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31839A - 회전식 게임장치 - Google Patents

회전식 게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31839A
KR20100131839A KR1020090050642A KR20090050642A KR20100131839A KR 20100131839 A KR20100131839 A KR 20100131839A KR 1020090050642 A KR1020090050642 A KR 1020090050642A KR 20090050642 A KR20090050642 A KR 20090050642A KR 20100131839 A KR20100131839 A KR 201001318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ating
support
rotation
game device
rotating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506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80872B1 (ko
Inventor
조성국
Original Assignee
조성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성국 filed Critical 조성국
Priority to KR10200900506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80872B1/ko
Publication of KR201001318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318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08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08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GMERRY-GO-ROUNDS; SWINGS; ROCKING-HORSES; CHUTES; SWITCHBACKS; SIMILAR DEVICES FOR PUBLIC AMUSEMENT
    • A63G1/00Roundabouts
    • A63G1/08Roundabouts power-driven
    • A63G1/10Roundabouts power-driven electrically drive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GMERRY-GO-ROUNDS; SWINGS; ROCKING-HORSES; CHUTES; SWITCHBACKS; SIMILAR DEVICES FOR PUBLIC AMUSEMENT
    • A63G23/00Rotating or rocking pots, e.g. by moving the whol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GMERRY-GO-ROUNDS; SWINGS; ROCKING-HORSES; CHUTES; SWITCHBACKS; SIMILAR DEVICES FOR PUBLIC AMUSEMENT
    • A63G31/00Amusement arrangements

Landscapes

  • Pinball Game Machines (AREA)
  • Displays For Variable Information Using Movable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회전식 게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회전식 게임장치는, 상면에 제1지지대(110)가 설치되는 베이스(100);와, 상기 베이스(100)의 상면에 설치되되, 내부에는 구동모터(220)가 구비되며, 상기 구동모터(220)를 조작하는 조작스위치(230)가 구비되고, 측면에는 제2지지대(210)가 설치되는 구동부(200);와, 상기 제1지지대(110)와 제2지지대(210)에 의해 고정된 상태로 상기 베이스(100)의 상부에 설치되는 구형상의 고정부(300);와, 상기 고정부(300)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구동모터(220)의 구동축(221)과 연결되어 상하방향으로 회전되는 제1회전부(400); 및 상기 제1회전부(400)의 내부에 설치되되, 내부에는 탑승자용 의자(510)가 다수개 구비되어 상기 제1회전부(400)의 회전시 상기 탑승자용 의자(510)에 앉아있는 탑승자의 자중에 의해 편심이 유도되어 좌우로 회전되는 제2회전부(5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식 게임장치에 의하면, 상하로 회전되는 제1회전부의 내부에 제2회전부가 설치되되, 상기 제2회전부는 제2회전부 내부에 설치된 탑승용 의자에 탑승한 탑승자들의 체중의 차이에 의해 발생되는 자중으로 좌우로 회전되면서 탑승자로 하여금 우주공간의 진공상태를 간접 체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회전식 게임장치{.}
본 발명은 게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상하로 회전되는 제1회전부의 내부에 제2회전부가 설치되되, 상기 제2회전부는 제2회전부 내부에 설치된 탑승용 의자에 탑승한 탑승자들의 체중의 차이에 의해 발생되는 자중으로 좌우로 회전되면서 탑승자로 하여금 우주공간의 진공상태를 간접 체험할 수 있는 회전식 게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게임장치는 모니터에 표시되는 영상에 따라 조이스틱을 조절하여 사용자의 숙련도에 따라 스코어가 표시되는 조작형 게임장치와 기구에 사용자가 탑승한 후 기세팅된 프로그램대로 작동되는 탑승용 게임장치로 분류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조작형 게임장치는 통상의 오락실에 주로 설치되는 게임장치이인데, 이러한 조작형 게임장치는 단순히 조이스틱에 입력된 신호에 따라 플레이어 캐릭터(PC:Player character)가 조작되면서 스코어를 취득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에 반해, 탑승용 게임장치는 사용자가 게임장치 내부로 들어간 후 좌석에 앉게되면, 기세팅된 프로그램에 의해 난이도 등이 조절되면서 사용자에게 색다른 재미를 주는 특징이 있다.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종래기술에 따른 탑승용 게임장치의 일종인 자이로캡슐 놀이기구(1)(출원번호 제10-1994-0014941호)가 도시되어 있는데, 상기와 같은 자이로캡슐 놀이기구는 내부링(2), 중간링(3), 외부링(4)으로 구성되며, 상기 외부링(4)은 다리부재(5)에 의해 지면에 고정설치된다.
