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01538U - 지상변압기의 단자판 연결구조 - Google Patents

지상변압기의 단자판 연결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1538U
KR20110001538U KR2020090010294U KR20090010294U KR20110001538U KR 20110001538 U KR20110001538 U KR 20110001538U KR 2020090010294 U KR2020090010294 U KR 2020090010294U KR 20090010294 U KR20090010294 U KR 20090010294U KR 20110001538 U KR20110001538 U KR 2011000153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shing
terminal plate
clamp
external connection
transform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1029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55482Y1 (ko
Inventor
장두영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202009001029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5482Y1/ko
Publication of KR2011000153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153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548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548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58Means for relieving strain on wire connection, e.g. cord grip, for avoiding loosening of connections between wires and terminals within a coupling device terminating a cable
    • H01R13/5804Means for relieving strain on wire connection, e.g. cord grip, for avoiding loosening of connections between wires and terminals within a coupling device terminating a cable comprising a separate cable clamping part
    • H01R13/5812Means for relieving strain on wire connection, e.g. cord grip, for avoiding loosening of connections between wires and terminals within a coupling device terminating a cable comprising a separate cable clamping part the cable clamping being achieved by mounting the separate part on the housing of the coupling devic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02Casings
    • H01F27/04Leading of conductors or axles through casings, e.g. for tap-chang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29Terminals; Tapping arrangements for signal inductan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1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 H01R4/18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 H01R4/183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for cylindrical elongated bodies, e.g. cables having circular cross-section

