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63596A - 풀림방지 커넥터 - Google Patents

풀림방지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63596A
KR20130063596A KR1020110130012A KR20110130012A KR20130063596A KR 20130063596 A KR20130063596 A KR 20130063596A KR 1020110130012 A KR1020110130012 A KR 1020110130012A KR 20110130012 A KR20110130012 A KR 20110130012A KR 20130063596 A KR20130063596 A KR 201300635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nut
rotation control
loosening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300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85336B1 (ko
Inventor
고남열
Original Assignee
(주)애드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애드컴 filed Critical (주)애드컴
Priority to KR10201101300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85336B1/ko
Publication of KR201300635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635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53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53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 H01R4/30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screw or nut clamping member
    • H01R4/302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screw or nut clamping member having means for preventing loosening of screw or nut, e.g. vibration-proof conne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38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 H01R24/4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specially adapted for high frequency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풀림방지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연결부에 커넥터를 고정할 때, 외력이 작용하더라도 커넥터가 풀리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커넥터의 교체가 필요할 경우에는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게 하는 풀림방지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내부에 중심도체핀이 구비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일측에 구비되는 제1너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풀림방지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제1너트의 일측에는 풀림방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본체에는 상기 풀림방지부에 대응되게 회전제어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풀림방지 커넥터{the connector for preventing seperation}
본 발명은 풀림방지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연결부에 커넥터를 고정할 때, 외력이 작용하더라도 커넥터가 풀리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커넥터의 교체가 필요할 경우에는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게 하는 풀림방지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동축케이블용 커넥터는 적정한 임피던스를 유지하면서 암수 한쌍의 커넥터 내부 유전체를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해 주는 것으로, 유무선통신 시스템의 각종 부품들에 구비되어 이들을 연결 또는 장비들을 연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적용되고, 그 용도와 성능 및 결합구조에 따라 N형, DIN형, TNC형, BNC형, SMB형, SMC형 등 이외에도 많은 종류의 커넥터로 구분된다.
그런데, 이러한 동축케이블 커넥터는 다양한 장비와 연결되는 분배 하우징 등의 연결장치에 결합되어 사용되는데, 동축 케이블의 동심(중심도체)을 직접 연결할 수 없어 동축케이블의 단부에 설치되는 결합부재를 이와 일체형으로 결합된 커플링 부재 등을 통해 케이블 또는 분배 하우징 등의 연결장치에 결합된 연결부재에 동축으로 연결 접속하게 된다.
이때, 연결부재와 결합부재를 서로 나사결합방식으로 연결하는 커플링 부재가 소정의 외력 또는 잦은 외력이 발생되면 풀리게 됨으로써, 내부의 동심인 중심도체에 접촉 불량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래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한국등록특허 제10-0646757호에 기재된 기술이 개발되었는데, 그 기술적 특징은 동축케이블(1)의 외부에 설치되는 결합부재(2)와 상기 동축케이블(1)의 중심도체(12)에 나사 결합된 상태에서 연결장치(7)의 볼트형 연결구(71)에 설치되어 있는 암핀에 결합되는 중심도체핀(3)과 일단부 내측에는 상기 결합부재 체결용 나사산(42)을 구비하고 타단부 외측에는 너트 결합부(41)가 형성됨은 물론 상기 너트 결합부(41)의 내부에는 인슐레이터(10)가 설치된 형태에서 상기 결합부재(2)가 그 내부로 고정 설치되며, 외주면상에는 풀림방지수단(6)의 각 구성품을 설치하기 위한 제 1 내지 제 3 단턱부를 구비한 커플링부재(4)와 상기 커플링부재(4)의 외측면에 설치되어 너트의 자유로운 풀림을 방지하는 풀림방지수단(6)과 상면부에 홈을 구비하고 상기 커플링부재(4)의 너트 결합부(41)에 아이들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연결장치의 볼트형 연결구(71)에 나사 결합됨은 물론 상기 풀림방지수단(6)에 의해 풀림 방향으로의 회동이 차단되는 너트(5)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한국등록특허 제10-0646757호에 기재된 기술은 풀림방지수단(6)을 형성하는 너트(5)가 잠기는 