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2134U - 접지볼트용 접지러그구조 및 이를 가지는 선박 - Google Patents

접지볼트용 접지러그구조 및 이를 가지는 선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2134U
KR20170002134U KR2020150008041U KR20150008041U KR20170002134U KR 20170002134 U KR20170002134 U KR 20170002134U KR 2020150008041 U KR2020150008041 U KR 2020150008041U KR 20150008041 U KR20150008041 U KR 20150008041U KR 20170002134 U KR20170002134 U KR 2017000213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nding
bolt
ground
lug
w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804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민
Original Assignee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5000804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02134U/ko
Publication of KR2017000213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2134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58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characterised by the form or material of the contacting members
    • H01R4/66Connections with the terrestrial mass, e.g. earth plate, earth p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59/00Hull protection specially adapted for vessels; Clean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sse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1/00Individual connecting elements provid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ive members which are, or may be, thereby interconnected, e.g. end pieces for wires or cables supported by the wire or cable and having means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blocks of binding posts
    • H01R11/11End pieces or tapping pieces for wires, supported by the wire and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 H01R11/12End pieces terminating in an eye, hook, or fork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 H01R4/3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clamping member acted on by screw or nu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16Earthing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atch Board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접지와이어가 연결되는 접지러그를 접지볼트에 일체화 또는 끼움 방식으로 설치하게 되어 작업공수를 최소화할 수 있는 접지볼트용 접지러그구조에 관한 것으로, 접지와이어를 설치할 수 있도록 선체 또는 전기장비에 설치되는 접지볼트와, 상기 접지볼트에 일체화되며 접지와이어가 연결되는 접지러그와, 상기 접지볼트에 끼워지는 플랫와셔 및 스프링와셔와, 상기 접지볼트에 체결되는 너트를 포함한다.
또한, 본 고안은 접지와이어를 설치할 수 있도록 선체 또는 전기장비에 설치되는 접지볼트와, 상기 접지볼트의 볼트머리에 끼움 방식으로 연결되는 접지러그와, 상기 접지볼트의 측부에 구비되어 접지러그를 연결시킬 수 있도록 하는 끼움수단과, 상기 접지볼트에 끼워지는 플랫와셔 및 스프링와셔와, 상기 접지볼트에 체결되는 너트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접지볼트용 접지러그구조 및 이를 가지는 선박{EARTHING LUG STRUCTURE FOR EARTHING BOLT AND SHIP HAVING THE SAME}
본 고안은 접지볼트용 접지러그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접지와이어가 연결되는 접지러그를 접지볼트에 일체화 또는 끼움 방식으로 설치하게 되어 작업공수를 최소화할 수 있는 접지볼트용 접지러그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 접속 배선함 또는 전장 제품의 접지에 있어서, Earthing continuity plate가 없거나 중간 절연이 된 Enclosure의 경우 접지 태그(Earth tag)를 사용하여 케이블 그랜드(Cable gland)를 접지한다.
케이블 그랜드는 단자함이나 전선함 등의 일 측에 전선이나 케이블이 내,외부로 출입하는 관통 홀에 설치되어, 케이블이 단자함 내로 삽입될 때 견고하게 케이블을 고정함과 동시에 단자함의 내,외부가 차단된 상태를 유지하여 단자함 내부의 방수, 방염, 방폭 역할을 한다.
도 1은 종래 접지구조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 접지구조에서는 단자함(10)의 관통 홀(11)에 케이블 그랜드(20)가 설치되고, 상기 케이블 그랜드(20)를 통해서 상기 단자함(10)에서 케이블(C)이 내,외부로 출입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케이블 그랜드(20)는 고정너트(30)에 의해서 단자함(10)에 고정된다. 상기 단자함(10)의 접지를 위해서 접지 케이블(40)의 러그(41)에는 볼트(B) 및 너트(N)에 의해서 접지 태그(50)가 결합한다. 상기 접지 태그(50)는 고정너트(N)의 하부에 결합한다.
그러나, 종래 접지구조는 접지 태그(Earth tag) 설치 시, 불필요한 작업공수(M/H)가 투입되고, 자재 손실의 애로 사항이 있다.
