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02513U - 자전거의 안장높이 조절장치 - Google Patents

자전거의 안장높이 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2513U
KR20110002513U KR2020090011662U KR20090011662U KR20110002513U KR 20110002513 U KR20110002513 U KR 20110002513U KR 2020090011662 U KR2020090011662 U KR 2020090011662U KR 20090011662 U KR20090011662 U KR 20090011662U KR 20110002513 U KR20110002513 U KR 2011000251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ddle
bicycle
support
saddle support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1166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한
Original Assignee
김동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동한 filed Critical 김동한
Priority to KR202009001166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02513U/ko
Publication of KR2011000251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2513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1/00Saddles or other seats for cycles; Arrangement thereof; Component parts
    • B62J1/08Frames for saddles; Connections between saddle frames and seat pillars; Seat pill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1/00Saddles or other seats for cycles; Arrangement thereof; Component parts
    • B62J1/02Saddles resiliently mounted on the frame; Equipment therefor, e.g. springs
    • B62J1/06Saddles capable of parallel motion up and dow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23/00Rider-operated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i.e. means for initiating control operations, e.g. levers, grips
    • B62K23/02Rider-operated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i.e. means for initiating control operations, e.g. levers, grips hand actu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1/00Saddles or other seats for cycles; Arrangement thereof; Component parts
    • B62J1/08Frames for saddles; Connections between saddle frames and seat pillars; Seat pillars
    • B62J2001/085Seat pillars having mechanisms to vary seat height, independently of the cycle fram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eering Devices For Bicycles And Motorcy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전거의 안장높이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자전거를 탑승한 상태에서 주행중에 일시 정지하거나 하차하는 경우에는 안장의 높이를 낮추어 탑승자의 발이 지면에 안정된 자세로 착지할 수 있도록 한 자전거의 안장높이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즉, 본 고안은 한 쌍의 전륜 및 후륜과, 상기의 전륜 및 후륜을 지지하는 본체프레임과, 상기의 전륜과 연결되어 주행방향을 결정하는 핸들프레임과, 상기 본체프레임에 연결되어 안장을 장착하는 안장지지대와,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페달부로 이루어진 자전거에 있어서, 상기 안장지지대는 장봉으로 구비되어 고정프레임에 설치된 승강안내관 내에 승강 가능하게 결합된 구성과, 상기 안장지지대를 상향으로 탄성지지되게 하는 압축스프링과, 상기 안장지지대가 상승 또는 하강한 위치에서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고정부재와, 상기 고정부재는 핸들프레임에 고정설치된 작동부재에 의해 제어할 수 있도록 한 자전거의 안장높이 조절장치를 특징으로 한다.
안장, 높이조절, 안장지지대, 승강안내관, 압축스프링

Description

자전거의 안장높이 조절장치 {Saddle Height Adjusting Apparatus for Bicycle}
본 고안은 자전거의 안장높이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자전거를 탑승한 상태에서 주행중에 일시 정지하거나 하차하는 경우에는 안장의 높이를 낮추어 탑승자의 발이 지면에 안정된 자세로 착지할 수 있도록 한 자전거의 안장높이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전거는 안장에 탑승한 탑승자가 페달을 밟아 회전시키는 회전동력에 의해 주행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거리 운송기능뿐만 아니라 신체단련을 위한 운동기구로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자전거는 탑승자의 신체 규격에 맞는 안장의 높이가 매우 중요한 것으로, 이는 주행시 페달이 하사점에 위치할 때 다리를 완전히 펼 수 있는 상태가 되어야 가장 힘이 적게 들게 되며, 장거리 주행시에는 반드시 안장을 높게 하여 다리를 완전히 펼 수 있도록 해야 장시간 주행에 유리하다.
그러나 자전거에 승차한 상태에서 다리를 펼 수 있는 정도가 되려면 안장의 높이가 높아지게 되므로 주행중에 일시 정차하는 경우에는 높은 위치에 있는 안장에서 다리를 지면에 쉽게 착지할 수 없는 없으므로 자세가 불안정하고, 자전거에서 하차하는데도 불편하였다.
