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19374A - 자동차 프로펠러 샤프트 연결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 프로펠러 샤프트 연결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19374A
KR20100119374A KR1020090038456A KR20090038456A KR20100119374A KR 20100119374 A KR20100119374 A KR 20100119374A KR 1020090038456 A KR1020090038456 A KR 1020090038456A KR 20090038456 A KR20090038456 A KR 20090038456A KR 20100119374 A KR20100119374 A KR 201001193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yoke
groove
aluminum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384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73093B1 (ko
Inventor
홍동표
김현식
Original Assignee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900384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73093B1/ko
Publication of KR201001193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193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30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30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7/00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 B60K17/22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main drive shafting, e.g. cardan shaf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3/00Shafts; Axles; Cranks; Eccentrics
    • F16C3/02Shafts; Ax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otor Power Transmission Devices (AREA)
  • Shafts, Cranks, Connecting Bars, And Related Bea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 프로펠러 샤프트 연결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자동차의 동력을 전달하기 위해 트랜스미션과 뒷바퀴의 회전축을 연결시키는 프로펠러 샤프트의 알루미늄 요크와 하이브리드 샤프트가 연결된 구조에 있어서, 단부 가장자리를 따라 일정간격으로 다수의 요크홈이 형성된 알루미늄 요크, 상기 알루미늄 요크의 요크홈에 대응되는 샤프트홈이 형성된 하이브리드 샤프트, 및 상기 각 대응되는 요크홈과 샤프트홈에 끼워져 상기 알루미늄 요크와 하이브리드 샤프트를 연결시키는 다수의 연결핀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연결핀과 상기 요크홈 및 샤프트홈은 고장력접착제에 의해 결합력이 향상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다수의 연결핀에 의해 알루미늄 요크와 하이브리드 샤프트를 견고하게 고정시켜 비틀림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특히, 고장력접착제에 의해 더욱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으며, 외부에 별도의 부착물이 없어 회전 불평형 현상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장기 사용에도 엔진의 변동되는 회전력을 지속적으로 전달할 수 있어 자동차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자동차, 프로펠러 샤프트, 요크, 샤프트, 연결핀

