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42590Y1 - 자연석을 활용한 부착식 내,외장 마감재 - Google Patents

자연석을 활용한 부착식 내,외장 마감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42590Y1
KR200342590Y1 KR20-2003-0036613U KR20030036613U KR200342590Y1 KR 200342590 Y1 KR200342590 Y1 KR 200342590Y1 KR 20030036613 U KR20030036613 U KR 20030036613U KR 200342590 Y1 KR200342590 Y1 KR 20034259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atural stone
finishing
fixing
attached
protru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3661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철
Original Assignee
김영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철 filed Critical 김영철
Priority to KR20-2003-003661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4259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4259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42590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12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of metal or with an outer layer of metal or enameled metal
    • E04F13/126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of metal or with an outer layer of metal or enameled metal with an outer layer of wire mesh, wire grid or the like, e.g. gab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14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ceramics concrete; of glass or with an outer layer of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or glass
    • E04F13/144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ceramics concrete; of glass or with an outer layer of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or glass with an outer layer of marble or other natural sto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건축물의 벽체, 바닥 등의 표면에 부착되어 그 외관을 미려하게 장식할 수 있도록 하는 건축물의 내,외장 마감재에 관하여 개선된 기술이 개시된다.
본 고안은 시공된 마감면이 자연석을 쌓아올린 것과 같은 외관적 효과를 가질 수 있도록 하되, 실제로 자연석을 쌓아 올리는 것에 비하여 시공성 및 경제성 등의 면에서 유리한 효과를 가지는 건축용 마감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고안으로서, 이를 위하여 본 고안에서 제공하는 자연석을 활용한 부착식 내,외장 마감재는, 가공되지 않은 한 덩어리의 자연석을 표면으로부터 소정 두께만큼 절단해내어 전면은 자연석 표면을, 이면은 평활면을 갖도록 한 마감본체; 및, 상기 마감본체의 평활면에 일체로 부착되며 상부에 고정철물을 박을 수 있도록 상기 마감본체의 외측으로 소정 길이만큼 돌출되게 부착되는 돌출 고정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여기서 상기 돌출 고정부는 띠판 형태의 고정 스트립을 사용하여 구성하거나 고정철망을 사용하여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Description

자연석을 활용한 부착식 내,외장 마감재 {Architectural Finish Tile of Natural Stone}