이를 감안하여 종래에도 자전거 안장의 높이를 조절하는 수단이 구비된바 있으나, 이는 안장의 높이를 실린더에 의해 승강되게 한 구성으로 되어 있으므로 구조가 복잡하고 제조비용도 많이 들기 때문에 실용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본 고안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자전거의 안장높이 조절장치를 안출한 것으로, 안장을 장착하는 안장지지대를 고정프레임에 고정된 승강안내관에서 승강가능하게 결합하고 안장지지대는 압축스프링으로 상향 되게 탄성 지지하되 상기안장지지대는 상승 또는 하강위치에서 고정부재에 의해 고정할 수 있고 상기 고정부재는 핸들의 일측에 설치된 작동부재에 의해 고정부재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한 간단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자전거의 안장높이 조절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은 한 쌍의 전륜 및 후륜과, 상기의 전륜 및 후륜을 지지하는 본체프레임과, 상기의 전륜과 연결되어 주행방향을 결정하는 핸들프레임과, 상기 본체프레임에 연결되어 안장을 장착하는 안장지지대와,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페달부로 이루어진 자전거에 있어서, 상기 안장지지대는 장봉으로 구비되어 고정프레임에 설치된 승강안내관 내에 승강가능하게 결합된 구성과, 상기 안장지지대를 상향으로 탄성지지되게 하는 압축스프링과, 상기 안장지지대가 상승 또는 하강한 위치에서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고정부재와, 상기 고정부재는 핸들프레임에 고정설치된 작동부재에 의해 제어할 수 있도록 한 자전거의 안장높이 조절장치를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자전거의 안장높이 조절장치는 주행중에 일시 정지하거나 하차하는 경우에는 안장의 높이를 낮추어 탑승자의 발이 지면에 안정된 자세로 착지할 수 있도록 한 구성이 간단하면서 안장의 상승 또는 하강상태를 핸들의 일측에 설치된 작동부재에 의해 간편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한 것이어서 사용이 편리하고 간단한 구성으로 경쟁력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리고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고안은 한 쌍의 전륜(11) 및 후륜(12)과, 상기의 전륜(11) 및 후륜(12)을 지지하는 본체프레임(10)과, 상기의 전륜(11)과 연결되어 주행방향을 결정하는 핸들프레임(14)과, 상기 본체프레임(10)에 연결되어 안장(16)을 볼트(18)로 장착하는 안장지지대(20)와,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페달부(19)로 이루어진 자전거에 있어서, 상기 안장지지대(20)는 장봉으로 구비되어 본체프레임(10)에 설치된 승강안내관(30) 내에 승강가능하게 결합된 구성과, 상기 안장지지대(20)를 상향으로 탄성지지되게 하는 압축스프링(40)과, 상기 안장지지대(20)가 상승 또는 하강한 위치에서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고정부재(50)와, 상기 고정부재(50)는 핸들프레임(14)에 고 정설치된 작동부재(60)에 의해 제어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안장지지대(20)는 외주면에 길이방향으로 승강가이드홈(22)이 형성되고 승강가이드홈(22) 하부는 걸림단턱(24)이 형성되어 승강안내관(30)의 상단 내측으로 형성된 돌출단부(32)에 의해 안장지지대(20)가 소정위치까지 일직선상으로 승강되게 한다.
