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26748A - 체액으로부터 단백질을 흡수하는 장치 - Google Patents

체액으로부터 단백질을 흡수하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26748A
KR20100126748A KR1020107020763A KR20107020763A KR20100126748A KR 20100126748 A KR20100126748 A KR 20100126748A KR 1020107020763 A KR1020107020763 A KR 1020107020763A KR 20107020763 A KR20107020763 A KR 20107020763A KR 20100126748 A KR20100126748 A KR 201001267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ys
enzymes
day
storage
plastic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207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쿠르트 마이어
사르반 쿠마르 문잘
Original Assignee
덴토그노스틱스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덴토그노스틱스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덴토그노스틱스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001267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2674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01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 H04L1/0023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characterised by the signalling
    • H04L1/0026Transmission of channel quality indic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0Other methods or instruments for diagnosis, e.g. instruments for taking a cell sample, for biopsy, for vaccination diagnosis; Sex determination; Ovulation-period determination; Throat striking implements
    • A61B10/004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ody liquids
    • A61B10/0051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ody liquids for taking saliva or sputum samp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3/00Containers or dishes for laboratory use, e.g. laboratory glassware; Droppers
    • B01L3/50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 B01L3/502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with fluid transport, e.g. in multi-compartment structures
    • B01L3/5023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with fluid transport, e.g. in multi-compartment structures with a sample being transported to, and subsequently stored in an absorbent for analysi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01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 H04L1/0023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characterised by the signalling
    • H04L1/0027Scheduling of signalling, e.g. occurrence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84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bsorbent pads
    • A61F2013/8473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bsorbent pads for diagnostic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300/00Additional constructional details
    • B01L2300/08Geometry, shape and general structure
    • B01L2300/0887Laminated structur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matology (AREA)
  • Path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ulmonology (AREA)
  • Clinical Laboratory Science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Biological Materials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Abstract

수용체 요소(receptor element) (10) 및 지지체 요소(support element) (20)를 포함하는, 체액, 특히, 치은 열구 삼출액(gingival crevicular fluid, GCF) 또는 누액(lacrimal fluid)로부터 물질, 특히, 효소와 같은 단백질을 흡수하기 위한 평면 장치(planar device)로서, - 상기 수용체 요소 (10)는 친수성이고 0.22㎛ 내지 5㎛, 특히, 0.5㎛ 내지 3㎛의 세공 크기를 가지며, 플라스틱 물질 또는 플라스틱 물질의 혼합물, 특히, 비활성 플라스틱 물질, 또는 비활성 플라스틱 물질의 혼합물로 구성되고; - 상기 지지체 요소 (20)는 소수성이고 상기 수용체 요소 (10)의 일 표면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뒤덮으며, 및 - 상기 장치는 상기 수용체 요소 (10)의 대향(opposing) 표면에 위치한 선별기(discriminator) 요소 (4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체액으로부터 단백질을 흡수하는 장치{Device for absorbing proteins from body fluids}
본 발명은 체액으로부터 단백질을 흡수하는 장치, 및 상기 장치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치은 열구 삼출액(Gingival crevicular fluid, GCF), 타액, 누액(lacrimal fluid) 또는 상처의 삼출액(exudations of wounds)은 비침습적 방식으로 따라서, 외과수술적 개입 없이, 예를 들면, 치과에서, 병상에서, 또는 경찰 통제 동안 회수될 수 있는 매질(media)이다. 진단에서, 이들은 특히, 인간 단백질 및 미생물로부터의 단백질, 의약(medicinal drug) 및 그들의 대사 산물, 중독성 물질(불법 약물) 및 그들의 대사 산물, 또는 자유 라디칼을 포함할 수 있기 때문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비침습적으로 수득된 체액 중의 물질의 농도는 포유동물의 혈청에 존재하는 그와 같은 물질의 수준의 유사한 이미지일 수 있다. 또한, 염증 마커와 같은, 국소적으로 나타나는 물질이 치주의 염증과 같은, 시료채취 부위에서 국소 병리적 변화를 나타낼 수 있다. 그러나, 이들은 보다 낮은 농도, 부분적으로 상당히 더 낮은 농도로 존재하는 것으로 알려져서 (Uitto, Periodontology 2000, Vol. 31, 2003), 분석을 위해 고도로 민감한 방법이 요구된다(예를 들면, ELISA 방법과 같은 면역분석법).
예를 들면, 진단 또는 분석적 측정(분석법)에서, 그와 같은 물질의 농도는 하기에 대한 결론을 얻을 수 있게 한다:
- 현재 및 미래의 치주 질환(예를 들면, 치주염, 임플란트주위염, 치근 우식증);
- 현재 및 미래의 일반 질환(general disease)(예를 들면, 바이러스성 질환);
- 현재 및 가능한 전신성 질환(예를 들면, 당뇨병, 알레르기);
- 현재의 급성 질환 (감염);
- 면역 상태(백신접종);
- 미래 질환의 위험도(자유 라디칼, 면역 상태).
따라서, 예를 들면, 치은 열구 삼출액이 치아 분석에서, 특히, 치은염 및 치주염의 모니터링에서 검사된다. 치은염 및 치주염은 치아 세균막(dental biofilm)으로부터의 영구적 도전에 의해 유발된다. 그러나, 치주염이 실제로 발생했는지 여부는 숙주 개체의 방어 반응에 의해 결정된다. 숙주 내인성 콜라게나아제(endogenous collagenase)가 치주염 및 치조골 파괴(alveolar bone destruction)의 개시 및 진행을 유발한다.
치주발병성(periodontopathogenic) 파괴 과정의 가장 중요한 콜라게나아제는 MMP-8(matrix metalloproteinase-8), 또는 콜라게나아제 2이다.
매트릭스 메탈로프로테이나아제(MMP)는 3개의 상이한 형태로 발생한다:
1. 불활성 전구체 또는 전구 형태(pro form)(다형핵 과립구 중 저장 형태)
2. 활성화된 형태 또는 활성 형태
3. 저해된 형태 또는 복합체 형태(complex form).
조직 중의 분비된 활성 형태 (aMMP-8)가 궁극적으로 조직 파괴를 일으킨다. 높은 aMMP-8 수준은 활성 염증 및 따라서 치료를 필요로 하는 급성 상태를 나타낸다.
aMMP-8은 치주 조직이 파괴되는 시기를 인식하는 객관적인 진단 마커이다.
선행 기술에 따르면, 단백질은 수용체 요소(receptor element)로서 단순한 수분-흡수 막에 의해 체액으로부터 회수된다. 일반적으로, 블롯팅 페이퍼 스트립(blotting paper strip)이 이용된다. 시료가 블롯팅 페이터 스트립에 의해 채취되는 경우, 다수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GCF가 수집되는 경우, 시료는 타액 또는 외피(pellicle)와의 접촉에 의해 오염되거나 또는 희석될 수 있다. 또한, 상피 세포, 점막 세포, 세균, PMN 세포(polymorphonuclear neutrophil cells), 세포 성분 또는 고체와 같은 원치 않는 성분이 채취되거나 또는 부착되고 이후의 분석적 결정을 방해한다.
