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26511A - 수중유 오가노폴리실록산 에멀젼 조성물, 상기 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원료, 및 상기 조성물을 사용한 두발 화장료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수중유 오가노폴리실록산 에멀젼 조성물, 상기 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원료, 및 상기 조성물을 사용한 두발 화장료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26511A
KR20100126511A KR1020107023032A KR20107023032A KR20100126511A KR 20100126511 A KR20100126511 A KR 20100126511A KR 1020107023032 A KR1020107023032 A KR 1020107023032A KR 20107023032 A KR20107023032 A KR 20107023032A KR 20100126511 A KR20100126511 A KR 201001265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mula
emulsion composition
group
parts
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230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데후미 다나카
쓰토무 나가나와
Original Assignee
다우 코닝 도레이 캄파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우 코닝 도레이 캄파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다우 코닝 도레이 캄파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001265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26511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12Preparations containing hair condition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6Emulsions
    • A61K8/062Oil-in-water 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9Derivatives containing from 2 to 10 oxyalkylene grou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6Polyeth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9Polysiloxanes
    • A61K8/891Polysiloxanes saturated, e.g. dimethicone, phenyl trimethicone, C24-C28 methicone or stearyl dimethic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9Polysiloxanes
    • A61K8/891Polysiloxanes saturated, e.g. dimethicone, phenyl trimethicone, C24-C28 methicone or stearyl dimethicone
    • A61K8/894Polysiloxanes saturated, e.g. dimethicone, phenyl trimethicone, C24-C28 methicone or stearyl dimethicone modified by a polyoxyalkylene group, e.g. cetyl dimethicone copolyo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9Polysiloxanes
    • A61K8/896Polysiloxanes containing atoms other than silicon, carbon, oxygen and hydrogen, e.g. dimethicone copolyol phosphate
    • A61K8/898Polysiloxanes containing atoms other than silicon, carbon, oxygen and hydrogen, e.g. dimethicone copolyol phosphate containing nitrogen, e.g. amodimethicone, trimethyl silyl amodimethicone or dimethicone propyl PG-beta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02Preparations for cleaning the h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4Polymers characterized by specific structures/properties
    • A61K2800/542Polymers characterized by specific structures/properties characterized by the charge
    • A61K2800/5422Polymers characterized by specific structures/properties characterized by the charge nonionic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 A61K2800/594Mixtures of polym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온성 계면활성제를 실질적으로 함유하지 않으며 장기간에 걸쳐 에멀젼 조성물이 분리되지 않고 보존안정성이 매우 높은 비이온성 수중유 오가노실록산 에멀젼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수중유 오가노실록산 에멀젼 조성물은 (A) 오가노실록산 100중량부, (B) 유기 개질된 오가노실록산 0.5 내지 35중량부, (C)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0.5 내지 35중량부, (D) 수용성 용제 0.5 내지 15중량부 및 (E) 물을 포함하고, 상기 조성물 중 (F) 이온성 계면활성제의 함량이 성분 (A) 100중량부당 0.1중량부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수중유 오가노폴리실록산 에멀젼 조성물, 상기 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원료, 및 상기 조성물을 사용한 두발 화장료의 제조방법{Oil-in-water organopolysiloxane emulsion composition, cosmetic ingredient comprising this composition, and method of producing a hair cosmetic using this composition}
본 발명은 수중유 오가노폴리실록산 에멀젼 조성물, 상기 에멀젼 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원료, 및 상기 에멀젼 조성물을 사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두발 화장료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특히, 본 발명은 보존안정성이 우수하고 장기간에 걸쳐서 분리되지 않는 수중유 오가노폴리실록산 에멀젼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추가로 본 발명은 상기 에멀젼 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원료에 관한 것이며, 상기 화장료 원료는 이온성 유화제를 실질적으로 함유하지 않기 때문에 화장료 기제 성분의 종류와 상관없이 혼입될 수 있으며 블렌딩 안정성이 우수하다. 추가로, 본 발명은 상기 에멀젼 조성물을 사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두발 화장료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수중유 오가노실록산 에멀젼 조성물은, 예를 들면, 섬유처리제, 이형제, 화장료, 염출제 등에서의 원료로서 광범위한 분야에서 사용된다. 특히 화장료 용도의 경우, 입자 크기가 큰 수중유 오가노실록산 에멀젼 조성물이 두발 화장료(예: 샴푸, 린스 등)으로 혼입되는 경우 강한 컨디셔닝 효과에 대한 기대를 근거로 기재되어 있다.
예를 들면, 특허 참조 1(JP 11-148011 A)은 평균 입자 크기가 1 내지 20㎛이고 오가노실록산, 양이온성 계면활성제, 다가 알코올 및 물을 포함하는 양이온성 에멀젼 조성물을 기재한다. 특허 참조 2(JP 07-188557 A)는 평균 입자 크기가 3 내지 100㎛이고 오가노실록산,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물을 포함하는 음이온성 에멀젼 조성물을 기재한다.
이들 에멀젼 조성물이, 예를 들면, 두발 화장료 중의 성분으로서 사용되는 에멀젼 조성물을 포함하는 경우, 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이들 에멀젼 조성물의 필수 성분이고, 두발 화장료(예: 샴프, 린스 등)에 사용되는 기제의 이온성에 따라 이들 에멀젼 조성물의 혼입 후의 안정성이 크게 불량해질 수 있다.
따라서, 양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두발 화장료 기제에 음이온성 에멀젼 조성물이 블렌딩되는 경우, 상기 기제 중의 계면활성제 상의 전하는 상기 에멀젼 조성물에서 계면활성제 상의 전하를 상쇄시키고 계면활성능(surfactancy)을 감소시키는 데, 이는 상기 두발 화장료 중의 에멀젼을 파괴시킬 수 있다. 또한, 양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두발 화장료 내로 상기 음이온성 에멀젼 조성물을 혼입하면 상기 두발 화장료 조성물의 점도가 감소하고 구성 성분이 경시적으로 분리되며 두발 화장료의 세정력이 감소하고 감촉이 경시적으로 불량해지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두발 화장료 기제에 양이온성 에멀젼 조성물을 혼입하는 경우에도 동일한 결과가 초래된다.
이로 인해, 이온성 유화제를 실질적으로 함유하지 않으며 기제로서 임의의 이온성을 갖는 이온성 계면활성제를 갖는 두발 화장료 내에도 문제 없이 혼입될 수 있는 비이온성 수중유 오가노실록산 에멀젼 조성물을 포함하는 두발 화장료 원료가 요구된다. 이온성 유화제를 실질적으로 함유하지 않으며 두발 화장료의 감촉 개선이 우수한, 입자 크기가 큰 수중유 오가노실록산 에멀젼 조성물이 특히 강력하게 요구된다.
더욱이, 지금까지 공지된 비이온성 수중유 오가노실록산 에멀젼 조성물의 범주 내에서, 입자 크기가 큰 수중유 오가노실록산 에멀젼 조성물을 제조하는 특정 경우에서의 문제는 경시적으로 상기 에멀젼 조성물에서 분리가 나타나는 것이며, 화장료 원료로서 사용하기에 충분한 장기 보존안정성 개선이 강력하게 요구된다.
[특허 참조 1] JP 11-148011 A
[특허 참조 2] JP 07-188557 A
본 발명자들이 상기 확인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집중적으로 연구한 결과, 본 발명을 달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온성 계면활성제를 실질적으로 함유하지 않으며 장기간에 걸쳐서 에멀젼 조성물이 분리되지 않는, 보존안정성이 높은 비이온성 수중유 오가노실록산 에멀젼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보다 특히, 본 발명의 목적은 레이저 회절ㆍ산란법에 의해 측정되는 에멀젼 입자의 평균 입자 크기가 1 내지 100㎛인 보존안정성이 높고 입자 크기가 큰 비이온성 수중유 오가노실록산 에멀젼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비이온성 수중유 오가노폴리실록산 에멀젼 조성물의 화장료 원료로서의, 특히 두발 화장료 원료로서 매우 적합한 용도를 추가로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기 비이온성 수중유 오가노폴리실록산 에멀젼 조성물을 사용하는 두발 화장료의 제조방법을 추가로 제공한다.
상술한 목적은 하기 항목들에 의해 달성된다:
"[1] (A) 화학식 RaSiO(4-a)/2(여기서, R은 각각 독립적으로 하이드록실 그룹, 또는 치환되지 않거나 수소 원자들 중의 일부가 할로겐으로 대체된 C1 -20 1가 하이드로카빌이고, 1.8 ≤ a ≤ 2.2이다)의 오가노폴리실록산 또는 오가노폴리실록산 혼합물 100중량부,
(B) 25℃에서의 점도가 10 내지 100,000mPaㆍs이고 질소 원자 함유 유기 그룹 및 에폭시 관능성 유기 그룹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유기 그룹을 분자 내에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오가노실록산 0.5 내지 35중량부,
(C)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0.5 내지 35중량부,
(D) 수용성 용제 0.5 내지 15중량부 및
(E) 물 10 내지 150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조성물 중 (F) 이온성 계면활성제의 함량이 성분 (A) 100중량부당 0.1중량부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유 오가노폴리실록산 에멀젼 조성물.
[1-1] 상기 항목 [1]에 있어서, (F) 이온성 계면활성제의 함량이 성분 (A) 100중량부당 0.01중량부 미만임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유 오가노폴리실록산 에멀젼 조성물.
[2] 상기 항목 [1]에 있어서, 성분 (B)가 화학식 1 내지 5로 나타낸 1가 유기 그룹 1종 이상을 분자 내에 갖는 오가노실록산임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유 오가노폴리실록산 에멀젼 조성물.
Figure pct00001
Figure pct00002
Figure pct00003
Figure pct00004
Figure pct00005
위의 화학식 1 내지 5에서,
R1은 각각 독립적으로, 치환되지 않거나 수소 원자들 중의 일부가 할로겐으로 대체된 C1 -20 2가 하이드로카빌이고,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카비놀 그룹, 및 치환되지 않거나 수소 원자들 중의 일부가 할로겐으로 대체된 C1 -20 1가 하이드로카빌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1가 관능기이고,
R3은 치환되지 않거나 수소 원자들 중의 일부가 할로겐으로 대체된 C1 -10 2가 하이드로카빌이고,
R4는 수소 원자, 카비놀 그룹, 폴리옥시알킬렌 그룹, 및 치환되지 않거나 수소 원자들 중의 일부가 할로겐으로 대체된 C1 -50 1가 하이드로카빌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1가 관능기이거나 또 다른 탄화수소형 화합물 또는 오가노실록산에 결합된 2가 유기 그룹이다.
[3] 상기 항목 [2]에 있어서, 성분 (B)가 화학식 6의 직쇄 또는 분지쇄 알킬렌 또는 화학식 7의 옥시알킬렌을 분자 내에 추가로 함유하는 오가노실록산임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유 오가노폴리실록산 에멀젼 조성물.
Figure pct00006
Figure pct00007
위의 화학식 6 및 7에서,
q는 2 내지 20의 수이고,
R5는 수소 원자, 또는 치환되지 않거나 수소 원자들 중의 일부가 할로겐으로 대체된 C1 -20 1가 하이드로카빌이다.
[4] 상기 항목 [1]에 있어서, 성분 (D)가 알코올임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유 오가노폴리실록산 에멀젼 조성물.
[4-1] 상기 항목 [4]에 있어서, 성분 (D)가 에탄올, 프로필렌 글리콜 및 글리세롤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알코올임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유 오가노폴리실록산 에멀젼 조성물.
[5] 상기 항목 [1] 내지 [4] 중의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레이저 회절ㆍ산란법에 의해 측정된 상기 에멀젼 입자의 평균 입자 크기가 1 내지 100㎛의 범위임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유 오가노실록산 에멀젼 조성물.
[6] 상기 항목 [1]에 있어서, 성분 (A)가 25℃에서의 점도가 0.65 내지 30,000,000mPaㆍs인 쇄상 메틸폴리실록산 또는 사이클릭 메틸폴리실록산이거나 이들 메틸폴리실록산의 혼합물이고, 성분 (B)가 화학식 8의 직쇄 오가노실록산이며, 성분 (C)가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하고, 성분 (D)가 알코올임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유 오가노폴리실록산 에멀젼 조성물.
Figure pct00008
위의 화학식 8에서,
R은 각각 독립적으로, 치환되지 않거나 수소 원자들 중의 일부가 할로겐으로 대체된 C1 -20 1가 하이드로카빌이고,
Ra는 각각, 화학식 1 내지 5로 나타낸 1가 유기 그룹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 1가 유기 그룹이고,
Rb는 하이드록실 그룹, 카비놀, 머캅토 및 카복실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1가 관능기이고,
Rc는 화학식 6'의 직쇄 또는 분지쇄 알킬이거나 화학식 7'의 폴리옥시알킬렌 그룹이고,
X는 화학식 6의 직쇄 또는 분지쇄 알킬렌 그룹이거나 화학식 7의 옥시알킬렌 그룹이고,
Y는 각각, R, Ra, Rb 및 Rc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 그룹이고,
(n + m + p + r + s)는 오가노폴리실록산의 25℃에서의 10 내지 100,000mPaㆍs의 점도를 제공하는 수이고,
n, m, p, r 및 s는 각각 독립적으로 0 또는 양수이고,
여기서, m = 0인 경우, Y 하나가 Ra로 나타낸 유기 그룹이거나 Y 둘 다가 화학식 Ra로 나타낸 유기 그룹이다:
[화학식 6']
Figure pct00009
[화학식 7']
Figure pct00010
위의 화학식 6' 및 7'에서,
q는 2 내지 20의 수이고,
R1은 치환되지 않거나 수소 원자들 중의 일부가 할로겐으로 대체된 C1 -20 2가 하이드로카빌이고,
R6은 수소 원자, 카비놀, 및 치환되지 않거나 수소 원자들 중의 일부가 할로겐으로 대체된 C1 -20 1가 하이드로카빌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1가 관능기이고,
t1 및 t2는 각각 0 또는 양수이고,
(t1 + t2)는 1 내지 50의 수이다.
[6-1] 상기 항목 [6]에 있어서, 성분 (C)가 상이한 HLB 값을 갖는 둘 이상의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유 오가노실록산 에멀젼 조성물."
상술한 목적들은 또한 하기 항목들에 의해 달성된다:
"[7] 상기 항목 [1] 내지 [6] 중의 어느 한 항목에 따르는 수중유 오가노폴리실록산 에멀젼 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원료.
[8] 상기 항목 [1] 내지 [6] 중의 어느 한 항목에 따르는 수중유 오가노폴리실록산 에멀젼 조성물을 포함하는 두발 화장료 원료.
[9] 두발 화장료의 제조 단계가 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물을 제조 용기 내로 도입하는 단계,
상기 항목 [1] 내지 [6] 중의 어느 한 항목에 따르는 수중유 오가노폴리실록산 에멀젼 조성물을 상기 제조 용기 내로 도입하는 단계 및
기계적 힘을 사용하여 혼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두발 화장료의 제조방법."
본 발명은, 이온성 계면활성제를 실질적으로 함유하지 않으며 장시간에 걸쳐서 에멀젼 조성물이 분리되지 않는 보존안정성이 높은 비이온성 수중유 오가노실록산 에멀젼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보다 특히, 본 발명은,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함유하며 레이저 회절ㆍ산란법에 의해 측정되는 에멀젼 입자의 평균 입자 크기가 1 내지 100㎛인 입자 크기가 크고 보존안정성이 높은 수중유 오가노실록산 에멀젼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에멀젼 조성물은 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함유하지 않기 때문에 다양한 유형의 화장료로 블렌딩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블렌딩된 경우 상기 화장료 기제에 존재하는 이온성 계면활성제의 종류로 인해 제한받지 않으면서 우수한 보존안정성을 제공할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한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은 상기 에멀젼 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원료를 제공할 수 있으며, 상기 화장료 원료는 장기간의 보존안정성을 나타내며 다양한 화장료와의 블렌딩 안정성이 우수함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본 발명은 상기 에멀젼 조성물을 포함하는 두발 화장료 원료를 제공할 수 있으며, 상기 두발 화장료 원료는 두발 화장료과의 블렌딩 안정성이 우수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된 비이온성 수중유 오가노폴리실록산 에멀젼 조성물 중에서, 레이저 회절ㆍ산란법에 의해 측정되는 에멀젼 입자의 평균 입자 크기가 1 내지 100㎛인 입자 크기가 큰 에멀젼 조성물은 두발에 대한 부착 성능이 매우 우수하다. 이로 인해, 이들 입자 크기가 큰 에멀젼 조성물은 보존안정성이 우수하고 두발 화장료과의 블렌딩 안정성이 우수하며 두발 화장료의 감촉을 개선하는 데 매우 유용한 두발 화장료 원료이다.
