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46757B1 - 풀림 방지형 콘넥터 - Google Patents

풀림 방지형 콘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46757B1
KR100646757B1 KR1020060011176A KR20060011176A KR100646757B1 KR 100646757 B1 KR100646757 B1 KR 100646757B1 KR 1020060011176 A KR1020060011176 A KR 1020060011176A KR 20060011176 A KR20060011176 A KR 20060011176A KR 100646757 B1 KR100646757 B1 KR 1006467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ing member
nut
connector
coupling
sli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111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대열
Original Assignee
(주)애드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애드컴 filed Critical (주)애드컴
Priority to KR10200600111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4675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467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467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01R13/5202Sealing means between parts of housing or between housing part and a wall, e.g. sealing r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38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03Connector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the conductors of a multiconductor cable, e.g. tapping connections
    • H01R9/05Connector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the conductors of a multiconductor cable, e.g. tapping connections for coaxial cables
    • H01R9/0524Connection to outer conductor by action of a clamping member, e.g. screw fastening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24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radio transmiss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39/00Electrical connectors
    • Y10S439/93Coupling part wherein contact is comprised of a wire or brush

Abstract

본 발명은 풀림 방지형 콘넥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동축케이블의 외부에 설치되어 커플링부재에 나사 결합되는 결합부재와; 상기 동축케이블의 중심도체에 나사 결합된 상태에서 연결장치의 볼트형 연결구에 설치되어 있는 암핀에 결합되는 중심도체핀과; 일단부 내측에는 상기 결합부재 체결용 나사산을 구비하고 타단부 외측에는 너트 결합부가 형성됨은 물론 상기 너트 결합부의 내부에는 인슐레이터가 설치된 형태에서 상기 결합부재가 그 내부로 고정 설치되며, 외주면상에는 풀림방지수단의 각 구성품을 설치하기 위한 제 1 내지 제 3 단턱부를 구비한 커플링부재와; 상기 커플링부재의 외측면에 설치되어 너트의 자유로운 풀림을 방지하는 풀림방지수단과; 상면부에 홈을 구비하고 상기 커플링부재의 너트 결합부에 아이들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연결장치의 볼트형 연결구에 나사 결합됨은 물론 상기 풀림방지수단에 의해 풀림 방향으로의 회동이 차단되는 너트;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기존의 연결장치에 설치되어 있는 볼트형 연결구의 변형 없이 직접 풀림방지용 캡을 통해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어 콘넥터의 호환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은 물론 제품의 생산원가를 절감할 수 있고, 커플링부재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너트를 볼트형 연결구에 결합시키거나 그로부터 분리시키기 위해 풀림방지수단의 슬라이더를 너트로부터 일정거리 이격시키고자 할 때 풀림방지수단의 록킹기능 해제를 한손으로 간편하게 실시할 수 있음은 물론 록킹기능 해제시 슬리이더의 걸림 핀이 2중 기어 사이에 형성시킨 걸림홈에 걸려져 커플링부재와 일정거리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조립성과 결합력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콘넥터, 동축케이블, 풀림방지, 중심도체핀

Description

풀림 방지형 콘넥터 {A Connector for preventing loosening}
도 1은 종래 풀림 방지 기능을 갖는 콘넥터의 분리 사시도.
도 2는 도 1의 결합상태 단면도.
도 3은 도 2의 'C-C'선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풀림 방지형 콘넥터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콘넥터의 결합상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 콘넥터 중 A-A'선 종단면도.
도 7a 내지 도 7c는 본 발명 콘넥터의 풀림 방지수단의 작동 상태를 단계별로 보인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동축케이블 2 : 결합부재
3 : 중심도체핀 4 : 커플링부재
5, 21 : 너트 6 : 풀림방지수단
7 : 연결장치 8 : 탄성형 링
9 : O링 11 : 외부도체
12 : 중심도체 22, 23 : 제 1 및 제 2 인서트링
41 : 너트 결합부 43-45 : 제 1 내지 제 3 단턱부
46 : 파이프형 삽입구 51 : 홈
61, 635 : 스프링 62, 63 : 제 1 및 제 2 슬라이더
64 : 링형 기어 71 : 볼트형 연결구
632 : 결합핀 633 : 통공
634 : 랫치 636 : 마감재
637 : 걸림핀 641 : 걸림홈
642, 643 : 내,외측 기어 644 : 걸림핀 이동로
본 발명은 풀림 방지형 콘넥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라디오 위성방송 송수신기 또는 유무선 통신장비 등에서 분배기에 연결하여 사용되는 동축케이블의 선단에 설치되는 N형 콘넥터에 커플링의 역회전을 방지하는 풀림 방지기능을 부가 설치하여 지속적인 강한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분배기로부터 콘넥터의 커플링이 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여 분배기로부터 동축케이블의 콘넥터가 풀림으로 인한 접촉 불량 및 동축케이블의 동심과의 중심도체핀 접촉 및 고정 상태 불량으로 인해 발생될 수 있는 제품의 불량 또는 통신신호의 송수신 불량을 최소화시 킬 수 있으며, 또한 풀림방지수단의 록킹기능 해제를 한손으로 간편하게 실시할 수 있음은 물론 록킹기능 해제시 슬리이더의 걸림핀이 2중 기어 사이에 형성시킨 걸림홈에 걸려져 커플링부재와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여 콘넥터를 연결장치의 볼트형 연결부로부터 간단히 분리할 수 있도록 발명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동축케이블용 콘넥터는, 적정한 임피던스를 유지하면서 암수 한쌍의 콘넥터 내부 유전체를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해 주는 것으로, 유무선통신 시스템의 각종 부품들에 구비되어 이들을 연결 또는 장비들을 연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적용되고, 그 용도와 성능 및 결합구조에 따라 N형, DIN형, TNC형, BNC형, SMA형, SMB 형, SMC형 등 이외에도 많은 종류의 콘넥터로 구분된다.
