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46756B1 - 분리 방지용 초소형 동축케이블 콘넥터 - Google Patents

분리 방지용 초소형 동축케이블 콘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46756B1
KR100646756B1 KR1020060011175A KR20060011175A KR100646756B1 KR 100646756 B1 KR100646756 B1 KR 100646756B1 KR 1020060011175 A KR1020060011175 A KR 1020060011175A KR 20060011175 A KR20060011175 A KR 20060011175A KR 100646756 B1 KR100646756 B1 KR 1006467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male
cylindrical
male connector
fema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111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대열
Original Assignee
(주)애드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애드컴 filed Critical (주)애드컴
Priority to KR10200600111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4675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467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467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38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03Connector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the conductors of a multiconductor cable, e.g. tapping connections
    • H01R9/05Connector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the conductors of a multiconductor cable, e.g. tapping connections for coaxial cab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24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radio transmiss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39/00Electrical connectors
    • Y10S439/93Coupling part wherein contact is comprised of a wire or brush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분리 방지용 초소형 동축케이블 콘넥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절결홈에 의해 형성된 탄성편들의 내단부에 걸림돌부가 돌출 형성된 원통형 결합구가 몸체의 내부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원통형 결합구의 내부에는 인슐레이터와 중심도체 연결핀이 순차적으로 설치된 암 콘넥터와; 상기 탄성편의 걸림돌부가 걸려지는 걸림홈이 외주연에 형성된 몸체의 내부에 인슐레이터와 중심도체 연결핀이 순차적으로 설치된 숫 콘넥터와; 상기 숫 콘넥터의 외부에 설치되어 암수 콘넥터의 결합시 상기 암 콘넥터의 원통형 결합구에 형성된 탄성편이 외측으로 벌어지는 것을 차단하여 암수 콘넥터가 상호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분리방지수단;으로 구성하되, 상기 분리방지수단은 숫 콘넥터 몸체의 외주면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원통형 슬라이더와; 상기 숫 콘넥터의 몸체 일단부 외주면에 고정 설치되어 스프링의 일단부를 지지해 주는 지지링과; 상기 원통형 슬라이더와 지지링 사이에 설치되어 원통형 슬라이더가 원위치로 돌아가도록 탄발력을 발생시키는 스프링;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암수 콘넥터가 강한 충격 등에도 상호 분리되는 것을 완벽히 방지할 수 있어 콘넥터의 접촉불량으로 인한 송수신 불량을 최소화할 수 있고, 적은 힘으로 간단히 결합 및 분리시킬 수 있어 통신기기의 설치 및 분해에 따른 작업성과 콘넥터의 결합력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콘넥터, 동축케이블, 분리방지

Description

분리 방지용 초소형 동축케이블 콘넥터 {Micro-mini coaxial cable connector for separate prevention}
도 1은 종래 분리 방지 기능을 갖는 콘넥터의 분리 사시도.
도 2는 도 1의 결합상태 단면도.
도 3은 도 2의 A-A'선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분리 방지용 초소형 동축케이블 콘넥터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콘넥터의 결합상태 단면도.
도 6a 내지 도 6c는 본 발명 콘넥터의 분리 및 결합시 분리방지수단의 작동상태 단면도.
도 7은 도 5의 B-B'선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암 콘넥터 2 : 숫 콘넥터
3 : 분리방지수단 11 : 몸체
12 : 원통형 결합구 13, 22 : 인슐레이터
14, 23 : 중심도체 연결핀 15 : 공간부
21 : 몸체 31 : 원통형 슬라이더
32 : 지지링 33 : 스프링
111, 212 : 동축케이블 연결부 121 : 원통형 절결홈
122 : 탄성편 123 : 걸림돌부
211 : 걸림홈 213 : 걸림턱
311 : 탄성편 벌어짐 방지봉 312 : 받침턱
321 : 단턱부
본 발명은 분리 방지용 초소형 동축케이블 콘넥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라디오 위성방송 송수신기 또는 유무선 통신장비 및 내비게이션 등과 같은 통신기기에서 사용되는 초소형 콘넥터에 분리 방지기능을 부가 설치하여 통신기기와 동축케이블을 연결시켜 주는 암수 콘넥터가 강한 충격 등에도 상호 분리되는 것을 완벽히 방지하여 콘넥터의 접촉불량으로 인한 송수신 불량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사용자가 콘넥터를 상호 결합하거나 분리하고자할 때에는 적은 힘으로 간단히 결합 및 분리시킬 수 있도록 하여 통신기기의 설치 및 분해에 따른 작업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도록 발명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동축케이블용 콘넥터는, 적정한 임피던스를 유지하면서 암수 한쌍의 콘넥터 내부 유전체를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해 주는 것으로, 유무선통신 시스템의 각종 부품들에 구비되어 이들을 연결 또는 장비들을 연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적용되고, 그 용도와 성능 및 결합구조에 따라 N형, DIN형, TNC형, BNC형, SMA형, SMB 형, SMC형 등 이외에도 많은 종류의 콘넥터로 구분된다.
