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04308A - 엘보우 동축 전기 컨넥터 및 그러한 컨넥터의 조립 방법 - Google Patents

엘보우 동축 전기 컨넥터 및 그러한 컨넥터의 조립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4308A
KR20110004308A KR1020100064473A KR20100064473A KR20110004308A KR 20110004308 A KR20110004308 A KR 20110004308A KR 1020100064473 A KR1020100064473 A KR 1020100064473A KR 20100064473 A KR20100064473 A KR 20100064473A KR 20110004308 A KR20110004308 A KR 201100043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eeve
connector
casing
crimping
coax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644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세바스티앙 안네퀸
크리스토퍼 샤반느
Original Assignee
라디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라디알 filed Critical 라디알
Publication of KR201100043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430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38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 H01R24/4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specially adapted for high frequency
    • H01R24/54Intermediate parts, e.g. adapters, splitters or elbow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3/00Two po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03Connector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the conductors of a multiconductor cable, e.g. tapping connections
    • H01R9/05Connector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the conductors of a multiconductor cable, e.g. tapping connections for coaxial cables
    • H01R9/0518Connection to outer conductor by crimping or by crimping ferrul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002Electrical device making
    • Y10T29/49117Conductor or circuit manufacturing
    • Y10T29/49174Assembling terminal to elongated conductor
    • Y10T29/49181Assembling terminal to elongated conductor by deforming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결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연결 조립체는 동축 케이블의 중앙 도체(conductor)과 크림핑되도록(crimped)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크림핑부(crimping portion)가 마련된 중앙 접점(contact), 중앙 접점의 크림핑부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그 위에 적용된(applied) 상면(upper face)을 가진 베어링부(bearing portion)를 포함하는 절연 요소(insulating element), 및 절연 요소를 수납하는 본체를 구비하며, 동축 케이블에 장착되도록 구성된 엘보우(elbow) 동축 전기 컨넥터; 내부에 속이 빈 케이싱; 및 슬리브의 제1 축을 따라 연장하고 케이싱 내부에 수납되도록 구성된 제1 관상부(tubular portion), 및 슬리브의 제2 축을 따라 연장하고 동축 케이블에 장착된 동축 컨넥터를 수납하도록 구성된 하우징을 포함하는 엘보우 슬리브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엘보우 동축 전기 컨넥터 및 그러한 컨넥터의 조립 방법{Elbow coaxial electric connector and method to assemble such a connector}
본 발명은 동축 케이블에 장착된 엘보우 동축 전기 컨넥터를 구비하는 연결 조립체 및 조립체의 조립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보다 상세하게, FAKRA(자동차 전문가 그룹) 및 USCAR 표준에 특히 적합한, 자동차 시장용 연결 조립체들에 적용된다.
본 출원인의 유럽특허 제EP 1 653 574호는 동축 케이블의 중심 도체(central conductor) 위에 컨넥터의 중앙 접점이 크림핑 가공에 의해 동축 케이블에 장착된 직선 동축 전기 컨넥터를 개시한다.
독일 출원 제DE 10 2004 041809호 및 독일 출원 제DE 20 2008 014409호는 동축 케이블에 그 직선 중앙 접점이 장착되어 부가적인 중앙 부분 및/또는 부가적인 체결 부분을 필요로 하는 엘보우 동축 컨넥터들을 개시한다. 독일 출원 제DE 10 2004 041809호에 의해 개시된 동축 컨넥터는 케이싱 내부에 수납되어 있고, 그것은 그 내부에서 슬라이딩 러그(sliding lug)가 잠금 위치에 있는지 여부에 따라 회전할 수 있다. 독일 출원 제DE 20 2008 014409호에 의해 개시된 동축 컨넥터 역시 케이싱 내부에 수납되어 있고, 부가적인 컨넥터가 컨넥터에 연결되어 있는지 여부에 따라 그것을 상대적으로 회전할 수도 있고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
제DE 10 2004 041809호 및 제DE 20 2008 014409호의 출원들에 의해 개시된 해결책들은 상대적으로 많은 수의 부품들을 필요로 하고, 컨넥터 및/또는 조립체와 부가적 조립체의 연결을 포함하는 조립체의 조립은 상대적으로 시간을 낭비하고 조립 비용이 높고 특별한 도구를 필요로 한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착상된 것으로서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들 모두 또는 부분적으로 극복하는 것을 그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들은, 동축 케이블의 중앙 도체에 크림핑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크림핑부가 마련된 중앙 접점, 상기 중앙 접점의 상기 크림핑부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그 위에 적용되는 상면(upper face)을 가진 베어링부를 구비하는 절연 요소, 및 상기 절연 요소를 수납하는 본체를 구비하며, 상기 동축 케이블에 장착되어 있는 엘보우 동축 전기 컨넥터; 내측이 속이 빈 케이싱; 및 슬리브의 제1 축을 따라 연장하고 상기 케이싱 내부에 수납되도록 구성된 제1 관상부(tubular portion), 및 슬리브의 제2 축을 따라 연장하고 상기 동축 케이블에 장착된 상기 동축 컨넥터를 수납하도록 구성된 하우징을 구비하는 엘보우 슬리브를 구비하는 연결 조립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이러한 예시적 실시예들의 연결 조립체는 부품 수가 감소되고 상대적으로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다.
컨넥터의 중앙 접점은 유리하게 L자 형태로 굴곡져 있고, 제DE 10 2004 041호 및 제DE 2008 014 409호의 출원들에 의해 개시된 엘보우 컨넥터들의 중앙 접점들과 달리, 단일의 부품으로 구성된다.
컨넥터의 본체는 유리하게 차폐 브레이드(shiedling braid)와 동축 케이블의 절연 외피(sheath)의 적어도 어느 하나를 크림핑하는 적어도 어느 하나의 크림핑부를 구비한다.