여기서, 각 콘넥터의 종류 및 형태마다 전기적인 특성과 임피던스가 다르므로 적용시 그 성능과 용도에 맞추어 설계 고안하여 적용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한 동축케이블용 콘넥터는 다양한 장비와 연결되는 분배 하우징 등의 연결장치에 결합되어 사용되는데 동축케이블의 동심(즉, 중심도체)을 직접 연결할 수 없어 동축케이블의 단부에 설치되는 결합부재를 이와 일체형으로 결합된 커플링 부재 등을 통해 케이블 또는 분배 하우징 등의 연결장치에 결합된 연결부재에 동축으로 연결 접속하게 되는데, 이때 연결부재와 결합부재를 서로 나사결합방식으로 연결하는 커플링 부재가 소정의 외력 또는 잦은 외력이 발생되면 풀림되는 현상이 발생되어져 내부의 동심인 중심도체가 접촉 불량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종래에는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식으로 "풀림 방지 기능을 갖는 콘넥터"가 개발되어 국내 공개특허공보 10-2004-0105632호로 개재된 바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은 풀림 방지 기능을 갖는 콘넥터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축케이블 연결을 위한 분배 하우징 등의 연결장치(120)에 제공된 나사홀(122)에 나사 결합되며 내측에 중심도체 안내부(140)를 가져서 된 연결부재(100)와, 동축케이블(220)의 단부에 제공되며 내측에 중심도체핀(240)을 갖는 결합부재(200)와, 일단부에 제공된 나사부가 상기 결합부재(200)에 나사결합되고 타단부에 회전가능하게 걸림 연결되어 회전시 상기 연결부재(100)에 나사 결합되는 접속관(320)을 가지며 내측 안내관(340)을 통해 상기 중심도체핀(240)을 상기 중심도체 안내부(140)에 연결 접속하고 상기 연결부재(100)에 제공되는 풀림방지수단(400)의 걸림으로 역회전 풀림이 방지되는 커플링부재(300)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연결부재(100)는, 내측 중심에 절연체로 커버된 공지의 중심도체 안내부(140)가 제공되며, 일단부에 상기 연결장치(120)의 나사홀(122)에 나사결합되는 나사부(102)가 형성되고, 타단부에 상기 커플링부재(300)의 접속관(320)이 나사 결합되도록 나사부(104)가 형성된다. 그리고 외주면 일측 즉, 상기 분배 하우징 방향으로 회전을 위한 다각부(106) 및 상기 다각부(106)을 중심으로 한 상기 커플링부재(300) 접속방향으로는 풀림방지수단(400)이 설치된 구성을 갖고 있다.
또, 상기 연결장치(120)는, 동축케이블, 분배 하우징 등 각종 연결수단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풀림방지수단(400)은, 소정폭을 가지며 상기 연결부재(100)의 외 측면 둘레를 따라 형성되고 각기 수직단(411)과 경사단(412)을 형성하여서 된 일방향 기어(410)와, 상기 일방향 기어(410)를 감싸는 형태로 슬라이드 결합되며 그 내주면 일측에 걸림단(421)이 형성되어 상기 연결부재(100)의 일방향 기어(410) 일측에 제공되는 확개단(422)에 걸려져 상기 연결부재(100)의 축 방향을 따라 소정구간 이동하게 되는 슬라이더(420)와, 상기 슬라이더(420)의 내주면에서 양측이 상기 걸림단(421)과 확개단(422)에 밀착되어 상기 커플링부재(300) 방향으로 복원력을 가지도록 하는 스프링(430)과, 상기 슬라이더(420)의 내주면 일측에 스프링(441) 탄지력으로 돌출 제공되며 상기 일방향 기어(410)의 경사단(412)과 슬라이드 되고 역방향 회전시 수직단(411)에 걸림되어 역회전을 억제하는 래칫구(440)와, 상기 슬라이더(420)의 일면에 제공되어 상기 커플링부재(300)의 접촉면에 형성된 홈(450)에 끼워맞춤시 슬라이드 결합되는 록킹핀(460)으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동축케이블용 콘넥터를 이루게 되며 동축케이블 또는 분배 하우징 등을 포함하는 연결장치와 접속되는 연결부재와, 동축케이블의 단부에 제공되는 결합부재, 및 이들을 상호 나사결합 방식으로 조임 결합하는 커플링부재가 중심도체를 안내 및 연결 접속하는 상태로 상호 결합시 풀림방지수단에 의해 외력에 의한 풀림이 억제되어 안정된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구성은 콘넥터 자체가 상호 분리되는 결합부재(200)와 커플링부재(300) 및 풀림방지수단(400)으로 구성되어 있다.