막의 형태 및 크기는 종종 비-표준화되고 따라서 채취되는 시료의 양의 변화를 초래할 수 있다. 적용 동안, 취급 문제(예를 들면, 액체로의 과도하게 깊은 액침(dipping), 불충분하고 불완전한 충전, 오배치된 적용(mispositioned application))가 적용 오류를 초래할 수 있다. 또한, 시료 및 그에 포함된 대상 분석물의 용리는 종종 불완전하고, 시간이 소요되며, 표준화될 수 없다.
US 2004/057876은 바람직하게는 타액을 흡수하고, 불순물 없이 GCF가 흡수될 수 없는 것인 장치를 개시한다. 또한, 이 장치는 평면형이 아니고 식별기 요소(discriminator element)를 포함하지 않는다.
EP-A-O 420 021은 치아 주머니(tooth pocket)에 적용될 수 없고, 결론적으 로 GCF를 흡수하지 않는 친수성 적층(laminated) 다공성 막을 개시한다. 이 막들은식별기 요소를 포함하지 않기 때문에, 사용 방향이 정의되지 않는다. 또한, 막들은 치아 주머니에 손상을 유발할 수 있는 둥근 단부(rounded end)를 포함하지 않는다.
WO 93/04193은 친수성 PVDF 막 및 플라스틱 지지체를 개시하나, 하나 이상의 식별기 요소, 또는 불순물 없이 GCF를 흡수할 수 있는 둥근 단부를 포함하는 장치를 개시하지 못한다.
US-A-5 656 448은 막 및 플라스틱 쉬트를 포함하는 면역분석용 딥 스틱(immunoassay dip stick)으로서, 상기 스틱은 둥근 단부 또는 식별기 요소를 포함하지 않는 것인 면역분석용 딥 스틱을 개시한다. 또한, 이 딥 스틱은 불순물 없이 GCF를 흡수할 수 없다.
종래 기술의 블롯팅 페이터 스트립(blotting paper strip)의 막 중의 시료의 수송은 제한된 정도로만 가능하므로, 시료는 예를 들면, GCF를 조사하기 위한 전세계적 연구에서, 시료 채취 장소에서 보다 가공되고 동결되어야 한다 (Uitto, Periodontology 2000, Vol. 31, 2003).
이는 또한 그와 같은 시료의 분석이 일부 대학에 한정되고, GCF의 범용적 이용, 예를 들면, 진단 매질로서의 이용이 이루어지지 않거나 가능하지 않았다는 결과를 초래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물질, 특히, 단백질의 개선된 흡수를 위한 장치로서, 물질의 저장을 가능하게 하고 또한 종래 기술의 수용체 요소의 언급된 단점을 극복하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흡수(absorption)"는 수용체 요소에 의한 물질의 흡수를 의미한다. 흡수는 수용체 요소의 표면에서의 침착(deposition)(흡착(adsorption))이 아니고, 수용체 요소의 대부분(bulk)으로의 흡수이다.
또한, "탄성계수(modulus of elasticity)" (영률(Young's modulus))는 물질의 경직도(stiffness)를 나타내는 물질 특성이다. 탄성계수의 SI 단위는 파스칼(Pascal) (N/m2)이다. 하기에 기재된 탄성계수 값은 실온(20 ℃)에 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식별기 요소(discriminator element)"는 장치의 사용 또는 도입의 방향을 정의하도록 의도된 요소를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평면(planar)이고, 특히, 상기 장치가 두 개의 주요한 대향하는 표면을 포함하고 및/또는 상기 장치가 예를 들면, 도 1 및 2에 따른 장치와 같은 2-차원 특징을 갖는 경우에 평면이다.
또한, "친수성(hydrophilicity)"은 물 또는 수용액을 채취(흡수)하는 물질의 능력을 의미한다. "소수성(Hydrophobicity)"은 친수성의 반의어이고 물질이 가능한 경우, 물 또는 수용액을 흡수하지 않는 경향을 의미한다.
또한, 화학적으로 "비활성(inert)"은 다른 물질과 화학적 반응을 수행하지 않거나 실질적으로 수행하지 않는 물질을 의미한다.
"플라스틱 물질(plastic material)"은 합성에 의해 제조된 유기 중합체로 구성된 물질을 의미한다. "플라스틱 물질의 혼합물(Mixtures of plastic materials)"은 2종 이상의 플라스틱 물질로 구성된다.
"저장(storage)"은 효소, 특히, aMMP-8이 3일 이상, 또는 1일 이상, 특히 1일 내지 31일의 기간 동안 저장되는 것을 의미한다. 저장 기간 동안, 효소는 "안정(stable)"하고 이는 효소의 활성이 상기 저장 기간 동안 유의성 있게 감소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은 예를 들면, 수용체 요소(receptor element) (10) 및 지지체 요소(support element) (20)를 포함하는, 체액, 특히, 치은 열구 삼출액(gingival crevicular fluid, GCF) 또는 누액(lacrimal fluid)로부터 물질, 특히, 효소와 같은 단백질을 흡수하기 위한 평면 장치(planar device)로서,
- 상기 수용체 요소 (10)는 친수성이고 0.22㎛ 내지 5㎛, 특히, 0.5㎛ 내지 3㎛의 세공 크기를 가지며, 플라스틱 물질 또는 플라스틱 물질의 혼합물, 특히, 비활성 플라스틱 물질, 또는 비활성 플라스틱 물질의 혼합물로 구성되고;
- 상기 지지체 요소 (20)는 소수성이고 상기 수용체 요소 (10)의 일 표면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뒤덮으며, 및
- 상기 장치는 상기 수용체 요소 (10)의 대향(opposing) 표면에 위치한 선별기(discriminator) 요소 (4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식별기 요소(40)는 상기 장치의 사용 방향을 표시하도록 의도되고, 상기 식별기 장치가 치아 주머니에, 예를 들면, 겸자(forcep)에 의해 배치될 수 있다는 것이 상기 장치의 하나의 장점이다. 상기 장치는 식별기 요소(40)가 전면을 향하고, 그에 의해 잘못된 적용이 방지될 수 있도록 치아 주머니 내에 배치되어야 한다. 결론적으로, GCF가 흡수되는 경우, 타액 또는 외피(pellicle)와의 접촉에 의한 시료의 오염이 방지된다.
또한, 세공 크기는 전체 세포 및 큰 세포 성분 및 미생물의 흡수를 배제시킨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5)의 일 구체예에서, 수용체 요소(10)는 0.6 ㎛ 내지 2.5 ㎛, 특히, 0.75 ㎛ 내지 1.75 ㎛, 또는 0.9 ㎛ 내지 1.35 ㎛의 세공 크기를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5)의 또 다른 구체예에서, 식별기 요소(40)는 상기 장치의 둥근 단부(30)의 대향 단부에 위치한다. 따라서, 식별기 요소는 상기 장치가 치아 주머니에 배치된 후 명확하게 보일 수 있다. 사용 방향을 표시하기 위해, 식별기 요소는 특정 색상, 형광, 또는 표시된(marked-up) 표면 등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그러나, 독성 물질 또는 유해한 물질 또는 다른 종류의 불순물을 방출하지 않는 표시의 모든 가능한 방법이 식별기 요소로서 이용될 수 있다.
