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36925A - 가압정착토너 및 이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가압정착토너 및 이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36925A
KR20100136925A KR1020100057101A KR20100057101A KR20100136925A KR 20100136925 A KR20100136925 A KR 20100136925A KR 1020100057101 A KR1020100057101 A KR 1020100057101A KR 20100057101 A KR20100057101 A KR 20100057101A KR 20100136925 A KR20100136925 A KR 201001369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wax
toner
co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571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54503B1 (ko
Inventor
장욱
이창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ublication of KR201001369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369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45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4503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9/00Developers
    • G03G9/08Developers with toner particles
    • G03G9/093Encapsulated toner particles
    • G03G9/09307Encapsulated toner particles specified by the shell material
    • G03G9/09314Macromolecular compounds
    • G03G9/09321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9/00Developers
    • G03G9/08Developers with toner particles
    • G03G9/093Encapsulated toner particles
    • G03G9/0935Encapsulated toner particles specified by the core material
    • G03G9/09378Non-macromolecular organic compound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9/00Developers
    • G03G9/08Developers with toner particles
    • G03G9/093Encapsulated toner particles
    • G03G9/0935Encapsulated toner particles specified by the core material
    • G03G9/09385Inorganic compound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9/00Developers
    • G03G9/08Developers with toner particles
    • G03G9/093Encapsulated toner particles
    • G03G9/09392Preparation thereof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Developing Agents For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다 낮은 온도에서 정착이 가능하므로, 에너지 효율적으로 고속 인쇄를 가능케 하는 가압정착토너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가압정착토너는 왁스 및 안료를 포함하는 왁스 혼합물로 이루어진 코어;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 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 메타크릴레이트계 단량체 및 디엔계 단량체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중합성 단량체의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를 포함하여 상기 코어를 둘러싸고 있는 쉘을 포함하고, 전체 토너의 100 중량부에 대해, 상기 코어의 왁스를 44 내지 93 중량부의 함량으로 포함한다.

Description

가압정착토너 및 이의 제조 방법{PRESSURE FIXABLE TONER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보다 낮은 온도에서 정착이 가능하므로, 에너지 효율적으로 고속 인쇄를 가능케 하는 가압정착토너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토너는 전자 사진 현상, 정전기적 프린터 또는 복사기 등에 사용되는 것으로, 피전사물에 전사 및 정착되어 원하는 패턴을 형성할 수 있게 하는 도료를 지칭한다. 최근 컴퓨터를 이용한 문서작성 등이 일반화 됨에 따라 프린터와 같은 화상형성장치의 수요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토너의 사용량 또한 크게 증가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이러한 토너를 제조하는 방법으로는 분쇄를 이용한 제조 방법과 중합을 이용한 제조 방법이 있다. 이중, 분쇄를 이용한 제조 방법에 따르면, 용융-혼합 공정을 통해 수지와 안료를 함께 넣고, 용융-혼합 혹은 압출한 후 분쇄하고 분급하여 토너 입자를 제조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에 따라 제조된 토너 입자는 통상 입경의 분포가 넓고 뾰족한 모서리를 가지는 등 매우 불규칙한 형상을 가지기 때문에 대전성이나 흐름성이 좋지 않은 단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중합을 이용한 방법으로 구형의 토너 입자를 제조하는 방법이 제안되어 적용되고 있다. 이러한 중합을 이용한 방법으로는 크게 에멀젼 중합/응집법을 이용한 방법과, 현탁 중합을 이용한 방법이 알려져 있는데, 에멀젼 중합에 의한 방법은 입자의 크기 분포를 제어하기 어렵고 제조된 토너 품질의 재현성에 문제가 있기 때문에, 현탁 중합에 의한 방법이 선호되고 있다.
하지만, 현탁 중합에 의해 형성된 토너는 대체로 100℃를 넘는 온도에서의 고온 정착을 통해 화상을 구현하므로, 에너지 비효율적이며 이를 사용한 고속 인쇄가 어렵게 되는 단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저온 정착이 가능하여, 에너지 효율적인 고속 인쇄를 가능케 하는 가압정착토너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가압정착토너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왁스 및 안료를 포함하는 왁스 혼합물로 이루어진 코어;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 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 메타크릴레이트계 단량체 및 디엔계 단량체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중합성 단량체의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를 포함하여 상기 코어를 둘러싸고 있는 쉘을 포함하고, 전체 토너의 100 중량부에 대해, 상기 코어의 왁스를 약 44 내지 93 중량부의 함량으로 포함하는 가압정착토너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왁스 및 안료를 포함하는 왁스 혼합물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왁스 혼합물을 수계 매질에 액적 형태로 분산시키는 단계; 상기 분산액에,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 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 메타크릴레이트계 단량체 및 디엔계 단량체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중합성 단량체를 가하여 현탁 중합함으로서, 상기 액적 형태로 분산된 왁스 혼합물을 둘러싸는 쉘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상기 가압정착토너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발명의 구체적인 구현예에 따른 가압정착토너 및 이의 제조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라, 왁스 및 안료를 포함하는 왁스 혼합물로 이루어진 코어;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 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 메타크릴레이트계 단량체 및 디엔계 단량체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중합성 단량체의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를 포함하여 상기 코어를 둘러싸고 있는 쉘을 포함하고, 전체 토너의 100 중량부에 대해, 상기 코어의 왁스를 약 44 내지 93 중량부의 함량으로 포함하는 가압정착토너가 제공된다.
이러한 가압정착토너는 왁스 및 안료 등을 포함하는 코어를 소정의 고분자 물질이 둘러싸고 있는 코어-쉘 형태의 토너 입자를 포함하며, 상기 토너 입자 내에서 코어를 이루는 왁스 혼합물, 특히, 왁스를 전체 토너의 100 중량부 중에 약 44 내지 93 중량부에 이르는 높은 함량으로 포함하는 것이다.
