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21338B1 - 건축물 벽체의 기와 장식물 및 그 시공 방법 - Google Patents

건축물 벽체의 기와 장식물 및 그 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21338B1
KR100821338B1 KR1020070137399A KR20070137399A KR100821338B1 KR 100821338 B1 KR100821338 B1 KR 100821338B1 KR 1020070137399 A KR1020070137399 A KR 1020070137399A KR 20070137399 A KR20070137399 A KR 20070137399A KR 100821338 B1 KR100821338 B1 KR 1008213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le
plate
wall
fixed
epox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373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황평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성종합기술단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성종합기술단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성종합기술단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10200701373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2133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213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213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71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having an ornamental or specially shaped visible surfac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62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composed of a number of elements which are identical or not, e.g. carried by a common web, support plate or gri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물 벽체의 기와 장식물 및 그 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기와장식을 현장에서 직접 하지 않고, 미리 만들어둔 기와장식판을 사용하여 간편하게 시공할 수 있으며, 미려하고 자연친화적으로 벽체를 장식할 수 있게 한 건축물 벽체의 기와 장식물 및 그 시공 방법에 관한 것이며, 현장에서 고정하도록 미리 제작된 기와장식판(10)이 설치벽면에 고정되고, 기와장식판(10)은 사각의 베이스판(20)에 문양기와(30) 또는 식생기와(40)가 에폭시(32)로 고정되며, 문양기와(30)는 다수개의 절단된 기와조각(31)의 단부에 에폭시(32)를 도포하여 베이스판(20)에 일정모양을 가지도록 부착되고, 식생기와(40)는 기와조각(41)으로 상부가 개방된 식생공간부(42)가 형성되도록 각각의 기와조각(41)이 에폭시로 고정되며, 베이스판(20)의 사이에는 황토(28)로 매지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황토, 기와장식, 문양기와, 식생기와, 조립

Description

건축물 벽체의 기와 장식물 및 그 시공 방법{An ornamental roofing tile on a wall in construction and its constructing method}
본 발명은 건축물 벽체의 기와 장식물 및 그 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기와장식을 현장에서 직접 하지 않고, 미리 만들어둔 기와장식판을 사용하여 간편하게 시공할 수 있으며, 미려하고 자연친화적으로 벽체를 장식할 수 있게 한 건축물 벽체의 기와 장식물 및 그 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의 외장 석공사에서 외벽용 기재로서는 벽돌, 화강암, 또는 대리석 등의 석재패널이 장식재로 많이 사용되고, 이러한 석재패널은 인장강도가 약해서 석재패널과 건물벽에 시멘트, 모르타르를 부어 시공하였으나 요즈음에는 석재판의 내구성을 높일 수 있도록 시공이 용이한 건식 장식재 고정구로 시공하는 건식공법(Dry system, Drywall fixing)을 이용하는 추세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화강암이나 대리석 등의 석재패널을 장식재로 이용하여 건물의 외벽을 시공하는 경우 자체중량이 무거워서 시공이 까다롭고, 시공작업시간이 오래 걸리며, 시공후에도 지나친 하중이 작용하여 조그만 실수에 의해서도 건물 외벽에 균열이 발생하여 재시공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도출되었으며, 비용에 있어서 도 장식재인 석재패널이 고가이므로 건물의 건축비가 과다하게 소용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건축물의 내,외벽을 시공하는 경우에는 다년간 의 경험과 기술을 습득하고 있는 기술자만이 시공할 수 있으므로 기술인력을 수급하기에 매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근래에는 소비자들의 기호에 의해서 건축물의 리노베이션(Renovation)이 증가하는 추세이므로 과다한 비용을 소비하지 않고도 건물의 내,외벽을 깔끔하고, 외관을 다양하게 시공할 수 있는 장식재의 시공방법이 필요하게 되었다.
최근에는 다양화된 외벽 장식중에 하나로서, 자연스런 모습을 보여주기 위해 기와를 사용하여 외벽 및 내벽을 장식하고 있는데 이와 같이 기와를 이용하여 장식하는 방법은 도 20과 도 21에 도시되어 있다.
