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77294B1 - 조리기기 및 조리기기의 조립방법 - Google Patents

조리기기 및 조리기기의 조립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77294B1
KR100777294B1 KR1020060024069A KR20060024069A KR100777294B1 KR 100777294 B1 KR100777294 B1 KR 100777294B1 KR 1020060024069 A KR1020060024069 A KR 1020060024069A KR 20060024069 A KR20060024069 A KR 20060024069A KR 100777294 B1 KR100777294 B1 KR 1007772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food
support member
cooking
cabin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240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현식
남영석
조성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240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77294B1/ko
Priority to US11/686,465 priority patent/US7417204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772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772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6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 heating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16Shelves, racks or trays inside ovens; Support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18Arrangement of compartments additional to cooking compartments, e.g. for warming or for storing utensils or fuel containers; Arrangement of additional heating or cooking apparatus, e.g. gril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4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with heat radiated directly from the heating element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68Hea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cooking plates or analogous hot-pl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에너지 효율이 증가되고, 간편하게 조리할 수 있는 히팅장치, 히팅장치의 조립방법 및 이를 이용한 조리기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음식물을 조리하기 위하여 상기 음식물에 전류가 흐르도록 하는 복수 개의 전극 그리고 상기 복수 개의 전극이 서로 접촉되지 않도록 상기 복수 개의 전극을 지지하는 전극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히팅장치, 히팅장치 조립방법 및 이를 이용한 조리기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외부에서 공급되는 전력이 음식물의 가열에 효율적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원하는 상황에 맞게 이동설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히팅장치, 전극, 전극 지지부재, 저장용기, 조리기기

Description

조리기기 및 조리기기의 조립방법{Cooking device and Assembling method of the cooking devic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리기기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히팅장치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주요구성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히팅장치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히팅장치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6a는 도 5의 히팅장치의 조립이 완료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6b는 도 5의 히팅장치의 조립이 완료된 후의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리기기의 성능을 나타내는 그래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캐비닛 20: 도어
30: 제2 히터 하우징 40: 랙 서포터
50: 캐비티 71: 제3 히터
100: 히팅장치 110: 제1 전극
120: 제2 전극 130: 전극 지지부재
140: 저장용기 150: 전원연결부
본 발명은 히팅장치, 히팅장치의 조립방법 및 이를 이용한 조리기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간편하고 효율적으로 음식물을 조리할 할 수 있는 히팅장치, 히팅장치의 조립방법 및 이를 이용한 조리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리기기에는 오븐, 전자레인지 등 다양한 제품들이 있다. 전자레인지는 마그네트론 만을 구비하거나 마그네트론 및 히터를 이용하여 음식물을 조리하는 기기이다. 또한, 오븐은 조리재료를 밀폐한 후 가열하여 건열(乾熱)로 음식을 익히게 설계된 조리기구이다. 상기 음식물에 열을 공급하는 열원으로는 전기나 가스연료 등이 사용된다.
일반적인 오븐은 음식물이 수용되는 공간인 캐비티와 상기 캐비티를 개폐하는 도어와 상기 음식물을 요리하기 위한 히터로 구성된다.
상기 캐비티는 오븐 본체의 내부에 형성되는 조리공간이며, 상기 도어는 상기 캐비티를 형성하는 오븐의 전면에 힌지 결합되어 좌우 또는 상하로 개폐된다.
또한, 상기 히터는 캐비티 내부의 일측에 형성되어, 음식물을 조리하기 위한 열에너지를 공급한다. 상기 히터에서 발생하는 열에너지는 대류 열전달이나 복사 열전달의 형식으로 음식물로 전달된다. .
그러나, 상술한 종래의 조리기기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첫째, 종래의 조리기기에서 사용되는 히터는 대류현상이나 복사현상을 이용 하여 음식물의 표면에 열에너지를 전달하고 있기 때문에 음식물의 내부까지 가열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이 오래 걸리는 문제점이 있다.