이전부터 코어-쉘 형태를 띠는 구형의 토너 입자가 몇 가지 알려진 바 있다. 그러나, 이전에 알려진 토너 입자의 경우, 주로 코어 내에 왁스 등과 함께 바인더 수지가 혼합 또는 분산된 형태로 포함되어 있었으며, 이러한 코어를 소정 고분자 물질이 둘러싸는 형태를 띠고 있었다. 이로 인해, 이전에 알려진 토너 입자에서는 코어 내의 바인더 수지 및 쉘의 고분자 물질 등을 포함한 고분자 성분이 전체 토너의 상당량, 예를 들어, 70 중량% 이상을 점유하고 있었다. 이러한 고분자 성분의 높은 함량으로 인해, 상기 토너 입자는 100℃를 넘는 고온에서 정착 및 화상 구현이 가능하게 되어, 에너지의 소모가 크고 이를 사용한 고속 인쇄가 어렵게 되는 단점이 있었다.
그런데, 본 발명자들의 실험 결과, 후술하는 소정의 제조 방법을 통해, 바인더 수지 또는 이의 형성을 위한 중합성 단량체 등의 혼합 또는 분산 없이 왁스 및 안료 등의 혼합만으로 코어를 형성하고, 소정 고분자 물질이 이러한 코어를 둘러싸고 있는 코어-쉘 형태의 토너 입자가 얻어질 수 있음이 밝혀졌다.
이러한 토너 입자는 바인더 수지와 같은 고분자 성분의 첨가 없이 코어가 얻어지며 소정 고분자 물질의 쉘이 이러한 코어를 둘러싸는 형태를 띠고 있기 때문에, 전체 토너 중에 고분자 성분이 차지하는 함량이 크게 낮아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왁스 및 안료 등이 포함된 왁스 혼합물, 특히, 왁스가 전체 토너의 100 중량부 중에 차지하는 함량이 44 내지 93 중량부로 크게 높아질 수 있다.
후술하는 실시예를 통해서도 뒷받침되는 바와 같이, 이러한 높은 함량으로 왁스를 포함하는 가압정착토너는, 예를 들어, 90℃ 미만의 낮은 정착 온도에서 압력에 의한 정착 및 화상의 구현이 가능해 지므로, 이러한 가압정착토너를 사용하면 보다 높은 에너지 효율로 고속 인쇄가 가능하게 된다.
한편, 이러한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가압정착토너의 구성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가압정착토너는 바인더 수지 등의 고분자 성분의 첨가 없이, 왁스 및 안료 등을 포함하는 왁스 혼합물로 이루어진 코어가 얻어지며, 이러한 코어를 소정 고분자 물질의 쉘이 둘러싸고 있는 형태를 취하고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코어를 이루는 왁스 혼합물, 특히, 왁스의 상당량은 고분자 성분과 혼합되지 않고 독립적으로 코어 내에 분산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즉, 상기 왁스의 일부(예를 들어, 코어와 쉘의 경계부의 왁스 일부)만이 쉘에서 유래한 소정 고분자 물질 등의 고분자 성분과 혼합된 상태로 존재할 수 있으며, 나머지 상당량의 왁스 및 이를 포함하는 왁스 혼합물은 바인더 수지 또는 쉘의 고분자 물질 등 고분자 성분에 분산 또는 혼합되지 않고, 코어 내에 독립적이고 연속적으로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왁스의 약 50 중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약 70 중량%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80 중량% 이상의 상당량은 고분자 성분과 혼합되지 않고 독립적으로 코어 내에 분산된 상태로 존재할 수 있다. 이러한 가압정착토너는 전체 토너 중의 높은 왁스의 함량 및 낮은 고분자 성분의 함량 등으로 인해, 보다 낮은 정착 온도, 예를 들어, 약 90℃ 미만, 바람직하게는 약 80℃ 미만,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70℃ 미만의 정착 온도에서 압력에 의해 정착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에너지 효율적인 고속 인쇄를 가능케 한다.
또한, 상기 가압정착토너에서, 상기 코어를 이루는 왁스 혼합물에는 전체 토너의 100 중량부에 대해 약 44 내지 93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약 60 내지 90 중량부,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70 내지 90 중량부의 왁스가 포함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와 같은 높은 왁스의 함량 등으로 인해 토너의 정착 온도를 크게 낮출 수 있으며, 에너지 효율적인 고속 인쇄가 가능해 진다.
그리고, 상기 왁스로는 이전부터 토너에 사용되던 천연 왁스 또는 합성 왁스 등을 별다른 제한없이 모두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왁스의 예로는 파라핀 왁스, 미정질 왁스(microcrystalline wax), 세레신 왁스, 카르누바 왁스, 에스테르계 왁스, 폴리에틸렌계 왁스 또는 폴리프로필렌계 왁스 등이 있으며, 이들 중에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왁스 혼합물에서, 상기 왁스와 함께 포함되는 안료로는 카본블랙, 아닐린블랙, 옐로우 착색제, 마젠타 착색제 또는 시안 착색제 등에 속하는 다양한 안료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외에도 이전부터 토너에 사용 가능한 것으로 알려진 안료, 염료 또는 착색제를 별다른 제한없이 모두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코어를 이루는 왁스 혼합물에는 상기 왁스 및 안료 이외에도 다양한 첨가제가 포함될 수 있으며, 이러한 첨가제의 예에는 전하 조절제, 가교제, 분자량 조절제 또는 안료 분산제 등이 있다. 상기 왁스 혼합물은 필요에 따라 이들 중에 선택된 첨가제의 1종 또는 2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 중 전하 조절제는 토너 입자의 마찰 대전 전하량을 조절하기 위해 첨가되는 성분으로서, 예를 들어, 니그로신형의 산성 염료, 고지방족의 금속염, 알콕시 아민, 킬레이트, 4차 암모늄염, 알킬아미드, 불소 처리 활성제, 나프탈렌산의 금속염, 산성 유기착물, 염소화된 파라핀, 염소화된 폴리에스테르, 산을 함유한 폴리에스테르, 구리 프탈로시아닌의 설포닐아민 또는 설폰산기를 포함한 스티렌-아크릴계 고분자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외에도 토너에 사용 가능한 것으로 알려진 다양한 전하 조절제를 별다른 제한없이 모두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료 분산제는 상기 코어를 이루는 왁스 혼합물에서 유기 안료의 분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첨가되는 성분으로서, 예를 들어, 한국 특허 공개 제 2005-0098662 호에 개시된 고분자, 보다 구체적으로, 유기 안료와 반응 가능한 작용기를 갖는 고분자를 사용할 수 있다. 이외에도, 안료의 분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다양한 화합물을 상기 안료 분산제로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교제 및 분자량 조절제는 코어를 둘러싸는 쉘의 형성을 보조하기 위해 첨가되는 성분으로서, 토너의 형성 후에도 일부가 코어를 이루는 왁스 혼합물에 잔류할 수 있다. 상기 가교제로는 디비닐벤젠, 에틸렌 디메타크릴레이트, 에틸렌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 디에틸렌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 1,6-헥사메틸렌 디아크릴레이트, 알릴 메타크릴레이트, 1,1,1-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아크릴레이트, 트리알릴아민 또는 테트라알릴옥시에탄을 사용하거나, 이들 중에 선택된 2종 이상을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이외에도 쉘의 형성을 위한 중합성 단량체의 중합 및 가교를 보조하는 다양한 다관능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자량 조절제로는 t-도데실 메르캅탄, n-도데실 메르캅탄, n-옥틸메르캅탄, 사염화탄소 또는 사브롬화탄소 등의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상술한 각 성분, 즉, 왁스 및 안료와 선택적 첨가제들은 토너 입자의 코어를 이루는 안료 혼합물에 포함되는데, 상기 안료 혼합물은 전체 가압정착토너의 100 중량부에 대해 이들 각 성분을 왁스의 약 44 내지 93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약 60 내지 90 중량부,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70 내지 90 중량부와, 안료의 약 2 내지 6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약 