또한, 상기 중간링(3)은 외부링(4)의 내부에서 상하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내부링(2)은 상기 중간링(3)의 내부에서 좌우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데, 상기 중간링(3)은 회전핸들(14)의 회전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회전된다.
상기와 같이 중간링(3)의 회전과 동시에 상기 내부링(2)은 상기 중간링(3)의 내부에서 좌우방향으로 회전되는데, 이러한 회전은 상기 중간링(3)에 설치된 회전원판(7)과 외부링(4)의 내주면에 구비된 채로 회전원판(7)과 맞물리되, 양끝단이 절곡된 판스트립(8)에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내부링(2)의 내부에는 탑승용 의자(10)가 안전덮개(12)에 의해 개폐되어 탑승자의 안전을 확보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자이로 캡슐 놀이기구는 중간링이 상하회전될 경우 구동모터에 의해 안정된 회전이 가능하지만, 내부링이 좌우회전될 경우 회전원판과 판스트립에 의해 편심이 발생되어 회전되어 회전발생부위에 응력이 집중되어 잦은 유지보수에 따른 비용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작동중에 회전원판이나 판스트립이 파손될 경우 탑승자에게 매우 위험 할 뿐만 아니라 탑승할 수 있는 인원이 1인에 국한되어 탑승자들의 흥미를 유발하기 힘든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하로 회전되는 제1회전부의 내부에 제2회전부가 설치되되, 상기 제2회전부는 제2회전부 내부에 설치된 탑승용 의자에 탑승한 탑승자들의 체중의 차이에 의해 발생되는 자중으로 좌우로 회전되면서 탑승자로 하여금 우주공간의 진공상태를 간접 체험할 수 있는 회전식 게임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제2회전부의 내부에 다수의 탑승자가 탑승되도록 탑승용 의자가 다수개 구비되어 친구들이나 가족들이 동승할 경우 상대방과 친밀감이 더욱 증질될 뿐만 아니라 탑승하는 모습을 촬영하는 카메라가 구비되어 탑승자들에게 흥미를 유발할 수 있는 회전식 게임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탑승자에게 산소와 아로마 향기를 제공하여 편안한 상태로 게임장치를 탑승하여 스트레스가 해소될 수 있는 회전식 게임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회전식 게임장치는, 상면에 제1지지대(110)가 설치되는 베이스(100);와, 상기 베이스(100)의 상면에 설치되되, 내부에는 구동모터(220)가 구비되며, 상기 구동모터(220)를 조작하는 조작스위치(230)가 구비되고, 측면에는 제2지지대(210)가 설치되는 구동부(200);와, 상기 제1지지대(110)와 제2지지대(210)에 의해 고정된 상태로 상기 베이스(100)의 상부 에 설치되는 구형상의 고정부(300);와, 상기 고정부(300)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구동모터(220)의 구동축(221)과 연결되어 상하방향으로 회전되는 제1회전부(400);와, 상기 제1회전부(400)의 내부에 설치되되, 내부에는 탑승자용 의자(510)가 다수개 구비되어 상기 제1회전부(400)의 회전시 상기 탑승자용 의자(510)에 앉아있는 탑승자의 자중에 의해 편심이 유도되어 좌우로 회전되는 제2회전부(5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회전부(400)의 수평방향 양측에는 아로마공급라인(302)이 설치되되, 일측 상하회전축(401)은 상기 구동모터(220)의 구동축(221)과 연결되고, 타측 상하회전축(402)은 상기 고정부(300)의 내주면에 연결되며, 상기 제2회전부(500)의 수직방향 상측과 하측에는 좌우회전축(501, 502)이 설치되되, 상기 좌우회전축(501, 502)은 상기 제1회전부(400)의 내주면에 연결되며, 상기 제2회전부(500)의 내부에는 상기 좌우회전축(501, 502)을 서로 연결하는 연결봉(52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탑승용 의자(510)에 설치되는 안전벨트(511);와, 상기 탑승용 의자(510)에 탑승한 탑승자를 촬영하는 카메라(C);와, 상기 카메라(C)로 인식한 이미지를 표출하는 디스플레이장치(D);와, 상기 카메라(C)로 인식한 이미지를 인쇄하는 프린터(P);와, 상기 고정부(300)의 내부로 산소를 제공하는 산소공급라인(301); 및 상기 고정부(300)의 