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22857A - 지엽류 취급 장치 - Google Patents

지엽류 취급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22857A
KR20100122857A KR1020100039861A KR20100039861A KR20100122857A KR 20100122857 A KR20100122857 A KR 20100122857A KR 1020100039861 A KR1020100039861 A KR 1020100039861A KR 20100039861 A KR20100039861 A KR 20100039861A KR 20100122857 A KR20100122857 A KR 201001228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veyance
banknote
time
paper sheet
pa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398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78278B1 (ko
Inventor
슈지 다나카
아츠코 우오즈미
리이치 가토
Original Assignee
히타치 오므론 터미널 솔루션즈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타치 오므론 터미널 솔루션즈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히타치 오므론 터미널 솔루션즈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001228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228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82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82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00Controlling article feeding, separating, pile-advancing, or associated apparatus, to take account of incorrect feeding, absence of articles, or presence of faulty articles
    • B65H7/20Controlling associated apparatu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20Controlling or monitoring the operation of devices; Data handling
    • G07D11/22Means for sensing or detection
    • G07D11/235Means for sensing or detection for monitoring or indicating operating conditions; for detecting malfunctions
    • G07D11/237Means for sensing or detection for monitoring or indicating operating conditions; for detecting malfunctions for detecting transport malfunctions, e.g. jams or misfeed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20Controlling or monitoring the operation of devices; Data handling
    • G07D11/32Record keeping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50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9/00Complete banking systems; Coded card-freed arrangements adapted for dispensing or receiving monies or the like and posting such transactions to existing accounts, e.g. automatic teller machines
    • G07F19/20Automatic teller machines [AT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511/00Dimensions; Position; Numbers; Identification; Occurrences
    • B65H2511/10Size; Dimens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511/00Dimensions; Position; Numbers; Identification; Occurrences
    • B65H2511/30Numbers, e.g. of windings or rot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511/00Dimensions; Position; Numbers; Identification; Occurrences
    • B65H2511/40Identific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511/00Dimensions; Position; Numbers; Identification; Occurrences
    • B65H2511/50Occurence
    • B65H2511/52Defective operating conditions
    • B65H2511/524Multiple articles, e.g. double f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515/00Physical entiti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B65H2511/00 or B65H2513/00
    • B65H2515/20Volume; Volume flow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10Handled articles or webs
    • B65H2701/19Specific article or web
    • B65H2701/1912Banknotes, bills and cheques or the lik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Controlling Sheets Or Webs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 Collation Of Sheets And Web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폐를 계수하는 처리의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지엽류 취급 장치는 지엽류를 판별하는 판별부와, 지엽류 취급 장치 내에서 지엽류를 반송하기 위한 반송부와, 각 부분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지엽류의 정보를 기억하는 기억부를 구비한다. 반송부에 의해 반송되는 지엽류가 1회째로 판별부를 경유하는 것을 제 1 반송으로 하고, 2회째로 판별부를 경유하는 것을 제 2 반송으로 했을 때, 제어부는, 판별부에 제 1 반송 시에 판별부를 통과하는 지엽류의 체적을 계측시켜, 제 1 반송 시의 체적 정보와 반송 순서를 관련지어 기억부에 기억시키고, 판별부에 제 2 반송 시에 판별부를 통과하는 지엽류의 체적을 계측시켜, 당해 지엽류의 제 2 반송 시의 체적 정보와, 반송 순서로부터 안내되는 지엽류와 동일한 지엽류라고 추정되는 대응 지엽류의 제 1 반송 시의 체적 정보를 비교 처리함으로써 제 1 반송 시와 제 2 반송 시의 지엽류의 매수를 대조한다.

Description

지엽류 취급 장치{PAPER SHEET HANDLING DEVICE}
본 발명은 지엽류(紙葉類) 취급 장치에 관한 것이다.
ATM 등의 현금 자동 거래 장치에 탑재되는 지엽류 취급 장치에서는, 투입구에서 투입된 지폐를 계수해서(입금 계수 처리) 일시 보관고에 보관하고, 입금된 지폐의 매수(枚數)가 확정된 후, 일시 보관고에 보관된 지폐를 다시 계수해서(입금 수납 처리) 수납고에 수납하고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현금 자동 거래 장치에서는 일반적으로, 현금 관리의 엄정화(嚴正化)를 위해, 입금 계수 처리와 입금 수납 처리에서의 지폐의 매수 일치 체크가 행해진다. 그러나, 종래는, 입금 수납 처리 시에 그 금종(金種)을 판별할 수 없는 지폐가 있었을 경우 등에는, 정확한 매수 일치 체크를 할 수 없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이러한 문제는, 입금 수납 처리에 한하지 않고, 지엽류 취급 장치에서의 계수 처리 전반에 공통되는 문제였다.
일본국 특개평6-9108호 공보
본 발명은 지엽류를 계수하는 처리의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의 적어도 일부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이하의 형태 또는 적용예로 하여 실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적용예 1]
지엽류 취급 장치로서,
지엽류를 판별하는 판별부와,
상기 지엽류 취급 장치 내에서 지엽류를 반송하기 위한 반송부와,
상기 지엽류 취급 장치의 각 부분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지엽류의 정보를 기억하는 기억부를 구비하고,
상기 반송부에 의해 반송되는 지엽류가, 1회째로 상기 판별부를 경유하는 것을 제 1 반송으로 하고,
상기 반송부에 의해 반송되는 지엽류가, 2회째로 상기 판별부를 경유하는 것을 제 2 반송으로 했을 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판별부에, 상기 제 1 반송 시에 상기 판별부를 통과하는 지엽류의 체적을 계측시켜, 상기 제 1 반송 시의 체적 정보와 반송 순서를 관련지어 상기 기억부에 기억시키고,
상기 판별부에, 상기 제 2 반송 시에 상기 판별부를 통과하는 지엽류의 체적을 계측시켜, 당해 지엽류의 제 2 반송 시의 체적 정보와, 반송 순서로부터 안내되는 상기 지엽류와 동일한 지엽류라고 추정되는 대응 지엽류의 상기 제 1 반송 시의 체적 정보를 비교 처리함으로써, 상기 제 1 반송과 상기 제 2 반송에서 반송된 지엽류의 매수를 대조하는 지엽류 취급 장치.
이 구성에 의하면, 제 2 반송 시의 지엽류의 체적 정보와, 반송 순서로부터 안내되는 대응 지엽류의 제 1 반송 시의 체적 정보를 비교 처리함으로써, 제 1 반송과 제 2 반송에서 반송된 지엽류의 매수를 대조하기 때문에, 지엽류를 계수하는 처리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적용예 2]
적용예 1 기재의 지엽류 취급 장치로서,
상기 제 2 반송에서, 상기 대응 지엽류의 다음으로 반송되어야 할 지엽류를 다음 지엽류라고 정의했을 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비교 처리에서,
상기 제 2 반송 시의 체적 정보가, 상기 대응 지엽류의 상기 제 1 반송 시의 체적 정보에 오차를 고려한 값보다 큰 경우에는,
상기 제 2 반송 시의 체적 정보와, 상기 대응 지엽류의 상기 제 1 반송 시의 체적 정보에 상기 다음 지엽류의 상기 제 1 반송 시의 체적 정보를 더한 값을 비교하여, 상기 제 2 반송 시의 체적 정보가 미리 정해진 범위 내인 경우에는, 상기 제 2 반송에서 2매의 지엽류가 겹쳐 있는 것으로서 더 처리하는 지엽류 취급 장치.
이 구성에 의하면, 제 2 반송 시의 지엽류의 체적 정보와, 대응 지엽류의 제 1 반송 시의 체적 정보에 다음 지엽류의 제 1 반송 시의 체적 정보를 더한 값을 비교하여, 제 2 반송 시의 체적 정보가 미리 정해진 범위 내인 경우에는, 제 2 반송에서 2매의 지엽류가 겹쳐 있는 것으로서 처리하기 때문에, 제 2 반송에서 2매의 지엽류가 겹쳐 있을 경우여도, 지엽류를 계수하는 처리를 행할 수 있다. 이 결과, 지엽류를 계수하는 처리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다양한 양태로 실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은 지엽류 취급 장치, 지엽류 취급 장치를 탑재한 현금 자동 거래 장치, 지엽류 취급 장치를 이용한 시스템, 지엽류 취급 방법 외에, 그들 방법 또는 장치의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그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억 매체 등의 형태로 실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의 지엽류 취급 장치를 탑재한 현금 자동 거래 장치의 외관의 구성을 나타낸 설명도.