또한, 컨넥터의 본체는 동축 케이블의 내측 절연 외피를 크림핑하는 적어도 하나의 크림핑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들은 유리하게 작업 수가 상대적으로 감소된 상태에서 엘보우 컨넥터에 대한 동축 케이블의 크림핑을 허용한다. 컨넥터의 중앙 접점의 크림핑부 및 컨넥터의 본체의 크림핑부의 적어도 어느 하나는 유리하게 실질적으로 U-모양 또는 V-모양 단면을 구비한다.
유럽특허 제EP 1 653 574호의 개시 내용과 대조적으로, 동축 컨넥터는 절연 요소의 베어링부의 어느 일측에 배치되는 그 어떤 공간을 없앨 수 있고, 중앙 접점의 크림핑부 하부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장할 수 있다. 상기 공간의 결여는 크림핑 시, 보다 더 큰 도구의 통과를 허용하고 따라서 보다 더 많은 저항을 허용한다.
컨넥터의 절연 요소는 유리하게 구성되기 때문에, 컨넥터의 중앙 접점은 베이어닛 접속(bayonet connection)에 의해 거기에 결속되어, 동축 컨넥터의 절연 요소에 있는 중앙 접점의 상대적으로 용이하고 믿을 만한 장착을 허용할 수 있다.
슬리브의 제1 축 및 제2 축은 평행하지 않으며, 유리하게 직교됨으로써 엘보우를 형성한다.
슬리브는 유리하게 단일체 예를 들어, 금속으로 제조된다.
슬리브는 컨넥터의 본체와 다를 수 있으며, 슬리브와 본체는 예를 들어, 분리된 요소들로 구성될 수 있다.
그 외측 옆 표면에 있는 슬리브의 제1 부분은, 유리하게 슬리브의 제1 부분의 적어도 일 부분 위 특히, 그 전체 바깥 둘레 위로 연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그루브를 구비한다.
그 내측 표면에 있는, 슬리브의 제1 부분은, 동축 컨넥터를 슬리브의 제1 부분 내부에 제거가능하게 고정하기 위해, 유리하게 슬리브의 제1 축에 평행하게 연장하고 동축 컨넥터의 본체의 외측 표면에 배열된 탭들과 협력하는 적어도 하나의 슬롯을 구비한다.
케이싱은 세로 축을 따라 연장하고, 프레스-고정 또는 스냅-고정에 의해 슬리브에 케이싱을 유지하기 위해, 슬리브의 제1 부분의 그루브와 협력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탄력성 탭을 구비한다. 탄력성 탭은 그들이 조립될 때 케이싱과 슬리브 사이에 기계적 힘들의 전달을 허용한다.
케이싱은 직선일 수도 있고 아니면 엘보우를 형성하지 않을 수 있다. 그루브의 바닥은 유리하게 슬리브의 제1 축에 평행하게 연장하고, 슬리브의 제1 부분에 대해 케이싱을 위한 인덱싱 수단을 형성할 수 있는 다수의 노치들을 구비한다. 이러한 노치들은 유리하게 슬리브의 제1 부분의 바깥 둘레 주변에 균일하게 배치된다.
그루브는 유리하게 절제부(cut-out)에 의해 분리된 적어도 두 개의 부분들을 구비하는 칼라(collar)에 의해 측방향으로 구획된다. 이러한 칼라는 그들이 조립될 때 슬리브와 케이싱 사이에서 기계적 힘들의 전송에 관여할 수 있다.
그 내측 표면에서, 케이싱은, 유리하게 칼라의 절제부에서의 슬라이딩 및/또는 그루브의 노치에서의 마찰에 의해 유지될 수 있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핀을 구비한다. 핀 또는 핀들은 그들이 조립될 때 케이싱과 슬리브 사이에서 기계적 힘의 전송을 허용할 수 있다.
핀들은 바람직하게 케이싱의 세로 끝단에 또는 그 부근에 배열된다.
슬리브의 칼라는 예를 들어, 3개의 절제부들을 구비하고 케이싱의 내측 표면은 3개의 핀들을 가진다. 핀들과 절제부들 사이의 협력은 케이싱의 탄력성 탭(들)이 슬리브의 제1 부분의 그루브에서 프레스-고정 위치에 도달하는 것을 허용할 수 있고, 이러한 프레스-고정 위치에 도달되면, 케이싱은 그루브의 노치들의 위치들에 상응하는 미리 정의된 각도 위치에서 슬리브의 제1 부분에 대해 회전 운동을 할 수 있다. 케이싱은 핀들과 노치들 사이의 협력에 의해 미리 정의된 각도 위치들에 유지될 수 있다.
케이싱은 바람직하게, 공지된 해결책들에서 흔히 사용되는 탄력성 와셔 타입의 추가적인 부품 또는 플라스틱 부품/탭의 추가 없이, 탄력성 탭(들)에 의한 보유(retaining) 기능 및 핀들에 의한 인덱싱(indexing) 기능을 확보할 수 있다.
케이싱은 바람직하게 다른 연결 조립체의 부가적 케이싱과 결합하기 위한 영역을 구비하고, 이러한 영역은 바람직하게 케이싱의 상면에 위치되어 있다. 이러한 영역은 바람직하게 교차되게, 특히 케이싱의 세로축에 수직되게 연장하는 테(hoop), 및 케이싱의 세로축에 직교하는 축에 대해 케이싱에 회동-장착된 탭을 구비하고, 상기 탭은 바람직하게 테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덮여져 있다. 테는 탭의 세로 끝단에 대향되게 배열된 적어도 하나의 절제부를 구비할 수 있고, 이것은 이러한 목적을 위해 테의 높이를 증가시킬 필요가 없이, 러그의 회동을 위한 만족스러운 이동 진폭을 보장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케이싱의 더 나은 치밀성(compactness)을 제공할 수 있다.