여기서, 각 콘넥터의 종류 및 형태마다 전기적인 특성과 임피던스가 다르므로 적용시 그 성능과 용도에 맞추어 설계 고안하여 적용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한 동축케이블용 콘넥터는 다양한 장비와 연결되는 분배 하우징 등의 연결장치에 결합되어 사용되는데 N형 콘넥터의 경우는 동축케이블의 동심(즉, 중심도체)을 직접 연결할 수 없어 동축케이블의 단부에 설치되는 결합부재를 이와 일체형으로 결합된 커플링부재 등을 통해 케이블 또는 분배 하우징 등의 연결장치에 결합된 연결부재에 동축으로 연결 접속하게 된다.
이때 연결부재와 결합부재를 서로 나사결합방식으로 연결하는 커플링 부재가 소정의 외력 또는 잦은 외력이 발생되면 분리되는 현상이 발생되어져 내부의 동심인 중심도체가 접촉 불량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종래에는 이와 같은 N형 콘넥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식으로 "분리 방지 기능을 갖는 콘넥터"가 개발되어 국내 공개특허공보 10-2004-0105632호 등으로 개재된 바 있다.
한편, 상기한 N형 콘넥터와 달리 초소형 동축케이블용 콘넥터(Subminiature coaxial Connector)인 SMB형에서는 암수 콘넥터가 외부 충격 등에 의해 분리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구조로써, 도 1 내지 도 3과 같이 암 콘넥터(1)의 몸체(11) 내부에 설치되는 원통형 결합구(12)의 단부에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시킨 절결홈(121)들을 통해 탄성편(122)을 형성하고, 상기 탄성편(122)의 내단부에는 걸림돌부(123)를 돌출 형성하되, 상기 암 콘넥터(1)에 결합되는 숫 콘넥터(2)의 몸체(21) 외부에는 상기 탄성편(122)의 걸림돌부(123)가 끼워져 걸려지는 걸림홈(211)을 형성시킨 구조로 되어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통신기기에 고정 설치된 암 콘넥터(1)에 동축케이블이 연결된 숫 콘넥터(2)를 결합시키기 위해 상기 암 콘넥터(1)의 몸체(11) 내부에 설치되는 원통형 결합구(12)로 숫 콘넥터(2)의 몸체(21) 단부를 밀어 넣게 되면 상기 암 콘넥터(1)의 원통형 결합구(12) 단부에 형성된 탄성편(122)의 걸림돌부(123) 내경 보다 큰 외경을 갖는 숫 콘넥터(2)의 몸체(21)에 의해 상기 탄성편(122)들이 외측으로 벌어지며 숫 콘넥터(2) 몸체(21)가 억지로 끼워지다가 탄성편(122)의 걸림돌부(123)가 숫 콘넥터(2)의 몸체(21)에 형성된 걸림홈(211)에 접근하면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시킨 절결홈(121)들에 사이에 형성된 탄성편(122)의 복원력에 의해 탄성편(122)들이 원상복귀되며 그의 내단부에 돌출 형성된 걸림돌부(123)들이 숫 콘넥터(2) 몸체(21)의 걸림홈(211)에 걸려지게 된다.
이와 같이 암 콘넥터(1)에 숫 콘넥터(2)를 결합하면 상기 숫 콘넥터(2)는 암 콘넥터(1)의 탄성편(122) 자체의 탄성력과, 그 내단부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숫 콘넥터(2) 몸체(21)의 걸림홈(211)에 끼워진 걸림돌부(123)의 걸림 작용에 의해 강제로 강한 힘을 가하여 숫 콘넥터(2)를 잡아당기지 않는 한 상기 암수 콘넥터는 상호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됨은 물론 된다.
