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61468A - 슬림형 동축케이블 커넥터 - Google Patents

슬림형 동축케이블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61468A
KR20080061468A KR1020060136181A KR20060136181A KR20080061468A KR 20080061468 A KR20080061468 A KR 20080061468A KR 1020060136181 A KR1020060136181 A KR 1020060136181A KR 20060136181 A KR20060136181 A KR 20060136181A KR 20080061468 A KR20080061468 A KR 200800614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axial cable
cable connector
coupling
loosening
release preven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361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44590B1 (ko
Inventor
고남열
Original Assignee
(주)애드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애드컴 filed Critical (주)애드컴
Priority to KR10200601361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44590B1/ko
Publication of KR200800614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614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445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445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03Connector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the conductors of a multiconductor cable, e.g. tapping connections
    • H01R9/05Connector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the conductors of a multiconductor cable, e.g. tapping connections for coaxial cables
    • H01R9/0527Connection to outer conductor by action of a resilient member, e.g. spr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2Screw-ring or screw-ca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31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engagement onl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03Connector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the conductors of a multiconductor cable, e.g. tapping connections
    • H01R9/05Connector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the conductors of a multiconductor cable, e.g. tapping connections for coaxial cables
    • H01R9/0521Connection to outer conductor by action of a nu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3/00Two poles

Abstract

본 발명은 각종 전기장치에 연결 설치된 동축케이블의 커넥터가 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슬림형 동축케이블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풀림방지수단을 종방향에 장치하여 횡방향의 두께를 감소시킴에 따라 제품의 슬림화가 가능함은 물론, 구조를 단순화하여 고장율 및 제조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는 슬림형 동축케이블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슬림형 동축케이블 커넥터는, 일측 종단면에는 제1 일방향 회전기어가 장치되어 있고 타측은 각종 전기장치의 연결부와 결합되는 결합부재와, 상기 결합부재가 일방향으로만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결합부재의 일측 종단면과 면접촉 결합되는 일측 종단면에는 제2 일방향 회전기어가 장치되어 있는 풀림방지부재, 및 내부에는 중심도체가 장치되어 있고 일측 종단부에는 동축케이블이 결합되어 상기 중심도체와 상기 동축케이블의 동축이 서로 접촉 결합되되, 상기 결합부재와 풀림방지부재의 내부를 관통하여 장치됨에 따라, 상기 결합부재의 제1 일방향 회전기어와 상기 풀림방지부재의 제2 일방향 회전기어가 서로 종방향 면접촉하여 풀림방지결합 되도록 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동축케이블, 커넥터, 풀림방지, 일방향 회전기어, 종단면 결합, 슬림형

Description

슬림형 동축케이블 커넥터{Slim type coaxial cable connector}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풀림방지형 동축케이블 커넥터를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풀림방지형 동축케이블 커넥터의 풀림방지부재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동축케이블 커넥터가 결합되는 전기장치의 일 예를 나타낸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슬림형 동축케이블 커넥터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슬림형 동축케이블 커넥터를 나타낸 분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슬림형 동축케이블 커넥터의 제1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슬림형 동축케이블 커넥터의 제2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10: 결합부재 315: 제1 일방향 회전기어
320: 풀림방지부재 321: 제2 일방향 회전기어
330: 연결부재 334: 회전방지돌기
335: 회전홈 338: 중심도체
340: 패킹용 마감재 400: 동축케이블
본 발명은 각종 전기장치에 연결 설치된 동축케이블의 커넥터가 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슬림형 동축케이블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풀림방지수단을 종방향에 장치하여 횡방향의 두께를 감소시킴에 따라 제품의 슬림화가 가능함은 물론, 구조를 단순화하여 고장율 및 제조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는 슬림형 동축케이블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동축케이블 커넥터는 적정한 임피던스를 유지하면서 암수 한쌍의 동축케이블 커넥터 내부 유전체를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해 주기 위한 것으로서, 유무선통신 시스템의 각종 부품 등을 포함한 전기장치와의 연결수단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그 용도와 성능 및 결합구조에 따라 N형, DIN형, TNC형, BNC형, SMA형, SMB 형, SMC형, 및 기타 다양한 종류로 구분된다.
