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37454A - 무선통신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무선통신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37454A
KR20100137454A KR1020107020171A KR20107020171A KR20100137454A KR 20100137454 A KR20100137454 A KR 20100137454A KR 1020107020171 A KR1020107020171 A KR 1020107020171A KR 20107020171 A KR20107020171 A KR 20107020171A KR 20100137454 A KR20100137454 A KR 201001374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nd
uplink
bands
frequency side
downli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201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로마사 후지이
히토시 요시노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 도코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 도코모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 도코모
Publication of KR201001374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3745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6/00Network planning, e.g. coverage or traffic planning tools; Network deployment, e.g. resource partitioning or cells structures
    • H04W16/14Spectrum sharing arrangements between different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08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delivery, e.g. discovery data delivery
    • H04W48/12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delivery, e.g. discovery data delivery using downlink control chann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53Resources in frequency domain, e.g. a carrier in FDM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ime-Division Multiplex Systems (AREA)

Abstract

무선통신장치는, 동일 또는 다른 이동통신시스템에 할당되어 있는 제1 및 제2 주파수대역간의 대역인 중간대역을 검출하는 중간대역 검출부; 상기 제1 및 제2 주파수대역에서 각각 사용되고 있는 상하링크의 다중방식을 검출하는 사용상황 검출부; 및 상기 중간대역 및 상기 상하링크의 다중방식에 기초하여, 상기 중간대역에서 사용 가능한 상하링크의 다중방식과, 상기 중간대역 중에서 사용이 금지되는 가드밴드 대역을 적어도 결정하는 결정부;를 갖는다.

Description

무선통신장치 및 방법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이동통신 기술분야에 관련하며, 특히 이동통신시스템에 있어서의 무선통신장치 및 방법에 관련한다.
이러한 종류의 기술분야에서는, 종래의 제3세대 이동통신 방식에 이어지는 방식에 관한 연구개발이 급속도로 진행되고 있다. 제4세대 이동통신시스템 등 향후의 이동통신시스템에 대해서 할당되는 주파수대역은, 작금의 고속 전송에의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보다 넓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경우에 따라서는, 할당 대역이 상당히 넓어, 신규 할당 주파수대의 일부에 기존 시스템의 대역이 포함된다. 이 경우, 신구 쌍방의 시스템이 병존한 상태를 거쳐, 단계적으로 신 시스템으로의 이행이 진행될 것이다.
도 1은 대역을 할당하는 일 예를 나타낸다. '초기' 단계에서는, 좌측(저주파측)에 기존 시스템의 대역이 할당되어 있다. 이 시스템은, 주파수분할복신(FDD:Frequency Division Duplexing) 방식을 사용하며, 상향링크 및 하향링크에 다른 주파수가 사용된다. 다음으로, 우측(고주파측)에 신규 시스템용의 추가적인 대역이 마련된다. '추가 할당 후' 상태에서는, 구 시스템을 그대로 사용하면서, 신 시스템의 운용이 개시 가능하게 된다. 최종적으로는, '이상적인 할당'으로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광범위한 주파수대역에서 신 시스템 서비스가 수행된다. 그러나 이 경우,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추가 할당 후' 상태에서는, FDD의 상향과 하향 사이의 가드 인터벌이 복수 존재한다. 이것은, 주파수의 유효 이용의 관점에서는 바람직하지 않다.
그런데, 다른 시스템 대역간이나 상하링크의 전환에 대비하여, 가드 인터벌 또는 가드밴드가 마련된다. 이동무선통신시스템에서는, FDD뿐만 아니라, 시간분할복신(TDD:Time Division Duplexing) 방식이 사용되는 경우도 있다. 이하에 설명되는 바와 같이, 'FDD의 상향과 FDD의 상향' 혹은 'FDD의 하향과 FDD의 하향'에 비교하여, 'FDD의 상향과 FDD의 하향', 'FDD와 TDD' 및 'TDD 시스템끼리'의 대역 사이에는, 비교적 넓은 가드밴드를 마련한 필요가 있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인접 주파수대역이, 모두, 하향링크로 사용되고 있었다고 하자. 이 경우, 각 단말은 재권 셀의 기지국으로부터 소망파(desired wave)를 수신하고, 다른 기지국으로부터 간섭파(interference wave)를 받는다. 어느 시스템 X의 단말이 최적의 기지국으로부터 소망파를 수신하고 있는 한, 다른 시스템 Y의 기지국으로부터의 간섭파는 비교적 적다. 인접 주파수대역이 모두 상향링크에 사용되고 있던 경우도 마찬가지로, 일방의 시스템 기지국은, 타방의 시스템 단말로부터 그다지 큰 간섭을 받지 않는다. 따라서, 각 시스템의 통신의 상하방향이 같은 경우, 인접하는 대역간에 마련하는 가드밴드는 비교적 좁아도 좋다.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편방의 시스템에서 하향링크에, 타방의 시스템에서 상향링크에, 어느 인접하는 주파수대역이 사용되었다고 하자. 이 상황에서는, 일방의 시스템 X의 단말이 송신을 수행하고 있을 때에, 타방의 시스템 Y의 기지국이 송신을 수행하게 된다. 기지국끼리 서로 간섭을 미치므로, 각자가 받는 간섭의 영향은, 단말로부터 받는 간섭보다 커지게 된다. 이것은, 기지국으로부터 기지국으로의 간섭에 대해서는, 기지국으로부터 단말로의 간섭에 비해, 기지국은 수신감도가 높다는 것, 안테나 높이가 높다는 것, 전파적으로도 보다 먼 간섭파까지 수신할 수 있다는 것 등에 기인한다.
도 4는, 상하방향이 다른 통신이 인접 주파수대역에서 수행되는 상태를 더 구체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기지국 C는 단말 C로부터의 소망파(상향신호)와, 기지국 A로부터의 간섭파를 받는다. 또한, 일의적이지는 않으나 예를 들면, 이 기지국 C는 도 3의 기지국 X에, 기지국 A는 도 3의 기지국 Y에, 그리고 단말 C는 도 3의 단말 X에 상당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향링크에 있어서의 타 기지국으로부터의 간섭에 대해서는, 간섭원이 기지국이 되며, 간섭원이 단말인 경우와 비교하여 송신전력이나 안테나 이득이 커지게 된다. 또한, 전망하기 쉬운 전파환경 등에 의한 영향에 의해, 밴드간의 간섭의 영향은 커지게 된다.
도 5도, 상하방향이 다른 통신이 인접 주파수대역에서 수행되는 상태를 더 구체적으로 나타내고 있으나, 통신의 상하방향이 다르다.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단말 A는 기지국 A로부터의 소망파(하향신호)와, 단말 C로부터의 간섭파를 받는다. 일의적이지는 않으나 예를 들면, 단말 A는 도 3의 단말 Y에, 기지국 A는 도 3의 기지국 Y에, 단말 C는 도 3의 기지국 X에 상당한다. 하향링크에 있어서의 타 단말로부터의 간섭에 대해서는, 간섭원이 단말이며, 송신전력이나 안테나 이득은 기지국의 그것에 비하여 작다. 그러나, 단말끼리는, 상당히 가까운 거리까지 근접할 가능성이 있으므로 밴드간의 간섭의 영향은 커질 가능성이 있다. 예를 들면, 각 단말이 모두 셀 단에 위치하여, 단말끼리가 접근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FDD의 상향링크와 하향링크가 인접하는 경우에 있어서는, FDD 하향링크간이나 FDD 상향링크간에 비하여, 넓은 가드밴드가 필요하게 된다.
또한, 상기 문제에 더하여, FDD에서는, 자국이 송신중에 수신을 수행하기 때문에, 자국이 송신하는 주파수대와 수신 주파수대가 충분히 격리되어 있을 필요도 있다.
또, 상기 문제에 대한 해결책으로서, 도 6에 도시되는 소프트웨어 무선과, CPC(Cognition supporting Pilot channel)를 이용하는 방법이 있다.
