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9276Y1 - 승물놀이구 - Google Patents

승물놀이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9276Y1
KR200209276Y1 KR2019980012211U KR19980012211U KR200209276Y1 KR 200209276 Y1 KR200209276 Y1 KR 200209276Y1 KR 2019980012211 U KR2019980012211 U KR 2019980012211U KR 19980012211 U KR19980012211 U KR 19980012211U KR 200209276 Y1 KR200209276 Y1 KR 20020927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chair
safety
locking pin
rot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1221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59298U (ko
Inventor
한영환
Original Assignee
한영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영환 filed Critical 한영환
Priority to KR201998001221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9276Y1/ko
Publication of KR1998005929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5929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0927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9276Y1/ko

Links

Landscapes

  • Special Chai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주로 공원이나 유원지 또는 단련장등에 설치하여 어린이나 성인들이 탑승하는 놀이기구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의 특징은 놀이구를 이루는 프레임의 내부에 설치되는 안장을 자유자재로 유동할 수 있게하고, 별도의 안전장치를 설치하므로서 유희성이나 오락성을 일층 개선하고 안전성을 크게 도모한 것으로, 원형의 지지프레임(2)을 연결부(6,7)에 의해 프레임(2) 상측에 고정식으로 설치하고, 내부에 2중으로 회전프레임(8,9)을 수직으로 축지부(10,11)에 의해 설치하며, 내측의 회전프레임(9)에는 의자(13)를 설치하고, 프레임(2)의 일측에는 작동장치(3)를 설치하여 내부에 내장된 모터(도시생략)의 출력축(29)에 의해 회전프레임(8)을 구동하므로서 각 회전프레임(8,9)을 원심력에 의해 작동할 수 있게 한 일반적인 구조의 승물놀이구(1)에 있어서, 지지프레임(5) 내부의 회전프레임(8,9)을 중심부(12)에 대해 일정각도(θ)로 경사지게 설치하고, 바깥쪽 회전프레임(9) 상부 일측에 웨이트(25)를 설치하며, 의자(13) 후방에 안전장치(14)를 설치하되, 통체(16)의 내부에 안전레버(15)와 연결되는 걸림치차(17)를 형성하고, 이에는 작동레버(21)에 의해 각운동을 할 수 있는 조절봉(20) 중앙에 걸림핀(18)을 설치하며, 걸림핀(18)의 일측에는 스프링(19)을 탄설하여 통체(16)에 연결하므로서 걸림핀(18)이 걸림치차(17)에 접지될 수 있게하고, 발판(24)과 같이 설치되어 있는 의자(13)의 전방 하부에는 요입홈(22)을 형성하여 안전벨트(23)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물놀이구이다.

Description

승물놀이구
본 고안은 승물놀이구의 내부에 결합되는 안장의 일측에 웨이터를 부착하므로서 회전시 원심력에 의해 임의의 유동으로서 작동할 수 있게 하여 유회성이나 오락성을 일층 높일 수 있게 하고, 안전성을 크게 개선한 것으로, 기존에 사용되는 승물놀이구의 경우는 주로 고정형으로 된 의자를 프레임의 내부에 설치하여 원심력에 의해 자체적인 유동이 가능하도록 하고, 안장에는 안전벨트를 설치하여 사용하고있으나, 이러한 기존의 승물놀이구의 경우는 다음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은 다수의 문제점을 안고 있는 실정이다.
