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20017A - 조리기기 - Google Patents

조리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20017A
KR20100120017A KR1020090038999A KR20090038999A KR20100120017A KR 20100120017 A KR20100120017 A KR 20100120017A KR 1020090038999 A KR1020090038999 A KR 1020090038999A KR 20090038999 A KR20090038999 A KR 20090038999A KR 20100120017 A KR20100120017 A KR 201001200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rack
cavity
heater
fixing
coo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389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44551B1 (ko
Inventor
김완수
김양경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389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4551B1/ko
Priority to US13/266,993 priority patent/US20120160228A1/en
Priority to CN200980159077.0A priority patent/CN102414516B/zh
Priority to PCT/KR2009/005120 priority patent/WO2010128722A1/ko
Publication of KR201001200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200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45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45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16Shelves, racks or trays inside ovens; Supports therefor
    • F24C15/166Shelves, racks or trays inside ovens; Supports therefor with integrated heat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16Shelves, racks or trays inside ovens; Support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006Arrangements for circulation of cooling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32Arrangements of ducts for hot gases, e.g. in or around baking ove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3/00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 Electric Stoves And Ranges (AREA)
  • Resistance Hea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조리기기는 조리실을 형성하는 캐비티, 상기 조리실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와이어 랙, 상기 와이어 랙을 상기 조리실에 고정시키도록 상기 캐비티에 설치되는 와이어 랙 고정부 및 상기 와이어 랙 고정부에 설치되며, 상기 와이어 랙과 접촉하면서 와이어 랙에 열을 전달하는 와이어 랙 히터를 포함한다.
캐비티, 와이어 랙, 와이어 랙 고정부, 와이어 랙 히터

Description

조리기기{Cooking apparatus}
본 발명은 조리기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조리대상물이 위치하는 와이어 랙을 가열하는 와이어 랙 히터를 구비하여 조리대상물에 그릴마크를 구현할 수 있는 조리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리기기는 내부의 조리실에 조리대상물을 넣고 복수개의 히터에 의해서 가열하여 조리대상물을 조리하는 기기이다. 그리고 사용자는 조리방법에 따라 조리대상물을 올려놓는 판상의 선반 또는 금속의 빔으로 구성되는 와이어 랙을 조리실의 내부에 설치하여 조리를 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와이어 랙은 금속의 빔 등으로 구성되고, 상부의 조리대상물을 지지하기 위하여 일정 두께 이상으로 형성되어야 한다. 그리고 와이어 랙이 히터에 의해서 가열되는 경우 와이어 랙을 구성하는 금속빔의 형상의 그릴마크가 조리대상물에 구현될 수도 있다.
그러나 일정 두께 이상의 금속빔으로 구성되는 와이어 랙은 히터에 의해서 발생하는 열에 의해서 가열이 되고, 따라서 히터가 발생하는 열이 와이어 랙에 전달되어 조리대상물이 충분히 가열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히터의 열이 대 류에 의해서 와이어 랙에 전달이 되므로 와이어 랙에 열이 충분히 전달되지 않아서 조리대상물에 그릴마크가 선명하게 구현이 안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서, 와이어 랙을 고정하는 와이어 랙 고정부에 와이어 랙 히터를 설치하여 와이어 랙을 직접 가열할 수 있는 조리기기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와이어 랙을 조리실에 고정하면서 와이어 랙을 가열할 수 있는 와이어 랙 히터를 포함하는 조리기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는 조리실을 형성하는 캐비티, 상기 조리실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와이어 랙, 상기 와이어 랙을 상기 조리실에 고정시키도록 상기 캐비티에 설치되는 와이어 랙 고정부 및 상기 와이어 랙 고정부에 설치되며, 상기 와이어 랙과 접촉하면서 와이어 랙에 열을 전달하는 와이어 랙 히터를 포함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는 조리실을 형성하는 캐비티, 상기 조리실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와이어 랙, 상기 와이어 랙을 상기 조리실에 고정시키도록 상기 캐비티에 설치되는 와이어 랙 고정부 및 상기 와이어 랙과 접촉하면서 상기 와이어 랙에 열을 전달하는 와이어 랙 히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는 조리실을 형성하는 캐비티, 상기 조리실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와이어 랙 및 상기 와이어 랙을 상기 조리실에 고정시키면서 상기 와이어 랙에 열을 전달하는 와이어 랙 히터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는 조리실을 형성하는 캐비티, 조리대상물을 지지하는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를 상기 캐비티의 하면에서 일정거리 이격되어 위치하도록 하는 높이부를 포함하는 와이어 랙 및 상기 캐비티의 하면에 노출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높이부와 접촉되는 와이어 랙 히터를 포함할 수 있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조리기기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첫째, 와이어 랙을 직접 가열하는 와이어 랙 히터를 구비하여 와이어 랙에 충분한 열을 전달하고, 와이어 랙에 위치하는 조리대상물에 선명한 그릴마크를 구현할 수 있다.