도 2는 ATM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
도 3은 지폐 취급 기구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설명도.
도 4는 지폐 취급 기구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
도 5는 지폐 판별부에 설치된 두께 검출 센서의 구성에 대한 개략적인 설명도.
도 6은 지폐의 체적의 산출 방법에 대한 제 1 예를 나타낸 설명도.
도 7은 지폐의 체적의 산출 방법에 대한 제 2 예를 나타낸 설명도.
도 8은 지폐의 체적의 산출 방법에 대한 제 3 예를 나타낸 설명도.
도 9는 지폐의 체적의 산출 방법에 대한 제 4 예를 나타낸 설명도.
도 10은 지폐의 체적의 산출 방법에 대한 제 5 예를 나타낸 설명도.
도 11은 입금 계수 테이블의 일 예를 나타낸 설명도.
도 12는 입금 수납 테이블의 일 예를 나타낸 설명도.
도 13은 입금 수납 처리에서의 지폐 체크 처리(도 19 : 스텝 S403)의 순서를 나타낸 플로차트.
도 14는 지폐 체크 처리에서의 체적 비교에 대한 설명도.
도 15는 지폐의 정보가 등록된 입금 수납 테이블의 일 예를 나타낸 설명도.
도 16은 ATM에서의 입금 처리의 순서를 나타낸 플로차트.
도 17은 입금 계수 처리의 순서를 나타낸 플로차트.
도 18은 입금 계수 처리에서의 지폐 판별 처리의 순서를 나타낸 플로차트.
도 19는 입금 수납 처리의 순서를 나타낸 플로차트.
이어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실시예에 의거하여 이하의 순서로 설명한다.
A. 실시예 :
B. 변형예 :
A. 실시예 :
(A-1) 현금 자동 거래 장치의 구성 :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의 지엽류 취급 장치를 탑재한 현금 자동 거래 장치의 외관 구성을 나타낸 설명도이다. 이 현금 자동 거래 장치(1)(이후, 「ATM」이라고도 함)의 전면(前面)에는, 카드 슬롯(101)과, 터치 패널(201)과, 입출금 수용구(301)를 구비하고 있다. 카드 슬롯(101)은 다양한 카드(예를 들면, 신용 카드나 현금 카드)의 삽입을 수용하기 위한 삽입 배출구이다. 터치 패널(201)은, 이용자에 대해 조작 안내 화면을 표시하고, 그 입력 조작을 수용하기 위한 조작부이다. 입출금 수용구(301)는, 이용자로부터의 지엽류(이하, 「지폐」라고도 함.)의 투입을 수용하고, 이용자에 대해 지폐의 배출을 행하기 위한 삽입 배출구이다. 또한, ATM(1)은 그 외주를 덮는 장치 하우징(2)의 내부에, 금고 하우징(3)과, 지폐 취급 기구(300)를 구비하고 있다. 금고 하우징(3)은, 장치 하우징(2)보다 완강(頑强)하게 형성되어 있고, 부정한 액세스(벽의 파괴 등)에 대해 보다 내성이 높은 구조(예를 들면, 두께 수십 mm정도의 철판)를 가지고 있다. 지폐 취급 기구(300)에 대한 상세한 것은 후술한다.
도 2는 ATM(1)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ATM(1)은 카드 명세표 처리 기구(100)와, 고객 조작부(200)와, 지폐 취급 기구(300)와, 인터페이스부(400)와, 계원 조작부(500)와, 본체 제어부(600)와, 외부 기억 장치(700)와, 전원부(800)를 구비하고 있다.
카드 명세표 처리 기구(100)는 카드 슬롯(101)을 포함하여, 삽입된 카드류의 처리나, 거래 명세표의 인자(印字) 처리를 행하는 기능을 가진다. 고객 조작부(200)는 터치 패널(201)을 포함하여, 이용자로부터의 조작을 수용하고, 본체 제어부(600)에 전달하는 기능을 가진다. 지폐 취급 기구(300)는 입출금 수용구(301)를 포함하여, 입출금 지폐의 계산이나, 지폐의 입출금 등을 행하는 기능을 가진다. 인터페이스부(400)는 도시 생략한 호스트 컴퓨터(host computer)와 통신하는 기능을 가진다. 계원 조작부(500)는, 계원(예를 들면, 은행 직원 등)으로부터의 조작을 수용하고, 본체 제어부(600)에 전달하는 기능을 가진다. 외부 기억 장치(700)는, 예를 들면 하드디스크나,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광 디스크 등의 데이터 기록 장치로 구성된다. 본체 제어부(600)는, 전술한 각 부분(100~700)과 버스에 의해 접속되어, 전술한 각 부분을 제어하는 기능을 가진다. 전원부(800)는 ATM(1)의 각 부분에 전원을 공급한다.
도 3은 지폐 취급 기구(300)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설명도이다. 지폐 취급 기구(300)는 입출금구(入出金口)(320)와, 지폐 판별부(330)와, 일시 보관고(340)와, 취출 망각 회수고(360)와, 리젝트고(370)와, 5개의 리사이클고(380)와, 이들을 연결하는 반송부(350)를 구비하고 있다. 이 중, 리젝트고(370)와 리사이클고(380)는 금고 하우징(3)에 수납되어 있다. 또한, 반송부(350) 중, 금고 하우징(3)의 외측(도면 중 상측)에 위치하는 반송부(350a)를 「상류 반송부」라고도 한다. 마찬가지로, 금고 하우징(3)의 내측(도면 중 하측)에 위치하는 반송부(350b)를 「하류 반송부」라고도 한다.
투입구으로서의 입출금구(320)는 입출금 수용구(301)에 투입된 지폐가 최초로 저장된다. 일시 보관고(340)는 입출금구(320)에 투입된 지폐를 거래 성립까지의 동안에, 일시적으로 보관해두는 보관고이다. 판별부로서의 지폐 판별부(330)는 지폐를 판별하는 기능을 가진다. 상세한 것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취출 망각 회수고(360)는 이용자가 입출금 시에 취출 망각 지폐를 회수하여, 수납해두는 보존고이다. 수납고로서의 리사이클고(380)는 출금에 적합한 지폐를 수납해두는 보존고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리사이클고(380)는 5개 설치되어 있지만, 1개 이상의 임의의 개수로 해도 된다. 수납고로서의 리젝트고(370)는 출금에 부적절한 지폐를 수납해두는 보존고이다. 출금에 부적절한 지폐란, 예를 들면 과도한 손상이나 오염이 있는 진권(眞券)이나, 위권(僞券)(진정(眞正)이 아닌 지폐)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송부(350)는 상기 각 보존고 사이에서 지폐를 반송하는 기능을 가진다. 반송되는 지폐는, 도면의 화살표의 방향을 따라 이동하고, 필요에 따라 반송 경로의 전환이 행해진다.
입금 계수 처리는 이용자로부터 입금을 수용할 경우에 행해지는 계수 처리이다. 입금 계수 처리에서는, 입출금 수용구(301)(도 1)로부터 투입된 지폐를 한 매씩 분리하여, 반송부(350)에 의해 지폐 판별부(330)로 반송한다. 지폐 판별부(330)는 지폐의 종류나, 지폐가 진정인지의 여부, 및 그 체적을 판정한다. 입금 수용 가능하다고 판정된 지폐는 반송부(350)에 의해 일시 보관고(340)로 반송된다. 한편, 입금 수용 불가능하다고 판정된 지폐는 반송부(350)에 의해 입출금구(320)에 반송되어, 이용자에게 반환된다. 입금 수용 불가능하다고 판정되는 지폐란, 예를 들면 지폐 판별부(330)에 의해 지폐로 판정할 수 없는 지폐나, 기울어짐이나 지폐 사이의 간격이 이상하다고 판정된 지폐가 있다. 이렇게, 본 실시예에서는, 입출금 수용구(301)로부터 투입된 지폐가, 입출금구(320)로부터 지폐 판별부(330)를 경유해서 일시 보관고(340)로 반송되는 것을 「제 1 반송」이라고도 한다.