Description

자동차 프로펠러 샤프트 연결구조{Coupling structure of propeller shaft in vehicle}
본 발명은 샤프트 연결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자동차 프로펠러 샤프트의 알루미늄 요크와 하이브리드 샤프트에 홈을 각각 형성하고, 각 대응되는 홈에 연결핀을 끼워 고정시켜 비틀림 강성을 향상시키며, 회전 불평형 현상을 방지함은 물론, 변화되는 회전력을 용이하게 전달할 수 있어 자동차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자동차 프로펠러 샤프트 연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앞부분에 엔진이 있어 후륜으로 구동하게 되는 FR 자동차의 경우에는 트랜스미션으로부터 파이널 드라이브까지 긴축을 사용하여 동력을 전달하여야 하는데, 이러한 역할을 하는 것을 흔히 프로펠러 샤프트 또는 추진축이라고 칭하고 있다.
도 1은 종래 자동차 프로펠러 샤프트 연결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프로펠러 샤프트(10)는 통공된 하이브리드 샤프트(30) 양측으로 알루미늄 요크(20)를 삽입 연결한 후 상호 간의 연결 부위 외측에 용접(40)을 이용하여 연결하는 방식으로 조립을 이룰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프로펠러 샤프트(10)는 변동하는 엔진의 회전력(토크)을 후륜축으로 전달하여 자동차가 이동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프로펠러 샤프트(10)의 연결구조는 구조가 단순한 장점이 있지만, 사용 시 알루미늄 요크(20)와 하이브리드 샤프트(30)의 연결부위가 비틀림 강성에 가장 큰 영향을 받기 때문에, 장기사용 시 균열이 발생되어 회전력을 균일하게 전달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축 방향으로 결합 후, 용접을 함에 따라 고속회전을 이룰 시 비틀림 및 진동에 효과적으로 대응하지 못하여 축이 구부러지는 문제점이 있고, 기하학적 중심과 질량적 중심의 불일치를 야기시켜 휠 링이라는 굽힘 진동을 일으킬 수 있다.
또한 알루미늄 요크(20)와 하이브리드 샤프트(30)의 용접부위에는 용접강도가 다르기 때문에 회전 불평형 현상이 발생되어 샤프트가 휘어 회전력 전달이 안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구조가 단순하고, 조립이 용이하면서, 엔진의 변동되는 회전력(토크)을 장기간 지속적으로 전달시킬 수 있는 프로펠러 샤프트(10)의 연결구조 개발이 절실한 상황이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프로펠러 샤프트의 알루미늄 요크에 요크홈을 다수 개 형성하고, 이 요크홈에 대응되도록 하이브리드 샤프트에 샤프트홈을 다수 개 형성하여 연결핀을 끼워 알루미늄 요크와 하이브리드 샤프트를 용이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그리고 이 연결핀과 요크홈 및 샤프트홈에는 고장력접착제를 도포하여 더욱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어 엔진의 회전력이 지속적으로 전달될 수 있다.
그리고 연결핀의 외주면에 다수의 연결돌기나 연결홈이 형성되고, 이에 대응되도록 요크홈과 샤프트홈을 형성하여 상호 접촉면적을 증가시켜 고정력을 향상시킴은 물론, 외부에 부착물이 없어 회전 불평형 현상을 방지하여 회전을 지속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자동차 프로펠러 샤프트 연결구조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은, 자동차의 동력을 전달하기 위해 트랜스미션과 뒷바퀴의 회전축을 연결시키는 프로펠러 샤프트의 알루미늄 요크와 하이브리드 샤프트가 연결된 구조에 있어서, 단부 가장자리를 따라 일정간격으로 다수의 요크홈이 형성된 알루미늄 요크, 상기 알루미늄 요크의 요크홈에 대응되는 샤프트홈이 형성된 하이브리드 샤프트, 및 상기 각 대응되는 요크홈과 샤프트홈에 끼워져 상기 알루미늄 요크와 하이브리드 샤프트를 연결시키는 다수의 연결핀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연결핀과 상기 요크홈 및 샤프트홈은 고장력접착제에 의해 결합력이 향상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연결핀의 각 단부는 단측으로 갈수록 중심방향으로 테이퍼(Taper) 형성되고, 상기 요크홈과 샤프트홈의 내주면은 상기 연결핀에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연결핀의 외주면에는 다수의 연결돌기가 돌출 형성되거나 다수의 연결홈이 형성되고, 상기 요크홈과 샤프트홈의 내주면은 상기 연결핀에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 프로펠러 샤프트 연결구조에 의하면, 다수의 연결핀이 각각의 요크홈과 샤프트홈에 끼워짐에 따라 알루미늄 요크와 하이브리드 샤프트를 견고하게 고정시켜 비틀림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특히, 고장력접착제에 의해 더욱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으며, 외부에 별도의 부착물이 없어 회전 불평형 현상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장기 사용에도 엔진의 변동되는 회전력을 지속적으로 전달할 수 있어 자동차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게 하는 매우 유용하고 효과적인 발명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단지 예시로 제시된 것이며, 그 기술적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프로펠러 샤프트 연결구조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프로펠러 샤프트 연결구조의 분리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프로펠러 샤프트 연결구조에 고장력접착제가 더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프로펠러 샤프트 연결구조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프로펠러 샤프트 연결구조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자동차 프로펠러 샤프트 연결구조(100)는 알루미늄 요크(110)와 하이브리드 샤프트(120) 및 다수의 연결핀(130)으로 구성되며, 알루미늄 요크(110)의 단부에는 그 가장자리를 따라 일정간격으로 다수의 요크홈(112)이 형성된다.
그리고 알루미늄 요크(110)와 연결되는 하이브리드 샤프트(120) 단부에는 요크홈(112)에 대응되는 샤프트홈(122)이 형성되고, 이 요크홈(112)과 샤프트홈(122)에 연결핀(130)가 끼워져 알루미늄 요크(110)와 하이브리드 샤프트(120)가 고정된다.
이러한 연결핀(130)은 요크홈(112)과 샤프트홈(122)에 억지끼움으로 끼워진다.
그리고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결핀(130)과 요크홈(112) 및 샤프트 홈(122)은 고장력접착제(140)에 의해 결합력이 향상되어 더욱 견고하게 고정되는 것으로, 연결핀(130)과 각 홈(112, 122) 중 어느 하나 이상에 도포된다.
또한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연결핀(130)의 각 단부는 단측으로 갈수록 중심방향으로 테이퍼(Taper) 형성되고, 요크홈(112) 및 샤프트홈(122)은 연결핀(130)에 대응되도록 테이퍼 형성된다.
다시 말해, 알루미늄 요크(110)와 하이브리드 샤프트(120)의 연결 시, 연결핀(130)의 테이퍼 형성된 부분까지는 요크홈(112) 및 샤프트홈(122)에 용이하게 삽입되고, 테이퍼 형성되지 않은 부분에선 억지 끼움이 이루어져 견고하게 고정시키기 위함이다.
이는, 연결핀(130)의 직경과 요크홈(112) 및 샤프트홈(122)의 직경이 동일할 경우, 상호 결합 시, 끼워지지 않는 경우를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연결핀(130)의 외주면에는 다수의 연결돌기(132)가 돌출 형성되고, 요크홈(112)과 샤프트홈(122)의 내주면은 연결핀(130)에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또는, 연결핀(130)의 외주면에는 다수의 연결홈(132')이 형성되고, 요크홈(112)과 샤프트홈(122)의 내주면은 연결핀(130)에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이 연결돌기(132)와 연결홈(132')은 연결핀(130)과 각 홈(112, 122)의 접촉면적을 증가시키고, 그에 따른 고장력접착제(140)의 도포 면적을 증가시켜 더욱 견고하게 고정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때, 요크홈(112)과 샤프트홈(122)은 각각 홀수나 짝수 중 선택적으로 형성 될 수 있고, 그 형성 개수에 따라 연결핀(130)이 구비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 요크홈(112)과 샤프트홈(122)은 각각 12개씩 형성되고, 이에 따라 연결핀(130) 역시 12개로 구비된다.
다만, 이러한 실시 예는 그 개수를 한정하지 않는 것으로, 경우에 따라 형성 개수가 정해짐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연결핀(130)은 고강도 강철재질로 형성된다.
도 1은 종래 자동차 프로펠러 샤프트 연결구조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프로펠러 샤프트 연결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프로펠러 샤프트 연결구조의 분리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프로펠러 샤프트 연결구조에 고장력접착제가 더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프로펠러 샤프트 연결구조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프로펠러 샤프트 연결구조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프로펠러 샤프트 110 : 알루미늄 요크
112 : 요크홈 120 : 하이브리드 샤프트
122 : 샤프트홈 130 : 연결핀
132 : 연결돌기 132' : 연결홈
140 : 고장력접착제

