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20619A - 카메라 모듈 - Google Patents

카메라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20619A
KR20100120619A KR1020097023081A KR20097023081A KR20100120619A KR 20100120619 A KR20100120619 A KR 20100120619A KR 1020097023081 A KR1020097023081 A KR 1020097023081A KR 20097023081 A KR20097023081 A KR 20097023081A KR 20100120619 A KR20100120619 A KR 201001206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ding member
lens holding
adhesive
coil
g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230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다까히로 오까베
야스따까 다까하시
노리또시 에구찌
미쯔루 이찌까와
사또시 이마이
Original Assignee
소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소니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001206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2061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4Mounting of pick-up tubes, electronic image sensors, deviation or focusing coil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25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using glu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4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G02B7/08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adapted to co-operate with a remote control mechanism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03B17/12Bodies with means for supporting objectives, supplementary lenses, filters, masks, or turret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0/00Camera modules comprising integrated lens units and imaging unit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e.g. mobile phones or vehic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5Optical part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image sensors; Mounting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7Mechanical or electrical details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0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G03B2205/0053Driving means for the movement of one or more optical element
    • G03B2205/0069Driving means for the movement of one or more optical element using electromagnetic actuators, e.g. voice coi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 Lens Barrels (AREA)

Abstract

렌즈 보유 지지 부재(30)는, 용융 상태의 합성 수지가 금형의 게이트로부터 제품 캐비티에 충전됨으로써 성형되고, 성형시의 금형의 게이트에 대응하는 부위가 게이트부(72)로서 잔존하고 있다. 후방부 원통면(60)에의 코일(52)의 장착에 의해, 중앙면(66)과, 중앙면(66)의 양측으로부터 기립하는 측면(68)과, 외면(58)과, 코일(52)의 내주면에 의해, 촬상 광학계(28)의 광축과 평행한 방향으로 개방 형상의 접착제 충전용 오목부(70)가 구성된다. 접착제 충전용 오목부(70)의 중앙면(66)에 게이트부(72)가 위치하고 있다. 접착제 충전용 오목부(74)에 접착제(B)를 충전함으로써 렌즈 보유 지지 부재(30)의 외주 부분과 코일(52)의 내주 부분이 접착되고, 접착제(B)에 의해 게이트부(72)가 상기 접착제(B) 중에 매립 설치된다. 이들에 의해, 특수한 처리 공정을 필요로 하지 않고 게이트부로부터의 발진을 효과적으로 방지하는 데 있어서 유리한 카메라 모듈을 제공한다.
Figure P1020097023081
렌즈 보유 지지 부재, 카메라 모듈, 촬상 광학계, 촬상 소자, 요크

Description

카메라 모듈{CAMERA MODULE}
본 발명은 예를 들어 휴대용 전자 기기 등에 조립되는 카메라 모듈에 관한 것이다.
최근, 카메라 모듈이 조립된 휴대 전화기, 혹은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등의 전자 기기가 제공되고 있다.
카메라 모듈은 촬상 광학계를 보유 지지하는 렌즈 보유 지지 부재와, 렌즈 보유 지지 부재를 수용하는 경통부와, 경통 내에서 렌즈 보유 지지 부재를 촬상 광학계의 광축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스프링과, 촬상 광학계에 의해 유도되는 피사체상을 촬상하는 촬상 소자와, 렌즈 보유 지지 부재를 광축을 따라 이동시키는 구동부를 구비하고 있다(일본 특허 공개 제2007-108597호 공보 참조).
대부분의 경우, 렌즈 보유 지지 부재는, 용융 상태의 합성 수지가 금형의 게이트로부터 캐비티에 충전됨으로써 성형되어 있다. 이때, 렌즈 보유 지지 부재로서 필요한 경도를 확보하기 위해 합성 수지에는 유리 섬유 등의 필러가 포함되어 있다.
그런데, 렌즈 보유 지지 부재의 성형에 수반하여 렌즈 보유 지지 부재의 표면 부위에는 금형의 게이트에 대응하는 게이트부가 잔존하게 된다.
이 게이트부는 단면적이 작기 때문에 상기 필러의 밀도가 높아지기 쉽다.
그로 인해, 렌즈 보유 지지 부재에 진동이나 충격이 가해지면, 게이트부의 절단 부위로부터 필러가 가루형의 진애(dust)가 되어 탈락되고, 그 탈락된 진애가 촬상 광학계의 렌즈나 촬상 소자의 촬상면 등에 부착하여, 촬상된 화상 데이터의 품질에 악영향을 미치는 것이 우려된다.
따라서, 상기 게이트부의 절단 부위를 덮도록 접착제를 도포하고, 혹은 상기 게이트부의 절단 부위를 히터에 의해 용융하는 등 하여 발진(發塵)(dust generation)을 방지하는 특수한 처리 공정이 필요하게 되어 있어, 제조 비용의 삭감을 도모하는 데 있어서 불리하게 되어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사정에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본 발명의 목적은 특수한 처리 공정을 필요로 하지 않고 게이트부로부터의 발진을 효과적으로 방지하는 데 있어서 유리한 카메라 모듈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촬상 광학계를 보유 지지하는 렌즈 보유 지지 부재와, 상기 렌즈 보유 지지 부재를 상기 촬상 광학계의 광축을 따라 이동시키는 구동부를 구비하고, 상기 렌즈 보유 지지 부재는, 금형을 사용하여 성형된 성형품에서 그 표면에 금형의 게이트에 대응하는 게이트부가 잔존하고 있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렌즈 보유 지지 부재의 외주에 부착된 코일과, 상기 코일의 외주에 면하는 마그네트를 포함하여 구성된 카메라 모듈이며, 상기 렌즈 보유 지지 부재의 외주 부분과 상기 코일의 내주 부분에 의해 상기 광축과 평행한 방향에 개방 형상의 접착제 충전용 오목부가 형성되고, 상기 접착제 충전용 오목부는, 상기 렌즈 보유 지지 부재에 형성되어 상기 광축과 평행한 방향을 향한 저면을 갖고, 상기 게이트부는 상기 저면에 위치하고, 상기 접착제 충전용 오목부에 충전되는 접착제에 의해 상기 렌즈 보유 지지 부재의 외주 부분과 상기 코일의 내주 부분이 접착되고, 또한 상기 게이트부가 상기 접착제 중에 매립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로 인해, 본 발명에 따르면, 접착제 충전용 오목부에 충전되는 접착제에 의해 게이트부가 매립 설치되므로, 특수한 처리 공정을 필요로 하지 않고 게이트부로부터의 발진을 효과적으로 방지하는 데 있어서 유리해진다.
