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71615B1 - 건축내장 마감용 타일 - Google Patents

건축내장 마감용 타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71615B1
KR100971615B1 KR1020100013076A KR20100013076A KR100971615B1 KR 100971615 B1 KR100971615 B1 KR 100971615B1 KR 1020100013076 A KR1020100013076 A KR 1020100013076A KR 20100013076 A KR20100013076 A KR 20100013076A KR 100971615 B1 KR100971615 B1 KR 1009716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le
joint member
finishing
plate
upper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130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찬대
Original Assignee
김찬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찬대 filed Critical 김찬대
Priority to KR10201000130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7161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16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16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14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ceramics concrete; of glass or with an outer layer of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or glas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89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joints between neighbouring elements, e.g. with joint fillings or with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 E04F13/0894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joints between neighbouring elements, e.g. with joint fillings or with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with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내장 마감용 타일, 특히 실내 바닥면의 마감재로써 자연석의 무늬가 구현된 자연석 또는 인공석재를 사용하되, 제조원가가 절감됨은 물론 재질의 강도가 기존에 비해 현저히 강화된 제품으로 시공 후 벽면이나 천장면 또는 바닥면의 외관에 대한 심미감을 유발시키며, 무엇보다도 기존에 비해 시공이 매우 간소화된 것인 바, 본 발명은 실내의 벽면이나 천장면 또는 바닥면(G)을 마감하기 위한 타일에 있어서, 자연석 또는 인공석재를 판상으로 가공한 장방형의 타일부(100)와; 타일부(100)와 동일한 장방형의 판상으로 가공되어 타일부(100)의 하면에 일면이 부착되고 타면은 벽면이나 천장면 또는 바닥면(G)에 고정되되, 타일부(100)와 타일부(100)의 측부를 상호 밀착 고정시키는 이음부재(20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이음부재(200)의 측벽에는 복수 개의 클램퍼(210, 220)가 이음부재(200)와 일체로 돌출형성되며, 하나의 이음부재(200)에 형성된 클램퍼(210)는 인접하는 이음부재(200)의 클램퍼(220)와 탈착이 가능하게 맞물려 체결되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건축내장 마감용 타일 {TILE FOR ARCHITECTURE INTERNAL FINISHING}
본 발명은 건축내장 마감용 타일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실내 벽면이나 천장면 또는 바닥면의 마감재로써 자연석의 무늬가 구현된 자연석 또는 인공석재를 사용하되, 제조원가가 절감됨은 물론 재질의 강도가 기존에 비해 현저히 강화된 제품으로 시공 후 바닥면의 외관에 대한 심미감을 유발시키며, 무엇보다도 기존에 비해 시공이 매우 간소화시킬 수 있는 건축내장 마감용 타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의 벽체, 바닥 등 구조체의 외부로 노출되는 면에는 그 외관을 미려하게 장식할 수 있도록 마감공사를 실시하고 있다. 이와 같은 마감공사에 사용되는 마감 자재로는 종래부터 다양한 종류의 것들이 알려져 있다. 특히, 화강석 대리석 등과 같은 건축용 석재의 경우 자연미와 더불어 고급스러운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으므로 최근 들어 건축용 내. 외장 마감재료로서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상기와 같이 석재를 사용한 마감재의 경우, 통상 석산(石山)에서 부정형(不定形)의 원석을 채취하여 비교적 얇은 판상으로 절단한 후, 연마 등의 표면 가공을 거쳐 일정 면적을 가지는 패널 형태로 제작되고 있으며, 이의 시공에 있어서는 벽체에 철제 파이프를 이용하여 프레임을 일렬 또는 격자형으로 설치한 다음, 여기에 석재 패널을 상하 연속적으로 취부함으로써 건물내 벽과 바닥 등을 마감하게 된다. 이와 같이 석재 패널을 사용하여 벽면 등을 마감하게 되면 자연석 소재를 활용한 것이므로 석재가 갖는 고유의 질감을 그대로 살릴 수 있어 비교적 자연스러운 외관미를 줄 수 있음은 물론, 마모나 풍화에 대한 내구성도 우수한 바, 이는 비교적 고가의 자재임에도 불구하고 건축용 마감재로서 선호되는 재료 중의 하나라고 할 수 있다.
