유전자용 프로브
5'-(Pacific Blue)-cccaatGgaagccatgc-P-3' (서열번호 114)
β3AR 유전자용 프로브 1
5'-(BODIPY FL)-ctcggagtccGggc-P-3' (서열번호 120)
β3AR 유전자용 프로브 2
5'-(BODIPY FL)-ctcggagtccAgg-P-3' (서열번호 120)
UCP1 유전자용 프로브
5'-(TAMRA)-cacagtttgatcGagtg-P-3' (서열번호 139)
(프라이머 세트)
β2AR 유전자 F1 프라이머
5'-cgggaacggcagcgccttct-3' (서열번호 109)
β2AR 유전자 R1 프라이머
5'-ccaccacccacacctcgtccct-3' (서열번호 134)
β3AR 유전자 F2 프라이머
5'-gccaccgtgggaggcaacc-3' (서열번호 24)
β3AR 유전자 R2 프라이머
5'-ggctgcggccagcgaagtc-3' (서열번호 28)
UCP1 유전자 F3 프라이머
5'-ggaagacattttgtgcagcgatttctgattgacc-3' (서열번호 43)
UCP1 유전자 R3 프라이머 mix
5'-cKtagcaaaggagtggcagcaagttctg-3' (서열번호 63)
K는 g 또는 t이며, 양방의 프라이머를 1:1(몰비)로 혼합
β2AR 유전자용 프로브와 매치하는 하이브리드의 Tm값은 58℃, 미스 매치하는 하이브리드의 Tm값은 51℃, β3AR 유전자용 프로브와 매치하는 하이브리드의 Tm값은 58℃, 미스 매치하는 하이브리드의 Tm값은 51℃, UCP1 유전자용 프로브와 매치하는 하이브리드의 Tm값은 56℃, 미스 매치하는 하이브리드의 Tm값은 49℃이다.
샘플 1∼3의 결과를 도 4에 도시한다. 이들 도면은, 온도 상승에 따르는 형광 강도의 변화를 나타내는 Tm 해석의 그래프이며, 세로축의 미분값은 「-d 형광 강도 증가량/dt」를 나타내고, 가로축은 온도를 나타낸다.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시그널의 피크로부터, 각 샘플에 있어서의 β2AR 유전자, β3AR 유전자 및 UCP1 유전자의 각 다형을 결정하였다. 이들 실시예의 결과를 뒷받침하기 위해서, 피검자 3명에 대해서, RFLP법에 의해, β2AR 유전자, β3AR 유전자 및 UCP1 유전자의 각 다형을 확인한 결과, 실시예와 동일한 결과가 얻어졌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프라이머 세트를 사용함으로써, 전처리를 실시하고 있지 않은 전혈 시료를 사용하여, β2AR 유전자, β3AR 유전자 및 UCP1 유전자를 동일 반응액 중에서 동시에 증폭하고, 또한, 상기 동일 반응액을 이용하여 상기 유전자의 각각의 다형을 해석할 수 있었다.
실시예 3
β2AR 유전자에 대한 각종 프로브를 제작하여, Tm 해석을 행하였다. 우선, 하기 표 9에 나타내는 프로브와, 상기 각 프로브에 상보적인 하기 표 10에 나타내는 올리고뉴클레오티드(상보쇄 DNA)를 합성하였다. 하기 표 9의 프로브 서열에 있어서, 대문자의 염기가, 서열번호 1에 있어서의 4265번째에 대응하는 염기이며, 이들 프로브는, 센스쇄에 있어서의 4265번째(G, A) 또는 그것과 상보적인 안티센스쇄에 있어서의 염기(C, T)를 검출하기 위한 프로브로서 설계하였다. 하기 표 10에 나타내는 올리고뉴클레오티드는, β2AR 유전자의 센스쇄 또는 센스쇄의 부분 서열이며, 서열번호 1의 4265번째의 염기 또는 그것에 상보적인 염기를 포함하는 서열이다. 그리고, 이들 프로브 및 상보쇄 DNA를 이용하여, 하기 표 11의 조성이 되도록 반응액을 조제하였다. 프로브의 검출 대상쇄가 센스쇄인 경우는, 상보쇄 DNA로서, 1A(4265A) 및 1B(4265G)를 사용하여, 각각을 첨가한 반응액을 조제하였다. 또한, 프로브의 검출 대상쇄가 안티센스쇄인 경우는, 상보쇄 DNA로서, 2A(4265A) 및 2B(4265G)를 사용하여, 각각을 첨가한 반응액을 조제하였다. 이들 반응액을 써멀 사이클러(상품명 Smart Cycler, Cepheid사 제조)를 이용해서, 온도의 상승 속도를 1℃/3초로 하여, 상기 반응액을 45℃에서 95℃로 가열해 가고, 경시적인 형광 강도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측정 파장은, 565∼605 ㎚(TAMRA의 검출, ch3)로 하였다.
Figure pat00009
Figure pat00010
Figure pat00011
실시예 3-1의 프로브를 사용한 결과를 도 5에, 비교예 3-9 및 비교예 3-11의 프로브를 사용한 결과를 도 6에 각각 도시한다. 이들 도면은, 온도 상승에 따르는 형광 강도의 변화를 나타내는 Tm 해석의 그래프(융해 곡선)이며, 세로축의 미분값은 「-d 형광 강도 증가량/dt」를 나타내고, 가로축은 온도를 나타낸다(이하, 동일). 도 5에 있어서는, 반응액 중에 상기 상보쇄 DNA(1A)를 첨가한 계(系)의 융해 곡선(가느다란 선)과 상기 상보쇄 DNA(1B)를 첨가한 계의 융해 곡선(굵은 선)을 아울러 도시하고, 도 6은 반응액 중에 상기 상보쇄 DNA(2A)를 첨가한 계의 융해 곡선(가느다란 선)과 상기 상보쇄 DNA(2B)를 첨가한 계의 융해 곡선(굵은 선)을 아울러 도시한다.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비교예 3-9의 프로브를 사용한 경우, 4265G의 시그널 피크가 검출되지 않았다. 또한, 비교예 3-11의 프로브를 사용한 경우, 상기 프로브와 상보쇄 DNA(2B)와의 퍼펙트 매치를 나타내는 피크의 Tm값(68℃)과, 상기 프로브와 상보쇄 DNA(2A)와의 미스 매치를 나타내는 피크의 Tm값(65℃)의 차이가 작았다(3℃). 이 때문에, 이들 비교예의 프로브를 이용한 융해 곡선으로부터는, 퍼펙트 매치와 미스 매치 중 어떠한 것을 나타내는지, 우수한 신뢰성으로 판단하는 것이 곤란하였다. 또한, 다른 비교예에 대해서도, 도 6에 있어서의 비교예 3-9 또는 비교예 3-11과 동일한 융해 곡선을 나타내었다. 이에 비해서, 실시예 3-1의 프로브를 사용한 경우,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프로브와 상보쇄 DNA(1B)와의 퍼펙트 매치를 나타내는 시그널 피크와, 상기 프로브와 상보쇄 DNA(1A)와의 미스 매치를 나타내는 시그널 피크의 양방을 충분히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상기 퍼펙트 매치를 나타내는 피크의 Tm값(75℃)과, 상기 미스 매치를 나타내는 피크의 Tm값(68℃)의 차이가 약 7℃이며, 양자를 판별하기에는 충분한 차이었다. 이 때문에, 실시예의 프로브에 따르면, 퍼펙트 매치와 미스 매치 중 어떠한 것을 나타내는지를 충분히 판단하는 것이 가능하다.
실시예 4
서열번호 1에 있어서의 4265번째가 4265A/4265A인 호모 접합체를 나타내는 인간의 정제 게놈, 및 4265G/4265G의 호모 접합체를 나타내는 인간의 정제 게놈을 준비하였다. 이들 각 정제 게놈 1 μL를, 각각 하기 조성의 PCR 반응액 24 μL에 첨가하고, 써멀 사이클러(상품명 Smart Cycler, Cepheid사 제조)를 이용하여 PCR을 행하였다. PCR의 조건은, 95℃에서 60초 처리한 후, 95℃에서 1초 및 62℃에서 30초를 1사이클로 해서 50사이클 반복하였다. 그리고, 계속해서, 온도의 상승 속도를 1℃/초로 하여, 상기 반응액을 45℃에서 95℃로 가열해 가고, 경시적인 형광 강도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측정 파장은 Tm 해석을 행하였다. 검출 파장은 505∼537 ㎚(형광 색소 FAM의 검출, 1ch)로 하였다.
Figure pat00012
(프로브)
β2AR 유전자 해석용 프로브
5'-cgcatggcttcCattgggtgcca-(BODIPY FL)-3' (서열번호 72)
(프라이머 세트)
β2AR 유전자용 포워드 프라이머
5'-gggaacggcagcgccttcttgct-3' (서열번호 165)
β2AR 유전자용 리버스 프라이머
5'-tggtgaccgtctgcagacgctcgaac-3' (서열번호 166)
상기 프라이머 세트를 이용한 PCR에 의해 증폭시킨 영역은, 서열번호 1에 있어서의 4265번째를 포함하는 200염기 정도의 DNA쇄이다. 4265G/4265G를 나타내는 게놈으로부터는, 4265번째가 G(안티센스쇄는 C)인 DNA쇄를 증폭시키고, 4265A/4265A를 나타내는 게놈으로부터는, 4265번째가 A(안티센스는 T)인 DNA를 증폭시켰다.
상기 서열번호 72에 나타내는 β2AR 유전자 해석용 프로브와 매치하는 하이브리드의 Tm값은 69℃, 미스 매치하는 하이브리드의 Tm값은 62℃이다.
이들의 결과를 도 7에 도시한다. 도 7은 온도 상승에 따르는 형광 강도의 변화를 나타내는 Tm 해석의 그래프(융해 곡선)이며, 세로축의 미분값은 「-d 형광 강도 증가량/dt」를 나타내고, 가로축은 온도를 나타낸다(이하, 동일). 도 7에 있어서는, 4265A/4265A 호모 접합체를 나타내는 인간의 정제 게놈을 첨가한 계의 융해 곡선(가느다란 선)과 4265G/4265G 호모 접합체를 나타내는 인간의 정제 게놈을 첨가한 계의 융해 곡선(굵은 선)을 아울러 도시한다.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실시예 4의 프로브의 공존하에서, 인간 정제 게놈의 β2AR 유전자에 있어서의 DNA를 증폭시키고, Tm 해석을 행한 결과, 4265번째의 염기를 구별하여 검출하는 것이 가능하였다. 구체적으로, 상기 프로브와 4265G/4265G 호모 접합체 유래의 증폭물과의 퍼펙트 매치를 나타내는 피크의 Tm값(69℃)과, 상기 프로브와 4265A/4265A 호모 접합체 유래의 증폭물과의 미스 매치를 나타내는 피크의 Tm값(62℃)의 차이가 약 7℃이며, 양자를 판별하기에는 충분한 차이였다. 이 때문에, 실시예의 프로브에 따르면, β2AR 유전자에 있어서의 4265번째의 다형을 충분히 해석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프라이머 세트에 따르면, 비만 유전자(β2AR 유전자, β3AR 유전자 또는 UCP1 유전자)에 있어서의 특정의 다형이 발생하는 부위를 포함하는 영역을, 특이적으로 고효율로 증폭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법과는 달리 시간이나 비용을 저감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이와 같이 다형의 검출 대상 부위를 포함하는 영역이 특이적으로 증폭되기 때문에, 예컨대, 상기 검출 대상 부위를 포함하는 검출 대상 서열에 상보적인 프로브를 사용함으로써, 상기 반응액을 이용하여 그대로 Tm 해석을 행해서, 상기 다형을 타이핑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하나의 반응액으로 증폭이나 타이핑이 가능하기 때문에, 조작의 자동화도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의 프라이머 세트를 이용하면, 예컨대, 협잡물이 포함되는 시료(예컨대, 전혈이나 구강 점막 등)여도, 전처리를 생략할 수 있기 때문에, 보다 신속하고 또한 간편하게 증폭 반응을 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프라이머 세트를 이용하면, 종래보다도 우수한 증폭 효율로 증폭 반응을 행할 수 있기 때문에, 증폭 반응도 단축화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프라이머 세트나 이것을 포함하는 시약, 및 이들을 이용한 증폭 산물의 제조 방법에 따르면, 비만 유전자의 다형을 신속하고 또한 간편하게 해석할 수 있기 때문에, 의료 분야에 있어서 매우 유효하다고 말할 수 있다.
