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22917A - 좌우 이동 결합방식을 가지는 석재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좌우 이동 결합방식을 가지는 석재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22917A
KR20110122917A KR1020100042253A KR20100042253A KR20110122917A KR 20110122917 A KR20110122917 A KR 20110122917A KR 1020100042253 A KR1020100042253 A KR 1020100042253A KR 20100042253 A KR20100042253 A KR 20100042253A KR 20110122917 A KR20110122917 A KR 201101229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ing
stone
plate
piece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422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찬대
Original Assignee
(주)하우스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하우스톤 filed Critical (주)하우스톤
Priority to KR10201000422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122917A/ko
Publication of KR201101229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2291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0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 E04C2/04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of concrete or other stone-like material; of asbestos cement; of cement and other mineral fibr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3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structure
    • E04C2/38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structure with attached ribs, flanges, or the like, e.g. framed pane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89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joints between neighbouring elements, e.g. with joint fillings or with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 E04F13/0894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joints between neighbouring elements, e.g. with joint fillings or with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with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14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ceramics concrete; of glass or with an outer layer of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or glass
    • E04F13/144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ceramics concrete; of glass or with an outer layer of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or glass with an outer layer of marble or other natural ston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038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characterised by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between neighbouring floor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8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only of stone or stone-like material, e.g. ceramics, concrete; of glass or with a top layer of stone or stone-like material, e.g. ceramics, concrete or glass
    • E04F15/08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only of stone or stone-like material, e.g. ceramics, concrete; of glass or with a top layer of stone or stone-like material, e.g. ceramics, concrete or glass with a top layer of stone or stone-like material, e.g. ceramics, concrete or glass in combination with a lower layer of other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물의 벽면, 천장 또는 바닥면을 마감하기 위해 외면을 형성하는 석재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다수 석재플레이트 간의 결합을 용이하게 하도록 석재플레이트에 이와 동일한 크기를 가지며 상부돌출편, 하부돌출편을 가지는 결합플레이트를 결합시켜 결합플레이트들 간의 결합을 좌, 우측 이동 끼움결합방식으로 구성함으로써 실내 벽면이나 천장면 또는 바닥면의 마감재로써 자연석의 무늬가 구현된 자연석 또는 인공석재를 사용하되, 제조원가가 절감되고 재질의 강도가 기존에 비해 강화되며 시공후 석재플레이트 간에 틈새를 메우기 위한 메지가 제거되어 외관의 심미감이 유발될 수 있으며 기존에 비해 시공이 매우 간소화된 석재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건축물의 벽면, 천정 또는 바닥면에 마감을 위한 석재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석재어셈블리는 자연석 또는 인공석재가 일정크기를 가지는 장방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벽면, 천정 또는 바닥면에 결합되어 외면을 형성하는 다수개의 석재플레이트와; 상기 석재플레이트와 형상적으로 대응되도록 동일한 크기의 판상으로 형성되되 상기 석재플레이트와 상기 벽면, 천정 또는 바닥면 간에 개재되어 일측은 석재플레이트와 결합되고 타측은 벽면, 천정 또는 바닥면에 결합되며 다수개의 석재플레이트 간의 결합이 용이하도록 측벽에 결합수단을 가지는 결합플레이트와; 상기 석재플레이트와 결합플레이트 간에 개재되어 석재플레이트와 결합플레이트를 접착시키는 접착층;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결합플레이트에는 작업자 또는 로봇암에 의해 용이하게 결합플레이트를 그리핑하기 위해 중심부를 기준으로 양측 각각에 한쌍의 그립홀이 형성되며, 상기 접착층에 노출되는 접착표면을 증대하여 결합력을 높이기 위해 접착홀이 결합플레이트의 전반에 일정간격 이격형성되며, 상기 접착홀 형성에 의한 결합플레이트 강도 저하를 방지하기 위해 격자구조의 보강바가 형성된다.

