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02446A - 알칼리토 금속을 포함하는 알루미네이트계 산화물 형광체 및 그의 분말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알칼리토 금속을 포함하는 알루미네이트계 산화물 형광체 및 그의 분말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2446A
KR20110002446A KR1020100063597A KR20100063597A KR20110002446A KR 20110002446 A KR20110002446 A KR 20110002446A KR 1020100063597 A KR1020100063597 A KR 1020100063597A KR 20100063597 A KR20100063597 A KR 20100063597A KR 20110002446 A KR20110002446 A KR 201100024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d oxide
oxide phosphor
alkaline earth
alo
bamgal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635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34316B1 (ko
Inventor
윤대호
마사키 타카키
박우정
조덕수
송영현
최태영
라원원
아이쉐 둘다
Original Assignee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Publication of KR201100024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24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43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43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11/00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 C09K11/08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containing inorganic luminescent materials
    • C09K11/77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containing inorganic luminescent materials containing rare earth metals
    • C09K11/7728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containing inorganic luminescent materials containing rare earth metals containing europium
    • C09K11/7734Alumin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11/00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 C09K11/08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containing inorganic luminescent materials
    • C09K11/57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containing inorganic luminescent materials containing manganese or rhenium
    • C09K11/572Chalcogenides
    • C09K11/574Chalcogenides with zinc or cadmium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11/00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 C09K11/08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containing inorganic luminescent materials
    • C09K11/64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containing inorganic luminescent materials containing aluminium
    • C09K11/641Chalcogenides
    • C09K11/643Chalcogenides with alkaline earth m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11/00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 C09K11/08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containing inorganic luminescent materials
    • C09K11/77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containing inorganic luminescent materials containing rare earth metals
    • C09K11/7728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containing inorganic luminescent materials containing rare earth metals containing europium
    • C09K11/7729Chalcogenides
    • C09K11/7731Chalcogenides with alkaline earth met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11/00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lternating current induction of the discharge, e.g. alternating current plasma display panels [AC-PDP];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out any main electrode inside the vessel;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t least one main electrode outside the vessel
    • H01J11/20Constructional details
    • H01J11/34Vessels, containers or parts thereof, e.g. substrates
    • H01J11/42Fluorescent lay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3/00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3/48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emiconductor body packages
    • H01L33/50Wavelength conversion elements
    • H01L33/501Wavelength conversion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e.g. binder
    • H01L33/502Wavelength conversion material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3/00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 H05B33/12Light sources with substantially two-dimensional radiating surfaces
    • H05B33/14Light sources with substantially two-dimensional radiating surfaces characterised by the chemical or physical composition or the arrangement of the electroluminescent material, or by the simultaneous addition of the electroluminescent material in or onto the light source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4/00Particle morphology
    • C01P2004/60Particles characterised by their size
    • C01P2004/62Submicrometer sized, i.e. from 0.1-1 micrometer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4/00Particle morphology
    • C01P2004/60Particles characterised by their size
    • C01P2004/64Nanometer sized, i.e. from 1-100 nanomet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11/00Plasma display panels with alternate current induction of the discharge, e.g. AC-PDPs
    • H01J2211/20Constructional details
    • H01J2211/34Vessels, containers or parts thereof, e.g. substrates
    • H01J2211/42Fluorescent lay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lasma & Fusion (AREA)
  • Luminescent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원은, 브라운관, 발광다이오드 (LED),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PDP), 냉음극형광램프(CCFL), 전계방출디스플레이(FED)와 같은 디스플레이용 및 램프용 발광기구에 사용 할 수 있는 초미세입자의 알칼리토 금속을 포함하는 AlO계 형광체 분말의 제조방법 관한 것으로서, 상기 제조 방법은 알칼리토 금속 염 및 알루미늄 염을 포함하는 수용액을 고분자 물질에 함침시켜 전구체를 수득하고 상기 전구체를 2단계로 소성함으로써 나노 크기 내지 서브 마이크로 크기의 AlO계(알루미네이트계) 산화물 형광체 분말을 수득하는 것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알칼리토 금속을 포함하는 알루미네이트계 산화물 형광체 및 그의 분말 제조 방법{ALUMINATE PHOSPHORS INCLUDING ALKALINE EARTH METALS AND METHOD OF PREPARATING POWDERS OF THE SAME}
본원은, 알칼리토 금속을 포함하는 AlO 알루미네이트)계 산화물 형광체 분말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브라운관, 발광 소자(light emitting diode, LED), 플라즈마 표시 패널(Plasma Display Panel, PDP) 및 전계 방출 디스플레이(Field Emission Display, FED)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또는 냉음극형광 램프(cold cathode fluorescent lamp, CCFL)를 포함하는 램프에 사용할 수 있는 초미세입자의 알칼리토 금속을 포함하는 AlO계 산화물 형광체 분말의 제조 방법, 알칼리토 금속을 포함하는 AlO계 산화물 형광체, BaMgAlO계 산화물 형광체 분말의 제조 방법 및 BaMgAlO계 산화물 형광체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형광체 제조 방법은 크게 고상(solid state), 액상(liquid state), 기상(gas state)법이 있으며, 이 중 고상 반응(solid state reaction)법이 가장 많이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형광체 제조 방법은 각각 장단점을 가지고 있으며, 보다 개선된 형광체 제조를 위해서는 산업화 가능성, 균일한 입자 크기, 고휘도화, 다성 분계 합성, 입자 간 분산성, 작은 입자 크기 및 입자 크기 조절 요건들을 가지는 제조 방법이 절실히 필요하다.