만약, 케이싱이 보충적 형태의 연결 조립체의 케이싱과 연결되지 않으면, 연결 영역에서 탭의 세로축은 바람직하게 케이싱의 세로축에 평형하게 놓여진다.
테와 탭은 케이싱의 나머지 부분과 함께 일체로 제조될 수 있고, 아니면, 변형으로서, 그들은 그곳에 고정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테는 케이싱의 길이의 일 부분 예를 들어, 그 세로 끝단으로부터 케이싱의 길이의 일부분 위로만 연장할 수 있고, 상기 세로 끝단은 그들이 서로 연결될 때 보충적 형태의 연결 조립체의 케이싱과 접촉하게 된다.
조립체는 슬리브의 제2 부분에 배열된 하우징에 가깝게 구성된 잠금 커버를 구비한다.
잠금 커버는 바람직하게 금속성이다. 슬리브와 커버의 구성은 높은 빈도의 누설(leaks)을 제한하여, 슬리브 내부의 컨넥터의 기계적 지지력을 강화한다. 예를 들어, 금속 형태의 슬리브는 바람직하게, 동축 컨넥터의 본체를 둘러싸게 됨으로써, 예를 들어 본체의 구부림에 의한 동축 컨넥터의 열화의 위험성을 감소시키는 한편, 슬리브는 안내(guiding) 기능을 갖고 있기 때문에 보충적 형태의 연결 조립체와의 결합을 용이하게 한다.
잠금 커버는 바람직하게 슬리브에 회동-장착된다.
잠금 커버는 바람직하게 컨넥터가 슬리브의 제2 부분의 하우징에 수납될 때 컨넥터의 본체 위에 지탱되어, 커버가 닫히지 않도록 구성된 탄력성 탭을 구비한다.
컨넥터의 본체 위에 잠금 커버의 탄력성 탭의 지탱은 동축 컨넥터와 전기적 연속성을 확립하여, 접지 접촉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탄력성 탭은 커버의 닫힘을 방해하기 때문에, 충분한 힘이 그 닫힘을 위해 커버에 가해지지 않는 한 커버는 바람직하게 개방되어 유지된다.
슬리브와 커버는 두 개의 분리된 부품들, 바람직하게 금속 형태일 수 있고, 회동 힌지에 의해 연결될 수 있고, 변형으로서, 그들은 특히 탄성 힌지를 구비하는 금속화된 플라스틱 형태의 단일체로 제조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예시적 실시예들은 연결 조립체의 조립 방법을 제공하는 바, 이러한 방법은:
● 케이블, 및 케이블에 장착되도록 구성되며, 동축 케이블의 중앙 도체에 크림핑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크림핑부가 마련된 중앙 접점, 상기 중앙 접점의 상기 크림핑부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그 위에 부착된 상면(upper face)을 가진 베어링부를 구비하는 절연 요소, 및 상기 절연 요소를 수납하는 본체를 구비하는 엘보우 동축 전기 컨넥터를 제공하는 단계;
● 상기 중앙 접점의 상기 크림핑부에서 베어링 표면을 구비하는 크림핑 도구를 사용하여 상기 동축 케이블의 상기 중앙 접점과 상기 동축 케이블의 상기 중앙 도체를 크림핑하는 단계;
● 상기 동축 케이블에 장착된 상기 전기 컨넥터를 적어도 일 부분이 속이 빈 케이싱 내부에 수납된 엘보우 슬리브에 삽입하는 단계; 및
● 상기 전기 컨넥터를 상기 슬리브에 유지시키기 위해 상기 슬리브에 장착된 잠금 커버를 닫는 단계를 포함한다.
속이 빈 케이싱은 프레스-고정에 의해 엘보우 슬리브의 일 부분에 장착될 수 있고, 이러한 케이싱은 슬리브에 대해 회전 운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동축 컨넥터의 중앙 접점에 동축 케이블의 중앙 도체를 클림핑하는 것은 차폐 브레이드, 내측 절연 외피 및 외측 절연 외피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상응하는 동축 컨넥터의 본체의 크림핑부들과 동시적 클림핑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러한 예시적 실시예들의 연결 조립체는 부품 수가 감소되고 상대적으로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러한 예시적 실시예들의 방법은 특히 신속하고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으므로, 엘보우 동축 컨넥터를 구비하는 연결 조립체를 위한 조립 동작, 및 상기 조립체의 어느 하나를 보충적 형태의 조립체에 결합시키는 연결 작업을 간편하게 한다.
본 발명은 실시예들의 비-제한적인 예시들의 이어지는 상세한 설명, 및 첨부된 도면들을 관찰하면서 읽을 때 더 잘 이해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체의 분해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예에 따른 엘보우 동축 컨넥터의 부품들을 도시한다.
도 4는 조립된 엘보우 동축 컨넥터를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 예에 따른 엘보우 슬리브를 나타낸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 예에 따른 케이싱을 설명한다.
도 8 및 도 9는 슬리브에 케이싱을 장착하는 여러 단계들을 도시한다.
도 10은 슬리브에 장착된 케이싱의 정면도이다.
도 11은 개방 위치에서, 슬리브에 장착된 잠금 커버의 단면도이다.
도 12는 동축 케이블에 동축 컨넥터를 장착하는 단계를 설명한다.
도 13 내지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체를 조립하는 단계를 설명한다.
도 17은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케이싱의 평면도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어느 하나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연결 조립체(1)를 묘사한다.
예시에서 설명된 이러한 조립체(1)는 동축 케이블(3)에 장착된 엘보우 동축 컨넥터(2), 케이싱(4), 엘보우 슬리브(5), 및 잠금 커버(6)을 구비한다.