우선 기와(1)를 여러개의 작은 기와조각(2)을 쪼개어 분리시키고, 기와장식을 할 설치벽면(4)에 받침틀(3)을 설치하며, 받침틀(3) 내부의 하부부터 차례로 적층하여 장식무늬를 만든다. 이때 기와조각(2)을 적층할 때 단부에 몰타르(5)를 묻혀 설치벽면(4)에 고정하게 된다.
하지만 이러한 방식으로 시공을 하게 되면, 현장에서 일일이 모양에 따라 기와조각(2)을 만들어야 하고, 그 기와조각(2)을 적층해야 하므로 많은 시간과 노력이 필요할 뿐만 아니라 작업하는 사람의 숙련도에 따라 모양이 천차만별이 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통일된 느낌을 줄 수 없고, 적층하는 사람에 따라 불규칙한 모양을 만들어 제대로 된 심미감을 줄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또한 현장에서 기와 장식을 할 경우에 현장의 상황이나 조건상에서 다양한 모양을 만들지 못하고, 기와조각(2)을 쌓아 무지개 모양의 무늬 형상만 만드는 것이 대부분이다.
따라서 현장에서 기와 장식을 하려면 많은 시간과 인력이 소요되어 공사비가 증대되고, 공사시간이 늘어나 더욱 비용이 증대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기와장식물을 미리 대리석이나 기와판체와 같은 베이스판에 부착하여 기와장식판을 형성하고, 기와 장식판을 벽체에 못으로 고정한 다음 각각의 기와장식판과의 사이에 황토로 매지(틈새 매움)하여 자연스런 경관을 더욱 잘 나타나게 하며, 고정시킨 못 등이 보이지 않게 하는 건축물 벽체의 기와 장식물 및 그 시공 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목적이 있다.
또한 기와의 다른 심미감을 주기위해 음각 형태를 구현하는 기와장식판을 두고, 이를 시공하는 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목적이 있다.
기와장식물을 미리 기와장식판 형태로 공장에서 만들어와 현장에서는 타일 붙이듯이 부착만 하여 공사가 간편하고 비용이 절감되게 하고자 하는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건축물의 벽체에 설치되는 기와장식물에 있어서, 현장에서 고정하도록 미리 제작된 기와장식판(10)이 설치벽면에 고정되고, 기와장식판은 사각의 베이스판에 문양기와 또는 식생기와가 에폭시로 고정되며, 문양기와는 다수개의 절단된 기와조각의 단부에 에폭시를 도포하여 베이스판에 일정모양을 가지도록 부착되고, 식생기와는 기와조각으로 상부가 개방된 식생공간부가 형성되도록 각각의 기와조각이 에폭시로 고정되며, 베이스판의 사이에는 황토로 매지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베이스판은 사각의 기와판체로서, 기와판체의 4곳 모서리에 홀이 형성되어 고무부시에 끼워진 못으로 고정되고, 기와판체의 전면에 단차부가 형성되어 기본 판체보다 두껍게 형성되며, 단차부 전면에 문양기와 또는 식생기와가 에폭시로 고정되고, 각각의 기와판체의 전면에서 단차부들 사이에 형성되는 홈 부분에 황토가 매지되어 마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벽체의 기와 장식물. 및 현장에서 고정하도록 미리 제작된 기와장식판이 설치벽면에 고정되고, 기와장식판은 사각의 베이스판에 문양기와가 에폭시로 고정되며, 문양기와는 다수개의 절단된 기와조각의 단부에 에폭시를 도포하여 베이스판에 일정모양을 가지도록 부착되고, 베이스판의 전면에 단차부가 형성되며, 단차부의 전면 둘레를 따라 테두리판이 에폭시로 고정되고, 테두리판의 내부와 문양기와 사이에 황토로 채워지며, 테두리판의 외측면 사이에 황토가 채워져 음각으로 보여지도록 문양기와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벽체의 기와 장식물. 