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20347A - 전기스팀 다리미용 순간가열히터모듈 - Google Patents

전기스팀 다리미용 순간가열히터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20347A
KR20100120347A KR1020090039116A KR20090039116A KR20100120347A KR 20100120347 A KR20100120347 A KR 20100120347A KR 1020090039116 A KR1020090039116 A KR 1020090039116A KR 20090039116 A KR20090039116 A KR 20090039116A KR 20100120347 A KR20100120347 A KR 201001203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am
tank
heating body
flow path
electr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391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04160B1 (ko
Inventor
한경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경희생활과학
한경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경희생활과학, 한경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경희생활과학
Priority to KR10200900391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04160B1/ko
Priority to CN2009101730157A priority patent/CN101880956A/zh
Publication of KR201001203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203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41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41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75/00Hand irons
    • D06F75/08Hand irons internally heated by electricity
    • D06F75/10Hand irons internally heated by electricity with means for supplying steam to the article being ironed
    • D06F75/12Hand irons internally heated by electricity with means for supplying steam to the article being ironed the steam being produced from water supplied to the iron from an external sourc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75/00Hand irons
    • D06F75/08Hand irons internally heated by electricity
    • D06F75/10Hand irons internally heated by electricity with means for supplying steam to the article being ironed
    • D06F75/20Arrangements for discharging the steam to the article being ironed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83/00Coverings or pads for ironing or pressing memb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87/00Apparatus for moistening or otherwise conditioning the article to be ironed or press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Ir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팀유로를 상하로 두어 동일 스팀발생량에 대해 최소한의 체적을 갖는 전기스팀 다리미용 순간가열히터모듈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전기스팀 다리미용 순간가열히터모듈{Rapid Heating Heater Module for Electric Steam Iron}
본 발명은 스팀유로를 상하로 두어 동일 스팀발생량에 대해 최소한의 체적을 갖는 전기스팀 다리미용 순간가열히터모듈에 관한 것이다.
종래 전기 스팀 다리미로서, 예컨대 한국공개실용신안 제2000-5286호의 공보에 개시된 것이 제안되어 있다.
종래의 전기 스팀 다리미는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수의 부품이 내장된 몸체(11)의 하측에 구비된 다림판(12) 상에는 전원코드가 접속되는 히터(13)가 설치되고, 히터(13) 하측의 다림판(12)에는 하측에 다수의 분사구멍(16)이 형성된 스팀배출탱크(15)가 구비되어 있다. 히터(13) 상측의 몸체(11) 내에는 스팀발생탱크(17)가 구비되고, 스팀발생탱크(17)에는 연결호스(20)에 의해 물통(19)이 연결된다.
한편 스팀발생탱크(17) 일측의 히터(13) 상부에는 가열탱크(21)가 구비되는 데, 스팀발생탱크(17)와 가열탱크(21)는 스팀통로(22)에 의해 서로 연결되고, 가열탱크(21)와 스팀배출탱크(15)는 공급관(18)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이러한 구성의 종래 전기 스팀 다리미는 전원코드(14)를 전원에 접속시키고 콘트롤 노브(도시 안됨)를 조작함에 따라 히터(13)가 가열되어 다림판(12) 및 스팀발생탱크(17), 가열탱크(21)를 가열시키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물통(19)의 물이 스팀발생탱크(17)로 공급되면 증발되면서 스팀이 발생되는바, 이때 발생되는 스팀은 보통 110℃이다. 이와 같이 발생된 스팀은 스팀통로(22)를 통해 가열탱크(21)로 유입되며, 히터(13)에 의해 가열된 가열탱크(21)에 의해 다시한번 가열되어 130℃정도로 2차 가열된다. 가열된 스팀은 공급관(18)을 통해 스팀배출탱크(15)로 유입되고, 도시되지 않은 밸브를 누름에 따라 분사구멍(16)을 통해 외부로 분출된다.
이러한 종래 전기 스팀 다리미는 물통(19)에서 공급되는 물이 스팀발생탱크(17)에서 1차 가열되고 가열탱크(21)에서 다시 2차 가열되므로 액상의 물이 포함되지 않은 고온의 스팀이 분출된다.
그런데, 1차 가열과 2차 가열은 스팀발생탱크(17)의 같은 평면 내에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소정의 증발율을 얻기 위해서는 상대적으로 넓은 범위의 면적이 필요하여 다리미의 슬립화에 기여하지 못한다.
