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37295A - Tslp 저해능에 의한 아토피 피부염 개선능을 가지는 한방 조성물 - Google Patents

Tslp 저해능에 의한 아토피 피부염 개선능을 가지는 한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37295A
KR20100137295A KR1020090055645A KR20090055645A KR20100137295A KR 20100137295 A KR20100137295 A KR 20100137295A KR 1020090055645 A KR1020090055645 A KR 1020090055645A KR 20090055645 A KR20090055645 A KR 20090055645A KR 20100137295 A KR20100137295 A KR 201001372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topic dermatitis
tslp
extract
betel
hydrothermal extr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556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14506B1 (ko
Inventor
정대현
모상현
이정훈
김수정
김형식
서효현
임창일
Original Assignee
(주)바이오에프디엔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바이오에프디엔씨 filed Critical (주)바이오에프디엔씨
Priority to KR10200900556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14506B1/ko
Priority to PCT/KR2009/007442 priority patent/WO2010150954A1/ko
Publication of KR201001372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372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45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45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889Arecaceae, Palmae or Palmaceae (Palm family), e.g. date or coconut palm or palmetto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36Caryophyllaceae (Pink family), e.g. babysbreath or soapwor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61Myrtaceae (Myrtle family), e.g. teatree or eucalypt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94Liliopsida [mono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Epidemiology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rds (AREA)
  • Dermat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TSLP 저해능에 의한 아토피 피부염 개선능을 가지는 한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빈랑 열수 추출물 및 정향수피 열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아토피 피부염 개선능을 가지는 한방 조성물은 아토피 피부염의 병리적 면역기전인 TSLP의 작용을 길항하므로 아토피 피부염의 면역반응을 개선하며, 천연 추출물을 이용하므로 인체에 장기간 적용해도 부작용이 없는 효과가 있다.
아토피, TSLP, 빈랑, 정향수피, 열수 추출, 초음파 추출, 초임계 추출

Description

TSLP 저해능에 의한 아토피 피부염 개선능을 가지는 한방 조성물{Herbal Composition Having Improving Ability for Atopy Dermatitis by TSLP Inhibiting Ability}
본 발명은 TSLP 저해능에 의한 아토피 피부염 개선능을 가지는 한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빈랑 열수 추출물 및 정향수피 열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문명병 혹은 선진국형 난치병이라고도 불리는 아토피 피부염은 어느 연령대나 발생할 수 있는 세계적으로 흔한 질병으로 70 ~ 95%는 5세 이하의 유아시기에 발병되어진다. 국내의 경우도 이미 아토피 피부염의 문제가 사회적 그리고 의료적으로 심각한 수준에 이르고 있다. 다양한 보고에 의하면 국내 전체 국민의 약 15%가 아토피 피부염 환자이며, 이 중 0 ∼ 4세 유아 100명당 18 ~ 22 명이 아토피 환자로 알려져 있다.
아토피 피부염의 정확한 병태생리는 아직까지 완전히 이해되고 있지 않으나 유전적 소인과 함께 면역학적, 환경적 요인이 관여하리라고 생각되고 있으며, 특히 면역학적 관점에서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아토피 피부염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외인성 아토피 피부염은 IgE와 연관된 면역기전에 의해 발생되는데 특정 알레르겐에 대한 즉시형 면역반응보다는 T세포 이상에 의한 지연형 면역반응이 관여한다는 보고들이 많다.아토피 피부염의 주된 피부증상은 습진성 병변으로 피부단자검사상 나타나는 홍반과 팽진이 아니기 때문에 즉시형 면역반응 검사인 피부단자검사 결과만으로 아토피 피부염의 직접적인 상관성을 평가하는 것에는 아직도 논란이 많다. 아토피 피부염 환자에서 세포매개성 면역기능장애가 IgE증가와 관련 있음이 밝혀지면서 특정 알러젠(Allergen)에 대한 즉시형 면역반응보다는 T 세포 이상에 의한 지연형 면역 반응이 관여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아토피 피부염 환자에서 세포 매개성 면역장애는 약 80%까지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바이러스 및 피부사상균 등에 의한 피부감염증에 대해 감수성이 증가되있고, 접촉알레르겐에 대한 감수성은 감소된 경향을 보인다.과거에는 T세포 성숙 결핍설, CD8+ 억제 T세포의 수적 감소 등이 보고된 바 있었으나 최근엔 CD4+ T세포의 역할이 더욱 중요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즉 B세포로 부터 IgE의 생성을 유도하는 IL-4, B세포로부터 IgE생성을 촉진하는 IL-5, IgE생성을 증폭시키는 IL-6 등을 분비하는 T세포는 CD4+T 세포 중 Th2세포인데, AD환자의 말초혈액 및 피부병변으로부터 분리한 항원 특이 T세포 클론이 Th2로 밝혀졌고 이 세포들로부터 분비된 IL-4, IL-13은 IgE 생성을 촉진하고 IL-5는 호염구(basophil) 반응을 증진시킨다고 보고되었다(출처 : 아토피 피부염의 면역병리기전, 이광훈). 최근 보고에 의하면 아토피 피부염 상태 에 따라 면역반응이 달라진다고 하는데, 급성 아토피 피부염에는 Th2, 만성 아토피 피부염에는 Th1이 관여한다. 초기에는 Th2에서 분비하는 IL 4, IL 13가 중요하게 작용하며, 가려움이 생겨 긁기 시작하면 Th1 세포로 이동하게 된다.
아토피 피부염의 근본적 원인이 되는 면역 불균형은 다양한 생물학적 신호 전달의 결과물이다. 이러한 비정상적 신호전달의 최상위 단백질이 바로 TSLP(thymic stromal lymphopoietin) 싸이토카인이다. 알러젠이 몸에 침투되면 TSLP 등의 물질이 수지상 세포를 자극하여 반응을 하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아토피 피부염의 증상이 나타나는 것이다.
최근 어린이는 물론 성인 아토피 피부염의 증가도 심각해지고 있으며, 심한 경우 취업 및 결혼 등 사회생활에 지장을 초래하기까지 하여 심각한 사회문제가 되고 있다. 이러한 경우, 심하면 심각한 정신적 스트레스로 대인기피 및 우울증을 유발하기도 한다. 이렇듯 아토피 피부염이 심각한 사회적, 의학적 문제가 됨에도 불구하고 현재까지 효율적인 치료제가 없는 실정이다.
