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67794B1 - 셀 핸드오프 과정에서의 측정 방법, 중계기 및 기지국 - Google Patents

셀 핸드오프 과정에서의 측정 방법, 중계기 및 기지국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67794B1
KR101167794B1 KR1020107014417A KR20107014417A KR101167794B1 KR 101167794 B1 KR101167794 B1 KR 101167794B1 KR 1020107014417 A KR1020107014417 A KR 1020107014417A KR 20107014417 A KR20107014417 A KR 20107014417A KR 101167794 B1 KR101167794 B1 KR 1011677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base station
module
repeater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144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20638A (ko
Inventor
웨이 바오
주오 가오
하이주오 비
Original Assignee
차이나 아카데미 오브 텔레커뮤니케이션즈 테크놀로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차이나 아카데미 오브 텔레커뮤니케이션즈 테크놀로지 filed Critical 차이나 아카데미 오브 텔레커뮤니케이션즈 테크놀로지
Publication of KR201001206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206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77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77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83Determination of parameters used for hand-off, e.g. generation or modification of neighbour cell lists
    • H04W36/0085Hand-off measurements
    • H04W36/0088Scheduling hand-off measur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04B7/15Active relay systems
    • H04B7/155Ground-based stations
    • H04B7/15528Control of operation parameters of a relay station to exploit the physical medium
    • H04B7/15542Selecting at relay station its transmit and receive resour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24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 H04W36/30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by measured or perceived connection quality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Access point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24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 H04B7/26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at least one of which is mobile
    • H04B7/2603Arrangements for wireless physical layer control
    • H04B7/2606Arrangements for base station coverage control, e.g. by using relays in tunne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04Large scale networks; Deep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042Public Land Mobile systems, e.g. cellular systems
    • H04W84/047Public Land Mobile systems, e.g. cellular systems using dedicated repeater st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셀 핸드오프 과정에서의 측정 방법에 관한 것으로, 네트워크 측정이 촉발된 후, 기지국은 단말에 상향 데이터의 전송에 필요한 리소스를 스케줄하는 절차A과, 상기 기지국과 중계기(RS)는 상기 기지국에서 스케줄(schedule)한 상기 리소스에서 상기 단말이 전송한 업링크(uplink) 신호를 측정하고 상기 중계기(RS)는 측정된 상향신호 측정 정보를 기지국에 보고하는 절차B를 포함한다. 동시에 셀 핸드오프를 실현할 수 있는 중계기(RS)와 기지국을 제공하기도 한다. 본 발명은 단말과 망측 신호의 질을 측정할 때, 망측에 의해서 측정하고 측정 결과에 따라 단말을 위한 핸드오프를 실행하는 목표 노드를 선정할 수 있다.

Description

셀 핸드오프 과정에서의 측정 방법, 중계기 및 기지국{A Measure Method, A Repeater And A Base Station In The Process Of Cell Handoff}
본 발명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셀 핸드오프 기술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셀 핸드오프 과정에서의 측정 방법, 중계기 및 기지국에 관한 것이다.
사용자 단말의 시스템에 대한 전방위 커버와 대용량의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서 향후 이동통신시스템에서는 중계기(Relay Station: 이하에서 "중계기(RS)" 또는 "RS"라 함)을 대량으로 사용할 것이다. RS와 관련된 여러 개념은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RS: 노드 사이에 단말 데이터 혹은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기능을 구비한 노드이다. 상기 노드 사이는 다음과 같은 것을 포함한다: 기지국(Base Station: BS)과 RS사이, RS와 RS 사이, RS와 단말(User Terminal: UT) 사이.
투명RS: 투명RS는 하향동기화채널, 시스템 배치 메시지와 리소스 할당 브로드캐스트 메시지를 전송하지 않는다.
불투명RS: 불투명RS는 자신의 하향동기화채널, 시스템 배치 메시지와 리소스 분배 브로드캐스트 메시지를 전송한다.
액세스 링크: UT에서 시작되거나 그것에 끝나는 무선 링크이다.
중계 링크: BS와 RS 사이에 있는 무선 링크나 RS와 RS 사이의 무선 링크이다.
BS에 비해서 RS는 융통성이 강하고 원가가 낮은 장점을 지니고 있어서 네트워크를 만드는 데 원가를 줄일 수 있다. RS의 도입은 시스템의 용량을 증가할 수 있으며 영역의 커버 범위를 넓힐 수 있고 전송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1은 RS가 다른 경우에 응용될 때의 상황과 그 역할을 보여주고 있다. 실제 사용 과정에서 투명RS는 커버 범위가 완전히 BS의 커버 범위 안에 있고, 불투명RS는 커버 범위의 일부나 전부가 BS의 커버 범위 밖에 있을 수 있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점 커버를 제공하는 RS2는 투명RS이며, BS의 커버 범위를 넓히는 중계기(RS) RS1과 그늘 문제를 해결하는 중계기(RS) RS3은 불투명 RS이다.
RS 사이의 무선 신호가 서로 방해하는 것을 피하기 위해, 도2에서 보여주는 RS의 작업 주파수대처럼 실제로 망을 설치할 때에는 인접해 있는 RS의 주파수대를 서로 달리 설정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RS1, RS2, RS3는 BS의 지배된 RS이다. BS가 셀의 전부 주파수대를 사용할 수 있고, 격 RS가 셀의 일부나 전부의 주파수대를 사용할 수 있다. RS가 사용하는 주파수대의 크기는 RS 서비스 단말의 업무량과 RS의 설계능력에 달려 있다. RS1, RS2, RS3은 BS와 같은 주파수대 210을 공유하고 있는데 BS와 각 RS의 대응된 주파수대는 격자망 형의 무늬로 표시되어 있고 상기 같은 주파수대는 공통 주파수(common frequency)대라고 부른다. 그것의 주된 용도로는 RS 사이에 서로 통신하고, UT에서 전송한 공공메시지, 예컨대 프리앰블(PREAMBLE) 등을 받는 데 사용되는 것이다.
다음에는 UT가 서비스 노드 핸드오프의 과정에 대해서 소개하겠다. 핸드오프란 사용자 단말이 통신 과정에서 한 BS나 RS가 커버된 영역에서 다른BS나 RS가 커버된 영역으로 이동하거나, 외부의 방해로 인한 통신 품질이 낮아질 경우에 현재의 통신 링크에서 엑세스 노드에 관리되고 있는 한가한 통신 링크로 바꾸는 과정을 말한다. 상기 엑세스 노드는 BS나 RS이다.
이동통신시스템의 핸드오프 절차는 크게 세 과정으로 세분되는데 측정과정, 판결과정 그리고 실행과정이 그것이다.
측정과정: 그 주된 기능은 무선통신 시스템 중의 핸드오프가 요구되는 변수를 측정하고 측정된 결과에 대해서 점검한다. 측정과정은 주로 시스템 내부에 대한 측정과 시스템 사이에서의 측정, 그리고 인트라 주파수(intra-frequency)의 측정, 인트 주파수(inter-frequency)의 측정으로 나뉜다. 측정과정은 주로 측정보고의 주기와 격식 등 변수에 대해 언급한다. 지금의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측정은 주로 UT가 BS에서 전송된 하향 파일럿 신호에 대해서 점검하여 그것의 품질을 판정한다. 향후의 이동통신시스템에서는 어떤 망측 서비스 노드 예컨대 투명RS에 측정될 수 있는 하향 파일럿 신호가 없으므로 UT와 망측 간의 신호의 품질에 대해서 측정할 수 없다.