또한, 두발 화장료의 성분으로서의 상기 비이온성 수중유 오가노폴리실록산 에멀젼 조성물의 사용은, 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세정제인 기제를 갖는 두발 화장료의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의 수중유 오가노폴리실록산 에멀젼 조성물을 먼저 상세하게 기술할 것이다. 본 발명의 수중유 오가노폴리실록산 에멀젼 조성물은 후술되는 성분 (A) 내지 (E)를 포함하며 필수적으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사용하여 유화시킨 비이온성 수중유 오가노실록산 에멀젼 조성물이다. 본 발명의 비이온성 수중유 오가노실록산 에멀젼 조성물의 제1 특징은 이온성 계면활성제(F)를 실질적으로 함유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조성물 중의 이온성 계면활성제(F) 함량은 성분 (A)로서 지정된 오가노폴리실록산 100중량부당 0.1중량부 미만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성분 (A) 100중량부당 0.01중량부 미만이고,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성분 (A) 100중량부당 0.001중량부 미만이다.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양태에서, 상기 에멀젼 조성물은 이온성 계면활성제(F)를 함유하지 않는다.
이온성 계면활성제(F)를 상기 지정된 한도 초과량으로 함유하는 본 발명의 수중유 오가노폴리실록산 에멀젼 조성물이 화장품 원료로서 사용되는 경우, 상기 에멀젼 조성물에서 계면활성제 상의 전하는 화장품 기제용으로 사용된 이온성 계면활성제 상의 전하를 상쇄시키며, 이는 표면 활성을 저하시키고 화장료 중의 에멀젼 상태를 파괴시킬 수 있다. 이러한 에멀젼 조성물을 화장료 내로 혼입시키면, 화장료 조성물의 점도 감소, 화장료 조성물 중의 세정력 저하, 감촉의 경시적 악화, 상기 화장료 조성물 외관의 균일성 결여 등과 같은 부정적인 효과를 초래할 수 있다. 이러한 경향은 세정 성분으로서 다량의 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함유할 수 있는 두발 화장료의 경우 특히 중요하다.
이온성 계면활성제(F)는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또는 양이온성 계면활성제이며, 본 발명의 수중유 오가노폴리실록산 에멀젼 조성물은 하기 예시되는 이온성 계면활성제를 실질적으로 함유하지 않는다.
상기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의 예는, 포화 고급 지방산의 염 및 불포화 고급 지방산의 염(예: 나트륨 라우레이트, 나트륨 스테아레이트, 나트륨 올리에이트, 나트륨 리놀레네이트 등), 장쇄 알킬 설페이트의 염, 알킬벤젠설폰산(예: 헥실벤젠설폰산, 옥틸벤젠설폰산, 도데실벤젠설폰산 등) 및 이들의 염, 폴리옥시알킬렌알킬 에테르 설페이트 염, 폴리옥시알킬렌 알케닐 에테르 설페이트 염, 폴리옥시에틸렌 알킬 설페이트 에스테르의 염, 설포석신산의 알킬 에스테르의 염, 폴리옥시알킬렌 설포석신산의 염, 폴리옥시알킬렌 설포석신산의 알킬 에스테르의 염, 설포석신산의 에스테르와 폴리옥시알킬렌 개질된 디메틸폴리실록산과의 알칼리 금속염, 폴리옥시알킬렌알킬페닐 에테르 설페이트 염, 장쇄 알칸설폰산의 염, 장쇄 알킬 설포네이트, 폴리옥시에틸렌 알킬페닐 에테르 설페이트 염, 폴리옥시알킬렌 알킬 에테르 아세테이트 염, 장쇄 알킬 포스페이트의 염, 폴리옥시알킬렌 알킬 에테르 포스페이트의 염, 아실글루타메이트 염, α-아실설포네이트 염, 장쇄 알킬설포네이트 염, 알킬아릴설포네이트 염, 장쇄 α-올레핀설포네이트 염, 알킬나프탈렌설포네이트 염, 장쇄 알칸설폰산의 염, 장쇄 알킬 또는 알케닐 설페이트 염, 장쇄 알킬아미드 설페이트 염, 장쇄 알킬 또는 알케닐 포스페이트 염, 알킬아미드 포스페이트 염, 알킬로일알킬타우레이트 염, N-아실아미노산의 염, 설포석신산의 염, 알킬 알킬 에테르 카복실산의 염, 아미드 에테르 카복실산의 염, α-설포지방산 에스테르의 염, 알라닌 유도체, 글리신 유도체 및 아르기닌 유도체이다. 상기 언급된 염은 알칼리 금속염(예: 나트륨 염, 칼륨 염 등), 알칸올아민 염(예: 트리에탄올아민 염 등), 또는 암모늄 염일 수 있다.
양이온성 계면활성제의 예는 알킬트리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 스테아릴트리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 라우릴트리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 세틸트리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 우지 알킬트리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 베헤닐트리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 옥틸트리메틸암모늄 하이드록사이드, 도데실트리메틸암모늄 하이드록사이드, 스테아릴트리메틸암모늄 브로마이드, 베헤닐트리메틸암모늄 브로마이드, 디스테아릴디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 디코코일디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 디옥틸디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 디(POE)올레일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2EO), 벤즈알코늄 클로라이드, 알킬벤즈알코늄 클로라이드, 알킬디메틸벤즈알코늄 클로라이드, 벤즈에토늄 클로라이드, 스테아릴디메틸벤질암모늄 클로라이드, 라놀린 유도된 4급 암모늄 염, 스테아르산의 디에틸아미노에틸아미드, 스테아르산의 디메틸아미노프로필아미드, 베헨아미도프로필디메틸하이드록시프로필암모늄 클로라이드, 스테아로일콜아미노포르밀메틸피리디늄 클로라이드, 세틸피리디늄 클로라이드, 톨유 알킬 벤질하이드록시에틸이미다졸리늄 클로라이드, 및 벤질암모늄 염이다.
본 발명의 수중유 오가노폴리실록산 에멀젼 조성물의 제2 특징은, 상기 조성물이, (A) 화학식 RaSiO(4-a)/2(여기서, R은 각각 독립적으로 하이드록실 그룹, 또는 치환되지 않거나 수소 원자들 중의 일부가 할로겐으로 대체된 C1 -20 1가 하이드로카빌이고, 1.8 ≤ a ≤ 2.2이다)의 오가노폴리실록산 또는 이러한 오가노폴리실록산의 혼합물 100중량부, (B) 25℃에서의 점도가 10 내지 100,000mPaㆍs이고 질소 원자 함유 유기 그룹 및 에폭시 관능성 유기 그룹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유기 그룹을 분자 내에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직쇄 또는 분지쇄 오가노실록산 0.5 내지 35중량부, (C)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0.5 내지 35중량부, (D) 수용성 용제 0.5 내지 5중량부 및 (E) 물 10 내지 150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언급된 (F) 이온성 계면활성제를 실질적으로 함유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성분 (A) 내지 (E)는 아래에서 상세하게 기술된다.
성분 (A)는 본 발명의 비이온성 수중유 오가노실록산 에멀젼 조성물의 주성분이고, 화학식 RaSi0(4-a)/2의 오가노폴리실록산이거나 이러한 오가노폴리실록산의 혼합물이다.
상기 화학식에서 R은 각각 독립적으로 하이드록실 그룹, 또는 치환되지 않거나 수소 원자들 중의 일부가 할로겐으로 대체된 C1 -20 1가 하이드로카빌이고, 상기 화학식에서 1.8 ≤ a ≤ 2.2이다. R은 C1 -20 알킬을 포함하는 포화 지방족 하이드로카빌(예: 메틸, 에틸, 프로필, 부틸, 펜틸, 헥실, 헵틸, 옥틸, 노닐, 데실, 운데실, 도데실, 트리데실, 테트라데실, 펜타데실, 헥사데실, 헵타데실, 옥타데실 및 노나데실); C1 -20 알케닐을 포함하는 불포화 지방족 하이드로카빌(예: 비닐, 프로페닐 및 헥세닐); 포화 지환족 하이드로카빌(예: 사이클로펜틸 및 사이클로헥실); 방향족 하이드로카빌(예: 페닐, 톨릴 및 나프틸); 및 상기 언급된 하이드로카빌 중의 수소 원자의 일부를 할로겐, 예를 들면, 불소로 대체시켜 수득한 불소화 하이드로카빌(예: 플루오로알킬)로 구체적으로 예시된다. 메틸은 바람직하게는 모든 R의 70몰% 이상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R의 90몰% 이상이다.
성분 (A)인 상기 오가노폴리실록산은 바람직하게는 25℃에서의 점도가 0.65 내지 30,000,000mPaㆍs이고, 상기 오가노폴리실록산의 분자 구조에 대해 사이클릭, 직쇄, 분지쇄, 및 수지상 구조 중의 임의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성분 (A)인 상기 오가노폴리실록산은 오가노폴리실록산 단독일 수 있거나 둘 이상의 오가노폴리실록산을 포함하는 오가노폴리실록산 혼합물일 수 있으며, 후자의 경우 임의의 혼합 비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오가노폴리실록산은 하기와 같이 구체적으로 예시될 수 있으며, 각각의 경우 25℃에서의 점도가 0.65 내지 30,000,000mPaㆍs이다: 쇄상 메틸폴리실록산(예: 디메틸폴리실록산, 메틸페닐폴리실록산, α,ω-디하이드록시디메틸폴리실록산 등), 및 사이클릭 메틸폴리실록산(예: 옥타메틸사이클로테트라실록산, 데카메틸사이클로펜타실록산, 도데카메틸사이클로헥사실록산 등). 본 발명은 이들 오가노폴리실록산 중의 단 하나를 사용할 수 있거나 다수의 이들 오가노폴리실록산이 배합된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성분 (A)가 오가노폴리실록산의 혼합물인 경우, 바람직한 성분 (A)은 상이한 점도를 가진 둘 이상의 쇄상 메틸폴리실록산의 혼합물이거나 비교적 높은 중합도(DP)를 갖는 쇄상 메틸폴리실록산과 사이클릭 메틸폴리실록산(예: 옥타메틸사이클로테트라실록산)과의 혼합물이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르는 비이온성 수중유 오가노실록산 에멀젼 조성물이 두발 화장료용 성분으로서 사용되는 경우, 성분 (A)는 25℃에서의 점도가 3,000 내지 30,000,000mPaㆍs의 범위인 중합도가 비교적 높은 메틸폴리실록산을 하나 이상 함유하는 오가노폴리실록산 혼합물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고중합도의 쇄상 메틸폴리실록산의 사용은 상기 에멀젼 조성물의 혼입에 의해 생성되는 두발 화장료 사용 감각 개선을 추가로 증가시키는 것으로 예측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성분 (A)가 오가노폴리실록산의 혼합물인 경우 하기 혼합물이 바람직한 성분 (A)이다: 25℃에서의 점도가 3,000 내지 30,000,000mPaㆍs인 쇄상 메틸폴리실록산을 포함하는 성분 (A-1)과 25℃에서의 점도가 상기 성분 (A-1)의 점도보다 낮은 0.65 내지 5,000mPaㆍs의 범위인 쇄상 메틸폴리실록산을 포함하는 성분 (A-2)를 1:99 내지 99:1의 중량 비로 혼합한 혼합물. 본 발명의 성분 (A)의 보다 더 바람직한 양태는, 상술한 성분 (A-1)로서의 25℃에서의 점도가 5,000 내지 30,000,000mPaㆍs인 쇄상 메틸폴리실록산과 상술한 성분 (A-2)로서의 25℃에서의 점도가 0.65 내지 3,000mPaㆍs인 쇄상 메틸폴리실록산을 5:95 내지 90:10의 중량 비로 혼합한 혼합물이다.
성분 (A)가 오가노폴리실록산의 혼합물인 경우 하기 혼합물이 또한 바람직한 성분 (A)이다: 25℃에서의 점도가 3,000 내지 10,000,000mPaㆍs인 쇄상 메틸폴리실록산과, 옥타메틸사이클로테트라실록산, 데카메틸사이클로펜타실록산 및 도데카메틸사이클로헥사실록산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사이클릭 메틸폴리실록산을 1:99 내지 99:1의 중량 비로 혼합한 혼합물. 상기 혼합 비가 5:95 내지 90:10인 혼합물이 특히 바람직하다.
성분 (B)는 특정 관능기를 갖는 유기 개질된 실록산이고, 성분 (C)를 포함하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성분 (D)를 포함하는 수용성 용제와 배합에 사용되어 본 발명의 상기 비이온성 수중유 오가노실록산 에멀젼 조성물의 분리를 억제하고 실질적으로 개선된 보존안정성을 제공하는 성분이다. 성분 (B)는 성분 (A) 100중량부당 0.5 내지 35중량부의 양으로 본 발명의 에멀젼 조성물에 첨가되어야 하며, 바람직하게는 성분 (A) 100중량부당 1.0 내지 25중량부의 양으로 첨가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성분 (A) 100중량부당 1.5 내지 20중량부의 양으로 첨가된다.
상기 성분 (B) 함량이 상기 언급된 하한보다 낮은 경우, 상기 비이온성 수중유 오가노실록산 에멀젼 조성물은 만족스럽지 않은 보존안정성을 나타내며, 분리가 급속히 이루어질 수 있다(기준으로서 수일 내지 약 4주의 보관 기간 사용). 한편, 성분 (B) 함량이 상기 언급된 상한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비이온성 수중유 오가노실록산 에멀젼 조성물은 과도하게 높은 점도를 갖는 것으로 추정되어 취급시 문제를 일으킬 수 있으며, 추가로 상기 에멀젼 조성물의 보존안정성이 불만족스러워지며 분리가 급속히 이루어질 수 있다.
성분 (B)를 포함하는 유기 개질된 실록산은 25℃에서의 점도가 10 내지 100,000mPaㆍs이고 질소 원자 함유 유기 그룹 및 에폭시 관능성 유기 그룹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유기 그룹을 분자 내에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오가노실록산이다.
성분 (B)에 포함되는 질소 원자 함유 유기 그룹은 화학식 1의 아미노 그룹, 화학식 2의 디아미노 그룹 및 화학식 5의 아미드 결합 함유 유기 그룹으로 구체적으로 예시될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pct00011
화학식 2
Figure pct00012
화학식 5
Figure pct00013
상기 화학식 1, 2 및 5에서, R1은 각각 독립적으로, 치환되지 않거나 수소 원자들 중의 일부가 할로겐으로 대체된 C1 -20 2가 하이드로카빌, C2 -10 직쇄 또는 분지쇄 알킬렌, 플루오로알킬렌, 또는 아릴렌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R1의 예는 에틸렌, 프로필렌 및 부틸렌이다.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카비놀 그룹, 및 치환되지 않거나 수소 원자들 중의 일부가 할로겐으로 대체된 C1 -20 1가 하이드로카빌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1가 관능기이고, 수소 원자, 직쇄 및 분지쇄 C1 -10 알킬, 플루오로알킬, 아르알킬 및 아릴로 예시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바람직한 R2의 예는 수소 원자, 메틸, 에틸, 프로필, 페닐 및 벤질이다.
R3은 치환되지 않거나 수소 원자들 중의 일부가 할로겐으로 대체된 C1 -10 2가 하이드로카빌이고, 직쇄 및 분지쇄 C1 -5 알킬렌으로 예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R3의 예는 메틸렌, 에틸렌, 프로필렌 및 부틸렌이다.
R4는 수소 원자, 카비놀 그룹, 폴리옥시알킬렌 그룹, 및 치환되지 않거나 수소 원자들 중의 일부가 할로겐으로 대체된 C1 -50 1가 하이드로카빌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1가 관능기이거나 또 다른 탄화수소 화합물 또는 오가노실록산에 결합된 2가 유기 그룹이다. R4는 수소 원자, 직쇄 및 분지쇄 C1 -20 알킬, 플루오로알킬, 아르알킬 및 아릴로 예시될 수 있다. 또 다른 탄화수소 화합물 또는 오가노실록산에 결합된 2가 유기 그룹은 C2 -10 직쇄 및 분지쇄 알킬렌, 플루오로알킬렌 및 아릴렌으로 예시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화학식 5의 아미드 결합 함유 유기 그룹은 지방산 아미드로 개질된 그룹 또는 지방산 폴리에테르 아미드로 개질된 그룹이 바람직하다. R4의 바람직한 예는 수소 원자, 직쇄 및 분지쇄 C1 -50 알킬, 플루오로알킬, 아르알킬, 아릴, 및 폴리옥시알킬렌이다.
성분 (B)에 포함된 에폭시 관능성 유기 그룹은 화학식 3의 에폭시 개질된 그룹 및 화학식 4의 지환식 에폭시 개질된 그룹으로 구체적으로 예시될 수 있다.
화학식 3
Figure pct00014
화학식 4
Figure pct00015
위의 화학식 3 및 4에서,
R1 및 R2는 상기 정의한 바와 동일한 그룹이고, R2는 특히 바람직하게는 수소 원자이다.
본 발명에서 성분 (B)는 상술한 바와 같은 질소 원자 함유 유기 그룹 및 에폭시 관능성 유기 그룹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유기 그룹을 분자 내에 함유하는 오가노실록산이고, 바람직하게는 화학식 6의 직쇄 또는 분지쇄 알킬렌 그룹 또는 화학식 7의 옥시알킬렌 그룹도 분자 내에 함유한다. 이들 2가 유기 그룹은 성분 (B) 분자 중의 주쇄 위치, 성분 (B) 분자 중의 분지쇄 위치, 또는 성분 (B) 분자 중의 분자 쇄 말단 위치에서 결합될 수 있다.
화학식 6
Figure pct00016
화학식 7
Figure pct00017
위의 화학식 6에서 첨자 q는 2 내지 20의 수이고, 여기서 구체적인 예는 C3 -20 직쇄 및 분지쇄 알킬렌 그룹이다. 또한, 화학식 6의 유기 그룹은 성분 (B) 분자 중의 분지쇄 위치 또는 분자 쇄 말단 위치에 결합되는 경우 이러한 결합에 참여하는 유기 그룹의 바람직한 예는 화학식 6'의 C2 -20 직쇄 및 분지쇄 알킬이다. 본 발명의 오가노실록산 에멀젼 조성물이 파라핀과 같은 탄화수소형 오일을 다량 함유하는 화장료 내로 혼입되는 경우, 상기 탄화수소형 오일과의 친화성을 개선하기 위해 분자 내에 C8 -20 장쇄 알킬을 함유하는 성분 (B)가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화학식 6'
Figure pct00018
위의 화학식 6'에서,
q는 3 내지 20의 수이다.
화학식 7에서, R5는 수소 원자, 또는 치환되지 않거나 수소 원자들 중의 일부가 할로겐으로 대체된 C1 -20 1가 하이드로카빌이고, R5의 예는 수소 원자, 메틸, 에틸, 프로필 및 페닐이다. R5의 바람직한 예는 수소 원자 및 메틸이다.
화학식 7의 옥시알킬렌그룹은 1 내지 50개가 결합된 구조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성분 (B)는 옥시에틸렌 단위(C2H4O) 또는 옥시프로필렌 단위(C3H6O)를 함유하는 폴리옥시알킬렌 결합을 분자 내에 갖는 오가노실록산이다.
화학식 7의 유기 그룹이 성분 (B) 분자에서 분지쇄 위치 또는 분자 쇄 말단 위치에 결합되는 경우, 화학식 7'의 폴리옥시알킬렌 그룹은 이러한 결합에 참여하는 유기 그룹의 예이다.
화학식 7'
Figure pct00019
위의 화학식 7'에서, R1은 상기 정의된 바와 같다. R6은 수소 원자, 카비놀 그룹, 및 치환되지 않거나 수소 원자들 중의 일부가 할로겐으로 대체된 C1 -20 1가 하이드로카빌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1가 관능기이고, 본 발명에서 수소 원자, 메틸, 에틸 및 하이드록시에틸로 예시된다. t1 및 t2는 각각 0 또는 양수이고, (t1 + t2)는 1 내지 50의 수이다. (t1 + t2)는 2 내지 40 범위의 수가 특히 바람직하다.
이의 기타 관능기 또는 그룹(Rb)으로서, 상술한 성분 (B)은 하이드록실 그룹, 카비놀 그룹(예: 하이드록시에틸), 머캅토 그룹 및 카복실 그룹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1가 관능기를 함유할 수 있다. 추가로, 그리고 본 발명의 목적이 훼손되지 않는 한, 성분 (B)는 화학식 1 내지 7, 6' 및 7'에 상응하지 않는 유기 그룹을 분자 내에 함유하는 유기 개질된 오가노실록산, 예를 들면, 실록산 덴드리머 구조를 갖는 실리콘 쇄 구조, 당 쇄 개질된 그룹 등 일 수 있다.
화학식 8의 직쇄 오가노실록산은 고려 중인 성분 (B)를 포함하는 오가노실록산의 예이다.
화학식 8
Figure pct00020
화학식 8에서, R은 각각 독립적으로, 치환되지 않거나 수소 원자들 중의 일부가 할로겐으로 대체된 C1 -20 1가 하이드로카빌이고, C1 -20 알킬을 포함하는 포화 지방족 하이드로카빌(예: 메틸, 에틸, 프로필, 부틸, 펜틸, 헥실, 헵틸, 옥틸, 노닐, 데실, 운데실, 도데실, 트리데실, 테트라데실, 펜타데실, 헥사데실, 헵타데실, 옥타데실 및 노나데실); C1 -20 알케닐을 포함하는 불포화 지방족 하이드로카빌(예: 비닐, 프로페닐 및 헥세닐); 포화 지환족 하이드로카빌(예: 사이클로펜틸 및 사이클로헥실); 방향족 하이드로카빌(예: 페닐, 톨릴 및 나프틸); 및 상기 언급된 하이드로카빌 중의 수소 원자의 일부를 할로겐, 예를 들면, 불소로 대체시켜 수득한 불소화 하이드로카빌(예: 플루오로알킬)로 예시된다. 고려 중인 R에 대해, 메틸은 바람직하게는 모든 R의 70몰% 이상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R의 90몰% 이상이다.
