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04784U - 고탄력성 및 고가요성을 갖는 대리석 접합식 타일 - Google Patents

고탄력성 및 고가요성을 갖는 대리석 접합식 타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4784U
KR20110004784U KR2020100006545U KR20100006545U KR20110004784U KR 20110004784 U KR20110004784 U KR 20110004784U KR 2020100006545 U KR2020100006545 U KR 2020100006545U KR 20100006545 U KR20100006545 U KR 20100006545U KR 20110004784 U KR20110004784 U KR 2011000478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ne
plate
inner plate
outer plate
ti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654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찬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세화스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세화스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세화스톤
Publication of KR2011000478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4784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66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composed of several layers, e.g. sandwich panels or layered pane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14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ceramics concrete; of glass or with an outer layer of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or gla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석재 접합식 타일, 특히 자연미를 살릴 수 있는 천연석을 사용하되 천연석의 원가가 절감되고 재료의 강도가 기존에 비해 강화됨은 물론 시공이 용이하고 가요성과 탄력성을 제공하는 것인 바, 본 고안은 대상체에 부착되며 그 두께가 1mm이상 3mm이하의 두께로 얇게 가공된 석재 내판(10); 상기 내판(10)의 외측면에 적층되며 그 두께가 1mm이상 3mm이하의 두께로 얇게 가공된 석재 외판(20); 상기 내판(10)과 외판(20)의 사이에 삽입되어 상기 내판(10)과 외판(20)을 일체로 체결하는 접착층(30); 및 상기 내판(10)과 외판(20)의 사이에 구비되는 접착층(30)에 삽입 적층되는 유리섬유(glass fiber) 재질로 직조된 망사체(4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석재 접합식 타일 {ROUGH STONE JUNCTION TYPE FACING TILE}
본 고안은 석재 접합식 타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건물 내부벽체의 자연미를 살릴 수 있는 천연석을 한 쌍의 외판과 내판으로 비교적 얇게 가공함으로써 천연석의 원가를 절감할 수 있으며, 비교적 얇은 한 쌍의 외판과 내판 사이에 접착층 및 망사체가 서로 유기적으로 결합되어 가요성과 탄력성을 갖게 되고, 타일이 낙하하여도 유리섬유(glass fiber) 재질로 직조된 망사체가 외판과 내판의 결속력을 강화시켜 취성에 의한 파괴를 방지할 수 있는 석재 접합식 타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의 벽체, 바닥 등 구조체의 외부로 노출되는 면에는 그 외관을 미려하게 장식할 수 있도록 마감공사를 실시하고 있다. 이와 같은 마감공사에 사용되는 마감 자재로는 종래부터 다양한 종류의 것들이 알려져 있다. 특히, 화강석이 대리석 등과 같은 건축용 석재의 경우 자연미와 더불어 고급스러운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으므로 최근 들어 건축용 내,외장 마감재료로서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상기와 같이 석재를 마감재로 사용하는 경우, 대리석과 화강석 등을 10mm ~ 50mm의 두께로 가공하여 건물 내부벽체의 마감재로 사용하고 있는바, 판상으로 가공된 석재 자체는 충격이 가해지면 금이 가거나 부서져 파편이 떨어진다는 단점이 있고, 석재 자체의 중량으로 인해 고층 빌딩에서는 작업하기가 부적합한 단점도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석재의 두께를 얇게 하여 무게를 경량화하고 시공작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복합판넬이 출원된 바 있다.
종래의 복합판넬은 국내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434186호를 참조하면, 점토(clay)를 소성한 타일로 이루어지는 베이스판과, 베이스판의 표면에 접착제에 의해서 부착되는 자연석판을 구비하는 복합판넬이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복합판넬은 자연석판을 얇게 가공함으로써, 판넬전체를 경량화를 가능하게 운반 및 시공작업을 편리하게 할 수는 있으나, 복합판넬을 건축물의 벽면에 마감재로 사용시 베이스판과 자연석판이 서로 다른 재료이기 때문에 기온변화에 따라 열팽창계수에 의한 편차가 발생하여 수축과 팽창으로 인해 균열과 박리를 야기시킨다. 건축내장재의 균열, 박리사고의 원인은 구조, 시공, 재료에 기인하는 것으로서 베이스판과 자연석판의 재료가 다른 경우에는 균열이나 박리가 일어날 수가 있다. 그리고 베이스판이 점토(clay)를 소성한 타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취성이 큰 약점이 있어서 떨어뜨리면 깨지는 경우가 많다.