즉 기존에 사용되고 있는 승물놀이구의 경우는 원형으로 된 프레임 내부에 2중으로 원심력에 의한 회전이 가능하도록 수직으로 설치하여 맨 안쪽에는 탑승용 의자가 설치되어 각각의 2중 프레임의 회전으로 얻어지는 원심력에 의해 회전과 동시에 임의의 각도로서 원심력이 발생하여 유희성이나 오락성을 목적으로 사용하고 있으나, 이는 프레임에 대해 수직으로 설치되어 있으므로 회전을 할 시 원심력에 의해 의자가 회전하는 기능이 저조하여 2중의 프레임만이 회전을 하게 되고, 내측의 의자는 각 프레임의 회전만이 전달되어 의자 자체의 회전에 대한 기능이 저조한 문제점이 있었으며, 한편으로는 상기 2중의 프레임이 회전하는 과정에서 의자는 원심력의 전달을 받기는 하나 실질적으로는 자체적인 원심력의 전달을 제대로 받지 못하여 단순히 2중의 프레임의 회전에 의한 회전력만이 전달되어 유희성이나 오락성이 크게 저조한 등의 문제점을 안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종래에 널리 사용되고 있는 승물놀이구의 경우는 의자에 별도로 안전벨트 등으로 구성된 안전장치가 부가되어 있기는 하나 이는 주로 단순한 형식적인 기능으로서 부가되어 있으므로 놀이를 즐기는 도중에 안전장치가 분리되거나 파손되는 등의 문제점을 수반하게 되어 안전사고를 당하는 문제점을 안고 있으며, 탑승도중 다리에는 안전장치가 부재하여 회전을 하는 과정에서 다리가 임의로 움직이게 되어 고속으로 회전하는 2중의 프레임 사이에 끼이게 되어 대형의 안전사고를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종래의 어린이용 승물놀이구가 갖는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본 고안은 통상의 승물놀이구의 내부에 결합되는 2중의 프레임을 일정각도(예를 들면 약 3 ~ 20°정도가 바람직함)로 경사지게 설치하므로서 내측의 의자가 회전할 시에 발생하는 원심력을 몇배이상 증대시킬 뿐만 아니라 의자가 설치되어 있는 내측 프레임의 일측에는 일정 중량을 갖는 웨이터를 설치하므로서 각 프레임과 의자가 회전할 시 원심력을 일층 증대시켜 유희성이나 오락성을 일층 개선하고, 특히 의자에 안전장치를 부가하므로서 이를 탑승할 시 안전성을 크게 개선하고 하부의 다리가 위치하는 곳에 별도의 홀딩 장치를 부가하여 본 고안의 승물놀이구를 탑승하여 고속으로 회전할 시 안전사고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게 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전체 구성을 보인 정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안전장치를 별도로 보인 사시도.
제4도는 본 고안의 안전장치의 단면 구성도.
제5도는 본 고안의 안전장치의 작용 표시도.
제6도는 본 고안의 안전장치에 대한 제 2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제7도는 본 고안의 제 2실시예에 대한 정면도.
제8도는 본 고안의 제 2실시예에 대한 작용 표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승물놀이구 2 : 프레임
3 : 작동장치 4 : 캐스터
5 : 지지프레임 6 : 연결부
7 : 연결부 8 : 회전프레임
9 : 회전프레임 10 : 축지부
11 : 축지부 12 : 중심부
13 : 의자 14 : 안전장치
15 : 안전레버 16 : 통체
17 : 걸림치차 18 : 걸림핀
19 : 스프링 20 : 조절봉
21 : 작동레버 22 : 요입홈
23 : 안전벨트 24 : 발판
25 : 웨이트 26 : 접지치차
27 : 접지치차 28 : 접지스프링
29 : 출력축
제1도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원형의 지지프레임(5)을 연결부(6, 7)에 의해 프레임(2) 상측에 고정식으로 설치하고, 내부에 2중으로 회전프레임(8, 9)을 수직으로 축지부(10, 11)에 의해 설치하며, 내측의 회전프레임(9)에는 의자(13)를 설치하고, 프레임(2)의 일측에는 작동장치(3)를 설치하여 내부에 내장된 모터(도시생략)의 출력축(29)에 의해 회전프레임(8)을 구동하므로서 각 회전프레임(8, 9)을 원심력에 의해 작동할 수 있게 한 통상의 승물놀이구(1)에 있어서, 본 고안은 지지프레임(5) 내부의 2중 회전프레임(8,9)을 중심부(12)에 대해 일정각도(θ : 예를 들면 3 ~ 20°정도)로 경사지게 설치하고, 바깥쪽 회전프레임(9) 상부 일측에 일정중량을 가지는 웨이트(25)를 설치하여 각 회전프레임(8, 9)의 원심력을 증대하며, 내부에 설치되는 의자(13)의 후방에는 안전레버(15)를 작동할 수 있는 안전장치(14)를 설치한다.
