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37422A - 특히 아동 운반을 위한 유모차 프레임 - Google Patents

특히 아동 운반을 위한 유모차 프레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37422A
KR20100137422A KR1020107017905A KR20107017905A KR20100137422A KR 20100137422 A KR20100137422 A KR 20100137422A KR 1020107017905 A KR1020107017905 A KR 1020107017905A KR 20107017905 A KR20107017905 A KR 20107017905A KR 20100137422 A KR20100137422 A KR 201001374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heels
frame
main shaft
wheel
link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179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55699B1 (ko
Inventor
쟝 미셸 프랑수아 쇼되르즈
Original Assignee
쟝 미셸 프랑수아 쇼되르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쟝 미셸 프랑수아 쇼되르즈 filed Critical 쟝 미셸 프랑수아 쇼되르즈
Publication of KR201001374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374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56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56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33/00Castors in general; Anti-clogging castors
    • B60B33/04Castors in general; Anti-clogging castors adjustable, e.g. in height; linearly shifting castors
    • B60B33/06Castors in general; Anti-clogging castors adjustable, e.g. in height; linearly shifting castors mounted retractab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33/00Castors in general; Anti-clogging castors
    • B60B33/0036Castors in general; Anti-clogging castors characterised by type of wheels
    • B60B33/0039Single wh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33/00Castors in general; Anti-clogging castors
    • B60B33/0047Castors in general; Anti-clogging castors characterised by details of the rolling axle
    • B60B33/0049Castors in general; Anti-clogging castors characterised by details of the rolling axle the rolling axle being horizont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33/00Castors in general; Anti-clogging castors
    • B60B33/0047Castors in general; Anti-clogging castors characterised by details of the rolling axle
    • B60B33/0057Castors in general; Anti-clogging castors characterised by details of the rolling axle the rolling axle being offset from swivel ax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33/00Castors in general; Anti-clogging castors
    • B60B33/006Castors in general; Anti-clogging castors characterised by details of the swivel mechanism
    • B60B33/0065Castors in general; Anti-clogging castors characterised by details of the swivel mechanism characterised by details of the swivel axis
    • B60B33/0076Castors in general; Anti-clogging castors characterised by details of the swivel mechanism characterised by details of the swivel axis the swivel axis being offset laterally from wheel center pla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33/00Castors in general; Anti-clogging castors
    • B60B33/02Castors in general; Anti-clogging castors with disengageable swivel action, i.e. comprising a swivel locking mechanism
    • B60B33/025Castors in general; Anti-clogging castors with disengageable swivel action, i.e. comprising a swivel locking mechanism by using form-fit, e.g. front tee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7/00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 B62B7/04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 B62B7/06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collapsible or foldable
    • B62B7/08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collapsible or foldable in the direction of, or at right angles to, the wheel ax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2205/00Hand-propelled vehicles or sledges being foldable or dismountable when not in use
    • B62B2205/12Collapsible wh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2205/00Hand-propelled vehicles or sledges being foldable or dismountable when not in use
    • B62B2205/14Retractable wh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2205/00Hand-propelled vehicles or sledges being foldable or dismountable when not in use
    • B62B2205/20Catches; Locking or releasing an articulation
    • B62B2205/22Catches; Locking or releasing an articulation remotely controlled, e.g. from the handleb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2205/00Hand-propelled vehicles or sledges being foldable or dismountable when not in use
    • B62B2205/20Catches; Locking or releasing an articulation
    • B62B2205/24Catches; Locking or releasing an articulation to hold in the folded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7/00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 B62B7/04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 B62B7/044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three whee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Carriages For Children, Sleds, And Other Hand-Operated Vehicles (AREA)
  • Handcart (AREA)
  • Measurement Of Radi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위 세 바퀴형 유모차 프레임(2)에 관한 것으로서, 여기에서는 전방 바퀴(20) 및 두 개의 후방 바퀴들(22D, 22G)이 서로 견고하게 연결된 전방 아암(12) 및 두 개의 후방 아암들(14D, 14G)에 대해 각각 그리고 동시적으로 펼침 사용 위치와 위축 보관 위치 간으로 움직일 수 있고, 펼침 사용 위치에서는 바퀴들의 회전축들(Y20-Y20, Y22D-Y22D, Y22G-Y22G)이 프레임의 동일한 전후방 평면(P)에 대해 직각으로 연장되며, 위축 보관 위치에서는 상기 회전축들이 상기 평면에 대해 평행하게 연장되고 또한 후방 바퀴들과 전방 바퀴 간의 전후방 거리(Δ)는 그 바퀴들이 펼쳐진 위치에 있는 때보다 작다. 바퀴들을 신속하고 간단하며 또한 용이한 방식으로 움직이기 위하여, 유모차 프레임은 전방 아암의 전방 단부에 배치된 바퀴 움직임 수단을 수동으로 구동하기 위한 특정 손잡이(60)를 더 포함한다.

Description

특히 아동 운반을 위한 유모차 프레임{Stroller frame, particularly for transporting a child}
본 발명은 유모차 프레임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유아 운반을 위한 유모차 분야에 관한 것이다.
지면에서 유모차를 밀기 위하여, 유모차 프레임에는 바퀴(wheel) 또는 캐스터(caster)들이 장착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본 발명은 소위 "세 바퀴형" 유모차 프레임에 관한 것인데, 다시 말하면 이 유모차 프레임에는 전방에 단일의 바퀴 또는 쌍동이 바퀴들의 단일 쌍이 제공되고, 프레임의 후방에는 두 개의 바퀴 또는 쌍동이 바퀴들의 두 쌍들이 프레임의 좌측부와 우측부에 각각 개별적으로 제공된다. 이와 같은 유형의 유모차 프레임은 특히 젊은 고객에게 매력적인 스포티한 모습에 의한 기분좋은 전체 외관을 유모차에 부여하고, 또한 프레임이 세 영역에서 지면에 지탱되어서 전방을 지향하는 삼각형의 꼭지점들을 형성하여 프레임을 다루기가 매우 용이하게 된다는 사실 때문에 각광받고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형태의 유모차 프레임은 시골길 및 거친 지면 뿐만 아니라, 보행로 및 계단들이 있는 도시에서 우수한 진행 거동을 갖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현존하는 세 바퀴형 유모차 프레임은 그 크기와 관련된 중대한 단점을 가지고 있는바: 이와 같은 형태의 프레임은 편안함 및 안전상의 이유로 인하여 상대적으로 큰 직경의 바퀴가 제공되어야 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이와 같은 조건 하에서, 유모차가 사용되지 않는 때에는 보관 및 운반이 곤란하고 또한 운송 차량에 싣고 내리는 것이 곤란하기 때문에 일부 사용자들은 이와 같은 형태의 유모차 프레임의 구매를 단념한다.
세 바퀴형 유모차와는 달리 소위 통상적인 유모차들, 즉 "네 바퀴형" 프레임을 가진 유모차의 경우에는, 특히 유모차의 보관을 위하여 전방의 두 바퀴들 및 후방의 두 바퀴들이 위축(retract)될 수 있는 프레임이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최근의 WO-A-2007/025551 문헌에서는, 유모차의 동일한 좌측 또는 우측 어느 하나의 전방 및 후방 바퀴들이, 바퀴가 지면 상에서 구르기 위하여 수직으로 펼쳐지는 펼침 사용 위치로부터 바퀴가 프레임에 대해 편평하게 되도록 수평으로 펼쳐지는 위축 보관 위치로, 유모차의 프레임에 대해 상대적으로 동시에 움직여질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위축 가능한 네 바퀴형 유모차 프레임의 다른 예들은 FR-A-525 797, US-A-2 429 763, 및 US-A-4 659 096 에 의하여도 제공된다.