도 4는 엘보우 동축 컨넥터(2)를 나타낸다.
이러한 엘보우 컨넥터(2)는 중앙 접점(7), 절연 요소(8), 및 본체(9)를 구비한다.
설명된 예에서, 중앙 접점(7)은 굽혀져 있고, 소위 <<cut-and-roll>> 기법을 이용하여 단일체로 제조된다. 중앙 접점(7)은 중앙 접점과 관련된 영역에 따라 예컨대, 니켈, 금 또는 주석으로 코팅된 청동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 접점(7)은 그 일 끝단(10)에서, 후술하는 바와 같이, 동축 케이블(3)의 중앙 도체 주위를 향해 서로 졉혀질 수 있는 두 개의 대향되어-면하는 가지(branch)를 가진 U-모양 또는 V-모양 단면을 구비하는 크림핑부(crimping portion)(11)을 구비한다.
크림핑부(11)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연 요소(8)의 일 끝단(14)에 위치된 베어링부(15) 위에 놓여진다. 절연 요소(8)은 L-자로 굽혀지고 예를 들어, 단일체 특히, 고성능 폴리머 재질로 제조된다.
절연 요소(8)의 베어링부(15)는 예를 들어, 중앙 접점(7)의 크림핑부(11)의 적어도 일 부분을 수납하도록 배열된 리세스가 마련된 상면(upper surface)(16)을 구비한다. 베어링부(15)는 예를 들어, 하방으로 향하고 편평할 수 있고 또는 두 개의 비-평행한 부분들을 구비할 수도 있는 두 개의 대향벽(facing wall)을 구비한다.
절연 요소(8)는, 예를 들어, 중앙 접점(7)과 베이어닛 연결(bayonet conncetion)이 수립되도록 허용하는 수단을 원통부(18)에 구비한다.
설명된 예에서, 동축 컨넥터(2)의 본체(9)는 굽어져 있고, 축(X)을 따라 연장하고 절연 요소(8)의 원통부(18)를 내측으로 수납하는 제1 부분(20), 및 축(Y)을 따라 연장하고 절연 요소(8)의 베어링부(15)를 수반하는 제2 부분(21)을 구비한다.
설명된 예에 있어서, 축(X)과 축(Y)은 직교하지만, 본 발명은 축(X)과 축(Y)의 그 어떤 비-평행 배열이 적용될 수도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9)의 제1 부분(20)은 관모양(tubular) 일 수 있다. 이러한 부분(20)은 축(X)을 따라 연장하는 적어도 하나, 특히 두 개의 탭들(22)을 구비할 수 있다.
본체(9)의 제2 부분(21)은, 유럽 특허 제EP 1 653 574호의 설명과 유사하게, 각각 축(Y)에 대한 단면을 가지,며 실질적으로 U-모양 또는 V-모양의 두 개의 크림핑부(25)(26)를 구비할 수 있다.
크림핑부(25)(26)은, 각각 하방으로 접혀진 한 쌍의 가지들(25a)(25b)(26a)(26b)를 구비하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차폐 브레이드와 외측 절연 외피가 각각 동축 케이블(3)에 크림핑되는 것을 허용한다.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하나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슬리브(5)가 설명될 것이다.
설명된 예에 있어서, 슬리브(5)는 L-자 모양이고, 슬리브의 제1 축(A1)을 따라 연장하는 제1 관상부(30) 및 슬리브의 제2 축(A2)을 따라 연장하는 제2 관상부(31)를 구비하고, 슬리브의 제1 축 및 제2 축은 동축 컨넥터(2)가 슬리브(5)에 수납될 때 축(X) 및 축(Y)에 각각 평행하다.
슬리브(5)는 단일체로 제조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부분(30)은, 제2 부분(31)과의 접합점에서, 그 외측 표면에 그루브(32)를 포함할 수 있다. 그루브(32)는 예를 들어 축(A1)의 전체 바깥 둘레 주위로 연장하고 두 개의 칼라들(33)(34)에 의해 측면으로 경계를 형성한다.
칼라(33)는 예를 들어, 절제부(36)에 의해 두 개로 분리된 여러 개의 불연속 부분들을 구비한다. 칼라(33)의 각각의 부분들은 어느 정도의 각이 형성된 간격으로 연장할 수 있고 절제부(36)는 슬리브(5)의 제1 부분(30)의 바깥 둘레에 배열된다.
설명된 예에서, 그루브(32)의 바닥에는 축(A1)에 평행하게 연장하는 다수의 노치들(35)이 마련된다. 이러한 노치들(35)은 예를 들어, 원주 방향으로 균일하게 배치되고, 축(A1)으로부터 45°각도로 분리되어 있다. 분명하게, 본 발명은 이러한 각도 값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리브(5)의 제1 부분(30)은 그 내측 표면에서 축(A1)에 평행하게 연장하고 컨넥터(2)의 본체(9)의 탄력성 탭들(22)과 협력하게 되는 두 개의 슬롯들(37)을 구비한다. 설명된 예에 있어서, 제2 부분(31)은 대체적으로 평행한 파이프 형태이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축(A2)에 평행하게 연장하는 하우징(38)은 제2 부분(31)에 배열된다. 이러한 하우징은 외측으로 개방될 수 있고, 이러한 하우징(38)의 레벨에 있는 제2 부분(31)은 예를 들어, U-모양이고 축(A2)에 대한 단면을 구비한다. 설명된 예의 제2 부분(31)은 제2 축(A2)에 평행하게 연장하는 두 개의 측면들(40)을 더 구비하고, 각각 그 역할은 아래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하나의 끝단에 있는 모서리(chamfer)(41) 및 다른 세로 끝단에 있는 계단부(42)를 수반한다.