기존의 아토피 피부염 치료제는 calcineurin을 억제하여, cytokine 발현을 줄이는 cyclosporin와 FK506 등이 개발되어져 사용되고 있으나, 이들은 장기 사용 시 면역체계를 약화시켜 이차 감염증의 저항력을 떨어뜨리며, 피부 가려움 및 소양증을 완화시키는 steroid 계열의 외용 치료제들도 소아가 장기간 사용할 경우 면역력이 감소되고 성장이 저해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현재 많은 국내의 학교 및 바이오기업 연구진들에 의해 아토피 피부염을 개선하기 위한 개선제들이 연구 및 제품화 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개발되는 제품의 대부분이 시장 진입 초기에 사라지는 현상이 반복되고 있다. 이러한 이유는 아토피 피부염이 유발되고 악화되는 병리학적 기전에 대응되는 제품의 개발보다 막연히 피부의 보습효과를 강화하거나 피부에 저자극성 화장품이 아토피 개선제품으로 개발되고 있기 때문이다.
한국특허등록 제742,378호(생약재를 함유하는 아토피성 피부염 치료용 조성물), 한국특허등록 제773,411호(항산화, 항암 및 항균 효과를 나타내는 NH 생약 조성물) 및 한국공개특허 제2008-0006837호(아토피 피부염 예방 또는 완화용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에는 물 또는 저급 알콜을 이용한 추출법을 이용하여 아토피 피부염 또는 피부 세균에 항균효과를 나타내는 다양한 생약재료들의 혼합 조성물에 관하여 개시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추출방법은 피부염에 효과가 있는 생약재료의 유효성분 추출률이 다소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발명자들이 예의 노력한 결과, 열수 추출방법을 이용하여 추출된 다양한 한약 및 천연물의 추출물 중 빈랑 열수 추출물 및 정향수피의 열수 추출물이 아토피 피부염의 병리적 면역기전인 TSLP의 작용을 길항함으로써 아토피 피부염 개선능이 뛰어난 것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빈랑 열수 추출물 및 정향수피 열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TSLP 저해능에 의한 아토피 피부염 개선능을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빈랑 열수 추출물 및 정향수피 열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TSLP 저해능에 의한 아토피 피부염 치료용 또는 예방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빈랑 열수 추출물 및 정향수피 열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TSLP 저해능에 의한 아토피 피부염 개선능을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빈랑 열수 추출물 및 정향수피 열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TSLP 저해능에 의한 아토피 피부염 치료용 또는 예방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아토피 피부염 개선능을 가지는 한방 조성물은 아토피 피부염의 병리적 면역기전인 TSLP의 작용을 길항하므로 아토피 피부염의 면역반응을 개 선하며, 천연 추출물을 이용하므로 인체에 장기간 적용해도 부작용이 없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TSLP 저해능에 의한 아토피 피부염 개선능을 가지는 한방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빈랑 열수 추출물 및 정향수피 열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은 아토피 피부염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의 효과를 가져오는 용량 범위로 함유하는 것을 의미하고, 중증도 및 제형에 따라 용량범위는 변할 수 있으며, 적용횟수도 적용 대상의 연령, 체중 및 체질에 따라 변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아토피 피부염”이 있는 경우는, 아토피 피부염에 의해 피부의 감염 부위가 변화된 상태를 의미하며, 이러한 상태는 피부 질환으로 간주되는 상태와 피부질환으로 간주되지 않은 상태를 모두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치료”는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을 아토피 피부염 부위에 적용한 결과로서 아토피 피부염 증세의 완치는 물론 아토피 피부염 증세의 부분적 완치, 호전 및 경감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예방”은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을 피부, 특히 아토피 피부염에 적용하여 피부에의 아토피 피부염 증세를 억제 또는 차단함으로써, 아토피 피부염 증세가 사전에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일 유효성분인 “빈랑”은 한약재의 일종으로서, 한의학에서 강기파체(降氣破滯), 통행도체(通行導滯), 이수화습(利水化濕)하는 효능이 있다. 따라서, 충적(蟲積)에 의한 복통, 담습에 의한 학질, 사리후중(瀉痢後重), 식적담체(食積痰滯), 흉복창민(胸腹脹悶) 및 수종각기(水腫脚氣)등에 담미 및 여러 가지 한약재와 혼합하여 기생충 구제약, 녹내장 치료, 구강 청정제, 이질, 피부병 등에 사용한다.
본 발명에서, 일 유효성분인 “정향수피(Caryophylli Cortex)”는 비위를 따뜻하게 하고 곽란, 신기, 분돈기와 냉기로 배가 아프고 음낭이 아픈 것을 낫게 한다. 또한 성기능을 높이고 허리와 무릎을 덥게 하며 반위증을 낫게 하고 술독과 풍독을 없애며 여러 가지 종기를 낫게 한다. 치감을 낫게 하며 여러 가지 향기를 낸다. 또한 항산화 효과 및 유해산소 제거효과가 탁월하다.
