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49232A - 대용량 변압기의 단자접속장치 - Google Patents

대용량 변압기의 단자접속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49232A
KR20110049232A KR1020090106155A KR20090106155A KR20110049232A KR 20110049232 A KR20110049232 A KR 20110049232A KR 1020090106155 A KR1020090106155 A KR 1020090106155A KR 20090106155 A KR20090106155 A KR 20090106155A KR 20110049232 A KR20110049232 A KR 201100492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lead connector
fastening hole
capacity transformer
fast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061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32770B1 (ko
Inventor
김준연
김동해
김용한
석복렬
이찬주
Original Assignee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1061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32770B1/ko
Publication of KR201100492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492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27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27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29Terminals; Tapping arrangements for signal inductan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2823Wires
    • H01F27/2828Construction of conductive connections, of lea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41/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ssembling magnets, inductances or transformer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41/02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ssembling magnets, inductances or transformer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magnetic properties for manufacturing cores, coils, or magnets
    • H01F41/04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ssembling magnets, inductances or transformer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magnetic properties for manufacturing cores, coils, or magnets for manufacturing coils
    • H01F41/10Connecting leads to wind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ils Of Transformers For General 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대용량 변압기의 단자접속장치는 연결단자를 갖는 단자부재와; 상기 연결단자가 삽입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단자삽입홈을 형성하는 리드커넥터; 및 상기 리드커넥터의 외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상기 리드커넥터의 내부에 위치되어, 상기 리드커넥터와 상기 단자부재를 결합하는 체결부;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단자접속부의 결합 형상을 개선하여 절연성능과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대용량 변압기, 단자, 리드커넥터, 볼트