판결과정: 그 주된 기능은 네트워크와 업무 등 여러 측면의 변수 요구에 근거하여 대응된 문턱치(threshold)와 측정 결과를 참고해서 핸드오프 판결 결론을 내리고, 최종적으로 UT의 핸드오프 여부 및 핸드오프의 목표 셀을 결정한다. 판결과정의 설계는 핸드오프 계산 중의 각종 핸드오프 규칙을 구체적으로 구현하는 동시에 시스템 성능에 대한 구체적인 반영이기도 하다.
실행과정: 그 주된 역할은 판결과정을 거쳐 UT가 상관된 핸드오프를 해야 한다는 결정을 내리면, 목표 셀과 UT 사이의 신호상호전달을 통해서, UT와 목표셀의 연결, 사용자에게 대응된 리소스의 분할을 이룸으로써 핸드오프의 모든 과정을 마친다.
상기 기술을 통해서 알 수 있듯이 종래기술로는 어떤 망측 서비스 노드 예컨대 투명 RS에 측정될 수 있는 하향 파일럿 신호가 없으므로 단말이 UT와 망측 간의 신호의 품질에 대해서 측정할 수 없고 나아가 셀 핸드오프도 할 수 없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셀의 핸드오프 과정에서의 측정방법을 제공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 방법으로 셀 핸드오프 과정에서 망측을 사용하여 신호품질에 대해서 측정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셀 핸드오프의 실현을 위한 중계기(RS)와 기지국을 제공하는 것도 본 발명의 목적이 된다. 상기 중계기(RS)와 기지국을 사용하여 단말이 셀 핸드오프하는 과정에서 자신과 단말 사이의 신호품질에 대해서 측정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실현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기술방안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셀 핸드오프에서의 측정방법을 제공하는데 이 방법은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다.
A: 네트워크 측정이 촉발된 후, 기지국은 단말에 상향 데이터의 전송에 필요한 리소스를 스케줄(schedule)한다.
B. 상기 기지국과 중계기(RS)는 상기 기지국에서 스케줄한 상기 리소스를 통해 상기 단말이 전송한 업링크(uplink) 신호를 측정한다. 중계기(RS)는 측정된 업링크 신호 측정 정보를 기지국에 보도한다.
그 중에서 네트워트 측정이 촉발된 후, 상기 기지국이 상기 단말에 상향 데이터가 있음을 감지하면 상기 기지국이 스케줄한 상기 리소스는 공통 주파수(common frequency) 대역 리소스이며, 상기 업링크(uplink) 신호는 상기 단말이 전송한 상향데이터이다.
기지국이 단말을 위해 상기 공통 주파수(common frequency) 대역의 리소스를 스케줄(schedule)한 경우에는 절차 A와 절차 B 사이에 나아가 다음과 같은 내용이 포함된다:
A1, 상기 기지국이 스케줄(schedule)한 상기 리소스의 리소스 스케줄 정보를 상관 중계기(RS)와 상기 단말에 전송한다. 상기 대응된 중계기(RS)는 상기 단말의 현재 서비스 노드와, 인접한 중계기(RS)가 포함된다. 상기 상관 중계기(RS)는 투명 중계기(RS) 또는 불투명 중계기(RS)이다.
절차 A는 나아가 다음과 같은 내용이 포함된다:
상기 기지국은 상기 단말에 전용랜덤액세스 프리앰블(preamble)과 시간, 주파수 및 프리앰플 전송을 위한 자원에 상응하는 위치 감지 정보를 분할해 주고 상기 리소스 스케줄 정보를 상기 단말에 전송한다.
네트워크 측정이 촉발된 후, 상기 기지국이 상기 단말에 상향 데이터가 없음을 감지하여 상기 기지국이 스케줄(schedule)한 상기 리소스는 전용 프리앰블과 시간, 주파수 및 프리앰플 전송을 위한 자원에 상응하는 위치 감지 정보 이며, 이에 따라 상기 업링크(uplink) 신호는 상기 단말이 전송한 전용 프리앰블이며, 절차 A는 상기 기지국이 스케줄(schedule)을 통해 얻은 스케줄 리소스 정보를 상기 단말에 전송하는 절차를 나아가 포함한다.
절차 A와 절차 B 사이에는 나아가 다음과 같은 단계를 포함한다:
A2, 상기 기지국이 스케줄(schedule)한 상기 리소스의 리소스 스케줄 정보를 상관 중계기(RS)에 전송한다. 상기 대응된 중계기(RS)에는 상기 단말의 현재 서비스 노드와, 인접한 중계기(RS)가 포함된다. 상기 대응된 중계기(RS)는 투명 중계기(RS) 또는 불투명 중계기(RS)이다.
절차 B를 거쳐 나아가 다음과 같은 단계가 포함된다:
C, 상기 기지국은 자신이 측정된 측정결과 및/또는 상기 상향신호 점검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단말을 위한 핸드오프의 목표 노드를 결정한다.
절차 C를 거쳐 나아가 다음과 같은 단계가 포함된다:
D, 상기 목표 노드가 단말의 원 서비스 노드와 같을 경우에는 핸드오프 과정이 끝난 것이다; 상기 목표 노드가 단말의 원 서비스 노드와 다를 경우에는 기지국이 원 서비스 노드에 연결해지하라고 알릴 것이고 원 서비스 노드는 단말에서의 상향 데이터과 하향 데이터의 송?수신 상태 정보를 위로 보고한다.
절차 D가 끝난 후에 다음과 같은 절차 내용이 진행된다:
E, 상기 목표 노드가 기지국 자신일 경우에는, 기지국이 수신한 상기 상태정보에 근거하여 자신에 대한 배치를 실시하고 조절신호를 단말에 전송한다. 단말은 상기 조절 신호 중의 조절정보에 따라 상관 변수(parameter)의 조절을 실시하고 핸드오프 과정이 끝난다.
절차 E는 나아가 다음과 같은 단계가 포함되기도 한다:
상기 목표 노드가 중계기(RS)일 경우에는, 기지국이 수신한 상기 상태정보 및 목표 노드 정보에 근거하여 상태 배치 신호를 생성해서 목표 노드에 전송하고, 목표 노드에 대해서 배치하고 나서 조절신호를 생성하여 단말에 전송한다. 단말은 상기 조절 신호 중의 조절정보에 따라 상관 변수(parameter)의 조절을 실시하고 핸드오프 과정이 끝난다.
본 발명은 동시에 셀 핸드오프의 실현을 위한 중계기(RS)를 제공하기도 한다. 상기 중계기(RS)는 데이터 접수 모듈, 상향 데이터 점검 모듈 그리고 데이터 전송 모듈을 포함한다.
데이터 접수 모듈은 기지국에서 전송해온 리소스 스케줄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리소스 스케줄 정보를 상향 데이터 점검 모듈에 전송한다;
상향 데이터 점검 모듈은 상기 리소스 스케줄 정보를 수신하고 대응된 주파수대에서 단말의 업링크(uplink) 신호를 점검하여 얻어진 상향신호점검정보를 데이터 전송 모듈에 전송한다;
데이터 전송 모듈은 상기 상향신호점검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점검정보를 기지국에 전송한다.
그 중에서 상기 중계기(RS)는 투명중계기(RS) 또는 불투명 중계기(RS)이다.
그 중에서 상기 업링크(uplink) 신호는 단말에서 전송된 상향 데이터나 전용 프리앰블이다.
나아가 데이터 접수 모듈은 기지국에서 전송해온 해지연결신호를 수신하고 상태정보 생성 모듈에 신호를 보낸다.
따라서 본 중계기(RS)는 데이터 접수 모듈에서 보내온 상기 신호를 받으면 단말과의 연결을 해지하여 송?수신상태 정보를 생성하여 데이터 전송 모듈에 전송하는 상태정보 생성 모듈을 더 포함한다.
따라서 데이터 전송 모듈은 접수된 상기 송?수신상태 정보를 기지국으로 전송한다.
