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03999A - 블라인드 내장형 고정 유리창호 - Google Patents

블라인드 내장형 고정 유리창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3999A
KR20110003999A KR1020090061572A KR20090061572A KR20110003999A KR 20110003999 A KR20110003999 A KR 20110003999A KR 1020090061572 A KR1020090061572 A KR 1020090061572A KR 20090061572 A KR20090061572 A KR 20090061572A KR 20110003999 A KR20110003999 A KR 201100039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blind
built
glass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615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10451B1 (ko
Inventor
김윤정
Original Assignee
(주)엘지하우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엘지하우시스 filed Critical (주)엘지하우시스
Priority to KR10200900615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10451B1/ko
Publication of KR201100039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39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04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04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2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 E06B9/264Combinations of lamellar blinds with roller shutters, screen windows, windows, or double panes; Lamellar blinds with special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2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 E06B9/28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with horizontal lamellae, e.g. non-liftable
    • E06B9/30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with horizontal lamellae, e.g. non-liftable liftable
    • E06B9/32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therefor
    • E06B9/322Details of operating devices, e.g. pulleys, brakes, spring drums, driv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2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 E06B9/3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with vertical lamellae ; Supporting rail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48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allowing alternative mov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40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Blinds (AREA)
  • Wing Frames And Configur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블라인드 내장형 고정 유리창호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창을 구비한 내측 창호; 상기 내측 창호의 일측에 구비되어 외부 빛을 차단하고, 실내 노출을 방지하는 가림수단; 및 상기 내측 창호에 연결되어 내측 창호와 함께 창틀의 좌우 방향으로 개폐되는 외측 창호;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창틀의 상기 외측 창호와 대향되는 위치에 낙상(落傷) 방지수단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필요에 따라 복층 유리 창호를 상기 창틀로부터 오픈시켜서 상기 복층 유리 창호에 내장된 블라인드의 보수 및 교체가 용이하고, 상기 복층 유리 창호를 구성하는 내측 창호가 복수의 창을 구비하고 있으므로 단열성이 향상되며, 상기 복층 유리 창호를 열더라도 창틀 외측에 고정유리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난간대 대용으로 사용 가능하고, 실족과 같은 낙상(落傷)사고의 방지가 가능하다.
또한, 상기 복층 유리 창호가 통풍부와 동일한 복층 창호 구조를 가지므로, 상기 통풍부와 고정부가 같은 디자인으로 구성 가능하게 되어 통풍부와 고정부간에 디자인의 통일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고정 유리창호, 블라인드, 창틀, 내측 창호, 외측 창호

