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49178B1 - 풀림 방지용 콘넥터 - Google Patents

풀림 방지용 콘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49178B1
KR100649178B1 KR1020050071587A KR20050071587A KR100649178B1 KR 100649178 B1 KR100649178 B1 KR 100649178B1 KR 1020050071587 A KR1020050071587 A KR 1020050071587A KR 20050071587 A KR20050071587 A KR 20050071587A KR 100649178 B1 KR100649178 B1 KR 1006491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ing member
nut
connector
coupling
loos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715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형수
Original Assignee
(주) 한국전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한국전자 filed Critical (주) 한국전자
Priority to KR10200500715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4917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491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491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03Connector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the conductors of a multiconductor cable, e.g. tapping connections
    • H01R9/05Connector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the conductors of a multiconductor cable, e.g. tapping connections for coaxial cables
    • H01R9/0521Connection to outer conductor by action of a nu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38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 H01R24/4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specially adapted for high frequency
    • H01R24/52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specially adapted for high frequency mounted in or to a panel or structure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풀림 방지용 콘넥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동축케이블의 외부도체 단부에 탄력적으로 고정 설치되어 커플링부재에 나사 결합되는 결합부재와; 상기 동축케이블의 중심도체에 나사 결합된 상태에서 커플링부재의 인슐레이터 중심부에 고정 설치되어 연결장치의 볼트형 연결구에 설치되어 있는 암핀에 결합되는 중심도체핀과; 일단부 내측에 상기 결합부재 체결용 나사산을 구비하고 타단부 외측에는 너트 결합부가 형성됨은 물론 상기 너트 결합부의 내부에는 인슐레이터가 설치된 형태에서 상기 결합부재가 그 내부로 고정 설치되도록 하는 커플링부재와; 상기 커플링부재의 너트 결합부에 아이들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상태에서 그 일단부에 형성된 탄성 체결부가 상기 연결장치의 볼트형 연결구에 나사 결합되는 너트와; 상기 너트의 탄성 체결부와 자체의 내부에 각각 형성된 왼 나사산에 의해 상호 결합되며 상기 볼트형 연결구에 나사 결합된 너트의 탄성 체결부 외경을 조여주는 동작을 통해 상기 커플링부재를 포함한 너트가 볼트형 연결구로부터 풀리는 것을 방지하는 풀림 방지용 캡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기존의 연결장치에 설치되어 있는 볼트형 연결구의 변형 없이 직접 풀림방지용 캡을 통해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어 콘넥터의 호환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은 물론 제품의 생산원가를 절감할 수 있고, 동축케이블용 콘넥터의 조립성과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중심도체와 중심도체핀 사이의 결합력을 증진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들 간의 접촉 불량으로 발생될 수 있는 제품 불량 또는 통신 신호의 송수신 불량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것이다.
콘넥터, 동축케이블, 풀림방지, 중심도체핀

Description

풀림 방지용 콘넥터 {Connector for preventing loosening}
도 1은 종래 풀림 방지 기능을 갖는 콘넥터의 분리 사시도.
도 2는 도 1의 결합상태 단면도.
도 3은 도 2의 'C-C'선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풀림 방지용 콘넥터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콘넥터의 결합상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 중 동축케이블에 고정되는 중심도체핀의 확대 사시도.
도 7의 (a)-(d)는 동축케이블의 중심도체에 결합부재와 중심도체핀을 결합하고 이를 커플링부재에 결합시키는 과정을 보인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동축케이블 2 : 결합부재
3 : 중심도체핀 4 : 커플링부재
5 : 너트 6 : 풀림 방지용 캡
7 : 연결장치 8 : 인서트 링
9 : 탄성형 링 10 : 키
11 : 외부도체 12 : 중심도체
21 : 동축케이블 삽입공 22,42,12a,31a,52c,71b : 나사산
23 : 연장부 31 : 원통형 결합부
32 : 키홈 41 : 너트 결합부
43 : 인슐레이터 44 : 단턱부
45,54 : 링 설치홈 46 : 파이프형 삽입구
51 : 캡 결합부 52 : 탄성 체결부
53, 61 : 왼 나사산 71 : 볼트형 연결구
본 발명은 풀림 방지용 콘넥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라디오 위성방송 송수신기 또는 유무선 통신장비 등에서 분배기에 연결하여 사용되는 동축케이블의 선단에 설치되는 N형 콘넥터에 풀림 방지기능을 부가 설치하여 분배기로부터 콘넥터의 커플링이 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동축케이블의 동심에 고정되는 중심도체핀을 보다 간편하면서도 완벽하게 고정 설치할 수 있도록 하여 외부의 충격 등으로 인해 분배기로부터 동축케이블의 콘넥터가 풀림으로 인한 접촉 불량 및 동축케이블의 동심과의 중심도체핀 접촉 및 고정 상태 불량으로 인해 발생될 수 있는 제품의 불량 또는 통신신호의 송수신 불량을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발명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동축케이블용 콘넥터는, 적정한 임피던스를 유지하면서 암수 한쌍의 콘넥터 내부 유전체를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해 주는 것으로, 유무선통신 시스템의 각종 부품들에 구비되어 이들을 연결 또는 장비들을 연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적용되고, 그 용도와 성능 및 결합구조에 따라 N형, DIN형, TNC형, BNC형, SMA형, SMB 형, SMC형 등 이외에도 많은 종류의 콘넥터로 구분된다.