또한, 데이터 접수 모듈은 기지국에서 보내온 상태 배치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배치신호를 상태 배치 모듈로 보낸다.
따라서 본 중계기(RS)는 상기 배치신호를 수신하고 그 중의 단말 상하향 데이터의 송?수신상태 정보에 근거하여 자신이 속한 중계기(RS)를 본 단말의 서비스 노드로 배치하는 상태 배치 모듈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은 셀 핸드오프의 실현을 위한 기지국을 제공하기도 한다. 본 기지국에는 데이터 접수 모듈, 리소스 스케줄 모듈, 상향 데이터 점검 모듈, 서비스 노드 선택 모듈, 및 데이터 전송 모듈이 포함된다. 이 중에서:
데이터 접수 모듈은 지배된 중계기(RS)에서 보내온 상향신호점검정보를 서비스 노드 선택 모듈로 보낸다;
리소스 스케줄 모듈은 네트워크 측정이 촉발될 때, 단말에 상향 데이터가 있는지를 판단하여 단말을 위해 공통 주파수(common frequency) 대역 리소스를 스케줄하거나 전용 프리앰블과 시간, 주파수 및 프리앰플 전송을 위한 자원에 상응하는 위치 감지 정보를 분할하고 상기 리소스 스케줄 정보를 상향 데이터 점검 모듈과 데이터 전송 모듈로 전송한다;
상향 데이터 점검 모듈은 상기 리소스 스케줄 정보를 수신하고 대응된 주파수대에서 단말로 전송한 업링크(uplink) 신호에 대해서 점검하여 점검 결과를 서비스 노드 선택 모듈로 보낸다;
서비스 노드 선택 모듈은 상기 수신한 점검 결과와 상향신호 점검 정보에 근거하여 단말을 위해 서버하는 목표 노드를 결정하여 상기 목표 노드 정보를 밖으로 전송한다;
데이터 전송 모듈은 접수된 상기 리소스 스케줄 정보를 단말과 대응된 중계기(RS)로 전송한다.
이 중에서 데이터 접수 모듈은 또한 접수된 단말의 현재 서비스 노드에서 보내온 송?수신상태 정보를 배치신호 생성 모듈로 보낸다.
결정된 목표 노드가 단말의 현재 서비스 노드와 다를 경우, 서비스 노드 선택 모듈은 또한 해지연결 신호를 생성하여 데이터 전송 모듈로 전송한다; 그리고 목표 노드 정보를 조절신호 생성 모듈과 상태 배치 모듈로 보내기도 한다.
이에 따라 본 기지국은 또한 상태배치 모듈과 조절신호 생성 모듈을 포함한다. 그중, 상태배치 모듈은 상기 송?수신상태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한 목표 노드정보에 근거하여 목표 노드가 기지국 자신일 경우, 기지국을 단말의 서비스 노드로 배치한다; 목표 노드가 중계기(RS)일 경우에는 상태 배치 신호를 생성하여 데이터 전송 모듈로 보낸다.
조절신호 생성 모듈은 목표 노드정보과 본 목표 노드가 단말 상향 데이터에 대한 측정결과에 근거하여 조절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조절신호를 데이터 전송 모듈로 전송한다.
따라서 데이터 전송 모듈은 또한 수신한 상태배치 신호를 목표 노드로 전송하고 수신한 조절신호를 단말로 보내기도 한다.
상기 업링크(uplink) 신호는 단말에서 전송된 상향 데이터나 전용 프리앰블이다.
본 발명이 제공하는 셀 핸드오프 과정에서의 측정방법과 셀 핸드오프의 실현을 위한 중계기(RS)와 기지국은 다음과 같은 장점 및 특성을 지닌다:
(1)UT가 셀 핸드오프해야 할 경우에는 단말에 의해서 하향 파일럿 신호를 측정하는 것이 아니라 망측에 측정기제를 촉발하고 UT와 망측 간의 상향신호의 품질에 대해서 측정하고 최종적으로 측정결과에 따라 UT에게 핸드오프의 목표 노드를 선택해 준다.
(2)망측의 측정이 촉발된 후, BS는 UT에게 공통 주파수(common frequency) 대역 리소스를 스케줄하여 상향 데이터의 전송을 진행하고, 공통 주파수(common frequency) 대역 리소스를 스케줄할 수 없을 경우, UT에게 전용랜덤액세스프리앰블(이하 프리앰블로 약칭한다)과 시간, 주파수 및 프리앰플 전송을 위한 자원에 상응하는 위치 감지 정보를 분할함으로써 UT상향 데이터에 대한 측정을 실시한다. 이것은 인접해 있는 RS가 서로 다른 주파수대를 사용한다는 것이 고려되지 못했으므로 가장 적합한 서비스 노드가 UT의 상향 데이터를 측정할 수 없는 문제를 피할 수 있다.
예컨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 UT가 상향 데이터를 전송하는 데 사용하는 주파수대는 투명 또는 불투명 중계기(RS) RS1, RS3와 기지국BS의 접수 주파수대 안에 있고 투명 또는 불투명 중계기(RS) RS2의 접수 주파수대 밖에 위치한다. 단말 UT의 현재 서비스 노드는 RS1이다. UT의 이동에 따라 RS1는 더이상 서비스 노드로 기능하는 것이 적합하지 않게 되었다. 이때 BS는 네트워크측정을 가동하여 RS1, RS3와 BS를 배치하는 동시에 UT의 상향신호에 대해서 측정하여 측정결과에 따라 UT에게 서비스 노드를 선택해 준다. 도3에서 볼 수 있듯이 이때 UT는 RS2에서 가장 가까운데, UT가 상향 데이터를 전송하는 데 사용하는 주파수대는 RS2의 작업 주파수대 밖에 위치하므로 RS2가 UT에서의 상향 신호에 대해서 측정할 수 없음에 따라 RS2는 BS에 의해서 UT의 서비스 노드로 선정받을 수 없다.
본 발명에서 UT 주위의 RS가 UT의 상향 데이터를 측정할 수 있도록 BS가 UT를 위해 공통 주파수(common frequency) 대역 리소스를 스케줄(schedule)한다. 공통 주파수(common frequency) 대역 리소스가 없는 경우, RS가 대응된 프리앰블에 대해서 측정할 수 있도록 UT에게 전용 프리앰블과 시간, 주파수 및 프리앰플 전송을 위한 자원에 상응하는 위치 감지 정보를 분할함으로써 근본적으로 상기와 같은 문제를 피하게 한다.
(3) 본 발명에서 UT에게 전송할 상향 데이터가 없을 경우, BS는 UT에게 전용 프리앰블과 시간, 주파수 및 프리앰플 전송을 위한 자원에 상응하는 위치 감지 정보를 배포하고 RS와 BS는 UT가 전송한 프리앰블의 측정을 통해 신호품질을 측정함으로써 UT에게 전송할 상향 데이터가 없을 경우, 네트워크측정을 진행할 수 없는 문제를 해결한다.
도 1은 RS의 각종 적용 상황 및 역할을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BS 및 지배된 중계기(RS) 작업 주파수대 관계를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최적 서빙 셀이 기지국에 의해서 목표 노드로 선정받지 못한 경우를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이 단말에게 공통 주파수(common frequency) 대역 리소스를 스케줄해줄 때의 핸드오프방법 절차를 도시하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이 단말에게 전용 프리앰블을 할당해줄 때의 핸드오프방법 절차를 도시하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셀 핸드오프를 실현하기 위한 중계기(RS)의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셀 핸드오프를 실현하기 위한 기지국의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
본 발명의 기본 사상은 다음과 같다. 측정기제가 촉발된 후, 기지국이 단말에 공통 주파수(common frequency) 대역 리소스나 전용 프리앰블 및 그것의 시간, 주파수 및 프리앰플 전송을 위한 자원에 상응하는 위치 감지 정보를 분배한다; 단말이 상기 리소스에서 업링크(uplink) 신호를 전송할 때, 기지국과 그에 대응된 중계기(RS)는 본 단말의 상향 데이터에 대한 측정을 진행한다; 기지국은 자신 및 중계기(RS)의 측정결과에 근거하여 단말이 핸드오프하는 목표 노드를 결정하고 후속 셀 핸드오프 절차를 진행한다.