Description

좌우 이동 결합방식을 가지는 석재어셈블리 {Slate Assembly Combining by Pan Type}
본 발명은 건축물의 벽면, 천장 또는 바닥면을 마감하기 위해 외면을 형성하는 석재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다수 석재플레이트 간의 결합을 용이하게 하도록 석재플레이트에 이와 동일한 크기를 가지며 상부돌출편, 하부돌출편을 가지는 결합플레이트를 결합시켜 결합플레이트들 간의 결합을 좌, 우측 이동 끼움결합방식으로 구성함으로써 실내 벽면이나 천장면 또는 바닥면의 마감재로써 자연석의 무늬가 구현된 자연석 또는 인공석재를 사용하되, 제조원가가 절감되고 재질의 강도가 기존에 비해 강화되며 시공후 석재플레이트 간에 틈새를 메우기 위한 메지가 제거되어 외관의 심미감이 유발될 수 있으며 기존에 비해 시공이 매우 간소화된 좌우 이동 결합방식을 가지는 석재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의 벽체, 바닥 등 구조체의 외부로 노출되는 면에는 그 외관을 미려하게 장식할 수 있도록 마감공사를 실시하고 있다. 이와 같은 마감공사에 사용되는 마감 자재로는 종래부터 다양한 종류의 것들이 알려져 있다. 특히, 화강석 대리석 등과 같은 건축용 석재의 경우 자연미와 더불어 고급스러운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으므로 최근 들어 건축용 내. 외장 마감재료로서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상기와 같이 석재를 사용한 마감재의 경우, 통상 석산(石山)에서 부정형(不定形)의 원석을 채취하여 비교적 얇은 판상으로 절단한 후, 연마 등의 표면 가공을 거쳐 일정 면적을 가지는 패널 형태로 제작되고 있으며, 이의 시공에 있어서는 벽체에 철제 파이프를 이용하여 프레임을 일렬 또는 격자형으로 설치한 다음, 여기에 석재 패널을 상하 연속적으로 취부함으로써 건물내 벽과 바닥 등을 마감하게 된다.
이와 같이 석재 패널을 사용하여 벽면 등을 마감하게 되면 자연석 소재를 활용한 것이므로 석재가 갖는 고유의 질감을 그대로 살릴 수 있어 비교적 자연스러운 외관미를 줄 수 있음은 물론, 마모나 풍화에 대한 내구성도 우수한 바, 이는 비교적 고가의 자재임에도 불구하고 건축용 마감재로서 선호되는 재료 중의 하나라고 할 수 있다.
한편, 주택이나 오피스텔, 빌딩 등과 같은 건축물의 내부 벽면 등은 시멘트 블록이나 벽돌을 쌓은 후 시멘트 몰타르로 마감한 상태에서 그 위에 필요에 따라 페인트, 벽지, 타일, 목재, 석재 등을 일일이 작업자의 수작업으로 시공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마감재를 자연석을 가공한 석재를 이용하는 경우, 대리석과 화강석 등 자연석의 경우 10mm ~ 50mm의 두께로 가공된 제품을 건물의 마감재로 사용하고 있는 바, 판상으로 가공된 자연석 자체는 충격이 가해지면 금이 가거나 부서져 파편이 떨어진다는 단점이 있고, 자연석 자체의 중량으로 인해 고층빌딩에서는 작업하기가 부적합하여 중량이 비교적 덜 나가는 인조 복합 패널과 인조 복합 타일로 마감해야만 하는 단점도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서는 일정한 두께 이상으로 가공된 석재를 이용하여 건물 내벽을 마감하는 시공을 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 경우에는 가공된 석재의 중량이 무거워 작업효율이 떨어짐은 물론 일정한 두께 이상으로 가공된 석재의 원재료 가격의 상승이라는 부차적인 부담이 가중되는 문제점도 야기된다.
아울러 상기 석재와 석재 간에는 이음부 틈새가 일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되게 되는데, 이러한 이격 틈새를 메우기 위해 메지를 채워 넣어 마감하게 된다.
이 경우 시공되는 메지는 분말을 용매에 개어 석재와 석재 사이의 틈새에 바르게 되는데, 시공후 일정시간이 지남에 따라 갈라지거나 깨져 미관을 지저분하게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 메지용 틀을 사출성형하여 석재 시공시 메지용 틀을 덧대는 방식으로 시공작업을 함으로써 상기의 문제점을 일면 해소하였지만, 메지용 틀을 석재와 석재 사이에 덧대는 경우 시공 후 미감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고, 무엇보다도 시공을 위한 작업이 번거롭고 건축내장 마감용 석재의 제조단가가 상승한다는 부차적인 문제점도 있으며, 화학적인 변화에 반영구적인 석재의 내구성에 비해 합성수지재 재질의 메지용 틀은 그 수명이 짧기 때문에 벽과 바닥면 등에 시공하는 석재에 적합성이 떨어지는 단점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다수 석재플레이트 간의 결합을 용이하게 하도록 석재플레이트에 이와 동일한 크기를 가지며 상부돌출편, 하부돌출편을 가지는 결합플레이트를 결합시켜 결합플레이트들 간의 결합을 좌, 우측 이동 끼움결합방식으로 구성함으로써 실내 벽면이나 천장면 또는 바닥면의 마감재로써 자연석의 무늬가 구현된 자연석 또는 인공석재를 사용하되, 제조원가가 절감되고 재질의 강도가 기존에 비해 강화되며 시공후 석재플레이트 간에 틈새를 메우기 위한 메지가 제거되어 외관의 심미감이 유발될 수 있으며 기존에 비해 시공이 매우 간소화된 좌우 이동 결합방식을 가지는 석재어셈블리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아래와 같은 특징으로 갖는다.