종래에는, 예를 들면 세계 공통의 파일럿채널(CPC)이 마련되어 알려지고 있다. 단말은, 전원투입시도 전원투입후도, 정기적으로 이 CPC를 감시한다. CPC는, 예를 들면, 어느 대역의 주파수 할당상황(오퍼레이터, 무선 인터페이스 사양) 등에 관한 정보를 포함한다. 단말은, 이 정보를 기초로, 단말의 구성을 재구축하고, 지정 주파수대를 이용하여 전송을 수행한다.
도 6은 CPC를 이용하는 경우의 시스템의 개요를 나타낸다. 도시된 예에서는, 동일 지역에서 2개의 시스템이 병존하고, 오퍼레이터 1, 2 각자가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쌍방의 시스템 단말은 CPC를 수신한다.
한편, 이 방법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CPC에 따라서, 지정된 주파수에서 송수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모든 단말이, 복수의 주파수 신호를 송수신 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을 필요가 있다. 따라서 이 방법에서는 단말의 부하가 상당히 커져버린다는 문제도 있다. 또한, 설비 투자 비용 등의 관점에서는, 상정되는 모든 에어리어에서 유저장치가 CPC를 적절히 수신할 수 있도록 하는 것 자체가 용이하지 않을지도 모른다.
다른 한편, 다양한 오퍼레이터가 다양한 서비스를 전개하는 중에, 다양한 지역의 각각에서 최적의 통신방법을 CPC로 일률로 알리도록 하면, CPC에 요하는 제어정보량이 과잉으로 많아져 버린다. 이것은, 오버헤드를 가능한 적게하고, 보다 많은 리소스를 데이터 전송에 할당하여 스루풋을 향상시키는 등의 관점에서는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의 과제는, 동일 지역에서 다른 주파수대역이 사용되는 경우에, 주파수의 이용효율을 향상시키면서 제어신호에 의한 오버헤드를 과잉으로 늘리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형태에서는, 무선통신장치가 사용된다. 해당 무선통신장치는, 동일 또는 다른 이동통신시스템에 할당되어 있는 제1 및 제2 주파수대역간의 대역인 중간대역을 검출하는 중간대역 검출부; 상기 제1 및 제2 주파수대역에서 각각 사용되고 있는 상하링크의 다중방식을 검출하는 사용상황 검출부; 및 상기 중간대역 및 상기 상하링크의 다중방식에 기초하여, 상기 중간대역에서 사용 가능한 상하링크의 다중방식과, 상기 중간대역 중에서 사용이 금지되는 가드밴드 대역을 적어도 결정하는 결정부;를 갖는 무선통신장치이다.
본 발명은, 다른 주파수대역을 사용하는 시스템이 동일 지역에서 복수 병존하는 경우에, 주파수의 이용효율을 향상시키면서 제어신호에 의한 오버헤드를 과잉으로 늘리지 않도록 하는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도 1은 주파수대역이 단계적으로 확장되어 가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2는 상하방향이 같은 경우의 소망파와 간섭파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3은 상하방향이 다른 경우의 소망파와 간섭파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4는 상하방향이 다른 경우의 상향링크시에 생기는 간섭파를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5는 상하방향이 다른 경우의 하향링크시에 생기는 간섭파를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6은 CPC가 사용되는 경우의 시스템 개념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동작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중계기의 구성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9는 중간대역에 설정하는 가드밴드폭을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10은 중간대역의 이용 예를 나타내는 도(FFD)이다.
도 11은 중간대역의 이용 예를 나타내는 도(FDD+TDD)이다.
도 12는 중간대역의 이용 예를 나타내는 도(FDD+TDD)이다.
도 13은 중간대역의 이용 예를 나타내는 도(TDD-동기)이다.
도 14a는 중간대역의 이용 예를 나타내는 도(TDD-비동기)이다.
도 14b는 중간대역의 이용 예를 나타내는 도(TDD)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중계기의 구성 예(송신전력을 고려하는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6은 중간대역을 이용할 때 송신전력을 고려하는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7은 중간대역의 이용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8은 중간대역을 이용할 때 간섭전력을 고려하는 예(간섭이 강한 경우)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9는 중간대역을 이용할 때 간섭전력을 고려하는 예(간섭이 약한 경우)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중계기의 구성 예(간섭전력을 고려하는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21은 중간대역의 이용 예(간섭이 강한 경우)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22는 중간대역의 이용 예(간섭이 약한 경우)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중계기의 구성 예(사용제한신호를 이용하는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24는 중간대역에서의 중계가 허가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25는 중간대역에서의 중계가 금지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26은 CPC로 사용 허락여부 신호가 전송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이다.
이하에 설명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형태에서 사용되는 무선통신장치는, 소정 룰에 기초하여, 인접하여 사용되는 이동무선통신시스템과의 가드밴드폭이나 송신전력을 결정하고, 신호의 중계/로컬 에어리어 통신 등에 이용한다. 본원에 있어서의 '무선통신장치'라는 용어는, 셀룰러 시스템의 통상의 기지국뿐만 아니라, 마이크로 셀 기지국, 펨토 셀(femto cell) 기지국, 중계국(relay station), 자영(self-operated) 무선통신장치 등을 포함하는 개념으로서 사용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형태에서 상정하는 시스템 구성 예를 나타낸다.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동통신시스템의 기지국(상기 무선통신장치)(BS)은, 통상, 이동국(UE)과 직접 통신을 수행한다. 그러나, 옥내나, 건물 그늘 등, 기지국으로부터 직접 전파가 닿기 어려운 장소에 위치하는 이동국에 대해서는, 기지국은 중계기(R)를 통해서 통신을 수행해도 좋다. 설명의 편의상, 기지국(BS)과 통신하는 것은 이동국으로 하지만, 보다 일반적으로는 유저장치(UE:User Equipment)가 기지국(BS)이나 중계기(R)와 통신을 수행해도 좋다.
통상, 중계기는, 시스템대역 중에서 중계용으로 마련된 대역(기지국이 전송을 수행하는 대역과 동일한 경우를 포함)을 이용하여 전송을 수행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 형태에서는, 중계기는, 시스템대역 이외의 중간대역(종래 사용할 수 없었던 시스템간의 가드밴드)을 이하에 나타내는 방법에 의해 인식하여, 이 중간대역의 사용방법을 결정하고, 중간대역에서 중계를 수행한다. 단순한 설명의 간명화 관점에서, '중계기'를 이용하여 설명되는 부분도 있으나, 보다 일반적으로, 그와 같은 '중계기'의 기능이 '무선통신장치'에서 실행되어도 좋다.
이 중간대역의 이용은, 통신거리가 짧은 단말의 통신에 한정되며, 전송거리를 짧게 제한함으로써, 통상의 하향 전송 혹은 상향 전송에 비교하여, 대폭으로 송신전력을 억제할 수 있다. 때문에, 종래 가드밴드로서 이용할 수 없었던 대역을, 중계기(R)가 이용할 수 있게 된다. 단, 특히 중계 용도로서 이용되는 경우, 이동무선통신시스템에 이용되는 대역 A, B와 중계기에서 이용되는 대역 a, b에 관해서, A와 a, B와 b는 충분히 격리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론상은, CPC와 같은 공통제어채널에 의해, 중간대역의 사용법, 즉, 할당법이나 사용 파라미터의 제한(가드밴드폭, 허용 송신전력) 등이 알려져도 좋다. 그러나, 중간대역의 최적의 사용법은, 중계기와, 이동통신시스템의 기지국/이동국과의 거리에도 의존하기 때문에, 그들 모두를 공통제어채널로 지정 사용하게 하는 것은 반드시 바람직하지는 않다.
또한, 중계기 혹은, 자영 무선통신장치가 전송하는 트래픽 내용에 따라, 원하는 대역의 사용방법(상향 리소스와 하향 리소스 비율)이 다를 가능성도 있다. CPC로 사용법을 고정적으로 결정하면, 그와 같은 경우의 자유도를 크게 제한해 버리는 것이 우려된다.
또한, CPC에 의해 중간대역의 사용방법에 대한 정보의 송신을 모두 알리려고 하면, CPC에 필요한 제어 신호량이 커져, 많은 주파수 리소스를 이용할 필요가 있다.