한편, 주택이나 오피스텔, 빌딩 등과 같은 건축물의 내부 벽면 등은 시멘트 블록이나 벽돌을 쌓은 후 시멘트 몰타르로 마감한 상태에서 그 위에 필요에 따라 페인트, 벽지, 타일, 목재, 석재 등을 일일이 작업자의 수작업으로 시공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마감재를 자연석을 가공한 석재를 이용하는 경우, 대리석과 화강석 등 자연석의 경우 10mm ~ 50mm의 두께로 가공된 제품을 건물의 마감재로 사용하고 있는 바, 판상으로 가공된 자연석 자체는 충격이 가해지면 금이 가거나 부서져 파편이 떨어진다는 단점이 있고, 자연석 자체의 중량으로 인해 고층빌딩에서는 작업하기가 부적합하여 중량이 비교적 덜 나가는 인조 복합 패널과 인조 복합 타일로 마감해야만 하는 단점도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서는 일정한 두께 이상으로 가공된 석재를 이용하여 건물 내벽을 마감하는 시공을 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 경우에는 가공된 석재의 중량이 무거워 작업효율이 떨어짐은 물론 일정한 두께 이상으로 가공된 석재의 원재료 가격의 상승이라는 부차적인 부담이 가중되는 문제점도 야기된다.
다른 한편으로는 최근에 실내의 벽면이나 천장면 또는 바닥면을 마감하기 위해 타일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벽면이나 천장면 또는 바닥면에 타일을 시공하는 경우 타일과 타일 이음부의 틈새가 일정간격 이격되고, 이격된 틈새를 메우기 위해 메지를 채워 넣어 마감하게 된다. 이 경우 시공되는 메지는 분말을 용매에 개어 타일과 타일 사이의 틈새에 바르게 되는데, 시공후 일정시간이 지남에 따라 갈라지거나 깨져 미관을 지저분하게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 메지용 틀을 사출성형하여 타일 시공시 메지용 틀을 덧대는 방식으로 시공작업을 함으로써 상기의 문제점을 일면 해소하였지만, 메지용 틀을 타일과 타일 사이에 덧대는 경우 시공 후 미감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고, 무엇보다도 시공을 위한 작업이 번거롭고 건축내장 마가용 타일의 제조단가가 상승한다는 부차적인 문제점도 있으며, 화학적인 변화에 반영구적인 타일의 내구성에 비해 합성수지재 재질의 메지용 틀은 그 수명이 짧기 때문에 벽과 바닥면 등에 시공하는 타일에 적합성이 떨어지는 단점도 있다.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실내 벽면이나 천장면 또는 바닥면의 마감재로써 자연석의 무늬가 구현된 자연석 또는 인공석재를 사용하되, 제조원가가 절감되고 재질의 강도가 기존에 비해 강화됨은 물론 기존의 타일 시공후에도 타일과 타일의 틈새를 메우기 위한 메지를 배제함으로써 벽면이나 천장면 또는 바닥면에 타일을 시공한 후, 타일과 타일의 이음부가 틈새 없이 밀착되어 시공 후 벽과 바닥면 등의 외관에 대한 심미감을 유발시키며, 무엇보다도 기존에 비해 시공이 매우 간소화된 건축내장 마감용 타일의 구현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실내 벽면이나 천장면 또는 바닥면의 마감재로써 자연석의 무늬가 구현된 자연석 또는 인공석재를 사용하되, 제조원가가 절감되고 재질의 강도가 기존에 비해 강화된 건축내장 마감용 타일을 제공함에 있으며,
