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13068A - 점탄성 폴리머 쉬트를 이용한 복합 방음 패널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점탄성 폴리머 쉬트를 이용한 복합 방음 패널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13068A
KR20140113068A KR1020130027979A KR20130027979A KR20140113068A KR 20140113068 A KR20140113068 A KR 20140113068A KR 1020130027979 A KR1020130027979 A KR 1020130027979A KR 20130027979 A KR20130027979 A KR 20130027979A KR 20140113068 A KR20140113068 A KR 201401130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mer sheet
viscoelastic polymer
laminated
glass fiber
composi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279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46887B1 (ko
Inventor
천순령
Original Assignee
(주)선워드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선워드코리아 filed Critical (주)선워드코리아
Priority to KR10201300279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6887B1/ko
Publication of KR201401130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130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68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68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82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sound only
    • E04B1/84Sound-absorbing elements
    • E04B1/86Sound-absorbing elements slab-shap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02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a sequence of laminating steps, e.g. by adding new layers at consecutive laminating st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0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 E04C2/26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04, E04C2/08, E04C2/10 or of material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with a material not specified in one of the groups
    • E04C2/284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04, E04C2/08, E04C2/10 or of material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with a material not specified in one of the groups at least one of the materials being insulating
    • E04C2/296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04, E04C2/08, E04C2/10 or of material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with a material not specified in one of the groups at least one of the materials being insulating composed of insulating material and non-metallic or unspecified sheet-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점탄성 폴리머 쉬트를 중앙부에 적층함으로서 외부의 소음을 흡수할 수 있게 함으로서 방음의 효과가 우수한 복합 방음 패널을 제공하고, 나아가 복수 가닥으로 엮어진 격자 형태의 유리 섬유를 열로 경화시켜 점탄성 폴리머 쉬트의 이웃하는 층에 적층함으로거 견고성을 더욱 증가시키고, 격자 형태의 공간부에는 인체에 유익한 항균과 탈취 효과를 발휘함은 물론, 원적외선과 음이온을 외부로 원활하게 방출시킬 수 있는 기능성 물질을 충진하여 친환경적인 복합 방음 패널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갖는 본 발명은 복수 개의 판재를 적층하여 제조하는 복합 방음 패널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판재 중앙부에는 점탄성 폴리머 쉬트가 적층되고, 상기 점탄성 폴리머 쉬트와 이웃하는 층에는 다수 가닥으로 엮어진 격자 형태의 유리 섬유가 적층되어 방음 효과가 우수하고 비틀림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점탄성 폴리머 쉬트를 이용한 복합 방음 패널 및 그 제조 방법{Complex soundproofing panel using visco-elastic polymer shee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점탄성 폴리머 쉬트를 이용한 복합 방음 패널에 관한 것으로서, 복수개의 판재를 적층하여 제조하는 복합 방음 패널에 있어서 중간층에 점탄성 폴리머 소재의 쉬트를 적층하여 형성하도록 하여, 외부에서 발생하는 소음이 점탄성 폴리머 쉬트에 의해 흡수 될 수 있도록 함으로서 기존의 복합 방음 패널과 비교하여 흡음 및 방음 에 있어서 우수한 효과가 점탄성 폴리머 쉬트를 이용한 복합 방음 패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용 내외장재로서의 복합 패널은 샌드위치(Sand Witch)형을 취하는 겹판형상으로, 외부는 목재 합판, 엠디에프(MDF), 칩보드, 밤라이트, 석고보드 등이 주로 사용되고 있으나, 이것은 하나의 물질만으로는 구조적 강도와 단열 효과를 겸비할 수 없는 것이어서 거의 대부분이 스티로폼, 유리솜, 암면 등이 중앙부에 내장되거나 기타 다른 판재들과 적층되는 복합 패널의 형태로 만들어지고 있다.