특히, 중간대역을 사용하는 다중방식, 링크의 종별이나, 실행복사전력(effective radiation power values)이 다양한 경우는, 특히, 제어 신호량이 많아져 버린다. 이것은 오버헤드를 줄이는 관점에서 특히 바람직하지 않다.
이하의 관점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가 설명된다.
1. FDD
2. TDD
3. 송신전력제어
4. 간섭전력
5. 사용제한신호
그러나, 각 실시 예의 구분은 본 발명에 본질적이지 않으며, 2 이상의 실시 예가 필요에 따라서 사용되어도 좋다.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구체적인 수치 예를 이용하여 설명이 이루어지나, 특별히 단서가 없는 한, 그들의 수치는 단순한 일 예에 지나지 않으며 적절한 어떠한 값이 사용되어도 좋다.
실시 예 1
<FDD>
이하, FDD 방식을 이용한 대역 이용 예를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중계기의 구성을 나타낸다. 도면 중 우측에 도시되어 있는 무선회로부(802)에서 수신된 신호는, 중계해야 할 데이터신호나 중계해야 할 제어신호와 같은 자장치가 속하는 시스템의 신호와, 다른 시스템으로부터의 간섭신호를 포함한다.
분리부(804)는, 수신신호를 거기에 포함되어 있는 다양한 신호로 분리하고, 후단의 처리부에 각각 준다.
데이터 수신부(806)는, 중계해야 할 데이터신호를 취출하고, 데이터신호 생성부(808)에 준다.
데이터신호 생성부(808)는, 입력된 송신 데이터나, 리소스 할당부(814)로부터의 정보 등으로부터, 송신신호를 다시 마련하고, 다중부(810)로 출력한다.
제어신호 수신부(812)는, 제어신호를 취출하고, 리소스 할당부(814)에 필요한 정보를 통지한다. 필요한 정보는, 예를 들면, 채널 상태의 좋고 나쁨을 나타내는 정보나, 리소스의 할당 요구 등을 포함해도 좋다.
리소스 할당부(814)는, 상향 채널 및 하향 채널의 리소스 할당을 수행한다. 어떻게 리소스를 할당할지(스케줄링)는, 중계국의 상위장치인 기지국에서 이루어져도 좋다.
제어신호 생성부(816)는, 중계해야 할 데이터신호에 부수하는 제어신호(예를 들면, 데이터신호의 전송 포맷을 특정하는 정보를 포함해도 좋다)를 마련하고, 중계에 대비한다.
다중부(810)는, 입력된 데이터신호와, 제어신호를, 리소스 할당정보에 기초하여 다중한다. 다중은, 시간분할다중(TDM), 주파수분할다중(FDM), 부호분할다중(CDM), 공간분할다중(SDM) 또는 그들 하나 이상의 조합이어도 좋으며, 다른 다중법이 사용되어도 좋다.
본 실시 예에 있어서의 중계기는, 또한, 중계대역 검출부(822), 우측/좌측 채널 링크 종별 검출부(824, 828), 우측/좌측 인접 가드밴드폭 설정부(826, 830), 타이밍 검출부(832), 중간대역 리소스 제어부(834) 및 송신 타이밍 제어부(836)를 더 갖는다.
중간대역 검출부(822)는, 동일 또는 다른 이동통신시스템에 할당되어 있는 불연속한 주파수대역간의 시스템간 가드밴드(중간대역)를 검출한다. 중간대역은, 어느 이동통신시스템의 상향링크에 할당된 주파수대역과 하향링크에 할당된 주파수대역과의 사이의 대역이어도 좋다. 중간대역은, 어느 시스템에 할당된 주파수대역과, 다른 시스템에 할당된 주파수대역과의 사이의 대역이어도 좋다. 어느 지역에서 검출되는 중간대역은, 하나일지도 모르며, 하나보다 많은 중간대역이 검출될지도 모른다.
중간대역은, 적절한 어떠한 방법으로 검출되어도 좋다. 예를 들면, 검사 대상인 주파수대역에 있어서의 신호전력이 측정되고, 그 측정결과에 기초하여 중간대역이 특정되어도 좋다. 혹은, 중간대역이 어떻게 설정되어 있는지를 나타내는 제어정보(공통제어채널)가 존재하는 경우, 그 제어정보를 분석함으로써 중간대역이 특정되어도 좋다. 예를 들면, 공통제어채널을 이용하여, 사용되고 있을 가능성이 있는 시스템이 특정되고, 이들의 대역이, 상기 중계기의 주변에서 실제로 사용되고 있는지가 확인되어도 좋다. 또, 각 대역의 사용상황을 신속히 파악하는 관점에서는, 각 시스템대역의 할당 패턴(예를 들면, 20MHz폭으로 할당되는 것 등)이 미리 결정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우측 채널 링크 종별 검출부(824)는, 중간대역에 인접하는 고주파측의 시스템대역에서, 어떠한 상하링크의 다중법이 사용되고 있는지 등과 같은 사용상황을 검출한다. '우측'은 주파수축 상에서 고주파수측을 의미하도록 설명되어 있으나, 이것은 본 발명에 필수가 아니며 설명상의 편의적인 명칭에 지나지 않는다. 우측 채널 링크 종별 검출부(824)는, 예를 들면, 인접하는 시스템대역에서 FDD 방식이 사용되고 있는지 여부, TDD 방식이 사용되고 있는지, 중간대역에 인접하는 대역이 상향링크에 할당되어 있는지 여부, 중간대역에 인접하는 대역이 하향링크에 할당되어 있는지 여부 등을 판정한다. 우측 채널 링크 종별 검출부(824)는, 각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기지신호(프리앰블이나 파일럿 신호)를 이용하여, 다중방식이나 회선의 방향 등을 판정해도 좋다. 혹은, 상향과 하향 신호의 통계적 성질을 이용하여, 블라인드(blind) 추정이 수행되어도 좋다. 그 경우, 유의한 신호가 어떠한 패턴으로 생기는지에 기초하여, 상기 판정이 이루어진다. 예를 들면, 하향신호는, 반드시 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되므로, 적어도 정기적으로 동일한 지점으로부터 신호가 송신되는 것에 대해, 상향은, 송신하는 유저가 시간, 주파수에 따라 다르다는 것을 이용하여, 상기 판정이 이루어져도 좋다.
좌측 채널 링크 종별 검출부(828)는, 중간대역에 인접하는 저주파측의 시스템대역에서, 어떠한 상하링크의 다중법이 사용되고 있는지 등과 같은 사용상황을 검출한다. '좌측'은 주파수축 상에서 저주파수측을 의미하도록 설명되어 있으나, 이것도 본 발명에 필수가 아니며 설명상의 편의적인 명칭에 지나지 않는다. 좌측 채널 링크 종별 검출부(828)는, 예를 들면, 인접하는 시스템 대역에서 FDD 방식이 사용되고 있는지 여부, TDD 방식이 사용되고 있는지, 중간대역에 인접하는 대역이 상향링크에 할당되어 있는지 여부, 중간대역에 인접하는 대역이 하향링크에 할당되어 있는지 여부 등을 판정한다. 좌측 채널 링크 종별 검출부(828)는, 각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기지신호를 이용하여, 다중방식이나 회선의 방향 등을 판정해도 좋다. 혹은, 상향과 하향 신호의 통계적 성질을 이용하여, 블라인드 추정이 수행되어도 좋다. 그 경우, 유의한 신호가 어떠한 패턴으로 생기는지에 기초하여, 상기 판정이 이루어진다. 예를 들면, 하향신호는, 반드시 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되므로, 적어도 정기적으로 동일한 지점으로부터 신호가 송신되는 것에 대해, 상향은, 송신하는 유저가 시간, 주파수에 따라 다르다는 것을 이용하여, 상기 판정이 이루어져도 좋다.
우측 인접 가드밴드폭 설정부(826)는, 우측 인접 채널 링크 종별 검출부(824)의 검출결과에 기초하여, 중간대역 중, 고주파측에 마련할 가드밴드폭을 결정한다. 좌측 인접 가드밴드폭 설정부(830)는, 좌측 인접 채널 링크 종별 검출부(828)의 검출결과에 기초하여, 중간대역 중, 저주파측에 마련할 가드밴드폭을 결정한다.