3 내지 5 중량부와, 첨가제의 약 0 내지 1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약 3 내지 10 중량부,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3 내지 8 중량부가 되는 함량으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첨가제 중 상기 전하 조절제는 전체 가압정착토너의 100 중량부에 대해 약 0~5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약 1~5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고, 상기 안료 분산제는 약 0~3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약 1~3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으며, 상기 가교제 및 분자량 조절제는 약 0~2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약 0.5~2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코어를 이루는 안료 혼합물이 이러한 함량으로 각 성분을 포함함에 따라, 코어 내에서 상기 안료 혼합물의 분산 안정성이 우수하게 유지될 수 있고, 이를 포함하는 토너의 보다 낮은 온도에서의 정착이 가능해지면서도, 상기 토너의 대전성 등의 특성이 바람직한 범위를 유지할 수 있다.
한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가압정착토너는 상술한 코어를 이루는 왁스 혼합물과 함께, 상기 코어를 둘러싸고 있으며, 소정 고분자 물질을 포함하는 쉘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상기 가압정착토너는 전체 100 중량부에 대해 코어의 약 50 내지 95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약 65 내지 93 중량부,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75 내지 93 중량부와, 쉘의 약 5 내지 5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7 내지 35 중량부, 더욱 바람직하게는 7 내지 25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쉘의 고분자 물질을 전체 토너의 100 중량부에 대해 약 4 내지 5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약 6 내지 35 중량부,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6 내지 25 중량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쉘은 상기 고분자 물질 외에 잔류 단량체 또는 개시제 등의 잔류물을 약 1 중량부 미만, 바람직하게는 약 0.5 중량부 미만,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0.1 중량부 미만으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토너가 코어 및 쉘을 이러한 함량으로 포함함에 따라, 소정 고분자 물질을 주성분으로 포함하는 쉘이 코어를 적절히 감싸 상기 토너가 구형의 안정한 입자 형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또한, 코어를 이루는 왁스 혼합물의 함량, 특히, 왁스의 함량이 높아져 상기 토너가 보다 낮은 온도에서 정착되어 화상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코어 및 쉘을 포함하는 단일 토너 입자의 직경을 d로 가정하였을 때, 상기 쉘은 약 0.05d 내지 0.20d의 두께, 바람직하게는 약 0.05d 내지 0.15d의 두께,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0.07d 내지 0.13d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쉘이 이러한 두께를 가짐에 따라, 상기 쉘이 왁스 혼합물을 포함한 코어를 적절히 감싸 상기 토너가 안정한 입자 형태를 유지할 수 있고, 상기 토너의 낮은 정착 온도가 효과적으로 발현되어 에너지 효율적 인쇄가 가능해 진다.
상기 토너의 쉘에 포함되는 고분자 물질은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 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 메타크릴레이트계 단량체 또는 디엔계 단량체와 같은 소정 중합성 단량체를 중합하여 얻어진 중합체로 되거나, 이들 중 2종 이상을 공중합하여 얻어진 공중합체로 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중합성 단량체의 보다 구체적인 예로는, 스티렌, 모노클로로스티렌, 메틸스티렌, 디메틸스티렌과 같은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 메틸아크릴레이트, 에틸아크릴레이트, 부틸아크릴레이트, 도데실아크릴레이트 또는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와 같은 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에틸 메타크릴레이트, 부틸 메타크릴레이트, 도데실 메타크릴레이트, 2-에틸헥실메타크릴레이트와 같은 메타크릴레이트계 단량체; 또는 부타디엔 또는 이소프렌과 같은 디엔계 단량체가 있다. 이러한 중합성 단량체를 중합 또는 공중합하여 상기 코어를 둘러싸는 쉘을 효과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는 상기 중합성 단량체를 단독으로 중합 또는 공중합하여 얻어진 것으로 될 수도 있지만, 선택적으로 산성 올레핀계 단량체 또는 염기성 단량체를 더 사용해 중합 또는 공중합하여 얻어진 것으로 될 수도 있다. 이때, 산성 올레핀계 단량체로는 α,β-에틸렌 화합물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염기성 올레핀계 단량체로는 아민기 또는 4차 암모늄기를 갖는 지방족 알코올의 메타크릴산 에스테르계 단량체, 메타크릴아미드계 단량체, 비닐아민계 단량체, 디알릴아민계 단량체 또는 이들의 암모늄염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산성 올레핀계 단량체 또는 염기성 올레핀계 단량체는 상술한 중합성 단량체의 100 중량부에 대해 약 30 중량부 이하, 적절하게는 약 1 내지 3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5 내지 25 중량부의 함량으로 사용되어 공중합됨으로서, 상기 쉘의 주성분으로 포함되는 상기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는 개시제의 존재 하에, 상기 중합성 단량체 및 선택적으로 산성 또는 염기성 올레핀계 단량체를 중합 또는 공중합시켜 형성된 것으로 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개시제로는 통상적인 라디칼 개시제, 예를 들어, 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아조비스발레로니트릴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고, 이외에도 다양한 라디칼 개시제를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개시제는 상기 중합성 단량체의 100 중량부에 대해 약 1 내지 5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2 내지 4 중량부의 함량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개시제를 사용해 상기 중합성 단량체 등이 중합되어 상술한 코어를 둘러싸고 있는 쉘을 적절히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는 선택적으로 분자량 조절제 또는 가교제나 이들의 혼합물의 존재 하에, 상기 중합성 단량체 등을 중합 또는 공중합시켜 형성된 것으로 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가교제 및 분자량 조절제로는 상기 코어에 대해 설명한 가교제 및 분자량 조절제를 마찬가지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교제는 상기 중합성 단량체의 100 중량부에 대해 약 0.1 내지 2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1.5 중량부의 함량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분자량 조절제는 상기 중합성 단량체의 100 중량부에 대해 약 1 내지 5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약 2 내지 4 중량부의 함량으로 사용될 수 있다.