도 1의 (A), 도 1의 (B)는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카메라 모듈(20)이 조립된 전자 기기의 일례를 나타내는 외관도.
도 2는 카메라 모듈(20)의 사시도.
도 3은 카메라 모듈(20)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카메라 모듈(20)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도 2의 XX선 단면도.
도 6은 도 2의 YY선 단면도.
도 7은 카메라 모듈(20)의 평면도.
도 8은 도 7의 A 화살표도.
도 9는 도 7의 B 화살표도.
도 10은 도 7의 C 화살표도.
도 11은 도 7의 D 화살표도.
도 12는 도 7의 후방면도.
도 13은 코일(52)을 전방으로부터 본 사시도.
도 14는 코일(52)을 후방으로부터 본 사시도.
도 15는 코일(52)의 평면도.
도 16은 도 15의 A 화살표도.
도 17은 도 15의 B 화살표도.
도 18은 코일(52)의 후방면도.
도 19는 카메라 모듈(20)의 분해 사시도.
도 20은 렌즈 보유 지지 부재(30)를 전방으로부터 본 사시도.
도 21은 렌즈 보유 지지 부재(30)를 후방으로부터 본 사시도.
도 22는 렌즈 보유 지지 부재(30)의 평면도.
도 23은 도 22의 A 화살표도.
도 24는 도 22의 B 화살표도.
도 25는 렌즈 보유 지지 부재(30)의 후방면도.
도 26은 렌즈 보유 지지 부재(30)와 코일(52)의 조립도.
도 27은 도 26의 자세로 조립된 렌즈 보유 지지 부재(30)의 AA선 단면도.
도 28은 방열 구조를 마련한 제1 예를 나타내는 카메라 모듈(20)의 분해 사시도.
도 29는 카메라 모듈(20)에의 촬상 소자(36)의 조립을 설명하는 설명도.
도 30은 카메라 모듈(20)의 사시도.
도 31은 도 30의 XX선 단면도.
도 32는 방열 구조를 마련한 제2 예를 나타내는 카메라 모듈(20)의 단면도.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의 (A), 도 1의 (B)는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카메라 모듈(20)이 조립된 전자 기기의 일례를 나타내는 외관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자 기기(10)는 휴대 전화기이며, 힌지부(12)에 의해 요동 가능하게 연결된 제1, 제2 하우징(14, 16)을 갖고 있다.
제1 하우징(14)의 내면에는 액정 표시 패널(1402)이 설치되고, 제2 하우징(16)의 내면에는 텐키나 기능키 등의 조작 스위치(1602)가 설치되어 있다.
제1 하우징(14)에 카메라 모듈(20)이 설치되고, 카메라 모듈(20)로 촬상한 화상은 액정 표시 패널(1402)에 표시된다.
카메라 모듈(20)은 피사체상을 포착하는 촬상 광학계(28)를 갖고, 촬상 광학계(28)는 제1 하우징(14)에 형성된 개구(1410)에 면하고 있다.
다음에, 본 발명에 관한 카메라 모듈(20)의 구성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카메라 모듈(20)의 사시도, 도 3, 도 4, 도 19는 카메라 모듈(20)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도 2의 XX선 단면도, 도 6은 도 2의 YY선 단면도이다.
도 7은 카메라 모듈(20)의 평면도, 도 8은 도 7의 A 화살표도, 도 9는 도 7 의 B 화살표도, 도 10은 도 7의 C 화살표도, 도 11은 도 7의 D 화살표도, 도 12는 도 7의 후방면도이다.
또한, 도 2 내지 도 4, 도 7 내지 도 12에 있어서는, 카메라 모듈(20)로부터 기판(56)을 제거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피사체측을 전방, 그 반대측을 후방으로 하여 설명한다.
카메라 모듈(20)은, 도 3 내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한 촬상 광학계(28)에 부가하여, 전방 경통(22)과, 후방 경통(24)과, 커버(26)와, 렌즈 보유 지지 부재(30)와, 전방 스프링(32)과, 후방 스프링(34)과, 촬상 소자(36)와, 구동부(38) 등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전방 경통(22)]
전방 경통(22)은, 후방 경통(24)에 조립되어 후방 경통(24)과 함께 수용 공간(S)(도 5, 도 6)을 형성하는 것이다.
도 4, 도 5,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방 경통(22)은 주위벽(40)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주위벽(40)의 내면은, 원통면으로 이루어지는 마그네트 설치면(4002)으로서 형성되고, 주위벽(40)의 외면은, 직사각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전방 경통(22)은 합성 수지 재료를 금형으로 성형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도 3,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위벽(40)이 후방에 면하는 후단부면은, 후방 경통(24)에의 맞춤면(4010)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방 경통(22)의 주위벽(40)의 서로 대향하는 2개의 외면의 후단부 양측으로부터 각각 2개의 전방측 볼록부(4020)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후방 경통(24)]
후방 경통(24)은, 도 3 내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저벽(42)과, 개구(44)를 갖고 있다.
저벽(42)은, 수용 공간(S)의 상기 광축 방향의 후단부를 폐색하는 직사각 형상으로 형성되고, 따라서 저벽(42)의 전방면은 수용 공간(S)에 면하고 있다.
저벽(42)은, 서로 대향하는 2세트의 변(4202, 4204)을 갖고, 각 세트의 변(4202)에, 후방 스프링(34)을 설치하기 위한 2개의 핀(46)이 각각 돌출 설치되어 있다.