둘째, 와이어 랙을 조리실에 고정하는 와이어 랙 고정부에 와이어 랙을 직접 가열하는 히터를 설치하여, 조리실 내부의 공간활용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셋째, 와이어 랙을 가열하는 와이어 랙 히터를 이용하여 와이어 랙을 조리실에 고정한다. 따라서 와이어 랙을 조리실에 고정하기 위한 별도의 고정부를 구비하지 않아도 된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캐비티에 와이어 랙이 결합되기 전의 조리기기의 정면도이다.
도1을 참조하면, 조리기기(1)는 대략 정육면체모양의 외형을 가지며, 내부에는 조리대상물이 조리되는 캐비티(11)가 구비된다. 그리고 조리기기(1)는 전기오븐, 가스레인지 등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캐비티(11)는 사각판 형상의 다수의 캐비티 플레이트를 절곡 및 접합함으로써 이루어진 공간을 일컫는 것으로, 전방이 개구된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된다. 즉 캐비티(11)의 내부에는 조리 대상물이 조리되는 조리실(12)이 형성되며, 개구된 전방을 통하여 조리 대상물을 넣거나 빼게 된다. 그리고 조리기기(1)의 전면에는 개구 형성된 캐비티(11)의 전면을 개폐하는 도어(60)가 형성된다.
한편 캐비티(11)의 하방에는 하측에서 음식물을 가열하는 하부히터(30)가 구비되고, 캐비티(10)의 상방에는 상부에서 음식물을 가열하는 상부히터(20)가 구비된다. 그리고 하부히터(30) 및 상부히터(20)는 캐비티(11)의 내부 또는 외부에 구비될 수 있다.
캐비티(10)의 후방에는 상기 캐비티(11) 내부로 가열된 공기가 토출되도록 하는 컨벡션 어셈블리(40)가 설치된다. 그리고 컨벡션 어셈블리(40)는 컨벡션 히터와 상기 컨벡션 히터의 열을 상기 조리실(12)로 송풍하는 컨벡션 팬을 포함한다.
와이어 랙(90)는 복수개의 금속선의 조합으로 형성되어 조리 대상물을 지지하면서 상기 하부히터(30)의 열이 직접 조리대상물에 전달될 수 있도록 조리대상물을 노출시킬 수 있도록 형성되는 일종의 선반이다. 그리고 특정 조리방법으로 조리 대상물을 조리할 때 사용할 수 있도록 상기 조리실(12)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캐비티(11)의 내부의 형상에 대응하여 형성되는 사각형 형상의 메인프레임(92)과 메인 프레임(92) 사이에 형성되어 조리대상물을 지지하는 복수개의 빔(94)을 포함한다.