내부로 아로마 향기를 제공하는 아로마공급라인(302);을 더 포 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상하로 회전되는 제1회전부의 내부에 제2회전부가 설치되되, 상기 제2회전부는 제2회전부 내부에 설치된 탑승용 의자에 탑승한 탑승자들의 체중의 차이에 의해 발생되는 자중으로 좌우로 회전되면서 탑승자로 하여금 우주공간의 진공상태를 간접 체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제2회전부의 내부에 다수의 탑승자가 탑승되도록 탑승용 의자가 다수개 구비되어 친구들이나 가족들이 동승할 경우 상대방과 친밀감이 더욱 증질될 뿐만 아니라 탑승하는 모습을 촬영하는 카메라가 구비되어 탑승자들에게 흥미를 유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탑승자에게 산소와 아로마 향기를 제공하여 편안한 상태로 게임장치를 탑승할 수 있으므로 스트레스가 해소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회전식 게임장치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회전식 게임장치의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 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회전식 게임장치의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회전식 게임장치는 베이스(100), 구동부(200), 고정부(300), 제1회전부(400) 및 제2회전부(500)가 포함되며, 제1지지대(110), 제2지지대(210), 구동모터(220), 구동축(221), 조작스위치(230), 산소공급라인(301), 아로마공급라인(302), 상하회전축(401, 402), 좌우회전축(501, 502), 탑승용 의자(510), 안전벨트(511), 카메라(C), 디스플레이장치(D), 프린터(P) 및 연결봉(520)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100)는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성요소들이 상면에 설치되는 부재로서, 특히, 후술할 구동부(200)와 고정부(300)가 설치되는데, 상기 고정부(300)는 베이스(100)의 상면에 설치된 제1지지대(110)의 상부에 설치된다.
또한, 상기 구동부(200)는 내부에 구동모터(220)가 구비되며, 상기 구동모터(220)는 조작스위치(230)의 조작에 의해 구동되는데, 이러한 구동모터(220)의 구동축(221)에는 후술할 제1회전부(400)가 연결되어 상하로 회전된다.
한편, 상기 구동부(200)의 측면에는 제2지지대(210)가 설치되며, 이러한 제2지지대(210)는 후술할 고정부(300)의 측면과 연결되는데, 상기 제2지지대(210)는 상술한 제1지지대(110)와 더불어 상기 고정부(300)를 베이스(100)의 상부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구동부(200)는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100)의 상면에 설치되는 부재인데, 상기 구동부(200)는 구동모터(220)와 조작스위치(230)를 포함한다.
상기 구동모터(220)는 구동축(221)을 매개로 제1회전부(400)와 연결되며, 상기 조작스위치(230)는 구동모터(220)를 조작하여 상기와 같이 구동축(221)에 연결된 제1회전부(400)를 회전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고정부(3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1지지대(110)와 제2지지대(210)에 의해 베이스(100)의 상부에 설치되는 구형상의 부재로서,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는 제1회전부(400)와 제2회전부(500)가 설치되며, 일측에는 상기 고정부(300) 내부로 탑승자가 출입할 수 있도록 도어(101)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고정부(300)의 외부는 밀폐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투명한 재질의 강화유리나 아크릴로 덮여있는 것도 좋을 것이며, 외부와 격리된 느낌이 조성되도록 불투명한 재질로 제작하고 내부에 야광물질을 도포하여 후술할 제2회전부에 탑승한 탑승자에게 우주의 공간에 위치하는 것과 같은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좋을 것이다.