Abstract

본 고안은 부싱에 대하여 단자판을 분리하거나 연결할 수 있도록 한 지상변압기의 단자판 연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개시고안은 변압기의 일측에 부싱이 고정되고, 상기 부싱의 외부 접속부에 단자판이 연결되는 지상변압기의 단자판 연결구조에 있어서, 상기 단자판은 몸체의 한쪽 선단에 연장되어 상기 부싱의 외부 접속부가 수용되는 제1클램프부와, 상기 제1클램프부에 맞대어 연결되면서 탈부착가능한 제2클램프부가 구비되어, 상기 제1,2클램프부를 통하여 상기 부싱의 외부 접속부와 연결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따라서, 단자판에서 외부로 연결되는 저압측 케이블단자를 분리하지 않고서도 지상변압기를 교체할 수 있으므로 지상변압기의 교체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지상변압기의 단자판 연결구조{STRUCTURE FOR CONNECTINGG SECONDARY CONNECTION TERMINAL OF GROUND TRANSFORMER}
본 고안은 지상변압기의 단자판 연결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부싱에 대하여 단자판을 분리하거나 연결할 수 있도록 한 지상변압기의 단자판 연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상변압기는 22.9KV의 특고압 지중 배선선로에서 가정용이나 산업용의 각종 설비에 저압으로 전력을 공급하기 위하여 전압을 강하하는 수단으로 사용되고 있다.
종래기술에 따른 지상변압기의 단자판 연결구조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압기(100)의 측벽에 부싱(110)이 장착되도록 되어 있고, 상기 부싱(110)의 외부 접속부(112)에 단자판(120)이 연결됨과 더불어 내부 접속부(114)에 복수의 너트(116)를 매개로 1차 케이블단자(102)를 접속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단자판(120)은 2차 케이블단자(104)가 연결되는 몸체(122)와, 상기 몸 체(122)의 선단에 연장되어 상기 부싱(110)의 외부 접속부(112)와 연결되는 클램프부(124)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몸체(122)에는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열로 단자연결홀(122a)이 형성되어 상기 2차 케이블단자(104)가 접속되도록 되어있다.
상기 클램프부(124)는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주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절개된 절개부(124a)와, 상기 절개부(124a)의 선단을 따라 형성된 플랜지부(124b)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단자판(120)의 클램프부(124)를 상기 부싱(110)의 외부 접속부(112)에 삽입한 후 클램프부(124)의 플랜지부(124b)에 보울트(126)를 죄어서 연결하게 된다.
그런데, 종래 지상변압기의 단자판 연결구조는 변압기(100)에 장착된 부싱(110)의 내부 접촉부(112)에 단자판(120)의 클램프부(124)를 연결하도록 되어 있지만, 단자판(120)의 클램프부(124)를 상기 부싱(110)의 내부 접속부(114)에 연결한 경우에 필요시 재분리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즉 부싱(110)에서 단자판(120)을 분리하기 위하여 클램프부(124)의 플랜지부(124b)에서 보울트(126)를 해체하더라도, 도 3b와 같이 클램프부(124)의 절개부(124a)가 조여진 위치로 그대로 유지됨으로써 단자판(120)을 부싱(110)으로 분리하기 어려웠다.
이에 따라, 변압기를 교체할 때, 부싱(110)에서 단자판(120)을 분리하는 작업이 곤란하여 단자판(120)에서 2차 케이블단자(104)를 개별 분리하는 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또한 재연결할 때 변압기(100)의 상배열이 바뀔 수 있으므로 상불 일치에 따른 고객피해가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2차 케이블단자를 분리하지 않고서 부싱에 대하여 단자판을 분리하거나 연결할 수 있도록 한 지상변압기의 단자판 연결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변압기의 일측에 부싱이 고정되고, 상기 부싱의 외부 접속부에 단자판이 연결되는 지상변압기의 단자판 연결구조에 있어서, 상기 단자판은 몸체의 한쪽 선단에 연장되어 상기 부싱의 외부 접속부가 수용되는 제1클램프부와, 상기 제1클램프부에 맞대어 연결되면서 탈부착가능한 제2클램프부가 구비되어, 상기 제1,2클램프부를 통하여 상기 부싱의 외부 접속부와 연결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제1,2클램프부에는 각각 상기 부싱의 외부 접속부가 수용되는 수용홈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외부 접속부의 외경이 상기 수용홈 각각에 절반씩 수용되도로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외부 접속부의 외경은 상기 수용홈 전체의 내경과 동일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2클램프부 각각에 플랜지부가 연장되고 상기 플랜지부에 보울트를 사용하여 결합하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보울트는 진동에 따른 풀림이 방지되는 풀림방지형 보울트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2클램프부의 수용홈 각각에 도전성 컴파운드를 도포한 상태로 상기 부싱의 외부 접속부를 연결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지상변압기의 단자판 연결구조에 의하면, 단자판에서 외부로 연결된 2차 케이블단자를 분리하지 않고서도 지상변압기를 교체할 수 있으므로 지상변압기의 교체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변압기 교체시 정전시간을 대폭적으로 단축할 수 있게 된다.
더욱이, 기존과 달리 지상변압기 교체시 상배열이 바뀌는 것을 방지하여 상불일치를 근본적으로 차단할 수 있고, 상불일치로 인한 고객피해를 예방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따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지상변압기의 단자판이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5는 도 4에서 부싱과 단자판을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지상변압기의 단자판 연결구조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 와 같이, 변압기(10)의 저압측 측벽에 부싱(20)이 장착되도록 되어 있고, 상기 부싱(20)의 외부 접속부(22)에 단자판(30)이 제1,2클램프부(34,36)를 매개로 연결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부싱(20)은 상기 제1,2클램프부(34,36)에 연결되는 외부 접속부(22)와 1차 케이블단자(12)와 접속되는 내부 접속부(24)를 구비하고 있다. 여기서, 외부 접속부(22)는 변압기(10)의 외부에 배치되고 원통형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내부 접속부(24)는 변압기(10)의 내부에 배치되고 원통형 구조이고, 원주면에 나사부가 형성되어 복수의 너트(16)를 매개로 1차 케이블단자(12)를 연결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단자판(3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2차 케이블단자(14)가 연결되는 몸체(32)와, 상기 몸체(32)의 선단에 연장되어 상기 부싱(20)의 외부 접속부(22)를 수용하여 연결하는 제1,2클램프부(34,36)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상기 제2클램프부(36)는 상기 제1클램프부(34)에 대하여 분해 및 조립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몸체(32)에는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열로 단자연결홀(32a)이 형성되어 상기 2차 케이블단자(14)가 접속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제1클램프부(34)는 상기 몸체(32)의 일측에 연장되어 있고, 내부에 상기 외부 접속부(22)가 수용되는 수용홈(34a)이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수용홈(34a)의 선단을 따라 플랜지부(34b)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2클램프부(36)는 상기 제1클램프부(34)와 맞대어 결합하도록 되어 있 고, 상기 수용홈(34a)과 플랜지부(34b)에 각각 대응되는 수용홈(36a)과 플랜지부(36b)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2클램프부(34)는 상기 부싱(20)의 외부 접속부(22)를 수용홈(34a,36a)에 수용한 상태로 플랜지부(34b,36b)에 보울트(38)를 사용하여 체결하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보울트(38)는 진동에 의해 풀려지지 않도록 된 풀림방지형 보울트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제1,2클램프부(34,36)의 2수용홈(34a,34b)의 내경은 상기 부싱(20)의 외부 접속부(22)의 외경과 동일하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2클램프부(34)의 2수용홈(34a,34b)의 단면적은 상기 부싱(20)의 외부 접속부(22)의 단면적 보다 같거나 약간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따른 지상변압기의 단자판 분해 및 조립하는 과정을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싱(20)의 외부 접속부(22)를 수용한 상내로 연결된 단자판(30)의 제1클램프부(34)에서 제2클램프부(36)를 분리한다. 즉 제1,2클램프부(34,36)의 플랜지부(34b,36b)에서 보울트(38)를 풀면 제2클램프부(36)가 제1클램프부(34)에서 분리할 수 있게 된다. 그 후,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싱(20)의 외부 접속부(22)를 제1클램프부(34)에서 쉽게 분리할 수 있다.
반면, 조립하는 과정은 부싱(20)의 외부 접속부(22)가 단자판(30)의 제1클램프부(34) 수용홈에 안착한 후, 상기 제1클램프부(34)에 제2클램프부(36)를 맞대고 보울트(38)를 죄게 된다. 이 때,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싱(20)의 외부 접속부(22)와 단자판(30)의 제1,2클램프부(34,36)가 연결되게 된다.
한편, 최조의 조립시에는 제1,2클램프부(34,36)의 수용홈(34a,36a) 각각에 도전성 컴파운드를 도포한 상태로 상기 부싱(20)의 외부 접속부(22)를 연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바람직한 실시예를 기초로 설명하였으나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해당분야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기재된 범주내에서 변경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지상변압기의 단자판이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2는 도 1에서 부싱과 단자판을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종래기술에 따른 단자판 클램프부를 도시한 도면으로,
(a)는 단자판이 부싱에 결합전 상태도,
(b)는 단자판이 부싱에 결합후 상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지상변압기의 단자판이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5는 도 4에서 부싱과 단자판을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도 5에서 부싱과 단자판을 결합한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변압기 12 : 1차 케이블단자
14 : 2차 케이블단자 16 : 너트
20 : 부싱 22 : 외부 접속부
24 : 내부 접속부 30 : 단자판
32 : 몸체 34 : 제1플랜지부
36 : 제2플랜지부 38 : 보울트