상기 화학식에서, Ra는 각각, 화학식 1 내지 5로 나타낸 1가 유기 그룹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 1가 유기 그룹이고, 추가로 m = 0인 경우, 유기 그룹 Y는 화학식 8의 오가노실록산의 한쪽 말단 또는 양 말단에서 Ra이다. 따라서, 화학식 8의 오가노실록산은 화학식 1 내지 5의 1가 유기 그룹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1가 유기 그룹을 분자 내에 함유한다.
Rb는 하이드록실 그룹, 카비놀 그룹, 머캅토 그룹 및 카복실 그룹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1가 관능기이고, Rc는 화학식 6'의 직쇄 또는 분지쇄 알킬이거나 화학식 7'의 폴리옥시알킬렌 그룹이다. 본 발명의 성분 (B)에서 Rc는 폴리옥시에틸렌 그룹, 폴리옥시프로필렌 그룹을 포함하는 폴리옥시알킬렌 그룹, 또는 이들 단위 둘 다가 바람직하다.
X는 화학식 6의 직쇄 또는 분지쇄 알킬렌 그룹이거나 화학식 7의 옥시알킬렌 그룹이고, X 또는 X를 포함하는 결합 관능기가 실록산 단위와 교대로 상기 분자 내에 결합된 분자 쇄가 형성될 수 있다. Y는 R, Ra, Rb 및 Rc로부터 선택된 그룹이다. 그러나, m = 0인 경우, Y 하나가 Ra이거나 Y 둘 다가 Ra이다.
(n + m + p + r + s)의 값은 25℃에서 10 내지 100,000mPaㆍs의 점도를 갖는 오가노폴리실록산을 제공하는 수이고, n, m, p, r 및 s는 각각 독립적으로 0 또는 양수이다. (n + m)은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1,000 범위의 수이다. 본 발명의 성분 (B)에서 (n + m + p + r + s)는 오가노폴리실록산의 25℃에서의 100 내지 75,000mPaㆍs 범위의 점도를 제공하는 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300 내지 50,000mPaㆍs 범위를 제공하는 수이다.
본 발명의 특히 바람직한 성분 (B)는, 이의 분자 내에 존재하는 하나 이상의 Ra 이외에, 상기 분자 쇄의 말단(-Y), 분지쇄(-Rc) 및 주쇄(-Xr-)로부터 선택된 영역에서 폴리옥시에틸렌 그룹 또는 폴리옥시프로필렌 그룹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폴리옥시알킬렌 그룹을 함유한다. 한편, 바람직하게는 r 또는 s는 양수이고, r = 0이고 s = 0인 경우 하나 이상의 Y는 폴리옥시알킬렌 그룹이다.
고려되는 성분 (B)의 최적 예는 25℃에서의 점도가 100 내지 50,000mPaㆍs의 범위인 유기 개질된 폴리실록산이며, 이는 아미노 개질된 실록산, 에폭시 개질된 실록산, 지방족 아미드 개질된 실록산, 아미노폴리에테르 개질된 실록산, 아미드폴리에테르 개질된 실록산, 및 에폭시폴리에테르 개질된 실록산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다. 이들 유기 개질된 실록산(= 성분 (B))의 하나만을 사용하거나 다수를 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성분 (C)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이고, 본 발명에 따르는 수중유 오가노실록산 에멀젼 중의 주요 계면활성제이다. 성분 (C)가 전술된 성분 (B) 및 후술되는 성분 (D)와 배합하여 사용되더라도, 장기 안정성을 나타내는 유화 분산액은 이온성 계면활성제를 실질적으로 사용하지 않고 형성된다.
성분 (C)는 성분 (A) 100중량부당 0.5 내지 35중량부 범위로 본 발명의 에멀젼 조성물에 첨가되어야 하며, 바람직하게는 성분 (A) 100중량부당 1.0 내지 25중량부 범위로 첨가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성분 (A) 100중량부당 1.5 내지 20중량부 범위로 첨가된다.
성분 (C)의 혼입량이 상기 언급된 하한보다 낮은 경우, 상기 비이온성 수중유 오가노실록산 에멀젼 조성물은 만족스럽지 않은 보존안정성을 나타내며, 분리가 급속히 이루어질 수 있다(기준으로서 수일 내지 약 4주의 보관 기간 사용). 한편, 성분 (C)의 혼입량이 상기 언급된 상한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비이온성 수중유 오가노실록산 에멀젼 조성물의 점도는 과도하게 높아 취급시 문제를 일으킬 수 있으며, 추가로 상기 에멀젼 조성물의 보존안정성이 불만족스러워지며 분리가 급속히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성분 (C)는 다음과 같이 예시될 수 있다: 에틸렌 글리콜/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지방산 에스테르, 프로필렌 글리콜/지방산 에스테르, 폴리프로필렌 글리콜/지방산 에스테르, 글리콜/지방산 에스테르, 트리메틸올프로판/지방산 에스테르, 펜타에리트리톨/지방산 에스테르, 글루코사이드 유도체, 글리세롤 알킬 에테르의 지방산 에스테르, 트리메틸올프로판옥시에틸렌 알킬 에테르, 지방산 아미드, 알킬올아미드, 알킬아민 옥사이드, 라놀린 및 이의 유도체, 캐스터유 유도체, 경화된 캐스터유 유도체, 스테롤 및 이들의 유도체, 폴리옥시에틸렌 알킬 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알킬아릴 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알킬아민, 폴리옥시에틸렌 지방산 아미드, 폴리옥시에틸렌 알킬올아미드, 폴리옥시에틸렌 디에탄올아민/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 트리메틸올프로판/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알킬 에테르/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 글리콜,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 알킬 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 다가 알코올 에테르, 글리세롤/지방산 에스테르, 폴리글리세롤/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 글리세롤/지방산 에스테르, 소르비탄/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지방산 에스테르, 수크로즈/지방산 에스테르, 메틸(폴리옥시에틸렌)실록산ㆍ디메틸실록산 공중합체, 및 메틸(폴리옥시프로필렌)실록산ㆍ디메틸실록산 공중합체. 이들 화합물 중의 단 하나가 본 발명에 사용될 수 있거나 이들 화합물 중의 다수가 배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에멀젼 조성물 중에 HLB 값이 상이한 2종 이상의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사용하는 것이 입자 크기가 큰 에멀젼 조성물의 유화 안정성의 견지에서, 그리고 에멀젼 조성물의 보존안정성의 견지에서 특히 바람직하다. 그리핀(Griffin) 방법에 의해 정의된 바와 같은 HLB에 대해 본 발명에 의해 참조되는 HLB 값(친수성-친유성 균형 값)을 기준으로 하여, HLB가 4.0 내지 11.0의 범위인 하나 이상의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HLB가 11.1 내지 20.0의 범위인 하나 이상의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0.5:9.5 내지 9.5:0.5의 중량비로 공동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HLB 값이 상이한 둘 이상의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의 최적 중량비는 에멀젼 조성물의 입자 크기 및 성분 (A)의 종류 및 농도를 고려하여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성분 (D)는 수용성 용제이고, 하이드록실 그룹, 에테르 결합 등과 같은 구조를 분자 내에 함유하는 친수성 화합물이다. 이러한 성분 (D)를 전술한 성분 (B) 및 성분 (C)와 배합하여 사용하면, 장기 안정성을 나타내는 유화된 분산액을 이온성 계면활성제를 실질적으로 사용하지 않으면서 형성시킬 수 있다.
성분 (D)는 성분 (A) 100중량부당 0.5 내지 15중량부의 양으로 본 발명의 에멀젼 조성물에 첨가되어야 하며, 바람직하게는 성분 (A) 100중량부당 0.75 내지 10중량부의 양으로 첨가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성분 (A) 100중량부당 1.0 내지 5.0중량부의 양으로 첨가된다.
상기 성분 (D)의 혼입량이 상기 언급된 하한보다 낮은 경우, 상기 비이온성 수중유 오가노실록산 에멀젼 조성물은 만족스럽지 않은 보존안정성을 나타내며, 분리가 급속히 이루어질 수 있다(기준으로서 수일 내지 약 4주의 보관 기간 사용). 한편, 성분 (D)의 혼입량이 상기 언급된 상한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비이온성 수중유 오가노실록산 에멀젼 조성물의 점도는 과도하게 높아 취급시 문제를 일으킬 수 있으며, 추가로 상기 에멀젼 조성물의 보존안정성이 불만족스러워지며 분리가 단시간 저장 후 일어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성분 (D)의 예는 알코올 및 에테르이고, 여기서 알코올이 특히 바람직하고, C1 -20 지방족 알코올 및 다가 알코올이 매우 적합하게 사용된다. 성분 (D)의 구체적인 예는 다음과 같다: 에탄올, n-프로판올, 이소프로필 알코올, 에이코산 글리콜, 에틸렌 글리콜, 부틸 디글리콜, 옥타코산 글리콜, 옥타데칸 글리콜, 글리세롤, 폴리에틸렌 글리콜, 디에틸렌 글리콜, 디글리세롤, 디프로필렌 글리콜, 테트라코산 글리콜, 테트라메틸트리하이드록시헥사데칸, 도코산 글리콜, 트리에틸렌 글리콜, 1,3-부틸렌 글리콜, 프로필렌 글리콜, 헥사코산 글리콜, 헥사데칸 글리콜, 헥실렌 글리콜, 에틸렌 글리콜 모노메틸 에테르, 에틸렌 글리콜 모노부틸 에테르, 트리메틸올프로판, 펜타에리트리톨, 소르비톨 등. 에탄올, 디프로필렌 글리콜 및 글리세롤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알코올은 성분 (D)로서 가장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상술한 화합물 중의 단 하나가 본 발명에 사용될 수도 있고 상술한 화합물 중의 다수의 배합물이 사용될 수도 있다.
성분(E)는 물이고, 본 발명에 따르는 에멀젼 조성물용 분산 매질이다. 상기 물은 인체에 유해한 성분을 함유하지 않아야 하며, 바람직하게는 순수하고, 수돗물, 정제수 및 광천수로 예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에멀젼 조성물은 성분(E)를 성분 (A) 100중량부당 10 내지 150중량부 함유해야 하며, 바람직하게는 성분(E)를 성분 (A) 100중량부당 20 내지 100중량부 함유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성분 (A) 100중량부당 30 내지 70중량부 함유한다. 상술한 범위로 물(= 성분(E))을 첨가하는 것은 상기 에멀젼 조성물에 의한 보존안정성 실현에 중요하며, 상기 보존안정성은 본 발명의 효과 중의 하나이다.
성분(E)의 혼입량이 상기 언급된 하한보다 낮은 경우, 상기 비이온성 수중유 오가노실록산 에멀젼 조성물의 점도는 과도하게 높아 취급시 문제를 일으킬 수 있으며, 추가로 상기 에멀젼 조성물의 보존안정성이 불만족스러워지며 분리가 급속히 일어날 수 있다. 한편, 성분(E)의 혼입량이 상기 언급된 상한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비이온성 수중유 오가노실록산 에멀젼 조성물, 특히 입자 크기가 큰 에멀젼 조성물은 상술한 성분 (A) 내지 성분 (D)의 배합물을 사용하여 수득한 에멀젼 시스템이라 할지라도 만족스럽지 않은 보존안정성을 나타내며, 분리가 급속히 일어날 수 있다(기준으로서 수일 내지 약 4주의 보관 기간 사용).
본 발명의 수중유 오가노실록산 에멀젼 조성물은 상술한 성분 (A) 내지 (E)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며, (F) 이온성 계면활성제를 실질적으로 함유하지 않음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수중유 오가노실록산 에멀젼 조성물은 오가노실록산 에멀젼용 첨가제로서 공지된 기타 첨가제를 본 발명의 목적이 훼손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혼입시킬 수 있으며; 이들 기타 첨가제는 다양한 목적으로, 예를 들면, 상기 수득된 오가노실록산 에멀젼 조성물이, 예를 들면, 또 다른 조성물로 q블렌딩되는 경우 블렌딩 안정성을 추가로 개선시키기 위해, 상기 에멀젼이 제조된 후, 예를 들면, 미생물 성장으로 인한 생물학적 오염을 방지하기 위해, 그리고 수송 용기 부식을 방지하기 위해 혼입될 수 있다.
이들 기타 첨가제는 pH 조정제, 방부제, 곰팡이 방지제, 방녹제, 증점제, 응고점 강하제, 동결/융해 안정화제, 산화 방지제, 킬레이팅제, 향료, 안료 및 착색제로 예시될 수 있다. 이들 성분 중의 단 하나를 본 발명에서 첨가할 수 있거나, 이들 성분 중의 다수의 배합물을 첨가할 수도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수중유 오가노실록산 에멀젼 조성물이 화장료 원료로서 사용되는 경우, pH 조정제, 방부제, 곰팡이 방지제 및/또는 방녹제의 첨가가 특히 바람직하다.
이들 기타 첨가제를 물(성분(E))의 일부에 용해 또는 분산시켜 균일한 수성 용액 또는 분산액을 제조한 다음, 기타 성분들과 혼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 기타 첨가제의 사용량은 첨가제의 종류 및 첨가 목적의 함수로서 가변적이지만, 통상 성분 (A) 100중량부당 10중량부 미만이다.
본 발명의 수중유 오가노실록산 에멀젼 조성물의 에멀젼 입자 크기는 하기의 유화 수단, 및 상술한 성분 (A) 내지 (E)의 첨가량의 견지에서 적절하게 설계 및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에멀젼 조성물이 화장료 원료로서 사용되는 경우, 특히 상기 조성물이 두발 화장료용 성분으로서 사용되는 경우, 레이저 회절ㆍ산란법에 의해 측정되는 에멀젼 입자의 평균 입자 크기(이후, 간단하게 "평균 에멀젼 입자 크기"라고 함)는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00㎛의 범위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 내지 20㎛의 범위이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10㎛의 범위이다. 두발 화장료에서 입자 크기가 큰 수중유 오가노실록산 에멀젼 조성물의 혼입은, 상기 두발 화장료을 헹구어 버리는 경우 두발에 남는 오가노실록산의 용량을 개선시킴으로써 우수한 컨디셔닝 효과를 실현하는 이점(즉, 광택 부여, 두발에 매끄럽고 복원력 있는 탄성 느낌 부여, 두발의 빗 통과 개선 등)을 초래한다.
본 발명의 수중유 오가노실록산 에멀젼 조성물은 평균 에멀젼 입자 크기가 1 내지 100㎛의 범위인 입자 크기가 큰 수중유 오가노실록산 에멀젼 조성물로서 이온성 계면활성제(F)를 실질적으로 사용하지 않으면서 상술한 바와 같이 수행하는 경우에도 역시 우수한 장기 보존안정성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수중유 오가노실록산 에멀젼 조성물은 상술한 성분 (A) 내지 (E)와 임의의 기타 첨가제를 공지된 교반 장치, 혼합 장치 및/또는 유화 장치, 예를 들면, 패들 블레이드 장착된 교반기, 프로펠러 교반기, 헨쉘형(Henschel-type) 교반기, TK 호모 혼합기(제조원: Tokushu Kika Kogyo Co., Ltd.), TK 호모 디스퍼(제조원: Tokushu Kika Kogyo Co., Ltd.), 고압 유화 장치, 콜로이드 밀 또는 진공 유화 장치 중의 하나 또는 둘 이상을 사용하여 기계적 힘을 사용함으로써 유화시켜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에멀젼 조성물의 제조방법의 예에서, 성분(E)의 일부에 성분 (A)를 패들 블레이드 장착된 교반기와 같은 교반 혼합 장치를 사용하여 제조 용기에서 예비 혼합시킨 다음, 상기 혼합물을 고압 유화 장치, 콜로이드 밀 또는 콜로이드 혼합기와 같은 고전단 유화 장치를 사용하여 유화시키고, 성분(E)의 나머지와 기타 첨가제를 교반 및 혼합하면서 도입시킨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기 제조방법에 국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수중유 오가노폴리실록산 에멀젼 조성물은 화장료 원료로서의 용도에 잘 맞는다. 본 발명의 수중유 오가노실록산 에멀젼 조성물이 혼입될 수 있는 화장료의 유형에 특별한 제한은 없으며, 적용 가능한 화장료은 피부 화장료(예: 피부 세정제, 피부 관리 화장료, 메이크업 화장료, 지한제, UV 방지제 등); 두발 화장료(예: 두발 세정제, 헤어드레싱 제품, 두발 착색제, 두발 토닉 및 두발 성장제, 두발 린스 등); 목욕 화장료; 향수 및 코롱 등이 예시될 수 있다. 두발 화장료로의 혼입이 특히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은 두발 화장료은, 물과 상기 두발 화장료 기제를 형성하는 이온성 계면활성제를 제조 용기 속으로 도입하는 단계, 본 발명에 따르는 수중유 오가노실록산 에멀젼 조성물을 상기 제조 용기 속에 도입하는 단계 및 기계적 힘을 사용하여 혼합시키는 단계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수중유 오가노실록산 에멀젼 조성물을 사용하면, 심지어 기제로서 이온성 계면활성제(즉, 양이온성 계면활성제 또는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를 갖는 두발 화장료 내로의 목적하는 오가노실록산을 포함하는 에멀젼 입자의 용이한 혼입도지지되고 가능해지며, 두발 화장료에서 오가노실록산에 의한 블렌딩 안정성이 실질적으로 개선되는 이점이 수득된다. 심지어 입자 크기가 큰 오가노실록산 에멀젼의 경우에도, 장기 보존안정성이 수득될 수 있으며, 상기 에멀젼 조성물의 제조로부터 화장료 내로의 실제 혼입에 의한 이의 사용에 이르는 만족스러운 보관기간이 확보될 수 있다. 이는 상기 에멀젼 조성물을 균일한 상태로 복귀시키는 단계, 예를 들면, 교반 및 혼합이 더 이상 필요하지 않다는 점에서 상업적인 화장료 제조 공정에 이점을 창출한다.
본 발명에 따르는 수중유 오가노폴리실록산 에멀젼 조성물이 화장료용으로 우수한 블렌딩 안정성을 나타내기 때문에, 일단 화장료이 제조되면, 특히 두발 화장료이 제조되면, 상기 화장료은 우수한 경시적 안정성을 나타내고 경시적인 외관 변화(예: 점도 저하, 분리 등)를 겪거나 노즐 폐색을 야기하지 않는다. 결과적으로, 장기적으로 안정한 보존은 화장료이, 예를 들면, 투명한 용기에 채워지는 경우조차 가능하며, 상기 화장료은 사용감이 우수하고 외관이 우수한 제품으로서 표시 및 판매될 수 있다.
실시예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기술하기 위해 실시예 및 비교 실시예가 아래에 제공되지만, 본 발명이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하기 실시예 및 비교 실시예에서 부는 중량부이다. 하기 실시예 및 비교 실시예에서 점도는 회전식 점도계를 사용하여 25℃에서 측정한 점도를 지칭한다. 상기 제조된 수중유 오가노실록산 에멀젼 조성물을 하기 방법을 사용하여 평가하였다.
[에멀젼 조성물 보존안정성]
상기 제조된 오가노실록산 에멀젼 조성물을 200cc 유리병 내에서 칭량하고, 실온에서 정치시켰다. 상기 에멀젼 조성물의 상태를 육안으로 모니터링하고, 상기 에멀젼 중에 분리가 일어날 때까지의 시간(주; week)을 측정하였다.
[에멀젼 입자의 입자 크기]
상기 제조된 오가노실록산 에멀젼 조성물의 평균 에멀젼 입자 크기를 입자 분포 측정용 레이저 회절/산란 기기(LA-750, 제조원: HORIBA, Ltd.)를 사용하여 측정하여 수득된 중간 크기(50% 누적 평균 입자 크기)로부터 평균 입자 크기를 측정하였다.
[이온성 화장료 기제 내로의 블렌딩 안정성]
이온성 화장료 기제는 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후술하는 방법(제조 실시예 3 및 4)를 사용하여 제조하였다. 상기 이온성 화장료 기제 97.0중량부와 오가노실록산 에멀젼 조성물 3.0중량부를 용기에 도입하고 전체 질량이 균질해질 때까지 교반/혼합하였다. 1일 동안 정치시킨 후 상기 혼합된 조성물의 상태를 육안으로 관찰하여 외관 변화 여부, 예를 들면, 오일 상의 분리 등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1]
(A) 디메틸폴리실록산(점도 약 5,000mPaㆍs) 100.0부, (B) 화학식 P-1의 아미노 개질된 디메틸폴리실록산(점도 약 1,200mPaㆍs, 아미노 그룹 함량 약 0.9%) 8.3부, (C-1) 폴리옥시에틸렌(4) 라우릴 에테르(HLB = 9.7) 2.8부, (C-2) 폴리옥시에틸렌(23) 라우릴 에테르(HLB = 16.9) 8.0부, (D) 에탄올 2.5부 및 (E) 정제수 44.7부를 용기 내에서 칭량하고, 균일하게 교반시키고 혼합하였다. 이어서, 상기 생성된 혼합물을 콜로이드 밀(colloid mill)을 사용하여 유화시키고, 0.3부의 80% 아세트산을 첨가하여 에멀젼 조성물(1)을 수득한다.
[화학식 P-1]
Figure pct00021