상기와 같이 불투명한 재질로 고정부(300)를 제작할 경우, 내부에 다양한 색상의 점등식 조명을 설치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상기 제1회전부(400)는 상기 고정부의 내부에 설치되는 부재로서,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훌라후프와 같은 원형의 프레임 형상으로 제작되되, 상기 고정부(300)의 단면 지름보다 작은 지름으로 제작된다.
또한, 상기 제1회전부(400)의 중심부에서부터 수평방향의 양측 끝단에는 상하회전축(401, 402)이 설치되어 있는데, 이러한 상하회전축(401, 402) 중 일측 상하회전축(401)은 상기 구동모터(220)의 구동축(221)과 연결되고 타측 상하회전축(402)은 상기 고정부(300)의 내주면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된다.
이에 따라, 상기 구동모터(220)의 회전시 구동축(221)과 연결된 일측 상하회전축(401)과 타측 상하회전축(402)에 의해 제1회전부(400)가 회전되는 것이며, 이렇게 회전되는 제1회전부(400)는 브레이크(B)에 의해 제동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브레이크(B)는 상하회전축(401, 402)에 설치되어 상술한 조작스위치(230)에 의해 제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브레이크(B)는 후술할 제2회전부(500)의 좌우회전축(501, 502)에도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제1회전부(400)의 브레이크(B)와 마찬가지로 조작스위치(230)에 의해 제어되는 것이 좋을 것이다.
상기 제2회전부(500)는 내부에 탑승자가 착석할 수 있는 탑승용 의자(510)가 다수개 구비되는데, 이러한 제2회전부(500)에는 상술한 제1회전부(400)의 내부에 설치된 상태로 좌우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좌우회전축(501, 502)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좌우회전축(501, 502)은 도 4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회전부(500)의 수직방향(y축) 상측과 하측에 형성되어 제2회전부(500)가 제1회전 부(400) 내부에서 좌우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되, 상기 좌우회전축(501, 502)의 일측은 상기 제2회전부(500)의 수직방향 상측과 하측에, 타측은 제1회전부(400)의 내주면에 각각 연결된다.
상기와 같이 형성되는 제2회전부(500)는 상기 제1회전부(400)를 직접적으로 회전시키는 구동모터가 존재하지 아니한 채로 탑승자의 자중에 의해 유도되는 편심에 의해 좌우회전된다.
예를 들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3개의 탑승용 의자에 체중이 각각 60kg, 60kg, 80kg의 탑승자가 탑승했을 경우, 80kg의 탑승자 측으로 하중이 집중되는 편심이 발생된다. 이에 따라, 제1회전부(400) 내부에 좌우회전되도록 설치된 제2회전부(500)는 상기와 같은 편심에 의해 좌우방향 회전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불특정한 사람들의 체중이 정확하게 일치하는 경우는 거의 없고, 그 인원이 증가될 수록 더욱 그러하다. 따라서, 체중의 차이에 따른 편심이 매번 다르게 발생되어 좌우회전 수의 빈도가 가변된다.
상기와 같이 가변되는 제2회전부(500)의 좌우회전수는 게임장치의 관리자가 탑승자의 체중을 고려하여 자리배치를 안내하거나, 제1회전부(400)의 상하회전 수를 조절함으로써 노약자나 미취학 아동들도 안전하게 탑승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회전식 게임장치의 난이도를 조절하는 것이 좋을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이 편심에 의해 발생되는 응력은 좌우회전축(501, 502)에 집중되는데, 이러한 응력에 의한 제2회전부(500)의 휘어짐 등의 변형이 방지되도록 상기 좌우회전축에는 강성증진용 연결봉(520)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탑승용 의자(510)에는 탑승자의 안전을 위한 안전벨트(511)가 설치되는 것이 좋을 것이며, 탑승자의 재탑승욕구가 증진되도록 고정부(300), 제1회전부(400) 또는 제2회전부(500) 중 어느 한 곳에 탑승자가 게임장치를 이용하는 모습을 촬영하는 카메라(C)가 설치되도 좋을 것이다.