또 다른 구체예에서, 수용체 요소(10)는 막이다. 또 다른 구체예에서, 그와 같은 막(10)은 플라스틱 물질, 또는 플라스틱 물질의 혼합물, 특히, 비활성 플라스틱 물질, 또는 비활성 플라스틱 물질의 혼합물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5)의 또 다른 구체예에서, 플라스틱 물질은 불화탄화수소(fluorohydrocarbon) 중합체, 특히, 폴리비닐리덴 플로오라이드(PVDF)이다.
또 다른 구체예에서, 수용체 요소(10) 및 지지체 요소(20)를 포함하는 장치(5)는 바람직하게는 1 내지 6 GPa, 특히, 2 내지 5, 1 내지 4, 1 내지 2, 1 내지 3 또는 2 내지 3 GPa의 탄성계수(영률)를 갖는 플라스틱 물질 또는 플라스틱 물질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체예에서, 지지체 요소(20)는 또한 탄성계수(영률)가 1 내지 4 GPa, 특히, 2 내지 3, 1 내지 2, 또는 1 내지 3 GPa인 플라스틱 물질 또는 플라스틱 물질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이는 장치(5)가 체액을 흡수했을 때 변형되지 않고 따라서 어려움 없이, 예를 들면, 치은 열구 또는 환자의 눈에서 체액으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또한, 이것은 치은 열구로부터의 체액만이 채취되고, 구강으로부터의 다른 체액, 예를 들면, 타액 또는 외피는 흡수되지 않는다는 장점을 갖는다.
도 5에 표시된 추가적인 구체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수용체 요소(10), 및 바람직하게는, 지지체 요소(20)에 둥근 단부(30)를 갖는다. 이 둥근 단부는 환자가 장치(5)에 의해 다치는 것을 방지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5)의 일 구체예에서, 수용체 요소(10)는 1.2 ㎛의 세공 크기를 갖는다. 수용체 요소는 최대 135 ℃/3082 hPa에서 45분 동안 가압멸균하는 것에 의해 멸균될 수 있다.
상기 장치(5)의 또 다른 구체예에서, 상기 장치는 체액 중 상기 장치의 원하는 침지 깊이를 표시하는 표시 요소(60)를 갖는다. 이는 장치(5)의 취급을 단순화시킨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또 다른 구체예에서, 지지체 요소(20)를 향하지 않는 수용체 요소(10)의 표면을 표시하는 색상 요소(40)가 둥근 단부(30)의 반대쪽에 제공된다. 따라서, 상기 장치의 수용체 면 및 전면과 후면이 결정되기 때문에, 이는 장치(5)의 올바른 취급을 촉진한다(도 1 내지 5 참조).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는 체액, 특히, 치은 열구 삼출액 또는 누액으로부터 물질, 특히, 콜라게나아제, 매트릭스 메탈로프로테이나아제-8(MMP-8), MMP-13과 같은 효소, TNFα, 인터루킨-lβ (IL-lβ), 오스테오프로테게린과 같은 단백질의 흡수 및/또는 저장을 위한 장치(5)의 용도이다. 매트릭스 메탈로프로테이나아제와 같은 효소는 그들의 비활성 전구체 형태(자이모겐(zymogen) 등), 활성화 형태, 또는 저해된 형태로 흡수된다. 또한, 항체, 세균 단백질 또는 유리 라디칼도 흡수된다. 이 흡수된 물질은 선택적으로 저장 후에, 분석적으로 시험되거나 또는 또 다른 방식으로 과학적으로, 기술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 분석은 또한 상기 장치(5) 상에서 또는 그 내부에서 직접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장치(5)의 그와 같은 용도의 일 구체예에서, 효소는 1일 내지 31일, 특히, 7일 내지 31일, 또는 7일 내지 21일의 저장 기간 동안 4 ℃ 내지 42 ℃, 특히 4 ℃ 내지 37 ℃, 또는 8 ℃ 내지 20 ℃의 온도에서 안정하다. 이는 흡수된 물질을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실온에서도 간단한 저장 및 또한 간단한 운송을 가능하게 한다.
그와 같은 저장 후에, 효소의 활성은 거의 유지되거나 또는 실제로 유지된다. 이는 효소의 활성이 저장 동안 감소되지 않으나, 상기 장치(5)에 의해 보존된다는 것을 입증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체예는 단백질, 특히 효소를 안정화시키기 위한 상기 장치(5)의 용도에 관한 것으로, 효소, 특히, 효소의 에피토프의 면역 반응성이 저장 후에 거의 유지된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도이다.
도 1은 단면도로 본 발명에 따른 장치(5)의 예를 보여준다. 수용체 요소(10)는 지지체 요소(20)에 결합된다. 일 단부에서, 장치(5)는 체액을 흡인하는 둥근 단부(30)를 갖는다. 대향 단부에, 지지체 요소(20)로부터 벗어나 배향하는 수용체 요소(10)의 표면을 지정하는 식별기 요소(40)가 제공된다. 또한, 수용기 요소(10)의 충분한 충진을 나타내는 지시기 요소(indicator element)(50)도 도시된다. 표시 요소(60)는 체액 중 장치(5)의 원하는 침지 깊이를 나타낸다. 또한, 장치(5)는 결합 물질(attachment material)(80)을 통해 기부 요소(bottom element)(70)에 결합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5)의 예의 평면도(top plan view)이다. 본 발명에 따른 수용체 요소(10)는 둥근 단부(30) 및 식별기 요소(40)를 포함한다. 표시 요소(60)도 도시된다.
도 3은 여러 장치(5)가 기부 요소(70) 상에 제공되는 방식을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4는 결합 물질(80)을 통해 기부 요소(70)에 결합된 본 발명에 따른 장치(5)의 일 구체예의 치수를 포함하는 단면도를 보여준다.
도 5는 수용체 요소(10), 둥근 단부(30) 및 색상 요소(40)를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5)의 설계의 평면도를 보여준다.
도 6a 및 6b는 실온(RT) 및 37℃에서 인큐베이션된 흡수된 장치 중의 aMMP-8의 농도, 및 실온 (RT-K) 및 37℃ (37℃-K)에서 인큐베이션된 양성 대조군의 aMMP-8의 농도를 보여준다.
도 7은 4℃ 내지 42℃의 온도 변동에서 5일 동안 흡수된 스트립에서 aMMP-8의 일정한 양을 나타낸다.
도 8a 및 8b: RT 및 4℃에서 인큐베이션된 0일차 및 14일차 흡수된 스트립에서 회수된 aMMP-8의 농도가 표시된다.
도 9a 및 9b: RT 및 4℃에서 인큐베이션된 0일차 및 14일차 흡수된 스트립에서 농도측정기(densitometry)를 이용하여 정량된 aMMP-8의 농도가 표시된다.