본 고안은 건축물의 벽체, 바닥 등의 표면에 부착되어 그 외관을 미려하게 장식할 수 있도록 하는 건축물의 내,외장 마감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가공되지 않은 자연석을 표면으로부터 소정 두께로 커팅해 내어 마감재를 구성하고 이를 타일식으로 벽면 등에 부착할 수 있게 함으로써 이를 사용하여 시공된 마감면이 자연석을 쌓아올린 것과 동일한 외관을 가질 수 있도록 하되, 실제로 자연석을 쌓아 올리는 것에 비하여 시공성 및 경제성 등의 면에서 유리한 효과를 가지는 건축용 마감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의 벽체, 천정 또는 바닥 등 구조체의 외부로 노출되는 면에는 그 외관을 미려하게 장식할 수 있도록 마감 공사를 실시하고 있다. 이와 같은 마감 공사에 사용되는 마감 자재로는 종래로부터 다양한 종류의 것들이 알려져 있으며, 특히 화강석이나 대리석 등과 같은 건축용 석재의 경우 자연미와 더불어 고급스러운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으므로 최근 들어 건축용 내,외장 마감재로서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상기와 같이 석재를 사용한 마감재의 경우, 통상 석산(石山)에서 자연석 원석을 채취하여 비교적 얇은 판상으로 절단한 후, 연마 등의 표면 가공을 거쳐 일정 면적을 가지는 패널 형태로 제작되고 있으며, 이의 시공에 있어서는 벽체에 철제 파이프를 이용하여 프레임을 일렬 또는 격자형으로 설치한 다음, 여기에 석재 패널을 상하 연속적으로 취부함으로써 벽면 마감을 형성하고 있었다. 이와 같이 석재 패널을 사용하여 벽면을 마감하게 되면 자연석 소재를 활용한 것이므로 석재가 갖는 고유의 질감을 그대로 살릴 수 있어 비교적 자연스러운 외관미를 줄 수 있음은 물론, 마모나 풍화 등에도 강하여 내구성의 면에서도 우수한 바, 이는 비교적 고가의 자재임에도 불구하고 건축용 마감재로서 일반적으로 선호되는 재료 중의 하나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가공 석재를 이용한 마감의 경우 재질적인 측면에서 어느 정도 자연미를 나타낼 수는 있으나, 전술한 바와 같이 이 방식은 원석을 일정한 형상(대부분 직사각 형태)의 판재로 가공한 것을 규칙적인 배열에 따라 부착 설치하는 것이므로 이와 같이 정연한 배치로 인하여 인공적인 느낌을 줄 수 밖에 없고 자연미를 충분히 감득시킬 수 없다는 한계가 있었다. 이에 따라 종래에도 전술과같이 가공된 석판을 이용하여 건축물의 외관을 마감하는 대신,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 크기의 가공되지 않은 자연석 덩어리를 층층이 쌓아올려 울타리나 화단등의 벽체를 형성하는 돌 쌓기 공법이 시공되고 있었다. 이와 같은 돌 쌓기 공법의 경우 가공되지 않은 자연석을 쌓아 시공하는 것이므로 각 석재들이 다양한 형태를 가짐으로써 이에 따라 축조된 벽체는 입체감을 가짐과 동시에 규칙적이지 않은 외관을 나타내므로 자연미를 충분히 발휘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기존의 돌 쌓기 공법은 상당 크기의 자연 석재를 적층식으로 시공하는 것인 바, 이에 따라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가질 수 밖에 없었다. 즉, 상기 방식은 불규칙한 형태를 가지는 자연석 그대로를 쌓아 시공하는 것이므로 시공의 난이도가 높아 작업에 숙련도를 요함과 동시에 작업 능률이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또한, 상당 크기의 자연석을 절단하지 않고 그대로 사용하는 것이므로 시공된 벽체가 차지하는 공간이 상당히 크게 되며, 특히 도1의 도시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축조된 석재(S)의 이면에는 석재(S)의 탈락 및 붕괴를 막을 수 있도록 콘크리트 타설이 필수적인 바, 이와 같은 뒷채움 콘크리트(C)의 두께가 더해져 시공된 벽체의 두께가 상당히 증가하게 되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이와 같은 방식은 조경용 화단이나 석축, 건물의 외벽 등 외장의 용도로서는 적용이 가능하지만 내부 벽체에 대한 인테리어의 용도로는 그 시공 방식상의 특성으로 인하여 적용이 부적합하다는 단점이 있었으며, 아울러, 본 방식의 경우 석재를 쌓아 시공하는 것이기 때문에 벽체 마감 방식으로만 적용이 가능하고 천정이나 바닥과 같은 부위에는 적용이 불가능하다는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기존의 마감 방식에서 나타난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은 가공되지 않은 자연석을 표면으로부터 소정 두께로 커팅해 내어 마감재를 구성하고 이를 타일식으로 천장, 벽면, 바닥 등에 부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이를 사용하여 시공된 마감면이 자연석을 쌓아올린 것과 동일한 외관을 가질 수 있도록 하되, 실제로 자연석을 쌓아 올리는 것에 비하여 월등히 적은 노력과 비용으로 시공이 가능하므로 시공성 및 경제성 등의 면에서 유리한 효과를 가지는 건축용 마감재를 제공함을 그 기술적 과제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얇은 두께로 시공이 가능하므로 차지하는 공간이 적으며, 실외뿐 아니라 실내 인테리어용으로도 사용이 가능함과 동시에 벽체 시공에만 한정되지 않고 바닥이나 천정 등 시공 부위에 관계 없이 사용이 가능하므로 마감재로서 활용도가 높은 건축용 마감재를 제공하는 것을 다른 기술적 과제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구조체에의 부착 작업에 있어서 시멘트 몰탈과 같은 통상의 접착 수단과 더불어 못이나 태커와 같은 고정 철물을 사용하여 고정할 수 있으므로 시공 후 탈락의 위험이 없고, 작업 중에는 몰탈 등이 충분히 경화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작업을 진행할 수 있어 작업 기간을 대폭 단축시킬 수 있는 건축용 마감재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기술적 과제로 한다.