도 2는 종래에 따른 접지러그가 설치된 접지구조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종래에 따른 접지러그가 설치된 접지구조를 도시한 결합사시도이고, 도 4는 종래에 따른 접지러그가 설치된 접지구조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종래에 따른 접지구조는 접지와이어(3)를 설치하기 위해 접지볼트(1)에 접지와이어(3)가 연결된 접지러그(2)를 끼워서 연결하게 되는데, 상기 접지볼트(1)에 끼워지는 접지러그(2)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접지러그(1)의 상,하부로 하여 복수의 플랫와셔(4)가 접지볼트(1)에 끼워지며, 상기 접지러그(2)를 탄성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접지볼트(1)에 스프링와셔(5)가 끼워지고 상기 접지러그(2)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접지볼트(1)에 너트(6)가 체결된다.
상기와 같이 종래에는 접지와이어(3)가 연결되는 접지러그(2)를 접지볼트(1)에 연결시키기 위해서는 접지볼트(1)에 복수의 플랫와셔(4)와 스프링와셔(5)와, 접지러그(2)를 사용하게 되어 많은 부속품이 소요됨으로써 자재비가 증가하며 작업공수가 많아 작업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에는 접지볼트(1)와 너트(6)로 접지러그(2)를 고정시킴에 따라 선박 운용 시 발생되는 진동으로 인해 볼트가 풀려 접지 오류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5-0001648호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그 목적은 접지와이어가 연결되는 접지러그를 접지볼트에 일체화 또는 끼움 방식으로 설치함으로써 작업공수를 최소화하여 작업이 용이하고 현장 시수를 절감할 수 있으며 접지 오류를 방지할 수 있는 접지볼트용 접지러그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른 접지볼트용 접지러그구조는, 접지와이어를 설치할 수 있도록 선체 또는 전기장비에 설치되는 접지볼트와, 상기 접지볼트에 일체화되며 접지와이어가 연결되는 접지러그와, 상기 접지볼트에 끼워지는 플랫와셔 및 스프링와셔와, 상기 접지볼트에 체결되는 너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지러그는 접지볼트의 볼트머리 측부에 일체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플랫와셔는 접지볼트에 접지러그가 일체화되어 접지러그를 지지할 필요가 없어 접지볼트에 한 개가 설치될 수 있다.
본 고안의 다른 일 측면에 따른 접지볼트용 접지러그구조는, 접지와이어를 설치할 수 있도록 선체 또는 전기장비에 설치되는 접지볼트와, 상기 접지볼트의 볼트머리에 끼움 방식으로 연결되는 접지러그와, 상기 접지볼트의 측부에 구비되어 접지러그를 연결시킬 수 있도록 하는 끼움수단과, 상기 접지볼트에 끼워지는 플랫와셔 및 스프링와셔와, 상기 접지볼트에 체결되는 너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지볼트는 접지와이어가 연결된 접지러그가 끼워질 수 있도록 소켓 타입으로 설치되며, 상기 접지러그는 접지볼트에 결합될 수 있도록 플러그 타입으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끼움수단은 접지볼트의 볼트머리 측부에 연결편이 구비되며, 상기 연결편의 외측 내부로 접지러그가 끼워져 결합될 수 있도록 끼움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편과 접지러그에는 끼움부로 끼워지는 접지러그가 빠지지 않도록 이탈방지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이탈방지수단은 끼움부의 내측 벽면에 형성되는 이탈방지홈과, 상기 접지러그의 끝단부에 구비되어 이탈방지홈으로 끼워지면서 접지러그가 끼움부로부터 빠지지 않도록 하는 걸림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탈방지홈과 걸림돌기는 접지러그가 끼움부에 안정적으로 끼워져 결속력을 높일 수 있도록 양쪽에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편은 볼트머리의 측부에 일체로 설치되거나 용접으로 고정될 수 있다.
본 고안의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한 접지와이어를 설치하기 위해 접지볼트의 볼트머리에 접지와이어가 연결된 접지러그를 일체화하거나 끼움 방식으로 설치하게 되어 하나의 플랫와셔가 소요되고 진동으로 인한 접지볼트의 풀림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접지볼트용 접지러그구조를 가지는 선박을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접지볼트용 접지러그구조는 접지와이어를 설치하기 위한 접지러그를 접지볼트의 볼트머리에 일체로 설치하거나 끼움 방식으로 연결시키게 됨으로써 접지러그를 설치해야할 작업공수 및 자재수량을 줄여 접지와이어의 설치 작업이 용이하고 자재비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접지볼트에 접지러그를 일체화하게 됨으로써 진동으로 인한 접지러그가 접지볼트에서 풀리는 위험을 최소화하여 접지 오류를 방지하게 되어 제품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접지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종래에 따른 접지러그가 설치된 접지구조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종래에 따른 접지러그가 설치된 접지구조를 도시한 결합사시도이다.