입금 수납 처리는, 입금 계수 처리의 결과를 이용자에게 제시하고, 이용자로부터 확인의 입력이 이루어진 경우에 행해지는 계수 처리이다. 입금 수납 처리에서는, 일시 보관고(340)에 저장되어 있는 지폐를 한 매씩 분리하여, 반송부(350)에 의해 지폐 판별부(330)로 반송한다. 지폐 판별부(330)는, 입금 계수 처리와 마찬가지로 지폐의 종류나 체적 등을 판정하는 것 외에, 리사이클(출금)에 적합한 지폐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여기서 출금에 적합하다고 판정된 지폐는 반송부(350)에 의해 금종마다 설치된 리사이클고(380)로 반송된다. 한편, 출금에 적합하지 않다고 판정된 지폐는 반송부(350)에 의해 리젝트고(370)로 반송된다. 출금에 적합하지 않은 지폐란, 예를 들면 손상이 심한 지폐가 있다. 이렇게, 본 실시예에서는, 일시 보관고(340)에 보관되어 있는 지폐가, 일시 보관고(340)로부터 지폐 판별부(330)를 경유해서 리젝트고(370) 또는 리사이클고(380)로 반송되는 것을 「제 2 반송」이라고도 한다.
도 4는 지폐 취급 기구(300)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지폐 취급 기구(300)는, 도 3에서 설명한 각 부분(320~380)에 더하여, 지폐 취급 제어부(310)와, 기억부(315)를 더 구비하고 있다. 제어부로서의 지폐 취급 제어부(310)는 도 3에서 설명한 각 부분을 제어한다. 지폐 취급 제어부(310)는 버스를 통해 본체 제어부(600)와 접속되어 있다. 기억부(315)는 지폐 판별부(330)에 의해 판정된 지폐의 정보를 기억한다. 상세한 것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도 5는 지폐 판별부(330)에 설치된 두께 검출 센서의 구성에 대한 개략적인 설명도이다. 지폐 판별부(330)는 지폐의 반송 방향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3개의 두께 검출 센서(20R, 20C, 20L)를 구비하고 있다. 두께 검출 센서(20R)는 자기(磁氣) 센서(23)와, 상(上) 롤러(21)와, 하(下) 롤러(22)와, 상 축(25)과, 하 축(26)을 구비하고 있다.
상 롤러(21)는 금속 파이프(21a)와, 고무 부재(21b)를 구비하고 있다. 금속 파이프(21a)는 중공 원통형의 금속 부재이다. 상 롤러(21)는, 금속 파이프(21a)와 상 축(25) 사이에, 탄성이 있는 고무 부재(21b)가 끼워 넣어지는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다. 하 롤러(22)는 원기둥 형상의 금속 부재이며, 하 축(26)에 고정되어 있다. 상 축(25) 및 하 축(26)은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고, 적어도 한 쪽은 도시 생략한 모터에 의해 회전된다. 상 롤러(21)는 적절한 압력으로 하 롤러(22)를 누르도록 배치되어 있다. 자기 센서(23)는 상 롤러(21)의 금속 파이프(21a)의 표면과의 거리에 따른 전압을 출력한다. 본 실시예에서의 자기 센서(23)에는, 금속 파이프(21a)와의 거리가 작아짐에 따라 출력 전압이 높아지는 센서를 사용하고 있다.
이 구성에 의해, 상 롤러(21)와 하 롤러(22) 사이를 지폐가 반송되었을 때, 그 지폐의 두께에 의해, 상 롤러(21)가 상하 방향으로 변위한다. 그리고, 자기 센서(23)는 상 롤러(21)의 금속 파이프(21a)의 표면과의 거리에 따른 전압을 출력하기 때문에, 이 전압값을 바탕으로 지폐의 두께를 측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두께 검출 센서(20C, 20L)에 대해서도, 두께 검출 센서(20R)와 동일한 구성을 가지고 있다. 두께 검출 센서(20C)는 지폐의 중앙부의 두께를 측정하고, 20R, 20L은 지폐의 양단부의 두께를 측정한다. 이들 센서는 각각이 독립하여 지폐의 두께를 측정 가능하다.
(A-2) 지폐의 체적의 산출 방법 :
도 6은 지폐의 체적의 산출 방법에 대한 제 1 예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6의 (a)는 제 1 예에서의 지폐의 반송 패턴에 대해 나타내고 있다. 이 예에서는, 지폐(BL)는 기울어짐·겹침·접힘 등이 없는 정상인 상태로 반송되고 있다. 지폐 판별부(330) 중의 도시 생략한 제어부는, 우선 촬영 장치(10)에 지폐(BL)의 화상을 취득시킨다. 제어부는 이 화상을 처리함으로써, 지폐(BL)의 면적을 구한다. 또한, 도시한 바와 같이, 이 면적은 두께 검출 센서(20)의 위치에 대응한 3개의 부분(SR, SC, SL)으로 분할해서 각각 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하면, 후술하는 바와 같이, 보다 엄밀하게 지폐(BL)의 체적을 구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지폐(BL)의 화상 패턴으로부터, 지폐의 종류나, 지폐가 진정인지의 여부에 대해서도 판정할 수 있다.
도 6의 (b), (c), (d)는, 두께 검출 센서(20R, 20C, 20L)의 출력 전압 파형을 나타내고 있다. 제 1 예에서의 지폐(BL)는 정상인 상태이기 때문에, 모든 두께 검출 센서에서, 출력 전압의 검출 개시 타이밍(TR1, TC1, TL1) 및 검출 종료 타이밍(TR2, TC2, TL2)은 거의 동일하다. 또한, 출력 전압값(VR, VC, VL)도 거의 동일하다. 제어부는, 이 3개의 출력 전압값으로부터, 지폐(BL)의 3개소의 두께를 구한다. 구체적으로는, 도 6의 (b)에 나타낸 출력 전압값으로부터 지폐(BL)의 SR부분의 두께(d1)를 구한다. 마찬가지로, 도 6의 (c)에 나타낸 출력 전압값으로부터 SC부분의 두께(d2)를, 도 6의 (c)에 나타낸 출력 전압값으로부터 SL부분의 두께(d3)를 구한다. 이 두께(d1, d2, d3)의 산출은, 예를 들면 제어부 내에 출력 전압값과 두께의 대응 관계를 나타내는 테이블을 미리 준비함으로써 실현 가능하다.
이어서 지폐 판별부(330)의 제어부는, 상술한 바와 같이 산출한 면적(SR, SC, SL)과, 두께(d1, d2, d3)를 이용하여, 지폐(BL)의 체적(E)을 구한다.
체적(E)=(SR×d1)+(SC×d2)+(SL×d3)
도 7은 지폐의 체적의 산출 방법에 대한 제 2 예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7의 (a)는 제 2 예에서의 지폐의 반송 패턴에 대해 나타내고 있다. 이 예에서는, 2매의 지폐(BL1, BL2)가 반송 방향(CC)으로 어긋나 겹친 상태로 반송되고 있다. 우선, 지폐 판별부(330)의 제어부는, 제 1 예와 마찬가지로, 촬영 장치(10)에 의한 화상을 처리해서 각 부분(SR, SC, SL)의 면적을 구한다.
제 2 예에서도, 출력 전압의 검출 개시 타이밍 및 검출 종료 타이밍은 거의 동일하다. 한편, 제 2 예에서의 지폐(BL1, BL2)는, 어긋나 겹친 상태이기 때문에, 지폐(BL1과 BL2)가 겹쳐 있는 부분에 대한 출력 전압값이 높게 되어 있다(도 7의 (b)~(d)). 이렇게 두께 검출 센서(20)의 출력 전압값에 편차가 있을 경우, 지폐의 두께는 평균 출력 전압값을 구한 후에 산출한다. 이 평균 출력 전압값은, 예를 들면 아래와 같이 해서 구할 수 있다.