SEQUENCE LISTING <110> ARKRAY, Inc. <120> Primer set and agent for amplification obese gene and use thereof <130> TF07041-01 <150> JP2006-322961 <151> 2006-11-30 <150> JP2006-322960 <151> 2006-11-30 <150> JP2007-232614 <151> 2007-09-07 <160> 167 <170> PatentIn version 3.1 <210> 1 <211> 9968 <212> DNA <213> Homo sapiens <400> 1 tgcaaaagac atgaagtcat ccttttttat ggctgcacag tattccatgg tgtatatgtg 60 ccacattttc tttatcaagt ctattcttga tgggcatttg ggttggttcc aagtctttgc 120 tattgtgaac agtgctgcaa taaacataca tgtccatgtg tctttatagt agaatgattt 180 ataatcctta gggtatatac caggtaatgg gattgctggg tcaaatggta tttcttgttc 240 tagatccttg agggattgcc acactgtctt ccacaatgtt tgaactaatt tacattccta 300 ccaacagtgt aaaagtgttc ctatttctcc acatcctttc cagcatctgt tgtttcctga 360 cttcctgttt tttttttgag acggagtctc actgtgtcac cccggatgga gtgcagtggc 420 acaatctcgg ctcactgcaa cctccacctc ccaggttcaa gcgattctcc tgtttcagcc 480 cccagagtag gtgagactac aggcatgcca caacttctgg ctaatttttg tatttttatt 540 agagacgaag tttcaccatg ttggtcaggc tgctctcgaa gtcctgacct caggtgatcc 600 acccacctca gcctcccaaa gtgctgggat tacaggcatg agccactgcg cccggtctgt 660 ttcctgatgt gttaatgatc gccattgtat ctggtgtgag atggtatttc attgtggttt 720 tgatttgcat ttcactaata accagtgctg atgatctttt cttcatatgt ttgttggctg 780 cattaatgtc ttcttttgag aagtgtctgt tcatatcctt tgcccacttt ttcatggggc 840 tgtttgtttt ttcttgtaaa tttgtttaag ttctttgtag attctggata ttagcccttt 900 gtcagatgga tagattgcaa aatttttctc ccattctgta ggttgcctgt tcaccctgat 960 gatagtttct tttgctgtgc agaaactctt tagtttaatt agatcccatt tgtcaatttt 1020 ggcttttgtt gccattgctt ttgatgtttt agtcatgaag tctttgccca tgcctatgtc 1080 ctggatgtta ttgcctagat tttcttctag ggtttttatg gttttaggtc ttacgtttaa 1140 gtctttaatt catcttgagt taattcttgt ataaggtgta aggaaggggt ccagtttcag 1200 ttttctgcat atggctagcc agtccttctt gatttagtat ttgtgggttt taaaaaagga 1260 gtttcccaaa atattcagtt aaacttttaa gtgacttacg tgtatatcta aatacatgat 1320 cagttaatat ttgtcttaaa ggggttttct ttgttctttt cttattatag gaaggttaaa 1380 caatatgctt atttatgcca tagcttcaca aacaggaagg aggttttaaa tggtttagtt 1440 ccacaatttg agtagatgca tatttaaaga aacgttgttg cataataaat actgcctctt 1500 cctaaaatgc atcatgccac agccaatttt ggaaaacaca aatatgaggt gagtgtattt 1560 tgaaaactat gtgaatataa tagatcctta attcatattt gtggatttta tgggaaatac 1620 ttgttttcta aggcatctgt cttgcaaaaa gtcagtttct gctatgaagg atgttaaagg 1680 ggatatgtag gttaaattct gtttctgagc tttgcttcca gagtaaacac ccaacttact 1740 tttgccctaa agtattttat tgttctagta gagaagacta acaacatatt ctaaaccact 1800 aagtaattta tgtaaacttc gcttacaaac tatacttgtg tgacacttat atgagcaaaa 1860 gcattttcat atttcttact atatcattca attcttgctt accccaatgg aagtgacttt 1920 atgccccttt agagacaatg gaaatcaggt acttcgtgat ttctcttaaa aaaaaaaaaa 1980 atgaactaga aagctccaag tttggtgaat ctggaacctg ggtattccag ttccagttgt 2040 agcccttcct ccctatccat cactcctgtc tgcatgtaat tatgcaatac attgaaaaga 2100 ttaaaagatg ggtcttggac tcaggcagac ctgggtcaaa tccagattct ggcactgccc 2160 agccattgcc cctgggcaag ccattttcct ctttgaacct catttgtgaa ttaagctaaa 2220 aatagtcccc acccccatgg gactgtggga aggattaaat agaataatgc atgaaaagca 2280 aatagcagaa tggtccataa atgttaacca ttgttatgtt attatgtaat ctacaaagta 2340 cgtttagtta cacttcatga aatactttca gtttttcaaa gacaccacta atacatggga 2400 aatcaaaccc tgaaaattaa tttcacttta gcagtaaagt cacatgccag atggaaagga 2460 tagtatttca tgaacaaaga tcttactttt gagatttggt cttacttttt tctttttctt 2520 aagggagaat tatcttgtgt tttttgtttt gttttgtttt gagatggagt cttgttctgt 2580 cacccaggct ggagcgcagt gacgtgatct cggctcactg caaccttcac ctcccgggtt 2640 caagagattc tcctgtctca gcctcccgag tagctgggac tacaggtacg tgccaccaca 2700 cctggctaat ttttgtattt ttagtagaga caagagttac accatattgg ccaggatctt 2760 ttgctttcta tagcttcaaa atgttcttaa tgttaagaca ttcttaatac tctgaaccat 2820 atgaatttgc cattttggta agtcacagac gccagatggt ggcaatttca catggcgcaa 2880 cccgaaagat taacaaacta tccagcagat gaaaggattt tttttagttt cattgggttt 2940 actgaagaaa ttgtttgaat tctcattgca tctccagttc aacagataat gagtgagtga 3000 tgccacactc tcaagagtta aaaacaaaac aacaaaaaaa ttaaaacaaa agcacacaac 3060 tttctctctc tgtcccaaaa tacatacttg catacccccg ctccagataa aatccaaagg 3120 gtaaaactgt cttcatgcct gcaaattcct aaggagggca cctaaagtac ttgacagcga 3180 gtgtgctgag gaaatcggca gctgttgaag tcacctcctg tgctcttgcc aaatgtttga 3240 aagggaatac actgggttac cgggtgtatg ttgggagggg agcattatca gtgctcgggt 3300 gaggcaagtt cggagtaccc agatggagac atccgtgtct gtgtcgctct ggatgcctcc 3360 aagccagcgt gtgtttactt tctgtgtgtg tcaccatgtc tttgtgcttc tgggtgcttc 3420 tgtgtttgtt tctggccgcg tttctgtgtt ggacaggggt gactttgtgc cggatggctt 3480 ctgtgtgaga gcgcgcgcga gtgtgcatgt cggtgagctg ggagggtgtg tctcagtgtc 3540 tatggctgtg gttcggtata agtctgagca tgtctgccag ggtgtatttg tgcctgtatg 3600 tgcgtgcctc ggtgggcact ctcgtttcct tccgaatgtg gggcagtgcc ggtgtgctgc 3660 cctctgcctt gagacctcaa gccgcgcagg cgcccagggc aggcaggtag cggccacaga 3720 agagccaaaa gctcccgggt tggctggtaa gcacaccacc tccagcttta gccctctggg 3780 gccagccagg gtagccggga agcagtggtg gcccgccctc cagggagcag ttgggccccg 3840 cccgggccag cctcaggaga aggagggcga ggggagggga gggaaagggg aggagtgcct 3900 cgccccttcg cggctgccgg cgtgccattg gccgaaagtt cccgtacgtc acggcgaggg 3960 cagttcccct aaagtcctgt gcacataacg ggcagaacgc actgcgaagc ggcttcttca 4020 gagcacgggc tggaactggc aggcaccgcg agcccctagc acccgacaag ctgagtgtgc 4080 aggacgagtc cccaccacac ccacaccaca gccgctgaat gaggcttcca ggcgtccgct 4140 cgcggcccgc agagccccgc cgtgggtccg cctgctgagg cgcccccagc cagtgcgctt 4200 acctgccaga ctgcgcgcca tggggcaacc cgggaacggc agcgccttct tgctggcacc 4260 caatggaagc catgcgccgg accacgacgt cacgcagcaa agggacgagg tgtgggtggt 4320 gggcatgggc atcgtcatgt ctctcatcgt cctggccatc gtgtttggca atgtgctggt 4380 catcacagcc attgccaagt tcgagcgtct gcagacggtc accaactact tcatcacttc 4440 actggcctgt gctgatctgg tcatgggcct ggcagtggtg ccctttgggg ccgcccatat 4500 tcttatgaaa atgtggactt ttggcaactt ctggtgcgag ttttggactt ccattgatgt 4560 gctgtgcgtc acggccagca ttgagaccct gtgcgtgatc gcagtggatc gctactttgc 4620 cattacttca cctttcaagt accagagcct gctgaccaag aataaggccc gggtgatcat 4680 tctgatggtg tggattgtgt caggccttac ctccttcttg cccattcaga tgcactggta 4740 ccgggccacc caccaggaag ccatcaactg ctatgccaat gagacctgct gtgacttctt 4800 cacgaaccaa gcctatgcca ttgcctcttc catcgtgtcc ttctacgttc ccctggtgat 4860 catggtcttc gtctactcca gggtctttca ggaggccaaa aggcagctcc agaagattga 4920 caaatctgag ggccgcttcc atgtccagaa ccttagccag gtggagcagg atgggcggac 4980 ggggcatgga ctccgcagat cttccaagtt ctgcttgaag gagcacaaag ccctcaagac 5040 gttaggcatc atcatgggca ctttcaccct ctgctggctg cccttcttca tcgttaacat 5100 tgtgcatgtg atccaggata acctcatccg taaggaagtt tacatcctcc taaattggat 5160 aggctatgtc aattctggtt tcaatcccct tatctactgc cggagcccag atttcaggat 5220 tgccttccag gagcttctgt gcctgcgcag gtcttctttg aaggcctatg ggaatggcta 5280 ctccagcaac ggcaacacag gggagcagag tggatatcac gtggaacagg agaaagaaaa 5340 taaactgctg tgtgaagacc tcccaggcac ggaagacttt gtgggccatc aaggtactgt 5400 gcctagcgat aacattgatt cacaagggag gaattgtagt acaaatgact cactgctgta 5460 aagcagtttt tctactttta aagacccccc cccgcccaac agaacactaa acagactatt 5520 taacttgagg gtaataaact tagaataaaa ttgtaaaatt gtatagagat atgcagaagg 5580 aagggcatcc ttctgccttt tttatttttt taagctgtaa aaagagagaa aacttatttg 5640 agtgattatt tgttatttgt acagttcagt tcctctttgc atggaatttg taagtttatg 5700 tctaaagagc tttagtccta gaggacctga gtctgctata ttttcatgac ttttccatgt 5760 atctacctca ctattcaagt attaggggta atatattgct gctggtaatt tgtatctgaa 5820 ggagattttc cttcctacac ccttggactt gaggattttg agtatctcgg acctttcagc 5880 tgtgaacatg gactcttccc ccactcctct tatttgctca cacggggtat tttaggcagg 5940 gatttgagga gcagcttcag ttgttttccc gagcaaagtc taaagtttac agtaaataaa 6000 ttgtttgacc atgccttcat tgcacctgtt tctccaaaac cccttgactg gagtgctgtt 6060 gcctccccca ctggaaaccg caggtaacta cttgtaatta ctgcccatga cttaatgtag 6120 aatgatacaa gaatgacatg cacagattgc ttaacccttt catttgcctt tgagtctgct 6180 gctgcaaagc tgcatctctc ctgacacttg tgccccaaat cagttctgcc tgctcttagt 6240 atagctcaac tctccctatg gttattgttc tgtgttgtta cctcagaaac actgactcac 6300 agaagcggag ttaaggggat atgttttttt ctctccacgt gcacccacca cccaccttcc 6360 agttctactt gtttcaaaac tgtttatatt tctgtcttgg ccatgtgtta cagtggagct 6420 ctttgtactg catcagggct tggcatttta gggataagga agatgttctt atgaggaagc 6480 tactcagaca tggccccgta attctgaggg aaaattcaaa aggcattggt catggggaga 6540 aaagctggag aacacataac tgatggatac ctcatgaact agaaacagaa