및 건축물의 벽체에 설치되는 기와장식물의 시공방법에 있어서, 찰흙을 반죽해서 구워진 기와를 일정 모양이 되도록 조각낸 기와조각으로 문양기와 또는 식생기와 형상을 이루고, 사각의 판체 형상을 이루되 모서리 네곳에 홀이 형성된 기와판체를 기와로 구워 베이스판으로 구비하며, 기와조각의 단부에 에폭시를 도포하여 일정 형상이 되도록 베이스판에 고정하여 설치 현장으로 운반하는 기와장식판 공장제작단계; 현장의 설치 벽면에 기와장식판을 대고, 기와장식판의 홀에 못을 박되 못과 기와장식판 사이에 고무부시가 끼워져 충격에 의한 파손을 방지하게 하는 기와장식판 고정단계; 고정된 기와장식판의 사이에 황토를 채워 매지하는 황토 매지 형성단계; 를 포함하고, 기와를 미리 공장에서 베이스판에 고정하여 문양을 만든 후 현장에서 못으로 고정하여 간편하게 고정하며, 기와장식판 사이의 틈을 황토로 매지하여 황토 분위기를 내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벽체에 설치되는 기와장식물의 시공방법을 제공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다양한 문양의 문양기와를 베이스판에 에폭시로 고정하여 공장제작하므로 현장에서는 공장제작된 기와장식판을 못으로 고정하고 틈을 황토 매지를 하여 아주 빠른 시간에 시공이 마무리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기와를 사용하여 다양한 문양을 표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을 뿐만 아니라 식생기반대를 기와로 만들어 친환경적인 벽체 장식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실시예로 음각방식의 기와 문양을 만들 수 있어 특이한 심미감을 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하여서는 되지 않고,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은 종래에 현장에서 직접 기와장식을 하여 시간이 과다하게 소요되어 시공비가 증대되고, 기와장식이 불규칙하게 형성되어 심미감을 떨어뜨리는 문제를 해결하도록 현장에서 만들기 어려운 형상으로도 구성할 수 있는 기와장식판(10)(10')을 미리 제작하여 현장에서는 단지 설치벽면에 고정과 황토(28)로 매지를 하면 기와장식이 끝나게 되는 건축물 벽체의 기와 장식물 및 그 시공 방법을 그 주요 구성으로 한다.
본 발명의 기와 장식물은 여러가지의 실시예를 가지고 있는데, 그 첫번째로 양각형태로 문양기와(30)가 표시되게 하고, 식생기와(40)를 중간 중간 넣어 친 자연적 디자인을 이루로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와장식물은 우선 기와장식판(10)이 설치벽면에 고정되어 이루어지는데, 현장에서 고정할 수 있도록 미리 공장에서 제작되어진 기와장식판(10)이 설치벽면에 못(26)과 에폭시(27)로 고정된다. 우선 기와장식판(10)을 이루는 베이스판(20)에 형성되는 홀(22)의 주위로 배면에 에폭시(27)를 도포하여 설치벽면에 붙히고 타커로 못(26)을 쏴 완전하게 고정한다. 이때 못(26)이 박히는 충격력을 완화하기 위해 못(26)에 고무부시(25)를 끼운다.
기와장식판(10)은 사각의 베이스판(20)에 문양기와(30) 또는 식생기와(40)를 에폭시(32)로 부착하여 이루어지는데, 문양기와(30)는 다수개의 절단된 기와조각(31)을 적층하여 여러가지 모양을 만든다. 이때 문양기와(30)는 꽃모양이나 전등모양 등 다양한 모양으로 만들 수 있다. 이러한 문양을 만들도록 설계하여 그 문양 을 이루는 조각으로 기와조각(31)을 만들고 기와조각(31)의 단부에 에폭시(32)를 묻혀 베이스판(20)에 고정한다.
식생기와(40)는 기와조각(41)으로 상부가 개방된 식생공간부(42)가 형성되도록 각각의 기와조각(41)을 에폭시로 고정한다. 식생기와(40)를 이루는 기와조각(41)은 우선 바닥판이 있고, 바닥판 둘레를 따라 식생공간부(42)를 이루도록 테두리 조각이 형성되는 것으로 만드는 것이 일반적이다.