그런데, SMB형 콘넥터는 그 자체가 초소형이므로 비록 상기와 같이 암 콘넥터의 원통형 결합구의 단부에 절결홈을 형성시켜 탄성편들을 형성함과 동시에 탄성편의 내주면에는 걸림돌부를 형성하여 숫 콘넥터가 결합될 때 그의 몸체에 형성된 걸림홈에 탄성편들의 걸림돌부가 끼워져 걸려지도록 하였다 하더라도 탄성편 자체의 탄성력 및 걸림돌부의 걸림 작용만으로 숫 콘넥터가 강한 충격 등에 의해 분리되는 것을 완벽히 방지할 수 없다.
또한, 이와 같은 초소형 콘넥터가 설치된 통신기기(예를 들어 내비게이션)를 진동이 항상 존재하는 자동차 등에 탑재하였을 경우, 장기간 동안 크고 작은 충격력이 암수 콘넥터의 결합부에 지속적으로 전달됨으로 인해 상기 암 콘넥터의 원통형 결합부에 형성된 탄성편이 외측으로 벌어지는 등의 변형이 발생되어 비록 그 내주변에 걸림돌부가 형성되어 있다 하더라도 암수 콘넥터가 강한 충격 등에 의해 상호 분리될 우려가 있을 뿐만 아니라, 이들의 접촉력이 저하되어 데이터의 송수신 불량으로 이어지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암수 콘넥터를 상호 결합시키거나 분리시킬 때 숫 콘넥터를 강하게 밀어 넣어 암 콘넥터의 탄성편들이 벌어지도록 해야 함은 물론 탄성편들의 강한 탄성력보다 더 큰 힘으로 숫 콘넥터를 잡아당겨야만 상기 암 콘넥터의 탄성편들에 형성된 걸림돌부가 숫 콘넥터의 걸림홈으로부터 빠져나오게 되므로 암수 콘넥터의 결합 및 분해에 따른 작업성이 좋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라디오 위성방송 송수신기 또는 유무선 통신장비 및 내비게이션 등과 같은 통신기기에서 사용되는 초소형 콘넥터에 분리 방지기능을 부가 설치하여 암수 콘넥터가 강한 충격 등에도 상호 분리되는 것을 완벽히 방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콘넥터의 접촉불량으로 인한 송수신 불량을 최소화할 수 있고, 또 사용자가 콘넥터를 상호 결합하거나 분리하고자할 때에는 적은 힘으로 간단히 결합 및 분리시킬 수 있도록 하여 통신기기의 설치 및 분해에 따른 작업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분리 방지용 초소형 동축케이블 콘넥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콘넥터는, 절결홈들 사이에 탄성편들이 일체로 형성됨과 동시에 상기 탄성편의 내단부에는 걸림돌부가 돌출 형성된 원통형 결합구가 일단부에 동축케이블 연결부를 구비한 몸체의 내부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원통형 결합구의 내부에는 인슐레이터와 중심도체 연결핀이 순차적으로 설치된 암 콘넥터와;
상기 원통형 결합구의 내경보다 작은 외경을 갖고 그 일단부에는 동축케이블 연결부를 구비하며 타단부 외주면에는 상기 탄성편의 걸림돌부가 끼워져 걸려지는 걸림홈이 형성된 몸체의 내부에는 인슐레이터와 중심도체 연결핀이 순차적으로 설치된 숫 콘넥터와;
상기 숫 콘넥터의 외부에 설치되어 암수 콘넥터의 결합시 상기 암 콘넥터의 원통형 결합구에 형성된 탄성편이 외측으로 벌어지는 것을 차단하여 암수 콘넥터가 상호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분리방지수단;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분리방지수단은 일단부에는 암 콘넥터의 몸체와 원통형 결합구의 탄성편 사이의 공간부에 끼워지는 탄성편 벌어짐 방지봉이 구비되고 그 내면에는 상기 숫 콘넥터 몸체의 외주면에 돌출된 걸림턱에 걸려지는 받침턱이 돌출 형성된 구성을 갖고 상기 숫 콘넥터 몸체의 외주면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원통형 슬라이더와; 일측 외주연에 상기 원통형 슬라이더가 끼워질 수 있는 단턱부를 구비하고 상기 숫 콘넥터의 몸체 일단부 외주면에 고정 설치되어 스프링의 일단부를 지지해 주는 지지링과; 상기 원통형 슬라이더의 받침턱과 지지링의 일측면 사이에 설치되어 원통형 슬라이더가 원위치로 돌아가도록 탄발력을 발생시키는 