도1은 종래의 자연석 쌓기 시공법에 의해 시공된 벽체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자연석을 활용한 부착식 내,외장 마감재에 대한 바람직한 일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자연석을 활용한 부착식 내,외장 마감재에 대한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4는 본 고안에 따른 자연석을 활용한 부착식 내,외장 마감재를 사용하여 구조물의 벽체를 마감 시공하는 방법에 대한 일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5는 본 고안에 따른 자연석을 활용한 부착식 내,외장 마감재를 사용하여 구조물의 벽체를 마감 시공하는 방법에 대한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6은 본 고안에 따른 자연석을 활용한 부착식 내,외장 마감재를 사용하여 구조물의 천장 또는 바닥을 마감 시공하는 방법에 대한 일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7은 본 고안에 따른 자연석을 활용한 부착식 내,외장 마감재를 사용하여 마감 시공된 벽체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본 고안에 따른 자연석을 활용한 부착식 내,외장 마감재
10: 마감본체 20: 돌출 고정부
20-1: 고정 스트립 20-2: 고정철망
A: 접착제 H: 고정 철물
E: 에폭시 수지 M: 줄눈재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구조체의 표면에 다수개가 부착되어 마감층을 이루는 마감용 자재로서, 가공되지 않은 한 덩어리의 자연석을 표면으로부터 소정 두께만큼 절단해내어 전면은 자연석 표면을, 이면은 평활면을 갖도록 한 마감본체; 및, 상기 마감본체의 평활면에 일체로 부착되는 띠판 형태의 부재로서, 상기 마감본체의 외측으로 소정 길이만큼 돌출되도록 부착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스트립;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자연석을 활용한 부착식 건축용 내,외장 마감재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이 바람직하게 구현된 실시예들과 함께 본 고안의 구성 및 작용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자연석을 활용한 부착식 내,외장 마감재(이하 본 명세서 내에서 '자연석 마감재'로 약칭한다.)에 대한 바람직한 일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3은 본 고안에 대한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상기 도면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자연석을 활용한 마감재(1)는 전체적으로 가공되지 않은 한 덩어리의 자연석을 표면으로부터 소정 두께만큼 절단해내어 이루어진 마감본체(10); 및, 상기 마감본체(10)의 평활면(12)에 일체로 부착되는 돌출 고정부(20)를 포함하여 개략 구성된다.
먼저, 상기 마감본체(10)는 하나의 자연석 덩어리를 사전에 절단 등의 가공작업을 거치지 않은 상태에서 표면으로부터 소정 두께만큼 절단해 내어 대략 판상을 갖도록 한 것으로서, 상기와 같은 절단 가공의 결과 그 전면(11)은 입체적인 자연석 본래의 표면을 가지며 이면(12)은 절단에 의한 평활면을 가지게 된다. 이와 같이 하여 제조된 자연석을 활용한 마감재(1)는 구조체에 부착 시공함에 있어서 그 전면(11)이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하고 평활면으로 된 이면(12)이 시멘트 몰탈이나 기타 접착 수단에 의해 구조체 측에 부착되도록 하며, 따라서 이를 사용하여 마감된 마감면은 마치 자연석을 쌓아 올린 것과 동일한 외관적 효과를 나타낼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마감재의 경우 자연석을 전체로서 활용하는 것이 아니라 표면으로부터 소정 두께만을 절단하여 비교적 박판의 형태를 가지도록 한 것이므로, 시공 작업에 있어서는 통상의 타일 자재를 시공하는 것과 같이 벽면 등에 접착제(예컨대 시멘트 몰탈, 타일 접착제 등)를 사용하여 부착식으로 시공하게 되는 것인 바, 이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르게 되면 경량화된 마감재를 사용함으로써 기존의 자연석을 쌓아 올리는 기존 방법에 비하여 시공이 매우 용이해지므로 작업 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자연석을 얇은 두께로 가공하여 타일식으로 부착 시공하는 것이므로 이와 같은 본 고안의 특징적인 구성 및 시공 방식으로 인하여 본 고안의 자연석 마감재를 이용하여 마감 시공을 하는 경우 전체 마감 두께가 대단히 얇아지게 되는 장점과 함께, 벽체 시공뿐 아니라 천장이나 바닥 등에도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어 시공 부위에 제약 없이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게 되는 장점이 나타나게 된다.