방향으로만 회전가능하고, 풀리는 방향으로는 회전이 불가능하게 형성함으로써, 커넥터가 풀리는 것을 방지하는 장점은 있으나, 커넥터를 분리할 필요가 있을 때는 분해가 용이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커넥터의 본체에는 회전제어부가구비되고 상기 본체에 결합되는 제1너트에 는 풀림방지부가 구비되어, 외력이 작용하더라도 커넥터가 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풀림방지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커넥터의 회전제어부에는 조절봉이 형성된 회전 제어핀이 설치되어, 풀림방지부에 형성된 래칫기어와 일정거리 이격시킴으로써, 제1너트가 양방항으로 회전할 수 있게 함으로써, 커넥터를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는 풀림방지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내부에 중심도체핀이 구비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일측에 구비되는 제1너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풀림방지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제1너트의 일측에는 풀림방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본체에는 상기 풀림방지부에 대응되게 회전제어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풀림방지부는 상기 제1너트의 일측 단부에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고정홈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풀림방지부는 상기 제1너트의 일측 단부에 형성되는 제2설치홈과, 상기 제2설치홈에 설치되는 래칫기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회전제어부는 상기 본체의 일측에 형성되는 제1설치홈과, 상기 제1설치홈에 삽입 설치되는 회전제어핀과, 상기 회전제어핀을 탄성지지하는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제1설치홈에는 가이드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홈에는 걸림홈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회전제어부에는 조절봉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회전제어핀에는 래칫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본체에는 케이블 결합구가 구비되되, 상기 케이블 결합부는 상기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는 제2인서트링과, 상기 제2인서트링의 상부에 위치하는 제1인서트링과, 상기 제1인서트링의 상부에 위치하여 본체의 내측에 나사결합되는 제2너트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원통형상의 본체에는 하부에 제1단턱이 형성되고, 상기 제1단턱에는 회전 제어핀이 구비되며, 상기 본체의 하부에 설치되되,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연결 커넥터와 나사결합되는 제1너트의 상부에는 래칫기어가 구비되어, 상기 회전 제어핀과 래칫기어에 의해 제1너트가 일측 방향으로만 회전되도록 함으로써, 외력이 작용하더라도 커넥터가 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래칫기어의 회전을 제어하는 회전 제어핀이 설치되는 설치홈의 측면에는 상기 회전 제어핀의 측부에 설치되는 조절봉의 움직임을 가이드하는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홈의 상단에는 상기 조절봉이 걸림 고정되는 걸림홈을 형성하여, 회전 제어핀과 래칫기어를 일정거리 이격시킴으로써, 제1너트가 양방항으로 회전할 수 있게 함으로써, 커넥터에 손상이 있을 때, 용이하게 분리하여 교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풀림방지형 커넥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의 풀림방지형 커넥터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풀림방지 커넥터의 단면도이다.
도 4의 (a),(b)는 본 발명에 따른 풀림방지 커넥터의 몸체의 정면 및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풀림방지 커넥터의 회전제어핀의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풀림방지 커넥터의 제1너트와 래칫기어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회전제어핀의 도면이다.
도 8의 (a),(b)는 도 7의 회전제어핀에 대응되는 제1너트의 정면 및 우측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풀림방지 커넥터의 회전제어부의 분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다수의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기술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풀림방지 커넥터의 단면도이고, 도 4의 (a),(b)는 본 발명에 따른 풀림방지 커넥터의 몸체의 정면 및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풀림방지 커넥터의 회전제어핀의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풀림방지 커넥터의 제1너트와 래칫기어의 부분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회전제어핀의 도면이고, 도 8의 (a),(b)는 도 7의 회전제어핀에 대응되는 제1너트의 정면 및 우측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풀림방지 커넥터의 회전제어부의 분해도이다.
본 발명은 풀림방지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구성은 원통형상의 본체(100)와 상기 본체의 일측에 연결 결합되는 제1너트(150)와 상기 제1너트(150)의 본체(100) 측에 형성되는 풀림방지부(160)와 상기 풀림방지부(160)와 대응되는 쪽 본체(100)에 형성되는 회전제어부(200)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본체(100)는 제1너트(150) 측에 원형의 삽입구(130)가 형성되고, 상기 삽입구(130)에 연접하여 제2단턱(120)이 형성되며, 상기 삽입구(130)의 반대측에 제1단턱(110)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100)의 내부에는 중심도체핀(170)이 구비되는데, 상기 중심도체핀(170)의 중간부에는 제1인슐레이터(172)가 구비되고, 일측부에는 제2인슐레이터(174)가 구비되어, 상기 본체(100)와 일정 거리 이격되게 구성 함으로써, 절연성을 유지하게 된다.