한편, 동축케이블 커넥터는 각종 전기장치의 연결부와 결합에 사용될 수 있도록, 일반적으로는 전기장치의 연결부와 나사결합되는 결합부재와 동축케이블이 결합되는 연결부재 및 상기 결합부재와는 일체형으로 결합되되 결합부재와는 나사결합되는 커플링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나, 이러한 동축케이블 커넥터는 잦은 진 동 혹은 외력에 의해 커플링부재와 결합부재 사이의 나사결합이 풀리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국공개특허 제2004-105632호 "풀림방지기능을 갖는 콘넥터"에서는 분배 하우징 등과 같은 연결장치(도 3의 200 참조)에 제공된 나사에 결합되며 내측에 중심도체 안내부가 형성된 연결부재(60)와, 동축케이블(10)의 단부와 결합되며 내측에 중심도체핀을 갖는 결합부재(20)와, 일단부에 제공된 나사부는 상기 결합부재(20)와 나사결합되고 타단부는 상기 연결부재(60)와 나사 결합되는 접속관(50)이 회전가능하게 걸림 연결되어 있는 커플링부재(30), 및 상기 연결부재(60)에 제공되어 역회전 풀림이 방지되는 풀림방지수단(50)을 포함한 콘넥터(100)에 관한 구성을 제시하고 있다.
한편, 풀림방지수단(5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재(60)의 외측면 둘레를 따라 형성되고 각기 수직단(61b)과 경사단(61a)을 형성하여서 된 일방향 회전기어(61)와, 상기 일방향 회전기어(61)를 감싸는 형태로 슬라이드 결합된 슬라이더, 및 상기 일방향 회전기어(61)의 경사단(61a)과 슬라이드 되고 역방향 회전시 수직단(61b)에 걸림되어 역회전을 억제하는 랫치구(53) 등으로 이루어져 역회전 풀림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이상과 같은 콘넥터(100)의 풀림방지수단(50)은 연결부재(60)의 외측면 둘레(혹은, '외주면')에 형성된 일방향 회전기어(61)와, 상기 일방향 회전기어(61)가 걸릴 수 있도록 하는 랫치구(53), 및 랫치구(53)에 탄성 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코일(52) 및 지지편(51) 등을 순차적으로 장치하여야 하므로, 전체적으로 콘넥터(100)의 두께가 필연적으로 두꺼워 진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배기 등과 같이 복수개의 입/출력 포트(220a, 220b)들로 이루어진 전기장치(200)에 있어서는 그 몸체(210)에 복수개의 콘넥터(100)가 동시에 결합될 수 있도록 나사산이 형성된 상기 입/출력 포트(220a, 220b)들이 콘넥터(100)의 두께만큼 서로 이격(L1, L2)되어 있어야 하므로, 당해 전기장치(200)의 크기가 커질 수 밖에 없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전기장치(200)의 크기가 갈수록 작아지는 추세에 맞추어 콘넥터(100)의 크기를 줄이면, 랫치구(53) 및 당해 랫치구(53)에 탄성력 제공하는 탄성코일(52) 등의 크기도 작아지게 되므로, 랫치구(53)의 마모로 인해 역방향 회전 방지를 위한 걸림동작이 적절히 이루어질 수 없거나 사이즈가 작은 탄성코일(52)의 탄성력이 잦은 사용으로 인해 저하됨에 따라 랫치구(53)에 충분한 복원력을 제공하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나아가, 상기 일방향 회전기어와 랫치구(53)와 랫치구(53)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코일(52) 및 지지편(51) 등을 포함하여야 함에 따라 복잡한 구성을 갖는 풀림방지수단(50)을 제작하기 위해서는 그 제작단가가 높아짐은 물론, 제작도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여, 각종 전기장치 에 연결 설치된 동축케이블의 커넥터가 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슬림형 동축케이블 커넥터를 제공하되, 풀림방지수단을 종방향에 장치하여 제품의 슬림화가 가능함은 물론, 구조를 단순화하여 고장율 및 제조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는 슬림형 동축케이블 커넥터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슬림형 동축케이블 커넥터는 전기장치에 연결 설치되는 동축케이블 커넥터에 있어서, 일측 