둘째, 종래 조리기기의 히터에서 발생하는 열은 캐비티 내부 전체를 가열하기 때문에 음식물의 조리에 사용되는 열에너지는 히터에서 발생하는 열에너지의 일부분에 해당된다. 또한, 캐비티를 형성하는 조리기기 본체와 도어 사이의 틈을 통하여 열에너지가 외부로 누설되기도 한다. 따라서, 종래 조리기기는 누설되는 열에너지로 인하여 에너지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셋째, 종래의 조리기기의 히터에서 발생하는 열에너지는 음식물의 표면에 전달되기 때문에 음식물이 불균등하게 가열되어 부분적으로 타거나 익지 않는 부분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넷째, 종래 조리기기의 히터는 캐비티 내부에 고정적으로 설치되기 때문에 히터의 열에너지가 캐비티 내부에서 편중되게 전달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캐비티 내부에 히터가 고정적으로 설치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히터를 가변적으로 이동시킬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히터의 설치구조도 복잡하기 때문에 사용자의 사용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다섯째, 동일한 음식물의 종류라 할지라도 그 상태(예를 들어, 수분함량)가 다르므로 조리방법이 다르고, 사용자마다 취향이 다르므로 각 사용자가 원하는 조리수준 또한 다르다. 그러나, 종래의 조리기기에서는 일괄적으로 히터를 사용하여 음식물에 열에너지를 공급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조리상태의 음식물을 제공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음식물의 조리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히팅장치, 히팅장치의 조립방법 및 이를 이용한 조리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음식물의 조리시 에너지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는 히팅장치, 히팅장치의 조립방법 및 이를 이용한 조리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음식물의 내부에까지 직접적으로 열에너지를 공급하여 균등하게 음식물을 조리할 수 있는 히팅장치, 히팅장치의 조립방법 및 이를 이용한 조리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이동가능하고 조립방법이 간단하여 사용이 편리한 히팅장치, 히팅장치 조립방법 및 이를 이용한 조리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사용자의 기호에 맞게 음식물을 조리할 수 있는 히팅장치, 히팅장치의 조립방법 및 이를 이용한 조리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음식물을 조리하기 위하여 상기 음식물에 전류가 흐르도록 하는 복수 개의 전극 그리고 상기 복수 개의 전극이 서로 접촉되지 않도록 상기 복수 개의 전극을 지지하는 전극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히팅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히팅장치는 상기 전극 지지부재의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음식물의 조리시 발생되는 오일을 포함하는 이물질이 수용되는 저장용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히팅장치는 상기 복수 개의 전극과 외부의 전력공급원이 연결되도록 하는 전원 연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극은 소정 간격으로 배열되는 복수 개의 전극핀과, 상기 전극핀을 연결하는 전극몸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극핀에는 음식물에서 발생되는 오일을 상기 저장용기 내부로 안내하는 안내가이드가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히팅장치는 상기 전극 지지부재와 상기 복수 개의 전극을 결합시키기 위한 결합부재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전극과 상기 전극 지지부재를 결합시키기 위하여 상기 전극과 상기 전극 지지부재 중 어느 하나에는 결합돌기가 구비되며, 나머지 하나에는 상기 결합돌기와 대응되는 결합홀이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전극 지지부재는 전류가 흐르지 않는 전기적 부도체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극 지지부재는 소정 거리를 가지며 개별적으로 설치되는 복수 개의 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전극은 서로 접촉되지 않으면서 상기 플레이트에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플레이트를 결합시킬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음식물을 조리하기 위하여 상기 음식물에 전류가 흐르도록 하는 복수 개의 전극과 상기 전극을 지지하는 전극 지지부재를 결합시키는 단계 그리고 상기 음식물의 조리시 발생되는 이물질이 수용되는 저장용기와 상기 전극 지지부재를 결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히팅장치의 조 립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전극과 전극 지지부재를 결합시키는 단계는 상기 전극과 전극 지지부재 중의 어느 일측에 형성되는 결합돌기를 나머지 일측에 형성되는 결합홀에 삽입시키는 단계와 상기 결합돌기를 벤딩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전극은 서로 접촉되지 않도록 상기 전극 지지부재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 의하면, 본 발명은 음식물이 조리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캐비닛, 상기 음식물을 조리하기 위하여 상기 음식물에 전류가 흐르도록 하는 복수 개의 전극과 상기 복수 개의 전극과 결합되는 전극 지지부재를 갖는 히팅장치 그리고 상기 히팅장치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하여 상기 전극과 외부의 전력 공급원을 연결시키는 전원 연결부를 포함하는 조리기기를 제공한다.
