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6227Y1 - 건물용 내장재 - Google Patents

건물용 내장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6227Y1
KR200426227Y1 KR2020060017598U KR20060017598U KR200426227Y1 KR 200426227 Y1 KR200426227 Y1 KR 200426227Y1 KR 2020060017598 U KR2020060017598 U KR 2020060017598U KR 20060017598 U KR20060017598 U KR 20060017598U KR 200426227 Y1 KR200426227 Y1 KR 20042622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terior
core
layer
cover body
charcoal pow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1759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창훈
Original Assignee
한국호진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호진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호진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6001759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622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622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6227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0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 E04C2/26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04, E04C2/08, E04C2/10 or of material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with a material not specified in one of the grou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9/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a particular substance not covered by groups B32B11/00 - B32B29/00
    • B32B9/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a particular substance not covered by groups B32B11/00 - B32B29/00 comprising such particular substance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9/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a particular substance not covered by groups B32B11/00 - B32B29/00 comprising such particular substance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paper or cardboard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8/00Porous mortars, concrete, artificial stone or ceramic ware; Preparation thereof
    • C04B38/06Porous mortars, concrete, artificial stone or ceramic ware; Preparation thereof by burning-out added substances by burning natural expanding materials or by sublimating or melting out added substances
    • C04B38/063Preparing or treating the raw materials individually or as batches
    • C04B38/0635Compounding ingredients
    • C04B38/0645Burnable, meltable, sublimable materials
    • C04B38/068Carbonaceous materials, e.g. coal, carbon, graphite, hydrocarb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607/00Walls, pan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건물의 실내 내부에 사용되는 내장재에 관한 고안이다.
본 고안 내장재는 금속판체로 구성되는 커버체와 커버체에 구성되는 통기공과 심재수용부와 상기 심재수용부에 수용되는 하부한지시트와 심재층과 심재층 상부에 구성되는 숯분말층과 숯분말층 위에 깔리는 상부한지층으로 구성된다.