여기서, 각 콘넥터의 종류 및 형태마다 전기적인 특성과 임피던스가 다르므로 적용시 그 성능과 용도에 맞추어 설계 고안하여 적용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한 동축케이블용 콘넥터는 다양한 장비와 연결되는 분배 하우징 등의 연결장치에 결합되어 사용되는데 동축케이블의 동심(즉, 중심도체)을 직접 연결할 수 없어 동축케이블의 단부에 설치되는 결합부재를 이와 일체형으로 결합된 커플링부재 등을 통해 케이블 또는 분배 하우징 등의 연결장치에 결합된 연결부재에 동축으로 연결 접속하게 되는데, 이때 연결부재와 결합부재를 서로 나사결합방식으로 연결하는 커플링 부재가 소정의 외력 또는 잦은 외력이 발생되면 풀림되는 현상이 발생되어져 내부의 동심인 중심도체가 접촉 불량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종래에는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식으로 "풀림 방지 기능을 갖는 콘넥터"가 개발되어 국내 공개특허공보 10-2004-0105632호로 개재된 바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은 풀림 방지 기능을 갖는 콘넥터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 된 바와 같이, 동축케이블 연결을 위한 분배 하우징 등의 연결장치(120)에 제공된 나사홀(122)에 나사 결합되며 내측에 중심도체 안내부(140)를 가져서 된 연결부재(100)와, 동축케이블(220)의 단부에 제공되며 내측에 중심도체핀(240)을 갖는 결합부재(200)와, 일단부에 제공된 나사부가 상기 결합부재(200)에 나사결합되고 타단부에 회전가능하게 걸림 연결되어 회전시 상기 연결부재(100)에 나사 결합되는 접속관(320)을 가지며 내측 안내관(340)을 통해 상기 중심도체핀(240)을 상기 중심도체 안내부(140)에 연결 접속하고 상기 연결부재(100)에 제공되는 풀림방지수단(400)의 걸림으로 역회전 풀림이 방지되는 커플링부재(300)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연결부재(100)는, 내측 중심에 절연체로 커버된 공지의 중심도체 안내부(140)가 제공되며, 일단부에 상기 연결장치(120)의 나사홀(122)에 나사결합되는 나사부(102)가 형성되고, 타단부에 상기 커플링부재(300)의 접속관(320)이 나사 결합되도록 나사부(104)가 형성된다. 그리고 외주면 일측 즉, 상기 분배 하우징 방향으로 회전을 위한 다각부(106) 및 상기 다각부(106)을 중심으로 한 상기 커플링부재(300) 접속방향으로는 풀림방지수단(400)이 설치된 구성을 갖고 있다.
또, 상기 연결장치(120)는, 동축케이블, 분배 하우징 등 각종 연결수단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풀림방지수단(400)은, 소정폭을 가지며 상기 연결부재(100)의 외측면 둘레를 따라 형성되고 각기 수직단(411)과 경사단(412)을 형성하여서 된 일방향 기어(410)와, 상기 일방향 기어(410)를 감싸는 형태로 슬라이드 결합되며 그 내주면 일측에 걸림단(421)이 형성되어 상기 연결부재(100)의 일방향 기어(410) 일측 에 제공되는 확개단(422)에 걸려져 상기 연결부재(100)의 축 방향을 따라 소정구간 이동하게 되는 슬라이더(420)와, 상기 슬라이더(420)의 내주면에서 양측이 상기 걸림단(421)과 확개단(422)에 밀착되어 상기 커플링부재(300) 방향으로 복원력을 가지도록 하는 스프링(430)과, 상기 슬라이더(420)의 내주면 일측에 스프링(441) 탄지력으로 돌출 제공되며 상기 일방향 기어(410)의 경사단(412)과 슬라이드 되고 역방향 회전시 수직단(411)에 걸림되어 역회전을 억제하는 래칫구(440)와, 상기 슬라이더(420)의 일면에 제공되어 상기 커플링부재(300)의 접촉면에 형성된 홈(450)에 끼워맞춤시 슬라이드 결합되는 록킹핀(460)으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동축케이블용 콘넥터를 이루게 되며 동축케이블 또는 분배 하우징 등을 포함하는 연결장치와 접속되는 연결부재와, 동축케이블의 단부에 제공되는 결합부재, 및 이들을 상호 나사결합 방식으로 조임 결합하는 커플링부재가 중심도체를 안내 및 연결 접속하는 상태로 상호 결합시 풀림방지수단에 의해 외력에 의한 풀림이 억제되어 안정된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구성은 콘넥터 자체가 상호 분리되는 결합부재(200)와 커플링부재(300) 및 풀림방지수단(400)으로 구성되어 있고, 또한 풀림방지수단 자체가 많은 구성 부품으로 이루어져 있어 제품의 조립 및 생산에 따른 인건비 및 생산원가가 많이 들고 고장율도 높은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결합부재나 커플링부재와 별개로 나사체결형의 풀림방지수단을 제작하여 분배기 등과 같은 연결장치에 설치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호환성이 결여되어 볼트형 연결구가 이미 설치되어 있는 기존의 연결장치 등에는 풀림 방지수단의 결합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기존의 연결장치 등의 경우는 이미 설치되어 있는 볼트형 연결구를 제거하고 그 부위에 풀림방지수단을 결합하기 위한 나사홀을 형성시켜 주어야만 풀림 방지 기능을 갖는 콘넥터를 연결장치 등에 결합시켜 사용할 수 있는데, 실제에 있어 이미 설치된 연결장치 등의 설계 및 그 일부를 변형시키는데 매우 힘이 들므로 풀림방지수단을 결합시키기 위한 나사홀이 이미 형성되어 있는 새로운 연결장치 등으로 교체 설치해야하므로 단지 풀림 방지 기능을 갖는 콘넥터로의 교환을 위해 그 성능에 전혀 이상이 없는 것까지 교체해야만 되어 불필요한 경제적 손실을 가져오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상기 결합부재(200)에 동축케이블(220)과 중심도체핀(240)을 고정 설치함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에 동축케이블을 끼운 다음 결합부재의 단부로 노출된 동축케이블의 외부도체 일부를 가위로 절단하여 절곡하는 방식으로 결합부재와 밀착되도록 한 후 상기 동축케이블의 중심도체에 중심도체핀을 납땜하여 고정 설치하거나, 툴을 이용하여 중심도체상에 중심도체핀을 고정, 또는 슬라이드 형태로 밀어 넣어 고정시키는 방식을 채택하여 고정시키고 있다.