종단면에는 제1 일방향 회전부재가 장치되어 있고 타측은 전기장치의 연결부와 결합되는 결합부재 및 상기 결합부재가 일방향으로만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결합부재의 일측 종단면과 면접촉 결합되는 일측 종단면에는 제2 일방향 회전부재가 장치되어 있는 풀림방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제1 일방향 회전부재와 제2 일방향 회전부재는 일측방향으로만 경사진 톱니바퀴로 구성된 제1 일방향 회전기어와 제2 일방향 회전기어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내부에는 중심도체가 장치되어 있고 일측 종단부에는 상기 동축케이블이 결합되어 상기 중심도체와 상기 동축케이블의 동축이 서로 접촉 결합될 수 있도록 하되, 상기 결합부재와 풀림방지부재의 내부를 관통하여 장치됨에 따라, 상기 결합부재의 제1 일방향 회전기어와 상기 풀림방지부재의 제2 일방향 회전기어가 서로 면접촉하여 풀림방지결합 되도록 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연결부재의 일측 종단부에 삽입 결합되는 패킹용 마감재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풀림방지부재의 내측면 일부에는 걸림돌기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연결부재의 외주면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상기 풀림방지부재의 걸림돌기가 맞물려 회전할 수 있는 회전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회전홈에 인접하여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된 회전방지돌기에는 상기 회전홈과 연통하는 복수개의 이동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풀림방지부재에 탄성력을 가해 상기 결합부재와 풀림방지부재의 면접촉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도록, 상기 풀림방지부재와 연결부재 사이에 삽입 설치된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슬림형 동축케이블 커넥터는 전기장치에 연결 설치되는 동축케이블 커넥터에 있어서, 일측 종단면에는 제1 일방향 회전부재가 장치되어 있고 타측은 상기 전기장치의 연결부와 결합되는 결합부재와, 상기 결합부재가 일방향으로만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결합부재의 일측 종단면과 면접촉 결합되는 일측 종단면에는 제2 일방향 회전부재가 장치되어 있으며, 내측면 일부에는 걸림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풀림방지부재와, 상기 결합부재와 풀림방지부재의 내부를 관통하여 장치됨에 따라, 상기 결합부재의 제1 일방향 회전기어와 상기 풀림방지부재의 제2 일방향 회전기어가 서로 종방향으로 면접촉하여 풀림방지결합 되도록 하며, 외주면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상기 풀림방지부재의 걸림돌기가 맞물려 회전할 수 있는 회전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회전홈에 인접하여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된 회전방지 돌기에는 상기 회전홈과 연통하는 복수개의 이동홈이 형성되어 있는 연결부재와, 상기 연결부재의 내부에 장치되어 상기 연결부재의 일측 종단측에 동축케이블이 결합되면 상기 동축케이블의 동축과 전기적으로 접촉 결합되는 중심도체와, 상기 연결부재의 일측 종단부에 삽입 결합되는 패킹용 마감재 및 상기 풀림방지부재에 탄성력을 가해 상기 결합부재와의 상기 풀림방지부재의 면접촉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도록, 상기 풀림방지부재와 연결부재 사이에 삽입 설치된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슬림형 동축케이블 커넥터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슬림형 동축케이블 커넥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슬림형 동축케이블 커넥터를 나타낸 분해도이다.