상기 안전장치(14)는 의자(13) 후방에 설치하되, 적정위치에 통체(16)를 설치하여 내부에는 안전레버(15)와 연결되는 걸림치차(17)를 형성하고, 이의 인접한 위치에는 작동레버(21)에 의해 각운동할 수 있는 조절봉(20) 중앙에 걸림핀(18)을 설치하며, 상기 걸림핀(18)의 일측에는 복귀력을 가지는 스프링(19)을 탄설하여 통체(16)에 연결하므로서 걸림핀(18)은 항상 걸림치차(17)에 접지될 수 있게 하여 작동 레버(21)를 작동하므로서 이탈 또는 접지될 수 있게 구성한다.
한편 발판(24)과 같이 설치되어 있는 의자(13)의 전방 하부에는 다리가 위치할 수 있는 형식의 요입홈(22)을 형성하여 이에는 일반적인 안전벨트(23)를 설치하여 탑승자의 다리를 견고하게 홀딩할 수 있게 구성한 것이다.
도면중 제6도, 제7도 및 제8도는 본 고안의 안전장치(14)를 다르게 변형실시한 것으로, 이는 안전레버(15)의 후방에 설치되는 통체(16)의 내부 구조를 변형한 것인 바, 즉 통체(16)의 내부에는 각각 분할 작동이 가능하게 대향의 접지치차(26, 27)을 설치하여 상호 접지식으로 걸림될 수 있게 구성하되, 일측의 접지치차(27)의 후방에는 접지스프링(28)을 탄설하여 접지스프링(28)의 탄발력에 의해 상호 접지되거나 분리되어 전방의 안전레버(15)를 작동할 수 있게 구성한 것이다.
도면 중 미설명 부호 4는 본 고안의 승물놀이구(1)의 이동 설치를 용이하게 하는 캐스터를 나타낸다.
물론 상기의 구성에 있어서 웨이트(25)의 중량은 회전력에 부합되게 설정할 수 있을 것이고, 한편 중심부(12)를 기점으로 일정각도(θ)로 경사지게 설정하는 중심부(12)에 대한 경사도는 굳이 언급을 하지 않더라도 임의의 각도로서 변형 실시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과 같은 구성으로 된 본 고안은 주로 유원지나 공원 또는 체력 단련장 등에 설치하여 탑승을 하므로서 유희성이나 오락성 또는 체력 단련을 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인 바, 이하 본 고안의 사용방법과 작용상의 효과를 도면과 함께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을 사용함에 있어서는 먼저 지지프레임(5)의 내부에 설치된 2중의 회전프레임(8,9) 내부 의자(13)에 탑승을 한 상태에서 작동장치(3)를 작동하므로서 작동장치(3)의 내부에 별도로 설치된 모터(도시생략)가 회전하여 이의 구동에 의해 출력축(29)이 작동하게 되어 프레임(2)의 내부에 축지부(10)(11)를 기점으로 설치된 2중의 회전프레임(8, 9)이 동시에 회전을 하게 되어 내부에 설치된 의자(13)가 회전 운동을 일으키므로서 탑승 놀이를 즐길수 있는 것인 바, 이러한 승물놀이구(1)의 기능은 일반적인 것이다.