따라서, 결합부재에 동축케이블과 중심도체핀을 고정 설치하는 작업이 전체적으로 매우 복잡하고 번거로운데, 그 중 납땜 방식은 현장에서 적용하기 어렵고, 툴을 이용하는 경우 콘넥터들의 사양 및 제조사 별로 그 사양 등에 맞는 툴을 별도로 보유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으며, 또 슬라이드 방식의 경우 중심도체핀과 케이블 콘넥터 사이에 접촉이 불안전하여 콘넥터 내부에 핀이 미삽입되거나 동축케이블이 밀리는 경우 확인이 불가능 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라디오 위성방송 송수신기 또는 유무선 통신장비 등에서 분배기 등과 같은 연결장치에 연결하여 사용되는 동축케이블의 선단에 설치되는 N형 콘넥터의 커플링부재에 풀림방지용 캡을 일체로 설치하여 기존의 연결장치에 설치되어 있는 볼트형 연결구의 변형 없이 직접 풀림방지용 캡을 통해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콘넥터의 호환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은 물론 제품의 생산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풀림 방지용 콘넥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동축케이블을 결합부재와 결합시킬 때 결합부재의 내부로 동축케이블의 단부를 밀어 넣는 동작만으로 동축케이블의 외부도체가 결합부재의 탄성 절결편들에 의해 고정될 수 있도록 하여 조립성과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풀림 방지용 콘넥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동축케이블의 중심도체상에 결합되는 중심도체핀을 너트형태로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하되, 내부에 나사산이 구비된 상기 중심도체핀의 결합부에는 수개의 절결홈을 구비시켜 결합부 자체에서 탄성력이 구비되도록 하여 중심도체와 중심도체핀 사이의 결합력 증진을 통해 이들 간의 접촉 불량으로 발생될 수 있는 제품 불량 또는 통신신호의 송수신 불량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풀림 방지용 콘넥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콘넥터는, 동축케이블의 외부도체 단부에 탄력적으로 고정 설치되어 커플링부재에 나사 결합되는 결합부재와; 상기 동축케이블의 중심도체에 나사 결합된 상태에서 커플링부재의 인슐레이터 중심부에 고정 설치되어 연결장치의 볼트형 연결구에 설치되어 있는 암핀에 결합되는 중심도체핀과; 일단부 내측에는 상기 결합부재 체결용 나사산을 구비하고 타단부 외측에는 너트 결합부가 형성됨은 물론 상기 너트 결합부의 내부에는 중심도체핀 절연용 인슐레이터가 설치된 형태에서 상기 결합부재가 그 내부로 고정 설치되도록 하는 커플링부재와; 상기 커플링부재의 너트 결합부에 아이들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상태에서 그 일단부에 형성된 탄성 체결부가 상기 연결장치의 볼트형 연결구에 나사 결합되는 너트와; 상기 너트의 탄성 체결부와 자체의 내부에 각각 형성된 왼나사에 의해 상호 나사 결합되어 상기 연결장치의 볼트형 연결구에 나사 결합된 너트의 탄성 체결부 외경을 조여주는 동작을 통해 상기 커플링부재를 포함한 너트가 볼트형 연결구로부터 풀리는 것을 방지하는 풀림 방지용 캡으로 구성한 것을 기본적인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결합부재는 그 내측에 동축케이블 삽입공이 형성되고, 외측 일부에는 커플링부재와 나사 결합되기 위한 나사산이 구비되며, 상기 커플링부재에 삽입되도록 일단부에 형성된 연장부는 절결홈들을 통해 탄성편으로 형성하고, 상기 연장부의 탄성편 내단부에는 동축케이블의 외부도체에 형성된 걸림홈에 끼워져 걸려지는 걸림돌부를 구비시키되, 상기 탄성편의 자유단부 외측에는 압압돌부를 돌출 형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결합부재의 연장부와 커플링부재의 내측에 형성된 단턱부 사이에는 인서트 링을 설치하되, 상기 걸림돌부와 연장부의 자유단부 사이 및 상기 인서트 링의 상면부에는 각각 서로 대향되는 형태로 경사면을 형성시켜 동축케이블에 결합된 상기 결합부재를 커플링부재에 결합할 때 상기 인서트 링의 경사면이 결합부재의 탄성편에 형성된 경사면을 따라 진입되며 연장부의 탄성편들을 외부로 벌려주어 그의 압압돌부가 커플링부재의 내면에 밀착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커플링부재의 너트 결합부 외주면과 상기 너트의 내주면에는 각각 링 설치홈을 형성하고, 이들 링 설치홈 사이에 탄성형 링을 설치하여 상기 너트가 커플링부재의 너트 결합부에서 분리되지 않은 채 아이들 회전 가능하게 하며, 상기 커플링부재의 하방부에는 연결장치의 볼트형 연결구의 외부 케이스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함과 동시에 중심도체핀의 단부를 보호해 주는 파이프형 삽입구를 일체로 돌출 형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중심도체핀은 상단부에 동축케이블의 중심도체에 억지로 나사산을 형성하며 결합되는 원통형 결합부를 형성시키되, 상기 원통형 결합부의 주연부에서 길이 방향으로는 절결홈을 형성시켜 자체적으로 탄성력을 갖도록 하고, 상기 원통형 결합부의 하방부에는 키가 착탈 가능하게 끼워지는 키 홈을 형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너트의 일단부에는 풀림 방지용 캡이 결합되는 캡 결합부를 연장 형성하되, 상기 캡 결합부의 중앙 외주면 일부에는 왼 나사산을 형성하고, 상기 캡 결합부의 단부 일부에는 절결홈의 형성을 통해 탄성편들이 구비되는 탄성 체결부를 형성하며, 상기 탄성 체결부의 내측에는 볼트형 연결구의 나사산에 결합되는 나사산을 형성하고, 상기 탄성 체결부의 자유단부 외측에는 걸림돌턱과 경사면을 연이어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풀림 방지용 캡은 일측 내단부 일부에 상기 너트의 캡 결합부에 형성된 왼 나사산에 결합되는 왼 나사산을 형성하고, 상기 왼 나사산의 하방부에는 상기 탄성 체결부의 걸림돌턱이 걸려지는 받침턱을 형성하며, 상기 받침턱의 하방부에서 타단부 사이에는 상기 탄성 체결부의 경사면에 대응되는 경사부를 형성시켜 너트를 연결장치의 볼트형 연결구에 나사 결합시킨 후 상기 풀림 방지용 캡의 왼 나사산을 상기 너트의 캡 결합부에 형성된 왼 나사산에 결합할 때 상기 경사부가 탄성 체결부의 경사면을 따라 이동하며 압지하여 너트 자체가 볼트형 연결구로부터 역회전되어 풀리는 것이 방지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결합부재의 외주면과 상기 커플링부재의 파이프형 삽입구 외측에는 각각 방수용 O링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풀림 방지용 콘넥터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 콘넥터의 결합상태 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 중 동축케이블에 고정되는 중심도체핀의 확대 사시도이고, 도 7의 (a)-(d)는 동축케이블의 중심도체에 결합부재 와 중심도체핀을 결합하고 이를 커플링부재에 결합시키는 과정을 보인 단면도이다.