한편, 상기 마감본체(10)를 구성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자연석으로는 강이나 산야 등에서 채취한 천연 자연석을 기본으로 하되, 이외에도 돌가루나 기타 재료를 이용하여 가공한 인공석을 사용하는 것 역시 가능하며, 특히 강 하류 등에서 채취한 강 자갈의 경우 강물에 의한 침식으로 인하여 비교적 둥근 형상 및 매끈한 표면을 가지고 있어 취급 및 가공이 용이할 뿐 아니라 가공된 외관에 있어서도 우수한 미감을 나타낼 수 있는 바 본 고안에서의 마감본체(10)로 사용하기에 적합하다고 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서 사용되는 자연석의 크기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으나 통상 직경 100mm 이상 300mm 이하의 것이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그 이상의 크기를 가지는 것도 용이하게 사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자연석을 절단하여 이루어진 마감본체(10)의 이면에는 돌출 고정부(20)가 일체로 부착된다. 상기 돌출 고정부(20)는 도2 및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마감본체(10)의 평활한 이면에 일체로 부착되는 비교적 박판 형태의 부재로서, 이는 상기 마감본체(10)의 외측으로 소정 길이만큼 돌출되도록 하고 여기에 못이나 태커 핀(tacker pin)과 같은 고정 철물을 박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바탕면과의 고정을 더욱 견고히 할 수 있게 하는 구성이다. 또한, 본 고안은 이와 같은 돌출 고정부(20)의 구성에 의하여 상기와 같은 부착력 증대의 효과 이외에도 부착 시공 중에는 시멘트 몰탈 등 접착제가 완전히 경화되지 않은 상태에서도 부착된마감재(1)가 고정철물에 의해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는 바, 벽체 시공에 있어서는 높이에 제한 없이 부착 시공을 진행할 수 있으며, 아울러 탈락의 위험이 없으므로 천장과 같은 부위에도 작업이 가능하게 되는 효과가 나타나는 것이다.
본 고안에서는 상기와 같은 돌출 고정부(20)에 대한 구체적인 실시 형태로서 띠판 형태의 고정 스트립(strip)을 사용한 경우와 고정철망(mesh)을 사용한 경우를 예시하고 있으며, 이의 구체적인 형태는 도2 및 도3의 도시로부터 확인할 수 있다.
도2에는 고정 스트립(20-1)을 사용하여 돌출 구성부를 구성한 예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도면을 참조하여 이를 더욱 자세히 살펴 보면, 본 실시예에서의 고정 스트립(20-1)은 금속 판재 등을 재단하여 비교적 가늘고 긴 띠판 형태를 가지도록 제작되는 부재로서, 이는 상기 마감본체(10)의 평활면(12)에 일체로 부착 설치된다. 이 때, 상기 고정 스트립(20-1)의 길이는 도시된 바와 같이 부착된 상태에서 마감본체(10)의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도록 최소한 마감본체(10)의 직경보다 긴 길이를 가져야 하는 것으로 이는 고정철물을 박는 데 지장이 없도록 가급적 5cm 이상 돌출될 수 있도록 한다.
