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02515U - 자전거 안장의 위치조절장치 - Google Patents

자전거 안장의 위치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2515U
KR20110002515U KR2020090011665U KR20090011665U KR20110002515U KR 20110002515 U KR20110002515 U KR 20110002515U KR 2020090011665 U KR2020090011665 U KR 2020090011665U KR 20090011665 U KR20090011665 U KR 20090011665U KR 20110002515 U KR20110002515 U KR 2011000251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ddle
fixing
support
support plat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1166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한
Original Assignee
김동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동한 filed Critical 김동한
Priority to KR202009001166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02515U/ko
Publication of KR2011000251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2515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1/00Saddles or other seats for cycles; Arrangement thereof; Component parts
    • B62J1/08Frames for saddles; Connections between saddle frames and seat pillars; Seat pill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1/00Saddles or other seats for cycles; Arrangement thereof; Component parts
    • B62J1/02Saddles resiliently mounted on the frame; Equipment therefor, e.g. springs
    • B62J1/06Saddles capable of parallel motion up and down
    • B62J1/065Saddles supported on a parallelogram link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23/00Rider-operated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i.e. means for initiating control operations, e.g. levers, grips
    • B62K23/02Rider-operated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i.e. means for initiating control operations, e.g. levers, grips hand actuated

Abstract

본 고안은 자전거 탑승자의 신체조건이나 주행조건에 맞추어 안장의 위치를 전,후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고 이러한 안장의 전,후방 이동시에는 안장이 하향되어 안정된 자세로 앉을 수 있도록 한 안장조절수단의 구성이 간단하면서 핸들 부위에서 조절이 가능하도록 한 자전거의 안장의 위치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한 쌍의 전륜 및 후륜과, 본체프레임과, 핸들프레임과, 안장지지대와, 페달부로 이루어진 자전거에 있어서, 상기 안장지지대의 하단에 수평으로 연결되는 지지대판과, 상기 안장지지대 하부에 위치하는 동일 수직선상의 본체프레임에 상기 지지대판과 대향되게 설치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 고정대판과, 상기 지지대판과 고정대판을 연결지지하고 지지대판이 전,후방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연결링크와, 상기 연결링크가 수직선상으로 놓여질 수 있도록 당김작용이 이루어지도록 한 당김스프링과, 상기 연결링크가 회전되게 하고 설정된 회전각도에서 고정할 수 있도록 고정수단이 구비된 고정부재와, 상기 고정부재의 고정수단은 핸들프레임에 고정설치된 작동부재에 의해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자전거 안장의 위치조절장치를 특징으로 한다.
안장, 고정부재, 작동부재, 당김스프링