또 다른 목적은 기존의 타일 시공후 타일과 타일의 틈새를 메우기 위한 메지를 배제함으로써 바닥면에 타일을 시공한 후, 타일과 타일의 이음부가 틈새 없이 밀착되어 시공 후 바닥면의 외관에 대한 심미감을 유발시키며, 무엇보다도 기존에 비해 시공이 매우 간소화된 건축내장 마감용 타일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건축내장 마감용 타일은 실내의 벽면이나 천장면 또는 바닥면을 마감하기 위한 타일에 있어서, 자연석 또는 인공석재를 판상으로 가공한 장방형의 타일부와; 타일부와 동일한 장방형의 판상으로 가공되어 타일부의 하면에 일면이 부착되고 타면은 바닥면에 고정되되, 타일부와 타일부의 측부를 상호 밀착고정시키는 이음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이음부재의 측벽에는 복수 개의 클램퍼가 이음부재와 일체로 돌출형성되며, 하나의 이음부재에 형성된 클램퍼는 인접하는 이음부재의 클램퍼와 탈착이 가능하게 맞물려 체결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이음부재의 사방 측벽에 형성된 복수 개의 클램퍼는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거리 이격되어 형성되고, 각각의 클램퍼는 이음부재 측벽의 상, 하부에 교번되면서 측벽의 길이방향을 따라 지그재그 형태로 배치되며, 하나의 이음부재 측벽의 상부에 위치한 클램퍼는 인접하는 이음부재 측벽의 하부에 위치한 클램퍼와 탈착이 가능하며 탄성적으로 맞물려 체결되도록 이음부재 측벽의 상부에 위치한 클램퍼의 선단부에는 하방으로 돌출된 엠보싱부가 형성되고, 이음부재 측벽의 하부에 위치한 클램퍼의 선단부에는 상방으로 돌출된 엠보싱부가 형성된다.
삭제
삭제
삭제
타일부는, 자연석 또는 인공석재를 판상으로 가공한 하판과, 하판의 상면에 적층되는 상판과, 하판과 상판 사이에 삽입되어 하판과 상판을 일체로 체결하는 접합층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하판과 상판 사이에 구비되는 접합층에는 견사(silk thread)재질의 직조된 망사체가 삽입되되, 이 망사체는 실(yarn)형태의 단일섬유가 상호 교차되어 장방형으로 된 복수의 통공이 형성되며, 이 통공의 내경은 1mm이상으로 형성된다.
하판과 상판은 각각 그 두께가 1mm이상으로 형성되되 상판과 하판은 같은 석종의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판은 자연석의 무늬가 구현되며, 상판의 외향면은 이 외향면에 투영된 외부물체의 움직임에 대한 시각적 인지가 가능하도록 연마된다.
본 발명에 따른 건축내장 마감용 타일은,
첫째, 타일부의 하면에 이음부재를 일체로 부착하되 이음부재의 측벽에 인접하는 이음부재를 연결하기 위한 복수 개의 클램퍼를 형성시킴으로써 타일과 타일의 이음부가 틈새 없이 밀착되어 바닥면에 타일을 시공한 후 외관에 대한 심미감을 유발시키는 효과가 있다.
둘째, 타일과 타일 사이의 틈새에 기존처럼 메지를 채워 넣는 것을 배제함으로써 시공이 매우 간소화되어 노동생산성이 현저히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셋째, 화학적인 변화에 내구성이 떨어지는 기존의 메지를 배제함으로써 화학적인 변화에 반영구적인 타일로만 바닥면의 외관을 마감함으로써 시공된 실내의 벽면이나 천장면 또는 바닥면에 대한 내구성을 기존보다 현저하게 향상시키는 효과도 있다.
넷째, 타일부의 재료인 자연석 또는 인공석재에 자연석의 무늬를 구현하여 건물내 벽, 천장 및 바닥면을 마감함으로써 자연미를 충분히 살릴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다섯째, 자연석 또는 인공석재를 기존보다 비교적 얇게 판상으로 가공하여 원자재의 단가를 낮출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여섯째, 타일부의 재료인 자연석 또는 인공석재를 판상으로 기본보다 비교적 얇게 한 쌍의 내판과 외판으로 가공함으로써 본 발명인 타일의 중량이 가벼워지고 이로 인해 시공을 위한 노동생산성이 향상되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
일곱째, 타일부의 재료인 자연석 또는 인공석재를 판상으로 비교적 얇게 한쌍의 내판과 외판으로 가공한 후, 가공된 한 쌍의 내판과 외판 사이에 접합층의 구비 및 내판과 외판의 결속력을 강화하기 위한 망사체의 구비로 인해 본 발명인 타일의 내구성이 현저히 향상되는 효과도 있다.