테두리조각과 바닥판은 각각 에폭시로 서로 고정되고, 바닥판 후단은 베이스판(20)에 에폭시로 고정된다. 에폭시의 접착력에 의해 충분한 지지가 되지만 바닥판의 완벽한 지지를 위해 바닥판 저면과 베이스판(20)에 맞닿아 지지되도록 직삼각형 지지판을 부착하여 고정할 수 있다.
이러한 식생기와(40)의 식생공간부(42)에는 흙을 충진하고, 흙에 식물을 심어 장식하고자 하는 벽면을 살아있는 식물로 장식할 수 있다.
그리고 베이스판(20)은 사각의 기와판체(21)로서, 기와판체(21)의 4곳 모서리에 홀(22)이 형성되어 고무부시(25)에 끼워진 못(26)으로 고정되고, 기와판체(21)의 전면에 단차부(23)가 형성되어 기본 판체보다 두껍게 형성된다. 베이스판(20)의 단차부(23) 4곳 모서리에 호형홈(24)이 형성되어 못(26)을 홀(22)에 박아넣기 편하게 한다.
이 단차부(23) 전면에 문양기와(30) 또는 식생기와(40)가 에폭시로 고정되고, 각각의 기와판체(21)의 전면에서 단차부(23)들 사이에 형성되는 홈 부분에 황토(28)가 매지되어 마감된다.
따라서 기와와 황토가 어울려 더욱 나은 심미감을 줄 수 있다.
이러한 기와장식판(10)의 베이스판(20')을 다른 실시예로 기와판체(21)가 아닌 대리석판체(21')로 만들 수 있는데, 사각의 대리석판체(21')의 전면에 마찬가지로 문양기와(30) 또는 식생기와(40)가 선택적으로 에폭시로 고정된다.
대리석판체(21')는 단턱부가 없으므로 별도의 황토매지를 하지 않는다. 그리고 대리석판체(21')를 못으로 고정하지 않고, 대리석판체(21') 배면에 에폭시를 전체적으로 도포하여 설치벽면에 고정한다.
따라서 대리석판체(21')의 미려한 문양과 문양기와(30)의 형상이 조화를 이루면서 심미감을 준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기와장식판(10')이 있는데, 이 기와장식판(10')은 음각의 분위기를 내도록 고안된 것으로서, 마찬가지로 현장에서 고정하도록 미리 제작된 기와장식판(10')이 설치벽면에 고정된다.
기와장식판(10')은 사각의 베이스판(20")에 문양기와(30)가 에폭시(32)로 고정되며, 문양기와(30)는 다수개의 절단된 기와조각(31)의 단부에 에폭시(32)를 도포하여 베이스판(20")에 일정모양을 가지도록 부착된다.
이때 베이스판(20")의 전면에 단차부(23')가 형성되고, 단차부(23')의 전면 둘레를 따라 테두리판(29)이 에폭시로 고정된다. 테두리판(29)은 다수개의 직사각형 기와조각으로 형성하되, 전체적으로 사각형 그릇 모양으로 형성되므로 그 내부에 황토(28)를 채운다. 이러한 테두리판(29)은 문양기와(30)의 전단까지 황토를 채워야 하는데, 황토가 흘러내리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나중에 문양기 와(30) 둘레에 사각형 테두리 모양을 보여주는 미감을 주기도 한다.
즉 테두리판(29)의 내부와 문양기와(30) 사이에 황토(28)로 채워지고, 테두리판(29)의 외측면 사이에 황토(28)가 채워져 음각무늬로 문양기와(30)가 보여지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건축물의 벽체에 설치되는 기와장식물의 시공방법은, 크게 기와장식판 공장제작단계(100), 기와장식판 고정단계(110), 황토 매지 형성단계(120)로 이루어진다.
기와장식판 공장제작단계(100)는 찰흙을 반죽해서 구워진 기와를 일정 모양이 되도록 기와조각(31)으로 만드는 단계를 거치는데, 이때 기와조각(31)은 이루고자 하는 형상을 만들기 위한 크기로 미리 설계되어 절단되거나 처음부터 구워져 나온다.