Claims (3)

  1. 자동차의 동력을 전달하기 위해 트랜스미션과 뒷바퀴의 회전축을 연결시키는 프로펠러 샤프트의 알루미늄 요크와 하이브리드 샤프트가 연결된 구조에 있어서,
    단부 가장자리를 따라 일정간격으로 다수의 요크홈이 형성된 알루미늄 요크;
    상기 알루미늄 요크의 요크홈에 대응되는 샤프트홈이 형성된 하이브리드 샤프트; 및
    상기 각 대응되는 요크홈과 샤프트홈에 끼워져 상기 알루미늄 요크와 하이브리드 샤프트를 연결시키는 다수의 연결핀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연결핀과 상기 요크홈 및 샤프트홈은 고장력접착제에 의해 결합력이 향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프로펠러 샤프트 연결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핀의 각 단부는 단측으로 갈수록 중심방향으로 테이퍼(Taper) 형성되고, 상기 요크홈과 샤프트홈의 내주면은 상기 연결핀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프로펠러 샤프트 연결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핀의 외주면에는 다수의 연결돌기가 돌출 형성되거나 다수의 연결홈이 형성되고, 상기 요크홈과 샤프트홈의 내주면은 상기 연결핀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프로펠러 샤프트 연결구조.
KR1020090038456A 2009-04-30 2009-04-30 자동차 프로펠러 샤프트 연결구조 KR1010730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8456A KR101073093B1 (ko) 2009-04-30 2009-04-30 자동차 프로펠러 샤프트 연결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8456A KR101073093B1 (ko) 2009-04-30 2009-04-30 자동차 프로펠러 샤프트 연결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9374A true KR20100119374A (ko) 2010-11-09
KR101073093B1 KR101073093B1 (ko) 2011-10-12

Family

ID=434054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8456A KR101073093B1 (ko) 2009-04-30 2009-04-30 자동차 프로펠러 샤프트 연결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7309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5580Y1 (ko) 2010-12-16 2013-02-26 롯데알미늄 주식회사 쇼케이스용 캐노피의 연결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73093B1 (ko) 2011-10-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310489B2 (ja) ドライブシャフト及びその製造方法
CN109869417B (zh) 具有等速万向节的铝制传动轴
KR101664682B1 (ko) 자동차용 중공 드라이브 샤프트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30117229A (ko) 동력전달축용 플렉시블 커플링
KR101073095B1 (ko) 자동차 프로펠러 샤프트
KR101073093B1 (ko) 자동차 프로펠러 샤프트 연결구조
CN201989841U (zh) 一种转向中间轴
CN102007670A (zh) 工具机,特别是手持式工具机
WO2010116883A1 (ja) ドライブシャフト用中間軸
KR20150049727A (ko) 차량용 액슬 장치
KR20140142883A (ko) 휠 베어링의 허브와 아웃트레이스의 코킹 결합구조
KR101999277B1 (ko) 자동차용 cfrp 프로펠러샤프트
JP2010249145A (ja) ドライブシャフト用中間軸
KR100410781B1 (ko) 구동축용 튜브와 요크 결합 구조
JP2013083281A (ja) 十字軸継手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3912957B2 (ja) 車両用軸継手
CN104589921A (zh) 驱动轴结构和车辆
KR200279000Y1 (ko) 복합재트랜스밋션샤프트의조인트구조
JP3825625B2 (ja) 車両用軸継手
JP4624728B2 (ja) 弾性軸継手
JP2012225430A (ja) 摺動式等速自在継手
KR20230073613A (ko) 액슬장치
KR20210059296A (ko) 차량의 볼타입 조인트
JPH09257049A (ja) 軸部材
KR20150044132A (ko) 변속기 출력축과 프로펠러 샤프트의 연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5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