도 10a 및 10b는 RT 및 4℃에서 인큐베이션된 0일차 및 14일차 흡수된 스트립에서 농도측정기를 이용하여 정량된 MMP-9의 활성화 형태의 농도를 개시한다.
도 11a 및 11b는 RT 및 4℃에서 인큐베이션된 0일차 및 14일차 흡수된 스트립에서 ELISA를 이용하여 정량된 미엘로퍼옥시다아제(MPO)의 농도를 개시한다.
실시예 1: 친수성 수용체 요소의 규격( specification )
막은 완전하고(integral), 균일한 필름으로 주조된다. 상기 막은 최대 135℃, 30 psig에서 45분 동안 가압멸균에 의해 멸균될 수 있다. 막의 완전성(integrity)은 포점(bubble point)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특성 제품 설계
재료 막을 변형된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리드로 제조됨.
측정 록스톡(Rollstock) 폭 ≥ 280 mm
두께 90㎛ ≤ x ≤ 140㎛
포점 (H2O) 8 hPa ≤x ≤ 13 hPa
유동(flow) 시간 (H2O) 25℃, 1.9 bar에서 x ≤20 초 (47 mm 디스크를 통해 500 ml)
발열원성(Pyrogenicity) < 0.5 Eu/ml 대장균 표준 내독소 (BVPPOOOOO only)
수축(Shrinkage) 126℃에서 45 분 동안 ≤2.2% , 2.7을 초과하지 않음(with no value > 2.7%).
습윤성(Wettability) 필터를 10 중량% NaCl(수용액) 중에서 30초 미만 동안 완전히 젖게함.
강도 X ≥771 g
신장(Elongation) x ≥ 15%
대상 추출물(Extractable) 산화성 물질: 유출액(effluent)은 100 ml WFI 플러슁(flush)(47mm)후 산화성 물질에 대한 현재의 USP 테스트를 통과해야 함.
중량에 의한 대상 추출물(gravimetric extractable) ≤ Methanol Soxhlet에 의한 0.50 중량 %.
독성 막은 현재의 USP 마우스 안전성 테스트를 통과하도록 제조됨.
실시예 2: 장치의 규격
기부 요소(Bottom Element)(70): ICI에 의해 제조된 Melinex 539 폴리에스테르 필름 (175 ㎛).
결합 물질(80): 의약 등급 접착제
지지체 요소(20):
제품 No: ARCARE 7815
접착제: ASIlO, 아크릴산 의약 등급 접착제
기재(substrate): 51 ㎛ 폴리에틸렌 필름 (PET)
코팅 : 실리콘 PET 코팅
식별기 요소(40): 착색 필름
실시예 3: 시료 수집 및 용리 방법
겸자로 GCF 수집 스트립을 치아 주머니에 30초 동안 배치하는 것에 의해 표준 방법에 따라 GCF 시료를 수집하였다. GCF 스트립은 식별기 요소(40)가 전면을 향하고 상기 스트립의 2-3 mm만이 치아 주머니에 남도록 치아 주머니에 배치되어야 한다. 30초 후에, GCF를 담은 스트립을 1.5 ml 에펜도르프 튜브에 배치한다.
용리(elution): 용리 완충액(15 mM Na2HPO4*12 H2O, 7 mM NaH2PO4*H2O, 550 nM NaCl, 0,05% 5-브로모-5-니트로-l,3-디옥산 (BND), 0,2% 우혈청 알부민(BSA) 및 0,3% 트윈 20 (Polysorbat 20) 또는 테트로닉(Tetronic) 1307 (BASF SE, 에틸렌 옥시드/프로필렌 옥시드의 블럭 공중합체))을 스트립을 담은 에펜도르프 튜브에 피펫을 이용하여 넣고 실온에서 5분 동안 인큐베이션시켰다. 상기 튜브를 실온에서 5회 이상 수동으로 뒤집고 조심스럽게 겸자로 스트립을 꺼냈다. 시료(용리 후)를 즉시 분석하거나 -20℃에 보관했다.
aMMP-8 민감성 ELISA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로 시료를 정량적으로 분석하였다. 용리액(eluate)을 Prescher 등 및 Munjal 등의 방법에 따라 더 분석하였다 (Prescher et al., Ann N Y Acad Sci, 2007, 1098, 493-95; Munjal et al., Ann N Y Acad Sci, 2007, 1098, 490-92).
실시예 4: aMMP-8의 정량적 검출을 위한 ELISA
절차: 제조사의 설명서(dentoELISA, dentognostics GmbH, Jena, Germany)에 따라 ELISA를 수행하였다. ELISA는 aMMP-8 (Hanemaaijer et al 1997)에 대한 두 개의 특이적 단일클론(mab) 항체 (K8708 및 K8706) (Medix Biochemica, Finland)를 이용한 샌드위치 면역분석 시스템에 기반했다. 요약하면, 96-웰, 편평-바닥 플레이트 (Nunc)를 자동화된 ELISA 코팅 플랫폼(Seramun, Germany)을 이용하여 1 ㎍/ml의 농도로 mab K8708로 코팅하였다. 임상 시료를 희석-완충액에 1:50으로 희석하는 것에 의해 제조하였다. 모든 표준 및 대조군은 ELISA의 Instruction 매뉴얼(Instruction's manual of the ELISA)에 따라 제조하였다. 표준, 대조군, 및 희석된 임상 시료 lOO㎕를 2개씩(duplicate) 적합한 웰에 분배하였다. 상기 플레이트를 포일로 뒤덮고 37℃에서 1시간 동안 인큐베이션시켰다. 상기 플레이트를 자동 세척기(automated washer)를 이용하여 세척 완충액으로 5회 세척하였다. 폴리-호스래디쉬(horseradish) 퍼옥시다아제에 접합된 검출 항체(K8706)를 모든 웰에 0.25 ㎍/ml의 농도로 첨가하였다. 상기 플레이트를 포일로 뒤덮고 37℃에서 1시간 동안 인큐베이션시켰다. 상기 플레이트를 자동 세척기를 이용하여 세척 완충액으로 5회 세척하였다. TMB 기질(Seramun, Germany)을 모든 웰에 첨가하고 상기 플레이트를 실온에서 15분 동안 인큐베이션시켰다. 반응을 4% H2SO4에 의해 중단시키고 ELISA 판독기 (Tecan)에서 450/620 nm에서 흡광도를 판독했다. MMP-8 항원 (Invent, Germany)에 의한 보정(calibration) 곡선을 항상 각 플레이트에 포함시켰다.
결과 (각 시료의 aMMP-8 값)는 하기와 같이 계산하였다:
1. 각 표준 대조군 및 테스트된 임상 시료의 평균 흡광도를 계산하였다.
2. 표준의 평균 흡광도(Y-축) 대 그의 상응하는 농도의 로그값(X-축)으로 회귀 곡선을 작성하였다.