다음에 실시예와 첨부된 도면과 결합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서의 기지국이 단말에게 공통 주파수(common frequency) 대역 리소스를 스케줄해줄 때의 핸드오프방법 절차도이다. 이 중에서 UT, RS1, RS2, 및 BS가 포함되고, 중계기(RS) RS1는 UT의 현재 서비스 노드이고 중계기(RS) RS2는 BS가 선정된 UT의 목표 노드이다. 그러나 이 방법절차는 UT, RS1, RS2, 및 BS 사이에만 한정되지 않고 UT의 상향 데이터에 대한 측정을 하는 기타 RS도 포함된다. 상기 기타 RS, BS와 UT 간의 데이터 상호절차(interaction procedure)는 단계405 전에 목표 노드 RS2와 같다. 도 4에서는 이를 표시하지 않았다. 그 중에서 상기 중계기(RS)는 투명 또는 불투명 중계기(RS)이다. 도 4에서 보여주듯이 본 방법은 다음과 같은 절차가 포함된다:
절차 401: BS측 네트워크 측정이 촉발된 후, BS는 우선 측정될 UT에 상향 데이터의 존재 여부를 판단한다. 상향 데이터가 존재할 경우, BS는 UT가 상향 데이터를 전송하는 데 사용하는 리소스를 스케줄해 준다. 상기 리소스는 공통 주파수(common frequency) 대역 리소스이면 가장 좋다. 도 4에서 보여주는 핸드오프 과정에서 상기 리소스는 공통 주파수(common frequency) 대역 리소스다. 그 중에서 UT에 상향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BS는 UT에 전용 프리앰블과 그것의 시간, 주파수 및 프리앰플 전송을 위한 자원에 상응하는 위치 감지 정보를 분배해 준다. 이때 UT가 셀 핸드오프를 진행하는 구체적인 처리 절차는 도 5에서 자세한 핸드오프 방법이 있으니 여기서 더이상 기술하지 않겠다.
그 중에서 BS측 네트워크측정의 촉발 조건은 한 가지나 여려 가지가 포함되나 그것에만 한정되지 않는다:
서비스 노드가 RS일 경우, 사용자의 무선채널 환경이 악화되면 BS로 보고하는데 이 보도는 네트워크 측정을 촉발시킬 수 있다;
서비스 노드가 BS일 경우, 그것이 사용자의 무선 채널 환경이 악화된 것을 발견할 때,네트워크 측정을 촉발시킬 수 있다;
UT가 무선채널 환경이 악화된 것을 발견할 때, 네트워크 측정을 촉발시킬 수 있다.
그 중에서 상기 공통 주파수(common frequency)대는 모든 RS의 공용작업주파수대가 될 수 있으며, 부분적인 RS의 공용작업 주파수대가 될 수 있다. 이 주파수대를 접수할 수 있는 RS가 많을수록 최종적으로 선정된 서비스 노드가 좋은 효과를 발휘하는 가능성이 크다. 그리고 상기 공통 주파수(common frequency)대는 반드시 현재 서비스 노드의 작업 주파수대 안에 있어야 하고 상기 부분적인 RS는 UT의 주위에 있는 것이 가장 좋다.
BS가 지배하는 각 RS의 작업 주파수대는 모두 확정값이므로 UT가 BS, 또는 그것이 지배하는 어느 RS를 서비스 노드로 삼을 경우, BS는 이를 근거하여 UT의 위치, UT 주위의 RS를 확정할 수 있으며, 나아가 UT 주위의 RS의 공통 주파수(common frequency)대를 알아낼 수 있다.
그 중에서 BS가 구체적으로 UT에 상향 데이터의 존재 여부를 어떻게 확인하는지, 구체적으로 UT를 위해 리소스나 공통 주파수(common frequency) 대역 리소스를 스케줄하는 지, 구체적으로 UT를 위해 전용 프리앰블과 시간, 주파수 및 프리앰플 전송을 위한 자원에 상응하는 위치 감지 정보를 분할하는지는 기존의 기술에서 이미 잘 알려진 사실이니 더이상 언급하지 않겠다. 마찬가지로 BS가 구체적으로 UT 주위의, UT에게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RS를 어떻게 확인하는지, 각 RS의 작업 주파수대를 근거하여 어떻게 공통 주파수(common frequency)대를 알아내는지에 관련된 방법도 기존의 기술에서 잘 알려진 바이니 여기서 더 이상 언급하지 않겠다.
절차 402: BS가 공통 주파수(common frequency) 대역 리소스를 성공적으로 스케줄(schedule)한 경우에, BS는 리소스 스케줄에서 얻어진 리소스 스케줄 정보를 UT와 대응된 각 RS에 알린다. 이 중에서 대응된 각 중계기(RS)는 단말이 현재 사용 중인 현재 서비스 노드와 인접해 있는 중계기(RS)가 포함된다.
그 중에서 절차 401에서 스케줄(schedule)한 주파수대는 모든 RS의 공통 주파수(common frequency)대일 경우, BS는 리소스 스케줄 결과를 지배된 모든 RS에 통보할 수 있고 UT의 주위에 있는 RS에만 통보할 수도 있다. 절차 401 중에서 BS가 스케줄(schedule)한 주파수대는 부분적인 RS의 공통 주파수(common frequency)대일 경우, 상기 대응된 각 RS는 절차 401에서 공통 주파수(common frequency)대를 확인할 때 대응된 RS이고 그중의 일부이거나 BS에 지배된 그 주파수대를 접수할 수 있는 모든 RS일 수도 있다.
그 중에서 상기 구체적으로 통보해야 할 RS는 실제 응용 과정에서 융통성 있게 제어할 수 있다.
그 중에서 BS가 공통 주파수(common frequency) 대역 리소스를 성공적으로 스케줄하지 못한 경우에, BS는 UT에 전용 프리앰블과 시간, 주파수 및 프리앰플 전송을 위한 자원에 상응하는 위치 감지 정보를 할당해 준다. BS가 UT에 전용 프리앰블을 할당할 때, 핸드오프 과정에서의 구체적인 처리 방법은 도 5에서 자세한 설명이 나오므로 여기서 생략하겠다.
절차 403: UT가 절차 402 중에서 BS가 통보한 리소스에서 상향 데이터를 전송하고, 대응된 RS와 BS가 상기 상향 데이터에 대해서 측정한다. 기지국이 통보한 대응된 RS와 대응되고 단말 현재의 현재 서비스 노드, 인접해 있는 중계기(RS) 그리고 BS가 상기 상향 데이터에 대해서 측정한다. 측정될 정보는 다음과 같은 한 가지나 여러가지인데 그것에만 제한되지 않는다:
상향신호의 도착시간과 예측도착시간의 편차, 즉 타이밍얼라인먼트(TA, Timing Alignment);
접수된 신호의 파워.
그 중에서 RS와 BS가 어떻게 상향 데이터에 대해서 TA와 파워 등의 측정은 종래기술에서 이미 잘 알려진 바이니 여기서 생략하겠다.
절차 404: RS는 절차 403에서 측정된 상향신호측정정보를 BS에 보고한다.