타이밍 검출부(832)는, 수신신호의 동기를 확립하는 것, TDD 방식이 사용되고 있는 경우에, 무선프레임의 상하링크 비율을 특정하는 것 등과 같은 시간적인 타이밍을 판정한다. TDD의 경우, 각 대역에서 수행되는 통신의 상하 방향은 시간경과와 함께 번갈아 변한다. 또한, 타이밍 검출부(832)에서 타이밍을 검출하기 위해 사용되는 신호는, 좌측 밴드 및 우측 밴드의 신호이다.
중간대역 리소스 제어부(834)는, 우측 및 좌측 가드밴드폭 설정부(826, 830)에서 결정된 가드밴드폭에 기초하여, 중간대역을 어떻게 사용할지를 결정한다. 중간대역 리소스 제어부(834)는, 이들의 시간비율을 고려하여 리소스의 배분을 결정한다. 또, 송신을 수행하는 타이밍에 대해서도, 인접대역이 상향인 경우에 설정된 가드밴드에서 생성된 신호는, 인접대역이 상향에서 송신되고 있는 타이밍에서 송신될 필요가 있으므로, 송신 타이밍 제어부가 필요하게 된다.
송신 타이밍 제어부(836)는, 판정된 타이밍에 기초하여, 송신 타이밍을 결정하고, 무선회로부(802) 등에 통지한다. 또, 수신 타이밍이나 상하 비율 등의 정보는, 중간대역 리소스 제어부(834)에도 통지된다.
본원에 있어서의 가드밴드는, 중간대역 중에서 사용이 금지되는 대역폭을 나타낸다. 종래, 중간대역은 모두 사용금지였으나, 본 실시 예에서는 중간대역의 일부의 사용이 허가되고, 다른 일부분만이 정말로 사용금지로 설정된다. 다시 말하면, 종래는 중간대역 전체가 가드밴드이나, 본 실시 예에서는 중간대역의 일부분만이 가드밴드이며, 나머지 중간대역의 사용은 허가된다. 가드밴드폭(보다 정확히는, 최소한 필요한 가드밴드폭)을 어떻게 설정해야 하는지에 대해서는, 다양한 예와 함께 후술된다. 중간대역과 그것에 인접하는 대역에서 상하 같은 방향으로 통신이 수행되는 경우, 가드밴드폭은, 상하 역방향으로 사용되는 경우보다 좁게 설정 가능하다. 설정되는 가드밴드폭은, 미리 각 경우에 대해서 기정해진 값으로 해도 좋다. 본 실시 예에서는, 최대 송신전력은 기정해진 일정값인 것으로 한다.
도 9는 링크 종별에 따라서 가드밴드폭이 어떻게 다른지를 나타낸다. 도시된 예는, 중간대역 중, 저주파측을 이용하는 경우에 필요한 가드밴드폭을 모식적으로 나타내고 있다(고주파측에 대해서는 생략되어 있다). 저주파측은 상향링크에 사용되고 있다. 따라서, 중간대역의 적어도 저주파측에서는, 상향링크에 사용하는 것이, 하향링크에 사용하는 경우보다도 좁은 가드밴드폭이어도 좋다. 굳이 언급할 것까지도 없으나, 이 중간대역이 종래는 사용되지 않음으로써, 무선리소스의 유효활용이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았다.
중간대역 리소스 제어부(834)는, 상기로부터 결정된 조건과, 자국에서 송신하는 상향/하향 트래픽량에 따라서, 중간대역에서 사용할 리소스의 배분 방법을 결정해도 좋다. TDD를 이용하는 경우의 예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실시 예에서 상세히 설명된다.
중계기와 통신을 수행하는 단말은, 통신 대상으로서 선택된 중계기에 의해 결정된 무선리소스의 사용방법에 따라 신호의 생성, 송신 타이밍의 조정을 수행하고, 통신을 개시한다. 이 중계기에 의해 결정된 무선 리소스의 사용방법은, 어떤 방법이 선택되었는지가 중계기로부터 브로드캐스트되는 경우는, 이 제어신호를 수신함으로써 인식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이들이 송신되지 않는 경우에는, 중계기나, 인접 시스템으로부터 송신되는 신호를 수신함으로써 블라인드 추정되어도 좋다.
도 10은, 중간대역에 한쌍의 페어 밴드(a pair of bands)가 설정된 상태를 나타낸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인접하는 대역에서 같은 방향의 통신이 수행되는 경우, 그들 사이의 가드밴드폭은 좁아도 좋다. 그러나, 인접하는 대역에서 다른 방향의 통신이 수행되는 경우, 그들 사이의 가드밴드폭은 넓어야 한다. 따라서, 도시의 경우, 가드밴드 U는, 가드밴드 U/D보다 좁게 설정되고, 가드밴드 D도 가드밴드 U/D보다 좁게 설정되어도 좋다(도는 정확한 치수를 나타내는 것이 아닌 것에 유의를 요한다.).
이 경우, 상향링크측(UL측)의 가드밴드 U에 대해서는, UL측에서 사용하는 링크의 종별(상향 또는 하향)에 의해 결정된다. 하향링크측(DL측)의 가드밴드 D에 대해서는, DL측에서 사용하는 링크의 종별(상향 또는 하향)에 의해 결정된다.
페어 밴드의 배치는 도시되어 있는 것뿐만 아니라, 하향 대역을 저주파측에, 상향 대역을 고주파측에 설정해도 좋다. 그러나, 가드밴드폭을 가능한 좁게 설정하는 관점에서는, 도시와 같이 가능한 동일 방향의 통신의 대역이 인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시된 예에서는, 중간대역을 FDD로 이용하는 경우, 중간대역이 2개로 주파수 분할되고, FDD 상향 채널에 가까운 주파수대를 중계기의 상향에, FDD 하향에 가까운 주파수를 중계기의 하향에 할당하고 있다. 또한, 도 10에 있어서의 중계기의 하향(DL)은, 공통제어채널에 사용되어도 좋다.
또한, 상하링크에 할당하는 리소스량은, 중계기가 결정하도록 해도 좋다. 단, UL측의 주파수대역의 가드밴드는, UL에서 이용하기보다도, DL에서 이용하는 것이 넓다는 것이 고려되지 않으면 안된다. UL의 할당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즉, 필요한 최소의 가드밴드폭에 의해, DL/UL로서 설정할 수 있는 범위에 한계가 있는 경우가 있다.
상기와 같이 중간 주파수대를 FDD로서 이용하는 경우, 송수신기 내부에서의 상향신호와 하향신호의 간섭을 회피하기 위해, 중계기에서 이용하는 상향신호와 하향신호간의 대역을 넓게 취할 필요가 있다. 때문에, 중계기의 하향과 상향에서 사용되는 대역은, (중간대역이 이산적으로 몇개 존재하고 있는 경우) 별개의 중간대역에서 마련되어도 좋으며, 혹은 다른 시간의 중간대역에서 확보되어도 좋다.
도 11은, FDD와 TDD를 병용한 방법으로 중간대역에 페어 밴드가 마련되는 상태를 나타낸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중간대역에 있어서의 하향링크와 셀룰러 시스템의 상향링크와의 사이에 넓은 가드밴드를 마련할 수 있다. 또, 중간대역에 있어서의 상향링크와 셀룰러 시스템의 하향링크와의 사이에 넓은 가드밴드를 마련할 수 있다.
도 12도 FDD와 TDD를 병용하는 예를 나타내나, 중간대역에서 사용하는 페어 밴드의 주파수가 일부 중복되고 있는 점이 다르다.
실시 예 2
<TDD>
이하, TDD 방식을 이용한 대역 사용 예를 설명한다.