최근,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형광체 제조 연구자들은 다양한 방법을 통해 해결책을 강구하고 있으나, 아직 부족한 실정이다.
이하, 일반적인 고상법, 액상법, 기상법의 제조 방법의 장단점을 기재한다.
우선, 고상법은, 예를들어, 산화 이트륨(yttrium), 산화 유로퓸, 산화 바나듐을 화학량론적으로 혼합 및 분쇄하고, 소성하는 방법, 또는 이트륨(yttrium)과 유로퓸을 수화염으로서 침전 시킨 후 산화 바나듐과 혼합 및 분쇄, 소성한 방법이 보고되어 있다.
그러나, 고상법은 형광체를 구성하는 각 구성 원소를 자동 유발 등의 물리적인 혼합을 이용하여 제조하기 때문에, 혼합 상태에 얼룩이 생기고, 제조된 형광체 역시 균일 조성으로는 되기 어려우며, 1 내지 20 ㎛ 사이의 불균일한 입자가 수득되는 문제점이 있다. 즉, 제조된 형광체의 발광 효율이 저하되고 입자 사이즈 제어의 어려움이 보고되고 있다.
또한, 액상법은, 예를 들어, 공침법과 수열 합성법 등이 있다. 여기서 공침법은 낮은 온도에서 균일한 크기의 형광체를 제조할 수 있으나, 형광체가 다성분계 화합물일 경우 상분리 및 합성 공정 등의 추가적 공정을 수행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수열 합성법은 전구체 용액과 여러 제조 환경을 조절하여 실질적 균일한 크기의 입자를 제조할 수 있으나, 제조된 입자의 응집력이 강하기 때문에 입자의 제어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기상법은, 예를 들어, 분무 열분해법(spray pyrolysis)이 있다. 분무 열분해법은 구형의 입자와 각 입자간의 분산이 좋은 형광체 입자를 얻을 수 있으나, 제조된 입자의 속이 비어있기 때문에, 디스플레이에 형광체로서 이용할 경우, 광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원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나노 ~ 서브마이크론 크기이고, 입도 분포가 균일하며, 우수한 발광 효율을 가질 뿐만 아니라, 단시간에 제조할 수 있어 생산성 및 경제성이 우수한 AlO계 산화물 형광체 분말의 제조 방법, AlO계 산화물 형광체, BaMgAlO계 산화물 형광체 분말의 제조 방법 및 BaMgAlO계 산화물 형광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원의 제 1 측면은, 알칼리토 금속 염 및 알루미늄 염을 포함하는 수용액을 고분자 물질에 함침시켜 전구체를 수득하고, 상기 전구체를 500 내지 1000℃의 온도까지 예열된 로(furnace)의 안으로 단시간에 넣어 1차 소성한 후에, 냉각 후 또는 연속으로 1000 내지 1500℃의 온도에서 환원 분위기 하에서 2차 소성함으로써 AlO계(알루미네이트계) 산화물 형광체 분말을 수득하는 것을 포함하는, 알칼리토 금속을 포함하는 AlO계 산화물 형광체 분말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원의 제 2 측면은, 상기 제조 방법에 의하여 제조되는, 알칼리토 금속을 포함하는 AlO계 산화물 형광체를 제공한다.
또한, 본원의 제 3 측면은, 바륨(Ba) 염, 마그네슘(Mg) 염, 알루미늄(Al)염 및 부활제 금속의 염을 포함하는 수용액을 고분자 물질에 함침하시켜 전구체를 수득하고, 상기 전구체를 500 내지 1000℃의 온도까지 예열된 로(furnace)의 안으로 단시간에 넣어 1차 소성한 후에, 냉각 후 또는 연속으로 1000 내지 1500℃의 온도에서 환원 분위기 하에서 2차 소성함으로써 BaMgAlO계 (바륨 마그네슘 알루미네이트계) 산화물 형광체 분말을 수득하는 것을 포함하는, BaMgAlO계 산화물 형광체 분말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원의 제 4 측면은 상기 제조 방법에 의하여 제조되는 BaMgAlO계 산화물 형광체를 제공한다.
또한, 본원의 제 5 측면은 상기 알칼리토 금속을 포함하는 AlO계 산화물 형광체의 분말, 상기 BaMgAlO계 산화물 형광체의 분말, 또는 이들의 조합을 형광체로서 포함하는, 디스플레이를 제공한다.
또한, 본원의 제 6 측면은 상기 알칼리토 금속을 포함하는 AlO계 산화물 형광체의 분말, 상기 BaMgAlO계 산화물 형광체의 분말, 또는 이들의 조합을 형광체로서 포함하는 램프를 제공한다.