상술한 각 성분을 소정 조성으로 포함하는 가압정착토너는 코어 내에 바인더 수지 등이 포함되지 않고 상기 코어가 왁스 및 안료 등을 포함한 왁스 혼합물로 이루어지면서도, 소정 고분자 물질의 쉘이 이러한 코어를 적절히 둘러싸 구형의 토너 입자를 이루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코어-쉘 형태에 따라 상기 가압정착토너는 전체 토너에서 고분자 성분의 함량이 낮으며 상대적으로 왁스의 함량이 높다. 이에 따라, 상기 가압정착토너는 보다 낮은 온도에서의 정착 및 화상 구현을 가능케 하며, 에너지 효율적인 고속 인쇄를 가능케 한다.
한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따라 상술한 가압정착토너의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이러한 가압정착토너의 제조 방법은 왁스 및 안료를 포함하는 왁스 혼합물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왁스 혼합물을 수계 매질에 액적 형태로 분산시키는 단계; 상기 분산액에,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 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 메타크릴레이트계 단량체 및 디엔계 단량체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중합성 단량체를 가하여 현탁 중합함으로서, 상기 액적 형태로 분산된 왁스 혼합물을 둘러싸는 쉘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제조 방법에 따르면, 왁스 및 안료를 포함하는 왁스 혼합물을 수계 매질에 가하여 미세 액적 형태로 분산시킨 후, 이러한 분산액에 소정의 중합성 단량체 등을 가하여 현탁 중합을 진행한다. 이러한 중합을 진행하면, 상기 미세 액적 형태의 왁스 혼합물, 즉, 코어 상에서 중합이 일어나 이러한 코어를 둘러싸는 쉘이 형성되며, 그 결과 상술한 가압정착토너가 제조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자들의 실험 결과, 왁스 혼합물에 바인더 수지 또는 이의 형성을 위한 중합성 단량체를 혼합 또는 분산시키지 않고, 상기 왁스, 안료 및 선택적 첨가제만을 포함하는 왁스 혼합물을 미세 액적 형태로 분산시킨 후, 중합을 통해 소정 고분자 물질의 쉘을 형성하더라도, 상기 쉘이 왁스 혼합물(코어)을 양호하게 둘러싸고 있는 구형의 토너 입자가 형성될 수 있음이 밝혀졌다. 이에 따라, 상기 코어 내에 포함되는 바인더 수지 등 고분자 성분의 함량을 크게 줄이고 왁스의 함량을 증가시킨 상태로, 상기 토너를 양호하게 형성할 수 있으며, 이러한 토너는 낮은 고분자 성분의 함량 및 높은 왁스의 함량 등으로 인해 보다 낮은 온도에서의 정착 및 화상 구현을 가능케 한다.
상기 가압정착토너의 제조 방법을 각 단계별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위 제조 방법에서는 먼저, 왁스, 안료 및 선택적 첨가제를 포함하는 왁스 혼합물을 형성하고, 이러한 왁스 혼합물을 수계 매질에 가한다. 이때, 왁스 혼합물의 분산을 위한 수계 매질은 물에 분산안정제를 용해시켜 얻을 수 있으며, 이로서 상기 왁스 혼합물을 수계 매질 내에서 안정한 분산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다. 상기 분산안정제로는 인산칼슘, 실리카/폴리비닐피롤리돈 복합체, 마그네슘하이드록사이드 또는 하이드록시아파타이트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분산안정제는 상기 물의 100 중량부에 대해 약 1 내지 1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2 내지 8 중량부, 더욱 바람직하게는 3 내지 7 중량부로 사용됨이 바람직하다. 이로서, 상기 수계 매질 내에서 상기 왁스 혼합물이 안정한 분산 상태를 유지하게 할 수 있으면서도, 추후 분산안정제를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왁스 혼합물에 선택적으로 추가될 수 있는 선택적 첨가제의 종류 및 왁스 혼합물의 전체적인 조성은 이미 상술한 바와 같으며, 이러한 조성에 따라 각 성분을 혼합하여 상기 왁스 혼합물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왁스 혼합물을 수계 매질 내에 가한 후에는, 이러한 수계 매질 내의 왁스 혼합물을 미세 액적 형태로 균일하게 분산시키며, 이러한 미세 액적 형태의 왁스 혼합물이 최종 제조된 토너에서 코어를 이루게 된다. 이때, 상기 미세 액적 형태로의 분산을 위해, 상기 왁스 혼합물과 수계 매질의 혼합액에 호모게나이저를 적용하여 전단력을 가하여 균질화하는 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혼합액을 호모게나이저로 약 10000~20000rpm, 바람직하게는 약 10000~17000rpm,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12000~16000rpm의 속도 하에 균질화함으로서, 상기 왁스 혼합물을 상기 수계 매질 내에서 미세 액적 형태로 분산시킬 수 있다.