그런데 상기 종래의 방음용 복합 패널은 제조 과정에서 환경 공해를 일으킬 뿐만 아니라 폐기 시에도 역시 자연 부식이 곤란하여 폐기 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게다가 일부 패널은 값비싼 목재에 의존하여 만들어지는 것이므로 빈약한 임산자원을 가진 우리 나라의 실정에 맞지 않으며, 또 사용 후의 폐기 처리 문제 등을 고려하여 볼 때 좋은 방편이라 할 수 없다.
즉, 상기 목재 합판은 소각 폐기 할 수 있다 해도, 그 가운데에 내장되는 유리 솜, 암면, 또 합판을 층층으로 붙여 주는 접착제가 유해 물질로 되어 공해를 일으키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는 MDF, 칩보드, 밤라이트, 석고 보드 등에서도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거의 마찬가지로 나타나고 있다.
또한, 상기의 방음용 복합 패널은 건축 현장 등에서 간편하게 벽체 또는 바닥재로 사용되기에는 유용하나 벽체 또는 바닥재로서 필요한 흡음 및 방음의 효과는 현저히 낮은 문제가 있으며, 더욱이 종래의 복합 방음 패널은 그 강도 및 견고성이 떨어져 외부의 약한 충격에도 손쉽게 파손되는 문제점 이외에도 외부의 온도, 습도 및 태양광에 의해서 변형이 생겨 비틀림 현상 등이 발생하여 재시공을 해야 하는 문제점이 발생하곤 하였다.
대한민국 특허공개공보 제10-2000-0000292호 (2000년 01월 15일)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03130호 (2005년 12월 08일) 대한민국 실용신안공개공보 제20-2000-0012701호 (2000년 07월 15일)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점탄성 폴리머 쉬트를 중앙부에 적층함으로서 외부의 소음을 흡수할 수 있게 함으로서 방음 및 단열 효과가 우수한 복합 방음 패널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복수 가닥으로 엮어진 격자 형태의 유리 섬유를 열로 경화시켜 점탄성 폴리머 쉬트의 이웃하는 층에 적층함으로서 견고성을 더욱 증가시켜 비틀림과 같은 변형을 방지하고, 격자 형태의 공간부에는 인체에 유익한 항균과 탈취 효과를 발휘함은 물론, 원적외선과 음이온을 외부로 원활하게 방출시킬 수 있는 기능성 물질을 충진할 수 있도록 하여 친환경적인 복합 방음 패널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점탄성 폴리머 쉬트를 이용한 복합 방음 패널은 복수 개의 판재를 적층하여 제조하는 복합 방음 패널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판재 중앙부에는 점탄성 폴리머 쉬트가 적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점탄성 폴리머 쉬트와 이웃하는 층에는 다수 가닥으로 엮어진 격자 형태의 유리 섬유가 적층된다.
또한, 유리 섬유는 일정한 높이를 구비하여 점탄성 폴리머 쉬트와 판재 사이에 일정한 충진 공간부를 형성하되, 상기 충진 공간부에는 충진재로서 옻, 숯, 세라믹, 맥반석, 음이온 파우더, 황토, 전기석 중의 어느 하나가 분말 또는 과립 형태로 충진된다.
그리고, 판재는 목재 합판, 엠디에프(MDF), 칩보드, 밤라이트, 석고 보드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탄성 폴리머 쉬트를 이용한 복합 방음 패널.
