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34503A - 필기구의 클립부착구조 - Google Patents
필기구의 클립부착구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00134503A KR20100134503A KR1020100049520A KR20100049520A KR20100134503A KR 20100134503 A KR20100134503 A KR 20100134503A KR 1020100049520 A KR1020100049520 A KR 1020100049520A KR 20100049520 A KR20100049520 A KR 20100049520A KR 20100134503 A KR20100134503 A KR 2010013450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lip
- coil spring
- enclosing
- clip attaching
- enclosur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5/00—Attaching writing implements to wearing apparel or objects involving constructional changes of the implements
- B43K25/02—Clip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3/00—Holders or connectors for writing implements; Means for protecting the writing-points
- B43K23/08—Protecting means, e.g. cap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5/00—Attaching writing implements to wearing apparel or objects involving constructional changes of the implements
Landscapes
- Clips For Writing Implements (AREA)
- Clamps And Clips (AREA)
- Mechanical Pencils And Projecting And Retracting Systems Therefor, And Multi-System Writing Instruments (AREA)
Abstract
코일스프링의 탈락을 보다 확실하게 막을 수가 있고, 또 볼품을 좋게 할 수 있는 클립부착구조를 제공하기 위한 발명으로서,
클립부재와 클립 피부착부재인 뒷마개(20) 사이에 양자를 반대쪽으로 떨어는 방향으로 밀어붙이는 코일스프링이 끼워져 있다. 뒷마개(20)의 본체(20a)의 외면에는, 클립부재를 향해 포위부(20c)가 연장하여 설치되어 있고, 포위부(20c)는, 코일스프링의 중심축을 따라 나란히 배열된 제1 포위부(20m)와 제2 포위부(20n)을 갖추되, 제1 포위부(20m)는, 코일스프링의 단부의 한쪽 측을 포위함과 더불어 나머지 부분을 개방하고, 제2 포위부(20n)는, 코일스프링의 단부의 한쪽 측과 대향하는 다른쪽 편을 포위함과 더불어 나머지 부분을 개방하고, 제1 포위부(20m)와 제2 포위부(20n)에 의해 코일스프링의 단부의 전체 주위를 포위한다.
클립부재와 클립 피부착부재인 뒷마개(20) 사이에 양자를 반대쪽으로 떨어는 방향으로 밀어붙이는 코일스프링이 끼워져 있다. 뒷마개(20)의 본체(20a)의 외면에는, 클립부재를 향해 포위부(20c)가 연장하여 설치되어 있고, 포위부(20c)는, 코일스프링의 중심축을 따라 나란히 배열된 제1 포위부(20m)와 제2 포위부(20n)을 갖추되, 제1 포위부(20m)는, 코일스프링의 단부의 한쪽 측을 포위함과 더불어 나머지 부분을 개방하고, 제2 포위부(20n)는, 코일스프링의 단부의 한쪽 측과 대향하는 다른쪽 편을 포위함과 더불어 나머지 부분을 개방하고, 제1 포위부(20m)와 제2 포위부(20n)에 의해 코일스프링의 단부의 전체 주위를 포위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클립 피부착부재와 클립부재를 구비하고서, 클립부재가 클립 피부착부재에 대해 요동할 수 있게 연결되는 필기구의 클립부착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이런 종류의 클립부착구조로는 여러 가지 구조로 된 것이 알려져 있는바, 그중에는 클립부재와 클립 피부착부재 사이에 양자를 반대쪽으로 떨어는 방향으로 밀어붙이기 위한 코일스프링이 끼워진 것도 많이 알려져 있다. 