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07978A - 단말 및 그것의 동작 방법, 기지국의 자원 할당 방법 - Google Patents

단말 및 그것의 동작 방법, 기지국의 자원 할당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07978A
KR20160107978A KR1020150031655A KR20150031655A KR20160107978A KR 20160107978 A KR20160107978 A KR 20160107978A KR 1020150031655 A KR1020150031655 A KR 1020150031655A KR 20150031655 A KR20150031655 A KR 20150031655A KR 20160107978 A KR20160107978 A KR 201601079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station
transmission interval
signal
coexistence
interv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316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성진
강규민
박승근
박재철
엄중선
이동훈
정회윤
최수나
황성현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500316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07978A/ko
Priority to US15/056,714 priority patent/US20160262152A1/en
Publication of KR201601079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797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4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quality criteria
    • H04W72/541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quality criteria using the level of interferen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46Resources in time domain, e.g. slots or frames
    • H04W72/082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6/00Synchronisation arrangements
    • H04W56/001Synchronization between nodes
    • H04W56/0015Synchronization between nodes one node acting as a reference for the oth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6/00Synchronisation arrangements
    • H04W56/001Synchronization between nodes
    • H04W56/002Mutual synchronization
    • H04W72/0413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1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up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the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0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16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 H04W92/20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between access poi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의 자원 할당 방법은 단말로부터 다른 기지국의 존재 신호 또는 상기 다른 기지국의 전송 구간 중 공존 구간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다른 기지국과의 시간 동기 및 상기 다른 기지국의 공존 구간과의 구간 동기를 일치시키는 단계, 및 상기 다른 기지국의 전송 구간 중 신호 전송 구간과 중첩되지 않도록 신호 전송 구간을 할당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단말 및 그것의 동작 방법, 기지국의 자원 할당 방법{TERMINAL AND OPERATING METHOD OF THE SAME, RESOURCE ALLOCATING METHOD OF BASE STATION}
본 발명은 단말 및 그것의 동작 방법, 기지국의 자원 할당 방법에 관한 것이다.
비면허 대역은 면허 대역과 달리 여러 기기와 여러 사업자가 운영하는 시스템이 동일한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근접한 지역에서 여러 장치가 동일한 주파수를 이용하여 통신하는 경우 충돌이 발생하여 시스템 성능이 절하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비면허 대역을 사용하는 통신 시스템은 통신 시스템 별로 공존을 위한 방안을 가지고 있다.
비면허 대역을 이용하는 대표적인 통신 시스템인 무선랜의 경우, CSMA/CA(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 Collision Avoid) 방식을 이용하여 무선랜 간 충돌을 줄인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면허 대역을 사용하여 통신을 하는 LTE와 같은 이동통신 시스템의 경우에는 동일한 이동통신 사업자가 관리하는 장치 간 충돌은 OFDMA 무선 자원 할당 방식을 통하여 방지하고 있지만, 다른 이동통신 사업자가 관리하는 장치와의 충돌 또는 간섭에 대해서는 특별히 고려하지 않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비면허 대역에서 다수의 기지국에 의한 충돌 및/또는 간섭을 제거할 수 있는 단말 및 그것의 동작 방법, 기지국의 자원 할당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들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의 자원 할당 방법은 단말로부터 다른 기지국의 존재 신호 또는 상기 다른 기지국의 전송 구간 중 공존 구간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다른 기지국과의 시간 동기 및 상기 다른 기지국의 공존 구간과의 구간 동기를 일치시키는 단계, 및 상기 다른 기지국의 전송 구간 중 신호 전송 구간과 중첩되지 않도록 신호 전송 구간을 할당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존재 신호는 Zadoff-Chu 시퀀스를 이용하여 생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단말로부터 다른 기지국의 존재 신호 또는 상기 다른 기지국의 전송 구간 중 공존 