도 6, 도 7 및 도 1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하나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케이싱(4)을 설명한다.
도면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케이싱(4)은 조립체(1)가 조립되었을 때 축(X)에 평행한 세로축(Z)을 따라 연장한다.
이러한 케이싱(4)은 예를 들어, 폴리머로 제조되고 내부는 속이 비어 있고 축(Z)을 따라 형성된 관통 통로를 구비한다.
케이싱(4)는 예를 들어, 그것의 세로 끝단(61)의 어느 하나의 벽에 배열된 탄력성 탭들(44)을 구비한다. 설명된 예에 있어서, 탭들(44)은 그 수가 두 개이고 완전히 정반대로 놓여져 있지만, 본 발명은 탭들(44)의 수와 그 정확한 위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싱(4)의 정상(top)은 보충적 형태의 연결 조립체의 케이싱과 연결하기 위한 영역(45)을 포함할 수 있고, 이러한 영역(45)은, 힌지(63)를 통해 케이싱의 축(Z)에 수직인 축에 대해 케이싱(4)에 회동 장착되고 연결 조립체(1)와 보충적 형태의 연결 조립체의 케이싱을 위한 잠금 기능을 보장하는, 테(46)와 탭(47)을 구비한다.
설명된 예의 테(46)는 축(Z)에 수직으로 그리고 자신의 하나의 세로 끝단(60)으로부터 케이싱(4)의 길이의 일부분 위로 연장하고, 상기 세로 끝단(60)은 그곳에 연결될 때 보충적인 형태의 연결 조립체의 케이싱과 접촉하게 된다.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끝단(60)의 테(46)는 예를 들어, U-형상인 절제부(64)를 구비한다. 설명된 예에서 이러한 절제부(64)는 탭(47)의 세로 끝단의 반대편에 놓여지고 탭(47)이 연결 조립체(1)의 잠금/해제를 위해 작동될 때 공간(E)에 있는 탭(47)의 끝단(65)의 회동을 돕기 위해 공간(E)을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도록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영역(45)는 그 위에서 탭(47)이 테(46)에 의해 덮여지지 않고, 탭(47)의 다른 세로 끝단(66)의 회동을 돕는 개방 부분(49)을 구비한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싱(4)의 내부 측면은 케이싱의 바깥 둘레 주변에 균일하게 배치될 수도 있고 그렇지 않을 수도 있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핀들(48)을 구비한다. 핀들(48)은 예컨대, 케이싱(4)의 내부 측면의 하나의 동일한 바깥 둘레, 예를 들어 세로 끝단(60) 반대편의 케이싱(4)의 세로 끝단(61)의 부근 또는 그곳 위에 실질적으로 정렬된다. 핀들(48)과 탭들(44)은 설명된 예에서 세로 끝단(61)에서 예를 들어, 케이싱(4)의 내부 측면의 하나의 동일한 바깥 둘레에 위치된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슬리브(5)에 케이싱(4)을 장착하는 예가 설명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싱(4)은 힘(F)의 영향에 의해 슬리브(5)의 제1 부분(30)에 대해 슬라이딩 될 수 있다. 이러한 슬라이딩 운동 동안, 핀들(48)은 예를 들어, 절제부(36)의 그것보다 더 작은 단면 크기를 가지고 축(Z)에 대해 절제부(36)를 통과하여 삽입될 수 있다. 핀들(48)이 절제부(36)를 통과하게 되면, 케이싱(4)의 탭들(44)은 그루브(32)에 프레스-고정될 수 있으므로 슬리브(5)에 케이싱(4)을 고정할 수 있다.
이러한 슬라이딩 운동이 끝나면, 핀들(48)은 그루브(32)의 노치들(35)과의 마찰에 의해 지탱된다. 그 후 사용자는 슬리브(5)에 대해 케이싱(4)를 회전 이동시켜 핀들(48)이 그루브(32)의 다른 노치들(35)에 물리게 할 수 있다.
잠금 커버(6)는 예를 들어, 스텐인리스 스틸 또는 황동과 같은 금속으로 제조된다. 설명된 예에 있어서, 커버(6)는 U-모양이고, 하우징(38)을 폐쇄하도록 되어 있는 이면부(back part)(50), 이면부(50)에 모두 수직이고 커버가 폐쇄될 때 슬리브(5)의 제2 부분(31)의 표면들(40)의 외측을 덮도록 되어 있는 두 개의 평행한 측면들(51)을 구비한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면들(51)은 각각 슬리브(5)에 잠금 커버(6)를 닫을 수 있도록 슬리브(5)의 제2 부분(31)의 면들(40)의 계단부(42)와 협력하도록 되어 있는 계단부(52)를 구비한다.
설명된 예에 있어서, 커버(6)는 슬리브(5)에 회동 장착되고, 각각의 면(51)은 모서리들(41)의 어느 하나를 수납하는 개구를 구비한다.
일 끝단에서 잠금 커버(6)의 이면부(50)는 도 11에 도시되고, 미리 규정된 위치에서 개방 위치에서 커버(6)를 유지하기 위해 슬리브(5)의 릴리프와 협력하도록 의도된 된 탭(54), 및 이면부(50)의 다른 끝단에 위치된 탄력성 탭(53)을 구비한다.
이러한 탄력성 탭(53)은 예를 들어, 슬리브(5)에 잠금 커버(6)의 폐쇄를 억제하는 힘을 가하도록 구성되고, 그 후 커버는 충분한 힘이 그곳에 가해지지 않는 한 닫혀지지 않도록 되어 있다.