예컨대, 특허문헌 1에 기재된 것은, 외통의 후단부가 어느 정도 두꺼운 부분으로 되어 있어서, 이 두꺼운 부분에 형성된 종방향 구멍에 클립부재의 후단부의 각부(脚部)가 이탈하지 않도록 장착되어 있고, 각부와 종방향 구멍 바닥부 사이에 코일스프링이 개재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1의 구성에서는, 필기구의 후단부에 클립부재를 위한 두꺼운 부분을 형성시켜야만 해서, 필기구의 내부 공간의 이용이 제약된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그 때문에, 본 출원인은, 특허문헌 2에 기재된 것과 같은, 필기구의 내부의 공간을 점령하지 않고, 크립부재 및 그를 위한 코일스프링을 부착시킬 수 있는 클립부착구조를 제안한바 있다. 이 클립부착구조는, 클립부재와 클립 피부착부재 사이에 양자를 반대쪽으로 떨어는 방향으로 밀어붙이는 코일스프링이 끼워져 있고, 코일스프링의 일단에는, 클립 피부착부재의 외면에 형성된 돌기가 삽입되고, 코일스프링의 타단은 클립부재의 클립 피부착부재 측을 향한 면에 형성된 오목부에 삽입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은, 특허문헌 2에 기재된 클립부착구조를 개량하여, 코일스프링의 탈락을 보다 더 확실하게 막을 수가 있고, 또 보기에도 좋도록 할 수 있는 클립부착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 중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은, 클립 피부착부재와 클립부재를 갖추되, 클립부재가 클립 피부착부재에 대해 요동할 수 있게 연결되는 필기구의 클립부착구조에서,
클립부재와 클립 피부착부재 사이에는 양자를 반대쪽으로 떨어지는 방향으로 밀어붙이는 코일스프링이 끼워져 있고, 클립부재 또는 클립 피부착부재의 적어도 한쪽 면에는, 어느 다른쪽을 향해 포위부가 연장되어 설치되어 있고, 당해 포위부는, 코일스프링의 중심축을 따라 나란히 배열된 제1 포위부와 제2 포위부를 구비하되, 제1 포위부는, 코일스프링의 단부의 일부 주위를 포위함과 더불어 나머지 주위 부분을 개방하고, 제2 포위부는, 코일스프링의 단부의 적어도 별개의 일부 주위를 포위함과 더불어 나머지 주위 부분을 개방하도록 되어 있고, 제1 포위부와 제2 포위부에 의해 코일스프링의 단부의 전체 주위를 포위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에 기재된 것에서, 상기 코일스프링의 단부의 주위 부분을 개방하는 상기 제1 포위부와 상기 제2 포위부의 각 개방된 부분이, 코일스프링의 중심축에 대해 상호 대향하는 측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2에 기재된 것에서, 상기 클립 피부착부재와 상기 클립부재의 어느 한쪽에 형성된 1쌍의 축부가 어느 다른쪽에 형성된 1쌍의 받침구멍에 각각 삽입되어 클립 피부착부재와 클립부재가 요동할 수 있게 연결되고, 상기 제1 포위부와 상기 제2 포위부의 각각의 개방된 부분의 방향은, 상기 1쌍의 축부의 돌출 방향 또는 1쌍의 받침구멍의 구멍 축 방향에 일치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3에 기재된 것에서, 상기 포위부는, 상기 축부 또는 상기 받침구멍이 형성된 연결부에 연속해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 내지 4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것에서, 상기 클립부재 또는 상기 클립 피부착부재의 어느 다른쪽에는, 코일스프링의 다른쪽 단부를 포위하는 환상 립(rib)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포위부가 코일스프링의 중심축을 따라 나란히 배열된 제1 포위부와 제2 포위부를 구비하되, 제1 포위부는, 코일스프링의 단부의 일부 주위를 포위함과 더불어 나머지 부분을 개방하고, 제2 포위부는, 코일스프링의 단부의 적어도 별개의 일부 주위를 포위함과 더불어 나머지 부분을 개방하도록 되어 있고, 제1 포위부와 제2 포위부에 의해 코일스프링의 단부의 전체 주위를 포위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포위부에 의해 코일스프링의 탈락을 확실하게 막을 수가 있다.
또, 포위부에 의해 코일스프링의 단부를 어느 정도 덮을 수가 있기 때문에, 기계부품인 코일스프링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억제할 수가 있어서, 볼품을 양호하게 할 수가 있게 된다.