본 발명에서 아토피 피부염의 원인인 TSLP는 다양한 생물학적 신호전달을 비정상적으로 하여 면역불균형을 유발하는 최상위 단백질로, 외부 항원이나 미생물의 접촉 시 피부를 구성하는 각질형성세포, 섬유아세포 혹은 비만세포(mast cell)에서 생산되는 단백질이다. 이렇게 생산된 TSLP는 다양한 면역적 기전을 통해 면역계를 Th2로 편항시키게 만든다. 특히 성숙전 단계의 수지상세포(dendritic cells, DC)를 활성화시켜 IL-8, eotaxin-2, Th2-attracting chemokines인 thymus and activation-regulated chemokine(TARC)와 macrophage-derived chemokine(MDC)를 생성하게 한다. 또한 비만세포로부터 IL-5, IL-13, GM-CSF, 그리고 IL-6를 생산하게 한다. TSLP-활성화 수지상세포는 세포 표면에 OX40L을 발현하여 allergen-specific naive CD4+ T세포를 IL-4, IL-5, IL-13, 그리고 TNF-alpha를 생산하나 IL-10은 생산하지 않는 Th2로 분화시킨다. 이렇게 생성된 염증성 Th2는 TARC와 MDC의 존재에 의해 다시 국소적 염증 부위로 이동하고 다시 Th2에 의해서 생성된 IL-4, IL-5, IL-13, TNF-alpha는 염증 반응 매개 물질들인 IgE, mucus 생산, eosinophilia를 촉진하여 과염증 반응을 개시시키고 아토피 피부염을 유발하는 것이다. 즉 TSLP는 지금까지 밝혀진 다양한 생물학적 이유들 중 아토피 피부염의 가장 강력하고 상위 유도체라고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빈랑 열수 추출물과 정향수피 열수 추출물이 혼합된 한방 조성물은 아토피 피부염의 원인인 TSLP의 활성을 저해하여 아토피 피부염을 개선시키거나 치료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일 관점에서, 빈랑 열수 추출물 및 정향수피 열수 추출물을 함유하는, TSLP 저해능에 의한 아토피 피부염 개선능을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빈랑 열수 추출물 및 정향수피 열수 추출물의 함량은 전체 조성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10~30 중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추출물 함량이 10중량부 미만이면 단기간에 뚜렷한 개선 효과가 나타나지 않는 문제가 있고, 30중량부를 초과하면 전체 화장료 조성물의 물리적 안전성이 저해되거나 장기 사용시 피부 자극 등의 문제가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정향수피 열수 추출물은 빈랑 열수 추출물에 대하여 0.3 내지 3배의 중량비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는데, 상기 비율을 벗어나면, 단 기간에 뚜렷한 개선 효과가 나타나지 않거나, 전체 화장료 조성물의 물리적 안전성의 저해 및 장기 사용시 피부 자극 등의 문제가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화장수, 크림, 맛사지크림, 영양크림, 모이스처 크림, 핸드크림, 로션, 모이스처 로션, 밀크로션, 영양로션, 스킨로션, 스킨 소프너, 스킨토너, 아이스트린젠트, 팩, 파운데이션, 에센스, 영양에센스, 스킨 젤, 스킨 오일, 스킨 토너, 훼이스 로션(face lotion), 수렴수 및 디오더런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제형을 갖을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 세정용일 수 있고, 상기 피부 세정용의 화장료 조성물은 크림, 로션, 화장수, 클렌저, 폼, 클렌징 폼, 필링젤, 바디워시, 스크럽, 비누, 오일, 에멀젼, 헤어비누, 헤어 린스, 바디클렌져, 샴푸, 유액, 고형 세정제 및 액상 세정료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제형을 갖을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지방 물질, 유기 용매, 용해제, 농축제 및 겔화제, 연화제, 항산화제, 현탁화제, 안정화제, 발포제(foaming agent), 방향제, 계면활성제, 정제수, 이온형 또는 비이온형 유화제, 충전제, 금속이온봉쇄제 및 킬레이트화제, 보존제, 비타민, 차단제, 습윤화제, 필수 오일, 염료, 안료, 친수성 또는 친유성 활성제, 항염증제, 착색제, 물 또는 화장품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기타 성분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들 성분은 전체 조성물의 약 98.0 내지 99.1중량%의 양으로 존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사용되는 계면활성제는 음이온성, 양이온성 및 양쪽성 모두를 포함하며, 사용량은 전형적으로 30중량%이상, 바람직하게는 70중량% 이상이다. 계면활성제의 종류 및 사용량을 선택 결정하는 것은 본 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사용될 수 있는 바람직한 안정화제로는, 이로서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글리콜 스테아레이트가 포함된다. 안정화제가 사용되는 경우, 일반적으로, 조성물의 약 0.1 내지 5중량%이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사용될 수 있는 바람직한 보존제로는, 이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테트라나트륨 에틸렌디아민 테트라아세트산(EDTA), 1-(3-클로로알릴)-3,5,7-트라아자-1-아다만탄, 파라벤, 메틸파라벤, 5-클로로-2-메틸-4-이소티아졸린-3-온과 2-메틸-4-이소티아졸린-3-온의 혼합물, 페녹시에탄올, 벤질알코올, 벤조페논-4, 메틸클로로이소티아졸리논 및 메틸이소티아졸리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 포함될 수 있다. 보존제가 사용되는 경우, 이의 양은 전형적으로 조성물의 약 0.01 내지 6중량%이고, 바람직한 양은 약 0.05 내지 4중량%, 더욱 바람직한 양은 약 0.1 내지 2중량%이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사용될 수 있는 바람직한 습윤화제로는 밀 단백질(예, 라우르디모늄 하이드록시프로필 가수분해된 밀 단백질), 헤어 케라틴 아미노산, 나트륨 퍼옥실린카르볼산, 판테놀, 토코페롤(비타민 E) 및 디메티콘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 포함된다. 또한 염화나트륨이 존재할 수 있으며 특히 헤어 케라틴 아미노산이 습윤화제로서 포함되는 경우 그러하다. 습윤화제는 전형적으로 조성물의 약 0.01 내지 10중량%, 바람직하게는 약 0.05 내지 1.5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 는 약 0.01 내지 1 중량%가 사용된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사용될 수 있는 바람직한 착색제로는 FD&C 그린 3번, Ext. D&C 바이올렛 2번, FD&C 옐로우 5번 및 FD&C 레드 40번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 포함될 수 있다. 착색제는 사용되는 경우 전형적으로 조성물의 약 0.001 내지 0.1중량%, 바람직하게는 약 0.005 내지 0.05중량%이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사용될 수 있는 바람직한 항염증제로는 국소적으로 투여하기에 적합하고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화합물이라면 그 어느 것도 포함되며, 바람직하게는 알란토인이다. 