한편, 캐비티(11)에는 상기 와이어 랙(90)을 상기 조리실에 고정시키는 와이어 랙 고정부가 설치된다. 와이어랙 고정부는 상기 캐비티에 다양한 방식으로 형성되어 와이어 랙을 고정할 수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 와이어 랙 고정부(70)는 캐비티(11)의 측면에 돌출 형성된다. 그리고 와이어 랙(90)의 하부가 와이어 랙 고정부(70)의 상면에 지지되면서 와이어 랙(90)은 조리실 내부에 고정되게 된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의 와이어 랙 고정부(70)은 캐비티의 양 측면에 전, 후 길이방향으로 돌출 형성된다. 따라서 사각형 형상의 와이어 랙(90)을 안정적으로 지지하게 된다. 그리고 와이어 랙 고정부(70)는 와이어 랙(90)의 전, 후 길이에 대응한 길이 또는 와이어 랙(90)의 전, 후 길이에 대응한 길이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의 와이어 랙 고정부(70)는 캐비티(11)에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와이어 랙 히터(80)는 와이어 랙 고정부(70)에 설치되며, 와이어 랙(90)과 접촉하면서 와이어 랙(90)에 열을 전달한다. 구체적으로 와이어 랙 히터(80)는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와이어 랙 고정부(70)의 상면에 노출되도록 길이방향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와이어 랙(90)의 전, 후 방향 길이에 대응한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와이어 랙(90)의 하부는 상기 와이어 랙 고정부(70)의 상면에 지지되면서, 와이어 랙 고정부(70)의 상면에 노출되도록 설치되는 와이어 랙 히터(80)와 접촉을 하게 되고, 와이어 랙 히터(80)에서 발생한 열은 와이어 랙(90)으로 전도에 의해서 전달되게 된다.
따라서 와이어 랙(90)의 상부에 위치하는 조리 대상물에는 상부 히터(20), 하부 히터(30) 또는 컨벡션 히터에서 발생한 열이 대류에 의해서 전달되면서 조리되는 동시에, 와이어 랙 히터(80)에서 와이어 랙(90)으로 전도에 의해서 직접 전달된 열에 의해서 조리 대상물의 표면에는 와이어 랙(90)의 빔(94) 형상에 따른 그릴 마크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와이어 랙 히터(80)는 와이어 랙(90)에 위치하는 조리대상물에 그릴 마크를 구현하기 위한 적절한 열을 와이어 랙(90)에 전달하기 위하여 히터의 전력밀도와 전도성능이 설정될 수 있다. 따라서 과도한 열이 와이어 랙(90)으로 전달되어 조리대상물의 표면이 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와이어 랙(90)의 조리 대상물을 지지하는 복수개의 빔(94)는 와이어 랙(90)에 좌, 우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캐비티(11)의 측면에 형성되는 와이어 랙 히터(80)의 열이 와어어 랙(90)의 좌, 우측 메인 프레임(92)를 통하여 좌, 우 방향으로 형성된 빔(94)으로 잘 전도될 수 있다.
또한 와이어 랙(90)에는 사용자가 고온의 와이어 랙(90)을 조리실(12)에서 착탈하기 위한 손잡이(96)가 와이어 랙(90)의 전방에 형성될 수 있다.
도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캐비티에 와이어 랙이 결합되기 전의 조리기기의 정면도이고, 도3은 도2의 와이어 랙이 와이어 랙 고정부에 결합되었을 때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2 및 도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와이어 랙 고정부(170)는 지지부재(171) 및 고정부재(173)를 포함한다.
지지부재(171)는 와이어 랙(90)의 하부를 지지하고, 전체적으로 제1실시예의 와이어 랙 고정부(70)와 전체적으로 동일한 형태로 형성된다. 고정부재(173)는 지지부재(171)의 상부로 일정거리 이격되어 형성되고, 전체적으론 지지부재(171)의 형상과 동일하게 형성된다.