상기 조리기기는 음식물의 종류에 따라 상기 전극에 공급되는 전력을 가변시키기 위하여 제공되는 변압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리기기는 음식물의 종류에 따라 상기 음식물을 가열하기 위하여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히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원 연결부는 상기 전극과 연결되는 전선, 상기 전선의 끝단에 구비되는 플러그, 상기 플러그와 결합되는 소켓, 그리고 상기 소켓에 이물질이 쌓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소켓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극은 소정 간격으로 배열되는 복수 개의 전극핀과, 상기 전극핀을 연결하는 전극몸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극핀에는 음식물에서 발생되는 오일을 상기 저장용기 내부로 안내하는 안내가이드가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복수 개의 전극은 서로 접촉되지 않으면서 상기 전극 지지부재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극과 상기 전극 지지부재를 결합시키기 위하여 상기 전극과 상기 전극 지지부재 중 어느 하나에는 결합돌기가 구비되며, 나머지 하나에는 상기 결합돌기와 대응되는 결합홀이 구비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조리기기 및 그 제어방법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조리기기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상기 조리기기는 음식물이 조리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캐비닛(10)과, 상기 음식물에 열을 공급하기 위한 히팅장치(100)와, 상기 캐비닛을 개폐하는 도어(20)를 포함한다.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는 음식물이 조리되는 공간인 캐비티(50)가 형성되고, 상기 캐비닛(10)의 전면 상부에는 상기 조리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패널(2)이 설치된다. 또한, 상기 캐비닛의 전면에는 상기 캐비닛을 개폐하는 도어(20)가 힌지 결합되어 있다. 물론, 상기 제어패널(2)은 원격 조정이 가능할 수도 있고, 상기 도어(20)는 상기 캐비닛의 전면에서 슬라이딩 되도록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는 히팅장치(100)가 놓여지는 랙(60)이 설치된다. 물론, 상기 랙(60)의 상면에는 음식물이 직접 놓여질 수도 있다. 상기 랙(60) 은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랙(60)의 양쪽 끝단에는 상기 랙(60)을 지지하기 위한 랙 서포터(40)가 설치된다. 상기 랙 서포터(40)는 상기 랙(60)이 지지될 수 있는 복수 개의 랙 가이드(43)와 상기 랙 가이드(43)를 지지하는 가이드 지지부재(41)로 구성된다. 상기 가이드 지지부재(41)는 상기 캐비닛의 내측면에 고정적으로 설치되며, 상기 랙 가이드(43)는 상기 가이드 지지부재(41)에 다단으로 설치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는 않고, 상기 캐비티 내부에는 음식물이 올려지는 트레이가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트레이는 캐비티 내부에 고정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자체적으로 회전할 수도 있다. 음식물이 조리될 때 상기 트레이가 회전함으로써 음식물이 보다 골고루 익혀지게 된다. 상기 트레이를 회전시키기 위하여 상기 트레이의 하부에는 구동모터(미도시)가 설치되고,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력을 상기 트레이에 전달하기 위한 동력전달장치(미도시)가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캐비닛의 내측면에는 음식물을 조리하기 위한 열에너지를 공급하는 고정 히터들이 설치된다. 상기 고정 히터들에서 발생하는 열에너지는 대류현상이나 복사현상에 의하여 음식물에 전달된다.
상기 고정 히터들은 캐비닛의 내측면 상부에 설치되는 제1 히터(미도시)와, 상기 캐비닛의 내측면 후방에는 설치되는 제2 히터(미도시)와, 상기 캐비닛 내측면 하부에 설치되는 제3 히터(71)를 포함한다.
상기 제1 히터(미도시)는 적외선을 방출하여 상기 음식물을 가열하기 위한 것으로서 주로 음식물을 구울 때 사용된다. 상기 제1 히터(미도시)는 상기 캐비닛 의 내측면 상부에 고정적으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상기 제1 히터는 상기 캐비닛의 내측면 상부에서 이동가능하게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제2 히터(미도시)는 상기 도어(20)와 대향되는 캐비닛의 내측면상에 위치하게 되며, 상기 캐비닛 내부에 놓여진 음식물에 열에너지를 보조적으로 공급한다. 상기 제2 히터는 제2 히터 하우징(30)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제2 히터의 주변에는 상기 제2 히터에서 발생되는 열을 캐비닛 내부로 유동시키기 위한 송풍팬(미도시)이 설치된다. 상기 송풍팬은 상기 제2 히터에 의하여 가열된 공기가 상기 캐비티 내부에 골고루 분포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제2 히터 하우징(30)의 전면에는 상기 캐비티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흡입구(31)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 히터 하우징(30)의 측면에는 상기 제2히터에 의하여 가열된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구(미도시)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3 히터(71)는 랙(60)의 하부에 위치하며, 상기 제3 히터(71)를 지지하는 히터 지지부재(73)에 설치된다. 상기 제3 히터(71)는 빵이나 케익 등을 굽기 위한 히터로서 상기 제3 히터의 상부에는 베이킹 용기(미도시)가 설치된다.