항염증제는 사용하는 경우 염증 억제 또는 경감시키기에 충분한 양으로 사용되며 전형적으로는 조성물의 약 0.1 내지 2중량%, 바람직하게는 약 0.3 내지 1.5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0.1 내지 1중량%이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사용될 수 있는 항산화제는 효소형 항산화제와 비효소형 항산화제 모두 사용될 수 있다. 천연 효소형 항산화제의 예로는 과산화물 디스뮤타제(SOD), 카탈라제 및 글루타티온 퍼옥시다제를 들 수 있다. 적합한 비효소형 항산화제로는 비타민 E(예, 토코페롤), 비타민 C(아스코브산), 카로테노이드, 에키나코시드(Echinacoside), 카페오일 유도체, 올리고머 프로안토시아니딘, 프로안타놀(예, 포도 종자 추출물), 실리마린(예, 밀크 엉겅퀴 추출물, 실리붐 마리아늄), 은행나무(Ginkgo biloba) 및 녹차 폴리페놀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 포함될 수 있다. 카로테노이드는 강력한 항산화제이며 이의 예로는 베타-카로틴, 칸타크산틴, 제아크산틴, 라이코펜, 루테인, 크로세틴 및 캡산틴 등이 포함된다. 바람직한 항산화제는 비타민 E, 비타민 C 또는 카로테노이드이다. 항산화제는 사용되는 경우 피 부에서 유리-라디칼의 영향을 억제하거나 경감시키기에 충분한 양으로 사용된다. 항산화제의 전형적인 사용량은 조성물의 약 0.001 내지 1중량%이고, 바람직한 양은 약 0.01 내지 0.5중량%이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본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다른 보조제를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보조제의 예로는 향료, 염료(헤어를 동시에 염색하거나 색조를 부가하는 염료를 포함), 용매, 불투명화제, 펄제(pearlescent agent)(예를 들어, 지방산과 폴리올의 에스테르, 지방산의 마그네슘 염 및 아연 염), 공중합체 계 분산액, 농후화제(예를 들어, 염화나트륨, 염화칼륨, 염화암모늄 및 황산나트륨), 지방산 알킬올아미드, 셀룰로즈 유도체, 천연 검, 식물 추출물, 알부민 유도체(예를 들어 젤라틴), 콜라겐 가수분해 생성물, 천연 또는 합성 폴리펩타이드, 난황, 레시틴, 라놀린 또는 라놀린 유도체, 지방, 오일, 지방 알코올, 실리콘, 디오더런트, 항균 물질, 항지루성 물질, 각질용해제(예를 들어, 황, 살리실산, 벤조일 퍼옥사이드, 셀레늄 설파이드, PG, FA, 효소) 및 각화제(예를 들어, 타르, 황, 살리실산, 셀레늄 설파이드, 항균제, 벤조일 퍼옥사이드, 클로르헥시딘, 요오드, 트리클로산, 항진균제 및 효소)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들 수 있다.
일 구체예로써, 하기 실시예에서, 식물성경화유, 바세린, 글리세린, 모노스테아린산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토코페릴 아세테이트, 부틸렌글라이콜, 구연산, 파라옥시안식향산 에스텔, 메틸바라벤, 향료, 정제수를 적절한 비율로 혼합하여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한 예를 제시하고 있으나, 이것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다른 관점에서, 빈랑 열수 추출물 및 정향수피 열수 추출물을 함유하는, TSLP 저해능에 의한 아토피 피부염 치료용 또는 예방용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하기 실시예에서, 상기 빈랑 열수추출물 및 정향수피 추출물을 함유한 조성물이 TSLP 저해능을 가짐을 확인함으로써 아토피 피부염 치료 뿐만 아니라, 미리 예방할 수 있는 기능 또한 포함하고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빈랑 열수 추출물 및 정향수피 열수 추출물의 함량은 전체 조성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10~30중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추출물 함량이 10중량부 미만이면 단기간에 뚜렷한 개선 효과가 나타나지 않는 문제가 있고, 30중량부를 초과하면 전체 약학 조성물의 물리적 안전성이 저해되거나 장기 사용시 피부 자극 등의 문제가 있다. 이러한 범위 내에서 특정 제제의 농도는 이들을 사용하고자 하는 용도에 따라 결정되며, 사용하기 전에 희석해야 하는 농축 제제와 같은 특정 제제는 좀더 높은 농도를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상기 모든 제제는 본 분야에 통상적인 기술을 사용하여 적절히 원하는 형태로 제형한다.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상기 빈랑 열수추출물 및 정향수피 열수추출물을 함유한 여러 제제는 통상적인 방식으로, 바람직하게는 아토피 피부염에 바르거나 마사지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정향수피 열수 추출물은 빈랑 열수 추출물에 대하여 0.3 내지 3배의 중량비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는데, 상기 비율을 벗어나면, 단기간에 뚜렷한 개선 효과가 나타나지 않거나, 전체 약학 조성물의 물리적 안전성의 저해 및 장기 사용시 피부 자극 등의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본 발명의 출원시 공지된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다양한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 등을 포함하여 제조될 수 있으며, 공지의 방법에 따라 분산제, 현탁제, 유화제, 용액 및 연고 등의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약학 조성물은 실온에서 약 4,000 내지 약 9,000cps 범위의 점도를 제제에 부여하기 위한 점증제를 함유할 수 있다. 점증제를 첨가하면, 여러가지 온도 범위에서 제형을 유지할 수 있어 안정한 점도를 얻을 수 있고, 동시에 외용으로 피부에 사용한 때의 감촉이 좋아지는 등, 사용성이 개선되는 효과가 있다. 이러한 점증제로는 수크로즈의 알릴 에테르와 C10-30알킬 아크릴레이트, 아크릴산 및/또는 메타크릴산의 공중합체인 카르보폴 1342가 포함된다. 이외에 사용될 수 있는 다른 점증제로는 하이드록시프로필 메틸셀룰로즈, 하이드록시에틸 셀룰로즈,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즈 등과 같은 셀룰로즈 유도체가 포함된다. 염(NaCl)의 소량 첨가는 또한 최종 제제의 점도를 조절하는 작용을 한다. 보통 염의 첨가량은 약 0.25 내지 0.6중량%이다. 상기 약학 조성물은 pH를 4 내지 10, 바람직하게는 4.5 내지 8, 더욱 바람직하게는 4.5 내지 7로 유지하기 위해 필요한 경우 산, 염기 및 완충제를 함유한다. 이러한 pH 조정 물질의 성질 및 사용 방식은 본 분야에 잘 알려져 있다.
상기 약학 조성물의 제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경피투여용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고, 상기 경피투여용의 조성물은 연고, 크림, 파스타 제(pastes), 로션, 찰제(liniments), 파스타제(pastes), 외용 액제, 틴크제, 글리세로젤라틴(glycerogelatins), 외용산제, 에어로졸 및 경고제(plasters)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제형을 갖을 수 있다. 이들 제형은 모든 제약 화학에 일반적으로 공지된 처방서인 문헌에 기술되어 있다(Blaug et al., 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 15th Edition, 1975).