한편,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 따르면 복수 개의 판재를 적층하여 제조하는 복합 방음 패널에 있어서, 점탄성 폴리머 쉬트를 가공하여 절단하는 단계, 상기 점탄성 폴리머 쉬트 상단에 접착제를 분사하는 단계, 상기 접착제가 분사된 점탄성 폴리머 쉬트 상단에 다수의 가닥으로 엮어진 격자 형태의 유리섬유를 적층하는 단계, 상기 격자 형태의 유리 섬유가 적층된 점탄성 폴리머 쉬트를 할로겐 램프를 이용한 건조기에서 건조 및 경화시키는 단계, 상기 건조된 격자 형태의 유리 섬유의 충진 공간부에 옻, 숯, 세라믹, 맥반석, 음이온 파우더, 황토, 전기석 중 어느 하나가 분말 또는 과립 형태의 충진재 충진하는 단계, 상기 기능성 물질이 충진이 완료된 유리 섬유가 적층된 점탄성 폴리머 쉬트를 접착제가 도포된 상부 및 하부 판재 중앙부에 적층하는 단계 및 상기 상부 및 하부 판재의 중앙부에 적층된 점탄성 폴리머 쉬트를 열풍건조기에서 건조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점탄성 폴리머 쉬트를 중앙부에 적층함으로서 외부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최대한 흡수함으로서 방음의 효과를 극대화 시킬 수 있으며, 상기 점탄성 폴리머 쉬트에 이웃하는 층에 다수의 가닦으로 엮어진 유리 섬유를 경화시켜 적층시킴으로서 본 발명의 패널을 외부의 환경 변화에 따른 비틀림이나 충격으로부터 패널의 변형을 최소화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유리섬유의 격자 형태의 충진 공간부에는 기능성 물질을 액상 또는 분말가루 형태로 충진 할 수 있으므로 음이온의 발생 등과 같은 효과를 낼 수 있으므로 새집증후군과 같은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특유의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점탄성 폴리머 쉬트를 이용한 복합 방음 패널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점탄성 폴리머 쉬트를 이용한 복합 방음 패널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점탄성 폴리머 쉬트를 이용한 복합 방음 패널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점탄성 폴리머 쉬트를 이용한 복합 방음 패널 제조 공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A, B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점탄성 폴리머 쉬트를 이용한 복합 방음 패널의 분해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점탄성 폴리머 쉬트를 이용한 복합 방음 패널은 점탄성 폴리머 쉬트를 중앙부에 적층한 후 이웃하는 상부와 하부에 사용되는 판재(10)는 목재 합판, 엠디에프(MDF), 칩보드, 밤라이트, 석고 보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점탄성 폴리머 쉬트와 접착제(미도시)로 결합하게 된다.
종래의 방음 패널은 소음을 줄이기 위해 완충제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는데 이러할 경우 고주파대역의 소리와 중저파대역의 소리 모두를 차단하는 것은 극히 어려운 문제이며, 또한 진동에 의해 전달되는 소음의 경우에는 더욱 어려운 것이 현실이었다. 더욱이 완충제의 경우 단열의 효과는 거의 없기 때문에 별도의 단열재를 삽입하는 등의 이유로 설치비가 증가하는 2차적인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고, 동시에 단열을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상부층과 하부층에 사용되는 판재 사이에 점탄성 폴리머 쉬트(20)를 삽입함으로서 진동에 의한 소음을 최소하하였고, 또한 단열의 효과를 크게 개선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점탄성이란 물체에 힘을 가했을 때 탄성변형과 점성을 지닌 흐름이 동시에 나타나는 현상을 말하는데, 모든 물체는 이러한 점탄성을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액체는 그릇이나 지형에 따라 쉽게 변형되나, 변형을 일으키는 힘에 대해 복원력이 없다(즉 탄성변형을 하지 않는다). 