Description

건물용 내장재{The interior materials for building}
본 고안은 각종 건물의 실내 내장용(천정 장식판)으로 이용되는 내장재에 관한 고안이다.
본 고안 내장재는 방음, 흡음 기능과 내연 내화 기능 및 내구성이 우수하고 친환경물질로 제조됨으로서 인체에 무해하고 공해의 유발이 없는 내장재를 제공한다.
종래에도 여러가지 재질과 여러가지 구조의 내장재가 알려지고 있고 있으며 이들 내장재는 목재 합성수지제 또는 MDF 등 칩보드를 원재료로 하여 구성되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목재로 구성되는 내장재는 장식효과가 우수하고 친환경적 잇점이 있으나 원자재가 고가이며 인화성이 강하여 화재에 취약하며 온도나 습도에 따라서 원형이 변형되는 문제점이 있게 되고 목제칩을 이용한 보드제품은 중량이 무겁고 화재에 취약하며 합성수지제 제품은 저렴한 생산단가와 다양한 구조나 모양 표현이 가능하나 화재시 유독가스를 배출하고 폐기시 심각한 공해 문제를 야기시키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 종래 내장재의 문제점을 효과적으로 해결하기 위하여 내연, 내화성과 내구성이 우수하고 방음, 흡음 기능이 우수하며 자연에서 얻어지는 물질들을 혼합하여 내장재 심재를 구성시키므로서 친환경 물질로서 인체에 유익하며 폐기시에 재활용과 환경오염이 없는 내장재를 제공하는 것이 본 고안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이다.
소정두께의 금속판체로 구성되며 바닥면에 다수의 통기공(11)이 구비되고 내장재 심재수용부(12)를 구비한 커버체(10)를 구성하여 상기 커버체(10)의 내장재 심재수용부(12) 저면에 깔리는 하부한지시트(21)와 상기 하부한지시트(21) 위에 반죽상태의 심재조성물을 충진하여 구성되는 심재층(20)과 상기 심재층(20) 위에 소정두께로 적층되는 숯분말층(22)과 상기 숯분말층(22) 위에 깔리는 상부한지시트(23)로 본 고안 내장재가 구성된다.
본 고안에서 하부한지시트(21)와 상부한지시트(23)는 면이나 합성섬유로 구성되는 부직포로 대체할 수가 있으며, 하부힌지시트(21)는 커버체(10)내 저면과의 접착성을 높이기 위하여 접착제가 첨가된 황토물에 침지시켰다가 깔아준다.
상기 심재층을 구성하는 조성물은 해초류(다시마, 우뭇가사리 등), 아교, 자작나무수액, 물을 혼합 가열하여 얻어진 접착성 혼합물에 황토, 파쇄목칩을 혼합 교반한 반죽상태의 것을 커버체(10)의 내저면에 깔린 하부한지시트(21) 위에 부어서 평활하게 하여 내장재 심재층(20)을 구성한다.
상기 내장재 심재층(20) 위에 숯분말을 부어 소정두께의 숯분말층(22)을 구성한 다음 숯분말층(22) 위에 에칠알콜을 스프레이하여 숯분말층(22)에 점착성을 부여하고 숯분말층(22) 위에 상부한지시트(23)를 깐 다음 소정압력을 가해 평활면을 유지시킨 다음 소정온도에서 건조하여 본 고안 내장재를 구성한다.
참고적으로 본 고안 내장재의 구성공정을 설명하면,
커버체(10)의 심재수용부(12) 저면에는 접착제가 첨가된 황토물에 침지시킨 하부한지시트(21)를 깔고 그 위에 반죽상태의 내장재 심재조성물을 부어 일정한 두께의 심재층(20)이 되도록 고른다.
상기 심재조성물 중 접착물은 해초류, 아교, 자작나무수액, 물을 혼합한 것으로, 해초류 40%, 아교 10%, 자작나무수액 20%, 물 30%를 혼합하여 일정시간 동안 가열하면 해초류와 아교는 열에 의해 용해되며 자작나무수액과 물은 함께 반죽상태로 혼합된 접착물을 얻는다.
이렇게 혼합된 접착성 혼합물 30%와 황토분말 40% 파쇄목칩 30%를 혼합하여 심재조성물을 얻는다.
상기 심재조성물로 이루워진 소정두께의 심재층(20) 위에 숯분말을 부어 0.5~1.5mm 두께의 숯분말층(22)을 구성시킨 다음 숯분말층(22)에 에틸알콜을 스프레이 하여 숯분말층(22)이 적당히 젖도록 한 다음 숯분말층(22)에 상부한지시트(23)를 깔고 적당한 압력으로 눌러준 다음 건조실에 넣어 건조시킨다.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워진 본 고안의 작용 효과를 설명한다.
금속판체로 구성되는 커버체(10)의 바닥면에는 다수의 통기공(11)이 구성되고 심재수용부(12)가 구성되어 있어서, 통기공(11)에 의한 중량절감과 흡음효과가 우수하고 심재수용부(12)에는 심재가 충진되어 내장재의구성이 용이하며 금속제로 구성되는 커버체(10)는 내구성과 내연성, 내화성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커버체(10)의 바닥면에 천공된 다수의 통기공(11)은 커버체(10)의 중량을 감소하고 통기공(11)을 통한 흡음 및 방음효과가 우수하며 심재수용부(12)의 저면에는 하부한지시트(21)가 깔려 있어서 반죽상태의 심재조성물을 부어넣고 압력을 가하더라도 심재조성물이 통기공(11)으로 유입되지 않으며 하부한지시트(21)는 접착제가 첨가된 황토물에 침지시켰다가 심재수용부(12)의 내부 저면에 깔아줌으로써 건조됐을때 하부한지시트(21)가 금속제인 커버체(10)의 내부 저면과의 접착력이 높아진다.
또한 커버체(10)에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건조된 심재조성물로 구성된 심재층(20)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 효과를 가져온다.
심재조성물인 해초풀(다시마, 우뭇가사리 등)을 가열하여 용해시켰을 때 접착력이 우수하고 완전히 건조됐을 때는 채취할 때 중량 보다 수십배가 가벼웁고 미세한 기공이 형성됨으로 중량이 더욱 가벼우며 아교와 자작나무수액은 강력한 접착력으로 심재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며, 특히 자작나무수액에는 인체에 유익하고 오랫동안 자연향(수목향기)을 발산하는 피톤치드 성분이 함유되어 있어서 실내를 쾌적하게 한다.
황토는 이미 내장재 소재로 사용되고 있는 것으로 원적외선 발생으로 인체에 유익하며 파쇄목칩은 천연 섬유재로써 부피에 비하여 중량이 가벼운 효과가 있다.
숯분말층(22)에는 에틸알콜을 스프레이 함으로서 숯분말을 응집시키고 숯성분에 방취, 방습 기능과 방부 기능이 우수하고 인체에 유익하며 에틸알콜은 곰팡이 번식방지와 항균효과가 우수하다.
숯분말층(22) 위에는 상부한지시트(23)가 깔려 있어서 숯분말층(22)을 보호하는 기능이 우수하다.
본 고안 내장재는 친환경재질로 구성됨으로서 공해가 없이 인체에 유익한 내장재의 기능을 갖게 되며, 폐기하더라도 금속제인 커버체는 재활용이 가능하고 기타 재질들은 쉽게 부식되어 공해유발의 문제점이 없는 친환경 내장재이다.
도1은 본 고안 내장재의 커버체 사시도.
도2는 본 고안 커버체 내부 저면에 한지시트가 깔린 상태의 사시도.
도3은 본 고안 커버체 내부 저면에 깔린 한지시트 위에 반죽상태의 내장심재를 채우는 상태의 사시도.
도4는 본 고안 커버체에 채워진 반죽상태의 내장재 심재 위에 숯분말을 채우는 상태의 사시도.
도5는 숯분말층 위에 에칠알콜을 스프레이 하는 상태의 사시도
도6은 에칠알콜이 스프레이 된 숯분말층 위에 한지시트가 깔린 상태의 사시도.
도7은 완성된 본 고안 내장재의 단면도.
도8은 본 고안 내장재의 부분확대 단면도.
도9는 완성된 본 고안 내장부재의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커버체 11: 통기공
12: 심재수용부 20: 심재
21: 하부한지층 22: 숯분말층
23: 상부한지층