한편, 천연석의 판재에 유리섬유를 접착제로 접착시켜 판재의 강도를 향상시키고 파손을 방지하기 위한 종래기술로서 국내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327219호를 참조하면, 옥판재, 천연석의 판재, 유리섬유 및 접착제로 이루어지는 옥침대석이 개시되어 있다. 옥판재와 판재 사이에 이들을 단단히 접착시키는 유리섬유가 접착되어 옥판재와 판재의 강도를 보강한 것이나, 이 판재의 두께가 10mm 이상으로 무게가 무거운 단점이 있고, 높은 곳에서 떨어뜨리면 쉽게 깨질 우려가 있다.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자연미를 살릴 수 있는 석재인 천연석을 사용하되 천연석의 원가가 절감되고 재료의 강도가 기존에 비해 강화됨은 물론 균열이나 박리가 일어나지 않고 취성에 의한 파괴를 방지할 수 있는 타일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건물 내부벽체의 자연미를 살릴 수 있는 석재인 천연석을 사용하되 천연석의 원가가 절감되고 재료의 강도가 기존에 비해 강화됨은 물론 균열이나 박리가 일어나지 않고 취성에 의한 파괴를 방지할 수 있는 석재 접합식 타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석재 접합식 타일은 대상체에 부착되며 그 두께가 1mm이상 3mm이하의 두께로 얇게 가공된 석재 내판(10); 내판(10)의 외측면에 적층되며 그 두께가 1mm이상 3mm이하의 두께로 얇게 가공된 석재 외판(20); 내판(10)과 외판(20)의 사이에 삽입되어 내판(10)과 외판(20)을 일체로 체결하는 접착층(30); 및 내판(10)과 외판(20)의 사이에 구비되는 접착층(30)에 삽입 적층되는 유리섬유(glass fiber) 재질로 직조된 망사체(40); 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가요성과 탄력성을 제공한다.
또한 본 고안의 망사체(40)는 실(yarn)형태의 단일섬유(41)가 상호 크로스되어 장방형으로 된 복수의 관통공(40a)이 형성되며, 이 관통공(40a)의 내경은 1mm이상 5mm이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의 석재 내판(10) 및 석재 외판(20)은 천연석을 판상으로 가공하여 석재 외판(20)은 석재 내판(10)보다 가공면이 더 균일하고 무늬가 더 선명한 천연석으로 선택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의 석재 접합식 타일은, 대상체에 부착되는 내판(10)의 일면에 형성된 제2접착층(30'); 및 상기 제2접착층(30')에 삽입 적층되는 유리섬유(glass fiber) 재질로 직조된 망사체;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따른 석재 접합식 타일은,
첫째, 건물 내부벽체에 천연석인 석재를 가공하여 마감함으로써 자연미를 충분히 살릴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둘째, 석재를 기존보다 비교적 얇게 판상으로 가공하여 원자재의 단가를 낮출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셋째, 석재를 판상으로 기본보다 비교적 얇게 한 쌍의 내판과 외판으로 가공함으로써 본 고안인 타일의 중량이 가벼워지고 이로 인해 시공을 위한 노동생산성이 향상되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
넷째, 석재를 판상으로 비교적 얇게 한 쌍의 내판과 외판으로 가공한 후, 가공된 한 쌍의 내판과 외판 사이에 접착층의 구비 및 내판과 외판의 결속력을 강화하기 위한 망사체의 구비로 인해 본 고안인 타일의 내구성이 현저히 향상되는 효과도 있다.
다섯째, 유리섬유(glass fiber)의 재질을 이용하여 장방형으로 직조된 망사체의 구비로 인해 본 고안인 타일을 건물 내부벽체에 부착하는 작업중에 파쇄되거나 또는 건물 내부벽체를 해체하는 경우 타일을 고의적으로 파쇄하는 경우에 있어서, 타일이 파쇄되는 동안 돌발적으로 파편이 튀면서 작업자에게 부상을 입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으며, 파쇄된 타일의 잔해를 수거하는 작업도 매우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부차적인 효과도 있다.