3. 이 표준 곡선으로부터 단순한 보간법(interpolation)을 이용하고 희석 배수(1:50)를 곱하는 것에 의해 상응하는 aMMP-8 농도를 결정하기 위해 각 임상 시료의 평균 흡광도를 이용하였다.
4. 최고 표준보다 더 높은 평균 흡광도를 갖는 시료를 보다 높은 희석 배수로 다시 테스트하였다.
실시예 5: GCF 스트립 중의 aMMP-8 항원의 스트레스 인큐베이션 안정성
방법: 음성 임상 시료 중의 aMMP-8 항원을 희석시키는 것에 의해 두 개의 "스파이크 시료(spike sample)"를 제조하였다. 스파이킹된 시료를 고(High) (40㎍/ml) 및 중(Medium) (lO㎍/ml)으로 분류하였다. 각각의 스파이킹된 시료 1 ㎕를 스트립(n=36) 위에 피펫에 의해 적용하고 스트립을 1.5 ml 에펜도르프 튜브에 넣었다. 상기 에펜도르프 튜브를 37℃ (n = 18) 및 RT (n = 18)에서 인큐베이션시켰다. aMMP-8 항원을 흡수시킨 후 스트립을 흡수된 스트립(absorbed strip)으로 표시하였다. 또한, 각각의 스파이킹된 시료 1 ㎕를 용리 완충액을 담은 에펜도르프 튜브에 직접 피펫을 이용하여 첨가하고 37℃ (n = 18) 및 RT (n = 18)에서 양성 대조군으로 인큐베이션시켰다. 음성 임상 시료(스파이킹 불포함) l㎕를 용리 완충액을 담은 에펜도르프 튜브에 직접 피펫을 이용하여 첨가하고 37℃ (n = 18) 및 RT (n = 18)에서 음성 대조군으로 인큐베이션시켰다.
용리 시간:
2개의 스트립 각각에 대해 0일차, 1일차, 4일차, 7일차, 15일차, 21일차 및 31일차에 용리를 수행하였다. 대조군 튜브도 유사한 방식으로 분리하였다. 용리된 시료 및 대조군 튜브를 -20℃에 보관하고 이후에 함께 테스트하였다. 용리된 시료를 전술된 바와 같이 ELISA로 테스트하였다.
결과: 흡수된 스트립 중의 aMMP-8 농도(고 또는 중)는 37℃에서 31일의 기간 동안 인큐베이션한 후에도 안정했다(도 6a 및 6b). 도 6a 및 6b는 실온(RT) 및 37℃에서 인큐베이션시킨 흡수된 스트립 및 실온 (RT-K) 및 37℃ (37℃-K)에서 인큐베이션시킨 양성 대조군 중의 aMMP-8의 농도를 도시한다. 양성 대조군 시료에서 농도의 약간의 감소가 있었다; 그러나, 흡수된 스트립 중의 농도는 안정적으로 유지되었다. 음성 대조군 시료에서는 aMMP-8이 검출되지 않았다. 이는 aMMP-8이 흡수된 스트립에서 매우 안정적이고 보존 또는 저장 또는 수송을 위한 매질로서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실시예 6: GCF 스트립 중의 aMMP-8 항원의 수송 안정성
방법: 음성 임상 시료 중에 aMMP-8 항원을 희석시키는 것에 의해 하나의 "스파이크 시료(spike sample)"를 제조하였다. 스파이킹된 시료를 중(lO㎍/ml)으로 분류하였다. aMMP-8 항원에 대한 스트립의 흡수의 두 가지 방법을 이용하였다.
흡수 방법 I: 스파이킹된 시료 1 ㎕를 스트립(n = 18)에 피펫에 의해 적용하고, 1.5 ml 에펜도르프 튜브에 넣었다.
흡수 방법 II: "치아 주머니 모델(teeth-pocket model)"로 명명된 치아 주머니와 유사한 방식으로 인공 모델을 제조하였다. 1 ㎕의 스파이킹된 시료를 "치아-주머니 모델"의 주머니에 피펫에 의해 적용하고 개별적인 스트립을 실제 조건에서 사용된 것과 유사한 방식으로 "치아-주머니 모델"의 주머니에 넣었다. 스트립 (n = 18)을 30초 동안 스파이킹된 시료를 흡수하게 하고, 1.5 ml 에펜도르프 튜브에 넣었다.
또한, 1 ㎕의 스파이킹된 시료를 양성 대조군으로서 용리 완충액을 담은 에펜도르프 튜브 (n= 18)에 피펫을 이용하여 직접 적용하였다. 1 ㎕의 음성 임상 시료(스파이킹 불포함)를 음성 대조군으로서 용리 완충액을 담은 에펜도르프 튜브 (n= 18)에 피펫을 이용하여 직접 적용하였다.
모든 흡수된 스트립과 대조군을 수송 동안 일어날 것으로 예상되는 온도 변화에 적합한 하기의 조건에 적용시켰다:
- 상기 두 방법 모두의 두 개의 스트립을 기준(0일 차)으로 즉시 용리시켰다. 두 개의 대조군도 0일 차 기준(Day 0 reference)으로 분리하였다.
- 모든 나머지 튜브 및 대조군을 실온(RT)에서 1시간 동안, 4℃에서 4시간 동안, 42℃에서 16시간 동안 인큐베이션시켰다.
- 8개의 스트립으로부터의 용리를 중간 기준(1일 차)으로서 수행하였다. 8개의 대조군 튜브도 1일 차 기준으로서 분리하였다.
- 모든 나머지 튜브 및 대조군을 RT에서 2일, 4℃에서 2일, 및 RT에서 2시간 동안 인큐베이션시켰다.
- 모든 나머지 스트립에 대해 용리를 수행하였다. 이를 최종 기준(5일 차), 수송의 완료로 간주하였다. 나머지 모든 대조군 튜브도 분리하였다.
용리된 시료 및 대조군 튜브를 -20℃에서 보관하고 함께 테스트하였다. 용리된 시료를 전술된 바와 같이 ELISA로 테스트하였다.
결과: 시료의 수송 동안 일어날 수 있는 온도 변화 동안 흡수된 스트립에서 aMMP-8의 농도는 안정적으로 유지되었다(도 7). 도 7은 4℃ 내지 42℃의 온도 변화를 동반한 5일의 기간 동안 흡수된 스트립 중의 aMMP-8의 일정한 양을 도시한다. 두 개의 흡수 방법 간에 차이가 관찰되지 않았다. 동일한 기간 동안 양성 대조군(PK)에서 유사한 결과를 관찰했다; 그러나, 본 발명자들은 이전의 실험으로부터 31일의 기간 동안 실온 및 37 ℃에서 유지된 경우 양성 대조군 중 aMMP-8 농도의 작은 감소가 있었다는 것을 관찰했다. 음성 대조군 시료에서 aMMP-8은 검출되지 않았다.
실시예 7: 환자(임상적 시료)로부터 수집된 흡수된 GCF 스트립 중 aMMP-8의 안정성.