상기 제형의 바람직한 양태는 연고이다. 상기 연고는 페트롤라툼(patrolatum), 화이트 페트롤라툼, 엘로우 연고, 미네랄 오일과 같은 탄화수소 기제, 친수성 페트롤라툼, 무수 라놀린, 라놀린, 콜드크림과 같은 흡수 기제, 친수성 연고와 같은 수세가 가능한 기제, 폴리에틸렌 글리콜 연고와 같은 수용성 기제 어느 것으로도 제조 가능하다. 이들의 선택 및 제조는 약물의 기제로부터의 방출속도, 기제에 의한 경피흡수의 증가 기대, 기제에 의한 피부 수분 밀봉 여부, 약물의 기제 내에서의 안정성, 기제에 대한 약물의 영향과 같은 요인을 고려하여 이루어지지만 약제 제형 분야의 당업자에게는 통상적인 기술에 속한다.
상기 제형의 바람직한 양태는 크림이다. 상기 크림은 콜드크림, 에몰리엔트 크림(emollient cream)과 같은 W/O형 및 쉐이빙 크림, 바니싱 크림, 핸드크림, 린싱크림(reansing cream)과 같은 O/W형을 포함한다. 더욱 바람직한 크림은 전형적으로 물과 스테아린산을 함유하는 바니싱 크림이다. 보통 환자나 의사는 O/W 크림이 연고보다 씻어내기 쉽기 때문에 연고제보다 크림을 선호하는데 이러한 관점에서 본 발명의 약제에서 바람직한 것은 크림이다.
상기 제형의 바람직한 양태는 로션이다. 상기 로션은 현탁제, 유제, 액제 등 과 같은 방법으로 조제되며 이들 또한 약제 제형 분야의 당업자에게는 통상적인 기술에 속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더욱 바람직한 것은 화이트 로션(white lotion)이며 이 제제 또한 제형 분야의 당업자에게는 통상적인 기술에 속한다.
상기 제형의 또 다른 바람직한 양태는 찰제이다. 상기 찰제는 유성 찰제 및 에탄올성 찰제 어느 것으로 제조 가능하다. 바람직한 것은 피부에 자극이 적은 유성 찰제이다. 유성 찰제의 경우 아몬드 오일, 낙화생유, 면실유 등의 불휘발성유, 윈터그린(wintergreen), 투르펜틴(turpentine) 같은 휘발성유 또는 불휘발성유의 배합 등이 있다.
또한, 아토피 피부염에 대한 예방 또는 치료 용량 범위는 중증도 및 제형에 따라 변할 수 있다. 또한, 적용 횟수도 환자의 연령, 체중 및 체질에 따라 변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는 않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하기 실험예에서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여 아토피 피부염의 개선능을 확인한 실험이 예시되어 있으나, 약학조성물의 경우에도 빈랑 열수추출물 및 정향수피 열수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고 있으므로 공지의 방법으로 제조한 약학 조성물의 경우에도 동일한 아토피 피부염의 치료 또는 예방 효과가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1: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천연물 시료 제조
본 발명에 사용된 TSLP 저해활성을 통한 아토피 개선 천연물을 탐색하기 위하여, 하기 [표 1]에 기재된 400종의 한방 혹은 천연물을 열수로 추출하였다.
먼저, [표 1]의 한약재들을 정제수에 충분히 세척 건조한 후, 파쇄한 다음, 건조 파쇄 된 천연물 100g당 2L의 정제수를 가하여 열수 추출기에서 2 시간 100℃로 가열한 후 추가적으로 1시간 동안 80℃로 가열하여 열수 추출물을 얻었다. 획득된 천연물 열수 추출물들을 3겹의 거즈를 이용하여 고형분을 제거한 후 상온에서 충분히 식혔다. 그 후, -70℃에서 4시간 이상 동결한 후 동결건조기에서 수분을 증발시켜 동결건조된 천연물 열수 추출물들을 획득하였다. 이렇게 획득된 추출물들의 TSLP 저해활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순수한 물에 2mg/ml 농도로 균일하게 녹인 후, 0.22 ㎛의 시린지 필러로 제균하고 추가적인 실험에 사용하였다.
[표 1] TSLP 저해성 천연물 탐색을 위한 라이브러리
Figure 112009037755819-PAT00001
Figure 112009037755819-PAT00002
Figure 112009037755819-PAT00003
Figure 112009037755819-PAT00004
Figure 112009037755819-PAT00005
Figure 112009037755819-PAT00006
Figure 112009037755819-PAT00007
Figure 112009037755819-PAT00008
Figure 112009037755819-PAT00009
실시예 2: Real-time PCR을 이용한 한방 추출물의 TSLP 저해능 시험
2-1. 인간피부 각질형성세포주 HaCaT 세포 배양
피부에서 발생되는 TSLP의 생산을 감소시킬 수 있는 천연 추출물의 탐색 시 험을 수행하기 위하여, 인간피부의 구성 세포주인 각질형성세포 HaCaT 세포주(CLC Cell line serveice, Germany)를 사용하였다. HaCaT 세포주는 10% fetal bovine serum (FBS; Gibco BRL, USA)과 항생제가 들어있는 DMEM 배양액 (Gibco BRL, USA)을 사용하여 배양하였다. 배양 용기는 75T-flask와 6 well plate를 사용하였으며 5% CO2가 공급되는 37℃ 배양기에서 배양하였다. 배양액은 3~4일마다 교환해 주며 세포가 과다하게 증식되었을 때는 계대배양 하였다. 천연물 추출물의 처리 시험은 적정한 계대 수의 HaCaT 세포가 6 well plate에서 배양용기 면적의 90%이상 증식 시, 배양 배지 3ml의 10% 비율인 상기 실시예 1에서 수득된 추출물 0.3ml을 처리하였으며, 추가적으로 48시간 배양 후 total RNA의 분리와 cDNA 합성을 수행하였다.
2-2. Total RNA 분리와 cDNA 합성
Real-time PCR에 사용될 cDNA는 천연물 열수 추출물의 처리 48시간 후 total RNA를 추출하여 합성하였다. 구체적으로, 6 well plate 당 Trizol(Invitrogen, Carlsbad, CA) 1ml을 이용하여 total RNA를 추출하였다.
