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10476B1 - 스팀 다리미 - Google Patents

스팀 다리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10476B1
KR101210476B1 KR1020120054323A KR20120054323A KR101210476B1 KR 101210476 B1 KR101210476 B1 KR 101210476B1 KR 1020120054323 A KR1020120054323 A KR 1020120054323A KR 20120054323 A KR20120054323 A KR 20120054323A KR 101210476 B1 KR101210476 B1 KR 1012104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am
heating
heating unit
iron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43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규
Original Assignee
(주)세라전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세라전자 filed Critical (주)세라전자
Priority to KR10201200543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1047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04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04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75/00Hand irons
    • D06F75/08Hand irons internally heated by electricity
    • D06F75/10Hand irons internally heated by electricity with means for supplying steam to the article being ironed
    • D06F75/14Hand irons internally heated by electricity with means for supplying steam to the article being ironed the steam being produced from water in a reservoir carried by the iron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40Steam generat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75/00Hand irons
    • D06F75/08Hand irons internally heated by electricity
    • D06F75/24Arrangements of the heating means within the iron; Arrangements for distributing, conducting or storing the heat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75/00Hand irons
    • D06F75/30Hand irons of special external shape or form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75/00Hand irons
    • D06F75/34Handles; Handle mount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Ir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팀 다리미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스팀 다리미는 일측에 손잡이가 형성된 다리미 본체;와, 내부에 물 저장공간이 형성되어 상기 다리미 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물탱크;와, 스팀분출공이 형성되어 상기 다리미 본체의 전면부에 설치되는 다림판;과, 상기 물탱크에 저장된 물을 다리미 본체 내부로 이송하는 펌프;와, 상기 펌프에 의해 이송된 물을 가열하여 스팀을 생성하도록 상기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는 제1가열부; 및, 상기 다림판의 스팀분출공 내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제1가열부에서 배출된 스팀을 추가로 가열하는 제2가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스팀 다리미 {Steam Iron}
본 발명은 스팀 다리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스팀 발생효율을 향상시켜 스팀을 빠르고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스팀 다리미에 관한 것이다.
다리미란 압력과 열을 사용하여 옷이나 피륙 등에 생긴 구김살을 펴는 도구로서, 일반적으로 전기다리미를 이용하며 발열방식에 따라 운모판에 니크롬선을 감은 발열체를 밑부분에 장치해 열을 다리미 바닥에 전하는 마이카히터식(式)과 니크롬선을 미리 코일형으로 감아 금속관 안에 넣어 산화마그네슘으로 절연해서 봉인( 封印)한 봉상(棒狀)의 발열체를 밑부분에 장치하여 밑바닥에 열을 전하게 하는 시즈히터식으로 구분되며, 그 무게가 무겁고 크기가 비대하여 이용이 불편할 뿐만이 아니라, 자칫 부주위할 경우 과열에 의해 옷감이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최근에는 고압의 스팀을 발생하여 옷감의 손상을 줄이고, 구김살을 효과적으로 제거하는 스팀식 다리미가 개발되었다.
종래의 스팀 다리미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부품을 수납하고 외관을 형성하는 바디케이스(10), 바디케이스(10)에 수용되는 물탱크(20), 바디케이스(10)에 수용되고 물탱크(20)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가열하여 스팀을 발생시키는 히터박스(30), 바디케이스(10)에 일단이 체결되며 히터박스(30)로부터 공급받는 스팀호스(40), 히터박스(30)와 스팀호스(40) 사이에 배치되어 히터박스(30)에서 발생한 스팀을 스팀호스(40)를 향해 소정의 압력으로 공급하는 펌프(50), 스팀호스(40)의 말단부에 설치되어 스팀을 외부로 분사시키는 노즐헤드(60)를 포함한다.
그런데, 종래 스팀 다리미는 히터박스(30)에서 생성된 스팀을 스팀호스(40)를 통해 그대로 분사하기 때문에 스팀이 100% 달성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설령 달성되더라도 스팀호스(40)를 통과하는 동안 액상과 스팀이 혼재하게 된다.