방법:
1. GCF 수집: 건강한 치아, 치은염 치아, 및 치주염 치아로부터 표준 절차(수집 스트립)에 의해 GCF를 수집하였다 (Munjal et al., 2007; Mantyla et al., 2003). 각 치아(동일한 부위)로부터 매 30분의 갭 후에 4회 동안 4개의 시료를 수집하였다. 대상자들에게 시료 채취 1시간 전 및 시료 채취 기간 동안 먹거나 마시지 말 것을 당부했다.
2. 용리: 스트립을 즉시 용리시키거나 또는 4℃ 또는 실온 (RT)에서 에펜도르프 튜브에 유지시키고 0일차, 4일차, 7일차, 및 14일차에 용리시켰다. 나중에 용리시킨 각 스트립을 0일 차 기준(즉시 용리)을 가졌다. 시료(용리 후)를 상이한 분량으로 나누고, -20℃에 보관하였다.
3. aMMP-8 회수 분석법: GCF 시료 중 aMMP-8의 농도를 전술된 바와 같이 ELISA로 결정하였다.
4. 이소형(isoform) 프로파일 및 콜라게나아제 활성: MMP-8 및 MMP-13의 분자량 형태를 제조사(GE Healthcare, Amersham, UK)에 의해 권장된 프로토콜에 따라 변형된 ECL 웨스턴 블롯팅 키트에 의해 검출하였다. 요약하면, 14 ㎕ GCF 시료를 환원시약을 포함하지 않는 5 ㎕의 변형된 Laemmli 시료와 혼합하고 5분 동안 가열하고, 뒤이어 11% 소디움 도데실 술페이트(SDS)-폴리아크릴아미드 겔에 의한 단백질 분리를 수행했다. 전기영동 후에, 단백질을 니트로셀룰로오스 막(Protran, Whatman GmbH, Dassel, Germany)으로 전기이동(electrotransfer)시켰다. 비-특이적 결합을 TBST 완충액(22 mM NaCl 및 0.05% Triton-X를 포함하는 10 mM Tris-HCl, pH 7.5) 중 5% 분유 (Valio Ltd ., Helsinki, Finland)로 1시간 동안 블록킹시켰다. 그 후, 상기 막을 TBST에서 15분 동안 3회 세척하고 TBST 중에 밤새 방치하고 다음날 오전, 막을 일차 항체 다중클론 항-MMP-8 (1:500) (Hanemaaijer et al. 1997, J Biol Chem 272: 31504-9; Sorsa et al., 1994, Ann NY Acad Sci 732: 112-31) 및 단일클론 항-MMP-13 ([1 ㎕/ml], Calbiochem, A Brand of EMD Biosciences, Inc. La JoIIa, CA, An Affiliate of Merck KGaA, Darmstadt, Germany, Cat #IM44L)과 5시간 동안 인큐베이션시켰다. 이차 항체로서, 호스래디쉬 퍼옥시다아제-결합 MMP-8에 대한 항-토끼 IgG 및 MMP-13에 대한 항-마우스 IgG (GE Healthcare)와 1시간 동안 인큐베이션시켰다. 이차 항체 적용 전 및 후에, 막을 TBST 중에서 15분 동안 4회 세척하였다. ECL(enhanced chemiluminescence) 시스템(GE Healthcare)을 이용하여 단백질을 가시화시켰다. MMP-8 및 MMP-13의 상이한 분자량 형태의 강도를 Quantity One, Basic -program (Bio-Rad Laboratories, Hercules, CA, USA)을 이용하고 Bio-Rad Model GS-700 Imaging Densitometer를 이용하여 스캐닝하고 분석하였다. 결과를 OD(optical density)/mm2(ODu)로 표현하였다.
5. 이소형 프로파일 및 젤라티나아제 활성: 2-메톡시-2,4-디페닐-3-(2H)푸라논 (MDPF, Fluka, Buchs SG, Switzerland) 표지된 젤라틴을 기질로 이용하여 1 mg/ml 형광 염료가 스며든 엔지모그래피(enzymography) 11% 소디움 도데실 술페이트(SDS)-폴리아크릴아미드 겔의 이용으로 젤라틴 용해 활성을 분석하였다. 전기영동 전에, GCF 시료 (14 ㎕)를 환원제를 포함하지 않는 변형된 Laemmli 시료 완충액 5 ㎕와 2 시간 동안 인큐베이션시켰다. 미리 염색시킨 저 범위 분자량 SDS-PAGE 표준(BioRad, Hercules, CA, USA)을 분자량 마커로 이용하였다. 전기영동 후에, 겔을 2.5% Tween 80, 0.02% NaN3를 포함하는 50 mM Tris-HCl 완충액, pH 7.5로 30분 동안 세척하고 그 후, 0.5 mM CaCl2 및 lμM ZnCl2가 보충된 동일한 완충액으로 30분 동안 세척하였다. 최종적으로, 상기 겔을 0.02% NaN3, 0.5 mM CaCl2 및 1 μM ZnCl2을 포함하는 50 mM Tris-HCl 완충액, pH 7.5 중에서 37℃에서 밤새 인큐베이션시켰다. 젤라틴의 분해를 UV 광 하에서 가시화시키고 1% Coomassie Brilliant Blue R 250으로 염색시켰다. 젤라틴 용해 활성은 염색된 겔 상의 청색 배경에 대해 투명한 밴드로 가시화되었다. 젤라틴 용해 활성의 강도를 Quantity One, Basic-program (Bio-Rad Laboratories, Hercules, CA, USA)를 이용하여, Bio-Rad Model GS-700 Imaging Densitometer로 평가하였다. 결과를 OD/mm2(ODu)로 표현하였다.
5. 기타 효소의 회수: 제조사의 프로토콜(PMN 엘라스타아제; Bender MedSystems GmbH, Campus Vienna Biocenter 2, Vienna, Austria and MPO; Immundiagnostik AG, Stubenwald-Allee 8a, Bensheim, Germany)에 따라, 상업적으로 입수가능한 ELISA(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키트를 이용하여 PMN 엘라스타아제 및 미엘로퍼옥시다아제(MPO) 농도를 결정하였다. PMN 엘라스타제의 경우, 소위 이차 항체를 호스래디쉬 퍼옥시다아제에 접합시키고, MPO의 경우, 토끼 항-MPO 퍼옥시다아제 표지 항체와 접합시켰다. 테트라메틸 벤지딘(TMB)을 모든 키트에서 기질로 이용하였다. 흡광도를 Labsystems Multiskan RC (Thermo Bioanalysis Corporation, Santa FE, USA)를 이용하여 450 nm에서 측정하였다. PMN 엘라스타아제 및 MPO 수준을 ng/ml로 표현했다.
결과:
aMMP-8 회수 분석법: RT 및 4℃에서 인큐베이션시킨 0일차 및 14일차 흡수된 스트립으로부터 회수된 aMMP-8의 농도가 각각 도 8a 및 8b에 도시된다. RT 및 4℃에서 인큐베이션시키고 0일차, 4일차, 7일차 및 14일차에 용리된, 흡수된 스트립으로부터 회수된 aMMP-8의 농도는 동일한 범위에 있고, 이는 실제 조건에서 14일 이상의 기간 동안 본 발명의 장치에서 효소의 안정성을 나타낸다.