평균 출력 전압값 = 출력 파형으로부터 형성되는 부분(도면 중 사선부)의 면적/TR1과 TR2 사이의 길이
제어부는, 상기 식에 의해 구한 평균 출력 전압값을 바탕으로, 지폐(BL)의 3개소의 두께를 구한다. 그 후, 제어부는, 이들 면적(SR, SC, SL)과, 두께(d1, d2, d3)를 이용해서, 지폐(BL)의 체적(E)을 구한다. 체적(E)을 구하는 식에 대해서는 제 1 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도 8은 지폐의 체적의 산출 방법에 대한 제 3 예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8의 (a)는 제 3 예에서의 지폐의 반송 패턴에 대해 나타내고 있다. 이 예에서는, 지폐(BL)의 4개의 모서리부가 접힌 상태로 반송되고 있다. 제 3 예에서도, 제어부는 지폐(BL)의 면적(SR, SC, SL)과, 두께(d1, d2, d3)를 구한 후에, 체적(E)을 구한다. 제 3 예의 경우, 두께(d2)는 제 1 예와 동일한 방법으로 구할 수 있다. 한편, 두께(d1, d3)는 제 2 예와 동일한 방법으로 구할 수 있다.
도 9는 지폐의 체적의 산출 방법에 대한 제 4 예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9의 (a)는 제 4 예에서의 지폐의 반송 패턴에 대해 나타내고 있다. 이 예에서는, 지폐(BL)의 양단(兩端)이 접힌 상태로 반송되고 있다. 제 4 예에서도, 제어부는, 지폐(BL)의 면적(SR, SC, SL)과, 두께(d1, d2, d3)를 구한 후에, 체적(E)을 구한다. 제 4 예의 경우, 두께(d2)는 제 1 예와 동일한 방법으로 구할 수 있다. 한편, 두께(d1, d3)는 제 2 예와 동일한 방법으로 구할 수 있다.
도 10은 지폐의 체적의 산출 방법에 대한 제 5 예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10의 (a)는 제 5 예에서의 지폐의 반송 패턴에 대해 나타내고 있다. 이 예에서는, 지폐(BL)가 반송 방향(CC)에 대해 사행(斜行)한 상태로 반송되고 있다. 우선, 지폐 판별부(330)의 제어부는, 제 1 예와 마찬가지로, 촬영 장치(10)에 의한 화상을 처리해서 각 부분(SR, SC, SL)의 면적을 구한다.
제 5 예에서는 지폐(BL)가 사행하고 있기 때문에, 출력 전압의 검출 개시 타이밍 및 검출 종료 타이밍이 상이해져 있다. 한편, 지폐(BL)에 접힘 등은 없기 때문에, 출력 전압 값은 거의 일정하다(도 10의 (b)~(d)). 또한, 제 5 예의 경우에는, 출력 전압의 검출 개시 시각(TR1)과 검출 종료 시각(TR2) 사이의 간격(L')은, 제 1 예에서 나타낸 간격(L)보다 커진다. 이것은 지폐(BL)가 사행해 있는 것이 원인이다. L'와 L의 관계는 아래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L' = L/cosθ
제어부는, 제 1 예와 마찬가지로, 지폐(BL)의 3개소의 두께를 구한다. 그 후, 제어부는 이들 면적(SR, SC, SL)과, 두께(d1, d2, d3)를 이용하여, 지폐(BL)의 체적(E)을 구한다. 체적(E)을 구하는 식에 대해서는 제 1 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도 11은 입금 계수 테이블(901)의 일 예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입금 계수 테이블(901)은 입금 계수 처리에서 취득된 지폐의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테이블이고, 기억부(315) 내에 마련되어 있다. 입금 계수 테이블(901)은 지폐 번호(TA)와, 금종 정보(TM)와, 환류 정보(TR)와, 체적 정보(TV)를 포함하고 있다. 지폐 번호(TA)는 지폐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 번호이며, 임의의 것을 정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지폐 번호(TA) 필드의 값으로서 자연수를 사용하고, 데이터가 저장될 때마다 1씩 카운트업(count up)해 가는 것으로 한다. 이렇게 하면, 반송 순서와 지폐의 정보를 관련지을 수 있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금종 정보(TM)는 지폐의 종류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금종 정보(TM) 필드의 값으로서, 자연수를 사용하고, 0이 불명(不明), 1이 천엔 지폐, 2가 오천엔 지폐, 3이 만엔 지폐를 나타내는 것으로 한다. 환류 정보(TR) 필드에는, 그 지폐가 리사이클(출금)에 적합한 지폐인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가 저장된다. 체적 정보(TV) 필드에는, 도 6 ~ 도 10에서 설명한 방법에 의해 구해진 지폐의 체적이 저장된다.
도 12는 입금 수납 테이블(902)의 일 예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입금 수납 테이블(902)은, 입금 수납 처리에 의해 취득된 지폐의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테이블이고, 기억부(315) 내에 마련되어 있다. 입금 수납 테이블(902)은 지폐 번호(DA)와, 금종 정보(DM)와, 환류 정보(DR)와, 체적 정보(DV)를 포함하고 있다. 각 항목에 대해서는 도 11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A-3) 지폐 체크 처리 :
도 13은 입금 수납 처리에서의 지폐 체크 처리(도 19 : 스텝 S403)의 순서를 나타낸 플로차트이다. 본 처리에서의 제어 주체는 지폐 취급 제어부(310)이다. 우선, 지폐 취급 제어부(310)는 반송 순서를 기억하기 위한 내부 카운터(TD)를 초기화한다(스텝 S501). 그리고, 지폐 취급 제어부(310)는, 본체 제어부(600)로부터의 지폐 체크 처리의 정지 지시가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한다(스텝 S502). 지폐 체크 처리의 정지 지시가 있을 경우에는(스텝 S502 : YES), 처리를 종료한다. 지폐 체크 처리의 정지 지시가 없을 경우에는(스텝 S502 : NO), 지폐 판별부(330)에 대해 지폐가 반송되었는지의 여부를 확인한다(스텝 S503). 지폐가 반송되었을 경우(스텝 S503 : YES)는, 지폐의 판별을 행한다(스텝 S504). 구체적으로는, 현재 처리하고 있는 지폐를 지폐(NB)라고 했을 때, 지폐(NB)의 종류나, 지폐(NB)가 진정(眞正)인지의 여부, 및 그 체적을 판별한다. 또한, 지폐의 체적의 산출 방법은 도 5 ~ 도 10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이어서, 지폐 취급 제어부(310)는 지폐(NB)의 정보를 입금 수납 테이블(902)(도 12)에 등록한다(스텝 S505). 구체적으로는, 지폐 번호(DA) 필드에 내부 카운터(TD)의 값을 저장한다. 마찬가지로, 금종 정보(DM) 필드에 그 지폐의 종류(금종)를 나타내는 자연수를, 환류 정보(DR) 필드에 그 지폐가 리사이클(출금)에 적합한 지폐인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를 저장한다. 또한, 체적 정보(DV) 필드에, 그 지폐의 체적의 정보를 저장한다. 이렇게, 제어부로서의 지폐 취급 제어부(310)는, 지폐 판별부(330)에, 제 2 반송 시에 지폐 판별부(330)를 통과하는 지폐의 체적을 계측시켜, 제 2 반송 시의 체적 정보와 반송 순서를 관련지어 기억부(315)의 입금 수납 테이블(902)에 기억시키고 있다.
지폐 판별부(330)에 의해 지폐(NB)가 올바르게 판정될 수 있었을 경우(즉, 지폐(NB)가 촬영 장치(10)에 의해 지폐로 판정할 수 없을 경우나, 지폐(NB)의 기울어짐이 이상하다고 판정된 경우 이외/스텝 S506 : YES)는, 내부 카운터(TD)에 1을 더해서(스텝 S507), 스텝 S502로 천이한다.
지폐 판별부(330)에 의해 지폐(NB)가 올바르게 판정될 수 없을 경우(스텝 S506 : NO)는, 지폐의 체적이 거의 일치하고 있는지를 판정한다(스텝 S508). 이 판정은 다음과 같이 해서 행한다.