도 13은, TDD 방식의 시스템에 할당된 대역의 사이(중간대역)를, TDD 방식으로 이용하는 경우의 예를 나타낸다. 편의상, 중간대역에 인접하는 대역을 이용하는 시스템을 '인접 시스템'이라 부르기로 한다. 도시된 예에서는, 인접 시스템에 있어서의 무선프레임의 프레임 길이 및 상하링크 비율과, 중간대역에서 사용되는 무선프레임 및 상하링크 비율은 같아지도록 통일되고, 게다가 각 무선프레임은 동기하고 있다. 이것은 필수는 아니나, 중간대역에서 설정하는 가드밴드를 적게하는 관점에서는, 도시와 같이 프레임 길이 및 상하 비율을 맞추고, 동기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인접하는 대역에서는 상하 같은 방향의 통신을 수행하는 것이, 가드밴드폭은 적어도 되기 때문이다. 단, 이 경우에 한하지 않으며, 상하 리소스 비율의 설정은, 인접하는 주파수대를 사용하는 TDD 시스템의 상하 비율 등에 반드시 맞출 필요는 없고, 전송하는 트래픽량에 따라서 설정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4a는, 중간대역에 인접하는 대역을 사용하는 TDD 시스템이 동기하여 운용되고 있지 않거나 혹은 프레임 길이나 상하링크 비율이 다른 경우의 중간대역의 사용 예를 나타낸다. 이 경우도, 중간대역의 우측의 가드밴드폭은, 우측 시스템의 링크의 종류(상향 또는 하향)와, 중간대역에서 사용하는 링크의 종류(상향 또는 하향)에 의해 결정된다. 중간대역의 좌측은, 좌측 시스템의 링크의 종류(상향 또는 하향)와, 중간대역에서 사용하는 링크의 종류(상향 또는 하향)에 의해 가드밴드폭이 결정된다. 도시된 예에서는, 중간대역의 각 시간에 있어서, 인접하는 대역 각각에서 사용되는 통신의 상하방향이 같은 경우에는 좁은 가드밴드폭이, 다른 경우는 넓은 가드밴드폭이 설정된다.
각 중계대역에서 허용되는 송신전력 및, 셀룰러 시스템의 대역과 중계기가 사용하는 대역과의 사이의 가드밴드폭 등에 대해서는, 기정해진 일정값이어도 좋다. 또한, CPC를 이용하여 시스템이 구성되어 있는 경우는, 상기 가드밴드폭, 허용되는 송신전력 등이 CPC에 의해 지정되어도 좋다.
도 14b는, 중간대역의 다른 사용 예를 나타낸다. 이 경우도, 중간대역의 각 시간에 있어서, 인접하는 대역 각각에서 사용되는 통신의 상하방향이 같은 경우에는 좁은 가드밴드폭이, 다른 경우는 넓은 가드밴드폭이 설정된다.
실시 예 3
<송신전력제어>
상기 실시 예에서는, 최대 송신전력을 일정하게 하고, 가드밴드폭을 적응적으로 제어하는 방법에 대해서 나타내었다. 그러나, 가드밴드폭을 조정하는 것을 대신해 또는 그것에 더하여, 송신전력이 제한되어도 좋다. 간섭의 강약은 송신전력의 강약에 의해서도 변하기 때문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중계기의 구성을 나타낸다. 대체적으로 도 8에서 이미 설명한 구성과 동일하나, '우측 인접 가드밴드폭 설정부(826)' 대신에 '우측 대역에서의 허용 송신전력 설정부(152)'가, 및 '좌측 인접 가드밴드폭 설정부(830)' 대신에 '좌측 대역에서의 허용 송신전력 설정부(154)'가 마련되어 있는 점이 다르다. 허용 송신전력 설정부(152, 154)는, 도시와 같이 대체적으로 사용되어도 좋으며, 추가적으로 사용되어도 좋다.
우측 대역에서의 허용 송신전력 설정부(152)는, 중간대역의 고주파측에서 어떠한 송신전력제어가 이루어져야 하는지를 결정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송신전력이 같은 경우, 인접하는 대역에서 수행되는 통신이 같은 방향이라면 그것들은 서로 간섭을 미치기 어렵고, 다른 방향이라면 비교적 큰 간섭을 서로 미친다. 따라서, 인접하는 대역에서 수행되는 통신이 같은 방향이라면, 중간대역에서 송신전력은 그다지 약해지지 않으나, 다른 방향이었다면 송신전력은 작게 약해진다.
좌측 대역에서의 허용 송신전력 설정부(154)는, 중간대역의 저주파측에서 어떠한 송신전력제어가 이루어져야 하는지를 결정한다. 허용 송신전력 설정부(152)와 마찬가지로, 인접하는 대역에서 수행되는 통신이 같은 방향이라면, 중간대역에서 송신전력은 그다지 약해지지 않으나, 다른 방향이었다면 송신전력은 작게 약해진다.
도 16은, 본 실시 예에 있어서의 주파수대역 및 송신전력의 관계를 나타낸다. 도 16 상단은, 중간대역에 인접하는 대역을 나타내고, 도시된 예에서는 FDD 방식의 사용 예가 나타나 있다. 도 16 중단은 좌측 대역에서의 송신전력제어의 상태를 나타내고, 이것은 허용 송신전력 설정부(154)에 의해 실현된다. 도 16 하단은 우측 대역에서의 송신전력제어의 상태를 나타내고, 이것은 허용 송신전력 설정부(152)에 의해 실현된다. 송신전력제어는, 도의 중단 및 하단의 쌍방에 의해 실현된다.
또한, 중간대역에서 중계기의 실행방사전력(송신전력+안테나 이득)이, 이동국과 같은 정도로 작은 경우, 중간대역에 있어서의 링크의 종별(상향/하향)을 구별하는 것은 필수가 아니다. 이와 같은 경우, 중간대역에서 이용되는 링크의 종별에 관계없이 가드밴드폭을 일정하게 유지해도 좋다.
도 17은 이와 같은 경우의 중간대역의 사용 예를 나타낸다. 이 경우에서도, 이동무선시스템의 대역에서 사용되는 링크의 종별에 따라서, 이동무선통신시스템과 중간영역에서 사용되는 대역간의 가드밴드가 결정된다. 도 14a, b와 달리, 인접하는 대역에서 상하링크가 달라도, 송신전력을 제어함으로써, 가드밴드폭은 좁아도 좋다.
하나의 송신기가, 송신전력을 크게 변경하는 경우에는, 각 타이밍에서 적용되는 송신전력에 따라서, 중간영역의 사용법이 적응적으로 전환되어도 좋다(인접 대역의 링크 종별을 고려하여 가드밴드폭을 다르게 하거나, 혹은 링크 종별에 관계없이 일정한 가드밴드폭을 적용할지 등이 적절히 변경되어도 좋다.).
실시 예 4
<간섭전력>
상기 실시 예에서는, 인접 주파수대에서 이용되는 링크의 종별과 중간대역에서 사용되는 링크의 종별로 가드밴드폭이나, 송신전력이 제어되는 방법을 나타내었다. 한편, 중계기, 기지국 및 이동국의 배치에 의해서도, 발생하는 간섭의 크기는 변화할 수 있다.
도 18에 도시되는 바와 같은 상황에서는, 인접하는 대역을 사용하는 셀룰러 시스템의 이동국(UE)과, 중계기(R)가 비교적 가까운 장소에서 사용된다. 따라서, 이들 사이에서 서로 주는 간섭의 영향은 커질 것이 예상된다.
도 19에 도시되는 바와 같은 상황에서는, 반대로, 이동국(UE)과 중계기(R)의 거리는 비교적 멀기 때문에, 이들 사이에서 서로 주는 간섭량은 적어질 것이 예상된다.
대역의 유효 활용을 촉진하는 관점에서는, 가드밴드폭은 좁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 고찰을 종합하면, 인접하는 대역간에 상하 방향이 다른 통신이 이루어졌다고 해도, 가드밴드폭을 좁게 해도 좋은 경우가 있다. 즉, 이동국(UE) 및 중계국(R)간의 거리가 짧은 경우는 넓은 가드밴드를, 거리가 긴 경우는 좁은 가드밴드를 마련하도록 해도 좋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중계기의 구성을 나타낸다. 대체적으로 도 8에서 이미 설명한 구성과 동일하나, '우측 인접 채널 링크 종별 검출부(824)' 대신에 '우측 인접 채널 링크 종별 및 수신레벨 검출부(202)'가, '좌측 인접 채널 링크 종별 검출부(828)' 대신에 '좌측 인접 채널 링크 종별 및 수신레벨 검출부(204)'가 마련되어 있는 점이 다르다.