Description

블라인드 내장형 고정 유리창호{Fix glass window with blind}
본 발명은 블라인드 내장형 고정 유리창호에 관한 것으로, 특히 내측 창호와, 외측 창호 사이에 착탈 가능한 블라인드를 내장시켜서 상기 블라인드를 통해 외부 빛 차단 및 실내 노출을 방지하고, 개폐 가능한 구조를 통해 블라인드의 유지보수 및 교체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구성된 블라인드 내장형 고정 유리창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창문형 블라인드(blind)는 창을 통해 외부로부터 들어오는 빛이 직접적으로 실내에 들어오지 못하게 하거나 또는 외부로부터 실내가 노출되지 못하도록 하기 위해 사용된다.
상기 블라인드의 구성을 살펴 보면, 다수개의 차광판들을 줄에 의해 엮어 놓으며, 상기 차광판의 최하측부로 연결되는 지지대에는 견인줄의 끝단부가 결속된다. 즉, 상기 지지대의 삽입공을 통해 통공이 형성된 지지체를 끼우고 상기 통공에 견인줄의 끝단부를 결속하여 고정시키게 된다.
이러한 구성의 블라인드는 상기 견인줄을 잡아 당김에 따라 견인줄이 결속된 지지체와 지지대가 상방향으로 상승하면서 다수개의 차광판들을 절첩시키게 되며, 상기 견인줄을 재차 잡아 당긴 후 놓으면 지지대의 자체 중량에 의해 하방향으로 하강하면서 차광판을 펼쳐서 차광 효과를 얻게 된다.
한편, 상기 블라인드는 위와 같은 수동식 구조외에 근래에는 자동식 구조도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이 블라인드는 외부 일사 차단 및 사생활 보호를 위해 사용하고 있으나, 실내 공간에서 발생하는 먼지 등으로 인해 상기 외부 노출형 블라인드에 오염이 쉽게 발생된다.
이에 따라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라인드(4)를 창틀(1)에 구비된 복층 유리(2)(3) 사이에 내장시켜 사용하고 있으나, 이 경우 블라인드(4)가 복층 유리(2)(3) 사이에 고정된 구조로서 유지보수 및 교체가 매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의 창(5)(6)사이에 착탈이 가능한 구조의 블라인드(7)를 내장시켜 사용하고 있으나, 환기등의 목적을 위해 창을 여는 경우 내측 창(5)과 외측 창(6)을 모두 개방해야 하므로 재실자에게 사용상의 번거로움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근래에는 내측 창호와, 외측 창호 사이에 착탈 가능한 블라인드를 내장시켜서 상기 블라인드를 통해 외부 및 차단 및 실내 노출을 방지하고, 블라인드의 유지보수 및 교체를 용이하게 하며, 상기 내측 창호와 외측 창호가 동시에 작동되도록 한 것이 있으나, 이는 통풍(Vent)부에만 적용되므로 고정(Fix)부와 같은 유리 고정 부위는 종전대로 외부 노출형 블라인드를 사용하거나, 복층 유리 사이에 블라인드를 내장시키는 방법을 취함에 따라 전술한 문제점이 발생되고, 이중 창호(내,외측 창호)의 구성이 되지 못함에 따라 단열성이 저하되며, 상기 복층 창호 구조를 갖는 통풍부와 단층 창호 구조를 갖는 고정부간에 디자인의 통일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필요에 따라 복층 유리 창호를 창틀로부터 오픈시켜서 상기 복층 유리 창호에 내장된 블라인드의 보수 및 교체가 용이한 블라인드 내장형 고정 유리창호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단열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블라인드 내장형 고정 유리창호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난간대 대용으로 사용 가능하고, 실족과 같은 낙상(落傷)사고의 방지가 가능한 블라인드 내장형 고정 유리창호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통풍부와 고정부간에 디자인의 통일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블라인드 내장형 고정 유리창호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창을 구비한 내측 창호; 상기 내측 창호의 일측에 구비되어 외부 빛을 차단하고, 실내 노출을 방지하는 가림수단; 및 상기 내측 창호에 연결되어 내측 창호와 함께 창틀의 좌우 방향으로 개폐되는 외측 창호;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창틀의 상기 외측 창호와 대향되는 위치에 낙상(落傷) 방지수단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라인드 내장형 고정 유리창호에 의하여 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이러한 본 발명에서 상기 가림수단은, 상기 내측 창호의 일측에 착탈수단을 통해 착탈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이러한 본 발명에서 상기 가림수단은, 수동식 또는 전동식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이러한 본 발명에서 상기 낙상 방지수단은, 상기 창틀의 개구부를 막는 고정유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이러한 본 발명에서 상기 블라인드 내장형 고정 유리창호는, 시건장치에 의해 상기 창틀에 대해 개폐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블라인드 내장형 고정 유리창호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필요에 따라 복층 유리 창호를 상기 창틀로부터 오픈시켜서 상기 복층 유리 창호에 내장된 블라인드의 보수 및 교체가 용이하다.
둘째, 상기 복층 유리 창호를 구성하는 내측 창호가 복수의 창을 구비하고 있으므로 단열성이 향상된다.
셋째, 상기 복층 유리 창호를 열더라도 창틀 외측에 고정유리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난간대 대용으로 사용 가능하고, 실족과 같은 낙상(落傷)사고의 방지가 가능하다.
넷째, 상기 복층 유리 창호가 통풍부와 동일한 복층 창호 구조를 가지므로, 상기 통풍부와 고정부가 같은 디자인으로 구성 가능하게 되어 통풍부와 고정부간에 디자인의 통일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블라인드 내장형 고정 유리창호를 설명하기로 한다.
실시예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라인드 내장형 고정 유리창호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부분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블라인드 내장형 고정 유리창호의 조립 상태를 나타낸 평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블라인드 내장형 고정 유리창호를 나타낸 사진이다.