즉, 상기 결합부재나 커플링부재와 별개로 나사체결형의 풀림방지수단을 제작하여 분배기 등과 같은 연결장치에 설치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호환성 이 결여되어 볼트형 연결구가 이미 설치되어 있는 기존의 연결장치 등에는 풀림방지수단의 결합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기존의 연결장치 등의 경우는 이미 설치되어 있는 볼트형 연결구를 제거하고 그 부위에 풀림방지수단을 결합하기 위한 나사홀을 형성시켜 주어야만 풀림 방지 기능을 갖는 콘넥터를 연결장치 등에 결합시켜 사용할 수 있는데, 실제에 있어 이미 설치된 연결장치 등의 설계 및 그 일부를 변형시키는데 매우 힘이 들므로 풀림방지수단을 결합시키기 위한 나사홀이 이미 형성되어 있는 새로운 연결장치 등으로 교체 설치해야하므로 단지 풀림 방지 기능을 갖는 콘넥터로의 교환을 위해 그 성능에 전혀 이상이 없는 것까지 교체해야만 되어 불필요한 경제적 손실을 가져오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결합부재와 나사 결합되어 있는 커플링부재의 접속관을 연결장치에 결합되어 있는 풀림방지수단으로부터 분리시키고자 할 때에는 한손으로는 스프링의 탄발력을 받고 있는 상기 풀림방지수단의 슬라이더를 연결장치측으로 잡아당겨 록킹핀이 커플링부재의 접속관에 형성된 홈으로부터 빠지도록 하되 상기 슬라이더가 그 위치를 유지되도록 잡고 있는 상태에서 다른 한손으로는 상기 접속관을 나사의 풀림방향으로 회전시켜 커플링부재 자체를 풀림방지수단으로부터 분리시켜 주어야 하므로 콘넥터를 분리시키는 작업이 매우 번거롭고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즉, 콘넥터의 풀림방지수단이 동축케이블이 결합되는 결합부재 및 커플링부재측에 구비되어 있지 않고 연결장치에 결합되는 연결부재에 설치되어 있고, 또한 상기 풀림방지수단의 슬라이더를 연결부재에 콘넥터의 결합 및 분리시키는 동안이 라도 고정시켜 줄 수 있는 구성이 전혀 구비되어 있지 않아 커플링부재를 연결부재에 결합시키거나 그로부터 분리시키고자 할 때 필히 한손으로는 풀림방지수단의 슬라이더를 연결장치측르로 잡아당겨 록킹핀이 회동중인 접속관의 홈에 끼워지는 것을 방지하거나 홈으로부터 빠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 상태에서 다른 손으로 커플링부재의 접속관을 회전시켜 주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을 뿐만 아니라 구성 부품수가 많아 제품의 조립 및 생산에 따른 인건비 및 생산원가가 많이 들고 고장율도 높은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라디오 위성방송 송수신기 또는 유무선 통신장비 등에서 분배기 등과 같은 연결장치에 연결하여 사용되는 동축케이블의 선단에 설치되는 N형 콘넥터의 커플링부재와 연결구 결합용 너트 사이에 너트가 잠금 방향으로만 회동되도록 하는 풀림방지수단을 설치하여 기존의 연결장치에 설치되어 있는 볼트형 연결구의 변형 없이 직접 너트를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콘넥터의 호환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은 물론 제품의 생산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풀림 방지형 콘넥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커플링부재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너트를 볼트형 연결구에 결합시키거나 그로부터 분리시키기 위해 풀림방지수단의 슬라이더를 너트로부터 일정거리 이격시키고자 할 때 풀림방지수단의 록킹기능 해제를 한손으로 간 편하게 실시할 수 있음은 물론 록킹기능 해제시 슬리이더의 걸림핀이 2중 기어 사이에 형성시킨 걸림홈에 걸려져 커플링부재와 일정거리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조립성과 결합력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풀림 방지형 콘넥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콘넥터는, 동축케이블의 외부에 설치되어 커플링부재에 나사 결합되는 결합부재와; 상기 동축케이블의 중심도체에 나사 결합된 상태에서 커플링부재의 인슐레이터 중심부에 고정 설치되어 연결장치의 볼트형 연결구에 설치되어 있는 암핀에 결합되는 중심도체핀과; 일단부 내측에는 상기 결합부재 체결용 나사산을 구비하고 타단부 외측에는 너트 결합부가 형성됨은 물론 상기 너트 결합부의 내부에는 중심도체핀 절연용 인슐레이터가 설치된 형태에서 상기 결합부재가 그 내부로 고정 설치되며, 외주면상에는 풀림방지수단의 각 구성품을 설치하기 위한 제 1 내지 제 3 단턱부를 구비한 커플링부재와; 스프링과 제 1 및 제 2 슬라이더 및 기어로 구성된 형태를 갖고 상기 커플링부재의 외측면에 설치되어 너트의 자유로운 풀림을 방지하는 풀림방지수단과; 상면부에 홈을 구비하고 상기 커플링부재의 너트 결합부에 아이들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연결장치의 볼트형 연결구에 나사 결합됨은 물론 필요에 따라서는 상기 풀림방지수단에 의해 풀림 방향으로의 회동이 차단되는 너트;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풀림방지수단은 커플링부재의 제 1 단턱부에 끼워져 제 1 슬라이더가 원위치로 돌아가도록 탄발력을 발생시키는 스프링과; 외측 일단부에 나사산을 구비하고 상기 스프링의 탄발력을 받으며 커플링부재의 제 1 단턱부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링형 제 1 슬라이더와; 외주면에 톱니형 기어가 형성된 구성을 갖고 상기 커플링부재의 제 2 단턱부에 고정 설치되어 제 1 슬라이더가 커플링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제 1 및 제 2 슬라이더가 잠김 방향으로만 회동되도록 하는 링형 기어와; 일단부 내측에는 상기 제 1 슬라이더에 나사 결합되는 나사산이 구비되고 타측 단턱부에는 너트의 상면에 형성된 홈에 끼워지는 결합핀이 설치되며, 측면부에 천공된 통공내에는 상기 기어에 끼워져 걸려지는 랫치와 랫치를 탄력적으로 밀어 주는 스프링 및 상기 랫치와 스프링이 통공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마감재가 순차적으로 설치된 구성을 갖고 제 1 슬라이더에 결합되어 커플링부재의 제 3 단턱부를 이동하며 풀림방지수단 자체를 너트와 결합 및 이격시켜 주는 제 2 슬라이더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통공의 일부 및 저면이 톱니 기어 형상을 갖는 랫치의 내주면 및 외주면을 사각으로 형성시켜 랫치가 회동되지 않고 기어에 걸려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기어 상에는 걸림홈을 형성하여 2중 기어로 형성하고, 외측 기어 상에는 걸림핀 이동로들을 일정간격을 두고 형성하며, 상기 제 2 슬라이더의 내측 하부에 걸림핀을 돌출되게 설치하여 사용자가 상기 콘넥터의 결합 및 분해시 상기 제 2 슬라이더를 잡아당김과 동시에 조임방향으로 약간 회전시킬 때 상기 걸림핀이 이동로를 통해 외측 기어를 통과하여 걸림홈에 걸려져 제 1 및 제 2 슬라이더가 너트로부터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결합부재는 그 내측에 동축케이블 삽입공이 형성되고, 외측 일부 에는 커플링부재와 나사 결합되기 위한 나사산이 구비된 너트와; 동축케이블의 외부도체를 탄력적으로 감싸주는 제 1 인서트링과; 상면에 