이에 따르면 본 발명 콘넥터는, 동축케이블(1)의 외부도체(11) 단부에 탄력적으로 고정 설치되어 커플링부재(4)에 나사 결합되는 결합부재(2)와;
상기 동축케이블(1)의 중심도체(12)에 나사 결합된 상태에서 커플링부재(4)의 인슐레이터(43) 중심부에 고정 설치되어 연결장치(7)의 볼트형 연결구(71)에 설치되어 있는 암핀(72)에 결합되는 중심도체핀(3)과;
일단부 내측에는 상기 결합부재 체결용 나사산(42)을 구비하고 타단부 외측에는 너트 결합부(41)가 형성됨은 물론 상기 너트 결합부(41)의 내부에는 중심도체핀(3)의 절연용 인슐레이터(43)가 설치된 형태에서 상기 결합부재(2)가 그 내부로 고정 설치되도록 하는 커플링부재(4)와;
상기 커플링부재(4)의 너트 결합부(41)에 아이들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상태에서 그 일단부에 형성된 탄성 체결부(52)가 상기 연결장치(7)의 볼트형 연결구(71)에 나사 결합되는 너트(5)와;
상기 너트(5)의 탄성 체결부(52)와 자체의 내부에 각각 형성된 왼 나사산(53)에 의해 상호 나사 결합되어 상기 연결장치(7)의 볼트형 연결구(71)에 나사 결합된 너트(5)의 탄성 체결부(52) 외경을 조여주는 동작을 통해 상기 커플링부재(4)를 포함한 너트(5)가 볼트형 연결구(71)로부터 풀리는 것을 방지하는 풀림 방지용 캡(6)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결합부재(2)는 그 내측에 동축케이블 삽입공(21)이 형성되고, 외측 일부에는 커플링부재(4)와 나사 결합되기 위한 나사산(22)이 구비되며, 상기 커 플링부재(4)에 삽입되도록 일단부에 형성된 연장부(23)는 절결홈(23a)들을 통해 탄성편(23b)으로 형성하고, 상기 연장부(23)의 탄성편(23b) 내단부에는 동축케이블(1)의 외부도체(11)에 형성된 걸림홈(11a)에 끼워져 걸려지는 걸림돌부(23c)를 구비시키되, 상기 탄성편(23b)의 자유단부 외측에는 압압돌부(23d)를 돌출 형성시킨다.
또, 상기 결합부재(2)의 연장부(23)와 커플링부재(4)의 내측에 형성된 단턱부(44) 사이에는 인서트 링(8)을 설치하되, 상기 걸림돌부(23c)와 연장부(23)의 자유단부 사이 및 상기 인서트 링(8)의 상면부에는 각각 서로 대향되는 형태로 경사면(23e)(81)을 형성시켜 동축케이블(1)에 결합된 상기 결합부재(2)를 커플링부재(4)에 결합할 때 상기 인서트 링(8)의 경사면(81)이 결합부재(2)의 탄성편(23b)에 형성된 경사면(23e)을 따라 진입되며 연장부(23)의 탄성편(23b)들을 외부로 벌려주어 그의 압압돌부(23d)가 커플링부재(4)의 내면에 밀착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커플링부재(4)의 너트 결합부(41) 외주면과 상기 너트(5)의 내주면에는 각각 링 설치홈(45)(54)을 형성하고, 이들 링 설치홈(45)(54) 사이에 탄성형 링(9)을 설치하여 상기 너트(5)가 커플링부재(4)의 너트 결합부(41)에서 분리되지 않은 채 아이들 회전 가능하게 하며, 상기 커플링부재(4)의 하방부에는 연결장치(7)의 볼트형 연결구(71)의 외부 케이스(71a)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함과 동시에 중심도체핀(3)의 단부를 보호해 주는 파이프형 삽입구(46)를 일체로 돌출 형성시킨 구성을 갖는다.
한편, 상기 중심도체핀(3)은 상단부에 동축케이블(1)의 중심도체(12)에 억지 로 나사산(12a)을 형성하며 결합되는 원통형 결합부(31)를 형성시키되, 내면에 나사산(31a)이 구비된 상기 원통형 결합부(31)의 주연부에서 길이 방향으로는 절결홈(31b)을 형성시켜 자체적으로 탄성력을 갖도록 하고, 상기 원통형 결합부(31)의 하방부에는 키(10)가 착탈 가능하게 끼워지는 키 홈(32)을 형성시킨 구성을 갖는다.
또, 상기 너트(5)의 일단부에는 풀림 방지용 캡(6)이 결합되는 캡 결합부(51)를 연장 형성하되, 상기 캡 결합부(51)의 중앙 외주면 일부에는 왼 나사산(53)을 형성하고, 상기 캡 결합부(51)의 단부 일부에는 절결홈(52a)의 형성을 통해 탄성편(52b)들이 구비되는 탄성 체결부(52)를 형성하며, 상기 탄성 체결부(52)의 내측에는 볼트형 연결구(71)의 나사산(71b)에 결합되는 나사산(52c)을 형성하고, 상기 탄성 체결부(52)의 자유단부 외측에는 걸림돌턱(52d)과 경사면(52e)을 연이어 형성한 구성을 갖는다.