이 액상의 물은 다림질할 때 옷에 묻지 않고 떨어질 우려가 매우 커서 스팀효율의 저하뿐만 아니라 뜨거운 액상의 물이 사용자에게 뭍을 때 화상을 입을 우려가 매우 크다.
또한, 펌프(50)를 이용해 기체상태인 스팀을 소정의 압력으로 공급하는 것이므로 펌프의 효율이 낮고, 스팀이 펌프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액상으로 변환되므로 스팀발생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상기 히터박스(30)의 내부에는 금속관 내에 니크롬선과 절연재(산화마그네슘)를 충진한 형태의 시즈 히터(sheath heater)가 내장되는데, 이러한 시즈 히터는 안정적이지만 절연재의 이동이나 소실로 니크롬선이 금속관 내벽에 닿아 단락이 일어날 우려가 있어 반영구적이지 않다.
또한, 이러한 시즈 히터는 물을 스팀으로 만들기 위한 온도까지 도달하는데에 시간이 많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바이메탈을 이용한 단순 ON/OFF 방식으로만 제어되는 것이므로 스팀 공급량을 조절하는 것과 같은 복잡한 제어기능은 달성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소비전력이 높은 문제점이 있으며, 니크롬선과 절연재를 감싸는 금속관이 수돗물 내에 함유된 불순물과의 반응에 의해 부식되기 쉬우며, 이로 인해 금속관 내부의 니크롬선이 물 또는 스팀에 노출되어 감전사고의 우려가 있다.
선행기술 1. 등록특허공보 제10-1104160호(2012.01.13.)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세라믹히터를 채용하여 스팀을 빠르고 안정적으로 공급하는 것과 동시에, 스팀발생을 위한 가열구조를 소형화 및 경량화함으로써 한 손으로 들고 다림질을 할 수 있는 일체형 구조의 스팀 다리미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제1가열부에서 생성된 스팀이 다림판의 스팀분출공으로 배출되기 직전 제2가열부에서 2차 가열되므로 이송과정에서 스팀이 응결되는 것이 방지되며, 다림판의 스팀분출공을 통해 응결수가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스팀 다리미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제1가열부의 내부에는 이송통로가 지그재그 형태로 마련되어 있으므로, 최소한의 공간 내에서 물을 가열하여 스팀을 생산하는 것이 가능하게 될 뿐만 아니라, 다수의 세라믹히터를 이송통로의 양측에 각각 설치하여 함으로써 세라믹히터의 열에너지를 효율적으로 사용하여 스팀을 신속하게 생산할 수 있는 스팀 다리미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물탱크의 내부에 서로 이격 배치되는 복수의 인출호스를 배치함으로써 다양한 기울기 방향에서도 스팀을 원활하게 공급할 수 있는 것은 물론, 물탱크의 저장공간에 저장된 물이 모두 소진될 때까지 스팀을 생산할 수 있으므로 물 충전 횟수를 최소화할 수 있는 스팀 다리미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일측에 손잡이가 형성된 다리미 본체;와, 내부에 물 저장공간이 형성되어 상기 다리미 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물탱크;와, 스팀분출공이 형성되어 상기 다리미 본체의 전면부에 설치되는 다림판;과, 상기 물탱크에 저장된 물을 다리미 본체 내부로 이송하는 펌프;와, 상기 펌프에 의해 이송된 물을 가열하여 스팀을 생성하도록 상기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는 제1가열부; 및, 상기 다림판의 스팀분출공 내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제1가열부에서 배출된 스팀을 추가로 가열하는 제2가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 다리미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1가열부는 상기 펌프로부터 제공되는 물이 이동하면서 가열되는 복수의 이송통로가 내부에 형성된 제1가열몸체와, 상기 제1가열몸체에 설치되어 발열하는 적어도 하나의 세라믹히터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이송통로는 직렬로 연결되고, 이송통로의 양단부에 주입구와 배출구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세라믹히터는 이송통로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가열부로부터 제공되는 스팀이 수용되는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와 연통하는 공급구가 형성되어 상기 다림판의 스팀분출공 배면에 설치되는 제2가열몸체와, 상기 제2가열몸체에 설치되어 발열하는 세라믹히터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물탱크의 저장공간내에는 서로 다른 위치에서 각각 물을 빨아들여 펌프로 공급하는 인출호스가 복수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세라믹히터를 채용하여 스팀을 빠르고 안정적으로 공급하는 것과 동시에, 스팀발생을 위한 가열구조를 소형화 및 경량화함으로써 한 손으로 들고 다림질을 할 수 있는 일체형 구조의 스팀 다리미가 제공된다.