전술한 본원의 과제 해결 수단의 일부 실시예 중 하나에 의하면, 알칼리토 금속 염 및 알루미늄 염을 포함하는 전구체 수용액을 고분자 물질에 함침하고, 2 단계로 소성함으로써, 나노-서브마이크론 크기이고, 입도 분포가 균일하며, 우수한 발광 효율을 가질 뿐만 아니라, 단시간에 제조할 수 있어 생산성 및 경제성이 우수한 알칼리토 금속을 포함하는 AlO계 산화물 형광체를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알칼리토 금속을 포함하는 AlO계 산화물 형광체는 브라운관, 발광 소자(light emitting diode, LED), 플라즈마 표시 패널(Plasma Display Panel, PDP) 및 전계 방출 디스플레이(Field Emission Display, FED)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또는 냉 음극 형광 램프(cold cathode fluorescent lamp, CCFL)를 포함하는 램프에 형광체로서 이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원의 일 실시예의 고상법으로 제조된 상용 형광체 분말 BAM(blue)의 FE-SEM 이미지이고,
도 2는 본원의 일 실시예의 2차 소성 온도에 따라 각각 제조된 알칼리토 금속을 포함하는 AlO계 산화물 형광체 분말의 FE-SEM 이미지이고,
도 3은 본원의 일 실시예의 2차 소성 온도에 따라 각각 제조된 알칼리토 금속을 포함하는 AlO계 산화물 형광체 분말의 X-ray 회절 분석을 나타내고,
도 4는 본원의 일 실시예의 제조에서 B(Flux) 농도에 따라 각각 제조된 알칼리토 금속을 포함하는 AlO계 산화물 형광체 분말의 FE-SEM 이미지이고,
도 5는 본원의 일 실시예의 제조에서 B(Flux) 농도에 따라 각각 제조된 알칼리토 금속을 포함하는 AlO계 산화물 형광체 분말의 X-선 회절 분석이고,
도 6은 본원의 일 실시예의 합성된 형광체 분말의 시간별 분쇄 정도에 따라 각각 제조된 알칼리토 금속을 포함하는 AlO계 산화물 형광체 분말의 FE-SEM 이미지이고,
도 7은 본원의 일 실시예의 1500℃에서 제조된 형광체 분말의 XRD 분석 패턴이고,
도 8은 본원의 일 실시예의 제조된 형광체 분말의 PL 분석 자료로 여기파장(a) 및 발광파장(b)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원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원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원의 제 1 측면은, 알칼리토 금속 염 및 알루미늄 염을 포함하는 수용액을 고분자 물질에 함침시켜 전구체를 수득하고, 상기 전구체를 500 내지 1000℃의 온도까지 예열된 로(furnace)의 안으로 단시간에 넣어 1차 소성한 후에, 냉각 후 또는 연속으로 1000 내지 1500℃의 온도에서 환원 분위기 하에서 2차 소성함으로써 AlO계(알루미네이트계) 산화물 형광체 분말을 수득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는, 알칼리토 금속을 포함하는 AlO계 산화물 형광체 분말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고분자 물질에 상기 금속염 수용액을 함침하는 공정과 소성 공정을 통해 최소한의 결정핵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금속 염들을 포함하는 수용액의 농도는 10 내지 70% 중량 농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만일, 상기 금속 염들을 포함하는 수용액의 농도가 10% 미만인 경우, 고분자 물질 전체에 함침되는 시간이 길어지기 때문에 생산성이 저하된다. 반면, 상기 금속 염들을 포함하는 수용액의 농도가 70% 초과인 경우, 상기 수용액의 유동성이 저하되어 고분자 물질에 상기 수용액을 함침하는 공정에 장애가 일어남으로써, 고분자 물질의 표면으로부터 고분자 물질의 내부까지 상기 금속 염들을 포함하는 수용액이 함침되지 않는다. 즉, 상기 금속 염들을 포함하는 수용액의 농도는, 미세한 입자가 고분자 물질의 매트릭스 내부로 균일하게 함침되도록 25 내지 50% 중량 농도로 설정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함침 공정에 있어서, 상기 금속 염들을 포함하는 수용액 (이하, “금속 염 수용액”이라고 함)과 고분자 물질의 중량 비율이 1 : 0.5 내지 3.0인 것이 바람직하다. 만일, 상기 금속 염 수용액과 고분자 물질의 중량 비율이 1 : 0.5 미만일 경우, 상기 고분자 물질에 비해 미함침된 수용액이 다량 존재하기 때문에, 이러한 미함침된 금속 염 수용액이 소성 공정에서 큰 입자를 가지는 분말을 형성함으로써, 본원에 따른 형광체 분말을 제조하기 어렵다. 반면, 상기 금속 염 수용액과 고분자 물질의 중량 비율이 1 : 3.0 초과일 경우, 상기 금속 염 수용액에 비해 고분자 물질이 다량 존재하기 때문에, 상기 고분자 물질에 상기 금속 염 수용액이 함침되는 시간이 늘어나게 되어, 생산성 및 경제성이 저하된다.
또한, 상기 1차 소성 공정에 있어서 500 ~ 1000℃의 온도로 예열된 로의 안으로 상기 금속 염 수용액이 함침된 고분자 물질을 단시간에 넣는다. 한편, 상기 1차 소성 온도가 500℃ 미만일 경우, 소성 온도가 낮기 때문에 상기 고분자 물질이 제거되지 못하며, 이로 인해 상기 고분자 물질이 형광체에서 불순물로서 존재하게 된다. 반면, 상기 소성 온도가 1000℃ 초과일 경우, 결정핵의 생성보다 결정 성장이 빠르게 진행되기 때문에 균일한 입자 크기의 형광체가 제조되지 않는다. 즉, 700 내지 900℃의 소성 온도로 로를 예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예열시킨 로의 안으로 상기 금속 염 수용액이 함침된 고분자 물질을 실온 조건 하에서 5초 내지 10분 사이로 로의 안에 단시간에 넣고 고속 소성함으로써, 전체적인 형광체의 제조 시간을 단축시키고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여기서, 고속 소성을 위한 시간은 5초 내지 30초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 단시간의 소성에 의해 고분자 물질이 하소된다.