이 고정 스트립의 재질로는 금속 소재가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으나, 이와 같이 금속 소재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설치 후 부식이 발생될 수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스텐레스 스틸이나 동판 등을 사용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고정 스트립의 두께로는 작업자가 비교적 쉽게 구부리거나 절단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사용된 소재에 따라 적당한 두께를 적용하며, 상기와 같이 스텐레스스틸이나 동판을 사용하는 경우 대략 0.3T 내지 0.5T 정도의 것을 사용하는 것이 적당하다. 그리고 도시된 예에서는 상기 고정 스트립(20-1)을 설치함에 있어 2본의 띠판을 十자형으로 배치하여 구성하고 있으나, 이는 사용된 자연석의 크기나 형상 등을 고려하여 증감될 수 있는 것으로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고정 스트립(20-1)과 마감본체(10)의 고정 수단으로서 통상 건축 분야에서 접착용 또는 구조물의 보수 보강용으로 주로 사용되는 에폭시 수지(E)를 사용한 경우를 예시해 보여주고 있는데, 이와 같은 에폭시 수지의 경우 금속뿐 아니라 석재에도 양호한 접착력을 발휘할 수 있으며, 그 사용에 있어서도 단지 도포하는 것만으로 쉽게 작업할 수 있으므로 본 고안에서의 고정 스트립(20-1)과 마감본체(10) 간의 접합 수단으로서 대단히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도3에는 본 고안에 따른 다른 실시 형태로서 상기 돌출 고정부(20)를 구성함에 있어 고정철망(20-2)를 사용한 경우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마감본체(10)의 평활면(12)에 소정 크기의 고정철망(20-2)을 부착하여 본 고안에 따른 자연석 마감재(1)를 구현하고 있으며, 이 때 상기 고정철망(20-2)의 부착은 상기 고정 스트립에서와 같이 에폭시 수지가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고정철망(20-2)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감본체(10)의 이면(12)에 일체로 부착되는 것으로서, 그 크기는 상기 마감본체(10)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부분이 존재하도록 소정 크기 이상을 가지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돌출된 부분에는 전술한 고정 스트립(20-1)을 사용한 경우에서와 같이 못이나 태커 핀과 같은 고정철물이 박혀지는 것으로, 상기 고정철망(20-2)의 크기를 정함에 있어서는 이와 같은 고정 철물 작업에 지장이 없도록 적절히 결정하도록 한다.
다음으로는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자연석 마감재(1)를 이용하여 마감층을 형성하는 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에서는 상기한 자연석 마감재(1)의 바람직한 시공 방법으로서 돌출 고정부(20)의 형태 및 시공 부위에 따라 다음과 같이 3가지의 시공 방식을 예시해 보여준다.
먼저, 상기 도2에 도시된 것과 같이 고정 스트립(20-1)을 사용하여 돌출 고정부(20)를 구성한 형태의 마감재(1)를 사용하여 구조물의 벽체를 마감 시공하는 방법으로서, 이는 본 고안에 따른 자연석을 활용한 부착식 내,외장 마감재를 필요한 수만큼 준비하고, 상기 자연석을 활용한 부착식 내,외장 마감재의 이면에 접착제를 도포한 다음, 상기 자연석을 활용한 부착식 내,외장 마감재를 구조체 표면에 압착한 상태에서 상기 고정 스트립의 상부에 고정 철물을 박아 고정하는 순서로 시공될 수 있다.
이를 도4를 참조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시공하고자 하는 구조물의 면적에 따라 필요한 수의 자연석 마감재(1)를 준비한다. 이 때, 상기 자연석 마감재(1)는 마감본체(10)에 고정 스트립(20-1)이 부착되어 완성된 상태로 현장에 반입될 수도 있지만, 자연석 절단체의 형태로 마감본체(10)만을 반입한 다음 고정 스트립(20-1)은 현장에서 에폭시 수지 등으로 접착하여 사용할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자연석 마감재(1)가 준비되면 그 이면측에는 구조체와의 접착을 위하여 접착제(A)를 적당한 두께로 도포하며, 여기서 상기 접착제(A)로는 통상의 타일 시공에서와 같은 시멘트 몰탈(mortar)을 반죽하여 사용하거나 또는 전용 타일 접착제(예컨대 상품명 '세라픽스'와 같은 것)을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마감본체(10)의 이면에 접착제(A)를 도포하는 작업 이전에는 상기 고정 스트립(20-1) 중 불필요한 돌출 부분을 잘라내는 공정이 선행될 수도 있다. 