구간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공통 주파수 대역을 통해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존재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전송 구간은 상기 공존 구간 및 복수의 상기 신호 전송 구간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다른 기지국의 전송 구간 중 신호 전송 구간과 중첩되지 않도록 신호 전송 구간을 할당하는 단계는 상기 다른 기지국의 신호 전송 구간 이후의 전송 구간에 신호 전송 구간을 할당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전송 구간은 상기 다른 기지국의 신호 전송 구간 이후의 전송 구간에 정의되는 보호 구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다른 기지국의 전송 구간 중 신호 전송 구간과 중첩되지 않도록 신호 전송 구간을 할당하는 단계는 상기 다른 기지국의 신호 전송 구간 및 보호 구간 이후의 전송 구간에 신호 전송 구간을 할당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은 제 1 기지국으로부터 공통 주파수 대역을 통해 제 1 존재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 및 상기 제 1 존재 신호를 상기 공통 주파수 대역을 통해 제 2 기지국으로 전달하는 송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존재 신호는 Zadoff-Chu 시퀀스를 이용하여 생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수신부는 상기 제 2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공통 주파수 대역을 통해 제 2 존재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존재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제 1 기지국의 존재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제 2 존재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제 2 기지국의 존재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존재 신호를 분석하여 제 1 공존 구간을 판별하고, 상기 제 2 존재 신호를 분석하여 제 2 공존 구간을 판별하는 분석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송신부는 상기 제 1 공존 구간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제 2 기지국에 전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기지국 및 제 2 기지국은 서로 다른 이동통신 사업자에 의해 운영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 1 기지국으로부터 공통 주파수 대역을 통해 제 1 존재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존재 신호를 상기 공통 주파수 대역을 통해 제 2 기지국으로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존재 신호는 Zadoff-Chu 시퀀스를 이용하여 생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 2 기지국으로부터 제 2 존재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존재 신호를 분석하여 제 1 공존 구간을 판별하고, 상기 제 2 존재 신호를 분석하여 제 2 공존 구간을 판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공존 구간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제 2 기지국으로 전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 및 그것의 동작 방법, 기지국의 자원 할당 방법은 비면허 대역에서 다수의 기지국에 의한 충돌 및/또는 간섭을 제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면허 대역에서의 이동통신 시스템의 간섭 상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동작 방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의 자원 할당 방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의 자원 할당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다른 기지국의 자원 할당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에서, '단말'은 이동국(MS), 사용자 장비(UE; User Equipment), 사용자 터미널(UT; User Terminal), 무선 터미널, 액세스 터미널(AT), 터미널, 가입자 유닛(Subscriber Unit), 가입자 스테이션(SS; Subscriber Station), 무선 기기(wireless device), 무선 통신 디바이스, 무선송수신유닛(WTRU; Wireless Transmit/Receive Unit), 이동 노드, 모바일 또는 다른 용어들로서 지칭될 수 있다.
단말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셀룰러 전화기, 무선 통신 기능을 가지는 스마트 폰, 무선 통신 기능을 가지는 개인 휴대용 단말기(PDA), 무선 모뎀, 무선 통신 기능을 가지는 휴대용 컴퓨터, 무선 통신 기능을 가지는 디지털 카메라와 같은 촬영장치, 무선 통신 기능을 가지는 게이밍 장치, 무선 통신 기능을 가지는 음악저장 및 재생 가전제품, 무선 인터넷 접속 및 브라우징(browsing)이 가능한 인터넷 가전제품뿐만 아니라 그러한 기능들의 조합들을 통합하고 있는 휴대형 유닛 또는 단말기들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 '기지국'은 일반적으로 단말과 통신하는 고정되거나 이동하는 지점을 말하며, 베이스 스테이션(Base Station), 노드-B(Node-B), e노드-B(eNode-B), BTS(Base Transceiver System),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릴레이(Relay) 등을 통칭하는 용어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면허 대역에서의 이동통신 시스템의 간섭 상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제 1 기지국(100) 및 제 2 기지국(200)의 셀 커버리지(cell coverage)는 서로 중첩될 수 있다. 제 1 기지국(100) 및 제 2 기지국(200)은 서로 다른 이동통신 사업자에 의해 운영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기지국(100)의 이동통신 사업자(예를 들어, SKT)와 제 2 기지국(200)의 이동통신 사업자(예를 들어, KT)는 서로 다를 수 있다.