ttttaacccc 6600 ttttccttct ttcctttggt ccctgttttc ttctcccact gactctcctc gattcagtgt 6660 aaaccaaggt tctgagtctt agcactgtta gcattttgga ccagataact ctttgttatg 6720 ggggctgcat cattgtatgt gtagcacctc tggcctctgt tcattagatg ccaatagcac 6780 cccctgctta taacaagcaa aaatgtttcc agacattgca aaagagcccc tgaggtgcga 6840 attagcccct ggttgagagt cactggtaga aactgtaaaa atctcagcag atacatacat 6900 tctttctaat gcaagcgctt gattgtgcag agccttagag agggattttc acagttcacc 6960 taggcagtaa cagaccctca ccagcactct ttccattcca tcatgctgcc ttctaaactt 7020 gttttctagc tgcccaaata gtgatcatga aatgttaaga aggctttaag tctgtacatg 7080 aattgtttga gagggtttat caatggaggt gaggcctgtg ggccatgact cctgtttgtg 7140 aagagattat aatactgtca agaggcacgt taggggaaat cacaaaagta aacacatttc 7200 ttctcccagc ccctttctat ttttgcctgt gtgtctgagc cagagcttgg cccaggtttg 7260 atgaagtgga tcgtcctcct tggcaacgcc aggctagagc agatcagcct gcagggttca 7320 ttgccattcc actggctcat gaagctgact ccactcccct cttcctttct gttgcagcca 7380 aggtccccaa ccagaaaagc attggccttc tctgcttcct gtcaactcaa tgatgggatg 7440 tttgggtgag caccgagcta tcaggagaag gttaggcgcc tgtgattttg gaacatgcca 7500 tggcaaattg gagaatgtgt gtcattcagt gcttttactt ttttccaagg gttttcatac 7560 ctattgaaaa cccttattac acattatcac cttctctttc tactgctatt atcacattct 7620 ctttctactg ctctggtctc cacactcaga gatttgggca gcttctttgg ctaatattca 7680 tgctccctgt agcctcataa gatctcagac atggaagagc ccatagaaag tatttaacat 7740 ctgatgagac tgaaacgctg tgaggtgaag ggcttgccca aggtaagcag ccaaggatgt 7800 cagagtggga ctcaagccag ggaacccaac tgctattcca ggaactgctg cattctctcc 7860 accacattag cattgcgttc tttcctcacc ctcaactggg gctataacat aacacattca 7920 tttcagccaa tatatttttc ttttgtcctt aacacaaaat ttagagcata aacaaataat 7980 ctgcaataga gacaaaagaa ataattgttc atttaactca acaagcatcc actaggatat 8040 cttctgcatt tagggaagct gggagattcc ttagctcttt ataaccagat gtcggtgttg 8100 tatatatact cttttgccta aaggaatgtc taatgtaatt tctgttaaaa ttcaggtatt 8160 aatgttaatt cagattccca gctaaaagga gagtttaacc atattcacgt tcctttagga 8220 atactgtaga cacaagaacc ttgattagtt ttaagggtcc tgataagcaa gagcattcta 8280 ggcatatctt aatcctttgc tttctacctc tttggtgtgt tgctttgttt cttttgaggg 8340 gttggctttt gtcagtgtcc cttcgtctct ctgtttgctg acatgctggc cacctaaggt 8400 ttgtgttgta ttcctcatcg tgagtttttt ttttgcctgg acagcaagtt ctcagagtct 8460 gtcaaataag aagaactttt ttctaagatg caagctgaga ggtgtgaaca gtggcaggac 8520 agggtgagcc tccccactgc aataattaat gggataagga atctggagaa aggggagctt 8580 gagaatagga actgtcttta catgattctt agaatgtttc ttatggtgaa cctattgcca 8640 aatggagcct aaaccagaat cagtcagaaa gtatttatgg agcacctact gtatgcagca 8700 tgagaaaagt ataggtttcc atttctgcct tttggatcat gatattaagg atactaagca 8760 gatacctttt atggaatctt actaaaagtt agtgactatg ttagacacct gttaggcgtt 8820 atgtcctcac aactgtatga tgtaggtagc ataattgtcc tcatctaaca aatgagggag 8880 ctgaggctca gaaagcttca gtaactttcc aaagccatac aaccaactag ttgcagagtc 8940 aggacgagaa cccaggtctc tgtgattcca ggatccatgg agcctagcac ccaggcaaac 9000 caggaagcag cacgaggtag cttagaatct gtgccagaac aagtgtaaga actggaaatg 9060 caatactttg ttgagagaag acggagactg ctgtgggttg aggcagggag gaatgttccc 9120 ttccaagcat gtgactgcag ggtttctggg gactgacaca aaaaaccaat cactgaagtg 9180 cctagtttgc ttctccaagt ctttgttttg tcttctcatc agagaatcag accaaaatgg 9240 aaagaggata tgaaactcta aaacgaacac agcagagtaa agcagaaaca caggctgccc 9300 tacgtcctgg cactctttct cagctccaaa gttgggaagg cctcctaaat tgagtgggta 9360 gccagacctt atggaaattt gataggcctg ggtagccata taggtatgtt ttccatcttg 9420 agctagcatt ctagatcaaa ggagatgatt ttctgacagc agagagcaag gaagcttaat 9480 atgctttgaa tgatactttc cattgacagt ataacctcta ctaaattcag tctgtgctaa 9540 tccatacttc actgacagtg caaatataat ttgaaggagg gatttttcta aatgcgtaag 9600 agaacaaact tcctaagcac tttcaagaac ttgagaaatt ctggtgtttt gtgaataata 9660 ggaggcaggg tgaggtgaaa agagcccccc tccaacctcc cacccaccac cccactctct 9720 ctctctctga agttgggtga ggcggttttc ttcagccgac ttccgtttac tcatctgtaa 9780 tttgaggcca gtacaggtgg tatctaagct ctgctcccct ctgaatttat acagttgtta 9840 atttacaggc tagagataat catttatatt tctaattaga gttgatgaca tttgccatat 9900 aaacaatggt tgaatattct gaaggttgtc agcctgcaga agagaatgct gtgaagtact 9960 atttggtg 9968 <210> 2 <211> 11265 <212> DNA <213> Homo sapiens <400> 2 acttttgtat atctatctgg aaggatcaca gatacatagt caaattaaaa taagcaaggt 60 gcagaacagt gggtatatat gactgctatt tgtatagaaa agaaaggata aaagaatata 120 tatatttgta ttgacttgta tctatataaa atatgagccg agggataaac cagagactaa 180 tggtagttac ctgctaggga gatgaaaact gggatgaagg caagtctcta ttatatgcat 240 ttgttatatt ttgatggttg aataatgtgc acgtataatc tattcaaaat attaagttat 300 aaaacacaaa atcacaaaag agacccaata gtctatagac taaggtggca aaagagggag 360 cccattcccc ctgccatctg cttgggcggg ggaaaaccag actgaggaat gagagcaggg 420 atgagttggc agaggaggaa gaagccaagt gtctcaacat tgatggattt gctcataaaa 480 ccatccctaa ccggagtcag aaatttctct tcttacagtg tcgtttggtt attggcctaa 540 tcattcccca aactcaggca cactcaggtg gtttgagaaa tcctgtcttt tttgaaaatg 600 ttaaacattt ttacacactt cttccaaatt acaaggtcac ccctaaggca ttgacatcat 660 tgaggttgct tcactttccg gcaccccttt cccttccccc tccaatgctg atgtcctgga 720 aaaaaattgc tgaatggcat gcattgattt tggagattac tttttgggaa tcttatgata 780 tccctttgag ataactggca acaacactct ggggtgctgc aaaaccctac ttgggagtga 840 ctgccttgct ggtcaacagg aagccacagc caagactctg tgcccagtgg ggcctgcacc 900 actctgtcat gacttgagtg ggggcagtaa gaggtggaag gggccagagg ctgcctcttc 960 actttcaccc ccatggattt ccatggatcc aaaggcctgc ttggggttct tcatgggcat 1020 agaagtcact tgcttgggag cccaagacaa accctgctca tgggtgagca gctgggtccc 1080 tgggagacga ggctggttct ttttccttgg ggataatttt aggttctgaa ttcccctgca 1140 accttcctaa ctcccagccc ccagctcagc ctcccagagg gattgttcat accagtgact 1200 ataaagtgtt ctctcgaaat atagagctgt tcagagacct gccagggcat agccctggag 1260 gcattttcca tgataatttt tccccctttg tcccattgtt tcagaggagg aagcatgata 1320 gctcaagaat caggtcctga tagtccctga taaggtgtca catcttcctg cctctccact 1380 tgaaccctgg ggctttattt tccagcgccc ccctccccgt acgcaatctg agaggaactg 1440 gtttagagat tgagagagca ggggctggaa aaaggaagcc ttgcaagtct tgagtgaggg 1500 cagggagaag ggaagaggaa gagggaagcc tctggtggaa ccgcctaaga gacttcagag 1560 gctttgaaac accaggcctg ccaccacaca cgctcaaaaa tgaacgcatg aattcctcaa 1620 ctcaacgcct tctagttttt aaaagttaat gaatgaaatc cttaaggaag tccggacacg 1680 gtgactcaca cctgtaatcc cagcattctg ggaggccgag gcgggtggat catctgaggt 1740 caggagtttg agaccagcct ggccaacatg gtgaaacccc gtctctacta aaaatacaaa 1800 aatttgctgg gcttggtggc acatgctcat cccagctact tgggtggctg ggaggcttgg 1860 gaggctgagg cagaagaatt gcttgaacct gggaagtgga ggttgcagtg agcagagatt 1920 gtgccactgc actccagcct gggcaacaag agcaaaattt catctcaaaa aacaaataaa 1980 caaacaaaaa acctaaagga agtggagcga acacttacca ttggggagat ggcaatggaa 2040 gagttgtgta tagtttgggg ggatggtgga cctgcctcat acccagtcac ccatttaccc 2100 attttttttt ttaaaatagg gtcttgcttc ttgccgtctt ccaagctgga gtgcagtagt 2160 agcatgatca cagatcactg taaccttgaa ctcctgggct caagcgatcc tctcctctca 2220 gcctcttgat tcatcctttc tttttttttt tttttttttt ttttctgata tggagtttcg 2280 ctcttgttgc caaggctgga gtgccatggt gtgatctcgg ctcactgcaa cctctgcctc 2340 ccaggttcaa gagattctcc tgcctcagcc tcttgagtag ctgggattac aggcatgcgc 2400 caccacacct ggctaatttt tttttttttt ttttgtattt ttagtagaga cagggtttct 2460 ccttgttgtt caggctggtc ttgaactcct gacctcaggt gatctgccca cctcgacctc 2520 ccaaagtgct gggattacag gcgtgagcca ccgcgcccac ctgttgattc atccattttt 2580 aatatgtctt tatagcagaa agattttaag agaaggggct atctagaaaa tctctaggtg 2640 gaaaggtgca tggaaggggc agtgcagagt ggggaagatg gagaaattga aattcttcag 2700 catcccagac tacatagtgc caaatccaaa tgcaaatcca gagctagcaa tgaaaaagac 2760 tcctggccgg gcgcgatggc tcacgcctgt aatcccagca ctttgggagg ccgaggcggg 2820 cggatcacga ggtcaggaga tcgagaccat cctggccaac atggtgaaac cccgtctcta 2880 ctaaaaatat aaaaattagt tgggcatgct ggcgggtgcc tgcagtccca gctacttggg 2940 aggctgaggc aggagaagcg cttgaacccg ggaggtggag attgcagtga gcagacatca 3000 catcattgca ctccagcctc cagcctgggt gacagagcga gacgccgtct caaaaaaaaa 3060 aaaaaaaaga aaagaaaaag aaaaagactc ctgagcctcc tagtggttca cgcctgcaat 3120 tccaactact caggaggctg ggacaggagg gtggcttgag cccgggagtt caaagccagc 3180 ctgggaaaaa tagagagaga gagagagact tgaaatatgg taaatttcct cagtacctga 3240 aaatattaaa aaaaacaaaa agctagaagg aaagagaagg taactgaaac agaagggaaa 3300 ggggacagat ctcaccaagc tgaggtcttg ggagaggaga tactggctga gccctattac 3360 ttaatttaaa ataccttagg ggaggccacc caagtggatg cggggctcct gtgaatcctt 3420 