또한, 상기 풀림 방지용 캡(6)은 일측 내단부 일부에 상기 너트(5)의 캡 결합부(51)에 형성된 왼 나사산(53)에 결합되는 왼 나사산(61)을 형성하고, 상기 왼 나사산(61)의 하방부에는 상기 탄성 체결부(52)의 걸림돌턱(52d)이 걸려지는 받침턱(62)을 형성하며, 상기 받침턱(62)의 하방부에서 타단부 사이에는 상기 탄성 체결부(52)의 경사면에 대응되는 경사부(63)를 형성시켜 너트(5)를 연결장치(7)의 볼트형 연결구(71)에 나사 결합시킨 후 상기 풀림 방지용 캡(6)의 왼 나사산(61)을 상기 너트(5)의 캡 결합부(51)에 형성된 왼 나사산(53)에 결합할 때 상기 경사부(63)가 탄성 체결부(52)의 경사면(52e)을 따라 이동하며 압지하여 너트(5) 자체가 볼트형 연결구(71)로부터 역회전되어 풀리는 것이 방지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결합부재(2)의 외주면과 상기 커플링부재(4)의 파이프형 삽입구(46) 외측에는 각각 방수용 O링(24)(47)을 설치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 콘넥터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의 주요 기술 구성은 풀림 방지용 콘넥터 자체를 동축케이블(1)이 고정되는 결합부재(2)와, 커플링부재(4), 너트(5) 및 풀림 방지용 캡(6)으로 간단히 구성함과 동시에 동축케이블(1)의 중심도체(12)에 결합되는 중심도체핀(3)의 구조를 개선하여 보다 간편하면서도 완벽히 고정시켜 접촉 불량 등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때, 상기 결합부재(2)는 동축케이블(1)의 외부도체(11) 단부에 탄력적으로 고정 설치되어 커플링부재(4)에 나사 결합되는 것으로, 그의 중심부에는 동축케이블(1)이 삽입 설치될 수 있는 동축케이블 삽입공(21)이 형성되어 있고, 또 외측 일부에는 커플링부재(4)와 나사 결합되기 위한 나사산(22)이 구비되어 있다.
또한, 상기 커플링부재(4)에 삽입되도록 일단부에 형성된 연장부(23)는 절결홈(23a)들을 통해 수개의 탄성편(23b)이 구비되도록 형성하고, 상기 연장부(23)의 탄성편(23b) 내단부에는 동축케이블(1)의 외부도체(11)에 형성된 걸림홈(11a)에 끼워져 걸려지는 걸림돌부(23c)를 구비시키며, 상기 탄성편(23b)의 자유단부 외측에는 차후 상기 결합부재(2)를 커플링부재(4)에 결합시켰을시 후술하는 인서트 링(8)의 벌림 작용에 의해 커플링부재(4)의 내면에 밀착되는 압압돌부(23d)가 돌출 형성된 형태를 갖는다.
또, 상기 커플링부재(4)의 내측에 형성된 단턱부(44)에는 인서트 링(8)을 설 치하고, 상기 결합부재(2)의 탄성편(23b)에 형성된 걸림돌부(23c)와 연장부(23)의 자유단부 사이 및 상기 인서트 링(8)의 상면부에는 각각 서로 대향되게 경사면(23e)(81)을 형성시켜 줌으로써 상기 동축케이블(1)에 결합된 결합부재(2)를 커플링부재(4)에 결합할 때 상기 인서트 링(8)의 경사면(81)이 결합부재(2)의 탄성편(23b)에 형성된 경사면(23e)을 따라 진입되며 연장부(23)의 탄성편(23b)들을 외부로 벌려주므로 상기 탄성편(23b)의 외측에 돌출 형성된 압압돌부(23d)가 커플링부재(4)의 내면에 밀착되어 커플링부재(4)로부터 결합부재(2)가 자유롭게 풀리는 것이 방지된다.
한편, 중심도체핀(3)은 상기 동축케이블(1)의 중심도체(12)에 결합된 상태에서 커플링부재(4)의 인슐레이터(43) 중심부에 고정 설치되어 연결장치(7)의 볼트형 연결구(71)에 설치되어 있는 암핀(72)에 결합되는 것이다.
그런데, 본 발명에서는 종래와 달리 상기 중심도체핀(3)의 상단부에 형성되는 원통형 결합부를 동축케이블(1)의 중심도체(12)에 억지로 나사산(12a)을 형성하며 결합될 수 있도록 그 내부에 나사산(31a)이 형성된 원통형 결합부(31)로 형성하고, 상기 원통형 결합부(31)의 주연부에서 길이 방향으로는 절결홈(31b)을 형성시켜 자체적으로 탄성력을 갖도록 함은 물론 상기 원통형 결합부(31)의 하방부에는 키(10)가 착탈 가능하게 끼워질 수 있는 키 홈(32)을 형성시켰다.
따라서, 상기 중심도체핀(3)을 동축케이블(1)의 중심도체(12)에 결합시킬 때에는 종래와 달리 상기 중심도체핀(3)의 원통형 결합부(31)를 동축케이블(1)의 중심도체(12) 단부에 위치시킨 후 원통형 결합부(31)의 하방부에 형성된 키 홈(32)에 핀과 같은 형태를 갖는 키(10)을 삽입 설치하여 이를 손으로 잡고 돌려주게 되면, 니켈 도금 등에 의해 비교적 그 경도가 강한 상기 원통형 결합부(31)의 내부에 형성된 나사산(31b)이 연질의 중심도체(12)의 외주면에 나사산(12a)을 형성시키면서 도 7의 (b)와 같이 체결된다.