한편, 상기 제3 히터에 의하여 가열되는 공간은 캐비닛 내부의 전체 공간이 아니라 빵 등을 굽기 위한 공간에 한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빵 등을 굽기 위한 공간은 캐비닛 내부에서 별도의 분리막(미도시)에 의하여 격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결과적으로, 상기 고정 히터들은 음식물의 조리방식에 따라 선택적으로 온/오프 되면서 음식물에 열에너지를 전달한다.
또한, 상기 캐비닛의 전면에 설치되는 도어(20)는 도어의 테두리를 형성하는 도어 프레임(21)과 상기 도어 프레임의 내부에 설치되는 도어 글래스(22)를 포함한다. 상기 도어 프레임(21)의 하부는 상기 캐비닛과 힌지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도어 프레임의 내측 테두리에는 상기 캐비닛의 내부와 외부를 차단하기 위한 실링부재(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도어 글래스(22)는 사용자가 상기 캐비닛의 내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하고, 열에 강한 내열성의 재질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는 상기 음식물의 종류에 따라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변압기(미도시)가 설치된다. 상기 변압기는 제어패널과 연결되어 사용자에 의하여 조정가능하게 된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상기 제어패널(2)에서 음식물을 조리하고자 하는 방식을 선택하게 되면 상기 제어패널과 연결된 제어부는 상기 변압기를 조정함으로써 상기 고정 히터들과 히팅장치(100)에 공급되는 전력을 제어하게 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히팅장치의 일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상기 히팅장치(100)는 음식물을 조리하기 위하여 상기 음식물에 전류가 흐르도록 하는 복수 개의 전극(110, 120)과 상기 복수 개의 전극(110, 120)이 서로 접촉되지 않도록 상기 복수 개의 전극을 지지하는 전극 지지부재(13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전극 지지부재(130)의 하부에는 상기 음식물의 조리시 발생되는 오일을 포함하는 이물질이 수용되는 저장용기(140)가 결합된다. 이하에서는 두 개의 전극, 즉 제1 전극(110)과 제2 전극(120)이 설치되는 경우를 설명한다.
상기 제2 전극(120)은 소정 간격으로 배열되는 복수 개의 전극핀(123)과, 상기 전극핀(123)을 연결하는 전극 몸체(121)를 포함한다. 물론, 상기 제1 전극(110)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상기 제1 전극(110)과 제2 전극(120)은 서로 접촉되지 않은 상태로 상기 전극 지지부재(130)에 설치된다. 상기 제1 전극(110) 및 제2 전극( 120)에 전력을 공급하는 외부의 전력공급원은 상기 전극을 통하여 전류가 흐르면 되기 때문에 교류전원이나 직류전원 어느 것이라도 무방하다.
상기 제1 전극(110)과 제2 전극(120)은 서로 엇갈린 배열로 설치되며, 조리되는 음식물(1)은 상기 제1 전극(110)과 제2 전극(120)의 모두에 접촉되어야 한다. 상기 음식물(1)에 전류가 흐르도록 하기 위해서는 상기 음식물이 전위차를 갖는 제1 전극 및 제2 전극 모두에 접촉되어야 한다. 상기 음식물에 전류가 흐르면, 상기 음식물 자체의 전기저항에 의하여 음식물의 내부에서 열이 발생하게 된다. 물론, 상기 음식물(1)은 전류가 흐를 수 있도록 소정의 수분을 함량하고 있어야 한다.
이때 음식물의 내부에서 발생하는 열은 음식물 전체에 걸쳐서 고르게 분포하게 되므로 음식물이 고르게 익게 된다. 또한, 전력공급원에서 공급되는 전기에너지는 모두 음식물의 저항에 의하여 열에너지로 전환되게 된다. 결과적으로, 본 실시 예에 따르면 에너지 효율이 증가되고, 음식물의 조리시간도 단축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전극핀(123)에는 음식물(1)에서 발생되는 오일 등의 이물질을 상기 저장용기 내부로 안내하는 안내가이드(125)가 설치된다. 상기 안내가이드(125)는 상기 전극핀(123)의 테두리에서 소정 각도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다. 따라서, 전극핀(123)에 접촉되어 있는 음식물에서 발생하는 오일은 자연스럽게 안내가이드 (125)를 따라 흐르다가 저장용기 내부로 떨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 전극 지지부재(130)는 상기 제1 전극(110) 및 제2 전극(120)과 함께 음식물이 놓여지는 그릴을 구성한다. 상기 전극 지지부재(130)는 외부 테두리를 형성하는 외부 프레임(131)과 상기 외부 프레임에서 내측으로 연장되는 중간 프레임(133)을 포함한다. 상기 외부 프레임(131)에는 전극 몸체(121)가 설치되며, 상기 중간 프레임(133)은 상기 전극핀(123)의 하부를 지지하게 된다.