이후, 상기 분산액에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 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 메타크릴레이트계 단량체 또는 디엔계 단량체와 같은 소정의 중합성 단량체와 함께, 선택적으로 개시제, 가교제, 분자량 조절제, 산성 또는 염기성의 올레핀계 단량체 등을 가하여 현탁 중합을 진행한다. 이때, 사용 가능한 개시제, 가교제, 분자량 조절제, 산성 또는 염기성의 올레핀계 단량체 등의 종류 또는 사용량은 이미 상술한 바와 같다.
이러한 현탁 중합을 진행하면, 상기 중합성 단량체 등이 미세 액적 형태로 분산된 왁스 혼합물을 둘러싸면서 중합이 진행되어 소정의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가 형성된다. 이러한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의 형성으로 인해, 이를 주성분으로 포함하는 쉘이 형성되며, 그 결과 코어-쉘 형태의 토너 입자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쉘의 형성 공정에서, 상기 현탁 중합은, 예를 들어, 약 50 내지 80℃, 바람직하게는 약 60 내지 75℃의 온도에서 약 1 내지 20 시간, 바람직하게는 약 5 내지 18 시간 동안 진행할 수 있으며, 이로서 상기 중합체 및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쉘을 적절히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현탁 중합을 통해 코어-쉘 형태의 토너 입자를 형성한 후에는, 토너 입자를 세척하여 분산안정제를 제거하는 단계와, 상기 토너 입자를 건조하는 단계를 더 진행할 수 있으며, 그 결과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가압정착토너가 제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분산안정제, 예를 들어, 인산칼슘 등을 제거하는 단계는, 토너 입자가 형성된 수계 분산액에 산을 첨가하여 pH 2 미만으로 조정함으로서, 상기 분산안정제를 수용액 상으로 용해시켜 토너 입자로부터 이탈시키는 방법으로 진행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으로, 분산안정제를 제거한 후, 필터 장치를 통해 수분을 제거하고, 다시 과량의 증류수를 첨가해 희석하고 수분을 제거하는 단계를 수회에 걸쳐 반복할 수 있다.
그리고 나서, 토너 케익을 진공 오븐에 넣고 상온에서 진공 건조하는 방법으로 상기 가압정착토너를 제조할 수 있다.
부가하여, 필요에 따라서는, 별도의 외첨제, 예를 들어, 실리카 등을 토너 표면에 코팅할 수도 있으며, 이러한 외첨제의 코팅 단계는 헨쉘 믹서를 사용해 상기 토너 입자에 외첨제를 첨가한 후, 고속 교반하는 방법으로 진행할 수 있다.
상술한 방법을 통해, 바인더 수지가 포함되지 않고 높은 함량의 왁스, 안료 및 선택적 첨가제를 포함한 왁스 혼합물 코어와, 이러한 코어를 둘러싸고 있는 소정의 고분자 물질의 쉘을 포함하는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가압정착토너가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보다 낮은 정착 온도에서 압력에 의한 정착 및 화상 구현이 가능한 가압정착토너 및 이의 제조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가압정착토너를 사용하여, 에너지 효율적인 고속 인쇄가 가능하게 된다.
이하,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해, 발명의 작용 및 효과를 보다 상술하기로 한다. 다만, 이러한 실시예는 발명의 예시로 제시된 것에 불과하며, 이에 의해 발명의 권리범위가 정해지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토너의 제조)
이온교환수 400 중량부에 분산안정제로서 인산칼슘을 5중량부를 첨가한 후, 상온에서 10분 교반하고 70℃로 승온하고 나서 다시 20분간 교반하여 수계 분산액을 준비하였다.
파라핀계 왁스 82중량부를 물 중탕으로 70℃로 온도를 높인 후, 안료 4중량부와 설폰산기를 포함하는 스티렌-아크릴계 고분자 전하조절제 4중량부를 첨가하고 고속으로 교반하여 왁스 혼합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왁스 혼합물을 상기 수계 분산액에 가하고, 호모게나이저를 이용해 13000rpm의 속도로 균질화하여 수계 분산액 내에 미세한 액적 형태로 왁스 혼합물을 분산시켰다. 이후, 패들 형식의 교반기로 200rpm로 교반하면서 스티렌 7.5중량부, n-부틸아크릴레이트 2.5중량부 및 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0.3 중량부를 혼합하고, 반응기에 천천히 첨가하여 미세한 액적 형태로 분산된 왁스 혼합물을 둘러싸도록 중합을 진행시켰다. 이러한 중합을 15시간 동안 진행하여 상기 미세한 액적 형태의 왁스 혼합물(코어)을 소정 고분자 물질의 쉘이 둘러싸고 있는 코어-쉘 형태의 토너 입자를 형성하였다.
(분산안정제 제거 및 건조)
상기에서 제조된 토너 입자를 포함하는 용액에서 인산칼슘을 적당한 방법으로 토너로부터 이탈시켰다. 보다 구체적으로, 토너 입자 및 인산칼슘을 함유한 수계 분산액에 산을 첨가하여 pH를 2 미만으로 조정함으로서 인산칼슘을 수용액상에 용해시켰다. 필터 장치를 사용하여 수분을 제거한 후, 다시 토너 고형분 100 중량 부 대비 1000 배의 증류수를 첨가하여 희석하고 재교반하고 수분을 제거하는 과정을 5회 반복하였다. 최종적으로 필터링을 통해 수분을 제거한 후, 토너 케익을 진공 오븐에 넣고 상온에서 진공 건조하여 토너를 제조하였다.
(외첨제 코팅)
헨쉘 믹서를 사용하여 토너 100중량부에 대하여 실리카 2중량부를 첨가한 후 5000rpm의 속도로 7분 동안 고속 교반하여, 실리카의 외첨제를 토너 입자 표면에 코팅하였다. 이로부터 실시예 1의 가압정착토너를 제조하였다.