또한, 물통(19)이 몸체(11)의 상부에 형성된 연결호스(20)에 연결되기 때문에 중력에 의해 물이 스팀발생탱크(17)로 잘 유동하지만, 외부로 돌출되어 사용이 불편하고, 또한 스팀 다리미의 전체 높이가 높아지게 된다.
또한, 펌프가 없어 스팀발생탱크(17)에 안정적으로 물을 공급하지 못해, 불안정한 스팀을 분출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슬립화를 추구하면서 고온의 스팀 분출이 가능한 전기스팀 다리미용 순간가열히터모듈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청구항 1에 기재된 전기스팀 다리미용 순간가열히터모듈은,
전기히터와, 물유입구와 스팀분출구가 형성된 가열몸체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가열몸체유닛은, 상기 전기히터가 인서트되며, 상면유로, 하면유로, 상기 상면유로와 하면유로를 서로 통하게 하는 연통공이 형성된 가열몸체; 상기 상면유로를 커버하며, 상기 물유입구가 형성되는 상면커버; 상기 하면유로를 커버하며, 스팀유출구가 형성되는 하면커버; 상기 하면커버의 밑면에 형성되며, 스팀분출구가 형성되는 다림판을 포함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슬립화를 추구하면서 고온의 스팀 분출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청구항 2에 기재된 전기스팀 다리미용 순간가열히터모듈은,
상기 상면유로와 하면유로는 지그재그 형태로 구성되며, 상기 스팀분출구는 상기 다림판에 복수개 형성되고, 상기 하면커버의 하면에는 상기 복수개의 스팀분출구에 스팀을 분배하는 스팀분배통로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청구항 3에 기재된 전기스팀 다리미용 순간가열히터모듈은,
상기 가열몸체의 측면에는 전선걸이고리가 형성되고, 상기 상면커버에는 퓨즈브라켓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하듯이, 본 실시예에 따른 전기스팀 다리미용 순간가열히터모듈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가열몸체의 상면과 하면에 유로가 형성됨으로써, 동일한 스팀량을 발생시킬 때 상하면으로 표면이 나누어지기 때문에 전체적인 높이를 줄일 수 있고 고온의 스팀 분출이 가능하다.
또한, 유로가 지그재그 형태로 구성됨으로써, 유동 시간을 지연시켜 더 많은 열을 흡수하여 100% 가까운 스팀화에 기여할 수 있다.
또한, 가열몸체의 측면에 전선걸이고리가 형성되고, 상면커버에 퓨즈브라켓이 형성됨으로써, 내부의 전선과 부품의 정리가 용이하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따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기스팀 다리미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결합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우측 하우징을 제거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정면도이고, 도 5는 순간가열히터모듈을 분리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가열몸체의 평면도이고, 도 7은 탱크모듈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의 결합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의 측면도이고, 도 10은 도 7의 주요 부분을 확대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전기스팀 다리미는 외형을 이루는 하우징(100)과, 이 하우징(100)에 탑재되는 순간가열히터모듈(300)과, 이 순간가열히터모듈(300)에 물을 공급하는 탱크모듈(500)로 구성하여 있다.
하우징(100)은 좌측 하우징(110a)과 우측 하우징(110b), 베이스 프레임(110c)으로 분할 구성되어 있다.
좌우측 하우징(110a)(110b)의 후방측에는 탱크모듈(500)이 삽입 장착되는 탱크장착홈(120)이 형성되어 있다.
즉, 탱크장착홈(120)은 상판(121), 하판(123), 상판(121)과 하판(123)을 연결하는 전판(125)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탱크장착홈(120)의 좌우측에는 탱크모듈의 록킹홈이 걸리는 록킹턱(127)이 형성되어 있다.
좌우측 전판(125)에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반원형상의 물흡입구출납홈(162)이 형성되어 있다.
상판(121)의 위쪽에는 후술된 핸들(200)이 장착되는 핸들장착공(130)이 형성되고, 하판(123)의 아래쪽에는 순간가열히터모듈(300)이 수용되는 히터수용실(140)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좌우측 하우징(110a)(110b)의 전방 내측에는, 보다 상세히는 탱크장착 홈(120)과 전후로 마주보는 방향에는 후술된 전자펌프(700)가 장착되는 펌프장착브라켓(150)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핸들장착공(130)의 위쪽에는 후술된 제어부(900)가 장착되는 제어부장착브라켓(160)이 형성되어 있다.