상기 전극 지지부재(130)는 전류가 흐르지 않는 전기적 부도체인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상기 전극 지지부재(130)가 도체이면 제1 전극과 제2 전극이 지지부재를 통하여 서로 연결됨으로써 상시 지지부재보다 상대적으로 전기저항이 큰 음식물로는 전류가 흐르지 않을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전극과 전극 지지부재(130)의 하부에는 음식물의 조리시 배출되는 오일 등의 이물질이 수용되는 저장용기(140)가 설치된다. 상기 저장용기(140)는 상기 전극 지지부재의 형상과 대응되며, 결합부재(미도시)에 의하여 상기 그릴과 결합된다. 물론, 상기 저장용기(140)는 열에 강하고, 외부에서 상기 저장용기의 내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한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저장용기가 도체인 경우에는 상기 제1 및 제2 전극과 접촉되지 않아야 하며, 상기 저장용기가 부도체인 경우에는 상기 제1 및 제2 전극과 접촉되어도 무방하다.
한편, 상기 히팅장치에는 상기 제1 전극(110) 및 제2 전극(120)과 외부의 전력공급원을 연결하는 전원 연결부(150)가 설치된다.
상기 전원 연결부(150)는 상기 제1 전극(110) 및 제2 전극(120)과 연결되는 전선(151), 상기 전선(151)의 끝단에 구비되는 플러그(153), 상기 플러그(153)와 결합되는 소켓(155)을 포함한다. 물론, 상기 전원 연결부(150)는 외부의 전력공급원과 연결되어 전류가 흐를 수 있는 부재라면 어떠한 부재라도 무방하다. 또한, 상기 소켓의 전면에는 상기 소켓(155)에 이물질이 쌓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소켓커버(미도시)가 설치된다.
상기 소켓(155)은 상기 히팅장치(100)와 외부의 전력공급원과의 직접적인 연결통로가 된다. 상기 소켓커버는 상기 히팅장치(100)가 사용되지 않을 때 상기 소켓()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전력공급이 원활하게 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술한 히팅장치(100)는 캐비티 내부의 랙 위에 설치되고, 상기 히팅장치의 위에는 소정의 수분이 함량된 음식물이 놓여지게 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는 않고, 오븐이나 전자레인지 등과 같은 조리기기와는 별도로 독립적으로 음식물을 조리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히팅장치가 외부의 전력공급원과 연결되는 경우라면 어디에서든지 사용가능하다. 상기 히팅장치가 밀폐된 공간이 아니라 개방된 공간에서 사용하더라도 열손실은 쉽게 발생하지 않는 장점이 있다. 왜냐하면, 상기 히팅장치는 음식물에 전류를 흘려주면, 상기 음식물의 자체의 저항에 의하여 열에너지가 발생하고, 상기 열에너지에 의하여 상기 음식물이 조리되기 때문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조리기기에 의하여 음식물이 조리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는 히팅장치(100)를 캐비닛 내부에 장착된 랙(60) 위에 설치한다. 그리고, 상기 히팅장치(60)의 위에 조리하고자 하는 음식물이 위치되도록 하고 도어(20)를 닫는다. 이후에 제어패널(2)을 사용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조리방식을 선택하고, 조리시작 버튼을 누른다.
그러면, 외부의 전력공급원으로부터 고정 히터들 또는 히팅장치(100)에 선택적으로 전력이 공급된다. 예를 들어, 고정 히터들 중의 한 개 이상의 히터와 상기 히팅장치(100)가 동시에 작동될 수도 있고, 상기 히팅장치(100)와 고정 히터들이 독립적으로 작동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히팅장치(100)에 의하여 음식물이 조리되는 과정을 설명한다.
히팅장치가 작동되면, 외부의 전력공급원을 통하여 상기 제1 전극(110) 및 제2 전극(120)에 전압이 인가되고, 상기 제1 전극 및 제2 전극에 인가된 전압의 차이는 상기 음식물에 전류가 흐르도록 한다. 상기 전류는 외부의 전력공급원에서 소켓(155), 플러그(153) 및 전선(151)을 경유하고, 상대적으로 높은 전위를 가지는 전극으로 흐른다.