도 4는 종래에 따른 접지러그가 설치된 접지구조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접지볼트용 접지러그구조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 따른 접지볼트용 접지러그구조를 도시한 결합사시도이다.
도 7은 도 5에 따른 접지볼트용 접지러그구조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접지볼트용 접지러그구조의 다른 일 예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에 따른 접지볼트용 접지러그구조의 결합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8에 따른 접지볼트용 접지러그구조의 정면도이다.
도 11은 도 8에 따른 접지볼트용 접지러그구조의 접지러그의 연결 전 상태를 도시한 평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8에 따른 접지볼트용 접지러그구조의 접지러그가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평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접지볼트용 접지러그구조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며, 도 6은 도 5에 따른 접지볼트용 접지러그구조를 도시한 결합사시도이고, 도 7은 도 5에 따른 접지볼트용 접지러그구조를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접지볼트용 접지러그구조의 다른 일 예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에 따른 접지볼트용 접지러그구조의 결합사시도이며, 도 10은 도 8에 따른 접지볼트용 접지러그구조의 정면도이고, 도 11은 도 8에 따른 접지볼트용 접지러그구조의 접지러그의 연결 전 상태를 도시한 평단면도이며, 도 12는 도 8에 따른 접지볼트용 접지러그구조의 접지러그가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평단면도이다.
실시예 1.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접지볼트용 접지러그구조는, 접지볼트(100)와, 접지러그(200)와, 플랫와셔(300)와, 스프링와셔(400)와, 너트(500)를 포함하게 된다.
상기 접지볼트(100)는 접지와이어(210)를 설치하기 위해 접지러그(200)를 연결시켜 선체 또는 전기장비(도시하지 않음)에 설치되는 것으로, 이미 널리 사용되고 있는 통상의 볼트로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 접지볼트(100)는 플랫와셔(300)와 스프링와셔(400) 및 너트(500)가 체결되는 볼트몸체(110)와, 상기 볼트몸체(110)의 일끝단에 일체화되어 접지러그(200)가 설치될 수 있도록 하는 볼트머리(120)로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접지러그(200)는 한 쪽에 접지와이어(210)가 연결되며 다른 쪽이 접지볼트(100)의 볼트머리(120)에 일체로 설치되어지게 된다.
즉, 상기 접지러그(200)는 접지와이어(210)가 연결되면서 접지와이어(210)를 접지볼트(100)에 연결시켜주며, 상기 볼트머리(120)의 측부에 일체로 설치된다.
이에 상기 접지러그(200)가 접지볼트(100)의 볼트머리(120)에 일체로 설치되어짐에 따라 상기 접지볼트(100)에 접지러그(200)를 일일이 결합시킬 필요가 없게 된다.
한편, 상기 접지러그(200)는 접지볼트(100)의 볼트머리(120)에 용접으로 고정되어 일체화될 수 있게 된다.
상기 플랫와셔(300)는 접지볼트(100)의 볼트몸체(110)에 끼워져 접지볼트(100)를 선체 또는 전기장비에 안정적으로 설치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플랫와셔(300)는 접지볼트(100)의 볼트몸체(110)에 접지볼트(100)를 지지하기 위해 한 개가 설치되어지게 된다.
상기 스프링와셔(400)는 플랫와셔(300)가 설치된 상태에서 접지볼트(100)의 볼트몸체(110)에 끼워져 접지볼트(100)를 선체 또는 전기장비에 설치시 탄성력에 의해 접지볼트(100)를 탄성적으로 지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너트(500)는 접지볼트(100)의 볼트몸체(110)에 체결되어 접지볼트(100)를 선체 또는 전기장비에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실시예 2.
도 8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접지볼트용 접지러그구조는, 접지볼트(100)와, 접지러그(200)와, 끼움수단(600)과, 이탈방지수단(700)과, 플랫와셔(300)와, 스프링와셔(400)와, 너트(500)를 포함하게 된다.
상기 접지볼트(100)는 접지와이어(210)를 설치하기 위해 접지러그(200)를 연결시켜 선체 또는 전기장비에 설치되는 것으로, 이미 널리 사용되고 있는 통상의 볼트로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 접지볼트(100)는 플랫와셔(300)와 스프링와셔(400) 및 너트(500)가 체결되는 볼트몸체(110)와, 상기 볼트몸체(110)의 일끝단에 접지러그(200)가 설치될 수 있도록 하는 볼트머리(120)로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접지볼트(100)는 볼트머리(120)에 접지러그(200)가 끼움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하기에 설명된 끼움수단(600)이 설치되는 소켓(socket) 타입으로 설치되어지게 된다.