또한, 제1가열부에서 생성된 스팀이 다림판의 스팀분출공으로 배출되기 직전 제2가열부에서 2차 가열되므로 이송과정에서 스팀이 응결되는 것이 방지되며, 다림판의 스팀분출공을 통해 응결수가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스팀 다리미가 제공된다.
또한, 제1가열부의 내부에는 이송통로가 지그재그 형태로 마련되어 있으므로, 최소한의 공간 내에서 물을 가열하여 스팀을 생산하는 것이 가능하게 될 뿐만 아니라, 다수의 세라믹히터를 이송통로의 양측에 각각 설치하여 함으로써 세라믹히터의 열에너지를 효율적으로 사용하여 스팀을 신속하게 생산할 수 있는 스팀 다리미가 제공된다.
또한, 물탱크의 내부에 서로 이격 배치되는 복수의 인출호스를 배치함으로써 다양한 기울기 방향에서도 스팀을 원활하게 공급할 수 있는 것은 물론, 물탱크의 저장공간에 저장된 물이 모두 소진될 때까지 스팀을 생산할 수 있으므로 물 충전 횟수를 최소화할 수 있는 스팀 다리미가 제공된다.
도 1은 종래 스팀 다리미의 개략구성도,
도 2는 본 발명 스팀 다리미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스팀 다리미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스팀 다리미에 따른 제1가열부의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스팀 다리미에 따른 제2가열부의 분해사시도,
도 6은 본 발명 스팀 다리미의 개략구성을 나타내는 정면도,
도 7은 내지 도 8은 제1가열부의 작용을 나타내는 단면도들이고,
도 9는 제2가열부의 작용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설명에 앞서, 여러 실시예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대표적으로 제1실시예에서 설명하고, 그 외의 실시예에서는 제1실시예와 다른 구성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스팀 다리미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도면 중 도 2는 본 발명 스팀 다리미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 스팀 다리미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 스팀 다리미에 따른 제1가열부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 스팀 다리미에 따른 제2가열부의 분해사시도이다.
상기 도면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은 본 발명 스팀 다리미는 다리미 본체(110), 물탱크(120), 펌프(130), 제1가열부(140), 제2가열부(1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다리미 본체(110)는 일측에 스팀분출공(114a)이 관통 형성된 다림판(114)이 고정되고 타측에는 펌프(130)와 제1가열부(140) 및 제2가열부(150)가 고정되며 하단부에는 물탱크(120)가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장착부(112a)가 형성된 베이스(112)와, 일측에 손잡이(116a)가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112)의 타면을 감싸는 커버(116)를 포함하며, 상기 손잡이(116a)에는 전원스위치와 펌프(130)의 구동량을 조절하여 스팀 공급량을 조절하는 조절스위치가 마련된다.
상기 물탱크(120)는 내부에 물 저장공간(121)이 형성되어 상기 다리미 본체(11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것으로, 상단부에는 물 저장공간(121)에 물을 공급하기 위한 주입부(122)와, 저장공간(121)의 물을 인출하기 위해 펌프(130)측과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인출부(123)가 형성된다. 특히, 상기 물탱크(120)의 저장공간(121)내에는 서로 다른 위치에서 각각 물을 빨아들여 펌프(130)로 공급하는 인출호스(124)가 저장공간(121)의 상하에 각각 마련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인출호스(124)가 저장공간(121)의 상하에 마련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상하좌우 또는 저장공간의 각 모서리에 각각 마련되어 물탱크(120)가 여러 방향으로 기울어진 상태에서도 펌프(130)를 향해 물을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상기 펌프(130)는 손잡이(116a)측에 마련된 조절스위치로부터 인가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구동하여 상기 물탱크(120)에 저장된 물을 다리미 본체(110) 내부에 설치된 제1가열부(140)로 공급하는 것으로, 일단부가 물탱크(120)와 연결호스로 연결되고, 타단부가 제1가열부(140)의 주입구(142d)와 연결호스로 연결된다.