또한,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블라인드 내장형 고정 유리창호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사진으로서,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블라인드 내장형 고정 유리창호(10)는 크게 내측 창호(12)와, 외측 창호(14)와, 상기 내,외측 창호(12)(14) 사이에 구비되는 가림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내측 창호(12)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일정 간격으로 이격된 복수의 창(12a)(12b)을 구비한다. 이것은 복수의 창(12a)(12b)을 적당한 유격으로 배치시킨 후, 창(12a)(12b)의 둘레를 따라 실리콘등과 같은 마감재로 밀폐시켜서 창(12a)(12b)사이에 밀폐된 공간을 형성하므로써, 단열 방음성을 확보하기 위한 것으로, 반드시 복수의 창(12a)(12b)이 요구되는 것은 아니며, 경우에 따라 단수의 창을 구비하는 것도 가능하다.
블라인드(blind)(16)로 구성되는 상기 가림수단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내측 창호(12)의 바깥쪽 창(12b) 상단의 창호 패널(미도시)에 착탈수단을 통해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며, 수동식 또는 전동식 구조 모두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착탈수단은 상기 창호 패널 외면 양단부에 갈고리 형상의 걸이 대(미도시)를 부착하고, 상기 블라인드(16)의 상단에는 상기 걸이대에 끼워지도록 링 형상의 걸림편(미도시)을 부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착탈수단은 상기 창호 패널 외면에 양면테이프(미도시)를 부착한 후, 이 양면테이프에 상기 블라인드(16)의 상단을 부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착탈수단은 상기 창호 패널 외면에 공지의 벨크로 테이프(velcro tape, 일명 매직테이프)의 웅(雄)부재(미도시)를 부착한 후, 상기 블라인드(16)의 상단에는 자(雌)부재(미도시)를 부착시켜서 상기 블라인드(16)를 창호 패널에 탈부착이 가능하다.
상기 외측 창호(14)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내측 창호(12)와 함께 창틀(18)에 힌지(hinge) 연결되어 내측 창호(12)와 함께 상기 창틀(18)의 좌우(도 6 참조) 방향으로 개폐된다.
이때,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창틀(18)의 하단 일측에 걸림홈(18a)이 형성되고, 상기 블라인드 내장형 고정 유리창호(10)의 하단 일측에는 공지의 시건(施鍵)장치(20)가 구비되어 있어서, 키(key)(22)를 상기 시건장치(20)의 키삽입부에 넣고 회동시킴에 따라 록킹핀(locking pin)(24)이 실린더(미도시)에 의해 출몰되면서 상기 블라인드 내장형 고정 유리창호(10)가 창틀(18)에 걸림 또는 해제된다.
한편, 상기 창틀(18)의 상기 외측 창호(14)와 대향되는 위치에는 상기 창틀의 개구부를 막는 고정유리(26)로 구성되는 낙상(落傷) 방지수단이 구비되어 있으며, 도면 중 미설명 부호 W는 벽체이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한다.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블라인드(16)는 내측 창호(12)와 외측 창호(14) 사이에 구비된 상태에서 외부로부터의 빛을 차단함과 아울러, 실내 노출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상기 블라인드(16)는 전술한 착탈수단을 통해 상기 내측 창호(12)의 바깥쪽 창(12b) 상단의 창호 패널에 통해 착탈가능하게 장착되어 있고, 고정 유리 창호(10)는 창틀(18)과 나란하게 장착된 상태이다.
한편, 상기 블라인드(16)를 보수 또는 교체하고자 할 경우, 상기 키(22)를 상기 시건장치(20)의 키삽입부에 넣고 일방향으로 회동시킴에 따라 상기 록킹핀(24)이 실린더에 의해 걸림홈(18a)으로부터 탈거되면서 상기 블라인드 내장형 고정 유리창호(10)가 창틀(18)에서 걸림해제되며,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블라인드(16)를 보수 또는 신품으로 교체한다.
또한, 위와 같은 과정에서 내측 창호(12)가 복수의 창(12a)(12b)을 구비하고 있으므로 단열성이 향상되고, 필요에 따라 복층 유리 창호(10)를 상기 창틀(18)로부터 오픈시켜서 상기 복층 유리 창호(10)에 내장된 블라인드(16)의 보수 및 교체가 용이하며, 복층 유리 창호(10)를 열더라도 창틀 외측에 고정유리(26)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기존 고정부의 역할처럼 통풍부(30)의 하부에 적용시 난간대 대용으로 사용 가능하고, 실족과 같은 낙상(落傷)사고의 방지가 가능하다.
또한, 고정부에 해당하는 상기 복층 유리 창호(10)가 전술한 통풍부(30)와 동일한 복층 창호 구조를 가지므로, 상기 통풍부(30)와 고정부가 같은 디자인으로 구성 가능하므로 통풍부(30)와 고정부간에 디자인의 통일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 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블라인드 내장형 고정 유리창호를 예시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은 한정되지 않으며 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은 종래 복층유리 사이에 블라인드가 고정 구조로서 내장된 것을 나타낸평단면도,
도 2는 종래 복층유리 사이에 착탈식 구조의 블라인드가 내장된 것을 나타낸 사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라인드 내장형 고정 유리창호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부분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블라인드 내장형 고정 유리창호의 조립 상태를 나타낸 평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블라인드 내장형 고정 유리창호를 나타낸 사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블라인드 내장형 고정 유리창호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사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고정 유리창호 12 : 내측 창호
12a,12b : 창 14 : 외측 유리창호
16 : 블라인드 18 : 창틀
20 : 시건장치 26 : 고정유리
30 : 통풍부 W : 벽체