또한, 상기 1차 소성 공정 이후 냉각 한 후에 또는 연속적으로 수행하는 2차 소성 공정은, 일정한 산화 혹은 환원 분위기 속에서 50 내지 200 ℃/h의 가열 속도로 1000 내지 1500℃의 온도로 소성하여 고결정성의 산화물계 형광체 분말을 수득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두 번째 소성 온도가 1000℃ 미만으로 설정될 경우, 제조되는 형광체의 결정 형성 및 환원 반응이 수행되기 어렵기 때문에 제조된 형광체의 발광 효율이 급격히 저하된다. 또한, 상기 2차 소성 온도가 1500℃ 초과로 설정될 경우, 제조되는 형광체의 결정 성장 및 분말 응집이 급격하게 진행되어 균일한 입자 크기를 가진 형광체 분말을 수득하기 어렵다. 즉, 상기 1차 소성 공정 이후 냉각 한 후에 또는 연속적으로 수행하는 두 번째 소성 공정의 온도는 1200 내지 1400℃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1차 소성 공정의 소성 시간은 상기 고분자 물질이 산화되어 제거되기 충분한 30분 내지 5 시간으로 제어할 수 있으며, 가열 온도와 제조되는 형광체의 양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한편, 소성 시간이 30분 미만일 경우, 상기 고분자 물질이 형광체 내에서 불순물로서 남는다. 또한, 소성 시간이 5 시간 초과일 경우, 고분자 물질이 충분히 제거되어 결정 성장이 빠르게 진행됨으로써, 균일한 크기의 형광체 제조가 어렵다. 즉, 바람직한 소성 시간으로서 소성 시간을 1 내지 2 시간으로 설정함으로써, 소성 공정을 통해 고분자 물질 및 불순물이 제거되며, 함침에 의해 고분자 물질의 구조적 빈공간(수 Å)에 침입되어 있는 전구체 수용액이 이 빈공간의 크기에 대응하는 크기의 결정핵과 이 결정핵에 약하게 응집된 형태의 미세한 분말로서 수득된다. 즉, 소성 시간은 30분 내지 2 시간으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우선적으로 수행되는 단시간 1차 소성 공정에서 탄소가 미량으로 남아 있어 연속적으로 수행되는 2차 소성 공정에서 용이하게 산화 또는 환원 분위기를 조성할 수 있음으로써, 비교적 단시간의 소성 공정으로도 고휘도 형광체를 얻을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분위기를 조성하는 가스로는 아르곤(Ar), 산소(O2), 질소(N2), 수소(H2)의 단일 가스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선택되는 혼합 가스를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1차 소성 단계에서 잔존하는 탄소로 2차 소성에서 형성되는 이산화탄소(CO2) 또는 일산화탄소(CO)가 환원 분위기를 조성에 도움을 줄 수 있다. 상기 혼합 가스로는 N2/H2 (95/5) 혼합 가스를 사용할 수 있으나, 이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금속 염 수용액에 형광체의 플럭스(Flux)로서 역할을 할 수 있는 플루오르(F) 화합물, 붕소(B) 화합물, 나트륨(Na) 화합물, 염소(Cl) 화합물, 바나듐(V) 화합물 및 유기 화합물 등에서 선택되는 화합물을 첨가함으로써, 제조되는 형광체의 입자 크기 조절, 휘도 개선, 입자 분산성 개선 및 입자 모양 개선하는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플럭스로서 B(붕소) 화합물인 H3BO3를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연속적 소성 공정으로 제조된 형광체 분말에 분쇄 공정을 추가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데, 이 분쇄 공정에 사용되는 장치로서, 볼밀(ball mill), 롤러 제분기(roller mill), 진동 볼밀(ball mill), 아토라이타밀, 유성 볼밀(ball mill), 샌드밀(sand mill), 커터밀(cutter mill), 해머밀(hammer mill), 제트밀(jet mill) 등의 건식형 분산기 또는 초음파 분산기 또는 고압 호모지나이저(homogenizer)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장치를 이용할 수 있으며, 이 장치를 통한 분쇄 공정을 이용해 형광체 분말을 더 미립화시킬 수 있다.
상기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알칼리토 금속 염이 마그네슘(Mg), 칼슘(Ca), 스트론튬(Sr), 바륨(Ba)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2가의 알칼리토 금속을 포함하는 염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본원의 다른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알칼리토 금속 염 및 알루미늄 염은 알칼리토 금속 및 알루미늄 각각의 염화물, 질산염, 황산염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상기 금속의 염화물, 질화물, 황화물의 순으로 사용할 경우에 최종 조성의 산화물을 보다 낮은 온도에서 합성하기에 좋으며 상기 염화물이나 질화물을 금속염 수용액으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본원의 또 다른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 물질은 셀룰로오스, 펄프, 레이온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상기 고분자 물질은 결정형 셀룰로오즈(순도99.99%), 고순도 펄프(99.8%) 또는 레이온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세한 매트릭스 형태를 가지는 고순도 펄프를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매트릭스 사이의 빈공간은 40 내지 250 Å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순도 펄프는 약 200℃ 이상에서 산화가 시작되어 탄소의 화합물 형태 제거되며 및 기타 잔류물이 제거된다. 1차 소성 과정 중에서 생성되는 미세한 분말 속에 탄소가 산화되는과정에서 미세 결정 내에 결함을 감소시켜 고휘도 구현이 가능하고, 이어 2차 소성에서의 환원 분위기를 용이하게 형성 할 수 있다. 상기 본원의 또 다른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환원 분위기 하에서 2차 소성은 N2/H2(90 내지 95/5 내지 10) 또는 Ar/H2 (90 내지 95/5 내지 10)의 환원 분위기에서 수행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본원의 또 다른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AlO계 산화물 형광체 분말의 분쇄 후 입자 사이즈가 50 ~ 300 nm 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원의 제 2 측면은 상술한 제조 방법에 의하여 제조될 수 있는, 알칼리토 금속을 포함하는 AlO계 산화물 형광체를 제공한다.