상기 접지러그(200)는 한 쪽에 접지와이어(210)가 연결되며, 다른 쪽이 볼트머리(120)에 연결되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 접지러그(200)는 소켓 타입으로 설치되는 접지볼트(100)의 볼트머리(120)에 결합될 수 있도록 플러그(plug) 타입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접지러그(200)가 플러그(plug) 타입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접지볼트(100)의 볼트머리(120)가 소켓(socket) 타입으로 이루어져 상기 접지볼트(100)의 볼트머리(120)에 접지러그(200)가 끼움 방식으로 연결되어지게 된다.
도 11 내지 도 12에서와 같이, 상기 끼움수단(600)은 접지볼트(100)의 측부에 설치되어 접지러그(200)를 끼움 방식으로 연결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끼움수단(600)은 접지볼트(100)의 볼트머리(120) 측부에 접지러그(200)를 연결시키기 위한 연결편(610)이 구비되며, 상기 연결편(610)의 외측 내부로 접지러그(200)가 끼워져 결합될 수 있도록 끼움부(620)가 형성되어지게 된다.
이때, 상기 끼움부(620)의 내경은 접지러그(200)가 끼워지는 부위의 외경과 동일한 형태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결편(610)은 볼트머리(120)의 측부에 접지러그(200)가 끼워질 수 있도록 일체로 설치되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 연결편(610)은 볼트머리(120)의 측부에 용접으로 설치되어지게 된다.
상기 연결편(610)과 접지러그(200)에는 끼움부(620)로 끼워지는 접지러그(200)가 빠지지 않도록 이탈방지수단(700)이 구비되어지게 된다.
도 11 내지 도 12에서와 같이, 상기 이탈방지수단(700)은 끼움부(620)의 내측 벽면에 형성되는 이탈방지홈(710)과, 상기 접지러그(200)의 끝단부에 이탈방지홈(710)으로 끼워지면서 접지러그(200)가 끼움부(620)로부터 빠지지 않도록 걸림돌기(720)로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이탈방지홈(710)은 끼움부(620)의 내벽면 양쪽에 복수로 형성되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 걸림돌기(720)는 이탈방지홈(710)에 끼워져 접지러그(200)가 끼움부(620)에 흔들리지 않고 안정적으로 끼워질 수 있도록 접지러그(200)의 양쪽에 복수로 구비되어지게 된다.
즉, 상기 이탈방지홈(710)과 걸림돌기(720)가 복수로 구비되어짐에 따라 접지러그(200)가 끼움부(620)에 끼워지면서 양쪽의 걸림돌기(720)가 이탈방지홈(710)에 각각 끼워져 접지러그(200)의 결속력을 높일 수 있게 되어 외부의 진동에도 접지러그(200)가 끼움부(620)로부터 쉽게 빠지지 않게 된다.
상기 플랫와셔(300)는 접지볼트(200)의 볼트몸체(120)에 끼워져 접지볼트(100)를 선체 또는 전기장비에 안정적으로 설치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플랫와셔(300)는 접지볼트(100)의 볼트몸체(110)에 접지볼트(100)를 선체 또는 전기장비로부터 지지하기 위해 한 개가 설치되어지게 된다.
상기 스프링와셔(400)는 플랫와셔(300)가 설치된 상태에서 접지볼트(100)의 볼트몸체(110)에 끼워져 접지볼트(100)를 선체 또는 전자장비에 설치시 탄성력에 의해 접지볼트(100)를 탄성적으로 지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너트(400)는 접지볼트(100)의 볼트몸체(110)에 체결되어 접지볼트(100)를 선체 또는 전기장비에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의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전술한 접지와이어(210)를 설치하기 위해 접지와이어(210)가 연결되는 접지러그(200)를 접지볼트(100)에 설치하고자 할 때 선체 또는 전기장비에 설치되는 접지볼트(100)의 볼트머리(120)에 접지러그(200)를 일체로 설치하거나 끼움 방식으로 연결시키게 되어 접지러그(200)를 접지볼트(100)의 볼트몸체(120)에 연결시켜 플랫와셔(300)로 고정시킬 필요가 없어 작업공수를 줄여 현장 시수를 절감할 수 있도록 접지볼트용 접지러그구조를 가지는 선박에 적용된다.