Claims (5)

  1. 적어도 하나 이상의 창을 구비한 내측 창호;
    상기 내측 창호의 일측에 구비되어 외부 빛을 차단하고, 실내 노출을 방지하는 가림수단; 및
    상기 내측 창호에 연결되어 내측 창호와 함께 창틀의 좌우 방향으로 개폐되는 외측 창호;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창틀의 상기 외측 창호와 대향되는 위치에 낙상(落傷) 방지수단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라인드 내장형 고정 유리창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림수단은,
    상기 내측 창호의 일측에 착탈수단을 통해 착탈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라인드 내장형 고정 유리창호.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가림수단은,
    수동식 또는 전동식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라인드 내장형 고정 유리창호.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낙상 방지수단은,
    상기 창틀의 개구부를 막는 고정유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라인드 내장형 고정 유리창호.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블라인드 내장형 고정 유리창호는,
    시건장치에 의해 상기 창틀에 대해 개폐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라인드 내장형 고정 유리창호.
KR1020090061572A 2009-07-07 2009-07-07 블라인드 내장형 고정 유리창호 KR1013104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1572A KR101310451B1 (ko) 2009-07-07 2009-07-07 블라인드 내장형 고정 유리창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1572A KR101310451B1 (ko) 2009-07-07 2009-07-07 블라인드 내장형 고정 유리창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3999A true KR20110003999A (ko) 2011-01-13
KR101310451B1 KR101310451B1 (ko) 2013-09-24

Family

ID=436116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61572A KR101310451B1 (ko) 2009-07-07 2009-07-07 블라인드 내장형 고정 유리창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1045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4878B1 (ko) * 2012-03-19 2014-07-03 (주) 엘지토스템비엠 단창 커튼 월 삽입형 전동 블라인드 조립체
KR101663020B1 (ko) * 2016-04-17 2016-10-06 박평수 블라인드 내장형 창호 제어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67922B2 (ja) * 1996-04-23 2001-05-21 松本建工株式会社 昇降ブラインドを窓間に装着した開閉二重窓
KR200363435Y1 (ko) 2004-06-24 2004-10-02 변문수 커튼을 내장한 창
KR100773155B1 (ko) * 2006-01-11 2007-11-02 주식회사 엘지화학 더블창짝을 구비한 창호시스템
KR20090001396U (ko) * 2007-08-07 2009-02-11 (주)에스피편안세상 출입문 구조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4878B1 (ko) * 2012-03-19 2014-07-03 (주) 엘지토스템비엠 단창 커튼 월 삽입형 전동 블라인드 조립체
KR101663020B1 (ko) * 2016-04-17 2016-10-06 박평수 블라인드 내장형 창호 제어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10451B1 (ko) 2013-09-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20048480A1 (en) Universal External Door/Window Sun-Shading Integration System for Building
KR101310451B1 (ko) 블라인드 내장형 고정 유리창호
EP1571285A2 (en) Security frame with sliding armour-plate on the shutter for windows, doors or the like
JP6783158B2 (ja) ブラインド
KR20100086606A (ko) 블라인드 내장형 복층 유리창호
JP6491500B2 (ja) 網戸
JP4411246B2 (ja)
JP2006241740A (ja) ブラインドおよび建具
KR20140103223A (ko) 방화 스크린셔터
JP6749833B2 (ja) 建具
ITGE940041A1 (it) Inferriata apribile predisposta per ricevere la zanzariera per vani di serramenti esterni.
KR200206313Y1 (ko) 방충망 및 방범창이 설치된 개폐식 창문
JP6216648B2 (ja) スクリーン装置
KR200373987Y1 (ko) 문발
KR200283630Y1 (ko) 비상탈출 미닫이식 방범창
KR970004453Y1 (ko) 방범창
JP4679878B2 (ja) エレベーター乗場装置
JP6710631B2 (ja) 建具
KR20170065247A (ko) 자연통풍이 가능한 보조도어
JP3130462U (ja) 目隠しパネル付き面格子サッシ
JP2008111324A (ja) 窓用インナーシャッター
JP3142561U (ja) 窓や玄関の防犯型網戸
KR20090007231U (ko) 슬라이딩 개폐식 방범창
JP2022105696A (ja) 建具
JP2003201794A (ja) 出窓の防犯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8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