Description

자전거 안장의 위치조절장치 {A bicycle equipped with changeable saddle}
본 고안은 자전거 안장의 위치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자전거 탑승자의 신체조건이나 주행조건에 맞추어 안장의 위치를 전,후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고 이러한 안장의 전,후방 이동시에는 안장이 하향되어 주행안전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한 안장조절수단의 구성이 간단하면서 핸들 부위에서 조절이 가능하도록 한 자전거의 안장의 위치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전거는 안장에 탑승한 탑승자가 페달을 밟아 회전시키는 회전동력에 의해 주행이 이루어지는 것이므로 자전거의 안장은 신체적인 조건이나 자전거 주행시의 고속주행, 서행, 오르막길 주행 및 내리막길 등과 같은 주행조건에 따라 상하 높이뿐만 아니라 전후 방향으로 안장의 위치를 달리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그래서 종래에도 탑승자는 자전거를 타기 전에 신체적인 조건에 맞는 적합한 안장의 상하 높이를 조절하여 고정하는 형태로 사용하거나 주행조건에 따른 안장의 전후 방향 위치조절을 할 수 있도록 한 것이 있었다.
그러나 상기 주행조건의 변화에 따른 안장의 전후 방향 위치조절은 주행을 하고 있는 상태에서는 불가능하고 주행을 멈춘 상태에서 조절해야되므로 주행의 연속성이 떨어지는 폐단이 있었기 때문에 거의 활용되지 못하였다.
상기와 같이 주행하는 과정에서 안장의 전후 방향 위치조절을 할 수 없는 점을 감안하여 안장의 전후 방향 위치조절을 하기 위한 구성으로 자전거의 핸들에 레버를 설치한 것이 있었으나, 이는 안장을 전후로 이동시키기 위한 구성으로 실린더 등을 이용한 별도의 동력전달수단을 필요로 하는 것이어서 이러한 동력전달수단을 구비하기 위한 구조가 복잡해지고 제조원가도 많이 들게 되어 실용성이 떨어지게 되는 단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자전거 안장의 위치조절장치를 안출한 것으로, 안장의 위치를 전,후방으로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안장이 전,후방으로 이동하게 되면 동시에 안장의 높이도 하향되게 한 안장위치조절수단이 구비되고 상기 안장위치조절수단은 핸들의 일측에 설치된 작동부재에 의해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한 자전거 안장의 위치조절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은 한 쌍의 전륜 및 후륜과, 상기의 전륜 및 후륜을 지지하는 본체프레임과, 상기의 전륜과 연결되어 주행방향을 결정하는 핸들프레임과, 상기 본체프레임에 연결되어 안장을 장착하는 안장지지대와,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페달부로 이루어진 자전거에 있어서, 상기 안장지지대의 하단에 수평으로 연결되는 지지대판과, 상기 안장지지대 하부에 위치하는 동일 수직선상의 본체프레임에 상기 지지대판과 대향되게 설치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 고정대판과, 상기 지지대판과 고정대판을 연결지지하고 지지대판이 전,후방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연결링크와, 상기 연결링크가 수직선상으로 놓여질 수 있도록 당김작용이 이루어지도록 한 당김스프링과, 상기 연결링크가 회전되게 하고 설정된 회전각도에서 고정할 수 있도록 고정수단이 구비된 고정부재와, 상기 고정부재의 고정수단은 핸들프레임에 고정설치된 작동부재에 의해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자전거 안장의 위치조절 장치를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자전거 안장의 위치조절장치는 고속주행이나 내리막길 주행 등을 하는 경우에 안장을 전,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게 함과 아울러 안장의 전,후방 이동시에 안장의 높이도 동시에 하향되어 주행안정성을 크게 향상시켜 주고 이러한 안장의 위치조절수단은 자전거의 주행과정에서 핸들프레임에 구비된 작동부재에 의해 고정부재를 제어하는 수단으로 탑승자가 안장에 앉은 상태에서 간편하게 전후방으로 이동시켜 고정할 수 있는 등 사용이 편리하고 간단한 구성으로 경쟁력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리고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고안은 한 쌍의 전륜(11) 및 후륜(12)과, 상기의 전륜(11) 및 후륜(12)을 지지하는 본체프레임(10)과, 상기의 전륜(11)과 연결되어 주행방향을 결정하는 핸들프레임(14)과, 상기 본체프레임(10)에 연결되어 안장(16)을 장착하는 안장지지 대(18)와,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페달부(19)로 이루어진 자전거에 있어서, 상기 안장지지대(18)의 하단에 수평으로 연결되는 지지대판(20)과, 상기 안장지지대(18) 하부에 위치하는 동일 수직선상의 본체프레임(10)에 상기 지지대판(20)과 대향되게 설치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 고정대판(30)과, 상기 지지대판(20)과 고정대판(30)을 연결지지하고 지지대판(20)이 전,후방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연결링크(40)와, 상기 연결링크(40)가 수직선상으로 놓여질 수 있도록 당김작용이 이루어지도록 한 당김스프링(50)과, 상기 연결링크(40)가 회전되게 하고 설정된 회전각도에서 고정할 수 있도록 고정수단이 구비된 고정부재(60)와, 상기 고정부재(60)의 고정수단은 핸들프레임(14)에 고정설치된 작동부재(80)에 의해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구성으로 안장의 위치조절이 가능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지대판(20)과 고정대판(30)은, 장방형으로 구비되어 일정간격을 두고 연결링크(40)에 의해 연결되되 상기 연결링크(40)는 지지대판(20)과 고정대판(30)의 전,후방 양측단에 각각 설치되어 지지대판(20)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당김스프링(50)은, 지지대판(20)과 고정대판(30)을 상호 당김작용하는 형태로 연결하되 당김스프링(50)의 양단부는 소정높이의 받침턱이 형성된 받침캡(52) 내부에 지지되게 안착된 형태로 설치되어 그 받침캡(52)에 의해 당김스프링(50)의 길이방향으로 일직선상의 위치가 되게 복원되려는 작용이 발생되도록 한 구성으로 되어 있으며, 이는 연결링크(40)가 전,후방 회전각도로 고정이 되면서 당 김스프링(50)은 상단과 연결된 지지대판(20)의 이동에 의해 비틀림 형태로 휘어진 다음 연결링크(40)의 전,후방 회전각도의 고정이 해제되면 당김스프링(50)은 길이방향으로 일직선상의 위치가 되게 복원되는 작용으로 연결링크(40)가 수직으로 직립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고정부재(60)는, 고정대판(30)의 일측부에 일체로 형성된 반구형의 접속판(62)에 다수의 접속구멍(64)이 형성되어 일측의 연결링크(40)에 설치된 접속부재(70)의 고정핀(72)이 상기 접속구멍(64)에 접속 또는 분리될 수 있도록 한 고정수단으로 되어 있고, 상기 접속구멍(64)은 연결링크(40)가 전,후방으로 회전된 위치에서 접속부재(70)의 고정핀(72)이 선택적으로 접속될 수 있는 위치에 각각 형성된다.