그러나, 네 바퀴형 유모차 프레임에 관한 위와 같은 사항은 실제에 있어서 세 바퀴형 유모차 프레임에 적용되기 어려운데, 이것은 본질적으로 단일의 전방 아암 및 두 개(좌측 및 우측)의 후방 아암들로 이루어지는 이 프레임의 특정한 구조 때문이다. 따라서, WO-A-03/097466 에는 세 개의 바퀴들이 펼침 사용 위치로부터 위축 보관 위치로 움직여질 수 있는 유모차 프레임이 제안되어 있지만, 그것은 한 바퀴 후에 다른 바퀴가 움직여지는 방식의 순차적인 것일 뿐이고, 또한 유모차 프레임의 다양한 몇몇 영역에서 사용자가 수차례의 수동 조작을 해야 하는 복잡한 방식에 의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전술된 형태의 세 바퀴형 유모차 프레임에 있어서 모든 바퀴들이 신속하고, 간단하며, 또한 용이하게 위축될 수 있는 유모차 프레임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특히 아동을 운반하기 위한 유모차 프레임에 관한 것으로서, 이 유모차 프레임은:
서로 고정적으로 결합되고, 지면(ground)에 지탱되는 적어도 하나의 바퀴가 각각 제공된 두 개의 후방 아암들(rear arms) 및 단일의 전방 아암(front arm);
후방 및 전방 바퀴들 모두를 그들 각각의 아암들에 대해 각각의 펼침 사용 위치와 위축 보관 위치 간으로 동시적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움직임 수단으로서, 펼침 사용 위치에서는 모든 바퀴들의 회전축들이 프레임의 동일한 전후방 중간 평면(antero-posterior median plane)에 대해 실질적으로 직각으로 연장되고, 위축 보관 위치에서는 모든 바퀴들의 회전축들이 이 평면에 대해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되며 또한 전방 바퀴 또는 전방 바퀴들과 후방 바퀴들 간의 전후방 거리가 바퀴들이 펼쳐진 위치에 있는 때의 경우보다 더 작은, 움직임 수단; 및
전방 아암의 전방 단부에 배치되고, 움직임 수단을 수동으로 구동하기 위한 특정의 손잡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이 기초하고 있는 아이디어는, 특히 모든 바퀴들을 위축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실용적인 제어 손잡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세바퀴형 유모차 프레임의 특정 구조를 활용하는 것이다. 이 손잡이로 인하여, 사용자는 구동력을 용이하게 신속하게 인가할 수 있는바, 그 힘은 프레임에 포함된 움직임 수단에 의하여, 프레임의 전방 영역에서는 전방 바퀴 또는 쌍을 이룬 전방 바퀴 트레인으로 기계적으로 전달되고, 프레임의 후방 영역에서는 좌측 및 우측에 있는 두 개의 후방 바퀴들 또는 쌍을 이룬 두 개의 후방 바퀴 트레인들에 기계적으로 전달된다. 유리하게는, 이 손잡이로 인하여, 사용자가 한 손으로 움직임 수단의 입력부에 구동 토크를 인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아암들, 움직임 수단, 및 손잡이의 기계적 성질은 유모차 프레임이 강건하고 신뢰성있게 되도록 하며, 바퀴들 및 아암들 간의 상대 움직임은 정밀하고, 신속하고, 재현가능하게 된다.
바퀴들이 위축 보관 위치에 있는 때에, 프레임의 덩치는 바퀴들의 몸체들과 프레임이 겹쳐진 평면들에 배치되는 방향과 프레임의 전후방 방향 둘 다에서 현저히 저감되는바, 이것은 후방 바퀴들의 전방을 향한 수렴 때문이다.
프레임의 전방 단부에 제어 손잡이를 위치시킴에 의하여, 이 손잡이는 사용자에 의하여 신속하고 용이하게 수동적으로 파지될 수 있다. 이 손잡이는 사용자에 대해서, 유모차의 움직이는 구성요소들의 기계적 위치선정에 관한 기준 요소를 형성한다: 사용자가 이 손잡이에 부여하는 구동 작용에 따라서, 유모차의 모든 바퀴들이 프레임의 "단축" 또는 "신장"을 수반하면서 동시에 위축 또는 펼쳐지게 되는바, 즉 움직임 수단의 작용으로 인하여 후방 바퀴들이 전방 바퀴에 대하여 가까이 가게 되거나 또는 멀어지게 된다.
또한, 바퀴들이 위축 보관 위치에 있는 때에, 전방 손잡이는 예를 들어 유모차 프레임을 차량 트렁크에 적재하기 위하여 지면으로부터 프레임을 들거나 또는 지면 상에 놓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유모차 프레임의 유리한 특징에 따르면, 바퀴들이 위축 위치에 있는 때에, 후방 바퀴들은 프레임의 전후방 중간 평면에 대해 직각이고 실질적으로 동일한 평면에서 연장되고 또한 이 동일한 평면에서 지면에 대해 구를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바퀴들이 위축된 때에는, 후방 바퀴들이 지면 상에서 선을 이루어 안착될 수 있는데, 이것은 유모차가 수직으로 안정화되는 것을 가능하게 하여서, 수납장과 같은 곳에 보관하기 위한 목적을 위하여 짐운반 수레와 유사한 방식으로 프레임의 상부에 위치된 손잡이에 의해서 측방향으로 밀거나 당겨지기가 매우 용이하게 된다. 실제에 있어서, 사용자는, 전방 단부가 상향으로 지향되게끔 그 프레임을 점차적으로 수직으로 곧게 하면서도 후방 바퀴들이 위축된 상태에서 지면 상에 가압되는 채로 유지될 수 있도록 바퀴들의 위축을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바퀴들의 위축은 자동적으로 프레임이 안정적인 수직의 보관 위치로 전환되는 결과를 낳는다.
본 발명에 따른 유모차 프레임의 다른 유리한 특징들은 청구항 2 내지 15 에 기재되어 있는바, 이들은 개별적으로 또는 기술적으로 가능한 조합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여, 바퀴들이 신속하고, 간단하며, 또한 용이하게 위축될 수 있는 세 바퀴형 유모차 프레임이 제공된다.
하기의 첨부도면들을 참조로 하여 예시적으로서만 제공되는 하기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본 발명이 보다 잘 이해될 것이다.
도 1 은 사용 구성형태(service configuration)에 있는 본 발명에 따른 유모차 프레임의 개략적 측면도이고;
도 2 는 도 1 의 II-II선을 따라 취한 부분 단면도이고;
도 3 은 도 1 과 유사한 도면으로서, 여기에는 보관 구성형태(storage configuration)에 있는 유모차 프레임이 도시되어 있고;
도 4 는 도 3 의 IV-IV 선을 따라 취한 부분 단면도이고;
도 5 는 도 4 의 V 부분의 확대도이고;
도 6 은 도 5 와 유사한 도면으로서, 여기에은 도 5 에 도시된 자유 상태(free state)에 대비되는 부동 상태(immobilized state)에 있는 유모차 프레임의 전방 단부가 도시되어 있고;
도 7 은 유모차 프레임의 전방 단부(front end)의 사시도이고;
도 8 및 도 9 각각은 도 2 및 도 4 의 VIII 및 IX 부분의 확대도들이고;
도 10 은 프레임의 좌측 후방 단부의 사시도이고;
도 11 은 도 2 의 XII 화살표에 따른 프레임의 일부분의 개략적 입면도이고;
도 12 는 도 11 과 유사한 도면으로서, 프레임이 도 3 및 도 4 의 구성형태에 있는 때에 관찰되는 프레임 일부분의 개략적 입면도이고;
도 13 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변형예를 도시하고 부분적으로 단면을 도시하는 분해사시도이고;
도 14 는 도 13 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조립된 구성형태에 있는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15 는 도 8 과 대략적으로 유사한 개략적 부분단면도로서, 여기에는 본 발명에 따른 제2 변형예가 도시되어 있는데, 이 또한 도 13 및 도 14 의 변형예와 조합된 것이며;
도 16 은 도 15 의 부분 단면의 평면과 평행한 평면에서 취한 개략적 단면도로서, 여기에는 도 11 및 도 12 와 관련된 프레임 부분과 관련된 본 발명에 따른 제3 변형예가 도시되어 있는데, 제3 변형예도 도 15 에 도시된 변형예와 조합되며;
도 17 은 도 16 의 화살표 XVII 에 따른 입면도인데, 여기에는 도 16 의 특정 구성요소들만이 도시되어 있고;
도 18 은 도 17 의 XVIII-XVIII 선을 따라 취한 개략적 단면도이고;
도 19 는 도 18 과 유사한 도면으로서, 도 18 에 도시된 것과 상이한 작동 구성형태에 있는 도 17 의 구성요소들이 도시되어 있다.
도면들에는 성인에 의하여 지면(S)에서 밀림으로써 유아를 운반하도록 의도된 유모차의 프레임(2)이 도시되어 있다. 도 1 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유모차는 프레임(2)에 부가하여 운반되는 아동이 앉는 좌석(6)이 부가되고 고정되는 장착부(4)를 포함하는데, 도면의 명료함을 위하여 아동은 도시되지 않았다. 도시되지 않은 변형예에서, 좌석(6)은 아동을 누운 상태로 운반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침대, 또는 다른 유사한 운반 요소에 의하여 대체될 수 있는바, 이것은 본 발명을 제한하지는 않는다. 실제에 있어서, 장착부(4)는 매우 다양한 구조를 가질 수 있는바, 서로에 대해 관절식으로 된 구성요소들을 포함하거나 포함하지 않을 수 있으며, 그 구조들 각각은 관절 방식 및/또는 분리가능한 방식으로 프레임(2)에 지지될 수 있는바, 특히 이것은 상기 유모차가 아동을 운반하기 위하여 사용되지 않는 기간 중에 유모차를 접고 그리고/또는 보관하기 위한 것이다.
편의상, 상세한 설명의 나머지 부분은 유모차 프레임(2)이 도 1 및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 구성형태에 있는 때에 있어서 그 유모차 프레임에 관한 것인바, 따라서 "상측" 및 "상부"는 도 1 의 상부 부분에 대응하는 지면(S)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지칭하고, "하측" 및 "하부"는 그 반대의 방향을 지칭한다. 유사하게, "전방" 및 "후방"이라는 용어는 유모차의 정상적인 진행 방향, 즉 유모차가 보통 밀어지는 방향에 대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인바, 전방은 도 1 에서의 우측 부분을 지칭하고 또한 도 2 내지 도 4 에서는 상부 부분을 지칭한다. 유사하게, "좌측" 및 "우측"이라는 용어는 유모차의 진행 방향에 대해 정의되는바, 그들은 각각 도 2 내지 도 4 에서의 좌측 부분과 우측 부분을 지칭한다.