tgcttgactc cagcgggtta cctttgcctc tgatacataa agggtgggga tgggagcgct 3480 ctcctctctc cttcccctgc cttgctgtgg gaacttctgg gaaaggaggt gcagggctcc 3540 aggaagccag tgcccaggga gtgctatgct gagtccagga gcctggccac ggcaggggtg 3600 gacagatggt ggcagaggaa ccacggtgtc ccttcctcca gatttaagct aaaggaaacg 3660 tggagcatcc cattggccat cctccccact ctccaattcg gctccagagg cccctccaga 3720 ctataggcag ctgccccttt aagcgtcgct actcctcccc caagagcggt ggcaccgagg 3780 gagttggggt ggggggaggc tgagcgctct ggctgggaca gctagagaag atggcccagg 3840 ctggggaagt cgctctcatg ccttgctgtc ccctcccctg agccaggtga tttgggagac 3900 cccctccttc cttctttccc taccgcccca cgcgcgaccc ggggatggct ccgtggcctc 3960 acgagaacag ctctcttgcc ccatggccgg acctccccac cctggcgccc aataccgcca 4020 acaccagtgg gctgccaggg gttccgtggg aggcggccct agccggggcc ctgctggcgc 4080 tggcggtgct ggccaccgtg ggaggcaacc tgctggtcat cgtggccatc gcctggactc 4140 cgagactcca gaccatgacc aacgtgttcg tgacttcgct ggccgcagcc gacctggtga 4200 tgggactcct ggtggtgccg ccggcggcca ccttggcgct gactggccac tggccgttgg 4260 gcgccactgg ctgcgagctg tggacctcgg tggacgtgct gtgtgtgacc gccagcatcg 4320 aaaccctgtg cgccctggcc gtggaccgct acctggctgt gaccaacccg ctgcgttacg 4380 gcgcactggt caccaagcgc tgcgcccgga cagctgtggt cctggtgtgg gtcgtgtcgg 4440 ccgcggtgtc gtttgcgccc atcatgagcc agtggtggcg cgtaggggcc gacgccgagg 4500 cgcagcgctg ccactccaac ccgcgctgct gtgccttcgc ctccaacatg ccctacgtgc 4560 tgctgtcctc ctccgtctcc ttctaccttc ctcttctcgt gatgctcttc gtctacgcgc 4620 gggttttcgt ggtggctacg cgccagctgc gcttgctgcg cggggagctg ggccgctttc 4680 cgcccgagga gtctccgccg gcgccgtcgc gctctctggc cccggccccg gtggggacgt 4740 gcgctccgcc cgaaggggtg cccgcctgcg gccggcggcc cgcgcgcctc ctgcctctcc 4800 gggaacaccg ggccctgtgc accttgggtc tcatcatggg caccttcact ctctgctggt 4860 tgcccttctt tctggccaac gtgctgcgcg ccctgggggg cccctctcta gtcccgggcc 4920 cggctttcct tgccctgaac tggctaggtt atgccaattc tgccttcaac ccgctcatct 4980 actgccgcag cccggacttt cgcagcgcct tccgccgtct tctgtgccgc tgcggccgtc 5040 gcctgcctcc ggagccctgc gccgccgccc gcccggccct cttcccctcg ggcgttcctg 5100 cggcccggag cagcccagcg cagcccaggc tttgccaacg gctcgacggg taggtaaccg 5160 gggcagaggg accggcggct cagggtcggg aagcatgcga tgtgtccgtg ggtcaacttt 5220 ttgagtgtgg agtttattaa gagaaggtgg gatggctttg cttggagaga aaagggaacg 5280 aggagtagcg aaccaaaatg ggacccaggg tccttttctt tccggatcca gtcactaggg 5340 tagaagcaaa ggagggcgag cgggccgtcg ttcctcaccc aaggacccaa ggtgcgccac 5400 cggaaagcgc tgcggtgtcc cgaggactct cgcctcgcct ggtcggcttt agggattttt 5460 ttttttttta aatagagaca gggtttcgtc tctgtcgccc acgcgggaat gcagtggcgc 5520 gatctcagct cactgcagtc ttgaactcct ggctcctggg ctcaagcgat cctcccacct 5580 cagcctcctg agtatctggg actacaggcg agccccacca atcccagcta tttttaaaat 5640 ttcttgtaga gatggggtct tgctatgttg cccaggcttg tcttgaactt ctggcctcaa 5700 gtgatccttc tgcctcagcc ttccaaagca ttaggattac aggccggagc cagggcgccg 5760 ggtcggctct agttttggtt ttccagctca gttctttgcc cccctccccc gatttcttgc 5820 catcactaga cctggctcgg acttgaaggc agggctagtg cccccccacc cgccccccaa 5880 gccctcggcc tcagttctgg gttttctcaa aggtttgaca gctgtggagg tgagaatcca 5940 cttccggtat gaagtacagt tgtgagtgag gagcctgtga gtgcagatgt gtgccctccc 6000 gctccctggg ctgggttgga gtagggatgg ggtggggcgt gtgtggctgg gtggtgccct 6060 ggcgtttttg tgtaactaaa tatgcgttcc agggtctctg atctctgtca ttcccctcag 6120 tgcacctgtt gctcctttca ccccagggtc tattatctcc actttttttc ccagggcttc 6180 ttggggagtt tcttaggcct gaaggacaag aagcaacaac tctgttgatc agaacctgtg 6240 gaaaacctct ggcctctgtt cagaatgagt cccatgggat tccccggctg tgacactcta 6300 ccctccagaa cctgacgact gggccatgtg acccaaggag ggatccttac caagtgggtt 6360 ttcaccatcc tcttgctctc tgtctgagag atgttttcta aaccccagcc ttgaacttca 6420 ctcctccctc agtggtagtg tccaggtgcc gtggagcagc aggctggctt tggtaggggc 6480 acccatcacc cggcttgcct gtgcagtcag tgagtgctta gggcaaagag agctcccctg 6540 gttccattcc ttctgccacc caaaccctga tgagacctta gtgttctcca ggctctgtgg 6600 cccaggctga gagcagcagg gtagaaaaga ccaagatttg gggttttatc tctggttccc 6660 ttattactgc tctcaagcag tggcctctct cactttagcc atggaatggc tccgatctac 6720 ctcacagcag tgtcagaagg acttcgccag ggttttggga gctccagggt tcataagaag 6780 gtgaaccatt agaacagatc ccttcttttc cttttgcaat cagataaata aatatcactg 6840 aatgcagttc atcctcggcc ccctttccct ccgtttgttt tcttttcata atccacttac 6900 tcccttccct tctactctgc gctggctttt gacagaggca gtaaattagg cctaatcctc 6960 actcttttct tcctaatctt catcaaacaa aaaatgaaaa gtctgtctgg acgaagggga 7020 gtgagcttga gcctttgata tcttgctccc ccacccttcc tgaaactctt gaaatccagt 7080 tgccattgag tagcaaagcc acgctcccca caggacttgg acagagggcc cacaggggga 7140 tgggctggct gtggccaggt ttagggcagg gggcatttgt cccctccatg ctataatcca 7200 gtggtgcctt acatggtgtg tgtgtgtgtg tgtgcgtgtg tgtgtgtgtg tgtgtgtctg 7260 gaggcacagg cacaaagcat tgcttgggtt ggtcaaatgt cttgtgtcat aaatatattc 7320 tgatgtttcc cagcctttcc acaacctcta ccttcccact caccttcccc agctacaaaa 7380 atctgtatta tcctcttaaa gtaaaactgg agttacaaat ttgagcctgt tgatgcagtt 7440 ttctcttatt tccattttat gaatcttatc agccaggttt cctatgtaaa gaaaatttct 7500 aaggaaatca ttagatcatt ttgtgagttt ctatttaaac tctatgagcc aagactattg 7560 tccaggatga tttatggaat gcccggtaaa tcacagatgt tttgcgtgtt tgtgatgtag 7620 tgcgcaatgt gttgtcttgg ttcaggggcc ctagagttat aaaattccat ctgccccaag 7680 gaggagctcg atagatttcc acatatgggt gttccctgtg aattggacct ggtctgtgct 7740 gctctctttt ctccaggagc ccaggtttta tttctcagga tgttttcata ccaaagatga 7800 ctttctcctt ttcaaccagg gcagggtgag atctctggtg tctgaggtgt gcaagatttc 7860 ttggcaaaga ctcaactttg tggctgttag tggaggagga agtcttgctt gacaaataag 7920 aggccctcct ctccccatct ctggatattc tcccaacatc gctggataaa attggccagt 7980 cagtgctagg caggggagaa tgatgatgtt ggaggtgggg cccctggtgt gtagacttgt 8040 ccttgaacat tgtccagaag ctcatactgc ttgagtcttg ttggacttgc ccgtgcgcca 8100 gctgtcacac tcctttgcag tgtttagact tgtgctgggg ctatggattc catctgcaga 8160 ttgtcagata gaatctgaca gtctggtcat ttctccagca acttgtggcc aggcatcaag 8220 tggagggaga tttacatcct tggatgggag caggctgctt ttgctagcat gaggcctgag 8280 cacttgaact gtagaagaca aacagctgtc ccctgaaccc agagatatga tgacttccag 8340 gcccgtgaga acaacagagt ccctagagcc gctggcctcc ccagagtctg ttagctggag 8400 ctgggcatgg gacagaaatg acatggaaga gagggctgag ttggaggaga gggaatgaag 8460 agcgggcttt ttcagagctg acctaccctc tgcatcaagt ggaactgagg gggaacaggc 8520 agaatttggg tacaggagga tgtggggggc tgactttccc agactttctt ctggggaatg 8580 gaggtaggtg caggctgtgg tcctcacggg cagtccctgg gccttagtcc catgctgact 8640 gcatcctcaa ccctaggaga gtaggagcag ctcctctcct ctgtgtgttt ccattgcacc 8700 ctacatggtc ctaggagcac aggggaaggc atgggaatag cgcttcttac tgttttcatc 8760 ttaaaactgc ctagatccag gccttttgaa ggcctcttgg cgaaggtatg tctacacact 8820 gtctgtgttt gggtgtctgt ccagaacggg gaaatgggag cctgccatgg caagcactgc 8880 taatgctctc ccccacacaa caagccctgg gtatagtctg cctttggcca gtgagaagca 8940 gctgaagcat aacatgcaat tcagtttaat ttgaggccga ggtgggcgga ttacctgagg 9000 tcaggagttc gagaccagcc tggccaacat ggcaaaaccc cgtctctact aaaaatacaa 9060 aaattagccg ggcatggtgg tgggtgcctg taatcccagc tacttgggag gctgaggcag 9120 ggagaatgct tgaacccggg aggcagaggt tgcagtgagc ctagatggca ccactgcact 9180 ccagcctggg caacagagtg agactccatc tcaaaaaaaa aaaaaaaaaa aaaagggaca 9240 aggaaaaaga cagtctcata gaaatcaaat aacttccttg tatcgactct caccccatct 9300 accagattcc aaagtccatt ttctcttctc tatatgcact gcttagaagc agttgtgtga 9360 cactgaacaa gtcacttagc ctttctgact gtttctttgc ctgtgagtca actggagatt 9420 acatgatcac tctactcagc tcatgcaggc tgcttttgaa gacccggtga gacactgtgt 9480 gtgaaagtgg tttggaaact gaaaatgctt ctccggtata aagcggtgaa atcagaatct 9540 ggagcttgga tgagtcccag gtctattata gcagggatcc ccaacccctg ggccgcagac 9600 tgctactggt ctgtggcttg ttaggaactg ggctgcagcg caggaggtga gtggagggca 9660 agcgagcatt aacacgtgag ctccgcctcc tgtcagatct gcggctgcgt tagattctca 9720 ctggagcgcg aatcctaaag tgaactgcac atgtgaggga tctaggttgc atgctctttc 9780 tgagaatcta atgtctgata atctgaggtg gcagctttat cccaaaacca tctccttctc 9840 ccctgtccgt ggaaagattg ccttccacca aaccggtccc ttgtgccaaa aaggttgggg 9900 atcactgtct tatagggtct tgctctgttg cccaggctag agttcagggg cacaatcatg 9960 gcttattgca gcctcagcct cctgctcaag tgatcctctt atctcagcct cccaagtggc 10020 caggactaca ggcttgcacc actatgccca gctaattaaa ttttattttt tgtggagact 10080 gggtatttct atgttgccca ggctggtctt gagctcctgg gctcaagagt tcctcctgcc 10140 tcagcctccc aaagtgctgg gattatgagc atgatccact gtgcctggcc ctggttttgc 10200 tccctgtata ttcctgtttc tgtcgacagc ctgggtcttg gacccacttg tctttggtct 10260 ttgtggacat