이때, 상기 원통형 결합부(31)의 주연부에는 수개의 절결홈(31b)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원통형 결합부(31)가 자체적으로 탄성력을 갖게 되어 상기와 같이 키(10)를 이용하여 중심도체핀(3)을 회전시켜 동축케이블(1)의 중심도체(12)상에 나사산(12a)을 형성시키며 나사 결합시킬 때 상기 중심도체(12)의 외경보다 비교적 적도록 형성시킨 원통형 결합부(31)의 내경이 중심도체(12)의 외경에 맞춰 탄력적으로 변화된다.
그러므로 동축케이블(1)의 중심도체(12)에 고정 설치되는 중심도체핀(3)의 결합을 간편하게 실시할 수 있음은 물론 이들 사이의 결합력을 증진시킬 수 있어 이들 간의 접촉 불량으로 발생될 수 있는 제품 불량 또는 통신신호의 송수신 불량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것이다.
물론, 상기 키(10)는 중심도체핀(3)을 동축케이블(1)의 중심도체(12) 상에 결합시키거나 그로부터 분리시킬 때에 중심도체핀(3)에 강한 회전력을 주기 위해 사용되는 것이므로 상호 결합 또는 분리가 완료된 후에는 키 홈(32)으로부터 빼내어 보관하면 된다.
또한, 상기 커플링부재(4)는 일단부 내측에 상기 결합부재 체결용 나사산(42)이 구비되어 있고, 타단부 외측에는 너트 결합부(41)가 형성되어 있음은 물론 상기 너트 결합부(41)의 내부에는 중심도체핀(3)과의 절연을 위한 인슐레이터(43)가 설치된 형태에서 상기 결합부재(2)가 그 내부로 고정 설치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커플링부재(4)의 너트 결합부(41) 외주면과 후술하는 너트(5)의 내주면에는 각각 링 설치홈(45)(54)이 형성되어 있고, 이들 링 설치홈(45)(54) 사이에는 탄성형 링(9)이 설치되어 있으므로 상기 너트(5)가 커플링부재(4)의 너트 결합부(41)에서 분리되지 않은 채 아이들 회전 가능하게 된다.
상기에 있어서 상기 커플링부재(4)의 너트 결합부(41)에 너트(5)를 결합시킬 때에는 상기 커플링부재(4)의 너트 결합부(41)에 형성된 링 설치홈(45)에 탄성형 링(9)을 설치하고, 지그를 이용하여 상기 탄성형 링(9)을 압압하여 링 설치홈(45)내로 끼워지도록 한 후, 너트(5)를 상기 커플링부재(4)의 너트 결합부(41)의 외측으로 삽입시킴과 동시에 탄성형 링(9)으로부터 지그를 제거시키면 상기 탄성형 링(9)이 자체의 탄성력에 의해 복원되면서 상기 커플링부재(4)의 너트 결합부(41) 외주면과 너트(5)의 내주면에 각각 형성된 링 설치홈(45)(54) 사이에 끼워져 걸려지게 되므로 상기 너트(5)가 커플링부재(4)의 너트 결합부(41)에서 분리되지 않은 채 아이들 회전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또, 상기 커플링부재(4)의 하방부에는 파이프형 삽입구(46)를 일체로 돌출 형성하여 상기 너트(5)를 통해 커플링부재(4)를 연결장치(7)의 볼트형 연결구(71)에 결합시켰을 때 상기 커플링부재(4)가 파이프형 삽입구(46)를 통해 볼트형 연결구(71)의 외부 케이스(71a)와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게 됨은 물론 상기 중심도체핀(3)의 단부가 외부의 압력이나 충격 등에 의해 휘어지는 등의 손상 발생을 미연 에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너트(5)는 커플링부재(4)의 너트 결합부(41)에 아이들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상태에서 그 일단부에 형성된 탄성 체결부(52)가 상기 연결장치(7)의 볼트형 연결구(71)에 나사 결합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너트(5)의 일단부에는 풀림 방지용 캡(6)이 결합될 수 있도록 캡 결합부(51)가 연장 형성되어 있고, 상기 캡 결합부(51)의 중앙 외주면 일부에는 왼 나사산(53)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캡 결합부(51)의 단부 일부에는 절결홈(52a)을 통한 탄성편(52b)들이 구비된 탄성 체결부(52)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탄성 체결부(52)의 내측에는 볼트형 연결구(71)의 나사산(71b)에 결합되는 나사산(52c)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탄성 체결부(52)의 자유단부 외측에는 걸림돌턱(52d)과 경사면(52e)이 연이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핵심 구성인 풀림 방지용 캡(6)은 상기 너트의 탄성 체결부(52)와 자체의 내부에 각각 형성된 왼 나사산(61)(53)에 의해 상호 나사 결합되어 상기 연결장치(7)의 볼트형 연결구(71)에 나사 결합된 너트(5)의 탄성 체결부(52) 외경을 조여주는 동작을 통해 상기 커플링부재(4)를 포함한 너트(5)가 볼트형 연결구(71)로부터 풀리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풀림 방지용 캡(6)은 그 일측 내단부 일부에 상기 너트(5)의 캡 결합부(51)에 형성된 왼 나사산(53)과 결합되는 왼 나사산(61)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왼 나사산(61)의 하방부에는 상기 탄성 체결부(52)의 걸림돌턱(52d)이 걸려지는 받침턱(62)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받침턱(62)의 하방부에서 타단부 사이에는 상기 탄성 체결부(52)의 경사면에 대응되는 경사부(63)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에 있어서 너트(5)에 풀림 방지용 캡(6)을 결합시킬 때에는 절결홈(52a)을 통한 탄성편(52b)들을 일체로 구비하고 있는 상기 너트(5)의 캡 결합부(51)에 형성된 탄성 체결부(52)를 지그를 이용하여 압입하는 방식을 통해 풀림 방지용 캡(6)의 내경보다 그 외경이 작아지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풀림 방지용 캡(6)을 상기 너트(5)의 캡 결합부(51)에 결합시킨 후 지그를 분리시키면 상기 너트(5)의 캡 결합부(51)에 형성된 탄성 체결부(52)의 탄성편(52b)들이 자체의 탄성력에 의해 복원되면서 상기 탄성 체결부(52)의 걸림돌턱(52d)이 풀림 방지용 캡(6)의 받침턱(62)에 걸려지게 되므로 상기 풀림 방지용 캡(6)은 너트(5)의 캡 결합부(51) 상에서 자유로운 회동이 가능한 상태를 갖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이 적용된 콘넥터를 연결장치(7)에 결합시키고자 할 때에는 도 7의 (d)와 같은 형태를 간는 콘넥터의 너트(5)와 커플링부재(4)의 파이프형 삽입구(46)를 도 4와 같이 연결장치(7)의 볼트형 연결구(71)에 삽입 결합시킨 다음, 오른 나사 체결방식을 통해 너트(5)만을 커플링부재(4)의 너트 결합부(41)에서 회전시켜 탄성 체결부(52)의 내면에 형성된 나사산(52c)이 볼트형 연결구(71)의 나사산(71b)에 결합되도록 한다.