즉 본 실시예에서의 지지부재(171)와 고정부재(173)는 와이어 랙(90)의 두께에 대응하는 길이로 이격되어 형성되고, 와이어 랙(90)은 지지부재(171) 및 고정부 재(173)의 사이의 이격된 공간에 슬라이딩되면서 결합된다. 따라서 조리대상물이 위치하는 와이어 랙(90)을 조리실(12)에 보다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의 와이어 랙 히터(80)는 지지부재(171)의 상면에 노출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즉 본 실시예에서의 와이어 랙(90)의 하부는 지지부재(171)의 상면에 지지되면서, 지지부재(171)의 상면에 노출되도록 설치되는 와이어 랙 히터(80)와 접촉을 하게 되고, 와이어 랙 히터(80)에서 발생한 열은 와이어 랙(90)으로 전도에 의해서 전달되게 된다. 그리고 와이어 랙(90)의 상부는 고정부재(173)에 의해서 고정되게 된다.
한편, 와이어 랙 히터(80)는 지지부재(171)의 상면에 노출되도록 설치되고, 와이어 랙(90)과의 열전도의 효율을 고려하여 다양한 방식으로 설치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와이어 랙 히터(80)는 쉬스 히터(sheath heater)가 사용될 수 있고, 열원과의 연결을 위해서 캐비티(11)의 측면에 관통되어 형성된다. 따라서 캐비티(11)의 측면을 통하여 조리실(12)의 내부로 노출되는 전체 부분이 지지부재(171)의 상면을 통하여 토출이 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도4참조). 따라서 와이어 랙(90)과 와이어 랙 히터(80)와 접촉되는 면적을 넓혀서 열전도가 잘되도록 설계가 가능하다.
한편, 와이어 랙 히터(80)는 고정부재(173)의 하면에 노출되도록 설치될 수도 있을 것이다(도5 참조). 그리고 고정부재(173)는 와이어 랙(90)의 상부를 고정하면서 고정부재(173)의 하면에 노출되도록 설치된 와이어 랙 히터(80)에 의해서 와이어 랙(90)으로 열이 전도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와 이어 랙 히터(80)는 와이어 랙(90)와 와이어 랙 히터(80)와 접촉 면적을 넓히기 위해서 캐비티(11)의 측면을 통하여 조리실(12)의 내부로 노출되는 와이어 랙 히터(80)의 전체 부분이 고정부재(173)의 하면을 통하여 토출이 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도6참조).
그리고 와이어 랙(90)의 조리 대상물을 지지하는 복수개의 빔(94)는 와이어 랙(90)에 좌, 우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캐비티(11)의 측면에 형성되는 와이어 랙 히터(80)의 열이 와어어 랙(90)의 좌, 우측 메인 프레임(92)를 통하여 좌, 우 방향으로 형성된 빔(94)으로 잘 전도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의 와이어 랙 고정부(70)는 캐비티(11)에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하 다른 구성 및 작용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와 동일한 바, 이하 설명을 생략한다.
도7 내지 도9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캐비티에 와이어 랙이 결합되기 전의 조리기기의 정면도이다. 도7 내지 도9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와이어 랙 히터(180)은 상기 실시예와 달리 와이어 랙 고정부(270)에 설치되지 않는다. 즉 본 실시예의 와이어 랙 히터(180)는 와이어 랙(90)이 조리실(12)에 결합된 경우 와이어 랙(90)와 접촉할 수 있도록 캐비티(11)에 설치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와이어 랙 고정부에 와이어 랙 히터를 설치하기 위한 별도의 구성을 구비하지 않으면서도 와이어 랙을 와이어 랙과 접촉하도록 할 수 있다.