순서 1-1) 제 1 반송 시에서의 지폐(NB)의 체적(SA1)을 입금 계수 테이블(901)(도 11)로부터 검색한다. 구체적으로는, 입금 계수 테이블(901)의 지폐 번호(TA) 필드의 값이 내부 카운터(TD)와 동일한 레코드를 추출하여, 당해 레코드의 체적 정보(TV) 필드의 값을 참조한다. 또한, 입금 계수 테이블(901)로의 지폐 정보의 등록 처리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순서 1-2) 단계 S504에서 산출한 지폐(NB)의 체적(SD)과, 체적(SA1)을 비교 처리한다. 이 비교 처리 시는, 지폐 취급 제어부(310)에 의한 체적의 계측 오차를 고려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체적(SD)이 하기 식을 만족할 경우에, 「거의 일치하고 있다」고 판정할 수 있다.
SA1-α1≤SD≤SA1+α1
또한, α1은 오차이고, 예를 들면 SA1의 10%로 할 수 있다. 지폐의 체적이 거의 일치하고 있을 경우(스텝 S508 : YES)에는, 내부 카운터(TD)에 1을 더하고(스텝 S507), 스텝 S502로 천이한다.
한편, 지폐의 체적이 거의 일치하고 있다고 판정할 수 없을 경우(스텝 S508 : NO)에는, 체적(SD)이 체적(SA1)보다 작은지의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510). 체적(SD)이 체적(SA1)보다 작을 경우(스텝 S510 : YES)에는, 지폐(NB)의 일부가 파손되는 등으로 반송부(350) 내에 정류(停留)하고 있을 우려가 있기 때문에, 이상 판정을 하고 처리를 종료한다(스텝 S511).
체적(SD)이 체적(SA1)보다 작지 않을 경우(스텝 S510 : NO)에는, 지폐(NB)가 2매 겹친 지폐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512). 이 판정은 다음과 같이 해서 행한다.
순서 2-1) 제 1 반송 시에서의 지폐(NB)의 체적(SA1)과, 지폐(NB)의 다음으로 반송되어야 할 지폐(NB2)의 체적(SA2)을, 입금 계수 테이블(901)로부터 검색한다. 구체적으로는, 입금 계수 테이블(901)의 지폐 번호(TA) 필드의 값이 내부 카운터(TD)와 동일한 레코드와, 지폐 번호(TA) 필드의 값이 내부 카운터(TD)에 1을 더한 값과 동일한 레코드를 추출하고, 그들 2개의 레코드의 체적 정보(TV) 필드의 값을 참조한다.
순서 2-2) 스텝 S504에서 산출한 지폐(NB)의 체적(SD)과, 체적(SA1)과 체적(SA2)을 더한 값을 비교 처리한다. 예를 들면, 체적(SD)이 하기 식을 만족할 경우에, 「2매 겹쳐 있다」고 판정할 수 있다.
SA1+SA2-α2≤SD≤SA1+SA2+α2
또한, α2는 오차이다. α2는 α1보다 약간 큰 값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폐가 2매 겹쳐 있을 경우(스텝 S512 : YES)는, 내부 카운터(TD)에 2를 더해서(스텝 S513), 스텝 S502로 천이한다.
지폐가 2매 겹쳐 있다고 판정할 수 없는 경우(스텝 S512 : NO)에는, 체적(SD)이 체적(SA1)과 체적(SA2)을 더한 값보다 작은지의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514). 이 경우도, 지폐(NB)의 일부가 파손되는 등으로 반송부(350) 내에 정류하고 있을 우려가 있기 때문에, 이상 판정을 하고 처리를 종료한다(스텝 S515).
체적(SD)이 체적(SA1)과 체적(SA2)을 더한 값보다 작지 않을 경우(스텝 S514 : NO)에는, 지폐(NB)가 3매 겹친 지폐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516). 이 판정은 다음과 같이 해서 행한다.
순서 3-1) 제 1 반송 시에서의 지폐(NB)의 체적(SA1)과, 지폐(NB)의 다음으로 반송되어야 할 지폐(NB2)의 체적(SA2)과, 지폐(NB2)의 다음으로 반송되어야 할 지폐(NB3)의 체적(SA3)을, 입금 계수 테이블(901)로부터 검색한다.
순서 2-2) 스텝 S504에서 산출한 지폐(NB)의 체적(SD)과, 체적(SA1) ~ 체적(SA3)을 더한 값을 비교 처리한다. 예를 들면, 체적(SD)이 하기 식을 만족할 경우에, 「3매 겹쳐 있다」고 판정할 수 있다.
SA1+SA2+SA3-α3≤SD≤SA1+SA2+SA3+α3
또한, α3은 오차이다. α3은 α2보다 약간 큰 값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폐가 3매 겹쳐 있을 경우(스텝 S516 : YES)에는, 내부 카운터(TD)에 3을 더하고(스텝 S517), 스텝 S502로 천이한다. 지폐가 3매 겹쳐 있다고 판정할 수 없는 경우(스텝 S516 : NO)는, 체적이 너무 크기 때문에, 이상 판정을 하고 처리를 종료한다(스텝 S518).
도 14는 지폐 체크 처리에서의 체적 비교에 대한 설명도이다. 지폐(NB)의 체적(SD)이 도면 중의 사선으로 나타낸 범위에 있을 경우에는, 지폐(NB)는 정상인 것으로 하여 처리를 계속할 수 있다.
도 15는 지폐의 정보가 등록된 입금 수납 테이블(902)의 일 예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15의 (a)는, 2매의 지폐가 겹쳐 반송되었을 경우의 입금 수납 테이블(902)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레코드(PL1)는, 도 13의 스텝 S512에서 2매의 지폐가 겹쳐 있다고 판정되었을 때의 레코드를 나타내고 있다. 이렇게, 2매의 지폐가 겹쳐 있다고 판단되었을 경우, 당해 지폐에 대한 금종 정보(DM) 필드에는, 불명을 나타내는 0이 저장된다. 또한, 환류 정보(DR) 필드에는 환류 불가능인 것을 나타내는 불가능이 저장된다. 또한, 다음 지폐의 정보가 저장되는 레코드(PL2)의 지폐 번호(DA) 필드에는, 3이 저장된다. 도 15의 (b)는, 3매의 지폐가 겹쳐 반송되었을 경우의 입금 수납 테이블(902)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3매의 지폐가 겹쳐 반송된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지폐 취급 제어부(310)는, 제 1 반송 시에 등록한 입금 계수 테이블(901)(도 11)의 정보와, 제 2 반송 시에 등록한 입금 수납 테이블(902)(도 12)의 정보를 대조함으로써, 지폐의 매수 일치 체크(도 19 : 스텝 S410)를 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입금 계수 테이블(901)의 지폐 번호(TA) 필드 중 가장 큰 값과 입금 수납 테이블(902)의 지폐 번호(DA) 필드 중 가장 큰 값이 동일하면, 지폐의 매수가 동일하다고 볼 수 있다. 또한, 이 때, 금종 정보(TM), 금종 정보(DM)의 정보를 이용하여 금종마다의 매수 일치 체크를 행해도 된다. 또한, 복수매 겹쳐 있다고 판정된 지폐에 대해서는, 금종 정보(TM), 금종 정보(DM), 체적 정보(TV), 체적 정보(DV)의 정보를 이용해서 체적 정보에 의한 매수 일치 체크를 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A-4) 입금 처리 :
도 16은 ATM(1)에서의 입금 처리의 순서를 나타낸 플로차트이다. 본 처리에서의 제어 주체는 본체 제어부(600)이다. 우선, 본체 제어부(600)는 이용자에 대해 입금 한도액 등의 가이던스를 표시한다(스텝 S101). 이어서, 입출금 수용구(301)의 셔터를 열고, 지폐가 투입될 것을 기다린다(스텝 S102). 지폐가 투입되었다고 판정했을 경우(스텝 S103), 입출금 수용구(301)의 셔터를 닫는다(스텝 S104). 그 후, 본체 제어부(600)는, 입금 계수 처리를 행한다(스텝 S105). 입금 계수 처리에 대한 상세한 것은 후술한다.