또한, 상기 카메라(C)로 촬영한 탑승자 개개인의 모습을 게임장치를 이용한 후 탑승자가 직접 볼 수 있도록 고정부(300)의 외부, 베이스(100) 또는 별도의 공간에 디스플레이장치(D)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렇게 디스플레이장치(D)에 게시된 모습을 탑승자가 인쇄해 갈 수 있는 프린터(P)가 구비되거나 이동식 저장매체(예: USB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도록 포트(미도시)가 구비되는 것도 좋을 것이다.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의 실시예들이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자이로 캡슐 놀이기구의 사시도,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자이로 캡슐 놀이기구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회전식 게임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회전식 게임장치의 개략적인 종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회전식 게임장치의 개략적인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회전식 게임장치의 제2회전부에 편심이 발생되는 것을 나타낸 개념도 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베이스 101-도어
110-제1지지대
200-구동부 210-제2지지대
220-구동모터 221-구동축
230-조작스위치
300-고정부 301-산소공급라인
302-아로마공급라인
400-제1회전부 401, 402-상하회전축
500-제2회전부 501, 502-좌우회전축
510-탑승용 의자 511-안전벨트
520-연결봉
B-브레이크 C-카메라
D-디스플레이장치 P-프린터

Claims (3)

  1. 상면에 제1지지대(110)가 설치되는 베이스(100);와
    상기 베이스(100)의 상면에 설치되되, 내부에는 구동모터(220)가 구비되며, 상기 구동모터(220)를 조작하는 조작스위치(230)가 구비되고, 측면에는 제2지지대(210)가 설치되는 구동부(200);와
    상기 제1지지대(110)와 제2지지대(210)에 의해 고정된 상태로 상기 베이스(100)의 상부에 설치되는 구형상의 고정부(300);와
    상기 고정부(300)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구동모터(220)의 구동축(221)과 연결되어 상하방향으로 회전되는 제1회전부(400); 및
    상기 제1회전부(400)의 내부에 설치되되, 내부에는 탑승자용 의자(510)가 다수개 구비되어 상기 제1회전부(400)의 회전시 상기 탑승자용 의자(510)에 앉아있는 탑승자의 자중에 의해 편심이 유도되어 좌우로 회전되는 제2회전부(5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게임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회전부(400)의 수평방향 양측에는 아로마공급라인(302)이 설치되되, 일측 상하회전축(401)은 상기 구동모터(220)의 구동축(221)과 연결되고, 타측 상하회전축(402)은 상기 고정부(300)의 내주면에 연결되며,
    상기 제2회전부(500)의 수직방향 상측과 하측에는 좌우회전축(501, 502)이 설치되되, 상기 좌우회전축(501, 502)은 상기 제1회전부(400)의 내주면에 연결되며,
    상기 제2회전부(500)의 내부에는 상기 좌우회전축(501, 502)을 서로 연결하는 연결봉(520); 및
    상기 일측 상하회전축(401)과 좌우회전축(501, 502)에는 상기 조작스위치(230)의 조작에 따라 제1회전부(400)와 제2회전부(500)의 회전을 제어하는 브레이크(B);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게임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탑승용 의자(510)에 설치되는 안전벨트(511);와
    상기 탑승용 의자(510)에 탑승한 탑승자를 촬영하는 카메라(C);와
    상기 카메라(C)로 인식한 이미지를 표출하는 디스플레이장치(D);와
    상기 카메라(C)로 인식한 이미지를 인쇄하는 프린터(P);와
    상기 고정부(300)의 내부로 산소를 제공하는 산소공급라인(301); 및
    상기 고정부(300)의 내부로 아로마 향기를 제공하는 아로마공급라인(302);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게임장치.