제 1 단말(300)은 제 1 기지국(100)의 셀 커버리지와 제 2 기지국(200)의 셀 커버리지가 중첩되는 영역에 위치할 수 있다. 즉, 제 1 단말(300)은 제 1 기지국(100)의 서비스 영역과 제 2 기지국(200)의 서비스 영역이 서로 중첩되는 영역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단말(300)이 제 1 기지국(100)을 통한 이동통신 서비스에 가입된 단말인 경우, 제 1 단말(300)과 제 1 기지국(100) 간의 통신은 제 2 기지국(200)에 의해 간섭받을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 1 단말(300)이 제 2 기지국(200)을 통한 이동통신 서비스에 가입된 단말인 경우, 제 1 단말(300)과 제 2 기지국(200) 간의 통신은 제 1 기지국(100)에 의해 간섭받을 수 있다. 제 2 단말(400)은 제 2 기지국(200)과 통신하는 단말일 수 있다.
이하에서, 제 1 단말(300)은 제 1 기지국(100)을 통한 이동통신 서비스에 가입된 단말로 가정하여 설명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간섭이 발생하는 경우 제 1 단말(300)은 제 1 기지국(100)으로부터 정상적인 신호 수신이 어려울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단말(300)은 제 1 기지국(100)의 존재 신호 또는 제 1 기지국(100)의 전송 구간 중 공존 구간에 대한 정보를 제 2 기지국(200)으로 전달함으로써 제 2 기지국(200)이 제 1 기지국(100)을 인지하도록 할 수 있다. 제 1 기지국(100)의 존재를 인지한 제 2 기지국(200)은 제 1 기지국(100)의 신호 전송 구간과 중첩되지 않도록 신호 전송 구간을 할당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먼저 제 1 단말(300)에 대해 설명하고, 그 이후에 제 2 기지국(200)의 자원 할당 방법을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3a 내지 3c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300)은 수신부(310), 송신부(320), 판단부(330), 및 분석부(34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 및 도 3a를 참조하면, 수신부(310)는 제 1 기지국(100)으로부터 제 1 존재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존재 신호는 제 1 기지국(100)의 존재 여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자도프-추(Zadoff-Chu) 시퀀스를 이용하여 생성될 수 있다. 수신부(310)는 공통 주파수 대역을 통해 제 1 기지국(100)으로부터 제 1 존재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공통 주파수 대역은 비면허 대역의 소정 주파수 영역에 설정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b를 참조하면, 수신부(310)는 제 2 기지국(200)으로부터 상기 공통 주파수 대역을 통해 제 2 존재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존재 신호는 제 2 기지국(200)의 존재 여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자도프-추 시퀀스를 이용하여 생성될 수 있다.
도 2 및 도 4를 참조하면, 송신부(320)는 제 1 존재 신호를 제 2 기지국(200) 및/또는 제 3 기지국(500)으로 전달할 수 있다. 송신부(320)는 상기 공통 주파수 대역을 통해 제 1 존재 신호를 제 2 기지국(200)으로 전달할 수 있다.
도 2에서는 수신부(310) 및 송신부(320)가 독립적인 구성으로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수신부(310) 및 송신부(320)는 하나의 통신모듈로 구현될 수도 있다.
도 2 및 도 3c를 참조하면, 판단부(330)는 상기 제 1 존재 신호를 이용하여 제 1 기지국(100)의 존재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판단부(330)는 상기 제 2 존재 신호를 이용하여 제 2 기지국(200)의 존재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판단부(330)는 제 1 기지국(100)의 존재 여부 및 제 2 기지국(200)의 존재 여부를 판단하여 간섭 상황을 인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송신부(320)는 간섭 상황이 인지되는 경우 제 1 기지국(100)의 제 1 존재 신호를 제 2 기지국(200) 및/또는 제 3 기지국(500)으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도 2 및 도 5를 참조하면, 분석부(340)는 상기 제 1 존재 신호를 분석하여 제 1 공존 구간(Coexistence Frame, CF)을 판별할 수 있다. 분석부(340)는 제 2 존재 신호를 분석하여 제 2 공존 구간을 판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공존 구간은 제 1 기지국(100)의 전송 구간 중 신호가 전송되지 않는 구간을 의미하고, 제 2 공존 구간은 제 2 기지국(100)의 전송 구간 중 신호가 전송되지 않는 구간을 의미할 수 있다.