베이스 프레임(110c)은 그 중앙에 후술된 다림판(370)이 노출되는 다림판노출공(111)이 형성되어 있다.
좌우측 하우징(110a)(110b)과 베이스 프레임(110c)은 나사체결되어 조립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순간가열히터모듈(300)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기히터(310)와, 전기히터(310)의 열이 전도되어 스팀을 발생시키는 가열몸체유닛(330)으로 구성하여 있다.
전기히터(310)은 U자형으로서, 양쪽 단자만 외부로 노출된 채 가열몸체(340)에 인서트되어 있다.
가열몸체유닛(330)은 가열몸체(340), 가열몸체(340)의 상하면을 커버하는 상면커버(350)와 하면커버(360), 다림판(370)으로 구성하여 있다.
가열몸체(340)은 전기히터(310)를 인서트 사출한 알루미늄 재질로서, 그 상면과 하면에는 1차 가열유로인 상면유로(341)와 2차 가열유로인 하면유로(343)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가열몸체(340)에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면유로(341)를 통과한 물이 하면유로(343)으로 유동시키는 연통공(345)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면유로(341)와 하면유로(343)는 격판(342)이 지그재그 형태로 배치 구성하여, 유동 시간의 지연으로 물의 100% 스팀화에 기여할 수 있다.
또한,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통공(345) 주위에는 안내수렴격판(342a)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안내수렴격판(342a)은 연통공(345)의 둘레 일부만 제외하고 둘러싸는 형태(c자 가까운 형상)로 하여, 연통공(345)으로의 유동 지연으로 더많은 열을 흡수함과 동시에 유로를 좁혀 확실한 안내를 만족시킬 수 있다.
상면커버(350)은 상면유로(341)의 상면을 커버하는 상면덮개로서, 물유입구(351)가 형성되어 있다.
하면커버(360)은 하면유로(343)의 하면을 커버하는 하면덮개로서, 스팀유출공(361)이 형성되어 있다.
상면커버(350)와 하면커버(360)에는 격판(342)과 대응되는 위치에 홈(352)이 형성되어, 밀폐 및 견고한 효과를 더욱더 높인다.
또한, 다림판(370)에는 스팀분출구(381)가 형성되어 있다. 스팀분출구(381)가 다수개 형성되는 경우 스팀유출공(361)에서 나온 스팀을 분배하는 스팀분배통로(380)가 하면커버(360)의 하면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하면커버(360), 스팀분배통로(380), 다림판(370)의 좌우측면에는 'ㄷ'자 형태의 공간(S)이 형성되고, 이 공간(S)을 통해 공기의 유동을 허용하여 플라스틱 재질의 하우징(100)에 열의 전달을 약화시키도록 한다.
상면커버(350)과 가열몸체(340) 사이, 가열몸체(340)와 하면커버(360) 사이, 스팀분배통로(380)와 다림판(370) 사이에는 가스켓(G)이 개재된 채 체결 조립되는 것이 실링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순간가열히터모듈(300)이 조립되면, 다림판(370)의 체결브라켓(373)을 베이스 프레임(110c)의 체결리브(113)에 스크류로 체결 조립함으로써, 하우징(100)의 히터수용실(150)에 탑재된다.
한편, 가열몸체(340)의 전방 측면에는 전기히터(310)의 단자가 배치되고, 후방 측면에는 온도센서체결리브(321)가 형성되어, 온도센서브라켓(323)이 체결되어 온도센서(320)를 가열몸체(340)에 접촉 지지시킨다. 온도센서브라켓(323)은 온도센서체결리브(321)에 체결되는 체결판(324)과, 온도센서(320)를 잡아주는 'ㄷ'자 형상의 채널브라켓(325)과, 체결판(324)과 채널브라켓(325)을 연결하는 '역ㄷ'자 연결브라켓(326)으로 구성하여 있다. 따라서, 온도센서(320)가 채널브라켓(325)에 끼워지면 연결브라켓(326)의 탄성변형으로 온도센서(320)를 좌우로 가압한다.
또한, 가열몸체(340)의 좌측면 또는 우측면에는 'ㄱ'자 형태의 전선걸이고리(347)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선걸이고리(347)은, 온도센서(320), 퓨즈, 전기히터(310)가 제어부(900)에 전선에 의해 접속되는데, 이러한 전선이 길 경우 감아 깔끔하게 정리하기가 편리하다.