콜라게나아제의 이소형 프로파일 및 그들의 농도측정 정량(densitometry quantification): MMP-8 유사 PMN 타입 전구-형태(pro-form), 섬유모세포 타입 전구-형태, 복합체 형태 및 단편화 없는 PMN 타입 활성화 형태의 상이한 분자량 형태가 웨스턴 블롯 분석에서 표현되었다. RT 및 4℃에서 인큐베이션시킨 0일차 및 14일차의 흡수된 스트립에서 OD/mm2로 표현된, 농도측정기를 이용하여 정량된 aMMP-8의 농도가 각각 도 9a 및 9b에 도시된다. 유사하게, MMP-13 유사 복합체 형태 및 전구-MMP-형태의 상이한 분자량 형태가 단편화 없이 표현되었다. 전구-활성 형태는 활성화되지 않았고, 이소형 중 어느 것도 흡수된 스트립에서 인큐베이션 기간 동안 더 단편화되지 않았다. 이는 MMP-8 및 MMP-13이 14일의 기간 동안 실온 및 4 ℃에서 인큐베이션시킨 흡수된 스트립 중에서 안정적이고 완전하다는 것을 나타낸다.
젤라티나아제 활성 및 그들의 농도측정기 정량화: 단편화 없는, MMP-9 및 2 유사 전구-형태, 복합체-형태 및 활성화된 형태의 상이한 분자량 형태가 웨스턴 블롯 분석에서 표현되었다. RT 및 4℃에서 인큐베이션시킨 0일차 및 14일차의 흡수된 스트립에서 OD/mm2로 표현된, 농도측정기를 이용하여 정량된 MMP-9의 활성화된 형태의 농도가 각각 도 10a 및 10b에 도시된다. 이는 콜라게나아제 뿐 아니라 젤라티나아제 활성 및 그들의 농도가 14일의 기간 동안 실온 및 4 ℃에서 흡수된 스트립 중에서 안정적으로 유지된다는 것을 나타낸다.
기타 효소의 회수: RT 및 4℃에서 인큐베이션시킨 0일차 및 14일차의 흡수된 스트립에서 ELISA를 이용하여 정량된 미엘로퍼옥시다아제(MPO)의 농도가 각각 도 11a 및 11b에 도시된다. 4℃ 및 RT에서 인큐베이션시킨 흡수된 스트립으로부터 회수되고, 0일차, 4일차, 7일차 및 14일차에 용리된 MPO의 농도는 동일한 범위에 있었고, 이는 실제 조건에서 14일 이상의 기간 동안 스트립에서 효소의 안정성을 나타낸다. 유사한 결과를 엘라스타아제의 농도에 대해서 관찰했다. 이는 여러 다른 효소 또는 단백질도 흡수된 스트리에서 안정적으로 유지되었다는 것을 나타냈다.
aMMP-8, 엘라스타아제 및 MPO 외에, GCF 중에 치과 질환에 대한 일부 다른 관련 인자들이 존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들 중 일부를 n = 12 개체를 포함하는 실험적 치은염(Experimental Gingivitis, EG) 연구 동안 시료 채취 시스템으로 분석하였다: 0일차 치아 세정 및 뒤이은 14일 동안 기계적 치아 세정 (즉, 양치질) 부재. 바이오마커의 평가를 스트립에 의한 GCF의 수집에 의해 수행하였다. 시료를 즉시 및 48시간 후에 용리시키고 용리물을 -20℃에 동결시키고 이후에 최신(state of the art) 연구실 방법에 의해 분석하였다. 평가된 단백질은 MMP-13, TNFα, 인터루킨 lβ, 오스테오프로테게린(OPG)이었다. 예상되는 바와 같이, 이 파라미터들은 적당량으로 EG 조건에 존재하지 않았고, 때때로 그들은 상응하는 ELISA 검출 테스트의 검출 한계 미만이었다. 따라서, 사용된 개별적인 테스트 키트로부터 취해진 보정물(calibrator)로 재평가를 수행했다. 따라서, 보정물(l㎕)을 단백질당 n=4로 스트립에 흡수시켰다. 상기 스트립 중 2개를 흡수 후 즉시 용리시키고, 두개는 4℃에서 48시간 동안 보관하고 그 후 용리시켰다. 모든 용리를 동일한 방식으로 수행했다: 스트립을 300-600 ㎕의 용리 완충액에 5분 동안 도입하고 이 기간 내에 5회의 5 진탕 사이클을 수행했다. 5분 후에, 스트립을 완충액으로부터 제거하고 용리액을 그 후 즉시 -20℃에 동결시켰다. 즉시 용리시킨 스트립과 4℃에서 48시간 동안 보관했던 스트립의 비교를 평가할 수 있었다. 결과는 일관되게 관찰 하의 모든 단백질에 대해 만족스러웠다. 농도 손실율은 0.3 내지 10.9 퍼센트의 범위였고 이용된 분석 방법의 상관 계수 내에 있었다. 실험의 횟수가 작았기 때문에, 평가된 모든 단백질에 대한 스트립의 보존 능력의 주장이 aMMP-8에 의해 확인된 데이터와 유사하다는 경향 예상이 주어질 수 있다.

Claims (13)

  1. 수용체 요소(receptor element) (10) 및 지지체 요소(support element) (20)를 포함하는, 체액, 특히, 치은 열구 삼출액(gingival crevicular fluid, GCF) 또는 누액(lacrimal fluid)로부터 물질, 특히, 효소와 같은 단백질을 흡수하기 위한 평면 장치(planar device)로서,
    - 상기 수용체 요소 (10)는 친수성이고 0.22㎛ 내지 5㎛, 특히, 0.5㎛ 내지 3㎛의 세공 크기를 가지며, 플라스틱 물질 또는 플라스틱 물질의 혼합물, 특히, 비활성 플라스틱 물질, 또는 비활성 플라스틱 물질의 혼합물로 구성되고;
    - 상기 지지체 요소 (20)는 소수성이고 상기 수용체 요소 (10)의 일 표면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뒤덮으며, 및
    - 상기 장치는 상기 수용체 요소 (10)의 대향(opposing) 표면에 위치한 선별기(discriminator) 요소 (4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체 요소 (10)는 0.6 ㎛ 내지 2.5 ㎛, 특히, 0.75 ㎛ 내지 1.75 ㎛의 세공 크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 제1항 및/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체 요소 (10)는 막인 것인 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하나 이상의 항에 있어서, 상기 물질은 불화탄화수소 중합체, 특히,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PVDF)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하나 이상의 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기 요소 (40)는 상기 장치의 둥근 단부 (30)의 대향 단부에 위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하나 이상의 항에 있어서, 상기 플라스틱 물질 또는 플라스틱 물질의 혼합물은 1 내지 6 GPa, 특히, 2 내지 5, 또는 1 내지 4 GPa의 탄성 계수(영률((Young's modulus))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하나 이상의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 요소 (20)도 탄성계수(영률)가 1 내지 4 GPa, 특히, 2 내지 3, 또는 1 내지 2 GPa인 플라스틱 물질 또는 플라스틱 물질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하나 이상의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수용체 요소 (10) 및 바람직하게는 지지체 요소 (20)에 둥근 단부 (30)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하나 이상의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체액 중에 상기 장치의 원하는 침지(immersion) 깊이를 나타내는 표시(marking) 요소 (60)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0. 체액, 특히, 치은 열구 삼출액(GCF) 또는 누액으로부터의 용리 후, 물질, 특히, 효소와 같은 단백질, 특히, MMP-8(matrix metalloproteinase-8), MMP-13과 같은 콜라게나아제, TNFα, 인터루킨 lβ (IL-lβ), 오스테오프로테게린(Osteoprotegerin)의 흡수 및/또는 저장을 위한 제1항 내지 제9항 중 하나 이상의 항에 따른 장치의 용도로서, 상기 저장 기간은 1일 내지 31일, 특히, 7일 내지 31일, 또는 7일 내지 21일인 것인 장치의 용도.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효소는 4 ℃ 내지 42 ℃, 특히 4 ℃ 내지 37 ℃, 또는 8 ℃ 내지 20 ℃의 온도에서 1일 내지 31일, 특히, 7일 내지 31일, 특히, 7일 내지 21일의 저장 시간에 걸쳐 안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의 용도.