여섯번째, 내판과 외판이 천연석을 재료로 하기 때문에 기온변화에 따른 열팽창계수의 차이가 크지 않아 본 고안인 타일을 건축물의 벽면에 마감재로 사용시 균열과 박리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일곱번째, 두께가 얇은 내판과 외판, 접착층 그리고 유리섬유(glass fiber) 재질로 직조된 망사체가 유기적으로 결합되어 가요성과 탄력성을 갖게 됨으로써, 본 고안인 타일이 낙하하여도 깨지지 않고 비틀어도 본래의 모양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여덟번째, 내판보다 상대적으로 품질이 뛰어난 외판이 외부로 노출되어 시공됨으로써, 똑같은 품질의 내판과 외판을 사용하지 않더라도 시각적인 만족감을 충분히 얻을 수가 있으며, 이와 동시에 제품의 가격을 낮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석재 접합식 타일을 도시한 분리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망사체를 도시한 평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석재 접합식 타일을 도시한 결합사시도,
도 4는 도 3의 A-A선 단면도 및 요부확대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석재 접합식 타일의 가요성을 보여주는 상태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석재 접합식 타일이 일부 파쇄된 상태의 실물사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석재 접합식 타일이 건물 내부벽체에 설치되기 직전과 직후의 단면을 도시한 상태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석재 접합식 타일이 건물 내부벽체에 설치된 상태도이다.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석재 접합식 타일이 건물 내부벽체에 설치된 다른 상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한정하지 않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석재 접합식 타일을 도시한 분리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망사체를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석재 접합식 타일을 도시한 결합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A-A선 단면도 및 요부확대도를 나타낸다.
[도 1] 내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석재 접합식 타일(1)은 대상체에 부착되며 그 두께가 1mm이상 3mm이하의 두께로 얇게 가공된 석재 내판(10); 내판(10)의 외측면에 적층되며 그 두께가 1mm이상 3mm이하의 두께로 얇게 가공된 석재 외판(20); 내판(10)과 외판(20)의 사이에 삽입되어 내판(10)과 외판(20)을 일체로 체결하는 접착층(30); 및 상기 내판(10)과 외판(20)의 사이에 구비되는 접착층(30)에 삽입 적층되는 유리섬유(glass fiber) 재질로 직조된 망사체(4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대상체는 백화점, 오피스, 종합상가 등의 주요 건물의 내부벽체 또는 가구의 문짝, 선박 내부의 천정이나 벽면을 가리킨다.
내판(10)과 외판(20)은 각각 천연석을 판상으로 1~3mm 두께로 얇게 가공한 후, 내판(10)의 일면에 접착제를 도포한 후 도포된 접착제에 밀착되도록 외판(20)을 포개어 접합한다. 이처럼 내판(10)과 외판(20)을 접합시 내판(10)과 외판(20)이 서로 다른 재료가 아닌 동일한 재료이기 때문에 열팽창계수의 차이가 없어서 수축, 팽창으로 인한 균열이나 박리 현상이 일어나지 않는다.
[도 1] 및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내판(10) 및 외판(20)은 각각 자연석의 무늬(11,21)가 구현된다. 내판(10) 및 외판(20)을 가공하기 전 상태의 천연석은 본래 천연석의 내부에도 마블링(marbling) 형태의 특유한 무늬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천연석을 판상으로 가공하는 경우 자연스럽게 내판(10) 및 외판(20)의 표면에는 특유한 각각의 무늬(11,21)가 형성되어 자연미를 구현하게 된다.
외판(20)의 무늬(21)는 내판(10)의 무늬(11)보다 더 선명하게 구현되며, 외판(20)은 내판(10)보다 더 강한 강도의 재료로 이루어진다. 내판(10)과 외판(20)을 천연석을 사용하여 판상으로 가공하는 경우 재료의 강도가 강하고 무늬가 선명하며 가공면이 균일한 품질을 택하여 외판(20)으로 사용하고, 상대적으로 품질이 뒤떨어지는 것은 내판(10)으로 사용한다. 이로 인해 내판(10)보다 상대적으로 품질이 뛰어난 외판(20)이 외부로 노출되어 시공됨으로써, 똑같은 품질의 내판(10)과 외판(20)을 사용하지 않더라도 실질적으로 눈에 보이는 것은 외판(20)이기 때문에 시각적인 만족감을 충분히 얻을 수 있는 동시에 제품의 가격을 낮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대상체에 타일(1)이 부착되는 경우 타일(1)은 외부물체의 충격이나 외부의 기후조건에 대해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내판(10)에 비해 상대적으로 선명한 무늬(21)로 구현된 외판(20)으로 인해 타일(1)의 자연미에 대해 한층 더 심미감을 유발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외판(10)의 외향면은 이 외향면에 투영된 외부물체의 움직임에 대한 시각적 인지가 가능하도록 연마된다. 천연석을 판상으로 가공한 다음 외판(20)으로 선별된 것은 내판(10)과 접합되는 반대면, 즉 타일(1)이 대상체에 부착된 경우 가장 외측면에 해당하는 외판(20)의 일면을 연마기를 이용하여 연마함으로써 타일(1)의 외판(20)에 구현된 무늬(21)의 미려함에 더하여 타일(1)에 투영된 외부물체의 움직임에 대한 시각적 인지가 가능하여 타일(1)이 목적하는 대상체에 모두 시공되는 경우 건물 전체에 대한 깨끗하다는 미감을 유발시키게 된다.