절차 405: BS는 자신이 측정된 정보와 각 RS가 보고한 상기 상향신호측정정보를 근거하여 UT에게 핸드오프의 목표 노드를 선택해 준다. 선택수신한 목표 노드가 현재 UT를 위해 서버하는 현재 서비스 노드 RS1일 경우, 핸드오프할 필요가 없어지고 핸드오프 과정도 여기서 끝난 것이다. UT는 계속 현재 서비스 노드 RS1와 데이터의 송?수신을 진행할 수 있다; 선택수신한 목표 노드가 원래의 서비스 노드 RS1이 아닐 경우, 절차 406이 진행된다. 기지국이 선정한 목표 노드가 RS2임을 가정한다.
그 중에서 BS가 구체적으로 어떻게 상기 측정된 정보를 근거하여 서비스 노드를 선정하는지는 종래기술에서 잘 알려진 바이므로 여기서 이 부분에 대한 설명을 생략하겠다.
절차 406: BS는 현재 서비스 노드 RS1에 연결해지신호를 보내고 상기 신호는 현재 서비스 노드 RS1에게 UT와의 연결을 해지하라고 통고하는 데에 작용한다.
절차 407: 현재 서비스 노드RS1는 BS에 해당 UT의 상향 데이터와 하향데이터의 송?수신상태 정보를 보낸다.
절차 408: BS가 목표 노드를 배치한다. 만약 목표 노드가 BS이면 BS는 다만 수신한 상기 송?수신상태 정보를 근거하여 현지 배치를 진행하면 된다. 그 후에 절차 409를 실행한다. 만약 목표 노드가 어느 RS일 경우, 본 실시예에서는 RS2인데 BS가 목표 노드 RS2에 상태배치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신호는 목표 노드RS2에 대한 배치하는 데에 작용한다. 배치를 통해 BS는 현재 서비스 노드RS1의 송?수신상태를 목표 노드 RS2에 배치해 준다.
절차 409: BS가 UT에 조정신호를 전송한다. 상기 신호에는 TA 및 전송 파워 등 정보가 포함되며 UT가 TA 및 전송 파워에 대한 조정하는 데 사용된다.
그 중에서 상기 UT에 통보해서 조정한 TA 및 전송 파워는 절차 404에서 목표 노드로 선정된 중계기(RS) RS2가 보고한 상향신호측정정보를 통해 결정된다.
절차 410: UT가 수신한 상기신호중의 조정정보를 근거하여 전송 변수에 대해서 조정한다. 그 중에서 UT가 구체적으로 어떻게 TA 및 파워 등 조정정보를 근거하여 변수에 대해서 조정하는지는 종래기술에서 잘 알려진 바이므로 여기서 이에 대한 설명을 생략하겠다.
그 후 핸드오프 과정이 끝나고 UT는 목표 노드 RS2와 통신하기 시작한다.
도 5는 본 발명에서의 기지국이 단말에게 전용 프리앰블을 할당해줄 때의 핸드오프방법 절차도이다. 이 중에서 UT, RS1, RS2, 및 BS가 포함되고 중계기(RS) RS1는 UT의 현재 서비스 노드이고 중계기(RS) RS2는 BS가 선정된 목표 노드이다. 그러나 이 방법절차는 UT, RS1, RS2, 및 BS 사이에만 제한되지 않고 UT의 상향 데이터에 대한 측정을 하는 기타 RS도 포함된다. 절차 505 전에 기타 RS의 처리 과정은 RS2와 같은데 도 5에서는 이를 표시하지 않았다. 도 5에서 보여주듯이 본 방법은 다음과 같은 내용이 포함된다:
절차 501: BS측의 네트워크측정이 촉발된 후, BS가 UT에 상향 데이터가 없음을 판정하거나 BS가 리소스 스케줄하는 과정에서 UT에 공통 주파수(common frequency) 대역 리소스를 스케줄할 수 없을 경우, BS는 UT에 프리앰블과 그것의 시간, 주파수 및 프리앰플 전송을 위한 자원에 상응하는 위치 감지 정보를 할당해 준다.
그 중에서 상기 BS가 UT에서 상향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리소스를 공통 주파수(common frequency)대로 스케줄할 수 없는 이유로는 주로 다음과 같은 것이 있다: 공통 주파수(common frequency)대에는 UT와 현재 사용중인 서비스 노드 간의 상향 링크 신호 품질이 좋지 않아 억지로 UT를 해당 주파스대에서 상향 데이터를 전송하게 하면 사용자 데이터가 잃어버리게 되거나 지연하게 될 것이고 나아가 사용자의 정식적인 사용에 지장을 주게 된다; 공통 주파수(common frequency) 대역 리소스에는 현행 UT에 스케줄할 잉여 리소스가 없다.
그 중에서 상기 BS가 UT에 할당한 프리앰블은 전용 프리앰블이어야 한다. 즉 상기 리소스에서 상기 UT만이 이 프리앰블을 전송하고, 다른 UT가 만약 상기 리소스로 프리앰블을 전송하면 그것이 사용한 프리앰블은 반드시 상기 전용 프리앰블과 달라야 한다.
그 중에서 BS측 네트워크측정의 촉발조건은 다음과 같은 한 가지나 여러 가지인데 그것에만 제한되지 않는다:
서비스 노드가 RS일 경우, 사용자의 무선채널 환경이 악화되면 BS로 보고하는데 이 보도는 네트워크 측정을 촉발시킬 수 있다;
서비스 노드가 BS일 경우, 그것이 사용자의 무선채널 환경이 악화된 것을 발견할 때, 네트워크 측정을 촉발시킬 수 있다;
UT가 무선채널 환경이 악화된 것을 발견할 때, 네트워크 측정을 촉발시킬 수 있다.
그 중에서 BS가 구체적으로 UT에 상향 데이터의 존재 여부를 어떻게 확인하는지, 구체적으로 BT가 UT를 위해 리소스나 공통 주파수(common frequency) 대역 리소스를 스케줄하는지, 구체적으로 UT를 위해 전용 프리앰블과 시간, 주파수 및 프리앰플 전송을 위한 자원에 상응하는 위치 감지 정보를 할당하는지는 기존의 기술에서 이미 잘 알려진 사실이니 더이상 언급하지 않겠다.
절차 502: BS는 UT에 할당한 프리앰블과 시간, 주파수 및 프리앰플 전송을 위한 자원에 상응하는 위치 감지 정보를 UT와 대응된 RS에 알려준다.
그 중에서 상기 대응된 중계기(RS)는 상기 단말의 현재 서비스 노드와 인접한 중계기(RS)가 포함된다. 만약 RS가 시간, 주파수 및 프리앰플 전송을 위한 자원에 상응하는 위치 감지 정보 에서의 모든 프리앰블에 대한 측정을 위해 배치되면 상기 정보는 각 RS로 보낼 필요가 없다. 이때 이 절차에서 BS는 UT에만 상기 정보를 통보하면 된다.
절차 503: UT가 절차 502 중에서 BS가 통보한 리소스에서 전용 프리앰블을 전송하고, RS와 BS가 상기 프리앰블에 대해서 측정한다. 측정될 정보는 다음과 같은 한 가지나 여러 가지인데 그것에만 제한되지 않는다: 상향신호의 도착시간과 예측도착시간의 편차, 즉 TA와 접수된 신호의 파워. 그 중에서 전용 프리앰블과 UT가 전송해야 할 상향 데이터는 모두 상향 데이터라고 할 수 있다.
절차 504: RS는 절차 503에서 측정된 상향신호 측정정보를 BS에 보고한다.
절차 505: BS는 자신이 측정된 정보와 각 RS가 보고한 상기 측정정보를 근거하여 UT에게 핸드오프의 목표 노드를 선택해 준다. 선택수신한 목표 노드가 현행 서비스 노드일 경우, 핸드오프할 필요가 없어지고 핸드오프 과정이 끝난다. 선택수신한 목표 노드가 서비스 노드가 아닐 경우, 절차 506을 실행한다. 목표 노드가 RS2임을 가정한다.