본 발명은 건축물의 벽면, 천정 또는 바닥면에 마감을 위한 석재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석재어셈블리는 자연석 또는 인공석재가 일정크기를 가지는 장방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벽면, 천정 또는 바닥면에 결합되어 외면을 형성하는 다수개의 석재플레이트와; 상기 석재플레이트와 형상적으로 대응되도록 동일한 크기의 판상으로 형성되되 상기 석재플레이트와 상기 벽면, 천정 또는 바닥면 간에 개재되어 일측은 석재플레이트와 결합되고 타측은 벽면, 천정 또는 바닥면에 결합되며 다수개의 석재플레이트 간의 결합이 용이하도록 측벽에 결합수단을 가지는 결합플레이트와; 상기 석재플레이트와 결합플레이트 간에 개재되어 석재플레이트와 결합플레이트를 접착시키는 접착층;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결합플레이트에는 작업자 또는 로봇암에 의해 용이하게 결합플레이트를 그리핑하기 위해 중심부를 기준으로 양측 각각에 한쌍의 그립홀이 형성되며, 상기 접착층에 노출되는 접착표면을 증대하여 결합력을 높이기 위해 접착홀이 결합플레이트의 전반에 일정간격 이격형성되며, 상기 접착홀 형성에 의한 결합플레이트 강도 저하를 방지하기 위해 격자구조의 보강바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결합수단은 결합플레이트의 측벽에 길이방향으로 다수개가 일정간격 이격형성되며 수평선상의 상, 하로 교번되어 지그재그형태로 돌출되는 일정크기의 판상형상인 상부돌출편과 하부돌출편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상부돌출편의 저면 단부 및 하부돌출편의 상측 단부에는 다른 결합플레이트의 하부돌출편과 상부돌출편과 끼움결합될 수 있도록 융기부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상부돌출편과 하부돌출편 간의 간격은 상부돌출편 및 하부돌출편의 길이방향의 크기보다 1mm 내지 3mm 정도 크게 형성하여 어느 하나의 결합플레이트와 다른 하나의 결합플레이트 결합시 어느 하나의 결합플레이트의 상부돌출편과 하부돌출편 사이에 다른 하나의 결합플레이트의 상부돌출편 또는 하부돌출편을 위치시켜 좌측 또는 우측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끼움결합되며, 상기 상부돌출편 및 하부돌출편에 형성되는 융기부 양측에는 양 결합플레이트 간의 이동결합시 융기부 간에 간섭을 최소화하고 이동이 용이하도록 이동방향으로 경사면을 가지되 상기 경사면은 상부측으로 갈수록 점차 높아지게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결합플레이트의 일측 상부돌출편 중 하나 이상의 상부돌출편은 일측 측벽의 중심부로부터 길이방향에 따라 판상으로 돌출되는 제 1결합돌출편으로 형성되되, 상기 제 1결합돌출편의 일측 중심부에는 내측방향으로 일정길이를 가지는 돌출편홈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 1결합돌출편의 형성위치와 대응되는 타측 하부돌출편에는 상기 제 1결합돌출편의 돌출편홈부에 형상적으로 대응되어 결합될 수 있도록 측벽 중심부로부터 길이방향에 따라 판상으로 돌출되는 제 2결합돌출편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결합플레이트 간의 결합시 용이하게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제 2결합돌출편의 일측 단부에는 결합융기부가 돌출 형성되고, 제 1결합돌출편에는 상기 결합융기부와 형상적으로 대응되어 결합되도록 돌출편홈부 내측에 결합홈부가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석재플레이트와 결합되는 결합플레이트의 접착홀 타측 단부에는 상기 접착층이 결합플레이트와 결합시 접착홀 외측으로 일부 유동하여 경화됨에 따라 접착력이 보다 증대될 수 있도록 홀경사면이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기존 석재의 결합을 위한 메지가 제거되어 시공 후 외관의 심미감이 증대되며, 결합강도 및 시공작업시간, 공수가 감소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양 결합플레이트 간의 결합이 동일한 위치에서 강제 끼움방식이 아니라 일정 길이 어긋난 상태로 배치된 후 좌우 이동에 따른 끼움방식을 채택하여 돌출편의 파손을 방지하고 결합시 발생될 수 있는 부하를 최소화할 수 있다.