도 12 내지 도 1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의 조립체(1)의 조립 예가 설명된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축 케이블(3)은 개략적으로 단면으로 표현된 크림핑 도구(55)를 사용하여 동축 컨넥터(2)에 크림핑 될 수 있다. 이러한 도구(55)는 중앙 접점(7)의 크림핑부(11)에 대항하여 가해질 수 있는 베어링 표면(57)을 구획하는 예를 들어 공동(cavity)(56)을 구비한다. 베어링 표면(57)은 크림핑 작업 동안 그곳을 통해 크림핑부(11)가 결합하는 개구의 적어도 부근에서, 외측 하방으로 나팔꽃 모양으로 벌어지는 단면을 가질 수 있다.
도구(55)의 베어링 표면(57)은 예를 들어, 공동(56)의 바닥에서 서로 접합하는 두 개의 대향되게 면하는 굴곡 벽들을 구비한다. 베어링 표면(57)의 형태는 절연 요소(8)의 베어링부(15)의 측벽들(17)의 적어도 일 부분의 외형을 실질적으로 따르도록 선택될 수 있다.
동축 케이블의 중앙 도체를 중앙 접점(7)에 크림핑 하는 동안, 도구(55)는 축(Y)에 직교하는 축을 따라 이동될 수 있고, 크림핑부(11)의 가지(12)는 이러한 가지들의 그 어떤 외측으로의 비틀림(buckling)을 회피하기 위해 점차적으로 하방으로 접혀지게 된다. 크림핑부(25)(26)는 도구의 다른 부분들을 사용하여 차폐 브레이드 및 동축 케이블(2)의 외측 절연 외피에 각각 유사하게 크림핑된다. 그 후, 도 13에 설명된 바와 같이, 동축 케이블(3)에 장착된 컨넥터(2)는 케이싱(4)이 미리 프레스-고정된 슬리브(5)에 삽입된다.
이어서, 커버(6)는 슬리브(5) 안에서 케이블에 장착된 컨넥터의 기계적 지지를 확보하고, 전기적 연속성을 확보하여 조립체가 도 15에 도시된 구성으로 놓여질 수 있도록 원위치로 접혀져서 하우징(38)을 닫을 수 있다.
다음,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6)의 탭(53)은 동축 컨넥터(2)의 본체(9)에 기대어 지탱되어 충분한 힘이 그곳에 가해지지 않는 한 개방된 위치에서 커버(6)를 유지한다.
본 발명은 제시된 예시들에만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1...조립체 2...엘보우 동축 컨넥터
3...동축 케이블 4...케이싱
5...엘보우 슬리브 6...잠금 커버
7...중앙 접점 8...절연 요소
9...본체 11...크림핑부
15...베어링부 16...상면(upper surface)
18...원통부 20...본체(9)의 제1 부분
21...본체(9)의 제2 부분 22...탭
25,26...크림핑부 30...제1 관상부
31...제2 관상부 32...그루브
33...칼라 36...절제부
37...슬롯 38...하우징
40...측면 41...모서리(chamfer)
42...계단부 44...탭
45...영역 46...테
47...탭 48...핀
50...이면부(back part) 51...측면
52...계단부 53...탄력성 탭
55...크림핑 도구 56...공동
57...베어링 표면 60...세로 끝단
63...힌지 64...절제부

Claims (19)

  1. 동축 케이블의 중앙 도체(conductor)와 크림핑되도록(crimped)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크림핑부(crimping portion)가 마련된 중앙 접점(contact), 상기 중앙 접점의 상기 크림핑부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그 위에 적용된(applied) 상면(upper face)을 가진 베어링부(bearing portion)를 포함하는 절연 요소(insulating element), 및 상기 절연 요소를 수납하는 본체를 구비하며, 상기 동축 케이블에 장착되도록 구성된 엘보우(elbow) 동축 전기 컨넥터;
    내부에 속이 빈 케이싱; 및
    슬리브의 제1 축(A1)을 따라 연장하고 상기 케이싱 내부에 수납되도록 구성된 제1 관상부(tubular portion), 및 슬리브의 제2 축(A2)을 따라 연장하고 상기 동축 케이블에 장착된 상기 동축 컨넥터를 수납하도록 구성된 하우징을 포함하는 엘보우 슬리브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축 컨넥터의 상기 중앙 접점은 L자로 굴곡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조립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넥터의 상기 본체는 차폐 브레이드(shiedling braid)와 동축 케이블의 절연 외피(sheath)의 적어도 어느 하나를 크림핑하는 적어도 어느 하나의 크림핑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조립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넥터의 상기 중앙 접점의 상기 크림핑와 상기 컨넥터의 상기 본체의 크림핑부의 적어도 어느 하나는 실질적으로 U-모양 또는 V-모양 단면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조립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넥터의 상기 중앙 접점이 베이어닛 접속(bayonet connection)에 의해 상기 컨넥터에 고정되도록 상기 컨넥터의 상기 절연 요소가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조립체.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의 상기 제1 부분은 그 외측 표면에서 상기 제1 부분의 바깥 둘레의 적어도 일 부분 위로 연장하는 그루브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조립체.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은 세로 축(Z)을 따라 연장하고, 프레스-고정에 의해 상기 슬리브에 상기 케이싱을 유지하기 위해, 상기 그루브와 협력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탄력성 탭(elastic tab)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조립체.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그루브의 바닥은 상기 슬리브의 상기 제1 축(A1)에 평행하게 연장하는 다수의 노치들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조립체.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그루브는 절제부(cut-out)에 의해 분리된 적어도 두 개의 부분들을 구비하는 칼라(collar)에 의해 측방향으로 구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조립체.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은 그 내측 표면에서 상기 칼라의 상기 절제부에서 슬라이딩되거나 상기 그루브의 상기 노치 안에서 마찰에 의해 유지되거나 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핀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조립체.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은 다른 연결 조립체의 부가적 형태의 케이싱과 결합하기 위한 영역을 구비하고, 상기 영역은 상기 케이싱의 세로축에 수직되게 연장하는 테(hoop), 및 케이싱의 세로축(Z)에 교차되게 연장하는 테(hoop) 및 상기 케이싱의 세로축(Z)에 직교하는 축에 대해 회동-장착된 탭을 구비하고, 상기 테는 상기 탭의 세로 끝단에 면하게 배열된 적어도 하나의 절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조립체.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의 상기 제2 부분에 배열된 상기 하우징을 닫을 수 있도록 구성된 잠금 커버(locking cover)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조립체.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상기 슬리브에 회동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조립체.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상기 컨넥터가 상기 슬리브의 상기 제2 부분의 상기 하우징에 수납될 때 상기 컨넥터의 상기 본체 위에 지탱되도록 구성된 탄력성 탭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조립체.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와 상기 커버는 두 개의 분리된 조각들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조립체.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와 상기 커버는 단일체로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조립체.