예컨대 도2에 도시된 형태의 마감재에서와 같이 고정 스트립(20-1)이 마감본체(10)의 4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한 경우에 있어서는 이 고정 스트립(20-1)의 돌출 부위가 이미 부착된 다른 자연석 마감재에 간섭되어 원활한 시공이 이루어질 수 없는 경우가 발생될 수 있는 바, 이러한 경우에는 불필요한 부위를 절단가위 등을 이용하여 잘라내고 윗쪽으로 하나 또는 두개 정도만 돌출되도록 한 상태로 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상기와 같은 절단 작업은 돌출 부위가 인접 마감재와 간섭되는 경우에만 적용하는 것으로, 고정 스트립의 돌출된 길이가 그다지 길지 않거나, 고정 스트립이 마감본체의 일측으로만 돌출되도록 구성한 경우 등에 있어서는 이와 같은 작업은 생략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마감본체(10)의 이면에 접착제(A)를 도포한 다음에는 도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를 구조체의 표면에 압착한 상태에서 상기 고정 스트립(20-1)의 상부에 고정 철물(H)을 박아 고정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고정 철물로는 못이나 태커 핀 등이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으며, 특히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 태커(T; tacker)와 같은 휴대용 공구를 사용하여 태커핀을 박아 넣거나 못을 사용하는 경우 네일러(nailer)와 같은 공구를 사용하게 되면 시공의 효율을 더욱 높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방법에 따라 본 고안의 자연석 마감재(1)를 부착한 다음에는 이에 인접하여 다른 자연석 마감재(1)를 부착해 나가며, 이와 같은 작업을 반복하여 전체 벽면에 자연석 마감재(1)를 부착 시공하게 된다. 이후에는 통상적인 마무리 작업으로서 부착된 자연석 마감재(1)들 사이에 줄눈재(M)를 채움하는 공정이 추가될 수 있으며 상기와 같은 절차에 따라 시공된 마감 벽체를 도7에 도시하였다.
전술한 것과 같은 벽체 시공 방식에 대한 또 다른 예로서 다음과 같은 방법을 들 수 있다. 이 방법 역시 도2에 도시된 고정 스트립(20-1)을 구비한 자연석 마감재(1)를 사용하여 벽체를 시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이는 본 고안에 따른 자연석을 활용한 부착식 내,외장 마감재를 필요한 수만큼 준비하는 단계와; 상기 자연석을 활용한 부착식 내,외장 마감재의 이면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단계와; 상기 자연석을 활용한 부착식 내,외장 마감재를 마감본체가 위를 향하고 고정 스트립이 아래쪽을 향하도록 한 상태로 구조체에 접근시킨 후, 상기 고정 스트립의 상부에 고정 철물을 박아 고정하는 단계; 및, 상기 고정 스트립을 아래로 꺾어 내려 상기 마감본체를 부착하고자 하는 자리에 위치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일련의 단계로 이루어진다.
이를 도4를 참조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시공하고자 하는 구조물의 면적에 따라 필요한 수의 자연석 마감재(1)를 준비한 다음, 상기 자연석 마감재(1)의 이면에 시멘트 몰탈이나 타일 접착제 등과 같은 접착제(A)를 도포하여 접착층을 형성하며 이들 과정에 대한 세부적인 내용은 전술한 방법에서와 동일하다.
상기와 같이 마감본체(10)에 접착제(A)를 도포한 다음에는 부착 시공을 위하여 이를 구조체의 표면으로 가져가는데, 이 때, 도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가 전도된 상태로, 즉, 마감본체(10)가 위쪽에 위치하고 고정 스트립(20-1)이 아래쪽에 위치한 상태로 구조체에 접근시키며,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고정 스트립(20-1)의 상부에 태커(T)와 같은 공구를 이용하여 고정 철물을 박음으로써 고정 작업을 실시한다.
상기와 같이 하여 구조체에 고정 스트립을 고정한 다음에는 도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마감본체(10)를 아래로 끌어 내리며, 이로써 상기 고정 스트립(20-1)이 대략 'U'자의 형태를 이루며 아래로 꺾여져 내려올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하게 되면 자연석의 입체적인 표면이 외부로 향하게 되는 동시에, 마감본체(10)의 배면에 도포된 접착제(A)가 구조체의 표면에 압착되어 접착이 이루어지게 되며, 이로써 자연석 마감재(1)의 부착 시공을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후로는 상기와 같은 방식에 따라 벽체 전면에 자연석 마감재(1)를 부착해 나가며, 이들 마감재 사이에는 줄눈 시공을 하여 마무리할 수 있음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다.