스프링;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분리 방지용 초소형 동축케이블 콘넥터의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5는 본 발명 콘넥터의 결합상태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6a 내지 도 6c는 본 발명 콘넥터의 분리 및 결합시 분리방지수단의 작동상태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7은 도 5의 B-B'선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이에 따르면 본 발명 콘넥터는, 절결홈(121)들 사이에 탄성편(122)들이 일체로 형성됨과 동시에 상기 탄성편(122)의 내단부에는 걸림돌부(123)가 돌출 형성된 원통형 결합구(12)가 일단부에 동축케이블 연결부(111)를 구비한 몸체(11)의 내부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원통형 결합구(12)의 내부에는 인슐레이터(13)와 중심도체 연결핀(14)이 순차적으로 설치된 암 콘넥터(1)와;
상기 원통형 결합구(12)의 내경보다 작은 외경을 갖고 그 일단부에는 동축케이블 연결부(212)를 구비하며 타단부 외주면에는 상기 탄성편(122)의 걸림돌부(123)가 끼워져 걸려지는 걸림홈(211)이 형성된 몸체(21)의 내부에는 인슐레이터(22)와 중심도체 연결핀(23)이 순차적으로 설치된 숫 콘넥터(2)와;
상기 숫 콘넥터(2)의 외부에 설치되어 암수 콘넥터(1)(2)의 결합시 상기 암 콘넥터(1)의 원통형 결합구(12)에 형성된 탄성편(122)이 외측으로 벌어지지 않도록 하여 암수 콘넥터(1)(2)가 상호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분리방지수단(3);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분리방지수단(3)은 일단부에는 암 콘넥터(1)의 몸체(11)와 원통형 결합구(12)의 탄성편(122) 사이에 형성된 공간부(15)로 끼워지는 탄성편 벌어짐 방지봉(311)이 구비되고 그 내면에는 상기 숫 콘넥터(20) 몸체(21)의 외주면에 돌출된 걸림턱(213)에 걸려지는 받침턱(312)이 돌출 형성된 구성을 갖고 상기 숫 콘넥터(2) 몸체(21)의 외주면에서 스프링(33)의 탄발력에 의해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원통형 슬라이더(31)와;
일측 외주연에 상기 원통형 슬라이더(31)가 끼워질 수 있는 단턱부(321)를 구비하고 상기 숫 콘넥터(2)의 몸체(21) 일단부 외주면에 고정 설치되어 스프링(33)의 일단부를 지지해 주는 지지링(32)과;
상기 원통형 슬라이더(31)의 받침턱(312)과 지지링(32)의 일측면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숫 콘넥터(2) 몸체(21)의 외주연에 설치되어 있는 원통형 슬라이더(31)가 원위치로 돌아가도록 탄발력을 발생시키는 스프링(33);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 콘넥터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의 주요 기술 구성은 분리 방지용 초소형 동축케이블 콘넥터 자체를 동축케이블 또는 통신기기에 연결되는 암수 콘넥터(1)(2)로 구성하되, 상기 숫 콘넥터(2)의 외주연에는 분리방지수단(3)을 부가 설치하여 상기 암수 콘넥터(1)(2)를 상호 결합하였을 때 상기 분리방지수단(3)에 의해 어떠한 충격이나 외압에도 이들이 상호 분리되지 않도록 한 것이다.
이때, 상기 암 콘넥터(1)는 종래의 초소형 동축케이블 콘넥터에서의 암 콘넥터와 마찬가지로 몸체(11)의 내부로 원통형 결합구(12)와 인슐레이터(13) 및 중심도체 연결핀(14)이 순차적으로 설치된 구성을 갖게 된다.
물론, 상기 원통형 결합구(12)의 단부에는 절결홈(121)의 형성을 통해 탄성편(122)들을 일체로 형성하고, 또 상기 탄성편(122)의 내단부에는 걸림돌부(123)가 돌출 형성된 구성을 갖는다.