우측 인접 채널 링크 종별 및 수신레벨 검출부(202)는, 중간대역에 고주파측에서 인접하는 대역에서 사용되고 있는 상하링크 종별을 검출하는 것에 더하여, 그 인접하는 대역으로부터 어느 정도 강한 간섭파를 받고 있는지를 측정한다. 우측 가드밴드폭 설정부(826)는, 이 측정결과에 기초하여, 가드밴드폭을 결정한다. 간섭이 강한 경우는 넓은 가드밴드를, 간섭이 약한 경우는 좁은 가드밴드가 마련된다.
좌측 인접 채널 링크 종별 및 수신레벨 검출부(204)는, 중간대역에 저주파측에서 인접하는 대역에서 사용되고 있는 상하링크 종별을 검출하는 것에 더하여, 그 인접하는 대역으로부터 어느 정도 강한 간섭파를 받고 있는지를 측정한다. 좌측 가드밴드폭 설정부(830)는, 이 측정결과에 기초하여, 가드밴드폭을 결정한다. 간섭이 강한 경우는 넓은 가드밴드를, 간섭이 약한 경우는 좁은 가드밴드가 마련된다.
도 21은, 도 18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강한 간섭이 생기는 경우, 상하 같은 방향으로 통신이 수행되는 경우, 비교적 넓은 가드밴드폭이 설정되는 상태를 나타낸다. 상하 다른 방향의 통신에 대해서는, 넓은 가드밴드를 마련하지 않으면 안된다.
도 22는, 도 19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약한 간섭밖에 생기지 않는 경우, 상하 같은 방향으로 통신이 수행되는 경우, 비교적 좁은 가드밴드폭을 설정할 수 있는 상태를 나타낸다. 상하 다른 방향의 통신에 대해서는, 넓은 가드밴드를 마련하지 않으면 안된다.
FDD 시스템의 경우, 인접하는 주파수의 구성뿐만 아니라, 이들과 페어로 할당되어 있는 주파수대역의 수신신호 레벨도 확인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면 Band-B를 예로 들면, Band-B에서 전송되고 있는 신호를 수신하는 단말은, Band-B에서는 송신하지 않는다(페어 밴드인 Band-A에서 송신이 수행된다). 즉, Band-B에서 검출되는 신호의 수신레벨이 낮은 경우라도, 이 신호를 수신하고 있는 단말이 상기 중계기에 가까운 장소에 존재할 가능성이 있다. 또, 대역과 어느 대역이 페어 밴드가 되어 있는지는, 미리 시스템 정보로서 기억되어 있어도 좋으며, 공통 파일럿 채널로 알려지도록 해도 좋다. 또, 이 정보를 모르는 경우는, 가능성이 있는 대역을 모두 서치하도록 해도 좋다. 어느쪽이든, 실제로 생기는 간섭전력을 가능한 정확히 추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신전력과 가드밴드폭의 관계는, 미리 중계기에서 기억된 관계를 이용하여 결정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가드밴드폭뿐만 아니라, 상기 실시 예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드밴드폭에 따라서 최대 송신전력이 결정되도록 해도 좋다.
실시 예 5
<사용제한신호>
가드밴드폭이나 허용하는 송신전력을 CPC로 통지하는 방법에서는, 송신전력의 제한을 지리적으로 광범위에서 일괄하여 지정하게 된다. 이것은, 일부 지역에서만 발생한 사정에 의해, 나머지 넓은 지역 전역에 걸쳐서, 중계기에 의해 송신되는 전력이 작게 제한되어 버리는 것이 우려된다.
한편, 수신을 수행하고 있는 단말이 반드시, 항상 송신을 수행한다고는 단정할 수 없다. 또, 수신을 수행하고 있는 단말이 송신을 수행하는 경우, 송신 간격도 일반적으로는 일정하지 않다. 무선 인터페이스의 사용법이나, 전송되는 트래픽 등에 의존하여, 그것들은 다양하게 변화할 수 있다. FDD 시스템에 있어서는, 상기와 같이 페어가 되는 상향링크 및 하향링크의 정보를 인식해 둘 필요도 있다. 또한, 멀티캐스트의 수신을 수행하고 있는 단말은, 장시간에 걸쳐 송신을 수행하지 않을 가능성도 있다. 이와 같이 실제 통신상황은 다양하게 되어 있는 것이 예상된다. 이와 같은 다양한 경우에, 상기 실시 예에 의한 적절한 가드밴드폭의 설정이나 송신전력제어 등에 더하여, 사용제한신호를 이용해도 좋다.
도 23은, 본 발명의 일 형태에 의한 중계기의 구성을 나타낸다. 대체적으로 도 8에서 이미 설명한 구성과 동일하나, '사용제한신호 수신부(231)'가 추가적으로 마련되어 있는 점이 다르다. 사용제한신호 수신부(231)는, 수신신호 중의 사용제한신호인 사용 허락여부 신호(use authorization/unauthorization signal)가, 어떠한 대역의 사용을 허가하고 있는지 금지하고 있는지를 판정한다. 판정결과는 중간대역 리소스 제어부(834)에 통지된다. 사용금지가 확인된 경우, 그 신호에서 지정되어 있는 대역의 사용은, 금지된다.
도 24는, 중계국(R)이 중계대역을 사용해도, 중계국(R)은 단말(UE-Y)로부터 강한 간섭을 받지 않는 상태를 나타낸다. 이 경우, 중계대역의 이용을 금지하는 사용거부신호는, 사용제한신호 수신부(231)에서 검출되지 않고, 중계대역의 사용은 허가된다. 따라서 중계국(R)은 단말(UE-X)과의 통신(중계단말에서의 중계)을 수행해도 좋다.
도 25는, 중계국(R)이 중계대역을 사용하면, 중계국(R)은 단말(UE-Y)로부터 강한 간섭을 받게 되는 상태를 나타낸다. 이 경우, 사용제한신호 수신부(231)에서 검출된 사용거부신호는, 중계대역의 이용은 금지되는 것을 나타낸다. 따라서 중계국(R)은 단말(UE-X)과의 통신(중계대역에서의 중계)을 중지한다. 본 방식에 있어서 CPC는 반드시 필요하지는 않으나, 사용되어도 좋다.
도 26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예를 들면, CPC의 일부 기간에, 사용허락여부신호용의 채널을 할당하고, 각 단말은, 지정된 CPC의 리소스 일부를 이용하여, 사용거부신호를 송신해도 좋다. 도시된 예에서는, '사용허락여부'로 하고 있으나, 사용이 금지되는 것만이 명시적으로 통지되어도 좋으며, 사용이 허가되는 것만이 명시적으로 통지되어도 좋으며, 허가 또는 금지 중 어느 것인지가 명시적으로 통지되어도 좋다. 또, CPC 이외의 대역에서, 사용 허락여부 신호가 송신되도록 하고, 그 대역이 지정되어도 좋다.
상기 실시 예에서는, 중계대역을 이용하는 오퍼레이터는 한사람이어도 좋으며, 복수의 오퍼레이터로 중계대역이 공유되어도 좋다. 이때의 공유방법으로서는, 무선 LAN에서 이용되고 있는 Listen-before-talk 방식을 이용해도 좋으며, 다른 방법이 사용되어도 좋다. 또한, 상기에서는 주로, 중계국이 중계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이 수행되어 왔으나, 자영 무선용, 구체적으로는 무선을 이용한 로컬 에어리어 네트워크나, 퍼스널 에어리어 네트워크를 구축하기 위해 본 발명이 이용되어도 좋다. 또한, 중계 용도와 로컬/퍼스널 에어리어 네트워크 용도의 양방에 대해서 사용하게끔 해도 좋다. 그리고, 이 경우는, 중계 용도에 대해서 우선적으로 사용되도록 해도 좋다.
상기에서는, 하나의 가드밴드를 이용하는 경우에 대한 실시 예를 나타내었으나, 복수의 가드밴드를 이용하여, 중계/자영 무선통신용으로 사용해도 좋다. 또한, 초기의 통신링크의 확립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특정 가드밴드의 중심 주파수대를 이용하여, 자국의 ID(용도, 오퍼레이터 ID, 프리앰블)에 대응하는 신호를 송신하도록 해도 좋다.