그리고, 제1 포위부와 제2 포위부의 개방된 부분이 상호 대향하는 측에 설치됨으로써, 포위부의 성형을, 당해 개방된 부분에 상당하는 부분을 통과해서 상호 접리방향(接離方向)으로 슬라이드 하는 슬라이드 블록에 의해 형성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클립 피부착부재와 클립부재 중 어느 것에 형성된 축부의 돌출방향 또는 받침구멍의 구멍 축 방향이, 상기 제1 포위부와 상기 제2 포위부의 각각의 개방된 부분의 방향과 일치하게 됨으로써, 상호 접리방향으로 슬라이드 하는 슬라이드 블록에 의해, 축부 또는 받침구멍과, 제1 포위부 및 제2 포위부를 함께 형성할 수가 있게 되어, 그의 성형을 용이하게 할 수가 있다.
그리고, 포위부를 연결부와 연속해서 형성함으로써, 클립부착구조의 전체의 치수를 작게 할 수가 있다.
그리고, 코일스프링의 다른쪽 단부를 포위하는 환상 립을 형성함으로써, 코일스프링의 탈락을 한층 확실하게 막을 수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필기구의 클립부착구조 이 실현된 필기구의 전체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2는, 클립 피부착부재로서의 뒷마개의 (a)는 측면도, (b)는 평면도, (c)는 종단면도, (d)는 정면도, (e)는 요부의 배면도이다.
도 3은, 클립 피부착부재로서의 뒷마개의 사시도이다.
도 4는, 클립부재의 (a)는 측면도, (b)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필기구의 클립부착구조의 확대도로서, (a)는 통상시, (b)는 클립부재의 요동시를 나타낸다.
도 6은, 클립 피부착부재로서의 뒷마개와 슬라이드 블록과의 관계를 나타낸 설명도로서, (a)는 슬라이드 블록이 상호 떨어진 상태, (b)는 스라이드 블록이 상호 접근한 상태이다.
도 2는, 클립 피부착부재로서의 뒷마개의 (a)는 측면도, (b)는 평면도, (c)는 종단면도, (d)는 정면도, (e)는 요부의 배면도이다.
도 3은, 클립 피부착부재로서의 뒷마개의 사시도이다.
도 4는, 클립부재의 (a)는 측면도, (b)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필기구의 클립부착구조의 확대도로서, (a)는 통상시, (b)는 클립부재의 요동시를 나타낸다.
도 6은, 클립 피부착부재로서의 뒷마개와 슬라이드 블록과의 관계를 나타낸 설명도로서, (a)는 슬라이드 블록이 상호 떨어진 상태, (b)는 스라이드 블록이 상호 접근한 상태이다.
이하, 도면을 이용해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한편, 본 발명은 하기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필기구의 클립부착구조가 실현된 필기구의 전체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이 예의 필기구(10)는 샤프펜슬이지만, 이에 한하지 않고, 볼펜과 같은 임의의 필기구에도 적용할 수가 있다. 그리고, 필기구(10)는, 앞쪽외통(11)과, 앞쪽외통(11)의 후단에 나사결합되는 뒤쪽외통(12)과, 앞쪽외통(11)의 선단에 나사결합되는 선구(先具; 14)와, 앞쪽외통(11)의 앞 부분 주위에 설치되는 통 모양의 탄성 그립(16)과, 앞쪽외통(11) 내에 배설되는 필기체 본체인 필심조출기구(18)를 구비한다. 필심조출기구(18)는 공지의 임의의 구성을 적용할 수 있어서, 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뒤쪽외통(12)의 후단에는 클립 피부착부재로서의 뒷마개(20)가 설치된다. 뒷마개(20)는, 합성수지 재료(예컨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재료, ABS 수지재료)를 성형함으로써 제조되어 뒤쪽외통(12)의 후단에 설치된다. 뒷마개(20)가 뒤쪽외통(12)에 부착된 상태에서, 필기체 본체의 일부인 필심탱크(19)는, 뒤쪽외통(12)의 내부를 거의 관통하도록 되어 있고, 또 필심탱크(19)의 후단에 장착된 지우개고무 받침대(21)가 뒤쪽외통(12) 및 뒷마개(20)의 후단으로부터 돌출하도록 되어 있고, 지우개고무 받침대(21)에는 지우개고무가 삽입된다.