  17. ● 동축 케이블, 및 (a) 상기 동축 케이블의 중앙 도체에 크림핑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크림핑부가 마련된 중앙 접점, (b) 상기 중앙 접점의 상기 크림핑부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그 위에 적용되는 상면(upper face)을 가진 베어링부를 구비하는 절연 요소, 및 (c) 상기 절연 요소를 수납하는 본체를 구비하고, 상기 동축 케이블에 장착되도록 구성된 엘보우 동축 전기 컨넥터를 제공하는 단계;
    ● 상기 중앙 접점의 상기 크림핑부에서 베어링 표면을 구비하는 크림핑 도구를 사용하여 상기 동축 케이블의 상기 중앙 접점과 상기 동축 케이블의 상기 중앙 도체를 크림핑하는 단계;
    ● 상기 동축 케이블에 장착된 상기 전기 컨넥터를 적어도 일 부분이 속이 빈 케이싱 내부에 수납된 엘보우 슬리브에 삽입하는 단계; 및
    ● 상기 전기 컨넥터를 상기 슬리브에 유지시키기 위해 상기 슬리브에 장착된 잠금 커버를 닫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조립체의 조립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속이 빈 케이싱은 상기 엘보우 슬리브의 일 부분에 프레스-고정 방식으로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조립체의 조립 방법.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동축 컨넥터의 상기 중앙 접점에 대한 상기 동축 케이블의 상기 중앙 도체 크림핑 공정은 차폐 브레이드(shielding braid), 내측 절연 외피 및 외측 절연 외피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상응하는 상기 동축 컨넥터의 상기 본체의 크림핑부들과 동시적 크림핑을 수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조립체의 조립 방법.
KR1020100064473A 2009-07-07 2010-07-05 엘보우 동축 전기 컨넥터 및 그러한 컨넥터의 조립 방법 KR2011000430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0954701 2009-07-07
FR0954701A FR2947961B1 (fr) 2009-07-07 2009-07-07 Connecteur coaxial coude et son procede d'assemblag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4308A true KR20110004308A (ko) 2011-01-13

Family

ID=415662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64473A KR20110004308A (ko) 2009-07-07 2010-07-05 엘보우 동축 전기 컨넥터 및 그러한 컨넥터의 조립 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8182285B2 (ko)
EP (1) EP2273619B1 (ko)
KR (1) KR20110004308A (ko)
CN (1) CN101944692B (ko)
BR (1) BRPI1002297A2 (ko)
ES (1) ES2533082T3 (ko)
FR (1) FR2947961B1 (ko)
MX (1) MX2010007460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73532A (ko) 2014-12-17 2016-06-27 강귀동 엘보우 조립 지그
KR20160121467A (ko) 2016-09-08 2016-10-19 강귀동 엘보우 조립 지그
KR20180011720A (ko) * 2016-07-25 2018-02-02 델피 테크놀로지스 인코포레이티드 동축 커넥터 조립체
KR20190109287A (ko) * 2018-03-16 2019-09-25 래이디올 에스.에이.에스. 전기 케이블 상에 장착되고 오버 몰딩된 전기 커넥터를 구비한 전기 연결 조립체, 및 관련 제조 방법
KR20200062137A (ko) 2020-05-26 2020-06-03 강귀동 엘보우 조립 지그
KR20220092146A (ko) * 2020-12-24 2022-07-01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동축 케이블 단자 고정 구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955096B2 (en) 2006-10-27 2011-06-07 Leviton Manufacturing Company, Inc. Modular wiring system with locking elements
DE202008015000U1 (de) * 2008-11-12 2009-01-29 Rosenberger Hochfrequenztechnik Gmbh & Co. Kg HF-Steckverbinder
JP5067980B2 (ja) * 2010-10-06 2012-11-07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同軸コネクタ
US8371863B1 (en) * 2011-07-29 2013-02-12 Leviton Manufacturing Company, Inc. Modular wiring system
DE102012201123B3 (de) * 2012-01-26 2013-03-21 Lisa Dräxlmaier GmbH Gewinkelter Hochvolt-Stecker
DE202013006067U1 (de) * 2013-07-05 2013-08-12 Rosenberger Hochfrequenztechnik Gmbh & Co. Kg Steckverbinder
DE102014104449A1 (de) * 2014-03-28 2015-10-01 Telegärtner Karl Gärtner GmbH Elektrischer Steckverbinder
DE102014104446A1 (de) * 2014-03-28 2015-10-01 Telegärtner Karl Gärtner GmbH Elektrischer Steckverbinder
US9214743B2 (en) * 2014-04-25 2015-12-15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Right angle connector assembly
WO2016149329A1 (en) 2015-03-16 2016-09-22 Commscope Technologies Llc Right angle coaxial cable and connector assembly and method of forming same
JP6792354B2 (ja) * 2016-06-08 2020-11-25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6855280B2 (ja) * 2017-02-28 2021-04-07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保持部材
US10826234B2 (en) * 2018-04-23 2020-11-03 Aptiv Technologies Limited Connector assembly with direct mount housing
CN110707505B (zh) * 2019-10-21 2020-12-22 永州祥睿电子有限公司 一种接线端子制造方法
