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01991U - 자립이동형 갠트리 크레인 - Google Patents

자립이동형 갠트리 크레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1991U
KR20110001991U KR2020110001105U KR20110001105U KR20110001991U KR 20110001991 U KR20110001991 U KR 20110001991U KR 2020110001105 U KR2020110001105 U KR 2020110001105U KR 20110001105 U KR20110001105 U KR 20110001105U KR 20110001991 U KR20110001991 U KR 2011000199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r
piers
self
gantry crane
gir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110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근수
Original Assignee
김근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근수 filed Critical 김근수
Priority to KR202011000110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01991U/ko
Publication of KR2011000199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1991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5/00Base supporting structures with legs
    • B66C5/02Fixed or travelling bridges or gantries, i.e. elongated structures of inverted L or of inverted U shape or tripods
    • B66C5/04Fixed or travelling bridges or gantries, i.e. elongated structures of inverted L or of inverted U shape or tripods with runways or tracks supported for movements relative to bridge or gantr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1/00Trolleys or crabs, e.g. operating above runways
    • B66C11/02Trolleys or crabs, e.g. operating above runways with operating gear or operator's cabin suspended, or laterally offset, from runway or track
    • B66C11/04Underhung trolleys
    • B66C11/06Underhung trolleys running on monor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9/00Travelling gear incorporated in or fitted to trolleys or cranes
    • B66C9/08Runners; Runner bea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700/00Cranes
    • B66C2700/01General aspects of mobile cranes, overhead travelling cranes, gantry cranes, loading bridges, cranes for building ships on slipways, cranes for foundries or cranes for public works
    • B66C2700/012Trolleys or runways
    • B66C2700/014Devices for trolleys running on monorails
    • B66C2700/015Arrangements which are easily displaceable or dismount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립이동형 갠트리 크레인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기초바닥의 설계된 임의의 간격으로 평행하게 2열로 배치되는 한 쌍의 기초형강과 레일바의 주행레일부(1A, 1B)와; 상기 한 쌍의 주행레일부(1A, 1B)위를 회전하며 크레인 전체를 이동시키는 단일이동바퀴구조인 한 쌍의 주행휠(2A, 2B, 2C, 2D)과; 상기 한 쌍의 주행휠(2A, 2B, 2C, 2D)의 상부에 수직으로 지지되는 한 쌍의 교각(3A, 3B, 3C, 3D)과; 상기 한 쌍의 교각(3A, 3B, 3C, 3D)에 의해 수평하게 걸쳐지는 모노레일식 5각형 중공 및 3각형 중공단면의 거더(7A, 7B)와; 상기 모노레일식 거더(7A, 7B)를 따라서 움직이는 호이스트로 되어; 상기 동일한 구조물형태가 2조 제작되어서 각각의 동일한 구조물을 착탈이 쉽게 될 수 있는 구조로 거더(7A)와 거더(7B)간의 한 쌍의 연결빔(9A, 9B, 9C, 10A, 10B)과 거더교각(6A, 6B)과 거더교각(6C, 6D)간의 한 쌍의 트러스연결바(8A, 8B)와 교각(3A, 3D)과 교각(3B, 3C)간의 한 쌍의 연결바(4A, 4B)로 결합하고; 상기 교각(3A, 3B, 3C, 3D)에 외팔구조 지브형 호이스트(5)로 구성되어서 설치 및 해체가 편리하고 각각 모듈로 분리되어 이동할 수 있으며; 상기 보조교각(11A, 11B)을 삽입하여 편차와 양정높이를 조정하고 연결바 변경으로 폭의 길이 또한 조정할 수 있으며 기존 갠트리 크레인과 동일한 권양능력을 발휘하므로 아파트형공장 옥내에 간편하게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옥외 사용시 풍하중영향이 적으므로 해안 및 교량건설공사에서 적용가능한 크레인이다.