상기 압축스프링(40)은 승강안내관(30) 내에 설치되어 안장지지대(20)의 하단부를 상향으로 탄성지지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거나, 안장(16)의 하부에 구비된 받침캡(42)과 승강안내관(30)의 상단에 구비된 받침캡(42) 사이에 설치되어 안장지지대(20)를 상향으로 탄성지지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고정부재(50)는 안장지지대(20)가 상승 또는 하강한 위치에서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안장지지대(20)의 길이방향으로 일측에 상,하부 접속구멍(26)(26')이 형성되어 승강안내관(30)의 상부 일측에 형성된 고정핀(52)이 상,하부 접속구멍(26)(26')에 접속 또는 분리되게 하되 상기 고정핀(52)은 걸림단부(52a)가 구비된 소정길이로 이루어져서 하우징(51) 내에 안착된 스프링(53)으로 일측단부가 접속구멍 방향으로 향하도록 탄성지지되고 타단부는 당김줄(55)이 연결되어 안내로울(56)을 거쳐 핸들프레임(14)에 고정설치되어 당김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한 레버형태의 작동부재(60)에 의해 고정핀(52)이 접속구멍(26)(26')에 접속 또는 분리가 되 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고정부재(50)는, 안장지지대(20)의 길이방향으로 일측에 상,하부 접속구멍(26)(26')이 형성되어 승강안내관(30)의 상부 일측에 형성된 고정핀(52)이 상,하부 접속구멍(26)(26')에 접속 또는 분리되게 하되 고정핀(52)은 하우징(51) 내에 구비되고 전원공급선으로 연결된 전자석(58)으로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핸들프레임(14)에 고정설치되어 전자석(58)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한 작동부재(60)에 의해 고정핀(52)이 접속구멍(26)(26')에서 고정 또는 분리되게 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된 본 고안의 자전거의 안장높이 조절장치 구성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탑승자가 자전거를 타기 전에 탑승자의 신체적인 조건에 맞도록 안장(16)의 상하 높이를 통상의 방법과 같이 안장지지대(20)의 상단에 결합된 볼트 등을 풀어 조절한 다음 자전거 주행을 하게 되는바, 이때 상기와 같이 높낮이를 볼트(18) 조절한 안장(16)은 주행시 페달이 하사점에 위치할 때 다리를 완전히 펼 수 있는 상태가 되도록 맞추어져 있는 것으로 이는 도 3과 같이 안장지지대(20)의 하부 접속구멍(26')에 고정부재(50)의 고정핀(52)이 접속되어 안장지지대(20)는 주행이 용이하도록 상승된 위치로 고정된 상태에서 주행을 하게 된다.
이렇게 안장(16)이 상승된 위에서 주행을 하는 과정에서 일시적으로 정차하는 경우에 상승된 안장(16)에 의해 탑승자의 발이 지면에 닿지 않아서 불안정한 착지자세가 되면 탑승자가 핸들프레임(14)에 구비된 고정부재(50)를 제어하는 수단으로 고정핀(52)이 하부 접속구멍(26')에서 분리되게 하면 안장(16)에 앉아 있는 탑승자의 하중에 의해 안장지지대(20)가 하강이 이루어지되 압축스프링(40)의 완충작용에 의해 급격한 하강을 방지하면서 서서히 하강이 이루어지게 되며, 이러한 과정으로 안장(16)이 하강되어 탑승자의 발이 지면에 닿는 안정된 착지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때 자전거의 주행시에 안장(16)에 탑승자가 앉은 상태에서 일시적인 정차를 하는 경우에는 안장(16)이 하강된 상태에서 별도 고정을 하지 않더라도 착지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며, 안장(16)을 하강시킨 상태로 고정이 필요한 경우는 주로 탑승자가 하차하는 경우에 작동부재(60)에 의해 고정핀(52)이 안장지지대(20)의 상부 접속구멍(26)에 접속되게 함으로서 안장(16)이 하강된 상태로 고정하여 하차를 편리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안장(16)이 하강되되 하강된 상태를 고정하지 않고 탑승자가 안정된 착지자세를 유지한 다음 자전거의 주행을 하기 위해 안장지지대(20)를 주행이 용이하도록 상승된 위치로 안장(16)의 높이를 높이고자 할 때에는 탑승자의 하중이 안장(16)에 가해지지 않도록 안장(16)과 이격되도록 하면 안장지지대(20)를 상향으로 탄성지지하고 있는 압축스프링(40)에 의해 안장(16)이 주행이 용이한 높이로 상승이 이루어지게 되면 작동부재(60)에 의해 안장지지대(20)의 하부 접속구멍(26')에 고정부재(50)의 고정핀(52)이 접속되어 안장(16)이 상승된 높이로 고정시킨 다음 탑승자가 안장에 않아 주행을 하게 된다.
즉, 본 고안에서는 자전거 주행을 하는 과정에서 일시 정차를 하는 경우에는 주행에 적합한 높이에 있는 안장(16)의 고정을 해제하여 안장지지대(20)가 탑승자의 하중에 의해 승강안내관(30)의 내부로 하강하여 안장(16)이 하강된 위치가 되므로 탑승자의 발이 지면에 닿게 되는 안정된 착지자세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자전거의 일시 정차후에 또 다시 주행을 하게 될 때에는 탑승자의 하중이 안장(16)에 가해지지 않도록 엉덩이 부분을 들어올리게 되면 안장지지대(20)가 압축스프링(40)에 의해 상향되므로 이러한 상향이 이루어진 다음 핸들프레임(14)에 구비된 작동부재(60)에 의해 제어가 되는 고정부재(50)의 고정핀(52)으로 안장지지대(20)의 하부 접속구멍(26')에 접속되어 고정되게 한 수단으로 안장을 상승된 상태로 고정을 한 다음 탑승자가 안장(16)에 앉아 주행할 수 있게 되는바, 상기 안장의 상승과 고정되는 작용은 실시간으로 신속하게 이루어지는 것이다.