상면커버(350)에는 온도센서(200)에 따른 과열방지용 퓨즈를 장착하는 퓨즈브라켓(353)이 형성되어 있다.
퓨즈브라켓(353)은 퓨즈의 양쪽을 막는 양측 벽(354)과 이 양측 벽브라 켓(354)에 체결되어 위면을 막는 상브라켓(355)로 구성하여 있다.
탱크모듈(500)은 도 7 내지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탱크부재와 이 탱크부재를 탱크장착홈(120)에 록킹하는 록킹부재(530)를 포함한다.
탱크부재는 물을 담는 탱크(510)와, 탱크(510)가 끼워지는 탱크 바디(520)와, 탱크(510)의 전면(511)에 설치되는 탱크커버(540)와, 물주입구(541)를 개폐하는 덮개(550)로 구성하여 있다. 도면부호 513은 탱크바디(520)에 걸리는 걸림플랜지이다.
탱크(510)는 두께에 비해 표면이 넓은 형태로서 유선형으로 되어 있다.
탱크 바디(520)는 탱크(510)가 삽입 지지되도록 한다.
탱크커버(540)에는 물주입구(541)와 물유출구(543)가 형성되어 있다.
물주입구(541)에는 덮개(550)에 의해 개폐된다.
덮개(550)에는 물유출구(543)에 걸는 고리(551)가 끈(553)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덮개(550)가 물유출구(543)에 걸려 장착되기 때문에, 덮개(550)의 분실을 방지하면서 외관 정리가 깔끔하다.
물유출구(543)에는 전자펌프(700)의 물흡입구(710)에 의해 개폐되는 개폐밸브(580)가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개폐밸브(580)는 물유출구(543)가 형성된 밸브실(581)과, 이 밸브실(581)에 장착되는 캡(583)과, 캡(583)과 밸브실(581) 사이에 개재되는 리턴스프링(586)으로 구성하여 있다.
캡(583)에는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밸브실(581)를 개폐하는 밸브시 트(584)가 형성되고, 그 전면에는 돌출한 스페이서(585)가 형성되어 있다.
스페이서(585)는 캡(583)과 물흡입구(710)의 간극을 형성하여, 밸브시트(584)가 뒤로 밀려 밸브실(581)이 열린 경우 물흡입구(710)로 원활히 유동하게 한다.
캡(583) 앞의 밸브실(581)에는 오링(587)이 설치되는 것이 누수방지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록킹부재(530)는 탱크(510)와 탱크 바디(520)에 설치되어 하우징(110)에 록킹되는 록킹훅(530)으로 구성하여 있다.
록킹훅(530)은 록킹턱(127)에 걸리는 걸림훅(531), 누름돌기(533), 탄성복원편(535)으로 구성되어 있다.
탄성복원편(535)은 U자 형태로서 탱크(510)와 탱크바디(520) 사이에 배치되며, 누름돌기(533)는 탱크바디(520)의 인출공(521)을 통해 인출되어 있다.
따라서, 누름돌기(533)가 가압 눌려지면, 탄성복원편(535)이 오므라들면서 걸림훅(531)이 록킹턱(127)에 해제된다. 이 해제된 상태를 유지한 채 탱크모듈(500)을 뒤로 당기면 빠진다.
반대로, 탱크모듈(500)이 탱크장착홈(120)에 장착될 때에는 그대로 밀어넣으면, 탄성복원편(535)이 오므라들면서 걸림훅(531)이 록킹턱(127)에 걸린 후 다시 탄성복원편(535)이 펼쳐지면서 록킹된다.
탱크모듈(500)이 전후로 슬라이딩 되고, 전자펌프(700)의 물흡입구(710)와 물유출구(543)과 전후로 나란히 배치되기 때문에, 탱크(510)의 바닥에 있는 물이 잘 유출되도록 물유출추(560)가 튜브(570)에 의해 물유출구(543)에 접속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유출추(560)는 무게가 있는 추로 구성되고, 이 추에는 물유출되는 다공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물유출추(560)가 탱크(510)의 바닥에 닿고 있기 때문에, 마치 수중펌프가 물속에 있는 것과 유사한 기능을 함으로써, 바닥에 고인 물까지도 유출시킬 수 있다.