그 중에서 BS가 구체적으로 어떻게 상기 정보를 근거하여 서비스 노드를 선정하는지는 종래기술에서 잘 알려진 바이므로 여기서 이 부분에 대한 설명을 생략하겠다.
절차 506~510은 절차 406~410과 같으므로 여기서 생략하겠다.
도 4와 도 5에서 보여준 셀 핸드오프방법 중, 절차 403에서 단말이 전송한 상향 데이터와 절차 503에서 단말이 전송한 전용 프리앰블은 모두 업링크(uplink) 신호라고 부른다.
도 6은 셀 핸드오프를 실현하기 위한 중계기(RS)의 구조도이다. 도 6에서 보여주듯이 동 중계기(RS)에는 데이터 접수 모듈(610), 상향 데이터 감지 모듈(620), 상태정보 생성 모듈(630), 상태배치 모듈(640), 및 데이터 전송 모듈(650)이 포함된다. 그 중에서,
데이터 접수 모듈(610)은 BS에서 전송해온 리소스 스케줄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정보를 상향 데이터 감지 모듈(620)에 전송한다; BS에서 전송해온 연결해지신호를 수신하고 상태정보 생성 모듈(630)에 신호를 보낸다; BS에서 보내온 상태배치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신호를 상태배치 모듈(640)으로 보낸다.
상향 데이터 감지 모듈(620)은 데이터 접수 모듈(610)에서 보내온 상기 리소스 스케줄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정보를 근거하여 대응된 주파수대에서 UT의 업링크(uplink) 신호를 감지한다. 얻어진 정보를 상향신호 감지정보로 생성하여 데이터 전송 모듈(650)에 전송한다.
그 중에서 업링크(uplink) 신호는 UT가 전송해야 할 상향 데이터와 BS가 UT에 할당한 전용 프리앰블을 포함한다.
상태정보 생성 모듈(630)은 데이터 접수 모듈(610)에서 보내온 상기 신호를 수신하고 UT의 상하향 데이터의 송?수신 상태를 근거하여 송?수신상태 정보를 생성하여 데이터 전송 모듈(650)에 전송한다.
상태배치 모듈(640)은 데이터 접수 모듈(610)에서 보내온 상기 상태배치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정보에서 포함된 UT 상하향 데이터의 송?수신상태를 근거하여 본 모듈이 속한 RS를 본 UT의 서비스 노드로 배치한다.
데이터 전송 모듈(650)은 상기 상향신호 감지정보나 상기 송?수신상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정보를 BS에 전송한다.
물론 상기 중계기(RS)는 투명중계기(RS) 또는 불투명중계기(RS)이다.
도 7은 셀 핸드오프를 실현하기 위한 기지국의 구조도이다. 도 7에서 보여주듯이 본 기지국에는 데이터 접수 모듈(710), 리소스 스케줄모듈(720), 상향 데이터 감지 모듈(730), 서비스 노드선정모듈(740), 상태배치 모듈(750), 조정신호 생성 모듈(760), 데이터 전송 모듈(770)이 포함된다. 그 중에서,
데이터 접수 모듈(710)은 UT의 현재 서비스 노드에서 보내온 송?수신상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상태정보를 상태 배치 모듈(750)으로 전송한다; 지배된 RS에서 보내온 상향신호 감지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정보를 서비스 노드선정모듈(740)으로 보낸다.
리소스 스케줄모듈(720)은 네트워크 측정이 촉발될 때, UT에 공통 주파수(common frequency) 대역 리소스를 스케줄하거나 전용 프리앰블과 시간, 주파수 및 프리앰플 전송을 위한 자원에 상응하는 위치 감지 정보를 할당하고 상기 리소스 스케줄 정보를 상향 데이터 감지 모듈(730)과 데이터 전송 모듈(770)으로 전송한다.
상향 데이터 감지 모듈(730)은 상기 리소스 스케줄 정보를 수신하고 해당 UT가 할당수신한 주파수대에서 해당 UT의 업링크(uplink) 신호에 대해서 점검하여 점검된 결과를 서비스 노드 선택 모듈(740)으로 보낸다. 그 중에서 업링크(uplink) 신호는 UT가 전송해야 할 상향 데이터나 전용 프리앰블이다.
서비스 노드 선정 모듈(740)은 상기 상향 신호 감지정보와 상기 점검 결과를 수신하고 해당 UT에 서버하는 목표 노드로 확정한다. 확정한 목표 노드가 현재 서비스 노드와 다를 경우, 연결해지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신호를 데이터 전송 모듈(770)으로 전송하는 동시에 확정수신한 목표 노드 정보를 조정신호 생성 모듈(760)과 상태 배치 모듈(750)으로 전송한다.
상태배치 모듈(750)은 수신한 현재 서비스 노드에서 보내온 UT의 송?수신상태 정보와 수신한 목표 노드정보에 근거하여 목표 노드가 BS 자신일 경우, 상기송?수신상태 정보를 근거하여, BS를 UT의 서비스 노드로 배치한다; 목표 노드가 RS일 경우에는 상태배치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신호를 데이터 전송 모듈(770)으로 본낸다.
조정신호 생성 모듈(760)은 목표 노드정보과 해당 목표 노드가 UT의 상향 데이터에 대한 측정결과에 따라 조정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신호를 데이터 전송 모듈(770)으로 전송한다.
데이터 전송 모듈(770)은 상기 리소스 스케줄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정보를 대응된 RS와 UT에 전송한다; 상태배치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신호를 목표 노드로 보낸다; 상기 조정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신호를 UT에 전송한다.
그 중에서 도 6에서 기술한 중계기(RS)는 도 7에서 보여준 BS와 시스템을 구성할 수 있다.
위 도 4~도 7을 통해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셀 핸드오프 과정에서의 측정방법, 중계기(RS)와 기지국은 단말이 있는 셀 안의 기지국와 기지국이 지배한 중계기(RS) 사이나 기지국이 지배한 두 중계기(RS) 사이에 핸드오프하는 데 적용될 수 있다.