또, 안장(16)이 하강된 상태로 고정부재(50)에 의해 고정된 상태가 된 다음 안장(16)을 상승시키는 경우에도 안장지지대(20)의 하부 접속구멍(26')에 접속된 고정부재(50)의 고정핀(52)을 분리함과 아울러 안장(16)에 하중이 가해지지 않게 함으로서 안장지지대(20)가 압축스프링(40)으로 상승이 된다.
이상에서 본 고안은 상기 실시예를 참고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의 기술사상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구성을 보인 자전거의 전면 예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구성요부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구성요부를 나타낸 종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고정부재 부분의 평단면 예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구성에 따른 안장의 하강상태를 나타낸 종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구성에 따른 고정부재의 전자석 제어를 나타낸 종단면도.
도 7 및 본 고안의 압축스프링이 설치되는 또 다른 구성예시도.
도 8은 상기 도 7의 구성에 따른 안장의 하강상태를 나타낸 종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본체프레임 11 : 전륜
12 : 후륜 14 : 핸들프레임
16 : 안장 18 : 볼트
19 : 페달부 20 : 안장지지대
22 : 승강가이드홈 24 : 걸림단턱
26,26' : 접속구멍 30 : 승강안내관
32 : 돌출단부 40 : 압축스프링
42 : 받침캡 50 : 고정부재
51 : 하우징 52 : 고정핀
52a: 걸림단부 53 : 스프링
55 : 당김줄 56 : 안내로울
58 : 전자석 60 : 작동부재

Claims (6)

  1. 한 쌍의 전륜(11) 및 후륜(12)과, 상기의 전륜(11) 및 후륜(12)을 지지하는 본체프레임(10)과, 상기의 전륜(11)과 연결되어 주행방향을 결정하는 핸들프레임(14)과, 상기 본체프레임(10)에 연결되어 안장(16)을 장착하는 안장지지대(20)와,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페달부(19)로 이루어진 자전거에 있어서,
    상기 안장지지대(20)는 장봉으로 구비되어 본체프레임(10)에 설치된 승강안내관(30) 내에 승강가능하게 결합된 구성과,
    상기 안장지지대(20)를 상향으로 탄성지지되게 하는 압축스프링(40)과,
    상기 안장지지대(20)가 상승 또는 하강한 위치에서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고정부재(50)와,
    상기 고정부재(50)는 핸들프레임(14)에 고정설치된 작동부재(60)에 의해 제어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의 안장높이 조절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안장지지대(20)는 외주면에 길이방향으로 승강가이드홈(22)이 형성되고 승강가이드홈(22) 하부는 걸림단턱(24)이 형성되어 승강안내관(30)의 상단 내측으로 형성된 돌출단부(32)에 의해 안장지지대(20)가 일직선상으로 승강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의 안장높이 조절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스프링(40)은 승강안내관(30) 내에 설치되어 안장지지대(20)의 하단부를 상향으로 탄성지지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의 안장높이 조절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스프링(40)은 안장(16)의 하부에 구비된 받침캡(42)과 승강안내관(30)의 상단에 구비된 받침캡(42) 사이에 설치되어 안장지지대(20)를 상향으로 탄성지지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의 안장높이 조절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50)는;
    안장지지대(20)의 길이방향으로 일측에 상,하부 접속구멍(26)(26')이 형성되어 승강안내관(30)의 상부 일측에 형성된 고정핀(52)이 상,하부 접속구멍(26)(26')에 접속 또는 분리되게 하되 상기 고정핀(52)은 걸림단부(52a)가 구비된 소정길이 로 이루어져서 하우징(51) 내에 안착된 스프링(53)으로 일측단부가 접속구멍 방향으로 향하도록 탄성지지되고 타단부는 당김줄(55)이 연결되어 안내로울(56)을 거쳐 핸들프레임(14)에 고정설치되어 당김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한 레버형태의 작동부재(60)에 의해 고정핀(52)이 접속구멍(26)(26')에 접속 또는 분리가 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의 안장높이 조절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50)는;
    안장지지대(20)의 길이방향으로 일측에 상,하부 접속구멍(26)(26')이 형성되어 승강안내관(30)의 상부 일측에 형성된 고정핀(52)이 상,하부 접속구멍(26)(26')에 접속 또는 분리되게 하되 고정핀(52)은 하우징(71) 내에 구비되고 전원공급선으로 연결된 전자석(78)으로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핸들프레임(14)에 고정설치되어 전자석(78)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한 작동부재(80)에 의해 고정핀(72)이 접속구멍(64)에서 고정 또는 분리되게 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의 안장높이 조절장치.