뒷마개(2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대략 뒤쪽외통(12)의 후단의 외주면에 설치되는 링 모양의 본체(20a)와, 본체(20a)의 외주면으로부터 외경 방향으로 확장되는 연결부(20b)와, 연결부(20b)의 뒤쪽에 연속해서 본체(20a)의 외주면으로부터 외경 방향으로 연장 설치되는 포위부(20c)를 갖고 있다.
본체(20a)는, 도 2(d) 및 (e)에 도시된 것과 같이, 그 내주면에 뒤쪽외통(12)과 끼워 맞춰지는 다각형부(20d)가 형성됨과 더불어, 뒤쪽외통(12)과 끼워지기 위한 작은 돌기(20e)가 형성되어 있다. 본체(20a) 내에 뒤쪽외통(12)의 뒷부분이 압입되어, 본체(20a)의 앞 끝이 뒤쪽외통(12)의 외주면에 형성된 계단부(12a(도 1))에 닿아, 다각형부(20d)가 뒤쪽외통(12)의 외주면에 형성된 다각형부(12b(도 1))와 끼워 맞춰지고, 또한 작은 돌기(20e)가 뒤쪽외통(12)의 외주면에 걸려짐으로써, 뒷마개(20)는 뒤쪽외통(12)에 고정적으로 설치되게 된다.
연결부(20b)는, 도 2(c) 및 (d)에 도시된 것과 같이, 횡방향으로 ㄷ자형 횡단면을 이룬 ㄷ자형상부(20f)를 갖고 있고, 본체(20a)의 중심구멍과 ㄷ자형상부(20f)의 내부가 연통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ㄷ자형상부(20f)의 양 측변으로부터는, 1쌍의 원주 축부(20h, 20h)가 바깥쪽으로 돌출해서 형성된다. 원주 축부(20h, 20h)는, 그 돌출 단부의 위쪽이 약간 절결된 형상으로 되어 있다.
연결부(20b)의 뒷부분에는, 포위부(20c)가 연속해서 형성되어 있다. 포위부(20c)는, 본체(20a) 측에 설치된 제1 포위부(20m)와, 제1 포위부(20m) 보다도 위쪽, 즉 클립부재 측에 설치되는 제2 포위부(20n)로 이루어져 있다.
보다 상세히는, 제1 포위부(20m) 및 제2 포위부(20n)의 각각의 평면을 바라본 형상은, 각각 내주면이 약 반원호상(半圓弧狀)을 이루고, 외주면이 약 ㄷ자 형상을 이루고서, 서로의 방향이 전후에서 반대방향으로 되어 있다. 이에 의해, 제1 포위부(20m)와 제2 포위부(20n)를 합친 평면으로 바라본 형상은, 내주면이 원형으로 되고, 외주면은 연결부(20b)와 일체로 된 사각형 형상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제1 포위부(20m)와 제2 포위부(20n)의 각각의 ㄷ자 형상의 단부끼리가 상호 연결되어 있다. 또, 제1 포위부(20m)와 제2 포위부(20n)의 각 개방된 부분(20m1, 20n1)은, 상호 대향하는 측에 형성되고서, 그의 방향은 상기 원주 축부의 돌출방향과 각각 일치하도록 되어 있는바, 이하에서 설명하는 클립부재(22)의 요동 중심축과 일치하도록 되어 있다.
클립부재(22)는, 대략 클립판부(22a)와, 클립판부(22a)의 양측 가장자리로부터 각각 뒤쪽외통(12) 및 뒷마개(20) 쪽을 향해 연장 설치되는 클립 측 판부(22b)를 갖고 있다. 각 클립 측 판부(22b)에는, 상기 각 원주 축부(20h)를 받아들이는 받침구멍(22c)이 형성되고, 받침구멍(22c)에 이어지도록 해서 홈부(22f)가 형성되어 있다. 또, 클립판부(22a)의 내면에는, 받침구멍(22c)보다도 뒤쪽 위치에 링 모양의 환상 립(22d)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클립판부(22a)의 뒷부분은, 위쪽으로 복록하게 된 만곡부(22e)로 되어 있다.