또한, 숫 콘넥터(2) 역시 상기 원통형 결합구(12)의 내경보다 작은 외경을 갖고 그 일단부에는 동축케이블 연결부(212)를 구비하며 타단부 외주면에는 상기 탄성편(122)의 걸림돌부(123)가 끼워져 걸려지는 걸림홈(211)이 형성된 몸체(21)의 내부에는 인슐레이터(22)와 중심도체 연결핀(23)이 순차적으로 설치된 구성을 갖 되, 상기 숫 콘넥터(2)의 몸체(21) 외주면에는 분리방지수단(3)의 원통형 슬라이더(31) 받침턱(312)이 걸려져 분해되지 않도록 하는 걸림턱(213)을 더 형성시킨 구성을 갖는다.
한편, 상기 숫 콘넥터(2)의 외주연에 설치되어 암수 콘넥터(1)(2)의 결합시 상기 암 콘넥터(1)의 원통형 결합구(12)에 형성된 탄성편(122)이 외측으로 벌어지지 않도록 하여 암수 콘넥터(1)(2)가 상호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분리방지수단(3)은 원통형 슬라이더(31)와 지지링(32) 및 스프링(33)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원통형 슬라이더(31)는 일단부에 암 콘넥터(1)의 몸체(11)와 원통형 결합구(12)의 탄성편(122) 사이에 형성된 공간부(15)로 끼워져 탄성편(122)이 벌어지지 않도록 하는 탄성편 벌어짐 방지봉(311)이 구비되고, 그 내면에는 상기 숫 콘넥터(2) 몸체(21)의 외주면에 돌출된 걸림턱(213)에 걸려짐과 동시에 스프링(33)의 일단부를 지지해 주는 받침턱(312)이 돌출 형성된 구성을 갖고 상기 숫 콘넥터(2) 몸체(21)의 외주면에 설치되어 스프링(33)의 탄발력에 의해 슬라이딩 이동 가능한 형태를 갖게 된다.
또한, 상기 지지링(32)은 일측 외주연에 상기 원통형 슬라이더(31)가 외부를 감싸는 형태로 끼워질 수 있는 단턱부(321)를 구비하고 상기 숫 콘넥터(2)의 몸체(21) 일단부 외주면에 고정 설치되는데, 이때 상기 스프링(33)은 원통형 슬라이더(31)의 받침턱(312)과 지지링(32)의 일측면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숫 콘넥터(2) 몸체(21)의 외주연에 설치되어 있는 원통형 슬라이더(31)가 원위치로 돌아가도록 탄발력을 발생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분리방지수단(3)이 구비된 숫 콘넥터(2)와 암 콘넥터(1)를 결합시키기 위해 숫 콘넥터(2)의 몸체(21) 선단부에 암 콘넥터(1)의 선단부를 위치시켜 작은 힘으로 상호 또는 어느 일측을 밀어주면 상기 암 콘넥터(1)의 원통형 결합구(12)의 탄성편(122)들이 걸림돌부(123)의 돌출 높이에 부응하여 외측으로 휘어지며 도 6a와 같이 숫 콘넥터(2)의 몸체(21)의 선단부를 타고 올라가게 되므로 상기 탄성편(122)의 단부들이 분리방지수단(3)의 원통형 슬라이더(31)의 단부에 형성된 탄성편 벌어짐 방지봉(311)의 단면부에 접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계속에서 암수 콘넥터(1)(2) 모두 또는 어느 일측 콘넥터를 더 밀어주게 되면 상기 숫 콘넥터(2)의 몸체(21) 외주면을 타고 밀려오는 암 콘넥터(1) 탄성편(122)의 푸싱력에 의해 상기 분리방지수단(3)의 원통형 슬라이더(31)는 스프링(33)의 반발력을 받으며 도 6b와 같이 숫 콘넥터(2)의 몸체(21)를 따라 후퇴(도면상 좌측으로 밀림)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숫 콘넥터(2)의 몸체(21) 외주면을 타고 밀려가던 암 콘넥터(1) 탄성편(122)이 숫 콘넥터(2) 몸체(21)의 외주면에 형성된 걸림홈(211)에 접근하면 자체의 복원력에 의해 원상태로 환원되므로 상기 탄성편(122)의 내부면에 돌출 형성된 걸림돌부(123)가 도 6c와 같이 숫 콘넥터(2) 몸체(21)의 걸림홈(211)에 끼워져 걸려짐과 동시에 상기 암 콘넥터(1) 탄성편(122)의 푸싱력에 의해 숫 콘넥터(2)의 몸체(21)를 따라 후퇴하던 상기 분리방지수단(3)의 원통형 슬라이더(31)는 스프링(33)의 복원력에 의해 원위치로 이동(도면상 우측)하면서 탄성편 벌어짐 방지봉(311)이 상기 암 콘넥터(1)의 몸체(11)와 원통형 결합구(12)의 탄성편(122) 사이에 형성된 공간부(15)로 도 5와 같이 끼워지게 된다.