만들어진 기와조각(31)으로 문양기와(30) 또는 식생기와(40) 형상을 설계하여 이루고, 미리 구워진 사각 판체 형상의 기와판체(21)에 부착한다.
이때 기와판체(21)는 사각의 판체 형상을 이루되 모서리 네곳에 홀(22)이 형성된 형태로 구워 베이스판(20)으로 구비하고, 기와조각(31)의 단부에 에폭시(32)를 도포하여 일정 형상이 되도록 베이스판(20)에 고정한다.
만들어진 기와장식판은 설치 현장으로 운반하여 기와장식판 고정단계(110)를 거치게 된다.
기와장식판 고정단계(110)는 우선 현장의 설치 벽면에 기와장식판(10)을 대고, 에폭시(27)를 미리 홀(22) 배면에 도포하여 일차고정을 한다. 그리고 기와장식 판(10)의 홀(22)에 못(26)을 박되 못(26)과 기와장식판(10) 사이에 고무부시(25)가 끼워져 충격에 의한 파손을 방지하게 한다. 이때 못(26)은 타커(못박는 기계)를 사용하여 박게 되므로 간편하게 고정할 수 있다.
그 다음에 황토 매지 형성단계(120)를 거치는데, 기와장식판(10)을 고정하게 되면, 단차부(23)에 의하여 높이 차가 발생하고 기와장식판(10)들의 사이에 틈이 발생하는데, 이러한 곳에 단차부(23) 상면 높이까지 황토를 채워 매지한다.
음각으로 보여지게 하는 기와장식판(10')을 고정하는 실시예에서는 테두리판(29)의 전단부까지 황토(28)를 채운다.
따라서 자연적으로 못(26)이 외부에서 황토에 의해 가려져 심미적 느낌이 더욱 증대된다. 이러한 황토 분위기는 문양기와(30)와 식생기와(40)와 같은 장식부와 조화롭게 되어 더욱 심미감을 준다.
도 1은 본 발명의 건축물 벽체의 기와 장식물 및 그 시공 방법에 사용하는 문양기와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건축물 벽체의 기와 장식물 및 그 시공 방법에 사용하는 문양기와의 배면을 도시한 사시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건축물 벽체의 기와 장식물 및 그 시공 방법에 사용하는 기와 장식판을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건축물 벽체의 기와 장식물 및 그 시공 방법에 사용하는 기와장식판의 배면을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건축물 벽체의 기와 장식물이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건축물 벽체의 기와 장식물이 설치되어 황토매지가 고정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건축물 벽체의 기와 장식물의 시공방법을 도시한 공정도.
도 9는 본 발명의 건축물 벽체의 기와 장식물이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건축물 벽체의 기와 장식물의 실시예인 음각형 기와장식판을 도시한 사시도.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의 건축물 벽체의 기와 장식물의 실시예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의 건축물 벽체의 기와 장식물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15는 본 발명의 건축물 벽체의 기와 장식물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16은 본 발명의 건축물 벽체의 기와 장식물이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17은 도 15의 기와장식판이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18 및 도 19는 본 발명의 건축물 벽체벽체 장식물이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
도 20 및 도 21은 종래의 기와장식물을 설치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
1 : 기와 2 : 기와조각
3 : 받침틀 4 : 설치벽면
5 : 몰타르 10 : 기와장식판
20, 20' : 베이스판 21 : 기와판체
21' : 대리석판체 22 : 홀
23 : 단차부 24 : 호형홈
25 : 고무부시 26 : 못
27 : 에폭시 28 : 황토
29 : 테두리판 30 : 문양기와
31 : 기와조각 32 : 에폭시
40 : 식생기와 41 : 기와조각
42 : 식생공간부
100 : 기와장식판 공장 제작 및 현장 운반단계
110 : 기와장식판 고정단계
120 : 황토 매지 형성단계

Claims (5)

  1. 건축물의 벽체에 설치되는 기와장식물에 있어서,
    현장에서 고정하도록 미리 제작된 기와장식판(10)이 설치벽면에 고정되고, 기와장식판(10)은 사각의 베이스판(20)에 문양기와(30) 또는 식생기와(40)가 에폭시(32)로 고정되며, 문양기와(30)는 다수개의 절단된 기와조각(31)의 단부에 에폭시(32)를 도포하여 베이스판(20)에 일정모양을 가지도록 부착되고, 식생기와(40)는 기와조각(41)으로 상부가 개방된 식생공간부(42)가 형성되도록 각각의 기와조각(41)이 에폭시로 고정되며, 베이스판(20)의 사이에는 황토(28)로 매지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벽체의 기와 장식물.