본원의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알칼리토 금속을 포함하는 AlO계 산화물 형광체가 하기 일반식 1로 표시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일반식 1]
(MxAly)On : Lz,
상기 식 중
상기 M은 마그네슘(Mg), 칼슘(Ca), 스트론튬(Sr), 바륨(Ba)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2가의 알칼리토 금속으로서 형광체의 모체 또는 공부활제로서 역할을 하며.
상기 x는 1.0 내지 2.5이고,
상기 y는 9 내지 11이고,
상기 z는 0.1 내지 1.5이고,
상기 n은 14 내지 18이며,
상기 L은 부활제로서 유로퓸(Eu) 및 망간(Mn) 중 하나 이상임.
상기 본원의 다른 구현예 있어서, 상기 알칼리토 금속을 포함하는 AlO계 산화물 형광체 분말의 분쇄 후 입자 사이즈가 50 ~ 300 nm 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원의 제 3 측면은, 바륨(Ba) 염, 마그네슘(Mg) 염, 알루미늄(Al)염 및 부활제 금속의 염을 포함하는 수용액을 고분자 물질에 함침시켜 전구체를 수득하고,
상기 전구체를 500 내지 1000℃의 온도까지 예열된 로(furnace)의 안으로 단시간에 넣어 1차 소성한 후에, 냉각 후 또는 연속으로 1000 내지 1500℃의 온도에서 환원 분위기 하에서 2차 소성함으로써 BaMgAlO계(바륨 마그네슘 알루미네이트계) 산화물 형광체 분말을 수득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는, BaMgAlO계 산화물 형광체 분말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본원의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바륨(Ba) 염, 마그네슘(Mg) 염, 알루미늄(Al)염 및 부활제 금속의 염 각각은 염화물, 질산염, 황산염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본원의 다른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BaMgAlO계 산화물 형광체 분말의 분쇄 후 입자 사이즈가 50 ~ 800 nm 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본원의 또 다른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 물질은 셀룰로오스, 펄프, 레이온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본원의 또 다른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환원 분위기 하에서 소성은 N2/H2(90 내지 95/5 내지 10) 또는 Ar/H2(90 내지 95/5 내지 10)의 환원 분위기에서 수행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원의 제 4 측면은 상술한 제조 방법에 의하여 제조될 수 있는 BaMgAlO계 산화물 형광체를 제공한다.
상기 본원의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BaMgAlO계 산화물 형광체가 하기 일반식 2로 표시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일반식 2]
(BawMgxAly)On : Lz,
상기 식 중
상기 w는 0.5 내지 1.1이고,
상기 x는 0.5 내지 1.1이고,
상기 y는 9 내지 11이고,
상기 z는 0.1 내지 1.5이고,
상기 n은 14 내지 18이며,
상기 L은 유로퓸(Eu) 또는 망간(Mn)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함.
상기 본원의 다른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BaMgAlO계 산화물 형광체 분말의 분쇄 후 입자 사이즈가 50 ~ 800 nm 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즉, 500 내지 1000℃의 온도로 예열한 로의 안에 5초 내지 10분 사이로 전구체를 1차 소성하고, 다시 이 고분자 물질을 환원 분위기에서 30분 내지 5 시간 2차 소성한 후 분쇄하여 50 내지 800 nm, 또는 50 내지 500 nm, 또는 50 내지 300 nm 의 크기를 가지는 균일한 입자를 얻을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원의 제 5 측면은 상술한 알칼리토 금속을 포함하는 AlO계 산화물 형광체의 분말, 상술한 BaMgAlO계 산화물 형광체의 분말, 또는 이들의 조합을 형광체로서 포함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를 제공한다.
상기 본원의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는 브라운관, 발광 소자(light emitting diode, LED), 플라즈마 표시 패널(Plasma Display Panel, PDP) 및 전계 방출 디스플레이(Field Emission Display, FED) 중 어느 하나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여기서, 상술된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알칼리토 금속을 포함하는 AlO계 산화물 형광체 분말은 브라운관, 발광 소자(light emitting diode, LED), 플라즈마 표시 패널(Plasma Display Panel, PDP) 및 전계 방출 디스플레이(Field Emission Display, FED) 각각의 구조적 특징에 따라 빛이 형광 및 발광되는 영역에 도포되어, 빛을 발광하는 발광 수단으로서 이용된다.
본원의 제 6 측면은 상술한 본원에 따른 알칼리토 금속을 포함하는 AlO계 산화물 형광체의 분말, 상술한 BaMgAlO계 산화물 형광체의 분말, 또는 이들의 조합을 형광체로서 포함할 수 있는 램프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상술된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형광체 알칼리토 금속을 포함하는 AlO계 산화물 형광체 분말은 각각의 램프의 구조적 특징에 따라 빛이 형광 및 발광되는 영역에 도포되어, 빛을 발광하는 발광 수단으로서 이용될 수 있다.
이하, 본원의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며, 본 실시예에 의하여 본원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BAM : Eu 2 + 의 조성 변화 실험
금속염을 탈이온수(Deionized water, D.I water)에 녹여 Ba(NO3)2·H2O/탈이온수 30wt%, Al(NO3)3·H2O/탈이온수 50wt%, Mg(NO3)2·nH2O/탈이온수 30wt%, EuCl3·H2O/탈이온수 30wt%를 포함하는 전구체 수용액을 제조하고, 상기 전구체 수용액을 고분자 물질에 함침한 후 단시간 소성 및 환원 분위기 소성을 통해 Eu2 +가 도핑된 바륨-마그네슘 알루미네이트(Barium-Magnesium Aluminate doped Eu2 +, BAM:Eu2 +)를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 우선, 아래의 표 1의 시료 1 내지 13의 조성에 따라 5 g의 형광체를 얻을 수 있도록 각각의 금속염을 칭량하였다. 다음, 상기 칭량된 각 금속의 염들을 탈이온수에 녹인 수용액을 교반기(100r/min)로 30분 동안 혼합하여 균일한 금속염 수용액을 수득하였다.