프레임(2)은 비관절식(non-articulated)의 견고한 프레임틀(framework; 10)을 포함하고, 프레임틀은 단일의 전방 아암(12), 좌측 후방 아암(14G) 및 우측 후방 아암(14D), 그리고 중앙 섹션(central section; 16)을 포함한다. 아암들(12, 14G, 14D) 각각은 전체적으로 프레임(2)의 전후방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고 실질적으로 튜브형인 형상을 갖는다. 전방 아암(12)은 그 전체 길이에 걸쳐서 직선을 이루지만, 좌측 후방 아암(14G) 및 우측 후방 아암(14D)은 전방을 향하는 방향으로 서로를 향해 수렴되되, 후방 아암들 각각은 길이방향 축(X14G-X14G, X14D-X14D)에 중심을 둔 직선형 후방부(rectilinear rear portion; 14G1, 14D1)를 구비하며 직선형 후방부는 섹션(16)의 방향에서 휨부(bent portion; 14G2, 14D2)에 의하여 전방을 향해 연장된다. 좌측 후방 아암(14G) 및 우측 후방 아암(14D)은 프레임(2)의 전후방 중간 평면(P)에 대해 서로 대칭적인 것이 바람직한데, 이 평면은 전방 아암(12)의 중앙 길이방향 축(X12-X12)을 관통하는 것이다.
중앙 섹션(16)은 부분적으로 중공인 견고한 주 몸체(main body)를 포함하는데, 여기에는 전방 아암(12)의 후방 단부가 결합되고 또한 내향으로 굽혀짐으로써 후방 아암들(14G, 14D)의 각 전방 단부들이 결합된다. 도면들에 도시된 예에서, 아암(12)은 섹션(16)의 몸체와 단일체로서 만들어지지만, 후방 아암들(14G, 14D)은 이 몸체에 부가 및 고정되는데 이 때에는 특히 미관을 위하여 외부 캡(외부 캡ping)이 이용된다.
유모차(1)를 지면(S) 상에서 밀기 위하여, 프레임(2)에는 지면에 지탱되는 세 개의 바퀴들이 제공되는바, 이들은 전방 바퀴(20)와 좌측 후방 바퀴(22G) 및 우측 후방 바퀴(22D)이며, 이들 각각은 개별의 회전축들(Y20-Y20, Y22G-Y22G, Y22D-Y22D) 주위로 회전되도록 설계된다. 실제에 있어서, 이 바퀴들 각각은 지면 상에서 구르도록 의도된 외측 주변부(201, 22G1, 22D1)에 있어서 다양한 실시예들을 가질 수 있는바, 그것은 예를 들어 고무 외피(rubber sheath) 또는 튜브로 된 타이어로 이루어질 수 있고, 또한 원판형태의 중앙 몸체(202, 22G2, 22D2)에 관하여는 개방된 틀을 갖는 것이거나 또는 스포크(spoke)를 갖는 것일 수 있으며, 그것의 기하학적 중심축은 회전축(Y20-Y20, Y22G-Y22G, Y22D-Y22D)에 대응된다.
도 1 및 도 4 에 명확히 도시된 바와 같이, 그리고 도 5 내지 도 7 에서 보다 상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 바퀴(20)는 (순서대로) 견고한 다리부(30) 및 기계적 관절 조립체(mechanical articulation assembly; 32)에 의하여 전방 아암(12)에 연결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바퀴 몸체(202)는 다리부(30)의 길이방향 단부(301)에 의하여 형성된 허브(hub)에서 축(Y20-Y20) 주위로 회전되게끔 장착되고, 상기 다리부는 이 축에 대한 반경방향으로 길게 연장된다. 아암(12)에는 샤프트(shaft; 34)가 일체적으로 제공되는바, 그 샤프트는 축(X12-X12)에 중심을 두고 아암의 전체 길이에 걸쳐서 연장된다. 기계적인 강도 때문에, 이 샤프트(34)의 외측 직경은 아암(12)의 내측 직경과 맞도록 된다. 샤프트(34)의 전방 단부(341)는 관절 조립체(32)를 지지하는 단부 장착부(end fitting; 36)에 의하여 아암(12)의 외측에서 전방으로 길게 된다. 여기에서, 단부 장착부(36)는, 이 단부와 단일체를 이루는 샤프트 단부(shaft end; 341)에 견고하게 연결되고, 중공의 구체(hollow sphere) 내에 맞는 형상을 갖는데, 그 구체는 양 측부에서 절단된 형상을 갖는 것으로서, 그 양측부로부터는 다리부(30)가 반대 방향으로 연장된다. 단부 장착부(36)에 의하여 형성되는 이 구체 내측에서는, 바퀴(20)의 반대측인 다리부(30)의 단부(302)와 단부 장착부의 사이에 피봇 관절부(pivot articulation; 38)가 배치되는데, 이 관절부(38)는 단부 장착부(36)에 대한 단부(302)의 자유로운 피봇을 허용하는바, 단부(302)는 축(X12-X12)에 대해 실질적으로 직각인 축(Z-Z) 주위로 샤프트(34)에 대해 자유로이 피봇될 수 있다. 특히 유모차 프레임(2)이 지면(S)에 대해 구르는 때에는, 이와 같은 방식으로 다리부(30), 그리고 이에 의하여 전방 바퀴(20)가 축(Z-Z) 주위로 회전할 수 있고, 단부(302)의 상부 가장자리는 단부 장착부(36)의 하부면에 대해 슬라이딩(sliding)하며, 다리부(30)의 길이방향에서는 상기 다리부와 단부 장착부(36)가 서로 고정적으로 연계된다.
피봇 관절부(38)는, 기계적으로 부동화(immobilization)될 수 있는 한, 중립화(neutralization)될 수 있다. 도 5 및 도 6 에 상세히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이 부동화는 핀(40)에 의하여 달성되는데, 그 핀은 다리부의 단부(302)의 상부 가장자리에 있는 다리부(30)의 단부(302)에 한정된 상보적인 요부(42) 내에 수용될 수 있으며, 핀(40)이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부(42) 외측에 있다면 단부 장착부(36)와 다리부(30)는 축(Z-Z) 주위로 서로에 대해 상대적으로 자유롭게 피봇될 수 있지만, 핀(40)이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요부(42) 내로 삽입된 때에는, 다리부(30)와 단부 장착부(36)가 서로에 대해 견고하게 연계되고, 회전축(Y20-Y20)은 도 1 내지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축(X12-X12)에 대해 반경의 직각방향으로(orthoradially) 연장된다.
핀(40)의 움직임은 푸쉬 핑거(push finger; 44)에 의해 통제되고 오버트래블 스프링(overtravel spring; 46)에 의하여 영향을 받는바, 오버트래블 스프링은 단부 장착부(36) 내에서 핀(40)의 움직임 방향으로 슬라이딩할 수 있도록 장착된 부쉬(bush; 48) 내에 부분적으로 하우징(housing)된다. 스프링(46)의 작용 하에서, 푸쉬 핑거(44)는, 핀(40)과는 달리, 단부 장착부(36)에 고정식으로 (이 경우에 있어서는 나사에 의하여) 결합되고 다리부(30)의 반대측에 있는 절두 평면(truncation plane)에서 전체적으로 연장된 플레이트(50)에 대해 가압된다. 핑거(44)는, 플레이트(50)에 대해 직각이고 또한 단부 장착부(36)에 의하여 형성되는 구체의 중앙을 관통하는 축(Z52-Z52) 주위로 회전할 수 있도록, 단부 장착부(36)에 장착된 트림(trim; 52)에 견고하게 연계된다.
사용자는, 트림(52)을 축(Z52) 주위로 회전시킴에 의하여, 대응하는 이동거리에 걸쳐서 핑거(44)를 구동하는데, 핑거는 그 축에 대한 주변방향으로의 상이한 두께 때문에, 부동화 핀(40)에 작용한다. 도 5 에 도시된 구성형태에서는, 축(Z52-Z52) 주위에서의 트림(52)의 위치가 플레이트(50)와 부쉬(48) 사이에 핑거(44)의 현저한 두께 부분이 개재되도록 되어 있지만, 도 6 에 도시된 구성형태에서는, 핑거(44)의 적은 두께 부분이 개재되도록 트림이 배치되어서, 스프링(54)으로 하여금 핀(40)을 요부(42)의 반대 방향으로 복귀시키게 한다.
트림(52)의 조작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그리고 미관을 위하여, 이 트림은 단부 장착부(36)에 의하여 형성된 구체 재킷(spherical jacket) 내에 포함되는 외부 캡(external cap; 521)을 구비한다. 유사하게, 도 5 및 도 6 에 명확히 도시된 바와 같이, 다리부(30)의 단부(302)가 전술된 재킷 내에 포함되는 구체 캡 내에 들어맞는 형상을 갖는바, 이로써 트림(52) 및 단부 장착부(36)의 단부(301)의 조립체가 전체적으로 볼(ball) 형상을 제공하여, 도 7 에 명확히 도시된 바와 같이 유모차 프레임(2)에 특정적인 시각적인 "고유기호(signature)" 효과를 주는바, 도 7 에서는 외부 캡(521)이 트림의 내부를 드러내도록 가상선으로서 도시되어 있다.