입금 계수 처리를 중단한다고 판정했을 경우(스텝 S107 : YES), 입출금구(320)의 지폐를 빼내고, 재세트를 촉구하는 가이던스를 표시한다(스텝 S121). 또한, 입금 계수 처리를 중단할 경우에는, 예를 들면 지폐 취급 기구(300)의 고장을 검출했을 경우나, 투입된 지폐가 가득 찬 경우 등이 있다. 이어서, 입출금 수용구(301)의 셔터를 열고(스텝 S122), 지폐의 빼냄을 기다린다(스텝 S123). 지폐가 빼내진 것을 검지했을 경우, 입출금 수용구(301)의 셔터를 닫는다(스텝 S124). 그 후, 지폐의 재투입을 수용할 경우(스텝 S125 : YES), 스텝 S101의 처리로 천이한다. 지폐의 재투입을 수용하지 않을 경우(스텝 S125 : NO), 스텝 S107의 처리로 천이한다.
한편, 입금 계수 처리가 정상으로 종료했을 경우(스텝 S107 : NO), 입금 계수 처리에 의해 계수한 지폐의 매수 등의 가이던스를 터치 패널(201)에 표시한다(스텝 S107). 이용자의 확인이 이루어진 경우(스텝 S108 : YES), 호스트 컴퓨터와 교신하고(스텝 S109), 그 후 입금 수납 처리를 행한다(스텝 S110). 입금 수납 처리에 대한 상세한 것은 후술한다.
이용자의 확인이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스텝 S108 : NO)이며 취소가 선택되어 있지 않을 경우(스텝 S111 : NO)는, 다시 스텝 S107의 처리를 행한다. 이용자의 확인이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스텝 S108 : NO)이며 취소가 선택되었을 경우(스텝 S111 : YES)는, 일시 보관고(340)에 보관된 지폐를 입출금구(320)로 반송한다(스텝 S112). 그 후, 입출금 수용구(301)의 셔터를 열고(스텝 S113), 지폐의 빼냄을 기다린다(스텝 S114). 지폐가 빼내진 것을 검지했을 경우, 입출금 수용구(301)의 셔터를 닫는다(스텝 S115). 그 후, 지폐의 재투입을 수용할 경우(스텝 S116 : YES), 스텝 S101의 처리로 천이한다. 지폐의 재투입을 수용하지 않을 경우(스텝 S116 : NO), 처리를 종료한다.
(A-5) 입금 계수 처리:
도 17은 입금 계수 처리의 순서를 나타낸 플로차트이다. 본 처리에서의 제어 주체는 지폐 취급 제어부(310)이다. 우선, 지폐 취급 제어부(310)는, 지폐를 반송할 준비를 위해 상류 반송부(350a)를 구동한다(스텝 S201). 이어서, 입금구 분리 처리(스텝 S202)와, 지폐 판별 처리(스텝 S203)와, 게이트 처리(스텝 S204)를 기동한다. 입금구 분리 처리는, 입출금구(320)에 투입된 지폐를 한 매씩 분리하여, 반송부(350)로 송출(送出)한다. 지폐 판별 처리에 대한 상세한 것은 후술한다. 게이트 처리는 반송부(350)가 지폐 취급 기구(300)의 각 부분으로 지폐를 나누어 반송하기 위해 행하는 반송로의 전환 처리이다.
입출금구(320)의 지폐가 모두 반송부(350)로 송출되어 있지 않은 경우(스텝 S205 : NO)이며, 리젝트고(370)가 가득차지 않은 경우(스텝 S206 : NO)는, 처리를 계속한다. 입출금구(320)의 지폐가 모두 반송부(350)로 송출되어 있지 않을 경우(스텝 S205 : NO)이며, 리젝트고(370)가 가득찼을 경우(스텝 S206 : YES)는, 입출금 분리 처리를 정지하고, 리젝트고(370)의 지폐가 회수되는 것을 기다리고(스텝 S207), 스텝 S208 이후의 처리를 계속한다.
한편, 입출금구(320)의 지폐가 모두 반송부(350)로 송출되었을 경우(스텝 S205 : YES)이며, 모든 지폐가 지폐 판별부(330)를 통과했을 경우(스텝 S208 : YES)는, 지폐 판별 처리(스텝 S209)와, 게이트 처리(스텝 S210)를 정지한다. 그 후, 상류 반송부(350a)를 정지하고 처리를 종료한다(스텝 S211).
도 18은 입금 계수 처리에서의 지폐 판별 처리의 순서를 나타낸 플로차트이다. 본 처리에서의 제어 주체는 지폐 취급 제어부(310)이다. 우선, 지폐 취급 제어부(310)는, 반송 순서를 기억하기 위한 내부 카운터(TA)를 초기화한다(스텝 S301). 그리고, 지폐 취급 제어부(310)는, 본체 제어부(600)로부터의 지폐 판별 처리의 정지 지시가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한다(스텝 S302). 지폐 판별 처리의 정지 지시가 있을 경우에는(스텝 S302 : YES), 처리를 종료한다. 지폐 판별 처리의 정지 지시가 없을 경우에는(스텝 S302 : NO), 지폐 판별부(330)에 대해 지폐가 반송되었는지의 여부를 확인한다(스텝 S303). 지폐가 반송되었을 경우(스텝 S303 : YES)에는, 지폐의 판별을 행한다(스텝 S304). 구체적으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지폐의 종류나, 지폐가 진정인지의 여부, 및 그 체적을 판별한다. 또한, 지폐의 체적의 산출 방법은 도 5 ~ 도 10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지폐 판별부(330)에 의해 지폐가 올바르게 판정될 수 있었을 경우(즉, 입금 수용 가능으로 판정되었을 경우/스텝 S305 : YES)에는, 그 지폐의 정보를 입금 계수 테이블(901)(도 11)에 등록한다(스텝 S306). 구체적으로는, 지폐 번호(TA) 필드에 내부 카운터(TA)의 값을 저장한다. 그 밖의 필드에 대해서는 도 13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그 후, 지폐 취급 제어부(310)는 내부 카운터(TA)에 1을 더한다(스텝 S307). 한편, 지폐가 올바르게 판정될 수 없을 경우(스텝 S305 : NO), 구체적으로는, 판정 대상의 지폐가 촬영 장치(10)에 의해 지폐로 판정될 수 없을 경우나, 판정 대상의 지폐의 기울어짐이 이상하다고 판정되었을 경우에는, 스텝 S302로 천이하고, 다음 지폐의 판정을 행한다. 이 때, 판정 불가능이었던 지폐는, 이용자에게 반환된다.
이렇게, 입금 계수 처리에서는, 지폐 판별부(330)에 의해 올바르게 판정될 수 없었던 지폐는 이용자에게 반환되기 때문에, 입금 계수 테이블(901)에는, 신뢰성이 높은 지폐의 정보를 유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지폐가 올바르게 판정될 수 있었을 경우에 내부 카운터(TA)를 카운트업하고, 당해 내부 카운터(TA)의 값을 지폐 번호(TA) 필드의 값으로 하고 있다. 이 때문에, 지폐 번호(TA)는, 올바르게 판정될 수 있었던 지폐에 대한, 지폐의 반송 순서를 나타내고 있다. 이렇게, 제어부로서의 지폐 취급 제어부(310)는, 지폐 판별부(330)에, 제 1 반송 시에 지폐 판별부(330)를 통과하는 지폐의 체적을 계측시켜, 제 1 반송 시의 체적 정보와 반송 순서를 관련지어 기억부(315)의 입금 계수 테이블(901)에 기억시키고 있다.