아울러 좌우 이동 끼움방식에 있어 결합플레이트의 상부돌출편 및 하부돌출편 간의 간격을 양 돌출편보다 1mm 내지 3mm 크게 형성하고 융기부에 경사면을 형성하여 한층 더 결합플레이트 간의 결합을 용이하게 한다.
또한, 결합플레이트에 그리핑홀을 형성하고 보강바를 형성하여 로봇암을 통한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며 결합플레이트의 강도가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석재어셈블리의 조립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결합플레이트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결합플레이트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양 결합플레이트의 결합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접촉홀의 확대도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 1결합돌출편과 제 2결합돌출편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석재어셈블리에 대해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석재어셈블리의 조립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결합플레이트의 평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결합플레이트의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3의 부분 확대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양 결합플레이트의 결합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접촉홀의 확대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석재어셈블리(100)는 크게 자연석 또는 인공석재가 일정크기를 가지는 장방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벽면, 천정 또는 바닥면에 결합되어 외면을 형성하는 다수개의 석재플레이트(10)와, 상기 석재플레이트(10)와 형상적으로 대응되도록 동일한 크기의 판상으로 형성되되 상기 석재플레이트(10)와 상기 벽면, 천정 또는 바닥면 간에 개재되어 일측은 석재플레이트(10)와 결합되고 타측은 벽면, 천정 또는 바닥면에 결합되며 다수개의 석재플레이트(10) 간의 결합이 용이하도록 측벽에 결합수단을 가지는 결합플레이트(20)와, 상기 석재플레이트(10)와 결합플레이트(20) 간에 개재되어 석재플레이트(10)와 결합플레이트(10)를 접착시키는 접착층(30)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석재플레이트(10)는 자연석 또는 인공석재를 장방형으로 가공하되 판상형태로 형성시켜 벽면, 천정 또는 바닥면의 마감재로 사용하는데,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석재플레이트(10)를 직사각형 형태로 채택하였으나, 다른 장방형 형태 또는 다른 다각형 형태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며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러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석재플레이트(10)의 크기는 폭이 10cm 내지 50cm이며 길이가 50cm 내지 150cm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결합플레이트(20)에는 다수의 석재플레이트(10) 간에 이음부 틈새 없이 쉽고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석재플레이트(10)의 하단부 즉, 석재플레이트(10)와 마감면 사이에 위치하도록 결합된다.
도 1에서는 결합플레이트(20)가 상부측에 결합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시공시에는 도 1에 따라 결합된 석재어셈블리(100)를 뒤집어 결합플레이트(20)가 마감면에 결착되도록 하게 된다.
이러한 상기 결합플레이트(20)는 양 석재플레이트(10)를 용이하게 결합시키기 위해 결합수단이 구비되는데, 이러한 결합수단은 결합플레이트(20)의 측벽에 길이방향으로 다수개가 일정간격 이격형성되며 수평선상의 상, 하로 교번되어 지그재그형태로 돌출되는 일정크기의 판상형상인 상부돌출편(21)과 하부돌출편(22)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상부돌출편(21)의 저면 단부 및 하부돌출편(22)의 상측 단부에는 다른 결합플레이트의 하부돌출편(22)과 상부돌출편(21)과 각각 끼움결합될 수 있도록 융기부(23)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상부돌출편(21)과 하부돌출편(22) 간의 간격은 상부돌출편(21) 및 하부돌출편(22)의 길이방향의 크기보다 1mm 내지 3mm 정도 크게 형성하여 어느 하나의 결합플레이트(10)와 다른 하나의 결합플레이트(20) 결합시 어느 하나의 결합플레이트(10)의 상부돌출편(21)과 하부돌출편(22) 사이에 다른 하나의 결합플레이트(20)의 상부돌출편(21) 또는 하부돌출편(22)을 위치시켜 좌측 또는 우측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끼움결합되게 된다.