Claims (4)

  1. 변압기의 일측에 부싱이 고정되고, 상기 부싱의 외부 접속부에 단자판이 연결되는 지상변압기의 단자판 연결구조에 있어서,
    상기 단자판은 몸체의 한쪽 선단에 연장되어 상기 부싱의 외부 접속부가 수용되는 제1클램프부와, 상기 제1클램프부에 맞대어 연결되면서 탈부착가능한 제2클램프부가 구비되어, 상기 제1,2클램프부를 통하여 상기 부싱의 외부 접속부와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상변압기의 단자판 연결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2클램프부에는 각각 상기 부싱의 외부 접속부가 수용되는 수용홈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외부 접속부의 외경이 상기 수용홈 각각에 절반씩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상변압기의 단자판 연결구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2클램프부 각각에 플랜지부가 연장되고 상기 플랜지부에 보울트를 결합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상변압기의 단자판 연결구조.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2클램프부의 수용홈 각각에 도전성 컴파운드를 도포한 상태로 상기 부싱의 외부 접속부를 연결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상변압기의 단자판 연결구조.
KR2020090010294U 2009-08-06 2009-08-06 지상변압기의 단자판 연결구조 KR20045548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0294U KR200455482Y1 (ko) 2009-08-06 2009-08-06 지상변압기의 단자판 연결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0294U KR200455482Y1 (ko) 2009-08-06 2009-08-06 지상변압기의 단자판 연결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1538U true KR20110001538U (ko) 2011-02-14
KR200455482Y1 KR200455482Y1 (ko) 2011-09-07