Description

자립이동형 갠트리 크레인{Self Movable Gantry Crane}
본 고안은 자립이동형 갠트리크레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자립구조로 된 2열의 기초레일부와 단일이동바퀴구조인 한 쌍의 주행휠 및 미끄럼방지 레일고정장치 위로 지지되는 교각 및 보조교각에 수평하게 걸쳐지는 모노레일식 5각형 중공 및 3각형 중공 단면의 거더로 구성되어 동일한 구조물형태의 2조가 한 쌍의 핀체결 연결바로 결합 되어있고 교각에 외팔구조 지브형 호이스트도 추가설치되어 있는 것으로 양정높이와 폭길이가 변경가능하고 설치,해체 및 이동에 간편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립이동형 갠트리 크레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갠트리 크레인은 위험기계기구로서 의무 안전인증대상품이므로 서면 및 제품심사가 필요하다. 설치시에 주행레일을 콘크리트등의 기초바닥에 삽입 또는 노출로 단단히 고정시키고 있으며 설계치수에 따라 외형이 확정되어 제작된 후에는 양정높이 또는 폭의 길이 변경이 쉽지 않고 필요하게 되면 수정설계 후에 수정작업을 거쳐서 변경에 따른 서면 및 제품심사에 다시 승인을 획득하여야 한다.
또한, 설치 장소가 이전되었을 때에도 재승인을 획득하여야 하므로 변경이 필요하게 되면 사용상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 설치,해체 및 이동이 간편한 자립형으로서 모노레일식 5각형 중공 및 3각형 중공 단면의 거더와 이동가능한 주행레일과 교각과 보조교각의 조합에 의한 양정높이 조정과 연결바 변경에 의한 폭길이 조정이 가능하고 안전인증심사 승인등록 된 자립이동형 갠트리 크레인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기초바닥의 설계된 임의의 간격으로 평행하게 2열로 배치되는 한 쌍의 기초형강과 레일바의 주행레일부(1A, 1B)와; 상기 한 쌍의 주행레일부 위를 회전하며 크레인 전체를 이동시키는 단일이동바퀴구조인 한 쌍의 주행휠(2A, 2B, 2C, 2D)과; 상기 한 쌍의 주행휠의 상부에 수직으로 지지되는 한 쌍의 교각(3A, 3B, 3C, 3D)과; 상기 한 쌍의 교각에 높이편차를 보조하는 한 쌍의 보조교각(11A, 11B)과; 상기 한 쌍의 보조교각에 의해 수평하게 걸쳐지는 모노레일식 오각형 중공 및 삼각형 중공 단면의 거더(7A, 7B)로서; 동일한 구조물형태의 2조가 거더와 거더사이의 한 쌍의 연결빔(9A, 9B, 9C, 10A, 10B)과 거더교각(6A, 6B) 과 거더교각(6C, 6D)사이의 한 쌍의 트러스연결바(8A, 8B)와 교각(3A, 3D)과 교각(3B, 3C)사이의 한 쌍의 연결바(4A, 4B)로 결합되어 교각에 외팔구조 지브형호이스트(5)로 구성됨을 특징으로하는 자립이동형 갠트리 크레인을 기술적요지로 한다.
상기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자립이동형 갠트리 크레인은 설치,해체 및 이동이 간편한 자립형으로서 이동가능한 주행레일과 교각 및 보조교각의 조합에 의한 양정높이 조정과 연결바 변경에 의한 폭길이 조정이 가능하면서 기존 크레인과 동일한 권양능력을 보장받고 안전인증심사 승인등록 된 크레인을 사용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5각형 중공 및 3각형 중공 단면구조의 거더 적용으로 높이공간 축소와단면 강도 증가에 따른 경량화가 가능하고 거더 양측 끝단부에는 한 쌍의 거더교각 이 자립지지구조로 되어있어서 호이스트가 레일에 탑재 된 채로 해체 및 손상없이이동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자립이동형 갠트리 크레인이 조립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개략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주행레일부 와 주행휠을 도시한 사시개략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교각 및 보조교각을 도시한 사시개략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거더교각사이의 연결바를 도시한 사시개략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외팔구조 지브형 호이스트를 도시한 사시개략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5각형 중공 거더를 도시한 사시개략도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구성을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에 따른 자립이동형 갠트리 크레인은 도1 에서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초바닥의 설계된 임의의 간격으로 평행하게 2열로 배치되는 한 쌍의 기초형강과 레일바의 주행레일부(1A, 1B)와; 상기 한 쌍의 주행레일부 위를 회전하며 크레인 전체를 이동시키는 단일이동바퀴구조인 한 쌍의 주행휠(2A, 2B, 2C, 2D)과; 상기 한 쌍의 주행휠의 상부에 수직으로 지지되는 한 쌍의 교각(3A, 3B, 3C, 3D)과; 상기 한 쌍의 교각에 높이편차를 보조하는 한 쌍의 보조교각(11A, 11B)과; 상기 한 쌍의 보조교각에 의해 수평하게 걸쳐지는 모노레일식 5각형 중공 및 3각형 중공 단면의 거더(7A, 7B)로서; 동일한 구조물형태의 2조가 거더와 거더사이의 한 쌍의 연결빔(9A, 9B, 9C, 10A, 10B)과 거더교각과 거더교각사이의 한 쌍의 트러스연결바(8A, 8B)와 교각과 교각사이의 한 쌍의 연결바(4A, 4B)로 결합되어 교각에 외팔구조 지브형 호이스트(5)로 구성되어있다.
상기 한 쌍의 주행레일부(1A, 1B)는 도 2 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T자형 기초형강과 사각바의 용접접합구조이며 바닥하부의 면적을 크게 할 수 있어 자립지지가 가능하게 되어진다.
또한, 한 쌍의 주행휠(2A, 2B, 2C, 2D)은 단일이동바퀴구조로서 2륜 또는 4륜구동의 회전동력과 브레이크 제동력을 가지며 레일고정장치와 충격방지용 고무 버퍼가 부가되어진다.
상기 한 쌍의 교각(3A, 3B, 3C, 3D)과 높이편차를 보조하는 보조교각(11A, 11B)은 도 3 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와 하부플랜지판에 볼트와 너트로 체결되어 삽입되어진다.
상기 도 4 에서 도시한바와 같이 동일한 구조물형태의 거더2조에 상호 연결되어 자립지지될 수 있도록 이등변삼각형모양의 트러스연결바(8A, 8B)와 거더사행연결바 (10A, 10B)를 가지며 고정방법은 힌지형 핀체결구조로 되어진다,
또한, 거더직선연결빔(9A, 9B, 9C)은 형강류로 볼트,너트 고정되어진다.
한편, 상기 외팔구조 지브형 호이스트(5)는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각(3A, 3B, 3C, 3D)에 설치될 수 있으며 고정방법은 힌지형 핀체결구조로 되어 필요시 설치 사용되어 작업반경을 넓히게 되어진다.
상기 모노레일식 거더(7A, 7B)는 도 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5각형 중공 및 3각형 중공단면구조로 I형 레일형강빔과 조합되며 거더 양측 끝단부에는 한 쌍의 거더교각(6A, 6B, 6C, 6D)이 접합되어 자립지지구조로 되어지고 플랜지에 볼트와 너트로 고정되어진다.
1A, 1B........... 주행레일부
2A, 2B, 2C, 2D... 주행휠
3A, 3B, 3C, 3D... 교각
4A, 4B........... 교각연결바
5................ 외팔구조 지브형 호이이스트
6A, 6B, 6C, 6D... 거더교각
7A, 7B........... 모노레일식 5각형중공단면 거더
8A, 8B........... 거더교각연결바
9A, 9B, 9C....... 거더직선연결빔
10A, 10B......... 거더사행연결바
11A, 11B......... 보조교각