먼저,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슬림형 동축케이블 커넥터는 각종 전기장치(도 3의 200)의 나사산이 형성된 입/출력 포트(도 3의 220a, 220b)와 결합되는 결합부재(310)와, 상기 결합부재(310)의 종단면과 면접촉하여 결합부재(310)의 역방향 회전을 방지하되 연결부재(330)와 종축방향 슬라이딩이 가능하도록 결합된 풀림방지부재(320)와, 내부에는 동축케이블(400)의 동축과 연결접속되는 중심도체(338)가 장치되어 있음과 동시에 상기 결합부재(310) 및 풀림방지부재(320)의 내부를 관통하여 결합되는 연결부재(330), 및 상기 연결부재(330)의 일측 종단부에 결합되어 각종 이물질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는 패킹용 마감재(340)를 그 주요 구성으로 한다.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결합부재(310)는 각종 전기장치(200)의 나사산이 형성된 입/출력 포트(220a, 220b)와 결합될 수 있도록 일측 종단부에는 나사산(313)이 형성되어 있고, 타측 종단부에는 삽입돌기(314)가 형성되어 있음과 동시에 상기 삽입돌기(314)의 종단면에는 수직단과 경사단으로 이루어진 제1 일방향 회전기어(315)가 결합 또는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내주면에는 스냅 링(snap ring) 등과 같은 고정구(317)가 안착될 수 있는 고정홈(311) 및 각종 패킹(316)이 걸려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단턱(312)이 형성되어 있다.
단, 위에서는 제1 일방향 회전기어(315)를 도 2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수직단과 경사단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아니하고, 상기 수직단에 약간의 경사를 주거나 상기 수직단과 경사단이 접하는 첨단부를 깍아 평평한 부분을 만드는 등 일방향 회전이 가능한 구조라면 일방향 회전기어로서 사용 가능함은 당업자 수준에서 자명할 것이다.
풀림방지부재(320)는 결합부재(310)의 역방향 회전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결합부재(310)의 제1 일방향 회전기어(315)를 향하는 일측 종단부에는 상기 삽입돌기(314)가 삽입 결합되는 삽입결합부(322)가 형성되어 있음과 동시에 결합부재(310)의 삽입돌기(314)가 삽입 결합시 제1 일방향 회전기어(315)와 접하는 삽입결합부(322) 내측 종단면에는 수직단과 경사단으로 이루어진 제2 일방 향 회전기어(321)가 결합 또는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내주면 일측에는 걸림돌기(323)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단, 제2 일방향 회전기어(321) 역시 반드시 수직단과 경사단으로 이루어질 필요는 없고 상술한 바와 같이 일방향 회전이 가능한 구조라면 일방향 회전기어로서 사용이 가능함은 당업자 수준에서 자명할 것이다.
연결부재(330)는 내부에 동축케이블(400)의 동축과 연결되는 중심도체(338)가 장치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결합부재(310) 및 풀림방지부재(320)를 일체로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그 내측에는 중심도체(338)가 삽입 결합되는 인슐레이터(337)가 장치될 수 있도록 소정 공간이 형성되어 있고, 일측 종단부에는 전기장치(200)의 나사(220a, 220b)에 삽입 결합시 입/출력 포트와 중심도체(338) 상호간 전기접속이 가능하도록 하는 연결부(331)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연결부(331)의 일측에는 결합부재(310) 및 풀림방지부재(320)의 내부에 삽입 결합되는 커플링부(332)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커플링부(332)의 일측에는 패킹용 마감재(340)가 결합되는 