도7을 참조하면, 와이어 랙 고정부(270)는 캐비티(11)의 측면에 설치되고, 와이어 랙 히터(180)는 캐비티(11)의 후면에 노출되도록 설치된다. 따라서 와이어 랙(90)이 조리실(12)에 결합되는 경우 와어어 랙 히터(180)는 와이어 랙(90)와 접촉하면서 와이어 랙(90)에 열을 전도하게 된다. 그리고 와이어 랙 고정부(270)는 캐비티(11)의 측면에 돌출 형성되어 와이어 랙(90)의 하부를 지지하면서 와이어 랙(90)을 고정하게 된다. 그리고 이 경우 와이어 랙(90)의 빔(94')은 와이어 랙(90)의 전, 후 방향으로 형성되어 와이어 랙 히터(180)에서 빔(94')으로 열이 잘 전도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8을 참조하면 와이어 랙 히터(280)은 캐비티(11)의 측면에 돌출 형성된 와이어 랙 고정부(270) 상부의 캐비티(11)에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도9를 참조하면, 와이어 랙 고정부(370)는 와이어 랙(90)의 하부를 지지하는 지지부재(371) 및 와이어 랙(90)의 상부를 고정하는 고정부재(373)을 포함한다. 그리고 와이어 랙 히터(380)은 지지부재(371) 및 고정부재(373)의 사이의 캐비티(11)에 노출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이 경우 와이어 랙(90)의 빔(94)은 와이어 랙(90)의 좌, 우 방향으로 형성되어 와이어 랙 히터(180)에서 빔(94)으로 열이 잘 전도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하 다른 구성 및 작용은 상기 제1실시예 및 상기 제2실시예와 동일한 바, 이하 설명을 생략한다.
도10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의 캐비티에 와이어 랙이 결합되기 전의 조리기기의 정면도이다. 본 실시예에서의 조리기기(1)은 와이어 랙(90)을 고정하기 위한 별도의 고정부를 구비하지 않고, 와이어 랙 히터(480)는 와이어 랙(90)을 조리 실(12)에 고정시키면서 상기 와이어 랙(90)와 접촉하면서 전도에 의해서 열을 전달한다.
와이어 랙 히터(480)은 와이어 랙(90)을 고정하기 위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서의 와이어 랙 히터(480)는 캐비티(11)의 측면에 돌출 형성된다. 그리고 와이어 랙(90)의 하부는 상기 돌출 형성된 와이어 랙 히터(480)에 의해서 지지되면서 조리실(12)에 고정된다.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와이어 랙 히터(480)는 쉬스 히터(sheath heater)가 사용될 수 있고, 전체적으로 'ㄷ' 형상으로 캐비티(11)의 측면에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이 경우 와이어 랙(90)의 빔(94)은 와이어 랙(90)의 좌, 우 방향으로 형성되어 와이어 랙 히터(480)에서 빔(94)으로 열이 잘 전도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하 다른 구성 및 작용은 상기 설명한 실시예와 동일한 바 이하 설명을 생략한다.
도11 및 도12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 의 캐비티에 와이어 랙이 결합되기 전의 조리기기의 정면도이다.
도11 및 도1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와이어 랙(190)은 조리 대상물을 지지하는 지지부(193) 및 지지부(193)가 캐비티(11)의 하면에서 일정거리 이격되어 위치하도록 하는 높이부(191)를 포함한다. 그리고 본 실시예의 와이어 랙 히터(580)는 캐비티(11)의 하면에 노출되면서 높이부(191)와 접촉되도록 설치된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캐비티(11)의 측면에 와이어 랙을 고정하는 별도의 와이어 랙 고정부를 설치하지 않으면서 와이어 랙 히터와 와이어 랙을 접촉시켜서 와이어 랙 히터에서 와이어 랙으로 열을 전도할 수 있다.
높이부(191)는 지지부(193)에 다양한 형태로 결합할 수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지지부(193)의 끝단에서 하향 절곡 형성된다.