클립부재(22)의 받침구멍(22c)에는 이에 대응하는 뒷마개(20)의 원주 축부(20h)가 끼워짐으로써, 클립부재(22)가 뒷마개(20)에 대해 요동할 수 있게 연결되고서, 뒤쪽외통(12)의 축방향을 따라 뒤쪽외통(12)의 바깥쪽에 배설된다. 한편, 원주 축부(20h)의 돌출 단부의 위쪽이 절결되어 있고, 클립부재(22)에는 받침구멍(22c)에 이어져 홈부(22f)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원주 축부(20h)가 받침구멍(22c)에 삽입될 때에, 절결된 원주 축부(20h)가 홈부(22f)를 따라 받침구멍(22c)에까지 이동시킴으로써, 그 삽입작업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통상시에는 클립부재(22)의 선단을 뒤쪽외통(12)의 외면에 밀어 붙여짐에 따라 양자 사이에 협착력이 발생하도록 하기 위해, 클립부재(22)와 뒷마개(20) 사이에는 코일스프링(24)이 끼워져 있는바, 코일스프링(24)은, 연결부(20b)보다도 후방으로 배치되어, 뒷마개(20)와 클립부재(22)를 반대쪽으로 떨어는 방향으로 밀어붙이게 된다.
코일스프링(24)은, 그의 일단이 뒷마개(20)의 포위부(20c)에 포위되고, 그의 타단이 클립부재(22)의 환상 립(22d) 내에 삽입됨으로써, 뒷마개(20)와 클립부재(22) 사이에 배치되게 된다. 즉, 코일스프링(24)의 양단이 포위부(20c)와 환상 립(22d)에 의해 구속되게 된다.
보다 상세히는, 제1 포위부(20m)는, 코일스프링(24)의 단부의 적어도 한쪽 면 측을 포위하고, 개방된 부분(20m1)에 의해 코일스프링(24)의 단부의 나머지 부분을 개방하고, 제2 포위부(20n)는, 코일스프링(24)의 단부의 적어도 다른쪽 면 측을 포위하고, 개방된 부분(20n1)에 의해 코일스프링(24)의 단부의 나머지 부분을 개방하고, 제1 포위부(20m) 및 제2 포위부(20n)에 의해 코일스프링(24)의 단부의 전체 주위를 포위하도록 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클립부착구조에서는, 코일스프링(24)에 의해 통상시에는, 도 5(a)에 도시된 것과 같이, 클립부재(22)의 선단이 뒤쪽외통(12)에 밀려지는 방향으로 밀어 붙여져 있다. 그리고, 클립부재(22)와 뒤쪽외통(12) 사이에 물품을 끼워지도록 하는 경우에는, 클립부재(22)의 후단의 만곡부(22e)를 밀면, 코일스프링(24)의 부세력에 대항해서 클립부재(22)가 요동하여, 클립부재(22)의 선단과 뒤쪽외통(12) 사이가 벌어지기 때문에, 그 사이에 물품을 삽입하면 양자에 의해 물품을 사이에 끼어 잡힐 수 있게 된다.
포위부(20c) 및 환상 립(22d)은, 클립부재(22)가 요동했을 때에 상호 간섭하지 않을 정도의 높이로 해 놓는 것이 바람직하다. 포위부(20c)에 의해 코일스프링의 한쪽 단부를 어느 정도 포위하도록 함으로써 환상 립(22d)의 높이가 낮아지게 할 수가 있다.
이와 같이, 코일스프링(24)이 포위부(20c)에 포위됨으로써, 확실하게 코일스프링(24)의 탈락을 방지할 수 있음과 더불어, 포위부(20c)가 코일스프링(24)의 상당한 부분을 포위할 수가 있기 때문에, 기계부품인 코일스프링(24)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억제할 수가 있어서, 외관상 보기가 좋아지게 할 수가 있다. 그리고 만곡부(22e)가 만곡되어 있기 때문에, 코일스프링(24)이 한층 더 보이지 않게 되는 형상으로 된다.