저벽(42)의 전방면의 4변(4202, 4204)에 따른 부위는, 전방 경통(22)의 맞춤면(4010)에의 맞춤면(4210)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이들 후방 경통(24)의 맞춤면(4210)은, 도 5,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방 경통(22)의 맞춤면(4010)에 각각 중첩되어 있다.
또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저벽(42)의 한 변의 양측으로부터 2개의 후방측 볼록부(4220)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개구(44)는 저벽(42)의 중앙에 형성되고, 직사각 형상을 나타내고 있다.
[마그네트(48)]
구동부(38)는, 도 3 내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마그네트(48)와 코 일(52)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마그네트(48)는, 촬상 광학계(28)의 광축을 중심으로 하는 원주 상에 연장되어 설치되어 있고, 본 실시 형태에서는, 마그네트(48)는 동일 형상의 4개의 마그네트 분할체가 원주 방향으로 배열됨으로써 구성되고, 코일(52)의 외주에 면하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마그네트(48)는 상기 마그네트(48)의 자속을 효율적으로 코일(52)에 유도하기 위한 원통벽 형상의 요크(50)의 내주면에 부착되고, 이 요크(50)를 통해 전방 경통(24)의 마그네트 설치면(4002)에 부착되어 있다.
[코일(52)]
도 13은 코일(52)을 전방으로부터 본 사시도, 도 14는 코일(52)을 후방으로부터 본 사시도, 도 15는 코일(52)의 평면도, 도 16은 도 15의 A 화살표도, 도 17은 도 15의 B 화살표도, 도 18은 코일(52)의 후방면도이다.
코일(52)은, 권선이 촬상 광학계(28)의 광축을 중심으로 하는 원주 상에 권취되어 형성되고, 그 외경은 마그네트(48)의 내경보다도 작은 치수로 형성되어 있다.
코일(52)의 후단부면에, 평면에서 본 경우, 코일(52)과 대략 동일한 윤곽을 갖고, 또한 광축 방향의 치수가 코일(52)보다도 작은 치수로 형성된 환형의 코일 홀더(54)가 부착되어 있다.
코일 홀더(54)는 180도 위상을 다르게 한 대향하는 2군데에 축부(5402)가 반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 설치되고, 각 축부(5402)에 코일(52)의 권선의 양단 부(5202)가 각각 권취되어 있다.
[촬상 소자(36)]
촬상 소자(36)는 촬상 광학계(28)에 의해 유도되는 피사체상을 촬상하는 것이다.
도 5,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촬상 소자(36)는 직사각형 판 형상의 기판(56)의 전방면에 설치되어 있다.
후방 경통(24)의 개구(44) 내에 촬상 소자(36)가 위치한 상태에서, 기판(56)이 후방 경통(24)의 저벽(42)의 후방면에 접착되는 동시에, 저벽(42)의 전방면에 개구(44)를 덮는 광학 필터(도시 생략)를 접착함으로써 촬상 소자(36)가 밀봉되고, 따라서 촬상 소자(36)는 후방 경통(52)에 설치되어 있다.
[커버(26)]
도 2,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커버(26)는 전방면부(2602)와, 측면부(2604)를 구비하고 있다.
전방면부(2602)는 직사각형 판 형상을 나타내고, 전방 경통(22)의 전방면을 덮는 것이다.
전방면부(2602)가 촬상 광학계(28)에 면하는 부위에 개구(2606)가 형성되어 있다.
측면부(2604)는 전방면부(2602)의 4변으로부터 각각 굴곡 형성되고, 전방 경통(22) 및 후방 경통(24)의 4개의 측부를 덮는 것이다.
4개의 측면부(2604) 중 대향하는 1세트의 측면부(2604)에는 후방 경통(24)의 각 결합 돌기(57)에 결합하는 결합 홈(2608)이 형성되어 있다.
커버(26)의 각 결합 홈(2608)이 각 결합 돌기(57)에 결합함으로써, 커버(26)의 전방면부(2602)와 후방 경통(24)의 저벽(42) 사이에 전방 경통(22)이 끼움 지지되고, 이에 의해 전방 경통(22)과 후방 경통(24)이 결합되어 있다.
[렌즈 보유 지지 부재(30)]
도 20은 렌즈 보유 지지 부재(30)를 전방에서 본 사시도, 도 21은 렌즈 보유 지지 부재(30)를 후방에서 본 사시도, 도 22는 렌즈 보유 지지 부재(30)의 평면도, 도 23은 도 22의 A 화살표도, 도 24는 도 22의 B 화살표도, 도 25는 렌즈 보유 지지 부재(30)의 후방면도이다.
도 26은 렌즈 보유 지지 부재(30)와 코일(52)의 조립도, 도 27은 도 26의 자세로 조립된 렌즈 보유 지지 부재(30)의 AA선 단면도이다.
렌즈 보유 지지 부재(30)는, 도 5,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촬상 광학계(28)를 보유 지지하여 수용 공간(S)에 수용되어 있다.
도 20 내지 도 2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렌즈 보유 지지 부재(30)는 통부(3002)와, 통부(3002)의 전방부를 접속하는 환형의 전방부(3003)를 갖고, 전방부(3003)의 중앙에는 개구(3003A)가 설치되어 있다.
촬상 광학계(28)는 복수의 렌즈군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통부(3002)의 내부에 수용되고, 개구(3003A)로부터 전방을 면하고 있다.
도 20, 도 2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방부(3003)에는, 통부(3002)의 외경보다도 작은 외경의 팽출벽부(3004)가 형성되고, 이 팽출벽부(3004)의 주위면은 촬상 광학계(28)의 광축을 중심으로 하는 원주 상에서 연장되는 원통면(3006)을 형성하고 있다.
원통면(3006)의 외주에, 주위 방향으로 등간격을 둔 4군데에 팽출벽부(3004)보다도 후방에 위치하도록 4개의 전방측 스프링 접촉면(3008)이 형성되어 있고, 이들 전방측 스프링 접촉면(3008)은 상기 광축과 직교하는 평면 상에서 연장되어 있다.