  12.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단백질, 특히, 효소의 저장을 위한 것이고, 상기 효소의 활성은 상기 저장 후에 거의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의 용도.
  13.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단백질, 특히, 효소를 안정화시키기 위한 것이고, 상기 효소, 특히, 상기 효소의 에피토프의 면역 반응성은 상기 저장 후 거의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의 용도.
KR1020107020763A 2008-03-28 2009-03-30 체액으로부터 단백질을 흡수하는 장치 KR2010012674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8153560 2008-03-28
EP08153560.1 2008-03-2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6748A true KR20100126748A (ko) 2010-12-02

Family

ID=397139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20763A KR20100126748A (ko) 2008-03-28 2009-03-30 체액으로부터 단백질을 흡수하는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10092852A1 (ko)
EP (1) EP2273925A1 (ko)
JP (1) JP2011517488A (ko)
KR (1) KR20100126748A (ko)
CN (1) CN101977553B (ko)
WO (1) WO200911842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217034A1 (en) 2010-08-13 2013-08-22 Dentognostics Gmbh Process for avoiding false positive results in a detecting process of an inflammation indicator in a rinse solution for taking up gingival crevicular fluid
TWI526686B (zh) * 2014-07-11 2016-03-21 國立清華大學 檢測套組及檢測方法
CN105223040A (zh) * 2015-09-30 2016-01-06 中山大学中山眼科中心 一种取泪液的方法
EP3553521A1 (en) * 2018-04-12 2019-10-16 Koninklijke Philips N.V. Gingivitis diagnostic methods, uses and kits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176246A3 (en) * 1984-08-27 1988-08-31 JOHNSON &amp; JOHNSON DENTAL PRODUCTS COMPANY Method and kit for detecting the presence of gum disease
JPH0710252B2 (ja) * 1988-02-20 1995-02-08 昭和薬品化工株式会社 涙の分泌量測定紙
JPH02296152A (ja) * 1989-05-11 1990-12-06 Hidenobu Akutsu 病状示唆検知用紙
US5039619A (en) * 1989-09-20 1991-08-13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Method for detecting characteristic markers of disease in biological fluids
CA2025476A1 (en) * 1989-09-27 1991-03-28 Shan F. Ching Hydrophilic laminated porous membranes and methods of preparing same
KR910014706A (ko) * 1990-01-10 1991-08-31 원본미기재 세척이 필요없는 개량된 이뮤노어세이(immunoassay)장치
FI92882C (fi) * 1992-12-29 1995-01-10 Medix Biochemica Ab Oy Kertakäyttöinen testiliuska ja menetelmä sen valmistamiseksi
JPH08159932A (ja) * 1994-12-06 1996-06-21 Meito Sangyo Kk 検体採取用具、それを用いる測定方法ならびに測定キツト
JP3791640B2 (ja) * 1996-07-29 2006-06-28 久光製薬株式会社 検査用デバイス
US6143506A (en) * 1998-08-13 2000-11-07 The Research Foundation Of State Of Ny Diagnostic method for detection of periodontitis or peri-implantitis
JP4675027B2 (ja) * 2001-04-20 2011-04-20 株式会社札幌イムノ・ダイアグノスティック・ラボラトリー 口腔内分泌液の採取兼回収器具
US7374723B2 (en) * 2002-07-31 2008-05-20 Dräger Safety AG & Co. KGaA System for collecting and releasing saliva
CA2497530C (en) * 2002-09-03 2011-04-12 Whatman Plc Porous composite membrane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US20060127886A1 (en) * 2004-12-15 2006-06-15 Kaylor Rosann M Sample-efficient lateral flow immunoassay
US7939342B2 (en) * 2005-03-30 2011-05-10 Kimberly-Clark Worldwide, Inc. Diagnostic test kits employing an internal calibration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273925A1 (en) 2011-01-19
JP2011517488A (ja) 2011-06-09
US20110092852A1 (en) 2011-04-21
CN101977553B (zh) 2014-10-08
WO2009118423A1 (en) 2009-10-01
CN101977553A (zh) 2011-0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656763B1 (en) Oral collection device and kit
US5714341A (en) Saliva assay method and device
US7601546B2 (en) Diagnostic test devices
AU200323950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easuring white blood cell count
ES2396232T3 (es) Kit de test para detectar enfermedad periodontal
KR20100126748A (ko) 체액으로부터 단백질을 흡수하는 장치
US8685639B2 (en) Diagnosis and prognosis of wound infection by measurement of a phospholipase A2 in wound fluid
JP6415827B2 (ja) 紙装置を用いたトランスフェリンファミリータンパク質の検出
CA2165562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mmediate diagnosis of vaginal yeast infections
FI93026B (fi) In vitro -diagnostinen menetelmä periodontaalisten sairauksien toteamiseksi
ES2344210T3 (es) Diagnostico y prognosis de la infeccion de una herida mediante la medicion de una fosfolipasa a2 en fluido de herida.
JP2000283981A (ja) 尿量測定方法
US9404931B2 (en) Measurement of cytoskeletal proteins and uses thereof in diagnosis, prognosis and therapy
GB2411230A (en) Diagnostic test caps
Bodur et al. Neopterin profile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treatment in aggressive periodontitis
GB2411231A (en) Diagnostic swab or biopsy punch
RU2308723C2 (ru) Способ определения активности туберкулезного спондилита
RU22827U1 (ru) Планшет для серологических реакций
Tharani Effect of non surgical periodontal therapy on levels of Resistin in GCF of patients with chronic periodontitis and in Chronic periodontitis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mellitus
KR20240052334A (ko) 치주질환 진단용 키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