gccctgcctg gtctttcttc tgcaagtttg tactcacctc agactgactg 10320 ctttggtttt ctgtcctggt ctttatacat ctccacctct ggctctgttt ccatgttcag 10380 accctggtct ggcccgatat tttgctcctg gtctggatca ccccatcatt accaatgcaa 10440 catttacaac gagaacaatt ttaagaatgg gtaggccagg cgcagtggct cacgcctgta 10500 atcccagcac tttgggaggc cgaggcgggt ggatcacctg aggtcaggag ttcaagacca 10560 gcctggccaa catggtgaaa tcccatctct actaaaaata caaaagttag ccgggcgtgg 10620 tggcaggcgc ctgtaatcac agctgctcgg gaggctgagg caggagaatc gcttgaaccc 10680 agggaggcag aggttgcagt gagccgagat tgtgccactg cactctcaaa aaaaaaaaaa 10740 aaaaaaaaaa aagaatgaga agatttagaa cagaaggtac ttctggatct caggacatta 10800 tggtctatta tagtaggggg ttcatgagaa tgggacccta aggaaccaga aaggggagag 10860 aaggtggcgt atactttgct agggctgcca taacaaatga ctacaaactg ggtggcttaa 10920 cacaggagga actgattctc tcacagtgct ggagactaac agtccaaaat caaggtggca 10980 gcagggctgt gctccctgtg aggcgggagg ggaagatcct tccttgcctc ttctcttatc 11040 ccggtgtttg ctgacaatcc ttgggattgt ttgactggag ctgtatcact ctaacttctc 11100 ccccatcttc acaaggcctt cccctgtctg tctgtgccca catttctctc ctcttataag 11160 gacatcggcc attggatcag ggctcaacct aatccagcat gacctcattt gaacctggtt 11220 acatgtgcaa agaccccatt tccaaataag gtcacattca caagt 11265 <210> 3 <211> 472 <212> DNA <213> Homo sapiens <400> 3 cttgggtagt gacaaagtat taatttatta ggtgaagtat atgctttttt attagtgata 60 ataaatatat cctctctccc attataaaag tttgtatttc ttcttttaga aattgattct 120 tctgtcattt gcacatttat ctgtataatt ataacagggt atttcccagt ggtggctaat 180 gagagaatta tgggaaagta tagaacacta ttcaaatgca aagcactgta tgatttttat 240 ttaataggaa gacattttgt gcagcgattt ctgattgacc acagtttgat caagtgcatt 300 tgttaatgtg ttctacattt tcaaaaagga aaggagaatt tgttacattc agaacttgct 360 gccactcctt tgctacgtca taaagggtca gttgcccttg ctcatactga cctattcttt 420 accctctctg cttcttcttt gtgccagaag agtagaaatc tgaccctttg gg 472 <210> 4 <211> 25 <212> DNA <213> Artificial <220> <223> forward primer <400> 4 ggcaacccgg gaacggcagc gcctt 25 <210> 5 <211> 24 <212> DNA <213> Artificial <220> <223> forward primer <400> 5 gcaacccggg aacggcagcg cctt 24 <210> 6 <211> 23 <212> DNA <213> Artificial <220> <223> forward primer <400> 6 caacccggga acggcagcgc ctt 23 <210> 7 <211> 22 <212> DNA <213> Artificial <220> <223> forward primer <400> 7 aacccgggaa cggcagcgcc tt 22 <210> 8 <211> 21 <212> DNA <213> Artificial <220> <223> forward primer <400> 8 acccgggaac ggcagcgcct t 21 <210> 9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220> <223> forward primer <400> 9 cccgggaacg gcagcgcctt 20 <210> 10 <211> 19 <212> DNA <213> Artificial <220> <223> forward primer <400> 10 ccgggaacgg cagcgcctt 19 <210> 11 <211> 18 <212> DNA <213> Artificial <220> <223> forward primer <400> 11 cgggaacggc agcgcctt 18 <210> 12 <211> 31 <212> DNA <213> Artificial <220> <223> reverse primer <400> 12 ccaccaccca cacctcgtcc ctttsctgcg t 31 <210> 13 <211> 30 <212> DNA <213> Artificial <220> <223> reverse primer <400> 13 caccacccac acctcgtccc tttsctgcgt 30 <210> 14 <211> 29 <212> DNA <213> Artificial <220> <223> reverse primer <400> 14 accacccaca cctcgtccct ttsctgcgt 29 <210> 15 <211> 28 <212> DNA <213> Artificial <220> <223> reverse primer <400> 15 ccacccacac ctcgtccctt tsctgcgt 28 <210> 16 <211> 27 <212> DNA <213> Artificial <220> <223> reverse primer <400> 16 cacccacacc tcgtcccttt sctgcgt 27 <210> 17 <211> 26 <212> DNA <213> Artificial <220> <223> reverse primer <400> 17 acccacacct cgtcccttts ctgcgt 26 <210> 18 <211> 25 <212> DNA <213> Artificial <220> <223> reverse primer <400> 18 cccacacctc gtccctttsc tgcgt 25 <210> 19 <211> 24 <212> DNA <213> Artificial <220> <223> reverse primer <400> 19 ccacacctcg tccctttsct gcgt 24 <210> 20 <211> 23 <212> DNA <213> Artificial <220> <223> reverse primer <400> 20 cacacctcgt ccctttsctg cgt 23 <210> 21 <211> 22 <212> DNA <213> Artificial <220> <223> reverse primer <400> 21 acacctcgtc cctttsctgc gt 22 <210> 22 <211> 21 <212> DNA <213> Artificial <220> <223> reverse primer <400> 22 cacctcgtcc ctttsctgcg t 21 <210> 23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220> <223> forward primer <400> 23 ggccaccgtg ggaggcaacc 20 <210> 24 <211> 19 <212> DNA <213> Artificial <220> <223> forward primer <400> 24 gccaccgtgg gaggcaacc 19 <210> 25 <211> 18 <212> DNA <213> Artificial <220> <223> forward primer <400> 25 ccaccgtggg aggcaacc 18 <210> 26 <211> 17 <212> DNA <213> Artificial <220> <223> forward primer <400> 26 caccgtggga ggcaacc 17 <210> 27 <211> 16 <212> DNA <213> Artificial <220> <223> forward primer <400> 27 accgtgggag gcaacc 16 <210> 28 <211> 19 <212> DNA <213> Artificial <220> <223> reverse primer <400> 28 ggctgcggcc agcgaagtc 19 <210> 29 <211> 18 <212> DNA <213> Artificial <220> <223> reverse primer <400> 29 gctgcggcca gcgaagtc 18 <210> 30 <211> 17 <212> DNA <213> Artificial <220> <223> reverse primer <400> 30 ctgcggccag cgaagtc 17 <210> 31 <211> 16 <212> DNA <213> Artificial <220> <223> reverse primer <400> 31 tgcggccagc gaagtc 16 <210> 32 <211> 15 <212> DNA <213> Artificial <220> <223> reverse primer <400> 32 gcggccagcg aagtc 15 <210> 33 <211> 44 <212> DNA <213> Artificial <220> <223> forward primer <400> 33 ttatttaata ggaagacatt ttgtgcagcg atttctgatt gacc 44 <210> 34 <211> 43 <212> DNA <213> Artificial <220> <223> forward primer <400> 34 tatttaatag gaagacattt tgtgcagcga tttctgattg acc 43 <210> 35 <211> 42 <212> DNA <213> Artificial <220> <223> forward primer <400> 35 atttaatagg aagacatttt gtgcagcgat ttctgattga cc 42 <210> 36 <211> 41 <212> DNA <213> Artificial <220> <223> forward primer <400> 36 tttaatagga agacattttg tgcagcgatt tctgattgac c 41 <210> 37 <211> 40 <212> DNA <213> Artificial <220> <223> forward primer <400> 37 ttaataggaa gacattttgt gcagcgattt ctgattgacc 40 <210> 38 <211> 39 <212> DNA <213> Artificial <220> <223> forward primer <400> 38 taataggaag acattttgtg cagcgatttc tgattgacc 39 <210> 39 <211> 38 <212> DNA <213> Artificial <220> <223> forward primer <400> 39 aataggaaga cattttgtgc agcgatttct gattgacc 38 <210> 40 <211> 37 <212> DNA <213> Artificial <220> <223> forward primer <400> 40 ataggaagac attttgtgca gcgatttctg attgacc 37 <210> 41 <211> 36 <212> DNA <213> Artificial <220> <223> forward primer <400> 41 taggaagaca ttttgtgcag cgatttctga ttgacc 36 <210> 42 <211> 35 <212> DNA <213> Artificial <220> <223> forward primer <400> 42 aggaagacat tttgtgcagc gatttctgat tgacc 35 <210> 43 <211> 34 <212> DNA <213> Artificial <220> <223> forward primer <400> 43 ggaagacatt ttgtgcagcg atttctgatt gacc 34 <210> 44 <211> 33 <212> DNA <213> Artificial <220> <223> forward primer <400> 44 gaagacattt tgtgcagcga tttctgattg acc 33 <210> 45 <211> 32 <212> DNA <213> Artificial <220> <223> forward primer <400> 45 aagacatttt gtgcagcgat ttctgattga cc 32 <210> 46 <211> 31 <212> DNA <213> Artificial <220> <223> forward primer <400> 46 agacattttg tgcagcgatt tctgattgac c 31 <210> 47 <211> 30 <212> DNA <213> Artificial <220> <223> forward primer <400> 47 gacattttgt gcagcgattt ctgattgacc 30 <210> 48 <211> 29 <212> DNA <213> Artificial <220> <223> forward primer <400> 48 acattttgtg cagcgatttc tgattgacc 29 <210> 49 <211> 28 <212> DNA <213> Artificial <220> <223> forward primer <400> 49 cattttgtgc agcgatttct gattgacc 28 <210> 50 <211> 27 <212> DNA <213> Artificial <220> <223> forward primer <400> 50 attttgtgca gcgatttctg attgacc 27 <210> 51 <211> 26 <212> DNA <213> Artificial <220> <223> forward primer <400> 51 ttttgtgcag cgatttctga ttgacc 26 <210> 52 <211> 25 <212> DNA <213> Artificial <220> <223> forward primer <400> 52 tttgtgcagc gatttctgat tgacc 25 <210> 53 <211> 38 <212> DNA <213> Artificial <220> <223> reverse primer <220> <221> misc_feature <222> (12)..(12) <223> k stands for g or t <400> 53 ccctttatga cktagcaaag gagtggcagc aagttctg 38 <210> 54 <211> 37 <212> DNA <213> Artificial <220> <223> reverse primer <220> <221> misc_feature <222> (11)..(11) <223> k stands for g or t <400> 54 cctttatgac ktagcaaagg agtggcagca agttctg 37 <210> 55 <211> 36 <212> DNA <213> Artificial <220> <223> reverse primer <220> <221> misc_feature <222> (10)..(10) <223> k stands for g or t <400> 55 ctttatgack tagcaaagga gtggcagcaa gttctg 36 <210> 56 <211> 35 <212> DNA <213> Artificial <220> <223> reverse primer <220> <221> misc_feature <222> (9)..