[실시예 2]
(A) 디메틸폴리실록산(점도 약 5,000mPaㆍs) 100.0부, (B) 화학식 P-1의 아미노 개질된 디메틸폴리실록산(점도 약 1,200mPaㆍs, 아미노 그룹 함량 약 0.9%) 8.3부, (C-1) 폴리옥시에틸렌(4) 라우릴 에테르(HLB = 9.7) 2.8부, (C-2) 폴리옥시에틸렌(23) 라우릴 에테르(HLB = 16.9) 8.0부, (D) 글리세롤 2.5부 및 (E) 정제수 44.7부를 용기 내에서 칭량하고, 균일하게 교반시키고 혼합하였다. 이어서, 상기 생성된 혼합물을 콜로이드 밀을 사용하여 유화시키고, 0.3부의 80% 아세트산을 첨가하여 에멀젼 조성물(2)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3]
(A) 디메틸폴리실록산(점도 약 5,000mPaㆍs) 100.0부, (B) 화학식 P-2의 아미노폴리에테르 개질된 디메틸폴리실록산(점도 약 600mPaㆍs, 아미노 그룹 함량 약 0.4%) 8.3부, (C-1) 폴리옥시에틸렌 (4) 라우릴 에테르(HLB = 9.7) 2.8부, (C-2) 폴리옥시에틸렌 (23) 라우릴 에테르(HLB = 16.9) 8.0부, (D) 프로필렌 글리콜(PG) 2.5부 및 (E) 정제수 44.7부를 용기 내에서 칭량하고, 균일하게 교반시키고 혼합하였다. 이어서, 상기 생성된 혼합물을 콜로이드 밀을 사용하여 유화시키고, 0.3부의 80% 아세트산을 첨가하여 에멀젼 조성물(3)을 수득하였다.
[화학식 P-2]
Figure pct00022