여기서는 제1 전극(110)에 걸리는 전압이 제2 전극(120)에 걸리는 전압보다 높다고 가정을 하고 전류의 흐름을 설명한다. 따라서, 전류는 상기 제1 전극(110)에서 음식물을 경유하여 제2 전극(120)으로 흐르게 된다. 상기 제2 전극(120)을 경유한 전류는 전선(151), 플러그(153) 및 소켓(155)을 경유하여 외부의 전력공급원으로 흐르게 된다.
이때 음식물은 자체적으로 전기 저항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외부에서 공급되 는 전기에너지는 열에너지로 변환하게 된다. 결과적으로 상기 음식물의 내부에서 발생하는 열에 의하여 음식물이 조리되게 된다. 또한, 상기 히팅장치에 의하여 음식물이 조리되는 도중에 고정 히터들에 의하여 음식물에 열에너지가 공급되면 음식물은 상대적으로 빠른 시간 내에 조리될 수 있다.
상기 음식물의 조리시 발생하는 오일은 안내가이드(125)를 따라 이동되어 저장용기(140) 내부에 수용되고, 기타 음식물의 조리시 발생하는 이물질 또한 저장용기 내부에 수용된다.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히팅장치의 다른 실시 예를 설명한다.
본 실시 예에 따른 히팅장치는 상술한 일 실시 예와 마찬가지로 음식물을 조리하기 위하여 상기 음식물에 전류가 흐르도록 하는 복수 개의 전극(210, 220)과 상기 복수 개의 전극(210, 220)이 서로 접촉되지 않도록 상기 복수 개의 전극을 지지하는 전극 지지부재(2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러나, 본 실시예는 상술한 실시 예와는 달리 전극 지지부재(230)가 전기적 부도체로 만들어진다. 또한, 상기 전극 지지부재(230)와 복수 개의 전극은 결합부재(161, 263)에 의하여 서로 고정적으로 결합된다. 상기 전극 지지부재(230)는 사각 링 형상을 가지며, 상기 지지부재의 테두리에 복수 개의 전극이 서로 접촉되지 않은 상태로 각각 결합된다.
물론, 상기 히팅장치는 상기 복수 개의 전극이 상기 지지부재의 상부에 단순히 얹혀진 상태로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지지부재의 하부에 설치되는 저장용기와 결합되지 않고, 상기 지지부재가 상기 저장용기의 상부에 단순히 얹혀진 상태로 사용될 수도 있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히팅장치의 또 다른 실시 예를 설명한다.
본 실시 예에 따른 히팅장치는 상술한 실시 예들과 마찬가지로 서로 접촉되지 않는 복수 개의 전극(310, 320)과 상기 전극을 지지하는 전극 지지부재(330, 3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러나, 본 실시 예에 따른 히팅장치는 상술한 실시예와 달리 전극 자체가 부분적으로 히팅장치의 외부 테두리를 형성하게 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전극 지지부재(330, 340)는 소정 거리를 가지면서 설치되는 복수 개의 플레이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각각의 전극(310, 320)의 양측단은 상기 플레이트들 모두에 개별적으로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전극의 양측단 테두리에는 하부로 연장형성된 결합돌기들(317, 327)이 구비되고, 상기 전극 지지부재에는 상기 결합돌기와 대응되는 결합홀(337, 347)이 구비되어 있다. 결과적으로, 상기 전극이 전극 지지부재와 결합됨으로써 상기 전극은 히팅장치의 사각 테두리 중의 일부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 히팅장치의 조립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이하에서는 복 수개의 전극이 제1 전극(310)과 제2 전극(320)으로 구성되고, 복수 개의 플레이트가 제1 플레이트(330)와 제2 플레이트(340)로 구성된 경우에 있어서, 히팅장치의 조립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사용자는 음식물을 조리하기 위하여 상기 음식물에 전류가 흐르도록 하는 제1 전극(310) 및 제2 전극(320)을 제1 플레이트(330) 및 제2 플레이트(340)에 각각 결합시킨다. 이때, 상기 전극에 형성된 결합돌기(317, 327)를 상기 플레이트에 형성된 결합홀(337, 347)에 삽입시키고(도 6a 참조), 상기 결합홀을 통과한 결합돌기의 일부분을 벤딩시킴으로써 상기 전극과 플레이트(330,340)를 결합시킨다(도 6b참조).