상기 접속부재(70)는, 걸림단부(72a)가 구비된 소정길이의 고정핀(72)으로 이루어지되 고정핀(72)은 하우징(71) 내에 안착된 스프링(73)으로 일측단부가 접속구멍(64) 방향으로 향하도록 탄성지지되고 타단부는 당김줄(75)이 연결되어 안내로울(76)을 거쳐 핸들프레임(14)에 고정설치되어 당김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한 레버형태의 작동부재(80)에 의해 고정핀(72)이 접속구멍(64)에 접속 또는 분리가 되는 구성에 의해 연결링크(40)의 회전각도를 설정하여 안장위치를 조절하게 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접속부재(70)는, 걸림단부(72a)가 구비된 소정길이의 고 정핀(72)으로 이루어지되 고정핀(72)은 하우징(71) 내에 구비되고 전원공급선으로 연결된 전자석(78)으로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핸들프레임(14)에 고정설치되어 전자석(78)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한 작동부재(80)에 의해 고정핀(72)이 접속구멍(64)에서 고정 또는 분리되게 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된 본 고안의 자전거 안장의 위치조절장치 구성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탑승자가 자전거를 타기 전에 탑승자의 신체적인 조건에 맞도록 안장(16)의 상하 높이를 통상의 방법과 같이 안장(16)의 하부와 안장지지대(18) 상단에 결합된 볼트 등을 풀어 높낮이를 수작업으로 조절한 다음 도 3과 같이 지지대판(20)과 고정대판(30)이 대향되게 연결링크(40)가 전,후방으로 회전되지 않고 수직으로 직립되어 있는 안장(16)에 앉은 상태에서 페달부(19)의 페달을 밟아 평지와 같은 도로에서의 일반적인 주행을 하게 된다.
이러한 자전거의 주행과정에서 고속 주행을 하는 경우와 같이 무게 중심이 전방으로 향하도록 하기 위해 안장(16)의 위치를 전방으로 이동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핸들프레임(14)에 고정설치된 작동부재(80)에 의해 고정부재(60)를 제어하여 상기 작동부재(80)에 의해 연결링크(40)에 설치된 접속부재(70)의 고정핀(72)을 접속구멍(64)에서 분리하게 되면 연결링크(40)는 전,후방으로 자유롭게 회전가능한 상태가 되므로 탑승자는 안장(16)에 앉은 상태에서 탑승자의 엉덩이를 설정된 위치까지 앞으로 당기는 형태로 안장(16)을 전방으로 이동시킨 다음 접속부재(70)의 고정핀(72)을 설정된 접속구멍(64)에 접속하여 연결링크(40)를 고정하면 된다.
이렇게 안장(16)이 전방으로 이동하게 되는 경우에 직립된 상태의 연결링크(40)가 고정대판(30)을 축으로 전방 회전각도를 이루게 되면서 안장(16)의 높이도 동시에 하향되므로 탑승자는 일반 주행시에 비해 고속주행시에는 탑승자의 높이를 낮추는 작용을 하여 공기저항을 줄여서 고속주행이 용이하도록 하는 안정된 자세를 유도하게 된다.
또한, 자전거의 주행과정에서 내리막길을 주행하는 경우와 같이 무게중심을 후방으로 향하도록 하여 안정감을 높이기 위해 안장(16)을 후방으로 이동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안정핸들프레임(14)에 고정설치된 작동부재(80)에 의해 고정부재(60)를 제어하여 상기 작동부재(80)에 의해 연결링크(40)에 설치된 접속부재(70)의 고정핀(72)을 접속구멍(64)에서 분리하게 되면 연결링크(40)는 전,후방으로 자유롭게 회전가능한 상태가 되도록 한 다음 탑승자는 안장(16)에 앉은 상태에서 탑승자의 엉덩이를 설정된 위치까지 뒤로 밀어내는 형태로 안장(16)을 뒤로 이동시킨 다음 접속부재(70)의 고정핀(72)을 설정된 접속구멍(64)에 접속하여 연결링크(40)를 고정하여 안장(16)을 후방 이동시키게 된다.
이렇게 안장(16)이 후방으로 이동하게 되는 경우에도 직립된 상태의 연결링크(40)가 고정대판(30)을 축으로 후방 회전각도를 이루게 되면서 안장(16)의 높이도 동시에 하향되므로 탑승자는 일반 주행시에 비해 탑승자의 높이를 낮추는 작용을 하여 탑승자가 내리막주행시에 지면과 보다 가까워지므로 높은 위치에서 주행할 때보다 공포감을 덜 느끼도록 하는 등 탑승자의 주행 안정감을 높여주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된 안장을 원위치에 놓여지게 하여 일반주행을 하는 경우에는 연결링크(40)에 설치된 접속부재(70)의 고정핀(72)을 접속구멍(64)에서 분리하여 연결링크(40)의 고정을 해제함과 아울러 안장(16)에서 탑승자의 엉덩이를 이격시켜 안장(16)에 힘이 가해지지 않게 되면 일직선상의 원위치로복원되는 작용이 발생되도록 한 당김스프링(50)에 의해 지지대판(20)이 고정대판(30)의 상측으로 대향되면서 안장이 원위치로 복원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서는 고속주행이나 내리막길 주행 등을 하는 경우에 안장을 전,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게 함과 아울러 안장의 전,후방 이동시에 안장의 높이도 동시에 하향되어 주행안정성을 크게 향상시켜 주고 이러한 안장의 위치조절수단은 자전거의 주행과정에서 핸들프레임(14)에 구비된 작동부재(80)에 의해 고정부재(60)를 제어하는 수단으로 탑승자가 안장(16)에 앉은 상태에서 간편하게 전후방으로 이동시켜 고정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고안은 상기 실시예를 참고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의 기술사상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구성을 보인 자전거의 전면 예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구성요부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구성요부를 나타낸 전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구성요부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구성에 따른 안장의 후방이동을 나타낸 작용도.
도 6은 본 고안의 구성에 따른 안장의 후방이동을 단면도로 나타낸 작용도.
도 7은 본 고안의 구성에 따른 고정핀을 전자석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한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본체프레임 11 : 전륜
12 : 후륜 14 : 핸들프레임
16 : 안장 18 : 안장지지대
19 : 페달부 20 : 지지대판
30 : 고정대판 40 ; 연결링크
50 : 당김스프링 52 : 받침캡
54 : 받침턱 60 : 고정부재
62 : 접속판 64 : 접속구멍
70 : 접속부재 71 : 하우징
72 : 고정핀 72a: 걸림단부
73 : 스프링 75 : 당김줄
76 : 안내로울 78 : 전자석
80 : 작동부재