상기한 내용은 본 발명을 최적화한 실시예로, 본 발명의 보호 범위를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Claims (18)

  1. 셀 핸드오프 과정에서의 측정방법에 있어서,
    네트워크 측정이 촉발된 후, 단말에 상향 데이터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기지국이 판단하는 과정;
    상기 판단 과정에 따라 상기 기지국이 상향 데이터(uplink data)의 전송에 필요한 리소스(resource)를 상기 단말로 스케줄하는 절차 A:
    상기 기지국이 스케줄(schedule)한 상기 리소스에서 상기 단말이 전송한 업링크(uplink) 신호를 측정하고, 중계기(RS)는 측정한 상향신호 감지정보를 상기 기지국에 전송하는 절차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 핸드오프 과정에서의 측정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네트워크 측정이 촉발된 후, 상기 기지국이 상기 단말에 상향 데이터가 있음을 측정될 때, 상기 기지국이 스케줄(schedule)한 상기 리소스는 공통 주파수(common frequency) 대역(band)의 리소스(resource)이며, 상기 상향(uplink) 신호는 상기 단말에서 전송한 상향 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 핸드오프 과정에서의 측정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이 상기 단말을 위해 상기 공통 주파수(common frequency) 대역 리소스를 스케줄(schedule)한 경우에는 절차 A와 절차 B 사이에는,
    상기 기지국이 대응하는 중계기(RS)와 상기 단말에 상기 리소스를 스케쥴링하기 위한 리소스 스케줄링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대응된 중계기(RS)는 상기 단말의 현재 서비스 노드와 인접한 중계기(RS)를 포함하고 상기 대응된 중계기(RS)는 투명 중계기(RS) 또는 불투명 중계기(RS)인 절차A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 핸드오프 과정에서의 측정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절차 A는
    상기 기지국이 상기 단말에 전용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과 시간, 주파수 및 프리앰플 전송을 위한 자원에 상응하는 위치 감지 정보를 할당해 주고 상기 리소스 스케줄 정보를 상기 단말에 전송하는 절차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핸드오프과정에서의 측정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네트워크 측정이 촉발된 후, 상기 기지국이 상기 단말에 상향 데이터가 없다는 것을 측정하면, 상기 기지국에서 스케줄(schedule)하는 리소스(resource)는 전용 프리앰블과 시간, 주파수 및 프리앰플 전송을 위한 자원에 상응하는 위치 감지 정보이며, 이에 따라 업링크(uplink) 신호는 상기 단말이 전송한 전용 프리앰블이며, 절차 A는 상기 기지국이 스케줄을 통해 얻은 스케줄 리소스 정보를 상기 단말에 전송하는 절차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 핸드오프 과정에서의 측정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절차 A와 절차 B 사이에는
    상기 기지국은 스케줄을 통해 얻은 상기 리소스의 리소스 스케줄 정보를 대응된 중계기(RS)에 전송하며, 상기 대응된 중계기(RS)에는 상기 단말의 현재 서비스 노드와 인접한 중계기(RS)를 포함하며, 상기 대응된 중계기(RS)는 투명 중계기(RS) 또는 불투명 중계기(RS)인 절차A2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정방법.
  7. 제1항 내지 제5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절차B 후,
    상기 기지국은 자신이 측정된 측정결과와 상기 상향신호 감지정보를 근거하여 상기 단말을 위한 핸드오프의 목표 노드를 결정하는 절차C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정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절차C 후,
    상기 목표 노드가 단말의 현재 서비스 노드와 같을 경우에는 핸드오프 과정이 끝나며, 상기 목표 노드가 단말의 현재 서비스 노드와 다를 경우에는 기지국이 현재 서비스 노드에 연결을 해지하라고 알리고 현재 서비스 노드는 단말에서의 상하향 데이터의 송?수신상태 정보를 보고하는 절차D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정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목표노드가 기지국 자신일 경우에는, 기지국은 수신한 상기 상태정보에 따라 자신에 대한 배치를 실시하고, 조절신호를 단말에 전송하며, 상기 단말은 상기 조절 신호에 따라 상관 변수(parameter)의 조절하고 핸드오프과정이 끝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정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목표노드가 중계기(RS)일 경우에는, 기지국은 수신한 상기 상태정보 및 목표노드 정보에 근거하여 상태배치신호를 생성해서 목표노드에 전송하고, 목표노드에 대해서 배치하고 나서 조절신호를 생성하여 단말에 전송하며, 상기 단말은 상기 조절신호에 따라 상관 변수(parameter)를 조절하고 핸드오프과정이 끝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정방법.
  11. 셀 핸드오프의 실현을 위한 중계기(RS)에 있어서,
    기지국으로부터 리소스 스케줄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리소스 스케줄 정보를 상향 데이터 감지 모듈에 전송하는 데이터 접수 모듈과;
    상기 리소스 스케줄 정보를 수신하고 대응된 주파수대에서 단말의 업링크(uplink) 신호를 점검하여 얻어진 상향신호 감지 정보를 데이터 전송 모듈에 전송하는 상향 데이터 감지 모듈과;
    상기 상향신호 감지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감지 정보를 기지국에 전송하는 데이터 전송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기(RS).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기(RS)는 투명 중계기(RS) 또는 불투명 중계기(RS)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기(RS).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업링크(uplink) 신호는 상기 단말에서 전송된 상향 데이터나 전용 프리앰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기(RS).
  14. 제12항 혹은 제13항에 있어서,
    데이터 접수 모듈은 기지국에서 전송해온 연결해지 신호를 받을 때 상태정보 생성 모듈에 연결해지 신호를 보내며,
    상기 중계기(RS)는 데이터 접수 모듈에서 보내온 상기 연결해지신호를 수신하면 단말과의 연결을 해지하여 송?수신상태 정보를 생성하여 데이터 전송 모듈에 전송하는 상태정보 생성 모듈을 포함하며,
    데이터 전송 모듈은 접수된 상기 송?수신 상태 정보를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기(RS).
  15. 제14항에 있어서,
    데이터 접수 모듈은 기지국에서 보내온 상태배치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배치신호를 상태배치 모듈로 보내며,
    상기 중계기(RS)는 상기 배치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단말의 상?하향 데이터 송?수신상태 정보에 따라 자신이 속한 중계기(RS)를 상기 단말의 서비스 노드로 배치하는 상태배치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기(RS).
  16. 셀 핸드오프의 실현을 위한 기지국에 있어서,
    특정 중계기(RS)에서 서비스 노드 선택모듈로 전송하기 위해 전송된 상향 신호(uplink)의 감지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데이터 접수 모듈과;
    네트워크 측정이 촉발될 때, 단말에 상향데이터가 있는지를 판단하여 단말을 위해 공통 주파수(common frequency) 대역 리소스를 스케줄하거나 전용 프리앰블과 시간, 주파수 및 프리앰플 전송을 위한 자원에 상응하는 위치 감지 정보를 할당하고 상기 리소스 스케줄 정보를 상향 데이터 감지모듈과 데이터 전송모듈로 전송하는 리소스 스케줄 모듈과;
    상기 리소스 스케줄 정보를 수신한 후, 대응하는 주파수 대역에서 단말로부터 전송된 업링크(uplink) 신호에 대해서 점검하여 점검 결과를 서비스 노드 선택 모듈로 전송하는 상향 데이터 감지모듈과;
    상기 상향 데이터 감지모듈로부터 수신한 점검결과와 업링크 신호 감지정보에 따라 단말을 위해 서비스를 제공하는 목표 노드를 결정하고, 상기 목표 노드의 정보를 전송하는 서비스 노드선택모듈과;
    수신된 상기 리소스 스케줄 정보를 단말과 대응하는 중계기(RS)로 전송하는 데이터전송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17. 제16항에 있어서,
    데이터 접수 모듈은 단말의 현재 서비스 노드로부터 수신한 송?수신상태 정보를 배치신호 생성 모듈로 보내고,
    서비스 노드 선택 모듈은 결정된 목표 노드가 단말의 현재 서버 노드와 다를 경우, 연결해지 신호를 생성하여 데이터 전송 모듈로 전송하고, 목표 노드정보를 조절신호 생성 모듈과 상태배치 모듈로 전송하고,
    기지국은
    상기 송?수신상태 정보를 수신하고, 목표 노드에 대한 수신 정보에 따라, 목표 노드가 상기 기지국 자신일 경우, 상기 기지국을 단말의 서비스 노드로 배치하고, 목표 노드가 중계기(RS)일 경우, 상태배치 신호를 생성하여 데이터 전송 모듈로 전송하는 상태배치 모듈과,
    목표 노드의 정보와 상기 목표 노드에 의해 감지된 단말의 상향 데이터 감지 결과에 따라 조절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조절신호를 데이터 전송 모듈로 전송하는 조절신호 생성 모듈을 포함하고,
    데이터 전송 모듈은 상기 상태배치 모듈로부터 수신한 상태배치 신호를 목표 노드로 전송하고, 상기 조절신호 생성 모듈로부터 수신한 상기 조절신호를 상기 단말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18. 제16항 또는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업링크(uplink) 신호는 단말에서 전송한 상향 데이터나 전용 프리앰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KR1020107014417A 2007-11-29 2008-11-12 셀 핸드오프 과정에서의 측정 방법, 중계기 및 기지국 KR10116779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0710178387A CN101453745B (zh) 2007-11-29 2007-11-29 一种小区切换过程中的测量方法、透明中继及基站
CN200710178387.X 2007-11-29
PCT/CN2008/001870 WO2009070972A1 (en) 2007-11-29 2008-11-12 A measure method, a repeater and a base station in the process of cell handof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0638A KR20100120638A (ko) 2010-11-16