Total RNA를 이용한 cDNA합성을 수행하기 위하여 전체 반응액 20㎕를 아래의 조성들로 구성하였다. 5X PrimeScript Buffer(Kit code RR037A, Lot A1201-1) 4㎕와 PrimeScript RT Enzyme Mix(Kit code RR037A, Lot A1201-1) 1㎕와 Oligo dT Primer(50㎕M)(Kit code RR037A, Lot A1201-1) 1㎕와 Random 6mers(100㎕M)(Kit code RR037A, Lot A1201-1) 4㎕를 혼합하여 tube에 넣은 후 얼음에 보관하였다. 이 tube에 total RNA를 10㎕씩 첨가하여 전체 반응액이 20㎕가 되게 한 다음, mild vortexing 3회로 충분히 섞은 후 다시 얼음에 보관하였다. 이것을 PCR machine을 사용하여 37℃에서 15분간 반응 시킨 후 85℃에서 5초가 반응하고 4℃로 처리하였다. 처리가 끝난 cDNA는 하기 방식으로 real-time PCR 분석에 사용되었다.
2-3. 한방 추출물의 TSLP 저해능 시험
상기 실시예 1의 천연물 열수 추출물이 인간 각질형성세포 HaCaT의 TSLP 발현에 미치는 감소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상기 cDNA real-time(실시간) PCR을 이용한 Taqman 방법을 실행하였다. 1 μg/μL 농도의 cDNA 주형 1 μL에 해당 TSLP에 특이적인 Taqman Primer & Probe (HS00263639, AB Applied Biosystems, USA)와 Taqman Gene Expression Master Mix를 사용하여 반응을 수행하였다. 최종 반응 샘플들을 조제한 후, Applied Biosystems ABI 7500 Real-time PCR system(AB Applied Biosystems, USA)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real-time PCR을 수행하기 위한 GAPDH과 human beta defensin 3 분석용 반응액 pre-mix를 만들었다. GAPDH 분석을 위한 반응액 pre-mix는 GAPDH(Hs99999905, Lot 682967) 1㎕와 D.W 5㎕와 Master Mix(2X)(TaqMan Gene Expression Master Mix L/N 0810037, P/N 4369016) 10㎕와 cDNA 4㎕를 잘 혼합하여 만들었다. 인간 beta defensin 3 분석을 위한 반응액 pre-mix는 DEF3(Hs00218678, Lot 660126) 1㎕와 D.W 5㎕와 Master Mix(2X)(TaqMan Gene Expression Master Mix L/N 0810037, P/N 4369016) 10㎕와 cDNA 4㎕를 잘 혼합하여 만들었다. 만들어진 상기 반응액 pre-mix들을 real-time PCR 반응용 plate (optical 96-well Reaction Plate with Barcode, part No.4306737)에 16㎕씩을 넣었다. 동일한 plate에 표준곡선 제조에 사용할 HaCaT cDNA 2㎕와 Easy Dilution (Kit code RR037A, Lot A1201-1)로 X10, X100배 희석한 cDNA를 2㎕ 씩 첨가 한다. 상기에 제조된 cDNA 4㎕씩을 plate에 넣어져 있는 16㎕ 씩의 반응액에 넣고 real-time PCR Cycles로 반응시킨다. Real-time PCR 반응은 먼저 샘플들을 초기 변성을 위해 94℃, 10분 동안 반응시킨 후 전체 60 사이클을 증폭시켰다. 각 사이클에 관한 시간과 온도는 94℃ 에 10초, 60℃에 10초, 25℃에 30초로 이루어졌다. 표적 유전자에 관한 발현은 Ct(threshold cycle) 방법에 의한 내부 대조 유전자 GAPDH (Glyceraldehyde 3-phosphate dehydrogenase)의 보정 정량화를 통한 상대적인 값으로 비교되었다.
그 결과, 전체 400개의 천연물 열수 추출물 가운데 12개 추출물에서 물을 이용한 대조군에 비해 25% 이상의 TSLP 감소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그 중 빈랑(Arecae Semen)과 정향수피(Caryophylli Cortex) 열수 추출물에서 80% 이상의 TSLP 감소 효과를 보였다(도 1~2). 물 대조군에 비해서 25% 이상의 감소효과를 나타내는 전체 12개 천연추출물의 감소 효과 정도는 표 2와 도 3에 나타내었다.
[표 2] 12종 열수 추출물의 TSLP 감소 효과 결과
번호 명칭 TSLP 감소율(%)
23 구기자(북) 26 ± 6
29 귀전우 31 ± 7
48 도인 29 ± 12
91 빈랑 82 ± 6
116 목향(초) 26 ± 12
129 백출(초) 35 ± 11
168 연교 28 ± 6
224 사인(추말) 33 ± 9
250 정향수피 87 ± 8
287 치자(초) 39 ± 12
305 동규자 28 ± 2
389 황금(토) 26 ± 8
실시예 3: 다양한 추출 방법에 따른 TSLP 저해 활성 비교
상기 실시예 2에서 각각 82 ± 6 %와 87 ± 8 %라는 높은 TSLP 발현 저해 효과를 보이는 빈랑(Arecae Semen)과 정향수피(Caryophylli Cortex)가 다양한 추출조건에서도 동일한 TSLP 저해 효과가 있는지 시험하기 위하여 50% 에탄올, 50% 메탄올, 50% 헥산을 이용한 일반 추출과 초음파 추출, 그리고 초임계 추출을 수행하였다(표 3).
초음파 추출을 수행하기 위하여 건조 파쇄된 천연물들의 분말 10 g을 500 ml 비이커에 추출용매 물 100%, 100ml를 첨가하여 초음파 추출시스템을 이용하여 추출하였다. 동일한 추출방법을 적용하기 위하여 100 100 KHz 초음파에너지(300 Watt ± 2)를 적용하였으며, 추출 온도는 반응기내 물을 chiller를 통해 순환시켜 25 ℃로 고정하였다. 초음파 추출 시간은 60 min을 적용하였다. 추출물에는 많은 양의 불순물들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용매 추출 후 여지필터(pore size: 5 μm)에서 감압 여과하여 시료 잔유물과 분리시키고, 시료를 멤브레인 필터(FH- 0.2 μm, Waters, Milford, MA, USA)로 여과하여 TSLP 저해 시험용액으로 사용하였다.
초임계 추출을 수행하기 위하여 해당 천연물의 분말 시료 10g에 조용매로 에탄올(식용주정 95%, v/v)을 주용매인 이산화탄소에 대해 29.4ml/kg CO2에 해당하는 양 만큼 첨가, 혼합 침지시켰다. 이후 에탄올 침지 천연물을 100ml의 초임계추출 용기에 넣고 추출압력 300bar, 추출온도 70℃, CO2 유속 8.5g/min(이는 추출용기 내 총 공극부피 1리터당 119.5ml CO2/min에 해당함), 체류시간 3.5분의 조건으로 초임계유체 추출을 40분간 수행하였다. 분말을 회수하고 105℃의 건조오븐에서 12시간 동안 건조하여 수분 및 에탄올 성분을 제거한 후, 수득된 초임계 추출물을 이용하여 TSLP 저해 활성을 시험하였다.