따라서, 외부에서 어떠한 충격이나 외압이 가해진다 하더라도 상기 분리방지수단(3)의 원통형 슬라이더(31)의 탄성편 벌어짐 방지봉(311)이 상기 암 콘넥터(1)의 몸체(11)와 원통형 결합구(12)의 탄성편(122) 사이에 형성된 공간부(15)에서 빠져나가지 않는 한 상기 암 콘넥터(1)의 원통형 결합구(12)의 탄성편(122)이 외측으로 벌어지지 않음은 물론 그의 내주면에 형성된 걸림돌부(123)가 숫 콘넥터(2) 몸체(21)의 걸림홈(211)에 걸려진 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암수 콘넥터(1)(2)는 상호 분리되지 않게 된다.
한편, 상기 암수 콘넥터(1)(2)를 상호 분리시키고자할 때에는 먼저 상기 분리방지수단(3)의 원통형 슬라이더(31)를 일측 손으로 잡고 도면상 우측으로 잡아당겨 탄성편 벌어짐 방지봉(311)이 상기 암 콘넥터(1)의 몸체(11)와 원통형 결합구(12)의 탄성편(122) 사이에 형성된 공간부(15)로부터 빠져나오도록 한 상태(즉, 락킹 해제상태)에서, 다른 손으로는 암 콘넥터(1)를 도면상 좌측으로 탄성편(122)의 탄발력보다 약간 큰 힘으로 잡아당기게 되면 상기 탄성편(122)의 걸림돌부(123)가 걸림홈(211)으로부터 빠져나오게 되므로 상기 암 콘넥터(1)를 숫 콘넥터(2)로부터 간단히 분리시킬 수 있다.
물론, 상기와 같이 암수 콘넥터(1)(2)를 상호 분리시키면 상기 암 콘넥터(1)의 탄성편(122)은 자체 복원력에 의해 원상태로 되돌아가고, 또 숫 콘넥터(2)에 설치된 원통형 슬라이더(31)에서 손을 떼면 상기 원통형 슬라이더(31)는 지지링(32)과 자체의 받침턱(312) 사이에 설치되어 있는 스프링(33)의 복원력에 의해 원상태 로 되돌아가게 된다.
이때, 상기 숫 콘넥터(2) 몸체(21)의 외주면에는 걸림턱(213)이 구비되어 있으므로 상기 스프링(33)의 복원력에 의해 원상태로 복귀되는 상기 원통형 슬라이더(31)는 그의 내부에 돌출 형성된 받침턱(312)이 상기 숫 콘넥터(2) 몸체(21)의 걸림턱(213)에 걸려지는 순간 더 이상 슬라이딩 이동되지 않고 그 위치를 유지하게 됨은 물론 상기 숫 콘넥터(2) 몸체(21)로부터 분리되지 않는 상태를 갖게 된다.