제 1 인서트링의 하면에 형성된 경사면에 대향되는 각도의 경사면을 구비하고 상기 커플링부재의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경사면을 통해 동축케이블의 외부도체를 외측으로 벌려주어 상기 제 1 인서트링의 경사면에 밀착되도록 하는 제 2 인서트링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커플링부재의 너트 결합부 외주면에는 링 설치홈을 형성하고, 이에 탄성형 링을 설치하여 상기 너트가 커플링부재의 너트 결합부에서 분리되지 않은 채 아이들 회전 가능하게 하며, 상기 커플링부재의 하방부에는 연결장치의 볼트형 연결구의 외부 케이스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함과 동시에 중심도체핀의 단부를 보호해 주는 파이프형 삽입구를 일체로 돌출 형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결합부재의 너트와 제 1 인서트링의 외주면과 상기 커플링부재의 파이프형 삽입구 외측에는 각각 방수용 O링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풀림 방지형 콘넥터의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5는 본 발명 콘넥터의 결합상태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6은 본 발명 콘넥터 중 A-A'선 종단면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7a 내지 도 7c는 본 발명 콘넥터의 풀 림 방지수단의 작동 상태를 단계별로 보인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이에 따르면 본 발명 콘넥터는, 동축케이블(1)의 외부에 설치되어 커플링부재(4)에 나사 결합되는 결합부재(2)와;
상기 동축케이블(1)의 중심도체(12)에 나사 결합된 상태에서 커플링부재(4)의 인슐레이터(10) 중심부에 고정 설치되어 연결장치(7)의 볼트형 연결구(71)에 설치되어 있는 암핀(711)에 결합되는 중심도체핀(3)과;
일단부 내측에는 상기 결합부재 체결용 나사산(42)을 구비하고 타단부 외측에는 너트 결합부(41)가 형성됨은 물론 상기 너트 결합부(41)의 내부에는 중심도체핀(3) 절연용 인슐레이터(10)가 설치된 형태에서 상기 결합부재(2)가 그 내부로 고정 설치되며, 외주면상에는 풀림방지수단(6)의 각 구성품을 설치하기 위한 제 1 내지 제 3 단턱부(43)-(45)를 구비한 커플링부재(4)와;
스프링(61)과 제 1 및 제 2 슬라이더(62)(63) 및 링형 기어(64)로 구성된 형태를 갖고 상기 커플링부재(4)의 외측면에 설치되어 너트(5)의 자유로운 풀림을 방지하는 풀림방지수단(6)과;
상면부에 홈(51)을 구비하고 상기 커플링부재(4)의 너트 결합부(41)에 아이들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연결장치(7)의 볼트형 연결구(71)에 나사 결합됨은 물론 필요에 따라서는 상기 풀림방지수단(6)에 의해 풀림 방향으로의 회동이 차단되는 너트(5);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풀림방지수단(6)은 커플링부재(4)의 제 1 단턱부(43)에 끼워져 제 1 및 제 2 슬라이더(62)(63)가 원위치로 돌아가도록 탄발력을 발생시키는 스프 링(61)과;
외측 일단부에 나사산(621)을 구비하고 상기 스프링(61)의 탄발력을 받으며 커플링부재(4)의 제 1 단턱부(43)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링형 제 1 슬라이더(62)와;
외주면에 톱니형 기어가 형성된 구성을 갖고 상기 커플링부재(4)의 제 2 단턱부(44)에 고정 설치되어 제 1 슬라이더(62)가 커플링부재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제 1 및 제 2 슬라이더(62)(63)가 잠김 방향으로만 회동되도록 하는 링형 기어(64)와;
일단부 내측에는 상기 제 1 슬라이더(62)에 나사 결합되는 나사산(631)이 구비되고, 타측 단턱부에는 너트(5)의 상면에 형성된 홈(51)에 끼워지는 결합핀(632)이 설치되며, 측면부에 천공된 통공(633)내에는 상기 링형 기어(64)에 끼워져 걸려지는 랫치(634)와 랫치(634)를 탄력적으로 밀어 주는 스프링(635) 및 상기 랫치(634)와 스프링(635)이 통공(633)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마감재(636)가 순차적으로 설치된 구성을 갖고 제 1 슬라이더(62)에 결합되어 커플링부재(4)의 제 3 단턱부(45)를 이동하며 풀림방지수단(6) 자체를 너트(5)와 결합 및 이격시켜 주는 제 2 슬라이더(63)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통공(633)의 일부 및 저면이 톱니 기어 형상을 갖는 랫치(634)의 내주면 및 외주면은 사각으로 형성시켜 랫치(634)가 통공(633)내에서 회동되지 않고 링형 기어(64)에 걸려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링형 기어(64)의 직각방향으로 걸림홈(641)을 형성하여 내,외측 기어(642)(643)로 형성하고, 외측 기어(643) 상에는 걸림핀 이동로(644)들을 일정간격을 두고 형성하며, 상기 제 2 슬라이더(63)의 내측 하부에 걸림핀(637)을 돌출되게 설치하여 사용자가 상기 제 2 슬라이더(63)를 잡아당김과 동시에 조임방향으로 약간 회전시킬 때 상기 걸림핀(637)이 걸림핀 이동로(644)를 통해 외측 기어(643)를 통과하여 걸림홈(641)에 걸려져 제 1 및 제 2 슬라이더(62)(63)가 너트(5)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결합부재(2)는 그 내측에 동축케이블 삽입공(211)이 형성되고, 외측 일부에는 커플링부재(4)와 나사 결합되기 위한 나사산(212)이 구비된 너트(21)와;
동축케이블(1)의 외부도체(11)를 탄력적으로 감싸주는 제 1 인서트링(22)과;
상기 제 1 인서트링(22)의 하면에 형성된 경사면(221)에 대향되는 각도의 경사면(231)을 상면에 구비하고 상기 커플링부재(4)의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경사면(231)을 통해 동축케이블(1)의 외부도체(11)를 외측으로 벌려주어 상기 제 1 인서트링(22)의 경사면(221)에 밀착되도록 하는 제 2 인서트링(23)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커플링부재(4)의 너트 결합부(41) 외주면에는 링 설치홈(411)을 형성하고, 이에 탄성형 링(8)을 설치하여 상기 너트(5)가 커플링부재(4)의 너트 결합부(41)에서 분리되지 않은 채 아이들 회전 가능하게 하며, 상기 커플링부재(4)의 하방부에는 연결장치(7)의 볼트형 연결구(71) 외부 케이스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함과 동시에 중심도체핀(3)의 단부를 보호해 주는 파이프형 삽입구(46)를 일체 로 돌출 형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결합부재(2)의 너트(21)와 제 1 인서트링(22)의 외주면 및 상기 커플링부재(4)의 파이프형 삽입구(46) 외측에는 각각 방수용 O링(9)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 콘넥터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의 주요 기술 구성은 풀림 방지형 콘넥터 자체를 동축케이블(1)이 고정되는 결합부재(2)와, 중심도체핀(3), 커플링부재(4), 풀림방지수단(6) 및 너트(5)로 구성한 것이다.