그러나 콜로이드용액이나 진한 고분자 용액의 경우, 점성이 나타나는 동시에 힘에 대한 복원력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탄성변형을 일으키는데 이러한 점성과 탄성의 동시에 갖는 물질을 점탄성 물질이라고 한다. 특히, 본 발명의 중앙부에 삽입되는 점탄성 폴리머 쉬트(20)의 경우 점탄성이 뛰어나고, 또한 진동에 의한 소음이 발생하는 경우 에너지의 흡수능력이 뛰어나므로 진동에너의 신속하게 소산하는 능력이 우수하여 소리가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점탄성 폴리머 쉬트를 이용한 복합 방음 패널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점탄성 폴리머 쉬트를 이용한 복합 방음 패널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점탄성 폴리머 쉬트(20)를 이용한 복합 방음 패널은 점탄성 폴리머 쉬트를 중앙부에 적층한 후 이웃하는 상부 또는 하부 층 어느 하나에 다수 가닥으로 역어진 격자 형태의 유리 섬유(30)가 적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유리 섬유는 다양한 형태로 존재하는데 본 발명에 이용하는 유리섬유(30)는 다수 가닥으로 엮어진 격자 형태의 유리섬유(30)를 할로겐 램프의 빛을 이용하여 경화시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반적으로 상온에서 형태를 유지하는 점탄성 폴리머 쉬트의 경우 흐름성이 낮은 경우에는 점도가 매우 높아 탄성만이 나타나는 한계가 있고, 일정한 흐름성이 유지되는 점탄성 폴리머의 경우에는 외형 유지가 힘들어 힘을 많이 받거나 진동이 심한 곳에 사용되는 경우 파손의 우려가 있으므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라 초경량의 유리섬유(30)를 할로겐 램프의 빛을 이용하여 경화시켜 점탄성 폴리머 쉬트(20)의 이웃하는 층에 적층함으로서 벽체의 골재로서의 역활을 할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다수의 가닥으로 엮어진 격자 형태의 유리 섬유(30)를 경화시켜 적층함으로서 상부 또는 하부 판재(10)가 목재합판 또는 석고보드라 하더라도 기존의 복합 방음 패널과 비교하여 견고하고 비틀림 등과 같은 변형이 발생하는 않는 벽체로서 다양한 건축 분야에 사용이 가능하고, 또한 점탄성 폴리머 쉬트(20)가 판재(10)의 중앙부에 적측됨으로서 소음에도 탁월한 효과가 있으므로 기존의 복합 방음 패널보다는 우수한 기능적 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다수의 가닥으로 엮어서 경화된 유리섬유(30)는 습기를 흡수하지 않아 기존의 복팝 패널과 달시 장시간 사용하여도 비틀림과 같은 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특유의 효과가 있는 것이다. 이때 유리섬유(30)는 격자 형태로 경화시켜 적층하되, 유리섬유(30)는 일정한 높이를 가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본 발명에 따라 유리섬유(30)을 격자 형태로 유지하는 것은 일차적으로 설치비의 증가를 최소화할 뿐만 아니라 유리섬유의 일정한 높이를 갖느 격자 형태 사이의 공간부를 이용하여 필요에 따라 다양한 기능성 물질을 충진할 수 있는 충진 공간부(31)을 형성함으로서 환경친화성을 보다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상기 충진 공간부(31)에 충진이 가능한 기능성 물질은 숯, 세라믹, 맥반석, 음이온 파우더, 황토, 전기석 중의 어느 하나의 기능성 물질이 상기 유리섬유(30)에 형성된 격자 무늬의 충진 공간부(31)에 충진 될 수 있다. 