상술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예에 대하여 설명한 것이지만, 상기 실시 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각종 소형 통신기기에서 사용되는 초소형 콘넥터에 분리 방지기능을 부가 설치하여 암수 콘넥터가 강한 충격 등에도 상호 분리되는 것을 완벽히 방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콘넥터의 접촉불량으로 인한 송수신 불량을 최소화할 수 있고, 또한 사용자가 콘넥터를 상호 결합하거나 분리하고자할 때에는 적은 힘으로 간단히 결합 및 분리시킬 수 있어 통신기기의 설치 및 분해에 따른 작업성과 콘넥터의 결합력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등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Claims (4)

  1. 절결홈에 의해 형성된 탄성편들의 내단부에 걸림돌부가 돌출 형성된 원통형 결합구가 몸체의 내부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원통형 결합구의 내부에는 인슐레이터와 중심도체 연결핀이 순차적으로 설치된 암 콘넥터와;
    상기 탄성편의 걸림돌부가 걸려지는 걸림홈이 외주연에 형성된 몸체의 내부에 인슐레이터와 중심도체 연결핀이 순차적으로 설치된 숫 콘넥터; 및
    상기 숫 콘넥터의 외부에 설치되어 암수 콘넥터의 결합시 상기 암 콘넥터의 원통형 결합구에 형성된 탄성편이 외측으로 벌어지는 것을 차단하여 암수 콘넥터가 상호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숫 콘넥터 몸체의 외주면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되, 일단부에 상기 암 콘넥터의 몸체와 원통형 결합구의 탄성편 사이의 공간부에 끼워지는 탄성편 벌어짐 방지봉이 구비되고, 내면에는 상기 숫 콘넥터 몸체의 외주면에 돌출된 걸림턱에 걸려지는 받침턱이 돌출 형성된 원통형 슬라이더와; 상기 숫 콘넥터의 몸체 일단부 외주면에 고정 설치되어 스프링의 일단부를 지지해 주는 지지링; 및 상기 원통형 슬라이더와 지지링 사이에 설치되어 원통형 슬라이더가 원위치로 돌아가도록 탄발력을 발생시키는 스프링을 구비한 분리방지수단;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 방지용 초소형 동축케이블 콘넥터.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링은 일측 외주연에 상기 원통형 슬라이더가 끼워질 수 있는 단턱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 방지용 초소형 동축케이블 콘넥터.
KR1020060011175A 2006-02-06 2006-02-06 분리 방지용 초소형 동축케이블 콘넥터 KR1006467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1175A KR100646756B1 (ko) 2006-02-06 2006-02-06 분리 방지용 초소형 동축케이블 콘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1175A KR100646756B1 (ko) 2006-02-06 2006-02-06 분리 방지용 초소형 동축케이블 콘넥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4597U Division KR200415682Y1 (ko) 2006-02-20 2006-02-20 분리 방지용 초소형 동축케이블 콘넥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46756B1 true KR100646756B1 (ko) 2006-11-23

Family

ID=377126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11175A KR100646756B1 (ko) 2006-02-06 2006-02-06 분리 방지용 초소형 동축케이블 콘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46756B1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7722B1 (ko) 2011-03-18 2011-05-27 주식회사 유신 매설형 지중전선 커넥터
KR101037716B1 (ko) 2011-03-18 2011-05-30 주식회사 유신 설치위치조정이 가능한 특고압 전선로
KR101037721B1 (ko) 2011-03-18 2011-05-30 주식회사 유신 감전방지용 지중배전함의 절연구조
KR101045383B1 (ko) * 2010-12-17 2011-06-30 (주)슈펙스 분리 방지용 초소형 동축케이블 커넥터
KR101050539B1 (ko) 2011-03-18 2011-07-20 주식회사 유신 지중배전선과 배전반의 접속용 어댑터
KR200460592Y1 (ko) 2011-09-15 2012-06-13 (주)그리에이트 연결잭의 접촉이 용이한 헤어셋팅용 가열로드
WO2016178898A1 (en) * 2015-05-01 2016-11-10 Commscope Technologies Llc Coaxial cable connector interface for preventing mating with incorrect connector
KR101782909B1 (ko) * 2016-03-29 2017-09-29 주식회사 케이제이컴텍 이중 락킹 동축콘넥터
KR101871957B1 (ko) * 2017-12-06 2018-07-02 주식회사유비씨에스 분리방지 고정형 동축케이블 커넥터
WO2019083781A1 (en) * 2017-10-27 2019-05-02 Commscope Technologies Llc COAXIAL MALE CONNECTOR, COAXIAL FEMALE CONNECTOR AND ASSEMBLY DONE THEREOF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03624A (ja) * 1995-01-31 1996-08-09 Amp Japan Ltd 電気コネクタ
KR19990068311A (ko) * 1999-03-19 1999-09-06 유무관 콘넥터
JP2000182717A (ja) 1998-12-18 2000-06-30 Hitachi Cable Ltd 絶縁電線用着脱コネクタ
JP2000252011A (ja) 1999-02-26 2000-09-14 Yazaki Corp コネクタのロック機構
JP2001085121A (ja) 1999-09-17 2001-03-30 Kanefuji Sangyo Kk 同軸ケーブル用コネクター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03624A (ja) * 1995-01-31 1996-08-09 Amp Japan Ltd 電気コネクタ
JP2000182717A (ja) 1998-12-18 2000-06-30 Hitachi Cable Ltd 絶縁電線用着脱コネクタ
JP2000252011A (ja) 1999-02-26 2000-09-14 Yazaki Corp コネクタのロック機構