즉, 상기 접지러그(200)에 접지와이어(210)가 연결되고 접지러그(200)를 접지볼트(100)의 볼트머리(120)에 일체로 설치하거나 접지볼트(100)의 측부에 끼움수단(600)을 구비하여 접지러그(200)를 접지볼트(100)에 끼움 방식으로 연결시킴에 따라 접지볼트(100)의 볼트몸체(120)로 접지러그(200)를 설치할 필요가 없어 작업이 용이하며 접지러그(200)와 접지볼트(100)가 결합되어 진동으로 인한 접지볼트(100)의 풀림 현상을 방지하여 접지 오류가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모든 선박에 적용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본 고안에 따른 접지볼트용 접지러그구조의 작용상태를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상기 접지볼트(100)에 접지와이어(210)를 연결시키기 위해 접지와이어(210)가 연결되는 접지러그(200)를 설치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접지볼트(100)의 볼트머리(120)에 접지와이어(210)가 연결되는 접지러그(200)를 일체로 설치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접지러그(200)를 접지볼트(100)의 볼트머리(120)에 일체로 설치하게 됨으로써 접지러그(200)를 고정시키기 위한 복수의 플랫와셔(300)를 필요로 하지 않게 되어 작업공수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접지볼트(100)에 접지러그(200)를 일체화함에 따라 선박 운용시 발생되는 진동에도 접지볼트(100)의 풀림을 최소화할 수 있어 접지 오류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와 함께, 상기 접지볼트(100)에 설치되는 플랫와셔(300)가 접지러그(200)를 고정시킬 필요가 없게 되어 플랫와셔(300)를 접지볼트(100)에 하나만 설치하여 다량의 접지 작업이 이루어지는 선박 적용시 현장 시수를 절감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접지볼트(100)의 볼트머리(120)에 접지와이어(210)가 연결되는 접지러그(200)를 끼움수단(600)에 의해 끼움 방식으로 연결하게 됨으로써 종래에서처럼 접지러그를 고정시키기 위한 복수의 플랫와셔가 필요가 없게 되며 상기 끼움수단(600)에 의해 접지러그(200)를 접지볼트(100)의 볼트머리(120)에 용이하게 연결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접지러그(200)를 접지볼트(100)의 볼트머리(120)에 끼움수단(600)으로 끼울 때 상기 연결편(610)과 접지러그(200)에 이탈방지수단(700)을 설치하게 되어 상기 접지러그(200)가 끼움부(620)에 삽입되면서 걸림돌기(720)가 이탈방지홈(710)에 끼워져 접지러그(200)가 끼움부(620)에서 쉽게 빠지지 않고 견고하게 연결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0 : 접지볼트
110 : 볼트몸체
120 : 볼트머리
200 : 접지러그
210 : 접지와이어
300 : 플랫와셔
400 : 스프링와셔
500 : 너트
600 : 끼움수단
610 : 연결편
620 : 끼움부
700 : 이탈방지수단
710 : 이탈방지홈
720 : 걸림돌기

Claims (11)

  1. 접지와이어를 설치하기 위한 접지볼트용 접지러그구조에 있어서,
    상기 접지와이어를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접지볼트;
    상기 접지볼트에 일체화되며 접지와이어가 연결되는 접지러그;
    상기 접지볼트에 끼워지는 플랫와셔 및 스프링와셔; 및
    상기 접지볼트에 체결되어 접지볼트를 선체 또는 전기장비에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너트;
    를 포함하는 접지볼트용 접지러그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지러그는 접지볼트의 볼트머리 측부에 일체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지볼트용 접지러그구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랫와셔는 접지볼트에 접지러그가 일체화되어 접지러그를 고정할 필요가 없어 접지볼트에 한 개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지볼트용 접지러그구조.