[도 1] 내지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내판(10)과 외판(20)의 사이에 구비되는 접착층(30)에는 유리섬유(glass fiber) 재질로 직조된 망사체(40)가 삽입된다. 이는 망사체(40)가 접착층(30)의 사이에 끼워져 접착층(30)의 접착제가 굳는 경우에 이 접착층(30) 자체의 인장력을 강화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며, 동시에 접착층(30)의 인장력이 강화됨에 따라 이 접착층(30)에 맞닿는 각 내판(10) 및 외판(20)과의 결속력을 강화시키게 된다.
또한 타일(1)을 대상체에 부착시키거나 대상체로부터 해체하는 과정에서 타일(1)이 파쇄되는 경우 그 파편(F)이 사방으로 튕기는 것을 방지하여 작업자의 안전을 도모하는 기능도 있다(도 6참조).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망사체(40)는 실(yarn)형태의 단일섬유(41,42)가 상호 크로스되어 장방형으로 된 복수의 관통공(40a)이 형성되며, 이 관통공(40a)의 내경은 1mm이상 5mm이하로 형성된다. 관통공(40a)을 관통하는 접착층(30)의 접착제는 관통공(40a)을 관통하여 내판(10)의 일면과 외판(20)의 일면을 연결한 상태에서 굳어져 고정된다. 이 경우 망사체(40)의 구성요소인 단일섬유(41)의 인장력을 고려하면 바람직하게 관통공(40a)의 내경을 1mm이상 5mm이하로 형성시키는 경우 내판(10)과 외판(20)이 적층접합된 타일(1)이 인장강도와 취성이 개선되어 타일(1)이 외부충격에 의해 쉽게 깨지지 않는 특성이 있다.
[도 1] 및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내판(10)의 두께(d1) 및 외판(20)의 두께(d2)는 각각 그 두께가 1mm이상 3mm이하로 형성되며, 바람직하게 내판(10)의 두께(d1)와 외판(20)의 두께(d2)는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이처럼 내판(10)과 외판(20)이 접합된 전체의 두께를 기존에 비해 비교적 얇게 가공함으로써 타일(1)의 중량이 기존에 비해 현저히 낮아져 특히 고층건물의 내벽을 마감하는 경우 작업자가 수작업을 통해 시공하는 경우에도 시공작업의 능률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내판(10)과 외판(20) 사이에 구비된 접착층(30)은 내판(10)과 외판(20)의 결합을 위한 가압으로 대략 2mm이하의 두께를 갖게 되며, 이로 인해 접착층(30) 사이에 끼워진 망사체(40)의 단일섬유(41)도 단면이 일정부분 눌려 가압되는 형태를 유지하게 되어 타일(1)의 전체 두께는 기존에 비해 현저히 얇게 형성된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석재 접합식 타일의 가요성을 보여주는 상태도를 나타낸 것으로서, 타일(1)의 양쪽을 잡아서 상하로 구부리면 잘 휘어지게 되고, 힘을 가하지 않으면 다시 본래의 모양으로 되돌아간다. 이처럼 본 고안의 타일(1)이 가요성과 탄력성을 가지며 쉽게 깨지지 않는 이유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는, 내판(10) 및 외판(20)의 재료가 석재인 점에 있다. 석재는 점토(clay)에 비해 탄성계수가 높은 편이어서 변형에 의한 복원력이 뛰어난 효과가 있다.
둘째는, 내판(10) 및 외판(20)이 1~3mm 두께로 얇게 가공된 점에 있다. 두께가 얇으면 쉽게 휘어질 수가 있기 때문에 휨성이 매우 좋게 되고, 무게를 더욱 경량화할 수 있게 된다.