EP3822590B1 (de) * 2019-11-12 2022-06-29 Siemens Aktiengesellschaft Explosionsgeschütztes druckfestes gehäuse
US11641085B2 (en) 2020-10-14 2023-05-02 Aptiv Technologies Limited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DE102021103687A1 (de) 2021-02-17 2022-08-18 Rosenberger Hochfrequenztechnik Gmbh & Co. Kg Innenleiterkontaktelement für Winkelsteckverbinder und zugehöriges Herstellungsverfahren
JP7413496B1 (ja) 2022-12-23 2024-01-15 Dxアンテナ株式会社 Tv端子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932942A1 (de) * 1999-07-14 2001-03-15 Tyco Electronics Logistics Ag HF-Winkelsteckverbinder
CN2482239Y (zh) * 2001-04-18 2002-03-13 深圳市惠程电气有限责任公司 用于变压器的电缆连接装置
DE60313538T2 (de) * 2002-07-02 2008-01-10 Tyco Electronics Amp Gmbh Koaxialer Winkelsteckverbinder
US6860761B2 (en) * 2003-01-13 2005-03-01 Andrew Corporation Right angle coaxial connector
US6817899B1 (en) * 2003-04-09 2004-11-16 Yazaki North America, Inc. Angled connector for coaxial cable
DE102004041809B4 (de) 2003-08-26 2010-09-16 Robert Karst Gmbh & Co. Kg Winkelkuppler
FR2877150B1 (fr) 2004-10-27 2007-01-19 Radiall Sa Procede de montage d'un connecteur electrique sur un cable coaxial, et un tel connecteur
CN2859848Y (zh) * 2005-12-23 2007-01-17 广东长园电缆附件有限公司 电力电缆肘形插拔式连接器
CH712512B1 (de) * 2007-01-26 2017-11-30 Rosenberger Hochfrequenztechnik Gmbh & Co Kg Steckverbinder mit Verriegelungsvorrichtung.
DE202008001905U1 (de) * 2008-02-12 2008-04-03 Rosenberger Hochfrequenztechnik Gmbh & Co. Kg Koaxialwinkelsteckverbinder
DE202008014409U1 (de) 2008-10-29 2009-01-22 Rosenberger Hochfrequenztechnik Gmbh & Co. Kg HF-Winkelsteckverbinder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73532A (ko) 2014-12-17 2016-06-27 강귀동 엘보우 조립 지그
KR20180011720A (ko) * 2016-07-25 2018-02-02 델피 테크놀로지스 인코포레이티드 동축 커넥터 조립체
KR20160121467A (ko) 2016-09-08 2016-10-19 강귀동 엘보우 조립 지그
KR20190109287A (ko) * 2018-03-16 2019-09-25 래이디올 에스.에이.에스. 전기 케이블 상에 장착되고 오버 몰딩된 전기 커넥터를 구비한 전기 연결 조립체, 및 관련 제조 방법
KR20200062137A (ko) 2020-05-26 2020-06-03 강귀동 엘보우 조립 지그
KR20220092146A (ko) * 2020-12-24 2022-07-01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동축 케이블 단자 고정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S2533082T3 (es) 2015-04-07
EP2273619B1 (fr) 2014-12-31
MX2010007460A (es) 2011-01-14
CN101944692B (zh) 2014-12-17
BRPI1002297A2 (pt) 2012-06-05
US20110008999A1 (en) 2011-01-13
US8182285B2 (en) 2012-05-22
FR2947961A1 (fr) 2011-01-14
CN101944692A (zh) 2011-01-12
EP2273619A1 (fr) 2011-01-12
FR2947961B1 (fr) 2012-05-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004308A (ko) 엘보우 동축 전기 컨넥터 및 그러한 컨넥터의 조립 방법
JP5105465B2 (ja) 電気コネクタ組立体
CA2595111C (en) Contact element for shielded connectors
EP1803197B1 (en) Electrical plug and method of fitting the plug
US9130295B2 (en) Electrical plug connector
US7064266B2 (en) Shielded connector
EP2369690B1 (en) Electrical connector
US5890924A (en) Insulation-displacement-contact connector
EP2156519B1 (en) Plug connector housing with a fixing for an electric contact element and a cable
JP6116751B2 (ja) 可変角度emi遮蔽アセンブリ
US20100015844A1 (en) Connector for use in terminating communications cables
JP2018032622A (ja) 同軸コネクタアセンブリ
WO2018070202A1 (ja) コネクタ構造
WO2018070203A1 (ja) コネクタ構造
EP1744409B1 (en) A shielded connector and method of connecting it with a shielded cable
US7985094B2 (en) Connector block
WO2018070201A1 (ja) コネクタ構造
CN106252993B (zh) 连接器和连接器的制造方法
RU2671846C1 (ru) Соединенный кабельный узел (варианты) и кабельный узел зачищенного экранированного кабеля
US10819071B2 (en) Connector structure that is reconfigurable to accommodate either an STP cable or a UTP cable
US20140295695A1 (en) Plug-in connector for data and/or telecommunications cable comprising several wires
JPH0722107A (ja) シールド電線用コネクタ構造
JP2015536537A (ja) 絶縁部品を有する差込式コネクタ
KR102463691B1 (ko) 커넥터
JPH1083857A (ja) 伝送ネットワークのためのコネクタユニ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