다음으로는 도3에 도시된 것과 같이 돌출 고정부(20)로서 고정철망(20-2)을 사용한 자연석 마감재(1)를 가지고 마감층을 형성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본 방법은 앞서 설명한 벽체 시공의 경우보다는 바닥이나 천장과 같이 수평 부위를 시공함에 있어 더욱 바람직하게 적용될 수 있는 방법으로서, 이는 본 고안에 따른 자연석을 활용한 부착식 내,외장 마감재를 필요한 수만큼 준비하는 단계와; 상기 자연석을 활용한 부착식 내,외장 마감재의 이면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단계; 및, 상기 자연석을 활용한 부착식 내,외장 마감재를 구조체의 표면에 압착시킨 상태에서 돌출된 고정철망 상부에 고정 철물을 박아 고정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방법을 첨부한 도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우선 자연석 절단체로 이루어진 마감본체(10)의 이면에 고정철망(20-2)가 일체로 부착된 자연석 마감재(1)를 필요한 수만큼 준비하는데, 이와 같은 자연석 마감재(1)에 부착되는 고정철망(20-2)은 외부에서 부착된 상태로 반입하거나 마감본체(10)만을 따로 반입한 후 고정철망(20-2)을 현장에서 부착함으로써 준비할 수 있음은 앞서 설명한 방식들에서와 유사하다.
다음으로는 상기와 같이 준비된 자연석 마감재(1)의 이면에 구조체와의 접착을 위하여 시멘트 몰탈 등의 접착제를 도포하며, 이와 같이 접착제가 도포된 자연석 마감재(1)를 이미 시공된 다른 자연석 마감재(1)들의 배치 상태를 고려하여 적절한 위치에 압착 고정한다. 다음으로는 상기와 같이 배치된 자연석 마감재(1)의 마감본체(10) 주위로 돌출된 고정철망(20-2)의 상부에 태커(도시되지 않음)와 같은 공구를 이용하여 고정 철물(H)을 박아 고정할 수 있도록 한다. 이 때, 상기 고정 철물(H)은 부착하는 자연석 마감재(1)의 무게나 크기 등을 감안하여 부착 위치에서탈락되거나 유동되지 않도록 필요한 위치에 적절한 수를 박게 되는데,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철망(20-2)의 최소한 네 꼭지점 주위로 박는 것이 안정적일 것이다.
이후로는 상기와 같은 방식에 따라 구조체의 전면에 자연석 마감재(1)를 부착해 나가며, 이들 마감재 사이에는 줄눈 시공을 하여 마무리할 수 있음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다.
이상에서 본 고안은 기재된 실시예들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되었으나,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에서 설명된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가지 치환, 부가 및 변형이 가능할 것임은 당연한 것으로,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 형태들 역시 아래에 첨부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하여지는 본 고안의 보호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상세하게 설명한 본 고안에 의하면 시공된 마감면이 자연석을 쌓아올린 것과 동일한 외관을 가질 수 있으면서도 실제로 자연석을 쌓아 올리는 것에 비하여 월등히 적은 노력과 비용으로 시공이 가능하므로 시공성 및 경제성 등의 면에서 유리한 효과를 나타내게 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자연석 마감재는 얇은 두께로 시공이 가능하므로 차지하는 공간이 적으며, 실외뿐 아니라 실내 인테리어용으로도 사용이 가능함과 동시에 벽체의 시공에만 한정되지 않고 바닥이나 천정 등 시공 부위에 관계 없이 사용이 가능하다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고안에 의하면 구조체에의 부착 작업에 있어서 시멘트 몰탈과 같은 통상의 접착 수단과 더불어 못이나 태커와 같은 고정 철물을 사용하여 고정할 수 있으므로 시공 후 탈락의 위험이 없고, 작업 중에는 몰탈 등이 충분히 경화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작업을 진행할 수 있어 작업 기간을 대폭 단축시킬 수 있게 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Claims (5)

  1. 구조체의 표면에 다수개가 부착되어 마감층을 이루는 마감용 자재로서,
    가공되지 않은 한 덩어리의 자연석을 표면으로부터 소정 두께만큼 절단해내어 전면은 자연석 표면을, 이면은 평활면을 갖도록 한 마감본체; 및,
    상기 마감본체의 평활면에 일체로 부착되며 상부에 고정철물을 박을 수 있도록 상기 마감본체의 외측으로 소정 길이만큼 돌출되게 부착되는 돌출 고정부;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자연석을 활용한 부착식 내,외장 마감재.