Description

대용량 변압기의 단자접속장치{Terminal connecting device of a higher-capacity transformer}
본 발명은 변압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단자접속부의 결합 형상을 개선하여 절연성능과 작업성을 향상시킨 대용량 변압기의 단자접속장치에 관한 것이다.
변압기는 수전전압을 부하설비의 운전에 적합한 전압으로 변환시키는 기능을 가지는 장치로서, 1차단자로부터 교류전력을 받아 전자유도작용에 의해 전압 및 전류를 변성하여 2차단자로 동일주파수의 교류전력을 공급하는 장치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대용량 변압기 배리어보드는 리드커넥터(1)를 단자부(2)에 결합할 때 볼트??너트(3)를 이용하고 있으며, 볼트 머리와 나사선 끝 부분의 모서리가 노출되어 전계가 높아지며 절연성능이 저하된다.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볼트와 너트 부분에 금속 볼트 캡을 추가로 부착하고 있으며, 배리어보드의 전체 절연성능 향상을 위하여 정전 링을 볼트 결합 높이에 설치하고 있었다.
이러한 절연성능 보완을 위한 설계는, 제작 원가뿐만 아니라 작업 공수를 증가시키는 원인이 된다. 또한, 단자부(단자접속장치)의 도체와 리드 커넥터가 결합 된 형상이 전계가 높아지는 부분을 완전히 제거하기 힘들어 절연성능이 저하되는 영역이 많았다. 때문에 절연성능이 저하되는 영역의 절연성능을 보완하기 위해 절연지를 여러 겹 도포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배리어보드는 변압기가 설치되는 장소에서 조립이 이루어지므로 작업공간이 협소하고 작업효율이 떨어지는 문제를 근본적으로 가지고 있으며, 예시된 경우와 같이 19개의 탭 단자를 조립하고 절연지를 여러 번 도포하는 것은 상당한 시간과 노력이 요구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단자와 리드 커넥터의 결합형상을 개선함으로써, 절연성능 취약부를 개선하고 절연지 도포 영역을 줄일 수 있는 대용량 변압기의 단자접속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대용량 변압기의 단자접속장치는, 단자를 갖는 단자부재와, 상기 단자가 삽입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단자삽입홈을 형성하는 리드커넥터 및, 상기 리드커넥터의 외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상기 리드커넥터의 내부에 위치되어, 상기 리드커넥터와 상기 단자부재를 결합하는 체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단자부재와 상기 리드커넥터 각각은, 원통형 몸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리드커넥터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몸체로 분할될 수 있다.
상기 체결부는, 상기 단자에 형성되며, 결합방향과 수직으로 관통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체결홀과, 상기 제1체결홀과 연통되도록 상기 리드커넥터에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형성되는 제2체결홀 및, 상기 제2체결홀과 제1체결홀에 체결되는 볼트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체결부는, 상기 몸체의 결합방향 단부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체결홀과, 상기 제1체결홀과 연통되도록 상기 리드커넥터의 결합방향으 로 관통 형성되는 제2체결홀 및, 상기 제2체결홀과 제1체결홀에 체결되는 볼트를 포함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제1체결홀에는, 상기 볼트의 머리부가 안착되는 안착단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볼트가 리드커넥터의 체결홀 내부에 위치하여 별도의 쉴드가 필요하지 않으며, 결합 형상이 원통형 및 원추형으로 되어 있어 절연적으로 안정된 형태를 가지기 때문에 정전링과 같은 별도의 절연성능 보완장치를 필요로 하지 않는 장점이 있다.
또한, 종래에 비하여 절연지 도포 영역이 줄어들고, 단자부 전체의 길이가 짧아져 좁은 설치 공간에서도 작업효율이 높아지는 장점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정의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 내려진 것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요소를 한정하는 의미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대용량 변압기의 단자접속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대용량 변압기의 단자접속장치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2b는 도 2a에 따른 정면도,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대용량 변압기의 단자접속장치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정면도,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대용량 변압기의 단자접속장치의 제3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4b는 도 4a에 따른 정면도, 도 5a는 본 발명에 따른 대용량 변압기의 단자접속장치의 제4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5b는 도 5a에 따른 정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대용량 변압기의 단자접속장치(100)는 연결단자를 갖는 단자부재(110)와, 상기 연결단자(112)가 삽입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단자삽입홈(121a)을 형성하는 리드커넥터(120) 및, 상기 리드커넥터(120)의 외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상기 리드커넥터(120)의 내부에 위치되어, 상기 리드커넥터(120)와 상기 단자부재(110)를 결합하는 체결부(13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단자부재(110)는 길이를 갖는 원통형 단자몸체(111)의 양단에 상기 연결단자(112)가 각각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단자몸체(111)의 길이방향은 배리어보드(미도시)에 고정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연결단자(112)는 단자몸체(111)의 길이방향 단부로부터 다각 형상으로 돌출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연결단자(112)의 형상은 양단이 단자몸체(111)의 직경과 동일하고, 직각방향의 양단이 얇게 형성된 판 형상으로 돌출하거나 정육면체 형상으로 돌출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연결단자(112)에는 결합방향과 직각으로 적어도 하나의 제1체결홀(112a)을 형성할 수 있다.
리드커넥터(120)는 하나의 몸체로 형성하거나 둘로 분할된 한 쌍의 몸체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리드커넥터(120)는 필요에 따라 둘 이상으로 분할될 수도 있다.
여기서, 리드커넥터의 단자삽입홈(121a)은 한 쌍의 몸체 사이 공간이거나 홈일 수 있으며, 상기 리드커넥터는 각각의 외주가 곡면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리드커넥터는 접속부재와 대응되게 맞물림 체결되도록 원통 형상으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상기 리드커넥터(120)에는, 결합방향과 수직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체결홀(121)이 형성된다.
체결부(130)는 상기 연결단자(112)에 형성되며, 결합방향과 수직으로 관통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체결홀(112a)과, 상기 제1체결홀(112a)과 연통되도록 상기 리드커넥터(120)에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형성되는 제2체결홀 및, 상기 제2체결홀과 제1체결홀(112a)에 체결되는 볼트(B)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1체결홀(112a)에는, 상기 볼트(B)의 머리부가 안착되는 안착단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안착단에 안착된 볼트(B)의 머리는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다.
한편, 상기 체결부(130)는, 상기 단자몸체(111)의 결합방향 단부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체결홀(112a)과, 상기 제1체결홀(112a)과 연통되도록 상기 리드커넥터(120)의 결합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는 제2체결홀 및, 상기 제2체결홀과 제1체결홀(112a)에 체결되는 볼트(B)를 포함할 수도 있다.
즉, 볼트(B)를 제1체결공을 통해 제2체결공에 삽입하여 연결단자(112)와 리드커넥터(120)를 일체로 연결하거나 분리시킬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볼트가 리드커넥터(120)의 체결홀 내부에 위치하여 별도의 쉴드가 필요하지 않으며, 결합 형상이 원통형 및 원추형으로 되어 있어 절연적으로 안정된 형태를 가지기 때문에 정전링과 같은 별도의 절연성늘 보완장치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또한, 종래에 비하여 절연지 도포 영역이 줄어들고, 단자부재의 전체 길이가 짧아져 좁은 설치 공간에서도 작업효율이 높아진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대용량 변압기의 단자접속장치(100)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가장 양호한 실시 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이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치수 및 모양 그리고 구조 등의 다양한 변형 및 모방할 수 있음은 명백한 사실이며 이러한 변형 및 모방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에 포함된다.
도 1은 종래의 대용량 변압기의 단자접속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대용량 변압기의 단자접속장치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2b는 도 2a에 따른 정면도.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대용량 변압기의 단자접속장치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정면도.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대용량 변압기의 단자접속장치의 제3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4b는 도 4a에 따른 정면도.
도 5a는 본 발명에 따른 대용량 변압기의 단자접속장치의 제4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5b는 도 5a에 따른 정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단자접속장치 110: 단자부재
111: 단자몸체 112: 연결단자
112a: 제1체결홀 120: 리드커넥터
121a: 단자삽입홈 121b: 제2체결홀
130: 체결부 B: 볼트

Claims (8)