Claims (3)

  1. 심재수용부(12)를 구비한 커버체(10)와 상기 심재수용부(12)의 내부 저면에 깔리는 하부한지시트(21)와 상기 하부한지시트(21) 위에 적층되는 심재층(20)과 상기 심재층(20) 위에 적층되는 숯분말층(22)과 상기 숯분말층(22) 위에 적층되는 상부한지시트(23)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용 내장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체(10)의 심재수용부(12) 바닥면에는 다수의 통기공(11)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용 내장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숯분말층(22)의 두께는 0.5~1.5mm가 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용 내장재.
KR2020060017598U 2006-06-29 2006-06-29 건물용 내장재 KR20042622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7598U KR200426227Y1 (ko) 2006-06-29 2006-06-29 건물용 내장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7598U KR200426227Y1 (ko) 2006-06-29 2006-06-29 건물용 내장재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59145 Division 2006-06-2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6227Y1 true KR200426227Y1 (ko) 2006-09-12

Family

ID=417748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17598U KR200426227Y1 (ko) 2006-06-29 2006-06-29 건물용 내장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622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10709A (ko) * 2016-07-22 2018-01-31 신명순 결로 방지용 패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10709A (ko) * 2016-07-22 2018-01-31 신명순 결로 방지용 패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810737C (en) Method for forming a fire resistant cellulose product, and associated apparatus
KR102222964B1 (ko) 준불연 건축내장재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한 준불연 건축내장재
JP2009090669A (ja) 木質繊維断熱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160658B1 (ko) 불연성 보드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불연성 보드
KR200426227Y1 (ko) 건물용 내장재
KR20100128754A (ko) 한지의 질감이 표출되는 건축내장 마감재 및 이의 제조방법
KR200426223Y1 (ko) 건물용 실내 내장재
JP5170512B2 (ja) 生分解性断熱材とその成型体およびそれらの製造方法並びにそれらの製造方法を用いた植物育成材と肥料材
KR101654604B1 (ko) 섬유 판재 및 이의 제조 방법
CN101254603A (zh) 轻质纤维保温消音装饰板及制备工艺
CN201074383Y (zh) 活性炭环保中高密度纤维板
CN201377155Y (zh) 一种防蛀、防火的玻纤面石膏板
KR20140113068A (ko) 점탄성 폴리머 쉬트를 이용한 복합 방음 패널 및 그 제조 방법
JPH08244009A (ja) カーボンボード及びその製造方法
JPH0858027A (ja) 不燃化粧建材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511318B1 (ko) 기능성 물질이 충진된 친환경 보드
KR100300092B1 (ko) 건축용 내장판재 및 그 제조방법
CN201195329Y (zh) 轻质纤维保温消音装饰板
RU87725U1 (ru) Строительная панель
JP2012101375A (ja) 板状構造体
JP2003170523A (ja) 難燃性もみ殻複合ボードおよび製造法
KR100817436B1 (ko) 방음보드 원지의 제조방법
KR101678019B1 (ko) 친환경 왕겨숯건축보드 제조방법
KR200424985Y1 (ko) 건축용 내장부재
KR20230142076A (ko) 준불연 흡음 패널 및 이의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Extingu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