유리하게는, 트림(52)의 개방적인 틀인 내부 캡(522)과 플레이트 사이에 광원이 배치되어서, 시각적으로 경고하는 램프(lamp)를 구비한다. 그러한 램프를 제작하기 위한 상세사항들은 WO-A-2006/111656 에 제시되어 있는바, 독자들은 이것을 참조할 수 있을 것이다.
나아가, 도 1 내지 도 7 에 명확히 도시된 바와 같이, 단부 장착부(36)는 단부 장착부에 견고하게 연계된 손잡이(60)에 의하여 전방으로 길게 되어 있는바, 그 손잡이는 예를 들어 단부 장착부와 직접적으로 일체를 이룰 수 있다. 유리하게는, 이 손잡이(60)가 활(bow)의 형상을 갖는바, 이것의 길다란 주 몸체(62)는 단부 장착부(36)의 전방 측에 위치되고 단부 장착부의 전방 단부 부분을 따라 그리고 단부 장착부의 전체적인 주위를 따르는 방향으로 연장되어서, 사용자가 몸체(62)를 잡을 수 있도록 그 손잡이와 단부 장착부 사이에 사용자의 손가락들을 삽입시킬 수 있는 충분한 공간을 제공한다. 그 길이방향의 단부들에서, 몸체(62)는 다리부(64)들에 의하여 단부 장착부(36)의 측방향 측부들에 견고히 연계되는바, 그 다리부(64)들은 단부 장착부(36)의 방향으로 서로를 향하여 수렴한다.
프레임(2)의 후방에는, 바퀴들(22G, 22D)의 몸체들(22G2, 22D2)이, 유모차의 우측에 관하여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되는 구성에 의하여, 아암들(14G, 14D)의 직선 부분들(14G1, 14D1)에 각각 연결되는바, 그 좌측부의 구성은 평면(P)에 대해 대칭인적으로 유추될 수 있고, 특히 도 10 을 비롯한 도면들에서는 우측의 것들과 동일한 숫자 참조번호들을 가지되 문자 D 대신에 문자 G 를 수반하는 구성요소들을 포함한다.
도 8 및 도 9 에 상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우측 바퀴(22D)의 몸체(22D2)는 축(Y22D-Y22D)에 대해 반경방향으로 연장된 다리부(70D)의 길이방향 단부(70D1)에 의해 형성된 허브 상에 축(Y22D-Y22D) 주위로 회전하도록 장착된다. 바퀴 몸체(22D2)의 반대측인 단부(70D2)는, 다리부의 길이방향에서, 슬리브(sleeve; 72D)에 고정적으로 연계되는데, 그 둘 다는 아암(14D)의 직선형 부분(rectilinear part; 14D1)을 동축상으로 둘러싸고, 그 부분 뒤에서 부분적으로 돌출되어 연장된다. 유리하게는, 다리부(70D)와 슬리브(72D) 간의 연결은 회전축(Y22D-Y22D)에 대해 평행한 틸팅 축(tilting axis; 74D) 주위로 관절식으로 되어서, 다리부(70D)가 슬리브에 대해 이 축 주위로 흔들리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바, 그 사이에는 댐핑(damping)을 위하여 점탄성 패드(visco-elastic pad; 76D)가 개재된다. 이로써, 후방 바퀴(22D)는 흔들리는 다리부(70D)에 의하여 프레임틀(10)에 대해 매달리는바, 이것은 지면(S)의 표면 상태가 열악한 경우에도 운반되는 아동에게 유모차가 매우 편안하게 구르도록 한다. 후방 바퀴들(22G, 22D)의 매달린 구조는, 아암들(14G, 14D)의 후방 사이의 공간을 통하여 이 후방 바퀴들을 직접적으로 연계시키는 견고한 축에 대한 필요성을 없애는 것도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유모차를 미는 성인이 그의 다리가 걸릴 위험 없이 편안하게 걸을 수 있게 된다.
슬리브(72D)는 직선형 부분(14D1)과 슬리브(72D) 둘 다의 내측에 동축상으로 배치된 링크 블록(link block; 78D)에 견고하게 연결된다. 여기에서 설명되는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슬리브(72D)와 링크 블록(78D)은 그들의 후방 단부에서 서로 연결된다. 링크 블록(78D)은 직선형 부분(14D1)과 링크 블록 사이에 동축상으로 개재된 튜브형 슬라이드(tubular slide; 80D) 내측에서 움직이게끔 장착된다. 링크 블록(78D)에는 나선형 외부 리브(helical external ribs; 78D1)가 제공되는데, 나선형 외부 리브는 링크 블록의 길이방향 축 둘레로 감겨져 있으며, 슬라이드(80D)의 내부면은 리브들이 수용되는 상보적인 나선형 홈(80D1)을 한정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링크 블록(78D)은 축(X14D-X14D)에 중심을 둔 나선형 움직임에 의하여 슬라이드(80D) 내측에서 움직일 수 있다.
슬라이드(80D)에 대한 링크 블록(78D)의 구동은 밀고당김 코드(pulling and pushing cord; 82D)에 의하여 통제된다. 이 코드(82D)의 후방 단부에는 작은 단부 장착부(82D1)가 제공되는바, 이 단부 장착부는 실질적으로 구형이고, 따라서 헤드(84D) 내측에서 코드(82D)의 나머지 부분과 함께 그 자체로 자유로이 회전할 수 있는데, 그 헤드는 링크 블록(78D)의 전방 단부에 고정되고, 또한 상기 코드의 길이방향으로 코드(82D)에 고정적으로 연결된다.
코드(82D)는 아암(14D) 내측에서 전방을 향하여 연장되는바, 이 코드의 연장된 부분은 아암 내측에 고정적으로 밀어넣어진 외피(86D) 내에 수용된다. 특히, 이 외피의 후방 단부는 슬라이드(80D)의 고정된 전방 단부 장착부(80D2)에 밀어넣어지는바, 그것은 코드(82D)에 의하여 일 측부로부터 다른 측부로 관통된다.
도 11 내지 도 13 에 상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코드들(82D, 82G)의 각 전방 단부들(82D2, 82G2)은, 샤프트(34)의 후방 단부(342)에 견고하게 조립된 하나의 동일한 제어 바퀴(88)에 고정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 바퀴(88)는 축(X12-X12)에 중심을 가지고, 코드들(82D, 82G)의 후방 단부들(82D2, 82G2)은, 축(X12-X12)에 대해 반경방향으로 대향된 제어 바퀴(88)의 영역들에 고정된다.
손잡이(60)가 프레임틀(10)에 대한 바퀴들(20, 22G, 22D)의 움직임을 제어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그 바퀴들이 처음에 도 1 및 도 2 에 도시된 사용 위치, 즉 프레임틀(10)에 대해 펼쳐져서 지면(S) 상에서 구를 수 있고, 그 바퀴들의 회전축들(Y20-Y20, Y22G-Y22G, Y22D-Y22D) 모두가 평면(P)에 대해 직각인 위치에 있다고 상정하면, 도 1 및 도 2 에 도시된 화살표(R)에 의하여 표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몸체(62)를 잡음으로써 손잡이(60)를 대응되게 조작함에 의하여, 샤프트(34)가 축(X12-X12) 주위로 90°C의 각도에 걸쳐서 회전하도록 구동할 수 있는데, 이것은 세 바퀴들이 아래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조합되어 위축(combined retraction)되는 결과를 낳는다. 다시 말하면, 이를 위하여는, 사용자가 손잡이(60)를 잡아서 축(X12-X12) 주위로 1/4 만큼 구동 토크를 인가하면 된다.
프레임(2)의 전방에서 샤프트(34)의 전방 단부(341)가 회전됨으로 인하여, 단부 장착부(36)가 대응되게 90°에 걸쳐 각도 이동하게 되고, 이에 의하여 다리부(30) 및 바퀴 몸체(202)가 그렇게 회전된다. 그러면 바퀴(20)는 도 1 및 도 2 에 도시된 위치로부터 도 3 및 도 4 에 도시된 위치로 전환되는데, 후자의 위치에서는 그 회전축(Y20-Y20)이 평면(P)에 대해 평행하게 연장돠는바, 바퀴의 위축 중에는 부동화 핀(40)이 전술된 바와 같이 요부(42) 내로 미리 삽입됨으로 인하여 피봇 관절부(38)가 부동화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한다.