[실시예 4]
(A) 디메틸폴리실록산(점도 약 5,000mPaㆍs) 100.0부, (B) 화학식 P-3의 아미도폴리에테르 개질된 디메틸폴리실록산(점도 약 1,000mPaㆍs, 아미노 그룹 함량 약 0.32%) 8.3부, (C-1) 폴리옥시에틸렌 (4) 라우릴 에테르(HLB = 9.7) 2.8부, (C-2) 폴리옥시에틸렌 (23) 라우릴 에테르(HLB = 16.9) 8.0부, (D) 프로필렌 글리콜(PG) 2.5부 및 (E) 정제수 45.0부를 용기 내에서 칭량하고, 균일하게 교반시키고 혼합하였다. 이어서, 상기 생성된 혼합물을 콜로이드 밀을 사용하여 유화시켜 에멀젼 조성물(4)을 수득하였다.
[화학식 P-3]
Figure pct00023

[실시예 5]
(A) 디메틸폴리실록산(점도 약 5,000mPaㆍs) 100.0부, (B) 화학식 P-4의 에폭시폴리에테르 개질된 디메틸폴리실록산(점도 약 3,500mPaㆍs, 에폭시 그룹 함량 약 0.4%) 8.3부, (C-1) 폴리옥시에틸렌 (4) 라우릴 에테르(HLB = 9.7) 2.8부, (C-2) 폴리옥시에틸렌 (23) 라우릴 에테르(HLB = 16.9) 8.0부, (D) 프로필렌 글리콜(PG) 2.5부 및 (E) 정제수 45.0부를 용기 내에서 칭량하고, 균일하게 교반시키고 혼합하였다. 이어서, 상기 생성된 혼합물을 콜로이드 밀을 사용하여 유화시켜 에멀젼 조성물(5)을 수득하였다.
[화학식 P-4]
Figure pct00024