이때, 상기 결합부재(2)는 내측에 동축케이블 삽입공(211)이 형성되고 외측 일부에는 커플링부재(4)와 나사 결합되기 위한 나사산(212)이 구비된 너트(21)와, 상기 동축케이블(1)의 외부도체(11)를 탄력적으로 감싸주는 제 1 인서트링(22) 및 상면에 제 1 인서트링(22)의 하면에 형성된 경사면(221)에 대향되는 각도의 경사면(231)을 구비하고 상기 커플링부재(4)의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경사면(231)을 통해 동축케이블(1)의 외부도체(11)를 외측으로 벌려주어 상기 제 1 인서트링(22)의 경사면(221)에 밀착되도록 하는 제 2 인서트링(23)으로 구성된 형태를 갖고 상기 동축케이블(1)의 외부에 설치되어 커플링부재(4)에 나사 결합된다.
또한, 상기 중심도체핀(3)은 상기 동축케이블(1)의 중심도체(12)에 나사 결합된 상태에서 커플링부재(4)의 인슐레이터(10) 중심부에 고정 설치되어 연결장치(7)의 볼트형 연결구(71)에 설치되어 있는 암핀(711)에 결합되는 구성을 갖는다.
또, 상기 커플링부재(4)는 일단부 내측에 상기 결합부재 체결용 나사산(42) 을 구비하고 타단부 외측에는 너트 결합부(41)가 형성됨은 물론 상기 너트 결합부(41)의 내부에는 중심도체핀(3) 절연용 인슐레이터(10)가 설치된 형태에서 상기 결합부재(2)가 그 내부로 고정 설치되며, 외주면상에는 풀림방지수단(6)의 각 구성품을 설치하기 위한 제 1 내지 제 3 단턱부(43)-(45)를 구비한 구성을 갖는다.
한편, 상기 커플링부재(4)의 너트 결합부(41) 외주면에 형성된 링 설치홈(411)에는 탄성형 링(8)을 설치하여 상기 너트(5)가 커플링부재(4)의 너트 결합부(41)에서 분리되지 않은 채 아이들 회전 가능하게 하고, 상기 커플링부재(4)의 하방부에는 연결장치(7)의 볼트형 연결구(71) 외부 케이스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함과 동시에 중심도체핀(3)의 단부를 보호해 주는 파이프형 삽입구(46)를 일체로 돌출 형성시킨 구성을 갖는다.
뿐만 아니라, 상기 결합부재(2)의 너트(21)와 제 1 인서트링(22)의 외주면 및 상기 커플링부재(4)의 파이프형 삽입구(46) 외측에는 각각 방수용 O링(9)을 설치하여 수분이 콘넥터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풀림방지수단(6)은 크게 스프링(61)과 제 1 및 제 2 슬라이더(62)(63) 및 링형 기어(64)로 구성된 형태를 갖고 상기 커플링부재(4)의 외측면에 설치되어 너트(5)의 자유로운 풀림을 방지하게 된다.
이때, 상기 풀림방지수단(6)의 스프링(61)은 커플링부재(4)의 제 1 단턱부(43)에 끼워져 제 1 및 제 2 슬라이더(62)(63)가 원위치로 돌아가도록 탄발력을 발생시키고, 상기 제 1 슬라이더(62)는 외측 일단부에 나사산(621)을 구비하고 상기 스프링(61)의 탄발력을 받으며 커플링부재(4)의 제 1 단턱부(43)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또한, 상기 링형 기어(64)는 외주면에 톱니형 기어가 형성된 구성을 갖고 상기 커플링부재(4)의 제 2 단턱부(44)에 고정 설치되어 제 1 슬라이더(62)가 커플링부재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제 1 및 제 2 슬라이더(62)(63)가 잠김 방향으로만 회동되도록 하고, 상기 제 2 슬라이더(63)는 일단부 내측에 상기 제 1 슬라이더(62)에 나사 결합되는 나사산(631)이 구비되고 타측 단턱부에는 너트(5)의 상면에 형성된 홈(51)에 끼워지는 결합핀(632)이 설치되며 측면부에 천공된 통공(633)내에는 상기 링형 기어(64)에 끼워져 걸려지는 랫치(634)와 랫치(634)를 탄력적으로 밀어 주는 스프링(635) 및 상기 랫치(634)와 스프링(635)이 통공(633)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마감재(636)가 순차적으로 설치된 구성을 갖고 제 1 슬라이더(62)에 결합되어 커플링부재(4)의 제 3 단턱부(45)를 이동하며 풀림방지수단(6) 자체를 너트(5)와 결합 및 이격시켜 주게 된다.