  2. 제 1 항에 있어서, 베이스판(20)은 사각의 기와판체(21)로서, 기와판체(21)의 4곳 모서리에 홀(22)이 형성되어 고무부시(25)에 끼워진 못(26)으로 고정되고, 기와판체(21)의 전면에 단차부(23)가 형성되어 기본 판체보다 두껍게 형성되며, 단차부(23) 전면에 문양기와(30) 또는 식생기와(40)가 에폭시로 고정되고, 각각의 기와판체(21)의 전면에서 단차부(23)들 사이에 형성되는 홈 부분에 황토가 매지되어 마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벽체의 기와장식물.
  3. 삭제
  4. 건축물의 벽체에 설치되는 기와장식물에 있어서,
    현장에서 고정하도록 미리 제작된 기와장식판(10')이 설치벽면에 고정되고, 기와장식판(10')은 사각의 베이스판(20")에 문양기와(30)가 에폭시(32)로 고정되며, 문양기와(30)는 다수개의 절단된 기와조각(31)의 단부에 에폭시(32)를 도포하여 베이스판(20")에 일정모양을 가지도록 부착되고, 베이스판(20")의 전면에 단차부(23')가 형성되며, 단차부(23')의 전면 둘레를 따라 테두리판(29)이 에폭시로 고정되고, 테두리판(29)의 내부와 문양기와(30) 사이에 황토(28)로 채워지며, 테두리판(29)의 외측면 사이에 황토(28)가 채워져 음각으로 보여지도록 문양기와(30)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벽체의 기와 장식물.
  5. 건축물의 벽체에 설치되는 기와장식물의 시공방법에 있어서,
    찰흙을 반죽해서 구워진 기와를 일정 모양이 되도록 조각낸 기와조각(31)으로 문양기와(30) 또는 식생기와(40) 형상을 이루고, 사각의 판체 형상을 이루되 모서리 네곳에 홀(22)이 형성된 기와판체(21)를 기와로 구워 베이스판(20)으로 구비하며, 기와조각(31)의 단부에 에폭시(32)를 도포하여 일정 형상이 되도록 베이스판(20)에 고정하여 설치 현장으로 운반하는 기와장식판 공장제작단계(100);
    현장의 설치 벽면에 기와장식판(10)을 대고, 기와장식판(10)의 홀(22)에 못(26)을 박되 못(26)과 기와장식판(10) 사이에 고무부시(25)가 끼워져 충격에 의한 파손을 방지하게 하는 기와장식판 고정단계(110);
    고정된 기와장식판(10)의 사이에 황토를 채워 매지하는 황토 매지 형성단계(12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벽체에 설치되는 기와장식물의 시공방법.
KR1020070137399A 2007-12-26 2007-12-26 건축물 벽체의 기와 장식물 및 그 시공 방법 KR1008213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7399A KR100821338B1 (ko) 2007-12-26 2007-12-26 건축물 벽체의 기와 장식물 및 그 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7399A KR100821338B1 (ko) 2007-12-26 2007-12-26 건축물 벽체의 기와 장식물 및 그 시공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21338B1 true KR100821338B1 (ko) 2008-04-11

Family

ID=395345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37399A KR100821338B1 (ko) 2007-12-26 2007-12-26 건축물 벽체의 기와 장식물 및 그 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2133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2102B1 (ko) * 2009-12-16 2010-07-23 장훈 건축물 벽체의 장식물
KR101736029B1 (ko) * 2017-02-27 2017-05-15 박중언 건축물 외장용 금속패널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7401Y1 (ko) 1999-06-25 2000-02-15 정진욱 패각 고유의 색깔을 유지할 수 있는 분말, 판상 또는 무정형 패각입자 집합체를 접착한 판넬
KR200275016Y1 (ko) 2002-02-18 2002-05-09 박영건 건물 외장용 꽃 패널
KR20030033813A (ko) * 2001-10-25 2003-05-01 신흥호 폐자재를 이용한 인테리어 소품
KR200399770Y1 (ko) 2005-06-21 2005-10-28 이경환 모자이크 식 시공 판 및 압착 핀을 접착한 내.외장재.