유모차 프레임(2)의 후방에서는, 샤프트(34)의 후방 단부(342)가 회전됨으로 인하여, 제어 바퀴(88)가 축(X12-X12) 주위로 90° 회전되는바, 그것은 도 11 에 도시된 위치에서 도 12 에 도시된 위치로 전환된다. 코드들(82D, 82G)은 동일한 거리만큼 당겨져서, 링크 블록들(78D, 78G)이 아암(14D, 14G)에 대해 고정된 그들의 슬라이드(80D, 80G) 내측에서 전방으로 당겨지도록 한다. 그러면 링크 블록들(78D, 78G)이 각각의 나선 운동을 하게 되어서, 전방으로 병진 이동을 함과 함께 각각의 축들(X14D-X14D, X14G-X14G) 주위로 90° 회전한다. 이것의 결과로서, 후방 바퀴들(22D, 22G)의 위치가 도 1 및 도 2 에 도시된 위치로부터 도 3 및 도 4 에 도시된 그들의 위축된 위치로 변경되는데, 후자의 위치에서는 회전축들(Y22D-Y22D, Y22G-Y22G)이 평면(P)에 대해 평행하게 연장되는바, 후방 바퀴들은 그들의 위축에 걸쳐서 평면(P)에 대해 서로 대칭적으로 유지된다는 점에 유의한다.
그러면 후방 바퀴들(22D, 22G)의 몸체들(22D2, 22G2)은 전체적으로 평면(P)에 대해 직각인 하나의 동일한 평면에서 연장되어서, 두 개의 후방 바퀴들이 그들의 축들(Y22D-Y22D, Y22G-Y22G) 주위로 회전함에 의하여 프레임(2)이 지면(S) 상에서 구르는 것이 허용된다. 필요하다면, 유모차 프레임(2)은 잠금 핀(locking pin)과 같은 애드-혹 부동화 수단(ad hoc immobilizing means)에 의하여 이 구성형태에서 잠겨질 수 있다. 그러면 유모차 프레임(2)은 그 전방 아암(12)과 손잡이(60)가 상향으로 지향된 채로 짐운반용 수레(baggage trolley)와 같은 방식으로 안정적으로 이동될 수 있는바, 그 손잡이는 사용자에 의하여 파지되어서 유모차 프레임을 예를 들어 수납장(closet) 안으로 굴러 넣어 수직으로 넣기에 편리하다. 특히 실용적으로는, 바퀴들이 펼쳐져 있는 때에 사용자가 손잡이(60)를 파지하고 그 손잡이로 전술된 바와 같이 바퀴들을 위축시키는바, 사용자는 부수적으로 그 손잡이를 이용하여 유모차의 프레임을 수직으로 곧게 하여서 그 프레임이 자동적으로 후방 바퀴들에 의해 지탱되는 안정적인 위치로 되게끔 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나아가, 후방(22G, 22D)의 위축 움직임의 나선형 이동으로 인하여, 전방 바퀴(20)의 회전축(Y20-Y20)과 각 후방 바퀴(22D, 22G)의 회전축(Y22D-Y22D, Y22G-Y22G) 간의 거리(Δ)가 링크 블록들(78D, 78G) 각각의 슬라이드(80D, 80G) 내측에서 위축되는 부분의 전후방향으로의 치수에 의하여 변화한다는 것이 이해될 것인데, 그 거리는 실제에 있어서 40mm 정도일 수 있다. 따라서, 바퀴들이 위축된 때에는 유모차 프레임(2)의 전체적인 전후방 치수가 그 거리(Δ)만큼 감소된다.
자명하게도, 바퀴들(20, 22D, 20G)이 처음에 위축된 때에 손잡이(60)를 제어하여 샤프트(34)를 전술된 방향의 역방향으로 90°회전시킴에 의하여, 거꾸로의 움직임이 전달됨으로 인하여 이 세 바퀴들이 펼쳐지게 된다.
선택적으로는, 각 코드(82D, 82G)의 길이방향 부분이 예를 들어 프랑스의 니메시스(NIMESIS) 사에 의해 시판되고 니켈 및 티타늄에 기초한 합금과 같은 형상 기억 금속 합금으로 만들어지는 것이 유리한데, 이로써 예를 들어 바퀴가 벽에 대해 지탱됨으로 인하여 의도하지 않게 위축이 저지된 때에 사용자가 바퀴들을 연장 또는 위축시키도록 제어하더라도, 그 코드 부분이 횡방향의 탄성 변형에 의하여 손상없이 꼬이거나 접혀질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코드의 나머지 부분에 대한 손상이 방지되는바, 그렇지 않는다면 이 코드에 의하여 보통 제공되는 밀고 당기는 힘의 전달로 인하여 손상시키는 결과가 초래될 수 있다.
도 13 및 도 14 에는 유모차 프레임(2)의 슬라이드들(80G, 80D) 및 링크 블록들(78D, 78G)의 변형예가 도시되어 있다. 이 변형예의 대응하는 구성은 아래에서 유모차 프레임(2)의 좌측에 대하여 설명되는바, 우측의 구성은 평면(P)에 대해 대칭인 것으로 유추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따라서, 도 13 및 도 14 에 도시된 이 변형예에 따르면, 링크 블록(78G) 및 슬라이드(80G)는 각각 링크 블록(78G') 및 슬라이드(80G')에 의하여 대체된다. 유모차 프레임(2) 내의 배치 및 이 링크 블록(78G') 및 슬라이드(80G')의 의 기능은 링크 블록(78G) 및 슬라이드(80G)의 배치 및 기능과 유사한데, 특히 링크 블록(78G')은 도 15 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슬리브(72G) 내측에 동축상으로 배치되고 그 후방 단부에서 슬리브(72G)에 견고하게 연결되며, 슬라이드(80G')는 아암(14G)의 직선형 부분(14G1) 내측에 고정적으로 배치되는바, 이것은 도 15 에 도시된 바와 같다.
링크 블록(78G') 및 슬라이드(80G')는, 아암(14G)의 축(X14G-X14G)에 중심을 둔 전체적으로 나선형인 움직임에 의하여 슬라이드(80G') 내측에서 링크 블록(78G')을 안내하는 것에 관련된 구성의 면에서 링크 블록(78G) 및 슬라이드(80G)로부터 주로 구별된다. 실제에 있어서, 도 1 내지 도 12 의 실시예에서 이용된 나선형 리브 및 홈을 대체함에 의하여, 슬라이드(80G')의 튜브형 벽은 축(X14G-X14G)에 대해 대칭적으로 직경방향으로 반대측에 있는 두 개의 슬롯들(80G'1)에 의하여 일 측으로부터 타 측으로 관통된다. 각 홈(80G'1)은 그 길이를 따라서 축(X14G-X14G)에 중심을 둔 나선형의 전방 단부 부분(80G'2)과, 이 축에 평행한 직선형의 후방 단부 부분(80G'3)을 포함한다. 링크 블록(78G')이 슬라이드(80G') 내측에 조립된 때에, 이 홈(80G'1)들 각각은 링크 블록(78G')에 견고하게 연계된 고정용 잠금 핀(transfixing locking pin; 78G'1)의 길이방향 단부들 중의 하나를 수용한다. 도 14 에는 이 잠금 핀(78G'1)의 길이방향 단부들 중의 하나가 축(X14G-X14G)에 대해 직각으로 연장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는바,이것은 참조부호 78G'2를 갖는다. 각 홈(80G'1)의 폭은 잠금 핀(78G'1)의 단부(78G'2)들의 폭에 맞도록 되어서, 링크 블록(78G')과 슬라이드(80G') 간의 상대 움직임 중에 대응하는 움직임은 연이은 제1의 나선형 하위-움직임(first helical sub-movement)과 제2의 직선형 하위-움직임(second rectilinear sub-movement)을 포함하는데, 제1의 나선형 하위 움직임은 잠금 핀(78G'1)의 단부(78G'2)들이 홈(80G'1)들의 나선형 부분(80G'2)을 지나가는 때이고, 제2의 직선형 하위-움직임은 전술된 단부들이 홈들의 직선형 부분(80G'3)을 지나가는 때이다.
따라서, 홈(80G'1)의 나선형 부분(80G'2)과 잠금 핀(78G'1) 간의 협력에 의하여, 도 1 내지 도 12 의 실시예들에 관한 것과 실질적으로 동등한 나선형 움직임이 링크 블록(78G')과 슬라이드(80G') 간의 전후방 방향으로의 안내가 이루어진다. 또한, 홈(80G'1)들의 직선형 부분(80G'3)과 잠금 핀(78G'1) 간의 협력에 의하여, 링크 블록(78G')과 슬라이드(80G') 간의 상대 각도 위치가 고정되는바, 이와 같은 구성형태는 도 14 에 도시된 슬라이드(80G')에 대한 링크 블록(78G')의 최후방 위치에 대응되는데, 이 구성형태에서는 후방 바퀴들(22G, 22D)이 펼쳐진다. 따라서, 펼쳐진 구성형태에서의 이 바퀴들의 기계적 강도가 증진된다.