상기 제1가열부(140)는 상기 펌프(130)에 의해 이송된 물을 가열하여 스팀을 생성하도록 상기 다리미 본체(110) 베이스(112)에 고정되는 것으로, 내부에 지그재그 형태의 이송통로(142a)가 형성되고 일면이 가열판의 내측면에 밀착되도록 상기 다리미 본체(110)의 내부에 설치되는 제1가열몸체(142)와, 상기 제1가열몸체(142)의 양측면에 밀착 고정되어 발열하는 다수의 세라믹히터(H)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이송통로(142a)는 제1가열몸체(142)의 내부에 나란하게 이격 배치되는 복수의 가열통로(142b)와, 인접한 한 쌍의 가열통로(142b)의 단부를 연결하는 연결통로(142c)가 교호 배치되어 구성되며, 상기 세라믹히터(H)는 상기 가열통로(142b)의 양측에 길이방향으로 각각 대응하는 위치에 각각 고정되고, 제1가열몸체(142)에는 상기 이송통로(142a)의 양단부와 연통하는 주입구(142d)와 배출구(142e)가 형성된다.
상기 제2가열부(150)는 상기 다림판(114)의 스팀분출공(114a) 배면에 설치되어 상기 제1가열부(140)에서 배출된 스팀을 추가로 가열하는 것으로, 제1가열부(140)로부터 제공되는 스팀이 수용되는 수용부(152a)가 스팀분출공(114a)의 배면에 형성되도록 다림판(114)의 배면에 설치되는 제2가열몸체(152)와, 상기 수용부(152a)와 연통하도록 상기 제2가열몸체(152)에 관통되어 제1가열부(140)의 배출구(142e)와 연결호스로 연결되는 공급구(152b)와, 상기 제2가열몸체(152)의 외면에 밀착 고정되어 발열하는 세라믹히터(H)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세라믹히터(H)는 열선을 이루는 회로가 인쇄된 소결 세라믹 발열체와, 이 회로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전선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회로가 세라믹 발열체의 내부에 둘러싸여 있기 때문에, 단선의 우려가 전혀 없을 뿐만 아니라 수돗물과의 반응에 의해 부식될 우려가 없으므로 반영구적인 사용이 가능하다. 또한, 세라믹히터(H)는 원하는 온도로 올리는 시간이 매우 짧아 발열지체시간을 현저히 줄여 전력 소비가 적다. 또한, 세라믹히터(H)는 시즈 히터(Sheath Heater)보다 경량이고 상대적으로 매우 고온으로 승온 가능하여 소형화가 가능하다. 특히, 발열량이 높기 때문에 신속하게 물을 가열하여 스팀을 생성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신속한 스팀의 제조가 가능하다.
또한, 상기 다림판(114)는 열전도성 재질로 이루어지며, 배면에 상기 제1가열부(140)의 제1가열몸체(142)와 제2가열부(150)의 제2가열몸체(152)가 밀착되어 있으므로 전원인가시 제1가열부(140)와 제2가열부(150)로부터 열을 전달받아 가열상태가 된다. 따라서 스팀을 이용한 다림질뿐만 아니라 다림판(114)을 이용한 직접 다림질도 가능하게 된다.
지금부터는 상술한 스팀 다리미의 제1실시예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첨부도면 중 도 6은 본 발명 스팀 다리미의 개략구성을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7 내지 도 8은 제1가열부의 작용을 나타내는 단면도들이고, 도 9는 제2가열부의 작용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먼저, 도 6과 같이, 다리미 본체(110)의 베이스(112)의 내측면에는 도면의 아래쪽으로부터 물탱크(120), 펌프(130), 제1가열부(140), 제2가열부(150)가 상측으로 순서대로 배치된다.
상기 베이스(112)의 장착부(112a)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 물탱크(120)의 인출부(123)는 펌프(130)의 일단부와 연결되고, 펌프(130)의 타단부는 제1가열부(140)의 주입구(142d)와 연결되고, 제1가열부(140)의 배출구(142e)는 제2가열부(150)의 공급구(152b)와 각각 연결호스로 연결된다.