Claims (7)

  1. 기초바닥의 설계된 임의의 간격으로 평행하게 2열로 배치되는 한 쌍의 기초형강과 레일바의 주행레일부(1A, 1B)와; 상기 한 쌍의 주행레일부 위를 회전하며 크레인 전체를 이동시키는 단일이동바퀴구조인 한 쌍의 주행휠(2A, 2B, 2C, 2D)과; 상기 한 쌍의 주행휠의 상부에 수직으로 지지되는 한 쌍의 교각(3A, 3B, 3C, 3D)과; 상기 한 쌍의 교각에 높이편차를 보조하는 한 쌍의 보조교각(11A, 11B)과; 상기 한 쌍의 보조교각에 의해 수평하게 걸쳐지는 모노레일식 5각형 중공 및 3각형 중공 단면의 거더(7A, 7B)로서; 동일한 구조물형태의 2조가 거더와 거더사이의 한 쌍의 연결빔(9A, 9B, 9C, 10A, 10B)과 거더교각(6A, 6B)과 거더교각(6C, 6D)사이의 한 쌍의 트러스연결바(8A, 8B)와 교각과 교각사이의 한 쌍의 연결바(4A, 4B)로 결합되어 교각에 외팔구조 지브형 호이스트(5)로 구성됨을 특징으로하는 자립이동형 갠트리 크레인.
  2. 제 1항에 있어서, 한 쌍의 주행레일부(1A, 1B)는 T자형 기초형강과 사각바의 용접접합구조를 특징으로 하는 자립이동형 갠트리 크레인.
  3. 제 1항에 있어서, 한 쌍의 주행휠(2A, 2B, 2C, 2D)은 단일이동바퀴구조로서 2륜 또는 4륜구동의 회전동력과 브레이크 제동력을 가지며 레일고정장치가 부가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립이동형 갠트리 크레인.
  4. 제 1항에 있어서, 한 쌍의 교각(3A, 3B, 3C, 3D)과 높이편차를 보조하는 보조교각(11A, 11B)이 부가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립이동형 갠트리 크레인.
  5. 제 1항에 있어서, 동일한 구조물형태의 거더2조가 상호 연결되어 자립지지될 수 있도록 이등변삼각형모양의 트러스연결바(8A, 8B)를 가지며 고정방법은 힌지형 핀체결구조가 특징인 자립이동형 갠트리 크레인.
  6. 제 1항에 있어서, 모노레일식 거더(7A, 7B)는 5각형 중공 및 3각형 중공단면구조로 I형 레일형강빔과 조합되며 거더 양측 끝단부에는 한 쌍의 거더교각(6A, 6B, 6C, 6D)이 접합되어 자립지지구조가 특징인 자립이동형 갠트리 크레인.
  7. 제 1항에 있어서, 외팔구조 지브형 호이스트(5)는 교각(3A, 3B, 3C, 3D)에 설치되고 고정방법은 힌지형 핀체결구조가 특징인 자립이동형 갠트리 크레인.
KR2020110001105U 2011-02-09 2011-02-09 자립이동형 갠트리 크레인 KR20110001991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1105U KR20110001991U (ko) 2011-02-09 2011-02-09 자립이동형 갠트리 크레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1105U KR20110001991U (ko) 2011-02-09 2011-02-09 자립이동형 갠트리 크레인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17991A Division KR20120091996A (ko) 2011-11-14 2011-11-14 모노레일식 자립이동형 갠트리 크레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1991U true KR20110001991U (ko) 2011-02-28