이렇게 제조된 토너 중의 토너 입자의 체적평균입경은 7마이크론이고 체적평균입경과 개수평균입경의 비는 1.26이었다. 또한, 실시예 1의 토너는 전체 100 중량부에 대해, 코어를 이루는 왁스 혼합물 및 고분자 물질을 포함하는 쉘을 각각 90 중량부 및 10 중량부로 포함하고 있고, 상기 왁스 혼합물 중에 왁스, 안료 및 전하 조절제를 각각 82 중량부, 4 중량부 및 4 중량부로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쉘 중에 고분자 물질 및 기타 잔류물(잔류 단량체 또는 개시제 등)을 각각 9.9 중량부 및 0.1 중량부로 포함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실시예 2]
왁스의 사용량을 72 중량부로 하고, 쉘의 형성을 위해 스티렌 15중량부, n-부틸아크릴레이트 5중량부 및 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0.7 중량부를 사용한 것 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예 2의 가압정착토너를 제조하였다. 이러한 가압정착토너에 포함된 토너 입자에 대해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조성을 확인한 결과, 실시예 2의 토너는 전체 100 중량부에 대해, 코어를 이루는 왁스 혼합물 및 고분자 물질을 포함하는 쉘을 각각 80 중량부 및 20 중량부로 포함하고 있고, 상기 왁스 혼합물 중에 왁스, 안료 및 전하 조절제를 각각 72 중량부, 4 중량부 및 4 중량부로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쉘 중에 고분자 물질 및 기타 잔류물(잔류 단량체 또는 개시제 등)을 각각 19.7 중량부 및 0.3 중량부로 포함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실시예 3]
왁스의 사용량을 62 중량부로 하고, 쉘의 형성을 위해 스티렌 22.5중량부, n-부틸아크릴레이트 7.5중량부 및 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1 중량부를 사용한 것 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예 3의 가압정착토너를 제조하였다. 이러한 가압정착토너에 포함된 토너 입자에 대해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조성을 확인한 결과, 실시예 3의 토너는 전체 100 중량부에 대해, 코어를 이루는 왁스 혼합물 및 고분자 물질을 포함하는 쉘을 각각 70 중량부 및 30 중량부로 포함하고 있고, 상기 왁스 혼합물 중에 왁스, 안료 및 전하 조절제를 각각 62 중량부, 4 중량부 및 4 중량부로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쉘 중에 고분자 물질 및 기타 잔류물(잔류 단량체 또는 개시제 등)을 각각 29.5 중량부 및 0.5 중량부로 포함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실시예 4]
왁스의 사용량을 52 중량부로 하고, 쉘의 형성을 위해 스티렌 30중량부, n-부틸아크릴레이트 10중량부 및 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1.8 중량부를 사용한 것 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예 4의 가압정착토너를 제조하였다. 이러한 가압정착토너에 포함된 토너 입자에 대해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조성을 확인한 결과, 실시예 4의 토너는 전체 100 중량부에 대해, 코어를 이루는 왁스 혼합물 및 고분자 물질을 포함하는 쉘을 각각 60 중량부 및 40 중량부로 포함하고 있고, 상기 왁스 혼합물 중에 왁스, 안료 및 전하 조절제를 각각 52 중량부, 4 중량부 및 4 중량부로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쉘 중에 고분자 물질 및 기타 잔류물(잔류 단량체 또는 개시제 등)을 각각 39.2 중량부 및 0.8 중량부로 포함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실시예 5]
왁스의 사용량을 44 중량부로 하고, 안료 및 전하 조절제의 사용량을 각각 3 중량부로 하고, 쉘의 형성을 위해 스티렌 37.5중량부, n-부틸아크릴레이트 12.5중량부 및 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2.5 중량부를 사용한 것 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예 5의 가압정착토너를 제조하였다. 이러한 가압정착토너에 포함된 토너 입자에 대해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조성을 확인한 결과, 실시예 5의 토너는 전체 100 중량부에 대해, 코어를 이루는 왁스 혼합물 및 고분자 물질을 포함하는 쉘을 각각 50 중량부 및 50 중량부로 포함하고 있고, 상기 왁스 혼합물 중에 왁스, 안료 및 전하 조절제를 각각 44 중량부, 3 중량부 및 3 중량부로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쉘 중에 고분자 물질 및 기타 잔류물(잔류 단량체 또는 개시제 등)을 각각 49.1 중량부 및 0.9 중량부로 포함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참고예 1]
왁스의 사용량을 32중량부로 하고, 쉘의 형성을 위해 스티렌 45중량부, n-부틸아크릴레이트 15중량부 및 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2중량부를 사용한 것 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참고예 1의 가압정착토너를 제조하였다. 이러한 가압정착토너에 포함된 토너 입자에 대해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조성을 확인한 결과, 참고예 1의 토너는 전체 100 중량부에 대해, 코어를 이루는 왁스 혼합물 및 고분자 물질을 포함하는 쉘을 각각 40 중량부 및 60 중량부로 포함하고 있고, 상기 왁스 혼합물 중에 왁스, 안료 및 전하 조절제를 각각 32 중량부, 4 중량부 및 4 중량부로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쉘 중에 고분자 물질 및 기타 잔류물(잔류 단량체 또는 개시제 등)을 각각 59.3 중량부 및 0.7 중량부로 포함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참고예 2]
왁스의 사용량을 40중량부로 하고, 안료 및 전하 조절제의 사용량을 각각 5 중량부로 하고, 쉘의 형성을 위해 스티렌 37.5중량부, n-부틸아크릴레이트 12.5중량부 및 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2.5 중량부를 사용한 것 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참고예 2의 가압정착토너를 제조하였다. 이러한 가압정착토너에 포함된 토너 입자에 대해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조성을 확인한 결과, 참고예 2의 토너는 전체 100 중량부에 대해, 코어를 이루는 왁스 혼합물 및 고분자 물질을 포함하는 쉘을 각각 50 중량부 및 50 중량부로 포함하고 있고, 상기 왁스 혼합물 중에 왁스, 안료 및 전하 조절제를 각각 40 중량부, 5 중량부 및 5 중량부로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쉘 중에 고분자 물질 및 기타 잔류물(잔류 단량체 또는 개시제 등)을 각각 49.2 중량부 및 0.8 중량부로 포함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참고예 3]
왁스의 사용량을 22중량부로 하고, 쉘의 형성을 위해 스티렌 52.5중량부, n-부틸아크릴레이트 17.5중량부 및 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3 중량부를 사용한 것 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참고예 3의 가압정착토너를 제조하였다. 이러한 가압정착토너에 포함된 토너 입자에 대해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조성을 확인한 결과, 참고예 1의 토너는 전체 100 중량부에 대해, 코어를 이루는 왁스 혼합물 및 고분자 물질을 포함하는 쉘을 각각 30 중량부 및 70 중량부로 포함하고 있고, 상기 왁스 혼합물 중에 왁스, 안료 및 전하 조절제를 각각 22 중량부, 4 중량부 및 4 중량부로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쉘 중에 고분자 물질 및 기타 잔류물(잔류 단량체 또는 개시제 등)을 각각 68.4 중량부 및 1.6 중량부로 포함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실험예]
(토너의 정착온도)
HP2600프린터의 정착롤의 온도를 달리하여 종이에 토너를 인쇄한 후, 인쇄한 위를 휜 종이로 1Kg의 압력으로 누르고 위 아래로 비볐을 때 종이에 토너가 묻어 나지 않는 최저 온도를 정착온도라고 하였다. 이러한 방법으로 상기 실시예 및 참고예의 토너의 정착 온도를 측정해 하기 표 1에 정리하였다.