(9) <223> k stands for g or t <400> 56 tttatgackt agcaaaggag tggcagcaag ttctg 35 <210> 57 <211> 34 <212> DNA <213> Artificial <220> <223> reverse primer <220> <221> misc_feature <222> (8)..(8) <223> k stands for g or t <400> 57 ttatgackta gcaaaggagt ggcagcaagt tctg 34 <210> 58 <211> 33 <212> DNA <213> Artificial <220> <223> reverse primer <220> <221> misc_feature <222> (7)..(7) <223> k stands for g or t <400> 58 tatgacktag caaaggagtg gcagcaagtt ctg 33 <210> 59 <211> 32 <212> DNA <213> Artificial <220> <223> reverse primer <220> <221> misc_feature <222> (6)..(6) <223> k stands for g or t <400> 59 atgacktagc aaaggagtgg cagcaagttc tg 32 <210> 60 <211> 31 <212> DNA <213> Artificial <220> <223> reverse primer <220> <221> misc_feature <222> (5)..(5) <223> k stands for g or t <400> 60 tgacktagca aaggagtggc agcaagttct g 31 <210> 61 <211> 30 <212> DNA <213> Artificial <220> <223> reverse primer <220> <221> misc_feature <222> (4)..(4) <223> k stands for g or t <400> 61 gacktagcaa aggagtggca gcaagttctg 30 <210> 62 <211> 29 <212> DNA <213> Artificial <220> <223> reverse primer <220> <221> misc_feature <222> (3)..(3) <223> k stands for g or t <400> 62 acktagcaaa ggagtggcag caagttctg 29 <210> 63 <211> 28 <212> DNA <213> Artificial <220> <223> reverse primer <220> <221> misc_feature <222> (2)..(2) <223> k stands for g or t <400> 63 cktagcaaag gagtggcagc aagttctg 28 <210> 64 <211> 27 <212> DNA <213> Artificial <220> <223> reverse primer <220> <221> misc_feature <222> (1)..(1) <223> k stands for g or t <400> 64 ktagcaaagg agtggcagca agttctg 27 <210> 65 <211> 26 <212> DNA <213> Artificial <220> <223> reverse primer <400> 65 tagcaaagga gtggcagcaa gttctg 26 <210> 66 <211> 25 <212> DNA <213> Artificial <220> <223> reverse primer <400> 66 agcaaaggag tggcagcaag ttctg 25 <210> 67 <211> 24 <212> DNA <213> Artificial <220> <223> reverse primer <400> 67 gcaaaggagt ggcagcaagt tctg 24 <210> 68 <211> 23 <212> DNA <213> Artificial <220> <223> reverse primer <400> 68 caaaggagtg gcagcaagtt ctg 23 <210> 69 <211> 26 <212> DNA <213> Artificial <220> <223> probe <400> 69 cggcgcatgg cttcyattgg gtgcca 26 <210> 70 <211> 25 <212> DNA <213> Artificial <220> <223> probe <400> 70 ggcgcatggc ttcyattggg tgcca 25 <210> 71 <211> 24 <212> DNA <213> Artificial <220> <223> probe <400> 71 gcgcatggct tcyattgggt gcca 24 <210> 72 <211> 23 <212> DNA <213> Artificial <220> <223> probe <400> 72 cgcatggctt cyattgggtg cca 23 <210> 73 <211> 22 <212> DNA <213> Artificial <220> <223> probe <400> 73 gcatggcttc yattgggtgc ca 22 <210> 74 <211> 21 <212> DNA <213> Artificial <220> <223> probe <400> 74 catggcttcy attgggtgcc a 21 <210> 75 <211> 28 <212> DNA <213> Artificial <220> <223> probe <400> 75 ctggtcatcg tggccatcgc ccggactc 28 <210> 76 <211> 27 <212> DNA <213> Artificial <220> <223> probe <400> 76 tggtcatcgt ggccatcgcc cggactc 27 <210> 77 <211> 26 <212> DNA <213> Artificial <220> <223> probe <400> 77 ggtcatcgtg gccatcgccc ggactc 26 <210> 78 <211> 25 <212> DNA <213> Artificial <220> <223> probe <400> 78 gtcatcgtgg ccatcgcccg gactc 25 <210> 79 <211> 24 <212> DNA <213> Artificial <220> <223> probe <400> 79 tcatcgtggc catcgcccgg actc 24 <210> 80 <211> 23 <212> DNA <213> Artificial <220> <223> probe <400> 80 catcgtggcc atcgcccgga ctc 23 <210> 81 <211> 22 <212> DNA <213> Artificial <220> <223> probe <400> 81 atcgtggcca tcgcccggac tc 22 <210> 82 <211> 21 <212> DNA <213> Artificial <220> <223> probe <400> 82 tcgtggccat cgcccggact c 21 <210> 83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220> <223> probe <400> 83 cgtggccatc gcccggactc 20 <210> 84 <211> 19 <212> DNA <213> Artificial <220> <223> probe <400> 84 gtggccatcg cccggactc 19 <210> 85 <211> 18 <212> DNA <213> Artificial <220> <223> probe <400> 85 tggccatcgc ccggactc 18 <210> 86 <211> 17 <212> DNA <213> Artificial <220> <223> probe <400> 86 ggccatcgcc cggactc 17 <210> 87 <211> 31 <212> DNA <213> Artificial <220> <223> probe <400> 87 cacagtttga tcgagtgcat ttgttaatgt g 31 <210> 88 <211> 30 <212> DNA <213> Artificial <220> <223> probe <400> 88 cacagtttga tcgagtgcat ttgttaatgt 30 <210> 89 <211> 29 <212> DNA <213> Artificial <220> <223> probe <400> 89 cacagtttga tcgagtgcat ttgttaatg 29 <210> 90 <211> 28 <212> DNA <213> Artificial <220> <223> probe <400> 90 cacagtttga tcgagtgcat ttgttaat 28 <210> 91 <211> 27 <212> DNA <213> Artificial <220> <223> probe <400> 91 cacagtttga tcgagtgcat ttgttaa 27 <210> 92 <211> 26 <212> DNA <213> Artificial <220> <223> probe <400> 92 cacagtttga tcgagtgcat ttgtta 26 <210> 93 <211> 25 <212> DNA <213> Artificial <220> <223> probe <400> 93 cacagtttga tcgagtgcat ttgtt 25 <210> 94 <211> 24 <212> DNA <213> Artificial <220> <223> probe <400> 94 cacagtttga tcgagtgcat ttgt 24 <210> 95 <211> 23 <212> DNA <213> Artificial <220> <223> probe <400> 95 cacagtttga tcgagtgcat ttg 23 <210> 96 <211> 22 <212> DNA <213> Artificial <220> <223> probe <400> 96 cacagtttga tcgagtgcat tt 22 <210> 97 <211> 21 <212> DNA <213> Artificial <220> <223> probe <400> 97 cacagtttga tcgagtgcat t 21 <210> 98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220> <223> probe <400> 98 cacagtttga tcgagtgcat 20 <210> 99 <211> 19 <212> DNA <213> Artificial <220> <223> probe <400> 99 cacagtttga tcgagtgca 19 <210> 100 <211> 18 <212> DNA <213> Artificial <220> <223> probe <400> 100 cacagtttga tcgagtgc 18 <210> 101 <211> 23 <212> DNA <213> Artificial <220> <223> probe <400> 101 cgcatggctt ccattgggtg cca 23 <210> 102 <211> 23 <212> DNA <213> Artificial <220> <223> probe <400> 102 cgcatggctt ctattgggtg cca 23 <210> 103 <211> 26 <212> DNA <213> Artificial <220> <223> forward primer <400> 103 gcaacccggg aacggcagcg ccttct 26 <210> 104 <211> 25 <212> DNA <213> Artificial <220> <223> forward primer <400> 104 caacccggga acggcagcgc cttct 25 <210> 105 <211> 24 <212> DNA <213> Artificial <220> <223> forward primer <400> 105 aacccgggaa cggcagcgcc ttct 24 <210> 106 <211> 23 <212> DNA <213> Artificial <220> <223> forward primer <400> 106 acccgggaac ggcagcgcct tct 23 <210> 107 <211> 22 <212> DNA <213> Artificial <220> <223> forward primer <400> 107 cccgggaacg gcagcgcctt ct 22 <210> 108 <211> 21 <212> DNA <213> Artificial <220> <223> forward primer <400> 108 ccgggaacgg cagcgccttc t 21 <210> 109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220> <223> forward primer <400> 109 cgggaacggc agcgccttct 20 <210> 110 <211> 19 <212> DNA <213> Artificial <220> <223> forward primer <400> 110 gggaacggca gcgccttct 19 <210> 111 <211> 18 <212> DNA <213> Artificial <220> <223> forward primer <400> 111 ggaacggcag cgccttct 18 <210> 112 <211> 19 <212> DNA <213> Artificial <220> <223> probe <400> 112 cccaatrgaa gccatgcgc 19 <210> 113 <211> 18 <212> DNA <213> Artificial <220> <223> probe <400> 113 cccaatrgaa gccatgcg 18 <210> 114 <211> 17 <212> DNA <213> Artificial <220> <223> probe <400> 114 cccaatrgaa gccatgc 17 <210> 115 <211> 16 <212> DNA <213> Artificial <220> <223> probe <400> 115 cccaatrgaa gccatg 16 <210> 116 <211> 15 <212> DNA <213> Artificial <220> <223> probe <400> 116 cccaatrgaa gccat 15 <210> 117 <211> 17 <212> DNA <213> Artificial <220> <223> probe <400> 117 ctcggagtcc gggcgat 17 <210> 118 <211> 16 <212> DNA <213> Artificial <220> <223> probe <400> 118 ctcggagtcc gggcga 16 <210> 119 <211> 15 <212> DNA <213> Artificial <220> <223> probe <400> 119 ctcggagtcc gggcg 15 <210> 120 <211> 14 <212> DNA <213> Artificial <220> <223> probe <400> 120 ctcggagtcc gggc 14 <210> 121 <211> 13 <212> DNA <213> Artificial <220> <223> probe <400> 121 ctcggagtcc ggg 13 <210> 122 <211> 12 <212> DNA <213> Artificial <220> <223> probe <400> 122 ctcggagtcc gg 12 <210> 123 <211> 17 <212> DNA <213> Artificial <220> <223> probe <400> 123 ctcggagtcc aggcgat 17 <210> 124 <211> 16 <212> DNA <213> Artificial <220> <223> probe <400> 124 ctcggagtcc aggcga 16 <210> 125 <211> 15 <212> DNA <213> Artificial <220> <223> probe <400> 125 ctcggagtcc aggcg 15 <210> 126 <211> 14 <212> DNA <213> Artificial <220> <223> probe <400> 126 ctcggagtcc aggc 14 <210> 127 <211> 13 <212> DNA <213> Artificial <220> <223> probe <400> 127 ctcggagtcc agg 13 <210> 128 <211> 12 <212> DNA <213> Artificial <220> <223> probe <400> 128 ctcggagtcc ag 12 <210> 