마감부(336)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커플링부(332)의 일측에는 스냅 링 등과 같은 고정구(317)가 걸리는 고정홈(333)이 형성되어 있으며, 타측에는 그 원주방향을 따라서 형성된 회전방지돌기(334)가 형성되되 그 회전방지돌기(334)에는 소정 간격마다 형성된 이동홈(미도시)이 형성되어 있고, 회전방지돌기(334)에 인접하여 형성된 회전홈(335)은 상기 이동홈과 연통되어 있어서, 풀림방지부재(320)의 내측면에 형성된 걸림돌기(323)가 이동홈을 따라 이동하여 회전홈(335)에 도달하면 풀림방지부재(320)가 회전홈(335) 을 따라 회전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나아가, 상기 연결부재(330)에 장치되는 탄성부재(324)는 그 일측이 연결부재(330)의 회전방지돌기(334)에 걸려 당해 탄성부재(324)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풀림방지부재(320)를 밀게 됨에 따라 제1 일방향 회전기어(315)와 제2 일방향 회전기어(321)가 각각 형성되어 있는 결합부재(310)와 풀림방지부재(320)의 종단면 접촉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이상과 같은 구성들을 포함한 본 발명의 슬림형 동축케이블 커넥터(300)는 연결부재(330)의 마감부(336) 측으로 인슐레이터(337)가 삽입 결합되고, 상기 삽입 결합된 인슐레이터(337)의 내측으로 중심도체(338)가 삽입 결합된 후 그 위에 제1 및 제2 인서트(341, 342)가 삽입된 후 일측에 나사산(340a)이 형성되어 있는 패킹용 마감재(340)를 이용하여 상기 연결부재(330)의 마감부(336)와 나사결합됨에 따라 동축케이블(400)의 동축이 중심도체(338)와 전기적으로 접속된 상태에서 결합 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연결부재(330)의 연결부(331) 측을 통해 탄성부재(324)가 회전방지돌기(334)에 걸리도록 끼워진 후, 일측 종단면에 제2 일방향 회전기어(321)가 장치된 풀림방지부재(320)가 탄성부재(324)를 밀면서 연결부재(330)의 커플링부(332)에 끼워지되, 당해 풀림방지부재(320)의 내측면에 돌출 형성된 걸림돌기(323)가 회전방지돌기(334)의 이동홈에 걸리도록 하며, 내측에는 패킹(316) 및 고정구(317)가 장치되어 있고 일측 종단면에는 제1 일방향 회전기어(315)가 장치된 결합부재(310)를 풀림방지부재(320)의 삽입결합부(322)에 삽입되도록 끼워서 상기 고정구(317)가 연결부재(330)의 일측에 형성된 고정홈(333)에 도달하여 탄성력에 의해 벌어지면 연결부재(330)와 결합부재(310)가 서로 회전가능하도록 결합 고정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탄성부재(324)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결합부재(310)와 풀림방지부재(320)가 밀착됨에 따라 제1 일방향 회전기어(315)와 제2 일방향 회전기어(321)가 서로 면접촉이 이루어지고, 결합부재(310)와 풀림방지부재(320)는 제1 일방향 회전기어(315)와 제2 일방향 회전기어(321)의 경사단이 서로 접하는 방향으로만 회전이 가능하고 그 반대방향으로는 회전이 제한되어 슬림형 동축케이블 커넥터(300)의 나사결합이 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1 일방향 회전기어(315)와 제2 일방향 회전기어(321)를 당해 슬림형 동축케이블(400) 커넥터(300)의 종축 방향에 설치함에 따라 그 길이가 다소 길어질 수는 있으나 두께를 월등히 감소시킬 수 있게 되어 슬림화가 가능해 짐은 물론, 전기장치(도 2의 200)에 형성된 입/출력 포트(도 2의 220a, 200b)들 사이의 간격(도 2의 L1, L2)도 좁힐 수 있게 되어 전기장치(200)의 크기 역시 줄일 수 있게 된다.
또한, 제1 일방향 회전기어(315)와 제2 일방향 회전기어(321)를 종단면에 형성시킴에 따라 이동홈이 형성된 회전방지돌기(334)와 회전홈(335)을 연결부재(330)의 일측에 일체로 형성시킬 수 있게 되어 그 제작이 용이하고 제작단가를 낮출 수 있음은 물론, 고장의 발생률을 줄일 수 있게 된다.