이때 충진재(40)는 가루와 같은 분말(粉末) 또는 둥글고 잔 알갱이와 같은 과립(顆粒) 형태로서 충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액체 등을 이요하여 충진하는 경우 장시간 사용시 곰팡이 등이 발생할 수 있으며 액체가 가지고 있는 수분 등에 의해 패널의 변형을 가지고 올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유리섬유(30)의 각각의 충진 공간부(31)에는 본 발명의 복합 방음 패널의 사용 용도에 따라 1종류 또는 1종류 이상의 기능성 물질을 충진 공간부에 충진시킬 수 있고, 또한 상기한 충진재(40)은 본 발명의 복합 방음 패널의 사용 용도에 따라 유리섬유(30) 격자 형태의 전체 충진 공간부(31)에 충진하지 않고 충진 공간부(31)의 일부에만 선택적으로 기능성 물질이 충진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도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점탄성 폴리머 쉬트를 이용한 복합 방음 패널을 제조하는 방업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점탄성 폴리머 쉬트를 이용한 복합 방음 패널 제조 공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본 발명은 복수 개의 판재를 적층하여 제조하는 복합 방음 패널에 있어서, 점탄성 폴리머 쉬트(10)를 가공하여 절단하는 단계, 상기 점탄성 폴리머 쉬트(20) 상단에 접착제를 분사하는 단계, 상기 접착제가 분사된 점탄성 폴리머 쉬트(20) 상단에 다수의 가닥으로 엮어진 격자 형태의 유리섬유(30)를 적층하는 단계, 상기 격자 형태의 유리 섬유가 적층된 점탄성 폴리머 쉬트(20)를 할로겐 램프를 이용한 건조기에서 건조 및 경화시키는 단계, 상기 건조된 격자 형태의 유리섬유(30)의 충진 공간부(31)에 옻, 숯, 세라믹, 맥반석, 음이온 파우더, 황토, 전기석 중 어느 하나가 분말 또는 과립 형태의 충진재(40) 충진하는 단계, 상기 충진재(40)가 충진이 완료된 유리 섬유가 적층된 점탄성 폴리머 쉬트(20)를 접착제가 도포된 상부 및 하부 판재(10) 중앙부에 적층하는 단계 및 상기 상부 및 하부 판재(10)의 중앙부에 적층된 점탄성 폴리머 쉬트를 열풍건조기에서 건조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점탄성 폴리머 쉬트(20)를 이용한 복합 방음 패널의 제조 방법은 우선 점탄성 폴리머 쉬트(20)를 필요한 크기에 따라 가공 및 절단을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복합 방음 패널은 흡음효과가 뛰어나 방음에 탁월한 효과가 있고, 단열에 있어서 우수한 효과가 있으므로 건축 자재로서 그 용도가 다양하므로 사용하는 곳에 따라 점탄성 폴리머 쉬트(20)를 가공하여 절단한다.
그 다음 상기 절단된 점탄성 폴리머 쉬트(20)의 상부면에 접착제를 스프레이 방식으로 분사하여 도포한다. 이때 접착제는 친환경 소재의 접착제를 이용하여 도포하는 것이 바람직?. 상기 접착제가 도포된 점탄성 폴리머 쉬트(20)의 상부면에 격자 형태의 유리섬유(30)을 적층 시키는데, 이때 격자 형태의 유리섬유(30)는 지름이 작은 다수의 유리섬유가닥이 엮어진 형태이다.
상기 유리 섬유가 적층된 점탄성 폴리머 쉬트(20)를 할로겐 램프를 이용한 건조기에서 투입한다. 이때 할로겐 램프를 이용한 건조기를 사용하는 이유는 할로겐 램프는 고온을 방출할 뿐만 아니라 유리섬유를 경화시킬 수 있는 빛을 발산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할로겐 램프를 이용한 건조기 내에서는 일차적으로 점탄성 폴리머 쉬트(20) 상단에 분사된 접착제 점탄성 폴리머 쉬트(20)와 유리섬유(30)를 결합시키고, 또한 유리섬유(30)을 할로겐 램프에서 발산하는 빛을 이용하여 경화를 진행 시킨다.
상기 건조 및 경화가 완료되 점탄성 폴리머 쉬트(20)의 상단에 접착된 유리섬유(30)에 형성된 격자 무니는 일정한 높이를 형성하고 있어서 충진 공간부(31)를 형성하게 된다. 이 충진 공간부(31)에 옻, 숯, 세라믹, 맥반석, 음이온 파우더, 황토, 전기석 중의 어느 하나가 분말 또는 과립 형태의 충진재(40)을 충진시킨다. 본 발명에 따라 충진된 옻, 숯, 세라믹, 맥반석, 음이온 파우더, 황토, 전기석은 음이온 등을 발생하여 새집증후군과 같은 환경호르몬의 발생을 최소화 할 수 있다.