도 21, 도 2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통부(3002)의 후단부에는, 통부(3002)의 외경보다도 작은 외경의 환형의 후방측 스프링 접촉면(3010)이 형성되어 있다.
후방측 스프링 접촉면(3010)은, 상기 광축과 동축 상에서, 광축과 직교하는 평면 상에서 연장되어 있다.
후방측 스프링 접촉면(3010)의 외주의 통부(3002)의 후단부 부위에서 주위 방향으로 등간격을 둔 6군데로부터 걸림 볼록부(3012)가 돌출 형성되어 있고, 이들 걸림 볼록부(3012)의 내주면은 촬상 광학계(28)의 광축을 중심으로 하는 원주 상에서 연장되는 원통면(3014)을 형성하고 있다.
도 20, 도 22, 도 23, 도 2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통부(3002)의 외주면은, 전단부에 위치하고 직사각 형상으로 연장되는 4개의 외면(58)과, 이 전단부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에 원통면 형상으로 연장되는 후방부 원통면(60)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도 26, 도 2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후방부 원통면(60)에 후술하는 바와 같이 코일(52)이 부착된다.
또한, 도 20, 도 22,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4개의 외면(58) 중 대향하는 2개의 외면(58)과 후방부 원통면(60)이 교차하는 부위에, 전방에 면하는 초승달 형상의 단부면부(62)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각 단부면부(62)는 양단부에 위치하는 면(64)과, 그들 면(64)보다도 후단부측에 위치하는 중앙면(66)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중앙면(66)과, 중앙면(66)의 양측으로부터 기립하는 측면(68)과, 외면(58)에 의해 후술하는 접착제 충전용 오목부(70)의 부분이 구성된다.
렌즈 보유 지지 부재(30)는, 용융 상태의 합성 수지가 금형의 게이트로부터 제품 캐비티에 충전됨으로써 성형되고, 성형시의 금형의 게이트에 대응하는 부위가 도 2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게이트부(72)로서 잔존하고 있다.
이 게이트부(72)는, 2개의 단부면부(62) 중 한쪽의 단부면부(62)의 중앙면(66)의 중앙에 위치하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합성 수지는 폴리카보네이트이며, 렌즈 보유 지지 부재(30)로서 필요한 경도를 확보하기 위해 합성 수지에는 유리 섬유 등의 필러가 포함되어 있다.
게이트부(72)는, 중앙면(66)으로부터 돌출되고, 그 돌출 방향의 선단이 게이트부(72)의 절단 부위(7202)로 되어 있고, 이 절단 부위(7202)는 진동이나 충격이 가해졌을 때에, 게이트부(72)에 존재하는 필러가 가루형으로 발생하는 부위로 되어 있다.
[전방 스프링(32), 후방 스프링(34)]
전방 스프링(32), 후방 스프링(34)은, 도 5,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용 공간(S)에 배치되어 렌즈 보유 지지 부재(30)를 촬상 광학계(28)의 상기 광축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안내 기구를 구성하고 있다.
전방 스프링(32)은 전방 경통(22)과 렌즈 보유 지지 부재(30) 사이에 배치되고, 후방 스프링(34)은 후방 경통(24)과 렌즈 보유 지지 부재(30) 사이에 배치되는 것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방 스프링(32), 후방 스프링(34)은 도전성을 갖는 금속 재료로 형성된 얇고 작은 폭의 한쪽 부재로부터 중앙으로 촬상 광학계(28)의 광로용 개구(3202)가 각각 확보되도록 환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전방 스프링(32)은 내측에 개구(3202)가 형성된 환형 판부(3204)와, 환형 판부(3204)의 외주에 접속된 4개의 지지편(3206)을 갖고, 상기 광축 방향으로 탄성 변형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전방 스프링(32)은 각 지지편(3206)의 외주 부분이 전방 경통(22)의 주위벽(40)의 전방부의 네 코너에 부착되고, 개구(3202)에, 도 20, 도 22에 도시하는 렌즈 보유 지지 부재(30)의 통부(3002)의 팽출벽부(3004)의 원통면(3006)이 삽입 관통되고, 환형 판부(3204)가 렌즈 보유 지지 부재(30)의 4개의 전방측 스프링 접촉면(3008)에 접촉되어 전방 경통(22)과 렌즈 보유 지지 부재(30)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4개의 지지편(3206)의 외주 부분은 전방 경통(22)의 성형시에 매립되는 인서트 성형에 의해 주위벽(40)의 전방 부의 네 코너에 부착되어 있다.
도 3,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후방 스프링(34)은, 동일 형상의 2개의 스프링 분할체(34A)로 구성되어 있다.
각 스프링 분할체(34A)는 반원 상에서 연장되는 원호부(3404)를 갖고 있다.
각 스프링 분할체(34A)의 원호부(3404)는, 도 21, 도 25에 도시하는 렌즈 보유 지지체(30)의 각 걸림 볼록부(3012)의 원통면(3014)의 내측에서, 후방측 스프링 접촉면(3010)에 접착된다. 이에 의해 2개의 원호부(3404)의 내측에 개구(3402)가 형성되게 된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호부(3404)의 외주에는 2개의 지지편(3406, 3408)이 접속되어 있고, 지지편(3406, 3408)에는 각각 구멍(3410)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각 스프링 분할체(34A)의 4개의 구멍(3410)이 후방 경통(24)의 핀(46)에 삽입 관통되고, 지지편(3406, 3408)의 구멍(3410) 주위의 부분이, 전방 경통(22)과 후방 경통(24) 사이에서 끼움 지지되고, 이에 의해 후방 스프링(34)은 후방 경통(24)과 렌즈 보유 지지 부재(30)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프링 분할체(34A)의 원호부(3404)의 중간부에는, 접속편부(3420)가 각각 형성되고, 각 접속편부(3420)에는 도 13에 도시하는 코일 홀더(54)의 2개의 축부(5402)에 권취된 코일(52)의 권선의 양단부(5202)가 납땜된다.