  4. 접지와이어를 설치하기 위한 접지볼트용 접지러그구조에 있어서,
    상기 접지와이어를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접지볼트;
    상기 접지볼트의 볼트머리에 끼움 방식으로 연결되는 접지러그;
    상기 접지볼트의 측부에 구비되어 접지러그를 연결시킬 수 있도록 하는 끼움수단;
    상기 접지볼트에 끼워지는 플랫와셔 및 스프링와셔; 및
    상기 접지볼트에 체결되는 너트;
    를 포함하는 접지볼트용 접지러그구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접지볼트는 접지와이어가 연결된 접지러그가 끼워질 수 있도록 소켓 타입으로 설치되며, 상기 접지러그는 접지볼트에 결합될 수 있도록 플러그 타입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지볼트용 접지러그구조.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끼움수단은 접지볼트의 볼트머리 측부에 연결편이 구비되며, 상기 연결편의 외측 내부로 접지러그가 끼워져 결합될 수 있도록 끼움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지볼트용 접지러그구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편과 접지러그에는 끼움부로 끼워지는 접지러그가 빠지지 않도록 이탈방지수단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지볼트용 접지러그구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이탈방지수단은,
    상기 끼움부의 내측 벽면에 형성되는 이탈방지홈; 및
    상기 접지러그의 끝단부에 구비되어 이탈방지홈으로 끼워지면서 접지러그가 끼움부로부터 빠지지 않도록 하는 걸림돌기;
    를 포함하는 접지볼트용 접지러그구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이탈방지홈과 걸림돌기는 접지러그가 끼움부에 안정적으로 끼워져 결속력을 높일 수 있도록 양쪽에 복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지볼트용 접지러그구조.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편은 볼트머리의 측부에 일체로 설치되거나 용접으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지볼트용 접지러그구조.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접지볼트의 볼트머리에 접지러그가 일체화 또는 끼움 방식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지볼트용 접지러그구조를 가지는 선박.
KR2020150008041U 2015-12-08 2015-12-08 접지볼트용 접지러그구조 및 이를 가지는 선박 KR20170002134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8041U KR20170002134U (ko) 2015-12-08 2015-12-08 접지볼트용 접지러그구조 및 이를 가지는 선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8041U KR20170002134U (ko) 2015-12-08 2015-12-08 접지볼트용 접지러그구조 및 이를 가지는 선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2134U true KR20170002134U (ko) 2017-06-16

Family

ID=592400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8041U KR20170002134U (ko) 2015-12-08 2015-12-08 접지볼트용 접지러그구조 및 이를 가지는 선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02134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932158A (zh) * 2019-12-13 2020-03-27 徐杰 一种接地单元隐藏式的低压开关柜
CN111641051A (zh) * 2020-06-11 2020-09-08 上海外高桥造船有限公司 一种室外的金属电缆托架的接地系统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01648U (ko) 2013-10-22 2015-04-30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접지 고정너트의 접지구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01648U (ko) 2013-10-22 2015-04-30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접지 고정너트의 접지구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932158A (zh) * 2019-12-13 2020-03-27 徐杰 一种接地单元隐藏式的低压开关柜
CN110932158B (zh) * 2019-12-13 2021-03-23 东营市南方电器有限责任公司 一种接地单元隐藏式的低压开关柜
CN111641051A (zh) * 2020-06-11 2020-09-08 上海外高桥造船有限公司 一种室外的金属电缆托架的接地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14750B2 (en) Connector to flex assembly
JP4339888B2 (ja) 少なくとも一つのプレート型導電体を支持片に対して電気的に接続しかつ固定するためのシステム
KR101696326B1 (ko) 선박용 정션 박스
US9607783B2 (en) Switch device mounting structure
EP2988399B1 (en) Fastening system for a terminal box and electrical machine
KR20170002134U (ko) 접지볼트용 접지러그구조 및 이를 가지는 선박
KR200455482Y1 (ko) 지상변압기의 단자판 연결구조
JP6358164B2 (ja) アース機能付ワイヤハーネスプロテクタ
US9755332B1 (en) Terminal blocks
CN204677554U (zh) 固定装置
US20180212353A1 (en) Device connector
KR102492966B1 (ko) 고전압 커넥터용 리어 홀더
US9078356B2 (en) Electrical component device
CN214378173U (zh) 组合式电联接及使用该电联接的隔离接地开关
KR200483105Y1 (ko) 조인트 커넥터 및 어스 터미널 결합장치
EP1755198B1 (en) Radio frequency wall outlet and modules
KR200485486Y1 (ko) 접지 고정너트의 접지구조
KR101445307B1 (ko) 전기접속용 단자대
CN214378997U (zh) 安装灵活的锁扣式连接器壳体组件、连接器及电气设备
KR20090073807A (ko) 정션박스
CN216436281U (zh) 一种方盘式插座电连接器
JP5720039B2 (ja) バーホルダ
KR200480091Y1 (ko) 앵글타입 bnc 단자
KR100997863B1 (ko) 기기접속용 케이블 커넥터 및 이를 위한 기기접속유닛
JP2005327561A (ja) コネクタの嵌合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