KR1020090050642A 2009-06-08 2009-06-08 회전식 게임장치 KR1010808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0642A KR101080872B1 (ko) 2009-06-08 2009-06-08 회전식 게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0642A KR101080872B1 (ko) 2009-06-08 2009-06-08 회전식 게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1839A true KR20100131839A (ko) 2010-12-16
KR101080872B1 KR101080872B1 (ko) 2011-11-07

Family

ID=435077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50642A KR101080872B1 (ko) 2009-06-08 2009-06-08 회전식 게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80872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93005A1 (ko) * 2013-05-30 2014-12-04 Kim Sang Sik 의료 검사 및 치료를 위한 회전 의자
CN104192324A (zh) * 2014-09-03 2014-12-10 上海恒润数字科技股份有限公司 摆臂式自转同步空间三维模拟器
CN104492088A (zh) * 2014-12-23 2015-04-08 郑运婷 游戏设备的使用方法
CN110193191A (zh) * 2019-05-27 2019-09-03 南京临界风行科技有限公司 一种多人对战全息游戏平台
KR20230106097A (ko) * 2022-01-05 2023-07-12 최진호 개인용 작업을 위한 구형 구조의 워크 룸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9276Y1 (ko) * 1998-07-06 2001-04-02 한영환 승물놀이구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93005A1 (ko) * 2013-05-30 2014-12-04 Kim Sang Sik 의료 검사 및 치료를 위한 회전 의자
CN104192324A (zh) * 2014-09-03 2014-12-10 上海恒润数字科技股份有限公司 摆臂式自转同步空间三维模拟器
CN104192324B (zh) * 2014-09-03 2016-02-10 上海恒润数字科技股份有限公司 摆臂式自转同步空间三维模拟器
CN104492088A (zh) * 2014-12-23 2015-04-08 郑运婷 游戏设备的使用方法
CN110193191A (zh) * 2019-05-27 2019-09-03 南京临界风行科技有限公司 一种多人对战全息游戏平台
CN110193191B (zh) * 2019-05-27 2020-02-18 南京临界风行科技有限公司 一种多人对战全息游戏平台
KR20230106097A (ko) * 2022-01-05 2023-07-12 최진호 개인용 작업을 위한 구형 구조의 워크 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80872B1 (ko) 2011-1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732959B2 (ja) シュミレーションライド装置
KR101080872B1 (ko) 회전식 게임장치
CN110536728B (zh) 环形运动模拟游乐园景点
US4640266A (en) Sensory stimulation enclosure
JP4667333B2 (ja) 遊戯装置
US20220093230A1 (en) Mobile health and fitness reactive immersive activity space
JP4074101B2 (ja) 遊技機及び遊技システム
JP2002166059A (ja) 乗物遊戯装置
JP2013226231A (ja) ドームスクリーンを備えた遊具装置
RU2358789C1 (ru) Аттракцион
JP2004208844A (ja) 空気膜マットを用いた遊戯具
US6079709A (en) Screen segment, viewing isolation apparatus
JP2009254731A (ja) フライト擬似体験遊戯装置
CN100371043C (zh) 仿真游戏方法和设备
JP6768407B2 (ja) ゲーム装置
JP4261882B2 (ja) 観覧車のゴンドラ
JP7495770B2 (ja) 落下感を体験可能な仮想体験装置
KR20230141871A (ko) 낙하감을 체험 가능한 가상 체험 장치
JP2007260449A (ja) 遊技機
JP3239711U (ja) 人間クレーンゲーム装置
JP6831580B2 (ja) 遊技機
JPH09212079A (ja) 搭乗型遊戯機
JP2917770B2 (ja) ゲーム装置
KR200427855Y1 (ko) 회전플레이트를 이용한 유희기구
JP3113091U (ja) 遊戯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2

Year of fee payment: 6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30

Year of fee payment: 7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