즉,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종래 외주면을 따라 일방향 회전기어가 형성된 구성으로 이루어진 풀림방지형 동축케이블 커넥터에 있어서는, 본 발명과 같이 풀림 방지부재(320)의 이동 및 회전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서, 이동홈 및 회전홈(335)을 경사부와 수직부로 이루어진 일방향 회전기어에 형성하여야 했으므로, 그 제작이 어려움은 물론, 제작단가도 높고 고장 발생률이 높았던 것에 비해, 본 발명은 이동홈 및 회전홈(335)을 연결부재(330)에 일체로 형성이 가능하게 된다.
나아가, 랫치구(도 2의 53) 및 당해 랫치구(도 2의 53)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코일(도 2의 52) 등이 불필요하여 고장 발생을 줄임은 물론, 그 제작단가를 낮추고 제작도 더욱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된다.
이하,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슬림형 동축케이블 커넥터의 동작에 대해 살펴보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슬림형 동축케이블 커넥터의 제1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슬림형 동축케이블 커넥터의 제2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1 일방향 회전기어(315)와 제2 일방향 회전기어(321)가 서로 면접촉하여 풀림방지 상태에 있는 슬림형 동축케이블 커넥터(300)를 전기장치(200)의 입/출력 포트(도 2의 220a, 200b)와 나사결합 또는 분리하기 위해서, 도 7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회전방지돌기(334)에 형성되어 있는 이동홈에 그 걸림돌기(323)가 걸려 있어 회전이 불가능한 상태의 풀림방지부재(320)를 잡아당겨 상기 걸림돌기(323)가 회전홈(335) 상에 위치하도록 한다.
걸림돌기(323)가 회전홈(335) 상에 도달하면 풀림방지부재(320)를 회전시켜 이동홈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부분의 회전방지돌기(334)에 걸림돌기(323)가 걸려 있도록 함에 따라, 결합부재(310)와 풀림방지부재(320)가 소정 거리 이격되어 당해 결합부재(310)에 형성되어 있는 제1 일방향 회전기어(315)와 풀림방지부재(320)에 형성되어 있는 제2 일방향 회전기어(321)의 맞물림(혹은, 면접촉)이 해제되어 고정구(317)에 의해 연결부재(330)와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된 결합부재(310)가 일방 또는 타방으로 자유롭게 회전이 가능하도록 한다.
그리고, 전기장치(200)에 형성된 나사(220a, 220b)와 동축케이블(400)이 결합되어 있는 슬림형 동축케이블 커넥터(300)를 상호 나사 결합한 후, 당해 나사 풀림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이동홈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부분의 회전방지돌기(334)에 걸림돌기(323)가 걸려 있는 풀림방지부재(320)를 계속 회전시켜, 회전홈(335)과 연통되어 있는 이동홈에 걸림돌기(323)가 위치하도록 함에 따라, 탄성부재(324)에 의해 탄성 복원력을 받고 있는 풀림방지부재(320)가 이동홈을 따라 이동하면서 결합부재(310)와 밀착되도록 하여 제1 일방향 회전기어(315)와 제2 일방향 회전기어(321)가 다시 면접촉하고 나사 풀림방향으로는 회전이 불가능하게 하도록 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의한 슬림형 동축케이블 커넥터에 대해 설명하였다. 이러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슬림형 동축케이블 커넥터에 의하면, 각종 전기장치에 연결 설치된 동축케이블이 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슬림형 동축케이블 커넥터를 제공하되, 풀림방지수단을 종방향에 장치하여 제품의 슬림화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구조를 단순화하여 고장율 낮출 수 있게 됨은 물론, 제조단가를 낮추고 제조도 더욱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된다.

Claims (7)

  1. 전기장치에 연결 설치되는 동축케이블 커넥터에 있어서,
    일측 종단면에는 제1 일방향 회전부재가 장치되어 있고 타측은 전기장치의 연결부와 결합되는 결합부재; 및
    상기 결합부재가 일방향으로만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결합부재의 일측 종단면과 면접촉 결합되는 일측 종단면에는 제2 일방향 회전부재가 장치되어 있는 풀림방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림형 동축케이블 커넥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일방향 회전부재와 제2 일방향 회전부재는 일측방향으로만 경사진 톱니바퀴로 구성된 제1 일방향 회전기어와 제2 일방향 회전기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림형 동축케이블 커넥터.