또는, 포위부(20c)를 제1 포위부(20m)와 제2 포위부(20n)로 구성 함으로써, 그 포위부(20c)를 구비한 뒷마개(20) 자체의 성형을 용이하게 할 수가 있다. 도 6은 그 설명도로서, 제1 포위부(20m)와 제2 포위부(20n)의 각 개방된 부분(20m1, 20n1)이 상호 마주보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당해 개방된 부분(20ml, 20n1)을 성형하기 위한 슬라이드 블록(81, 82)이, 당해 개방된 부분(20m1, 20n1)에 상당하는 부분을 통과해서 상호 접리되는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할 수가 있게 된다.
특히, 제1 포위부(20m)와 제2 포위부(20n)의 각 개방된 부분(20m1, 20n1)의 방향이 원주 축부(20h)의 돌출 방향에 일치하고 있기 때문에, 같은 슬라이드 블록(81, 82)에 의해 원주 축부(20h)와 포위부(20c)를 성형할 수가 있어, 금형을 복잡하게 하지 않고 용이하게 형성할 수가 있다. 연결부(20b)의 원주 축부(20h)도 양쪽에 상호 반대 측으로 돌출해 있기 때문에, 이들 원주 축부(20h)에 의한 언더컷(undercut) 부분을 성형하기 위한 슬라이드 블록(81, 82)은 원주 축부(20h)에 성형되는 부분의 양측으로부터 상호 접리되는 방향으로 슬라이드 해야 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또, 포위부(20c)가 연결부(20b)에 연속해서 형성되기 때문에, 클립부착구조 전체의 치수를 작게 할 수가 있다.
또, 코일스프링(24)이 뒤쪽외통(12) 및 뒷마개(20)의 바깥쪽에 배설되기 때문에, 뒤쪽외통(12) 및 뒷마개(20)의 내부 공간을 유효하게 이용할 수가 있고, 이 경우에는 필심탱크(19)가 뒤쪽외통(12)을 관통해서 설치되기 때문에, 필심탱크(19)의 길이를 크게 확보할 수 있음과 더불어 필심탱크(19)로의 필심의 보충을 필기구(10)의 뒤쪽으로부터 실행할 수가 있게 된다.
한편, 이상의 예에서는, 포위부가 클립 피부착부재인 뒷마개(20)에 형성되어 있었지만, 이에 한하지 않고, 뒤쪽외통 또는 앞쪽외통과 같은 축통을 클립 피부착부재로 할 수도 있다.
또, 이상의 예에서는, 포위부가 클립 피부착부재에 설치되어 있었으나, 이에 한하지 않고, 포위부를 클립부재에 설치할 수도 있고, 클립 피부착부재 및 클립부재의 양쪽에 설치할 수도 있다.
또, 이상의 예에서는, 클립 피부착부재의 연결부에 축부가 형성되고, 클립부재에 받침구멍이 형성되어 있으나, 반대로, 클립 피부착부재의 연결부에 받침구멍이 형성되고, 클립부재에 축부가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또는, 클립부재의 연결부에 축부가 형성되고, 클립부재의 연결부에 받침구멍이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어느 경우라 하더라도, 제1 포위부와 제2 포위부의 개방된 부분의 방향은, 받침구멍의 구멍 축 방향 또는 축부의 돌출 방향과 일치하도록 해놓으면, 성형이 용이하게 되어 적합하다. 또, 연결부에 연속해서 포위부가 형성되어 있으면 좋지만, 이에 한하지 않고, 포위부와 연결부가 분리되어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10 - - - 필기구
20 - - - 뒷마개(클립 피부착부재)
20b - - - 연결부
20c - - - 포위부
20m - - - 제1 포위부
20m1 - - - 개방된 부분
20n - - - 제2 포위부
20n1 - - - 개방된 부분
24 - - - 코일스프링
20 - - - 뒷마개(클립 피부착부재)
20b - - - 연결부
20c - - - 포위부
20m - - - 제1 포위부
20m1 - - - 개방된 부분
20n - - - 제2 포위부
20n1 - - - 개방된 부분
24 - - - 코일스프링
Claims (5)
- 클립 피부착부재와 클립부재를 갖추되, 클립부재가 클립 피부착부재에 대해 요동할 수 있게 연결되는 필기구의 클립부착구조에서,
클립부재와 클립 피부착부재 사이에는 양자를 반대쪽으로 떨어는 방향으로 밀어붙이는 코일스프링이 끼워져 있고, 클립부재 또는 클립 피부착부재의 적어도 한쪽 면에는 어느 다른쪽을 향해 포위부가 연장되어 설치되어 있고, 당해 포위부는, 코일스프링의 중심축을 따라 나란히 배열된 제1 포위부와 제2 포위부를 갖추되, 제1 포위부는, 코일스프링의 단부의 일부 주위를 포위함과 더불어 나머지 주위 부분을 개방하고, 제2 포위부는, 코일스프링의 단부의 적어도 별개의 일부 주위를 포위함과 더불어 나머지 주위 부분을 개방하도록 되어 있고, 제1 포위부와 제2 포위부에 의해 코일스프링의 단부의 전체 주위를 포위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구의 클립부착구조.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코일스프링의 단부의 주위 부분을 개방하는 상기 제1 포위부와 상기 제2 포위부의 각각의 개방된 부분은, 코일스프링의 중심축에 대해 상호 대향하는 측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립부착구조.