유리하게는, 이 기계적 강도는 링크 블록(78G')의 외측 표면 상에 있는 톱니형 링(crenellated ring; 78G'3)의 존재에 의하여 보강되는바, 그 톱니형 링은 링크 블록의 외측 주변에 분포된 복수의 축방향 리브(78G'4)들을 구비하며, 그 축방향 리브들은 본 경우에 있어서 슬라이드의 후방 단부에 있는 슬라이드(80G')의 내부면 내에 형성된 축방향 홈(80G'4)들 내에 상보적인 방식으로 수용될 수 있도록 들어맞는 형상을 갖는다. 이 리브(78G'4)들 및 이 홈(80G'4)들은, 그 치수가 적절히 정해짐에 의하여, 잠금 핀(78G'1)이 홈(80G'1)들의 직선형 부분(80G'3)들을 통해 이 직선형 부분들의 전방 단부로부터 후방 단부로 지나가는 때에, 점진적으로 서로 축방향으로 맞물린다. 그러면 바퀴들이 펼쳐진 구성형태로 유모차 프레임(2)을 부동화시키는 애드-혹 잠금 수단에 인가되는 힘은 제한되고, 손상없이 이 부동화 수단에 의하여 지지된다.
도면들에 상세히 도시되지 않은 선택적인 유리한 구성으로서, 홈(80G'1)들의 나선형 부분(80G'2)들은 후방 직선형 부분(80G'3)들만큼 길 필요가 없는 직선형 홈 부분들에 의하여 전방으로 길게 되는데, 이것은 전술된 바와 같이 후방 바퀴(22G)가 프레임틀(10)에 대해 뒤로 접혀짐에 의하여 위축되는 때에 링크 블록(78G')과 슬라이드(80G') 간의 상대 각도 위치를 안정화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그러면, 적정하게 접혀진 유모차 프레임(2)에 인가되는 힘에 대한 저항이 증진된다.
도 15 및 도 16 에는 유보차 프레임(2)의 다른 변형예가 도시되어 있는데, 이것은 도 13 및 도 14 에 관하여 설명된 것과는 별도의 것으로서, 후방 아암(14D, 14G)에 대한 링크 블록들(78D, 78G 또는 78D', 78G')의 이하에서 설명되는 구동 수단의 구조, 및 이 후방 아암들과 관련된 일부 구성요소들에 대한 약간의 외형 변형사항들(이 변형사항들은 현저한 구조적, 기능적 차이를 유발하지는 않는다)에 있어서 도 1 내지 도 12 에 관하여 설명된 실시예로부터 구별된다.
따라서, 도 15 및 도 16 의 실시예에서는, 도 8 및 도 9 에 관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밀고당김 코드(82D, 82G)에 의하여 각 링크 블록(78D, 78G)을 구동하기 보다는, 반-강성 로드(semi-rigid rod; 82D', 82G')의 형태를 갖는 액츄에이터를 이용하는데, 도 15 및 도 16 에는 좌측 후방 아암(14G)과 관련된 로드(82G')만이 도시되었다는 점에 유의한다. 또한, 유모차 프레임(2)의 좌측에 관한 구조는 아래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되는바, 우측의 구성은 평면(P)에 대한 대칭성으로부터 유추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따라서, 도 15 및 도 16 에 있어서, 반-강성 로드(82G')는 움직임을 통하여 링크 블록(78G')과 샤프트(34)의 후방 단부(342)를 연결시킨다. 이를 위하여, 이 로드의 후방 단부(82G'1)는 링크 블록(78G')의 전방 단부 헤드(84G')에 고정적으로 결합되는바, 본 경우에 그 후방 단부(82G'1)는 헤드(84G') 내측에 한정된 상보적인 요부 내에 수용 및 보유되는 구근 형상(bulbous shape)을 갖는다. 유리하게는, 헤드(84G')가 고정용 잠금 핀(78G'1)에 의하여 링크 블록(78G')에 대해 고정된다.
반-강성 로드(82G')의 연장 부분(running part; 82G'2)은 외피(86G)와 기능면에서 유사한 외피(86G') 내에 수용되는바, 따라서 이 외피(86G')는 아암(14G) 내측에 고정적으로 포함되며, 특히 그것의 후방 단부는 슬라이드(80G')의 고정된 전방 단부 장착부(80G'5)에 밀어넣어지는데, 이 단부 장착부는 로드(82G')에 의하여 일 측부로부터 타 측부로 관통된다. 로드(82G'2)의 연장 부분의 유연성은, 한편으로는 로드(82G')의 전체적인 길이방향 외형이 굽혀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아암(14G)의 굽혀진 부분(14G2)에 적합하게 되도록 활용되고, 다른 한편으로는 링크 블록(78G')의 나선형 움직임과 관련된 로드(82G')의 약간의 꼬임을 손상없이 지지하는데에 활용된다. 후자의 사항으로 인하여, 로드(82G')와 링크 블록(78G') 간의 기계적 연결이 코드(82G) 및 링크 블록(78G) 간의 것만큼 복잡하게 될 필요가 없게 되는바, 특히 이 코드의 후방 단부에 작은 구체형 단부 부재가 제공될 필요가 없다.
로드(82G'2)의 연장 부분에 의한 로드의 길이방향으로의 충분한 힘 전달을 보장하면서도 로드(82G'2)의 연장 부분의 충분한 유연성을 얻기 위하여는, 예를 들어 이 연장 부분(82G'2)이 십자 형상의 횡단면을 가지고 또한 나일론과 같은 합성 재료로 만들어진다.
로드(82G')의 전방 단부(82G'3)에는 예를 들어 도 1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드의 전방 단부에 오버몰딩(overmolding)된 삽입부(82G'4)가 견고하게 제공된다. 로드(82G') 반대측의 삽입부 단부에서, 이 삽입부(82G'4)는 제어 바퀴(88')에 고정되는바, 그 바퀴는 샤프트(34)의 후방 단부(342)에 배치되고 또한 도 11 및 도 12 에 도시된 제어 바퀴(88)와 기능면에서 유사하다. 도 16 을 참조로 하는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축(X12-X12)에 중심을 둔 제어 바퀴(88')에는 그 축에 대해 직경방향으로 대향된 영역들에 두 개의 돌출된 구체들(88G'1, 88D'1)이 제공되는데, 이 구체들은 각각 대응되는 좌측 로드(82G') 또는 우측 로드(82D')의 후방 단부의 삽입부(82G'4)에 의하여 견고하게 지탱되는 상보적인 껍질부(82G'5) 내에 볼 조인트(ball joint)의 방식으로 수용되도록 설계된다.
따라서, 제어 바퀴(88)에 있어서, 샤프트(34)에 의한 제어 바퀴(88')의 축(X12-X12)에 중심을 둔 90°의 회전이, 그 회전의 방향에 따라서 반 강성 로드들(82G', 82D')이 전방으로 당겨지거나 또는 후방으로 밀리는 결과를 낳는바, 이로써 슬라이드(80G', 80D') 내측의 링크 블록들(78G', 78D')의 움직임을 작동시킨다. 코드들(82G, 82D)과 비교하면, 작동용 로드들(82G', 82D')은 시중에서 널리 입수가능한 표준형 기계 부품이라는 장점을 갖는바, 후방 바퀴들(22G, 22D)을 펼치고 위축시키는데에 필요한 힘의 전달을 손상없이 지지할 수 있다.
도 16 내지 도 19 에는 유모차 프레임(2)의 또 다른 변형예가 도시되어 있는데, 이것은 구체적으로 제어 바퀴(88, 88')와 샤프트(34)의 후방 단부(342) 간의 기계적 연결에 관한 것이며, 여기에서는 이 변형예가 제어 바퀴(88')에 적용되고 아래에서는 이와 같은 맥락에서 설명된다. 도 1 내지 도 12 과 관련된 실시예에서와 같이 샤프트(34)의 후방 단부(342)에 제어 바퀴가 견고하게 결합되지 않고, 편자 형태의 스프링(90)이 그들 사이에 개재되어서 샤프트 단부(342)와 제어 바퀴(88') 간에 전달되는 토크의 강도를 제한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이 스프링(90)은 축(X12-X12)에 중심을 두는 방식으로 부쉬(343)를 파지하도록 들어맞는 형상을 갖는데, 그 부쉬는 샤프트 단부(342) 및 제어 바퀴(88')의 중앙 영역(88'1)에 견고하게 연결된다. 스프링(90)의 강직도(stiffness)는, 제어 바퀴(88'1)의 영역과 부쉬(343) 간에 전달되는 토크의 강도가 미리 결정된 한계값 미만인 한, 도 18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 바퀴(88'1)의 영역과 부쉬(343)의 축(X12-X12) 주위로의 상대 회전을 부동화시키도록 설계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제어 바퀴(88)와 샤프트(34)의 축(X12-X12) 주위로의 상대 토크가 미리 결정된 한계값을 초과하는 강도로 인가되면, 스프링(90)이 탄성적으로 변형되어서 도 19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 바퀴(88') 자체, 그리고 샤프트(34) 자체의 상대적인 자유 회전이 허용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사용자가 손잡이(60)에 의하여 유모차 프레임(2)의 바퀴들을 위축시키거나 펼치는 때, 이 위축 또는 펼침이 예를 들어 바퀴가 벽에 의해 장애를 받아 후방 바퀴들(22G, 22D) 중의 하나에서 의도하지 않게 저지된다면, 이 바퀴의 운동학적 저항은 제어 바퀴(88')에서 샤프트(34)에 대한 축(X12-X12) 주위로의 토크 차이를 유발하는바, 이 토크의 강도 차이가 전술된 한계값을 초과한다면, 사용자가 샤프트(34)를 계속하여 회전시켜도 그에 해당하는 힘이 스프링(90) 덕분에 제어 바퀴(88') 및 로드들(82G', 82D')에 전달되지 않는바, 이로 인하여 제어 바퀴 및 이 로드들에 대한 손상이 방지된다.