셋째는, 상기과 같은 특성이 있는 석재가 내판(10) 및 외판(20)에 모두 사용되었다는 점에 있다. 내판(10) 및 외판(20)을 서로 다른 재료를 사용하게 되면 탄력성을 잃게 되고 열팽창계수의 차이가 발생하여 수축이나 팽창될 우려가 있으나, 본 고안은 내판(10) 및 외판(20)에 모두 석재가 사용된다.
넷째는, 내판(10) 및 외판(20) 사이에 유리섬유(glass fiber) 재질로 직조된 망사체(40)가 접착된 점에 있다. 유리섬유(glass fiber)는 인장강도와 탄성이 뛰어나므로 내판(10) 및 외판(20) 사이에 유리섬유(glass fiber) 재질로 직조된 메쉬형태의 망사체(40)를 접착하면 외부충격에도 쉽게 깨지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석재가 갖는 고유한 특성과, 내판(10) 및 외판(20)의 얇은 두께와 가벼움, 취성 파괴를 방지할 수 있는 유리섬유(glass fiber) 재질로 직조된 망사체(40)로 인해서 내판(10), 외판(20) 및 망사체(40)가 서로 유기적으로 결합하여 본 고안의 타일(1)이 가요성과 탄력성을 갖게 되고 타일(1)을 떨어뜨려도 쉽게 깨지지 않게 되는 것이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석재 접합식 타일이 일부 파쇄된 상태의 실물사진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망사체(40)가 접착층(30)의 사이에 끼워져 접착층(30)의 접착제가 굳는 경우 이 접착층(30) 자체의 인장력을 강화시키는 동시에 이 접착층(30)에 맞닿는 각 내판(10) 및 외판(20)과의 결속력을 강화시키게 된다. 또한 타일(1)을 대상체에 부착시키거나 대상체로부터 해체하는 과정에서 타일(1)이 파쇄되는 경우 그 파편(F)이 사방으로 튕기는 것을 방지하여 작업자의 안전을 도모하며, 타일(1)의 해체된 잔해를 수거하는 작업도 보다 간편하게 할 수 있게 된다.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석재 접합식 타일이 건물 내부벽체에 설치되기 직전과 직후의 단면을 도시한 상태도이며,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석재 접합식 타일이 건물 내부벽체에 설치된 상태도로서, 대상체에 부착되는 내판(10)의 일면에 제2접착층(30')을 형성하고, 이 제2접착층(30')에 망사체가 적층된다. 이로 인해 상술한 바와 같이, 내판(10)과 외판(20) 사이의 접착층(30)으로 인한 인장력으로 인해 타일(1)의 내구성이 강화되는 것에 더하여 내판(10)와 대상체 사이의 제2접착층(30') 및 이 제2접착층(30') 사이에 끼워진 망사체의 구비로 인해 타일(1)의 내구성은 2중으로 강화된다.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석재 접합식 타일이 건물 내부벽체에 설치된 다른 상태도로서, [도 8]의 건물 내부벽체(W)는 직선으로 이루어져 있으나, [도 9]의 건물 내부벽체(W')는 곡선으로 이루어져 있는 경우이다. 본 고안의 타일(1)은 내판(10), 외판(20), 접착층(30) 및 망사체(40)가 유기적으로 결합되어 가요성과 탄력성을 갖기 때문에 곡선으로 이루어지는 벽면에도 타일(1)을 용이하게 부착할 수가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인 타일(1)은 곡선의 미를 살린 건축물의 벽면에 내장재로 사용될 뿐만 아니라 가구 장식용으로 사용될 수가 있고, 오피스 내부, 선박 내부의 천정이나 바닥 및 벽면에 사용될 수가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석재 접합식 타일은 자연미를 살릴 수 있는 석재인 천연석을 사용하되 천연석의 원가가 절감되고 재료의 강도가 기존에 비해 강화됨은 물론 가요성과 탄력성을 갖기 때문에 낙하하여도 깨지지 않고 비틀어도 본래의 모양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어서 건물 벽체, 가구, 선박 등의 다양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1 : 타일 10 : 내판
11 : 무늬 20 : 외판
21 : 무늬 23 : 표출면
30: 접착층 30' : 제2접착층
40 : 망사체 40a : 관통공
41,42 : 단일섬유 F : 파편
W : 건물 내부벽체 W': 건물 내부벽체

Claims (4)

  1. 대상체에 부착되며 그 두께가 1mm이상 3mm이하의 두께로 얇게 가공된 석재 내판(10);
    상기 내판(10)의 외측면에 적층되며 그 두께가 1mm이상 3mm이하의 두께로 얇게 가공된 석재 외판(20);
    상기 내판(10)과 외판(20)의 사이에 삽입되어 상기 내판(10)과 외판(20)을 일체로 체결하는 접착층(30); 및
    상기 내판(10)과 외판(20)의 사이에 구비되는 접착층(30)에 삽입 적층되는 유리섬유(glass fiber) 재질로 직조된 망사체(40);
    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가요성과 탄력성을 제공하는 석재 접합식 타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망사체(40)는 실(yarn)형태의 단일섬유(41)가 상호 크로스되어 장방형으로 된 복수의 관통공(40a)이 형성되며, 이 관통공(40a)의 내경은 1mm이상 5mm이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재 접합식 타일.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석재 내판(10) 및 석재 외판(20)은 천연석을 판상으로 가공하여 상기 석재 외판(20)은 상기 석재 내판(10)보다 가공면이 더 균일하고 무늬가 더 선명한 천연석으로 선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재 접합식 타일.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석재 접합식 타일은,
    상기 대상체에 부착되는 내판(10)의 일면에 형성된 제2접착층(30'); 및
    상기 제2접착층(30')에 삽입 적층되는 유리섬유(glass fiber) 재질로 직조된 망사체;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석재 접합식 타일.