또한, 탱크모듈(500)과 전자펌프(700)가 전후로 나란히 배치되어 전체적인 하우징의 높이를 줄일 수 있고, 특히 탱크모듈(500)의 전후로 슬라이딩 착탈 가능하게 함으로써, 하우징에 매립되어 외관상 보기가 좋고 두께에 비해 상대적으로 표면적을 넓게 하여 전체적인 높이도 줄일 수 있다. 따라서, 전기스팀 다리미의 슬립화(전후 길이에 비해 좌우의 폭이 좁은 형상)에 크게 기여할 수 있다.
전자펌프(700)에는 물흡입구(710)와, 물유입구(551)에 연결되는 물토출구(730)로 구성되어, 제어부(700)에 의해 구동 제어된다.
전자펌프(700)는 사용자의 신호에 따라 탱크(510)의 물을 순간가열히터모듈(300)에 강제 공급하기 때문에, 스팀분출구(371)로부터 안정적으로 스팀을 분출시킬 수 있다.
제어부(900)는 스위치(935)가 있는 컨트롤러(910)와, 스위치(935)를 단속하는 푸쉬버튼(930)으로 구성하여 있다. 푸쉬버튼(930)의 복원은 리턴스프링(931)에 의해 행해진다. 컨트롤러(910)는 우측하우징(110b)의 브라켓(920)에 장착되고, 푸 쉬버튼(930)이 눌려 온 되면 불빛이 나오는 버튼LED(933)이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컨트롤러(910)는 전기히터(310), 온도센서(320), 전자펌프(700)를 제어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음은 해당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자명하다 할 것이다.
본 발명은 스팀을 이용하는 제품에 대해 모든 적용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기스팀 다리미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결합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우측 하우징을 제거한 상태의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정면도.
도 5는 순간가열히터모듈을 분리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가열몸체의 평면도.
도 7은 탱크모듈의 분해 사시도.
도 8은 도 7의 결합 사시도.
도 9는 도 8의 측면도.
도 10은 도 7의 주요 부분을 확대한 사시도.
도 11은 종래 전기스팀 다리미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하우징 110a : 좌측하우징
110b : 우측 하우징 110c : 베이스 프레임
111 : 다림판노출공 113 : 베이스체결리브
120 : 탱크장착홈 121 : 상판
123 : 하판 125 : 전판
126 : 물흡입구출납홈 127 : 록킹턱
130 : 핸들장착공 140 : 히터수용실
150 : 펌프장착브라켓 160 : 제어부장착브라켓
200 : 핸들 300 : 순간가열히터모듈
310 : 전기히터 311 : 단자
320 : 온도센서 321 : 온도센서체결리브
323 : 온도센서브라켓 324 : 체결판
325 : 채널브라켓 326 : 연결브라켓
330 : 가열몸체유닛 340 : 가열몸체
341 : 상면유로 342 : 격판
343 : 하면유로 345 : 연통공
347 : 전선걸이고리 350 : 상면커버
351 : 물유입구 353 : 퓨즈브라켓
354 : 벽브라켓 355 : 상브라켓
360 : 하면커버 361 : 스팀유출공
370 : 다림판 371 : 스팀분출공
373 : 다림판체결브라켓 380 : 스팀분배통로
500 : 탱크모듈 510 : 탱크
513 : 걸림플랜지 520 : 탱크바디
521 : 인출공 530 : 록킹훅
531 : 걸림훅 533 : 누름돌기
535 : 탄성복원편 540 : 탱크커버
541 : 물주입구 543 : 물유출구
550 : 덮개 551 : 고리
553 : 끈 560 : 물유출추
570 : 튜브 580 : 개폐밸브
581 : 밸브실 583 : 캡
584 : 밸브시트 585 : 스페이서
586 : 리턴스프링 587 : 오링
700 : 전자펌프 710 : 물흡입구
730 : 물토출구 900 : 제어부
910 : 컨트롤러 920 : 컨트롤러브라켓
930 : 푸쉬버튼 931 : 복원스프링
933 : 버튼LED 935 : 스위치
G : 가스켓 S : 공간

Claims (3)

  1. 전기히터와, 물유입구와 스팀분출구가 형성된 가열몸체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가열몸체유닛은,
    상기 전기히터가 인서트되며, 상면유로, 하면유로, 상기 상면유로와 하면유로를 서로 통하게 하는 연통공이 형성된 가열몸체;
    상기 상면유로를 커버하며, 상기 물유입구가 형성되는 상면커버;
    상기 하면유로를 커버하며, 스팀유출구가 형성되는 하면커버;
    상기 하면커버의 밑면에 형성되며, 스팀분출구가 형성되는 다림판을 포함하는 전기스팀 다리미용 순간가열히터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면유로와 하면유로는 지그재그 형태로 구성되며,
    상기 스팀분출구는 상기 다림판에 복수개 형성되고,
    상기 하면커버의 하면에는 상기 복수개의 스팀분출구에 스팀을 분배하는 스팀분배통로가 형성되는 전기스팀 다리미용 순간가열히터모듈.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몸체의 측면에는 전선걸이고리가 형성되고,
    상기 상면커버에는 퓨즈브라켓이 형성되는 전기스팀 다리미용 순간가열히터모듈.