Family

ID=442066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10294U KR200455482Y1 (ko) 2009-08-06 2009-08-06 지상변압기의 단자판 연결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5482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7558Y1 (ko) * 2017-04-12 2018-10-08 (주)에스엠텍 개폐기용 부싱 클램프
KR20190034366A (ko) * 2017-09-22 2019-04-02 한국전력공사 지상변압기용 단자장치
KR20200042315A (ko) * 2018-10-15 2020-04-23 한국전력공사 변압기의 부싱 결합구조
KR102307656B1 (ko) * 2020-06-15 2021-10-05 한국전력공사 무정전 변압기 교체용 분리형 연결단자, 회전부싱, 바이패스선, 자동절체개폐기, 거치스탠드, 절연커버 및 이를 이용한 무정전변압기 교체공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0895B1 (ko) 2014-09-04 2016-03-09 쌍용전기 주식회사 변압장치용 부싱
KR101901964B1 (ko) 2016-12-05 2018-09-28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고압 진공 전자접촉기용 터미널 어셈블리
KR102039142B1 (ko) * 2019-06-07 2019-10-31 주식회사 프로텍타코리아 분전기능을 갖는 저압부싱 및 이를 포함하는 주상변압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98885U (ko) * 1987-06-12 1988-12-21
KR200322057Y1 (ko) * 2003-05-16 2003-08-06 한국전력공사 지중 입상 케이블 연결용 터미날 러그구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7558Y1 (ko) * 2017-04-12 2018-10-08 (주)에스엠텍 개폐기용 부싱 클램프
KR20190034366A (ko) * 2017-09-22 2019-04-02 한국전력공사 지상변압기용 단자장치
KR20200042315A (ko) * 2018-10-15 2020-04-23 한국전력공사 변압기의 부싱 결합구조
KR102307656B1 (ko) * 2020-06-15 2021-10-05 한국전력공사 무정전 변압기 교체용 분리형 연결단자, 회전부싱, 바이패스선, 자동절체개폐기, 거치스탠드, 절연커버 및 이를 이용한 무정전변압기 교체공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55482Y1 (ko) 2011-09-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55482Y1 (ko) 지상변압기의 단자판 연결구조
US8851905B2 (en) Field-replaceable printed circuit board cable assembly and method of use
US20110204715A1 (en) Power supply control device
KR200442100Y1 (ko) 지상변압기의 저압케이블 분리용 집게형 접속장치
CN105048221A (zh) 一种设备机柜
KR101964032B1 (ko) 지상변압기용 단자장치
JP4811374B2 (ja) 端子接続部構造
KR20080102675A (ko) 전기접속 단자대
US20220376524A1 (en) Charging base with replaceable terminal element for electric vehicle
CN215221114U (zh) 多芯连接器及车钩
KR20160117919A (ko) 절연보강 기능의 취부 나사를 구비한 저압차단기
CN110444925B (zh) 一种快装接线端子模块及开关
KR20120090420A (ko) T형 엘보커넥터 유닛
KR20170002134U (ko) 접지볼트용 접지러그구조 및 이를 가지는 선박
CN218964307U (zh) 一种电焊机
KR20130077533A (ko) 접속재 고정장치
KR101539014B1 (ko) 시그널 타워램프 지지대
KR20110049232A (ko) 대용량 변압기의 단자접속장치
KR200262222Y1 (ko) 지상변압기의 2차 접속단자 구조
KR100854509B1 (ko) 지상 변압기의 저압 케이블 분리용 클립형 접속장치
KR20070040998A (ko) 컨넥터
KR200236109Y1 (ko) 점퍼선용 스페이서
KR20100011330U (ko) 전선의 조립이 용이한 전기플러그
CN203055768U (zh) 一体式导电装置及真空断路器
KR20130063596A (ko) 풀림방지 커넥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31

Year of fee payment: 8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