본 고안은 내부에 설치되는 2중의 회전프레임(8,9)을 중심부(12)에 대해 일정각도(θ)로 경사지게 형성하므로서 원심력을 기존에 비해 일층 증대하여 유희성이나 오락성을 높이고, 내측의 회전프레임(9)의 일축에는 일정 중량을 갖는 웨이트(25)를 설치하므로서 모터의 동력이 전달될 경우 자체적인 원심력이 발생하여 회전력을 일층 증대하고, 특히 의자(13)의 전방에 설치되는 안전레버(15)의 작동을 임의로 조절할 수 있게 하여 안전성을 크게 개선한 것으로, 이하 본 고안의 구체적인 작용 상태를 살펴보기로 한다.
본 고안은 편의상 구성에서 설명한 순서로 살펴보면 프레임(2)의 상측에 설치된 지지프레임(5) 내측에 설치된 2중의 회전프레임(8, 9)의 축지부(10, 11)를 중심부(12)에 대해 일정각도(θ)로 경사지게 형성하고, 또한 내측의 회전프레임(9)의 일측에는 일정중량을 가지는 웨이트(25)를 설치하므로서 작동장치(3)의 내부에 설치된 모터의 동력이 출력축(29)을 구동시키게 되면 지지프레임(5)의 내부에 설치된 외측의 회전프레임(8)이 강력한 원심력의 발생으로 회전을 하게 되고, 이의 회전력은 중심부(12)를 기점으로 내부에 일정각도(θ)로 경사지게 형성된 축지부(10, 11)에 의해 내외측의 회전프레임(8, 9)은 동시에 회전을 하게 되는 것으로, 이때 상기와 같은 작동을 하게 될 경우는 각각의 회전프레임(8,9)에는 자체적인 회전에 따른 원심력이 발생하여 원활하게 회전을 하게 되고, 이의 회전력은 약 90°간격으로 축설된 각각의 회전프레임(8,9)을 원활하게 회전시키는 역할을 하게 되어 회전프레임(8,9)의 내부에 설치된 의자(13)에 탑승한 사람은 흡사 비행기를 타는 것과 같은 효과를 득할 뿐만 아니라 무중력 상태에서 활동하는 것과 같은 기분을 느낄 수 있으며, 한편으로는 강인한 체력과 건강한 정신을 기를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성장의 촉진은 물론 두뇌개발에 탁월한 효과를 발휘할 수 있고, 혈액순환이나 스트레스 해소 등의 기능과 더불어 비만의 방지와 피로회복에도 탁월한 효과를 발휘할 수 있게 되며, 특히 각각의 회전프레임(8,9)이 원활하게 회전을 하는 것은 맨 안쪽의 회전프레임(9)의 일측에는 일정중량을 가지는 웨이트(25)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상기와 같은 작동을 할 시 일단 2중의 회전프레임(8, 9)이 회전력을 전달받게 되면 다음으로는 적은 힘을 들이고도 원심력에 의해 매우 원활하게 회전을 할 수가 있으므로 동력의 소요를 최소화하면서도 회전력은 일층 높아지게 되어 승물놀이구(1)로서의 실용성이 양호한 것이다.
한편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점 이외에도 지지프레임(5)의 내부에 설치된 회전프레임(8,9)중 안쪽의 회전프레임(9)에는 의자(13)가 설치되어 탑승자가 탑승할 경우 안전성을 도모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의자(13)에 2중으로 안전장치(14)를 설치한 것으로, 즉 의자(13)에 탑승을 하여 회전을 할 시에는 하측의 발판(24) 상부에는 다리를 위치시킬 수 있는 요입홈(22)을 형성하고, 이에는 안전벨트(23)를 설치하여 다리를 완전하게 홀딩을 하므로서 탑승하여 회전을 하게 되면 다리가 임의로 분리되어 흔들리는 문제점이 해결되어 안전성이 크게 양호해지는 잇점이 부가되는 것이다.