왁스혼합물/쉘 중량비 왁스(중량부) 안료(중량부) 전하 조절제
(중량부)
정착 온도(℃)
실시예 1 90/10 82 4 4 50
실시예 2 80/20 72 4 4 55
실시예 3 70/30 62 4 4 67
실시예 4 60/40 52 4 4 84
실시예 5 50/50 44 3 3 89
참고예 1 40/60 32 4 4 130
참고예 2 50/50 40 5 5 115
참고예 3 30/70 22 4 4 138
상기 표 1을 참조하면, 전체 토너의 100 중량부에 대해 44 내지 82 중량부의 높은 함량으로 왁스를 포함하는 실시예 1 내지 5의 토너는 90℃ 이하의 낮은 정착 온도를 나타냄이 확인된다. 특히, 왁스의 함량이 60 중량부를 넘는 실시예 1 내지 3의 토너는 정착 온도가 70℃ 미만으로 크게 낮아짐이 확인된다.
이에 비해, 참고예 1 내지 3의 토너는 최소 110℃를 넘는 높은 정착 온도를 나타내어 에너지 비효율적이고 고속 인쇄가 어려움이 확인된다.

Claims (22)

  1. 왁스 및 안료를 포함하는 왁스 혼합물로 이루어진 코어;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 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 메타크릴레이트계 단량체 및 디엔계 단량체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중합성 단량체의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를 포함하여 상기 코어를 둘러싸고 있는 쉘을 포함하고,
    전체 토너의 100 중량부에 대해, 상기 코어의 왁스를 44 내지 93 중량부의 함량으로 포함하는 가압정착토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왁스의 50 중량% 이상은 고분자 성분과 혼합되지 않고, 독립적으로 코어 내에 분산된 상태로 존재하는 가압정착토너.
  3. 제 1 항에 있어서, 전체 토너의 100 중량부에 대해, 상기 코어의 왁스를 60 내지 90 중량부의 함량으로 포함하는 가압정착토너.
  4. 제 1 항에 있어서, 90℃ 미만의 정착 온도를 나타내는 가압정착토너.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 및 쉘을 포함하는 단일 토너 입자의 직경 d에 대하여, 상기 쉘은 0.05d 내지 0.20d의 두께를 갖는 가압정착토너.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쉘의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는 전체 토너의 100 중량부에 대해 4 내지 50 중량부의 함량으로 포함되는 가압정착토너.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왁스는 파라핀 왁스, 미정질 왁스(microcrystalline wax), 세레신 왁스, 카르누바 왁스, 에스테르계 왁스, 폴리에틸렌계 왁스 및 폴리프로필렌계 왁스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토너용 왁스를 포함하는 가압정착토너.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료는 카본블랙, 아닐린블랙, 옐로우 착색제, 마젠타 착색제 및 시안 착색제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토너용 안료를 포함하는 가압정착토너.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왁스 혼합물은 전하 조절제, 가교제, 분자량 조절제 및 안료 분산제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첨가제를 더 포함하는 가압정착토너.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전하 조절제는 니그로신형의 산성 염료, 고지방족의 금속염, 알콕시 아민, 킬레이트, 4차 암모늄염, 알킬아미드, 불소 처리 활성제, 나프탈렌산의 금속염, 산성 유기착물, 염소화된 파라핀, 염소화된 폴리에스테르, 산을 함유한 폴리에스테르, 구리 프탈로시아닌의 설포닐아민 및 설폰산기를 포함한 스티렌-아크릴계 고분자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마찰 대전 전하량 조절제를 포함하는 가압정착토너.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왁스 혼합물은 전체 토너의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왁스 44~93중량부와, 안료 2~6중량부와, 첨가제 0~10중량부를 포함하는 가압정착토너.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는 상기 중합성 단량체의 100 중량부에 대해 1 내지 5 중량부의 개시제의 존재 하에, 상기 중합성 단량체를 중합시켜 얻어진 것인 가압정착토너.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개시제는 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아조비스발레로니트릴 또는 이들의 혼합물의 라디칼 개시제를 포함하는 가압정착토너.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는 상기 중합성 단량체의 100 중량부에 대해 1 내지 5 중량부의 분자량 조절제, 0.1 내지 2 중량부의 가교제 또는 이들의 혼합물의 존재 하에, 상기 중합성 단량체를 중합시켜 얻어진 것인 가압정착토너.
  15. 제 9 항 또는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가교제는 디비닐벤젠, 에틸렌 디메타크릴레이트, 에틸렌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 디에틸렌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 1,6-헥사메틸렌 디아크릴레이트, 알릴 메타크릴레이트, 1,1,1-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아크릴레이트, 트리알릴아민 및 테트라알릴옥시에탄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다관능 화합물을 포함하고,
    상기 분자량 조절제는 t-도데실 메르캅탄, n-도데실 메르캅탄, n-옥틸메르캅탄, 사염화탄소 및 사브롬화탄소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가압정착토너.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는 상기 중합성 단량체의 100 중량부에 대해 1 내지 30 중량부의 산성 올레핀계 단량체 또는 염기성 올레핀계 단량체를 더 사용해 중합시켜 얻어진 것인 가압정착토너.