Family

ID=442073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1105U KR20110001991U (ko) 2011-02-09 2011-02-09 자립이동형 갠트리 크레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01991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927361A (zh) * 2017-03-17 2017-07-07 中建三局第二建设工程有限责任公司 一种机电大型设备水平与垂直综合运输吊装装置
KR102570947B1 (ko) * 2023-05-08 2023-08-28 주식회사 개성이앤씨 에스컬레이터 철거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927361A (zh) * 2017-03-17 2017-07-07 中建三局第二建设工程有限责任公司 一种机电大型设备水平与垂直综合运输吊装装置
CN106927361B (zh) * 2017-03-17 2018-07-27 中建三局第二建设工程有限责任公司 一种机电大型设备水平与垂直综合运输吊装装置
KR102570947B1 (ko) * 2023-05-08 2023-08-28 주식회사 개성이앤씨 에스컬레이터 철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34877B2 (en) Method for removal of temporary support system for road bridge pre-fabricated small box girder-type concealed bent cap, and equipment therefor
KR101391637B1 (ko) 강재트러스를 이용한 복합트러스 거더의 제작공법
CN103452052B (zh) 转体桥合拢用可移动吊模设备及合拢段施工方法
JP2010121284A (ja) 鉄骨構造物の建方工法
KR100991190B1 (ko) 환상형 주행레일 이동식 교량 점검차와 이를 이용한 교량 점검 및 보수방법
JP2021070978A (ja) 重量物移動装置を用いた重量物の移動方法及び重量物移動装置
JP6749573B1 (ja) 鋼箱桁跨道架設用移動式作業プラットフォームに基づく施工方法
KR20120091996A (ko) 모노레일식 자립이동형 갠트리 크레인
JP2016166453A (ja) 床版架設装置
CN107401125B (zh) 一种移动台车的行走装置及使用方法
KR101385406B1 (ko) 모노레일식 자립이동형 갠트리 크레인
JP5890060B1 (ja) 架設桁を用いた橋梁の解体工法
JP5918056B2 (ja) 橋梁架設方法
WO2022142193A1 (zh) 大跨度薄壁混凝土声屏障浇筑台车的施工方法
KR20110001991U (ko) 자립이동형 갠트리 크레인
JP2008050811A (ja) 移動式吊り足場装置
CN102635066A (zh) 一种吊架铰接式桥梁检修车
CN112211112A (zh) 一种在既有桥梁上采用双导梁架桥机的钢箱梁安装方法
JP4719179B2 (ja) 支保工の解体・撤去方法および上部支保工
JP5777949B2 (ja) 合成床版架設機及び架設方法
JP3991067B1 (ja) 鉄道ホーム間仮設橋
CN203782619U (zh) 一种施工台车
CN107285209A (zh) 一种新型u型梁架设设备及其操作方法
KR100367028B1 (ko) 교량의 시공 및 유지관리겸용 자주식 작업대
CN202248510U (zh) 横置撑杆式贝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125 Withdrawal of application by converted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