이어서, 상기 풀림 방지용 캡(6)를 상방부로 당겨주면서 왼 나사 체결 방식으로 회전시켜 주게 되면 상기 풀림 방지용 캡(6)의 내면에 형성된 왼 나사산(61)가 너트(5)의 캡 결합부(51)에 형성된 왼 나사산(53)에 결합되면서 너트(5)의 캡 결합부(51)를 따라 상방부로 이동하게 되므로 상기 풀림 방지용 캡(6)의 경사부 (63)가 탄성 체결부(52)의 탄성편(52b)에 형성된 경사면(52e)을 따라 이동하며 탄성편(52b)들의 단부를 볼트형 연결구(71)측으로 압지하게 되므로 상기 풀림 방지용 캡(6)이 너트(5)의 외측에 고정됨과 동시에 너트(5) 자체는 볼트형 연결구(71)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어 상기 너트(5)가 볼트형 연결구(71)로부터 역회전되어 풀리는 것이 방지된다.
물론, 본 발명이 적용된 콘넥터를 볼트형 연결구(71)로부터 분리시키고자할 때에는 전술과 반대로 왼 나사 방식에 의해 너트(5)의 외측에 체결되어 있는 풀림 방지용 캡(6)을 먼저 전술과 반대 방향으로 회동시켜 너트(5)의 결속을 해제시킨 후, 상기 너트(5)를 오른 나사의 풀림 방향으로 회동시켜 너트(5)와 볼트형 연결구(71)의 결속을 해제시키고 콘넥터 자체를 잡아당겨 볼트형 연결구(71)로부터 분리시키면 된다.
한편, 각각 금속재로 형성된 상기 결합부재(2)와 커플링부재(4)의 결합부 및 상기 커플링부재(4)와 너트(5) 및 볼트형 연결구(71)의 결합부를 그대로 둘 경우 이들의 결합부에 형성되는 틈을 통해 물기가 유입되어 전기적으로 단락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결합부재(2)의 외주면과 상기 커플링부재(4)의 파이프형 삽입구(46) 외측에는 각각 방수용 O링(24)(47)을 설치하여 줌으로써 물기의 유입으로 인한 단락 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예에 대하여 설명한 것이지만, 상기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첫째 동축케이블의 선단에 설치되는 N형 콘넥터의 커플링부재에 풀림방지용 캡을 일체로 설치하여 줌으로써 기존의 연결장치에 설치되어 있는 볼트형 연결구의 변형 없이 직접 풀림방지용 캡을 통해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어 콘넥터의 호환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은 물론 제품의 생산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것이다.
둘째 동축케이블을 결합부재와 결합시킬 때 결합부재의 내부로 동축케이블의 단부를 밀어 넣는 동작만으로 동축케이블의 외부도체가 결합부재의 탄성 절결편들에 의해 고정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동축케이블용 콘넥터의 조립성과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셋째 동축케이블의 중심도체상에 결합되는 중심도체핀의 원통형 체결부내에 나사산을 형성시켜 줌과 동시에 원통형 나사 체결부에 수개의 절결홈을 구비시켜 결합부 자체에서 탄성력이 구비되도록 함으로써 중심도체와 중심도체핀 사이의 결합력을 증진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들 간의 접촉 불량으로 발생될 수 있는 제품 불량 또는 통신신호의 송수신 불량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등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Claims (13)

  1. 동축케이블의 외부도체 단부에 탄력적으로 고정 설치되는 결합부재와;
    상기 동축케이블의 중심도체에 나사 결합된 상태에서 연결장치의 볼트형 연결구에 설치되어 있는 암핀에 결합되는 중심도체핀과;
    일단부 내측에 상기 결합부재 체결용 나사산을 구비하고 타단부 외측에는 너트 결합부가 형성됨은 물론 상기 너트 결합부의 내부에는 인슐레이터가 설치된 형태에서 상기 결합부재가 그 내부로 고정 설치되도록 하는 커플링부재와;
    상기 커플링부재의 너트 결합부에 아이들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상태에서 그 일단부에 형성된 탄성 체결부가 상기 연결장치의 볼트형 연결구에 나사 결합되는 너트와;
    상기 너트의 탄성 체결부와 자체의 내부에 각각 형성된 왼 나사산에 의해 상호 결합되며 상기 볼트형 연결구에 나사 결합된 너트의 탄성 체결부 외경을 조여주는 동작을 통해 상기 커플링부재를 포함한 너트가 볼트형 연결구로부터 풀리는 것을 방지하는 풀림 방지용 캡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림 방지용 콘넥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는 그 내측에 동축케이블 삽입공이 형성되고, 외측 일부에는 커플링부재와 나사 결합되기 위한 나사산이 구비되며, 상기 커플링부재에 삽입되도 록 일단부에 형성된 연장부는 절결홈들을 통해 탄성편으로 형성하고, 상기 연장부의 탄성편 내단부에는 동축케이블의 외부도체에 형성된 걸림홈에 끼워져 걸려지는 걸림돌부를 구비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림 방지용 콘넥터.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의 연장부에 형성된 탄성편의 자유단부 외측에는 압압돌부를 돌출 형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림 방지용 콘넥터.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의 연장부와 커플링부재의 내측에 형성된 단턱부 사이에는 인서트 링을 설치하되, 상기 걸림돌부와 연장부의 자유단부 사이 및 상기 인서트 링의 상면부에는 각각 서로 대향되는 형태로 경사면을 형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림 방지용 콘넥터.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커플링부재의 너트 결합부 외주면과 상기 너트의 내주면에는 각각 링 설치홈을 형성하고, 이들 링 설치홈 사이에 탄성형 링을 설치하여 상기 너트가 커 플링부재의 너트 결합부에서 분리되지 않은 채 아이들 회전 가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림 방지용 콘넥터.