상기와 같이 연결된 상태에서 전원을 인가하면, 먼저 펌프(130)와 세라믹히터(H)로 전원이 공급되어 제1가열부(140)와 제2가열부(150)가 급속하게 가열되면서 스팀을 제조하기 위한 상태가 되고, 이어서 펌프(130)의 구동에 의해 물탱크(120)에 저장된 물이 제1가열부(140)로 공급되면, 제1가열부(140)로 공급된 물은 세라믹히터(H)의 발열에 의해 미리 가열된 이송통로(142a)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끓는 점 이상으로 가열되면서 스팀이 발생하게 되며, 이러한 스팀은 배출구(142e)와 연결된 제2가열부(150)의 공급구(152b)로 공급된다.
이어서, 제2가열부(150)의 수용홈에 도달한 스팀은 제2가열몸체(152)의 내측 수용홈에 저장된 상태에서 제2가열몸체(152)의 외측면에 밀착 고정된 세라믹히터(H)에 의해 또다시 가열되어 다림판(114)의 스팀분출공(114a)을 통해 배출되므로 제1가열부(140)을 통과한 스팀이 이송과정에서 응결되어 물로 변환되는 것이 방지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르면 세라믹히터(H)를 적용하여 급속한 가열이 가능하므로, 전원의 인가 후 스팀을 생산하기 위한 준비시간이 최소화되고, 스팀의 생성 후에도 물의 공급량에 따라 발열량이 제어되므로 스팀의 강,약 조절에도 원활하게 스팀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스팀을 생산하는 제1가열부(140)에 세라믹히터(H)를 채용함으로써 스팀을 발생하기 위한 구조가 종래의 시즈 히터를 이용한 구조에 비하여 소형화 및 경량화가 가능하다. 따라서 한 손으로 들고 다림질을 할 수 있는 일체형 구조의 다리미 본체(110) 내부에 스팀 발생을 위한 제1가열부(140)와 물탱크(120)를 내장하여 간편하게 사용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제1가열부(140)에서 생성된 스팀이 다림판(114)의 스팀분출공(114a)으로 배출되기 전 제2가열부(150)에서 또다시 가열되므로 이송과정에서 스팀이 응결되는 것이 방지되며, 이로 인해 다림판(114)의 스팀분출공(114a)을 통해 응결수가 흘러내리는 것이 방지된다.
한편, 물탱크(120)의 내부에는 저장공간(121)에 저장된 물을 펌프(130)로 공급하는 인출호스(124)가 복수 마련되어 저장공간(121)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배치되어 있으므로, 다리미 본체(110)의 기울기가 상측을 향하거나 하측을 향하더라도 저장공간(121) 내부에 저장된 물이 모두 소진될 때까지 원활하게 공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즉,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다리미 본체(110)의 기울기가 상측을 향하는 경우에는 물탱크(120)의 하부에 배치된 인출호스(124)를 통해 물을 빨아들여 펌프(130)로 공급하고, 다리미 본체(110)가 하측을 향해 기울어진 경우에는 물탱크(120)의 상쪽에 배치된 인출호스(124)를 통해 물을 빨아들이는 것이 가능하므로 물탱크(120)의 저장공간(121)에 저장된 물이 모두 소진될 때까지 스팀을 생산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물탱크(120)의 용량을 최소화하면서도 저장된 물이 모두 소진될 때까지 물을 안정적으로 공급하도록 함으로써 물탱크의 크기와 다리미의 무게를 최소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인출호스(124)가 저장공간(121)의 상부와 하부에 배치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상하좌우 또는 저장공간(121)의 각 모서리에 배치하는 등 필요에 따라 추가로 인출호스(124)를 배치함으로써 다양한 기울기 방향에서도 스팀을 원활하게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아울러, 상기와 같이 복수의 인출호스(124)를 배치하면 물탱크(120)의 저장공간(121)에 저장된 물이 모두 소진될 때까지 스팀을 공급할 수 있으므로 물 충전 횟수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제1가열부(140) 및 제2가열부(150)의 가열과정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제1가열부(140)는 도 7 내지 도 8과 같이 제1가열몸체(142)의 내부에 복수의 가열통로(142b)가 나란하게 이격 배치되고, 한 쌍의 인접한 가열통로(142b)의 단부를 연결하는 연결통로(142c)가 엇갈리도록 배치되면서 물이 가열되는 이송통로(142a)가 지그재그 형태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제1가열몸체(142)의 양측면에는 다수의 세라믹히터(H)가 밀착 고정되어 전원의 공급에 의해 발열하므로, 제1가열몸체(142)는 세라믹히터(H)에 의해 끓는점 이상으로 가열된다.