지금까지 설명된 유모차 프레임(2)의 다양한 구성 및 변형예들도 고려될 수 있다. 몇몇의 예들이 아래에 기재된다.
- 각 바퀴(20, 22D, 22G) 또는 이 바퀴들 중의 적어도 하나에는 특정 시간 동안의 주차를 위하여 지면(S)에 유모차 프레임(2)을 부동화시키기 위한 회전 부동화 수단이 구비될 수 있고;
- 전방 바퀴(20) 및/또는 후방 바퀴들(22D, 22G) 각각은 쌍으로 이루어진 바퀴들 또는 쌍으로 이루어진 바퀴 트레인(twinned wheel train)에 의하여 대체될 수 있고;
- 또한, 전방 바퀴(20)를 아암(12)에 연결시키기 위하여, 다리부(30)는 바퀴 몸체(202)의 양 측으로 연장된 두 개의 가지부들을 갖는 포크(fork)에 의하여 대체될 수 있고;
- 선택적으로, 바퀴를 위축 또는 펼치는 때에 손잡이(60)에 의한 샤프트(34)의 회전은 적절한 구성에 의하여 유모차의 구조체(4)로 전달될 수 있는바, 특히 이것은 프레임에 대한 이 구조체의 접힘과 열림을 각각 보조하기 위한 것이고; 그리고/또는
- 선택적으로, 유모차 프레임(2)의 구조는 특히 직선형 부분(14D1, 14G1)에서 후방 아암들(14D, 14G)을 견고하게 연결시키는 횡단 부재에 의하여 보강될 수 있는바, 예를 들어 그러한 횡단 부재의 대향된 단부들은 각각의 고정된 캡(cap)들에 고정적으로 결합되고, 그 캡들은 도 15 에 부분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횡단 부재는 92 로 표시됨) 아암 부분들(14D1, 14G1)을 외부에서 조이도록 구성된다.
2: 프레임
10: 프레임틀
12: 전방 아암
14D: 우측 후방 아암
14G: 좌측 후방 아암
16: 중앙 섹션
14G1, 14D1: 직선형 후방부
14G2, 14D2: 휨부
P: 중간 평면

Claims (15)

  1. 특히 아동을 운반하기 위한 유모차 프레임 (2)으로서,
    서로 고정적으로 결합되고, 지면(ground; S)에 지탱되는 적어도 하나의 바퀴 (20, 22D, 22G)가 각각 제공된 두 개의 후방 아암들(rear arms; 14D, 14G) 및 단일의 전방 아암(front arm; 12);
    후방 및 전방 바퀴들 모두를 그들 각각의 아암들에 대해 각각의 펼침 사용 위치(extended service position)와 위축 보관 위치(retracted storage position) 간으로 동시적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움직임 수단(movement means)으로서, 펼침 사용 위치에서는 모든 바퀴들의 회전축들(Y20-Y20, Y22D-Y22D, Y22G-Y22G)이 프레임의 동일한 전후방 중간 평면(antero-posterior median plane; P)에 대해 실질적으로 직각으로 연장되고, 위축 보관 위치에서는 모든 바퀴들의 회전축들이 이 평면에 대해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되며 또한 전방 바퀴 또는 전방 바퀴들과 후방 바퀴들 간의 전후방 거리(Δ)가 바퀴들이 펼쳐진 위치에 있는 때의 경우보다 더 작은, 움직임 수단; 및
    전방 아암(12)의 전방 단부에 배치되고, 움직임 수단을 수동으로 구동하기 위한 특정의 손잡이(60);를 포함하는, 유모차 프레임.
  2. 제 1 항에 있어서,
    후방 바퀴들(22D, 22G)이 그들의 위축 위치에 있는 때에, 그들은 실질적으로 프레임의 전후방 중간 평면(P)에 대해 직각인 동일한 평면에서 연장되고 또한 이 동일한 평면에서 지면(S)에 대해 구를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 프레임.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움직임 수단은, 상기 전방 아암에 대해 회전할 수 있도록 전방 아암(12)에 의하여 지지되는 주 샤프트(34)를 포함하고, 주 샤프트의 전방 단부(341)는 상기 전방 바퀴(20) 또는 각 전방 바퀴(20)의 허브와 손잡이(60) 둘 다에 운동학적으로 연결되며, 이 샤프트의 후방 단부(342)는 각 후방 바퀴(22D, 22G)의 허브에 운동학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 프레임.
  4. 제 3 항에 있어서,
    손잡이(60)는 주 샤프트(34)의 전방 단부(341)에 견고하게 연결되고, 특히 이 단부와 단일체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 프레임.
  5.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바퀴 또는 각 전방 바퀴(20)의 허브는, 기계적 관절 조립체(32)에 의하여 주 샤프트(34)의 전방 단부(341)에 연결된 다리부(30) 또는 포크(fork)에 고정적으로 연결되고,
    기계적 관절 조립체(32)는, 주 샤프트에 대해 횡방향이고 주 샤프트 및 다리부 또는 포크가 서로에 대해 자유로이 피봇(pivot)되는 축(Z-Z)을 한정하는 피봇 관절부(38), 및 전방 바퀴의 회전축(Y20-Y20)이 주 샤프트에 대해 실질적으로 반경방향 직각으로(orthoradially) 연장되도록 샤프트와 다리부 또는 포크를 견고하게 연결시키고 상기 관절부를 부동화(immobilization)시키기 위한 부동화 수단(40, 42) 둘 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 프레임.
  6. 제 5 항에 있어서,
    관절 조립체(32)는 주 샤프트(34)의 전방 단부(341)에 견고하게 연결된 단부 장착부(36)에 의하여 지지되고, 손잡이(60)는, 주로 단부 장착부의 전방 주변부를 따라서 연장되어 그들 사이에 사용자 손의 손가락들을 수용하기 위한 공간을 한정하는 활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 프레임.
  7.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부동화 수단(40, 42)은 주 샤프트(34)의 전방 단부(341)에 대해 움직일 수 있는 트림(52)에 의하여 통제되고, 이 트림은 피봇 관절부(38)를 덮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 프레임.
  8. 앞선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움직임 수단은, 각 후방 바퀴(22D, 22G)에 있어서, 슬라이드(80D, 80G; 80D', 80G') 내에 움직임가능하게 장착되고 후방 바퀴의 허브에 고정적으로 연결된 링크 블록(78D, 78G; 78D', 78G'), 및 주 샤프트(34)의 후방 단부(342)와 링크 블록을 움직임가능하게 연결하는 밀고당김 수단(pulling and pushing means)(82D, 82G; 82D', 82G') 둘 다를 포함하고, 슬라이드는 대응하는 후방 아암(14D, 14G)에 결합되고 또한 나선형 움직임에 의하여 전후방 방향으로 링크 블록을 안내하도록 적합화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 프레임.
  9. 제 8 항에 있어서,
    각 후방 바퀴(22D, 22G)에 있어서, 슬라이드(80D', 80G')는 상보적인 요소(78D'1, 78G'1)를 수용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홈(80D'1, 80G'1)을 한정하고, 상기 상보적인 요소는 링크 블록(78D', 78G')에 결합되어 링크 블록을 전후방 방향으로 안내하며, 이 홈은 연속적으로 나선형 전방부(80D'2, 80G'2) 및 직선형 후방부(80D'3, 80G'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 프레임.
  10. 제 9 항에 있어서,
    각 후방 바퀴(22D, 22G)에 있어서, 링크 블록(78G', 78D') 및 슬라이드(80D', 80G')는 각각 축방향으로의 리브 부분(78D'4,78G'4) 및 홈 부분(80D'4, 80G'4)을 포함하고, 링크 블록에 결합된 상보적인 요소(78D'1, 78G'1)가 홈(80D'1, 80G'1)의 직선형 후방부(80D'3, 80G'3) 내에 수용된 때에 상기 리브 부분 및 홈 부분은 형상의 상보성(complementarity)에 의하여 서로 협력하도록 적합화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 프레임.
  11. 제 8 항 내지 제 10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밀고당김 수단은, 각 후방 바퀴(22D, 22G)에 있어서, 주 샤프트(34)의 후방 단부(342)와 링크 블록(78D, 78G)을 연결하는 밀고당김 코드(pulling and pushing cord; 82D, 82G)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 프레임.
  12. 제 11 항에 있어서,
    각 밀고당김 코드(82D, 80G)의 적어도 일부분은 형상 기억 금속 합금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 프레임.
  13. 제 8 항 내지 제 10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 후방 바퀴(22D, 22G)에 있어서 상기 밀고당김 수단은 반-강성 액츄에이션 로드(semi-rigid actuation rod; 82D', 82G')를 포함하고, 반-강성 액츄에이션 로드는 휨에 의하여 탄성적으로 변형가능하여 이 로드의 길이방향으로 주 샤프트(34)의 후방 단부(342)와 링크 블록(78D', 78G') 간에 밀고 당기는 힘을 전달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 프레임.