KR2020100006545U 2009-11-06 2010-06-21 고탄력성 및 고가요성을 갖는 대리석 접합식 타일 KR20110004784U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6849 2009-11-06
KR20090106849 2009-11-0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4784U true KR20110004784U (ko) 2011-05-13

Family

ID=439567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6545U KR20110004784U (ko) 2009-11-06 2010-06-21 고탄력성 및 고가요성을 갖는 대리석 접합식 타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10004784U (ko)
CN (1) CN102051968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13068A (ko) * 2013-03-15 2014-09-24 (주)선워드코리아 점탄성 폴리머 쉬트를 이용한 복합 방음 패널 및 그 제조 방법
KR20200034079A (ko) 2018-09-20 2020-03-31 이병찬 불연소재 홈텍스 타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758318B (zh) * 2013-12-26 2016-04-27 东莞市彩丽建筑维护技术有限公司 墙体贴砖施工方法及专用构件
CN105064657A (zh) * 2015-07-30 2015-11-18 常州南夏墅建设有限公司 新型地面砖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13068A (ko) * 2013-03-15 2014-09-24 (주)선워드코리아 점탄성 폴리머 쉬트를 이용한 복합 방음 패널 및 그 제조 방법
KR20200034079A (ko) 2018-09-20 2020-03-31 이병찬 불연소재 홈텍스 타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051968A (zh) 2011-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665968C (en) A process for realising high-resistance slabs or tiles, destined for covering internal or external floors or walls
KR100519224B1 (ko) 복합적층 판넬
KR20110004784U (ko) 고탄력성 및 고가요성을 갖는 대리석 접합식 타일
KR101193547B1 (ko) 건식 및 습식 시공이 가능한 에스엠씨 쪽매식 대리석
KR101004011B1 (ko) 석재 패널
KR20110062368A (ko) 석재 마루바닥재
KR100945256B1 (ko) 초박형 천연석판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초박형 천연석판
JP2714468B2 (ja) 石材パネル
KR101203123B1 (ko) 에스엠씨 쪽매식 대리석
KR200487862Y1 (ko) 경량보드 및 그 고정장치
US8435621B2 (en) Artificial stone fiber composites
KR100971615B1 (ko) 건축내장 마감용 타일
KR200434681Y1 (ko) 비철 금속층이 일체로 형성된 석재
KR20160129180A (ko) 천연석재 패널
JP2810767B2 (ja) 複合パネル
AU2009101312A4 (en) Composite tile and method of construction
JP2934396B2 (ja) 天然石を使用した積層材とこの積層材を使用する家具,建具,壁面等の外形の形成方法
KR101132243B1 (ko) 조립식 천연석재판 및 그 제조 방법
KR200316262Y1 (ko) 자연석을 이용한 건축용 마감재
JP3056963U (ja) ストーンパネル
KR20120013145A (ko) 삼중 석재 패널 및 그 제조 방법
KR20160004097U (ko) Enm 대리석 패널
KR101129681B1 (ko) 조립식 천연석재판 및 그 제조방법
KR101203447B1 (ko) 건축장식용 복합 천연석재 및 그 복합방법
JP3092974U (ja) 壁 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