그 결과, 시험한 다른 추출법을 대조군으로 보정할 경우에도 열수 추출물 효과의 80% 이상의 TSLP 저해효과를 나타내기는 하지만, 빈랑과 정향수피 모두 열수 추출물에서 가장 좋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표 3] 다양한 추출 용매 및 방법에 따른 TSLP 저해활성 비교
추출방법 빈랑(Arecae Semen) 추출물의
저해활성 (%)
정향수피(Caryophylli Cortex) 추출물의 저해활성 (%)
열수 추출 100 ± 16 100 ± 6
50% 에탄올 추출 89 ± 9 95 ± 12
50% 메탄올 추출 87 ± 10 92 ± 17
50% 헥산 추출 95 ± 11 86 ± 9
초음파 추출 96 ± 12 94 ± 4
초임계 추출 92 ± 22 92 ± 6
실시예 4: 본 발명에 따른 천연 추출물의 피부자극정도 측정
상기 실시예 2에서 높은 TSLP 발현 저해 효과를 보인 빈랑(Arecae Semen)과 정향수피(Caryophylli Cortex)에 대하여 피부자극 정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11명의 피험자들을 대상으로 patch test를 실시하였다. 11명의 건강한 지원자의 팔 안쪽 깨끗한 피부에 10% SLS(Sodium Lauryl Sulfate) 수용액을 양성대조군으로 하였고, 순수한 물을 음성대조군으로 하였으며, 2mg/ml 농도를 갖는 동일한 양의 빈랑 및 정향수피 열수 추출물은 함유하는 패치를 부착하였다. 48시간이 지난 후, 패치를 제거하고 흐르는 물로 씻어낸 뒤, 30분 후 자극 정도를 판정하였다.
피부 자극 수치를 5단계로 나누어 피부 반응을 평가한 결과, TSLP 저해성 천연추출물들의 피부자극성은 음성대조군에서 4.5, 양성대조군에서 70.5가 나온 반면 TSLP 저해성 천연 추출물인 빈랑과 정향수피에서는 각각 9.1과 6.8로 피부자극성이 존재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표 4 및 도 4).
[표 4] TSLP 저해성 빈랑과 정향수피의 피부 자극성 시험 결과
구 분 자극수치(명) 피부자극
평균정도(%)
자극성
판정
4 3 2 1 0
음성대조군(물) 0 0 0 2 9 4.5 1
양성대조군(10% SLS) 1 7 3 0 0 70.5 4
빈랑 추출물 0 0 0 4 7 9.1 1
정향수피 추출물 0 0 0 3 8 6.8 1
* 자극수치: 0(자극없음), 1(매우약한자극), 2(약한자극), 3(심한자극), 4(매우심한자극)
* 피부자극 평균정도(%)=
Figure 112009037755819-PAT00010
* 자극성 판정 : 1(10이하, 최소자극), 2(10-20, 온화한 자극) 3(20-30, 보통자극), 4(30이상, 심한자극)
실시예 5: 아토피 피부염 개선 효과
5-1. 빈랑 및 정향수피 열수 추출물의 아토피 피부염 개선 확인
아토피 피부염 개선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아토피 피부염이 있는 성인 남녀 전체 17명 중 13명은 빈랑과 정향수피 열수 추출물이 1:1 비율로 혼합된 혼합추출물을 도포하였고, 나머지 4명은 물을 대조군으로 하여, 1일 2회 1 ml씩 또는 1g씩 화장솜에 적셔 환부에 도포하는 방법으로 8일간 시험하였다. 8일간 도포 후 개선 효과는 매우 효과, 약간 효과, 효과 없음, 악화의 4단계로 수치화하였다.
그 결과, 하기 표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빈랑과 정향수피 열수 추출물을 사용한 17명 중 15명에서 매우 효과 및 약간 효과의 개선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그 비율은 88.2%를 차지하여 아토피 피부염에 유의적인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상대적으로 사용된 대조 처방에서는 대부분이 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비율은 60.0% 였다.
[표 5] 빈랑 및 정향수피 열수 추출물과 물의 아토피 피부염 개선 효과
빈랑 및 정향수피 열수 추출물 처방 매우 효과 6 명 35.3 %
약간 효과 9 명 52.9 %
효과 없음 2 명 11.8 %
악화 0 명 0.0 %
대조군(물) 처방 매우 효과 0 명 0.0 %
약간 효과 1 명 20.0 %
효과 없음 3 명 60.0 %
악화 1 명 20.0 %
5-2. 빈랑 및 정향수피 열수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아토피 피부염 개선 확인
아토피 피부염 개선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아토피 피부염이 있는 성인 남녀 17명 중 13명은 빈랑 열수 추출물과 정향수피 열수 추출물이 1:1 비율로 혼합된 혼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를 도포하였고, 나머지 4명은 상기 추출물을 함유하지 않은 화장료 조성물을 대조군으로 하여, 1일 2회 1 ml씩 또는 1g씩 화장솜에 적셔 환부에 도포하는 방법으로 8일간 시험하였다. 8일간 도포 후 개선 효과는 매우효과, 약간 효과, 효과 없음, 악화의 4단계로 수치화 하였다.
본 실시예에서 사용된 화장료 조성물의 성분비를 표 6에 나타내었다.