상기 상부돌출편(21)과 하부돌출편(22) 간의 간격은 너무 클 경우 결착 시 작업자의 미세한 손떨림이나 흔들림에 의해 이동 결합을 위한 돌출편 간의 배치로부터 쉽게 이탈될 수 있으며, 너무 작을 경우 이동 결합을 위한 돌출편 간의 배치 자체가 끼움결합 되듯이 강제 압입될 수 있어 좌우 이동이 원활하지 않는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어 전술한 바와 같이 바람직한 간격은 1mm 내지 3mm이다.
또한 상기 양 돌출편(21, 22) 간의 결합플레이트(20) 측벽 상, 하 높이 차는 양 돌출편(21, 22)에 형성되는 융기부(23)만의 두께보다 같거나 1mm 정도 작게 형성하여 강제 압입될 수 있도록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융기부(23)는 본 발명의 가장 큰 특징 중 하나인 좌우 이동에 따른 끼움결합의 결합 용이성을 위해 융기부(23) 양측에 이동방향에 따라 상부측으로 갈수록 점차 높아지는 경사면(23a)이 형성되는데, 이에 따라 좌우 이동 결합시 자연스럽게 끼움결합이 유도되어 손쉽게 결착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결합플레이트(20)에는 작업자 또는 로봇암에 의해 용이하게 결합플레이트(20)를 그리핑하기 위해서 결합플레이트(20)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양측 각각에 한쌍의 그립홀(24)이 상,하로 형성되는데, 이러한 4개의 그립홀(24)은 일실시예로 도시한 것으로 로봇암의 종류 등에 따라 양측 하나씩 또는 결합플레이트(20)를 이등분한 후 각각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양측 각각에 한쌍씩 총 8개의 그립홀(24)을 형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아울러 상기 결합플레이트(20)에는 접착층(30)에 의한 석재플레이트(10)와 결합플레이트(20)의 결합력을 증대하기 위해 결합플레이트 전반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배열되는 접착홀(25)이 형성될 수 있는데, 이러한 접착홀(25)은 크기가 작고 갯수가 많을수록 접착표면이 증가하여 접착력은 증대될 수 있으나, 결합플레이트(20)의 판상강도가 저하됨에 따라 적절한 크기와 갯수로 형성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상기 접착홀(25) 형성에 따라 저하되는 결합플레이트(20)의 판상강도를 증가하기 위해 결합플레이트(20)에는 격자구조의 보강바(26)가 형성되는데, 이러한 보강바(26)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폭방향, 길이방향 및 이에 의해 구획되는 사각형의 대각방향 등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석재플레이트(10)와 결합되는 결합플레이트(20)의 접착홀(25) 타측 단부에는 상기 접착층(30)이 결합플레이트(20)와 결합시 접착홀(25) 외측으로 일부 유동하여 경화됨에 따라 접착력이 보다 증대될 수 있도록 홀경사면(25a)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홀경사면(25a)은 결합플레이트(20)의 두께 전반에 걸쳐 형성될 수 있는데, 이 경우 결합플레이트의 접착홀(25) 수직단면형상이 '
Figure pat00001
' 형태로 형성될 것이며, 접착홀(25)이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다가 일정부분에서 홀경사면(25a)이 형성될 경우 수직단면형상이 '
Figure pat00002
'형태로 형성될 것이다.
이러한 홀경사면(25a)을 갖는 접착홀(25) 형태는 이외에도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아울러 상기 결합플레이트(20)의 석재플레이트(10) 접합면에는 접착층(30)이 어느 정도 두께로 수용 경화될 수 있도록 석재플레이트(10)와 결합플레이트(20) 간을 일정간격 유지 밀착되게 하게 이격봉이 다수개 형성될 수 있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 1결합돌출편과 제 2결합돌출편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좌,우 이동방식에 따른 결합시 결합플레이트(20) 간이 결합 후 쉽게 분리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결합플레이트(20)의 일측 상부돌출편(21)과 타측 하부돌출편(22)에 형상적으로 대응되어 결합될 수 있는 제 1결합돌출편(21a)과 제 2결합돌출편(22a)을 형성한다.