또한 의자(13)의 후방에는 별도로 안전장치(14)를 설치하여 전방의 안전레버(15)를 작동할 수 있게 한 것으로, 이는 안전레버(15)의 후방에 설치되는 안전장치(14)를 통체(16)로서 구성하고, 이의 내부에는 걸림치차(17)를 안전레버(15)의 후단과 동일 선상에 설치하여 이의 하부에는 작동레버(21)가 형성된 조절봉(20)이 결합되어 내부에는 걸림치차(17)에 걸림되는 걸림핀(18)을 스프링(19)에 의해 탄설하므로서 의자(13) 전방의 안전레버(15)를 들어올려 탑승할 경우는 후방의 통체(16)에 결합되어 있는 작동레버(21)를 작동하여 걸림핀(18)을 이탈하므로서 안전레버(15)는 상측으로 들어올려지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의자(13)에 탑승을 한 상태에서 안전레버(15)를 하방으로 내리면 걸림치차(17)는 걸림핀(18)에 단순히 접지된 상태에서 슬립현상이 발생하면서 하측으로 내려오게 되고, 안전레버(15)가 체형에 부합되게 완전히 내려오면 후방의 걸림핀(18)이 스프링(19)의 탄력을 받으면서 걸림치차(17)의 표면에 걸리게 되어 걸림치차(17)를 정지시키게 되므로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원심력에 의한 회전시 탑승자를 보호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고안중 제6도, 제7도 및 제8도는 본 고안의 변형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이의 작용효과를 살펴보면 이는 본 고안의 기본적인 안전장치(14)의 기능과 동일하고, 다만 구조를 약간 변형한 것인 바, 즉 의자(13)의 전방에 설치된 안전레버(15)를 작동하기 위한 수단을 2중의 접지치차(26,27)를 이용하여 접지스프링(28)에 의한 탄발력으로 접지되거나 분리되게 하므로서 접지시에는 안전레버(15)가 정지되어 있고, 분리시에는 안전레버(15)가 임의로 움직일 수 있게 되어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안전장치(14)로서의 기능을 수행하게 되어 탑승후 회전을 할 경우 안전성이 보장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통상의 승물놀이구의 구조를 개량하여 웨이트에 의해 회전 원심력을 일층 증대하여 승물놀이구로서의 유희성이나 오락성을 일층 배가하고, 또한 승물놀이구를 중심부를 기점으로 일정각도 경사지게 형성하므로서 원심력의 증대는 물론 회전의 방향을 임의로 조절할 수 있게 함과 동시에 예기치 않은 회전으로 주로 무중력 상태의 우주공간을 탐험하는 것과 같은 비행사의 훈련과정을 수반할 수 있으며, 한편 체력을 단련하거나 각종의 건강에 따른 효과가 지대하여 어린이나 성인용의 놀이구로서 기대되는 효과가 크고, 특히 고속 회전이나 예기치 않은 작동을 할 시 안전성이 크게 개선되어 탑승중 불의의 안전 사고를 당하는 등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으므로 각종의 탑승놀이구로 사용할 경우 그 기대되는 실용적인 가치가 매우 우수한 고안이다.
본 고안은 주로 공원이나 유원지 또는 단련장 등에 설치하여 어린이나 성인들이 탑승하는 놀이 기구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의 특징은 놀이구를 이루는 프레임의 내부에 설치되는 안장을 자유자재로 유동할 수 있게 하고, 별도의 안전장치를 설치하므로서 유희성이나 오락성을 일층 개선하고 안전성을 크게 도모한 것이다.