송신부(320)는 분석부(340)를 통해 판별되는 제 1 공존 구간에 대한 정보를 제 2 기지국(200)으로 전달할 수 있다. 송신부(320)는 분석부(340)를 통해 판별되는 제 2 공존 구간에 대한 정보를 제 1 기지국(100)으로 전달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송신부(320)는 간섭 상황이 인지되는 경우 제 1 기지국(100)의 제 1 공존 구간을 판별하여 제 2 기지국(200)으로 전달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동작 방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동작 방법은 제 1 기지국으로부터 공통 주파수 대역을 통해 제 1 존재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S110), 제 1 존재 신호를 공통 주파수 대역을 통해 제 2 기지국으로 전달하는 단계(S120), 제 2 기지국으로부터 제 2 존재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S130), 제 1 존재 신호를 분석하여 제 1 공존 구간을 판별하고, 제 2 존재 신호를 분석하여 제 2 공존 구간을 판별하는 단계(S140), 및 제 1 공존 구간에 대한 정보를 제 2 기지국으로 전달하는 단계(S15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동작 방법이 S110 단계 내지 S150 단계를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실시예에 따라 S110 단계 및 S120 단계만을 포함하여 실시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 상술한 S110 단계 내지 S150 단계가 도 2를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된다.
단말(300)의 수신부(310)는 제 1 기지국(100)으로부터 공통 주파수 대역을 통해 제 1 존재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S110). 단말(300)의 송신부(320)는 공통 주파수 대역을 통해 제 1 존재 신호를 제 2 기지국(200)으로 전달할 수 있다(S120).
그리고, 수신부(310)는 제 2 기지국(200)으로부터 공통 주파수 대역을 통해 제 2 존재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S130). 상기 S130 단계는 S120 단계와 동시에 또는 S120 단계보다 먼저 수행될 수도 있다. 단말(300)의 분석부(340)는 제 1 존재 신호를 분석하여 제 1 공존 구간을 판별하고, 제 2 존재 신호를 분석하여 제 2 공존 구간을 판별할 수 있다(S140). 단말(300)의 송신부(320)는 제 1 공존 구간에 대한 정보를 제 2 기지국(200)으로 전달할 수 있다(S150).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의 자원 할당 방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다른 기지국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단말로부터 다른 기지국의 존재 신호 또는 다른 기지국의 전송 구간 중 공존 구간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S210), 다른 기지국과의 시간 동기 및 다른 기지국의 공존 구간과의 구간 동기를 일치시키는 단계(S220), 및 다른 기지국의 전송 구간 중 신호 전송 구간과 중첩되지 않도록 신호 전송 구간을 할당하는 단계(S2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 상술한 S210 단계 내지 S220 단계가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될 것이다.
먼저, 도 8을 참조하면, 기지국(200, 도 1 참조)은 단말(300)로부터 다른 기지국(예를 들어, 제 1 기지국(100))의 존재 신호 또는 상기 다른 기지국의 전송 구간 중 공존 구간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S210). 상기 존재 신호는 자도프-추(Zadoff-Chu) 시퀀스를 이용하여 생성될 수 있다. 기지국(200)은 공통 주파수 대역을 통해 단말(300)로부터 존재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전송 구간은 공존 구간 및 복수의 신호 전송 구간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존 구간은 기지국(200) 및 다른 기지국(100) 모두 신호를 전송하지 않는 구간으로 이해될 수 있다.
기지국(200)은 다른 기지국(100)과의 시간 동기 및 다른 기지국(100)의 공존 구간과의 구간 동기를 일치시킬 수 있다(S220). 예를 들어, 기지국(200)은 신호 전송이 시작되는 전송 구간의 시간 동기를 다른 기지국(100)과 일치시킬 수 있다. 기지국(200)은 단말(300)로부터 다른 기지국(100)의 존재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존재 신호를 분석하여 다른 기지국(100)의 공존 구간을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다른 기지국(100)과의 시간 동기 및 공존 구간과의 구간 동기를 일치시킬 수 있다.