따라서, 펌프(130)로부터 소정의 압력으로 제공되는 물이 이송통로(142a)의 일단부와 연결된 주입구(142d)로 공급되면, 펌프(130)의 공급압력에 의해 지그재그 형태로 형성된 이송통로(142a)를 따라 이동하면서 끓는 점 이상으로 가열됨에 따라 스팀이 발생하게 되며, 이러한 스팀은 이송통로(142a)의 타단부와 연결된 배출구(142e)를 통해 배출된다.
상기와 같이 제1가열부(140)는 제1가열몸체(142)의 내부에 이송통로(142a)가 지그재그 형태로 마련되어 있으므로, 최소한의 공간 내에서 물을 가열하여 스팀을 생산하는 것이 가능하게 될 뿐만 아니라, 다수의 세라믹히터(H)를 제1가열몸체(142)의 양측면, 구체적으로는 이송통로(142a)를 구성하는 가열통로(142b)에 대응하는 위치에 각각 설치하여 함으로써 세라믹히터(H)의 열에너지를 효율적으로 사용하여 신속하게 스팀을 생산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1가열몸체(142)의 하부가 다림판(114)의 내측면과 면접촉되어 제1가열몸체(142)의 열이 다림판(114)으로 전도되므로 다림판(114)을 직접 옷감에 접촉한 상태로 통상적인 다림질을 하는 것도 가능하며, 이로 인해 바지의 주름을 잡는 것과 같이 옷감의 접힌 부분을 다림판(114)으로 가압하여 스팀 뿐만 아니라 열과 압력을 직접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음으로, 제2가열부(150)는 도 9와 같이 제2가열몸체(152)가 다림판(114)의 배면측에 고정되면서 다림판(114)과의 사이에 스팀이 보관되는 수용부(152a)를 형성하며, 상기 수용부(152a)에는 제2가열몸체(152)를 관통하여 수용부(152a)와 연결되는 공급구(152b)를 통해 제1가열부(140)로부터 생산된 스팀이 공급된다.
특히, 상기 제2가열몸체(152)의 외측면에는 세라믹히터(H)가 밀착 고정되어 있으므로, 상기 수용부(152a)에 저장된 스팀은 2차 가열된다. 따라서 제1가열부(140)로부터 제2가열부(150)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냉각되는 스팀이 제2가열부(150)에서 2차 가열되므로 응결되는 것이 방지되므로, 다림판(114)의 스팀분출공(114a)을 통해 응결수가 배출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이러한 제2가열부(150) 역시 다림판(114)의 배면에 맞닿도록 설치되어 있으므로 제2가열몸체(152)의 열이 다림판(114)측으로 전도된다. 따라서 앞서 언급한 것과 같이 제1가열부(140)과 함께 제2가열부(150)의 열도 다림판(114)측으로 제공되므로 다림판(114)을 옷감에 접촉하여 다림질을 하는 효과가 상승된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변형 가능한 다양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본다.