  1. 연결단자를 갖는 단자부재;
    상기 연결단자가 삽입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단자삽입홈을 형성하는 리드커넥터; 및
    상기 리드커넥터의 외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상기 리드커넥터의 내부에 위치되어, 상기 리드커넥터와 상기 단자부재를 결합하는 체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용량 변압기의 단자접속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부재와 상기 리드커넥터 각각은, 원통형 몸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용량 변압기의 단자접속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리드커넥터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몸체로 분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용량 변압기의 단자접속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드커넥터는, 한 쌍의 몸체로 구비되며,
    상기 단자삽입홈은 상기 한 쌍의 몸체 사이 공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용 량 변압기의 단자접속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몸체는, 각각의 외주가 곡면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용량 변압기의 단자접속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는, 상기 연결단자에 형성되며, 결합방향과 수직으로 관통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체결홀; 및
    상기 제1체결홀과 연통되도록 상기 리드커넥터에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형성되는 제2체결홀; 및
    상기 제2체결홀과 제1체결홀에 체결되는 볼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용량 변압기의 단자접속장치.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는, 상기 몸체의 결합방향 단부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체결홀;
    상기 제1체결홀과 연통되도록 상기 리드커넥터의 결합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는 제2체결홀; 및
    상기 제2체결홀과 제1체결홀에 체결되는 볼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 는 대용량 변압기의 단자접속장치.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체결홀에는, 상기 볼트의 머리부가 안착되는 안착단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용량 변압기의 단자접속장치.
KR1020090106155A 2009-11-04 2009-11-04 대용량 변압기의 단자접속장치 KR1013327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6155A KR101332770B1 (ko) 2009-11-04 2009-11-04 대용량 변압기의 단자접속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6155A KR101332770B1 (ko) 2009-11-04 2009-11-04 대용량 변압기의 단자접속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9232A true KR20110049232A (ko) 2011-05-12
KR101332770B1 KR101332770B1 (ko) 2013-11-25

Family

ID=443604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06155A KR101332770B1 (ko) 2009-11-04 2009-11-04 대용량 변압기의 단자접속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3277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7054B1 (ko) * 2013-10-23 2014-10-07 디피씨(주) 변압기용 단자대
KR101447053B1 (ko) * 2013-10-23 2014-10-07 디피씨(주) 변압기용 단자
KR200479264Y1 (ko) * 2014-12-15 2016-01-08 디피씨 주식회사 변압기용 단자구조체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08249A (ja) 1999-04-15 2000-11-02 Mitsubishi Cable Ind Ltd 接続箱へのケーブル端末接続構造
JP2002101545A (ja) * 2000-09-26 2002-04-05 Mitsubishi Cable Ind Ltd ケーシングとケーブル用ブッシングとの結合部
JP4667472B2 (ja) * 2008-01-09 2011-04-13 昭和電線ケーブルシステム株式会社 電力ケーブルの接続部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7054B1 (ko) * 2013-10-23 2014-10-07 디피씨(주) 변압기용 단자대
KR101447053B1 (ko) * 2013-10-23 2014-10-07 디피씨(주) 변압기용 단자
KR200479264Y1 (ko) * 2014-12-15 2016-01-08 디피씨 주식회사 변압기용 단자구조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32770B1 (ko) 2013-1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742976B (zh) 滤波器和车辆
JP5334817B2 (ja) 車両用接続構造
US8500475B2 (en) Harness connector
US7938693B2 (en) PE connection for plug connectors
CN109314470B (zh) 将至少一个电构件与第一和第二汇流排电连接的装置
US10128722B2 (en) Electrical connection structure, terminal structure, and vehicle
JP2016514387A (ja) フィルタデバイス
US8272887B2 (en) Connector
KR101332770B1 (ko) 대용량 변압기의 단자접속장치
US20120184149A1 (en) Connector
CN105044425A (zh) 差动电流测量组件
EP2117015A1 (en) High voltage bushing and high voltage device comprising such bushing
US6268996B1 (en) Capacitor connector, especially for an electrolytic power capacitor
CN102195217A (zh) 连接器
JP2021057285A (ja) 端子金具
KR20170107688A (ko) 에너지 저장 모듈용 연결 구조체
US20180062358A1 (en) Device for electrically connecting power distribution plates and electrical power distribution system provided with such a connection device
CN208939209U (zh) 一种用于配网全绝缘环网柜上的电缆终端插头
EP3493336B1 (en) A male electrical connector for a voltage converter
CN108604496B (zh) 用于电气功率电容器的设置在壳体中的绕组的低电感电气外部接头
KR101198973B1 (ko) 초고압 변압기의 실드 결합장치
US7717750B1 (en) Kit for converting N class bus plug to a J class bus plug
CN101577375B (zh) 高压套管接头、高压套管及高压装置
CN103112413A (zh) 用于并行配线电路的可扩展连接系统
CN217544308U (zh) 一种用于互感器的固定装置及电流互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