(A-6) 입금 수납 처리 :
도 19는 입금 수납 처리의 순서를 나타낸 플로차트이다. 본 처리에서의 제어 주체는 지폐 취급 제어부(310)이다. 우선, 지폐 취급 제어부(310)는, 지폐를 반송하는 준비를 위해 상류 반송부(350a)와 하류 반송부(350b)를 구동한다(스텝 S401). 이어서, 일시 보관고 분리 처리(스텝 S402)와, 지폐 체크 처리(스텝 S403)와, 게이트 처리(스텝 S404)를 기동한다. 일시 보관고 분리 처리는 일시 보관고(340)에 보관된 지폐를 한 매씩 분리하여, 반송부(350)로 송출한다. 지폐 체크 처리에 대한 상세한 것은 후술한다. 게이트 처리는 도 17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일시 보관고(340)의 지폐가 모두 반송부(350)로 송출되어 있지 않을 경우(스텝 S405 : NO) 혹은, 모든 지폐가 지폐 판별부(330)를 통과해 있지 않을 경우(스텝 S406 : NO)에는, 처리를 계속한다. 한편, 일시 보관고(340)의 지폐가 모두 반송부(350)로 송출되고(스텝 S405 : YES) 또한, 모든 지폐가 지폐 판별부(330)를 통과해 있을(스텝 S406 : YES) 경우에는, 지폐 판별 처리(스텝 S407)와, 게이트 처리(스텝 S408)를 정지한다. 그 후, 상류 반송부(350a)와 하류 반송부(350b)를 정지하고, 입금 계수 처리와 입금 수납 처리에서의 지폐의 매수 일치 체크를 행한다(스텝 S410). 또한, 매수 일치 체크에 대한 상세한 것은 전술한 바와 같다.
이렇게, 본 실시예에서는, 제어부로서의 지폐 취급 제어부(310)는, 지폐 판별부(330)에, 제 1 반송과 제 2 반송 시의 지폐의 체적을 계측시켜, 당해 체적의 정보와 반송 순서를 관련지어 기억부에 기억시킨다. 그리고, 제 2 반송 시의 체적 정보와, 반송 순서로부터 안내되는 당해 지폐와 동일한 지폐라고 추정되는 대응 지폐의 제 1 반송 시의 체적 정보를 비교 처리함으로써(환언하면, 체적의 정보와 반송 순서를 이용하여), 지폐의 매수를 대조한다. 이 결과, 지폐를 계수하는 처리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제 2 반송 시의 체적 정보가, 대응 지폐의 제 1 반송 시의 체적 정보에 오차를 고려한 값보다 큰 경우에는, 제 2 반송 시의 체적 정보와, 대응 지폐의 제 1 반송 시의 체적 정보에 다음 지폐의 제 1 반송 시의 체적 정보를 더한 값을 비교한 후, 2매의 지폐가 겹쳐 있는 것으로 해서 처리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때문에, 제 2 반송에서 2매의 지폐가 겹쳐 있을 경우여도, 지폐를 계수하는 처리를 행할 수 있다. 이 결과, 지폐를 계수하는 처리의 신뢰성을 더 향상시킬 수 있다.
B. 변형예 :
또한,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나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그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양태로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예를 들면 다음과 같은 변형도 가능하다.
B1. 변형예 1 :
상기 실시예에서는, 현금 자동 거래 장치에서의 지폐를 예로 들어 설명했지만, 지폐에 한하지 않고 다양한 지엽류(예를 들면, 주권(株券)이나 유가 증권 등)를 취급하는 장치에서도 실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제 1 반송 시에 입금 계수 처리를, 제 2 반송 시에 입금 수납 처리를 실행하는 것으로 해서 설명했지만, 이것들은 어디까지나 예시이다. 예를 들면, 출금 시의 계수 처리나, 정밀 조사 시의 계수 처리에 대해서, 상술한 방법으로 지폐의 계수 처리를 해도 된다.
B2. 변형예 2 :
상기 실시예에서는, 지폐를 3개로 분할한 후, 3개의 두께 검출 센서를 이용해서 체적(E)을 구하는 구성으로 했다. 그러나, 상기 구성에 한하지 않고, 다양한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지폐를 n개(n은 1 이상의 정수)로 분할한 후, n개의 두께 검출 센서를 이용해서 지폐의 두께를 검출하고, 체적(E)을 구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이렇게 하면, 지폐의 체적을 보다 엄격하게 구할 수 있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B3. 변형예 3 :
상기 실시예에서는, 제 1 반송에서 입출금구로부터 지폐가 속출(繰出)되는 순서와, 제 2 반송에서 일시 보관고로부터 지폐가 속출되는 순서는 동일(즉, 제 1 반송에서 첫 번째로 속출된 지폐는, 제 2 반송에서도 첫 번째로 속출됨)한 것으로 해서 기재했다. 그러나, 예를 들면 제 1 반송에서 입출금구로부터 지폐가 속출되는 순서와, 제 2 반송에서 일시 보관고로부터 지폐가 속출되는 순서는 반대인 것으로 해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지폐가 n매 있다고 했을 경우, 제 1 반송에서 첫 번째로 속출된 지폐는, 제 2 반송에서는 n 번째로 속출된다. 그 경우는, 도 13의 스텝 S501에서, TD=n으로 초기화를 행하고, 스텝 S507, S509, S513, S517에서는, 가산이 아니라 감산을 행하면 된다.
B4. 변형예 4 :
상기 실시예에서는, 지폐가 3매 겹쳐 있을 경우까지를 처리 가능한 것으로서 기재했지만, 상기는 어디까지나 예시이며, 임의의 양태를 채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지폐가 4매 이상 겹쳐 있어도 처리 가능한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이 경우, 3매 겹쳐 있는 경우의 처리를 전용(轉用)함으로써 실현 가능하다.
B5. 변형예 5 :
상기 실시예에서는, 입금 계수 테이블 및 입금 수납 테이블의 구성의 일 예를 나타냈다. 그러나, 상기 실시예에서 나타낸 구성에 한하지 않고, 이들 테이블에는 임의의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체적 정보(TV)(DV)를 대신하여, 또는 체적 정보(TV)(DV)와 함께, 지폐의 면적과 두께의 정보를 저장하는 필드를 마련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또한, 도 11이나 도 12에 나타낸 것 이외의 필드를 마련하는 것도 가능하다.
B6. 변형예 6 :
상기 실시예에서는, ATM 및 지폐 취급 기구 각 부분의 구성이나 기능을 설명했다. 그러나, 상기 실시예에서 나타낸 양태는, 어디까지나 일례에 지나지 않고,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양태를 채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각 부분을 구성하는 부재의 형상 등을 변경해도 되고, 상술하지 않은 기능(예를 들면, 음성 안내부나 상태 표시부 등)을 구비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1 : 현금 자동 거래 장치(ATM) 10 : 촬영 장치
20 : 두께 검출 센서 21 : 상 롤러
21a : 금속 파이프 21b : 고무 부재
22 : 하 롤러 23 : 자기 센서
25 : 상 축 26 : 하 축
100 : 카드 명세표 처리 기구 101 : 카드 슬롯
200 : 고객 조작부 201 : 터치 패널
300 : 지폐 취급 기구 301 : 입출금 수용구
310 : 지폐 취급 제어부 315 : 기억부
320 : 입출금구 330 : 지폐 판별부
340 : 일시 보관고 350 : 반송부
350a : 상류 반송부 350b : 하류 반송부
360 : 취출 망각 회수고 370 : 리젝트고
380 : 리사이클고 400 : 인터페이스부
500 : 계원 조작부 600 : 본체 제어부
700 : 외부 기억 장치 800 : 전원부
901 : 입금 계수 테이블 902 : 입금 수납 테이블

Claims (4)

  1. 지엽류(紙葉類) 취급 장치로서,
    지엽류를 판별하는 판별부와,
    상기 지엽류 취급 장치 내에서 지엽류를 반송하기 위한 반송부와,
    상기 지엽류 취급 장치의 각 부분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지엽류의 정보를 기억하는 기억부를 구비하고,
    상기 반송부에 의해 반송되는 지엽류가, 1회째로 상기 판별부를 경유하는 것을 제 1 반송으로 하고,
    상기 반송부에 의해 반송되는 지엽류가, 2회째로 상기 판별부를 경유하는 것을 제 2 반송으로 했을 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판별부에, 상기 제 1 반송 시에 상기 판별부를 통과하는 지엽류의 체적을 계측시켜, 상기 제 1 반송 시의 체적 정보와 반송 순서를 관련지어 상기 기억부에 기억시키고,
    상기 판별부에, 상기 제 2 반송 시에 상기 판별부를 통과하는 지엽류의 체적을 계측시켜, 당해 지엽류의 제 2 반송 시의 체적 정보와, 반송 순서로부터 안내되는 상기 지엽류와 동일한 지엽류라고 추정되는 대응 지엽류의 상기 제 1 반송 시의 체적 정보를 비교 처리함으로써, 상기 제 1 반송과 상기 제 2 반송에서 반송된 지엽류의 매수(枚數)를 대조하는 지엽류 취급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반송에서, 상기 대응 지엽류의 다음으로 반송되어야 할 지엽류를 다음 지엽류라고 정의했을 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비교 처리에서,
    상기 제 2 반송 시의 체적 정보가, 상기 대응 지엽류의 상기 제 1 반송 시의 체적 정보에 오차를 고려한 값보다 큰 경우에는,
    상기 제 2 반송 시의 체적 정보와, 상기 대응 지엽류의 상기 제 1 반송 시의 체적 정보에 상기 다음 지엽류의 상기 제 1 반송 시의 체적 정보를 더한 값을 비교하여, 상기 제 2 반송 시의 체적 정보가 미리 정해진 범위 내인 경우에는, 상기 제 2 반송에서 2매의 지엽류가 겹쳐 있는 것으로서 더 처리하는 지엽류 취급 장치.