또한, 각 스프링 분할체(34A)의 지지편(3408)의 끝 부분은 코일(52)의 외측 으로 연장 돌출된 외부 접속 단자(3430)로 되어 있다. 따라서, 코일(52)은 각 스프링 분할체(34A)를 통해 외부 접속 단자(3430)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각 외부 접속 단자(3430)는, 도 11,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방 경통(22)의 2개의 전방측 볼록부(4020)와, 후방 경통(24)의 2개의 후방측 볼록부(4220) 사이에 각각 끼움 지지되고, 각 외부 접속 단자(3430)의 끝 부분은, 전방측 볼록부(4020)와 후방측 볼록부(4220)의 선단으로부터 외측으로 노출되어 있다.
따라서, 코일(52)의 권선에, 후방 스프링(34)의 2개의 외부 접속 단자(3430)를 통해 구동 신호가 공급되면, 코일(52)로부터 자계가 발생한다.
그리고, 코일(52)에 의해 발생하는 자계와, 마그네트(48)의 자극으로부터 발생하는 자계의 상호 작용에 의해 코일(52)에 상기 광축 방향으로의 힘(추력)이 발생하고, 이에 의해 전방 스프링(32), 후방 스프링(34)에 의해 보유 지지된 렌즈 보유 지지 부재(30) 및 촬상 광학계(28)가 상기 광축 방향으로 이동하고, 촬상 광학계(28)에 의해 촬상 소자(36)의 촬상면에 결상되는 피사체상의 포커싱 동작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마그네트(48)와 코일(52)에 의해 렌즈 보유 지지 부재(30)를 촬상 광학계(28)의 광축을 따라 이동시키는 구동부(38)가 구성되게 된다.
[렌즈 보유 지지 부재(30)와 코일(52)의 조립]
다음에, 렌즈 보유 지지 부재(30)와 코일(52)의 조립에 대해 설명한다.
도 26, 도 2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렌즈 홀더(30)의 후단부에 코일(52)의 전단부를 면하게 하고, 렌즈 홀더(30)의 후방부 원통면(60)에 코일(52)을 장착한다.
후방부 원통면(60)에의 코일(52)의 장착에 의해, 도 2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앙면(66)과, 중앙면(66)의 양측으로부터 기립하는 측면(68)과, 외면(58)과, 코일(52)의 내주면에 의해, 촬상 광학계(28)의 광축과 평행한 방향으로 개방 형상의 접착제 충전용 오목부(70)가 구성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접착제 충전용 오목부(70)는 주위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2군데 형성된다.
그리고, 각 접착제 충전용 오목부(70)에 있어서 중앙면(66)이 촬상 광학계(28)의 광축과 평행한 방향을 향한 접착제 충전용 오목부(70)의 저면이 된다.
그리고, 한쪽의 접착제 충전용 오목부(70)의 중앙면(66)에 게이트부(72)가 위치하고 있다.
렌즈 홀더(30)의 후방부 원통면(60)에 코일(52)을 장착하면, 조정 지그를 사용하여, 렌즈 홀더(30)와 코일(52)을, 촬상 광학계(28)의 광축 방향에 있어서, 또한 광축과 직교하는 면내에 있어서 위치 결정을 행한다.
계속해서, 각 접착제 충전용 오목부(74)에 접착제(B)를 충전함으로써 렌즈 보유 지지 부재(30)의 외주 부분과 코일(52)의 내주 부분이 접착된다.
그 때, 한쪽의 접착제 충전용 오목부(74)에서는, 접착제(B)에 의해 게이트부(72)가 상기 접착제(B) 중에 매립 설치된다.
접착제가 경화됨으로써, 코일(52)의 렌즈 보유 지지 부재(30)에의 설치가 완료된다.
계속해서, 렌즈 보유 지지 부재(30)에 후방 스프링(24)을 부착하고, 이에 의 해 렌즈 보유 지지 부재(30), 후방 스프링(24), 코일(52), 코일 홀더(54)가 조립된 제2 유닛(U2)(도 19)이 구성된다.
다음에, 카메라 모듈(20)의 조립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방 경통(22)에 전방 스프링(32)과 마그네트(48)와 요크(50)가 조립된 제1 유닛(U1)과,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제2 유닛(U2)과, 후방 경통(24)을 준비한다.
그리고, 제2 유닛(U2)을 후방 경통(24)에 조립한다. 상세하게는, 후방 스프링(34)의 구멍(3410)에 후방 경통(24)의 핀(46)을 삽입 관통하여 제2 유닛(U2)과 후방 경통(24)을 맞춘다.
계속해서, 그 조립한 것에 제1 유닛(U1)을 조립한다. 상세하게는, 전방 스프링(32)의 개구(3202)에 렌즈 보유 지지 부재(30)의 통부(3002)의 팽출벽부(3004)의 원통면(3006)을 삽입 관통하여 환형 판부(3204)를 렌즈 보유 지지 부재(30)의 전방측 스프링 접촉면(3008)에 접촉시켜 제1 유닛(U1)과 제2 유닛(U2)을 맞춘다.
마지막으로, 커버(26)를 제1 유닛(U1) 상에 씌워, 그 결합 홈(2608)을 결합 돌기(57)에 결합시킨다. 상세하게는, 커버(26)를 제1 유닛(U1) 상에 씌워, 커버(26)의 상면부(2602)와 후방 경통(24)의 저벽(42) 사이에 전방 경통(22)을 협지시킨다.
이에 의해 제1 유닛(U1)과, 제2 유닛(U2)과, 후방 경통(24)이 결합되어, 카메라 모듈(20)이 완성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렌즈 보유 지지 부재(30)에 잔존하는 게이트부(72)를, 접착제 충전용 오목부(70)의 저면의 부위에 위치시켰으므로, 접착제 충전용 오목부(70)에 충전되는 접착제(B)에 의해 렌즈 보유 지지 부재(60)와 코일(52)이 접착하는 동시에 게이트부(72)가 접착제(B) 중에 매립 설치된다.