129 <211> 27 <212> DNA <213> Artificial <220> <223> primer <400> 129 catgcccacc acccacacct cgtccct 27 <210> 130 <211> 26 <212> DNA <213> Artificial <220> <223> primer <400> 130 atgcccacca cccacacctc gtccct 26 <210> 131 <211> 25 <212> DNA <213> Artificial <220> <223> primer <400> 131 tgcccaccac ccacacctcg tccct 25 <210> 132 <211> 24 <212> DNA <213> Artificial <220> <223> primer <400> 132 gcccaccacc cacacctcgt ccct 24 <210> 133 <211> 23 <212> DNA <213> Artificial <220> <223> primer <400> 133 cccaccaccc acacctcgtc cct 23 <210> 134 <211> 22 <212> DNA <213> Artificial <220> <223> primer <400> 134 ccaccaccca cacctcgtcc ct 22 <210> 135 <211> 21 <212> DNA <213> Artificial <220> <223> primer <400> 135 caccacccac acctcgtccc t 21 <210> 136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220> <223> primer <400> 136 accacccaca cctcgtccct 20 <210> 137 <211> 19 <212> DNA <213> Artificial <220> <223> primer <400> 137 ccacccacac ctcgtccct 19 <210> 138 <211> 18 <212> DNA <213> Artificial <220> <223> primer <400> 138 cacccacacc tcgtccct 18 <210> 139 <211> 17 <212> DNA <213> Artificial <220> <223> probe <400> 139 cacagtttga tcgagtg 17 <210> 140 <211> 15 <212> DNA <213> Artificial <220> <223> probe <400> 140 cacccaatgg aagcc 15 <210> 141 <211> 16 <212> DNA <213> Artificial <220> <223> probe <400> 141 ccaatggaag ccatgc 16 <210> 142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220> <223> probe <400> 142 catggcttcc attgggtgcc 20 <210> 143 <211> 18 <212> DNA <213> Artificial <220> <223> probe <400> 143 catggcttcc attgggtg 18 <210> 144 <211> 17 <212> DNA <213> Artificial <220> <223> probe <400> 144 ggcttccatt gggtgcc 17 <210> 145 <211> 17 <212> DNA <213> Artificial <220> <223> probe <400> 145 ggcacccaat agaagcc 17 <210> 146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220> <223> probe <400> 146 ccggcgcatg gcttccattg 20 <210> 147 <211> 15 <212> DNA <213> Artificial <220> <223> probe <400> 147 tagaagccat gcgcc 15 <210> 148 <211> 17 <212> DNA <213> Artificial <220> <223> probe <400> 148 ccaatagaag ccatgcg 17 <210> 149 <211> 15 <212> DNA <213> Artificial <220> <223> probe <400> 149 ccaatggaag ccatg 15 <210> 150 <211> 15 <212> DNA <213> Artificial <220> <223> probe <400> 150 tggaagccat gcgcc 15 <210> 151 <211> 15 <212> DNA <213> Artificial <220> <223> probe <400> 151 caatggaagc catgc 15 <210> 152 <211> 17 <212> DNA <213> Artificial <220> <223> probe <400> 152 cttccattgg gtgccag 17 <210> 153 <211> 16 <212> DNA <213> Artificial <220> <223> probe <400> 153 ccattgggtg ccagca 16 <210> 154 <211> 22 <212> DNA <213> Artificial <220> <223> probe <400> 154 cttccattgg gtgccagcaa ga 22 <210> 155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220> <223> probe <400> 155 gctggcaccc aatggaagcc 20 <210> 156 <211> 18 <212> DNA <213> Artificial <220> <223> probe <400> 156 ccaatggaag ccatgcgc 18 <210> 157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220> <223> probe <400> 157 ccaatggaag ccatgcgccg 20 <210> 158 <211> 19 <212> DNA <213> Artificial <220> <223> probe <400> 158 ccaatggaag ccatgcgcc 19 <210> 159 <211> 18 <212> DNA <213> Artificial <220> <223> probe <400> 159 ggcttccatt gggtgcca 18 <210> 160 <211> 22 <212> DNA <213> Artificial <220> <223> probe <400> 160 catggcttcc attgggtgcc ag 22 <210> 161 <211> 40 <212> DNA <213> Artificial <220> <223> DNA <400> 161 cgccttcttg ctggcaccca atagaagcca tgcgccggac 40 <210> 162 <211> 40 <212> DNA <213> Artificial <220> <223> DNA <400> 162 cgccttcttg ctggcaccca atggaagcca tgcgccggac 40 <210> 163 <211> 40 <212> DNA <213> Artificial <220> <223> DNA <400> 163 gtccggcgca tggcttctat tgggtgccag caagaaggcg 40 <210> 164 <211> 40 <212> DNA <213> Artificial <220> <223> DNA <400> 164 gtccggcgca tggcttccat tgggtgccag caagaaggcg 40 <210> 165 <211> 23 <212> DNA <213> Artificial <220> <223> primer <400> 165 gggaacggca gcgccttctt gct 23 <210> 166 <211> 26 <212> DNA <213> Artificial <220> <223> primer <400> 166 tggtgaccgt ctgcagacgc tcgaac 26

Claims (26)

  1. 비만 유전자의 다형 해석에 사용하기 위한 프로브로서,
    상기 비만 유전자가 β2AR 유전자이며,
    하기 (P1)에 나타내는 올리고뉴클레오티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만 유전자 해석용 프로브:
    (P1)
    하기 (1-1) 및 하기 (1-2) 중 적어도 한쪽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
    (1-1) 서열번호 1에 있어서의 4254번째의 티민 염기(T)를 1염기째로 하여 3'방향을 향해서 21∼26염기째까지의 영역에 상보적인 적어도 하나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로서, 상기 티민 염기에 상보적인 아데닌 염기(A)를 3'말단으로 하는 올리고뉴클레오티드,
    (1-2) 서열번호 1에 있어서의 4259번째의 시토신 염기(C)를 1염기째로 하여 3'방향을 향해서 15∼19염기째까지의 영역과 동일한 서열인 적어도 하나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로서, 상기 시토신 염기를 5'말단으로 하는 올리고뉴클레오티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브가, 융해 온도의 해석에 의한 β2AR 유전자의 다형 해석에 사용하기 위한 프로브인 비만 유전자 해석용 프로브.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브가, 하기 (P1')에 나타내는 올리고뉴클레오티드로 이루어지는 프로브인 비만 유전자 해석용 프로브:
    (P1') 서열번호 72의 염기서열로 이루어지는 올리고뉴클레오티드, 및 서열번호 114의 염기서열로 이루어지는 올리고뉴클레오티드 중 적어도 한쪽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브가 표지 물질이 부가된 표지화 프로브인 비만 유전자 해석용 프로브.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표지 물질이 형광 물질인 비만 유전자 해석용 프로브.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표지화 프로브가, 단독으로 형광을 나타내고 또한 하이브리드 형성에 의해 형광이 소광하는 프로브인 비만 유전자 해석용 프로브.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브가, 상기 (1-1)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의 3'말단에 상기 표지 물질이 부가된 표지화 프로브인 비만 유전자 해석용 프로브.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브가, 상기 (1-2)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의 5'말단에 상기 표지 물질이 부가된 표지화 프로브인 비만 유전자 해석용 프로브.
  9. 비만 유전자의 해석에 사용하기 위한 시약으로서,
    상기 비만 유전자가 β2AR 유전자이며,
    제1항에 기재된 비만 유전자 해석용 프로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만 유전자 해석용 시약.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시약이, 융해 온도의 해석에 의한 비만 유전자의 다형 해석에 사용하기 위한 시약인 비만 유전자 해석용 시약.
  11. 제9항에 있어서, β2AR 유전자에 있어서의 다형의 검출 대상 부위를 갖는 검출 대상 서열을 증폭하기 위한 프라이머를 더 포함하는 비만 유전자 해석용 시약.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비만 유전자 해석용 시약이, 생체 시료 중의 β2AR 유전자에 있어서의 검출 대상 부위의 다형을 해석하기 위한 시약인 비만 유전자 해석용 시약.
  13. 제9항에 있어서, β3AR 유전자의 검출 대상 부위에 하이브리다이즈 가능한 프로브 및 UCP1 유전자의 검출 대상 부위에 하이브리다이즈 가능한 프로브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비만 유전자 해석용 시약.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브가, (P2')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로 이루어진 프로브 및 (P3')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로 이루어진 프로브 중 적어도 하나인 비만 유전자 해석용 시약:
    (P2') 서열번호 83의 염기서열로 이루어지는 올리고뉴클레오티드, 서열번호 120의 염기서열로 이루어지는 올리고뉴클레오티드, 및 서열번호 127의 염기서열로 이루어지는 올리고뉴클레오티드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
    (P3') 서열번호 95의 염기서열로 이루어지는 올리고뉴클레오티드, 및 서열번호 139의 염기서열로 이루어지는 올리고뉴클레오티드 중 적어도 한쪽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 시료가 전혈인 비만 유전자 해석용 시약.
  16. 비만 유전자를 해석하는 비만 유전자 해석 방법으로서,
    상기 비만 유전자가 β2AR 유전자이며,
    하기 (a)∼(c)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만 유전자 해석 방법:
    (a) β2AR 유전자에 있어서의 다형의 검출 대상 부위를 갖는 검출 대상 서열과, 제1항에 기재된 비만 유전자 해석용 프로브를 포함하는 반응액을 준비하는 공정,
    (b) 상기 반응액의 온도를 변화시켜, 상기 검출 대상 서열과 상기 프로브와의 하이브리드 형성체의 융해 상태를 나타내는 시그널 값을 측정하는 공정,
    (c) 온도 변화에 따르는 상기 시그널 값의 변동으로부터, 상기 하이브리드 형성체의 융해 온도를 결정하는 공정.
  17. 제16항에 있어서, 하기 (d)공정을 더 포함하는 비만 유전자 해석 방법:
    (d) 결정한 융해 온도로부터, β2AR 유전자의 상기 검출 대상 부위의 다형을 결정하는 공정.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비만 유전자가 β2AR 유전자, β3AR 유전자 및 UCP1 유전자의 적어도 하나이고, 상기 (a) 공정에서, 상기 프로브와 하기 (P2')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로 이루어진 프로브 및 하기 (P3')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로 이루어진 프로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상기 반응액을 준비하는 것인 비만 유전자 해석 방법:
    (P2') 서열번호 83의 염기서열로 이루어지는 올리고뉴클레오티드, 서열번호 120의 염기서열로 이루어지는 올리고뉴클레오티드, 및 서열번호 127의 염기서열로 이루어지는 올리고뉴클레오티드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
    (P3') 서열번호 95의 염기서열로 이루어지는 올리고뉴클레오티드, 및 서열번호 139의 염기서열로 이루어지는 올리고뉴클레오티드 중 적어도 한쪽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브가, 형광 물질이 부가된 표지화 프로브이며,
    상기 (b)공정에 있어서, 상기 시그널 값으로서, 상기 형광 물질의 형광 강도를 측정하는 비만 유전자 해석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표지화 프로브가, 단독으로 형광을 나타내고 또한 하이브리드 형성에 의해 형광이 소광하는 프로브이며,
    상기 (b)공정에 있어서, 상기 반응액의 온도를 상승시키고, 온도 상승에 따르는 형광 강도의 감소를 측정하는 비만 유전자 해석 방법.