Claims (6)

  1. 한 쌍의 전륜(11) 및 후륜(12)과, 상기의 전륜(11) 및 후륜(12)을 지지하는 본체프레임(10)과, 상기의 전륜(11)과 연결되어 주행방향을 결정하는 핸들프레임(14)과, 상기 본체프레임(10)에 연결되어 안장(16)을 장착하는 안장지지대(18)와,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페달부(19)로 이루어진 자전거에 있어서,
    상기 안장지지대(18)의 하단에 수평으로 연결되는 지지대판(20)과,
    상기 안장지지대(18) 하부에 위치하는 동일 수직선상의 본체프레임(10)에 상기 지지대판(20)과 대향되게 설치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 고정대판(30)과,
    상기 지지대판(20)과 고정대판(30)을 연결지지하고 지지대판(20)이 전,후방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연결링크(40)와,
    상기 연결링크(40)가 수직선상으로 놓여질 수 있도록 당김작용이 이루어지도록 한 당김스프링(50)과,
    상기 연결링크(40)가 회전되게 하고 설정된 회전각도에서 고정할 수 있도록 고정수단이 구비된 고정부재(60)와,
    상기 고정부재(60)의 고정수단은 핸들프레임(14)에 고정설치된 작동부재(80)에 의해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안장의 위치조절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판(20)과 고정대판(30)은, 장방형으로 구비되어 일정간격을 두고 연결링크(40)에 의해 연결되되 상기 연결링크(40)는 지지대판(20)과 고정대판(30)의 전,후방 양측단에 각각 설치되어 지지대판(20)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안장의 위치조절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당김스프링(50)은, 지지대판(20)과 고정대판(30)을 상호 당김작용하는 형태로 연결하되 당김스프링(50)의 양단부는 소정높이의 받침턱이 형성된 받침캡(52) 내부에 지지되게 안착된 형태로 설치되어 그 받침캡(52)에 의해 당김스프링(50)의 길이방향으로 일직선상의 위치가 되게 복원되려는 작용이 발생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안장의 위치조절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60)는, 고정대판(30)의 일측부에 일체로 형성된 반구형의 접속판(62)에 다수의 접속구멍(64)이 형성되어 일측의 연결링크(40)에 설치된 접속부재(70)의 고정핀(72)이 상기 접속구멍(64)에 접속 또는 분리될 수 있도록 한 고정 수단으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안장의 위치조절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부재(70)는, 걸림단부(72a)가 구비된 소정길이의 고정핀(72)으로 이루어지되 고정핀(72)은 하우징(71) 내에 안착된 스프링(73)으로 일측단부가 접속구멍(64) 방향으로 향하도록 탄성지지되고 타단부는 당김줄(75)이 연결되어 안내로울(76)을 거쳐 핸들프레임(14)에 고정설치되어 당김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한 레버형태의 작동부재(80)에 의해 고정핀(72)이 접속구멍(64)에 접속 또는 분리가 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안장의 위치조절장치.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부재(70)는, 걸림단부(72a)가 구비된 소정길이의 고정핀(72)으로 이루어지되 고정핀(72)은 하우징(71) 내에 구비되고 전원공급선으로 연결된 전자석(78)으로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핸들프레임(14)에 고정설치되어 전자석(45)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한 작동부재(80)에 의해 고정핀(72)이 접속구멍(64)에서 고정 또는 분리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안장의 위치조절장치.
KR2020090011665U 2009-09-04 2009-09-04 자전거 안장의 위치조절장치 KR20110002515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1665U KR20110002515U (ko) 2009-09-04 2009-09-04 자전거 안장의 위치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1665U KR20110002515U (ko) 2009-09-04 2009-09-04 자전거 안장의 위치조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2515U true KR20110002515U (ko) 2011-03-10