  2. 제1항에서, 상기 돌출 고정부는 띠판 형태의 고정 스트립을 사용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연석을 활용한 부착식 내,외장 마감재.
  3. 제2항에서, 상기 고정스트립의 재질은 스테인레스 스틸 또는 동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연석을 활용한 부착식 내,외장 마감재.
  4. 제1항에서, 상기 돌출 고정부는 고정철망을 사용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연석을 활용한 부착식 내,외장 마감재.
  5.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상기 돌출 고정부는 접착용 에폭시에 의하여 상기 마감본체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연석을 활용한 부착식 내,외장 마감재.
KR20-2003-0036613U 2003-11-24 2003-11-24 자연석을 활용한 부착식 내,외장 마감재 KR20034259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6613U KR200342590Y1 (ko) 2003-11-24 2003-11-24 자연석을 활용한 부착식 내,외장 마감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6613U KR200342590Y1 (ko) 2003-11-24 2003-11-24 자연석을 활용한 부착식 내,외장 마감재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83536A Division KR20050049798A (ko) 2003-11-24 2003-11-24 자연석을 활용한 부착식 내,외장 마감재 및 이를 이용한마감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42590Y1 true KR200342590Y1 (ko) 2004-02-18

Family

ID=494251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36613U KR200342590Y1 (ko) 2003-11-24 2003-11-24 자연석을 활용한 부착식 내,외장 마감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4259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6265A (ko) 2017-07-10 2019-01-18 (주)남영산업 스톤타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6265A (ko) 2017-07-10 2019-01-18 (주)남영산업 스톤타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RE47694E1 (en) Wall panel
EP1395720B1 (en) Panel, kit and method for forming a stone masonry wall
US20100005757A1 (en) Snap together floor structure
AU2002302249A1 (en) Panel, kit and method for forming a masonry wall
CN106760146A (zh) 一种建筑用装配式瓷陶砖及使用该瓷陶砖的建筑工艺
KR20110064350A (ko) 석재 접합식 타일
EP1726731A2 (en) Prefabricated panel for construction of walls
US20070234664A1 (en) Method of forming a decorative concrete wall
KR200342590Y1 (ko) 자연석을 활용한 부착식 내,외장 마감재
CN106499088B (zh) 一种废砖饰面预制保温外墙板及其制作方法
KR20050049798A (ko) 자연석을 활용한 부착식 내,외장 마감재 및 이를 이용한마감 방법
KR200226499Y1 (ko) 건축용 부착식 마감재
JPH07504240A (ja) 成形レンガと軽量支持骨組とからなる建築システム
US7749346B1 (en) Decorative inlay repair method
KR101104311B1 (ko) 패널형 줄눈 인조석과 시공방법 및 제조방법
US20040172902A1 (en) Plant-on building enhancement
KR100821338B1 (ko) 건축물 벽체의 기와 장식물 및 그 시공 방법
EP1426517A3 (en) Precast reinforced concrete panel with the visible side made of natural stone or the like
JPH02308061A (ja) タイル付き有孔板とその製造方法
RU222184U1 (ru) Опорный столб ограждения
KR101203123B1 (ko) 에스엠씨 쪽매식 대리석
CN210767579U (zh) 一种墙面抗裂结构
CN201794259U (zh) 钢质架空活动地板块
AU2006100786A4 (en) A Panel
JPH10252242A (ja) 面化粧構造および面化粧工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