-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클립 피부착부재와 상기 클립부재의 어느 한쪽에 형성된 1쌍의 축부가 어느 다른쪽에 형성된 1쌍의 받침구멍에 각각 삽입되어 클립 피부착부재와 클립부재가 요동할 수 있게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1 포위부와 상기 제2 포위부의 각각의 개방된 부분의 방향은, 상기 1쌍의 축부의 돌출 방향 또는 1쌍의 받침구멍의 구멍 축 방향에 일치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립부착구조.
-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포위부는, 상기 축부 또는 상기 받침구멍이 형성된 연결부에 연속해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립부착구조.
- 청구항 1 내지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클립부재 또는 상기 클립 피부착부재의 어느 다른쪽에는, 코일스프링의 다른쪽 단부를 포위하는 환상 립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립부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09-142225 | 2009-06-15 | ||
JP2009142225A JP5345002B2 (ja) | 2009-06-15 | 2009-06-15 | 筆記具のクリップ取付構造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134503A true KR20100134503A (ko) | 2010-12-23 |
KR101606942B1 KR101606942B1 (ko) | 2016-03-28 |
Family
ID=433359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0049520A KR101606942B1 (ko) | 2009-06-15 | 2010-05-27 | 필기구의 클립부착구조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JP (1) | JP5345002B2 (ko) |
KR (1) | KR101606942B1 (ko) |
CN (1) | CN101920618B (ko) |
TW (1) | TWI515122B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5705508B2 (ja) * | 2010-11-22 | 2015-04-22 | 株式会社壽 | 可動式クリップ |
JP5705609B2 (ja) * | 2011-03-23 | 2015-04-22 | ゼブラ株式会社 | 筆記具のスプリング装着部構造及びスプリング装着部の成形方法 |
CN109130598A (zh) * | 2018-09-05 | 2019-01-04 | 温州市永舟科技有限公司 | 一种结构复杂高精度笔夹 |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545517A (ja) | 1990-12-25 | 1993-02-23 | Nippon Synthetic Chem Ind Co Ltd:The | 粘着剤層を有する偏光板 |
KR960007334U (ko) * | 1994-08-02 | 1996-03-13 | 가부시키가이샤 고도부키 | 녹크식 필기구 |
JP3138306B2 (ja) * | 1990-12-07 | 2001-02-26 | シー・ピー・シー・インターナシヨナル・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 ス−プ用の肉及び魚の浮き実 |
JP3139401B2 (ja) | 1996-12-11 | 2001-02-26 | 株式会社エクォス・リサーチ | 車両制御装置 |
KR20050032254A (ko) * | 2003-10-01 | 2005-04-07 | 가부시키가이샤 고도부키 | 클립의 구조 및 그 조립방법 |
KR20070091222A (ko) * | 2004-12-28 | 2007-09-07 | 가부시키가이샤 파이롯트 코포레이숀 | 클립 부재를 가진 필기구 |
Family Cites Familie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4532859B2 (ja) * | 2003-07-15 | 2010-08-25 | 英之 打林 | 小型ボールペン |
JP2004066834A (ja) * | 2003-10-14 | 2004-03-04 | Mitsubishi Pencil Co Ltd | 加圧式のボールペン |
JP2005138513A (ja) * | 2003-11-10 | 2005-06-02 | Mitsubishi Pencil Co Ltd | 加圧式のボールペン |