여덟째, 견사의 재질을 이용하여 장방형으로 직조된 망사체의 구비로 인해 본 발명인 타일을 건물내 벽면이나 천장면 또는 바닥면에 부착하는 작업 중에 파쇄되거나 또는 건물내 벽면이나 천장면 또는 바닥면을 해체하는 경우 타일을 고의적으로 파쇄하는 경우에 있어서, 타일이 파쇄되는 동안 돌발적으로 파편이 튀면서 작업자에게 부상을 입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으며, 파쇄된 타일의 잔해를 수거하는 작업도 매우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부차적인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내장 마감용 타일을 도시한 분리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내장 마감용 타일을 도시한 결합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내장 마감용 타일을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이음부재를 도시한 사시도 및 요부확대도,
도 5는 본 발명의 이음부재를 도시한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이음부재를 도시한 측면도 및 요부확대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내장 마감용 타일이 시공되는 과정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내장 마감용 타일이 시공되는 경우 각각의 이음부재가 결합되기 직전의 상태를 나타내기 위하여 타일이 배제된 상태의 시공상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내장 마감용 타일이 시공되는 경우 각각의 이음부재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기 위하여 타일이 배제된 상태의 시공상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내장 마감용 타일이 시공되는 과정에서 결합되기 직전의 상태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내장 마감용 타일이 시공되는 과정에서 결합된 후의 상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한정하지 않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내장 마감용 타일을 도시한 분리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내장 마감용 타일을 도시한 결합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내장 마감용 타일을 도시한 단면도로서, 본 발명에 따른 건축내장 마감용 타일은 실내의 벽면이나 천장면 또는 바닥면(G)을 마감하기 위한 타일에 있어서, 자연석 또는 인공석재를 판상으로 가공한 장방형의 타일부(100)와; 타일부(100)와 동일한 장방형의 판상으로 가공되어 타일부(100)의 하면에 일면이 부착되고 타면은 벽면이나 천장면 또는 바닥면(G)에 고정되되, 타일부(100)와 타일부(100)의 측부를 상호 밀착 고정시키는 이음부재(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타일부(100)와 이음부재(200) 사이에는 타일부(100)와 이음부재(200)를 일체로 부착시키기 위한 접착제로 이루어진 접합층(130)이 구비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이음부재를 도시한 사시도 및 요부확대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이음부재를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이음부재를 도시한 측면도 및 요부확대도로서, 이음부재(200)의 측벽에는 복수 개의 클램퍼(210, 220)가 이음부재(200)와 일체로 돌출형성되며, 하나의 이음부재(200)에 형성된 클램퍼(210)는 인접하는 이음부재(200)의 클램퍼(220)와 탈착이 가능하게 맞물려 체결되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이음부재(200)의 측벽에 형성된 클램퍼(210, 220)는 이음부재(200)의 가로방향 측벽 또는 세로방향 측벽에 선택적으로 배치되어 하나의 이음부재(200)선단부 모서리와 인접하는 이음부재(200)후단부 모서리가 맞닿은 상태에서 각각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슬라이드 되면서 결합될 수도 있다.
도 4 및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이음부재(200)의 사방 측벽에 형성된 복수 개의 클램퍼(210, 220)는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거리 이격되어 형성되고, 각각의 클램퍼(210, 220)는 이음부재(200) 측벽의 상, 하부에 교번되면서 측벽의 길이방향을 따라 지그재그 형태로 배치되며, 하나의 이음부재(200) 측벽의 상부에 위치한 클램퍼(210)는 인접하는 이음부재(200) 측벽의 하부에 위치한 클램퍼(220)와 탈착이 가능하게 탄성적으로 맞물려 체결되도록 이음부재(200) 측벽의 상부에 위치한 클램퍼(210)의 선단부에는 하방으로 돌출된 엠보싱부(211)가 형성되고, 이음부재(200) 측벽의 하부에 위치한 클램퍼(220)의 선단부에는 상방으로 돌출된 엠보싱부(221)가 형성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내장 마감용 타일이 시공되는 과정도로서, (a)상태는 벽, 천장 및 바닥면(G)에서 인접하는 건축내장 마감용 타일(1)이 상호 결합되기 직전의 상태를 나타내며, (b)상태는 건축내장 마감용 타일(1)이 상호 밀착되는 과정에서 하나의 이음부재(200) 측벽 하부에 형성된 클램퍼(220)와 이웃하는 이음부재(200)의 클램퍼(210)에 형성된 각각의 엠보싱부(221, 211)가 탄성적으로 맞물리는 상태를 나타낸다. 이 경우 하나의 이음부재(200) 측벽 하부에 형성된 클램퍼(220)는 하방을 향해 탄성적으로 휘고, 이웃하는 이음부재(200)의 클램퍼(210)는 상방을 향해 탄성적으로 휘면서 돌출형성된 각각의 엠보싱부(221, 211)가 상호 교차되면서 체결된다.