한편, 상기 통공(633)을 원형으로 형성할 경우 제 1 및 제 2 슬라이더(62)(63)가 커플링부재(4)의 외주면에서 나사의 잠김방향으로 회동될 때 스프링(635)의 탄발력을 받으며 링형 기어(64)의 이로부터 빠져나오는 랫치(634)가 충격 등으로 인해 회동되어 다음의 링형 기어(64) 이 사이로 삽입되지 못할 우려가 있으므로 상기 통공(633)의 일부 및 저면이 톱니 기어 형상을 갖는 랫치(634)의 내주면 및 외주면은 사각으로 형성시켜 랫치(634)가 통공(633)내에서 회동되지 않고 계속적으로 링형 기어(64)의 이에 걸려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이때, 상기 링형 기어(64)의 이를 등분하지 않고 일체로 형성시킬 경우 상기 제 1 및 제 2 슬라이더(62)(63)가 스프링(61)의 탄발력을 받으며 커플링부재(4)의 외주면에서 승하강되는 형태만 가지므로 제 1 및 제 2 슬라이더(62)(63)로부터 사용자의 손이 떼어지면 곧바로 스프링(61)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제 1 및 제 2 슬라이더(62)(63)가 하강하여 제 2 슬러이더(63)의 저면이 너트(5)의 상면에 밀착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링형 기어(64)의 직각방향으로 걸림홈(641)을 형성하여 내,외측 기어(642)(643)로 형성하고, 외측 기어(643) 상에는 걸림핀 이동로(644)들을 일정간격을 두고 형성하며, 상기 제 2 슬라이더(63)의 내측 하부에 걸림핀(637)을 돌출되게 설치하여 사용자가 상기 제 1 및 제 2 슬라이더(62)(63)를 잡아당김과 동시에 조임방향으로 약간 회전시킬 때 상기 제 2 슬라이더(63)에 설치된 걸림핀(637)이 외측 기어(643)의 이동로(644)를 통해 걸림홈(641)에 걸려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콘넥터를 연결장치(7)에 결합시키거나 분리시킬 때 상기 제 1 및 제 2 슬라이더(62)(63)를 너트(5)로부터 일정거리 이격시킨 상태에서 너트(5)를 쉽게 조이거나 풀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너트(5)는 상면부에 제 2 슬라이더(63)의 결합핀(632)이 끼워지는 홈(51)을 구비하고 상기 커플링부재(4)의 너트 결합부(41)에 아이들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연결장치(7)의 볼트형 연결구(71)에 나사 결합됨은 물론 필요에 따라서는 잠김방향으로만 회동되는 상기 제 2 슬라이더(63)의 결합핀(632)이 너트(5)의 홈(51)에 끼워져 걸리므로 상기 풀림방지수단(6)에 의해 너트(5)가 풀림 방향으로 회동되는 것이 차단된다.
한편, 상기 콘넥터의 풀림방지수단(6)을 구성하고 있는 제 1 및 제 2 슬라이 더(62)(63)는 통상시 스프링(61)의 복원력에 의해 커플링부재(4) 상에서 너트(5) 측으로 하강하는 형태를 갖게 되는데,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제 1 및 제 2 슬라이더(62)(63)를 어느 정도 회전시키면 제 2 슬라이더(63)의 저면에 돌출되게 설치된 결합핀(632)이 너트(5)의 홈(51)에 끼워져 상호 결합된다.
이때, 상기 제 2 슬라이더(63)의 하부 내측에 돌출되게 설치된 걸림핀(637)은 도 7a와 같이 커플링부재(4)의 제 3 단턱부(45)와 제 2 슬라이더(63)의 하부 공간부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제 2 슬라이더(63)의 통공(633)에 설치되어 있는 랫치(634)는 스프링(635)의 탄발력에 의해 커플링부재(4)의 제 2 단턱부(44)에 고정 설치되어 있는 링형 기어(64)의 외측 기어(643)의 이에 걸려진 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상기 풀림방지수단(6)의 제 1 및 제 2 슬라이더(62)(63)와 너트(5)는 조임방향으로만 회전될 뿐 풀림방향으로 회동되지 않는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콘넥터를 연결장치(7)에 결합시키거나 그로부터 분리시키고자할 때에는 상기 제 1 및 제 2 슬라이더(62)(63)를 결합부재(2) 측으로 잡아당겨 도 7b와 같이 나트(5)로부터 분리시킨 후 계속적으로 잡아당기며 조임방향으로 약간 회전시키게 되면 상기 제 2 슬라이더(63)의 걸림핀(637)이 외측 기어(643)의 이동로(644)에 이르렀을시 이 이동로(644)를 통해 상기 걸림핀(637)이 외측 기어(643)를 통과하여 걸림홈(641)에 이르게 되고 랫치(634)는 내측 기어(642)에 결려진 상태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제 2 슬라이더(63)의 걸림핀(637)이 내,외측 기어(642)(643) 사이에 형성된 걸림홈(641)에 이르르면 상기 제 1 및 제 2 슬라이더(62)(63)를 잠 김방향으로 약간 회전시켜 걸림핀(637) 자체가 이동로(644)에서 이격되도록 한 후 손을 떼더라도 상기 걸림핀(637)이 내,외측 기어(642)(643) 사이에 형성된 걸림홈(641)에 도 7c와 같이 걸려진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풀림방지수단(6)은 너트(5)로부터 완전히 이격된 상태에서 커플링부재(4)에 설치된 링형 기어(64)의 내측 기어(642)에 걸려진 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상기 커플링부재(4)의 너트 결합부(41)에 설치된 너트(5)는 아이들 회전 가능한 상태가 된다.
그러므로 사용자는 풀림방지수단(6)의 설치와 무관하게 상기 너트(5)를 한손으로 잡고 조임방향으로 회전시켜 연결장치(7)의 볼트형 연결구(71)에 너트(5)를 결합시키는 동작으로 콘넥터를 결합시킬 수 있음은 물론 이와 반대로 풀림방향으로 회전시켜 연결장치(7)의 볼트형 연결구(71)로부터 너트(5)를 풀어주는 동작으로 콘넥터를 분리시킬 수 있는 것이다.
물론, 상기와 같은 동작으로 통해 콘넥터를 연결장치(7)에 결합시키거나 그로부터 분리시킨 후에는 다시 상기 제 1 및 제 2 슬라이더(62)(63)를 조임방향으로 더 회전시켜 제 2 슬라이더(63)의 걸림핀(637)이 외측 기어(643)의 이동로(644)에 위치되로록 한 후 손을 떼게 되면 상기 걸림핀(637)이 이동로(644)를 통해 하강할 수 있으므로 제 1 및 제 2 슬라이더(62)(63)가 스프링(61)의 복원력에 의해 너트(5) 측으로 하강하게 된다.