공존 구간을 일치시키지 않을 경우 서로 다른 기지국(즉, 서로 다른 이동통신 사업자의 기지국)이 번갈아 가며 신호를 전송할 수 있고, 비면허 대역의 다른 전자기기(예를 들어, 무선랜)에는 전송할 기회가 주어지지 않아, 이동통신 시스템들이 동작하는 동안에는 무선랜 시스템이 전혀 신호 전송을 할 수 없는 경우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기지국(200)은 공존 구간의 구간 동기를 일치시킴으로써 다른 전자기기(예를 들어, 무선랜 장치)의 통신 기능도 보호할 수 있다.
기지국(200)은 다른 기지국(100)의 전송 구간 중 신호 전송 구간과 중첩되지 않도록 신호 전송 구간을 할당할 수 있다(S230). 구체적으로, 기지국(200)은 다른 기지국(100)의 신호 전송 구간 이후의 전송 구간에 신호 전송 구간을 할당하거나 다른 기지국(100)의 신호 전송 구간 이전의 전송 구간에 신호 전송 구간을 할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지국(200)의 신호 전송 구간은 다른 기지국(100)의 신호 전송 구간보다 길거나 짧을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기지국(200)은 다른 기지국(100)의 신호 전송 구간 및 보호 구간 이후의 전송 구간에 신호 전송 구간을 할당할 수 있다. 즉, 기지국(200)의 전송 구간은 공존 구간, 복수의 신호 전송 구간 및 보호 구간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지국(200)의 신호 전송 구간은 다른 기지국(100)의 신호 전송 구간과 동일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의 자원 할당 방법은 다른 기지국의 존재를 인지한 기지국이 다른 기지국의 신호 전송 구간과 중첩되지 않도록 신호 전송 구간을 할당함으로써 비면허 대역에서 다수의 기지국(예를 들어, 서로 다른 이동통신 사업자의 기지국)이 존재하는 경우 서로 간의 충돌 및/또는 간섭을 제거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제 1 기지국
200: 제 2 기지국
300: 단말
310: 수신부
320: 송신부
330: 판단부
340: 분석부

Claims (18)

  1. 단말로부터 다른 기지국의 존재 신호 또는 상기 다른 기지국의 전송 구간 중 공존 구간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다른 기지국과의 시간 동기 및 상기 다른 기지국의 공존 구간과의 구간 동기를 일치시키는 단계; 및
    상기 다른 기지국의 전송 구간 중 신호 전송 구간과 중첩되지 않도록 신호 전송 구간을 할당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기지국의 자원 할당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존재 신호는 Zadoff-Chu 시퀀스를 이용하여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의 자원 할당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단말로부터 다른 기지국의 존재 신호 또는 상기 다른 기지국의 전송 구간 중 공존 구간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공통 주파수 대역을 통해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존재 신호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의 자원 할당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구간은 상기 공존 구간 및 복수의 상기 신호 전송 구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의 자원 할당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다른 기지국의 전송 구간 중 신호 전송 구간과 중첩되지 않도록 신호 전송 구간을 할당하는 단계는 상기 다른 기지국의 신호 전송 구간 이후의 전송 구간에 신호 전송 구간을 할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의 자원 할당 방법.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구간은 상기 다른 기지국의 신호 전송 구간 이후의 전송 구간에 정의되는 보호 구간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의 자원 할당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다른 기지국의 전송 구간 중 신호 전송 구간과 중첩되지 않도록 신호 전송 구간을 할당하는 단계는 상기 다른 기지국의 신호 전송 구간 및 보호 구간 이후의 전송 구간에 신호 전송 구간을 할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의 자원 할당 방법.
  8. 제 1 기지국으로부터 공통 주파수 대역을 통해 제 1 존재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 및
    상기 제 1 존재 신호를 상기 공통 주파수 대역을 통해 제 2 기지국으로 전달하는 송신부를 포함하는 단말.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존재 신호는 Zadoff-Chu 시퀀스를 이용하여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부는 상기 제 2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공통 주파수 대역을 통해 제 2 존재 신호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존재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제 1 기지국의 존재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제 2 존재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제 2 기지국의 존재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존재 신호를 분석하여 제 1 공존 구간을 판별하고, 상기 제 2 존재 신호를 분석하여 제 2 공존 구간을 판별하는 분석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부는 상기 제 1 공존 구간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제 2 기지국에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4.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기지국 및 제 2 기지국은 서로 다른 이동통신 사업자에 의해 운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5. 제 1 기지국으로부터 공통 주파수 대역을 통해 제 1 존재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존재 신호를 상기 공통 주파수 대역을 통해 제 2 기지국으로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단말의 동작 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존재 신호는 Zadoff-Chu 시퀀스를 이용하여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의 동작 방법.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기지국으로부터 제 2 존재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존재 신호를 분석하여 제 1 공존 구간을 판별하고, 상기 제 2 존재 신호를 분석하여 제 2 공존 구간을 판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의 동작 방법.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공존 구간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제 2 기지국으로 전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의 동작 방법.