그래서, 동축 케이블을 본체(100)에 연결한 후, 일측에 구비된 제1너트(150)를 사용하여 연결 커넥터(미도시)와 결합할 때, 안정적으로 전기적인 신호를 전송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본체(100)의 일측부에는 동축 케이블을 연결하기 위한 케이블 결합부(300)가 구비되는데, 상기 케이블 결합부(300)는 상기 본체(100)의 내부에 삽입 설치되는 제2인서트링(320)과 상기 제2인서트링(320)의 외측에 위치되는 제1인서트링(310)과 상기 제1인서트링(310)의 외측에 위치하는 제2너트(330)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제2너트(330)는 일측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본체(100)의 내주면에는 상기 제2너트(330)에 형성된 나사산에 대응되도록 나사산이 형성되어, 본체(100)에 나사결합으로 고정되게 된다.
그래서, 상기 제1인서트링(310)과 제2인서트링(320)이 본체(10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상기 제1인서트링(310)의 외주면과 제2너트(330)의 외주면에는 씰 삽입홈(314,334)이 형성되어, 씰(340)이 삽입 설치됨으로써, 제1인서트링(310)과 몸체(100), 제2너트(330)와 몸체(100) 사이의 밀폐력을 높이게 됨으로써, 외부의 이물질이나 수분이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케이블 결합부(300)의 내측에는 동축 케이블이 삽입 고정되는데, 동축 케이블의 외부도체(미도시)는 상기 제1인서트링(310) 및 제2인서트링(320)과 접하게 되어, 본체(100)의 일단에 형성된 삽입구(130)로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된다.
이때, 상기 제1인서트링(310)의 내측 양단에는 제1경사면(312)이 형성되고, 상기 제2인서트링(320)의 일측에는 상기 제1경사면(312)에 대응되도록 제2경사면(322)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2경사면(322)은 상기 제1경사면(312)의 내측 단부보다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동축 케이블의 외부도체를 가압하여 제1인서트링(310)과 견고하게 접촉되도록 하여, 외부의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전기적으로 안정되게 연결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동축 케이블의 중심도체는 상기 중심도체핀(170)의 후부에 삽입 설치되게 된다.
한편, 상기 본체(100)의 일측에는 제1너트(150)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데, 상기 본체(100)의 제1단턱(110)과 제2단턱(120)의 사이에는 외주면을 따라 제1결합홈(140)이 형성되고, 상기 제1너트(150)의 내주면에는 상기 제1결합홈(140)에 대응되도록 제2결합홈(155)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결합홈(140)과 제2결합홈(155)에는 탄성링(145)이 삽입 설치되어, 상기 제1너트(150)가 임의로 분리되지 않고,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즉, 상기 탄성링(145)은 탄성력이 강한 재질을 사용하여 일측이 절개된 링형상으로 형성함으로써, 상기 제1결합홈(140)에 탄성링(145)을 삽입한 후, 제1너트(150)을 본체(100)의 삽입구(130) 방향으로 삽입하여, 상기 제1너트(150)는 본체(10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1너트(150)의 일측 단부에는 풀림방지부(160)가 형성되는데, 상기 풀림방지부(160)는 상기 제1너트(150)의 단부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는 제2설치홈(162)과 상기 제2설치홈(162)에 삽입 설치되는 래칫기어(164)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래칫기어(164)는 링형상으로 형성되고, 몸체(100) 측, 즉 제2설치홈(162)에 래칫기어(164)가 삽입시 외측을 향하는 면에 기어이(165)가 형성되는데, 상기 기어이(165)는 일 방향으로 경사가 형성되게 된다.
한편, 상기 회전제어부(200)는 상기 본체(100)의 일측에 형성된 제3단턱(180)에 형성되는 제1설치홈(210)과 상기 제1설치홈(210)에 삽입 설치되는 회전제어핀(220)과 상기 회전제어핀(220)의 내측에 설치되는 스프링(230)으로 이루어진다.
그래서, 상기 스프링(230)이 상기 회전제어핀(220)을 탄성 지지하게 되어, 상기 회전제어핀(220)이 상기 제1너트(150)의 일측에 설치되는 래칫기어(164)의 기어이(165)와 접하게 된다.
이때, 상기 회전제어핀(220)의 외측단에는 래칫(223)이 형성되는데, 상기 래칫(223)은 상기 기어이(165)의 경사방향에 대응되도록 일방향으로 경사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제1너트(150)가 일방향으로만 회전하게 한다.