물론, 상기 제1 전극(310) 및 제2 전극(320)은 서로 접촉되지 않도록 상기 제1 및 제2 플레이트에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 전극(320)에 형성된 제1 결합돌기(327a), 제2 결합돌기(327b), 제1 전극(310)에 형성된 제3 결합돌기(317d)는 제2 플레이트에 형성된 제1 결합홀(347a), 제2 결합홀(347b), 제3 결합홀(347d)과 각각 대응된다.
또한, 제2 전극에 형성된 제4 결합돌기(327d)는 제1플레이트에 형성된 제4 결합홀(337d)과 대응되며, 제2 전극에 형성된 제5 결합돌기(327c)는 제2 플레이트에 형성된 제5 결합홀(347c)과 대응된다.
상기 전극과 전극 지지부재의 결합이 종료되면, 사용자는 상기 음식물의 조리시 발생되는 이물질이 수용되는 저장용기와 상기 전극 지지부재를 결합시킴으로써 히팅장치의 조립을 완성한다.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히팅장치를 사용한 조리기기의 성능을 설명한다.
음식물을 조리하는데 있어서, 초기에 음식물에 전달되는 열에너지의 양은 음식물이 조리되는 속도를 결정짓게 된다. 왜냐하면, 음식물의 온도가 일정온도에 도 달하면, 이후의 음식물의 온도는 음식물이 타지 않을 정도로 상승되거나 유지되면 되기 때문이다.
도 7에 도시된 도면은 시간에 따른 음식물의 온도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여기서, 점선으로 표시된 곡선은 본 발명의 히팅장치와 고정 히터를 함께 사용했을 때 음식물의 온도변화 그래프이다. 또한, 실선으로 표시된 곡선은 고정 히터만을 사용했을 때 음식물의 온도변화 그래프이다. 상기 음식물의 온도는 음식물 전체에 걸쳐서 9지점의 온도를 측정하여 평균을 낸 값이다. 또한, 고정 히터에 사용된 전력은 5000 와트(W)가 사용되었고, 본 발명에 따른 히팅장치에 사용된 전력은 350 와트(W)가 사용되었다.
그래프를 살펴보면, 조리시간이 음식물의 조리시작 후 T1이 될 때까지 본 발명의 히팅장치에 의하여 가열되는 음식물의 온도가 급격하게 변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음식물을 가열하는데 있어서, 히팅장치와 고정히터를 동시에 사용한 경우는 고정히터만을 사용한 경우에 비하여 4~5 배정도로 빠른 속도로 온도가 상승하고 있음을 항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고 변형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상술한 히팅장치, 히팅장치의 조립방법 및 이를 이용한 조리기기에 관한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서로 접촉되지 않는 복수 개의 전극을 사용하여 음식물에 직접 전류를 흘려주어 음식물을 가열함으로써 음식물의 내부까지 가열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이 단축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전류는 음식물 전체에 걸쳐서 흐르기 때문에 음식물이 전체적으로 고르게 조리되는 이점이 있다.
둘째, 본 발명에 의하면, 음식물에 전류를 통과시켜 음식물 자체의 전기 전항을 이용하여 음식물을 가열하기 때문에 외부로 누설되는 열에너지가 감소하게 되어 에너지 효율이 증가되는 이점이 있다.
셋째, 본 발명에 따른 히팅장치는 설치위치에 제한을 받지 않고 사용자가 히터를 독립적으로 사용하거나, 가변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기 때문에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넷째, 복수 개의 전극과 상기 전극이 설치되는 지지부재를 별도의 결합부재를 사용하지 않고 전극과 지지부재 자체에 결합돌기와 결합홀을 형성함으로써 조립과정이 간단하고 빠르며, 조립비용이 저렴한 이점이 있다.
다섯째, 사용자의 음식물의 조리상태에 대한 취향이나 음식물의 종류에 따라 선택적으로 조리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원하는 조리상태의 음식물을 제공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20)

  1. 음식물이 조리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캐비닛;
    상기 음식물을 가열하기 위하여 상기 캐비닛의 내측에 고정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고정히터;
    상기 고정히터와 동시에 또는 선택적으로 작동되며 상기 캐비닛 내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히팅장치; 그리고,
    상기 히팅장치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하여 상기 히팅장치와 외부의 전력공급급원을 연결시키는 전원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히팅장치는 상호간에는 서로 접촉되지 않으면서 음식물에 각각 접촉되도록 교대로 배치되는 복수 개의 전극을 갖는 조리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을 지지하기 위한 전극 지지부재와, 상기 전극 지지부재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음식물의 조리시 발생하는 오일을 포함하는 이물질이 수용되는 저장용기를 더 포함하는 조리기기.