여기서 상기 제 1결합돌출편(21a)은 상기 결합플레이트(20)의 일측 상부돌출편(21) 중 하나 이상의 상부돌출편(21) 형성위치에 이를 대체하여 형성되는데, 이러한 제 1결합돌출편(21a)의 형성위치는 도 7에서와 같이 일측 최상부와 최하부에 한 쌍으로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 1결합돌출편(21a)은 결합플레이트(20)의 일측 측벽의 중심부로부터 길이방향에 따라 판상으로 돌출되며, 상기 제 1결합돌출편(21a)의 일측 중심부에는 내측방향으로 일정길이를 가지는 돌출편홈부(21aa)가 형성되는데, 이는 후술할 제 2결합돌출편(22a)을 수용하여 끼움결합하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 제 2결합돌출편(22a)은 상기 제 1결합돌출편(21a)의 형성위치와 대응되는 타측 하부돌출편(22) 형성위치에 이를 대체하여 형성되는데, 이러한 제 2결합돌출편(22a)은 상기 제 1결합돌출편(21a)의 돌출편홈부(21aa)에 형상적으로 대응되어 결합될 수 있도록 측벽 중심부로부터 길이방향에 따라 판상으로 돌출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제 2결합돌출편(22a)에는 상기 결합플레이트(20) 간의 결합시 용이하게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일측 단부에 결합융기부(22aa)가 돌출 형성되고, 결합시 이와 형상적으로 대응되어 결합되는 제 1결합돌출편(21a)의 돌출편홈부(21aa)에는 내측에 결합홈부(21ab)가 형성되어 한번 끼움결합되면 쉽게 분리이탈되지 않도록 이루어진다.
이러한 본 실시예에 따라 결합플레이트(20) 간의 결합 시 분리되거나 비틀어지는 문제를 원천적으로 제거할 수 있으며 결합력을 보다 증대시킬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 석재플레이트 20 : 결합플레이트
21 : 상부돌출편 21a : 제 1결합돌출편
21aa : 돌출편홈부 21ab : 결합홈부
22 : 하부돌출편 22a : 제 2결합돌출편
22aa : 결합융기부 23 : 융기부
23a : 경사면 24 : 그립홀
25 : 접착홀 25a : 홀경사면
26 : 보강바 30 : 접착층
100 : 석재어셈블리

Claims (7)

  1. 건축물의 벽면, 천정 또는 바닥면에 마감을 위한 석재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석재어셈블리는
    자연석 또는 인공석재가 일정크기를 가지는 장방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벽면, 천정 또는 바닥면에 결합되어 외면을 형성하는 다수개의 석재플레이트와;
    상기 석재플레이트와 형상적으로 대응되도록 동일한 크기의 판상으로 형성되되 상기 석재플레이트와 상기 벽면, 천정 또는 바닥면 간에 개재되어 일측은 석재플레이트와 결합되고 타측은 벽면, 천정 또는 바닥면에 결합되며 다수개의 석재플레이트 간의 결합이 용이하도록 측벽에 결합수단을 가지는 결합플레이트와;
    상기 석재플레이트와 결합플레이트 간에 개재되어 석재플레이트와 결합플레이트를 접착시키는 접착층;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결합플레이트에는
    작업자 또는 로봇암에 의해 용이하게 결합플레이트를 그리핑하기 위해서 중심부를 기준으로 양측 각각에 한쌍의 그립홀이 형성되며, 상기 접착층에 노출되는 접착표면을 증대하여 결합력을 높이기 위해 접착홀이 결합플레이트의 전반에 일정간격 이격형성되며, 상기 접착홀 형성에 의한 결합플레이트 강도 저하를 방지하기 위해 격자구조의 보강바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우 이동 결합방식을 가지는 석재어셈블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수단은
    결합플레이트의 측벽에 길이방향으로 다수개가 일정간격 이격형성되며 수평선상의 상, 하로 교번되어 지그재그형태로 돌출되는 일정크기의 판상형상인 상부돌출편과 하부돌출편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상부돌출편의 저면 단부 및 하부돌출편의 상측 단부에는 다른 결합플레이트의 하부돌출편과 상부돌출편과 끼움결합될 수 있도록 융기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우 이동 결합방식을 가지는 석재어셈블리.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돌출편과 하부돌출편 간의 간격은 상부돌출편 및 하부돌출편의 길이방향의 크기보다 1mm 내지 3mm 정도 크게 형성하여 어느 하나의 결합플레이트와 다른 하나의 결합플레이트 결합시 어느 하나의 결합플레이트의 상부돌출편과 하부돌출편 사이에 다른 하나의 결합플레이트의 상부돌출편 또는 하부돌출편을 위치시켜 좌측 또는 우측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끼움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우 이동 결합방식을 가지는 석재어셈블리.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돌출편 및 하부돌출편에 형성되는 융기부 양측에는 양 결합플레이트 간의 이동결합시 융기부 간에 간섭을 최소화하고 이동이 용이하도록 이동방향으로 경사면을 가지되 상기 경사면은 상부측으로 갈수록 점차 높아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우 이동 결합방식을 가지는 석재어셈블리.