  3. 제 2항에 있어서,
    내부에는 중심도체가 장치되어 있고 일측 종단부에는 상기 동축케이블이 결합되어 상기 중심도체와 상기 동축케이블의 동축이 서로 접촉 결합될 수 있도록 하되, 상기 결합부재와 풀림방지부재의 내부를 관통하여 장치됨에 따라, 상기 결합부 재의 제1 일방향 회전기어와 상기 풀림방지부재의 제2 일방향 회전기어가 서로 면접촉하여 풀림방지결합 되도록 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림형 동축케이블 커넥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의 일측 종단부에 삽입 결합되는 패킹용 마감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림형 동축케이블 커넥터.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풀림방지부재의 내측면 일부에는 걸림돌기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연결부재의 외주면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상기 풀림방지부재의 걸림돌기가 맞물려 회전할 수 있는 회전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회전홈에 인접하여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된 회전방지돌기에는 상기 회전홈과 연통하는 복수개의 이동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림형 동축케이블 커넥터.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풀림방지부재에 탄성력을 가해 상기 결합부재와 풀림방지부재의 면접촉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도록, 상기 풀림방지부재와 연결부재 사이에 삽입 설치된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림형 동축케이블 커넥터.
  7. 전기장치에 연결 설치되는 동축케이블 커넥터에 있어서,
    일측 종단면에는 제1 일방향 회전부재가 장치되어 있고 타측은 상기 전기장치의 연결부와 결합되는 결합부재와;
    상기 결합부재가 일방향으로만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결합부재의 일측 종단면과 면접촉 결합되는 일측 종단면에는 제2 일방향 회전부재가 장치되어 있으며, 내측면 일부에는 걸림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풀림방지부재와;
    상기 결합부재와 풀림방지부재의 내부를 관통하여 장치됨에 따라, 상기 결합부재의 제1 일방향 회전기어와 상기 풀림방지부재의 제2 일방향 회전기어가 서로 종방향으로 면접촉하여 풀림방지결합 되도록 하며, 외주면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상기 풀림방지부재의 걸림돌기가 맞물려 회전할 수 있는 회전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회전홈에 인접하여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된 회전방지돌기에는 상기 회전홈과 연통하는 복수개의 이동홈이 형성되어 있는 연결부재와;
    상기 연결부재의 내부에 장치되어 상기 연결부재의 일측 종단측에 동축케이블이 결합되면 상기 동축케이블의 동축과 전기적으로 접촉 결합되는 중심도체와;
    상기 연결부재의 일측 종단부에 삽입 결합되는 패킹용 마감재; 및
    상기 풀림방지부재에 탄성력을 가해 상기 결합부재와의 상기 풀림방지부재의 면접촉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도록, 상기 풀림방지부재와 연결부재 사이에 삽입 설치된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림형 동축케이블 커넥터.