(c)상태는 하나의 이음부재(200) 측벽 하부에 형성된 클램퍼(220)는 다시 상방을 향해 원위치로 복원되고, 이웃하는 이음부재(200)의 클램퍼(210)는 다시 하방을 향해 탄성적으로 복원되면서 돌출형성된 각각의 엠보싱부(221, 211)가 상호 맞물려 고정된다(도 11 참조). 도 7의 (c)상태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바람직하게는 장방형으로 형성된 타일부(100)의 넓이보다 동일한 장방형으로 형성된 이음부재(200)의 넓이는 상대적으로 좁게 형성하여 인접하는 이음부재(200)가 상호 클램퍼(210, 220)에 의해 탄성적으로 맞물려 결합되는 경우 각각의 타일부(100) 측벽은 틈새 없이 견고하게 밀착되는 구조를 이룬다.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이음부재(200)의 일측벽에 형성된 클램퍼(210, 220)와 대향하는 타 측벽의 클램퍼(210, 220)는 동일한 위치에 형성되되, 이음부재(200)의 가로방향에 형성된 클램퍼(210, 220)가 짝수개인 경우에는 세로방향에 형성된 클램퍼(210, 220)는 홀수개이고, 이음부재(200)의 가로방향에 형성된 클램퍼(210, 220)가 홀수개인 경우에는 세로방향에 형성된 클램퍼(210, 220)는 짝수개로 형성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내장 마감용 타일이 시공되는 경우 각각의 이음부재가 결합되기 직전의 상태를 나타내기 위하여 타일이 배제된 상태의 시공상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내장 마감용 타일이 시공되는 경우 각각의 이음부재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기 위하여 타일이 배제된 상태의 시공상태도로서, 이음부재(200)의 일측벽에 형성된 클램퍼(210, 220)와 대향하는 타측벽의 클램퍼(210, 220)는 동일한 위치에 형성된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내장 마감용 타일이 시공되는 과정에서 결합되기 직전의 상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내장 마감용 타일이 시공되는 과정에서 결합된 후의 상태도로서, 건축내장 마감용 타일(1)을 시공하는 경우 특별한 부착수단이 배제된 상태에서 용이하게 시공작업을 할 수 있으며, 시공시 타일(1)의 이음부에 기존과 같이 채워 넣는 메지 등을 배제함으로써 시공을 위한 타일(1)의 제조단가가 저렴하게 되고, 작업에 투여되는 노동생산성이 현저하게 감소하게 된다.
또한, 타일부(100)의 하면에 이음부재(200)를 일체로 부착하되 이음부재(200)의 측벽에는 인접하는 이음부재(200)를 연결하기 위해 복수 개의 클램퍼(210, 220)를 형성시킴으로써 타일(1)과 타일(1)의 이음부가 틈새 없이 밀착되어 벽면이나 천장면 또는 바닥면(G)에 타일을 시공한 후 외관에 대한 심미감을 유발시킬 수 있으며, 화학적인 변화에 내구성이 떨어지는 기존의 메지를 배제하고 화학적인 변화에 반영구적인 타일(1)로만 외관을 마감함으로써 시공된 벽, 천장 및 바닥면에 대한 내구성이 기존보다 현저하게 향상된다.