  14. 제 11 항 내지 제 13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움직임 수단은 제어 바퀴(88; 88')를 포함하고, 제어 바퀴는 주 샤프트(34)의 후방 단부(342)에 견고하고 동축상으로 연결되며, 제어 바퀴에는 액츄에이션 로드들(82D', 82G') 또는 밀고당김 코드들(82D, 82G) 중 어느 하나의 각 후방 단부들(82D2, 82G2; 82D'1, 82G'1)이 직경방향으로 대향된 방식으로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 프레임.
  15. 제 14 항에 있어서,
    토크 제한 수단(90), 특히 편자 형태의 스프링이 주 샤프트(34)의 후방 단부(342)와 제어 바퀴(88; 88') 사이에 개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 프레임.
KR1020107017905A 2008-01-17 2009-01-16 아동 운반을 위한 유모차 프레임 KR10155569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0850283A FR2926521B1 (fr) 2008-01-17 2008-01-17 Chassis de poussette, notamment pour transporter un enfant
FR0850283 2008-01-1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7422A true KR20100137422A (ko) 2010-12-30
KR101555699B1 KR101555699B1 (ko) 2015-09-25

Family

ID=397093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17905A KR101555699B1 (ko) 2008-01-17 2009-01-16 아동 운반을 위한 유모차 프레임

Country Status (15)

Country Link
US (1) US8342562B2 (ko)
EP (1) EP2244924B1 (ko)
JP (1) JP5192553B2 (ko)
KR (1) KR101555699B1 (ko)
CN (1) CN101952157B (ko)
AU (1) AU2009207533B2 (ko)
BR (1) BRPI0906920A2 (ko)
CA (1) CA2712378C (ko)
ES (1) ES2556352T3 (ko)
FR (1) FR2926521B1 (ko)
MX (1) MX2010007827A (ko)
NZ (1) NZ587366A (ko)
RU (1) RU2481216C2 (ko)
WO (1) WO2009092970A2 (ko)
ZA (1) ZA20100515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956641B1 (fr) * 2010-02-23 2012-07-13 Jean-Michel Francois Chaudeurge Chassis de poussette, notamment pour transporter un enfant
GB2482688A (en) * 2010-08-09 2012-02-15 Trevor Neil Martin A trolley which can collapse to have all the wheels in the same plane as the trolley
US9868456B2 (en) * 2012-10-31 2018-01-16 Austlen Baby Co. Stroller with secondary seating
US9468277B2 (en) 2013-02-25 2016-10-18 Samsonite Ip Holdings S.A.R.L. Retractable spinner wheels for a luggage case
CN104129417B (zh) * 2013-05-02 2018-05-22 雅沙娜美国股份有限公司 折叠旅行婴儿车插销和轮定位机构
US8991854B2 (en) * 2013-05-02 2015-03-31 Artsana Usa, Inc. Folding travel stroller latch and wheel positioning system
FR3010466B1 (fr) * 2013-09-06 2016-01-29 Peugeot Citroen Automobiles Sa Dispositif de renvoi d'angle a piece de couplage cooperant avec une barre de commande, pour un equipement transformable
US9227649B2 (en) * 2013-09-13 2016-01-05 Lerado (Zhong Shan) Industrial Co., Ltd. Jogging stroller frame with a folding mechanism for automatically flattening wheels
CN103448778B (zh) * 2013-09-13 2016-07-06 中山市乐瑞婴童用品有限公司 婴儿车前、后轮组的扁平化收折机构
CN106133025B (zh) * 2015-03-05 2019-03-12 株式会社Lg化学 用于生产光电器件的柔性板的聚酰亚胺膜的组合物
CN105151105B (zh) * 2015-07-07 2017-10-17 福建欧仕儿童用品股份有限公司 童车轮子自动折叠结构
EP3127775B1 (en) * 2015-08-07 2019-10-02 E.H.B. Consulting GmbH Cart
US10850760B2 (en) * 2016-08-03 2020-12-01 Richard Neal Shapiro Foldable wheeled carrier including wheel folding actuation handle
AU201711434S (en) * 2016-09-13 2017-04-03 Babyzen Toddler Boards for Prams and Push-Chairs
TWM574578U (zh) * 2017-12-29 2019-02-21 穩正企業股份有限公司 移動載具
US11953943B2 (en) * 2022-05-21 2024-04-09 Lenovo (Singapore) Pte. Ltd. Device with foldable display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53880A (en) * 1989-01-23 1990-09-04 Tandem Mfg., Inc. Jogging stroller
JP2506125Y2 (ja) * 1989-07-31 1996-08-07 株式会社ハウジングハセベ 折畳式三輪乳母車
US5647601A (en) * 1995-02-06 1997-07-15 Potter; Michael D. Collapsible infant stroller adapter
US5558357A (en) * 1995-08-24 1996-09-24 Sci-Tw International Inc. Trolley frame foldable in one-step operation
AUPP059097A0 (en) * 1997-11-27 1997-12-18 Igc (Australia) Pty Ltd Improvements in load carrying assemblies
CN2389811Y (zh) * 1999-10-06 2000-08-02 中山市隆成日用制品有限公司 可折叠的婴儿车
CA2304410A1 (en) * 1999-10-21 2001-04-21 Richard C. Everett Collapsible baby jogging stroller
US6863297B2 (en) * 2000-06-28 2005-03-08 Richard N. Shapiro Folding walking or jogging strollers and cargo carriers including pivoting wheel axles
DE20203348U1 (de) * 2002-03-01 2002-08-22 Saier Katrin Dreirädriger Kinderwagen
AU2003902058A0 (en) * 2003-04-30 2003-05-15 Golias, Matthew Collapsible supporting structure
AU2005285609B2 (en) * 2004-09-16 2011-11-03 Mutsy B.V. Mobile frame for a buggy
GB2418400A (en) * 2004-09-28 2006-03-29 Armon Ltd Folding baby stroller
US7077420B1 (en) * 2005-02-04 2006-07-18 American Recreation Products, Inc. Foldable three-wheeled jogging stroller
EP2001728A2 (en) * 2006-04-03 2008-12-17 Graco Children's Products Inc. Stroller with removable arm bar
US20070257471A1 (en) * 2006-05-08 2007-11-08 Baby Planet Llc Universal Infant Carrier Transport
JP4869083B2 (ja) * 2007-01-16 2012-02-01 コンビ株式会社 ベビーカー
FR2912367B1 (fr) * 2007-02-12 2009-12-18 Jean Michel Francoi Chaudeurge Poussette pliable et procede d'ouverture et de pliage de cette poussette
NL1033729C2 (nl) * 2007-04-20 2008-10-21 Maxi Miliaan Bv Wandelwag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MX2010007827A (es) 2010-09-22
AU2009207533B2 (en) 2013-12-12
ZA201005156B (en) 2011-10-26
EP2244924A2 (fr) 2010-11-03
US8342562B2 (en) 2013-01-01
NZ587366A (en) 2012-03-30
AU2009207533A1 (en) 2009-07-30
CN101952157A (zh) 2011-01-19
RU2010134364A (ru) 2012-02-27
KR101555699B1 (ko) 2015-09-25
FR2926521A1 (fr) 2009-07-24
WO2009092970A3 (fr) 2009-09-24
JP2011509869A (ja) 2011-03-31
EP2244924B1 (fr) 2015-10-28
US20110006495A1 (en) 2011-01-13
RU2481216C2 (ru) 2013-05-10
FR2926521B1 (fr) 2010-03-19
CA2712378C (fr) 2016-03-15
WO2009092970A2 (fr) 2009-07-30
BRPI0906920A2 (pt) 2020-04-28
ES2556352T3 (es) 2016-01-15
CN101952157B (zh) 2013-04-24
JP5192553B2 (ja) 2013-05-08
CA2712378A1 (fr) 2009-07-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137422A (ko) 특히 아동 운반을 위한 유모차 프레임
EP3104820B1 (en) Collapsible wheeled support or carrier
US9067612B2 (en) Carrier and stroller
EP2441645B1 (en) Baby buggy
US20060214396A1 (en) Collapsible stroller for children and the like
CN108216460B (zh) 可折叠个人载具
EP3344210B1 (en) Brake assembly for a height-adjustable walker apparatus
CN109789908B (zh) 可折叠防震滑板车
CN105189251A (zh) 可转化成自行车拖车的用于儿童的手推童车
TWI551502B (zh) Multi-function scooter
CN109789887B (zh) 童车
ES2582372T3 (es) Chasis plegable de carrito para niño, y carrito para niño correspondiente
JP6035301B2 (ja) 手押し車
FR2837160A1 (fr) Voiture pliable pour le transport d'enfant a structure telescopique
CN218559049U (zh) 前轮两轮式骑乘玩具
ES2635619B1 (es) Caballete para cochecito infantil, cochecito infantil y uso de un caballete correspondiente
EP1550596A2 (en) Adjustable anchorage for children's pram or pushchair platforms
CZ9637U1 (cs) Jízdní kolo na ruční pohon, zejména pro vozíčkář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6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