한편, 조리실(12)에 와이어 랙(190)이 설치되는 경우, 와이어 랙(190)을 고정하면서 높이부(191)가 와이어 랙 히터(580)과 정확하게 접촉을 할 수 있도록 높이부(191)를 고정하는 고정부가 캐비티의 하면에 형성될 수 있다. 고정부는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의 고정부(11a)는 높이부(191)가 끼워지면서 고정될 수 있도록 캐비티(11)의 하면에 함몰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1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캐비티에 와이어 랙이 결합되기 전의 조리기기의 정면도;
도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캐비티에 와이어 랙이 결합되기 전의 조리기기의 정면도;
도3은 도2의 와이어 랙이 와이어 랙 고정부에 결합되었을 때의 부분 단면도;
도4은 제2실시예에서 와이어 랙이 와이어 랙 고정부에 다른 형태로 결합되었을 때의 부분 단면도;
도5은 제2실시예에서 와이어 랙이 와이어 랙 고정부에 또 다른 형태로 결합되었을 때의 부분 단면도;
도6은 제2실시예에서 와이어 랙이 와이어 랙 고정부에 또 다른 형태로 결합되었을 때의 부분 단면도;
도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캐비티에 와이어 랙이 결합되기 전의 조리기기의 정면도;
도8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서 와이어 랙 히터가 캐비티의 다른 위치에 설치된 경우의 조리기기의 정면도;
도9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서 와이어 랙 히터가 캐비티의 또 다른 위치에 설치된 경우의 조리기기의 정면도;
도10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의 캐비티에 와이어 랙이 결합되기 전의 조리기기의 정면도;
도11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의 캐비티에 와이어 랙이 결합되기 전의 조리기기의 정면도;
도12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의 캐비티에 와이어 랙이 고정되는 고정부가 도시된 조리기기의 정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
1: 조리기기 11: 캐비티
12: 조리실 20: 상부히터
30: 하부히터 40: 컨벡션 어셈블리
60: 도어 70: 와이어 랙 고정부
80: 와이어 랙 히터 90: 와이어 랙
92: 프레임 94: 금속빔
96: 손잡이

Claims (19)

  1. 조리실을 형성하는 캐비티;
    상기 조리실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와이어 랙;
    상기 와이어 랙을 상기 조리실에 고정시키도록 상기 캐비티에 설치되는 와이어 랙 고정부; 및
    상기 와이어 랙 고정부에 설치되며, 상기 와이어 랙과 접촉하면서 와이어 랙에 열을 전달하는 와이어 랙 히터;
    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2.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랙 고정부는 상기 캐비티의 측면에 돌출 형성되고,
    상기 와이어 랙 히터는 상기 와이어 랙 고정부의 상면에 노출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와이어 랙은 상기 와이어 랙의 하부가 상기 와이어 랙 고정부의 상면에 지지되도록 위치하는 조리기기.
  3.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랙 고정부는 상기 와이어 랙의 하부를 지지하는 지지부재 및 상기 와이어 랙의 상부를 고정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와이어 랙 히터는 상기 지지부재의 상면에 노출되도록 설치되는 조리기기.
  4.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랙 고정부는 상기 와이어 랙의 하부를 지지하는 지지부재 및 상기 와이어 랙의 상부를 고정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와이어 랙 히터는 상기 고정부재의 하면에 노출되도록 설치되는 조리기기.
  5. 청구항2 내지 청구항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랙은 조리 대상물을 지지하는 빔을 포함하고,
    상기 빔은 와이어 랙에 좌, 우 방향으로 형성되는 조리기기.
  6.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랙에는 손잡이가 형성되는 조리기기.
  7. 조리실을 형성하는 캐비티;
    상기 조리실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와이어 랙;
    상기 와이어 랙을 상기 조리실에 고정시키도록 상기 캐비티에 설치되는 와이어 랙 고정부; 및
    상기 와이어 랙과 접촉하면서 상기 와이어 랙에 열을 전달하는 와이어 랙 히터를 더 포함하는 조리기기.
  8. 청구항7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랙 고정부는 상기 캐비티의 측면에 돌출 형성되고,
    상기 와이어 랙 히터는 상기 와이어 랙 고정부 상부의 캐비티 측면에 노출되도록 설치되는 조리기기.
  9. 청구항7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랙 고정부는 상기 와이어 랙의 하부를 지지하는 지지부재 및 상기 와이어 랙의 상부를 고정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와이어 랙 히터는 상기 지지부재 및 상기 고정부재의 사이 캐비티 측면에 노출되도록 설치되는 조리기기.