다음, 고순도 펄프와 상기 금속염 수용액을 1 : 1의 중량비로 1 시간 이상 함침하였다.
다음, 상기 고분자 물질에 함침된 금속염 수용액을 다공질 알루미나 도가니에 넣고, 실질적으로 800℃로 예열된 전기로 안으로 10초 이내로 넣고 공기 중에서 1 시간 동안 1차 소성하여 형광체 분말을 수득하였다.
다음, 환원 분위기 하의 로를 사용하여 실온에서부터 가열속도 200 ℃/h으로 각 1200℃ 온도에서 2 시간 동안 2차 소성하여 BAM:Eu2 + 청색 형광체 분말을 수득하였다. 수득된 BAM:Eu2 + 청색 형광체 분말은 도 1에 나타낸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형광체 분말의 FE-SEM 이미지이다.
각 조성에 따른 BAM:Eu2 + 청색 형광체 분말과 비교예로서 상용화된 형광체 분말의 비교는 아래의 표 1과 같다.
Figure pat00001
표 1에서 보여진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라 다양한 조성으로 제조된 BAM:Eu2+ 청색 형광체 분말은 상용화된 제품에 비해 균일하고 미세한 입자 크기를 가짐으로써, 디스플레이 또는 램프에 형광 및 발광 수단으로서 사용할 경우, 상용화된 제품에 비해 표면이 매끄럽게 제조할 수 있다. 즉, 발광 수단의 표면이 매끄럽게 제어됨으로써, 발광 수단의 표면 거칠기에 의한 산란 또는 회절 등이 감소하게 되어 발광 효율이 향상된다.
BAM : Eu 2 + 의 온도 변화 실험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을 이용하고 상기 표 1의 시료 12인 Ba0.87Mg0.91Al10O16.99:Eu0.14의 조성으로 형광체를 제조하여 연속적 2차 소성에서 소성 온도 1000℃, 1200℃, 1400℃, 1450℃에서 각각 2 시간씩 소성하였다. 소성된 각각의 형광체의 FE-SEM 이미지는 도 2의 (a) 내지 (d)에 보여지며, 그 특성은 아래의 표 2에 나타나 있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라 각각 제조된 형광체 분말의 FE-SEM 이미지이다.
FE-SEM 이미지를 통해 온도에 따른 입자 성장을 관찰한 결과, 형광체 분말은 가로축이 400 내지 500 ㎚이고, 세로축이 70 내지 90 nm인 종횡비가 큰 바늘 형태를 가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온도가 상승할 수록 (107)면과 (311)면의 방향으로 성장하였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라 각각 제조된 형광체 분말의 X-선 회절 분석을 나타낸다.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소성 온도가 1000℃ 이하[도 3에서 (d)]에서는 결정 및 환원 분위기 형성 부족으로 인해 청색광을 구현하지 못하는 것을 알 수 있다.
Figure pat00002
BAM : Eu 2 + 플럭스 ( Flux ) 실험
실시예 2과 동일한 방법 및 조성으로 2차 소성 온도 1450℃ 에서의 H3BO3 로 각각 1%, 2%, 5% 중량 농도의 용액을 제조하여 플럭스(Flux)로서 사용하였다. 붕소(B)를 플럭스로서 첨가함으로써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정의 (104)면의 급격한 성장을 보였으며 이로 인해 바늘 모양이 넓게 성장하였다.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라 각각 제조된 형광체 분말의 FE-SEM 이미지이다.
아래의 표 3 및 도 5를 살펴보면 플럭스를 첨가함으로써, 발광 휘도가 향상된 것을 알 수 있었다. 표 3은 플럭스의 첨가양에 따른 발광 휘도의 비교를 나타낸 표이며,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라 각각 제조된 형광체 분말의 X-ray 회절 분석을 나타낸다.
Figure pat00003
BAM : Eu 2 + 의 분쇄 및 첨가제 실험
실시예 3과 동일한 방법 및 조성으로 2차 소성 온도 1450℃ 에서 플럭스로서 H3BO3 2%의 농도로 합성한 3g의 청색 형광체 분말, 0.75g의 분산제(DOPA33), 150ml의 탈이온수(D.I.water)를 혼합한 후, 100g의 비즈볼(Ø1.5 및 3 mm)로 4 시간, 8 시간, 12 시간 분쇄하였다. 하기 표 4 및 도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분쇄 시간에 따라 입자의 크기가 감소하였다. 표 4는 본 실시예에 따라 각각 제조된 형광체의 분쇄 시간에 따른 각각의 입자의 크기를 나타낸 표이고, 도 6은 본 실시예에 따라 각각 제조된 형광체 분말의 FE-SEM 이미지이다.