그 다음 상기 충진재(40)의 충진이 완료된 유리섬유(30)가 적층된 점탄성 폴리머 쉬트(20)를 접착제가 도포된 상부 및 하부 판재(10) 중앙부에 적층하는 단계 및 상기 상부 및 하부 판재(10)의 중앙부에 적층된 점탄성 폴리머 쉬트를 열풍건조기에서 건조함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복합 방음 패널이 제조 된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며,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 : 판재 20 : 점탄성 폴리머 쉬트
30 : 격자형태의 유리섬유 31 : 충진 공간부
40 : 충진재

Claims (5)

  1. 복수 개의 판재를 적층하여 제조하는 복합 방음 패널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판재 중앙부에는 점탄성 폴리머 쉬트가 적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탄성 폴리머 쉬트를 이용한 복합 방음 패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점탄성 폴리머 쉬트와 이웃하는 층에는 다수 가닥으로 역어진 격자 형태의 유리 섬유가 적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탄성 폴리머 쉬트를 이용한 복합 방음 패널.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유리 섬유는 일정한 높이를 구비하여 점탄성 폴리머 쉬트와 판재 사이에 일정한 충진 공간부를 형성하되, 상기 충진 공간부에는 충진재로서 옻, 숯, 세라믹, 맥반석, 음이온 파우더, 황토, 전기석 중의 어느 하나가 분말 또는 과립 형태로 충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탄성 폴리머 쉬트를 이용한 복합 방음 패널.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판재는 목재 합판, 엠디에프(MDF), 칩보드, 밤라이트, 석고 보드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탄성 폴리머 쉬트를 이용한 복합 방음 패널.
  5. 복수 개의 판재를 적층하여 제조하는 복합 방음 패널에 있어서,
    점탄성 폴리머 쉬트를 가공하여 절단하는 단계;
    상기 점탄성 폴리머 쉬트 상단에 접착제를 분사하는 단계;
    상기 접착제가 분사된 점탄성 폴리머 쉬트 상단에 다수의 가닥으로 엮어진 격자 형태의 유리섬유를 적층하는 단계;
    상기 격자 형태의 유리 섬유가 적층된 점탄성 폴리머 쉬트를 할로겐 램프를 이용한 건조기에서 건조 및 경화시키는 단계;
    상기 건조된 격자 형태의 유리 섬유의 충진 공간부에 옻, 숯, 세라믹, 맥반석, 음이온 파우더, 황토, 전기석 중 어느 하나가 분말 또는 과립 형태의 충진재를충진하는 단계;
    상기 기능성 물질이 충진이 완료된 유리 섬유가 적층된 점탄성 폴리머 쉬트를 접착제가 도포된 상부 및 하부 판재 중앙부에 적층하는 단계; 및
    상기 상부 및 하부 판재의 중앙부에 적층된 점탄성 폴리머 쉬트를 열풍건조기에서 건조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탄성 폴리머 쉬트를 이용한 복합 방음 패널의 제조 방법
KR1020130027979A 2013-03-15 2013-03-15 점탄성 폴리머 쉬트를 이용한 복합 방음 패널 및 그 제조 방법 KR1020468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7979A KR102046887B1 (ko) 2013-03-15 2013-03-15 점탄성 폴리머 쉬트를 이용한 복합 방음 패널 및 그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7979A KR102046887B1 (ko) 2013-03-15 2013-03-15 점탄성 폴리머 쉬트를 이용한 복합 방음 패널 및 그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3068A true KR20140113068A (ko) 2014-09-24
KR102046887B1 KR102046887B1 (ko) 2019-11-20

Family

ID=517577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27979A KR102046887B1 (ko) 2013-03-15 2013-03-15 점탄성 폴리머 쉬트를 이용한 복합 방음 패널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688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67994A1 (en) * 2017-09-28 2019-04-04 Certainteed Gypsum, Inc. PLASTER PLATES AND METHODS OF MAKING SAME
US11124965B2 (en) 2017-09-26 2021-09-21 Certainteed Gypsum, Inc. Plaster boards having internal layers and methods for making them
US11214962B2 (en) 2017-09-30 2022-01-04 Certainteed Gypsum, Inc. Tapered plasterboards and methods for making them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0292A (ko) 1999-10-09 2000-01-15 한방인테크 주식회사 건축용 유공 유리섬유 폴리우레탄폼 흡음패널