  3. 삭제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은 소정 간격으로 배열되는 복수 개의 전극핀과, 상기 전극핀을 연결하는 전극몸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핀에는 음식물에서 발생하는 오일을 수용하기 위한 저장용기로 상기 오일을 안내하는 안내가이드가 설치되어 있는 조리기기.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 지지부재와 상기 복수 개의 전극을 결합시키기 위한 결합부재를 더 포함하는 조리기기.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과 상기 전극 지지부재를 결합시키기 위하여 상기 전극과 상기 전극 지지부재 중 어느 하나에는 결합돌기가 구비되며, 나머지 하나에는 상기 결합돌기와 대응되는 결합홀이 구비되어 있는 조리기기.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 지지부재는 전류가 흐르지 않는 전기적 부도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기.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 지지부재는 소정 거리를 가지며 개별적으로 설치되는 복수 개의 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전극은 서로 접촉되지 않으면서 상기 플레이트에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플레이트를 결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조리기기.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음식물의 종류에 따라 상기 전극에 공급되는 전력을 가변시키기 위하여 제공되는 변압기를 더 포함하는 조리기기.
  15. 삭제
  1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연결부는 상기 전극과 연결되는 전선, 상기 전선의 끝단에 구비되는 플러그, 상기 플러그와 결합되는 소켓을 포함하는 조리기기.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연결부는 상기 소켓에 이물질이 쌓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소켓커버를 더 포함하는 조리기기.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KR1020060024069A 2006-03-15 2006-03-15 조리기기 및 조리기기의 조립방법 KR1007772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4069A KR100777294B1 (ko) 2006-03-15 2006-03-15 조리기기 및 조리기기의 조립방법
US11/686,465 US7417204B2 (en) 2006-03-15 2007-03-15 Cook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4069A KR100777294B1 (ko) 2006-03-15 2006-03-15 조리기기 및 조리기기의 조립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77294B1 true KR100777294B1 (ko) 2007-11-20

Family

ID=390800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24069A KR100777294B1 (ko) 2006-03-15 2006-03-15 조리기기 및 조리기기의 조립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7729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128722A1 (ko) * 2009-05-04 2010-11-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조리기기
KR20100120018A (ko) * 2009-05-04 2010-11-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조리기기
CN111867174A (zh) * 2019-04-29 2020-10-30 青岛海尔智能技术研发有限公司 一种射频加热模块的功率控制方法及射频加热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00873A (ko) * 2001-06-27 2003-01-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공기현가장치용 에어드라이어의 공기배출구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00873A (ko) * 2001-06-27 2003-01-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공기현가장치용 에어드라이어의 공기배출구조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2003873370000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128722A1 (ko) * 2009-05-04 2010-11-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조리기기
KR20100120018A (ko) * 2009-05-04 2010-11-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조리기기
KR101544551B1 (ko) 2009-05-04 2015-08-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조리기기
KR101626303B1 (ko) 2009-05-04 2016-06-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조리기기
CN111867174A (zh) * 2019-04-29 2020-10-30 青岛海尔智能技术研发有限公司 一种射频加热模块的功率控制方法及射频加热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17204B2 (en) Cook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0793797B1 (ko) 히팅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US8138453B2 (en) Electric oven with multiple broil heaters and method for preheating the electric oven
US9924830B1 (en) Countertop cooking appliance
US7368685B2 (en) Oven and heating unit of oven
KR20070103871A (ko) 조리기기
EP3745030A1 (en) Cooking appliance
KR20050026611A (ko) 과열증기 조리장치
US20170118798A1 (en) Reducing preheat time in an oven
KR100777294B1 (ko) 조리기기 및 조리기기의 조립방법
JP6096720B2 (ja) 電熱器具
EP3421893B1 (en) Cooking appliance and a method of operating the cooking appliance
US10302309B2 (en) Oven appliance having a broiler assembly
JP2004065553A (ja) 加熱調理器
US1208637A (en) Electric cooking apparatus.
CN212186219U (zh) 一种烘烤效果好的烤箱
KR20160000245A (ko) 멀티 전기오븐
KR101192351B1 (ko) 조리기기
US20200386410A1 (en) Oven appliance having combined radiant and convection broil
KR20080005014U (ko) 조리장치
KR101192352B1 (ko) 조리기기
KR100247614B1 (ko) 가열 조리기의 양면 그릴
JP2004065536A (ja) 加熱調理器
KR20120016919A (ko) 조리기기
KR100646875B1 (ko) 전기오븐레인지의 하부히터 열배출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3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