도 1 내지 도 3 에서 보는 바와 같이, 타일부(100)는, 자연석 또는 인공석재를 판상으로 가공한 하판(110)의 상면에 적층되는 상판(120)과, 하판(110)과 상판(120) 사이에 삽입되어 하판(110)과 상판(120)을 일체로 체결하는 접합층(1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하판(110)과 상판(120)은 각각 자연석 또는 인공석재를 판상으로 비교적 얇게 가공한 후, 하판(110)의 일면에 접착제를 도포한 후 도포된 접착제에 밀착되도록 상판(120)을 포개어 접합한다.
도 1 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합판(110)과 상판(120) 사이에 구비되는 접합층(130)에는 견사(silk thread)재질의 직조된 망사체(140)가 삽입되되, 이 망사체(140)는 실(yarn)형태의 단일섬유가 상호 교차되어 장방형으로 된 복수의 통공이 형성되며, 이 통공의 내경은 1mm이상으로 형성된다. 이는 망사체(140)가 접합층(130)의 사이에 끼워져 접합층(130)의 접착제가 굳는 경우에 이 접합층(130)자체의 인장력을 강화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며, 동시에 접합층(130)의 인장력이 강화됨에 따라 이 접합층(130)에 맞닿는 각 하판(110) 및 상판(120)과의 결합력을 강화시키게 된다.
견사(silk thread)는 용융한 생사를 섬유모양으로 한 친환경소재의 천연섬유로서, 강도가 높고, 탄성과 유연성이 높아 내화학성으로 화학적인 변화에 부식하지 않으며, 계절에 따른 습도의 변화에도 불구하고 흡습성이 적으며, 인장강도에 강하다. 이러한 견사의 재질을 이용하여 장방형으로 직조된 망사체(140)를 구비함으로써, 하판(110)과 상판(120)이 적층접합된 타일부(100)는 시공된 후 외부의 물리적인 조건이나 기후변화 등 화학적인 조건이 변화에도 불구하고 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특히 인장강도가 강하여 미세하게 휘는 경우데도 접합층(130)내에 삽입된 견사 재질의 망사체(140)가 휨에 대한 지지역할을 하여 타일부(100) 전체의 휨에 대한 내구성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망사체(140)의 통공을 관통하는 접합층(130)의 접착제는 통공을 관통하여 하판(110)의 일면과 외판(120)의 일면을 연결한 상태에서 굳어져 고정된다. 이 경우 망사체(140)의 구성요소인 단일섬유의 인장력을 고려하면 바람직하게 통공의 내경을 1mm이상으로 형성시키는 경우 하판(110)과 상판(120)이 적층접합된 타일부(100)가 휨에 대한 가장 강한 인장강도를 나타낸다.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하판(110)과 상판(120)은 각각 그 두께가 1mm이상으로 형성되되 상판(120)은 상기 하판(110)보다 더 강한 강도의 재질로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 하판(110)의 두께와 상판(120)의 두께는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이처럼 하판(110)과 상판(120)이 접합된 전체의 두께를 기존에 비해 비교적 얇게 가공함으로써 타일부(100)의 중량이 기존에 비해 현저히 낮아져 특히 고층건물의 내벽이나 바닥등을 마감하는 경우 작업자가 수작업을 통해 시공하는 경우에도 시공작업의 능률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하판(110)과 상판(120) 사이에 구비된 접합층(130)은 하판(110)과 상판(120)의 결합을 위한 가압으로 대략 2mm이하의 두께를 갖게 되며, 이로 인해 접합층(130) 사이에 끼워진 망사체(140)의 단일섬유도 단면이 일정부분 눌려 가압되는 형태를 유지하게 되어 타일부(100)의 전체 두께는 기존에 비해 현저히 얇게 형성된다.
망사체(140)가 접합층(130)의 사이에 끼워져 접합층(130)의 접착제가 굳는 경우 이 접합층(130) 자체의 인장력을 강화시키는 동시에 이 접합층(130)에 맞닿는 각 하판(110) 및 상판(120)과의 결합력을 강화시키게 된다. 또한 타일부(100)를 벽과 바닥면(G)등에 부착시키거나 벽과 바닥면(G)등으로부터 해체하는 과정에서 타일부(100)가 파쇄되는 경우 그 파편이 사방으로 튕기는 것을 방지하여 작업자의 안전을 도모하며, 타일부(100)의 해체된 잔해를 수거하는 작업도 보다 간편하게 할 수 있게 된다.