이상 본 발명은 특정의 실시 예를 참조하면서 설명되어 왔으나, 각 실시 예는 단순한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당업자는 다양한 변형 예, 수정 예, 대체 예, 치환 예 등을 이해할 것이다.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서 구체적인 수치 예를 이용하여 설명이 이루어졌으나, 특별한 단서가 없는 한, 그들의 수치는 단순한 일 예에 지나지 않으며 적절한 어떠한 값이 사용되어도 좋다. 각 실시 예의 구분은 본 발명에 본질적이지 아니며, 2 이상의 실시 예가 필요에 따라서 사용되어도 좋다. 설명의 편의상,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장치는 기능적인 블록도를 이용하여 설명되었으나, 그와 같은 장치는 하드웨어로, 소프트웨어로 또는 그들의 조합으로 실현되어도 좋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정신으로부터 일탈하지 않고, 다양한 변형 예, 수정 예, 대체 예, 치환 예 등이 본 발명에 포함된다.
본 국제출원은 2008년 3월 6일에 출원한 일본국 특허출원 제2008-057026호에 기초하는 우선권을 주장하는 것이며, 그 전 내용을 본 국제출원에 원용한다.
822 중간대역 검출부
824, 828 우측/좌측 채널 링크 종별 검출부
826, 830 우측/좌측 인접 가드밴드폭 설정부
832 타이밍 검출부
834 중간대역 리소스 제어부
836 송신 타이밍 제어부
152, 154 우측/좌측 대역에서의 허용 송신전력 설정부
202, 204 우측/좌측 인접 채널 링크 종별 및 수신레벨 검출부
231 사용제한신호 수신부
UE 유저장치
BS 기지국
R 중계국

Claims (10)

  1. 동일 또는 다른 이동통신시스템에 할당되어 있는 제1 및 제2 주파수대역간의 대역인 중간대역을 검출하는 중간대역 검출부;
    상기 제1 및 제2 주파수대역에서 각각 사용되고 있는 상하링크의 다중방식을 검출하는 사용상황 검출부; 및
    상기 중간대역 및 상기 상하링크의 다중방식에 기초하여, 상기 중간대역에서 사용 가능한 상하링크의 다중방식과, 상기 중간대역 중에서 사용이 금지되는 가드밴드 대역을 적어도 결정하는 결정부;
    를 갖는 무선통신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대역 안에서, 적어도 한쌍의 상하링크의 페어 밴드가 상기 가드밴드 대역과 함께 마련되는 무선통신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가드밴드 대역에 인접하는 고주파측 및 저주파측의 대역에서 수행되는 통신의 상하방향이 같은지 여부에 따라서, 상기 가드밴드 대역의 대역폭이 다르도록 한 무선통신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가드밴드 대역에 인접하는 고주파측 및 저주파측의 대역에서 수행되는 통신의 상하방향이 같은지 여부에 따라서, 상기 고주파측 및 저주파측의 대역 쌍방 또는 일방에 있어서의 송신전력이 다르도록 한 무선통신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드밴드 대역에 인접하는 고주파측 및 저주파측의 쌍방의 대역에서 시분할다중복신(TDD) 방식이 사용되고, 무선프레임의 상하링크 비율은 상기 쌍방의 대역에서 같아지도록 한 무선통신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드밴드 대역에 인접하는 고주파측 및 저주파측의 쌍방의 대역에서 시분할다중복신(TDD) 방식이 사용되고, 무선프레임의 프레임 길이 또는 상하링크 비율이, 상기 쌍방의 대역에서 다르도록 한 무선통신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가드밴드 대역에 인접하는 고주파측 및 저주파측의 쌍방의 대역에서 수행되는 통신의 상하방향이 같은지 여부에 따라서, 상기 가드밴드 대역의 대역폭이 다르도록 한 무선통신장치.
  8.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가드밴드 대역의 대역폭이, 혹은 상기 가드밴드 대역에 인접하는 고주파측 및 저주파측의 쌍방 또는 일방의 대역에 있어서의 송신전력이, 해당 무선통신장치가 속하는 이동통신시스템과 다른 이동통신시스템으로부터 받는 간섭신호 레벨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무선통신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대역의 주파수 정보, 상기 중간대역에서 허용되는 송신전력, 및 상기 가드밴드 대역 중 하나 이상을 나타내는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수신기를 갖는 무선통신장치.
  10. 동일 또는 다른 이동통신시스템에 할당되어 있는 제1 및 제2 주파수대역간의 대역인 중간대역을 검출하는 중간대역 검출단계;
    상기 제1 및 제2 주파수대역에서 각각 사용되고 있는 상하링크의 다중방식을 검출하는 사용상황 검출단계; 및
    상기 중간대역 및 상기 상하링크의 다중방식에 기초하여, 상기 중간대역에서 사용 가능한 상하링크의 다중방식과, 상기 중간대역 중에서 사용이 금지되는 가드밴드 대역을 적어도 결정하는 결정단계;
    를 갖는 무선통신장치에서 사용되는 방법.
KR1020107020171A 2008-03-06 2009-02-20 무선통신장치 및 방법 KR2010013745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8057026A JP4982409B2 (ja) 2008-03-06 2008-03-06 無線通信装置及び方法
JPJP-P-2008-057026 2008-03-0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7454A true KR20100137454A (ko) 2010-12-30

Family

ID=410558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20171A KR20100137454A (ko) 2008-03-06 2009-02-20 무선통신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295226B2 (ko)
EP (1) EP2252098A4 (ko)
JP (1) JP4982409B2 (ko)
KR (1) KR20100137454A (ko)
CN (1) CN102007790B (ko)
WO (1) WO2009110332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0125B1 (ko) * 2011-12-01 2014-03-06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이종 네트워크간 채널 감지 및 결합 방법 및 그 방법을 수행하는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622190B2 (en) 2006-07-25 2017-04-11 Google Technology Holdings LLC Spectrum emission level variation in schedulabl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US7969923B2 (en) 2008-11-14 2011-06-28 Dbsd Satellite Services G.P. Asymmetric TDD in flexible use spectrum
US8521087B2 (en) * 2009-07-15 2013-08-27 Lg Electronics Inc. System and method for cognitive radio transmission
WO2011077807A1 (ja) * 2009-12-25 2011-06-30 日本電気株式会社 無線通信システム、基地局、および無線通信システム制御方法
CN102118757B (zh) * 2009-12-31 2013-11-06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无线中继装置及其与基站和终端通信的方法
JP5450660B2 (ja) 2010-01-29 2014-03-26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端末装置及び干渉除去方法
JP5089754B2 (ja) * 2010-10-29 2012-12-05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移動通信システム、基地局及び送信電力制御方法
CN102625379B (zh) * 2011-01-28 2017-05-03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增强前向接入信道态下小区信息处理方法及装置
US9565655B2 (en) 2011-04-13 2017-02-07 Google Technology Holdings LLC Method and apparatus to detect the transmission bandwidth configuration of a channel in connection with reducing interference between channel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US20120263117A1 (en) * 2011-04-13 2012-10-18 Motorola Mobility, Inc. Method and Apparatus to Adjust the Control Region of a Subframe for Reducing Interference Between Channel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CN108684060A (zh) 2011-06-01 2018-10-19 株式会社Ntt都科摩 网络设备、用户设备、基站及其方法
US20120314626A1 (en) * 2011-06-08 2012-12-13 Xg Technology, Inc. Concurrent multi-band transmitter architecture
EP2756623B1 (en) 2011-09-12 2018-04-04 Ntt Docomo, Inc. Enhanced local access in mobile communications with fdd resource allocation
WO2013040070A1 (en) 2011-09-12 2013-03-21 Ntt Docomo, Inc. Method and apparatus at the physical and link layer for mobile communications
CN107666381B (zh) * 2011-10-14 2020-08-07 索尼公司 用于无线电通信系统中的设备和方法以及计算机存储介质
CN102347862B (zh) * 2011-10-24 2014-05-07 北京邮电大学 基于带宽压缩的全光网业务恢复方法
US9516531B2 (en) 2011-11-07 2016-12-06 Qualcomm Incorporated Assistance information for flexible bandwidth carrier mobility methods, systems, and devices
CN103918333B (zh) * 2011-11-07 2018-03-16 松下电器(美国)知识产权公司 中继站、基站以及频带分配方法
US20130114433A1 (en) * 2011-11-07 2013-05-09 Qualcomm Incorporated Scaling for fractional systems in wireless communication
US9848339B2 (en) 2011-11-07 2017-12-19 Qualcomm Incorporated Voice service solutions for flexible bandwidth systems
US20130114571A1 (en) 2011-11-07 2013-05-09 Qualcomm Incorporated Coordinated forward link blanking and power boosting for flexible bandwidth systems
WO2013137639A1 (ko) * 2012-03-13 2013-09-19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신호 송수신 방법 및 장치
JP6045808B2 (ja) * 2012-04-06 2016-12-14 株式会社Nttドコモ ユーザ端末、無線基地局、及び無線通信方法
US9584297B2 (en) 2012-05-11 2017-02-28 Qualcomm Incorporated Interference management for adaptive TDD with frequency domain separations
CN103634804A (zh) * 2012-08-28 2014-03-12 株式会社Ntt都科摩 邻频共存下的频率分配方法及网络实体