  10. 청구항8 또는 청구항9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랙은 조리 대상물을 지지하는 빔을 포함하고,
    상기 빔은 와이어 랙에 좌, 우 방향으로 형성되는 조리기기.
  11. 청구항7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랙 고정부는 상기 캐비티의 측면에 설치되고,
    상기 와이어 랙 히터는 상기 캐비티의 후면에 노출되도록 설치되는 조리기기.
  12. 청구항11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랙은 조리 대상물을 지지하는 빔을 포함하고,
    상기 빔은 와이어 랙에 전, 후 방향으로 형성되는 조리기기.
  13. 조리실을 형성하는 캐비티;
    상기 조리실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와이어 랙;
    상기 와이어 랙을 상기 조리실에 고정시키면서 상기 와이어 랙에 열을 전달하는 와이어 랙 히터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14. 청구항13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랙 히터는 상기 캐비티의 측면에 돌출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와이어 랙의 하면은 상기 와이어 랙 히터의 상면에 지지되면서 고정되는 조리기기.
  15. 청구항14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랙은 조리 대상물을 지지하는 빔을 포함하고,
    상기 빔은 상기 와이어 랙에 좌, 우 방향으로 형성되는 조리기기.
  16. 조리실을 형성하는 캐비티;
    조리대상물을 지지하는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를 상기 캐비티의 하면에서 일정거리 이격되어 위치하도록 하는 높이부를 포함하는 와이어 랙; 및
    상기 캐비티의 하면에 노출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높이부와 접촉되는 와이어 랙 히터;
    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17. 청구항16에 있어서,
    상기 캐비티의 하면에는 상기 높이부를 고정시키는 고정부가 형성되는 조리기기.
  18. 청구항17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캐비티의 하면에 함몰 형성되는 조리기기.
  19. 청구항16에 있어서,
    상기 높이부는 상기 지지부에서 하향 절곡 형성되는 조리기기.
KR1020090038999A 2009-05-04 2009-05-04 조리기기 KR1015445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8999A KR101544551B1 (ko) 2009-05-04 2009-05-04 조리기기
US13/266,993 US20120160228A1 (en) 2009-05-04 2009-09-09 Cooking appliance
CN200980159077.0A CN102414516B (zh) 2009-05-04 2009-09-09 烹调设备
PCT/KR2009/005120 WO2010128722A1 (ko) 2009-05-04 2009-09-09 조리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8999A KR101544551B1 (ko) 2009-05-04 2009-05-04 조리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0017A true KR20100120017A (ko) 2010-11-12
KR101544551B1 KR101544551B1 (ko) 2015-08-13

Family

ID=430502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8999A KR101544551B1 (ko) 2009-05-04 2009-05-04 조리기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120160228A1 (ko)
KR (1) KR101544551B1 (ko)
CN (1) CN102414516B (ko)
WO (1) WO201012872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1055931A1 (de) * 2011-12-01 2013-06-06 Schott Ag Heizelement
KR20160036207A (ko) * 2014-09-25 2016-04-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조리기기
USD787041S1 (en) 2015-09-17 2017-05-16 Whirlpool Corporation Gas burner
US10837651B2 (en) 2015-09-24 2020-11-17 Whirlpool Corporation Oven cavity connector for operating power accessory trays for cooking appliance
US11777190B2 (en) 2015-12-29 2023-10-03 Whirlpool Corporation Appliance including an antenna using a portion of appliance as a ground plane
EP3211323B1 (en) * 2016-02-24 2021-08-04 Electrolux Appliances Aktiebolag Cooking oven including at least one pair of guide rails for receiving and supporting a baking tray or cooking grid
US10145568B2 (en) 2016-06-27 2018-12-04 Whirlpool Corporation High efficiency high power inner flame burner