[실시예 6]
(A1) 디메틸폴리실록산(점도 약 2,000,000mPaㆍs)과 (A2) 데카메틸사이클로펜타실록산의 혼합물((A1)과 (A2)의 혼합비 = 15:85, 혼합후 점도 = 약 1,500mPaㆍs) 100.0부, (B) 화학식 P-1의 아미노 개질된 디메틸폴리실록산(점도 약 1,200mPaㆍs, 아미노 = 약 0.9%) 8.3부, (C-1) 폴리옥시에틸렌 (4) 라우릴 에테르(HLB = 9.7) 2.8부, (C-2) 폴리옥시에틸렌 (23) 라우릴 에테르(HLB = 16.9) 8.0부, (D) 프로필렌 글리콜(PG) 2.5부 및 (E) 정제수 44.7부를 용기 내에서 칭량하고, 균일하게 교반시키고 혼합하였다. 이어서, 상기 생성된 혼합물을 콜로이드 밀을 사용하여 유화시키고, 0.3부의 80% 아세트산을 첨가하여 에멀젼 조성물(6)을 수득하였다.
[비교 실시예 1]
(A) 디메틸폴리실록산(점도 약 5,000mPaㆍs) 108.3부, (C-1) 폴리옥시에틸렌 (4) 라우릴 에테르(HLB = 9.7) 2.8부, (C-2) 폴리옥시에틸렌(23) 라우릴 에테르(HLB = 16.9) 8.0부 및 (E) 정제수 47.5부를 용기 내에서 칭량하고, 균일하게 교반시키고 혼합하였다. 이어서, 상기 생성된 혼합물을 콜로이드 밀을 사용하여 유화시켜 에멀젼 조성물(7)을 수득하였다.
[비교 실시예 2]
(A) 디메틸폴리실록산(점도 약 5,000mPaㆍs) 108.3부, (C-1) 폴리옥시에틸렌(4) 라우릴 에테르(HLB = 9.7) 2.8부, (C-2) 폴리옥시에틸렌 (23) 라우릴 에테르(HLB = 16.9) 8.0부, (D) 프로필렌 글리콜(PG) 2.5부 및 (E) 정제수 47.5부를 용기 내에서 칭량하고, 균일하게 교반시키고 혼합하였다. 이어서, 상기 생성된 혼합물을 콜로이드 밀을 사용하여 유화시켜 에멀젼 조성물(8)을 수득하였다.
[비교 실시예 3]
(A1) 디메틸폴리실록산(점도 약 2,000,000mPaㆍs)와 (A2) 데카메틸사이클로펜타실록산의 혼합물((A1)과 (A2)의 혼합비 = 15:85, 혼합후 점도 = 약 1,500mPaㆍs) 100.0부, (B) 아미노 개질된 디메틸실록산(점도 약 1,200mPaㆍs, 아미노 = 약 0.9%) 8.3부, (C-1) 폴리옥시에틸렌 (4) 라우릴 에테르(HLB = 9.7) 2.8부, (C-2) 폴리옥시에틸렌 (23) 라우릴 에테르(HLB = 16.9) 8.0부 및 (E) 정제수 47.2부를 용기 내에서 칭량하고, 균일하게 교반시키고 혼합하였다. 이어서, 상기 생성된 혼합물을 콜로이드 밀을 사용하여 유화시키고, 0.3부의 80% 아세트산을 첨가하여 에멀젼 조성물(9)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1 내지 비교 실시예 3에서의 에멀젼 조성물 (1) 내지 (9) 각각의 평균 에멀젼 입자 크기(㎛) 및 보존안정성(주; week)의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에서 평균 에멀젼 입자 크기는 비교용 실시예에서와 거의 동일하지만, 실시예에 따르는 에멀젼 조성물의 보존안정성은 비교 실시예의 에멀젼 조성물에 비해 훨씬 더 우수하다.
Figure pct00025
[제조 실시예 1]
(A) 디메틸폴리실록산(점도 약 5,000mPaㆍs) 100.0부, (B) 화학식 P-1의 아미노 개질된 디메틸폴리실록산(점도 약 1,200mPaㆍs, 아미노 = 약 0.9%) 8.3부, (F) 나트륨 폴리옥시에틸렌 (3) 라우릴 설페이트(25% 수용액) 43.3부, (D) 프로필렌 글리콜(PG) 2.5부 및 (E) 정제수 12.5부를 용기 내에서 칭량하고, 균일하게 교반시키고 혼합하였다. 이어서, 상기 생성된 혼합물을 콜로이드 밀을 사용하여 유화시켜 에멀젼 조성물(10)을 수득하였다. 상기 조성물 및 이의 평균 에멀젼 입자 크기(㎛)를 표 2에 나타내었다.
[제조 실시예 2]
(A) 디메틸폴리실록산(점도 약 5,000mPaㆍs) 100.0부, (B) 화학식 P-1의 아미노 개질된 디메틸폴리실록산(점도 약 1,200mPaㆍs, 아미노 함량 = 약 0.9%) 8.3부, (F) 세틸트리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30% 수용액) 36.1부, (D) 프로필렌 글리콜(PG) 2.5부 및 (E) 정제수 19.7부를 용기 내에서 칭량하고, 균일하게 교반시키고 혼합하였다. 이어서, 상기 생성된 혼합물을 콜로이드 밀을 사용하여 유화시켜 에멀젼 조성물(11)을 수득하였다. 상기 조성물 및 이의 평균 에멀젼 입자 크기(㎛)를 표 2에 나타내었다.
Figure pct00026
[제조 실시예 3: 양이온성 화장료 기제의 제조]
7.1부의 스테아릴트리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28% 수용액), 2.0부의 세토스테아릴 알코올 및 90.9부의 이온-교환된 물을 용기 내에서 칭량하고, 약 80℃의 액체 온도에 도달할 때까지 교반시키면서 가열하였다. 이어서, 실온으로 점진적으로 냉각시키면서 계속 교반시켜 양이온성 화장료 기제를 수득하였다.
[제조 실시예 4: 음이온성 화장료 기제의 제조]
40.0부의 나트륨 폴리옥시에틸렌(3) 라우릴 설페이트(25% 수용액) 및 60.0부의 이온-교환된 물을 용기 내에서 칭량하고, 균질해질 때까지 실온에서 완전히 혼합하여 음이온성 화장료 기제를 수득하였다.
[실시예 7]
제조 실시예 3에서 제조된 양이온성 화장료 기제 97.0부 및 실시예 2에서 제조된 에멀젼 조성물(2) 3.0부를 용기 내에서 칭량하고, 균질해질 때까지 혼합하였다. 이어서, 1일 동안 정치시킨 후 분리 상태를 확인하면, 상기 양이온성 화장료 기제/에멀젼 조성물 블렌드는 균일하였다.
[비교 실시예 4]
에멀젼 조성물(10)을 실시예 7에서의 에멀젼 조성물(2) 대신 사용하고, 혼합후 분리 상태를 모니터링하였다. 이 경우, 양이온성 화장료 기제/에멀젼 조성물(10) 블렌드로부터 오일 분리가 일어났다.
[실시예 8]
제조 실시예 4에서 제조된 음이온성 화장료 기제 97.0부 및 실시예 2에서 제조된 에멀젼 조성물(2) 3.0부를 용기 내에서 칭량하고, 균질해질 때까지 혼합하였다. 이어서, 1일 동안 정치시킨 후 분리 상태를 확인하면, 상기 양이온성 화장료 기제/에멀젼 조성물 블렌드는 균일하였다.
[비교 실시예 5]
에멀젼 조성물(11)을 실시예 8에서의 에멀젼 조성물(2) 대신 사용하고, 혼합후 분리 상태를 모니터링하였다. 이 경우, 음이온성 화장료 기제/에멀젼 조성물(11) 블렌드로부터 크림형 응집물이 형성되었다.
상기 실시예 7 및 8과 비교 실시예 4 및 5에서 수득한 결과는 표 3에 나타내었다. 본 발명에 따르는 에멀젼 조성물(2)는 이온성 화장료 기제, 즉 양이온성 화장료 기제 또는 음이온성 화장료 기제 내로도 이들 사이에 구별 없이 안정하게 블렌딩될 수 있으며, 균일한 분산액을 유지한다.
Figure pct00027
산업상의 적용 가능성
본 발명의 수중유 오가노폴리실록산 에멀젼 조성물은 오가노폴리실록산 에멀젼 입자가 이온성 기제(예: 이온성 계면활성제, 이온성 중합체 등)를 포함하는 제품 내로 안정한 방식으로 블렌딩될 수 있게 하며, 이러한 이점의 결과로서, 예를 들면, 다양한 형태(예: 액체, 페이스트, 에멀젼, 분산액, 겔 등)의 화장료, 건강관리제품, 이형제, 발수제, 섬유처리제 및 표면처리제용 첨가제로서 유용하고, 그 자체로도 이형제, 발수제, 섬유처리제, 표면처리제, 피복제, 또는 유기 섬유 직물 및 유리 직물용 결합제로서 유용하다. 본 발명의 수중유 오가노실록산 에멀젼 조성물은, 예를 들면, 음이온성 화합물(예: 나트륨 폴리옥시에틸렌 알킬 설페이트) 또는 양이온성 화합물(예: 4급 암모늄 염 형태 화합물)을 함유하는 이온성 화장료용 첨가제로서 특히 매우 유용하고, 특히 두발 화장료 및 두발 세정제용 첨가제로서 매우 유용하다. 상기 언급된 수중유 오가노실록산 에멀젼 조성물을 사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두발 화장료의 제조방법은 우수한 컨디셔닝 효과를 나타내는 두발 화장료을 제조하는 데 매우 유용한 방법이다.