도 1 및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하판(110)과 상판(120)은 각각 자연석의 무늬가 구현되며, 상판(120)의 외향면은 이 외향면에 투영된 외부물체의 움직임에 대한 시각적 인지가 가능하도록 연마된다. 하판(110) 및 상판(120)은 인공석재 또는 자연석을 판상으로 가공하게 되는데, 하판(110) 또는 상판(120)을 자연석으로 가공하는 경우에는 가공하기 전에도 본래 원석의 내부에도 마블링(marbling)형태의 특유한 무늬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원석을 판상으로 가공하는 경우 자연스럽게 하판(110) 및 상판(120)의 표면에도 특유한 각각의 무늬가 구현되어 자연미를 나타내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실내 벽면이나 천장면 또는 바닥면의 마감재로써 자연석의 무늬가 구현된 자연석 또는 인공석재를 사용하되, 제조원가가 절감됨은 물론 재질의 강도가 기존에 비해 현저하게 강화되고, 기존의 타일 시공후 타일과 타일의 틈새를 메우기 위한 메지를 배제함으로써 벽면이나 천장면 또는 바닥면에 타일을 시공한 후, 타일과 타일의 이음부가 틈새없이 밀착되어 시공 후 벽면이나 천장면 또는 바닥면의 외관에 대한 심미감을 유발시키며, 무엇보다도 기존에 비해 시공이 매우 간소화된다는 장점이 있다.
1. 건축내장 마감용 타일 100. 타일부
110. 하판 120. 상판
130. 접합층 140. 망사체
200. 이음부재 210, 220. 클램퍼
211, 221. 엠보싱부 H. 통공
G. 벽면, 천장면, 바닥면 W. 벽체

Claims (8)

  1. 실내의 벽면이나 천장면 또는 바닥면(G)을 마감하기 위한 타일에 있어서,
    자연석 또는 인공석재를 판상으로 가공한 장방형의 타일부(100)와;
    상기 타일부(100)와 동일한 장방형의 판상으로 가공되어 상기 타일부(100)의 하면에 일면이 부착되고 타면은 벽면이나 천장면 또는 바닥면(G)에 고정되되, 상기 타일부(100)와 타일부(100)의 측부를 상호 밀착고정시키는 이음부재(200);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이음부재(200)의 측벽에는 복수 개의 클램퍼(210, 220)가 이음부재(200)와 일체로 돌출형성되며, 상기 하나의 이음부재(200)에 형성된 클램퍼(210)는 인접하는 이음부재(200)의 클램퍼(220)와 탈착이 가능하게 맞물려 체결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이음부재(200)의 사방 측벽에 형성된 복수 개의 클램퍼(210, 220)는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거리 이격되어 형성되고, 각각의 클램퍼(210, 220)는 상기 이음부재(200) 측벽의 상, 하부에 교번되면서 측벽의 길이방향을 따라 지그재그 형태로 배치되며, 상기 하나의 이음부재(200) 측벽의 상부에 위치한 클램퍼(210)는 인접하는 이음부재(200) 측벽의 하부에 위치한 클램퍼(220)와 탈착이 가능하게 탄성적으로 맞물려 체결되도록 상기 이음부재(200) 측벽의 상부에 위치한 클램퍼(210)의 선단부에는 하방으로 돌출된 엠보싱부(211)가 형성되고, 상기 이음부재(200) 측벽의 하부에 위치한 클램퍼(220)의 선단부에는 상방으로 돌출된 엠보싱부(221)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내장 마감용 타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타일부(100)는,
    자연석 또는 인공석재를 판상으로 가공한 하판(110)과, 상기 하판(110)의 상면에 적층되는 상판(120)과, 상기 하판(110)과 상판(120) 사이에 삽입되어 상기 하판(110)과 상판(120)을 일체로 체결하는 접합층(13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내장 마감용 타일.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하판(110)과 상판(120)사이에 구비되는 접합층(130)에는 견사(silk thread) 재질의 직조된 망사체(140)가 삽입되되, 이 망사체(140)는 실(yarn)형태의 단일섬유가 상호 교차되어 장방형으로 된 복수의 통공이 형성되며, 이 통공의 내경은 1mm이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내장 마감용 타일.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하판(110)과 상판(120)은 각각 그 두께가 1mm이상으로 형성되되 상기 상판(120)은 상기 하판(110)보다 더 강한 강도의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내장 마감용 타일.