KR1020060136181A 2006-12-28 2006-12-28 슬림형 동축케이블 커넥터 KR1008445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36181A KR100844590B1 (ko) 2006-12-28 2006-12-28 슬림형 동축케이블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36181A KR100844590B1 (ko) 2006-12-28 2006-12-28 슬림형 동축케이블 커넥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61468A true KR20080061468A (ko) 2008-07-03
KR100844590B1 KR100844590B1 (ko) 2008-07-09

Family

ID=398137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36181A KR100844590B1 (ko) 2006-12-28 2006-12-28 슬림형 동축케이블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44590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0978B1 (ko) * 2011-08-12 2013-02-07 (주)기가레인 결합위치 보상용 커넥터
WO2013015544A3 (ko) * 2011-07-27 2013-04-04 재단법인 국방기술품질원 풀림 방지용 커넥터
KR102138578B1 (ko) * 2019-10-21 2020-07-29 주식회사유비씨에스 풀림 방지용 분배기 결합형 케이블 커넥팅 모듈
KR102147146B1 (ko) * 2019-10-21 2020-08-31 주식회사유비씨에스 풀림 방지용 커넥터 일체형 분배기 및 케이블 커넥팅 어셈블리
KR102518192B1 (ko) * 2022-02-04 2023-04-05 노경재 커넥터용 익스텐더
KR102528912B1 (ko) * 2022-06-15 2023-05-03 주식회사 센서뷰 풀림 방지 커넥터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57494B1 (ko) 2004-08-19 2006-03-07 서울텔레콤 주식회사 풀림방지 기능을 갖는 콘넥터
KR200405274Y1 (ko) 2005-10-28 2006-01-10 주식회사 호성테크닉스 풀림방지 케이블 콘넥터
KR100646757B1 (ko) 2006-02-06 2006-11-23 (주)애드컴 풀림 방지형 콘넥터
KR200415859Y1 (ko) 2006-02-20 2006-05-10 (주)애드컴 풀림 방지형 콘넥터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15544A3 (ko) * 2011-07-27 2013-04-04 재단법인 국방기술품질원 풀림 방지용 커넥터
US9209566B2 (en) 2011-07-27 2015-12-08 Defense Agency For Technology And Quality Connector for preventing unlocking
KR101230978B1 (ko) * 2011-08-12 2013-02-07 (주)기가레인 결합위치 보상용 커넥터
KR102138578B1 (ko) * 2019-10-21 2020-07-29 주식회사유비씨에스 풀림 방지용 분배기 결합형 케이블 커넥팅 모듈
KR102147146B1 (ko) * 2019-10-21 2020-08-31 주식회사유비씨에스 풀림 방지용 커넥터 일체형 분배기 및 케이블 커넥팅 어셈블리
KR102518192B1 (ko) * 2022-02-04 2023-04-05 노경재 커넥터용 익스텐더
KR102528912B1 (ko) * 2022-06-15 2023-05-03 주식회사 센서뷰 풀림 방지 커넥터
WO2023243911A1 (ko) * 2022-06-15 2023-12-21 주식회사 센서뷰 풀림 방지 커넥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44590B1 (ko) 2008-07-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624125B (zh) 具有連續性構件之同軸電纜連接器
KR100844590B1 (ko) 슬림형 동축케이블 커넥터
US6733337B2 (en) Coaxial connector
US8419468B2 (en) Coaxial connectors having backwards compatability with F-style female connector ports and related female connector ports, adapters and methods
EP1630905B1 (en) Multiphase connector
US6619876B2 (en) Coaxial connector apparatus and method
US6692285B2 (en) Push-on, pull-off coaxial connector apparatus and method
US4255007A (en) Multi-terminal rotary connector
CN101317304A (zh) 连接器
CN108011264B (zh) 快速锁定同轴连接器和连接器组合
US5695365A (en) Communication coaxial patch cord adapter
KR20070104433A (ko) 커넥터용 변환 어댑터 및 커넥터
US20160186792A1 (en) Connection assembly with bayonet locking of the connection elements
US8333605B2 (en) Locking apparatus for electrical connectors
KR100646757B1 (ko) 풀림 방지형 콘넥터
US7892047B2 (en) Single pole cable connector with tamper resistant locking mechanism
KR101132375B1 (ko) 동축케이블 커넥터의 체결구조
EP2826106B1 (en) Push-on electrical connector system and method for transferring an electrical signal therewith
US20130224984A1 (en) Locking electrical socket
TWM551358U (zh) 連接器
CN116131043A (zh) 集束式同轴连接器组件
TWM478271U (zh) 同軸插接器
US9362671B2 (en) Coaxial cable connector with quick-locking connection
US10355406B2 (en) Electrical connector
KR200415859Y1 (ko) 풀림 방지형 콘넥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1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