따라서, 카메라 모듈(20)이 조립된 전자 기기(10)를 낙하시키는 등 하여, 렌즈 보유 지지 부재(30)에 진동이나 충격이 가해졌다고 해도, 게이트부(72)의 절단 부위(7202)로부터 필러가 가루형의 진애가 되어 탈락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으므로, 진애가 촬상 광학계(38)의 렌즈나 촬상 소자(36)의 촬상면 등에 부착하지 않고, 촬상된 화상 데이터의 품질의 향상을 도모하는 데 있어서 유리해진다.
또한, 종래와 같이, 게이트부의 절단 부위를 덮도록 접착제를 도포하거나 절단 부위를 히터에 의해 용융하는 등 하여 게이트부로부터의 발진을 방지하는 특수한 처리 공정을 생략할 수 있으므로, 제조 비용의 삭감을 도모하는 데 있어서 유리해진다.
다음에 촬상 소자(36)로부터 발생하는 열의 방열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촬상 소자(36)는, CCD 혹은 C-MOS 센서 등에 의해 구성되어 있지만, 촬상 소자(36)는 촬상 동작에 수반하여 발열한다.
촬상 소자(36)의 온도가 소정 온도를 초과한 경우에는, 촬상 소자(36)의 동작이 안정되게 행해지지 않고, 혹은 촬상 소자(36)에서 생성되는 촬상 신호의 노이즈 성분이 증대해 버리므로, 촬상 소자(36)의 온도 상승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예에서는, 요크(50)를 이용하여 촬상 소자(36)로부터 발생되는 열을 방열하도록 하였다.
도 28은 방열 구조를 설치한 제1 예를 나타내는 카메라 모듈(20)의 분해 사시도, 도 29는 카메라 모듈(20)에의 촬상 소자(36)의 조립을 설명하는 설명도, 도 30은 카메라 모듈(20)의 사시도, 도 31은 도 30의 XX선 단면도이다.
카메라 모듈(20)은, 도 3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촬상 광학계(28)를 보유 지지하는 렌즈 보유 지지 부재(30)와, 촬상 광학계(28)에 의해 유도된 피사체상을 촬상하는 촬상 소자(36)와, 렌즈 보유 지지 부재(30)를 촬상 광학계(28)의 광축을 따라 이동시키는 구동부(38)를 구비하고 있다.
구동부(38)는 렌즈 보유 지지 부재(30)의 외주에 부착된 코일(52)과, 코일(52)의 외주에 면하는 마그네트(48)와, 마그네트(48)의 외주에 부착된 요크(5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요크(50)는 자성 재료로 형성되고, 이와 같은 자성 재료로서는, 규소 강, 연철, 퍼멀로이, 스테인레스 등 종래 공지의 다양한 자성 재료가 채용 가능하다.
그리고, 촬상 소자(36)와 요크(50)를 연결하여, 촬상 소자(36)에서 발생한 열을 요크(50)에 전달하는 중계 부재(80)가 설치되어 있다.
도 28 내지 도 3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계 부재(80)는, 예를 들어 요크(50)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요크(50)는, 본 예에서는, 마그네트(48)의 외주에 부착되는 원통 형상의 본체(5002)와, 본체(5002)의 축 방향의 단부에서 주위 방향으로 간격을 둔 2군데로부 터 본체(5002)의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2개의 다리부(5004)를 갖고, 중계 부재(80)는 그들 2개의 다리부(5004)로 구성되어 있다.
도 29, 도 3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촬상 소자(36)는 패키지(82)에 봉입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패키지(82)는 촬상 광학계(28)에 면하는 전방면과 그 반대측에 위치하는 후방면을 갖고 있다.
패키지(82)의 전방면에는, 전방에 개방 형상의 직사각 형상의 수용 오목부(8202)가 형성되어 있다.
촬상 소자(36)는 수용 오목부(8202)의 저면에 부착되고, 수용 오목부(8202)의 개구는 광학 필터를 겸용하는 시일 유리(8204)에 의해 덮이고, 시일 유리(8204)가 패키지(82)의 전방면에 밀봉되어 있다.
패키지(82)의 후방면은, 기판(56)의 전방면에 부착되고, 기판(56)은 플렉시블 기판(76)을 통해 도시하지 않은 신호 처리 회로 등에 접속되어 있다.
중계 부재(80)는 요크(50)에 연결되는 동시에 패키지(82)에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중계 부재(80)는 패키지(82)를 개재한 상태에서 촬상 소자(36)에 연결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르면, 촬상 소자(36)에서 발생한 열은, 패키지(82)로부터 중계 부재(80)를 통해 요크(50)에 전달되어, 요크(50)에서 방열된다.
따라서, 종래와 같이 히트 싱크 등의 전용 방열 부재를 설치하지 않고, 촬상 소자(36)에서 발생한 열을 효과적으로 방열할 수 있으므로, 카메라 모듈(20)의 저 비용화 및 소형화를 도모하면서, 촬상 소자(36)에 의해 생성되는 촬상 신호의 품질의 향상을 도모하는 데 있어서, 또한 촬상 소자(36)의 동작의 안정성을 도모하는 데 있어서 유리해진다.
또한, 요크(50)는, 렌즈 보유 지지부(30)의 반경 방향 외측에 있어서 주위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으므로, 카메라 모듈(20)을 구성하는 부재 중에서 표면적 및 체적이 가장 크게 확보된 부재이며, 따라서 요크(50)에 의해 충분한 방열 효과를 얻는 데 있어서 유리해진다.
다음에 제2 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32는 방열 구조를 설치한 제2 예를 나타내는 카메라 모듈(20)의 단면도이다.
도 3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촬상 소자(36)는 패키지(82)에 봉입되고, 패키지(82)는 기판(56) 상에 실장되어 있다.
중계 부재(80)는 요크(50)에 연결되는 동시에 기판(56)에 결합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패키지(82)가 실장되는 기판(56)의 전방면이 중계 부재(80)에 면하는 부위에 납땜 패드(5610)가 형성되어 있고, 중계 부재(80)와 납땜 패드(5610)가 땜납 H를 사용한 납땜에 의해 결합되어 있다.