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플레이트의 일측 상부돌출편 중 하나 이상의 상부돌출편은 일측 측벽의 중심부로부터 길이방향에 따라 판상으로 돌출되는 제 1결합돌출편으로 형성되되, 상기 제 1결합돌출편의 일측 중심부에는 내측방향으로 일정길이를 가지는 돌출편홈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 1결합돌출편의 형성위치와 대응되는 타측 하부돌출편에는 상기 제 1결합돌출편의 돌출편홈부에 형상적으로 대응되어 결합될 수 있도록 측벽 중심부로부터 길이방향에 따라 판상으로 돌출되는 제 2결합돌출편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우 이동 결합방식을 가지는 석재어셈블리.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플레이트 간의 결합시 용이하게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제 2결합돌출편의 일측 단부에는 결합융기부가 돌출 형성되고, 제 1결합돌출편에는 상기 결합융기부와 형상적으로 대응되어 결합되도록 돌출편홈부 내측에 결합홈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우 이동 결합방식을 가지는 석재어셈블리.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석재플레이트와 결합되는 결합플레이트의 접착홀 타측 단부에는 상기 접착층이 결합플레이트와 결합시 접착홀 외측으로 일부 유동하여 경화됨에 따라 접착력이 보다 증대될 수 있도록 홀경사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우 이동 결합방식을 가지는 석재어셈블리.
KR1020100042253A 2010-05-06 2010-05-06 좌우 이동 결합방식을 가지는 석재어셈블리 KR2011012291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2253A KR20110122917A (ko) 2010-05-06 2010-05-06 좌우 이동 결합방식을 가지는 석재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2253A KR20110122917A (ko) 2010-05-06 2010-05-06 좌우 이동 결합방식을 가지는 석재어셈블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2917A true KR20110122917A (ko) 2011-11-14

Family

ID=453932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42253A KR20110122917A (ko) 2010-05-06 2010-05-06 좌우 이동 결합방식을 가지는 석재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122917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10731B1 (en) Snap together floor structure
US7442423B2 (en) Hard surface-veneer engineered surfacing tiles
KR100996878B1 (ko) 조립식 타일 결합체
US10753092B1 (en) Fiber reinforced surface covering
EP3625408B1 (en) A floor element for forming a floor covering and a floor covering
JP2006283541A (ja) 貼着仕上げ材の下地部材本体と、その貼着仕上げ材の下地部材本体を使用した仕上げ工法。
KR20110064350A (ko) 석재 접합식 타일
CN205476370U (zh) 一种铺砖装置和饰面总成
EP3006642B1 (en) Building panels comprising a construction plate and a mesh structure and process for manufacturing the building panel
CN205421866U (zh) 一种铺砖装置和饰面总成
KR20110122917A (ko) 좌우 이동 결합방식을 가지는 석재어셈블리
KR20110138454A (ko) 고정수단 수용홈을 가지는 석재어셈블리
CN105507568B (zh) 一种铺砖装置及铺砖方法
JP2008127984A (ja) 床タイル張り工法
CN103541533B (zh) 墙地面装饰模块制备方法
KR101193547B1 (ko) 건식 및 습식 시공이 가능한 에스엠씨 쪽매식 대리석
KR101181751B1 (ko) 조립식 천연석재판
KR101338673B1 (ko) 바닥장식재
KR100971615B1 (ko) 건축내장 마감용 타일
CN104164972A (zh) 一种现浇混凝土仿古墙施工方法
CN204754023U (zh) 一种用于墙根和墙角的装饰瓷条系统
CN216641256U (zh) 一种铺设双方向倾斜地面的垫块
KR200342590Y1 (ko) 자연석을 활용한 부착식 내,외장 마감재
US1179088A (en) Covering for floors, walls, &c.
JP3144615U (ja) レジン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