  6.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커플링부재의 하방부에는 연결장치의 볼트형 연결구의 외부 케이스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함과 동시에 중심도체핀의 단부를 보호해 주는 파이프형 삽입구를 일체로 돌출 형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림 방지용 콘넥터.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중심도체핀은 상단부에 동축케이블의 중심도체에 억지로 나사산을 형성하며 결합되는 원통형 결합부를 형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림 방지용 콘넥터.
  8.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중심도체핀의 원통형 결합부 주연부에서 길이 방향으로는 절결홈을 형성시켜 자체적으로 탄성력을 갖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림 방지용 콘넥터.
  9.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중심도체핀의 원통형 결합부 하방부에는 키가 착탈 가능하게 끼워지는 키 홈을 형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림 방지용 콘넥터.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너트의 일단부에는 풀림 방지용 캡이 결합되는 캡 결합부를 연장 형성하되, 상기 캡 결합부의 중앙 외주면 일부에는 왼 나사산을 형성하고, 상기 캡 결합부의 단부 일부에는 탄성 체결부를 형성하며, 상기 탄성 체결부의 내측에는 볼트형 연결구의 나사산에 결합되는 나사산을 형성하고, 상기 탄성 체결부의 자유단부 외측에는 걸림돌턱과 경사면을 연이어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림 방지용 콘넥터.
  11.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너트의 탄성 체결부는 절결홈과 탄성편들이 교호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림 방지용 콘넥터.
  12. 청구항 1에 또는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풀림 방지용 캡은 일측 내단부 일부에 상기 너트의 캡 결합부에 형성된 왼 나사산에 결합되는 왼 나사산을 형성하고, 상기 왼 나사산의 하방부에는 상기 탄성 체결부의 걸림돌턱이 걸려지는 받침턱을 형성하며, 상기 받침턱의 하방부에서 타단부 사이에는 상기 탄성 체결부의 경사면에 대응되는 경사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림 방지용 콘넥터.
  1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의 외주면과 상기 커플링부재의 파이프형 삽입구 외측에는 각각 방수용 O링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림 방지용 콘넥터.
KR1020050071587A 2005-08-05 2005-08-05 풀림 방지용 콘넥터 KR1006491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1587A KR100649178B1 (ko) 2005-08-05 2005-08-05 풀림 방지용 콘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1587A KR100649178B1 (ko) 2005-08-05 2005-08-05 풀림 방지용 콘넥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49178B1 true KR100649178B1 (ko) 2006-11-27

Family

ID=377133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71587A KR100649178B1 (ko) 2005-08-05 2005-08-05 풀림 방지용 콘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49178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0000B1 (ko) * 2007-10-23 2008-09-25 (주)청화테크 케이블 도시청 방지장치
KR200459762Y1 (ko) 2011-01-11 2012-04-13 주식회사 호성테크닉스 클림핑 동축케이블 콘넥터
KR102138578B1 (ko) * 2019-10-21 2020-07-29 주식회사유비씨에스 풀림 방지용 분배기 결합형 케이블 커넥팅 모듈
KR102189341B1 (ko) * 2020-06-23 2020-12-09 황선태 안테나 케이블 커넥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0000B1 (ko) * 2007-10-23 2008-09-25 (주)청화테크 케이블 도시청 방지장치
KR200459762Y1 (ko) 2011-01-11 2012-04-13 주식회사 호성테크닉스 클림핑 동축케이블 콘넥터
KR102138578B1 (ko) * 2019-10-21 2020-07-29 주식회사유비씨에스 풀림 방지용 분배기 결합형 케이블 커넥팅 모듈
KR102189341B1 (ko) * 2020-06-23 2020-12-09 황선태 안테나 케이블 커넥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19876B2 (en) Coaxial connector apparatus and method
US20060178047A1 (en) Rj "f", modular connector for coaxial cables
US6692285B2 (en) Push-on, pull-off coaxial connector apparatus and method
KR100646757B1 (ko) 풀림 방지형 콘넥터
US7564417B2 (en) Antenna device having a non-electrical engagement during pre-lock
US20130012063A1 (en) Cable connector
KR20050076803A (ko) 푸쉬-온 커넥터 인터페이스
US7435144B2 (en) Electrical splice connector
US4820184A (en) Electrical connector retaining ratchet
JPS6343873B2 (ko)
KR100649178B1 (ko) 풀림 방지용 콘넥터
JP2012508432A (ja) 回転防止同軸コネクタ
EP3582338B1 (en) Coupling structure of cable connector
CN103597671B (zh) 同轴插入式连接器
JP2004006334A (ja) 高精度bncコネクタ
KR101132375B1 (ko) 동축케이블 커넥터의 체결구조
KR200415859Y1 (ko) 풀림 방지형 콘넥터
KR20150131006A (ko) 삽입형 커넥터
KR100844590B1 (ko) 슬림형 동축케이블 커넥터
KR200386133Y1 (ko) 동축케이블 연결용 컨넥터
CA2774010C (en) Hf interface and connecting device for connecting a high-frequency (hf) cable to the hf interface
US7134899B1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US20100130046A1 (en) Terminated plug connector for antenna equipment
CA2741150A1 (en) An electrical connector, particularly for a drill string
KR100557494B1 (ko) 풀림방지 기능을 갖는 콘넥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115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