110:다리미 본체, 112:베이스, 112a:장착부,
114:다림판, 114a:스팀분출공, 116:커버,
116a:손잡이, 120:물탱크, 121:저장공간,
122:주입부, 123:인출부, 130:펌프,
140:제1가열부, 142:제1가열몸체, 142a:이송통로,
142b:가열통로, 142c:연결통로, 142d:주입구,
142e:배출구, 150:제2가열부, 152:제2가열몸체,
152a:수용부, 152b:공급구, H:세라믹히터

Claims (7)

  1. 삭제
  2. 일측에 손잡이가 형성된 다리미 본체;
    내부에 물 저장공간이 형성되어 상기 다리미 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물탱크;
    스팀분출공이 형성되어 상기 다리미 본체의 전면부에 설치되는 다림판;
    상기 물탱크에 저장된 물을 다리미 본체 내부로 이송하는 펌프;
    상기 펌프에 의해 이송된 물을 가열하여 스팀을 생성하도록 상기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는 제1가열부; 및,
    상기 다림판의 스팀분출공 내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제1가열부에서 배출된 스팀을 추가로 가열하는 제2가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가열부는 내부에 이송통로가 형성된 제1가열몸체와, 상기 제1가열몸체에 설치되어 발열하는 적어도 하나의 세라믹히터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이송통로는 직렬로 연결되고, 이송통로의 양단부에 주입구와 배출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 다리미.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통로는 제1가열몸체의 내부에 나란하게 이격 배치되는 복수의 가열통로와, 인접한 한 쌍의 가열통로의 단부를 연결하는 연결통로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통로는 교호 배치되어 지그재그 형태의 이송통로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 다리미.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가열부는 제1가열몸체의 일면이 다림판의 내측면에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 다리미.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세라믹히터는 가열통로의 양측에 대응하는 위치에 각각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 다리미.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2가열부는 스팀분출공의 배면영역에 스팀이 보관되는 수용홈을 형성하도록 다림판의 배면에 설치되는 제2가열몸체와, 상기 제2가열몸체를 관통하여 수용홈과 연통하는 공급구와, 상기 제2가열몸체에 설치되어 발열하는 세라믹히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 다리미.
  7. 제 2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물탱크의 저장공간내에는 서로 다른 위치에서 각각 물을 빨아들여 펌프로 공급하는 인출호스가 복수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 다리미.
KR1020120054323A 2012-05-22 2012-05-22 스팀 다리미 KR1012104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4323A KR101210476B1 (ko) 2012-05-22 2012-05-22 스팀 다리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4323A KR101210476B1 (ko) 2012-05-22 2012-05-22 스팀 다리미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99502A Division KR101392664B1 (ko) 2012-09-07 2012-09-07 스팀 다리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10476B1 true KR101210476B1 (ko) 2012-12-11

Family

ID=479073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4323A KR101210476B1 (ko) 2012-05-22 2012-05-22 스팀 다리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10476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4160B1 (ko) * 2009-05-06 2012-01-13 한경희 전기스팀 다리미용 순간가열히터모듈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4160B1 (ko) * 2009-05-06 2012-01-13 한경희 전기스팀 다리미용 순간가열히터모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7608742U (zh) 蒸汽装置
EP2944718B1 (en) Steam iron
CN109652970B (zh) 衣物护理机烫头及具有其的衣物护理机
US10287725B2 (en) Steam device
US20100011629A1 (en) Device for supplying superheated water
CN103882667B (zh) 包括加压蒸汽发生器和熨斗的蒸汽熨烫设备
CN105980623A (zh) 便携式蒸汽挂烫机
KR101156762B1 (ko) 스탠드형 스팀 다리미
JP2020062411A (ja) スチーム式シワ伸ばし装置
CN203807833U (zh) 蒸汽电熨斗设备
JP2015002820A (ja) スチーム噴出器
KR100704337B1 (ko) 스팀발생을 위한 재가열 히팅장치
KR101210476B1 (ko) 스팀 다리미
CN209010808U (zh) 一种熨烫设备
KR101392664B1 (ko) 스팀 다리미
CN108221331B (zh) 蒸汽喷出器和蒸汽熨斗
US8285128B2 (en) Steam generator for a household appliance, heatable using a heat accumulator
KR101255439B1 (ko) 휴대용 떡 찜 장치
CN111853746A (zh) 一种蒸汽发生器和熨烫机
KR20130068532A (ko) 안정적인 스팀 발생 방법 및 그를 이용한 전기 스팀다리미
JP6383934B2 (ja) スチーム噴出器
CN211155163U (zh) 煮水式蒸汽发生器和烹饪装置
CN104706207A (zh) 使用蒸汽加热和/或烹饪食物的电设备
CN211256434U (zh) 一种蒸汽熨烫机
KR102058815B1 (ko) 스팀 다리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