KR20000012701U (ko) 1998-12-21 2000-07-15 이구택 흡음성능을 가지는 패널조립체
KR200403130Y1 (ko) 2005-08-03 2005-12-08 양용호 주택바닥의 충격음이 저감되는 충격흡음패널
JP2007505237A (ja) * 2003-09-08 2007-03-08 クワイエット・ソリューション・エルエルシー 音響防音材料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10004784U (ko) * 2009-11-06 2011-05-13 주식회사 세화스톤 고탄력성 및 고가요성을 갖는 대리석 접합식 타일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2701U (ko) 1998-12-21 2000-07-15 이구택 흡음성능을 가지는 패널조립체
KR20000000292A (ko) 1999-10-09 2000-01-15 한방인테크 주식회사 건축용 유공 유리섬유 폴리우레탄폼 흡음패널
JP2007505237A (ja) * 2003-09-08 2007-03-08 クワイエット・ソリューション・エルエルシー 音響防音材料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403130Y1 (ko) 2005-08-03 2005-12-08 양용호 주택바닥의 충격음이 저감되는 충격흡음패널
KR20110004784U (ko) * 2009-11-06 2011-05-13 주식회사 세화스톤 고탄력성 및 고가요성을 갖는 대리석 접합식 타일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124965B2 (en) 2017-09-26 2021-09-21 Certainteed Gypsum, Inc. Plaster boards having internal layers and methods for making them
US11655635B2 (en) 2017-09-26 2023-05-23 Certainteed Gypsum, Inc. Plaster boards having internal layers and methods for making them
WO2019067994A1 (en) * 2017-09-28 2019-04-04 Certainteed Gypsum, Inc. PLASTER PLATES AND METHODS OF MAKING SAME
US11203864B2 (en) 2017-09-28 2021-12-21 Certainteed Gypsum, Inc. Plaster boards and methods for making them
US11214962B2 (en) 2017-09-30 2022-01-04 Certainteed Gypsum, Inc. Tapered plasterboards and methods for making them
US11976465B2 (en) 2017-09-30 2024-05-07 Certainteed Gypsum, Inc. Tapered plasterboards and methods for making th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46887B1 (ko) 2019-1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570679B2 (en) Acoustical structur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it
ES2637484T3 (es) Procedimiento para la fabricación de una placa sándwich
KR100758336B1 (ko) 층간 소음 차단용 피브이씨 매트 및 그 제조방법
RU2529687C2 (ru) Композитный слоистый материал (варианты)
KR101979065B1 (ko) 실내 내장재용 보드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과 이 보드를 이용한 실내 내장재
KR100908972B1 (ko) 건축용 단열 내장재
KR20140113068A (ko) 점탄성 폴리머 쉬트를 이용한 복합 방음 패널 및 그 제조 방법
JP2004009726A (ja) 吸湿吸音サンドイッチパネルの製造方法
JP4176082B2 (ja) 電波吸収性能を有する木質系内装仕上げ材
KR20060111330A (ko) 유기 또는 무기수지가 처리된 부직포 방음판넬.
KR100475210B1 (ko) 방음성 바닥재
KR100977168B1 (ko) 층간 소음 방지용 탄성 바닥재
KR101840334B1 (ko) 층간소음 방지 특성이 우수한 저방사 단열바닥재 제조방법
WO2017195662A1 (ja) 天井材及び天井施工方法
KR101565152B1 (ko) 층간소음재 조성물, 층간소음재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건축물 층간의 소음 저감용 패널
KR101188462B1 (ko) 정사각형 멜라민 마루판
CN110653897A (zh) 一种环保型防虫胶合板
CN215435377U (zh) 一种具有耐磨功能的阻燃型建筑模板
CN213919926U (zh) 一种阻燃隔音环保胶合板
KR20060111313A (ko) 유기 또는 무기수지가 처리된 골판지 방음판넬
KR100603160B1 (ko) 단열 차음 바닥재
KR200426227Y1 (ko) 건물용 내장재
KR200339298Y1 (ko) 단열 차음 바닥재
JP2008014111A (ja) 建材
KR200324848Y1 (ko) 바닥충격 저감을 위한 차음시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