KR100623636B1 (ko) 2005-04-20 2006-09-19 김순호 양단볼트를 이용한 건물 외벽의 패널 고정구조 및 고정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7401Y1 (ko) 1999-06-25 2000-02-15 정진욱 패각 고유의 색깔을 유지할 수 있는 분말, 판상 또는 무정형 패각입자 집합체를 접착한 판넬
KR20030033813A (ko) * 2001-10-25 2003-05-01 신흥호 폐자재를 이용한 인테리어 소품
KR200275016Y1 (ko) 2002-02-18 2002-05-09 박영건 건물 외장용 꽃 패널
KR100623636B1 (ko) 2005-04-20 2006-09-19 김순호 양단볼트를 이용한 건물 외벽의 패널 고정구조 및 고정방법
KR200399770Y1 (ko) 2005-06-21 2005-10-28 이경환 모자이크 식 시공 판 및 압착 핀을 접착한 내.외장재.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2102B1 (ko) * 2009-12-16 2010-07-23 장훈 건축물 벽체의 장식물
CN102102431A (zh) * 2009-12-16 2011-06-22 张勋 用于建筑物墙的装饰品
WO2011074801A3 (ko) * 2009-12-16 2011-10-20 Jang Hun 건축물 벽체의 장식물
CN102102431B (zh) * 2009-12-16 2014-02-19 张勋 用于建筑物墙的装饰品
KR101736029B1 (ko) * 2017-02-27 2017-05-15 박중언 건축물 외장용 금속패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6283541A (ja) 貼着仕上げ材の下地部材本体と、その貼着仕上げ材の下地部材本体を使用した仕上げ工法。
US10753092B1 (en) Fiber reinforced surface covering
US20040128932A1 (en) Foam wall system
KR100821338B1 (ko) 건축물 벽체의 기와 장식물 및 그 시공 방법
GB2525249A (en) Flexible cladding, wrap, system and methods
KR200400438Y1 (ko) 벽체전면부에 문양이 형성된 옹벽
US7749346B1 (en) Decorative inlay repair method
US20120124935A1 (en) Beauty brick faux brick facade
KR100972102B1 (ko) 건축물 벽체의 장식물
KR100943672B1 (ko) 크랙이 형성된 인공암석의 제조방법
SK500452012U1 (sk) Construction method for creating simulated surface finish construction and equipment for the implementation of this method
CN107953717B (zh) 一种利用天然彩色土制作建筑装饰挂板的方法
KR20090008171A (ko) 건축용 황토판넬.
KR101499110B1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외면에 간단하게 문양을 형성하는 방법
EP1426517A3 (en) Precast reinforced concrete panel with the visible side made of natural stone or the like
KR200373360Y1 (ko) 장식용 타일
CN202969836U (zh) 耐磨防水木地砖
AU2006230714A1 (en) Polystyrene Structures
KR100821903B1 (ko) 건축물 벽체의 조립식 기와장식 구조
CN101343917B (zh) 绿色环保装饰材料及其制造方法
KR200342590Y1 (ko) 자연석을 활용한 부착식 내,외장 마감재
US1647181A (en) Wall ornamentation
KR100467658B1 (ko) 골재 패널
JPH10252242A (ja) 面化粧構造および面化粧工法
KR200311267Y1 (ko) 건물 외벽 치장용 샌드위치 판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1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0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3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