즉, 상기 기어이(165)와 래칫(223)의 경사면이 접하게 형성되어, 제1너트(150)가 잠기는 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경사면에 의해 회전제어핀(220)이 내측부로 이동하게 되어, 안정적으로 회전이 가능하게 되고, 풀리는 방향으로 회전시킬 경우, 경사부의 반대쪽인 단턱부에 걸리게 되어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그래서, 상기 제1너트(150)는 연결 커넥터(미도시)와 체결시, 잠기는 방향으로만 회전되도록 함으로써, 나사 결합으로 고정하게 되고, 풀리는 방향으로는 회전하지 않기 때문에, 외력이 작용하더라도 결합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게 된다.
한편, 상기 본체(100)의 좌우에는 평면부(190)를 형성하여 커넥터를 회전시킬 때 손잡이 역할을 하도록 하여, 보다 용이하게 커넥터를 고정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1설치홈(210)에는 외측으로 관통된 장홈 형상의 가이드홈(212)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제어핀(220)에는 고정공(221)이 형성되어 상기 제1설치홈(210)에 회전제어핀(220)을 삽입한 후, 회전제어핀(220)이 제1설치홈(210)에서 빠지지 않고, 회전제어핀(220)의 전후 이동이 용이하도록 손잡이 역할을 하도록 고정공(221)에 가이드홈(212)을 통하여 조절봉(225)을 삽입 고정한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홈(212)에는 상기 조절봉(225)이 걸리도록 하는 걸림홈(214)이 형성된다.
그래서, 상기 조절봉(225)을 상기 걸림홈(214)에 고정되게 하면, 상기 조절봉(225)이 설치된 회전제어핀(220) 역시 상기 래칫기어(164)와 결합이 해제된 상태에서 고정되게 되어, 상기 회전제어핀(220)의 일측에 형성된 래칫(223)과 래칫기어(164)에 형성된 기어이(165)가 이격되게 되므로, 제1너트(150)는 양방항으로 모두 회전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풀림방지 커넥터는 결합된 상태에서는 이완되지 않고 안정적인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커넥터의 분리시에는 회전제어핀(220)을 이동시켜 조절봉(225)이 걸림홈(214)에 걸리도록 한 상태에서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게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본체(10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너트(150)의 일측 단부에는 풀림방지부(160)가 형성되는데, 상기 풀림방지부(16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너트(150)의 단부면에 원주면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는 고정홈(166)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본체(100)에 형성되는 회전제어부(200)에 구비되는 회전제어핀(220')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일단이 단순한 봉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고정홈(166)에 삽입되게 된다.
여기서,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회전제어핀(220')의 측부에 설치되는 조절봉(225)을 제어하여, 회전제어부(200)에 형성되는 걸림홈(214)에 걸리도록 고정시키게 되면, 상기 제1너트(150)는 양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되므로, 연결 커넥터에 용이하게 체결할 수 있게 되고, 상기 조절봉(225)을 제어하여 걸림홈(214)에서 이탈시켜 가이드홈(212)로 이동시키게 되면, 회전제어핀(220')의 상부에 구비된 스프링(230)에 의해 탄성 지지되어, 상기 고정홈(166)에 삽입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어 제1너트(150)는 회전할 수 없게 된다.
그래서, 외력이 작용하더라도 제1너트(150)가 회전하지 않게 되므로, 견고하게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나머지 구성들은 전술한 구성들과 동일하므로 별도의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와 실질적으로 균등한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발명의 권리 범위가 미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이다.