Claims (9)

  1. 수중유 오가노폴리실록산 에멀젼 조성물로서,
    (A) 화학식 RaSiO(4-a)/2(여기서, R은 각각 독립적으로 하이드록실 그룹, 또는 치환되지 않거나 수소 원자들 중의 일부가 할로겐으로 대체된 C1 -20 1가 하이드로카빌이고, 1.8 ≤ a ≤ 2.2이다)의 오가노폴리실록산 또는 오가노폴리실록산 혼합물 100중량부,
    (B) 25℃에서의 점도가 10 내지 100,000mPaㆍs이고 질소 원자 함유 유기 그룹 및 에폭시 관능성 유기 그룹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유기 그룹을 분자 내에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오가노실록산 0.5 내지 35중량부,
    (C)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0.5 내지 35중량부,
    (D) 수용성 용제 0.5 내지 15중량부 및
    (E) 물 10 내지 150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조성물 중 (F) 이온성 계면활성제의 함량이 성분 (A) 100중량부당 0.1중량부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유 오가노폴리실록산 에멀젼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성분 (B)가 화학식 1 내지 5로 나타낸 1가 유기 그룹 1종 이상을 분자 내에 갖는 오가노실록산임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유 오가노폴리실록산 에멀젼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pct00028

    화학식 2
    Figure pct00029

    화학식 3
    Figure pct00030

    화학식 4
    Figure pct00031

    화학식 5
    Figure pct00032

    위의 화학식 1 내지 5에서,
    R1은 각각 독립적으로, 치환되지 않거나 수소 원자들 중의 일부가 할로겐으로 대체된 C1 -20 2가 하이드로카빌이고,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카비놀 그룹, 및 치환되지 않거나 수소 원자들 중의 일부가 할로겐으로 대체된 C1 -20 1가 하이드로카빌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1가 관능기이고,
    R3은 치환되지 않거나 수소 원자들 중의 일부가 할로겐으로 대체된 C1 -10 2가 하이드로카빌이고,
    R4는 수소 원자, 카비놀 그룹, 폴리옥시알킬렌 그룹, 및 치환되지 않거나 수소 원자들 중의 일부가 할로겐으로 대체된 C1 -50 1가 하이드로카빌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1가 관능기이거나 또 다른 탄화수소형 화합물에 또는 오가노실록산에 결합된 2가 유기 그룹이다.
  3. 제2항에 있어서, 성분 (B)가 화학식 6의 직쇄 또는 분지쇄 알킬렌 또는 화학식 7의 옥시알킬렌을 분자 내에 추가로 함유하는 오가노실록산임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유 오가노폴리실록산 에멀젼 조성물.
    화학식 6
    Figure pct00033

    화학식 7
    Figure pct00034

    위의 화학식 6 및 7에서,
    q는 2 내지 20의 수이고,
    R5는 수소 원자, 또는 치환되지 않거나 수소 원자들 중의 일부가 할로겐으로 대체된 C1 -20 1가 하이드로카빌이다.
  4. 제1항에 있어서, 성분 (D)가 알코올임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유 오가노폴리실록산 에멀젼 조성물.
  5. 제1항 내지 제4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레이저 회절ㆍ산란법에 의해 측정된 상기 에멀젼 입자의 평균 입자 크기가 1 내지 100㎛의 범위임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유 오가노폴리실록산 에멀젼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성분 (A)가 25℃에서의 점도가 0.65 내지 30,000,000mPaㆍs인 쇄상 메틸폴리실록산 또는 사이클릭 메틸폴리실록산이거나 이들 메틸폴리실록산의 혼합물이고, 성분 (B)가 화학식 8의 직쇄 오가노실록산이며, 성분 (C)가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하고, 성분 (D)가 알코올임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유 오가노폴리실록산 에멀젼 조성물.
    화학식 8
    Figure pct00035