KR1020090039116A 2009-05-06 2009-05-06 전기스팀 다리미용 순간가열히터모듈 KR1011041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9116A KR101104160B1 (ko) 2009-05-06 2009-05-06 전기스팀 다리미용 순간가열히터모듈
CN2009101730157A CN101880956A (zh) 2009-05-06 2009-08-28 电热蒸汽熨斗用瞬间加热器模块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9116A KR101104160B1 (ko) 2009-05-06 2009-05-06 전기스팀 다리미용 순간가열히터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0347A true KR20100120347A (ko) 2010-11-16
KR101104160B1 KR101104160B1 (ko) 2012-01-13

Family

ID=430530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9116A KR101104160B1 (ko) 2009-05-06 2009-05-06 전기스팀 다리미용 순간가열히터모듈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104160B1 (ko)
CN (1) CN101880956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84746A (ko) * 2001-05-02 2002-11-11 재원산업 주식회사 폐사이클로헥사논의 정제방법
KR101210476B1 (ko) * 2012-05-22 2012-12-11 (주)세라전자 스팀 다리미
KR101392664B1 (ko) 2012-09-07 2014-05-07 (주)세라전자 스팀 다리미
CN104032558B (zh) * 2014-05-23 2017-01-18 金晨 一种电熨斗
KR101652464B1 (ko) * 2015-02-06 2016-08-30 박태훈 스팀발생장치
ITUB20152147A1 (it) * 2015-07-14 2017-01-14 De Longhi Appliances S R L Div Commerciale Ariete Struttura perfezionata di ferro da stiro
CN106283585B (zh) * 2016-10-17 2019-02-01 广州德净科技有限公司 一种蒸汽电熨斗底板
CN113018155B (zh) * 2021-02-25 2023-05-09 佛山市养博城科技有限公司 一种泌尿科蒸汽熏蒸治疗器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77600B2 (ja) * 1991-12-20 1995-08-23 東芝ホームテクノ株式会社 スチームアイロン
KR19980031148A (ko) * 1996-10-31 1998-07-25 김광호 다리미의 물저장장치
JPH10337400A (ja) 1997-06-06 1998-12-2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スチームアイロン
JP4196095B2 (ja) 2003-09-30 2008-12-17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アイロン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04160B1 (ko) 2012-01-13
CN101880956A (zh) 2010-1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120347A (ko) 전기스팀 다리미용 순간가열히터모듈
CA2044045C (en) Electric iron with a demineralizing cartridge and an improved water reservoir
KR102011414B1 (ko) 스팀 맙에서 사용하기 위한 스팀 가열 장치 및 방법
WO2016038792A1 (ja) スチームアイロン
KR101171968B1 (ko) 스탠드형 스팀다리미
KR101181352B1 (ko) 스탠드형 스팀다리미
RU2397691C1 (ru) Насадка для устройства очистки
JP2015033484A (ja) 電気ケトル
KR20100120349A (ko) 전기스팀 다리미
CN210117597U (zh) 配备有支撑附件的熨烫设备
JPH0529472B2 (ko)
KR20100120348A (ko) 전기스팀 다리미
JPS6034498A (ja) スチ−ムアイロン
KR101171969B1 (ko) 스탠드형 스팀다리미
CN210185302U (zh) 一种电蒸锅
JP2001204998A (ja) アイロン
KR20140141075A (ko) 스팀 오븐 레인지
JP7236661B2 (ja) スチーム噴出器およびスチームアイロン
CN116419996A (zh) 混合式挂烫机熨斗组件
CN212223409U (zh) 具有储汽增压功能的熨烫设备
CN217149656U (zh) 挂烫机
JP7475939B2 (ja) コードレスアイロン
JP6668572B2 (ja) アイロン
KR20140049698A (ko) 증기 다리미
JPH049999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