또한, 패키지(82)의 전방면에 위치하는 시일 유리(8204)와, 기판(56)의 전방면에 설치된 납땜 패드(5610)는, 기판(56)의 두께 방향에 있어서 이격되어 있으므로, 중계 부재(80)와 납땜 패드(5610)의 납땜 작업에 있어서 발생하는 땜납 볼 등의 이물질의 시일 유리(8204)에의 부착 방지가 도모되고 있다.
따라서, 중계 부재(80)는 기판(56) 및 패키지(82)를 개재한 상태에서 촬상 소자(36)에 연결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르면, 촬상 소자(36)에서 발생한 열은, 패키지(82)로부터 기판(56)에 전달되고, 또한 기판(56)으로부터 중계 부재(80)를 통해 요크(50)에 전달되고, 요크(50)에서 방열된다.
따라서, 제2 예에 있어서도 제1 예와 마찬가지의 효과가 발휘된다.
또한, 제1, 제2 예에서는, 촬상 소자(36)가 패키지(82)에 봉입되어 있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촬상 소자(36)가 기판(56)에 실장되어 있어도 된다.
그 경우에는, 중계 부재(80)는 요크(50)에 연결되는 동시에 기판(56)에 결합되어 있다. 중계 부재(80)와 기판(56)의 결합은 예를 들어 납땜에 의해 행할 수 있다.
즉, 중계 부재(80)는 기판(56)을 개재한 상태에서 촬상 소자(36)에 연결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서는, 촬상 소자(36)에서 발생한 열은 기판(56)으로부터 중계 부재(80)를 통해 요크(50)에 전달되고, 요크(50)에서 방열된다.
따라서, 제1 예와 마찬가지의 효과가 발휘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카메라 모듈(20)이 조립되는 전자 기기(10)가 휴대 전화기인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카메라 모듈은, 예를 들어 PDA, 노트형 퍼스널 컴퓨터 등의 휴대 정보 단말기, 혹은 디지털 스틸 카메라, 비디오카메라 등의 다양한 전자 기기에 널리 적용 가능하다.

Claims (4)

  1. 촬상 광학계를 보유 지지하는 렌즈 보유 지지 부재와,
    상기 렌즈 보유 지지 부재를 상기 촬상 광학계의 광축을 따라 이동시키는 구동부를 구비하고,
    상기 렌즈 보유 지지 부재는, 금형을 사용하여 성형된 성형품에서 그 표면에 금형의 게이트에 대응하는 게이트부가 잔존하고 있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렌즈 보유 지지 부재의 외주에 부착된 코일과, 상기 코일의 외주에 면하는 마그네트를 포함하여 구성된 카메라 모듈이며,
    상기 렌즈 보유 지지 부재의 외주 부분과 상기 코일의 내주 부분에 의해 상기 광축과 평행한 방향으로 개방 형상의 접착제 충전용 오목부가 형성되고,
    상기 접착제 충전용 오목부는, 상기 렌즈 보유 지지 부재에 형성되어 상기 광축과 평행한 방향을 향한 저면을 갖고,
    상기 게이트부는 상기 저면에 위치하고,
    상기 접착제 충전용 오목부에 충전되는 접착제에 의해 상기 렌즈 보유 지지 부재의 외주 부분과 상기 코일의 내주 부분이 접착되고, 또한 상기 게이트부가 상기 접착제 중에 매립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 충전용 오목부는, 상기 렌즈 보유 지지 부재의 주위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 형성되고,
    상기 게이트부는, 복수의 접착제 충전용 오목부 중 1개의 접착제 충전용 오목부의 저면에 위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품은 필러를 포함하는 합성 수지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필러는 유리 섬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KR1020097023081A 2008-03-05 2009-01-22 카메라 모듈 KR2010012061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8055215A JP4946921B2 (ja) 2008-03-05 2008-03-05 カメラモジュール
JPJP-P-2008-055215 2008-03-0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0619A true KR20100120619A (ko) 2010-11-16

Family

ID=410558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23081A KR20100120619A (ko) 2008-03-05 2009-01-22 카메라 모듈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7990635B2 (ko)
EP (1) EP2249191A1 (ko)
JP (1) JP4946921B2 (ko)
KR (1) KR20100120619A (ko)
CN (1) CN101681011B (ko)
BR (1) BRPI0902894A2 (ko)
RU (1) RU2476913C2 (ko)
TW (1) TW200947009A (ko)
WO (1) WO2009110257A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25476A (ko) * 2012-05-09 2013-11-19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보이스 코일 모터
KR20180044559A (ko) * 2016-10-24 2018-05-03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렌즈 구동장치,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및 휴대용 디바이스
KR20180120633A (ko) * 2018-10-19 2018-11-06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보이스 코일 모터
KR20190005243A (ko) * 2019-01-02 2019-01-15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보이스 코일 모터
KR20200009111A (ko) * 2020-01-17 2020-01-29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보이스 코일 모터
KR20200019656A (ko) * 2020-02-14 2020-02-24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보이스 코일 모터
KR20200128502A (ko) * 2020-02-14 2020-11-13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보이스 코일 모터
KR20220047240A (ko) * 2020-11-05 2022-04-15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보이스 코일 모터
US11573394B2 (en) 2016-10-24 2023-02-07 Lg Innotek Co., Ltd. Lens moving apparatus, and camera module and portable device including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762264B2 (ja) * 2008-04-01 2011-08-31 岩手東芝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カメラモジュールおよびカメラモジュールの製造方法
CN101656457B (zh) * 2008-08-20 2012-01-25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音圈马达
CN101937122A (zh) * 2009-07-02 2011-01-05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镜头模组及其组装方法
US8254046B2 (en) * 2009-11-19 2012-08-28 Mcnex Co., Ltd. Camera module with autofocus function
JP2012047906A (ja) * 2010-08-25 2012-03-08 Seiko Instruments Inc 駆動モジュール及び電子機器
KR101822651B1 (ko) * 2011-02-14 2018-01-26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보이스 코일 모터
JP2012242587A (ja) * 2011-05-19 2012-12-10 Toshiba Corp カメラモジュールおよびカメラモジュールの製造方法
JP5825487B2 (ja) * 2011-05-25 2015-12-02 ミツミ電機株式会社 レンズホルダ駆動装置
JP5984378B2 (ja) * 2011-12-22 2016-09-06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