이후, 상기 너트(5)를 어느 한 방향으로 회전시키거나 상기 제 1 및 제 2 슬라이더(62)(63)를 재차 조임방향으로 회동시켜 제 2 슬라이더(63)의 결합핀(632)이 너트(5)의 홈(51)에 끼워져 걸리도록 하게 되면 상기 너트(5)는 풀림방지수단(6)에 의해 조임방향으로만 회동 될 수 있을 뿐 풀림방향으로는 회전되지 않게 되어 강한 충격에도 콘넥터의 너트(5)가 연결장치(7)의 볼트형 연결구(71)로부터 풀리지 않고 완벽한 고정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상술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예에 대하여 설명한 것이지만, 상기 실시 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첫째 동축케이블의 선단에 설치되는 N형 콘넥터의 커플링부재와 연결구 결합용 너트 사이에 너트가 잠금 방향으로만 회동되도록 하는 풀림방지수단을 설치하여 기존의 연결장치에 설치되어 있는 볼트형 연결구의 변형 없이 직접 너트를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콘넥터의 호환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은 물론 제품의 생산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둘째, 커플링부재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너트를 볼트형 연결구에 결합시키거나 그로부터 분리시키기 위해 풀림방지수단의 슬라이더를 너트로부터 일정거리 이격시키고자 할 때 풀림방지수단의 록킹기능 해제를 한손으로 간편하게 실시할 수 있음은 물론 록킹기능 해제시 슬리이더의 걸림핀이 2중 기어 사이에 형성시킨 걸림홈에 걸려져 커플링부재와 일정거리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조립성과 결합력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등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Claims (7)

  1. 동축케이블의 외부에 설치되는 결합부재와;
    상기 동축케이블의 중심도체에 나사 결합된 상태에서 연결장치의 볼트형 연결구에 설치되어 있는 암핀에 결합되는 중심도체핀과;
    일단부 내측에는 상기 결합부재 체결용 나사산을 구비하고 타단부 외측에는 너트 결합부가 형성됨은 물론 상기 너트 결합부의 내부에는 인슐레이터가 설치된 형태에서 상기 결합부재가 그 내부로 고정 설치되며, 외주면상에는 풀림방지수단의 각 구성품을 설치하기 위한 제 1 내지 제 3 단턱부를 구비한 커플링부재와;
    상기 커플링부재의 외측면에 설치되어 너트의 자유로운 풀림을 방지하는 풀림방지수단과;
    상면부에 홈을 구비하고 상기 커플링부재의 너트 결합부에 아이들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연결장치의 볼트형 연결구에 나사 결합됨은 물론 상기 풀림방지수단에 의해 풀림 방향으로의 회동이 차단되는 너트;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림 방지형 콘넥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풀림방지수단은 커플링부재의 제 1 단턱부에 끼워져 제 1 및 제 2 슬라이더가 원위치로 돌아가도록 탄발력을 발생시키는 스프링과;
    외측 일단부에 나사산을 구비하고 상기 스프링의 탄발력을 받으며 커플링부재의 제 1 단턱부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 1 슬라이더와;
    외주면에 톱니형 기어가 형성된 구성을 갖고 상기 커플링부재의 제 2 단턱부에 고정 설치되어 제 1 슬라이더가 커플링부재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제 1 및 제 2 슬라이더가 잠김 방향으로만 회동되도록 하는 링형 기어와;
    일단부 내측에는 상기 제 1 슬라이더에 나사 결합되는 나사산이 구비되고, 타측 단턱부에는 너트의 상면에 형성된 홈에 끼워지는 결합핀이 설치되며, 측면부에 천공된 통공내에는 상기 기어에 끼워져 걸려지는 랫치와 랫치를 탄력적으로 밀어 주는 스프링 및 상기 랫치와 상기 랫치를 탄력적으로 밀어 주는 스프링이 통공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마감재가 순차적으로 설치된 구성을 갖고 제 1 슬라이더에 결합되어 커플링부재의 제 3 단턱부를 이동하며 풀림방지수단 자체를 너트와 결합 및 이격시켜 주는 제 2 슬라이더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림 방지형 콘넥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통공의 일부와 저면이 톱니 기어 형상을 갖는 랫치의 내주면 및 외주면은 사각으로 형성시켜 랫치가 통공내에서 회동되지 않고 링형 기어에 걸려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림 방지형 콘넥터.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링형 기어의 직각방향으로 걸림홈을 형성하여 내,외측 2중 기어로 형성하고, 외측 기어 상에는 걸림핀 이동로들을 일정간격을 두고 형성하며, 상기 제 2 슬라이더의 내측 하부에 걸림핀을 돌출되게 설치하여 사용자가 상기 제 2 슬라이더를 잡아당김과 동시에 조임방향으로 약간 회전시킬 때 상기 걸림핀이 이동로를 통해 외측 기어를 통과하여 걸림홈에 걸려져 제 1 및 제 2 슬라이더가 너트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림 방지형 콘넥터.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는 그 내측에 동축케이블 삽입공이 형성되고, 외측 일부에는 상기 커플링부재와 나사 결합되기 위한 나사산이 구비된 너트와;
    동축케이블의 외부도체를 탄력적으로 감싸주는 제 1 인서트링과;
    상면에 제 1 인서트링의 하면에 형성된 경사면에 대향되는 각도의 경사면을 구비하고 상기 커플링부재의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경사면을 통해 동축케이블의 외부도체를 외측으로 벌려주어 상기 제 1 인서트링의 경사면에 밀착되도록 하는 제 2 인서트링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림 방지형 콘넥터.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커플링부재의 너트 결합부 외주면에는 링 설치홈을 형성하고, 이에 탄성형 링을 설치하여 상기 너트가 커플링부재의 너트 결합부에서 분리되지 않은 채 아이들 회전 가능하게 하며, 상기 커플링부재의 하방부에는 연결장치의 볼트형 연결구 외부 케이스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함과 동시에 중심도체핀의 단부를 보호해 주는 파이프형 삽입구를 일체로 돌출 형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림 방지형 콘넥터.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의 너트와 제 1 인서트링의 외주면 및 상기 커플링부재의 파이프형 삽입구 외측에는 각각 방수용 O링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림 방지형 콘넥터.