  17. 왁스 및 안료를 포함하는 왁스 혼합물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왁스 혼합물을 수계 매질에 액적 형태로 분산시키는 단계;
    상기 분산액에,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 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 메타크릴레이트계 단량체 및 디엔계 단량체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중합성 단량체를 가하여 현탁 중합함으로서, 상기 액적 형태로 분산된 왁스 혼합물을 둘러싸는 쉘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 1 항 내지 제 16 항 중 어느 한 항의 가압정착토너의 제조 방법.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수계 매질은 물에 분산안정제를 용해시켜 형성된 것인 가압정착토너의 제조 방법.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분산안정제는 인산칼슘, 실리카/폴리비닐피롤리돈 복합체, 마그네슘하이드록사이드 또는 하이드록시아파타이트를 포함하는 가압정착토너의 제조 방법.
  20.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분산안정제는 상기 물의 100 중량부에 대해 1 내지 10 중량부로 사용되는 가압정착토너의 제조 방법.
  21.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왁스 혼합물을 액적 형태로 분산시키는 단계는, 상기 왁스 혼합물 및 수계 매질을 혼합하는 단계와, 상기 혼합액을 호모게나이저로 10000~20000rpm의 속도 하에 균질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가압정착토너의 제조 방법.
  22.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쉘의 형성 단계 후에, 토너 입자를 세척하여 분산안정제를 제거하는 단계와, 상기 토너 입자를 건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가압정착토너의 제조 방법.
KR1020100057101A 2009-06-19 2010-06-16 가압정착토너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15450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4785 2009-06-19
KR20090054785 2009-06-1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6925A true KR20100136925A (ko) 2010-12-29
KR101154503B1 KR101154503B1 (ko) 2012-06-13

Family

ID=433569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57101A KR101154503B1 (ko) 2009-06-19 2010-06-16 가압정착토너 및 이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120100476A1 (ko)
KR (1) KR101154503B1 (ko)
CN (1) CN102804078A (ko)
WO (1) WO2010147385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18132A (ko) * 2015-04-01 2016-10-11 제록스 코포레이션 폴리에스테르 쉘을 가지는 폴리에스테르 및 스티렌 아크릴레이트 고분자 모두를 포함하는 토너 입자들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063901B2 (ja) * 2013-08-01 2017-01-18 花王株式会社 静電荷像現像用トナー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571515B1 (fr) * 1984-10-08 1992-05-22 Canon Kk Poudre pigmentaire enrobee pour le developpement d'images electrostatiques et son procede de production
JP3496653B2 (ja) * 2001-04-19 2004-02-16 東洋インキ製造株式会社 静電荷像現像用トナー、トナー用荷電制御剤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0508138B1 (ko) * 2003-02-18 2005-08-10 주식회사 엘지화학 고해상도 토너
JP3747928B2 (ja) * 2003-09-22 2006-02-22 コニカミノルタビジネステクノロジーズ株式会社 静電荷像現像用トナー
KR100577707B1 (ko) * 2004-04-19 2006-05-10 삼성전자주식회사 왁스 및 착색제를 포함하는 고분자 라텍스의 제조 방법
JP2006178093A (ja) * 2004-12-21 2006-07-06 Kyocera Mita Corp 電子写真用トナー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8053156B2 (en) * 2005-06-30 2011-11-08 Canon Kabushiki Kaisha Toner, and toner production process
KR20080049391A (ko) * 2006-11-30 2008-06-04 주식회사 엘지화학 코어-쉘 구조의 중합 토너
KR20080055534A (ko) * 2006-12-15 2008-06-19 주식회사 엘지화학 고대전성 토너 및 그 제조방법
KR101065196B1 (ko) * 2006-12-29 2011-09-19 주식회사 엘지화학 대전성이 우수한 토너
KR100833920B1 (ko) * 2007-02-23 2008-05-30 삼성정밀화학 주식회사 코어-쉘 구조를 갖는 토너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제조된 토너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18132A (ko) * 2015-04-01 2016-10-11 제록스 코포레이션 폴리에스테르 쉘을 가지는 폴리에스테르 및 스티렌 아크릴레이트 고분자 모두를 포함하는 토너 입자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804078A (zh) 2012-11-28
US20120100476A1 (en) 2012-04-26
WO2010147385A2 (ko) 2010-12-23
KR101154503B1 (ko) 2012-06-13
WO2010147385A3 (ko) 2011-03-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67145B1 (ko) 고대전성 및 우수한 대전안정성을 갖는 중합토너 및 이의 제조방법
US8053157B2 (en) Method for manufacturing a toner having good charging characteristics
KR20110010581A (ko) 중합 토너의 제조 방법
KR101154503B1 (ko) 가압정착토너 및 이의 제조 방법
US8216761B2 (en) Method of producing polymerized toner
KR100995612B1 (ko) 중합토너의 제조 방법
KR100841967B1 (ko) 고대전성 및 우수한 대전안정성을 갖는 중합토너
WO2004090644A1 (en) Toner having bi-layer or triple-layer
US8530128B2 (en) Polymerized tone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KR101243708B1 (ko) 중합토너 및 그의 제조 방법
WO2008094003A1 (en) Black polymerized toner having core-shell structure
KR20110015928A (ko) 마젠타 중합토너
KR101184969B1 (ko) 중합토너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156609B1 (ko) 중합토너 제조방법
KR101255627B1 (ko) 중합토너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1048327B1 (ko) 중합토너의 제조 방법
KR20220089375A (ko) 중합 토너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048325B1 (ko) 중합토너의 제조 방법
KR101231712B1 (ko) 중합토너의 제조 방법
KR101068620B1 (ko) 입도분포가 균일한 토너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토너
WO2008072919A1 (en) Coating method of toner for realizing high resolution
CN112835278A (zh) 一种彩色聚合墨粉的制备方法
CN109643075A (zh) 黄色调色剂
KR20110016240A (ko) 마젠타 중합토너
KR20140115634A (ko) 중합 토너의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1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