KR2020090011662U 2009-09-04 2009-09-04 자전거의 안장높이 조절장치 KR20110002513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1662U KR20110002513U (ko) 2009-09-04 2009-09-04 자전거의 안장높이 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1662U KR20110002513U (ko) 2009-09-04 2009-09-04 자전거의 안장높이 조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2513U true KR20110002513U (ko) 2011-03-10

Family

ID=442078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11662U KR20110002513U (ko) 2009-09-04 2009-09-04 자전거의 안장높이 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02513U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986269A (zh) * 2015-07-24 2015-10-21 刘畅 一种儿童自行车座垫的紧固装置
CN109018098A (zh) * 2017-06-09 2018-12-18 王金昌 可与自行车配套整体拆装的行驶中座包升降装置
WO2018234834A1 (en) * 2017-06-23 2018-12-27 Sparrow Roger ADJUSTABLE SEAT POST
US20210371028A1 (en) * 2020-05-28 2021-12-02 Fox Factory, Inc. Offset bushings and alignment features of a dropper seatpost assembly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986269A (zh) * 2015-07-24 2015-10-21 刘畅 一种儿童自行车座垫的紧固装置
CN109018098A (zh) * 2017-06-09 2018-12-18 王金昌 可与自行车配套整体拆装的行驶中座包升降装置
WO2018234834A1 (en) * 2017-06-23 2018-12-27 Sparrow Roger ADJUSTABLE SEAT POST
US20210371028A1 (en) * 2020-05-28 2021-12-02 Fox Factory, Inc. Offset bushings and alignment features of a dropper seatpost assembly
US11745817B2 (en) * 2020-05-28 2023-09-05 Fox Factory, Inc. Offset bushings and alignment features of a dropper seatpost assembly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09731B2 (ja) 自力歩行訓練器
US20140087923A1 (en) Exercise device
KR20110002513U (ko) 자전거의 안장높이 조절장치
US6503176B2 (en) Walker device with power assisted lift
JP5400174B2 (ja) スクーター用往復式変速ペダル構造
JP2018520937A (ja) 自転車のサドル傾斜角調節装置
JP2007138680A (ja) 垂直昇降式駐輪設備
CN106029033B (zh) 轮椅
US20110198154A1 (en) Vertically Adjustable Automatic Step Stool
KR100864173B1 (ko) 자전거 안장 높이 조절장치
CN2813421Y (zh) 座椅升降调节装置
KR20110002515U (ko) 자전거 안장의 위치조절장치
US8196948B2 (en) Elevating device for seat cushion of bicycle
KR101756799B1 (ko) 자전거 안장 각도조절장치
JP2007118914A (ja) 自転車用サドル昇降装置
KR20100009147U (ko) 자전거용 안장의 높이 조절장치
KR102087097B1 (ko) 수직 및 경사 승강이 가능한 이송장치
KR101917796B1 (ko) 자전거 안장의 각도 조절장치
JP3174682U (ja) 自転車のサドル高調整装置
KR200469841Y1 (ko) 3바퀴 운동기구
CN214713091U (zh) 一种后推式能自动调整座椅面水平的三星轮上楼车
KR101245066B1 (ko) 3바퀴 운동기구
CN217515207U (zh) 一种焊接小车支腿快速升降机构
CN220090374U (zh) 一种卧式健身车椅座调节装置
JP2012125486A (ja) 歩行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