KR1020150031655A 2015-03-06 2015-03-06 단말 및 그것의 동작 방법, 기지국의 자원 할당 방법 KR20160107978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1655A KR20160107978A (ko) 2015-03-06 2015-03-06 단말 및 그것의 동작 방법, 기지국의 자원 할당 방법
US15/056,714 US20160262152A1 (en) 2015-03-06 2016-02-29 Terminal and operating method of the same, and resource allocating method of base sta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1655A KR20160107978A (ko) 2015-03-06 2015-03-06 단말 및 그것의 동작 방법, 기지국의 자원 할당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7978A true KR20160107978A (ko) 2016-09-19

Family

ID=568512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31655A KR20160107978A (ko) 2015-03-06 2015-03-06 단말 및 그것의 동작 방법, 기지국의 자원 할당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60262152A1 (ko)
KR (1) KR2016010797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74608A1 (en) * 2017-03-23 2018-09-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8058503A1 (fr) * 1997-06-16 1998-12-23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Systeme de communication mobile
JP4982409B2 (ja) * 2008-03-06 2012-07-25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無線通信装置及び方法
US8600418B2 (en) * 2008-09-10 2013-12-03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Relay station for cell information exchange between adjacent BSs over air links in cellular systems
JPWO2011043411A1 (ja) * 2009-10-07 2013-03-04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基地局装置
WO2014069587A1 (ja) * 2012-11-02 2014-05-08 シャープ株式会社 基地局装置、端末装置、通信システム、送信方法、受信方法、通信方法および集積回路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74608A1 (en) * 2017-03-23 2018-09-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0631312B2 (en) 2017-03-23 2020-04-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1197306B2 (en) 2017-03-23 2021-12-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60262152A1 (en) 2016-09-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417735B (zh) 接收参考信号以支持灵活无线电通信的方法和装置
CN108632981B (zh) 一种下行同步信号发送方法和接收方法及设备
US20190029047A1 (en) Channel detection method, channel detection device, and terminal
CN105657849B (zh) 在通信网络中调度允许发送信令的方法和装置
WO2022061754A1 (en) Channel occupancy time for sidelink communication in unlicensed band
US11706799B2 (en) Channel access method and apparatus
KR20110122098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이용가능 스펙트럼을 감지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JP6961689B2 (ja) データ送信のための新しい無線フレーム構造のための技法
EP2984764B1 (en) Ue-based interference cancellation by assisting signaling via d2d
WO2016112992A1 (en) Selective scheduling grant rejection for spectrum sharing in a wireless network
EP3461212A1 (en) Communication method and apparatus
WO2019048483A1 (en) INDICATION OF SYNCHRONIZATION SIGNAL BLOCK FOR WIRELESS NETWORKS
WO2013123638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interference management
US952165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using radio channels
WO2013131267A1 (en) Spectrum sensing and cross-carrier scheduling
EP2775748A1 (en) Radio base station apparatus, radio resource management method, radio resource management program,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an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20230041752A1 (en) Information transmission method and device
EP3573400B1 (en) Method for reassigning root sequence index and apparatus therefor
KR20160107978A (ko) 단말 및 그것의 동작 방법, 기지국의 자원 할당 방법
CN113973270B (zh) 消息发送、消息接收方法、装置及通信设备
CN113949492B (zh) 反馈信息传输方法、装置、终端及网络侧设备
KR101599700B1 (ko) 티브이 화이트 스페이스를 이용하는 무선 통신장치의 주파수 제어장치 및 그 방법
Kim et al. Operational algorithm for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using cognitive radio
WO2023159354A1 (en) Method and apparatus of determining resources
US2023004750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ownlink data recep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