KR19990068311A (ko) * 1999-03-19 1999-09-06 유무관 콘넥터
JP2001085121A (ja) 1999-09-17 2001-03-30 Kanefuji Sangyo Kk 同軸ケーブル用コネクター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019990068311 *

Cited B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5383B1 (ko) * 2010-12-17 2011-06-30 (주)슈펙스 분리 방지용 초소형 동축케이블 커넥터
KR101037722B1 (ko) 2011-03-18 2011-05-27 주식회사 유신 매설형 지중전선 커넥터
KR101037716B1 (ko) 2011-03-18 2011-05-30 주식회사 유신 설치위치조정이 가능한 특고압 전선로
KR101037721B1 (ko) 2011-03-18 2011-05-30 주식회사 유신 감전방지용 지중배전함의 절연구조
KR101050539B1 (ko) 2011-03-18 2011-07-20 주식회사 유신 지중배전선과 배전반의 접속용 어댑터
KR200460592Y1 (ko) 2011-09-15 2012-06-13 (주)그리에이트 연결잭의 접촉이 용이한 헤어셋팅용 가열로드
WO2016178898A1 (en) * 2015-05-01 2016-11-10 Commscope Technologies Llc Coaxial cable connector interface for preventing mating with incorrect connector
US9966702B2 (en) 2015-05-01 2018-05-08 Commscope Technologies Llc Coaxial cable connector interface for preventing mating with incorrect connector
US10559925B2 (en) 2015-05-01 2020-02-11 Commscope Technologies Llc Coaxial cable connector interface for preventing mating with incorrect connector
US11201435B2 (en) 2015-05-01 2021-12-14 Commscope Technologies Llc Coaxial cable connector interface for preventing mating with incorrect connector
KR101782909B1 (ko) * 2016-03-29 2017-09-29 주식회사 케이제이컴텍 이중 락킹 동축콘넥터
WO2019083781A1 (en) * 2017-10-27 2019-05-02 Commscope Technologies Llc COAXIAL MALE CONNECTOR, COAXIAL FEMALE CONNECTOR AND ASSEMBLY DONE THEREOF
US10637172B2 (en) 2017-10-27 2020-04-28 Commscope Technologies Llc Coaxial male connector, coaxial female connector and assembly thereof
KR101871957B1 (ko) * 2017-12-06 2018-07-02 주식회사유비씨에스 분리방지 고정형 동축케이블 커넥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46756B1 (ko) 분리 방지용 초소형 동축케이블 콘넥터
US7758370B1 (en) Quick release electrical connector
US6692285B2 (en) Push-on, pull-off coaxial connector apparatus and method
US7607929B1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having spring loaded electrical connector
US7025636B2 (en) Adaptor for making broken connectors serviceable
US9077105B2 (en) Structure of electromagnetic electrical connection device
JP5105465B2 (ja) 電気コネクタ組立体
US7819680B2 (en) Surface mount coaxial connector with switching function
JP2888334B2 (ja) 同軸・差込みコネクタ
US20060194465A1 (en) Gimbling electronic connector
US20140273644A1 (en) Connector cable assembly for multiple connectors
US5254013A (en) Push-pull lock connector
CN101371407B (zh) 电插座
US11600947B2 (en) Electrical connector
CN111293494A (zh) 连接器
TWM551358U (zh) 連接器
US7495527B2 (en) Connector activated RF switch
KR20080015326A (ko) 동축케이블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동축케이블 연결체
JP2004356067A (ja) アンテナ用コネクタ
KR101045383B1 (ko) 분리 방지용 초소형 동축케이블 커넥터
KR200415682Y1 (ko) 분리 방지용 초소형 동축케이블 콘넥터
US20210091505A1 (en) Connection Assembly for Audio Equipment
US6634888B2 (en) Electrical connection device
US20090042440A1 (en) Coaxial plug-in connector comprising a contact mechanism for electrical contact
JP2018160393A (ja) 電気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4 Invalidation trial for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91026

Effective date: 20100721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INVALIDATION

J2X2 Appeal (before the supreme court)

Free format text: APPEAL BEFORE THE SUPREME COURT FOR INVALIDATION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PATENT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00824

Effective date: 20101230

EXTG Extinguishment
J303 Written judgement (supreme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SUPREME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10125

Effective date: 201104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