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하판(110)과 상판(120)은 각각 자연석의 무늬가 구현되며, 상기 상판(120)의 외향면은 이 외향면에 투영된 외부물체의 움직임에 대한 시각적 인지가 가능하도록 연마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내장 마감용 타일.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100013076A 2010-02-11 2010-02-11 건축내장 마감용 타일 KR1009716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3076A KR100971615B1 (ko) 2010-02-11 2010-02-11 건축내장 마감용 타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3076A KR100971615B1 (ko) 2010-02-11 2010-02-11 건축내장 마감용 타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71615B1 true KR100971615B1 (ko) 2010-07-20

Family

ID=426458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13076A KR100971615B1 (ko) 2010-02-11 2010-02-11 건축내장 마감용 타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7161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9327A (ko) * 1994-08-31 1996-03-22 석진철 Ac서보모터의 회전자코아 구조 및 그 적층방법
KR20010014278A (ko) * 1998-04-30 2001-02-26 요트.게.아. 롤페즈 코드 분할 다중 접속 송신기와 수신기
KR100463025B1 (ko) * 2002-07-10 2004-12-30 정영주 건축 구조물 내, 외장용 석재의 보강판
KR100698017B1 (ko) * 2006-06-14 2007-03-23 최용호 대리석을 이용한 마감패널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9327A (ko) * 1994-08-31 1996-03-22 석진철 Ac서보모터의 회전자코아 구조 및 그 적층방법
KR20010014278A (ko) * 1998-04-30 2001-02-26 요트.게.아. 롤페즈 코드 분할 다중 접속 송신기와 수신기
KR100463025B1 (ko) * 2002-07-10 2004-12-30 정영주 건축 구조물 내, 외장용 석재의 보강판
KR100698017B1 (ko) * 2006-06-14 2007-03-23 최용호 대리석을 이용한 마감패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064350A (ko) 석재 접합식 타일
US20110173909A1 (en) Modular stone panel
EP3625408B1 (en) A floor element for forming a floor covering and a floor covering
KR100996878B1 (ko) 조립식 타일 결합체
JP2006283541A (ja) 貼着仕上げ材の下地部材本体と、その貼着仕上げ材の下地部材本体を使用した仕上げ工法。
ITRE20070066A1 (it) Supporti amovibili per pavimentazioni da esterni e/o interni
KR100971615B1 (ko) 건축내장 마감용 타일
KR20110004784U (ko) 고탄력성 및 고가요성을 갖는 대리석 접합식 타일
KR100690074B1 (ko) 천연석을 이용한 건축용 조립식 패널 및 건축물의 벽체시공방법
KR101193547B1 (ko) 건식 및 습식 시공이 가능한 에스엠씨 쪽매식 대리석
KR101944357B1 (ko) 스톤타일
KR101203123B1 (ko) 에스엠씨 쪽매식 대리석
CN103541533A (zh) 墙地面装饰模块制备方法
KR101125552B1 (ko) 건축구조물의 벽체 시공용 단위블록 및 이를 이용한 벽체시공방법
KR20110138454A (ko) 고정수단 수용홈을 가지는 석재어셈블리
JP2005068782A (ja) 下地パネル、外壁化粧方法及びpcカーテンウォール
EP1039061A2 (en) Lining element, particularly for aerated or floating lining of walls, floors, roofs or the like
KR200427787Y1 (ko) 복합목재 우드타일
KR101295416B1 (ko) 슬라이딩 방식으로 시공되는 타일 시공구조체
RU190414U1 (ru) Фасадный облицовочный модуль
CN201031481Y (zh) 用于连接木结构房屋外墙装饰砖与内墙木骨料的连接件
CN208858090U (zh) 一种石材单元
KR20110122917A (ko) 좌우 이동 결합방식을 가지는 석재어셈블리
KR200434762Y1 (ko) 조립식 화단
KR100562345B1 (ko) 건축용 경량 마감재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