  3. 지엽류 취급 방법으로서,
    (a) 지엽류를 반송하는 공정과,
    (b) 지엽류를 판별하는 공정과,
    (c) 지엽류의 정보를 기억하는 공정을 포함하고,
    상기 공정 (a) 중, 상기 공정 (b)가 1회째로 행해질 경우를 제 1 반송으로 하고,
    상기 공정 (a) 중, 상기 공정 (b)가 2회째로 행해질 경우를 제 2 반송으로 했을 때,
    상기 제 1 반송 시의 상기 공정 (b)에서는, 상기 제 1 반송 시의 지엽류의 체적을 계측하고, 상기 공정 (c)에서는, 제 1 반송 시의 체적 정보와 반송 순서를 관련지어 기억하고,
    상기 제 2 반송 시의 상기 공정 (b)에서는, 상기 제 2 반송 시의 지엽류의 체적을 계측하고, 당해 지엽류의 제 2 반송 시의 체적 정보와, 반송 순서로부터 안내되는 상기 지엽류와 동일한 지엽류라고 추정되는 대응 지엽류의 상기 제 1 반송 시의 체적 정보를 비교 처리함으로써, 상기 제 1 반송과 상기 제 2 반송에서 반송된 지엽류의 매수를 대조하는 지엽류 취급 방법.
  4. 지엽류 취급 장치에 인스톨되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지엽류를 반송하는 반송 기능과,
    지엽류를 판별하는 판별 기능과,
    지엽류의 정보를 기억하는 기억 기능을 컴퓨터에 실현시키는 컴퓨터 프로그램이고,
    상기 반송 기능 중, 상기 판별 기능이 1회째로 실행되는 경우를 제 1 반송으로 하고,
    상기 반송 기능 중, 상기 판별 기능이 2회째로 실행되는 경우를 제 2 반송으로 했을 때,
    상기 제 1 반송 실행 시의 상기 판별 기능은 상기 제 1 반송 시의 지엽류의 체적을 계측하고, 상기 기억 기능은 제 1 반송 시의 체적 정보와 반송 순서를 관련지어 기억하고,
    상기 제 2 반송 실행 시의 상기 판별 기능은 상기 제 2 반송 시의 지엽류의 체적을 계측하고, 당해 지엽류의 제 2 반송 시의 체적 정보와, 반송 순서로부터 안내되는 상기 지엽류와 동일한 지엽류라고 추정되는 대응 지엽류의 상기 제 1 반송 시의 체적 정보를 비교 처리함으로써, 상기 제 1 반송과 상기 제 2 반송에서 반송된 지엽류의 매수를 대조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100039861A 2009-05-13 2010-04-29 지엽류 취급 장치 KR10107827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9116037A JP5271149B2 (ja) 2009-05-13 2009-05-13 紙葉類取扱装置
JPJP-P-2009-116037 2009-05-1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2857A true KR20100122857A (ko) 2010-11-23
KR101078278B1 KR101078278B1 (ko) 2011-10-31

Family

ID=425778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39861A KR101078278B1 (ko) 2009-05-13 2010-04-29 지엽류 취급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1) EP2251288A3 (ko)
JP (1) JP5271149B2 (ko)
KR (1) KR101078278B1 (ko)
CN (1) CN10188760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633456B2 (ja) * 2011-03-30 2014-12-03 沖電気工業株式会社 紙幣入出金機
CN102411805B (zh) 2011-12-08 2013-06-26 广州广电运通金融电子股份有限公司 纸币类检测装置及检测方法
JP5980134B2 (ja) * 2013-01-21 2016-08-31 日立オムロンターミナル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紙幣取扱装置、紙幣取扱方法
CN104112312A (zh) * 2014-05-22 2014-10-22 昆山古鳌电子机械有限公司 一种纸币处理装置
JP6462894B2 (ja) * 2015-11-10 2019-01-30 富士通フロンテック株式会社 紙葉類取扱装置及び紙葉類決定方法
CN106157466B (zh) * 2016-07-25 2018-10-19 深圳怡化电脑股份有限公司 纸币残留检测方法及装置
CN107146322B (zh) * 2017-05-04 2019-12-10 深圳怡化电脑股份有限公司 纸币走钞的控制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N112614283B (zh) * 2020-12-31 2022-05-31 深圳怡化电脑股份有限公司 薄片介质数据的处理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9108A (ja) * 1992-06-26 1994-01-18 Hitachi Ltd 現金自動取引装置
JPH0935111A (ja) * 1995-07-18 1997-02-07 Hitachi Ltd 紙幣重なり枚数判定方法
JP3766466B2 (ja) * 1996-04-09 2006-04-12 日立オムロンターミナル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紙葉類の枚数確定方法及び紙葉類取扱装置
JP2001130777A (ja) * 1999-11-05 2001-05-15 Omron Corp 紙葉類処理装置及び紙幣処理装置
DE10030221A1 (de) * 2000-06-20 2002-01-03 Giesecke & Devrient Gmbh Vorrichtung zum Bearbeiten von Blattgut
JP3693993B2 (ja) * 2002-01-28 2005-09-14 日立オムロンターミナル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紙葉類確定装置
JP2006024033A (ja) * 2004-07-08 2006-01-26 Toshiba Corp 紙葉類処理装置
EP2077532A4 (en) * 2006-10-06 2011-04-13 Glory Kogyo Kk TICKET PROCESSING MACHI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0266972A (ja) 2010-11-25
CN101887606A (zh) 2010-11-17
JP5271149B2 (ja) 2013-08-21
EP2251288A2 (en) 2010-11-17
CN101887606B (zh) 2013-03-20
KR101078278B1 (ko) 2011-10-31
EP2251288A3 (en) 2012-04-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78278B1 (ko) 지엽류 취급 장치
JP5914687B2 (ja) 紙葉類処理装置、紙葉類仕分け装置及び紙葉類仕分けシステム
JP5365344B2 (ja) 自動取引装置
JP3754922B2 (ja) 紙幣取扱装置
JP5821588B2 (ja) 紙幣処理装置
JP2014106791A (ja) 貨幣入出金装置及び貨幣入出金装置の貨幣管理方法
WO2013145600A1 (ja) 貨幣処理装置
JP2013205909A (ja) 紙幣処理装置
KR101231691B1 (ko) 지엽류 취급 장치
KR20170043190A (ko) 매체 처리 장치 및 매체 처리 방법
JP5087889B2 (ja) 現金処理装置
JP5760770B2 (ja) 紙葉類装填装置
EP3089123B1 (en) Financial device
JP5194413B2 (ja) 現金入出金機
US9342964B2 (en) Media item characterization
KR100805285B1 (ko) 현금 자동 거래 장치
JP6225715B2 (ja) 紙幣処理装置及び紙幣取引装置
JP5464253B2 (ja) 現金入出金機
JP5267637B2 (ja) 現金処理装置
KR101900766B1 (ko) 매체 보관 장치, 그의 제어방법 및 금융기기
KR101579379B1 (ko) 금융기기 및 그의 제어방법
JP3215373B2 (ja) 自動取引システム
JP3195292B2 (ja) 金庫用ロッカー
WO2019159433A1 (ja) 自動取引装置
JP3193003B2 (ja) 自動取引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