Figure pat00004
금속염을 탈이온수(Deionized water, D.I water)에 녹여 Sr(NO3)2·H2O/탈이온수 30 wt%, Al(NO3)3·H2O/탈이온수 50 wt%, EuCl3·H2O/탈이온수 30 wt%를 포함하는 전구체 수용액을 제조하고, 상기 전구체 수용액을 고분자 물질에 함침한 후 단시간 소성 및 환원 분위기 소성을 통해 Eu2 +가 도핑된 스트론튬-알루미네이트(Strontium Aluminate doped Eu2 +, SrAl2O4:Eu2 +)를 Sr0.95Al2O4:0.05Eu2 + 조성비율로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으로 5 g의 형광체를 얻을 수 있도록 각의 금속염을 칭량하였다. 다음, 상기 칭량된 금속의 염들을 탈이온수에 녹인 수용액을 교반기(100 r/min)로 30분 동안 혼합하여 균일한 전구체 수용액을 수득하였다. 다음, 고순도 펄프와 상기 전구체 수용액을 1 : 1의 중량비로 1시간 이상 함침하였다. 다음, 상기 고분자 물질에 함침된 전구체 수용액을 다공질 알루미나 도가니에 넣고, 실질적으로 800℃로 예열된 전기로 안으로 10초 이내로 넣고 공기 중에서 1 시간 소성하여 형광체 분말을 수득하였다. 다음, 환원 분위기 하의 로를 사용하여 실온에서부터 가열속도 200 ℃/h으로 각 1100 ~ 1500℃ 온도에서 2 시간 동안 소성하여 SrAl2O4:Eu2 + 녹색 형광체 분말을 수득하였다. 수득된 SrAl2O4:Eu2 + 녹색 형광체 분말의 분석 내용을 도 7 및 도 8에 나타냈다. 도 7은 본 실시예에 따라 1500℃에서 제조된 형광체 분말의 XRD 분석 패턴이다. 도 8은 본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형광체 분말의 PL 분석 자료로 여기파장(a) 및 발광파장(b) 이다.
전술한 본원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원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원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원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원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20)

  1. 알칼리토 금속 염 및 알루미늄 염을 포함하는 금속염 수용액을 고분자 물질에 함침시켜 전구체를 수득하고,
    상기 전구체를 500 내지 1000℃의 온도까지 예열된 로(furnace)의 안으로 단시간에 넣어 1차 소성한 후에 냉각 후 또는 연속으로 1000 내지 1500℃의 온도에서 환원 분위기 하에서 2차 소성함으로써 AlO계(알루미네이트계) 산화물 형광체 분말을 수득하는 것
    을 포함하는, 알칼리토 금속을 포함하는 AlO계 산화물 형광체 분말의 제조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알칼리토 금속 염이 마그네슘(Mg), 칼슘(Ca), 스트론튬(Sr), 바륨(Ba)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2가의 알칼리토 금속을 포함하는 염인, 알칼리토 금속을 포함하는 AlO계 산화물 형광체 분말의 제조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알칼리토 금속 염 및 알루미늄 염은 알칼리토 금속 및 알루미늄 각각의 염화물, 질산염, 황산염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인, 알칼리토 금속을 포함하는 AlO계 산화물 형광체 분말의 제조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 물질은 셀룰로오스, 펄프 및 레이온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인, 알칼리토 금속을 포함하는 AlO계 산화물 형광체 분말의 제조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환원 분위기 하에서 소성은 N2/H2 = (90 내지 95)/(10 내지 5), 또는 Ar/H2 = (90 내지 95)/(5 내지 10)의 환원 분위기에서 수행하는 것인, 알칼리토 금속을 포함하는 AlO계 산화물 형광체 분말의 제조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AlO계 산화물 형광체 분말의 분쇄 후 입자 사이즈가 50 nm 내지 300 nm 인, 알칼리토 금속을 포함하는 AlO계 산화물 형광체 분말의 제조 방법.
  7. 제 1 항의 제조 방법에 의하여 제조되는, 알칼리토 금속을 포함하는 AlO계 산화물 형광체.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AlO계 산화물 형광체가 하기 일반식 1로 표시되는 것인, 알칼리토 금속을 포함하는 AlO계 산화물 형광체:
    [일반식 1]
    (MxAly)On : Lz,
    상기 식 중
    상기 M은 마그네슘(Mg), 칼슘(Ca), 스트론튬(Sr), 바륨(Ba)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2가의 알칼리토 금속으로서 형광체의 모체 또는 공부활제로서 역할을 하며.
    상기 x는 1.0 내지 2.5이고,
    상기 y는 9 내지 11이고,
    상기 z는 0.1 내지 1.5이고,
    상기 n은 14 내지 18이며,
    상기 L은 부활제로서 유로퓸(Eu) 및 망간(Mn) 중 하나 이상임.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AlO계 산화물 형광체 분말의 분쇄 후 입자 사이즈가 50 nm 내지 300nm 인, 알칼리토 금속을 포함하는 AlO계 산화물 형광체.
  10. 바륨(Ba) 염, 마그네슘(Mg) 염, 알루미늄(Al)염 및 부활제 금속의 염을 포함하는 전구체 수용액을 고분자 물질에 함침시켜 전구체를 수득하고,
    상기 전구체를 500 내지 1000℃의 온도까지 예열된 로(furnace)의 안으로 단시간에 넣어 1차 소성한 후에 냉각한 후 또는 연속으로 1000 내지 1500℃의 온도에서 환원 분위기 하에서 2차 소성함으로써 BaMgAlO계 (바륨 마그네슘 알루미네이트계) 산화물 형광체 분말을 수득하는 것을 포함하는,
    BaMgAlO계 산화물 형광체 분말의 제조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바륨(Ba) 염, 마그네슘(Mg) 염, 알루미늄(Al)염 및 부활제 금속의 염 각각은 염화물, 질산염, 황산염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인, BaMgAlO계 산화물 형광체 분말의 제조 방법.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BaMgAlO계 산화물 형광체 분말의 분쇄 후 입자 사이즈가 50 내지 800nm 인, BaMgAlO계 산화물 형광체 분말의 제조 방법.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 물질은 셀룰로오스, 펄프, 레이온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인, BaMgAlO계 산화물 형광체 분말의 제조 방법.