JP4793958B2 (ja) * | 2005-03-04 | 2011-10-12 | 株式会社パイロットコーポレーション | クリップ部材を有する筆記具 |
JP5168901B2 (ja) * | 2006-12-27 | 2013-03-27 | ぺんてる株式会社 | 回転繰り出し式筆記具 |
CN101342834A (zh) * | 2007-07-12 | 2009-01-14 | 昆山宝木产品设计有限公司 | 自动笔 |
JP5205200B2 (ja) * | 2008-10-01 | 2013-06-05 | ゼブラ株式会社 | 開閉操作機能付クリップの支持構造 |
-
2009
- 2009-06-15 JP JP2009142225A patent/JP5345002B2/ja active Active
-
2010
- 2010-05-20 TW TW099116058A patent/TWI515122B/zh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10-05-27 KR KR1020100049520A patent/KR101606942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0-06-12 CN CN201010204183.0A patent/CN101920618B/zh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138306B2 (ja) * | 1990-12-07 | 2001-02-26 | シー・ピー・シー・インターナシヨナル・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 ス−プ用の肉及び魚の浮き実 |
JPH0545517A (ja) | 1990-12-25 | 1993-02-23 | Nippon Synthetic Chem Ind Co Ltd:The | 粘着剤層を有する偏光板 |
KR960007334U (ko) * | 1994-08-02 | 1996-03-13 | 가부시키가이샤 고도부키 | 녹크식 필기구 |
JP3139401B2 (ja) | 1996-12-11 | 2001-02-26 | 株式会社エクォス・リサーチ | 車両制御装置 |
KR20050032254A (ko) * | 2003-10-01 | 2005-04-07 | 가부시키가이샤 고도부키 | 클립의 구조 및 그 조립방법 |
KR20070091222A (ko) * | 2004-12-28 | 2007-09-07 | 가부시키가이샤 파이롯트 코포레이숀 | 클립 부재를 가진 필기구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TWI515122B (zh) | 2016-01-01 |
JP5345002B2 (ja) | 2013-11-20 |
TW201043483A (en) | 2010-12-16 |
JP2010284945A (ja) | 2010-12-24 |
KR101606942B1 (ko) | 2016-03-28 |
CN101920618B (zh) | 2014-05-28 |
CN101920618A (zh) | 2010-12-2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3165379A1 (en) | Writing tool | |
JP2015002984A (ja) | コレクター式塗布具 | |
KR20100134503A (ko) | 필기구의 클립부착구조 | |
JP2013093002A (ja) | カバーケースおよびカバーケースセット | |
JP5284899B2 (ja) | 筆記具 | |
JP3139401U (ja) | 筆記具のクリップ取付構造 | |
JP6116860B2 (ja) | 筆記具 | |
JP5469561B2 (ja) | 筆記具のクリップ構造 | |
JP2014046482A (ja) | 筆記具用クリップ、筆記具用部品及び筆記具 | |
KR101539396B1 (ko) | 볼펜 | |
JP2018094877A (ja) | 筆記具 | |
CN104210288B (zh) | 用于笔的卷笔刀 | |
JP2001058491A (ja) | シャープペンシル | |
JP5501628B2 (ja) | 筆記具用キャップ | |
KR20110053930A (ko) | 샤프심 이탈 방지 구조물을 포함하는 샤프펜슬 | |
JP3203536U (ja) | 小型筆記具 | |
JP2006315179A (ja) | 筆記具のクリップ | |
JP3711701B2 (ja) | シャ−プペンシル | |
JP2024072469A (ja) | クリップノック式筆記具 | |
JP2007190799A (ja) | 筆記具用キャップ | |
JP5412339B2 (ja) | ボールペン | |
JP3147829U (ja) | 筆記具用キャップ | |
JP6133104B2 (ja) | 替芯ケース | |
JP6133104B6 (ja) | 替芯ケース | |
JP2014091238A (ja) | スライド式筆記具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AMND | Amendment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