[표 6] 아토피 피부염 개선 효과 시험을 위한 화장료 조성비
원 료 명 실시예 5-2 대조예
빈랑과 정향수피 혼합 열수 추출물 20.00 -
식물성경화유 10.00 10.00
바세린 10.00 10.00
글리세린 10.00 10.00
모노스테아린산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0.10 0.10
토코페릴 아세테이트 3.00 3.00
부틸렌글라이콜 1.00 1.00
구연산 0.10 0.10
파라옥시안식향산 에스텔, 메틸 파라벤 적량 적량
향료 적량 적량
정제수 잔량 잔량
[표 7] 빈랑과 정향수피 열수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아토피 피부염 개선 효과

빈랑 및 정향수피 열수 추출물 함유 화장료 처방
매우 효과 4 명 23.5 %
약간 효과 12 명 70.6 %
효과 없음 1 명 5.9 %
악화 0 명 0.0 %

비교 화장료 처방
매우 효과 0 명 0.0 %
약간 효과 1 명 20.0 %
효과 없음 3 명 60.0 %
악화 1 명 20.0 %
그 결과, 표 7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전체 17명 중 매우 효과 4명과 약간 효과 12명으로 나타나, 개선 효과 있음이 전체의 94.1%에 해당하였다. 매우 효과의 개선 정도를 보인 대상자들의 경우 일반적으로 가려움증을 동반한 아토피성 피부염이 TSLP 저해성 빈랑 및 정향수피 열수 추출물의 도포 4일째 상당히 진정되고 8일째 대부분의 병변이 사라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기에서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여 아토피 피부염 개선 효과를 확인하였으나, 상기 5-1에서와 같이 빈랑 열수추출물 및 정향수피 열수추출물이 아토피 피부염에 개선효과가 탁월하므로,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약학 조성물을 공지의 방법에 따라 일반적으로 함유되는 약학조성물의 성분들을 함유하여 제조한 결과도 동일한 아토피 피부염 치료 또는 예방 효과가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이상으로 본 발명 내용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 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양태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검은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과 그것들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도 1은 천연물 빈랑 열수 추출물(91번)의 TSLP 발현 감소 효과를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천연물 정향수피 열수 추출물(250번)의 TSLP 발현 감소 효과를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TSLP 감소 효과를 갖는 12종의 천연물 열수 추출물을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빈랑자 및 정향 수피 추출물의 피부 무자극성을 나타내는 사진이다.

Claims (6)

  1. 빈랑 열수 추출물 및 정향수피 열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TSLP 저해능에 의한 아토피 피부염 개선능을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빈랑 열수 추출물 및 정향수피 열수 추출물의 함량은 전체 조성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10~30 중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향수피 열수 추출물은 빈랑 열수 추출물에 대하여 0.3 내지 3배의 중량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4. 빈랑 열수 추출물 및 정향수피 열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TSLP 저해능에 의한 아토피 피부염 치료용 또는 예방용 약학 조성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빈랑 열수 추출물 및 정향수피 열수 추출물의 함량은 전체 조성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10~30 중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 조성물.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정향수피 열수 추출물은 빈랑 열수 추출물에 대하여 0.3 내지 3배의 중량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 조성물.
KR1020090055645A 2009-06-22 2009-06-22 Tslp 저해능에 의한 아토피 피부염 개선능을 가지는 한방 조성물 KR1011145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5645A KR101114506B1 (ko) 2009-06-22 2009-06-22 Tslp 저해능에 의한 아토피 피부염 개선능을 가지는 한방 조성물
PCT/KR2009/007442 WO2010150954A1 (ko) 2009-06-22 2009-12-11 Tslp 저해능에 의한 아토피 피부염 개선능을 가지는 한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5645A KR101114506B1 (ko) 2009-06-22 2009-06-22 Tslp 저해능에 의한 아토피 피부염 개선능을 가지는 한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7295A true KR20100137295A (ko) 2010-12-30
KR101114506B1 KR101114506B1 (ko) 2012-03-14

Family

ID=433867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55645A KR101114506B1 (ko) 2009-06-22 2009-06-22 Tslp 저해능에 의한 아토피 피부염 개선능을 가지는 한방 조성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114506B1 (ko)
WO (1) WO201015095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7901B1 (ko) 2016-03-07 2016-10-20 김지숙 왜성정향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개선용 조성물
FR3065373B1 (fr) * 2017-04-21 2020-02-07 Jean-Noel Thorel Composition comprenant un extrait de cognassier pour le traitement du prurit et de la dermatite atopique
KR20210077069A (ko) 2019-12-16 2021-06-25 주식회사 케이피티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7393B1 (ko) * 2006-07-14 2012-03-23 주식회사 나우코스 아토피 피부염 예방 또는 완화용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14506B1 (ko) 2012-03-14
WO2010150954A1 (ko) 2010-12-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MX2007005886A (es) Composiciones farmaceuticas y terapeuticas derivadas de la planta garcinia mangostana l.
WO2008140200A1 (en) External compositions for the skin
JP5599730B2 (ja) 免疫細胞の活性化閾値を上昇させる物質
KR101550179B1 (ko) 탈모방지 및 모발성장 조성물
EP3727603B1 (fr) Extrait de fleurs de kapokier et compositions cosmetiques, pharmaceutiques ou dermatologiques le comprenant
KR101147862B1 (ko) 아토피 피부염 개선능을 가지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352363B1 (ko) 현삼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외용제조성물
MX2011004856A (es) Farmaco o composicion dermatologica que contiene un extracto peptidico de aguacate para el tratamiento y prevencion del prurito.
KR20130015339A (ko) 여드름 치료용 크림 조성물
KR101825704B1 (ko) 커피 실버스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827771B1 (ko) 닥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698922B1 (ko) 발모 및 육모 촉진용 조성물
KR102429343B1 (ko) 복합 생약 추출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두피 및 모발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060093626A (ko) 상황버섯 추출물 함유한 가려움증 억제 및/또는 아토피 완화 조성물
KR101114506B1 (ko) Tslp 저해능에 의한 아토피 피부염 개선능을 가지는 한방 조성물
KR20210018388A (ko) 식물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KR101347910B1 (ko) 생강 초임계 추출물 및 발효 미나리 박 추출물을 함유하는 식품 조성물, 화장료 조성물 및 약학 조성물
CN109689026B (zh) 使用包含生物活性莲提取物的组合物增加脂肪分解的方法
KR101852510B1 (ko) 닥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의 지질 생성 억제 및 피지 분비 감소용 화장료 조성물
KR101501538B1 (ko) 손바닥선인장 종자 추출물을 이용한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2185403B1 (ko) 탈모예방 및 발모촉진 기능을 갖는 대자호를 이용한 천연샴푸 및 그 제조방법
KR102144566B1 (ko) 택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309982B1 (ko) 곡정초 추출물을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
EP2811977B1 (fr) Utilisation d'un extrait de feuille de pommier dans une composition cosmetique pour le raffermissement de la peau
KR102428010B1 (ko) 피부외용제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1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4

Year of fee payment: 9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