본 발명은 풀림방지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연결부에 커넥터를 고정할 때, 외력이 작용하더라도 커넥터가 풀리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커넥터의 교체가 필요할 경우에는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게 하는 풀림방지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100 : 몸체 110 : 제1단턱
120 : 제2단턱 130 : 삽입구
140 : 제1결합홈 145 : 탄성링
150 : 제1너트 155 : 제2결합홈
160 : 풀림방지부 162 : 제2설치홈
164 : 래칫기어 165 : 기어이
166 : 고정홈 170 : 중심도체핀
172 : 제1인슐레이터 174 : 제2인슐레이터
200 : 회전제어부 210 : 제1설치홈
212 : 가이드홈 214 : 걸림홈
220,220' : 회전제어핀 221 : 고정공
223 : 래칫 225 : 조절봉
230 : 스프링 300 : 케이블 결합부
310 : 제1인서트링 312 : 제1경사면
320 : 제2인서트링 322 : 제2경사면
330 : 제2너트 340 : 씰

Claims (9)

  1. 내부에 중심도체핀이 구비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일측에 구비되는 제1너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풀림방지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제1너트의 일측에는 풀림방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본체에는 상기 풀림방지부에 대응되게 회전제어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림방지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풀림방지부는 상기 제1너트의 일측 단부에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고정홈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림방지 커넥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풀림방지부는 상기 제1너트의 일측 단부에 형성되는 제2설치홈과,
    상기 제2설치홈에 설치되는 래칫기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림방지 커넥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제어부는 상기 본체의 일측에 형성되는 제1설치홈과,
    상기 제1설치홈에 삽입 설치되는 회전제어핀과,
    상기 회전제어핀을 탄성지지하는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림방지 커넥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설치홈에는 가이드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림방지 커넥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홈에는 걸림홈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림방지 커넥터.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제어부는 조절봉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림방지 커넥터.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제어핀에는 래칫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림방지 커넥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는 케이블 결합구가 구비되되,
    상기 케이블 결합부는 상기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는 제2인서트링과,
    상기 제2인서트링의 상부에 위치하는 제1인서트링과,
    상기 제1인서트링의 상부에 위치하여 본체의 내측에 나사결합되는 제2너트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림방지 커넥터.
KR1020110130012A 2011-12-07 2011-12-07 풀림방지 커넥터 KR1012853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0012A KR101285336B1 (ko) 2011-12-07 2011-12-07 풀림방지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0012A KR101285336B1 (ko) 2011-12-07 2011-12-07 풀림방지 커넥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3596A true KR20130063596A (ko) 2013-06-17
KR101285336B1 KR101285336B1 (ko) 2013-07-11

Family

ID=488608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30012A KR101285336B1 (ko) 2011-12-07 2011-12-07 풀림방지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8533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3337B1 (ko) * 2019-06-26 2020-01-07 고남열 동축 케이블 커넥터
KR102147146B1 (ko) * 2019-10-21 2020-08-31 주식회사유비씨에스 풀림 방지용 커넥터 일체형 분배기 및 케이블 커넥팅 어셈블리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3580B1 (ko) 2005-10-04 2007-08-30 에이앤피테크놀로지 주식회사 풀림방지 커플링 조합체 및 이를 이용한 단자결합체
KR100616523B1 (ko) * 2005-10-28 2006-08-29 주식회사 호성테크닉스 풀림방지 케이블 콘넥터
KR100646757B1 (ko) * 2006-02-06 2006-11-23 (주)애드컴 풀림 방지형 콘넥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3337B1 (ko) * 2019-06-26 2020-01-07 고남열 동축 케이블 커넥터
KR102147146B1 (ko) * 2019-10-21 2020-08-31 주식회사유비씨에스 풀림 방지용 커넥터 일체형 분배기 및 케이블 커넥팅 어셈블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85336B1 (ko) 2013-07-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488379B (zh) 整體性導電鎖定同軸連接器
KR100646757B1 (ko) 풀림 방지형 콘넥터
TW201906257A (zh) 用於連接及接地同軸電纜連接器的連接裝置
KR101208362B1 (ko) 풀림 방지용 커넥터
KR20130127457A (ko) 접지 부재를 구비한 전기 커넥터
CA2893600C (en) Cable connector system
US8303338B2 (en) Grounding electrical connector
WO2015083045A1 (en) Electrical connector
US9203180B2 (en) Connector having coupling mechanism
CN110366802B (zh) 用于矩形插接连接的保护性分离装置
EP2092617A1 (en) Conductor arrangement, system and method
KR101285336B1 (ko) 풀림방지 커넥터
KR101219019B1 (ko) 방수용 플러그와 콘센트 구조체
CA2774010C (en) Hf interface and connecting device for connecting a high-frequency (hf) cable to the hf interface
KR20080061468A (ko) 슬림형 동축케이블 커넥터
KR100557494B1 (ko) 풀림방지 기능을 갖는 콘넥터
KR100649178B1 (ko) 풀림 방지용 콘넥터
KR102063337B1 (ko) 동축 케이블 커넥터
CN204720721U (zh) 一种带自锁结构的n型射频同轴连接器
CA2800754A1 (en) Plug-in connector
KR100753580B1 (ko) 풀림방지 커플링 조합체 및 이를 이용한 단자결합체
US6371777B1 (en) Flight disconnect connector
US9634431B1 (en) Clamp cup to secure electrical connectors having first and second mating structures
KR20130077533A (ko) 접속재 고정장치
KR200399524Y1 (ko) 콘넥터 핀의 결합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