  14.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환원 분위기 하에서 2차 소성은 N2/H2 = (90 내지 95)/(10 내지 5), 또는 Ar/H2 = (90 내지 95)/(10 내지 5)의 환원 분위기에서 수행하는 것인, BaMgAlO계 산화물 형광체 분말의 제조 방법.
  15. 제 10 항의 제조 방법에 의하여 제조되는 BaMgAlO계 산화물 형광체.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BaMgAlO계 산화물 형광체가 하기 일반식 2로 표시되는 것인, BaMgAlO계 산화물 형광체:
    [일반식 2]
    (BawMgxAly)On : Lz,
    상기 식 중
    상기 w는 0.5 내지 1.1이고,
    상기 x는 0.5 내지 1.1이고,
    상기 y는 9 내지 11이고,
    상기 z는 0.1 내지 1.5이고,
    상기 n은 14 내지 18이며,
    상기 L은 유로퓸(Eu) 또는 망간(Mn)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함.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BaMgAlO계 산화물 형광체 분말의 분쇄 후 입자 사이즈가 50 nm 내지 800nm 인, BaMgAlO계 산화물 형광체.
  18. 제 7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알칼리토 금속을 포함하는 AlO계 산화물 형광체의 분말, 제 15 항 내지 제 17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BaMgAlO계 산화물 형광체의 분말, 또는 이들의 조합을 형광체로서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는 브라운관,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LED), 플라즈마 표시 패널(Plasma Display Panel, PDP) 및 전계 방출 디스플레이(Field Emission Display, FED) 중 어느 하나인 것인 디스플레이.
  20. 제 7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알칼리토 금속을 포함하는 AlO계 산화물 형광체의 분말, 제 15 항 내지 제 17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BaMgAlO계 산화물 형광체의 분말, 또는 이들의 조합을 형광체로서 포함하는 램프.
KR1020100063597A 2009-07-01 2010-07-01 알칼리토 금속을 포함하는 알루미네이트계 산화물 형광체 및 그의 분말 제조 방법 KR10123431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9882 2009-07-01
KR20090059882 2009-07-0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2446A true KR20110002446A (ko) 2011-01-07
KR101234316B1 KR101234316B1 (ko) 2013-02-18

Family

ID=436106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63597A KR101234316B1 (ko) 2009-07-01 2010-07-01 알칼리토 금속을 포함하는 알루미네이트계 산화물 형광체 및 그의 분말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34316B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03851B1 (ko) * 1999-08-31 2001-09-13 김순택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용 청색 발광 형광체 조성물
KR100351635B1 (ko) * 2000-09-20 2002-09-11 한국화학연구원 구상의 알루미네이트계 청색 형광체의 제조방법
JP5138145B2 (ja) * 2002-11-12 2013-02-06 日亜化学工業株式会社 蛍光体積層構造及びそれを用いる光源
KR20080058681A (ko) * 2006-12-22 2008-06-26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용 적색 나노형광체 분말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34316B1 (ko) 2013-0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65771B1 (en) Process for producing aluminate-based phosphor
JP4362625B2 (ja) 蛍光体の製造方法
US20120187339A1 (en) Oxynitride phosphor powder, nitride phosphor powder, and a production method therefor
KR20110131117A (ko) 알루민산염 형광체, 그 제조 방법 및 발광 소자
Peng et al. Photoluminescence properties of YAG: Ce3+, Pr3+ nano-sized phosphors synthesized by a modified co-precipitation method
TWI417237B (zh) Production of Inorganic Crystals
JP2007113019A (ja) 蛍光体の製造方法
TWI538983B (zh) Yttrium cerium aluminum garnet phosphors and light emitting devices
KR101230039B1 (ko) 실리케이트계 산화물 형광체 및 상기의 분말 제조 방법
US20130082207A1 (en) Core-shell phosphor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US20130099161A1 (en) Core/shell lanthanum cerium terbium phosphate, and phosphor having improved thermal stability and including said phosphate
KR101256626B1 (ko) 초장잔광 형광체 및 그의 분말 제조방법
KR101234316B1 (ko) 알칼리토 금속을 포함하는 알루미네이트계 산화물 형광체 및 그의 분말 제조 방법
Ding et al. Molten Salt Synthesis of β-NaYF4: Yb3+, Ln3+(Ln= Er, Tm, and Ho) Micro/Nanocrystals with Controllable Morphology and Multicolor Upconversion Luminescence
Bacalski et al. The effects of fuel-to-oxidizer ratio on luminescence properties and particle morphology of combustion-synthesized europium-activated barium magnesium aluminate
Wu et al. Nanothick aluminate long-afterglow phosphors using inherited hydrothermal deriving
KR101419858B1 (ko) 형광체,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020022455A (ko) 구상의 알루미네이트계 청색 형광체의 제조방법
US20210095204A1 (en) Method for producing rare earth aluminate fluorescent material, rare earth aluminate fluorescent material, and light emitting device
KR101397154B1 (ko) 염화실리케이트계 형광체 및 그 제조 방법
KR20120096221A (ko) 형광체 분말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0447936B1 (ko) 진공자외선 여기 녹색발광 형광체와 그 제조방법
KR100424861B1 (ko) 가수분해법을 이용한 구상의 붕소산화물계 적색형광체의제조방법
KR100992949B1 (ko) 형광체의 제조방법
JP2008063574A (ja) ユーロピウム賦活酸化イットリウム及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