PT2932777T (pt) * 2012-12-13 2019-03-20 Ericsson Telefon Ab L M Conceção de canal físico para d2d assistida por rede
EP2979488B1 (en) 2013-03-25 2018-07-11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 for initiating handover, wireless device and base station
CN104254077B (zh) * 2013-06-27 2018-01-02 华为技术有限公司 中继配置方法和设备
GB201316165D0 (en) * 2013-09-11 2013-10-23 Neul Ltd Communication bandwidth
CN105009622B (zh) * 2014-01-07 2020-02-14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进行下行传输的方法、系统和设备
KR102130683B1 (ko) * 2014-01-28 2020-07-06 삼성전자주식회사 방송 수신 장치, 외부 장치, 신호 생성 방법 및 신호 수신 방법
KR20160107978A (ko) * 2015-03-06 2016-09-1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단말 및 그것의 동작 방법, 기지국의 자원 할당 방법
US10142086B2 (en) 2015-06-11 2018-11-27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Repeater and methods for use therewith
US9608692B2 (en) 2015-06-11 2017-03-28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Repeater and methods for use therewith
US9912027B2 (en) 2015-07-23 2018-03-06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Method and apparatus for exchanging communication signals
US9948333B2 (en) 2015-07-23 2018-04-17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Method and apparatus for wireless communications to mitigate interference
US10461889B2 (en) * 2016-08-11 2019-10-29 Qualcomm Incorporated Interference aware transceiver design for heterogeneous numerology systems
US10811767B2 (en) 2016-10-21 2020-10-20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System and dielectric antenna with convex dielectric radome
US9893759B1 (en) * 2017-04-25 2018-02-13 Sprint Communications Company L.P. Wireless relay antenna isolation
JP6527933B2 (ja) * 2017-12-26 2019-06-12 テレフオンアクチーボラゲット エルエム エリクソン(パブル) ネットワーク支援型d2dのための物理チャネル設計
US11770851B2 (en) * 2018-06-06 2023-09-26 Qualcomm Incorporated Synchronized spectrum sharing across multiple adjacent carriers
US11729050B2 (en) 2019-11-14 2023-08-15 Qualcomm Incorporated Configurations for full-duplex communication systems
US20220330250A1 (en) * 2021-04-12 2022-10-13 Qualcomm Incorporated Measurement and power control in integrated access fronthaul networks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89502A (en) * 1995-06-05 1997-11-18 Omnipoint Corporation Efficient frequency division duplex communication system with interleaved format and timing adjustment control
JPH0951321A (ja) * 1995-08-09 1997-02-18 Sony Corp 無線通信装置及び無線通信方法
US6333920B1 (en) * 1996-09-09 2001-12-25 Lucent Technologies Inc. Frequency division duplexing system which accommodates symmetric and asymmetric channels
EP1006745B8 (en) * 1998-05-08 2004-07-14 Ntt Mobile Communications Network Inc. Radio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frequency allocation
JP3842666B2 (ja) * 2002-02-20 2006-11-08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基地局及び通信方法
EP1494490A1 (en) * 2003-06-30 2005-01-05 Motorola Inc. Dynamic allocation of communication spectrum between different radio access technologies
JP4067499B2 (ja) * 2004-02-25 2008-03-26 日本無線株式会社 データ伝送システムにおけるオーバーフローの制御方法及びその装置
US8842581B2 (en) * 2004-03-16 2014-09-23 Nokia Corporation Method, a device and a system for duplex communications
KR100959207B1 (ko) * 2005-03-02 2010-05-19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서브캐리어 전송 방법, 기지국 및 이동국
EP1799001A1 (de) * 2005-12-15 2007-06-20 Siemens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zum Zuweisen von Ressourcen auf Frequenzbändern eines Funkkommunikationssystems sowie Netzvorrichtung und Teilnehmerstation
WO2007146017A2 (en) * 2006-06-06 2007-12-21 Sr Télécom & Co, S.E.C. Utilizing guard band between fdd and tdd wireless systems
CN101110634B (zh) * 2006-07-21 2011-07-13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增强的时分双工系统的信号发送方法
US20100074151A1 (en) * 2006-09-29 2010-03-25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 and system for reducing adjacent channel interference using time division duplex (tdd)
JP5138427B2 (ja) * 2008-03-06 2013-02-06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移動通信システ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0125B1 (ko) * 2011-12-01 2014-03-06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이종 네트워크간 채널 감지 및 결합 방법 및 그 방법을 수행하는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252098A4 (en) 2016-03-23
CN102007790B (zh) 2014-05-07
EP2252098A1 (en) 2010-11-17
JP2009218638A (ja) 2009-09-24
CN102007790A (zh) 2011-04-06
US8295226B2 (en) 2012-10-23
US20110019634A1 (en) 2011-01-27
WO2009110332A1 (ja) 2009-09-11
JP4982409B2 (ja) 2012-07-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137454A (ko) 무선통신장치 및 방법
JP7371178B2 (ja) 端末及び基地局装置
KR102493575B1 (ko) 유연한 프레임 구조 기반 셀룰라 통신 방법 및 그 장치
KR101077597B1 (ko) 중계국 할당/재할당 및 주파수 재사용
EP2082598B1 (en) Wireless telecommunications systems
US11197251B2 (en) Techniques and apparatuses for synchronization, scheduling, bandwidth allocation, and reference signal transmission in a 5th generation network
KR101167794B1 (ko) 셀 핸드오프 과정에서의 측정 방법, 중계기 및 기지국
KR101145847B1 (ko) 무선 인식 환경에서 숨겨진 인컴번트 시스템을 탐지하기위한 시그널링 방법 및 상기 방법에 채용되는 채널 분할방법
US8953476B2 (en) Method and apparatuses for data transfer within a relay enhanced telecommunication network
EP2922358B1 (en) Interference processing at a serving base station
EP2702820B1 (en) Generating uplink signals from user equipment nodes to identify interferers to a network node
EP2475209B1 (en) Frequency sharing method and radio base station
KR101260814B1 (ko) 무선 기지국 장치, 무선 통신 시스템, 무선 통신 방법, 및 프로그램
US9844048B2 (en) Resource allocation system and control method
WO2011136082A1 (ja) 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基地局、無線端末、及び無線通信方法
AU2014266127A1 (en) Interference measurement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inter-cell interferenc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EP2048903B1 (en) Combined communications system, prohibiting-signal transmitting apparatus, wireless base station and method
JP5162304B2 (ja) 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無線通信装置及び無線通信方法
US20130279423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coexistence interference within devic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20100034687A (ko) 무선통신 시스템에서의 상향링크와 하향링크를 위한 무선자원의 관리 방법
US20110044214A1 (e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KR101149060B1 (ko) 핸드오버 게이트웨이를 이용한 핸드오버 방법
KR101102446B1 (ko)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자원 할당 방법
JP5768374B2 (ja) 基地局装置
KR20140055858A (ko) 기지국 및 이를 이용한 무선 신호 처리부 확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