US9019637B2 (en) * 2012-11-13 2015-04-28 Largan Precision Co., Ltd. Plastic lens barre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JP6281042B2 (ja) * 2013-08-06 2018-02-21 マクセル株式会社 レンズユニットおよびカメラモジュール
JP6094423B2 (ja) * 2013-08-09 2017-03-15 ミツミ電機株式会社 レンズホルダ駆動装置、カメラモジュール、およびカメラ付き携帯端末
US9258467B2 (en) * 2013-11-19 2016-02-09 Stmicroelectronics Pte Ltd. Camera module
CN116389865A (zh) * 2014-12-17 2023-07-04 Lg伊诺特有限公司 透镜驱动模块、相机模块和光学装置
US11523034B2 (en) 2016-02-10 2022-12-06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Imaging apparatus
CN108267910B (zh) * 2017-01-04 2024-05-31 宁波舜宇光电信息有限公司 摄像模组
TWI625563B (zh) * 2017-03-23 2018-06-01 大立光電股份有限公司 塑膠鏡筒、相機模組及電子裝置
JP6437077B2 (ja) * 2017-11-02 2018-12-12 マクセル株式会社 レンズユニットおよびカメラモジュール
CN108344375A (zh) * 2018-02-27 2018-07-31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激光投射模组、深度相机和电子装置
CN108344374A (zh) * 2018-02-27 2018-07-31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激光投射模组、深度相机及电子装置
JP6592167B2 (ja) * 2018-11-13 2019-10-16 マクセル株式会社 レンズユニットおよびカメラモジュール
CN115473978B (zh) * 2021-06-11 2024-03-12 宁波舜宇光电信息有限公司 镜头组件和摄像模组及其组装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24292A (ja) 1989-10-03 1991-05-2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リニアサーボモータ用リニアセンサ
JP2526155Y2 (ja) * 1990-03-29 1997-02-19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ソフト自動販売機
SE466149B (sv) 1990-05-11 1992-01-07 Plm Ab Behaallare med foerbaettrade syrebarriaeregenskaper, innehaallande ett plastmaterial bestaaende av en partiellt spaltad eller nedbruten polyamid, samt foerfarande foer framstaellning daerav
SU1755241A1 (ru) * 1990-11-30 1992-08-15 Научно-Производственное Объединение "Геофизика"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 линзовой оптической системы
JP3365843B2 (ja) * 1993-12-08 2003-01-14 オリンパス光学工業株式会社 レンズ保持装置
JP2000266912A (ja) * 1999-03-16 2000-09-29 Asahi Optical Co Ltd プラスチックレンズ
JP2005202020A (ja) 2004-01-14 2005-07-2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レンズユニット
JP2006081043A (ja) * 2004-09-13 2006-03-23 Seiko Precision Inc 固体撮像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電子機器
JP4517297B2 (ja) * 2005-10-17 2010-08-04 ソニー株式会社 レンズユニット及び撮像装置
KR20070104010A (ko) * 2006-04-21 2007-10-25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
CN200947149Y (zh) * 2006-05-24 2007-09-12 一品国际科技股份有限公司 自动对焦镜头模块
JP3124292U (ja) * 2006-06-02 2006-08-10 一品國際科技股▲ふん▼有限公司 オートフォーカスレンズモジュール
US7885019B2 (en) * 2006-08-25 2011-02-08 Pioneer Corporation Lens driving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lens driving apparatus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25476A (ko) * 2012-05-09 2013-11-19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보이스 코일 모터
KR20180044559A (ko) * 2016-10-24 2018-05-03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렌즈 구동장치,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및 휴대용 디바이스
US11573394B2 (en) 2016-10-24 2023-02-07 Lg Innotek Co., Ltd. Lens moving apparatus, and camera module and portable device including the same
KR20180120633A (ko) * 2018-10-19 2018-11-06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보이스 코일 모터
KR20190005243A (ko) * 2019-01-02 2019-01-15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보이스 코일 모터
KR20200009111A (ko) * 2020-01-17 2020-01-29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보이스 코일 모터
KR20200019656A (ko) * 2020-02-14 2020-02-24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보이스 코일 모터
KR20200128502A (ko) * 2020-02-14 2020-11-13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보이스 코일 모터
KR20220047240A (ko) * 2020-11-05 2022-04-15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보이스 코일 모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249191A1 (en) 2010-11-10
RU2009140749A (ru) 2011-05-10
TW200947009A (en) 2009-11-16
BRPI0902894A2 (pt) 2015-06-23
US20100142066A1 (en) 2010-06-10
CN101681011A (zh) 2010-03-24
RU2476913C2 (ru) 2013-02-27
JP4946921B2 (ja) 2012-06-06
WO2009110257A1 (ja) 2009-09-11
JP2009210914A (ja) 2009-09-17
US7990635B2 (en) 2011-08-02
CN101681011B (zh) 2012-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120619A (ko) 카메라 모듈
TWI438515B (zh) Camera module
JP4706935B2 (ja) カメラモジュール
JP4844829B2 (ja) カメラモジュール
JP5338025B2 (ja) カメラモジュール
JP5884976B2 (ja) レンズホルダ駆動装置
US7864461B2 (en) Camera module
JP2008111876A (ja) カメラモジュール
JP6730646B2 (ja) レンズ駆動装置、カメラモジュール、及びカメラ搭載装置
JP2010004349A (ja) カメラモジュール
KR102402900B1 (ko) 카메라 모듈 제작 방법 및 카메라 모듈 제작용 키트
JP2008111868A (ja) カメラモジュールおよび固体撮像装置
JP5125799B2 (ja) レンズ鏡筒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9212950A (ja) カメラモジュール
JP2011209492A (ja) レンズユニット
CN110703402A (zh) 透镜驱动装置、照相机装置、电子设备及这些的制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