Family

ID=442078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11665U KR20110002515U (ko) 2009-09-04 2009-09-04 자전거 안장의 위치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02515U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5442B1 (ko) * 2018-12-06 2019-12-12 정주영 위치조절이 용이한 자전거 안장
CN111874132A (zh) * 2018-09-20 2020-11-03 河南联合力达新能源科技有限公司 体感平衡车用座椅减震装置
CN114940230A (zh) * 2022-05-30 2022-08-26 曹应洪 折叠两轮电动车
FR3121909A1 (fr) * 2021-04-20 2022-10-21 Arnaud Audrezet Véhicule comportant un dispositif d’assise mobile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874132A (zh) * 2018-09-20 2020-11-03 河南联合力达新能源科技有限公司 体感平衡车用座椅减震装置
CN111874133A (zh) * 2018-09-20 2020-11-03 河南联合力达新能源科技有限公司 平衡车用座椅减震装置
KR102055442B1 (ko) * 2018-12-06 2019-12-12 정주영 위치조절이 용이한 자전거 안장
FR3121909A1 (fr) * 2021-04-20 2022-10-21 Arnaud Audrezet Véhicule comportant un dispositif d’assise mobile
EP4079616A1 (fr) * 2021-04-20 2022-10-26 Vemoo Véhicule comportant un dispositif d assise mobile
CN114940230A (zh) * 2022-05-30 2022-08-26 曹应洪 折叠两轮电动车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656327B2 (ja) 三輪車の操舵方法及びその機構
CN104520176B (zh) 自行车
US20100187873A1 (en) Cycle seat with adjustable sides
EP1974776A2 (en) Recumbent seat mechanism
WO2005100140A1 (en) Motorcycle for adjustable riding postures
CA2627145C (en) Recumbent seat mechanism
CN1898121B (zh) 带有整体式悬架的稳定训练轮
KR20110002515U (ko) 자전거 안장의 위치조절장치
KR20110001324U (ko) 자전거 안장의 위치조절장치
US9227685B2 (en) Vehicle
CN108545138A (zh) 一种骑行姿态和行车方向易调整的自行车
CN115023391A (zh) 车辆
CN208119347U (zh) 一种车把倾角可调的自行车
WO2014040273A1 (zh) 一种小车
KR200427359Y1 (ko) 방향성 캐스터가 구비된 자전거
KR200453454Y1 (ko) 자전거 안장 조절장치
CN210302387U (zh) 电动滑板车
JP2007523001A (ja) 操縦装置の改良
JP2014091436A (ja) 自転車用補助輪及び自転車用補助輪取付装置
KR101523578B1 (ko) 유모차
CN106741353B (zh) 鞍座系统及自行车
CN214823846U (zh) 一种卡丁车及卡丁车架
CN103332246B (zh) 手驱动前轮脚控制后轮二轮自行车
CN106394763B (zh) 双前轮电动三轮车
CN218617006U (zh) 卡丁车车架及其开关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