    위의 화학식 8에서,
    R은 각각 독립적으로, 치환되지 않거나 수소 원자들 중의 일부가 할로겐으로 대체된 C1 -20 1가 하이드로카빌이고,
    Ra는 각각, 화학식 1 내지 5로 나타낸 1가 유기 그룹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 1가 유기 그룹이고,
    Rb는 하이드록실 그룹, 카비놀, 머캅토 및 카복실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1가 관능기이고,
    Rc는 화학식 6'의 직쇄 또는 분지쇄 알킬이거나 화학식 7'의 폴리옥시알킬렌 그룹이고,
    X는 화학식 6의 직쇄 또는 분지쇄 알킬렌 그룹이거나 화학식 7의 옥시알킬렌 그룹이고,
    Y는 각각, R, Ra, Rb 및 Rc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 그룹이고,
    (n + m + p + r + s)는 오가노폴리실록산의 25℃에서의 10 내지 100,000mPaㆍs의 점도를 제공하는 수이고,
    n, m, p, r 및 s는 각각 독립적으로 0 또는 양수이고,
    여기서, m = 0인 경우, Y 하나가 Ra로 나타낸 유기 그룹이거나 Y 둘 다가 Ra로 나타낸 유기 그룹이다.
    화학식 6'
    Figure pct00036

    화학식 7'
    Figure pct00037

    위의 화학식 6' 및 7'에서,
    q는 2 내지 20의 수이고,
    R1은 치환되지 않거나 수소 원자들 중의 일부가 할로겐으로 대체된 C1 -20 2가 하이드로카빌이고,
    R6은 수소 원자, 카비놀, 및 치환되지 않거나 수소 원자들 중의 일부가 할로겐으로 대체된 C1 -20 1가 하이드로카빌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1가 관능기이고,
    t1 및 t2는 각각 0 또는 양수이고,
    (t1 + t2)는 1 내지 50의 수이다.
  7. 제1항 내지 제6항 중의 어느 한 항에 따르는 수중유 오가노폴리실록산 에멀젼 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원료.
  8. 제1항 내지 제6항 중의 어느 한 항에 따르는 수중유 오가노폴리실록산 에멀젼 조성물을 포함하는 두발 화장료 원료.
  9. 두발 화장료의 제조 단계들이
    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물을 제조 용기 내로 도입하는 단계,
    제1항 내지 제6항 중의 어느 한 항에 따르는 수중유 오가노폴리실록산 에멀젼 조성물을 상기 제조 용기 내로 도입하는 단계 및
    기계적 힘을 사용하여 혼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두발 화장료의 제조방법.
KR1020107023032A 2008-03-19 2009-03-18 수중유 오가노폴리실록산 에멀젼 조성물, 상기 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원료, 및 상기 조성물을 사용한 두발 화장료의 제조방법 KR2010012651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8-070741 2008-03-19
JP2008070741A JP5551341B2 (ja) 2008-03-19 2008-03-19 水中油型オルガノポリシロキサンエマルジョン組成物、それからなる化粧料原料およびそれを用いた頭髪化粧料の製造方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6511A true KR20100126511A (ko) 2010-12-01

Family

ID=405918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23032A KR20100126511A (ko) 2008-03-19 2009-03-18 수중유 오가노폴리실록산 에멀젼 조성물, 상기 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원료, 및 상기 조성물을 사용한 두발 화장료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546483B2 (ko)
EP (1) EP2273971B1 (ko)
JP (1) JP5551341B2 (ko)
KR (1) KR20100126511A (ko)
CN (1) CN102006854B (ko)
WO (1) WO2009116689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18608A (ko) * 2015-12-21 2018-10-31 로레알 실리콘 및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모발 미용 조성물, 및 미용 치료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697150B2 (ja) * 2010-09-09 2015-04-08 旭化成ワッカーシリコーン株式会社 シリコーンエマルジョン
EP2716686A4 (en) 2011-05-30 2015-02-25 Dow Corning Toray Co Ltd NEW ORGANOPOLYSILOXAN ELASTOMER AND USE THEREOF
JP5756344B2 (ja) * 2011-05-30 2015-07-29 東レ・ダウコーニング株式会社 新規液状オルガノポリシロキサン及びその利用
PL2557226T3 (pl) * 2011-06-10 2015-08-31 Maintech Co Ltd Kompozycja środków zapobiegających zanieczyszczeniu
JP6339018B2 (ja) * 2011-11-29 2018-06-06 ダウ シリコーンズ コーポレーション アミノ官能性シリコーンエマルション
WO2014003370A1 (ko) 2012-06-25 2014-01-03 주식회사 엘지화학 폴리알킬렌 카보네이트 성형품 제조용 에멀젼 조성물 및 이를 사용하여 제조된 수지 성형품
DE102012213250A1 (de) * 2012-07-27 2014-01-30 Henkel Ag & Co. Kgaa Pflegende Haarfärbemittel mit Blockcopolymeren
US9717930B2 (en) 2013-03-12 2017-08-0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ntiperspirant compositions
BR112015010372A2 (pt) 2013-03-12 2017-07-11 Procter & Gamble composições antiperspirantes sólidas em bastão
JP6233037B2 (ja) * 2014-01-16 2017-11-22 信越化学工業株式会社 オルガノシリコーンエマルジョン組成物
WO2016003948A1 (en) 2014-06-30 2016-01-07 The Procter & Gamble Company Personal care compositions and methods
MX367383B (es) 2014-06-30 2019-08-19 Procter & Gamble Metodo para fabricar una barra que comprende antitranspirante.
US10576027B2 (en) 2015-12-21 2020-03-03 Wacker Metroark Chemicals Pvt. Ltd. Emulsion comprising a mixture of silicone polymer and method of preparation thereof
DE102016207603A1 (de) * 2016-05-03 2017-11-09 Wacker Chemie Ag Wässrige Emulsionen enthaltend aminofunktionelle Organopolysiloxane und nicht-ionische Emulgatoren
JP6841654B2 (ja) * 2016-12-27 2021-03-10 旭化成ワッカーシリコーン株式会社 水中油型シリコーンエマルジョン組成物
JP2018203892A (ja) * 2017-06-06 2018-12-27 信越化学工業株式会社 オルガノシリコーンエマルジョン組成物
JP6614560B1 (ja) * 2019-03-29 2019-12-04 株式会社メンテック 汚染防止剤組成物
EP4198091A1 (en) * 2020-08-11 2023-06-21 Shin-Etsu Chemical Co., Ltd. Silicone emulsion composition and fiber treatment agent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92540B2 (ja) * 1987-03-31 1994-11-16 東レ・ダウコーニング・シリコーン株式会社 オルガノポリシロキサンエマルジヨン
JP3251658B2 (ja) * 1992-08-26 2002-01-28 東レ・ダウコーニング・シリコーン株式会社 シリコーン水性エマルジョン組成物
JPH07188557A (ja) 1993-12-27 1995-07-25 Shin Etsu Chem Co Ltd オルガノポリシロキサン乳化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それらを含有してなるシャンプー組成物
DE69706091T2 (de) 1996-03-29 2004-03-11 Shin-Etsu Chemical Co., Ltd. Wasser-in-Öl Polysiloxanemulsion und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JP3367863B2 (ja) * 1997-05-07 2003-01-20 ジーイー東芝シリコーン株式会社 シリコーンエマルション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毛髪化粧料
DE69803740T2 (de) * 1997-11-17 2003-03-13 Shinetsu Chemical Co Wasser-in-Öl Polysiloxanemulsion und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JP3510774B2 (ja) 1997-11-17 2004-03-29 信越化学工業株式会社 水中油型オルガノポリシロキサン乳化物及びその製造方法
WO2000006099A1 (en) * 1998-07-30 2000-02-10 The Procter & Gamble Company Hair care compositions
EP1010717B1 (en) * 1998-12-18 2004-09-22 Shin-Etsu Chemical Co., Ltd. Oil-in-water emulsion of organopolysiloxane and method for the preparation thereof
JP4425396B2 (ja) * 1998-12-18 2010-03-03 信越化学工業株式会社 水中油型オルガノポリシロキサン乳化物及びその製造方法
EP1309306A2 (en) * 2000-08-03 2003-05-14 The Procter & Gamble Company Water-in-oil emulsion compositions comprising polyalkylene glycol styling agents
JP5108181B2 (ja) * 2001-05-24 2012-12-26 モメンティブ・パフォーマンス・マテリアルズ・ジャパン合同会社 シリコーンエマルジョン組成物および化粧料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18608A (ko) * 2015-12-21 2018-10-31 로레알 실리콘 및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모발 미용 조성물, 및 미용 치료 방법
US11590062B2 (en) 2015-12-21 2023-02-28 L'oreal Hair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silicones and surfactants, and cosmetic treatment process
US11938205B2 (en) 2015-12-21 2024-03-26 L'oreal Hair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silicones and surfactants, and cosmetic treatment proces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006854B (zh) 2014-06-18
JP5551341B2 (ja) 2014-07-16
US8546483B2 (en) 2013-10-01
JP2009221450A (ja) 2009-10-01
EP2273971A1 (en) 2011-01-19
WO2009116689A1 (en) 2009-09-24
EP2273971B1 (en) 2015-04-29
CN102006854A (zh) 2011-04-06
US20110052521A1 (en) 2011-03-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126511A (ko) 수중유 오가노폴리실록산 에멀젼 조성물, 상기 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원료, 및 상기 조성물을 사용한 두발 화장료의 제조방법
EP3498777B1 (en) Organopolysiloxane emulsion compositon and resin composition
KR20120048673A (ko) 실리콘 에멀션, 및 이의 제조 방법
JP5697150B2 (ja) シリコーンエマルジョン
CA2129911A1 (en) Preparation of organopolysiloxane microemulsions
KR102376269B1 (ko) 모발 컨디셔닝용 조성물
JP2007532644A (ja) 水中低分子量シリコーン油型エマルジョン
JP4141003B2 (ja) 高分子量ポリオルガノシロキサンエマルジョンおよびそれを含有する化粧料
JP4160165B2 (ja) ポリオルガノシロキサンエマルジョンおよびそれを用いる化粧料
JP4829396B2 (ja) 乳化重合法
US20010041771A1 (en) Organopolysiloxane composition and method of preparation
JP4703819B2 (ja) ポリオルガノシロキサンエマルジョン及びそれを含んでなる化粧料
JP2000053769A (ja) ポリオルガノシロキサンエマルジョンおよびそれを含んでなる化粧料
US20220145076A1 (en) Silicone Emulsion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JP2003119389A (ja) 水中油型シリコーンエマルジョン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828054B2 (ja) 水中油型オルガノポリシロキサンエマルジョン
JP3892156B2 (ja) 化粧料
JP3804731B2 (ja) シリコーン乳化組成物
JP7081894B2 (ja) 水中油型エマルジョン組成物、その製造方法およびその用途
JP2001089316A (ja) 化粧品原料
JP2021042180A (ja) 色調の変化を抑えられる、アミノ変性シリコーン含有水中油型エマルジョン組成物、その製造方法、設計方法、および、該組成物を配合した化粧料
JP2014077150A (ja) 水中油型オルガノポリシロキサンエマルジョン組成物、それからなる化粧料原料およびそれを用いた頭髪化粧料の製造方法
JP2003128517A (ja) 水中油型シリコーンエマルジョン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23094660A (ja) 水中油型ジオルガノポリシロキサンエマルジョン組成物および該組成物の製造方法
JPWO2002072703A1 (ja) ポリオルガノシロキサンエマルジョン、その製造方法および化粧料原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