Claims (2)

  1. 원형의 지지프레임(5)을 연결부(6, 7)에 의해 프레임(2) 상측에 고정식으로 설치하고, 내부에 2중으로 회전프레임(8, 9)을 수직으로 축지부(10, 11)에 의해 설치하며, 내측의 회전프레임(9)에는 의자(13)를 설치하고, 프레임(2)의 일측에는 작동장치(3)를 설치하여 내부에 내장된 모터(도시생략)의 출력축(29)에 의해 회전프레임(8)을 구동하므로서 각 회전프레임(8, 9)을 원심력에 의해 작동할 수 있게 한 일반적인 구조의 승물놀이구(1)에 있어서, 지지프레임(5) 내부의 회전프레임(8, 9)을 중심부(12)에 대해 일정각도(θ)로 경사지게 설치하고, 바깥쪽 회전프레임(9) 상부 일측에 웨이트(25)를 설치하며, 의자(13) 후방에 안전장치(14)를 설치하되, 통체(16)의 내부에 안전레버(15)와 연결되는 걸림치차(17)를 형성하고, 이에는 작동레버(21)에 의해 각운동할 수 있는 조절봉(20) 중앙에 걸림핀(18)을 설치하며, 걸림핀(18)의 일측에는 스프링(19)을 탄설하여 통체(16)에 연결하므로서 걸림핀(18)이 걸림치차(17)에 접지될 수 있게 하고, 발판(24)과 같이 설치되어 있는 의자(13)의 전방 하부에는 요입홈(22)을 형성하여 안전벨트(23)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물놀이구.
  2. 제1항에 있어서, 안전레버(15) 후방의 통체(16) 내부에는 각각 분할 작동이 가능하게 대향의 접지치차(26, 27)을 설치하여 상호 접지식으로 걸림될 수 있게 구성하되, 일측의 접지치차(27)의 후방에는 접지스프링(28)을 탄설하여 접지스프링(28)의 탄발력에 의해 상호 접지되거나 분리되어 전방의 안전레버(15)를 작동할 수 있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물놀이구.
KR2019980012211U 1998-07-06 1998-07-06 승물놀이구 KR20020927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2211U KR200209276Y1 (ko) 1998-07-06 1998-07-06 승물놀이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2211U KR200209276Y1 (ko) 1998-07-06 1998-07-06 승물놀이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9298U KR19980059298U (ko) 1998-10-26
KR200209276Y1 true KR200209276Y1 (ko) 2001-04-02

Family

ID=697106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12211U KR200209276Y1 (ko) 1998-07-06 1998-07-06 승물놀이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927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0872B1 (ko) * 2009-06-08 2011-11-07 조성국 회전식 게임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0513B1 (ko) * 2011-10-04 2013-07-26 박영식 회전운동기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0872B1 (ko) * 2009-06-08 2011-11-07 조성국 회전식 게임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9298U (ko) 1998-10-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067510A1 (en) Family swing
KR200209276Y1 (ko) 승물놀이구
CN212141449U (zh) 一种儿童游乐椅的转动调节机构
WO1995024248A1 (en) Playground carriage
CN110025934B (zh) 一种老人用亲子健身摇摇船
CN207694242U (zh) 一种旋转游乐设施
US4877236A (en) Rotating playground equipment assembly
KR101763200B1 (ko) 가상체험 vr 라이더
CN106606839B (zh) 一种滑雪机
JPS6348310Y2 (ko)
CN2603681Y (zh) 翻转式健身机
KR200429261Y1 (ko) 외줄타기용 민속운동기구
CN106457021A (zh) 操场器材
US4728098A (en) Rotating playground equipment assembly
KR200194492Y1 (ko) 놀이용 전투비행기
US9403098B1 (en) Polygonal swing assembly
JP3668267B2 (ja) 遊戯用乗物装置
CN2439888Y (zh) 双向可控旋转椅
KR200244785Y1 (ko) 누드식 본체 구조를 갖는 스윙식 놀이기구
CN214232744U (zh) 一种新型游乐园青蛙跳设备用固定挡具
KR100745048B1 (ko) 유희기구
KR100320956B1 (ko) 상부 타이어 마찰식 구조를 갖는 스윙식 놀이기구
CN218980411U (zh) 一种旋转木马
KR0129592Y1 (ko) 어린이용 승물놀이구
US3514102A (en) Occupant propelled,enclosed roundabou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905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