USD833221S1 (en) 2016-12-30 2018-11-13 Whirlpool Corporation Console for an oven
US10551056B2 (en) 2017-02-23 2020-02-04 Whirlpool Corporation Burner base
US10451290B2 (en) 2017-03-07 2019-10-22 Whirlpool Corporation Forced convection steam assembly
US10660162B2 (en) 2017-03-16 2020-05-19 Whirlpool Corporation Power delivery system for an induction cooktop with multi-output inverters
US10627116B2 (en) 2018-06-26 2020-04-21 Whirlpool Corporation Ventilation system for cooking appliance
US10619862B2 (en) 2018-06-28 2020-04-14 Whirlpool Corporation Frontal cooling towers for a ventilation system of a cooking appliance
US10837652B2 (en) 2018-07-18 2020-11-17 Whirlpool Corporation Appliance secondary door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80597A (en) * 1986-07-18 1988-10-25 Licentia Patent-Verwaltungs Gmbh Electrical baking and roasting oven
US5272317A (en) * 1992-02-01 1993-12-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Food support shelf comprising metal grill with heater
KR19990035747A (ko) * 1997-10-06 1999-05-25 윤종용 전자렌지
BR0104740B1 (pt) * 2000-10-26 2009-05-05 forno de cozimento.
US6897411B2 (en) * 2002-02-11 2005-05-24 Applied Materials, Inc. Heated substrate support
KR20040021719A (ko) * 2002-08-29 2004-03-11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렌지용 랙 및 전자렌지 세트
KR100526206B1 (ko) * 2003-03-21 2005-11-08 삼성전자주식회사 조리장치
KR100722021B1 (ko) * 2005-12-14 2007-05-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기 오븐
KR100735183B1 (ko) * 2005-12-28 2007-07-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기 오븐
KR100777294B1 (ko) 2006-03-15 2007-11-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조리기기 및 조리기기의 조립방법
KR101233246B1 (ko) * 2006-05-30 2013-02-14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슬라이딩 랙걸이를 구비하는 전자레인지
US20080128409A1 (en) * 2006-12-04 2008-06-05 Froelicher Steve B Combination oven assembly and method
US20090064989A1 (en) * 2007-09-06 2009-03-12 Timothy Scott Shaffer Oven Rack Apparatus and Corresponding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20160228A1 (en) 2012-06-28
WO2010128722A1 (ko) 2010-11-11
KR101544551B1 (ko) 2015-08-13
CN102414516B (zh) 2014-12-03
CN102414516A (zh) 2012-04-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120017A (ko) 조리기기
CN104603543B (zh) 耐火烹饪装置
KR101626303B1 (ko) 조리기기
KR101273825B1 (ko) 오븐 도어
CA2816204C (en) Electric oven and method of servicing the same
KR20100028742A (ko) 컨벡션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오븐
CN111520775B (zh) 加热烹调器
CN216090144U (zh) 一种烤盘以及蒸烤箱
EP1798480B1 (en) Electric oven
KR101319713B1 (ko) 조리기기의 쿡탑 유닛
WO2020077974A1 (zh) 家用电烤炉
KR100588136B1 (ko) 조리장치
CN213721499U (zh) 立体加热电烤箱
KR100588150B1 (ko) 조리장치
JP3173614U (ja) 断熱機能を有する側板を備えたコンロ
CN220308974U (zh) 多功能空气炸烤箱
CN215605106U (zh) 一种应用石墨烯发热组件的烤箱
KR100762270B1 (ko) 조리기기
US20230366560A1 (en) Cooking chamber insert with a specific basic structure, and cooking device
CN217883870U (zh) 一种石墨烯发热组件及烘烤烹饪设备
JP2004065536A (ja) 加熱調理器
CN209770103U (zh) 一种具有散热装置的电烤箱
KR100688664B1 (ko) 전기오븐레인지의 백가드부 장착구조
KR100707426B1 (ko) 용기 가열용 히터가 구비된 전기오븐
KR20080005014U (ko) 조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