KR1020060011176A 2006-02-06 2006-02-06 풀림 방지형 콘넥터 KR1006467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1176A KR100646757B1 (ko) 2006-02-06 2006-02-06 풀림 방지형 콘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1176A KR100646757B1 (ko) 2006-02-06 2006-02-06 풀림 방지형 콘넥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4598U Division KR200415859Y1 (ko) 2006-02-20 2006-02-20 풀림 방지형 콘넥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46757B1 true KR100646757B1 (ko) 2006-11-23

Family

ID=377126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11176A KR100646757B1 (ko) 2006-02-06 2006-02-06 풀림 방지형 콘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46757B1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4590B1 (ko) 2006-12-28 2008-07-09 (주)애드컴 슬림형 동축케이블 커넥터
KR200459762Y1 (ko) 2011-01-11 2012-04-13 주식회사 호성테크닉스 클림핑 동축케이블 콘넥터
KR101285336B1 (ko) * 2011-12-07 2013-07-11 (주)애드컴 풀림방지 커넥터
CN108092057A (zh) * 2017-12-26 2018-05-29 上海澳华光电内窥镜有限公司 一种内窥镜连接器及内窥镜装置
KR20180078662A (ko) * 2016-12-30 2018-07-10 주식회사 에이플러스알에프 동축케이블 연결용 커넥터
CN109853119A (zh) * 2019-03-12 2019-06-07 绍兴贵能针纺有限公司 一种两用提花三角机构
KR102063337B1 (ko) 2019-06-26 2020-01-07 고남열 동축 케이블 커넥터
CN114744440A (zh) * 2022-04-27 2022-07-12 中航光电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具有防回退及自防松功能的卡口连接器
KR102422471B1 (ko) * 2022-04-21 2022-07-20 (주)진전기엔지니어링 전기철도 케이블 단자함 장치
KR102528912B1 (ko) * 2022-06-15 2023-05-03 주식회사 센서뷰 풀림 방지 커넥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6502Y1 (ko) 2004-04-08 2004-07-15 성진씨앤티(주) 풀림방지 구조를 갖는 전기 접속용 컨넥터
KR200375502Y1 (ko) 2004-11-03 2005-03-11 서울텔레콤 주식회사 콘넥터용 잠금장치
JP2005071994A (ja) 2003-08-22 2005-03-17 Agilent Technol Inc ケーブルの回転を許容するラッチ機構を持つロック式精密オス型bncコネクタ
KR200405274Y1 (ko) 2005-10-28 2006-01-10 주식회사 호성테크닉스 풀림방지 케이블 콘넥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71994A (ja) 2003-08-22 2005-03-17 Agilent Technol Inc ケーブルの回転を許容するラッチ機構を持つロック式精密オス型bncコネクタ
KR200356502Y1 (ko) 2004-04-08 2004-07-15 성진씨앤티(주) 풀림방지 구조를 갖는 전기 접속용 컨넥터
KR200375502Y1 (ko) 2004-11-03 2005-03-11 서울텔레콤 주식회사 콘넥터용 잠금장치
KR200405274Y1 (ko) 2005-10-28 2006-01-10 주식회사 호성테크닉스 풀림방지 케이블 콘넥터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4590B1 (ko) 2006-12-28 2008-07-09 (주)애드컴 슬림형 동축케이블 커넥터
KR200459762Y1 (ko) 2011-01-11 2012-04-13 주식회사 호성테크닉스 클림핑 동축케이블 콘넥터
KR101285336B1 (ko) * 2011-12-07 2013-07-11 (주)애드컴 풀림방지 커넥터
KR20180078662A (ko) * 2016-12-30 2018-07-10 주식회사 에이플러스알에프 동축케이블 연결용 커넥터
KR102123717B1 (ko) 2016-12-30 2020-06-16 주식회사 에이플러스알에프 동축케이블 연결용 커넥터
CN108092057A (zh) * 2017-12-26 2018-05-29 上海澳华光电内窥镜有限公司 一种内窥镜连接器及内窥镜装置
CN109853119A (zh) * 2019-03-12 2019-06-07 绍兴贵能针纺有限公司 一种两用提花三角机构
KR102063337B1 (ko) 2019-06-26 2020-01-07 고남열 동축 케이블 커넥터
KR102422471B1 (ko) * 2022-04-21 2022-07-20 (주)진전기엔지니어링 전기철도 케이블 단자함 장치
CN114744440A (zh) * 2022-04-27 2022-07-12 中航光电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具有防回退及自防松功能的卡口连接器
KR102528912B1 (ko) * 2022-06-15 2023-05-03 주식회사 센서뷰 풀림 방지 커넥터
WO2023243911A1 (ko) * 2022-06-15 2023-12-21 주식회사 센서뷰 풀림 방지 커넥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46757B1 (ko) 풀림 방지형 콘넥터
KR200415859Y1 (ko) 풀림 방지형 콘넥터
US7347129B1 (en) Tool operable for connecting a male F-type coaxial cable connector
US6692285B2 (en) Push-on, pull-off coaxial connector apparatus and method
US7967635B2 (en) Tightening indicator for coaxial cable connector
US6619876B2 (en) Coaxial connector apparatus and method
TWI433404B (zh) 同軸電纜連接器及使用同軸電纜連接器的方法
US6761588B2 (en) Coaxial cable quick connect/disconnect connector
US7892024B1 (en) Coaxial cable connector
EP2875555B1 (en) Moving part coaxial connectors
CA2557157C (en) Bulkhead socket for a co-axial plug and socket connector
US7163420B2 (en) Compression connector with integral coupler
US10027074B2 (en) Moving part coaxial connectors
US7837501B2 (en) Jumper sleeve for connecting and disconnecting male F connector to and from female F connector
US7975578B2 (en) Tool for installing and removing male F-type coaxial cable connector
US7946199B2 (en) Coaxial cable connector nut rotation aid
US8657623B2 (en) Connect/disconnect connector for coaxial cable
US20120270440A1 (en) Coaxial cable connector having slotted post member
KR100646756B1 (ko) 분리 방지용 초소형 동축케이블 콘넥터
US9172179B2 (en) Cable connection component
KR100844590B1 (ko) 슬림형 동축케이블 커넥터
US20110053407A1 (en) Lock attachment for audio-visual connector
US9362671B2 (en) Coaxial cable connector with quick-locking connection
KR100616523B1 (ko) 풀림방지 케이블 콘넥터
KR100557494B1 (ko) 풀림방지 기능을 갖는 콘넥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0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07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