KR101167794B1 true KR101167794B1 (ko) 2012-07-25

Family

ID=407172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14417A KR101167794B1 (ko) 2007-11-29 2008-11-12 셀 핸드오프 과정에서의 측정 방법, 중계기 및 기지국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588785B2 (ko)
EP (1) EP2222119B1 (ko)
KR (1) KR101167794B1 (ko)
CN (1) CN101453745B (ko)
WO (1) WO200907097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588180B2 (en) * 2008-05-19 2013-11-19 Nec Corporatio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mobile station, base station, and handover controlling method
JP5579182B2 (ja) * 2008-08-12 2014-08-27 ノーテル・ネットワークス・リミテッド 無線通信ネットワークにおける下りリンクの透過中継のイネーブル
EP2434796A1 (en) * 2009-05-19 2012-03-28 Fujitsu Limited Base station, relay station, communication system, and communication method
CN101965027B (zh) * 2009-07-23 2015-06-03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小区同步切换的方法和系统
CN102474761A (zh) * 2009-08-17 2012-05-23 上海贝尔股份有限公司 切换方法及相应的基站、中继节点和通信系统
CN102065483B (zh) * 2009-11-18 2013-12-04 华为技术有限公司 流量控制方法、装置
CN102104913B (zh) * 2009-12-22 2013-11-20 上海无线通信研究中心 一种中继网络流量控制方法
CN102652444A (zh) * 2010-02-11 2012-08-29 上海贝尔股份有限公司 中继无线通信系统中通信方法和相关装置
CN102215537B (zh) * 2010-04-09 2014-06-04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切换方法、基站和家庭网关
US8892028B2 (en) * 2011-09-27 2014-11-18 Broadcom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a cellular assisted intelligent transportation system
CN104350779B (zh) * 2012-04-09 2019-02-15 瑞典爱立信有限公司 管理不确定的测量时机
US9332474B2 (en) 2012-05-17 2016-05-03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Signaling support for multi sector deployment in cellular communications
EP2887732B1 (en) * 2013-12-19 2017-06-14 Sony Corporation Method for operating a user equipment in a wireless radio network
CN106162779B (zh) * 2015-04-09 2020-06-05 上海诺基亚贝尔股份有限公司 用于保持用户设备的业务连续性的方法
WO2017001015A1 (en) * 2015-07-02 2017-01-05 Huawei Technologies Co., Ltd. Network nodes and methods thereof
US9918348B2 (en) * 2015-07-25 2018-03-13 Qualcomm Incorporated Device-to-device relay selection
US10542570B2 (en) 2016-03-15 2020-01-21 Huawei Technologies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relaying data over a communication network
US10615844B2 (en) 2016-03-15 2020-04-07 Huawei Technologies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relaying data over a communication network
WO2018045572A1 (zh) 2016-09-09 2018-03-15 深圳前海达闼云端智能科技有限公司 终端接入方法及网络设备
CN108810960B (zh) 2017-04-28 2021-06-22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小区切换、确定上行发送功率的方法及装置
JP2021509546A (ja) * 2017-11-14 2021-03-25 オッポ広東移動通信有限公司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ネットワーク切替方法、ネットワークデバイス及び端末デバイス
CN111212459B (zh) 2018-11-22 2021-09-14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中继通信方法及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55320B1 (ko) * 1997-12-29 2000-05-01 윤종용 주파수 도약/부호 분할 다중 접속시스템의 기지국시스템
US7313363B2 (en) * 2003-05-08 2007-12-25 M/A-Com, Inc. Activation method for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JP2005341300A (ja) 2004-05-27 2005-12-08 Sharp Corp 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通信装置
KR20070031173A (ko) * 2005-09-14 2007-03-19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중홉 릴레이 셀룰러 네트워크에서 다중 링크를 지원하기위한 장치 및 방법
KR100744340B1 (ko) 2005-10-13 2007-07-30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방송 제한 수신 시스템 및 그 방법
CN101790209A (zh) * 2005-10-17 2010-07-28 三星电子株式会社 用于支持无线接入通信系统中的切换的设备和方法
KR101128801B1 (ko) 2006-01-16 2012-03-23 엘지전자 주식회사 릴레이 스테이션을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에서의 채널 상태보고 방법
CN1964225B (zh) * 2005-11-11 2013-03-13 上海贝尔阿尔卡特股份有限公司 一种无线接入控制方法、中继站和基站
KR101084147B1 (ko) 2006-01-02 2011-11-17 엘지전자 주식회사 릴레이 스테이션을 이용한 핸드오버 제어 방법
KR100896205B1 (ko) * 2006-02-20 2009-05-12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중 홉 릴레이 방식을 사용하는 광대역 무선 접속 통신시스템에서 단말에게 투명성 있는 릴레이 서비스를제공하기 위한 중계국의 단말-중계국 간 채널 상태 보고장치 및 방법
CN101064911B (zh) * 2006-04-28 2012-08-22 上海贝尔阿尔卡特股份有限公司 无线接入系统的切换控制方法、中继站和基站
US20080108355A1 (en) * 2006-11-03 2008-05-08 Fujitsu Limited Centralized-scheduler relay station for mmr extended 802.16e system
US7873338B2 (en) * 2006-11-06 2011-01-18 Motorola Mobility,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an appropriate link path in a multi-hop communication system
CN1996786A (zh) 2006-11-29 2007-07-11 北京邮电大学 基于中继技术的新型无线通信组网方法
US7907540B2 (en) * 2007-12-18 2011-03-15 Intel Corporation Relay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222119A4 (en) 2014-08-20
US20100311322A1 (en) 2010-12-09
EP2222119B1 (en) 2020-07-22
KR20100120638A (ko) 2010-11-16
CN101453745B (zh) 2012-09-19
EP2222119A1 (en) 2010-08-25
WO2009070972A1 (en) 2009-06-11
CN101453745A (zh) 2009-06-10
US8588785B2 (en) 2013-1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67794B1 (ko) 셀 핸드오프 과정에서의 측정 방법, 중계기 및 기지국
AU2006350924B2 (en) Wireless telecommunications systems
CN103563427B (zh) 用于高速用户的小区划分
KR101077597B1 (ko) 중계국 할당/재할당 및 주파수 재사용
US10299178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hetergeneous network handover
US1003419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r-frequency measurements in a communication network
US8953476B2 (en) Method and apparatuses for data transfer within a relay enhanced telecommunication network
CN103477669B (zh) 移动通信设备和系统
EP2997680B1 (en) Interference measurement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inter-cell interferenc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O2014196295A1 (ja) 通信制御装置、通信制御方法、無線通信システム、基地局及び端末装置
KR20100137454A (ko) 무선통신장치 및 방법
US2010021500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source allocation in a multi hop relay network
US20230328573A1 (en) Interference measurement method and apparatus, terminal, and network side device
CN107710816B (zh) 一种负载均衡方法及装置
CN113261219B (zh) 5g飞行通信的干扰协调
US10104556B2 (en) Method and device for eliminating inter-system neighbor cell interference
KR101004233B1 (ko) 시스템간 접속 전환에 대한 준비를 위한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시스템
KR20140055858A (ko) 기지국 및 이를 이용한 무선 신호 처리부 확인 방법
JP2014179742A (ja) 通信システム、基地局、上位装置及び通信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5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