  21. 제16항에 있어서, 하기 (x)공정을 더 포함하는 비만 유전자 해석 방법:
    (x) 시료 중의 핵산을 주형으로 하고, β2AR 유전자에 있어서의 상기 검출 대상 서열을 증폭하기 위한 프라이머를 이용하여, 반응액 중, 상기 검출 대상 서열의 증폭을 행하는 공정.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x)공정에 있어서, 증폭 반응에 앞서, 상기 반응액에 상기 프로브를 첨가하고, 상기 (x)공정에 있어서의 증폭 반응 후의 상기 반응액을, 상기 (a)공정에 있어서의 반응액으로서 사용하는 비만 유전자 해석 방법.
  23.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시료가 생체 시료인 비만 유전자 해석 방법.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 시료가 전혈인 비만 유전자 해석 방법.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액에 있어서의 전혈의 첨가 비율이 0.1∼0.5 체적%인 비만 유전자 해석 방법.
  26. 융해 온도의 해석에 의해 비만 유전자에 있어서의 검출 대상 부위의 다형의 해석을 행하는 다형 해석 방법으로서,
    상기 비만 유전자가 β2AR 유전자이며,
    제16항에 기재된 비만 유전자 해석 방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형 해석 방법.
KR1020107029246A 2006-11-30 2007-11-30 비만 유전자 증폭용 프라이머 세트, 그것을 포함하는 비만 유전자 증폭용 시약 및 그 용도 KR10111941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6-322961 2006-11-30
JP2006322961 2006-11-30
JP2006322960 2006-11-30
JPJP-P-2006-322960 2006-11-30
JP2007232614 2007-09-07
JPJP-P-2007-232614 2007-09-07
PCT/JP2007/073207 WO2008066164A1 (en) 2006-11-30 2007-11-30 Primer set for amplification of obesity gene, reagent for amplification of obesity gene comprising the primer set, and use of the primer set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20461A Division KR101051385B1 (ko) 2006-11-30 2007-11-30 비만 유전자 증폭용 프라이머 세트, 그것을 포함하는 비만 유전자 증폭용 시약 및 그 용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4918A true KR20110004918A (ko) 2011-01-14
KR101119417B1 KR101119417B1 (ko) 2012-04-12

Family

ID=39467950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29246A KR101119417B1 (ko) 2006-11-30 2007-11-30 비만 유전자 증폭용 프라이머 세트, 그것을 포함하는 비만 유전자 증폭용 시약 및 그 용도
KR1020087020461A KR101051385B1 (ko) 2006-11-30 2007-11-30 비만 유전자 증폭용 프라이머 세트, 그것을 포함하는 비만 유전자 증폭용 시약 및 그 용도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20461A KR101051385B1 (ko) 2006-11-30 2007-11-30 비만 유전자 증폭용 프라이머 세트, 그것을 포함하는 비만 유전자 증폭용 시약 및 그 용도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021845B2 (ko)
EP (2) EP2450444B1 (ko)
JP (1) JP5279492B2 (ko)
KR (2) KR101119417B1 (ko)
CN (1) CN102154272B (ko)
WO (1) WO200806616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39926A (en) * 1980-06-09 1987-01-27 Xerox Corporation Efficient cathode assembly for metal vapor laser
CN102076850B (zh) 2008-07-02 2014-05-07 爱科来株式会社 靶核酸序列的扩增方法、使用该方法的突变检测方法、以及用于该方法的试剂
US9284603B2 (en) 2010-01-21 2016-03-15 Arkray, Inc. Target sequence amplification method, polymorphism detection method, and reagents for use in the methods
JP2012000081A (ja) * 2010-06-21 2012-01-05 Haplo Pharma:Kk Snpによる肥満化のリスクの予測
WO2012076350A1 (en) * 2010-12-08 2012-06-14 Imec A biosensor using impedimetric real-time monitoring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79352A (en) 1986-08-22 1992-01-07 Cetus Corporation Purified thermostable enzyme
US4889818A (en) 1986-08-22 1989-12-26 Cetus Corporation Purified thermostable enzyme
AU646430B2 (en) 1989-12-22 1994-02-24 F. Hoffmann-La Roche Ag Recombinant expression vectors and purification methods for thermus thermophilus DNA polymerase
US5322785A (en) 1990-04-26 1994-06-21 New England Biolabs, Inc. Purified thermostable DNA polymerase obtainable from thermococcus litoralis
WO1992009689A1 (en) 1990-12-03 1992-06-11 Stratagene PURIFIED THERMOSTABLE $i(PYROCOCCUS FURIOSUS)
WO1999037761A1 (de) 1997-12-30 1999-07-29 Max-Delbrück-Centrum für Molekulare Medizin Neue sequenzvarianten des menschlichen beta2-adrenergen rezeptorgens und ihre verwendung
US6861217B1 (en) * 1998-11-25 2005-03-01 Genaissance Pharmaceuticals, Inc. Variation in drug response related to polymorphisms in the β2-adrenergic receptor
EP1240354A2 (en) * 1999-09-10 2002-09-18 Whitehead Institute For Biomedical Research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s in genes
ATE334228T1 (de) * 2000-03-29 2006-08-15 Lgc Ltd Hybridisierungsprobe und methode zum schnellen nachweis und zur schnellen unterscheidung von sequenzen
US6593092B2 (en) * 2000-04-04 2003-07-15 Abbott Laboratories Beta 2 adrenergic polymorphism detection
US6586183B2 (en) * 2000-04-13 2003-07-01 Genaissance Pharmaceuticals, Inc. Association of β2-adrenergic receptor haplotypes with drug response
JP2001137000A (ja) * 2000-09-19 2001-05-22 Nobuyuki Hamashima 遺伝子変異の判別方法
DE10111925A1 (de) 2001-03-13 2002-10-02 Ogham Gmbh Herzchip
US20030202937A1 (en) * 2001-06-05 2003-10-30 Sabbadini Roger A. Minicell-based diagnostics
AU2002348982A1 (en) * 2001-10-25 2003-05-06 Exiqon A/S Closed substrate platforms suitable for analysis of biomolecules
WO2003061681A2 (en) * 2002-01-25 2003-07-31 DeveloGen Aktiengesellschaft für entwicklungsbiologische Forschung Proteins involved in the regulation of energy homeostasis and organelle metabolism
JP4336877B2 (ja) * 2003-04-18 2009-09-30 アークレイ株式会社 β3アドレナリン受容体変異遺伝子の検出法ならびにそのための核酸プローブおよびキット
JP4454265B2 (ja) 2003-08-13 2010-04-21 アークレイ株式会社 融解曲線解析法
US20050191678A1 (en) * 2004-02-12 2005-09-01 Geneob Usa Inc. Genetic predictability for acquiring a disease or condition
JP2005287447A (ja) 2004-04-02 2005-10-20 Hitachi High-Technologies Corp プローブ及びプライマーおよびこれらを用いた核酸断片相補鎖合成法
WO2005106488A2 (en) 2004-04-28 2005-11-10 Bayer Healthcare Ag Diagnostics and therapeutics for diseases associated with g protein-coupled beta-2 adrenoceptor (adrb2)
SE0402198D0 (sv) * 2004-09-13 2004-09-13 Astrazeneca Ab Method
JP2008526249A (ja) * 2005-01-13 2008-07-24 プロジェニカ・バイオファーマ・エス・アー invitro遺伝子タイピングのための方法および製品
EP1888779A4 (en) * 2005-05-20 2009-06-10 Synergenz Bioscience Ltd METHOD FOR THE ANALYSIS OF POLYMORPHISMS AND USES THEREOF
GB0613844D0 (en) * 2006-07-12 2006-08-23 Progenika Biopharma Sa Methods and products for in vitro genotyp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07384A (ko) 2008-12-10
JPWO2008066164A1 (ja) 2010-03-11
US8021845B2 (en) 2011-09-20
CN102154272B (zh) 2014-03-12
CN102154272A (zh) 2011-08-17
EP2055776A4 (en) 2009-11-25
KR101119417B1 (ko) 2012-04-12
KR101051385B1 (ko) 2011-07-22
US20100112559A1 (en) 2010-05-06
EP2450444B1 (en) 2013-06-05
WO2008066164A1 (en) 2008-06-05
EP2055776A1 (en) 2009-05-06
EP2450444A1 (en) 2012-05-09
JP5279492B2 (ja) 2013-09-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07911B1 (ko) Ugt1a1 유전자 증폭용 프라이머 셋트, 그것을 포함하는ugt1a1 유전자 증폭용 시약 및 그 용도
US9359647B2 (en) Probe for detection of polymorphism in EGFR gene, amplification primer, and use thereof
KR101135829B1 (ko) 유전자 증폭용 프라이머 세트, 그것을 포함하는 유전자 증폭용 시약 및 그 용도
KR20110036646A (ko) 변이의 검출 방법 및 그것에 이용하는 키트
KR101446556B1 (ko) Mthfr 유전자 증폭용 프라이머 세트, 그것을 포함하는 mthfr 유전자 증폭용 시약 및 그 용도
JPWO2010001969A1 (ja) 標的核酸配列の増幅方法、それを用いた変異の検出方法、および、それに用いる試薬
EP2574680A1 (en) Probe, polymorphism detection method, method of evaluating drug efficacy or tolerance, and reagent kit
KR20080100429A (ko) Cyp2c19 유전자 증폭용 프라이머 세트, 그것을포함하는 cyp2c19 유전자 증폭용 시약 및 그 용도
EP2511370B1 (en) PROBE FOR DETECTING POLYMORPHISMS IN THE K-ras GENE, AND USE THEREOF
EP3064596B1 (en) Method for analysing cyp2c19 gene polymorphism, kit and use thereof for analysing the cyp2c19 gene polymorphisms and to evaluate drug efficacy.
KR101147277B1 (ko) Jak2 유전자의 변이 검출용 프로브 및 그 용도
KR101051385B1 (ko) 비만 유전자 증폭용 프라이머 세트, 그것을 포함하는 비만 유전자 증폭용 시약 및 그 용도
EP2450443B1 (en) Target sequence amplification method, polymorphism detection method, and reagents for use in the methods
KR101107831B1 (ko) Sult1a1 유전자 증폭용 프라이머 세트, 그것을 포함하는 sult1a1 유전자 증폭용 시약 및 그 용도
EP2653560B1 (en) Probe, and polymorphism detection method using the same
KR101068605B1 (ko) Nat2 유전자 증폭용 프라이머 셋트, 그것을 포함하는 nat2 유전자 증폭용 시약 및 그 용도
US20130177908A1 (en) Probes for Detecting Paraoxonase 1 Gene Polymorphism (Q192R) and Methods of Use Thereof
WO2011077990A1 (ja) c-kit遺伝子の多型検出用プローブおよびその用途
CN101517080A (zh) 肥胖基因扩增用引物对、含有其的肥胖基因扩增用试剂及其用途
EP2407560B1 (en) Probe for detection of polymorphism in abl gene, and use thereof
KR101472940B1 (ko) Egfr 유전자 다형 검출용 프로브 및 그 용도
JP2019062833A (ja) ヒトegfrのc797s(t2389a)変異検出用プローブ、ヒトegfrのc797s(t2389a)変異検出用キット、及びヒトegfrのc797s(t2389a)変異の検出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3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